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807B1 -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807B1
KR102456807B1 KR1020200169786A KR20200169786A KR102456807B1 KR 102456807 B1 KR102456807 B1 KR 102456807B1 KR 1020200169786 A KR1020200169786 A KR 1020200169786A KR 20200169786 A KR20200169786 A KR 20200169786A KR 102456807 B1 KR102456807 B1 KR 10245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retailer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wholes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560A (ko
Inventor
정영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라이프사이언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라이프사이언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라이프사이언스랩
Priority to KR102020016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8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매업자 단말기가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서버가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매업자 상품과 관련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품 구매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선택된 정보에 포함된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통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PRODUCT SALES SYSTEM AND METHOD TRACKING ENTIRE DISTRIBUTION HISTORY OF SEAFOOD}
본 발명은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복잡한 수산물 식자재 유통과정으로 인한 과도한 유통비용의 발생으로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국내산 수산물의 경우 산지 위판장에서 최종 소비자까지 수산물 공급단계가 복잡하여 어종별로 조금씩 다른 유통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유통 구조는 고비용 저효율을 초래하며, 특히 중간단계 유통업자가 고마진의 유통비용을 자의적으로 설정할 경우 식자재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해양수산부가 발간한 2018년도 수산물 유통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등어, 오징어, 갈치 등 시중에서 많이 팔리는 수산물의 소비자가격 절반이 유통비로 나타났다.
한편, 복잡한 유통구조는 소비자가 상품의 유통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없게 한다. 구체적으로, 유통구조가 복잡할 경우 상품의 판매 주체가 복수회 변경되며, 최종 판매자가 전주기 유통 히스토리를 제공하지 않는 한 최종 소비자는 상품의 유통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수산물의 유통 구조를 단순화 하고, 소비자가 상품의 유통 히스토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품의 판매 주체가 변경되더라도 판매되는 상품을 기준으로 유통 히스토리 추적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매업자 단말기가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서버가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매업자 상품과 관련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품 구매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선택된 정보에 포함된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통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품 구매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품 구매이력 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품 이미지, 상품명, 상품 가격 정보, 상품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받은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기저장된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검색된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된 가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재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재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기 입력된 소매업자 상품정보 및 상기 검색된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 가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 중 복수 개를 선택받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복수 개를 선택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 중 복수개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는 소매업자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유통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는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품 구매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된 정보에 포함된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매업자는 최초 판매자로부터 쉽게 상품을 구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품은 최초 판매자에서 소매업자를 거쳐 곧바로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되며, 유통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매업자가 상품 등록 시 도매업자가 입력한 상품 정보가 함께 저장되기 때문에 소매업자는 별도의 노력 없이 상품의 유통 히스토리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최종 판매자로부터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에도 전주기 판매자가 입력한 정보를 모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매업자 단말기, 소매업자 단말기 및 소비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매업자가 도매업자 상품을 등록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소매업자가 소매업자 상품을 등록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소비자가 상품 정보를 확인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소비자에게 유통 히스토리를 QR 코드로 제공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도매업자'란 소매업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상인을 의미한다. 도매업자가 판매하는 상품은 '도매업자 상품'이라하며, '도매업자 상품 정보'란 도매업자 제품명, 상품의 종류, 구성, 수량, 중량, 가격, 제품상태 원산지, 출고지, 출고지 전화번호, 출고지 주소,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매업자 상품 정보'는 도매업자 상품에 관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품 히스토리 정보'란 상품의 유통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상품 히스토리 정보는 식품위생법에 의한 한글표시사항, 수입신고필증, 수매확인서, 원양어획물 양륙량 보고서, 입고확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품 히스토리 정보는 상품의 유통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매업자 단말기'란 도매업자가 서버에 도매업자 상품을 등록하고, 서버를 통해 도매업자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서버와 연동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도매업자 단말기에는 서버와 연동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매업자 단말기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매업자'란 도매업자로부터 상품을 구매한 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상인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매업자 단말기'란 소매업자가 서버를 통해 상품을 구입하고, 서버에 소매업자 상품을 등록하고, 서버를 통해 소매업자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서버와 연동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소매업자 단말기에는 서버와 연동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소매업자 단말기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비자'란 '소매업자'로부터 상품을 구매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비자 단말기'란 소비자가 서버를 통해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서버와 연동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소비자 단말기에는 서버와 연동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소비자 단말기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매업자 단말기, 소매업자 단말기 및 소비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매업자는 도매업자 단말기(10)를 통해 소매업자에게 상품을 판매한다. 소매업자는 소매업자 단말기(20)를 통해 도매업자로부터 상품을 구매한 후, 소비자에게 판매한다.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기(30)를 통해 소매업자로부터 상품을 구매한다. 상술한 단말기들은 서버(4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상품 판매 및 구매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소매업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 또는 과정을 “소매업자 단말기가 정보를 출력한다”와 같이, “소매업자 단말기”를 주체로 하여 표현하도록 한다. 이때, 소매업자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어 하에 있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하에”있다는 것은, 소매업자 단말기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또는 서버와 통신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이에 기반하여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하에”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소매업자 단말기의 제어부가,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또는 서버(40)에서 제공되는 명령어, 프로그램 또는 기능에 기반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할 있다. 즉, 소매업자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또는 서버의 제어 또는, 이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일련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매업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 또는 과정을 “도매업자 단말기가 정보를 출력한다”와 같이, “도매업자 단말기”를 주체로 하여 표현하도록 한다. 이때, 도매업자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어 하에 있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하에”있다는 것은, 도매업자 단말기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또는 서버와 통신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이에 기반하여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하에”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도매업자 단말기의 제어부가,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또는 서버(40)에서 제공되는 명령어, 프로그램 또는 기능에 기반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할 있다. 즉, 도매업자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또는 서버의 제어 또는, 이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일련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단말기 및 서버 각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단말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단말기(100)란 도매업자 단말기(10), 소매업자 단말기(20) 및 소비자 단말기(30)를 포함한다. 단말기(100)는 도매업자 단말기(10), 소매업자 단말기(20) 및 소비자 단말기(30) 중 어느 하나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도매업자 단말기(10), 소매업자 단말기(20) 및 소비자 단말기(30) 중 어느 하나로 활용되던 단말기는 도매업자 단말기(10), 소매업자 단말기(20) 및 소비자 단말기(30) 중 다른 하나로 전환될 수 있다. 단말기(100)를 도매업자 단말기(10), 소매업자 단말기(20) 및 소비자 단말기(30)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기준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모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데스트탑, 노트북, 태블릿 PC, 휴대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서버(4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시각,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에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서버(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부(210)는, 단말기(100)와 서버(2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서버(2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유선 통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서버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서버(2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2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에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3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서버(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말기(100) 및 서버(200)에 의해 구현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매업자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서버(40)에 개인정보를 입력한 후 도매업자 등록을 할 수 있다. 도매업자로 등록된 후, 사용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 입력을 통해 서버(40)에 로그인 할 수 있다.
도매업자로 등록된 아이디(이하, 도매업자 계정)를 통해 서버(40)에 로그인할 경우, 서버(40)는 도매업자 단말기(10)에 도매업자 전용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한다. 도매업자는 도매업자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매업자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매업자 단말기는 도매업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단말기를 의미한다. 도매업자 전용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또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매업자 전용 인터페이스는 도매업자 상품 등록 메뉴를 포함한다. 상기 메뉴를 통해 도매업자는 도매업자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도매업자가 도매업자 단말기(10)를 통해 도매업자 상품 등록 메뉴를 선택할 경우, 도매업자 단말기(10)에는 필수 입력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매업자는 상기 필수 입력 항목들에 해당하는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필수 입력 항목은 제품명, 상품의 종류, 상품의 가격, 구성, 수량, 중량, 가격, 제품상태 원산지, 출고지, 출고지 전화번호, 출고지 주소,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매업자 상품 정보는 이미지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매업자는 도매업자 단말기(10)에 기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매업자는 상품의 사진, 상품 수입시 생성된 식품위생법에 의한 한글표시사항, 수입신고필증, 수매확인서, 원양어획물 양륙량 보고서, 입고확인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다.
도매업자 단말기(10)는 도매업자로부터 입력 받은 텍스트 및 기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서버(40)로 전송한다. 서버(40)는 저장부(220)에 수신한 텍스트 및 이미지 파일을 도매업자 상품 정보로 저장한다.
도매업자 상품 등록이 완료되면, 소매업자 단말기를 통해 등록된 도매업자 상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매업자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서버(40)에 개인정보를 입력한 후 소매업자 등록을 할 수 있다. 소매업자로 등록된 후, 사용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 입력을 통해 서버(40)에 로그인 할 수 있다.
소매업자로 등록된 아이디(이하, 소매업자 계정)를 통해 서버(40)에 로그인할 경우, 서버(40)는 소매업자 단말기(10)에 소매업자 전용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한다. 소매업자는 소매업자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매업자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매업자 단말기는 소매업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단말기를 의미한다. 소매업자 전용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또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소매업자 전용 인터페이스는 도매업자 상품 구매, 소매업자 상품 등록, 구매이력 확인 메뉴를 포함한다. 상기 메뉴를 통해 소매업자는 도매업자 상품을 구매하고, 소매업자 상품을 등록할 수 있으며, 소매업자의 구매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소매업자가 소매업자 단말기(20)를 통해 도매업자 상품 구매 메뉴를 선택할 경우, 구매 가능한 도매업자 상품 리스트가 소매업자 단말기(2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매업자 상품 리스트와 함께 도매업자 상품의 간략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매업자 단말기(20)에는 구매가능한 상품의 사진, 상품명, 상품의 가격, 판매자명, 중량, 수량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소매업자는 구매가능한 도매업자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매업자가 소매업자 단말기(20)를 통해, 특정 도매업자 상품을 선택하면, 소매업자 단말기(20)에는 구체적인 도매업자 상품 정보가 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소매업자 단말기(20)는 도매업자가 도매업자 상품 등록 시에 업로드한 상품 수입시 생성된 식품위생법에 의한 한글표시사항, 수입신고필증, 수매확인서, 원양어획물 양륙량 보고서, 입고확인서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뿐만 아니라, 소매업자 단말기(20)는 도매업자가 도매업자 상품 등록 시에 입력한 텍스트를 표시한다.
소매업자는 상기 표시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참고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소매업자는 도매업자 상품 구매 후 소매업자 상품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40)는 소매업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마다 상품 구매이력 정보를 상기 소매업자 계정과 매칭시켜 저장한다. 소매업자는 소매업자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구매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소매업자가 소매업자 단말기(20)를 통해 소매업자 상품 등록 메뉴를 선택할 경우, 소매업자 단말기(20)에는 필수 입력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소매업자는 상기 필수 입력 항목들에 해당하는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입력한다.
서버는, 소매업자 단말기(20)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정보를, 소매업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필수 입력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필수 입력 항목은 제품명, 상품의 종류, 구성, 수량, 중량, 상품의 가격, 제품상태 원산지, 출고지, 출고지 전화번호, 출고지 주소,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로부터 도매업자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도매업자명, 소매업자가 구매한 상품명, 소매업자가 구매한 상품의 상품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매업자 상품 정보는 이미지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매업자는 소매업자 단말기(20)에 기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소매업자는 상품의 사진, 상품 포장시 생성된 식품위생법에 의한 한글표시사항, 수입신고필증, 수매확인서, 원양어획물 양륙량 보고서, 입고확인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다.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로부터 입력 받은 텍스트 및 기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서버(40)로 전송한다. 서버(40)는 저장부(220)에 수신한 텍스트 및 이미지 파일을 소매업자 상품 정보로 저장한다.
서버(40)는 소매업자 단말기가 입력받은 소매업자 상품 정보 중 적어도 일부와 도매업자 정보에 기반하여 저장부(220)에 저장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서버(40)는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의 계정으로 구매된 상품의 구매 이력 정보를 검색한다.
서버(40)는 상기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소매업자 단말기(20)로 전송하고, 소매업자 단말기(20)는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이력 정보를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소매업자 단말기(20)는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이력 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품 이미지, 상품명, 상품 가격 정보, 상품 히스토리 정보(또는 히스토리 정보에 접근 가능한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서버(40)는, 소매업자 단말기(20)에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이력 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품 이미지, 상품명, 상품 가격 정보, 상품 히스토리 정보(또는 히스토리 정보에 접근 가능한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서버(40)에서 전송된정보에 기반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소매업자가 소매업자 상품과 관련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간략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로부터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고, 소매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함께 소매업자가 선택한 정보를 서버(40)로 전송한다.
한편,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가 선택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필수 입력 항목 중 일부 항목을 자동입력한다. 예를 들어,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가 선택한 도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된 상품명 및 원산지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필수 입력 항목에 자동입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소매업자가 소매업자 상품 등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서버(40)는 소매업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상기 선택된 정보에 포함된 히스토리 정보(또는 히스토리 정보에 접근 가능한 링크)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매업자가 소매업자 상품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도매업자가 입력한 정보를 함께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소매업자 상품 정보는 관련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소비자는 상품 정보 확인 시 도매업자가 입력한 정보 및 소매업자가 입력한 정보를 함께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소매업자 상품 등록 시 다른 소매업자 상품과 가격 비교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서버(40)는 소매업자 상품 등록 시 소매업자 상품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소매업자 상품과 유사한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검색한다. 이후, 서버(40)는 검색된 정보를 소매업자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서버(40)는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된 상품명과 동일한 상품명을 포함하는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검색한 후, 소매업자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서 가격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소매업자 단말기(20)로부터 상품의 가격을 재입력 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로부터 상품의 가격을 입력받기 전에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된 가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소매업자는 다른 소매업자 상품의 가격을 확인한 후 상품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소매업자에게 추천가격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소매업자 상품 정보 및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가격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서, 서버(40)는, 소매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소매업자 상품 정보 및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가격을 산출하고, 산출된 추천가격 정보를 소매업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추천가격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소매업자 단말기(20) 또는 서버는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된 원산지, 상품의 보관 상태와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된 원산지, 상품의 보관 상태를 비교한 후 가격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소매업자 단말기(20) 또는 서버는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된 원산지가 '국산'이고, 상품의 보관 상태가 '냉장'인 경우, '수입산' 및 '냉동'인 상품의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추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소매업자의 가격 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하나의 소매업자 상품이 복수의 구성품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구성품 각각의 유통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로부터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이력 정보 중 복수 개를 선택받고, 소매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함께 소매업자가 선택한 복수의 정보를 서버(40)로 전송한다.
서버(40)는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복수의 정보 각각에 포함된 히스토리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한편,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이력 정보 중 복수 개를 선택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상기 소매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서버(40)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40)는 소매업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소매업자 단말기(20)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이력 정보 중 복수 개를 선택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상기 안내 메시지를 소매업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상품명이 '냉동 해물 믹스'인 경우, '냉동 해물 믹스'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구매 이력 정보를 선택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후,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로부터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이력 정보 중 복수 개를 선택받고, 소매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함께 소매업자가 선택한 복수의 정보를 서버(4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매업자가 복수의 도매업자로부터 상품을 구매한 후 하나의 상품으로 판매하는 경우에도 소비자가 상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각각의 유통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매업자가 도매업자 상품을 등록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소매업자가 소매업자 상품을 등록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소비자가 상품 정보를 확인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소비자에게 유통 히스토리를 QR 코드로 제공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매업자는 도매업자 상품 등록을 위해, 전용 프로그램에서 기 등록된 도매업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도매업자 상품 정보 입력을 시작(S110)한다.
도매업자 단말기(10)는 도매업자로부터 도매업자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때, 도매업자 단말기(10)는 수입신고필증 및 상품의 검증자료를 입력(S120)받는다.
상기 수입신고필증 및 상품의 검증자료는 이미지 파일로 대체될 수 있다. 도매업자 단말기(10)는 수입신고필증 및 상품의 검증자료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상품 등록을 할 수 없도록 한다.
이후, 도매업자 단말기(10)는 도매업자로부터 입력받은 텍스트와 함께 수입신고필증 및 상품의 검증자료를 서버(40)로 업로드(S130)한다. 이를 통해, 도매업자 단말기(10)는 도매업자 상품을 서버(40)에 업로드한다. 서버(40)는 업로드된 도매업자 상품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소매업자는 전용 프로그램에서 기 등록된 소매업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도매업자 상품을 구매(S210)한다.
이후, 소매업자 상품 등록을 위해, 소매업자 상품 정보 입력을 시작(S220)한다. 이때,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로부터 제품명, 상품의 종류, 구성, 수량, 중량, 가격, 제품상태 원산지, 출고지, 출고지 전화번호, 출고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다.
추가적으로,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소매업자로부터 도매업자 정보를 입력(S230) 받을 수 있다.
소매업자 단말기(20)에서 입력된 정보는, 서버(40)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는 소매업자 상품 정보 및 도매업자 정보에 기반하여 기저장된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데이터 링크를 소매업자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소매업자 단말기(20)는 수신된 링크와 함께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업로드(S240)한다. 소매업자 단말기(20)에서 업로드된 정보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소비자는 상품 구매를 위해, 전용 프로그램에서 기 등록된 소비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구매할 상품을 검색한다.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30)를 통해 특정 상품을 선택하여 상품 히스토리 확인 요청(S310)을 할 수 있다.
서버(40) 기 저장된 소매업자 상품 정보 및 이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소비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소비자 단말기(30)는 수신된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히스토리 정보를 표시(S320 및 S330)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상품의 판매 주체가 변경되더라도, 상품의 유통 히스토리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품의 유통 히스토리는 QR 코드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소비자는 전용 프로그램에서 기 등록된 소비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소비자 구매내역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유통 히스토리 확인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소비자 단말기(30)는 해당 거래번호를 서버(40)로 전송한다. 서버(40)는 수신된 거래번호에 매칭되는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검색한 후, 소매업자 상품 정보 및 이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하나의 웹페이지로 구성한다. 이후, 서버(40)는 웹페이지 링크를 QR 코드로 형성한 후 소비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소비자 단말기(30)는 QR 코드를 수신한 후 이를 표시한다. 소비자는 상기 표시된 QR코드를 스캔함으로써, 구매 상품에 대한 유통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매업자는 최초 판매자로부터 쉽게 상품을 구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품은 최초 판매자에서 소매업자를 거쳐 곧바로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되며, 유통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매업자가 상품 등록 시 도매업자가 입력한 상품 정보가 함께 저장되기 때문에 소매업자는 별도의 노력 없이 상품의 유통 히스토리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최종 판매자로부터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에도 전주기 판매자가 입력한 정보를 모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소매업자 단말기로부터 소매업자 상품에 대한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서버가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매업자 상품과 관련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에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을 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 중 적어도 일부 항목에 대해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선택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되고, 상기 소매업자 상품의 유통 이력을 포함하는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유통 히스토리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유통 히스토리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도매업자 상품 정보로부터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함께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통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된 상품 이미지, 상품명, 상품 가격 정보, 상기 상품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받은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기 저장된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에 상기 검색된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된 가격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기 검색된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된 가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로부터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재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통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로부터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재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에 기 입력된 소매업자 상품정보 및 상기 검색된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 가격을 표시되도록, 상기 기 입력된 소매업자 상품정보 및 상기 검색된 다른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전송하는단계를 포함하는 유통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품 구매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선택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에 복수 개를 선택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 중 복수개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기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방법.
  7. 입력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는 소매업자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유통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는,
    소매업자 상품에 대한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을 받고,
    상기 선택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 중 적어도 일부 항목에 대해 입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되고, 상기 소매업자 상품의 유통 이력을 포함하는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유통 히스토리 확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유통 히스토리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도매업자 상품 정보로부터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함께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는,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된 상품 이미지, 상품명, 상품 가격 정보, 상기 상품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9. 소매업자 단말기가 소매업자 상품에 대한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서버가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매업자 상품과 관련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을 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 중 적어도 일부 항목에 대해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선택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되고, 상기 소매업자 상품의 유통 이력을 포함하는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유통 히스토리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유통 히스토리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도매업자 상품 정보로부터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함께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히스토리 정보는,
    식품위생법에 의한 한글표시사항, 수입신고필증, 수매확인서, 원양어획물 양륙량 보고서, 입고확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방법.
  10. 입력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는 소매업자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매업자 단말기는,
    소매업자 상품에 대한 소매업자 상품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검색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을 받고,
    상기 선택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 중 적어도 일부 항목에 대해 입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된 도매업자 상품 정보에 포함되고, 상기 소매업자 상품의 유통 이력을 포함하는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유통 히스토리 확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유통 히스토리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 및 상기 도매업자 상품 정보로부터 상기 소매업자 상품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상품 히스토리 정보를 함께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상품 히스토리 정보는,
    식품위생법에 의한 한글표시사항, 수입신고필증, 수매확인서, 원양어획물 양륙량 보고서, 입고확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KR1020200169786A 2020-12-07 2020-12-07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245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86A KR102456807B1 (ko) 2020-12-07 2020-12-07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86A KR102456807B1 (ko) 2020-12-07 2020-12-07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60A KR20220080560A (ko) 2022-06-14
KR102456807B1 true KR102456807B1 (ko) 2022-10-21

Family

ID=8198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786A KR102456807B1 (ko) 2020-12-07 2020-12-07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8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378A (ko) * 2015-08-06 2017-02-15 주식회사 메디비앙 구매데이터 기반 구매자와 판매자 매칭시스템 및 방법
KR101753481B1 (ko) * 2015-09-30 2017-07-04 이승욱 오픈 마켓별 가격변동 자동 모니터링 및 변경 시스템
KR20190081935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와이즈패션 주문 관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주문 시스템
KR102181941B1 (ko) * 2018-05-03 2020-11-23 공병주 상품 안전성 이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60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0552B2 (en) Implementing method of mobile group-buying system
KR101991308B1 (ko) 오픈마켓 창업 지원 방법 및 시스템
US9953286B2 (en) Shipping preferences popul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WO201318810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digital interface for displaying retail search results
EP2955685A1 (en) Interactive vending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goods in both actual exhibit spot and online shop
KR102456807B1 (ko) 수산물 전주기 이력 추적이 가능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3534A (ko) 큐레이션 콘텐츠 마케팅을 통한 리셀링 플랫폼 시스템
US11651329B2 (en) Machine readable technologies for the smart shipping of multiple products
KR10184033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주문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11880880B1 (en) Facilitating purchase of items defined by user-created item lists
US20130146654A1 (en) Fireworks inform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800329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sensing grocery items and generating a data list of the grocery items
KR20160090479A (ko) 상품 정보 제공 장치, 상품 정보 제공 서버,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90123545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102045839B1 (ko) 오픈마켓 창업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1831155B1 (ko) 오픈마켓 창업 지원 방법 및 시스템
JP2018524753A (ja) 関連アイテムを識別しウェブページに提示するための統合プラグイン
KR20220086100A (ko) 수입수산물 수입 가격 및 수입량 공시 시스템 및 방법
AU2012101974A4 (en) A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Products
US20190205941A1 (en) Post-purchase usage analytics to prompt reselling of items in an online marketplace
US201203169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earching and purchasing of multiple products simultaneously
CN117496630B (zh) 物品回收方法、装置、自助售卖终端、设备及介质
RU2629425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аудио- и видеоинформации для интернет-заказа товара
TW201734910A (zh) 透過掃描二維條碼連上雲端伺服器以控管商品期限之系統及其方法
TW202331615A (zh) 整合社群平台的商品經銷方法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