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740B1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740B1
KR102455740B1 KR1020170164476A KR20170164476A KR102455740B1 KR 102455740 B1 KR102455740 B1 KR 102455740B1 KR 1020170164476 A KR1020170164476 A KR 1020170164476A KR 20170164476 A KR20170164476 A KR 20170164476A KR 102455740 B1 KR102455740 B1 KR 10245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ub
washing
tub
laundry
do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5048A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740B1/en
Publication of KR20190065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0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7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이 담기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1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 1 세탁조, 제 2 세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를 상기 제 1 세탁조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 1 세탁조에서 분리시키는 탈착유닛을 포함한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torage tub containing water, a first washing tub rotatably provided in the water storage tub to accommodate the first laundry, and a second laundry accommodating,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a second washing tub which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and a detachable unit for selectively coupling the second washing tub to the first washing tub or separating the second washing tub from the first washing tub.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ING APPARATUS}Laundry processing equipment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second laundry tub detachably installed in a first laundry tub.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도 함.)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 젖은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상기 세탁물을 탈수시기는 탈수기,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 내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건조 기능과 세탁 기능을 함께 갖춘 건조 겸용 세탁기 등이 있다.A laundry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for processing laundry through various actions such as washing, dehydration and/or drying.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uses water and detergent to remove contamination from laundry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cloth”) and rotates a drum in which wet laundry is placed at high speed. There are a dryer for drying the laundry by supplying dry air into the inserted drum, and a washing machine for drying with both a drying function and a washing function.

최근에는 두 개의 세탁조가 구비되는 세탁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큰 용량의 세탁조와 작은 용량의 세탁조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세탁조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의 세탁조가 동시 또는 이시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나아가 소량 세탁이 필요한 경우 작은 용량의 세탁조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상기 두 개의 세탁조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세탁조들을 각각 수용하는 공간들로 인해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될 수 밖에 없고, 세탁조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들, 급수를 위한 급수기구들, 배수를 위한 배수기구들이 각각 두 개씩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품의 가격 또한 상승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Recently,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two washing tubs has been provided. Such a washing machine has a large capacity washing tub and a small capacity washing tub, and each washing tub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Such a washing machine is convenient because each washing tub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d furthermore, when a small amount of washing is required, only a washing tub having a small capacity can be used, so it is very economical. However, in this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since the two washing tubs are separated, the overall size of the product is inevitably increased due to the spaces accommodating the washing tubs, respectively, driving units for driving the washing tubs, and water supply for water supp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ice of the product also rises because two devices are required for each of the drainage devices for drainage.

또한, 종래의 두 개의 세탁조가 구비되는 경우, 보조 세탁조는 메인 세탁조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게 되는데, 사용자의 인력에 두 개의 세탁조를 착탈하였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2개의 세탁조를 인력으로 착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고, 보조 세탁조를 구비하는 경우, 도어를 열었을 때, 메인 세탁조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것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two washing tubs are provided, the auxiliary washing tub is coupled to the main washing tub and rotated together. Therefore,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attach and detach the two washing tubs by manpower, and when an auxiliary washing tub is provided, it is very inconvenient to put laundry into the main washing tub when the door is open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소용량의 세탁의 경우, 자동으로 제 1 세탁조가 제 2 세탁조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대용량 세탁의 경우, 제 1 세탁조가 제 2 세탁조에서 분리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in the case of small-capacity washing, the first washing tub is automa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washing tub and rotates integrally, and in the case of large-capacity washing, the laundry in which the first washing tub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washing tub to provide processing equipment.

둘째, 대용량 세탁의 경우 제 2 세탁조만 이용되는 중에, 제 1 세탁조가 도어 어셈블리에 구속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econd, in the case of large-capacity washing, while only the second washing tub is use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the first washing tub is restrained by a door assembly is provided.

셋째,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의 상부에 설치된 제 2 세탁조가 일체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ird,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prevents the second washing tu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while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installed on the first washing tub are integrally rotated.

넷째, 회전 중에는 상기 제 2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가 자동으로 락되고, 회전이 정지되면, 락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Fourth,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and the first washing tub are automatically locked during rotation, and the locked state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the rotation is stopped.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이 담기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1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 1 세탁조, 제 2 세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를 상기 제 1 세탁조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 1 세탁조에서 분리시키는 탈착유닛을 포함한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torage tub containing water, a first washing tub rotatably provided in the water storage tub to accommodate the first laundry, and a second laundry accommodating,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a second washing tub which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and a detachable unit for selectively coupling the second washing tub to the first washing tub or separating the second washing tub from the first washing tub.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 2 세탁조를 상기 도어 어셈블리에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achable unit may constrain the second washing tub to the door assembly when the second washing tub is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상기 탈착유닛은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세탁조를 들어올리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적어도 2개의 경사캠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tachment un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t least two inclined cam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to rotate about the vertical direction and selectively lifting o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second washing tub.

다르게는, 상기 탈착유닛은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세탁조를 들어올리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적어도 2개의 회전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etachment un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t least two rotating hook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to rotate about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selectively lifting o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second washing tub. have.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소용량의 세탁의 경우, 자동으로 제 1 세탁조가 제 2 세탁조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대용량 세탁의 경우, 제 2 세탁조가 제 1 세탁조에서 분리되므로, 대용량 세탁 시에는 제 2 세탁조의 회전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소용량 세탁 시에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In the case of a small-capacity laundry, the first washing tub is automa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washing tub and rotates integrally, and in the case of a large-capacity washing, the second washing tub is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and to save water when washing with a small capacity.

둘째, 대용량 세탁의 경우 제 1 세탁조만 이용되는 중에, 제 2 세탁조가 도어 어셈블리에 구속되므로, 사용자가 제 2 세탁조를 수동으로 분리하여 별도의 공간에 위치시킬 필요가 없고, 제 1 세탁조의 회전 중에 제 2 세탁조와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세탁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Second, in the case of large-capacity washing, since only the first washing tub is used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is restrained by the door assembly,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manually separate the second washing tub and place it in a separate space, and during rota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ollision with the second washing tub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washing tub.

셋째, 대용량 세탁 시에, 사용자는 도어 어셈블리는 열면서 동시에 도어 어셈블리에 구속된 제 2 세탁조를 함께 들어 올릴 수 있고, 도어 어셈블리와 캐비닛을 연결하는 힌지를 캐비닛의 외측에 위치시켜서, 도어 어셈블리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수 있고, 이로 인해 제 1 세탁조의 투입구가 제 2 세탁조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완전히 개방되므로, 사용자는 제 1 세탁조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편리한 이점이 존재한다.Third, during large-capacity washing, the user can open the door assembly and simultaneously lift the second washing tub constrained to the door assembly, and position the hinge connecting the door assembly and the cabinet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o rotate the door assembly. The radius can be increased, and thus the inlet of the first washing tub is completely open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second washing tub,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put the laundry into the first washing tub.

넷째,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의 상부에 설치된 제 2 세탁조가 일체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Fourth,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second washing tu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while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installed on the first washing tub are integrally rotated.

다섯째, 세탁물 처리기기의 운전이 종료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락이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락 해제 여부를 의식할 필요 없이 상기 제 2 세탁조를 탈거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ifth, since the lock is released without the user's separate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s finished, the user can remove the second washing tub without being aware of whether the lock is releas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에서, 락킹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 a 에서 락킹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유닛이 제 2 세탁조를 제 1 세탁조에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유닛이 제 2 세탁조를 제 1 세탁조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유닛이 제 2 세탁조를 제 1 세탁조에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유닛이 제 2 세탁조를 제 1 세탁조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도어 어셈블리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FIG. 1 .
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a first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is installed on the balancer.
Figure 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second position in Figure 3a.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unit separates the second washing tub from the first washing t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unit combines the second washing tub with the first washing t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detachabl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unit separates the second washing tub from the first washing tu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unit combines the second washing tub with the first washing tu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or assembly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FIG. 9 in an opened stat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components and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compon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component.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referenced component, step and/or action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or actions. I never do tha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compon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lso, the size and area of each component do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or area.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In addition, angles and directions mentioned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e embodiment are based on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in the specification, i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angle are not clearly mentioned, reference is made to the related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단면도, 도 3a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에서, 락킹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도 3 a 에서 락킹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of FIG.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second position in FIG. 3A , FIG. 3B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는 물이 담기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1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 1 세탁조, 제 2 세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를 상기 제 1 세탁조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2 1 세탁조에서 분리시키는 탈착유닛을 포함한다.1 to 3, the laundry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a water storage tank containing water, a first laundry tank rotatably provid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o accommodate the first laundry, and a second laundry, , a second washing tub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or detached from the second washing tub includes units.

캐비닛(2)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관을 이루며, 내측으로 저수조(4), 제 1 세탁조(6) 및 제 2 세탁조(1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캐비닛(2)은 평평한 캐비닛(2) 베이스(2a)에 의해 지지되며, 상면은 개방되어 포 출입홀이 형성되고, 전면, 좌측면, 우측면, 후면(2d)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binet 2 forms the exterior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water storage tub 4, the first washing tub 6, and the second washing tub 100 are accommodated. The cabinet 2 is supported by the flat cabinet 2 base 2a,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form a four entrance and exit hole, and may include a front side, a left side, a right side, and a rear side 2d.

캐비닛(2)에는 도어 어셈블리가 결합된다. 도어 어셈블리는 캐비닛(2)의 포 출입홀을 커버하는 탑커버(3)와 포 출입홀을 개폐하는 도어(7)를 포함한다.A door assembly is coupled to the cabinet 2 . The door assembly includes a top cover 3 that covers the four entry/exit holes of the cabinet 2 and a door 7 that opens and closes the four entry/exit holes.

탑커버(3)에는 세탁물(또는, “포”)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7)는 탑커버(3)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top cover 3 may have an inlet for putting in and taking out laundry (or "cloth"). The door 7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top cover 3 .

저수조(4)는 세탁수를 담기 위한 것으로, 지지로드(미도시)에 의해 캐비닛(2) 내에 매달릴 수 있다. 지지로드는 캐비닛(2)의 네 군데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지지로드의 일단은 탑커버(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진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미도시)에 의해 저수조(4)와 연결된다.The water storage tank 4 is to contain wash water, and may be suspended in the cabinet 2 by a support rod (not shown). The support rod may be provided at each of four corners of the cabinet 2 , and one end of each support rod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top cover 3 ,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by a suspension (not shown) that cushions vibration.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4).

저수조(4)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개구된 상면에는 저수조(4) 커버(14)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4) 커버(14)는 중앙부에 대략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이 투입된다.The water storage tank 4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the water storage tank 4 cover 14 may be provided on the opened upper surface. The cover 14 of the water storage tank 4 is formed in a ring shape with a substantially circular opening in the center, and laundry is put in through the opening.

저수조(4)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수직축(vertical axis, O)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6)가 배치될 수 있다. 수직축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것으로, 지면과 수직선상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수직선에 대해 소정 각도(바람직하게는, 5도 이하)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제 1 세탁조(6)에는 물이 통과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통공을 통해 제 1 세탁조(6)와 저수조(4) 간에 물이 교류될 수 있다.A first washing tub 6 that accommodates laundry and rotates about a vertical axis O may be disposed in the water storage tub 4 . The vertical axis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may be precisely aligned on a vertical line with the gr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preferably, 5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water pass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washing tub 6 , and water may be exchanged between the first washing tub 6 and the water storage tub 4 through the through holes.

제 1 세탁조(6)는, 상측이 개구된 드럼(61)과, 드럼(61)의 상부에 결합되는 링형의 밸런서(6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61)의 하측은 허브(29)에 의해 구동부(8)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통공은 드럼(61)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ashing tub 6 may include a drum 61 having an open upper side, and a ring-shaped balancer 62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um 61 . The lower side of the drum 61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unit 8 by a hub 29 .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drum 61 .

밸런서(62)는 드럼(61)의 회전시 유발되는 편심을 보상하는 것이다. 밸런서(62)의 내측에는 환형의 공동(62a, 62b)이 형성될 수 있다. 공동(62a, 62b) 내에는 유체(예를 들어, 소금물) 또는 복수의 중량체(예를 들어, 금속구)가 삽입될 수 있다. 환형이 공동(62a, 62b)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나, 동심을 갖도록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lancer 62 compensates for the eccentricity induced when the drum 61 rotates. Annular cavities 62a and 62b may be formed inside the balancer 62 . A fluid (eg, brine) or a plurality of weights (eg, metal spheres) may be inserted into the cavities 62a and 62b. The annular cavities 62a and 62b have different diameters, but a plurality may be formed to have concentricity.

드럼(61)이 회전되는 중에 한쪽으로 치워지면, 드럼(61)이 치우친 방향과 반대로 유체 또는 중량체들이 이동됨으로써 편심이 보정된다. 세탁물 처리기기에 적용되는 링형의 밸런서(62)는 이미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는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When the drum 61 is shifted to one side while being rotated, the eccentricity is corrected by moving the fluid or weigh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um 61 is biased. The ring-type balancer 62 a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has already been known in various forms, and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 1 세탁조(6)에 착탈되는 제 2 세탁조(100)가 구비된다. 제 2 세탁조(100)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제 1 세탁조(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세탁조(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가 회전되면, 제 2 세탁조(100)도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된다.A second washing tub 100 detachable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is provided. The second washing tub 100 accommodates laundry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 When the first washing tub 6 is rotated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installed,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also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

사용자는 제 2 세탁조(100)가 도어 어셈블리에 구속된 상태에서 도어 어셈블리와 함께 회전되어 개방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에만 제 1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제 2 세탁조(100)가 제 1 세탁조(6)에 구속된 상태에서, 제 2 세탁조(100)에 제 2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The user puts the first laundry into only the first washing tub 6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otated and opened together with the door assembly while being restrained by the door assembly, or the second washing tub 100 moves to the 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tub 6 is restrained, the second laundry may be put into the second washing tub 100 .

제 1 세탁조(6)의 내측 하부에는 펄세이터(9)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펄세이터(9)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상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9)가 회전될 시, 리브들에 의해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A pulsator 9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6 . The pulsator 9 may include a plurality of radial ribs protruding upward. When the pulsator 9 is rotated, a water flow may be formed by the ribs.

캐비닛(2) 내에는 제 1 세탁조(6)와 펄세이터(9)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8)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8)는 저수조(4)의 하측에 배치되고, 저수조(4)와 함께 캐비닛(2) 내에 매달리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8)의 회전축은 펄세이터(9)와는 항시 결합되어 있으며, 제 1 세탁조(6)와는 클러치(미도시)의 전환 동작에 따라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8)의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결합된 상태로, 구동부(8)가 운전될 시에는, 펄세이터(9)와 제 1 세탁조(6)가 일체로 회전되며,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분리된 상태로 동작할 시에는, 제 1 세탁조(6)는 정지된 상태에서 펄세이터(9)만 회전된다.A driving unit 8 providing power for rotating the first washing tub 6 and the pulsator 9 may be disposed in the cabinet 2 . The driving unit 8 may be disposed below the water storage tank 4 ,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being suspended in the cabinet 2 together with the water storage tank 4 .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8 is always coupled to the pulsator 9 , and may be coupled or disconnec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according to a switching operation of a clutch (not shown).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unit 8 is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8 is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the pulsator 9 and the first washing tub 6 are integrally rotated, and the rotating shaft When operating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only the pulsator 9 rotates while the first washing tub 6 is stopped.

구동부(8)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세탁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 모터는 직접 구동 방식의 인버터 모터(Inverter Direct Drive Motor)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세탁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세탁 모터의 회전수(또는,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또는, 목표 회전속도)를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8 may include a washing motor capable of speed control. The washing motor may be an inverter motor of a direct drive method.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include a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PI controller), a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PID controller), and the like. The controller receives the output value (eg, output current) of the washing motor as an input, and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r rotation speed) of the washing motor to follow a preset target rotation speed (or target rotation speed) based on the input value can do.

제어부는 세탁 모터뿐만 아니라,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 구성들의 제어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자.The control unit may control not only the washing motor but also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control of the components mentioned below is perform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는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미도시)은 외부 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 냉수관(미도시)과,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11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such as a faucet.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not shown) may include a cold water pipe (not shown) receiving cold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a hot water pipe (not shown) receiving hot water.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 1 세탁조(6) 및/또는 제 2 세탁조(100)로 급수하는 급수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급수부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의 급수 밸브가 개방되면, 개방된 급수 밸브와 대응하는 급수관을 통해 디스펜서(미도시)로 급수가 이루어진다.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to the first washing tub 6 and/or the second washing tub 100 may be provided. The water supply unit may selectively control the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11 . To this end, 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water supply valve. When at least on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ater is supplied to a dispenser (not shown)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corresponding to the opened water supply valve.

디스펜서는 세탁물에 작용하는 첨가제를, 급수관을 통해 급수된 물과 함께 공급한다. 디스펜서에 의해 공급되는 첨가제로는 세탁용 세제와 헹굼용 섬유 유연제 등이 있다.The dispenser supplies the additive acting on the laundry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dditives supplied by the dispenser include laundry detergent and fabric softener for rinsing.

제 2 세탁조(100)는 제 1 세탁조(6)의 투입홀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세탁조(100)는 링형태의 밸런서(62)에 의해 규정된 공간(또는, 대략 원형의 개구부)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밸런서(6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0)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요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washing tub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put hole of the first washing tub 6 . Specifically, the second washing tub 100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or a substantially circular opening) defined by the ring-shaped balancer 62, and may be supported by the balancer 62 in the inserted state. have. Concave-convex (not shown) extending obliqu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

밸런서(62)는, 중앙의 개구부를 한정하는 내주면에, 요철과 대응하는 고정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이 고정 홈을 따라 삽입되며, 따라서, 제 1 세탁조(6)가 회전될 시, 제 2 세탁조(100)가 헛돌지 않고,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The balancer 62 may have a fixing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unevennes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defining the central opening. The unevenness is inserted along the fixing groove, and thus, when the first washing tub 6 is rotated, the second washing tub 100 does not rotate in vain and can b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

제 2 세탁조(100)는, 컨테이너(102), 플랜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102)는 세탁물과 물을 담는 것으로, 상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용부(101)가 정의된다. 컨테이너(102)의 개구된 상측에 플랜지(103)가 결합된다. The second washing tub 100 may include a container 102 and a flange 103 . The container 102 contains laundry and water, and has an upper side opening, and a receiving part 101 is defined therein. A flange 103 is coupled to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container 102 .

컨테이너(102)는 상부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원통형 구조를 가져서, 제 1 세탁조(6)의 투입홀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102)의 외측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02)는, 내측에 수용된 세탁물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ainer 102 ha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increases as it progresses upward, so that it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input hole of the first washing tub 6 . Concavities and convexiti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2 . The container 10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laundry accommodated therein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플랜지(103)는 컨테이너(102)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103)는 컨테이너(10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플랜지(103)는 후술하는 탈착유닛(20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lange 103 may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container 102 . The flange 103 is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top of the container 102 . The flange 103 may be fixed to the detachable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세제박스(미도시)는 세제, 표백제 또는 섬유 유연제를 담기 위한 것으로, 급수부로부터 배출된 물이 세제박스를 경유함으로써, 세제와 함께 제 2 세탁조(100) 내로 공급된다.The detergent box (not shown) is for containing detergent, bleach or fabric softener,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passes through the detergent box, and is supplied into the second washing tub 100 together with the detergent.

세탁물 처리기기는, 저수조(4)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 밸로우즈(미도시)와, 배수 밸로우즈를 단속하는 배수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는 펌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밸브가 개방될 시 배수 밸로우즈를 통해 펌프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렇게 펌프로 유입된 물은, 펌프가 작동될 시 배수관을 통해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rain bellows (not shown)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4 and a drain valv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ain bellows. The drain bellows may be connected to a pump (not shown). When the drain valve is open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pump through the drain bellow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pump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hrough the drain pipe when the pump is op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제 2 세탁조(100)에 구비되어, 제 2 세탁조(100)가 회전되는 중에 제 1 세탁조(6)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커(150)를 포함한다. 락커(150)는 제 1 커버(120)에 구비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ker 150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tub 100 and fixing the locker 150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otated. include The locker 15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cover 120 .

락커(150)는 락킹부재(165)와 탄성부재(161)를 포함한다. 락킹부재(165)는, 제 2 세탁조(1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 1 위치(도 3a 참조.)(P2)에 위치하고, 제 2 세탁조(100)가 회전될 시에는 원심력에 의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도 3b 참조.)(P1)로 이동된다. 락커(150)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세탁조(6)와 맞물려 제 2 세탁조(100)를 제 1 세탁조(6)에 고정시킨다. The locker 150 includes a locking member 165 and an elastic member 161 . The locking member 165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see FIG. 3A ) (P2)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stopped, and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otated, the first position by centrifugal force to the second position (see Fig. 3b) (P1). The locker 150 engages the first washing tub 6 at the second position to fix the second washing tub 100 to the first washing tub 6 .

밸런서(62)에는, 락킹부재(165)가 제 2 위치에서 삽입되는 락킹 홈(62c)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0)가, 링형 밸런서(62)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기 설정된 회전 위치에 정렬된 상태에서 소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원심력에 락킹부재(165)가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어 제 2 위치에 이르게 되고, 이 과정에서, 락킹부재(165)가 락킹 홈(62c) 내로 삽입된다. 제 2 세탁조(100)가 회전 중에 흔들리거나 진동되더라고, 락킹부재(165)와 락킹 홈(62c)이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0)가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며, 특히, 제 2 세탁조(100)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지되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0)가 도어(7)(7)를 충격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제 2 세탁조(100)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경우(예를 들어, 탈수 행정)에도,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A locking groove 62c into which the locking member 165 is inserted at the second position may be formed in the balancer 62 .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ring-type balancer 62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speed or higher while aligned at a preset rotation position, the locking member 165 mov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y centrifugal force. to reach the second position, in this process, the locking member 165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62c). Even if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shaken or vibrated during rotation, since the locking member 165 and the locking groove 62c are engaged, the removal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prevented, and in particular, the second washing tub 100 ( Since the upward movement of 100 is restrained, a problem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100 impacts the doors 7 and 7 does not occur. Even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otated at a high speed (eg, a dehydration cy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device and prevent a safety accident.

특히, 제 2 세탁조(100)의 락킹이, 별도의 동력기구(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 2 세탁조(100)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원심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락을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락을 위한 특수한 제어를 강구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locking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performed not by a separate power mechanism (eg, a motor), but by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for the lock can be simply configur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need to take special control for the lock.

탄성부재(161)는 락킹부재(165)가 제 2 위치에 있을 시 탄성 변형되었다가, 제 2 세탁조(100)의 회전이 정지되면, 원상 복원되어 락킹부재(165)를 제 1 위치로 복귀시킨다. 제 2 세탁조(100)의 회전이 정지되면, 탄성부재(161)의 복원력에 의해 락킹부재(165)가 제 1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락이 자동으로 해제된다. 세탁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락이 해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락 해제를 위한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 없이, 제 2 세탁조(100)를 쉽게 들어 낼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61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locking member 165 is in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stopped, the elastic member 16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o return the locking member 165 to the first position. .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stopped, the locking member 165 is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61, so that the lock is automatically released. Since the lock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washing is complete, the second washing tub 100 can be easily lifted out without the user having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for releasing the lock.

제 2 세탁조(100)에는, 락킹부재(165)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 홈(127)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 홈(127)은 제 1 커버(120)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61)는, 안내 홈(127) 내에 배치되고, 일단은 제 1 커버(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락킹부재(165)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161)는 락킹부재(165)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시 인장되는 스프링(161)를 포함할 수 있다.A guide groove 127 for guiding the locking member 165 to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washing tub 100 . The guide groove 127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ver 120 . The elastic member 161 may be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127 , one end may be fixed to the first cover 120 ,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165 . The elastic member 161 may include a spring 161 that is tensioned when the locking member 165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락킹부재(165)는 락킹 홈(62c)에 삽입되는 헤드(163)와, 헤드(163)로부터 길게 연장된 스템(162)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163)는 스프링(161)과 연결되고, 스템(162)이 스프링(161)을 통과한 후, 제 1 커버(120)에 형성된 지지 홈(129)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 홈(129)의 내경은, 스템(162)의 이동은 허용하면서도, 이동 간의 흔들림은 제지되도록, 스템(162)의 외경에 비해 미세하게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member 165 may include a head 163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62c and a stem 162 elongated from the head 163 . The head 163 is connected to the spring 161 , and after the stem 162 passes through the spring 161 , it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129 formed in the first cover 120 .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groove 129 is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m 162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tem 162 is allowed, while shaking between movements is restrained.

락킹부재(165)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더라도, 스템(162)이 항시 지지 홈(129)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이로 인해, 락킹부재(165)가 이동 간에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Even if the locking member 165 is located at any point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stem 162 is always configured to maintain the inserted state in the support groove 129, and thereby, the locking member 165 )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shaking even during movement.

이하, 탈착유닛(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의 두 개의 세탁조가 구비되는 경우, 보조 세탁조는 메인 세탁조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게 되는데, 사용자의 인력에 두 개의 세탁조를 착탈하였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2개의 세탁조를 인력으로 착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고, 보조 세탁조를 구비하는 경우, 도어(7)를 열었을 때, 메인 세탁조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것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메인 세탁조만 작동되는 경우, 메인 세탁조의 회전에 보조 세탁조가 방해가 되지 않게 고정하는 것이 어려웠다.Hereinafter, the detachment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the conventional two washing tubs are provided, the auxiliary washing tub is coupled to the main washing tub and rotated together. Therefore,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attach and detach the two washing tubs by manpower, and when an auxiliary washing tub is provided, it is very inconvenient to put laundry into the main washing tub when the door 7 is opened. , when only the main washing tub is operated, it is difficult to fix the auxiliary washing tub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washing tub.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탈착유닛(200)은 제 2 세탁조(100)를 제 1 세탁조(6)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거나, 제 1 세탁조(6)에서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 탈착유닛(200)은 제 2 세탁조(100)가 제 1 세탁조(6)에서 분리되는 경우, 제 2 세탁조(100)를 도어 어셈블리에 구속하거나, 도어 어셈블리에 결합시키고, 제 2 세탁조(100)가 제 1 세탁조(6)에 결합되는 경우, 제 2 세탁조(100)를 도어 어셈블리에서 이탈시킨다.To solve this problem, the detachment unit 200 selectively couples the second washing tub 100 to the first washing tub 6 or separates it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the detachable unit 200 binds the second washing tub 100 to the door assembly or couples it to the door assembly, and the second washing tub 100 ( When 100) is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separated from the door assembly.

탈착유닛(200)은 도어 어셈블리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탈착유닛(200)은 도어(7) 또는 탑커버(3)에 결합될 수 있다.The detachable unit 200 is coupled to the door assembly. Specifically, the detachable unit 200 may be coupled to the door 7 or the top cover 3 .

탈찻유닛은 도어 어셈블리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2 세탁조(100)를 들어올리거나, 구속을 해제한다. 즉, 탈착유닛(200)은 구동력에 의해 제 2 세탁조(100)를 제 1 세탁조(6)에서 들어올려 고정하거나, 제 2 세탁조(100)를 릴리즈(Release)하여 제 1 세탁조(6)의 투입홀 내로 내삽시킨다.In a state in which the tea removal unit is coupled to the door assembly,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selectively lifted or restrained by driving force. That is, the detachable unit 200 lifts and fixes the second washing tub 100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by driving force, or releases the second washing tub 100 to insert the first washing tub 6 in. interpolate into the hole.

이하, 구체적인 탈착유닛(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fic detachment unit 200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유닛(200)이 제 2 세탁조(100)를 제 1 세탁조(6)에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유닛(200)이 제 2 세탁조(100)를 제 1 세탁조(6)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unit 200 separates the second washing tub 100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e detachable unit 200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유닛(200)은 구동모터(미도시)와, 경사캠(202)을 포함한다.4 and 5 , the detachment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motor (not shown) and an inclined cam 202 .

구동모터는 구동력을 생성한다. 구동모터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도어 어셈블리에 결합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generates driving force. The driving motor may be configured as a motor, and may be coupled to the door assembly.

경사캠(202)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을 축(201)으로 하여 회전하고, 선택적으로 제 2 세탁조(100)를 들어올리거나 구속을 해제한다. 경사캠(202)은 제 2 세탁조(10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게 적어도 2개가 배치될 수 있다.The inclined cam 20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axis 201 , and selectively lifts or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 At least two inclined cams 202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second washing tub 100 .

경사캠(202)은 축을 중심으로 하는 비대칭형태의 원뿔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을 중심으로 일 반경은 원뿔 형상이고, 다른 반경은 원통형상일 수 있다.The inclined cam 202 may have an asymmetrical conical shape about an axis. Specifically, one radius about the axis may have a conical shape, and the other radius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경사캠(202)은 축을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제 2 세탁조(100)와 접촉이 해제되는 접촉해제 영역(202a)(원통형상)과 타측에 제 2 세탁조(100)와 접촉되는 접촉영역(202b)(원뿔형상)이 형성된다. 경사캠(202)은 접촉영역(202b)은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진행될수록 그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진다.The inclined cam 202 is formed asymmetrically about its axis, and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releasing region 202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contact with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eleased on one side and the second washing tub 100 on the other side. A region 202b (conical shape) is formed. The inclined cam 202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contact area 202b decreases as it progres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따라서, 경사캠(202)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 2 세탁조(100)가 들어올려져서 제 1 세탁조(6)에서 분리되거나(도 4 참조), 제 2 세탁조(100)가 내려져서 제 1 세탁조(6)에 결합되게 된다(도 5 참조).Accordingly, when the inclined cam 202 rotates about its axis,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lift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refer to FIG. 4 ), or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lowered and the first washing tub 100 is lifted. It is coupled to the washing tub 6 (see FIG. 5).

따라서, 대용량 세탁의 경우 제 1 세탁조(6)만 이용되는 중에, 제 2 세탁조(100)가 도어 어셈블리에 구속되므로, 사용자가 제 2 세탁조(100)를 수동으로 분리하여 별도의 공간에 위치시킬 필요가 없고, 제 1 세탁조(6)의 회전 중에 제 2 세탁조(100)와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세탁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Therefore, in the case of large-capacity washing, while only the first washing tub 6 is used,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estrained by the door assembly, so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manually separate the second washing tub 100 and place it in a separate spa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ollision with the second washing tub 100 during rota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6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washing tub.

또한, 대용량 세탁 시에, 사용자는 도어 어셈블리는 열면서 동시에 도어 어셈블리에 구속된 제 2 세탁조(100)를 함께 들어 올릴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large-capacity washing, the user may open the door assembly and simultaneously lift the second washing tub 100 constrained to the door assembly.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유닛(200)에 대해 상술한다.Hereinafter, the detachment uni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유닛(200A)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유닛(200A)이 제 2 세탁조(100)를 제 1 세탁조(6)에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유닛(200A)이 제 2 세탁조(100)를 제 1 세탁조(6)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6 is a view showing a detachable unit 2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detachable unit 2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nect the second washing tub 100 to the first washing tub 6 ), and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unit 2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s the second washing tub 100 to the first washing tub 6 .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탈착유닛(200A)은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을 축(203)으로 하여 회전하고, 선택적으로 제 2 세탁조(100)를 들어올리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적어도 2개의 회전후크(204)를 포함한다.6 to 8 , the detachment unit 200A includes a driving motor (not shown)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to rot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an axis 203, and optionally a second washing tub ( 100) includes at least two rotating hooks 204 for lifting or releasing restraints.

회전후크(204)가 회전되면 제 2 세탁조(100)가 들어올려져서 제 1 세탁조(6)에서 분리되거나(도 7 참조), 제 2 세탁조(100)가 내려져서 제 1 세탁조(6)에 결합되게 된다(도 8 참조).When the rotary hook 204 is rotated,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lift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see FIG. 7 ), or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lowered and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 (see FIG. 8).

회전후크(204)는 도어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rotating hook 204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door assembly.

이하, 제 1 세탁조(6)를 사용하는 경우, 제 2 세탁조(100)를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완전히 분리하여 별도의 공간에 두지 않고, 제 1 세탁조(6)의 투입홀을 완전히 개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설명한다.Hereinafter, when the first washing tub 6 is used, the present invention for completely opening the input hole of the first washing tub 6 without completely separating the second washing tub 100 from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placing it in a separate space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도어 어셈블리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ned state of the door assembly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FIG. 9 .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캐비닛(2)과 도어 어셈블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301)를 더 포함하고, 힌지(301)는 캐비닛(2) 및 도어 어셈블리와 수직방향에서 중첩되지 않는 외부영역에 배치된다.9 and 10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hinge 301 for rotatably coupling the cabinet 2 and the door assembly, and the hinge 301 includes the cabinet 2 and the door assembly. It is arranged in an outer area that does not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구체적으로, 힌지(301)의 축은 캐비닛(2)의 후면(2d)과 평행하고,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힌지(301)의 축은 캐비닛(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Specifically, the axis of the hinge 301 is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2d of the cabinet 2 and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xis of the hinge 301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2 to the rear.

또한, 도어 어셈블리와 힌지(301)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302)와, 힌지(301)와 캐비닛(2)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303)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i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302 connecting the door assembly and the hinge 301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303 connecting the hinge 301 and the cabinet 2 .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의 회전 시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댐퍼(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amper 310 that provides a cushioning force when the door assembly is rotated may be further included.

따라서, 도어 어셈블리의 회전반경이 커지게 되어서, 도어 어셈블리가 개방될 때 도어 어셈블리에 구속되어 제 2 세탁조(100)가 제 1 세탁조(6)의 투입홀을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Accordingly, the rotation radius of the door assembly is increased, so that when the door assembly is opened, it is restrained by the door assembly so that the second washing tub 100 completely opens the input hole of the first washing tub 6 .

사용자는 제 1 세탁조(6)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편리하고, 제 2 세탁조(100)를 별도의 공간에 보관할 필요가 없다.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put laundry into the first washing tub 6 , and there is no need to store the second washing tub 100 in a separate space.

Claims (12)

물이 담기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1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 1 세탁조;
제 2 세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를 상기 제 1 세탁조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 1 세탁조에서 분리시키는 탈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유닛은,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세탁조를 들어올리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적어도 2개의 경사캠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water reservoir;
a first washing tub rotatably provided in the water storage tub to accommodate a first laundry;
a second washing tub accommodating a second laundry,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rotating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and
and a detachable unit for selectively coupling the second washing tub to the first washing tub or separating the second washing tub from the first washing tub;
The detachment unit is
a driving motor for generating driving force; and
and at least two inclined cam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to rotate about the vertical direction and selectively lift or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second washing tu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상기 제 1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를 수용하고, 포가 출입되는 포 출입홀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포 출입홀을 커버하는 탑커버와 상기 포 출입홀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 2 세탁조를 상기 도어 어셈블리에 구속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a cabinet accommodating the water storage tub,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and having a cloth entry hole through which the cloth enters and exits;
Further comprising a door assembly including a top cover for covering the four entry and exit holes of the cabinet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ur entry and exit holes,
The detachable unit may be configured to bind the second washing tub to the door assembly when the second washing tub is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도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tachable unit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coupled to the door assembl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캠은 축을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제 2 세탁조와 접촉이 해제되는 접촉해제 영역을 가지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cam is formed asymmetrically about an axis, and has a contact release area on one side of which contact with the second washing tub is relea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유닛은,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세탁조를 들어올리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적어도 2개의 회전후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achment unit is
a driving motor for generating driving force; and
and at least two rotary hook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to rotate about a horizontal direction and selectively lift or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second washing tub.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어셈블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비닛 및 상기 도어 어셈블리와 수직방향에서 중첩되지 않는 외부영역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hinge rotatably coupling the cabinet and the door assembly,
The hinge is disposed in an external area that does not overlap the cabinet and the door assembly in a vertical dire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회전 시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further comprising a damper that provides a cushioning force when the door assembly is rot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탁조의 회전축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세탁조는 상부방향으로 진행될 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washing tub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washing tub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whose diameter is expanded as it progresses up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탁조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세탁조가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세탁조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커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locker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tub to fix the locker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is rotat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제 2 세탁조가 회전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1 세탁조에 체결되고, 제 2 세탁조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1 세탁조와 체결이 해제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cker is fastened to the first washing tub by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second washing tub, and when the second washing tub is not rotated, the locker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탁조는,
상측이 개구된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유발되는 편심을 보상하는 링형의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탁조는,
상기 링형에 의해 규정된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밸런서에 의해 지지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washing tub,
a drum with an open upper side; and
I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um, comprising a ring-type balancer for compensating for eccentricity caused when the drum rotates,
The second washing tub,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serted into a space defined by the ring shape and supported by the balancer.
KR1020170164476A 2017-12-01 2017-12-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557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476A KR102455740B1 (en) 2017-12-01 2017-12-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476A KR102455740B1 (en) 2017-12-01 2017-12-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048A KR20190065048A (en) 2019-06-11
KR102455740B1 true KR102455740B1 (en) 2022-10-17

Family

ID=6684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476A KR102455740B1 (en) 2017-12-01 2017-12-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740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819B1 (en) * 2013-09-12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048A (en)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819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36062B1 (en) A protection bolt structure of washing machine
KR10245574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704185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KR10245638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8395018B2 (en) Laundry processing device
WO2008018350A1 (en) Washing machine
KR102509990B1 (en) Washing machine
US11414803B2 (en) Washing machine
KR102456379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3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2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62B1 (en) Washing machine
KR102423575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4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0B1 (en) Washing machine
KR102423574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60B1 (en) Washing machine
KR102428265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78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5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548155B1 (en) Washing machine
KR102565525B1 (en) Washing Machine
KR102125832B1 (en) Washing tub holder
JP2014050450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