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016B1 - Flowerpot for adjusting the height - Google Patents

Flowerpot for adjusting the h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016B1
KR102456016B1 KR1020190166149A KR20190166149A KR102456016B1 KR 102456016 B1 KR102456016 B1 KR 102456016B1 KR 1020190166149 A KR1020190166149 A KR 1020190166149A KR 20190166149 A KR20190166149 A KR 20190166149A KR 102456016 B1 KR102456016 B1 KR 102456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flowerpot
adjustable
various embodiments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4954A (en
Inventor
김재순
유은하
정순진
장혜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6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016B1/en
Publication of KR2021007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9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0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은 높이 조절 화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높이 조절 화분은 신체 활동에 제약이 있는 고령자 또는 장애인의 원예 활동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신체적 여건에 따라 화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 화분은 배수공이 형성된 바닥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화분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화분본체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Various embodiments relate to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nd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flowerpot according to a user's physical condition so that the elderly or the disabled can easily access gardening activities.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includes a flowerpot body includ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wall having drainage holes; a height adjustment uni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ot body and supporting the pot body and varying the height of the pot body; and a fram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and supporting the height adjusting unit. Various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Description

높이 조절 화분{FLOWERPOT FOR ADJUSTING THE HEIGHT}Height-adjustable pots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높이 조절 화분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relate to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일반적으로 식물이 키울 수 있는 용기가 되는 화분(flower pot)은 단독으로 지면이나 계단으로 형성된 설치대 등에 놓여지고 화분 내에 기호의 식물을 심어 육성하는 원예 또는 관상을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In general, a flower pot, which becomes a container for plants to grow, is placed alone on the ground or on an installation table formed by stairs, and can be used for horticultural or ornamental purposes by planting and nurturing plants of interest in the pot.

최근 노령 인구가 증가하면서 신체 기능이 떨어지는 고령자의 정원 및 원예활동을 위한 도구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고령자는 허리를 숙이는 등의 신체 활동이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지면에서 정원 및 텃밭활동이 어려우므로 고령자 또는 신체 활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원예 활동에 대한 사용 편이성을 증진할 수 있는 화분 등의 원예 도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Recently,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the demand for tools for gardening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reduced physical function is increasing. The development of gardening tools, such as flowerpots,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gardening activities for the elderly or the disabled with physical difficulties, is required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to perform gardening and gardening activities on the ground because physical activities such as bending down are unnatural. have.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몸이 불편한 고령자 또는 장애인 등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provide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in which a user, such as an elderly person with a physical disability 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은 휠체어 또는 이동보조도구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손을 뻗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원예활동이 가능한 모양 및 크기로 형성된 높이 조절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may provide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formed in a shape and size capable of gardening activities within a range that a user using a wheelchair or mobility aid can reach while sitting.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is docu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은, 예를 들면, 배수공이 형성된 바닥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화분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화분본체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for example, a flowerpot body includ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wall having drainage holes; a height adjustment uni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ot body and supporting the pot body and varying the height of the pot body; and a fram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and supporting the height adjusting unit.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화분본체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ㄷ'자 모양일 수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pot body may have a 'C'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일단에 핸들이 구비되는 회전 샤프트,In various embodiments, the height adjustment unit, a rotating shaft having a handle at one end,

상기 회전 샤프트에 수직 하방으로 배치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상기 리드 스크류에 전달하는 기어,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맞물리는 나사가 내측에 형성된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A lead screw disposed vertically downward on the rotation shaft, a gear for transmitting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 shaft to the lead screw, and a nut having a screw engaged with a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ad screw is formed inside.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어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 지점에 고정 배치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단에 고정 배치되는 링 기어를 포함하는 베벨 기어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gear may be a bevel gear including a pinion gear fixedly arranged at one point of the rotation shaft and a ring gear fixedly arranged on one end of the lead screw.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면은 상기 화분본체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기어가 내측에 고정 배치되고, 양 측면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height adjustment unit, the upper surface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lanter body, the gear is fixedly arranged on the inside, both sides of th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passes. .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의 하단의 양측에 구비되는 바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it may further include whee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바퀴부는 바퀴 및 상기 바퀴의 회전을 막는 풋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wheel unit may include a wheel and a foot brake that prevents rotation of the wheel.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배수공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분본체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a flange extending downward of the drain hole and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erpot body may be provided.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면과 상기 측벽이 만나는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의 일 지점에 적어도 하나의 지줏대 고정구가 구비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one support fixture may be provided at a point of an edge of the bottom surface where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wall meet.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화분본체를 상측에서 소정의 높이로 덮는 투명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body covering the pot body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ide.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은 신체 활동에 제약이 있는 고령자 또는 장애인의 원예 활동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신체적 여건에 따라 화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flowerpot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to facilitate access to gardening activities for the elderly or the disabled who have limited physical activity.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은, 모양 및 크기가 휠체어 또는 이동보조도구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손을 뻗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원예활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have a shape and size within a range that a user using a wheelchair or a mobility aid can reach in a seated state to enable gardening activities.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은, 원예활동을 위한 보조 도구(예: 지줏대, 호스)들을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고령자 및 장애인의 원예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support garden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by includ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mounting auxiliary tools (eg, poles, hoses) for gardening activities.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을 측면으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을 상면으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을 하면으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의 높이 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의 화분본체의 하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에 지줏대가 설치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의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 상에 투명체가 놓인 도면이다.
1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viewed from the top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 lower surface of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ight adjustment unit of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ot body of the height adjustable 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6 is a view showing a pole installed in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side view of a frame of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view illustrating a transparent body placed on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he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ion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the noun corresponding to the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item,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 B, or C," each of which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phrases,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simply be used to distinguish an element from other elements in question, and may refer elements to other aspects (e.g.,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을 측면으로 바라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을 상면으로 바라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을 하면으로 바라 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viewed from the sid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rom the top, and FIG. 3 is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t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bottom.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100)은 화분본체(110), 높이 조절부(120) 및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화분본체(110)는 배수공(111)이 형성된 바닥면 및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여 내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식재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120)는 화분본체(110)의 하측에 형성되어 화분본체(110)를 지지하고, 화분본체(110)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프레임(130)은 높이 조절부(120)의 하단과 연결되어 높이 조절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1 to 3 ,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 flowerpot body 110 , a height adjuster 120 , and a frame 130 . The pot body 110 includes a bottom surface on which the drain hole 111 is formed and a side wall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so that a planting space in which a plant can be planted may be formed. The height adjustment unit 12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ot body 110 to support the pot body 110 , and can change the height of the pot body 110 . The fram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er 120 to stably support the height adjuster 120 .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100)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ㄷ'자 모양일 수 있다. 화분본체가 'ㄷ'자 모양을 가지는 경우, 휠체어 또는 이동보조도구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손을 뻗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원예활동이 가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have a 'C'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If the flowerpot body has a 'U' shape, gardening activities may b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a user using a wheelchair or mobility aid can reach while sitting.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의 높이 조절부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ight adjustment unit of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의 높이 조절부(120)는 회전 샤프트(121), 리드 스크류(123), 기어(122), 너트(124) 및 브라켓(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120)의 측 방향에는 핸들(125)이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핸들(125)과 결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회전 샤프트(110)를 포함하고, 화분본체(110)의 하면에 고정되는 브라켓(126)을 관통하여 화분본체(110)의 하측에 X축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23)는 회전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으로 두 지점에서 수직 하방으로 배치되고, 리드 스크류(123)와 회전 샤프트(110) 사이에는 기어(122)를 매개로 회전 샤프트(110)의 회전 운동이 리드 스크류(123)에 전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height adjustment unit 120 of the height adjustment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rotation shaft 121 , a lead screw 123 , a gear 122 , a nut 124 and a bracket 126 . can do. A handle 125 is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120 , and one end includes a rotation shaft 110 coupled to the handle 125 and disposed horizontally, and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t body 110 . It may be disposed transversely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flowerpot body 110 through the bracket 126 to be fixed. The lead screw 123 is disposed vertically downward at two poi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10 , and between the lead screw 123 and the rotation shaft 110 , a gear 122 is used as a medium for the rotation shaft 110 . Rotational mo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lead screw 123 .

다양한 실시 예에서, 리드 스크류(123)는 일단은 기어(122)의 일 지점에 고정되고 외주면은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외팔보 형태일 수 있다. 너트(124)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고, 일단에서 리드 스크류가 승강하도록 결합하고, 타단은 프레임의 상면의 일 지점에서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브리켓(126)은, 상면은 화분본체(110)의 하면에 고정되고, 내측에 기어(122)를 고정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는 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lead screw 123 may have a cantilever shape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a point of the gear 122 and a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nut 124 has a screw formed therein, and the lead screw is coupled at one end to elevate and lower,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ly connected at a poi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The upper surface of the briquette 126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erpot body 110, a space for fixing the gear 122 is formed therein,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passes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iquette 126 .

다양한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부(120)는 브라켓(126)을 통해 화분본체(110)와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너트(124)의 하단을 통해 프레임(130)과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부(120)는, 핸들(125) 조작에 의해 회전 샤프트(121)의 회전 운동이 발생하면 기어(122)를 통해 회전 샤프트(121)의 회전 운동이 리드 스크류(123)에 전달되고, 리드 스크류(123)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너트(124)로부터 풀리면서 화분본체(110)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는 높이 조절부(120)는, 핸들(125) 조작에 의해 회전 샤프트(121)의 회전 운동이 발생하면 기어(122)를 통해 회전 샤프트(121)의 회전 운동이 리드 스크류(123)에 전달되고, 리드 스크류(123)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너트(124)로 감기면서 화분본체(110)의 높이를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높이 조절부(120)는 구성 요소들의 단단한 결합 구조를 통해 화분본체(110)를 지지하고, 핸들의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화분본체(110)의 높낮이 조절을 구현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height adjustment unit 12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lowerpot body 110 through the bracket 126 ,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130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nut 124 .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120 transmi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al shaft 121 to the lead screw 123 through the gear 122 whe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al shaft 121 occurs by operating the handle 125 . and the lead screw 123 rotates in one direction to loosen from the nut 124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pot body 110 . Alternatively, whe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al shaft 121 occurs by the handle 125 opera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120 transmi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al shaft 121 to the lead screw 123 through the gear 122 and , while the lead screw 123 is rotated in a different direction and wound around the nut 124 , the height of the pot body 110 may be lowered. Therefore, the height adjustment unit 120 supports the pot body 110 through the rigid coupling structure of the components, and can easily implement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ot body 110 by a simple rotation operation of the handle.

다양한 실시 예에서, 기어(122)는 서로 교차하는 두 축(회전 샤프트 및 리드 스크류) 사이에서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회전 샤프트(121)의 일 지점에 고정 배치되는 피니언 기어(122a) 및 리드 스크류(123)의 일단에 고정 배치되는 링 기어(122b)를 포함하는 베벨 기어(bevel gear)일 수 있다. 이 경우, 피니어 기어(122a)의 기어산과 링 기어(122b)의 기어산이 맞물리면서 회전 샤프트(121)의 회전 운동이 리드 스크류(123)에 전달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gear 122 is a pinion gear 122a and a lead screw ( It may be a bevel gear including a ring gear 122b fixed to one end of the 123). In this cas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shaft 121 may be transmitted to the lead screw 123 while the gear mountain of the piner gear 122a and the gear mountain of the ring gear 122b are engaged.

다양한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부는 일부 구성들은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브라겟(126), 리드스크류(123) 및 너트(124)의 일부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케이싱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height adjuster may include a case that can accommodate some components. That is, a portion of the bracket 126 , the lead screw 123 , and the nut 124 may be casing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의 화분본체의 하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5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ot body of the height adjustable 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at is,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3 .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100)은, 화분본체(110)의 일 지점에 물이 빠질 수 있는 배수공(111) 및 배수공(111)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화분본체(11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113)를 구비할 수 있다. 플랜지(113)에는 호스(10)가 연결되어 배수공을 통해 내려오는 물이 하수구로 유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xtends downward of the drain hole 111 and the drain hole 111 through which water can drain at one point of the planter body 110 , and the planter body ( A flange 113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110 may be provided. A hose 10 is connected to the flange 113 so that water coming down through the drain hole may be guided to the sewer.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에 지줏대가 설치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pole installed in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100)은 화분본체(110)의 바닥면과 측벽이 만나는 바닥면의 가장자리의 일 지점에 적어도 하나의 지줏대 고정구(1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줏대 고정구(112)는 서로 마주보는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한 쌍씩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 화분(100)은 지줏대 고정구를 구비함으로써 높이 자라는 식물의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줏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6 ,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at least one post fixture 112 at a point on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where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wall of the flowerpot body 110 meet. can be provided. As shown in FIG. 6 , the support fixture 112 may be formed in pairs on the edges of the bottom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various embodiments,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100 can easily install a prop for preventing the falling of a plant growing in height by having a post fixture.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의 프레임의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of a frame of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100)은 프레임(130)의 하단의 양측에 구비되는 바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퀴부는 프레임(130)과 브라켓(131)으로 연결되며, 바퀴(132) 및 바퀴(132)의 회전을 막는 풋 브레이크(133)를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100)은 바퀴(132) 및 풋 브레이크(133)를 구비함으로써 화분의 이동이 용이하고 이동 후 일정 위치에 고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whee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130 . The wheel part is connected to the frame 130 and the bracket 131 , and may include the wheel 132 and a foot brake 133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wheel 132 .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provided with wheels 132 and a foot brake 133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flowerpot and can be stably fixed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fter movement.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 상에 투명체가 놓인 도면이다.8 is a view illustrating a transparent body placed on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100)은 화분본체(110)를 상측에서 소정의 높이로 덮는 투명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체는 화분본체의 측벽의 상단과 하단이 맞닿는 몸체(142)와 몸체의 상부를 막는 덮개(141)를 포함하고, 몸체(142)와 덮개(141)는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화분(100)은, 화분본체(110)를 상측에서 소정의 높이로 덮는 투명체(140)를 포함함으로써, 식재된 식물을 보호하고, 식물 주위에 적정 온도를 유지해 줄 수 있고, 식물에 햇빛의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body 140 covering the flowerpot body 110 from the upper side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transparent body includes a body 142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idewalls of the pot body are in contact with the body 142 and a cover 141 that blocks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body 142 and the cover 141 may be connected by a hinge. The height-adjustable po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transparent body 140 that covers the pot body 110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ide, thereby protecting the planted plant and maintaining an appropriate temperature around the plant. and it may be possible to supply sunlight to the plants.

Claims (10)

배수공이 형성된 바닥면 및 측벽을 포함하며 상측에서 바라볼 때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화분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화분본체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측 방향에 핸들이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핸들과 결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에 수직 하방으로 배치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상기 리드 스크류에 전달하는 기어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맞물리는 나사가 내측에 형성된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상면은 상기 화분본체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기어가 내측에 고정 배치되고, 양 측면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 지점에 고정 배치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단에 고정 배치되는 링 기어를 포함하는 베벨 기어이고,
상기 화분본체의 측벽 상단을 따라 안착되되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어 일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덮개로 구성되는 투명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높이 조절 화분.
A flowerpot body includ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with drainage holes formed in a 'C'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 height adjustment uni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ot body and supporting the pot body and varying the height of the pot body; and
a fram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nd support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The height adjustment unit,
A handle is pro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A rotating shaf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handle and disposed horizontally,
a lead screw vertically downwardly disposed on the rotating shaft;
a gear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shaft to the lead screw; and
and a nut having a screw engaged with a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ad screw and form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lanter body, the gear is fixedly arranged inside, and both sides include brackets having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passes,
The gear is
It is a bevel gear comprising a pinion gear fixedly arranged at one point of the rotating shaft and a ring gear fixedly arranged on one end of the lead screw,
The height-adjustable flowerpot further comprising: a body seat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flowerpot body and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단의 양측에 구비되는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높이 조절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further comprising whee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바퀴 및 상기 바퀴의 회전을 막는 풋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 화분.
7. The method of claim 6,
The wheel portion comprising a wheel and a foot brake to prevent rotation of the wheel, height-adjustable potted plant.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분본체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가 구비되는, 높이 조절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that extends downward of the drain hole and is provided with a flange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erpot body.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상기 측벽이 만나는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의 일 지점에 적어도 하나의 지줏대 고정구가 구비되는, 높이 조절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one point of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where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wall meet, at least one post fixture is provided, a height-adjustable flowerpot.
삭제delete
KR1020190166149A 2019-12-12 2019-12-12 Flowerpot for adjusting the height KR1024560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149A KR102456016B1 (en) 2019-12-12 2019-12-12 Flowerpot for adjusting the h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149A KR102456016B1 (en) 2019-12-12 2019-12-12 Flowerpot for adjusting the heig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954A KR20210074954A (en) 2021-06-22
KR102456016B1 true KR102456016B1 (en) 2022-10-19

Family

ID=7660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149A KR102456016B1 (en) 2019-12-12 2019-12-12 Flowerpot for adjusting the h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01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153B2 (en) * 1997-06-25 2000-08-07 和夫 武田 Mobile planter
JP2001078584A (en) * 1999-09-14 2001-03-27 Susumu Doi Cultivation container provided with lid unit
JP2003102277A (en) * 2001-09-28 2003-04-08 Omote Tekkosho:Kk Flower bed for horticulture
KR101696418B1 (en) * 2016-08-12 2017-01-16 (주)캠퍼스라인 Des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827A (en) * 2009-06-23 2010-12-31 안제준 Multi function table for horticul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153B2 (en) * 1997-06-25 2000-08-07 和夫 武田 Mobile planter
JP2001078584A (en) * 1999-09-14 2001-03-27 Susumu Doi Cultivation container provided with lid unit
JP2003102277A (en) * 2001-09-28 2003-04-08 Omote Tekkosho:Kk Flower bed for horticulture
KR101696418B1 (en) * 2016-08-12 2017-01-16 (주)캠퍼스라인 De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954A (en)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021B1 (en) Adjustable water retention device for a plant pot
CN112753421B (en) Adjustable seedling raising box for strawberry cultivation
KR102456016B1 (en) Flowerpot for adjusting the height
WO2017203543A1 (en) Plant grow system
US20060005467A1 (en) Self contained gardening unit
CN105706775A (en) Rotary watering-free flowerpot
KR20110003724U (en) Size-adjustable flowerpot
KR100653314B1 (en) A flowerpot
GB2191673A (en) An adjustable holder for plant supports
KR101357250B1 (en) Flowerpot table of up-down moving type
US6408569B1 (en) Plant support assembly
KR200214155Y1 (en) Pot
US10070593B2 (en) Green horticultural therapy apparatus
KR100463881B1 (en) A shelf case easy to move its shelf
KR200453394Y1 (en) Mobile Flowerpot
JP3074153B2 (en) Mobile planter
JP4001181B1 (en) Pot-cultivated hydroponic equipment that can grow large crops
KR200356734Y1 (en) angle adjustable flowerpot shelf
KR200269313Y1 (en) Crop cart
CN206835737U (en) A kind of garden landscape plants basin
KR200411869Y1 (en) rotating flowerpot
KR200207797Y1 (en) Flowerpot for creeper
JP2002218849A (en) Culture medium vessel for carrying out culture at high position
CN215454339U (en) Tree cultivation frame for landscaping engineering
CN204560394U (en) A kind of flowerpot with umbrella she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