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891B1 - 중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중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891B1
KR102456891B1 KR1020200016578A KR20200016578A KR102456891B1 KR 102456891 B1 KR102456891 B1 KR 102456891B1 KR 1020200016578 A KR1020200016578 A KR 1020200016578A KR 20200016578 A KR20200016578 A KR 20200016578A KR 102456891 B1 KR102456891 B1 KR 102456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regeneration
amount
air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954A (ko
Inventor
최두수
송관호
이재두
안치선
김덕민
라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89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291Process, graphic programming of a process, text and ima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09Process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압축 공기에서 습기를 흡착하는 재생 동작 및 흡착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동작을 교대로 수행하며, 흡착제가 포함된 제1, 2 탱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Air Dryer)에 대한 제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공급되는 상기 압축 공기의 공압유량, 노점온도 및 조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습기에 대한 흡착부하량을 추정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대한 설정된 스펙정보, 과거 재생/제습 운전정보, 계통압력 및 상기 흡착부하량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에 대한 최적 운전 시나리오가 출력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앙 제어 장치{Center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중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계통 내에 연결된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대한 최적 운전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중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장의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공장 내에 설치된 전력, 조명, 공조, 방재 및 방범 등의 설비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제어 시스템이 확대되고 있다, 즉, 설비들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중앙 제어 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중앙 제어 장치는 일반적으로 관제점이라고 하는 하나의 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등은 한 개의 설비 또는 장비에 여러 개 혹은 단일의 관제점을 설정하고, 해당 관제점의 값을 통해 설비에 대한 모니터링,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장에 설치되는 설비의 종류 및 형태별로 해당 관제점을 설정하고, 중앙 제어 장치에 등록하여 공장의 자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종래, 중앙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설비 또는 장비에 대한 에너지 절감 제어는 전문가가 관제점을 통해 소정 기간 동안 수집한 설비 또는 장비에 대한 운전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설비 또는 장비에 대한 제어 시나리오를 구성한다.
전문가가 구성한 제어 시나리어에 다라 설비 또는 장비를 운전 제어하고, 그 결과에 따라 에너지 절감 여부 또는 에너지 절감 정도를 전문가가 확인하게 된다.
설비 또는 장비에 대한 에너지 절감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전문가가 경험이나 역량에 의존하게 되어, 설비별 또는 제어 대상 영역별 에너지 절감 여부 또는 에너지 절감 정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으며, 에너지 절감 제어를 하기 위한 최적의 제어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비 또는 장비에 대한 최적의 제어 시나리오의 구성이 용이하고, 구성하는 소요되는 시간을 축소시킬 수 있는 중앙 제어 장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계통 내에 연결된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대한 최적 운전 시나리오를 제공하기 용이한 중앙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대한 에너지 절감 및 고효율 운전을 위한 최적 운전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는 중앙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 운전 시나리오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한 화면 구성을 디스플레이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는, 입력된 압축 공기에서 습기를 흡착하는 재생 동작 및 흡착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동작을 교대로 수행하며, 흡착제가 포함된 제1, 2 탱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Air Dryer)에 대한 제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공급되는 상기 압축 공기의 공압유량, 노점온도 및 조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습기에 대한 흡착부하량을 추정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대한 설정된 스펙정보, 과거 재생/제습 운전정보, 계통압력 및 상기 흡착부하량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에 대한 최적 운전 시나리오가 출력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압유량, 상기 노점온도 및 상기 조건 데이터를 설정된 인공신경망(Artig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제1, 2 탱크에 포함된 상기 흡착제에서 흡수할 수 있는 상기 흡착부하량을 추정하는 부하 추정모듈, 상기 스펙정보, 상기 과거 재생/제습 운전정보 및 상기 흡착부하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1, 2 탱크에 대한 최대 흡착량 및 흡착/재생성능율을 추정하는 설비성능 추정모듈 및 상기 최대 흡착량 및 상기 흡착/재생성능율을 고려한 상기 최적 운전 시나리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게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점온도는,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의 입구 및 출구측의 공기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조건 데이터는, 상기 제1, 2 탱크 각각의 분위별 온도 및 기상 건/습구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성능 추정모듈은, 상기 스펙정보에 포함된 상기 흡수제의 종류 및 적재량, 상기 과거 재생/제습 운전 정보에 포함된 운전시점 및 절제시점, 상기 흡착부하량을 기반으로 상기 최대 흡착량 및 상기 흡착/재생성능율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최대 흡착량은, 상기 제1, 2 탱크 각각에 대한 최대 흡착수분량이며, 상기 흡착/재생성능율은, 상기 최대 흡착량 대기 과거 누적 흡착 수분량을 이용한 흡착 효율 및 재생 효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최대 흡착량 및 상기 흡착/재생성능율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대한 재생시간, 절체 예상시간 및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최적 운전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는,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대한 에너지 절감 및 고효율 운전을 위한 최적 운전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는, 최적 운전 시나리오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한 화면 구성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 드라이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중앙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구성을 나타낸 화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 드라이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 드라이어 시스템은 2개의 탱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에어 드라이어(Air Dryer) 및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에어 드라이어는 인렛(Inlet)을 통하여 공압기로부터 압축된 압축 공기를 공급받고, 재생된 공기를 아웃렛(Outlet)을 통해 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는 인렛(Inlet) 및 아웃렛(Outlet)에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에어 드라이어는 제1, 2 탱크(2, 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에어 드라이너는 하나의 예시를 설명할 뿐이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2 탱크(2, 4)는 압축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제 또는 제습제가 적재될 수 있다.
상기 흡착제 또는 상기 제습제는 활성 알루미나(Activated Alumina), 실리카겔(Silicagel) 및 모레큘라 시브(Molecula Sieves)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활성 알루미나는 알루미나 수화물을 열처리해서 제조한 다공질의 알루미나 3수염으로서 잔류 수분함유량이 7%이며, 기계적 충격 및 마찰력에 높은 강도를 가지며, 특히 상대습도가 높은 다습한 공기 중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특성이 강하여 압축공기를 이용한 에어 드라이어용으로 가장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겔은 세공분포가 균일하고 다공질이며 수분에 대한 흡착력이 매추 크나 흡수성이 약간 미약하고 흡수시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파손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레큘라 시브는 수분함량이 적은 공기 속에서도 일정한 흡수율을 유지하므로 일반적으로 미량의 수분을 포함한 공기의 초전제로 사용하며 제품의 특성에 따라 공기용과 가스용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공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인렛(Inlet)을 통해 관로를 따라 흐르면서 제1 유입선택밸브(10) 및 제2 유입선택밸브(12)의 작동에 따라 어느 일측으로 공기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제1, 2 탱크(2, 4)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관로는 인렛(Inlet)에서 제1, 2 탱크(2, 4)까지 이어지는 관로를 지칭할 수 있다.
제1, 2 탱크(2, 4)의 상측에는 또 다른 관로(14)를 따라 흐르면서 아웃렛(Outler)을 통해 계통으로 공급될 수 있는 연결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관로(14)는 제1, 2 탱크(2, 4)에서 아웃렛(Outler)을 통해 계통으로 이어지는 관로를 지칭한다.
관로(14)에는 제1 유출선택밸브(18)와 제2 유출선택밸브(20)가 설치되어 어느 일측으로의 공기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2 유출선택밸브(18, 20) 사이에는 히터(22)로 연결되는 관로(24)가 설치되어 제습된 공기의 일부를 히터(22)로 보내어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히터(2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구조나 그와 유사한 구조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히터(22)에서 가열된 건조공기는 관로(26)를 따라 제1, 2 탱크(2, 4) 쪽으로 공급될 수 있는데, 이 관로(26)에는 제1 재생선택밸브(28) 및 제2 재생선택밸브(30)가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탱크쪽으로 가열된 건조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인렛(Inlet)에 연결된 관로에는 제1, 2 탱크(2, 4)에서 재생작용이 진행되면서 나오는 기체를 대기로 배출하기 위한 관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관로에는 제1 유입선택밸브(10) 측으로 배출밸브(34)가 설치되고, 제2 유입선택밸브(12) 측으로 또 다른 배출밸브(38)가 설치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100)는 에어 드라이어에 대한 제어 화면을 출력하며,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공압유량, 노점온도 및 조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습기에 대한 흡착부하량을 추정하고,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대한 설정된 스펙정보, 과거 재생/제습 운전정보, 계통압력 및 상기 흡착부하량을 기반으로 에어 드라이어에 대한 최적 운전 시나리오가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제어 장치(100)는 에어 드라이어를 제어하여, 에어 드라이어에서 재생 동작 및 제습 동작이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제어 장치(100)는 제1, 2 탱크(2, 4) 중 제1 탱크(2)에서 제습동작이 진행되면 제2 탱크(4)에서 재생 동작을 진행시킬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중앙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1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계통으로 입력된 압축 공기에서 습기를 흡착하는 재생 동작 및 흡착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동작을 교대로 수행하며, 흡착제가 포함된 제1, 2 탱크(2, 4, 도 1에서 언급)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에 대한 제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화면은 제어부(240)에서 제공한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최적 운전을 위한 최적 운전 시나리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적 운전 시나리오는 운전 가이드 UI(User Interface) 화면이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에 대한 재생시간, 절체 예상시간 및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적 운전 시나리오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230)는 부하 추정모듈(242), 설비성능 추정모듈(244) 및 제어 모듈(246)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 추정모듈(242)는 인렛(Inlet)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공압유량, 제1, 2 탱크(2, 4) 각각의 노점 온도 및 조건 데이터를 설정된 인공신경망(Artig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제1, 2 탱크(2, 4)에 포함된 흡착제에서 흡수할 수 있는 흡착 부하량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점 온도는 에어 드라이어의 입구 및 출구측의 공기 온도일 수 있으며, 상기 조건 데이터는 제1, 2 탱크(2, 4) 각각의 분위별 온도 및 기상 건/습구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 추정모듈(242)은 계통에 연결된 다른 센서들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흡착 부하량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설비성능 추정모듈(244)은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대한 대한 설정된 스펙정보, 과거 재생/제습 운전정보, 계통압력 및 상기 흡착부하량을 기반으로 제1, 2 탱크(2, 4)에 대한 최대 흡착량 및 흡착/재생성능율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펙정보는 흡수제의 종류 및 적재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정격 소비전력 및 제1, 2 탱크(2, 4) 각각에 대한 제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상기 과거 재생/제습 운전정보에는 재생 및 제습에 대한 운전 시점(시간) 및 절체 시점(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재생 및 제습 동작시 에어 드라이어의 동작에 대한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대 흡착량은 제1, 2 탱크(2, 4) 각각에 대한 최대 흡착수분량을 나타내며, 상기 흡착/재생성능율은 제1, 2 탱크(2, 4) 각각에 적재된 흡착제의 최대 흡착 수분량 대비 과거 누적 흡착 수분량을 이용한 흡착 효율 및 재생 효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46)은 상기 최대 흡착량 및 상기 흡착/재생성능율 기반으로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대한 재생시간, 절체 예상시간 및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최적 운전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은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구성을 나타낸 화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은 제어부(23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되는 운전 제어 시나리오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전 계통의 통합적인 에너지 절감량 지표를 나타내는 에너지 예상 절감량(ⓛ), 제1, 2 에어 드라이어의 평균 노점온도(②), 및 제1, 2 에어 드라이어에 대한 흡착/재생 현황(③)을 나타낸다.
여기서, 흡착/재생 형황(③)에서 흡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을 나타낸 것으로 표기상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먼저, 에너지 예상 절감량(ⓛ)은 계통(Baseline) 퍼지량 및 현재 운전 퍼지량을 나타내며, 평균 노점온도(②)은 계통의 현재 평균 노점온도 및 예상 평균 노점온도를 나타냅니다.
여기서, 상기 예상 평균 노점온도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된 최적 운전 시나리오에 따라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노점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흡착/재생 형황(③)에는 제1, 2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포함된 제1, 2 탱크(2, 4) 별로 흡착(제습)/재생 운전에 따른 수분 흡착/탈착량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에어 드라이어는 드라이어 1호기로 명칭이 정해지며, 노점온도, 퍼지량 및 흡착제(제습제)의 적재량을 나타내며, 현재 제1, 2 탱크(2, 4)의 동작 즉 흡착(제습)동작 및 재생(히팅 또는 쿨링)을 나타냅니다.
또한, a는 제1, 2 탱크(2, 4) 각각의 탱크 부위별(상부 및 하부) 온도를 나타내며, b는 탱크별 흡착(제습) 수분 성능량을 나타내고, c는 탱크별 현재 수분량을 나타냅니다.
도 2은 제1, 2 드라이어 중 제1 드라이어(드라이어 1호기)에 대한 과거 운전 데이터를 분석한 과거 운전 데이터 분석(④)을 나타낸다.
여기서, 분석 결과는 운전 사이클 분석 및 흡착부하 분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먼저, 운전 사이클 분석에는 제1, 2 탱크(2, 4)의 제습량, 건구온도 및 탱크 노점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흡착부하 분석에는 과거 및 미래의 흡착부하, 에어 드라이어 노점온도 및 공압유량에 대한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드라이어별 운전 가이드로써, 최적 운전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즉, 도 5에는 제1, 2 에어 드라이어 각각의 현재 운전 상태 및 가이드 운전, 즉 최적 운전을 위한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가이드 운전에는 제1, 2 에어 드라이어별로 절체 예상시간, 흡착 효율, 재생효율, 최대흡착능력, 히팅시간 및 쿨링시간을 포함하는 재생시간 및 업데이트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 내지 도 5에는 에어 드라이어별로 최적 운전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과거, 현재 및 미래의 운전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1, 2 탱크(2, 4)에 대한 성능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입력된 압축 공기에서 습기를 흡착하는 재생 동작 및 흡착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동작을 교대로 수행하며, 흡착제가 포함된 제1, 2 탱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Air Dryer)에 대한 제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공급되는 상기 압축 공기의 공압유량, 노점온도 및 조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습기에 대한 흡착부하량을 추정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대한 설정된 스펙정보, 과거 재생/제습 운전정보, 계통압력 및 상기 흡착부하량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에 대한 최적 운전 시나리오가 출력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압유량, 상기 노점온도 및 상기 조건 데이터를 설정된 인공신경망(Artig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제1, 2 탱크에 포함된 상기 흡착제에서 흡수할 수 있는 상기 흡착부하량을 추정하는 부하 추정모듈;
    상기 스펙정보, 상기 과거 재생/제습 운전정보 및 상기 흡착부하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1, 2 탱크에 대한 최대 흡착량 및 흡착/재생성능율을 추정하는 설비성능 추정모듈; 및
    상기 최대 흡착량 및 상기 흡착/재생성능율을 고려한 상기 최적 운전 시나리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게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중앙 제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점온도는,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의 입구 및 출구측의 공기 온도인,
    중앙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데이터는,
    상기 제1, 2 탱크 각각의 분위별 온도 및 기상 건/습구 온도를 포함하는,
    중앙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성능 추정모듈은,
    상기 스펙정보에 포함된 상기 흡착제의 종류 및 적재량, 상기 과거 재생/제습 운전 정보에 포함된 운전시점 및 절제시점, 상기 흡착부하량을 기반으로 상기 최대 흡착량 및 상기 흡착/재생성능율을 추정하는,
    중앙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흡착량은,
    상기 제1, 2 탱크 각각에 대한 최대 흡착 수분량이며,
    상기 흡착/재생성능율은,
    상기 최대 흡착 수분량 대비 과거 누적 흡착 수분량을 이용한 흡착 효율 및 재생 효율을 포함하는,
    중앙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최대 흡착량 및 상기 흡착/재생성능율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에어 드라이어 각각에 대한 재생시간, 절체 예상시간 및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최적 운전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중앙 제어 장치.
KR1020200016578A 2020-02-11 2020-02-11 중앙 제어 장치 KR102456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578A KR102456891B1 (ko) 2020-02-11 2020-02-11 중앙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578A KR102456891B1 (ko) 2020-02-11 2020-02-11 중앙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54A KR20210101954A (ko) 2021-08-19
KR102456891B1 true KR102456891B1 (ko) 2022-10-21

Family

ID=7749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578A KR102456891B1 (ko) 2020-02-11 2020-02-11 중앙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8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3859B2 (ja) * 2002-07-19 2006-06-07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空調設備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804B1 (ko) * 2008-08-05 2011-04-07 주식회사 금성하이텍 에어 건조 장치
KR102489912B1 (ko) * 2016-07-25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기기 및 그 제습량 산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3859B2 (ja) * 2002-07-19 2006-06-07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空調設備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54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156B1 (ko) 유량 의존 스위칭 방식의 스마트 제습장치 및 제습방법
Hassan et al. Air separation by pressure swing adsorption on a carbon molecular sieve
JP5377527B2 (ja) 吸湿呼吸器
KR100701218B1 (ko)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재생/제습공정 절환장치
US10589220B1 (en) Pressure swing adsorbtion air dryer
KR101954772B1 (ko)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시스템
JP5943719B2 (ja) 電気機械用ガス乾燥器
KR20180022621A (ko) 블로워를 이용한 넌퍼지 흡착식 제습장치
GB2511725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water from compressed air
KR101817154B1 (ko)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046739A (ko) 전기화학 수소 압축기들을 갖는 압력 스윙 흡착 정화기들의 작동 방법
KR102456891B1 (ko) 중앙 제어 장치
JP4867786B2 (ja) 低露点圧縮空気製造装置
JP2012166128A (ja) 除湿装置
JP2009018970A (ja) 酸素濃縮装置
CN216136959U (zh) 用于从待处理气体混合物中吸附气体的装置
KR20150082854A (ko) 흡착식 압축 공기 건조 시스템 및 방법
DK2626125T3 (en) A device for drying and filtration of a gas
EP2781249A1 (en) Carbon dioxide capture equipment
KR100678495B1 (ko) 변압기 설치 및 점검 작업용 에어드라이어장치
JP4351174B2 (ja) 圧縮気体の除湿における継続供給方法及び圧縮気体の除湿装置
KR100753190B1 (ko)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재생용 방향절환 밸브
JP4110782B2 (ja) オゾン発生装置
JPH0143569B2 (ko)
KR20230108047A (ko) 수분량 의존 스위칭 방식의 제습장치 및 제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