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801B1 -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801B1
KR102454801B1 KR1020210140748A KR20210140748A KR102454801B1 KR 102454801 B1 KR102454801 B1 KR 102454801B1 KR 1020210140748 A KR1020210140748 A KR 1020210140748A KR 20210140748 A KR20210140748 A KR 20210140748A KR 102454801 B1 KR102454801 B1 KR 102454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ally
ball
play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493A (ko
Inventor
권기환
구경모
여재윤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Publication of KR2022005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1Higher-level, semantic clustering, classification or understanding of video scenes, e.g. detection, labelling or Markovian modelling of sport events or news items
    • G06V20/42Higher-level, semantic clustering, classification or understanding of video scenes, e.g. detection, labelling or Markovian modelling of sport events or news items of sport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G06V20/47Detecting features for summarising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3Recognition of whole body movements, e.g. for sport tra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06
    • H04N5/23296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21Sports video; Sports image
    • G06T2207/30224Ball; Pu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에 따른 장치는, 카메라 그룹이 촬영한 스포츠 매치(match)의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매치를 중계할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장치의 프로세서는,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상기 매치에 사용되는 공을 추적하기 위한 공 추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치 내 랠리(rally)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고,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매치의 경기 공간(playing space)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촬영한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AND FOR DETERMINING VIDEO FOR SPORTS BROADCASTING}
본 개시는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매치(match)를 중계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그룹이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그룹의 각 카메라는 경기 공간(playing space)을 기준으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해당 매치의 다양한 대상을 다양한 화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그룹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매치의 중계 영상으로 결정되어, 시청자들에게 송출될 수 있다. 이 때 스포츠 매치에 대한 중계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하여, 해당 매치의 상황에 적합한 영상이 중계 영상으로 결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매치의 상황이 시시각각 변함에 따라 다른 영상이 다시 결정되어, 중계 화면의 전환이 적절히 이루어지게 할 필요도 있다.
다양한 영상 중 중계 영상으로 송출될 영상을 결정하는 과정은 인간(예: 방송국 프로듀서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에 의한 중계 영상 결정 방식은, 개인의 임의적 판단에 의존해야 한다는 점, 개인의 경험과 역량에 의해 중계 품질이 좌우될 수 있다는 점, 실수로 매치의 중요한 장면이 중계되지 못할 수 있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한 측면으로서,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장치는, 카메라 그룹이 촬영한 스포츠 매치(match)의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매치를 중계할 영상을 결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카메라 그룹 및 영상 송출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회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상기 매치에 사용되는 공을 추적하기 위한 공 추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치 내 랠리(rally)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고,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매치의 경기 공간(playing space)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촬영한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랠리의 시작 전,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선수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선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선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촬영한 제3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이 수직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이 수직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경기 공간 내 시합 표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경기 공간 내 시합 표면을 지시하는 시합 표면 정보 및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이 상기 시합 표면의 한 코트에 접촉한 후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간격 내에 상기 시합 표면의 다른 한 코트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공의 속력이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간격 이상 일정량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시합 표면 정보 및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 내 득점 여부 및 상기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결정하고, 상기 득점 여부 및 상기 득점한 선수에 기초하여, 상기 매치의 득점 상황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제2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지는 선수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갱신된 득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의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촬영한 제4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 내에서 상기 공이 양 코트 사이를 왕복한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왕복한 횟수가 제1 횟수 이상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랠리의 리플레이 영상과 상기 제4 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왕복한 횟수가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제2 횟수 이하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랠리를 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고속 카메라 영상과 상기 제4 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가 시작된 것으로 결정한 시점부터 상기 랠리가 종료된 것으로 결정한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적어도 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 내 상기 공의 수평 방향 속력의 평균값을 결정하고, 상기 평균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랠리 분석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4 영상을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랠리 분석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는, 상기 랠리에서 상기 공이 상기 시합 표면에 접촉한 위치를 시계열적으로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득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포함된 게임이 종료되었음을 결정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게임에 대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분석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게임 분석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게임에 대한 분석 정보는, 상기 게임 내 선수별 서브 방향, 서브 성공률, 공격 방향 및 공격 성공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으로서,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카메라 그룹이 촬영한 스포츠 매치의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매치를 중계할 영상을 결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상기 매치에 사용되는 공을 추적하기 위한 공 추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치 내 랠리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매치의 경기 공간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촬영한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랠리의 시작 전,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선수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선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선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촬영한 제3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치 내 랠리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이 수직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경기 공간 내 시합 표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치 내 랠리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경기 공간 내 시합 표면을 지시하는 시합 표면 정보 및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시합 표면 정보 및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 내 득점 여부 및 상기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득점 여부 및 상기 득점한 선수에 기초하여, 상기 매치의 득점 상황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제2 영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지는 선수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갱신된 득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의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촬영한 제4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 내에서 상기 공이 양 코트 사이를 왕복한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왕복한 횟수가 제1 횟수 이상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랠리의 리플레이 영상과 상기 제4 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왕복한 횟수가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제2 횟수 이하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랠리를 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고속 카메라 영상과 상기 제4 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으로서,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명령을 기록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따른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은,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기 위한 명령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시, 해당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통신 회로를 통하여,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스포츠 매치에 사용되는 공을 추적하기 위한 공 추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치 내 랠리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고,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그룹이 촬영한 상기 매치의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매치의 경기 공간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촬영한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에 의하면, 중계 영상으로 송출될 영상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에 의하면, 스포츠 매치의 중요한 장면이 누락될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포츠 매치의 중계 품질이 일관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에 의하면, 중계 영상의 불필요한 전환을 감소시켜, 영상 송출 기기 등을 포함한 전체 중계 시스템의 연산 부담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영상의 결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치의 시합 표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랠리의 계속 및 종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랠리의 종료가 결정됨에 따라 중계될 영상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레이 영상의 생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랠리 분석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분석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VAR(Video Assistant Referee)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영상 결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이를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본 문서에 기재된 각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대체물(alternatives) 및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조합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권리 범위는 이하에 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포함할 수 있다", "구비한다", "구비할 수 있다", "가진다", "가질 수 있다" 등과 같은 표현들은, 대상이 되는 특징(예: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다른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이와 같은 표현들은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항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또는 "첫째", "둘째" 등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동종 대상들을 지칭함에 있어 한 대상을 다른 대상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대상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A, B, 및 C," "A, B, 또는 C," "A, B, 및/또는 C" 또는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A, B, 및/또는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각각의 나열된 항목 또는 나열된 항목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및 B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는, (1) A, (2) A 중 적어도 하나, (3) B, (4) B 중 적어도 하나, (5) A 중 적어도 하나 및 B 중 적어도 하나, (6) A 중 적어도 하나 및 B, (7) B 중 적어도 하나 및 A, (8) A 및 B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based on 또는 according to)"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고, 이 표현은 해당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표현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는 것뿐 아니라,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 또는 접속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to)"은 문맥에 따라, "~하도록 설정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등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해당 표현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의 의미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란, 해당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조화된 특수 목적 컴퓨터(special purpose compute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을 가지는 직교 좌표계가 정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직교 좌표계의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 등의 표현은, 해당 설명에서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직교 좌표계의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각 축 방향의 앞에 붙는 +부호는, 해당 축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각 축 방향의 앞에 붙는 -부호는, 해당 축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및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등한(substantially equivalent)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으나, 이는 해당 구성요소가 그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장치(100)는 스포츠 매치의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스포츠는 탁구, 테니스 등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을 적용 가능한 다양한 스포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스포츠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하 편의를 위하여 탁구를 기초로 본 개시의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장치(100)는 카메라 그룹(110) 및/또는 영상 송출 기기(170)와 통신할 수 있다. 장치(100)는 카메라 그룹(110)으로부터 해당 매치를 다양한 방식으로 촬영한 복수의 영상(130)을 획득할 수 있다. 장치(100)는 복수의 영상(130) 중 해당 매치를 중계하는 데에 사용될 중계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장치(100)는 결정된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송출 기기(170)는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시청자들에게 송출하여 해당 매치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그룹(110)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그룹(110)의 각 카메라는 스포츠 매치의 경기 공간(120)을 기준으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다양한 대상을 다양한 화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그룹(110)은 스포츠 매치를 다양한 방식으로 촬영한 복수의 영상(130)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경기 공간(120)이란 해당 스포츠 매치가 실시되는 공간으로서, 예를 들어 탁구의 경우 길이 14m, 너비 7m, 높이 5m 이상의 직육면체형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각 카메라는 경기 공간(120)의 각 측면, 상측방 등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카메라(112)는 경기 공간(120)의 일부 내지 전체를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카메라들(114)은 각각 매치 중인 선수들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카메라들(116)은 매치에 사용 중인 공을 촬영하여, 공을 추적하기 위한 공 추적 정보(140)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공 추적 정보(140)는, 경기 공간(120) 내에서 시간에 따라 공이 가지는 3차원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공 추적 정보(140)는 공을 추적하며 촬영한 영상이거나, 공의 시간별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그룹(110)의 한 카메라는 고속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는 고속 카메라일 수 있다. 고속 카메라는 조밀한 프레임 간격으로 대상을 연속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이 프레임 저하 없이 느린 속도로 재생될 수 있게 촬영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고속 카메라는 공이나 선수를 촬영하여 고속 카메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카메라 중 하나(예: 카메라(112), 카메라(114) 등)가 고속 카메라일 수도 있고, 별도의 고속 카메라가 구비될 수도 있다.
장치(100)는 카메라 그룹(110)으로부터 복수의 영상(130) 및 공 추적 정보(140)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100)는 공 추적 정보(140) 등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130) 중 매치의 중계에 사용될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해당 매치 내 랠리(rally)가 시작되었는지, 또는 랠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장치(100)는 랠리가 시작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복수의 영상(130) 중에서 해당 매치가 진행되고 있는 경기 공간(120)을 촬영한 영상(이하, 제1 영상(150))을 현재 중계되어야 될 영상으로 결정하고, 제1 영상(15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상(150)은 경기 공간(12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장치(100)는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복수의 영상(130) 중에서 해당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촬영한 영상(이하, 제2 영상(160))을 현재 중계되어야 될 영상으로 결정하고, 제2 영상(16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송출 기기(170)는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예: 제1 영상(150), 제2 영상(160) 등)을 시청자들에게 송출하여 해당 매치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영상 송출 기기(170)는 TV로 중계 영상을 실시간 송출하는 방송 장비이거나, 인터넷망을 통하여 각 단말(예: 스마트폰)로 중계 영상을 제공하거나 실시간 스트리밍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통신 회로(23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1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220)를 구성요소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장치(100)에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additionally) 또는 대체적으로(alternatively),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10)는 프로세서(210)라고 표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라는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이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220)는 메모리(220)라고 표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라는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이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100) 내/외부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들은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정보(데이터, 신호 등)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 회로(230)는, 장치(100)와 카메라 그룹(110), 또는 장치(100)와 영상 송출 기기(170) 간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30)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NR(New Radio),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30)는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의 방식에 따른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소프트웨어(예: 명령, 프로그램 등)를 구동하여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장치(100)의 적어도 한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본 개시와 관련된 다양한 연산, 처리, 데이터 생성, 가공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데이터 등을 메모리(220)로부터 로드하거나,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통신 회로(230)를 통하여, 카메라 그룹(110)으로부터 해당 매치에 사용되는 공을 추적하기 위한 공 추적 정보(140)를 획득하고,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매치 내 랠리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고, 랠리가 시작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통신 회로(230)를 제어하여, 복수의 영상(130) 중 제1 영상(15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하고,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통신 회로(230)를 제어하여, 복수의 영상(130) 중 제2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장치(100)의 적어도 한 구성요소에 의해 획득되거나, 처리되거나, 사용되는 데이터로서, 소프트웨어(예: 명령, 프로그램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명령 내지 프로그램은 메모리(22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장치(100)의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장치(100)의 리소스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에 의한 실행 시 프로세서(210)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220)는 복수의 영상(130), 공 추적 정보(140) 등 본 개시의 기술 구현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컴퓨터 장치, 서버, 휴대용 통신 장치, 전술한 장치들의 조합에 따른 장치, 또는 전술한 장치들 내의 칩, 보드, 회로 등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장치(100)는 전술한 장치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카메라 그룹(110) 및 장치(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카메라 그룹(110), 장치(100) 및 영상 송출 기기(170)를 포함하는 시스템 역시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시스템들 역시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영상의 결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100)의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영상(130) 중 스포츠 매치의 상황에 적합한 중계용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랠리의 시작 전, 해당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10)는 랠리의 시작 준비 상태에 적합한 영상을 결정하고, 이를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10)는 랠리의 시작 전, 통신 회로(230)를 통하여, 카메라 그룹(110)으로부터 선수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선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선수 움직임 정보는 매치 중인 선수들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수 움직임 정보는 선수의 팔, 다리의 움직임 등을 촬영한 영상, 또는 팔, 다리의 시간별 위치, 자세를 기록한 정보일 수 있다. 카메라 그룹(110)은 선수를 촬영하여, 선수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선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수 중 하나가 서브 준비 동작을 취하는 경우, 프로세서(210)는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서브 준비 동작에 해당하는 움직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서브 준비 동작에 해당하는 움직임을 지시하는 정보 및 선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선수가 랠리를 위한 지정 위치(예: 탁구대 기준 특정 엔드 라인 뒤편)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210)는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메모리(220)는 매치의 득점 상황 및 직전 랠리에서 각 선수의 지정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선수가 경기 공간(120) 중 어느 곳에 위치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선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선수가 랠리를 위한 지정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함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통신 회로(230)를 통해 카메라 그룹(110)으로부터 심판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심판 움직임 정보는 심판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판 움직임 정보는 심판의 팔, 다리의 움직임 등을 촬영한 영상 또는 팔, 다리의 시간별 위치, 자세를 기록한 정보일 수 있다. 카메라 그룹(110)은 심판을 촬영하여, 심판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선수 움직임 정보 및/또는 심판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판이 특정 동작, 수신호 등을 하는 경우,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다고 결정될 수 있다.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통신 회로(230)를 제어하여, 복수의 영상(130) 중 해당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촬영한 영상(이하, 제3 영상(320))을 현재 중계되어야 될 영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해당 제3 영상(32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송출 기기(170)는 이전에 송출되고 있던 영상(예: 경기 공간을 촬영한 영상(310) 등)의 송출을 중단하고, 제3 영상(320)의 송출을 시작할 수 있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10)는 해당 랠리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고, 그에 적합한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여 시청자들에게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10)는 제3 영상(320)을 전송한 이후,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랠리가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랠리가 시작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경기 공간(120)을 촬영한 제1 영상(15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송출 기기(170)는 이전에 송출되고 있던 제3 영상(320)의 송출을 중단하고, 제1 영상(150)의 송출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제1 영상(150)을 전송한 이후,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랠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해당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촬영한 제2 영상(16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송출 기기(170)는 이전에 송출되고 있던 제1 영상(150)의 송출을 중단하고, 제2 영상(160)의 송출을 시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치의 시합 표면(4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시합 표면(400)은 경기 공간(120) 중 득실점에 관계된 각종 판단의 기준이 되는 영역으로서, 시합 표면(400)은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코트(410)와 제2 코트(420)로 나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탁구의 경우 시합 표면(400)은 탁구대의 윗면일 수 있고, 테니스의 경우 시합 표면은 소정의 규격에 따른 테니스 코트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탁구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장치(100)의 프로세서(210)는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랠리의 시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랠리의 시작 준비 상태에서, 공이 시합 표면(400)에 접촉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랠리가 시작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공이 시합 표면(400)에 접촉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공의 z축 상 위치를 시합 표면(400)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공이 시합 표면(400)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시합 표면(400)의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공이 수직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랠리가 시작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이 서브하는 선수의 손을 떠나 16cm 이상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수직 상방으로 이동한 경우, 프로세서(210)는 랠리가 시작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랠리의 시작 준비 상태에서, 공이 수직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였을 때, 랠리가 시작되었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공이 수직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 3초) 내에 시합 표면(400)에 접촉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랠리가 시작되었음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랠리의 계속 및 종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100)의 프로세서(210)는 랠리의 종료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시합 표면(400)을 지시하는 정보(이하, 시합 표면 정보) 및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랠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시합 표면 정보는 시합 표면(4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합 표면 정보는 경기 공간(120) 내에서 시합 표면(400)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합 표면 정보는 시합 표면(400) 상의 양 코트(410, 420)가 차지하는 영역, 센터 라인, 엔드 라인 및 사이드 라인의 위치, 네트의 높이와 위치 등을 지시할 수 있다.
랠리 중, 공은 시합 표면(400)의 두 코트 중 한 코트(예: 제1 코트(410))에 접촉할 수 있다(510). 프로세서(210)는 시합 표면 정보 및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이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10)는 시합 표면 정보 및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공이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간격(예: 3초) 내에 두 코트 중 다른 한 코트(예: 제2 코트(420))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512). 공이 한 코트에 접촉한 후 제1 시간 간격 내에 다른 한 코트에 접촉하였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해당 랠리가 종료되지 않았고, 계속 중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반면 공이 한 코트(예: 제1 코트(410))에 접촉한 후 제1 시간 간격 내에 다른 한 코트(예: 제2 코트(420))에 접촉하지 못하였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해당 랠리가 종료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이 제1 코트(410)에 접촉하고 다시 제1 코트(410)에 접촉하거나(522), 제1 코트(410)에 접촉한 후 시합 표면(400)을 벗어난 경우(524) 등, 제1 코트(410)에 접촉한 후 제1 시간 간격 내에 제2 코트(420)에 접촉하지 못한다면, 프로세서(210)는 해당 랠리가 종료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공의 속력에 기초하여, 랠리의 종료를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공의 속력을 결정할 수 있다. 공의 속력이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간격 이상 일정량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예: 7초 이상 0.2m/s 이하의 속력을 유지), 프로세서(210)는 해당 랠리가 종료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이 시합 표면(400)이나 경기 공간(120) 내에서 일정 시간 이상 정지해 있거나, 일정 속력 이하의 속력으로 움직일 때, 랠리가 종료되었다고 결정될 수 있다(526).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공의 추적을 실패하고 일정 시간 동안 다시 공을 추적하지 못하는 경우에, 랠리가 종료되었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카메라 그룹(110)으로부터 공 추적 정보(140)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그룹(110)이 공의 위치를 추적하지 못한 경우, 예를 들어 공이 선수나 탁구대 등에 의해 가려지거나, 공이 경기 공간(120)을 벗어난 경우, 공 추적 정보(140)에서 그 시간 동안 공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누락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공 추적에 실패한 시간 동안의 정보가 누락된 해당 공 추적 정보(140)를 획득하고, 공 추적에 실패한 시간이 일정 시간(예: 30초)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일정 시간 동안 공 추적에 실패한 경우 해당 랠리가 종료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해당 매치의 득점 상황을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시합 표면 정보 및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해당 랠리에서 득점이 있었는지, 그리고 득점한 선수는 누구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합 표면 정보는 시합 표면(400) 내에 양 코트가 차지하는 영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이러한 시합 표면 정보 및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랠리가 종료되기 전 공이 어떠한 궤적을 보였는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득점 여부와 득점한 선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랠리가 종료되기 전부터 역순으로 시합 표면(400)에 접촉한 최근 두 번의 경우(instance)에 있어서, 공이 어느 코트(410, 420)에 접촉하였는지에 기초하여, 득점 여부와 득점한 선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이 제1 코트(410)에 접촉한 후 연이어 제1 코트(410)에 접촉한 경우, 제2 코트(420) 측 엔드(end)에 위치한 선수가 득점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공이 제1 코트(410)에 접촉하고 연이어 제2 코트(420)에 접촉한 후 공이 일정 속력 이하로 움직이거나 공의 추적에 실패한 경우, 제1 코트(410) 측 엔드에 위치한 선수가 득점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선수 움직임 정보에 추가로 기초하여, 해당 랠리에서 득점이 있었는지, 그리고 득점한 선수는 누구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코트(410) 측 선수가 리시브 동작을 한 직후 공이 제1 코트(410)에 접촉한 경우, 제2 코트(420) 측 선수가 득점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코트(410) 측 선수가 서브 동작을 한 직후 공이 제2 코트(420)에 바로 접촉한 경우, 제2 코트(420) 측 선수가 득점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코트(410) 측 선수가 서브나 리시브 동작을 한 직후 공이 일정 속력 이하로 움직이거나 공의 추적에 실패한 경우, 제2 코트(420) 측 선수가 득점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해당 랠리에서의 득점 여부와 득점한 선수가 결정되면, 프로세서(210)는 이에 기초하여, 해당 스포츠 매치의 득점 상황을 지시하는 정보(이하, 득점 상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10)는, 득점한 선수에 해당하는 스코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해당 랠리에서의 득점 여부와 득점한 선수가 결정되면, 프로세서(210)는 선수들 각각을 촬영한 영상들 중 하나를 해당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촬영한 제2 영상(16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10)는 제2 영상(160)을 현재 중계되어야 될 영상으로 결정하고, 제2 영상(16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랠리의 종료가 결정됨에 따라 중계될 영상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영상(130) 중 해당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촬영한 제2 영상(160)을 현재 중계되어야 될 영상으로 결정하고, 제2 영상(16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제2 영상(160)을 전송하고 일정 시간(예: 5초)이 지난 후, 중계될 다른 영상을 결정해, 이를 영상 송출 기기(170)로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610)에서, 프로세서(210)는 종료된 랠리의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촬영한 영상(이하, 제4 영상(640))을 영상 송출 기기(170)에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종료된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지고 있던 선수를 지시하는 정보 및 랠리의 종료에 따라 갱신된 득점 상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종료된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지고 있던 선수를 지시하는 정보 및 랠리의 종료에 따라 갱신된 득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종료된 랠리의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포인트를 득점할 때마다, 또는 득점 상황이 10:10인 경우 매 포인트를 득점할 때마다, 서브권이 다른 선수 또는 팀으로 변경되어야 할 수 있다. 득점 상황 상 서브하는 선수가 변경되어야 할 경우, 프로세서(210)는 종료된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가 아닌 반대 팀 선수를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로 결정할 수 있다. 득점 상황 상 서브하는 선수가 변경되지 않아야 할 경우, 프로세서(210)는 종료된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다음 랠리에서도 서브권을 가진 선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가 결정됨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영상(130) 중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촬영한 제4 영상(640)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제2 영상(160)을 전송한 이후, 통신 회로(230)를 제어하여, 제4 영상(64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영상(160)을 전송하고 일정 시간(예: 5초)이 지난 후, 제4 영상(64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송출 기기(170)는 이전에 송출되고 있던 제2 영상(160)의 송출을 중단하고, 제4 영상(640)의 송출을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620, 630)에서, 프로세서(210)는 종료된 랠리 내에서 공이 양 코트 사이를 왕복한 횟수에 기초하여, 제2 영상(160) 이후 영상 송출 기기(170)에 추가로 전송할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10)는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종료된 랠리 내에서 공이 양 코트 사이를 왕복한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결정된 왕복 횟수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들과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왕복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1 횟수(예: 10회) 이상이라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종료된 랠리에 대한 리플레이 영상(65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제2 영상(160)을 전송한 후, 통신 회로(230)를 제어하여, 리플레이 영상(650)과 제4 영상(640)을 두고 순차적으로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620). 일 실시예에서, 제2 영상(160)을 전송하고 일정 시간(예: 5초)이 지난 후, 리플레이 영상(650)과 제4 영상(640)을 각각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송출 기기(170)는 이전에 송출되고 있던 제2 영상(160)의 송출을 중단하고, 리플레이 영상(650)을 송출한 뒤, 다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4 영상(640)을 송출할 수 있다.
왕복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2 횟수(예: 1회) 이하라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종료된 랠리에 대한 고속 카메라 영상(66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횟수는 제1 횟수보다 작은 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에 의해 득점이 발생한 경우(서브 포인트, 왕복 횟수 0회), 고속 카메라 영상(660)이 중계에 활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제2 영상(160)을 전송한 후, 통신 회로(230)를 제어하여, 고속 카메라 영상(660)과 제4 영상(640)을 순차적으로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630). 일 실시예에서, 제2 영상(160)을 전송하고 일정 시간(예: 5초)이 지난 후, 고속 카메라 영상(660)과 제4 영상(640)을 각각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송출 기기(170)는 이전에 송출되고 있던 제2 영상(160)의 송출을 중단하고, 고속 카메라 영상(660)을 송출한 뒤, 다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4 영상(640)을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속 카메라 영상(660)은 종료된 랠리 중 일부에 대한 고속 카메라 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종료된 랠리의 랠리 시작 시점부터 랠리 종료 시점까지를 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 고속 카메라 영상(660)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종료된 랠리 중 공이 네트, 엔드 라인 또는 사이드 라인에 일정 거리 내로 근접했던 시점, 공의 순간 속력이 일정 값 이상이었던 시점, 선수의 경기 공간(120) 내 위치의 변화량 또는 선수의 움직임의 변화량이 일정값 이상이었던 시점 등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간격(예: 10초)에 대해 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 고속 카메라 영상(660)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공 추적 정보(140) 및 선수 움직임 정보 등에 기초하여 고속 카메라 영상(660)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제2 영상(160), 리플레이 영상(650), 고속 카메라 영상(660) 및 제4 영상(640)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영상을, 소정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레이 영상(650)의 생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로세서(210)는 다양한 방식으로 랠리에 대한 리플레이 영상(650)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랠리가 시작된 것으로 결정한 시점부터 해당 랠리가 종료된 것으로 결정한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랠리의 시작 및 종료의 결정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다. 프로세서(210)는 해당 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복수의 영상(130) 중 한 영상을 리플레이 영상(65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영상(130) 중 경기 공간(120) 전체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랠리의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영상 부분을 추출한 후, 추출된 부분을 리플레이 영상(65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스포츠 매치 중 다양한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고, 해당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리플레이 영상(650)을 생성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카메라 그룹(110)으로부터의 복수의 영상(130), 공 추적 정보(140), 선수 움직임 정보 및 심판 움직임 정보 등에 기초하여, 매치 내 특정 이벤트들이 발생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다른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해당 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복수의 영상(130) 중 한 영상을 리플레이 영상(65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특정한 한 이벤트(이하, 1차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의 영상을 따로 저장하기 시작하여, 특정한 다른 두 이벤트(이하, 2차 이벤트, 3차 이벤트)가 순차적으로 발생했음이 감지되면, 1차 이벤트부터 3차 이벤트까지의 영상을 리플레이 영상(650)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영상(130), 공 추적 정보(140), 선수 움직임 정보 및 심판 움직임 정보 등에 기초하여, 해당 매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710). 프로세서(210)는 분석 과정에 따라, 매치 중 1차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720). 만약 1차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매치에 대한 분석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1차 이벤트는, 예를 들어 "랠리의 시작"일 수 있다. 랠리의 시작을 결정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영상(130) 중 한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예: 경기 공간 전체를 촬영한 영상). 프로세서(210)는 선택된 영상에 대해, 1차 이벤트의 발생 시점 이후의 영상을 별도로 저장하기 시작할 수 있다(730). 1차 이벤트 검출 및 영상 저장과 병행하여, 프로세서(210)는 매치의 분석 과정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분석 과정에 따라, 1차 이벤트 이후에 2차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740). 만약 2차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매치에 대한 분석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2차 이벤트는, 예를 들어 "랠리 내 공이 양 코트 사이를 왕복한 횟수가 제1 횟수에 도달"일 수 있다. 왕복 횟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 추적 정보(140)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1차 이벤트 검출 이후 저장하고 있던 영상의 저장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매치의 분석 과정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분석 과정에 따라, 2차 이벤트 이후에 3차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750). 만약 3차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매치에 대한 분석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3차 이벤트는, 예를 들어 "랠리의 종료"일 수 있다. 랠리의 종료를 결정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프로세서(210)는 앞서 선택한 영상 중, 1차 이벤트 발생부터 3차 이벤트 발생까지의 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을 추출하여, 리플레이 영상(650)으로 결정할 수 있다(760). 프로세서(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플레이 영상(65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1차 이벤트 발생 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상 2차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또는 2차 이벤트 발생 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상 3차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진행 중인 리플레이 영상의 생성 과정을 중단하고, 리플레이 영상 생성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710).
일 실시예에서, 1차 이벤트 내지 3차 이벤트 각각은 다양한 이벤트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이 네트, 엔드 라인 또는 사이드 라인에 일정 거리 내로 근접", "공의 순간 속력이 일정 값 이상에 도달", "선수의 경기 공간(120) 내 위치의 변화량 또는 선수의 움직임의 변화량이 일정값 이상에 도달", "공이 서브 후 한 코트에서 다른 코트로 이동" 등이 2차 이벤트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기 공간(120) 내 특정 영역을 탐색 영역으로 설정하고, 해당 탐색 영역 내 공 또는 선수의 움직임을 기초로 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터 라인을 관통하는 가상의 면을 상정해 탐색 영역으로 설정하고, 공이 해당 탐색 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2차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탐색 영역 및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해당 2차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구의 경우, 투수 마운드의 일정 부분을 탐색 영역으로 설정하고, 탐색 영역 및 투수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투수가 야구공을 던진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1차 이벤트로 결정할 수 있다. "타자가 투수가 던진 야구공을 타격" 또는 "전광판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볼 또는 스트라이크가 발생했음을 감지"한 경우를 2차 이벤트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광판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아웃 카운트가 변화하였거나 득점이 발생했음을 감지"한 경우를 3차 이벤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전술한 방법으로 특정한 영상들에 느린 재생(예: 0.8배속 재생) 처리를 수행하여, 리플레이 영상(650)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리플레이 영상(650)의 일 영역(예: 영상의 우하단)에 PIP(Picture-In-Picture)의 형태로 해당 매치의 실시간 영상(예: 경기 공간 전체를 촬영한 영상)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랠리 분석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랠리 분석 영상은 해당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는, 해당 랠리에서 공이 시합 표면(400)에 접촉한 위치를 시계열적으로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랠리 분석 영상은, 랠리 중 공이 시합 표면(400)의 각 코트 상 어느 지점에 접촉되었는지를, 접촉된 순서대로 표시한다. 실시예에 따라, 공이 접촉된 각 시점이 표시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영상(130), 공 추적 정보(140), 선수 움직임 정보 및 심판 움직임 정보 등에 기초하여,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다양한 상황에 있어,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를 기초로 랠리 분석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생성된 랠리 분석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하여 중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랠리 분석 영상을 생성할 것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랠리 분석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종료된 랠리 내에서 공이 양 코트 사이를 왕복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랠리 분석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다음 랠리의 시작이 일정 시간 이상 지연되는 경우,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랠리 분석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랠리의 종료에 따라 갱신된 득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매치 중 휴식 시간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휴식 시간에 해당한다는 결정에 따라, 휴식 시간 이전의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랠리 분석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 선수 내지 양 팀의 점수 합계가 6의 배수가 되어 타월링(땀 닦는 시간)이 주어지는 경우, 랠리 분석 영상이 생성되어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랠리 중 드라이브 경합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랠리 분석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랠리 중 드라이브 경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10)는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랠리 내 공의 수평 방향 속력의 평균값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해당 평균값을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할 수 있다. 해당 평균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라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해당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랠리 분석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제4 영상(640)을 전송하기 이전에, 통신 회로(230)를 제어하여 해당 랠리 분석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랠리 분석 영상은 리플레이 영상(650)의 전송 전이나 후, 고속 카메라 영상(660)의 전송 전이나 후에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고속 카메라 영상(660)의 일 영역(예: 영상의 우하단)에 PIP 형태로 해당 매치의 실시간 영상(예: 경기 공간 전체를 촬영한 영상)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game) 분석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매치는 홀수개의 게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탁구 매치는 최대 7개의 게임이 이루어지는 7전 4선승제로 시행될 수 있다. 각 게임에서는 11점을 먼저 획득하는 선수 또는 팀이 승리할 수 있다. 게임 분석 영상은 해당 게임에 대한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게임에 대한 분석 정보는, 해당 게임 내 선수(또는 팀)별 서브 방향, 서브 성공률, 공격 방향(공격 성공 시 공이 시합 표면 상에 접촉한 위치) 및 공격 성공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임에 대한 분석 정보는 해당 게임 내 특정 선수가 친 공의 평균 속력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게임 분석 영상은, 3번째 게임에서 2번 선수의 공격 방향이 상단인 경우가 39.3%, 중단인 경우가 46.4%, 하단인 경우가 14.3%임이 표시된다. 또한 2번 선수가 친 공의 평균 속력이 17.4km/h임이 표시된다.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영상(130), 공 추적 정보(140), 선수 움직임 정보 및 심판 움직임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게임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득점 상황 상 한 게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게임에 대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분석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10)는 랠리의 종료에 따라 갱신된 득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랠리가 포함된 게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예: 한 선수가 11점에 도달한 경우 등). 게임이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해당 게임에 대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분석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게임 분석 영상을 생성할 것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게임에 대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분석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게임 분석 영상이 생성되면, 프로세서(210)는 통신 회로(230)를 제어하여, 게임 분석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게임 분석 영상이 중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VAR(Video Assistant Referee)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VAR 영상은 스포츠 매치에서 판정이 애매한 경우에 있어, 심판의 판단을 보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일 수 있다. VAR 영상은 공의 라인 인/아웃(in/out), 공이 탁구채에 접촉하였는지 여부, 기타 득실점에 관련된 각종 판단을 보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VAR 영상은, 랠리 중 공의 궤적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영상(130), 공 추적 정보(140), 선수 움직임 정보 및 심판 움직임 정보 등에 기초하여, VAR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공의 궤적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표시한 VAR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다양한 상황에서 VAR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VAR 영상을 생성할 것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VAR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생성된 VAR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하여 중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영상 결정 방법(1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중계 영상 결정 방법(1100)은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방법(1100)은,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공 추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10),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랠리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S1120), 매치의 경기 공간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S1130), 및/또는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촬영한 제2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S1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10에서, 프로세서(210)는 통신 회로(230)를 통하여, 카메라 그룹(110)으로부터 공 추적 정보(140)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프로세서(210)는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해당 랠리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할 수 있다. 랠리가 시작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통신 회로(230)를 제어하여, 복수의 영상(130) 중 제1 영상(15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130).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통신 회로(230)를 제어하여, 복수의 영상(130) 중 제2 영상(16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140).
일 실시예에서 방법(1100)은, 프로세서(210)가, 랠리의 시작 전 통신 회로(230)를 통하여 카메라 그룹(110)으로부터 선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선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또는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통신 회로(230)를 제어하여, 복수의 영상(130) 중 제3 영상(32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1120은, 공이 수직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경기 공간(120) 내 시합 표면(400)에 접촉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랠리가 시작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1120은, 시합 표면 정보 및/또는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랠리가 종료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1140은,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시합 표면 정보 및/또는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랠리 내 득점 여부 및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또는 득점 여부 및 득점한 선수에 기초하여, 득점 상황 정보를 갱신하고, 복수의 영상(130) 중 제2 영상(160)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1140은, 해당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지는 선수를 지시하는 정보 및/또는 갱신된 득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랠리의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또는 제2 영상(160)을 전송한 이후, 통신 회로(230)를 제어하여, 복수의 영상(130) 중 제4 영상(64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영상(640)을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하는 단계는, 프로세서(210)가, 공 추적 정보(140)에 기초하여, 랠리 내에서 공이 양 코트 사이를 왕복한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왕복한 횟수가 제1 횟수 이상이라는 결정에 따라, 제2 영상(160)을 전송한 이후, 리플레이 영상(650)과 제4 영상(640)을 순차적으로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하는 단계; 및/또는 왕복한 횟수가 제2 횟수 이하라는 결정에 따라, 제2 영상(160)을 전송한 이후, 고속 카메라 영상(660)과 제4 영상(640)을 순차적으로 영상 송출 기기(17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들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해당 방법들의 각 단계가 소정의 순서대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각 단계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 이외에, 본 개시에 따라 임의로 조합될 수 있는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의 단계가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해당 방법들에 변화 또는 수정을 가하는 것을 제외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다른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machine-readable recording medium)에 기록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기가 읽을 수 있는 명령(예: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 또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기기는 기록 매체로부터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컴퓨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기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10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기의 프로세서는 호출된 명령을 실행하여, 기기의 구성요소들이 해당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210)일 수 있다. 기록 매체는 기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recording medium)를 의미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록 매체는 메모리(22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등에 분산된 형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시스템 등에 분산되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기록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 기록 매체는, 데이터가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것과 무관하게 실재하는 매체(tangible medium)를 의미하며, 일시적(transitory)으로 전파되는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상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한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각 실시예들은 경우의 수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조합되어 만들어진 실시예 역시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카메라 그룹이 촬영한 스포츠 매치(match)의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매치를 중계할 영상을 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그룹 및 영상 송출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회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그룹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매치에 사용되는 공을 추적하기 위한 공 추적 정보를 상기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치 내 랠리(rally)가 시작되었음을 결정하고,
    상기 매치의 경기 공간(playing space) 내 시합 표면을 지시하는 시합 표면 정보 및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음을 결정하고,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경기 공간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촬영한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그룹에 의해 생성되고 선수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선수 움직임 정보를 상기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선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촬영한 제3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이 수직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음을 결정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이 수직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경기 공간 내 상기 시합 표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음을 결정하는,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이 상기 시합 표면의 한 코트에 접촉한 후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간격 내에 상기 시합 표면의 다른 한 코트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공의 속력이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간격 이상 일정량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음을 결정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시합 표면 정보 및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 내 득점 여부 및 상기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결정하고,
    상기 득점 여부 및 상기 득점한 선수에 기초하여, 상기 매치의 득점 상황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제2 영상을 결정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지는 선수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갱신된 득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의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촬영한 제4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 내에서 상기 공이 양 코트 사이를 왕복한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왕복한 횟수가 제1 횟수 이상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랠리의 리플레이 영상과 상기 제4 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왕복한 횟수가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제2 횟수 이하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랠리를 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고속 카메라 영상과 상기 제4 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가 시작된 것으로 결정한 시점부터 상기 랠리가 종료된 것으로 결정한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적어도 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 내 상기 공의 수평 방향 속력의 평균값을 결정하고,
    상기 평균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랠리 분석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4 영상을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랠리 분석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랠리에 대한 분석 정보는, 상기 랠리에서 상기 공이 상기 시합 표면에 접촉한 위치를 시계열적으로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득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포함된 게임이 종료되었음을 결정하고,
    상기 게임이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게임에 대한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분석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게임 분석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게임에 대한 분석 정보는, 상기 게임 내 선수별 서브 방향, 서브 성공률, 공격 방향 및 공격 성공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3. 카메라 그룹이 촬영한 스포츠 매치(match)의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매치를 중계할 영상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그룹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매치에 사용되는 공을 추적하기 위한 공 추적 정보를 상기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치 내 랠리(rally)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매치의 경기 공간(playing space)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촬영한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치 내 랠리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경기 공간 내 시합 표면을 지시하는 시합 표면 정보 및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그룹에 의해 생성되고 선수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선수 움직임 정보를 상기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선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랠리가 시작될 준비가 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촬영한 제3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매치 내 랠리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이 수직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경기 공간 내 상기 시합 표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시합 표면 정보 및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 내 득점 여부 및 상기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득점 여부 및 상기 득점한 선수에 기초하여, 상기 매치의 득점 상황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제2 영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지는 선수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갱신된 득점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의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다음 랠리에서 서브권을 가진 선수를 촬영한 제4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 내에서 상기 공이 양 코트 사이를 왕복한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왕복한 횟수가 제1 횟수 이상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랠리의 리플레이 영상과 상기 제4 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왕복한 횟수가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제2 횟수 이하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한 이후, 상기 랠리를 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고속 카메라 영상과 상기 제4 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기록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통신 회로를 통하여, 카메라 그룹에 의해 생성되고 스포츠 매치(match)에 사용되는 공을 추적하기 위한 공 추적 정보를 상기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치 내 랠리(rally)가 시작되었음을 결정하고,
    상기 매치의 경기 공간(playing space) 내 시합 표면을 지시하는 시합 표면 정보 및 상기 공 추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음을 결정하고,
    상기 랠리가 시작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그룹이 촬영한 상기 매치의 복수의 영상 중 상기 경기 공간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랠리가 종료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랠리에서 득점한 선수를 촬영한 제2 영상을 상기 영상 송출 기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10140748A 2020-10-22 2021-10-21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454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7212 2020-10-22
KR1020200137212 2020-10-22
KR20210052395 2021-04-22
KR1020210052395 2021-04-22
KR1020210084172 2021-06-28
KR20210084172 2021-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93A KR20220053493A (ko) 2022-04-29
KR102454801B1 true KR102454801B1 (ko) 2022-10-17

Family

ID=8129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748A KR102454801B1 (ko) 2020-10-22 2021-10-21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86051A1 (ko)
EP (1) EP4235489A1 (ko)
JP (1) JP2023549982A (ko)
KR (1) KR102454801B1 (ko)
WO (1) WO2022086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0196A1 (ja) * 2022-09-28 2024-04-04 株式会社ユニゾンシステムズ 撮像システム、撮像プログラム、及び撮像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638B1 (ko) 2009-06-23 2010-08-10 송지을 야구 경기 중계방송 시스템 및 방법
JP6663848B2 (ja) 2014-08-04 2020-03-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移動体追跡方法および移動体追跡装置
KR102107055B1 (ko) * 2018-12-26 2020-05-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학습 기반의 스포츠 중계 영상 추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0286B2 (en) * 2002-07-26 2009-09-15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corporated Administrative Agency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nd program for recognizing the substance of an image, particularly in a motion picture environment
EP2742485A1 (en) * 2011-08-12 2014-06-18 Edh Holdings (South Africa) (Pty) Ltd. Ball trajectory and bounce position detection
WO2015151095A1 (en) * 2014-04-03 2015-10-08 Pixellot Lt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television production
KR101879368B1 (ko) * 2016-08-23 2018-07-18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구기 스포츠에서의 이벤트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아웃 판단 방법
KR101888747B1 (ko) * 2016-08-23 2018-08-23 주식회사 픽셀스코프 구기 스포츠에서의 이벤트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영상 생성 방법
JP7113335B2 (ja) * 2018-10-04 2022-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レイ分析装置、及び、プレイ分析方法
KR20200114412A (ko) *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케이티 스포츠 경기 중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638B1 (ko) 2009-06-23 2010-08-10 송지을 야구 경기 중계방송 시스템 및 방법
JP6663848B2 (ja) 2014-08-04 2020-03-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移動体追跡方法および移動体追跡装置
KR102107055B1 (ko) * 2018-12-26 2020-05-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학습 기반의 스포츠 중계 영상 추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35489A1 (en) 2023-08-30
JP2023549982A (ja) 2023-11-29
KR20220053493A (ko) 2022-04-29
WO2022086202A1 (ko) 2022-04-28
US20230386051A1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6519B2 (en) Game system, game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1701715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742864B2 (en) Controlling cameras in sports events
US20010001091A1 (en) Game apparatus and method of replaying game
US107698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splay of resource in animation, and terminal
KR20140103033A (ko) 라이브 이벤트들을 위한 증강 현실
KR102454801B1 (ko) 스포츠 중계를 위한 영상을 결정하는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1135484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H06105231A (ja) 画像合成装置
US11638068B2 (en) Mobile entity tracking device and method for tracking mobile entity
US8715049B2 (en) Game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a game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113891145A (zh) 一种超高清视频预处理主视角漫游播放系统及移动终端
WO2021187193A1 (ja) 球技映像解析装置、球技映像解析システム、球技映像解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041139A (zh) 比赛状态检测和轨迹融合
KR20150006624A (ko) 양방향 스포츠 경기 정보 제공 시스템
JP6174202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及び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情報処理装置
WO2020071092A1 (ja) プレイ分析装置、及び、プレイ分析方法
WO2021182081A1 (ja) 球技映像解析装置、球技映像解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400786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403581B2 (ja) システム及びデバイス
JP2017221676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及び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情報処理装置
US11628342B2 (en) Multi-sport sensing system
JP6162875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WO2020071155A1 (ja) プレイ分析装置、及び、プレイ分析方法
JP6162876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