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838B1 - 서비스의 구현 방법, 네트워크 유닛 및 단말 - Google Patents

서비스의 구현 방법, 네트워크 유닛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838B1
KR102455838B1 KR1020207031493A KR20207031493A KR102455838B1 KR 102455838 B1 KR102455838 B1 KR 102455838B1 KR 1020207031493 A KR1020207031493 A KR 1020207031493A KR 20207031493 A KR20207031493 A KR 20207031493A KR 102455838 B1 KR102455838 B1 KR 102455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rvice
terminal
information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9753A (ko
Inventor
샤오완 케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9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36/0022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3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licen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Abstract

본 개시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 네트워크 유닛 및 단말을 제공한다. 단말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에 기초히여, 관련된 트래팩의 작업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비스의 구현 방법, 네트워크 유닛 및 단말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4월 4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0302350.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의 구현 방법, 네트워크 유닛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운영자는 제5세대 이동 통신(5th Generation, 5G) 네트워크에 배치된 초기에, 풀 커버리지가 아니라 핫 스폿 커버리지일 수 있다. 일부 운영자는 동시에 풀 커버리지된 제3세대 이동 통신(3rd Generation, 3G) 네트워크를 가진다. 3G 네트워크는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며, 예컨대 회로 교환 도메인을 통하여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을 접속하여 음성 서비스를 구현한다.
5G 네트워크가 음성 서비스를 지원할 경우, 단말은 5G 네트워크에서 직접 음성 서비스를 개시 또는 종료할 수 있다. 만약 음성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단말이 5G 네트워크를 제거하고 또한 인접 구역에 3G 셀만 있다면, 5G와 3G 사이의 작업은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음성 서비스는 종료될 수 밖에 없다.
5G 네트워크가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5G 네트워크에 연결 또는 체류된 단말은 음성 서비스가 필요될 때(예컨대, 음성 서비스를 개시 또는 종료할 때), 5G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개시할 수 없다.
상술한 문제는 미래의 기타 통신 네트워크에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가 풀 커버리지되지 않은 경우에, 어떻게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고 단말의 액세스 도메인을 결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재 해결을 필요로 하는 기술적 문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 네트워크 유닛 및 단말을 제공하여, 통신 네트워크가 풀 커버리지되지 않은 경우에, 어떻게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고 단말의 액세스 도메인을 결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유닛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을 제공하고, 제1 네트워크 유닛은 제1 네트워크 중에 위치하며, 상기 구현 방법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및/또는,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2 네트워크 유닛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유닛은 제1 네트워크 중에 위치하며, 상기 구현 방법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 및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획득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대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구현 방법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서비스의 작업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중에 위치하는 제1 네트워크 유닛을 제공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유닛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획득 모듈;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및/또는,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확정 모듈; 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중에 위치하는 제2 네트워크 유닛을 제공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유닛은,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획득 모듈 - 상기 정보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 및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획득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대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작업 모듈; 을 포함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획득 모듈;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서비스의 작업을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확정 모듈; 을 포함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유닛을 제공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유닛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네트워크 유닛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2 네트워크 유닛 제공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유닛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2 네트워크 유닛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 네트워크가 풀 커버리지되지 않은 경우에, 어떻게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고 단말의 액세스 도메인을 결정할 것인가를 명확히 하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 유닛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네트워크 유닛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 1에 따른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 2에 따른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 3에 따른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 4에 따른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 유닛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네트워크 유닛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유닛은 임의의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능일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유닛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 또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은, 코어 네트워크 기기, 코어 네트워크 노드, 코어 네트워크 기능,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 이동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액세스 이동 관리 기능(Access Management Function, AM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W, SGW), PDN 게이트웨이(PDN Gate Way, PDN 게이트웨이),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 유닛(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RF), GPRS 서빙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능,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유닛,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비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집중 유닛(Centralized Unit, CU), 분산형 유닛(Distributed Unit, DU), 기지국,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 B, eNB), 5G 기지국(gN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기지국(NodeB), 비 3GPP 상호 작업 기능(Non-3GPP Inter Working Function, N3IWF), 액세스 제어(Access Controller, AC) 노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기기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원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중의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뿐만 아니라, 광대역 코드 분할 다원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중의 기지국(NodeB)일 수 있고, 또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중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및 5G 기지국(gNB)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진화된 LTE(evolved LTE, eLTE)는 진화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지상 무선 액세스(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가 5G 코어 네트워크(5G Core, 5GC)에 직접 접속되는 방식이다.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은 LTE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긴급 서비스는 또한, 긴급 음성 서비스, 긴급 IMS 음성 서비스 중 하나로 칭할 수 있다. 긴급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는, 긴급 서비스 지원 지시(Emergency Services Support indicator), 폴백 방식을 이용하는 긴급 서비스 지원 지시(Emergency Services Fallback)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음성 서비스는 또한, 패킷 교환(Packet Switch, PS) 도메인 세션 방식을 통한 IMS 음성 서비스 중 하나로 칭할 수 있다. 음성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는, IMS 음성 서비스 지원 지시, PS 도메인 세션 방식을 통한 IMS 음성 서비스 지원 지시(IMS voice over PS Session Supported Indication), 회로 교환(Circuit Switch, CS) 도메인을 통한 IMS 음성 서비스 지원 지시, 3GPP 액세스 PS 도메인 세션 방식을 통한 IMS 음성 서비스(IMS voice over PS Session Supported Indication over 3GP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음성 서비스는 긴급 음성 서비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재지향(Redirection)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UE와 네트워크의 접속을 제거하고, 재지향 주파수 포인트를 지시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는 PS로부터 CS까지의 단일 무선 주파수 음성 호출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핸드오버, 제1 네트워크 SRVCC,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SRVCC, 제1 네트워크 SRVCC 핸드오버, PS로부터 CS까지의 도메인 핸드오버,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PS로부터 CS까지의 핸드오버,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음성 서비스 연속성 지원,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음성 서비스 연속성 단일 무선 지원,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롤백 등 중 하나로 칭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준 조직은 이에 대해 기타 명명을 할 수 있고, 본 개시는 명명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 핸드오버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의 상호 작업, 제1 네트워크가 제2 네트워크로 폴백 되는 것 중 하나로 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는 또한, PS로부터 CS까지의 SRVCC 핸드오버, 5G SRVCC, 5G로부터 3G까지의 SRVCC, 5G SRVCC 핸드오버, PS로부터 CS까지의 도메인 핸드오버,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 PS로부터 CS까지의 핸드오버, 5G 네트워크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음성 서비스 연속성 지원,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폴백,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 5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의 상호 작업 중 하나로 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개시 서비스는 호출 개시 서비스로 표시될 수 있고, 종료 서비스는 피호출 수신 서비스로 표시될 수 있다.
5G 네트워크는, 5G 코어 네트워크,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5GC에 접속된 EUTRA, 5GC에 접속된 엔알(New Radio, NR), NR,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 5GC, 비 3GPP(Non-3GPP,N3GPP)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5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은, AMF, SMF, UPF, PCF, UDM, gNB, AMF에 접속된 eNB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3G 네트워크는, 3G 코어 네트워크, 3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DMA, 3GPP2 1x,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고속 패킷 액세스(High-Speed Packet Access, HSPA),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지상 무선 액세스(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adio Network Subsystem, RNS), 기지국 서브시스템(Base Station Subsystem, BS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3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은, 이동 교환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 이동 교환 센터 서버(MSC Server),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 MGW), SGSN, GGSN, RNC, NodeB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3G 네트워크 CS는 3G 네트워크의 회로 교환 도메인을 지칭하며, 적어도 하나의 3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인 3GPP2 1x, UTRAN, HSPA, MSC, MSC Server, MGW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4G 네트워크는, 4G 코어 네트워크, 4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EPC에 접속된 EUTRA, EPC, EUTRA, LTE, EP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4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은, MME, S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 eNB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개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 실시예 중의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기술된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 실시예의 제1 네트워크 유닛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유닛은 제1 네트워크 중에 위치하며, 해당 구현 방법은,
단계 11: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11); 및
단계 12: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및/또는,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12);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하 문제를 명확히 하였다. 1)제1 네트워크가 풀 커버리지되지 않은 경우,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2)제1 네트워크가 관련 서비스를 직접 지원하지 않지만 관련 서비스를 위해 구축한 요청을 수신하였을 경우(예컨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 구축 요청,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흐름 구축 요청, 서비스 요청 등), 어떻게 관련 서비스를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3)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제1 네트워크에서 보장될 수 없을 경우, 단말이 여전히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는지 여부의 문제.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유닛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이고, 물론, 제1 네트워크 유닛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유닛은 이하 방식 중 적어도 하나로 부터, 제1 네트워크로 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획득할 있다.
구성에서 획득;
단말;
제1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 (예컨대, 액세스 관리 기능(Access Management Function, AM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통합된 데이터 관리 기능(Unified Data Management, UDM));
제1 네트워크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
제3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예컨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는 이동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이럴 경우, 제3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은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작업의 에이전트임);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예컨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는 이동 교환 센터 서버(Mobile Switching Center Server, MSC Server)).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는 이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는 관련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였는지 여부;
제1 네트워크가 구성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인터페이스 방식;
상기 단말의 제2 네트워크 기능 정보;
상기 단말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정보;
제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예컨대, AMF, SMF 또는 NG RAN 등, 제1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음)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으 지원하는지 여부의 정보;
상기 단말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허용하는지 여부(예컨대, 상기 단말 가입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허용하는지 여부);
단말의 IMS 세션 이동 번호;
단말의 IMS 세션 이동 번호의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
단말의 이동국 국제 사용자 식별자 코드(MS international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number(Mobile Subscriber International ISDN number, MSISDN);
단말의 이동국 국제 사용자 식별자 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의 제1 네트워크에 있는 단말 식별자가 제2 네트워크의 단말 식별자로 매핑될 수 있는지 여부;
상기 단말의 가입 영구 식별자 코드(Subscription Permanent Identifier, SUPI)의 타입이 국제 모바일 사용자 식별자 코드(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Number, IMSI)인지 여부;
상기 단말이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인지의 정보;
상기 단말이 단일 무선 주파수(single radio) 또는 이중 무선 주파수인지 여부;
상기 단말이 음성을 중심으로 하는지 또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는지의 정보;
운영자 정책;
운영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구성하는 것을 통해 상기 관련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
운영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구성하는 것을 통해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지원하는지 여부;
무선 조건;
상기 단말의 무선 조건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만족하는지 여부;
상기 관련 서비스의 정보;
진행중인 상기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관련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여부.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의 제2 네트워크 기능 정보는, 이동 단말 네트워크 능력(MS(Mobile Station) network capability), 제2 네트워크 무선 능력, 지원하는 회로 교환 도메인 음성 프로그래밍 리스트 정보, 이동 스테이션 레벨 플래그 2 정보(MS Class Mark 2), 이동 스테이션 레벨 플래그 3 정보(MS Class Mark 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말의 IMS 세션 이동 번호는, STN-SR(Session Transfer Number-single Radio, 세션 이동 번호-단일 무선), E-STN-SR(Emergency session transfer Number-single Radio, 또는 긴급 세션 이동 번호-단일 무선), 긴급 세션 이동 번호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말의 이동국 국제 사용자 식별자 코드는, C-MSISDN(Correlation Mobile Subscriber International ISDN number, 관련 단말의 이동국 국제 사용자 식별자 코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는, 상기 관련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수시하였는지 여부, 상기 관련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 구축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여부, 상기 관련 서비스를 위한 PDU 세션 수정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여부, 상기 관련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여부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정보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능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능력 관련 정보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코어 네트워크 능력,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무선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의 제1 네트워크에 있는 단말 식별자가 제2 네트워크의 단말 식별자로 매핑될 수 있는지 여부.
일부 실시형태에서, SUPI의 타입은 IMSI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식별자(Network Access Identifier, NAI)일 수 있다. 3G 네트워크는 NAI 타입의 단말 식별자를 지원하지 않는다. SUPI가 제1 네트워크 식별자일 때, 3G가 제2 네트워크일 때, NAI 타입은 제2 네트워크 식별자로 매핑될 수 없음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IMS 음성 서비스로도 칭함), 긴급 서비스(긴급 음성 서비스로도 칭함)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틔 관련 인터페이스 방식은,
제1 네트워크가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네트워크와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
제1 네트워크가 제3 네트워크와 인터랙트하고, 제3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의 인터랙트를 통해,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의 작업을 구현하는 방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가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네트워크와 작업을 진행할 때,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는 Sv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1 네트워크가 제3 네트워크와 인터랙트하고, 제3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의 인터랙트를 통해,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의 작업을 구현할 때,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는 N26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제3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는 Sv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인터페이스는, 이하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가 Sv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는지 여부, 예컨대, AMF와 이동 교환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MSC)의 인터페이스, 또는 AMF와 MSC 서버(Server)의 인터페이스이다. Sv 인터페이스는 4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이다.
제1 네트워크가 N26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는지 여부, 예컨대, N26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유닛과 연결된 4G 네트워크 유닛(예컨대, MME)이 5G 단일 무선 주파수 음성 호출 연속성(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SRVCC)을 포워딩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이다. N26 인터페이스는 5G 네트워크와 4G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이다.
제1 네트워크가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는지 여부, 예컨대, AMF와 MSC의 인터페이스, 또는 AMF와 MSC Server의 인터페이스이다.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3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이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는지 여부.
이하 상술한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쪽으로, 단말이 5G 네트워크의 고속 데이터 접속을 향수하고 음성 서비스의 연속성을 지원할 수 있으며, 다른 한쪽으로, 3G 네트워크에 대한 영향을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하 구조가 존재할 수 있다.
1)5G 네트워크 유닛(예컨대, AMF)은 Sv 인터페이스와 3G 네트워크 유닛(MSC)의 연결을 지원한다. 즉, Sv 인터페이스 상의 기존의 프로토콜 정의를 재사용하여, 3G 네트워크에 대한 변경을 피할 수 있다.
2)하나의 프록시된 4G 네트워크 유닛을 통하여 3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의 상호 작업을 지원한다. 5G 네트워크 유닛(예컨대, AMF)과 하나의 4G의 네트워크 유닛(예컨대, MME) 사이에는 N26 인터페이스가 지원되고, 4G 네트워크 유닛은 또 Sv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3G 네트워크 유닛과 연결한다. 4G 네트워크 유닛은 3G 네트워크의 에이전트로 한다.
3)5G 네트워크 유닛과 3G 네트워크 유닛 사이에 하나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는 이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구체적으로, 지시 정보 중의 파라미터 값은 진행될 수 있는지 여부(예컨대, 할 수 있는(enable), 또는 가능한(available), possible 등) 또는 수행되는지 여부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네트워크로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이 가능하고,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할 수 있다), 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동작을 수행한다. "진행할 수 있다"에 대하여, 지시 정보를 획득한 수신자는 언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할지를 결정하며, "수행"에 대하여, 지시 정보를 획득한 수신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즉시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회로 교환(CS)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작업은, 단말이 제1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제거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신호 품질이 더 이상 액세스를 만족할 수 없을 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위해, 관련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가 이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의 지시 정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고, 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의 지시 정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고, 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및/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지시 정보(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함;
제1 네트워크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함;
제1 네트워크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예컨대, Sv, N26 또는 5G 네트워크 및 3G 네트워크의 새로운 인터페이스);
상기 관련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수신함(예컨대, QoS 구축 요청, PDU 세션 구축 요청, PDU 세션 수정 또는 서비스 요청);
진행 중인 상기 관련 서비스가 존재함(QFI=1을 통하여 음성 서비스 여부를 식별하고, 긴급 서비스 지시를 통해 긴급 서비스 여부를 식별한다);
상기 단말의 제1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식별자가 제2 네트워크의 단말 식별자로 매핑될 수 있음;
단말의 SUPI 타입은 IMSI임;
단말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허용함;
단말의 IMS 세션 이동 번호의 정보가 존재함 또는 획득됨;
단말의 이동국 국제 사용자 식별자 코드가 존재함 또는 획득됨;
운영자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구성하는 것을 통해 상기 관련 서비스를 지원함;
운영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구성하는 것을 통해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지원함;
단말의 무선 조건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를 만족함(예컨대, 핸드오버 요청을 만족하는 3G 셀 또는 3G 주파수 포인트가 존재한다);
단말이 단일 등록 모드임;
단말이 single radio임;
단말임 음성을 중심(voice centric)으로 함.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유닛은 상기 단말, 제2 네트워크 유닛 및/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유닛에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이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이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 및/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이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중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지시한다.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음;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음.
이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중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지시한다.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지 않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음;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 보장할 수 없음.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지시 정보는,
IMS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패킷 교환 도메인을 통한 IMS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3GPP 액세스 PS 도메인 세션 방식을 통한 IMS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CS를 통한 IMS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긴급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및
긴급 서비스 폴백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유닛은 상기 단말, 제2 네트워크 유닛 및/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유닛에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 여부의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술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이다. 물론,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기타 타입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 실시예의 제2 네트워크 유닛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유닛은 제1 네트워크 중에 위치하며, 해당 구현 방법은:
단계 2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21) - 상기 정보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 및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단계 22: 상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대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22);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하 문제를 명확히 하였다. 1)제1 네트워크가 풀 커버리지되지 않은 경우,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2)제1 네트워크가 관련 서비스를 직접 지원하지 않지만 관련 서비스를 위해 설정한 요청을 수신할 때 (예컨대, PDU 세션 설정 요청, QoS 흐름 구축 요청, 서비스 요청 등),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3)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제1 네트워크에서 보장될 수 없을 경우, 단말이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는지 여부의 문제.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유닛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 또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유닛은 제1 네트워크 유닛 및/또는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는 도 1에 도시된 제1 네트워크 유닛의 방법 실시예의 부분 서술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는 도 1에 도시된 제1 네트워크 유닛의 방법 실시예의 부분 서술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의 관련 작업;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의 관련 작업; 및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의 관련 작업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 과정을 개시하는 작업;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 과정을 개시하는 작업;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의 지시를 송신하는 작업;
단말을 제2 네트워크로 재지향 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 과정은,
하나의 상기 제2 네트워크 셀을 선택;
개시한 핸드오버 요청 중에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지시;
핸드오버 요청 중에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투과성 용기 정보(예컨대, source RNC to Target RNC Transparent Container)를 포함;
핸드오버 요청 중에 MS Class Mark 2를 포함;
핸드오버 요청 중에 MS Class Mark 3를 포함;
제1 네트워크하에서 상기 단말이 제2 네트워크의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구성;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를 획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을 제2 네트워크로 재지향하는 과정은,
단말에 재지향 주파수 포인트 중에서 제2 네트워크를 지시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송신;
개시한 핸드오버 요청 중에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지시;
단말의 접속을 해제;
브로드캐스트된 셀 재선택 정보 중에서 제2 네트워크의 주파수 포인트 관련 정보를 지시; 및
단말로 셀 재선택 정보 중에서 제2 네트워크를 포함한 주파수 포인트의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대하여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없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없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고, 제1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고, 제1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없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없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였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작업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및 상기 관련 서비스의 QoS 흐름 구축 요청을 수신하였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작업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제1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이 존재하지 않고,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였으며, 상기 관련 서비스의 QoS 흐름 구축 요청을 수신하였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작업을 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긴급 서비스 중 하나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며,
단계 31: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31)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하 문제를 명확히 하였다. 1)제1 네트워크가 풀 커버리지되지 않은 경우,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2)제1 네트워크가 관련 서비스를 직접 지원하지 않지만 관련 서비스를 위해 설정한 요청을 수신할 때 (예컨대, PDU 세션 설정 요청, QoS 흐름 구축 요청, 서비스 요청 등),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3)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제1 네트워크에서 보장될 수 없을 경우, 단말이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는지 여부의 문제.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은 제1 네트워크 유닛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유닛에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는 도 1에 도시된 제1 네트워크 유닛의 방법 실시예의 부분 서술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후에,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는 도 1에 도시된 제1 네트워크 유닛의 방법 실시예의 부분 서술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은 제1 네트워크 유닛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유닛에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말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며,
단계 41: 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41); 및
단계 42: 상기 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서비스의 작업을 확정하는 단계(42);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하 문제를 명확히 하였다: 1)제1 네트워크가 풀 커버리지되지 않은 경우,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2)제1 네트워크가 관련 서비스를 직접 지원하지 않지만 관련 서비스를 위해 설정한 요청을 수신할 때 (예컨대, PDU 세션 설정 요청, QoS 흐름 구축 요청, 서비스 요청 등),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3)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제1 네트워크에서 보장될 수 없는 경우, 단말이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는지 여부의 문제.
본 개시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은 제1 네트워크 유닛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유닛에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은 제1 네트워크 유닛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유닛에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는 도 1에 도시된 제1 네트워크 유닛의 방법 실시예의 부분 서술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의 작업은,
액세스 도메인을 선택하는 작업;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작업;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개시 또는 종료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작업; 및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에 관한 요청을 개시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에 관한 요청을 개시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은,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위한 QoS 흐름 구축 요청을 개시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 PDU 세션 설정 요청을 개시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 PDU 세션 수정 요청을 개시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을 개시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을 지시하는 것을 개시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단말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제1 네트워크에서의 개시 또는 종료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개시한 후에 단말의 이동에 따라,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되는지 여부,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개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관련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및 긴급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 서비스는 두가지 방식이 있는데, 구체적으로, 하나는 긴급 서비스에 관한 PDU 세션의 설정을 개시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긴급 서비스를 지시하는 서비스 요청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수 있음을 표시할 때, 상기 관련 서비스의 작업을 확정하는 단계는,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개시 또는 종료하는 단계;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의 PDU 세션의 설정을 개시하는 단계;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을 지시하는 것을 개시하는 단계; 및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는 것을 선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없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수 없음을 표시할 때, 상기 관련 서비스의 작업을 확정하는 단계는: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개시 또는 종료하지 않는 단계;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의 PDU 세션의 설정을 개시하지 않는 단계;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을 지시하는 것을 개시하지 않는 단계; 및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지 않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상기 관련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긴급 서비스 중 하나를 포함한다.
5G 네트워크가 5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의 상호 작업(예컨대,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도메인의 핸드오버)을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단말도 5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의 상호 작업(예컨대,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도메인의 핸드오버)을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도메인의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것이 지원되더라도, 꼭 허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5G 네트워크가 3G 네트워크와의 상호 작업을 지원할 때, 특정 단말에 대해,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는지 여부(예컨대,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도메인의 핸드오버)는 불명확하다.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단말이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더라도, 5G 액세스 네트워크는 UE가 3G 측정하도록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이 필요할 수도 있을 때, 5G 액세스 네트워크는 이후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를 개시하기 위해, 응당 UE가 3G 측정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음성 서비스의 연속성 또는 음성의 서비스의 개시와 종료을 보장하기 위해,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관련된 작업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또한 음성 서비스가 5G 네트워크에서의 개시 및 종료 여부, 5G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개시한 후 단말의 이동에 따라 음성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리고, 5G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개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시켜, 본 개시의 상술한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 1의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서비스의 구현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1: 단말이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51), RRC 메시지 중에는 등록 요청 메시지가 포함된다.
단계 52: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5G 코어 네트워크(예컨대, AMF)에 N2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N2 인터페이스 메시지 중에는 등록 요청 메시지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RRC 메시지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예컨대, 단계 12에 기술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단말의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무선 기능에 관련된 정보 및 단말의 3G 네트워크 기능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N2 인터페이스 메시지(예컨대, 초기 UE 메시지)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예컨대, 단계 12에 기술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단말의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무선 기능에 관련된 정보, 단말의 3G 네트워크 기능에 관련된 정보 및 5G 네트워크가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무선 기능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 중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예컨대, 단계 12에 기술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단말의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무선 기능에 관련된 정보및 단말의 3G 네트워크 기능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단말의 3G 네트워크 기능에 관련된 정보는 MS 네트워크 기능 정보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단말의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재지향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 3G 네트워크로부터 5G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 3G 네트워크로부터 5G 네트워크까지의 재지향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단말의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도메인 핸드오버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패킷 교환(PS) 도메인 핸드오버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 음성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도메인 핸드오버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작업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는 적어도 상기 작업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음성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도메인 핸드오버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는, 적어도 음성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도메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여부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도메인 핸드오버의 기능에 관련된 정보는, 적어도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여부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5G 네트워크로와 3G 네트워크의 상호 작업의 기능을 가지는 단말은, 5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의 상호 작업을 지원하며, 5G 네트워크로와 3G 네트워크의 상호 작업의 기능을 가지지 않는 단말은, 5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의 상호 작업을 지원하지 않는 것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단계 53: 5G 코어 네트워크는 UDM에 등록하며, UDM을 통하여 단말의 가입 정보(단말의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허용하는지 여부), 단말의 SUPI 타입, IMS 세션 이동 번호(초기 IMS 세션 이동 번호는 하나의 dummy의 IMS 세션 이동 번호일 수 있고, IMS 세션 이동 번호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통하여, 단말이 단말의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MSISDN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53).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입 정보 중에는, 단말이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상호 작업를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단말의 5G와 3G의 상호 작업은,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네트워크 재지향, 3G로부터 5G까지의 핸드오버, 3G로부터 5G까지의 재지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5G네트워크로부터 3G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PS 핸드오버, 음성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단말이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상호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는, STN-SR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통하여 확정할 수 있다. 획득했을 때, 허용함을 나타내고, 그렇지 않으면, 허용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서, SUPI 타입이 IMSI일 때,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상호 작업을 지원할 수 있다. SUPI 타입이 IMSI이외의 기타 타입(예컨대, NAI)일 때,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상호 작업을 지원하지 않는다.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상호 작업 기능을 가지는 또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상호 작업을 지원하는 단말의 SUPI 타입이 IMSI인 것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5G 코어 네트워크는, 상호 작업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정보를 지원하는지 여부, 기타 네트워크 유닛이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상호 작업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5G 코어 네트워크는 구성을 통해 상기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54: 5G 네트워크는 획득한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상호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54). 5G 코어 네트워크는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N2 인터페이스 메시지(예컨대, 초기 UE 콘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NAS 전송 메시지 등)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시지 중에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메시지 중에는 단말로 송신된 등록 수락 메시지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 중에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상기 획득한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대해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관련된 작업을 진행한다.
단계 55: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단말에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55).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 중에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단말은 상기 메시지 중에서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음성 서비스가 유지될 수 있음)를 획득하고, 획득한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의 처리 작업을 결정한다.
단말은 수신한 후에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서비스의 작업을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32에 기술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단말이 5G 네트워크에서 관련 서비스의 PDU 세션을 개시하고, 5G 네트워크는 음성 서비스의 진행을 지원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개시하여 단말을 3G로 핸드오버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 2의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서비스의 구현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1: IMS 세션 설정을 개시(Mobile Originated,MO) 또는 종료(Mobile Terminated,MT)하는 단계(61).
단계 62: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음성 서비스에 관한 QoS 흐름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62).
단계 63: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QoS 흐름 구축 요청을 거절하고, 거절한 원인은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단계(63).
바람직하게는,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상기 획득한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대해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관련된 작업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는 단계 12에 기술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단말로부터 상기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무선 기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를 획득하며, 구체적으로, 음성 서비스 QoS 흐름 구축 요청을 수신할 때, QoS 흐름 구축 요청을 수신하기 전이다.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는 2개의 지시 또는 하나의 지시일 수 있다. 예컨대:
■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지시를 수신하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구성하여3G 네트워크의 측정을 진행하고 또한3G 네트워크 측정 보고를 획득하며, 이후 음성에 관한QoS 흐름 구축 요청 및/또는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는 것을 통하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CS의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다.
■ 3G 네트워크 주파수 포인트는 5G 네트워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에 미리 구성되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지시에 기초하여, 음성에 관한QoS 흐름 구축 요청 및/또는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CS의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다.
단계 64: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5G 코어 네트워크에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64). 상기 메시지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지시, source RNC to target RNC transparent container,CSG ID,CSG Mode,MS Classmark 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5G 코어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에 PS로부터 CS까지의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5G 코어 네트워크는 하나의 프록시 네트워크 유닛을 통하여 3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에 PS로부터 CS까지의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한다.
이후의 핸드오버 과정은 생략한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단말이 5G 네트워크에서 관련 서비스를 진행하고, 이후 5G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요구를 만족하지 않을 때, 5G 네트워크는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개시하여 단말을 3G로 핸드오버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 3의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서비스의 구현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71: 단말이 5G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개시 또는 중지하는 단계(71).
단계 7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측정 보고를 수신하여, 5G 네트워크의 이벤트 발생을 핸드오버하는 단계(72).
바람직하게는, 5G 네트워크는 상기 획득한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대해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관련된 작업을 진행한다.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핸드오버이 발생하기 이전에, 이미 상기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를 획득하였다.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5G 코어 네트워크(예컨대, AMF)에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메시지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지시, source RNC to target RNC transparent container,CSG ID,CSG Mode,MS Classmark 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5G 코어 네트워크는 3G의 네트워크 유닛에 PS로부터 CS까지의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5G 코어 네트워크는 하나의 프록시 네트워크 유닛을 통하여 3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에 PS로부터 CS까지의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73: 이후의 핸드오버 과정은 생략한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단말이 5G 네트워크에서 관련 서비스의 서비스를 구축하고, 5G 네트워크가 핸드오퍼를 개시하여, 단말을 3G로 핸드오버하여 관련 서비스의 진행을 지원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 4의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플로우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서비스의 구현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81: 단말은 5G 네트워크에 체류하는 단계(81).
단계 82: 단말은 관련 서비스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때, 5G 코어 네트워크(예컨대, AMF)에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고, 서비스 요청 중에서 관련 서비스를 지시하는 단계(82).
바람직하게는, 5G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획득한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는 단계(12)에 기술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는 단계(12)에 기술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단계 83: 5G 코어 네트워크는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N2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83).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시지 중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단말로부터 상기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무선 기능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를 획득하며, 구체적으로 음성 서비스 QoS 흐름 구축 요청을 수신할 때, QoS 흐름 구축 요청을 수신하기 전이다.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에 관련된 지시 정보는 2개의 지시 또는 하나의 지시일 수 있다. 예컨대:
■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지시를 수신하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구성하여3G 네트워크의 측정을 진행하고 또한3G 네트워크 측정 보고를 획득하며, 이후 음성에 관한QoS 흐름 구축 요청 및/또는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는 것을 통하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CS의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다.
■ 3G 네트워크 주파수 포인트는 5G 네트워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에 미리 구성되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지시에 기초하여, 음성에 관한QoS 흐름 구축 요청 및/또는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CS의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다.
단계 84: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5G 코어 네트워크에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84). 상기 메시지는, 5G 네트워크로부터 3G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지시, source RNC to target RNC transparent container, CSG ID, CSG Mode, MS Classmark 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5G 코어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에 PS로부터 CS까지의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5G 코어 네트워크는 하나의 프록시 네트워크 유닛을 통하여 3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에 PS로부터 CS까지의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84: 이후의 핸드오버 과정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네트워크 유닛의 구조 예시도이고,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제1 네트워크 유닛(90)은 제1 네트워크 중에 위치하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획득 모듈(91);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 및/또는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확정 모듈(9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하 문제를 명확히 하였다. 1)제1 네트워크가 풀 커버리지되지 않은 경우,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2)제1 네트워크가 관련 서비스를 직접 지원하지 않지만 관련 서비스를 위해 설정한 요청을 수신할 때 (예컨대, PDU 세션 설정 요청, QoS 흐름 구축 요청, 서비스 요청 등),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3)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제1 네트워크에서 보장될 수 없을 경우, 단말이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는지 여부의 문제.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 모듈(91)은,
단말;
액세스 관리 기능;
세션 관리 기능;
제1 네트워크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통합된 데이터 관리 기능;
제3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 및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얻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는 상술한 제1 네트워크 유닛의 방법 실시예의 부분 내용 서술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상기 관련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긴급 서비스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및 제2 네트워크 작업에 관련된 인터페이스 방식은 상술한 제1 네트워크 유닛의 방법 실시예의 부분 내용 서술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는 상술한 제1 네트워크 유닛의 방법 실시예의 부분 내용 서술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유닛은,
상기 단말 및/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유닛에,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확정 모듈(92)은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이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 및/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확정 모듈(92)은, 이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중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음;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음.
상기 확정 모듈(92)은, 이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중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을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지 않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음;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없음.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지시 정보는 상술한 제1 네트워크 유닛의 방법 실시예의 부분 내용 서술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2 네트워크 유닛의 구조 예시도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제2 네트워크 유닛(100)은 제1 네트워크 중에 위치하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101) - 상기 정보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 및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대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모듈(10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하 문제를 명확히 하였다. 1)제1 네트워크가 풀 커버리지되지 않은 경우,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2)제1 네트워크가 관련 서비스를 직접 지원하지 않지만 관련 서비스를 위해 설정한 요청을 수신할 때 (예컨대, PDU 세션 설정 요청, QoS 흐름 구축 요청, 서비스 요청 등),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3)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제1 네트워크에서 보장될 수 없는 경우, 단말이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는지 여부의 문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는 상술한 제1 네트워크 유닛의 방법 실시예의 부분 내용 서술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의 관련 작업;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의 관련 작업; 및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의 관련 작업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 과정을 개시하는 작업;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 과정을 개시하는 작업; 및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의 지시를 송신하는 작업;
단말을 제2 네트워크로 재지향 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모듈(102)은, 이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없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없음을 나타탤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무선 접속을 해제한다.
상기 정보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고, 제1 네트워크의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을 핸드오버하며, 또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고, 제1 네트워크의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을 핸드오버하며, 또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없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없을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무선 접속을 해제한다.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였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작업을 개시한다.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관련 서비스의 QoS 흐름 구축 요청를 수신하였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작업을 개시한다.
상기 정보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제1 네트워크의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을 핸드오버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고,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며, 또한 상기 관련 서비스의 QoS 흐름 구축 요청를 수신하였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작업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상기 관련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긴급 서비스 중 하나를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의 구조 예시도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단말(110)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111), 및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서비스의 작업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11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하 문제를 명확히 하였다. 1)제1 네트워크가 풀 커버리지되지 않은 경우,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2)제1 네트워크가 관련 서비스를 직접 지원하지 않지만 관련 서비스를 위해 설정한 요청을 수신할 때 (예컨대, PDU 세션 설정 요청, QoS 흐름 구축 요청, 서비스 요청 등),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3)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제1 네트워크에서 보장될 수 없는 경우, 단말이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는지 여부의 문제.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의 작업은,
액세스 도메인을 선택하는 작업;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작업; 및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의 요청을 개시 또는 종료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수 있음을 표시할 때, 상기 확정 모듈은,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개시 또는 종료하는 작업;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의 PDU 세션의 설정을 개시하는 작업;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을 지시하는 것을 개시하는 작업; 및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는 것을 선택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없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수 없음을 표시할 때, 상기 확정 모듈은,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를 개시 또는 종료하지 않는 작업;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의 설정을 개시하지 않는 작업;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을 지시하는 것을 개시하지 않는 작업; 및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지 않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상기 관련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긴급 서비스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유닛은 임의의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능일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유닛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 또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은, 코어 네트워크 기기, 코어 네트워크 노드, 코어 네트워크 기능,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 이동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액세스 이동 관리 기능(Access Management Function, AM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W, SGW), PDN 게이트웨이(PDN Gate Way,PDN 게이트웨이),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PCF),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 유닛(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RF), GPRS 서비스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능,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유닛,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비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집중 유닛(Centralized Unit, CU), 분산형 유닛(Distributed Unit, DU), 기지국,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 B, eNB), 5G 기지국(gN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기지국(NodeB), 비 3GPP 상호 작업 기능(Non-3GPP Inter Working Function, N3IWF), 액세스 제어(Access Controller, AC) 노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기기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뿐만 아니라 WCDMA 중의 기지국(NodeB) 일 수 있고, LTE중의 진화형 기지국(eNB, e-NodeB 또는 evolutional Node B) 및 5G 기지국(gNB)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eLTE는 EUTRA가 5GC에 직접 접속되는 방식이다. EPS는 LTE라고 칭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말의 구조 개락도이며, 해당 단말(120)은 무선 주파수 유닛(121), 네트워크 모듈(122), 오디오 출력 유닛(123), 입력 유닛(124), 프로세서(125), 표시 유닛(126), 사용자 입력 유닛(127), 인터페이스 유닛(128), 메모리(129), 프로세서(1210) 및 전원(1212)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12에 도시된 단말의 구조는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고,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프로세서(1210)는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하 문제를 명확히 하였다. 1)제1 네트워크가 풀 커버리지되지 않은 경우,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2)제1 네트워크가 관련 서비스를 직접 지원하지 않지만 관련 서비스를 위해 설정한 요청을 수신할 때 (예컨대, PDU 세션 설정 요청, QoS 흐름 구축 요청, 서비스 요청 등), 어떻게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하는가 하는 문제. 3)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제1 네트워크에서 보장될 수 없는 경우, 단말이 제1 네트워크에 체류하는지 여부의 문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2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2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2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12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12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23)은 무선 주파수 유닛(121) 또는 네트워크 모듈(12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12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123)은 또한, 단말(12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2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2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12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1241) 및 마이크(12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2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12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2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2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121) 또는 네트워크 모듈(12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12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12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핸드오버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120)은,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12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12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단말(12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12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핸드오버, 관련된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된 기능 (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12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12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126)은 표시 패널(12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12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2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27)은 터치 패널(1271) 및 기타 입력 기기(12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2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1271) 상 또는 터치 패널(12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핸드오버시킨 후에 프로세서(1210)로 보내고, 프로세서(12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12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127)은 기타 입력 기기(12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12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1271)은 표시 패널(12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271)은 터치 패널(12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12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12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12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2에서 터치 패널(1271)과 표시 패널(12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이동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1271)과 표시 패널(1261)을 집적하여 이동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128)은 외부 장치가 단말(12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2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이동 통신 단말(12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단말(12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2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29)는 주로 저장 프로그램 영역 및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프로그램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데이터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단말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이동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12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12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동 단말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이동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12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12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2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120)은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2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12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2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12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유닛을 더 제공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유닛은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서비스의 구현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2 네트워크 유닛을 더 제공한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유닛은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서비스의 구현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서비스의 구현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서비스의 구현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요소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 은,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또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기의 실시예 방법이 소프트웨어 플러스 필수적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나, 전자가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경우가 많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된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 (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몇몇 명령들을 포함하여 하나의 단말 (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이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계시하에, 본 개시의 취지 및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벗어나지 않는 정황하에 더 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34)

  1. 제1 네트워크 유닛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유닛은 제1 네트워크 중에 위치하며, 상기 구현 방법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로 상기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련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긴급 서비스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이며;
    상기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지시 정보는,
    IMS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패킷 교환 도메인을 통한 IMS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3GPP 액세스 PS 도메인 세션 방식을 통한 IMS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CS를 통한 IMS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긴급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및
    긴급 서비스 폴백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는,
    제1 네트워크가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작업을 지원하는 관련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였는지 여부;
    제1 네트워크가 구성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인터페이스 방식;
    단말의 제2 네트워크 기능 정보;
    상기 단말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정보;
    제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정보;
    상기 단말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세션 이동 번호;
    상기 단말의 IMS 세션 이동 번호의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의 이동국 국제 사용자 식별자 코드;
    상기 단말의 이동국 국제 사용자 식별자 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의 제1 네트워크에 있는 단말 식별자가 제2 네트워크의 단말 식별자로 매핑될 수 있는지 여부;
    상기 단말의 가입 영구 식별자(SUPI)의 타입이 국제 모바일 사용자 식별자 코드인지 여부;
    상기 단말이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인지의 정보;
    상기 단말이 단일 무선 주파수 또는 이중 무선 주파수인지 여부;
    상기 단말이 음성을 중심으로 하는지 또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는지의 정보;
    운영자 정책;
    운영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구성하는 것을 통해 상기 관련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
    운영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구성하는 것을 통해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지원하는지 여부;
    무선 조건;
    상기 단말의 무선 조건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만족하는지 여부;
    상기 관련 서비스의 정보;
    진행중인 상기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관련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중에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음; 및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음;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관련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작업의 관련 인터페이스 방식은,
    제1 네트워크가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네트워크와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
    제1 네트워크가 제3 네트워크와 인터랙트하고, 제3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의 인터랙트를 통해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의 작업을 구현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유닛은 이동 관리 기능(AM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
  6. 제2 네트워크 유닛에 적용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유닛은 제1 네트워크 중에 위치하며, 상기 구현 방법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포함함 -; 및
    획득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대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대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없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없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고, 제1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고, 제1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없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없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였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작업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 및 상기 관련 서비스의 QoS 흐름 구축 요청을 수신하였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작업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제1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이 존재하지 않고,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였으며, 상기 관련 서비스의 QoS 흐름 구축 요청을 수신하였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작업을 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긴급 서비스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는,
    제1 네트워크가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작업을 지원하는 관련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였는지 여부;
    제1 네트워크가 구성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인터페이스 방식;
    상기 단말의 제2 네트워크 기능 정보;
    상기 단말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정보;
    제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정보;
    상기 단말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허용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의 IMS 세션 이동 번호에 단말의 IMS 세션 이동 번호의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의 이동국 국제 사용자 식별자 코드;
    상기 단말의 이동국 국제 사용자 식별자 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의 제1 네트워크에 있는 단말 식별자가 제2 네트워크의 단말 식별자로 매핑될 수 있는지 여부;
    상기 단말의 가입 영구 식별자(SUPI)의 타입이 국제 모바일 사용자 식별자 코드인지 여부;
    상기 단말은 단일 등록 모드 또는 이중 등록 모드임;
    상기 단말이 단일 무선 주파수 또는 이중 무선 주파수인지 여부;
    상기 단말이 음성을 중심으로 하는지 또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는지 여부;
    운영자 정책;
    운영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구성하는 것을 통해 상기 관련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
    운영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구성하는 것을 통해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지원하는지 여부;
    무선 조건;
    상기 단말의 무선 조건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만족하는지 여부;
    상기 관련 서비스의 정보;
    진행중인 상기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관련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의 관련 작업;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의 관련 작업; 및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의 관련 작업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핸드오버 과정을 개시하는 작업;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 과정을 개시하는 작업;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의 지시를 송신하는 작업;
    단말을 제2 네트워크로 재지향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의 구현 방법.
  9. 제1 네트워크 중에 위치하는 제1 네트워크 유닛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획득 모듈; 및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확정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확정 모듈은 또한,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단말로 상기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관련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긴급 서비스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이며;
    상기 관련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지시 정보는,
    IMS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패킷 교환 도메인을 통한 IMS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3GPP 액세스 PS 도메인 세션 방식을 통한 IMS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CS를 통한 IMS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긴급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및
    긴급 서비스 폴백을 지원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을 하는 제1 네트워크 유닛.
  10. 제1 네트워크 중에 위치하는 제2 네트워크 유닛에 있어서,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획득 모듈 - 상기 정보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의 관련 정보를 포함함 -; 및
    획득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대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작업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모듈은 또한,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없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없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는 것;
    상기 정보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고, 제1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
    상기 정보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고, 제1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진행할 수 없거나 또는 상기 관련 서비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없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는 것;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였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작업을 개시하는 것;
    상기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 및 상기 관련 서비스의 QoS 흐름 구축 요청을 수신하였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작업을 개시하는 것; 및
    상기 정보가 상기 관련 서비스가 제1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이벤트 발생이 존재하지 않고,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였으며, 상기 관련 서비스의 QoS 흐름 구축 요청을 수신하였음을 표시할 때,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까지의 CS의 핸드오버 작업을 개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고,
    상기 관련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긴급 서비스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G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네트워크 유닛.
  1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207031493A 2018-04-04 2019-04-04 서비스의 구현 방법, 네트워크 유닛 및 단말 KR102455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302350.1A CN110351793B (zh) 2018-04-04 2018-04-04 业务的实现方法、网络单元和终端
CN201810302350.1 2018-04-04
PCT/CN2019/081437 WO2019192587A1 (zh) 2018-04-04 2019-04-04 业务的实现方法、网络单元和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753A KR20200139753A (ko) 2020-12-14
KR102455838B1 true KR102455838B1 (ko) 2022-10-17

Family

ID=6810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493A KR102455838B1 (ko) 2018-04-04 2019-04-04 서비스의 구현 방법, 네트워크 유닛 및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70667B2 (ko)
EP (1) EP3780730A4 (ko)
JP (2) JP7267299B2 (ko)
KR (1) KR102455838B1 (ko)
CN (1) CN110351793B (ko)
WO (1) WO2019192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1656A (zh) * 2019-12-04 2021-06-04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业务并发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CN114342467B (zh) * 2019-12-05 2023-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间的互操作方法、装置及系统
CN110944367B (zh) * 2019-12-20 2021-12-24 广东工业大学 一种4g与5g互操作的方法
CN112399517B (zh) * 2020-12-02 2022-08-2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终端切换方法及系统
GB2605504A (en) * 2021-02-17 2022-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anagement of a disaster condition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15209492B (zh) * 2021-04-12 2024-04-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处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497A1 (ko) 2016-08-23 2018-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5g 이동통신에서 음성 통화를 위해 4g로 폴백하는 방법 및 사용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2057B (zh) * 2009-06-22 2013-08-28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处理方法、切换处理的通信装置及通信系统
CN102404815A (zh) * 2010-09-15 2012-04-04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确定网络互操作模式的方法及终端设备
KR101909195B1 (ko) * 2010-11-08 2018-10-18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Srvcc 솔루션을 위한 방법
CN103281757B (zh) * 2013-06-08 2017-02-08 华为终端有限公司 用户设备的通信方法及用户设备
KR102205907B1 (ko) * 2014-02-07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334485B2 (en) * 2014-04-15 2019-06-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nterworking with bearer-based system
KR20150131902A (ko) * 2014-05-16 2015-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호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방법 및 장치
US10104583B2 (en) * 2016-08-26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VoLTE handover mode based on network capability
US10349324B2 (en) * 2016-11-03 2019-07-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User equipment, access node and slice-based handover method thereof
CN106792941B (zh) * 2016-12-20 2019-12-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单射频语音呼叫连续性切换的处理方法及装置
EP3661265A4 (en) * 2017-09-25 2021-04-28 LG Electronics Inc. PROCEDURE FOR SENDING / RECEIVING SIGNALS IN CONNECTION WITH IMS VOICE CARRIERS BY NG-RA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IT
CN109819481B (zh) * 2017-11-20 202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及会话管理网元
WO2019117769A1 (en) * 2017-12-13 2019-06-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repository function in 5gc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497A1 (ko) 2016-08-23 2018-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5g 이동통신에서 음성 통화를 위해 4g로 폴백하는 방법 및 사용자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ina Unicom etal, "Potential implementations of voice service continuity from 5G to 2/3G", 3GPP TSG-SA WG1 Meeting #80, S1-174157, 2017.11.15*
ZTE, "Clarification on the Emergency HO indication for EPS fallback", 3GPP TSG-SA WG2 Meeting #125, S2-180555, 2018.01.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70667B2 (en) 2023-01-31
CN110351793B (zh) 2022-05-31
EP3780730A4 (en) 2021-05-26
JP2022145955A (ja) 2022-10-04
JP7267299B2 (ja) 2023-05-01
KR20200139753A (ko) 2020-12-14
EP3780730A8 (en) 2021-03-31
US20210022049A1 (en) 2021-01-21
CN110351793A (zh) 2019-10-18
EP3780730A1 (en) 2021-02-17
WO2019192587A1 (zh) 2019-10-10
JP2021520127A (ja)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838B1 (ko) 서비스의 구현 방법, 네트워크 유닛 및 단말
KR102467270B1 (ko) 처리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요소
CN110351796B (zh) 一种网络间互操作的方法、终端及网络单元
US20210112412A1 (en) Network access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network element
KR102358644B1 (ko) 서비스 처리 방법, 정보 송신 방법 및 관련 기기
JP7387631B2 (ja) ネットワーク間運用の方法、第1ネットワーク、第3ネットワーク及び端末
KR102435896B1 (ko) 서비스 지시 방법 및 관련 기기
WO2021208816A1 (zh) 业务注册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0519808B (zh) 一种网络间交互的方法、装置及系统
US2021028943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access and communications device
WO2017113079A1 (zh) 一种电路域回落csfb网络保持方法及用户终端
WO2019196799A1 (zh) 一种网络间操作的方法、第一网络、第三网络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