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523B1 - PLC communicating cable including multi-connecter - Google Patents

PLC communicating cable including multi-conne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523B1
KR102455523B1 KR1020200110460A KR20200110460A KR102455523B1 KR 102455523 B1 KR102455523 B1 KR 102455523B1 KR 1020200110460 A KR1020200110460 A KR 1020200110460A KR 20200110460 A KR20200110460 A KR 20200110460A KR 102455523 B1 KR102455523 B1 KR 102455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c
connector
communication cable
cable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4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8864A (en
Inventor
조민성
Original Assignee
정솔루션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솔루션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정솔루션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523B1/en
Publication of KR20220028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8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5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83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coupling circuits
    • H04B2203/5487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coupling circuits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LC와 통신하기 위하여 커넥터 하우징이 구비되는 통신 케이블에 있어서, PC와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되는 PC 연결부; 상기 PC 연결부가 형성되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커넥터 연결부; 및 일단에는 상기 커넥터 연결부와 호환되는 케이블 연결단자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PLC의 통신포트와 호환되도록 PLC 연결단자가 형성되는 PLC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멀티통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cable having a connector housing to communicate with a PLC, comprising: a PC connection unit form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to be connected to a PC; a connector connection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on which the PC connection part is formed, and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and a PLC connector having a cable connec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formed at one end, and a PLC connection terminal formed at the other end being compatible with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PLC.

Description

PLC 멀티통신 케이블{PLC communicating cable including multi-connecter}PLC communicating cable including multi-connecter}

본 발명은 PLC 멀티통신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LC 보드와 통신하기 위한 케이블에 다양한 연결단자 형상의 커넥터를 구성하여 하나의 PLC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연결단자의 형상을 갖는 PLC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PLC 연결단자에 적합한 PLC 커넥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PLC 멀티통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C having a different connection terminal shape using a single PLC communication cable by configuring connectors of various connection terminal shapes on a cable for communication with a PLC board. It relates to a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that enables communication by selectively using a PLC connector suitable for the PLC connection terminal to be connected.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PLC(Prgrammable Logic Controller)는 입력 조건에 따라서 산업현장에서 전반적으로 사용하는 제어기기들에 대해 다양한 통신을 할 수 있다.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used to control various devices in the industrial field can communicate variously with the control devices generally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according to the input conditions.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산업기기의 자동화가 발전하고, 공정의 자동화가 요구되면서 산업현장에서의 핵심적인 요소로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나, 실제 공정에 적용되고 있는 PLC는 제조하는 기업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방식의 통신케이블이 구성되어 각기 다른 PLC가 여러 대 사용하게 되면, 작업을 함에 있어 즉각적인 호환이 어려울 수 있다.As the automation of industrial equipment develops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automation of the process is required, there is a continuous demand as a core element in the industrial field. If the communication cable is configured and several different PLCs are used, immediate compatibility may be difficult in working.

이러한 문제로 인해, PLC의 형상에 따라서 호환이 가능한 통신 케이블을 모두 소지하거나, 포트와 호환이 가능한 커넥터를 별도로 준비하여 PLC의 통신을 시도해야 하는 불편함이 야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확장성, 호환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Due to this problem, the inconvenience of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 PLC by possessing all compatible communication cables or separately preparing a connector compatible with the port is caus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LC. There are problems such as poor performance, compatibility and convenience.

한편, PLC 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한 예로써,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72261호 '트랜스미터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라우팅 방법'에서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내에서 유체의 압력 또는 온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트랜스미터을 이용한 케이블 라우팅 방법으로서, 상기 트랜스미터에 구비된 제 1 출력단자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미터에 구비된 제 2 출력단자와 추가로 설치되는 인디케이터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스미터를 이용한 케이블 라우팅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 example for using a PLC cable,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4-0072261 'Transmitter and cable routing method using the same', a cable using a transmitter that measures and outputs the pressure or temperature of a fluid in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A routing method comprising: connecting a first output terminal provided in the transmitter and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nd there is disclosed a technology related to a cable routing method using a transmitter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the second output terminal provided in the transmitter and an indicator that is additionally installed.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302565호 '이기종 피엘씨간의 데이터 전송 및 공유 방법'에서는 PLC가 이더넷(30) 상에서 데이터 링크 장치(40)와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링크 장치(40)가 최하위의 OS층, TCP/IP층, PLC 드라이버층, 최상위의 MMI층으로 계층화된 소프트웨어구조를 가지고, PLC 환경설정 등록기능, PLC 디바이스 데이터 제어 기능, PLC 연결 및 연결해제 기능, PLC 디바이스 모니터링 기능, PLC 디바이스 읽기/쓰기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소스 PLC로부터 데스티네이션 PLC로 지정한 디바이스 영역의 데이터를 공유하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PLC 간의 데이터 전송 및 공유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302565 'Method for transmitting and sharing data between heterogeneous PLCs,' in a system in which a PLC is connected to a data link device 40 over an Ethernet 30, the data link device 40 It has a layered software structure with the lowest OS layer, TCP/IP layer, PLC driver layer, and MMI layer at the top, PLC environment setting registration function, PLC device data control function, PLC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function, PLC device monitoring function, Disclosed is a data transmission and sharing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PLCs, characterized by sharing and transmitting data in a device area designated from a source PLC to a destination PLC by having a PLC device read/write func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PLC 케이블이 구비되는 통신방법에서는 하나의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양한 PLC와 물리적으로 호환이 가능한 연결 커넥터에 대한 구성이 기재되지 않아, 서로 다른 PLC를 이동하면서 수행되는 작업에 대하여 호환성 및 편리성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 provided with a PLC cable as described above, a configuration for a connection connector that is physically compatible with various PLCs using one communication cable is not described. However, compatibility and convenience have not been improved.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Therefore, it is urgent to improve these problem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PLC의 통신 포트의 형상에 맞게 호환이 가능한 PLC 커넥터를 마련하며, 각각의 PLC 커넥터가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에 따라서 PLC 통신 케이블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며, 딥스위치가 각 PLC 커넥터와 연결되도록 하여 통신 방식에 따른 커넥터 핀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양한 PLC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PLC 멀티통신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compatible PLC connector according to the shape of a communication port of various PLCs, and allows each PLC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one cable, so that PLC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work without separately preparing a cable,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or pin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by allowing the dip switch to be connected to each PLC connector, so that communication with various PLCs using one communication cable is possible. It aims to provide a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that makes this possib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은, PLC와 통신하기 위하여 커넥터 하우징에 구비되는 통신 케이블에 있어서, PC와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되는 PC 연결부; 상기 PC 연결부가 형성되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커넥터 연결부; 및 일단에는 상기 커넥터 연결부와 호환되는 케이블 연결단자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PLC의 통신포트와 호환되도록 PLC 연결단자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PLC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PLC 커넥터에 형성되는 커넥터 핀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딥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the communication cable provided in the connector housing to communicate with the PLC, a PC connection unit form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to be connected to the PC; a connector connection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on which the PC connection part is formed, and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and a PLC connector having a cable connec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formed at one end, a PLC connection terminal being formed to be compatible with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PLC at the other end, and having one or more PLC connectors. and a dip switch operable to control whether a connector pin formed in the PLC connector is activated.

이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PLC 커넥터의 상기 PLC 연결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PLC의 통신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connector housing, the PLC connection terminal of the PLC connector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to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ort of the PLC.

이때, 상기 PLC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복수로 마련될 경우, 상기 PLC 연결단자를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PLC connectors are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the PLC connection terminals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이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통신 케이블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통신 케이블을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위치조절부;를 더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or housing may include a cable positioning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in a front direction or a rear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의 상기 PLC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상기 딥스위치와 연결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딥스위치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딥스위치 입력부는, 상기 PLC 커넥터 중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PLC 연결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하였을 때에 상기 딥스위치와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The PLC connector of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p switch input unit formed on one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dip switch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wherein the dip switch input unit includes the PLC connector When one is selected and the PLC connection terminal is position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it may be vertically aligned with the dip switch.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의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PLC 커넥터를 보관하도록 상기 PLC 커넥터의 형상에 따라서 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보관부; 상기 커넥터 보관부의 상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PLC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연결부가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 연결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housing of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storage unit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LC connector to store the PLC connector;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storage unit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PLC connector and 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are connected.

이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보관부에 구비되는 상기 PLC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연결통로로 이동하도록 하단에서 상기 PLC 커넥터를 밀어올려주는 커넥터 견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견인부는, 상기 PLC 커넥터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지지판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을 상단 방향으로 견인하도록 형성되는 견인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or housing further includes a connector traction part that pushes up the PLC connector from the lower end so that the PLC connector provided in the connector storage part moves to the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a support plate provid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or; an elastic spring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and exerting a pull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a pull butt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to pull the support plate in an upper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의 상기 케이블 위치조절부는, 내측으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는, 상기 케이블 위치조절부가 상기 케이블 위치조절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홈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는 벨트부;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벨트가 감기도록 전후방에 형성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of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lling unit provid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do not flow into the inside, and the rolling unit, wherein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adjusts the cable position a belt part formed so as not to have a gap in the groove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to guide the part; and roller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so that the belt is wound during th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cab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은, 서로 다른 형태의 통신단자가 구성되는 PLC 커넥터를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하여 다양한 형태의 PLC의 통신포트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며,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PLC 커넥터의 커넥터 핀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 하나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양한 PLC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C connector configured with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terminals in the connector housing to enable connection with communication ports of various types of PLC, and uses a dip switch to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compatibility with various PLCs using one cable by determining whether to connect the connector pin of the connector.

도 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투영사시도이다.
도 2의 (a), (b) 및 (c)는 도 1의 PLC 멀티통신 케이블의 PLC 커넥터가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에 마련되는 PLC 커넥터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에 형성되는 케이블 위치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딥스위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의 커넥터 하우징에 커넥터 보관부와 커넥터 연결통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커넥터 하우징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단면도이다.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의 커넥터 견인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의 케이블 위치조절부에 롤링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a) and (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rojec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b) and (c)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C connector of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of FIG. 1 is connected.
3 (a) and (b) are views showing the shape of the PLC connector provided in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able positioning unit formed in a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and (b)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p switch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or storage unit and a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in a connector housing of a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housing of FIG. 6 viewed from the front;
8 (a) and (b)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traction part of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and (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lling part is formed in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part of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 described below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1st, 2nd, etc.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meaning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pre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도 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투영사시도이고, 도 2의 (a), (b) 및 (c)는 도 1의 PLC 멀티통신 케이블의 PLC 커넥터가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a) and (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rojec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 and (c) of FIG. It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PLC connector of the communication cable is connected.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1)은 커넥터 하우징(100), 통신을 위해 마련되는 통신 케이블(200), 통신 케이블(200)에 형성되는 PC 연결부(미도시)와 커넥터 연결부(220), PLC 커넥터(300) 및 딥스위치(1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1 to 2 , a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housing 100 , a communication cable 200 provided for communication, and a PC formed in the communication cable 200 . It may be formed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nnection part (not shown), a connector connection part 220 , a PLC connector 300 , and a dip switch 110 .

먼저, 커넥터 하우징(100)은 다양한 형태 또는 방식으로 마련되는 통신포트가 구비되는 PLC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멀티통신 케이블의 구성을 구비하는 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외형이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커넥터 하우징(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커넥터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the connector housing 100 may be provided as a means hav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communication cable so as to be compatible with a PLC having a communication port provided in various forms or methods, and the outer shape is t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However, the shape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commonly used connector,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커넥터 하우징(100)의 일단에는 PC와 연결되어 PLC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communication cable 200 that is connected to a PC and can communicate with a PLC is inserted.

즉, PLC 멀티통신 케이블(1)은 PC와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 케이블(200)의 일단에 커넥터 하우징(100)이 형성되며,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PLC의 통신포트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1, the connector housing 10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200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PC, and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PLC existing in various forms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00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configuration to be compatible with the .

PC 연결부(미도시)는 커넥터 하우징(100)이 마련되는 통신 케이블(200)의 타단에 형성되며, PC 또는 노트북 등 통신하고자 하는 기기의 통신포트와 호환이 가능한 형태의 통신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The PC connection unit (not shown)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200 on which the connector housing 100 is provided, and may form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a communication port of a device to communicate, such as a PC or a notebook computer. .

예컨대, USB 타입의 연결단자 또는 RS232 타입의 연결단자가 형성될 수 있으며, HDMI 타입의 연결단자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PC 또는 노트북에서 데이터의 통신이 가능한 연결단자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 USB type connection terminal or an RS232 type connection terminal may be formed, it may be formed as an HDMI type connection terminal, and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in the shape of a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in a PC or a notebook computer. It is possible.

커넥터 연결부(22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PLC에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PLC 커넥터(300)와 연결이 가능한 형태의 통신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220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the PLC connector 300 provided to connect to the PLC may be provided.

커넥터 연결부(220)는 PLC 커넥터(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단자(310)와 호환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커넥터(300)는 커넥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다수의 PLC 커넥터(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단자(310)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하나의 통신 케이블(200)을 이용하여 PLC 커넥터(30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220 may be formed in a shape compatible with the cable connection terminal 310 formed at one end of the PLC connector 300 , and the PLC connect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nector housing 100 . ) to form a cable connection terminal 310 formed at one end of a plurality of PLC connectors 300 provided in the same shape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PLC connector 300 using one communication cable 200 . can be formed.

PLC 커넥터(300)는 PC와 연결되는 통신 케이블(200)이 PLC의 통신포트와 연결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통신 케이블(200)의 커넥터 연결부(220)와 연결이 가능한 형태의 케이블 연결단자(310)가 형성되고, 케이블 연결단자(310)가 형성되는 타단에는 PLC의 통신포트에 연결이 가능한 형태의 PLC 연결단자(320)가 마련될 수 있다.The PLC connector 300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00 so that the communication cable 200 connected to the PC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PLC, and at one end, the connector connecting part 220 of the communication cable 200 and A connectable cable connection terminal 310 is formed, and at the other end where the cable connection terminal 310 is formed, a PLC connection terminal 320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ort of the PLC may be provided.

딥스위치(11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상단에 마련되며, 커넥터 하우징(100)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통하는 딥스위치(110)의 하단 일측이 PLC 커넥터(300)의 상단과 접촉이 가능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dip switch 11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 is formed in a shape penetrating the connector housing 100 , and the lower end of the dip switch 110 passing throug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LC connector 300 . It may be provided in any possible shape.

이때, 딥스위치(110)는 PLC 커넥터(300)의 PLC 연결단자(320)에 형성되는 커넥터 핀(321)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p switch 110 may control whether the connector pin 321 formed on the PLC connection terminal 320 of the PLC connector 300 is activated.

이때, 후술하겠지만, PLC 커넥터(300)는 딥스위치(110)의 제어에 따라서 활성화되는 커넥터 핀(321)을 설정하여 각 PLC의 방식에 따라서 딥스위치(110)를 제어하여 PLC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LC connector 300 sets the connector pin 321 activ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ip switch 110 to control the dip switch 110 according to the method of each PLC to communicate with the PLC. have.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PLC 커넥터(300)는 연결하고자 하는 PLC 커넥터(300)와 통신 케이블(200)을 연결한 뒤에 연결되는 PLC 커넥터(300)의 PLC 연결단자가 커넥터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PLC의 통신포트에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 plurality of PLC connectors 300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00 are connected after connecting the PLC connector 300 and the communication cable 200 to b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PLC connec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PLC by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

더 자세하게는, 도 2의 (a)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PLC 커넥터(30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케이블 연결단자(310)와 통신 케이블(200)의 커넥터 연결부(220)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PLC 커넥터(300)의 위치를 조정하고, 통신 케이블(200)을 PLC 커넥터(300)의 방향으로 제어하여 커넥터 연결부(220)와 케이블 연결단자(31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In more detail, by selecting one of the PLC connectors 300 formed at the inner lower end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as shown in (a) of FIG. 2 , the cable connection terminal 310 and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220 of the communication cable 200 ) adjust the position of the PLC connector 300 so that it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cable 200 in the direction of the PLC connector 300 so that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220 and the cable connection terminal 310 are connected. can

커넥터 연결부(220)와 케이블 연결단자(310)를 연결한 다음, 통신 케이블(200)을 커넥터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PLC 연결단자(320)가 커넥터 하우징(100)의 전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PLC의 통신포트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After connecting 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220 and the cable connection terminal 310 , the communication cable 200 is mov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so that the PLC connection terminal 320 is outside the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 It can be protrud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PLC.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에 마련되는 PLC 커넥터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에 형성되는 케이블 위치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a) and (b) are views showing the shape of a PLC connector provided in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formed in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1)의 PLC 커넥터(300)는 통신하고자 하는 PLC의 통신포트의 형상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PLC connector 300 of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be compatible with the shape of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PLC to be communicated with.

더 자세하게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PLC 커넥터(300)에 형성되는 PLC 연결단자(320)는 PLC의 통신포트 형상에 따라서 각기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LC connection terminals 320 formed in the plurality of PLC connectors 300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00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PLC.

즉, 커넥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다수의 PLC 커넥터(300)는 다양한 형상의 PLC 연결단자(320)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현장에 마련되는 PLC 통신포트와 호환되는 PLC 커넥터(300)를 선택하여 통신 케이블(200)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PLC connectors 300 provided in the connector housing 100 select the PLC connector 300 compatible with the PLC communication port provided at the site to be used by using the PLC connection terminals 320 of various shapes. to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200 .

이때, PLC 커넥터(300)에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단자(310)는 PLC 연결단자(320)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더라도,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나의 통신 케이블(200)에 모두 호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ble connection terminal 310 formed in the PLC connector 300 is provided in the same shape even if the PLC connection terminal 320 is provided in a different shape so as to be compatible with all one communication cable 200 . can

즉, 커넥터 하우징(100)은 다른 형상의 PLC 연결단자(320)를 형성하는 다수의 PLC 커넥터(300)를 마련하며, 각각의 PLC 커넥터(300)는 서로 다른 형상의 PLC 연결단자(320)가 구비되지만, 동일한 형상의 케이블 연결단자(310)가 형성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100)과 연결되는 하나의 통신 케이블(200)을 이용하여 각각의 PLC 커넥터(300)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or housing 100 provides a plurality of PLC connectors 300 forming PLC connection terminals 320 of different shapes, and each PLC connector 300 has PLC connection terminals 320 of different shapes. However, since the cable connection terminal 310 of the same shape is formed, each PLC connector 300 may be used using one communication cable 2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100 .

또한, PLC 커넥터(300)는 양측면에 돌기(330)가 형성되며, 각 돌기는 PLC 커넥터(300)에 형성되는 PLC 연결단자(320)에 따라서 돌출되는 길이를 다르게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s 33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C connector 300 , and each protrusion may have a different protrusion length according to the PLC connection terminal 320 formed in the PLC connector 300 .

예컨대, 40핀형 PLC 연결단자(320)가 형성되는 PLC 커넥터(300)는 돌기(330)의 돌출되는 길이를 다른 PLC 커넥터(300)보다 더 길게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20핀형 PLC 연결단자(320)가 형성되는 PLC 커넥터(300)는 40핀형 PLC 커넥터(300)의 돌기(330)보다 더 짧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C connector 300 in which the 40-pin type PLC connection terminal 320 is formed may have a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sion 330 longer than that of the other PLC connectors 300, and the 20-pin type PLC connection terminal 320 ) formed PLC connector 300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projection 330 of the 40-pin type PLC connector 300.

또한, PLC 커넥터(300)에 형성되는 돌기(330)의 길이는 상기의 예시에서와 반대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형상의 PLC 연결단자(320)를 형성하는 PLC 커넥터(300)가 서로 다른 길이의 돌기를 가지도록 하여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330 formed on the PLC connector 300 may be formed to be opposite to that in the above example, and the PLC connectors 300 forming the PLC connection terminals 320 of different shap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can be distinguished by having protrusions of length.

즉, PLC 커넥터(300)는 형성되는 PLC 연결단자(320)의 형상에 따라서 돌기(330)의 길이를 달리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후 후술하겠지만,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보관 시 PLC 커넥터(300)의 돌기(330)의 길이에 따라서 커넥터 보관부(130)에 안착되는 홈의 위치가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LC connector 300 can be distinguished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33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LC connection terminal 320 to be formed,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stor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00 .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330 of the PLC connector 300, the position of the groove to be seated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130 may be distinguishe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1)의 커넥터 하우징(100)은 내측으로 연결되는 통신 케이블(200)이 커넥터 하우징(100) 내측에서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되도록 케이블 위치조절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4, in the connector housing 100 of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cable 200 connected to the inside is connected to the front or rear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It may further include a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120 to adjust the position.

케이블 위치조절부(120)는 커넥터 연결부(22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의 상단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able positioning unit 1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220 ,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

이때, 커넥터 하우징(100)의 상단면에는 일정 크기의 홈(101)이 형성되어 케이블 위치조절부(120)가 홈(101)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 groove 101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so that the cable positioning unit 120 can pass through the groove 101 and protrude outward.

커넥터 연결부(220)에 형성되는 케이블 위치조절부(120)를 커넥터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통신 케이블(200)이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통신 케이블(200)과 연결되어 있는 PLC 커넥터(300)가 같이 움직이도록 하여 PLC 커넥터(300)에 형성되는 PLC 연결단자(320)가 커넥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120 formed in 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220 is mov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the communication cable 200 can be adjusted to move in the front direction, and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cable 200 It can be adjusted so that the PLC connector 300 connected to the PLC connector 300 moves together so that the PLC connection terminal 320 formed in the PLC connector 30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

즉, 케이블 위치조절부(120)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PLC 커넥터(300)의 PLC 연결단자(320)를 커넥터 하우징(100)의 전면방향에 돌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PLC connection terminal 320 of the PLC connector 300 to be used can be made to protrud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by using the cable positioning unit 120, and the position is adjust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It is also possible to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딥스위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a) and (b)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p switch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딥스위치 입력부(340)는 PLC 커넥터(30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PLC 연결단자(320)가 돌출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100)의 딥스위치(110)와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dip switch input unit 340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LC connector 300 , and the dip switch 110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and the dip switch 110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in a state where the PLC connection terminal 320 protrudes It may be formed to be vertically aligned.

이때, 딥스위치(110)와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딥스위치(110)를 제어하게 되면, 딥스위치 입력부(340)에 해당 스위치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어 PLC 커넥터(300)에 설정된 방법에 따라서 커넥터 핀(321)의 활성화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ip switch 110 is controlled in a state vertically aligned with the dip switch 110 , a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switch is input to the dip switch input unit 340 and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method set in the PLC connector 300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ctivation of the pin 321 .

예컨대, 1번 딥스위치(110)를 누르게 되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핀(321)이 모두 활성화되어 통신하도록 할 수 있으나, 2번 딥스위치(110)를 누르게 되면, 1번 내지 15번의 커넥터 핀(321)만 통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No. 1 dip switch 110 is pressed, all the formed connector pins 321 can be activated and communicated. However, when the No. 2 dip switch 110 is pressed, the connector pins 1 to 15 are 321) is also possible.

또한, 딥스위치(110)에 따른 커넥터 핀(321)의 활성화 여부는 PLC 커넥터(300)의 설정에 따라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ther the connector pin 321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dip switch 11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PLC connector 300 .

예컨대, 1번 딥스위치(110)를 누를 시 커넥터 핀(321)이 모두 통신하도록 할 수 있으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설정을 다르게 하여 1번 딥스위치(110)를 누르게 되면 1번 내지 14번 커넥터 핀(321)만 활성화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No. 1 dip switch 110 is pressed, the connector pins 321 can all communicate. However, when the No. 1 dip switch 110 is pressed with a different setting for activation, the No. 1 to No. 14 connector pins Only (321) can be activat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의 커넥터 하우징에 커넥터 보관부와 커넥터 연결통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커넥터 하우징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단면도이다.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or storage unit and a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in a connector housing of a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housing of FIG. 6 viewed from the front.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1)의 커넥터 하우징(100)은 커넥터 보관부(130)와 커넥터 연결통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to 7 , the connector housing 100 of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storage unit 130 and a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140 .

커넥터 보관부(13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며, PLC 커넥터(300)의 외곽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PLC 커넥터(300)를 사용하지 않을 시, 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보관부(130)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or storage unit 130 is formed at the inner lower end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 and a groove in the shape of the outer shape of the PLC connector 300 is formed. (130) may be seated.

더 자세하게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커넥터 보관부(130)는 구비하고자 하는 PLC 커넥터(300)의 외곽 형상에 따라서 홈이 형성되며, PLC 커넥터(30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기(330)의 길이에 따라서 위치가 정해지도록 돌기부 가이드(131)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connector storage unit 13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has grooves formed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LC connector 300 to be provided, and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C connector 300 .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guide 131 so as to be positio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330 .

돌기부 가이드(131)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며, PLC 커넥터(300)의 돌기(330)가 끼워지는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PLC 커넥터(300)가 안착되는 위치에서 돌기(330)가 더 이상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걸리도록 할 수 있다.The protrusion guide 131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a groove is formed in which the protrusion 330 of the PLC connector 300 is fitted, and the protrusion ( 330) can be hung so that it no longer moves in the rearward direction.

이때, PLC 커넥터(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PLC 연결단자(320)의 형상에 따라서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기(330)의 길이를 달리할 수 있으며, 커넥터 보관부(130)에 형성되는 돌기부 가이드(131)는 'ㄱ'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각 PLC 커넥터(300)의 돌기(330)가 돌기부 가이드(131)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C connector 300 may have different lengths of the protrusions 330 formed on both sid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LC connection terminal 320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trusion guide formed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130 . 131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L'-shaped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protrusion 330 of each PLC conn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guide 131 .

커넥터 연결통로(140)는 커넥터 보관부(130)가 형성되는 위치의 상단으로 마련되며, PLC 커넥터(300)와 통신 케이블(200)이 서로 연결이 가능하며, PLC 커넥터(300)가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전면방향 또는 후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14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or storage unit 130 is formed, the PLC connector 300 and the communication cable 2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LC connector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 100) can be formed to form a passage that can move in the front direction or the rear direction from the inside.

더 자세하게는, 각각의 PLC 커넥터(300)를 보관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 보관부(130)에 형성되는 중간벽체(132)의 윗면과 커넥터 연결부(220)가 안착되는 위치의 밑면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PLC 커넥터(300)가 이동 시 PLC 커넥터(300)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wall 132 formed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130 provided to store each PLC connector 3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220 is seated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When the PLC connector 300 is moved, it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PLC connector 300 .

이때, 커넥터 보관부(130)에 안착되어 있는 PLC 커넥터(300)의 윗면이 커넥터 보관부(130)의 중간벽체(132)의 윗면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는 PLC 커넥터(300)가 사용하는 PLC 커넥터(300)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PLC connector 300 seated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130 is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wall 132 of the connector storage unit 130, so that the unused PLC connector 300 is formed. It can be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PLC connector 300 used by the.

즉, PLC 커넥터(300)가 커넥터 보관부(130)에 안착된 PLC 커넥터(300)의 윗면이 커넥터 연결부(220)의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통신 케이블(200)과 연결되는 PLC 커넥터(300)는 커넥터 보관부(130)의 중간벽체(132)와 커넥터 보관부(130)에 안착되어 있는 PLC 커넥터(300)의 윗면에 의해 형성되는 일면을 통로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PLC connector 300 in which the PLC connector 300 is seated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130 may serve as a passage for 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220, and the PLC connector ( 300 may allow one surface formed by the intermediate wall 132 of the connector storage unit 1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C connector 300 seated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130 to be used as a passage.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의 커넥터 견인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8 (a) and (b)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traction part of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1)은 커넥터 보관부(130)에 위치하는 PLC 커넥터(300)를 커넥터 연결통로(140)의 위치로 견인하도록 커넥터 견인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traction unit to pull the PLC connector 300 located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130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connection path 140 . (400) may be further included.

커넥터 견인부(400)는 지지판(410), 제1탄성스프링(420) 및 견인버튼(4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하고자 하는 PLC 커넥터(300)를 커넥터 연결통로(140) 방향으로 밀어 올려주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nector traction unit 40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410 , a first elastic spring 420 and a traction button 430 , and push up the PLC connector 300 to be used in the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140 direction. Giving action can be performed.

지지판(410)은 PLC 커넥터(300)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위치하며, PLC 커넥터(300)의 밑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PLC 커넥터(300)를 지지해주며, 상단으로 견인하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줄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support plate 410 is positione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PLC connector 300,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LC connector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upports the PLC connector 300. , it is possible to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at can support it so as not to be shaken in the process of towing to the top.

제1탄성스프링(420)은 일측이 지지판(410)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측이 커넥터 하우징(10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커넥터 하우징(100)에 지지판(410)이 고정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도록 인장 스프링 방식의 스프링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spring 420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4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100, so that the support plate 410 is fixed to the connector housing 100. , it is possible to use a tension spring type spring so that a pulling force from both sides in the central direction acts.

이때, 제1탄성스프링(420)은 지지판(410)의 하단에 한 개 이상의 제1탄성스프링(420)이 형성되어 지지판(410)의 균형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개의 제1탄성스프링(420)이 형성되어 지지판(410)을 하단으로 당기는 힘이 고르게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spring 420 is one or more first elastic springs 420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410 so that the balance of the support plate 410 is not shaken, preferably three first The elastic spring 420 may be formed so that the force pulling the support plate 410 to the lower end acts evenly.

견인버튼(430)은 지지판(410)의 양측면에서 지지판의 밑면으로 삽입되도록 전면부가 뾰족하고 후면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면방향으로 내려가는 경사면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action button 430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front part is point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410 and the width becomes wider toward the rear part, and has an inclined surface that goes down in the front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can be formed in the form.

더 자세하게는, 복수의 견인버튼(430)이 커넥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지지판(410)과 양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견인버튼(430)이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양측면에서 견인버튼(430)을 중심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견인버튼(430)의 전면부가 지지판(410)의 밑면에 삽입되면서, 견인버튼(430)의 경사면에 의해 지지판(410)이 상부로 견인되도록 할 수 있다.In more detail, a plurality of traction buttons 430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 and a plurality of traction buttons 4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410 and the traction buttons 430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and the traction buttons 430 on both sides. ) is pressed in the central direction, while the front portion of the pull button 430 is inserted into the underside of the support plate 410 , the support plate 410 can be pulled upward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ull button 430 .

이때, 양측에 마련되는 견인버튼(430)은 경사면의 하단에 제2탄성스프링(431)이 형성되며, 제2탄성스프링(431)은 양측에 연결되는 견인버튼(430)을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ction button 430 provided on both sides has a second elastic spring 43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elastic spring 431 has a force pushing the traction button 430 connected to both sides. may be arranged to do so.

즉, 제2탄성스프링(431)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견인버튼(430)은 지지판(410)을 견인하기 위하여 누르게 되면, 제2탄성스프링(431)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오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ull button 430 connected by the second elastic spring 431 is pressed to pull the support plate 410,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push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spring 431. can be formed.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의 케이블 위치조절부에 롤링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9 (a) and (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lling part is formed in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part of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LC 멀티통신 케이블(1)은 케이블 위치조절부(120)에 롤링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lling unit 121 in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120 .

롤링부(121)는 벨트부(122)와 롤러(123)를 포함하며, 케이블 위치조절부(120)를 위해 커넥터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홈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The rolling part 121 may include a belt part 122 and a roller 123 , and may serve to block a groove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100 for the cable positioning part 120 from the outside.

더 자세하게는, 실리콘, 우레탄 또는 합성고무 등의 소재로 마련되는 벨트부(122)에 케이블 위치조절부(120)가 끼워지는 형태로 마련되어 케이블 위치조절부(120)를 커넥터 하우징(100)의 전면방향 또는 후면방향으로 제어할 시 벨트부(122)가 케이블 위치조절부(120)에 의해 같이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120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120 is fitted to the belt unit 122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urethane or synthetic rubber, and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12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 When controlling in the direction or the rear direction, the belt unit 122 may be moved together by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120 .

이때, 벨트부(122)의 양측면에는 롤러(123)가 형성되어 케이블 위치조절부(120)에 의해 움직이는 벨트부(122)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llers 12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elt unit 122 so that the belt unit 122 moving by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120 is wound or unwound.

즉, 롤링부(121)는 케이블 위치조절부(120)를 제어함에 있어서, 벨트부(122)가 케이블 위치조절부(120)를 위해 형성되는 홈의 틈새를 막아 외부의 이물질을 차단하도록 하며, 벨트부(122)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커넥터 하우징(100) 내측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롤러(123)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여 벨트부(122)가 일정 구간에서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n controlling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120, the rolling unit 121 blocks the gap of the groove formed for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unit 120 by the belt unit 122 to block external foreign substances, The belt part 122 may be formed only in a certain section by winding or unwinding the roller 123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00 while the belt part 122 moves.

이때, 롤링부(121)는 양측에 형성되는 롤러(123)가 케이블 위치조절부(120)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롤러(123)의 측면에 롤러 케이블(124)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양측면의 롤러(123)에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lling part 121 is to further include a roller cable 124 on the side of the roller 123 so that the rollers 123 formed on both sides can rotate natural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ble position adjusting part 120 . It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ollers 123 on both sides.

롤러 케이블(124)은 벨트부(122)과 같이 실리콘, 우레탄, 또는 합성고무 등의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금속 체인과 같은 형상으로도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roller cable 124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urethane, or synthetic rubber like the belt part 12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metal chain.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PLC 멀티통신 케이블
100: 커넥터 하우징
110: 딥스위치
120: 케이블 위치조절부
121: 롤링부
122: 벨트부
123: 롤러
124: 롤러 케이블
130: 커넥터 보관부
131: 돌기부 가이드
132: 중간벽체
140: 커넥터 연결통로
101: 홈
200: 통신 케이블
220: 커넥터 연결부
300: PLC 커넥터
310: 케이블 연결단자
320: PLC 연결단자
321: 커넥터 핀
330: 돌기
340: 딥스위치 입력부
400: 커넥터 견인부
410: 지지판
420: 제1탄성스프링
430: 견인버튼
431: 제2탄성스프링
1: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100: connector housing
110: dip switch
120: cable position control unit
121: rolling part
122: belt part
123: roller
124: roller cable
130: connector storage unit
131: protrusion guide
132: middle wall
140: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101: home
200: communication cable
220: connector connection
300: PLC connector
310: cable connector
320: PLC connection terminal
321: connector pin
330: turn
340: dip switch input unit
400: connector tow
410: support plate
420: first elastic spring
430: tow button
431: second elastic spring

Claims (8)

PLC와 통신하기 위하여 커넥터 하우징에 구비되는 통신 케이블에 있어서,
PC와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되는 PC 연결부;
상기 PC 연결부가 형성되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커넥터 연결부; 및
일단에는 상기 커넥터 연결부와 호환되는 케이블 연결단자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PLC의 통신포트와 호환되도록 PLC 연결단자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PLC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PLC 커넥터에 형성되는 커넥터 핀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딥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통신 케이블을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멀티통신 케이블
In the communication cable provided in the connector housing to communicate with PLC,
a PC connection unit form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to be connected to a PC;
a connector connection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on which the PC connection part is formed, and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and
A cable connec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is formed on one end, and a PLC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on the other end to be compatible with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PLC, and one or more PLC connectors are included;
The connector housing,
a dip switch operable to control whether a connector pin formed on the PLC connector is activated;
A cable positioning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in the front direction or the rear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comprising a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PLC 커넥터의 상기 PLC 연결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PLC의 통신포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멀티통신 케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housing,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C connection terminal of the PLC connector protrudes to the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PL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LC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복수로 마련될 경우, 상기 PLC 연결단자를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멀티통신 케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PLC connector is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provided in plurality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the PLC connection terminals are formed in different shapes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LC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상기 딥스위치와 연결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딥스위치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딥스위치 입력부는,
상기 PLC 커넥터 중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PLC 연결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하였을 때에 상기 딥스위치와 수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멀티통신 케이블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C connector is
a dip switch input unit formed on one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dip switch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The dip switch input unit,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one of the PLC connectors is selected and the PLC connection terminal is position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it is vertically aligned with the dip switch
PLC와 통신하기 위하여 커넥터 하우징에 구비되는 통신 케이블에 있어서,
PC와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되는 PC 연결부;
상기 PC 연결부가 형성되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커넥터 연결부; 및
일단에는 상기 커넥터 연결부와 호환되는 케이블 연결단자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PLC의 통신포트와 호환되도록 PLC 연결단자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PLC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PLC 커넥터에 형성되는 커넥터 핀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딥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PLC 커넥터를 보관하도록 상기 PLC 커넥터의 형상에 따라서 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보관부;
상기 커넥터 보관부의 상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PLC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연결부가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 연결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멀티통신 케이블
In the communication cable provided in the connector housing to communicate with PLC,
a PC connection unit form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to be connected to a PC;
a connector connection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on which the PC connection part is formed, and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and
A cable connec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is formed on one end, and a PLC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on the other end to be compatible with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PLC, and one or more PLC connectors are included;
The connector housing,
a dip switch operable to control whether a connector pin formed on the PLC connector is activated;
a connector storage unit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LC connector to store the PLC connector;
A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storage unit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PLC connector and 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are connected;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comprising a further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보관부에 구비되는 상기 PLC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연결통로로 이동하도록 하단에서 상기 PLC 커넥터를 밀어올려주는 커넥터 견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견인부는,
상기 PLC 커넥터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지지판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을 상단 방향으로 견인하도록 형성되는 견인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멀티통신 케이블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nector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traction unit for pushing up the PLC connector from the lower end so that the PLC connector provided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moves to the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The connector traction unit,
a support plate provid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PLC connector;
an elastic spring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and exerting a pull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comprising a; traction butt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to pull the support plate up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위치조절부는,
내측으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는,
상기 케이블 위치조절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홈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는 벨트부;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벨트가 감기도록 전후방에 형성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멀티통신 케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cable positioning unit,
and a rolling part provid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do not flow into the inside;
The rolling part,
a belt part formed so as not to leave a gap in a groove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to guide the cable positioning part; and
PLC multi-communication cable comprising a; rollers formed at the front and back so that the belt is woun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ommunication cable
KR1020200110460A 2020-08-31 2020-08-31 PLC communicating cable including multi-connecter KR102455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60A KR102455523B1 (en) 2020-08-31 2020-08-31 PLC communicating cable including multi-conne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60A KR102455523B1 (en) 2020-08-31 2020-08-31 PLC communicating cable including multi-connec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864A KR20220028864A (en) 2022-03-08
KR102455523B1 true KR102455523B1 (en) 2022-10-17

Family

ID=8081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460A KR102455523B1 (en) 2020-08-31 2020-08-31 PLC communicating cable including multi-connec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52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853B1 (en) * 2011-11-04 2012-06-18 주식회사 이티에이 Cover device for cable connector
KR101227869B1 (en) * 2011-08-26 2013-01-3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Multi d-sub cable with changeable its line connections
KR101873699B1 (en) 2017-11-21 2018-07-02 이기석 hooded for cab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640B1 (en) * 2011-11-04 2013-06-25 주식회사 이티에이 Cover device for cable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869B1 (en) * 2011-08-26 2013-01-3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Multi d-sub cable with changeable its line connections
KR101154853B1 (en) * 2011-11-04 2012-06-18 주식회사 이티에이 Cover device for cable connector
KR101873699B1 (en) 2017-11-21 2018-07-02 이기석 hooded for c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864A (en)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9149B2 (en) High reliability robotic cross-connect systems
CN1841574B (en) Signal transmission line with audio and USB interface
KR102455523B1 (en) PLC communicating cable including multi-connecter
EP1394901B1 (en) Plug
EP1394584B1 (en) Optical fibre connector plug
US5581644A (en) Transmission line switching apparatus
DE10350019B4 (en) Fiber optic photoelectric sensor unit
US10737519B2 (en) Ribbon cassette including ink ribbon, first spool, and second spool
CA1244938A (en) Magnetic tape cassette
US5402561A (en) Crimping tool having angularly offset crimping dies
US6045375A (en) Sliding insert type connector with assisting slider
TWM484712U (en) Optic-fiber detector
EP0400967B1 (en) Connector for electric part
US6151188A (en) Magnetic tape drive for single-reel type magnetic tape cartridge
US4901434A (en) Apparatus for terminating multiconductor cable by pressure connection
US4934778A (en) Zero insertion force optical connector
CN112612087B (en) Plug housing assembly, push-pull connector and adapter thereof
TWI725245B (en) Film transfer tool
CA1233388A (en) Cable bending device
KR101497395B1 (en) Load test device
CN113573527B (en) Computer network control box
JP4745018B2 (en) Optical cable connector storage case
KR102531943B1 (en) Spacer with dectecting function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CN203326284U (en) Card connector device
CN208493240U (en) The two-way splice of Puzzle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to each ot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