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768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768B1
KR102455768B1 KR1020160002658A KR20160002658A KR102455768B1 KR 102455768 B1 KR102455768 B1 KR 102455768B1 KR 1020160002658 A KR1020160002658 A KR 1020160002658A KR 20160002658 A KR20160002658 A KR 20160002658A KR 102455768 B1 KR102455768 B1 KR 102455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rray
beamforming
terminal
transmission medium
sub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291A (ko
Inventor
주하 카리알라이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8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04B7/043Power distribution using best eigenmode, e.g. beam forming or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2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location or mobility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하여 제공될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안에서 제2 안테나 어레이와 통신하기 위해 제1 안테나 어레이의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는 제1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에 따라 구성될 수 있고, 제1 단말과 연관된다. 그 방법 및 시스템은 각각이 데이터 값과 연관된 제1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의 제1 부분 집합을 식별하되, 그 식별은 상기 제1 또는 제2 안테나 어레이들 중 어떤 하나 이상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그 방법 및 시스템은 제1 부분 집합 내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선택하고,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값과 연관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그 방법 및 시스템은 제1 단말을 이용하여, 선택된 빔포밍 설정에 따라 제1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BEAMFORMING CONFIGURATION}
본 개시는 빔포밍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네트워크 안에서 제2 안테나 어레이와 통신하기 위해 제1 안테나 어레이의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4G(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셀룰라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고정 셀 기지국들 및 모바일 장치들 간을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장치들 간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안테나 어레이들을 이용한다. 그러한 셀룰라 네트워크들이 두 장치들 간의 통신 시 전송 전력량을 줄이기 위해 빔포밍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빔포밍을 하는 큰 안테나 어레이들을 이용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안테나 이득, 어레이 이득(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증가), 다이버시티 및 지향성 이득과 같은 이득들이 얻어질 수 있다.
밀리미터-파(mm-wave 무선 채널들에서의 바람직하지 못한 전파 상태로 인해, 송신기 및 수신기 양측 모두에서 전파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큰 안테나 이득들이 요구된다. 큰 안테나 이득을 달성하기 위해, 높은 지향성의 송신 및 수신 빔포밍을 가능하게 하는 대규모의 안테나 어레이들이 보통 필요로 된다. 밀리미터-파 통신에서 높은 지향성의 송신 및 수신 결과로서, 셀 디스커버리가 가령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 advanced)-A Rel-12에서의 전방향 송신 및 수신과 관련하여 보다 난제가 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UE(user equipment)(모바일 장치들과 같은 사용자 기기)의 근접 시 eNB(eNodeB)를 검출/발견하기 위해, 밀리미터-파 송신기 및 수신기 모두 자신들의 송신 및 수신 빔들을 서로에 맞춰 조정해야 한다. 이것이 철저히 조합적 문제로 이어지는 사소한 작업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철저한 접근 방식에 있어서, 각각의 빔 쌍에 대한 트레이닝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모든 빔 쌍들이 검사된다. 그 결과, 디스커버리 시간이 엄청나게 길어진다.
빔포밍은 송신 안테나들이 의도된 수신 안테나 어레이를 향해 포커싱되고 지향적인 파두(wavefront)를 송신하도록 안테나 어레이들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기법이다. 마찬가지로 수신 안테나 어레이는 빔포밍을 사용하여, 포키싱된 방향으로부터 의도한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송신 안테나들을 구동하기 위한 빔포밍 사용 기법들은 통상적으로, 원하는 파두 포커싱을 설정하기 위해 전자 구동 신호들의 위상 및/또는 진폭을 가변시킨다. 송신 빔포밍된 신호들의 파두들은 다양한 모양을 취할 수 있으며, 이때 어레이 안에 안테나들이 많을수록 그 모양은 더 복잡해진다. 빔포밍된 링크가 설정되었으면, 고 전력 및 적용범위 효율성을 가진 안테나 어레이들을 가진 두 장치들 사이에 통신이 설정될 수 있다.
기존의 네트워크들은 동일한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모든 가능한 빔포밍된 신호들을 송신하고, 신호들 중 어느 것이 가장 큰 강도를 가진 것으로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었는지를 식별함으로써 빔 디스커버리를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가 모든 가능한 빔포밍된 신호 모양들을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수행되는 경우, 송신 어레이에서 많은 양의 처리 전력과 시간이 요구된다. 이와 달리, 프로세스가 다양한 빔포밍된 신호들을 차례로 송신함으로써 빔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경우는 네트워크 데이터 레이트들과 비교하여 긴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미래의 네트워크들을 구현할 때 이러한 요소들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셀룰라 네트워크 안에서 제2 안테나 어레이와 통신하기 위해, 제1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에 따라 구성될 수 있고 제1 단말과 연관된 제1 안테나 어레이의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의 제1 부분 집합을 식별하되, 상기 제1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 각각은 데이터 값과 연관되어 있고, 상기 식별은 상기 제1 또는 제2 안테나 어레이들 중 어떤 하나 이상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 상기 제1 부분 집합 내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값과 관련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빔포밍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는 이하의 내용 중 어떤 하나 이상을 비한정적으로 포함하는 이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어떤 적절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빔포밍 설정의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과 연관되어 있는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2 안테나 어레이가 제2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로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의 제2 부분 집합을 식별하되,
상기 제2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 각각은 데이터 값과 연관되고, 상기 식별은 상기 제1 또는 제2 안테나 어레이들 중 어떤 하나 이상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2 부분 집합 내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값과 관련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빔포밍 설정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3 단말을 사용하여 데이터 값들의 상기 제1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 제1 송신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송신 장치가 유선 송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3 단말을 사용하여 데이터 값들의 상기 제2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 제2 송신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송신 장치가 무선 송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송신 장치가 무선 웨이브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또는 제2 안테나 어레이들 중 어떤 하나 이상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가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와 관련된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와 관련된 위치 정보 중 어떤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제1 안테나 어레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의 삼각측량법으로부터 도출된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의 위치와 관련된 GPS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 및 상기 제1 단말이 셀 기지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가 각각이 관련된 제1 단말과 통신하는 복수의 제1 안테나 어레이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들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의 부분 집합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된 빔포밍 설정들과 관련된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값과 관련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관련된 제1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빔포밍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단말을 사용하여 데이터 값들의 상기 제1 집합들 각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제1 송신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연관된 제1 단말들로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가 각각이 관련된 제2 단말과 통신하는 복수의 제2 안테나 어레이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들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의 부분 집합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값과 관련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관련된 제2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빔포밍 설정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단말을 사용하여 데이터 값들의 상기 제2 집합들 각각을 선택하거나 생성하는 단계; 제2 송신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연관된 제2 단말들로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이 모바일 통신 장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 및 상기 제3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값 집합들을 수신 및 처리하고, 전자 신호들을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로 전송하는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3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값 집합들을 수신 및 처리하고, 전자 신호들을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로 전송하는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에 기술된 것과 같은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를 구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셀룰라 네트워크 안에서 제2 안테나 어레이와 통신하기 위해 제1 안테나 어레이의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시스템은 제1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제1 안테나 어레이;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와 관련되어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제1 단말; 및 각각이 데이터 값과 연관된 상기 제1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의 제1 부분 집합을 식별하되, 상기 식별은 상기 제1 또는 제2 안테나 어레이들 중 어떤 하나 이상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고; 상기 제1 부분 집합 내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으로부터 적어도 한 데이터 값과 관련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빔포밍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시스템.
제2 양태는 이하의 내용 중 어떤 하나 이상을 비한정적으로 포함하는 이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어떤 적절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3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제2 안테나 어레이가 제2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로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각각이 데이터 값과 연관된 상기 제2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의 제2 부분 집합을 식별하되, 상기 식별은 상기 제1 또는 제2 안테나 어레이들 중 어떤 하나 이상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고; 상기 제2 부분 집합 내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선택하고, 제1 송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도록 설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송신 장치가 유선 송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선택하고, 제2 송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도록 설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 송신 장치가 무선 송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 송신 장치가 무선 웨이브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들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및 시스템의 구성들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셀룰라 네트워크 안에서 제2 안테나 어레이(6)와 통신하기 위해 제1 안테나 어레이(4)의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2)이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 어레이(4)는 제1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어레이(4)와 연관된 제1 단말(10)이 제공된다. 제1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의 제1 부분 집합(8)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가 또한 제공된다. 제1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 각각은 데이터 값과 연관되어 있다. 제1 부분 집합(8)의 식별은 제1 또는 제2 안테나 어레이들(4 또는 6) 중 어떤 하나 이상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한다. 프로세서는 또한, 제1 부분 집합 내 하나 이상의 빔포밍 설정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제1 단말(10)은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으로부터 적어도 한 데이터 값과 관련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다. 제1 단말(10)은 선택된 빔포밍 설정에 따라 제1 안테나 어레이(4)를 설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안테나 어레이를 설정(또는 구성)한다는 언급이 이루어질 때, 그것은 빔포밍된 송신에 기여하는 다양한 안테나 요소들로 정확한 구동 신호들(위상 및 진폭)을 전해준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빔포밍된 설정에 따라 구성된 송신 빔포밍된 신호 수신을 위한 어레이는 특정 빔포밍된 신호에 따라 유입되는 신호들을 최적으로 수용하도록 설정된 자체 관련 연결 전자 검출 구성요소들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은 빔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중에 전송(또는 수신)할 빔포밍된 신호들의 수가 줄어든 어레이들(4, 6)을 제공하고, 이것은 다시 빔 디스커버리에 요구되는 전력 및/또는 걸리는 시간을 줄이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복수의 빔포밍된 설정들은 어레이 안의 모든 안테나들을 활용함으로써 이용 가능한 모든 가능한 빔포밍 파두 모양들의 개수일 수 있다. 제1 단말(10)이 제1 어레이(4)를 구동할 수 있게 하는 이용 가능한 설정들의 개수는 클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개를 넘는 설정들일 수 있다. 빔포밍 모양들의 부분 집합(8) 만을 고려하여, 제1 단말(10)은 제1 어레이(4)를 구동하여 10 이하의 빔포밍된 설정들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것은 빔포밍 디스커버리에 필요한 에너지 및/또는 시간 자원을 크게 낮춘다.
시스템(2)은 제1 또는 제2 안테나 어레이들(4 또는 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빔포밍 어레이 설정을 낳을 가능성이 높은 빔포밍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위한 후보 빔포밍 모양들을 선택한다. 송신기 어레이(4)로부터 나오는 빔포밍된 신호의 방향성과 위치 정보로부터 얻어진 제2 안테나들(6)의 하나 이상의 예상 위치들을 비교하는 프로세스에 위치 정보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정보의 예들로는, 비한정적으로, 제1 또는 제2 어레이들(4 또는 6)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GPS 데이터, 어레이들(4, 6)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 위치 정보는 베이스 셀 송신기와 같은 고정 송신기의 표면 위치일 수 있다. 위치 정보는 모바일 단말(12)과 관련된 위치 정보와 같은 실제의 실시간 정보(즉,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어레이에 대한 위치 데이터)일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일정 거리가 이격된 설정의 여러 어레이들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내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삼각측량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위치 정보는 또한, 어레이의 수직(높이) 정보(즉, 어레이가 지상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또는 소정 높이 수준 위나 아래로의 그 수직의 정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는 유무선 송신을 포함하는 어떤 적절한 수단에 의해 생성되어 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다.
송신 및/또는 수신 어레이 근처의 장애물들을 보여주는 지도와 같이, 프로세서가 그러한 장애물들에 의해 최소한의 영향을 받는 후보 빔포밍 모양(8)을 선택하게 할 수 있는 다른 정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8)은 하나 또는 복수의 후보 빔포밍 설정들(8)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제1 복수의 이용 가능한 빔포밍 설정들의 총 수 보다는 적은 수의 설정들을 가진다. 특정 데이터 값과 연관된 특정 어레이에 대한 각각의 빔포밍 설정은 어레이를 전자적으로 설정하는 프로세서 및 장치(또는 단말)이 일련의 공통 값들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어레이를 전자적으로 작동시키는 단말과 프로세서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통신하고 있을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값이나 코드가 단말로 보내져서 원하는 빔포밍된 모양으로 어레이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값은 다른 빔포밍된 설정들을 나타내는 다른 데이터 값들로부터 구분 가능한 짧은 코드(인덱스 등)와 같은 작은 값이다. 어레이를 설정하기 위해 보다 복잡한 명령어들의 집합을 나타내도록 작은 데이터 값을 이용하면, 빔포밍된 설정 데이터가 유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효율적으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연관된 장치나 단말은 그에 따라, 어레이(4, 6)와 연관된 단말(10, 12)과 소정 값들, 코드들 또는 '코드북'의 공통 리스트를 공유할 수 있다. 프로세서 단말이 여러 어레이들을 담당하면, 상기 단말은 각각의 어레이 당 하나씩 여러 리스트들이나 코드북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또는 광 신호들을 동작시키고 송신 수단으로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는 어떤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원리적으로, 이 명세서에 기술된 단말 장치들(10, 12, 14)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또는 제2 안테나 어레이들(4 또는 6)과 연관된 제1 단말(10) 및 어떤 제2 단말(12) 장치로부터 원격으로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셀룰라 네트워크는 원리적으로, 어떤 하나 이상의 통신 규격들 및/또는 통신 베이스 주파수들 및/또는 데이터 레이트들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임의 유형의 셀룰라 네트워크일 수 있다. 셀룰라 네트워크는 매크로 오버레이드(overlaid) 네트워크(최소한 제2 단말들(12)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됨), 가령 LTE-A가 존재할 때 배치될 수 있는 작은 셀들(셀 기지국들 등)에서 사용되는 것들과 같은 밀리미터 웨이브(밀리미터-파) 제1 단말들(4)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배치된 밀리미터-파 소형 셀들(제1 안테나 어레이들(4)을 가짐)은 오버레이드 매크로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동작된다고 추정된다. 제1 단말들(10)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어레이들(4)mm 웨이브 (베이스) 주파수대는 6과 100GHz 사이에 있음이 바람직하다. 제2 단말들(12)(즉, 매크로 오버레이드 네트워크)과 통신하기 위해 제3 단말(14)에 의해 사용되는 mm 웨이브 (베이스) 주파수대는 1과 6GHz 사이에 있음이 바람직하다.
안테나 어레이들(4, 6)은 원리적으로, 어떤 타입 및 디자인의 안테나 어레이들일 수 있으며, 다양한 빔포밍 설정들을 설정하기 위해 협력하여 (단말 장치(10, 12)에 의해) 동작되는 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예컨대 제1 어레이(4))는 셀 기지국 상의 어레이임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어레이(4)는 10-1000 사이의 안테나들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안테나 어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가령 제2 어레이(6))는 비한정적으로 모바일 전화기와 같은 모바일 단말 장치(12) 안에 있거나 그와 통신하는 어레이임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어레이(6)는 10-200 사이의 안테나들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안테나들은 밀리미터(mm) 웨이브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단말들(10, 12, 14)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가령, 상술한 프로세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 및 다른 단말들(10, 12, 14)과 같은 다른 장치들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장치(4, 6, 16, 18, 2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단말의 예가 ENodeB 단말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및 시스템의 구성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제2 어레이(6)는 제2 단말(12)과 연관된다. 이 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성들 및 구성요소들에 대한 변경들과 옵션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1 어레이(4)는 셀 기지국에 위치하고, 제2 어레이(6)는 모바일 장치(12) 안에 위치함이 바람직하지만, 원리적으로 어떤 두 어레이들 및 관련 단말들도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단말들(10 및 12)과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제3 단말(14) 안에 내장된다.
이 예에서 제3 단말(14)은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선택하고, 제1 송신 장치(16)를 이용하여 그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제1 단말(10)로 송신한다. 제1 송신 장치(16)가 유선 송신 매체(22)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전송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기지국들과 같은 고정 어레이들/단말들(4, 10) 사이를 연결하는 백홀(backhaul) 네트워크 송신 채널(22)일 수 있다.
데이터 값들의 제1 집합을 수신하면, 제1 단말(10)은 제1 어레이(4)를 구동하기 위해 그 부분 집합 안의 빔포밍된 신호들 중 하나, 하나 이상, 또는 전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각각의 데이터 값(제3 단말(14)로부터 수신됨)을 빔포밍된 설정들에 대응하는 값들의 소정 리스트와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값들을 제2 단말(12)로 전송하기 위한 유사한 프로세스가 시작될 수 있으며, 이때 제3 단말(14)은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선택하고, 제2 송신 장치(18)를 사용하여 그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제2 단말(12)로 송신한다. 그러면 제2 단말(12)은 수신된 값들에 의해 표현되는 빔포밍 설정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한다. 제2 송신 장치(18)가 무선 송신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값들의 제2 집합을 전송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매체는 어레이들(4, 6)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는 다른 베이스 주파수의 무선 웨이브들임이 바람직하다.
a) 제1 어레이에 대한 제2 어레이(6); b) 제3 단말(14)에 대한 제2 단말(12)의 듀얼 접속(각각의 접속은 다른 송신 매체 및/또는 주파수 범위를 사용함)은 네트워크가 제1 및 제2 어레이들(4, 6) 사이의 메인 접속에 대한 대역폭까지 사용하지 않고도 이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추가 기능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제1 단말(10)은 제3 단말(14)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전자 또는 광 수신기와 같은 장치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제2 단말(12)은 제3 단말(14)과 통신하고 제3 단말(14)로부터 데이터 값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2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장치(20)의 예가 LTE-A 무선이다.
시스템(2) 및 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모바일) 단말(12)에는 제1 어레이(4)와 관련된 제1 복수의 빔포밍 설정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들의 리스트가 제공된다. 제공된 리스트 내 각각의 데이터 값은, 제2 단말(12)이 특정 빔포밍 모양을 이용하여 제1 단말/어레이(4, 10)로부터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와 동반되거나 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제1 어레이(4)가 빔 디스커버리를 설정하기 위해 빔포밍된 신호들을 전송하기에 앞서, 임의의 시점에 임의의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제2 단말(12)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구현예에서, 제1 단말(10)은 제1 어레이(4)를 구동하여, 선택된 빔포밍된 설정들의 제1 부분 집합(8)에 따라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할 것이다(예를 들어 3 개의 빔포밍된 설정들이 선택되었고, 그에 따라 제1 어레이(4)에 의해 출력된다). 선택된 모든 빔포밍된 설정들은 제1 어레이(4)에 의해 동시에 출력됨이 바람직하다. 제2 (모바일) 단말(12)은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3 단말(10 또는 14) 중 어느 하나로부터 모바일 장치(12)로 전송된 동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제1 단말(10)과 동기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동기는, 제1 단말(10)이 선택된 빔포밍된 신호들의 제1 부분 집합(8)으로 제1 어레이(4)를 설정하는 것과 같은 시간에 제2 단말(12)이 선택된 빔포밍된 신호들의 제2 부분 집합으로 제2 어레이(6)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제2 어레이(6)를 위해 선택된 빔포밍된 설정들은 제1 어레이(4)로부터의 빔포밍된 신호들의 출력과 동기되어 동시에 출력됨이 바람직하다.
제2 단말(12)은 자신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어레이 빔포밍된 설정들의 어떤 쌍이 최적의 (가장 강한) 신호 처리율을 제공하는지를 분석한다. 이것은 예컨대, 각각의 제1 어레이 빔포밍된 설정으로 보내진 데이터의 서로 다른 시퀀스들을 가짐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단말(12)이 그들 사이를 구별할 수 있게 한다. 그러면 제2 단말(12)은 제3 단말(14)로, 최소한 제1 어레이(4)의 최적 빔포밍된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을 보낼 수 있다. 이것은 제3 단말(14)에서 제2 단말(12)로 데이터 값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송신 수단(20)을 포함하는 어떤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3 단말(14)은 제1 단말(10)로 동일한 최적의 데이터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어레이(4)에 대한 최적의 빔포밍된 설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때, 제1 단말(10)은 제1 어레이(4)만을 구동하여 그 최적의 빔포밍된 설정을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예들 중 어느 것이든 복수의 제1 안테나들(4) 및 관련된 제1 단말들(10)을 구비하는 셀룰라 네트워크 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복수의 제1 안테나들(4)과 단말들(10)은 비한정적으로 eNodeB(10)와 같이 관련 단말 하드웨어를 가진 복수의 셀 기지국들임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eNodeB(10)는 유선 백홀(22) 네트워크를 통해 제3 단말(14)에 연결된다. 제3 단말(14)은 이 예에서, 매크로 eNodeB라 불릴 수 있는 추가 eNodeB 단말 장치임이 바람직하다. 제3 단말(14)은 송신/수신 장치(16)를 이용하여 유선 백홀(22)을 통해 제1 단말들에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및 시스템(2)의 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3 단말(14)은 하나 이상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 채널들을 통해 셀룰라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들이나 다른 네트워크들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3 단말(14)은 또한 네트워크 내 복수의 제2 단말들(12)로 무선 전송하는 하드웨어(18)를 가진다. 이러한 제2 단말들(12)은 모바일 전화기와 같은 모바일 단말 장치들(12)임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단말 장치들(12)은 각각, 제1 어레이들(4) 및 그에 따라 제1 단말들(10)과 통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 어레이(6)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단말들(12)은 제3 단말(14)과 통신하기 위한 소프트에어/펌웨어를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트랜시버 하드웨어(20)를 더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 트랜시버 하드웨어(20)의 예가 무선, 바람직하게는 LTE-A 무선이다.
제3 단말(14)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과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요소들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어떤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전자, 광전자, 또는 광학적 하드웨어(비한정적으로 광학적 또는 전기적 수신기, 송신기, 트랜시버와 같은 하드웨어)를 가진다. 제3 단말(14)의 메모리 요소들은 적어도,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과 같이 제3 단말을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메모리 요소들은 적어도, 제3 단말(14)이 지원하는 클러스터 안의 제1 안테나들(4) 각각에 대해, 빔포밍 설정들과 관련된 데이터 값들을 더 포함한다. 데이터 값들은 데이터베이스, 그렇지 않으면 코드북이나 코드 리스트에 저장될 수 있다.
제3 단말(14)은 또한, 네트워크 내 제2 단말(12) 어레이들(6)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은 제3 단말(14)의 메모리 요소들 안에 미리 로딩되거나, 제2 (모바일) 단말(12)이 제3 단말(14)이 관리하는 제1 어레이들(4)의 클러스터의 지리적 적용범위로 들어올 때, (다른 네트워크 관리 단말과 같은 다른 소스를 통하거나 제2 단말(12)에 의해) 제3 단말(14)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상술한 예에서의 빔포밍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는 이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기술되는 바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제3 단말(14)은 후보 빔포밍 설정들을 설정하기 위해, 위치 기반 정보를 이용하고 이 정보를 제1 및 제2 (4 및 6) 어레이들의 빔포밍 설정들과 비교한다. 빔포밍 설정들의 최적화된 부분 집합(8)을 설정한 후, 제3 단말(14)은 적합한 코드북을 분석하여, 상술한 유선(22) 및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제1 및 제2 단말들(10 및 12)에 각각 전송할 적합한 데이터 값(들)을 설정 및 선택한다.
추가 설정 옵션들
상술한 시스템들(2) 및 방법들 중 어느 하나는 이하에 기술되는 다음과 같은 개념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변경 또는 적응될 수 있다.
(제1 단말들(10)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어레이들(4)은 (제2 단말(12)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어레이(6)가 수신하고자 하는 빔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발송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주기적 발송은 제1 단말(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제2 단말들(12)과 동기화될 수 있다. 동기화는 제1 및 제2 단말들(10 및 12) 사이에 직접적으로 전송된 기존 데이터들 간에 바로,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통신 수단을 이용(가령, 제1 단말들(10)로/로부터의 전송을 위한 유선 백홀(22), 및 제2 단말들(12)로/로부터의 전송을 위한 LTE-A 무선과 같은 무선 장치(18)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단말들(10 및 12)로 동기화 신호들을 보내는 제3 단말(14)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3 단말(14)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제1 단말들(10) 중 하나 이상에서 어느 것을(가령, 클러스터 안의 고정 셀 기지국들 중 어느 것을) 네트워크 내 (관련 어레이들(4, 6)을 통해) 제2 단말들(12)로 주기적 빔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발송하는데 사용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단말(14)이 6 개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가진 6 개의 제1 단말 기지국들의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경우, 제3 단말(14)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그러한 6 개의 기지국들에서 2 개만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단말들(10)의 상기 선택이 이루어졌으면, 제3 단말(14)은 상기 선택된 단말들(10)로 (가령, 빔포밍 데이터 값들의 발송을 통해) 빔 디스커버리를 개시하기 위한 명령어들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데이터는 상술한 유선 백홀 네트워크(22)를 포함하는 어떤 수단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제3 단말(14)은 이러한 선택을, 선택된 기지국들(제1 단말(10)/어레이(4)) 각각에 대한 이용 가능한 빔포밍 설정들의 부분 집합을 선택하는 것에 더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3 단말(14)은 또한, 특정 제1 단말(10) 및 타깃 제2 모바일 단말(12) 간 원하는 데이터 전송을 달성하는 호환성 및/또는 제1 단말들(10)을 통한 네트워크 로드를 검사함으로써 제1 단말들(10) 중 어느 것으로 빔 디스커버리를 개시할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바일) 단말(12)에 가장 가까운 제1 단말(10)은 이미 높은 데이터 레이트의 통신문들을 몇몇 다른 제2 단말들(12)로 보내고 있을 수 있는 반면, 타깃 제2 (모바일) 단말(12)에 두 번째로 가까운 제1 단말(10)은 보다 적은 네트워크 로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3 단말(14)은 가장 가까운 제1 단말(10)로 어떤 데이터도 보내지 않을 수 있고, 다음으로 가까운 제1 단말(10)로만 데이터를 보낸다. 시스템(2)이나 방법은 그에 따라, 로드 밸런스 문제들을 고려할 수 있다.
제3 단말(14)이 어느 하나 이상의 제1 단말들(10)이 타깃 제2 단말(12)과의 빔 디스커버리를 위해 빔포밍 데이터 값들을 전송할지(및 어떤 빔포밍 설정들의 부분 집합을 사용할지)를 결정하였으면, 그것은 타깃 제2 단말(12)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12)이 빔 디스커버리를 위해 어떤 제1 단말들(10)이 선택되었는지와 그들이 전송하려고 하는 것이 어느 빔포밍 설정들인지(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언제)를 알게 할 수 있다. 제1 단말 데이터의 수신 시, 제2 단말(12)은 제1 단말(10) 및 그와 연관된 어레이(4)를 통해 정렬된 빔 쌍을 성공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자신과 관련된 제2 안테나 어레이(6)를 위해 어떤 빔포밍 설정들을 취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혹은 대안적으로, 제2 어레이(6)에 의해 사용될 빔포밍 설정들에 대한 이러한 분석 및 결정은 제3 단말(14)에 의해 산정되어 제2 (모바일) 단말(12)로 보내질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선택된 제1 및 타깃 제2 단말들(10 및 12) 사이의 빔 디스커버리 절차(가령, 빔포밍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각각의 안테나들(4, 6)의 주기적 설정)를 동기시키는 데이터와 같은 다른 데이터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빔 디스커버리에 사용할 제1 단말들(10)의 일반적인 선택에 더해, 상술한 빔 디스커버리 안테나 설정들의 후보 부분 집합(8)으로의 감소는, 네트워크를 운영하는데 있어 (제1 및 제2 단말들 간에) 보다 적은 mm 웨이브 무선 전송들이 필요로 됨을 의미한다. 이것은 네트워크에서 요구되는 전기적 처리 전력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네트워크 안에서 전송되고 있는 여러 무선 파형들 간의 원치 않는 간섭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예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시스템들(2) 및 방법들은 이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 기술된 어떤 적절한 구성요소, 방법의 단계나 특징적 구성 옵션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8)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2 안테나 어레이와 통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 어레이를 위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 및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와 다른 제3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3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의 위치와 관련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에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제1 빔포밍 설정들로부터 제1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을 식별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는 제1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는 제2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빔포밍 설정들 각각은 서로 다른 데이터 값과 연관되고;
    상기 제3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에 포함된 각 빔포밍 설정과 연관된 제1 데이터 값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3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장치로, 상기 제1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에 포함된 각 빔포밍 설정과 연관된 상기 제1 데이터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와 빔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3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의 위치와 관련된 GPS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에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제2 빔포밍 설정들로부터 제2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을 식별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2 빔포밍 설정들 각각은 서로 다른 데이터 값과 연관되고;
    상기 제3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을 기반으로 상기 제2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에 포함된 각 빔포밍 설정과 연관된 제2 데이터 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장치로, 상기 제2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에 포함된 각 빔포밍 설정과 연관된 상기 제2 데이터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와 빔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와 빔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장치로 전송되는 명령어들은 제1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매체는 유선 송신 매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와 빔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는 명령어들은, 상기 제1 송신 매체와 상이한 제2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매체는 무선 송신 매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매체는 무선 파형들을 이용하는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셀 기지국 안테나 어레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의 삼각측량으로부터 도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셀 기지국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셀 기지국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셀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상기 셀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셀 기지국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는 모바일 통신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2 안테나 어레이와 통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 어레이에 대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는 제3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 및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와 상이한 제3 안테나 어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의 위치와 관련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에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제1 빔포밍 설정들로부터 제1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을 식별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는 제1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는 제2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빔포밍 설정들 각각은 서로 다른 데이터 값과 연관되고,
    상기 제1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에 포함된 각 빔포밍 설정과 연관된 제1 데이터 값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장치로, 상기 제1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에 포함된 각 빔포밍 설정과 연관된 상기 제1 데이터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와 빔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의 위치와 관련된 GPS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에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제2 빔포밍 설정들로부터 제2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을 식별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2 빔포밍 설정들 각각은 서로 다른 데이터 값과 연관되고,
    상기 제1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을 기반으로 상기 제2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에 포함된 각 빔포밍 설정과 연관된 제2 데이터 값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장치로, 상기 제2 빔포밍 설정 부분 집합에 포함된 각 빔포밍 설정과 연관된 상기 제2 데이터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와 빔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3 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와 빔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명령어들을 제1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3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매체는 유선 송신 매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3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와 빔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명령어들을 상기 제1 송신 매체와 상이한 제2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장치로 전송하는 제3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매체는 무선 송신 매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3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매체는 무선 파형들을 이용하는 제3 장치.
KR1020160002658A 2015-01-09 2016-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55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500375.9A GB2533966B (en) 2015-01-09 2015-01-09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beamforming configuration
GB1500375.9 2015-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291A KR20160086291A (ko) 2016-07-19
KR102455768B1 true KR102455768B1 (ko) 2022-10-18

Family

ID=5259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658A KR102455768B1 (ko) 2015-01-09 2016-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83046B2 (ko)
KR (1) KR102455768B1 (ko)
GB (1) GB25339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1328B (en) * 2016-06-10 2020-02-19 Bluwireless Tech Ltd Clock synchronisation in wireless mesh communications networks
CN107689820A (zh) * 2016-08-03 2018-02-13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服务器以及无线通信方法
CN107786249A (zh) * 2016-08-18 2018-03-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联合波束成形方法、发射机以及接收机
US10650621B1 (en) 2016-09-13 2020-05-12 Iocurrents, Inc. Interfacing with a vehicular controller area network
CN108631838A (zh) * 2017-03-24 2018-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信令的发送方法,装置和系统
WO2018208966A1 (en) 2017-05-09 2018-11-15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Planar phased array antenna
US11039400B2 (en) 2017-05-18 2021-06-15 Sony Corporation Method for performing radar-assist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S10312985B2 (en) * 2017-06-16 2019-06-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beamforming for wireless stations that have fixed locations
US10484056B2 (en) 2017-08-01 2019-11-19 Keysight Technologies, Inc. Analog beam simulation for wired device testing in CP-OFDM systems
US10681593B2 (en) * 2017-11-30 2020-06-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ssion transfer for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KR102439425B1 (ko) * 2017-12-21 202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EP3818642A1 (en) * 2018-07-06 2021-05-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rst network node methods therein for handling directions of transmission of beamformed beams
US10735110B2 (en) 2018-12-07 2020-08-04 Keysight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esting and modeling beamforming capabilities of a device under test
US20220167180A1 (en) * 2019-02-15 2022-05-2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beam in sidelink communication
KR20200113856A (ko) * 2019-03-26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집합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백오프 제어 방법
US11438052B2 (en) * 2019-11-27 2022-09-06 Qualcomm Incorporated Joint transmit and receive beam-sweeping for sidelink
US11088744B1 (en) 2020-02-07 2021-08-10 Keysight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5G digital beamforming testing
US11764837B2 (en) * 2020-11-12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tting reception beam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4440A1 (en) * 2011-10-17 2013-04-18 Mehran Moshfeghi Method and system for centralized or distributed resource management in a distributed transceiver network
US20150004918A1 (en) 2011-12-08 2015-01-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3165B2 (en) * 2000-08-16 2006-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rray apparatus and beamforming method using GPS signal for base st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6973314B2 (en) * 2001-09-28 2005-12-06 Arraycomm Llc.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clustering multi-point communication targets
US7787554B1 (en) * 2006-05-02 2010-08-31 Marvell International Ltd. Beamforming to a subset of receive antennas in a wireless MIMO communication system
US8374650B2 (en) * 2006-09-27 2013-02-12 Apple, Inc. Methods for optimal collaborative MIMO-SDMA
FR2922064B1 (fr) * 2007-10-05 2011-04-15 Thales Sa Procede de pilotage d'antennes intelligentes au sein d'un reseau de communication
US9088901B2 (en) * 2010-02-11 2015-07-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50686B2 (en) * 2012-08-31 2018-08-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US20160118716A1 (en) * 2014-10-23 2016-04-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Beam Align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4440A1 (en) * 2011-10-17 2013-04-18 Mehran Moshfeghi Method and system for centralized or distributed resource management in a distributed transceiver network
US20150004918A1 (en) 2011-12-08 2015-01-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04507A1 (en) 2016-07-14
GB2533966A (en) 2016-07-13
GB2533966B (en) 2017-08-02
GB201500375D0 (en) 2015-02-25
KR20160086291A (ko) 2016-07-19
US11083046B2 (en) 202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7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611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high frequency multi-carrier operations with spatial quasi co-location
US10355761B2 (en) Beam administration methods for cellular/wireless networks
EP2839589B1 (en) Hierarchical channel sounding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in massive mimo systems
US9161318B2 (en) Configuring power distribution within cooperation areas of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US10009075B2 (en) Operation for 3D beam 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30548B2 (en) Unifying message to support downlink beam management over multiple groups of beam paired links (MGBPL)
JP6572305B2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信号を受信し及び送信するための、アクセスノード及びビーム形成方法
US201601742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bea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ultrahigh frequency wave band
KR20190035777A (ko) 대규모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된 브로드캐스트 및 동기화 신호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135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탐색 및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8092698B (zh) 一种波束训练方法及装置
WO20170453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st beamforming setup
KR102109606B1 (ko) 빔포밍 기반 무선 백홀 형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JP6296165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ユーザ機器と基地局との間でデータを送信する方法
US103821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36182B2 (en) Operating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43010B2 (en) Composite beam pairing
US11616561B2 (en) Beam selection for terminal devices in MU-MIMO operation
WO2017167532A1 (en) Beamforming device for forming different beams for control and data signal
KR20180064319A (ko) 복수의 ru를 이용한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