KR102458040B1 -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040B1
KR102458040B1 KR1020200099991A KR20200099991A KR102458040B1 KR 102458040 B1 KR102458040 B1 KR 102458040B1 KR 1020200099991 A KR1020200099991 A KR 1020200099991A KR 20200099991 A KR20200099991 A KR 20200099991A KR 102458040 B1 KR102458040 B1 KR 102458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lastic
recycling
gasification system
steam
syn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9887A (ko
Inventor
서명원
라호원
윤상준
문태영
문지홍
윤성민
박성진
한시우
김재호
김용구
이도연
남형석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9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0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82Gas withdrawal means
    • C10J3/84Gas withdrawal mean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or tar from the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50Fuel charg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52Ash-remov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723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gasification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86Other features combined with waste-heat boi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2Dust removal
    • C10K1/026Dust removal by centrifug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8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 C10K1/16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non-aqueous liquids
    • C10K1/18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non-aqueous liquids hydrocarbon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32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with selectively adsorptive solids, e.g. active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0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pla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2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engines being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43/00Engines characterised by operating on gaseous fuels; Plants including such engines
    • F02B43/10Engines or plant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specific gases, e.g. acetylene, oxy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46Waste, e.g. MSW, tires, glass, tar sand, peat, paper, lignite, oil shal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2Heating the gasifier
    • C10J2300/1215Heating the gasifier using synthesis gas as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2Heating the gasifier
    • C10J2300/1223Heating the gasifier by bur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25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solids treatment
    • C10J2300/1628Ash post-treatment
    • C10J2300/1631Ash recyc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4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conversion of synthesis gas
    • C10J2300/1643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 C10J2300/165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integrated with a gas turbine or gas mo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71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the production of electric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71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the production of electricity
    • C10J2300/1675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the production of electricity making use of a steam turb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8Details of the gasification process, e.g. loops, autothermal operation
    • C10J2300/1807Recycle loops, e.g. gas, solids, heating medium, water
    • C10J2300/1823Recycle loops, e.g. gas, solids, heating medium, water for synthesis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4Gas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합성가스 생성장치; 및 합성가스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중금속, 타르 및 분진을 제거한 합성가스를 열원으로 재활용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하는 재활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A waste plastic 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ed with recycle compan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합성가스,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나 스팀을 재활용업체, 운영업체나 주변업체로 공급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열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얻는 가장 주요한 방식은 연료와 산소의 연소를 통하여 방출하는 대량의 에너지이다. 그러나, 자원이 부족한 오늘날 에너지 문제는 이미 세계 각국의 가장 중요한 전략적 문제로 대두 되었다. 에너지의 연료 형식으로는 기체연료, 액체연료와 고체연료 세가지 형식, 그와 상응해 얻는 화석에너지는 천연가스, 석유와 석탄이다. 우리가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화석에너지에는 석탄이 들어가며, 석유, 천연가스는 재생이 불가능한 에너지이다.
그러나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고정된 지구상의 태양에너지의 식물 광합작용으로 전형적인 일종의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이다.
한편으로 고형폐기물 또한 인류가 생산과 생활 활동 중에서 버려지는 고체와 오니 상태의 물질을 고형폐기물이라고 약칭하는데, 흔히 보이는 가연성 고형폐기물로는 도시생활쓰레기, 폐플라스틱, 농림 바이오매스 폐기물, 의료폐기물 등과 같은 각종 가연성 고형폐기물이다.
이러한 폐기물을 이용해 석탄, 석유와 천연가스등을 대체하여 광물 에너지의 의존도를 감소 시킬 수 있으며, 나라의 에너지 자원을 보호하고, 에너지 소비로 인한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국제적으로도 적극적으로 신 재생 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중 폐플라스틱 및 유기물 생활쓰레기 가스화는 현재 세계 각국 에너지 연구의 중요한 방향이나, 국내, 외적으로 가스화 기술의 생산 원가와 생산된 가스 품질 등 측면의 문제를 아직 완벽히 해결되지 못한 실정이며 그로 인하여 폐플라스틱 및 유기물 등 생활쓰레기 가스화 공급은 아직 보편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폐플라스틱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전기 또는 스팀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로 설비를 동작시켜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고 스팀을 생산하여 자체적으로 활용하거나 주변업체에 공급하여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나아가, 상기한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가스화시스템을 선별 및 분리를 통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업체에 각각 설치하여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402221호(2014.05.26.)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123264호(2012.02.27.)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하여 재활용 설비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업체가 구비한 운영설비 또는 주변업체로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 의존도를 낮춤과 동시에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합성가스 생성장치; 및 상기 합성가스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중금속, 타르 및 분진을 제거한 합성가스를 열원으로 재활용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하는 재활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가스 생성장치는, 가스화기; 상기 가스화기와 연통하여 투입되는 유동사를 상기 가스화기로 공급하는 유동사 투입장치; 및 상기 가스화기와 연통하여 투입되는 폐플라스틱 연료를 상기 가스화기로 공급하는 폐플라스틱 연료 투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화기는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와 상기 유동사를 가열하여 상기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가스 생성장치는 상기 가스화기의 일측 및 타측과 연통하는 사이클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은 상기 가스화기의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분진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가스화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동사를 상기 가스화기의 타측으로 공급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장치는, 상기 사이클론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분진을 제거한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중금속 및 타르를 제거하는 활성탄 반응기; 상기 활성탄 반응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중금속 및 타르가 제거된 합성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열교환된 합성가스에 일부 미전환된 타르를 제거하는 오일 스크러버; 및 상기 오일 스크러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타르가 제거된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집진하고 상기 타르를 제거하며 수분을 제거하는 집진 및 수분 제거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장치는, 상기 불순물이 집진되고 수분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합성가스 재활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가스 재활용부는, 상기 불순물이 집진되고 수분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연료로 동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가스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가스 재활용부는, 상기 불순물이 집진되고 수분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연료로 동작하여 스팀을 생산하는 보일러; 및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스팀을 기반으로 동작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하는 스팀 터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 스크러버는, 오일을 수용하고 상기 열교환기와 연통하는 오일 챔버;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일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오일을 분사하는 오일분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장치는 외부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기 가스화기로 공급하는 승온 버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술한 바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a) 재활용업체가 분리된 폐플라스틱을 수거하는 단계; (b) 상기 재활용업체가 구비한 재활용 설비가 상기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기반으로 폐플라스틱 연료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재활용업체가 적어도 하나의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업체로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하는 단계; (d)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중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생산한 전기 또는 스팀을 재활용 설비나 주변업체로 공급하는 단계; (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업체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운영설비가 폐플라스틱 연료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계; 및 (f)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중 제2, 3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생산한 전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업체 중 제1, 2 운영업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재활용업체가 상기 분리된 폐플라스틱에서 선별한 폐플라스틱을 상기 재활용 설비로 공급하는 단계; 및 (b2) 상기 재활용 설비가 상기 선별된 폐플라스틱을 가열 및 압착시켜 폐플라스틱 연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는 보풀 형태 및 펠릿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재활용 설비로부터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는 단계; (d2) 상기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단계; 및 (d3) 상기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 및 (d4) 상기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재활용 설비로 상기 전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제1 운영업체가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는 단계; (e2)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설비 중 제1 운영설비가 상기 제1 운영업체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단계; (e3) 상기 제2 운영업체가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는 단계; 및 (e4)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설비 중 제2 운영설비가 상기 제2 운영업체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3) 상기 제2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아 동작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f3) 상기 제2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제1 운영업체로 상기 전기 및 상기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 및 (f3) 상기 제1 운영업체가 상기 제1 운영설비로 상기 전기 및 상기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4) 상기 제3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아 동작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f5) 상기 제3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제2 운영업체로 상기 전기 및 상기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 및 (f6) 상기 제2 운영업체가 상기 제2 운영설비로 상기 전기 및 상기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하여 재활용 설비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업체가 구비한 운영설비로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 의존도를 낮춤과 동시에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에서의 유체흐름 및 동작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에 투입되는 폐플라스틱 연료를 나타낸 실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에서의 유체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은 합성가스 생성장치(100) 및 재활용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에 투입되는 폐플라스틱 연료를 나타낸 실제 사진이다.
합성가스 생성장치(100)는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며, 이를 위한 합성가스 생성장치(100)는 가스화기(110), 유동사 투입장치(120), 폐플라스틱 연료 투입장치(130), 사이클론(140) 및 승온 버너(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폐플라스틱 연료는 분리 및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성형기로 성형하여 보풀 형상 또는 펠릿 형상으로 구현된 연료로서, 도 3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의 (a)는 보풀 형상의 폐플라스틱 연료를 도시하고, 도 3의 (b)는 펠릿 형상의 폐플라스틱 연료를 도시한다.
폐플라스틱 연료
(보풀 타입)
폐플라스틱 연료
(펠릿 타입)
외형 가로 50mm세로 50mm 직경 30~40mm
길이 100mm
겉보기 밀도 2~6 kg/m3 227.6 kg/m3
입자 밀도 280 kg/ m3 898.8 kg/m3
형태 보풀(Fluff) 펠릿(Pellet)
구체적으로 상기한 보풀 형상과 펠릿 형상의 폐플라스틱 연료는 [표 1]와 같은 사양을 가진다.가스화기(110)는 폐플라스틱 연료와 유동사를 가열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며, 이를 위한 가스화기(110)는 가스화로(111) 및 제1 이송부재(112)를 포함한다.
가스화로(111)는 폐플라스틱 연료와 유동사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가스화로(111)는 가열로 인한 고온 및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화로(111)는 상하방향으로 기립되어 위치할 수 있다.
가스화로(111)의 상부 및 측면 하부는 사이클론(140)과 연통하고, 가스화로(111)의 측부는 유동사 투입장치(120) 및 폐플라스틱 연료 투입장치(130)와 연통한다.
상기한 구조에 따른 가스화로(111)는 유동사 투입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유동사가 유입되고, 폐플라스틱 연료 투입장치(130)로부터 공급되는 폐플라스틱 연료가 유입된다.
이에 따른 가스화로(111)는 유동사와 폐플라스틱 연료를 가열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한 후 가스화로(111)의 상부를 통하여 유동사와 합성가스를 사이클론(140)으로 공급한다.
또한, 가스화로(111)의 측면 하부로는 사이클론(140)에서 있던 유동사가 유입된다.
제1 이송부재(112)는 가스화로(111)의 하부에 형성되어 가스화로(111)에서 발생한 회재(불연물 포함)를 유동사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킨다.
유동사 투입장치(120)는 가스화기(110)와 연통하여 투입되는 유동사를 가스화기(110)로 공급하며, 이를 위한 유동사 투입장치(120)는 유동사 투입챔버(121) 및 제2 이송부재(122)를 포함한다.
유동사 투입챔버(121)는 유동사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챔버로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유동사 투입챔버(121)의 하부에는 제2 이송부재(122)가 형성된다.
제2 이송부재(122)는 유동사 투입챔버(121)의 하부에 형성되어 가스화로(111)의 측부와 연통한다. 이러한 제2 이송부재(122)는 유동사 투입챔버(121)에 있던 유동사를 가스화로(111)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폐플라스틱 연료 투입장치(130)는 가스화기(110)와 연통하여 투입되는 폐플라스틱 연료를 가스화기(110)로 공급하며, 이를 위한 폐플라스틱 연료 투입장치(130)는 폐플라스틱 투입로(131) 및 제3 이송부재(132)를 포함한다.
폐플라스틱 투입로(131)는 폐플라스틱 연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폐플라스틱 투입로(131)의 하부에는 제3 이송부재(132)가 형성된다.
제3 이송부재(132)는 폐플라스틱 투입로(131)의 하부에 형성되어 가스화로(111)의 측면 하부와 연통한다. 이러한 제3 이송부재(132)는 폐플라스틱 투입로(131)에 있던 폐플라스틱 연료를 가스화로(111)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이클론(140)은 가스화기(110)의 일측 및 타측과 연통한다. 보다 상세하게 사이클론(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화로(111)의 상부 및 측면 하부와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론(140)은 가스화기(110)의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분진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사이클론(140)은 가스화기(1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동사를 가스화기의 타측인 측면 하부으로 공급함에 따라 유동사가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승온 버너(150)는 외부로부터 열교환기(22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킨 후 가스화기(11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한 승온 버너(150)로는 LNG가스 및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가열된 LPG가스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승온버너(150)는 초기 유동사의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향후 열교환기(220)를 통과한 공기는 승온 버너(150)로 유입되지 않고 가스화기(110)로 유입될 수 있다.
재활용장치(200)는 합성가스 생성장치(100)에서 생성된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중금속, 타르 및 분진을 제거한 합성가스를 열원으로 재활용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하며, 이를 위한 재활용장치(200)는 활성탄 반응기(210), 열교환기(220), 오일 스크러버(230), 집진 및 수분 제거 설비(240) 및 합성가스 재활용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금속(=수은(Hg), 카드뮴(Cd), 납(Pb), 비소(As) 등)은 일반적으로 고형연료제품의 품질기준(제20조의 2 관련)에 맞추어 관리되므로 상기한 기준치를 넘어서는 폐플라스틱 연료는 반입될 확률이 거의 없다.
상기한 고형연료제품의 품질기준에 따르면, 수은은 1.0 mg/kg 이하, 카드뮴은 5.0 mg/kg 이하, 납은 150 mg/kg 아하, 비소는 13.0 mg/kg 이하이다.
그러나, 만약 상기한 중금속이 일부 포함되어 있더라도 본 발명에서는 활성탄 반응기(210) 내에서 흡착 과정을 통해 중금속의 제거가 가능하다.
활성탄 반응기(210)는 사이클론(140)으로부터 공급되는 분진을 제거한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중금속 및 타르를 제거한다.
이를 위한 활성탄 반응기(210)의 상부는 사이클론(140)과 연통하고 활성탄 반응기(210)의 하부는 열교환기(220)와 연통한다.
또한, 활성탄 반응기(210)는 가스화 과정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는 타르(C6 이상의 벤젠, 톨루엔, 나프탈렌 성분 등)를 흡착 및 분해하고 추가적으로 타르가 오일 스크러버(230)에서 용해되어 제거된다.
상기한 활성탄 반응기(210)는 중금속 및 타르를 제거한 합성가스를 열교환기(220)로 공급한다.
열교환기(220)는 활성탄 반응기(210)로부터 공급되는 중금속 및 타르가 제거된 합성가스를 열교환시킨다. 이때, 열교환기(220)는 외부로부터 압축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압축공기는 열교환하는데 사용된 후 승온 버너(150)를 거쳐 가스화기(110)로 유입된다.
이때, 승온 버너(150)는 초기 유동사의 온도를 높일 때만 사용되므로 실제로 압축공기는 승온 버너(150)로 유입되나, 승온 버너(150)를 거쳐 가스화기(110)로 유입된다.
오일 스크러버(230)는 열교환기(230)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된 합성가스에 일부 미전환된 타르를 제거하며, 이를 위한 오일 스크러버(230)는 오일 챔버(231) 및 오일분사부재(232)를 포함한다.
오일 챔버(231)는 오일을 수용하고 열교환기(220)와 연통하는 챔버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일 챔버(231)는 열교환기(220)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된 합성가스에 일부 미전환된 타르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오일 챔버(231) 내부에 있는 오일은 합성가스에 일부 미전환된 타르를 흡수하고, 타르를 함유한 오일은 오일 챔버(231)의 하부로 배출된다.
오일 챔버(231)의 상부는 집진 및 수분 제거 설비(240)와 연통한다.
또한, 오일 챔버(231)의 내부 상부에는 오일분사부재(232)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여 오일을 하부로 분사한다.
오일분사부재(232)는 적어도 일부가 오일 챔버(231)의 내부에 위치하여 오일을 분사한다.
집진 및 수분 제거 설비(240)는 오일 스크러버(230)로부터 공급되는 타르가 제거된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집진하고 분진 및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한 집진 및 수분 제거 설비(240)에서는 본 발명에서 원하는 합성가스가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곳이다. 이에 따라 집진 및 수분 제거 설비(240)는 완성된 합성가스를 합성가스 재활용부(250)로 공급한다.
합성가스 재활용부(250)는 불순물이 집진되고 수분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며, 이를 위한 합성가스 재활용부(250)는 가스 엔진(251), 보일러(252) 및 스팀 터빈(263)을 포함한다.
가스 엔진(251)은 불순물이 집진되고 수분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연료로 동작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이에 따라 생산된 전기는 후술되는 재활용업체에 직접 공급되거나 매전을 통한 수익이 창출될 수도 있다.
보일러(252)는 불순물이 집진되고 수분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연료로 동작하여 스팀을 생산한다. 이에 따른 보일러(252)는 생산된 스팀을 스팀 터빈(263)으로 공급한다.
한편, 보일러(252)는 생산된 스팀을 스팀 터빈(253)뿐만 아니라 재활용업체(400)나 주변업체로 공급할 수도 있다.
스팀 터빈(253)은 보일러(252)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기반으로 동작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이에 따라 생산된 전기는 가스 엔진(251)에서와 같이 후술되는 재활용업체에 직접 공급되거나 매전을 통한 수익이 창출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는 가스 엔진(251)을 통하여 생산되거나 보일러(252) 및 스팀 터빈(253)을 통하여 생산될 수 있다.
2.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은 전술한 바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에 있어서,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 300', 300'')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a) 재활용업체(400)가 분리된 폐플라스틱을 수거하는 단계(S100) (b) 재활용업체(400)가 구비한 재활용 설비(410)가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기반으로 폐플라스틱 연료를 생성하는 단계(S200), (c) 재활용업체(400)가 적어도 하나의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 300', 300'')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업체(500, 600)로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하는 단계(S300), (d) 적어도 하나의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 300', 300'') 중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이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생산한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재활용 설비나 주변업체로 공급하는 단계(S400), (e) 적어도 하나의 운영업체(500, 600)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운영설비(510, 610)가 폐플라스틱 연료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계(S500) 및 (f) 적어도 하나의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 300', 300'') 중 제2, 3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 300'')이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생산한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운영업체(500, 600) 중 제1, 2 운영업체(510, 610)로 공급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최초, 상기 (a) 단계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가공업체에서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PE, PP, PS, PVC) 소재를 이용하여 포장재를 만든다. 본 발명에서는 포장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플라스틱으로 구현할 수 있는 모든 제품이 포함된다.
제조된 플라스틱 제품은 유통업체(예를 들어, 마트 등)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유통되고, 소비자는 플라스틱 제품을 다 사용한 폐플라스틱을 생활폐기물과 재활용품으로 분류하여 버린다.
생활폐기물로 분류된 폐플라스틱은 종량제봉투에 담긴 채로 공공기관(지자체)로 옮겨진 후 소정의 분리 과정 및 수거 과정을 겨쳐 재활용 설비(410)로 투입된다.
한편, 재활용품으로 분류된 폐플라스틱은 재활용업체(400)에서 수거 및 분리하며, 재활용업체(400)는 폐플라스틱을 잔재 플라스틱(이하, 폐플라스틱으로 설명)과 유기물로 선별한다.
다음, 상기 (b) 단계는, (b1) 재활용업체(400)가 분리된 폐플라스틱에서 선별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 설비(410)로 공급하는 단계 및 (b2) 재활용 설비(410)가 선별된 폐플라스틱을 가열 및 압착시켜 폐플라스틱 연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는 도 3의 (a), (b)에 도시된 보풀 형태 및 펠릿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조된다.
다음, 상기 (c) 단계에서는 재활용 설비(410)가 제2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 및 제1 운영업체(5000)으로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한다.
또한, 재활용 설비(410)는 폐플라스틱 연료를 수도권 매립지 공사로 공급하고, 수도권 배립지 공사는 폐플라스틱 연료를 제3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 및 제2 운영업체(600)로 공급한다.
다음, 상기 (d) 단계는, (d1)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이 재활용 설비로부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는 단계, (d2)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이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단계 및 (d3)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이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하는 단계 및 (d4)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이 재활용 설비(410)로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재활용 설비(410)는 폐플라스틱을 성형하여 도 3의 (a), (b)에 도시된 폐플라스틱 연료를 제조하는 성형기이다.
상기한 (d) 단계와 같이 본 발명은 재활용 설비(410)가 폐플라스틱을 성형하여 폐플라스틱 연료를 제조하고,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이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고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 후 재활용 설비(410)로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다음, 상기 (e) 단계는, (e1) 제1 운영업체(500)가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는 단계, (e2) 적어도 하나의 운영설비(510, 610) 중 제1 운영설비(510)가 제1 운영업체(500)로부터 공급되는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단계, (e3) 제2 운영업체(600)가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는 단계 및 (e4) 적어도 하나의 운영설비(510, 610) 중 제2 운영설비(610)가 제2 운영업체(600)로부터 공급되는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운영업체(500)는 예시적으로 시멘트 회사일 수 있고, 제2 운영업체(600)는 보일러 회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2 운영업체(500, 600)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각종 설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른 회사들도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운영설비(510)는 시멘트 회사에서 보유하고 사용하는 설비들이고, 제2 운영설비(610)는 보일러 회사에서 보유하고 사용하는 설비들이다.
다음, 상기 (f) 단계는, (f3) 제2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이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아 동작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f3) 제2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이 제1 운영업체(500)로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 및 (f3) 제1 운영업체(500)가 제1 운영설비(510)로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f1) 내지 (f3) 단계는 상술한 (e1) 내지 (e2) 단계와 연결되는 단계로서,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한 (d) 단계와 같이 제2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이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 후 제1 운영설비(510)로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다음, 상기 (f) 단계는, (f4) 제3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이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아 동작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f5) 제3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이 제2 운영업체(600)로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 및 (f6) 제2 운영업체(600)가 제2 운영설비(610)로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f4) 내지 (f6) 단계는 상술한 (e3) 내지 (e4) 단계와 연결되는 단계로서,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한 (d) 단계와 같이 제3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300'')이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 후 제2 운영설비(610)로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분리수거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 설비에서 폐플라스틱 연료로 성형하고, 성형된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한 후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하여 재활용 설비(410), 제1 운영설비(510) 및 제2 운영설비(610)로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합성가스 생성장치
110: 가스화기
111: 가스화로
112: 제1 이송부재
120: 유동사 투입장치
121: 유동사 투입챔버
122: 제2 이송부재
130: 폐플라스틱 연료 투입장치
131: 폐플라스틱 투입로
132: 제3 이송부재
140: 사이클론
150: 승온 버너
200: 재활용장치
210: 활성탄 반응기
220: 열교환기
230: 오일 스크러버
231: 오일 챔버
232: 오일분사부재
240: 집진 및 수분 제거 설비
250: 합성가스 재활용부
251: 가스 엔진
252: 보일러
253: 스팀 터빈
300, 300’, 300’’: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400: 재활용업체
410: 재활용 설비
500: 제1 운영업체
510: 제1 운영설비
600: 제2 운영업체
610: 제2 운영설비

Claims (15)

  1. 가스화기, 상기 가스화기와 연통하여 투입되는 유동사를 상기 가스화기로 공급하는 유동사 투입장치, 상기 가스화기와 연통하여 투입되는 폐플라스틱 연료를 상기 가스화기로 공급하는 폐플라스틱 연료 투입장치 및 상기 가스화기의 일측 및 타측과 연통하는 사이클론을 포함하며,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와 상기 유동사를 가열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며, 상기 가스화기의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분진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가스화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동사를 상기 가스화기의 타측으로 공급하여 재사용하는 합성가스 생성장치; 및
    상기 사이클론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분진을 제거한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중금속 및 타르를 제거하는 활성탄 반응기, 상기 활성탄 반응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중금속 및 타르가 제거된 합성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열교환된 합성가스에 일부 미전환된 타르를 제거하는 오일 스크러버, 및 상기 오일 스크러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타르가 제거된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집진하고 상기 타르를 제거하며 수분을 제거하는 집진 및 수분 제거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가스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합성가스에 섞여 있는 중금속, 타르 및 분진을 제거한 합성가스를 열원으로 재활용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하는 재활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화기에 투입되는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는,
    재활용 설비에 의하여 수거 및 선별된 폐플라스틱이 가열 및 압착되어 생성되고,
    수은 0 초과 1.0 mg/kg 이하, 카드뮴 0 초과 5.0 mg/kg 이하, 납 0 초과 150 mg/kg 이하, 비소 0 초과 13.0 mg/kg 이하의 중금속 함유량을 가지도록 제작된 보풀 또는 펠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활성탄 반응기는 상기 합성가스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합성가스에 일부 잔존하는 수은, 카드뮴, 납 및 비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중금속을 흡착하여 제거하며,
    상기 활성탄 반응기, 상기 오일 스크러버 및 상기 집진 및 수분 제거 설비는 상기 합성가스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합성가스에 포함된 타르를 순차적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장치는,
    상기 불순물이 집진되고 수분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합성가스 재활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가스 재활용부는, 상기 불순물이 집진되고 수분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연료로 동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가스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가스 재활용부는,
    상기 불순물이 집진되고 수분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연료로 동작하여 스팀을 생산하는 보일러; 및
    상기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스팀을 기반으로 동작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하는 스팀 터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스크러버는,
    오일을 수용하고 상기 열교환기와 연통하는 오일 챔버;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일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오일을 분사하는 오일분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장치는 외부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기 가스화기로 공급하는 승온 버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10. 제1 항에 따른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a) 재활용업체가 분리된 폐플라스틱을 수거하는 단계;
    (b) 상기 재활용업체에 구비된 상기 재활용 설비가 상기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기반으로 폐플라스틱 연료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재활용 설비가 적어도 하나의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업체로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하는 단계;
    (d)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중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생산한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재활용 설비로 공급하는 단계;
    (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업체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운영설비가 폐플라스틱 연료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계; 및
    (f)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중 제2, 3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생산한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업체 중 제1, 2 운영업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재활용업체가 상기 분리된 폐플라스틱에서 선별한 폐플라스틱을 상기 재활용 설비로 공급하는 단계; 및
    (b2) 상기 재활용 설비가 상기 선별된 폐플라스틱을 가열 및 압착시켜 폐플라스틱 연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는 보풀 형태 및 펠릿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재활용 설비로부터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는 단계;
    (d2) 상기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단계; 및
    (d3) 상기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산하는 단계; 및
    (d4) 상기 제1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재활용 설비로 상기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제1 운영업체가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는 단계;
    (e2)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설비 중 제1 운영설비가 상기 제1 운영업체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단계;
    (e3) 상기 제2 운영업체가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는 단계; 및
    (e4)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설비 중 제2 운영설비가 상기 제2 운영업체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3) 상기 제2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아 동작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f3) 상기 제2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제1 운영업체로 상기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 및
    (f3) 상기 제1 운영업체가 상기 제1 운영설비로 상기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4) 상기 제3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폐플라스틱 연료를 공급받아 동작하여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f5) 상기 제3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이 상기 제2 운영업체로 상기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 및
    (f6) 상기 제2 운영업체가 상기 제2 운영설비로 상기 전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을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KR1020200099991A 2020-08-10 2020-08-10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KR102458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91A KR102458040B1 (ko) 2020-08-10 2020-08-10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91A KR102458040B1 (ko) 2020-08-10 2020-08-10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887A KR20220019887A (ko) 2022-02-18
KR102458040B1 true KR102458040B1 (ko) 2022-10-26

Family

ID=8049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991A KR102458040B1 (ko) 2020-08-10 2020-08-10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0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3812A (ja) 2010-03-31 2011-10-2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被ガス化原料ガス化システム
KR101309000B1 (ko) 2011-06-08 2013-09-16 손연홍 가연성 폐기물을 연료로 이용하는 가열로와 열교환기를 연계한 에너지 절약형의 친환경 폐기물 자원화 장치
KR101372948B1 (ko) 2012-04-02 2014-03-25 김수아 가연성 폐기물 전용 가열로를 연계한 친환경 다중 에너지 자원 회수장치
JP2014125591A (ja) 2012-12-27 2014-07-07 Ihi Corp 合成ガス生成システム、および、合成ガス生成方法
KR101632147B1 (ko) 2015-04-01 2016-06-22 (주)정석이엔씨 바이오매스 발전설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757B1 (ko) * 2007-02-15 2009-02-06 에틴시스템 주식회사 각종 폐기물의 전량 무방출-자원화-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처리공정 및 그의 시스템
KR101871432B1 (ko) * 2016-11-25 2018-06-2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활성탄 재순환식 가스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3812A (ja) 2010-03-31 2011-10-2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被ガス化原料ガス化システム
KR101309000B1 (ko) 2011-06-08 2013-09-16 손연홍 가연성 폐기물을 연료로 이용하는 가열로와 열교환기를 연계한 에너지 절약형의 친환경 폐기물 자원화 장치
KR101372948B1 (ko) 2012-04-02 2014-03-25 김수아 가연성 폐기물 전용 가열로를 연계한 친환경 다중 에너지 자원 회수장치
JP2014125591A (ja) 2012-12-27 2014-07-07 Ihi Corp 合成ガス生成システム、および、合成ガス生成方法
KR101632147B1 (ko) 2015-04-01 2016-06-22 (주)정석이엔씨 바이오매스 발전설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연구보고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신재생 자원 기반 저탄소 소재/에너지 생산 시스템 개발,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400012247 (2014.08.23) 1부.*
학술논문, 김준엽 등, 오일 스크러버 및 집진장치를 통한 바이오매스 가스화 공정 발생 타르 및 입자 제거 연구, Appl. Chem. Eng., 2019.12, 30(6), pp.712-718 (2019.12.3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887A (ko)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ukouzas et al. Co-gasification of solid waste and lignite–A case study for Western Macedonia
US7878131B2 (en) Integrated process for waste treatment by pyrolysis and related plant
KR102235889B1 (ko)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
Klavins et al. Small scale gasification application and perspectives in circular economy
JP2020073265A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1528759B1 (ko) 고정층 가스화기를 이용한 석탄가스화 발전설비
Xu et al. Status and prospects of municipal solid waste to energy technologies in China
JP2008138890A (ja) 焼却システム
CN201795495U (zh) 垃圾处理系统
US11446719B2 (en) Virtual landfill terminal
KR102458040B1 (ko)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업체와의 연계 방법
KR102458037B1 (ko) 타르를 제거하는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oelho et al. Best Available Technologies (BAT) for WtE in developing countries
KR20180016024A (ko) 일종의 폐플라스틱 및 유기물 생활쓰레기 간헐연속투입 하흡식 고정상 가스화 장치
Dutsadee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power generation by producer gas from refuse derived fuel-5 (RDF-5)
KR102646178B1 (ko) 가스화기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 우회 배관을 이용하는 가스화 시스템
KR102564465B1 (ko) 폐마스크 가스화 시스템
KR102458064B1 (ko) 화재의 소화 및 예방을 위한 폐플라스틱 가스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의 소화 및 예방방법
KR102564464B1 (ko) 가스화기 내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가스화 시스템
CN105779011B (zh) 中小型生活垃圾分级快速热解气化制取燃气工艺
JP2008138889A (ja) 資源循環システム
Hajinezhad et al. Rrefuse-derived Fuels (RDF) Analysis for Energy Generation and its usage in various Sectors
Kabir et al. Operational Tools and Techniques for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CN1259637A (zh) 垃圾焚烧锅炉替代燃煤锅炉进行发电的方法
KR20030012929A (ko) 생활·산업폐기물로 가연성 연료(was) 생산과 소각연소발전·열 활용시스템 장치의 설비 및 그 시설 설치활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