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847B1 -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847B1
KR102454847B1 KR1020210049546A KR20210049546A KR102454847B1 KR 102454847 B1 KR102454847 B1 KR 102454847B1 KR 1020210049546 A KR1020210049546 A KR 1020210049546A KR 20210049546 A KR20210049546 A KR 20210049546A KR 102454847 B1 KR102454847 B1 KR 102454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ehouse system
implementation
temporary design
implemented
sens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3258A (ko
Inventor
최철호
최윤우
Original Assignee
최철호
주식회사 넥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호, 주식회사 넥스지엠 filed Critical 최철호
Priority to KR1020210049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8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25B47/022Defrosting cycles hot gas defro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2Therm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는 입력부가 복수의 입력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가설계부가 복수의 입력인자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설계 장치들로 구성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검증부가 가설계 창고 시스템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의 복수의 구현 장치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구현 장치들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검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는 가설계부가 복수의 입력인자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설계 장치들로 구성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을 설계하고, 검증부가 가설계 창고 시스템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의 복수의 구현 장치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구현 장치들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검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OPERATION METHOD OF HIGH EFFICIENC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고효율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창고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공조 및 냉동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증가하여 창고를 설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917293 (등록일자 2018.11.0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설계부가 상기 복수의 입력인자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설계 장치들로 구성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을 설계하고, 검증부가 상기 가설계 창고 시스템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의 복수의 구현 장치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현 장치들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검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고효율 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는 입력부가 복수의 입력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가설계부가 상기 복수의 입력인자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설계 장치들로 구성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검증부가 상기 가설계 창고 시스템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의 복수의 구현 장치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현 장치들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검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설계부에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입력인자들은 상기 구현 냉동 시스템의 재질 및 두께, 상기 구현 내용 시스템이 배치되는 고도 및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설계부는 상기 재질, 상기 두께, 상기 고도 및 상기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가설계 장치의 용량 및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설계부는 상기 재질, 상기 두께, 상기 고도 및 상기 방향에 따라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기 복수의 가설계 장치의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는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진동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증발기에 성애의 발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진동 센싱 데이터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진동값보다 큰 경우, 상기 증발기에 성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검증부는 상기 진동 센싱 데이터의 값이 상기 기준 진동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증발기에 성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 센싱 데이터의 값이 상기 기준 진동값보다 큰 경우,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에 포함되는 압축기는 상기 증발기에 핫 가스(Hot gas)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은 3D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3D 카메라는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의 내부를 촬영하여 창고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검증부는 상기 창고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의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을 파악하고, 상기 적재물의 종류, 부피, 밀도에 기초하여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전력센서는 상기 복수의 구현 장치들의 사용전력량을 센싱하여 전력 센싱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 데이터의 값 및 미리 정해진 기준전력 값 사이의 오차가 미리 정해진 전력 오차한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검증부는 상기 전력센서가 배치되는 구현 장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을 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검증결과는 시공자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을 사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검증결과는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을 사용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현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부에 제공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한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는 가설계부가 상기 복수의 입력인자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설계 장치들로 구성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을 설계하고, 검증부가 상기 가설계 창고 시스템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의 복수의 구현 장치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현 장치들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검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 사용되는 입력인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에 포함되는 가설계부가 설계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에 포함되는 가설계부가 설계하는 가설계 장치의 용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적용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구현 창고 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적용된 구현 창고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적용된 구현 창고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12는 도 2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 사용되는 입력인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에 포함되는 가설계부가 설계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에 포함되는 가설계부가 설계하는 가설계 장치의 용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적용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10)은 입력부(100), 가설계부(200) 및 검증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10)의 동작방법에서는 입력부(100)가 복수의 입력인자들(INS)을 입력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10)의 시공자는 입력부(100)를 통해서 복수의 입력인자들(INS)을 입력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인자들(INS)은 재질(J), 두께(W), 고도(H) 및 방향(D)을 포함할 수 있다. 재질(J)은 구현 창고 시스템(CS)이 적용되는 창고의 재질(J)일 수 있고, 두께(W)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이 적용되는 창고의 두께(W)일 수 있다. 또한, 고도(H)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이 적용되는 창고의 고도(H)일 수 있고, 방향(D)은 구현 창고 시스템(CS)이 적용되는 창고가 배치되는 방향(D)일 수 있다.
가설계부(200)가 복수의 입력인자들(INS)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설계 장치들로 구성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을 설계할 수 있다(S200). 예를 들어,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에 포함되는 복수의 가설계 장치들은 가설계 압축기(210), 가설계 응축기(220) 및 가설계 증발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설계부(200)는 고효율 창고 시스템(10)의 사용자가 입력부(100)를 통해서 제공받은 재질(J), 두께(W), 고도(H) 및 방향(D)에 기초하여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을 설계할 수 있다. 가설계부(200)가 재질(J), 두께(W), 고도(H) 및 방향(D)에 기초하여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을 설계하는 경우, 가설계부(200)는 제1 위치(P1)에 가설계 압축기(210)를 배치할 수 있고, 제2 위치(P2)에 가설계 응축기(22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가설계부(200)는 제3 위치(P3)에 가설계 증발기(230)를 배치할 수 있다. 가설계부(200)가 설계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에 포함되는 복수의 가설계 장치들은 시뮬레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검증부(300)가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복수의 구현 장치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구현 장치들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검증결과(VR)를 제공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가설계부(200)로부터 제공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에 따라 실제로 구현된 고효율 창고 시스템(10)은 구현 창고 시스템(CS)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구현 창고 시스템(CS)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현 장치들은 압축기(310), 응축기(320) 및 증발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현 장치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들은 제1 센서(311), 제2 센서(312) 및 제3 센서(313)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310)에 배치되는 센서는 제1 센서(311)일 수 있고, 응축기(320)에 배치되는 센서는 제2 센서(312)일 수 있다. 또한, 증발기(330)에 배치되는 센서는 제3 센서(313)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311)는 압축기(310)의 상태를 센싱하여 제1 센싱 데이터(SD1)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센서(312)는 응축기(320)의 상태를 센싱하여 제2 센싱 데이터(SD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 센서(313)는 증발기(330)의 상태를 센싱하여 제3 센싱 데이터(SD3)를 제공할 수 있다. 압축기(310)의 상태는 압축기(310)의 진동, 온도 및 사용전력일 수 있고, 응축기(320)의 상태는 응축기(320)의 진동, 온도 및 사용전력일 수 있다. 또한, 증발기(330)의 상태는 증발기(330)의 진동, 온도 및 사용전력일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311)는 제1 진동센서, 제1 온도센서 및 제1 전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센서(312)는 제2 진동센서, 제2 온도센서 및 제2 전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센서(313)는 제3 진동센서, 제3 온도센서 및 제3 전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데이터(SD1)는 제1 진동 데이터, 제1 온도 데이터 및 제1 전력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제2 센싱 데이터(SD2) 및 제3 센싱 데이터(SD3)에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들은 3D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3D 센서들은 경우에 따라서 고효율 창고 시스템(10) 내부 복수의 지점들에 배치되어 창고 내부의 용적을 세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설계부(200)에 제공되는 복수의 입력인자들(INS)은 구현 냉동 시스템의 재질(J) 및 두께(W), 구현 내용 시스템이 배치되는 고도(H) 및 방향(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설계부(200)는 재질(J), 두께(W), 고도(H) 및 방향(D)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설계 장치의 용량 및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입력인자들(INS) 중 재질(J)은 스테인레스일 수 있고, 두께(W)는 30cm일 수 있다. 또한, 고도(H)는 100m일 수 있고, 방향(D)은 남쪽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설계부(200)는 용량이 제1 압축기 용량(P1)인 가설계 압축기(210)를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의 제1 위치(P1)에 배치할 수 있고, 용량이 제1 응축기 용량(U1)인 가설계 응축기(220)를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의 제2 위치(P2)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가설계부(200)는 용량이 제1 증발기 용량(Z1)인 가설계 증발기(230)를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의 제3 위치(P3)에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설계부(200)는 재질(J), 두께(W), 고도(H) 및 방향(D)에 따라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복수의 가설계 장치의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온도는 복수의 가설계 장치들의 용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입력인자들(INS) 중 재질(J)은 스테인레스일 수 있고, 두께(W)는 30cm일 수 있고, 고도(H)는 100m일 수 있고, 방향(D)은 남쪽일 수 있고, 기준온도는 -20도일 수 있다.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온도를 -20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가설계 압축기(210)의 용량은 제1 압축기 용량(P1)보다 클 수 있고, 가설계 응축기(220)의 용량은 제1 응축기 용량(U1)보다 클 수 있고, 가설계 증발기(230)의 용량은 제1 증발기 용량(Z1)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10)의 동작방법에서는 가설계부(200)가 복수의 입력인자들(INS)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설계 장치들로 구성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을 설계하고, 검증부(300)가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복수의 구현 장치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구현 장치들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검증결과(VR)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구현 창고 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적용된 구현 창고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구현 창고 시스템(CS)에 포함되는 증발기(330)는 진동센서(331)를 포함하고, 검증부(300)는 진동센서(331)로부터 제공되는 진동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증발기(330)에 성애의 발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330)에 포함되는 진동센서(331)는 제3 진동센서일 수 있다. 제3 진동센서는 증발기(3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센싱하여 제3 진동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10)은 제3 진동 데이터의 값을 이용하여 증발기(330)에 성애가 어느정도 발생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검증부(300)는 제3 진동 데이터에 해당하는 진동 센싱 데이터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진동값보다 큰 경우, 증발기(330)에 성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검증부(300)는 제3 진동 데이터에 해당하는 진동 센싱 데이터의 값이 기준 진동값보다 작은 경우, 증발기(330)에 성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증발기(330)에 성애가 많이 발생할수록 증발기(330)의 진동은 감소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증발기(330)에 발생한 성애의 양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진동 센싱 데이터의 값이 기준 진동값보다 큰 경우, 구현 창고 시스템(CS)에 포함되는 압축기(310)는 증발기(330)에 핫 가스(Hot gas, HG)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센싱 데이터의 값이 기준 진동값보다 큰 경우, 증발기(330)에 발생된 성애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증발기(330)에 발생된 성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압축기(310)는 증발기(330)에 뜨거운 가스에 해당하는 핫 가스를 제공하여 증발기(330)의 성애를 제거할 수 있다.
구현 창고 시스템(CS)은 압축기(310), 유분리기(340), 응축기(320), 수액기(350), 드라이어(360), 싸이트그라스(370), 전자변(380), 팽창변(390), 증발기(330), 액분리기(395), 핫가스 밸브(315)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310)는 가스를 압축하여 응축기(320)에 제공하고, 응축기(320)는 압축가스로부터 열을 제거하여 압축가스를 액체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팽창변은 액체를 팽창시켜 주변 열을 흡수함으로써 증발기(330)에 성애가 발생할 수 있다. 증발기(330)에 성애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 증발기(330)가 오동작할 수 있고, 증발기(330)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핫가스(HG)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적용된 구현 창고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구현 창고 시스템(CS)은 3D 카메라를 포함하고, 3D 카메라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내부를 촬영하여 창고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카메라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제4 위치(P4)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위치(P4)에 배치되는 3D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제1 방향(DR1)으로부터 제2 방향(DR2)까지의 영역을 촬영하여 창고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검증부(300)는 창고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352)을 파악하고, 적재물(352)의 종류, 부피, 밀도에 기초하여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물(352)은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제5 위치(P5)에 배치될 수 있다. 검증부(300)는 제5 위치(P5)에 배치되는 적재물(352)을 파악하여 적재물(352)의 종류, 부피 및 밀도를 판단할 수 있다. 검증부(300)가 제5 위치(P5)에 배치되는 적재물(352)을 파악하여 적재물(352)의 종류, 부피 및 밀도를 판단하면, 적재물(352)의 온도를 -15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내부 설정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증부(300)는 적재물(352)의 종류, 부피 및 밀도에 기초하여 적재물(352)의 온도를 -15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내부 설정온도는 -20도로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10)은 내부 설정온도를 -20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센서들 중 전력센서는 복수의 구현 장치들의 사용전력량을 센싱하여 전력 센싱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311)는 압축기(3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311)는 제1 진동센서, 제1 온도센서 및 제1 전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력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전력 센싱 데이터는 제1 전력 데이터일 수 있다.
전력 센싱 데이터의 값(PSD) 및 미리 정해진 기준전력 값(RPV) 사이의 오차가 미리 정해진 전력 오차한계 값(PVV) 이상인 경우, 검증부(300)는 전력센서가 배치되는 구현 장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센싱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전력 데이터는의 값은 100일 수 있고, 기준전력 값(RPV)은 150일 수 있다. 또한, 전력 오차한계 값(PVV)은 20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력 데이터의 값과 기준전력 값(RPV)의 차이는 50일 수 있고, 제1 전력 데이터의 값과 기준전력 값(RPV)의 차이는 전력 오차한계 값(PVV)에 해당하는 20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검증부(300)는 제1 센서(311)가 배치되는 압축기(310)에 이상이 있다는 판단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 및 12는 도 2의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면, 구현 창고 시스템(CS)을 시공하는 단계에서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으로부터 제공되는 검증결과(VR)는 시공자 단말기(2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현 창고 시스템(CS)을 시공하는 단계는 가설계부(200)가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을 설계하는 단계로부터 구현 창고 시스템(CS)을 실제로 구현한 후, 구현 창고 시스템(CS)을 검증하는 단계까지의 시간간격일 수 있다. 구현 창고 시스템(CS)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구현 창고 시스템(CS)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시공자일 수 있다. 이 경우, 구현 창고 시스템(CS)은 검증결과(VR)를 시공자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구현 창고 시스템(CS)을 사용하는 단계에서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으로부터 제공되는 검증결과(VR)는 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현 창고 시스템(CS)을 사용하는 단계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을 실제로 사용하는 일반사용자가 구현 창고 시스템(CS)을 사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구현 창고 시스템(CS)은 검증결과(VR)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현 창고 시스템(CS)을 사용하는 단계에서, 검증부(300)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현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30)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를 이용하여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온도, 습도 및 풍향들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현 창고 시스템(CS)은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부(400)에 제공되고, 데이터 베이스부(400)에 저장되는 센싱 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부(500)가 학습한 학습 데이터(HD)에 기초하여 구현 창고 시스템(CS)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부(400)에 저장되어 인공지능을 위한 학습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창고 시스템(10)의 동작방법에서는 가설계부(200)가 복수의 입력인자들(INS)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설계 장치들로 구성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을 설계하고, 검증부(300)가 가설계 창고 시스템(GCS)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CS)의 복수의 구현 장치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구현 장치들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검증결과(VR)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10: 고효율 창고 시스템 100: 입력부
200: 가설계부 300: 검증부

Claims (12)

  1. 입력부가 복수의 입력인자들을 입력하는 단계;
    가설계부가 상기 복수의 입력인자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설계 장치들로 구성되는 가설계 창고 시스템을 설계하는 단계; 및
    검증부가 상기 가설계 창고 시스템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구현 창고 시스템의 복수의 구현 장치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현 장치들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검증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설계부에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입력인자들은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의 재질 및 두께,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이 배치되는 고도 및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가설계부는 상기 재질, 상기 두께, 상기 고도 및 상기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가설계 장치의 용량 및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은 3D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3D 카메라는 상기 구 현 창고 시스템의 내부를 촬영하여 창고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기 검증부는 상기 창고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의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의 종류, 부피, 밀도에 기초하여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의 내부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검증결과는 단계별로 구분되어 각각 상이한 단말기에 제공되고,
    상기 가설계 창고 시스템을 설계하는 단계로부터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을 구현한 후,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을 검증하는 단계까지의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검증결과는 시공자 단말기에 제공되고,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을 사용하는 일반사용자가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을 사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검증결과는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계부는 상기 재질, 상기 두께, 상기 고도 및 상기 방향에 따라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기 복수의 가설계 장치의 용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는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진동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증발기에 성애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진동 센싱 데이터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진동값보다 큰 경우, 상기 증발기에 성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진동 센싱 데이터의 값이 상기 기준 진동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증발기에 성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센싱 데이터의 값이 상기 기준 진동값보다 큰 경우,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에 포함되는 압축기는 상기 증발기에 핫 가스(Hot gas)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전력센서는 상기 복수의 구현 장치들의 사용전력량을 센싱하여 전력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전력 센싱 데이터의 값 및 미리 정해진 기준전력 값 사이의 오차가 미리 정해진 전력 오차한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검증부는 상기 전력센서가 배치되는 구현 장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을 사용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현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부에 제공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한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현 창고 시스템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210049546A 2021-04-16 2021-04-16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454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546A KR102454847B1 (ko) 2021-04-16 2021-04-16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546A KR102454847B1 (ko) 2021-04-16 2021-04-16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258A KR20220143258A (ko) 2022-10-25
KR102454847B1 true KR102454847B1 (ko) 2022-10-26

Family

ID=8378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546A KR102454847B1 (ko) 2021-04-16 2021-04-16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8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833B1 (ko) 2006-08-14 2008-05-20 인태환 온도, 습도 및 영상 취득 시스템
KR101917293B1 (ko) 2018-03-30 2019-01-24 조계철 냉동, 냉장 창고의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94703A (ja) 2018-12-10 2020-06-18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空調配置方法及び空調配置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709A (ko) * 1997-11-13 1999-06-05 최진호 냉동시스템 설계방법
KR20100058813A (ko) * 2008-11-25 201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3857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리프코리아 자동 제상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
KR20170050035A (ko) * 2015-10-29 2017-05-11 박영찬 IoT(사물통신)를 활용한 전산센터 시스템 배치
KR20190093010A (ko) * 2018-01-31 2019-08-08 김복한 무선 IoT 기반 냉동기 오작동 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833B1 (ko) 2006-08-14 2008-05-20 인태환 온도, 습도 및 영상 취득 시스템
KR101917293B1 (ko) 2018-03-30 2019-01-24 조계철 냉동, 냉장 창고의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94703A (ja) 2018-12-10 2020-06-18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空調配置方法及び空調配置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258A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45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zone vapor compression system
US113465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CN109813020A (zh) 电子膨胀阀堵塞检测方法、热泵系统控制方法、电器控制方法、电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676845A (zh) 多联机系统及其的控制方法
Li et al. Optimal on-off control of an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system
CN110425694A (zh) 基于phm的高铁智能车站暖通空调能效控制管理方法
CN109344983A (zh) 故障检测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8520306A (ja) ガスの状態の変化を効率的に管理するためのガスハンド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8195049A (zh) 电子膨胀阀的控制方法、装置、制冷设备及存储介质
CN101832621A (zh) 一种多联机空调系统自保护控制方法以及自保护控制装置
Fu et al. Equation-based object-oriented modeling and simulation of data center cooling systems
KR102454847B1 (ko) 고효율 창고 시스템의 동작방법
CN108870682A (zh) 一种空调负荷控制方法及装置
CN109028458A (zh) 一种故障处理方法、装置及空调器
Manno et al. Dynamic reliability analysis of three nonlinear aging components with different failure modes characteristics
CN111486612A (zh) 多联机系统及其制热阀泄漏检测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0578983A (zh) 一种空调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
CN110173872A (zh) 空调机的异常运行检测方法及装置
WO20191434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chiller water plant operations
Van Schijndel et al. Simulation of the climate system performance of a museum in case of failure events
CN109899939A (zh) 一种控制机组稳定运行的方法及系统
CN103477293A (zh) 反映下级构成要素的状态的成套设备的健康指数测量方法及存储了用于执行该方法的程序的计算机可判读的存储介质
CN104896683A (zh) 降压装置、空调系统、空调控制方法及装置
CN113587390A (zh) 管道保护方法、装置、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0153571A (ja) 制御ゲイン学習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