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753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753B1
KR102453753B1 KR1020210139447A KR20210139447A KR102453753B1 KR 102453753 B1 KR102453753 B1 KR 102453753B1 KR 1020210139447 A KR1020210139447 A KR 1020210139447A KR 20210139447 A KR20210139447 A KR 20210139447A KR 102453753 B1 KR102453753 B1 KR 102453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orage
inner cas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9000A (en
Inventor
정규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9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753B1/en
Publication of KR2021012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0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 F25D2321/1441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inside a refrig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너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인너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며,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 상기 인너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 장치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로; 상기 안내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으로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관;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cabinet having an inner case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connect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cooling devic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passes through the inner case and is positioned inside the inner case, for cooling the air in the storage chamber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 guide passage provided in the inner cas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cooling device downward; a dr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passage and discharging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and a storage uni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and configured to store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can store an object such as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a storage room provided in a cabinet. Since the storage chamber is surrounded by an insulating wall,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hamber may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external temperature.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보관할 수 있다.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divided into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freezing compartment according to a temperature range of the storage compartment. In addition, the food may be stor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type or state of the food.

근래에 들어서는, 음식물 이외에 화장품이나 와인과 같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 refrigerator capable of storing items such as cosmetics or wine in addition to food has been developed.

화장품이나 와인과 같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의 경우, 보관하기 위한 물품의 양이 적어,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 보다 크기가 작을 필요가 있다.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for storing items such as cosmetics or wine, the amount of items for storing is small, and thus, the size of the refrigerator for storing foo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refrigerator.

따라서, 냉장고의 소형화를 위하여, 열전소자를 사용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miniaturize the refrigerator, a refrigerator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is being developed.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3876호에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가 개시된다. A prior docu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23876, discloses a cooling packaging hav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refrigerator employing the same.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냉장실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와; 냉장고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본체결합공에 결합되며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냉각패키징과; 냉장실 내부에서 냉각패키징의 선단과 결합되는 흡열유니트와; 냉장고 본체의 후방측에서 냉각패키징의 후단과 결합되는 방열유니트와; 냉장실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유니트로 배수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한다. The refrigerator of the prior literature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in which a refrigerating chamber is formed;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body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cooling packaging coupled to the body coupling hole and hav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absorbing unit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ooling packaging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heat dissipation unit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cooling packaging at the rear side of the refrigerator body; and a drain pipe for drain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to the heat dissipation unit using a capillary phenomenon.

상기 배수관은 냉장실 또는 흡열유니트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냉장고 본체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수관은 냉장고 본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냉장실과 흡열유니트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수분을 흡수하는 흡착제로 되어 있다. 흡착제는 호스로 감싸여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냉장실 또는 흡열유니트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배수관을 통하여 방열유니트로 흐르게 되고, 방열유니트는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배수관을 통하여 이송되는 수분은 열에 의하여 증발시킨다. The drain pipe is for drain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the heat absorbing unit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body. The drain pipe connects betwe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heat absorbing unit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refrigerator body, and is made of an adsorbent that absorbs moisture through capillary action. The adsorbent has a structure wrapped with a hose. 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the heat absorbing unit flows to the heat dissipation unit through the drain pipe, and the moisture transferred through the drain pipe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evaporated by heat. make it

그런데, 선행문헌에 의하면, 배수관이 냉장실과 흡열유니트 사이를 연결함에 따라서, 냉장실 바닥으로 낙하된 응축수를 배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흡입유니트중 일부분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을 뿐 흡입유니트 전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literature, as the drain pipe connect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heat absorbing unit, it is not possible to drain the condensed water that has fallen to the floo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it is possible to drain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a part of the suction unit, but also to the entire suction un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densed water cannot be drained.

또한, 배수관을 따라 응축수가 방열유니트로 유동하더라도 유동되는 응축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방열유니트의 열에 의해서 응축수 전부가 증발되지 않고, 일부가 방열유니트에서 낙하되어 냉장고 외부의 바닥이 응축수에 의해서 젖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condensate flows along the drain pipe to the heat dissipation unit, if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flowing is large, not all of the condensed water is evaporated due to the heat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and some of the condensed water falls from the heat dissipation unit and the floor outside the refrigerator is wet by the condensed water. will occur

본 발명의 과제는, 열전소자에 의한 흡열 작용에 의해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저장실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heat absorbing action by a thermoelectric element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a storage compartment.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저장실에서 배출된 응축수의 양이 많더라도 응축수를 집수하여 증발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collecting and evaporating condensed water even if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a storage room is large.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부의 조립이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densed water is easily assembl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와, 인너 케이스에 설치되는 냉각 장치와, 상기 냉각 장치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an inner case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a cooling device installed in the inner case, and a guide flow path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cooling device downward. have.

상기 안내 유로를 따라 응축수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유로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배면이 후방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passage may be formed as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is depressed toward the rear so that the condensed water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e passage.

상기 안내 유로의 하방에서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안내 유로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portion or all of the guide passage may be formed to decrease in width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condensed water may be collec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assage.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 장치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안내 유로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인너 케이스에는 상기 냉각 장치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경사진 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cooling device can smoothly move to the guide flow path, the inner case may include a receiving part in which the cooling device is accommodated, and the receiving part may include an inclined guide surface.

상기 안내 유로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 응축수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인너 케이스에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A drain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case so that the condensed water flowing downward along the guide passag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상기 배수관의 일부는 상기 캐비닛의 하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drain pipe may be drawn out through a lower side of the cabinet.

본 발명에서,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응축수를 자연 증발되도록, 상기 캐비닛에는 저장부가 결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unit may be coupled to the cabinet so that the condensed water drained through the drain pipe is naturally evaporated.

상기 저장부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배수관의 하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is coupled to the cabinet, the storage unit may be disposed to vertically overlap with a lower end of the drain pipe.

상기 저장부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바디를 포함하고, 응축수가 상기 저장 바디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저장 바디의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는 상기 저장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includes a storage body form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is stored, and the lower end of the pipe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so that the condensed water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body while the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storage body. can be

상기 저장 바디의 바닥면은 상기 바닥 케이스를 관통한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와 중첩되는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 일 예로 캐비닛의 후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body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pipe passing through the bottom case, for example, toward the rear side of the cabinet.

상기 저장부가 상기 캐비닛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 내의 저장 공간은 냉장고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is connected to the cabinet, the storage space in the storage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상기 저장부에는, 바닥면에 놓이며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며, 흡입구를 구비하는 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미들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미들 케이스의 지지부에 지지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제1면에 접촉하는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며 상기 흡열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흡열팬과, 상기 열전소자의 제2면에 접촉하는 방열부와, 상기 방열부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며 상기 흡입구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방열팬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상기 흡입구와 대향되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흡입구 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흡열부 및 상기 흡열팬이 위치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커버하며, 상기 저장실 내의 공기가 상기 수용부로 흡입되도록 상기 흡열팬과 대향되는 흡입구와, 상기 수용부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커버; 상기 인너 케이스의 수용부의 하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냉각 장치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로; 상기 안내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으로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관;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 패널은 하단에서 상기 미들 케이스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저장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리어 패널에 체결되며, 상기 저장부가 상기 리어 패널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바디의 상면은 상기 연장부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An anti-slip part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and formed of a rubber material may be coupled to the storage part.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n inner case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an outer case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case and including a rear panel having a suction port; a middle case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thermoelectric element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of the middle case, a heat absorbing part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absorbing fan that flows air toward the heat absorbing part and is disposed to face the heat absorbing part; a cooling device including a heat dissipation unit in contact with a second surface, and a heat dissipation fan that flows air toward the heat dissipation unit and is disposed to face the suction port; a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portion of the inner case facing the inlet is recessed toward the inlet, and in which the heat absorbing part and the heat absorbing fan are located; a cover covering the accommodating part, the cover including an inlet facing the heat absorbing fan so that air in the storage chamber is suck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accommodating part to the storage chamber; a guide passage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of the inner case, and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cooling device downward; a dr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passage and discharging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and a storage uni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and configured to store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The rear panel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toward the middle case. A hole may be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to overlap the storage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The storage unit may be coupled to the rear panel,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may be spaced apart from a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is coupled to the rear panel.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인너 케이스에 안내 유로가 구비되고, 안내 유로에 배수관이 연통됨에 따라, 열전소자에 의한 흡열 작용에 의해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저장실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as the guide passage is provided in the inner case and the drain pipe communicates with the guide passag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heat absorbing action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hamb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응축수가 저장부에 저장되므로, 응축수의 양이 많더라도 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증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densed water drained through the drain pip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can be evaporated even if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is large.

또한, 저장부의 바닥면이 배수관과 인접한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므로, 응축수가 저장부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저장부에서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unit is inclined downward as it moves away from the portion adjacent to the drain pi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ensed water from overflowing from the storage unit while the condensed wate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또한, 배수관이 바닥 케이스를 관통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저장부를 캐비닛 외측에서 캐비닛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저장부를 캐비닛에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가 캐비닛에 조립된 상태에서 저장부와 배수관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므로, 저장부와 배수관을 정렬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drain pipe penetrates the bottom case is maintained, the storage unit can be coupled to the cabinet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et, so that assembly of the storage unit into the cabine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torage unit and the drain pipe ar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is assembled in the cabin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operation for aligning the storage unit and the drain pipe is unnecessary.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미끄럼 방지부가 저장부에 결합되므로, 캐비닛에 미끄럼 방지부 결합을 위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i-slip unit is coupled to the storage unit,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tructure for coupling the anti-slip unit to the cabinet,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냉장고에 구비된 냉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응축수 배수를 위한 배수관이 인너 케이스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6은 응축수 배수를 위한 배수관이 인너 케이스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배수관과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부의 사시도.
도 9은 도 8의 저장부가 캐비닛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n an open state;
3 is a front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n an open state;
4 is a view showing a cooling device provided in a refrigerator;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ain pipe for draining condensed water is connected to the inner cas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ain pipe for draining condensate is connected to the inner case.
7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of a drain pipe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densed water.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densed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of FIG. 8 is coupled to the cabine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냉장고에 구비된 냉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n an opened state,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n an open state. 4 is a view showing a cooling device provided in a refrigerator.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10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a door 20 connected to the cabinet 10 . have.

상기 캐비닛(10)은,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에 연결되며, 저장실(104)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binet 10 may include an outer case 101 and an inner case 102 connected to the outer case 101 and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104 .

상기 도어(20)는 힌지 기구(22, 24)에 의해서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저장실(104)을 개폐할 수 있다. The door 20 may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104 in a rotational manner by hinge mechanisms 22 and 24 .

상기 저장실(104)에는 와인병을 지지하기 위한 와인 랙(3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와인 랙(30)은 상기 저장실(104)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storage compartment 104 may be provided with a wine rack 30 for supporting the wine bottle. For example, a plurality of wine racks 3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orage compartment 104 .

<냉각 장치> <Cooling unit>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104)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40)는 냉장고의 소형화를 위하여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 장치(40)이다. The refrig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device 40 for cooling the storage compartment 104 . The cooling devic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ling device 40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to reduce the size of the refrigerator.

상기 냉각 장치(40)는, 제1면이 흡열면이고 상기 제1면과 반대면이 방열면인 열전소자(400)와, 상기 제1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흡열부(410)와, 상기 제2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방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device 40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400 whose first surface is a heat absorbing surface and a heat dissipatio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heat absorbing part 410 that is in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unit 430 in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또한, 상기 냉각 장치(40)는, 상기 흡열부(410)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흡열팬(420)과, 상기 방열부(430)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방열팬(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ling device 40 may further include a heat absorbing fan 420 for flowing air to the heat absorbing unit 410 and a heat dissipating fan 440 for flowing air to the heat dissipating unit 430 . can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흡열팬(420), 흡열부(410), 열전소자(400), 방열부(430) 및 방열팬(440)의 전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heat absorbing fan 420 , the heat absorbing unit 410 ,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 the heat dissipating unit 430 , and the heat dissipating fan 44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에는 상기 냉각 장치(40)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A receiving part 140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cooling device 4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113 of the inner case 102 .

상기 수용부(14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accommodating part 140 may be formed as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113 of the inner case 102 is recessed rearward.

상기 열전소자(4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인너 케이스(10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ase 101 and the inner case 102 .

이때, 상기 열전소자(400)의 전부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열전소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06)를 구비하는 미들 케이스(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all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may be located outside the inner case 102 . In this case, the refrig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middle case 105 having a support part 106 for support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미들 케이스(105)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인너 케이스(10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6)는 상기 열전소자(4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6)는 상기 미들 케이스(105)에서 돌출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과 접촉할 수 있다. The middle case 10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ase 101 and the inner case 102 . The support part 106 may surround all or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06 may protrude from the middle case 105 and contact the rear surface 113 of the inner case 102 .

이는 상기 미들 케이스(105)와 상기 인너 케이스(102)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를 위한 발포액이 상기 열전소자(400)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prevent the foam liquid for the insulating material filled between the middle case 105 and the inner case 102 from leaking toward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

다른 예로서, 상기 열전소자(400)의 일부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14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들 케이스(105)가 생략되거나 상기 미들 케이스(105)가 상기 열전소자(40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may pass through the inner case 102 and be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40 . In this case, the middle case 105 may be omitted or the middle case 105 may support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

상기 수용부(140)에는 상기 흡열부(410)와 상기 흡열팬(420)이 위치될 수 있다. The heat absorbing part 410 and the heat absorbing fan 420 may be located in the receiving part 140 .

그리고,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에는 상기 수용부(140)를 커버하는 커버(4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45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에 구비되는 커버 결합부(146)에 일 예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ver 450 that covers the accommodating part 14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113 of the inner case 102 . The cover 450 may be fastened to the cover coupling part 146 provided in the inner case 102 by, for example,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상기 커버(450)에 의해서 사용자가 상기 흡열팬(420)에 접근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The cover 450 prevents the user from accessing the heat absorbing fan 420 , so that the user's safety can be secured.

상기 커버(450)에는 상기 저장실(104) 내의 공기가 상기 수용부(140)로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452)와, 상기 수용부(140)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104)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45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ver 450 has an inlet 452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104 is suck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40, and an outlet ( 454) may be included.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흡입구(452)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배출구(454)가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an outlet 454 may be disposed at each of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let 452 .

상기 인너 케이스(102)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 사이에는 상기 방열부(430)와 방열팬(440)이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방열부(430)는 상기 미들 케이스(105)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430) 및 상기 방열팬(440)은 상기 미들 케이스(105)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unit 430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4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case 102 and the outer case 101 . For example, the heat dissipation unit 430 may be installed in the middle case 105 .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unit 430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4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iddle case 105 and the outer case 101 .

상기 냉각 장치(4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열전소자(400)로 전류가 흐르면, 상기 열전소자(400)의 흡열면이 열을 흡수하고, 방열면이 열을 방출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device 40 will be described. When current flows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absorbs heat, and the heat dissipating surface emits heat.

상기 흡입팬(420)은, 상기 저장실(104)의 공기를 상기 흡열부(410) 측으로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The suction fan 420 serves to blow the air in the storage chamber 104 toward the heat absorbing part 410 .

상기 열전소자(400)의 흡열면과 접촉된 상기 흡열부(410) 측으로 상기 저장실(104)의 공기가 송풍되면, 상기 흡열부(410)와 접촉된 공기가 열을 뺏겨 공기의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온도가 하강된 공기는 상기 흡입팬(420)에 의해서 상기 토출구(454)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104)로 토출된다. When the air in the storage chamber 104 is blown toward the heat absorbing part 410 in contact with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the air in contact with the heat absorbing part 410 loses heat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do. Then, the air whose temperature is lowered is discharged to the storage chamber 104 through the discharge port 454 by the suction fan 420 .

한편, 상기 방열팬(440)은 상기 냉장고(1) 외부의 공기를 상기 방열부(430) 측으로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도 9의 101a 참조)와, 상기 방열부(430)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01b)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eat dissipation fan 440 serves to blow the air outside the refrigerator 1 toward the heat dissipation unit 430 . The outer case 101 may include an inlet (refer to 101a of FIG. 9 )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and an outlet 101b through which the air heat-exchanged with the heat dissipation unit 430 is discharged.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101a)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방열부(430) 측으로 송풍되면 상기 방열부(430)가 외부의 공기에 의해서 냉각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430)를 냉각한 공기는 상기 방열팬(440)에 의해서 상기 토출구(101b)를 통하여 상기 냉장고(1) 외부로 토출된다. When external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01a and blown toward the heat dissipation unit 430 , the heat dissipation unit 430 is cooled by the outside air. The air cooled by the heat dissipation unit 4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1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1b by the heat dissipation fan 440 .

<응축수 배수를 위한 안내 유로 및 배수관> <Guide flow path and drain pipe for condensate drainage>

도 5는 응축수 배수를 위한 배수관이 인너 케이스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응축수 배수를 위한 배수관이 인너 케이스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배수관과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ain pipe for draining condensate is connected to the inner case,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ain pipe for draining condensate is connected to the inner case. 7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of a drain pipe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densed water.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실(104)의 공기가 상기 흡열부(410)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포함하는 수분에 의해서 상기 흡열부(410)의 표면 상에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4 to 6 ,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absorbing part 410 by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during heat exchange of the air in the storage chamber 104 with the heat absorbing part 410 . can be

생성된 응축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140)는 경사진 안내면(142)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easily discharge the generated condensate, the accommodating part 140 may include an inclined guide surface 142 .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140)는, 상기 열전소자(140) 또는 상기 흡열부(410)가 설치되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설치면(141)과, 상기 설치면(141)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142)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ccommodating part 140 includes an installation surface 141 o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40 or the heat absorbing part 410 is installed and disposed substantially vertically, and downwards forward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141 . It may include a guide surface 142 formed to be inclined.

상기 인너 케이스(102)는 상기 안내면(142)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하면(114)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로(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case 102 may further include a guide flow path 144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flowing along the guide surface 142 to the lower surface 114 of the inner case 102 .

상기 안내 유로(144)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에서 후방을 향하여 함몰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0) 내의 응축수가 상기 안내 유로(144)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40)의 하측과 상기 안내 유로(144)의 상측이 연통될 수 있다. The guide flow path 144 may be a groove recessed toward the rear from the rear surface 113 of the inner case 102 . A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40 and an upper side of the guide flow path 144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densed water in the accommodating part 140 may flow to the guide flow path 144 .

상기 안내 유로(144)는 상기 수용부(14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144)로 인입된 응축수가 한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안내 유로(144)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략적으로 상기 안내 유로(144)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The guide flow path 144 may extend down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140 . All or part of the guide flow path 144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s decrease as it goes downward so that the condensed water introduced into the guide flow path 144 can be collected on one side. Roughly, the guide flow path 144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113 of the inner case 102 .

상기 안내 유로(144)는 배수관(50)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 유로(144)를 따라 유동한 응축수는 상기 배수관(50)을 통해 상기 저장실(104)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guide passage 144 may communicate with the drain pipe 50 . 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flowing along the guide passage 144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hamber 104 through the drain pipe 50 .

구체적으로, 상기 인너 케이스(102)에는 상기 배수관(50)이 결합되기 위한 개구(146)가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ner case 102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146 through which the drain pipe 50 is coupled.

상기 배수관(50)은, 파이프(5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개구(146)에 결합되는 결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ain pipe 50 may include a pipe 510 and a coupling part 520 coupled to the opening 146 of the inner case 102 .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부(52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하면(114)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520) 자체는 하방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part 520 may form a part of the lower surface 114 of the inner case 102 . 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520 itself may have a rounded shape so as to be convex downward.

이 경우, 상기 안내홈(144)을 따라 흘러내린 응축수가 상기 결합부(520)에서 모인 상태로 상기 파이프(510) 내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510)의 입구(511)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하면(11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520) 자체가 응축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In this case, the condensed water flowing down along the guide groove 144 may flow along the inside of the pipe 510 while being collected in the coupling part 520 . In addition, the inlet 511 of the pipe 510 may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or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114 of the inner case 102 . That is, the coupling part 520 itself serves to guide the condensed water.

이 경우, 상기 저장실(104) 내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저장실(104) 내의 물도 상기 배수관(5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water exists in the storage chamber 104 , the water in the storage chamber 104 may als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drain pipe 50 .

다른 예로서, 상기 결합부(520)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안내 유로(144)가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에서 하면(114)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 유로(144) 중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하면(114)에 위치되는 유로에 상기 파이프(51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파이프(510)가 상기 인너 케이스(102)를 관통하여 상기 안내 유로(144)와 연통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520 does not exist, and the guide passage 14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rear surface 113 of the inner case 102 to the lower surface 114 . In addition, the pipe 510 may be connected to a flow path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114 of the inner case 102 among the guide flow paths 144 . For example, the pipe 510 may pass through the inner case 102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passage 144 .

상기 미들 케이스(10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어 케이스(109)와, 리어 케이스(109)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케이스(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iddle case 105 may further include a rear case 109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bottom case 108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lower end of the rear case 109 .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스(109)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과 이격되고, 상기 바닥 케이스(108)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하면(114)과 이격된다. In addition, the rear case 109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113 of the inner case 102 , and the bottom case 108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114 of the inner case 102 .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는 상기 바닥 케이스(108)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는 상기 파이프(510)가 관통하기 위한 홀(108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end 512 of the pipe 510 may pass through the bottom case 108 . A hole 108a through which the pipe 510 passes may be formed in the bottom case 108 .

이때,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가 상기 바닥 케이스(108)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510)가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 안착되도록, 상기 파이프(510)의 외주면에는 안착 리브(514)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seating rib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510 so that the pipe 510 is seated on the bottom case 108 while the lower end 512 of the pipe 510 penetrates the bottom case 108 . 514 may be formed.

상기 안착 리브(514)는 상기 파이프(510)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착 리브(514)는 상기 파이프(510)의 원주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안착 리브(514)가 상기 파이프(510)의 원주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seating rib 514 may be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510 . For example, the seating ribs 514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pe 510 , or a plurality of seating ribs 51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pe 510 .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수관(50)이 상기 인너 케이스(10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관(50)의 하측 부분은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 안착되므로,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하면(114)과 상기 바닥 케이스(108) 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pipe 50 is seated on the bottom case 108 in a state where the drain pipe 50 is coupled to the inner case 102,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2 ( A gap between the 114 and the bottom case 108 may be maintained.

상기 배수관(50)이 상기 인너 케이스(102)에 결합되고, 상기 배수관(50)의 상기 안착 리브(514)가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02)와 상기 바닥 케이스(108) 사이에는 단열재 형성을 위한 발포액에 주입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drain pipe 50 is coupled to the inner case 102 , and the seating rib 514 of the drain pipe 50 is seated on the bottom case 108 , the inner case 102 and the bottom case Between the 108, it can be injected into the foaming liquid for the formation of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수관(50)이 상기 안착 리브(514)가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발포액 주입 후 발포액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수관(50)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ain pipe 50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rib 514 is seated on the bottom case 108, the location of the drain pipe 50 in the process of cooling the foam liquid after injection of the foam liqui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또한, 주입된 발포액이 상기 안착 리브(514)를 상기 바닥 케이스(108)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배수관(50)이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서 빠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jected foam serves to press the seating rib 514 toward the bottom case 108 , the drain pipe 50 from falling out of the bottom case 108 can be prevented.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부> <Storage unit for storing condensat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부의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저장부가 캐비닛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densed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of FIG. 8 is coupled to the cabinet.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상기 배수관(50)을 따라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 to 9 ,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60 for storing condensed water discharged along the drain pipe 50 .

상기 저장부(60)는,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 공간(611)을 형성하는 저장 바디(6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60 may include a storage body 610 that forms a storage space 611 for storing condensed water.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는 상기 저장 바디(61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510)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상기 저장 바디(610)에 수용될 수 있다. The lower end 512 of the pipe 51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storage body 6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pipe 5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body 610 .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는 상기 저장 바디(610)의 바닥면(612)과 이격된다. 이때, 상기 바닥 케이스(108)를 관통한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는 상기 저장 공간(6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The lower end 512 of the pipe 51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612 of the storage body 610 . In this case, the lower end 512 of the pipe 510 passing through the bottom case 108 may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611 .

상기 저장 바디(610)에 저장된 응축수는 외부 열이나 외부 공기에 의해서 자연 증발될 수 있다.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body 610 may be naturally evaporated by external heat or external air.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 바디(610)의 바닥면(612)은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와 중첩되는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저장 바디(610)의 바닥면(612)은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와 중첩되는 부분에서 상기 캐비닛(10)의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612 of the storage body 61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away from the portion overlapping the lower end 512 of the pipe 510 . 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612 of the storage body 61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of the cabinet 10 at a portion overlapping the lower end 512 of the pipe 510 .

따라서, 상기 파이프(510)에서 배출되어 상기 저장 바디(610)로 인입된 응축수는 상기 저장 바디(610)에서 상기 냉장고(1)의 후측으로 흘러내려 저장된다. 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pipe 510 and introduced into the storage body 610 flows down from the storage body 610 to the rear side of the refrigerator 1 and is stored.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장 바디(610)에 저장된 응축수의 자연 증발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고, 상기 저장 바디(610)에 응축수가 저장되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상기 저장 바디(610)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atural evaporation time of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body 610 is sufficiently secured, and it can be prevented that the condensed water overflows from the storage body 610 while the condensed water is stored in the storage body 610 . have.

상기 저장부(60)는,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 리브(616, 6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60 may further include coupling ribs 616 and 618 to be coupled to the cabinet 10 .

구체적으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는 상기 냉장고(1)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110)은 상기 방열부(430)와 방열팬(440)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110)에 상기 흡입구(101a)가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uter case 101 may further include a rear panel 110 forming a rear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1 . The rear panel 110 may cover the heat dissipation unit 430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440 . In addition, the suction port 101a may be formed in the rear panel 110 .

상기 결합 리브(616, 618)는 상기 리어 패널(110)과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 리브(6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리브(616)는 상기 저장 바디(6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coupling ribs 616 and 618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rib 616 to be coupled to the rear panel 110 . The first coupling rib 616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storage body 610 .

상기 제 1 결합 리브(616)의 일부는 상기 리어 패널(1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상기 리어 패널(110)의 배면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 리브(616)에서 상기 리어 패널(110)의 배면과 접촉된 부분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결합 리브(616)에는 제 1 체결홀(617)이 형성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rib 616 may support a lower side of the rear panel 110 , and another portion may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anel 110 . In addition,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may be fastened to a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rib 616 in contact with the rear panel 110 . To this end, a first fastening hole 617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rib 616 .

이때, 상기 저장부(60)가 상기 리어 패널(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저장부(60)는 상기 리어 패널(1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614)는 상기 제 1 결합 리브(616)에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110)은 하단에서 상기 미들 케이스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2)에는 상기 저장부(6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6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rib 614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panel 110 so that the storage unit 60 stably supports the rear panel 110 . . The support rib 614 may be bent from the first coupling rib 616 to extend. The rear panel 110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112 extending from the bottom toward the middle case. A hole 112 that vertically overlaps with the storage unit 60 may be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12 .

상기 결합 리브(616, 618)는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 체결되기 위한 제 2 체결 리브(6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upling ribs 616 and 618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astening rib 618 to be fastened to the bottom case 108 .

상기 제 2 체결 리브(618)는 상기 제 1 결합 리브(616)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rib 618 may extend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rib 616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2 체결 리브(618)는 상기 바닥 케이스(108)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체결 리브(618)에는 제 2 체결홀(619)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fastening rib 618 may be fastened to the bottom case 108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whil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case 108 . To this end, a second fastening hole 619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astening rib 618 .

상기 저장부(60)는, 바닥면에 놓여 상기 냉장고(1)가 바닥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620)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60 may further include an anti-slip unit 620 placed on the floor to prevent the refrigerator 1 from sliding on the floor. The anti-slip part 62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상기 미끄럼 방지부(620)는 일 예로 상기 제 2 체결 리브(61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부(620)의 두께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620)가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저장 바디(610)의 바닥면(612)에서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anti-slip part 6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rib 618 ,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anti-skid part 620 may be desig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612 of the storage body 610 in a state where the anti-skid part 620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에서 상기 저장부(60)를 캐비닛(10)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상기 저장부(60)의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orage unit 60 is coupled to the cabinet 10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orage unit 60 is easily assembled.

특히, 상기 배수관(50)이 상기 바닥 케이스(108)를 관통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저장부(60)를 바닥 케이스(108)에 체결하면 바로 상기 배수관(50)과 상기 저장부(60)가 중첩되어 정렬되므로, 상기 저장부(60)와 상기 배수관(50)의 정렬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drain pipe 50 penetrates the bottom case 108 is maintained, when the storage part 60 is fastened to the bottom case 108, the drain pipe 50 and the storage part 60 Since the overlaps are alig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operation for aligning the storage unit 60 and the drain pipe 50 is unnecessary.

그리고, 상기 저장부(60)가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바디(610)의 상면은 상기 리어 패널(110)의 하면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 공간(611)이 상기 냉장고(1) 외부와 연통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60 is coupled to the cabinet 10 ,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61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panel 110 . Accordingly, the storage space 611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1 .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저장 공간(611)에 수용된 응축수의 자연 증발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natural evaporation of the condensed wate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611 is smooth.

10: 캐비닛 20: 도어
40: 냉각 장치 50: 배수관
60: 저장부 144: 안내 유로
10: cabinet 20: door
40: cooling device 50: drain pipe
60: storage unit 144: guide flow

Claims (13)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며, 흡입구를 구비하는 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미들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미들 케이스의 지지부에 지지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제1면에 접촉하는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며 상기 흡열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흡열팬과, 상기 열전소자의 제2면에 접촉하는 방열부와, 상기 방열부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며 상기 흡입구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방열팬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상기 흡입구와 대향되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흡입구 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흡열부 및 상기 흡열팬이 위치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커버하며, 상기 저장실 내의 공기가 상기 수용부로 흡입되도록 상기 흡열팬과 대향되는 흡입구와, 상기 수용부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커버;
상기 인너 케이스의 수용부의 하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냉각 장치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로;
상기 안내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으로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관;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n inner case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an outer case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case and including a rear panel having a suction port;
a middle case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thermoelectric element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of the middle case, a heat absorbing part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absorbing fan that flows air toward the heat absorbing part and is disposed to face the heat absorbing part;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heat dissipation unit in contact with a second surface; and a heat dissipation fan that flows air toward the heat dissipation unit and is disposed to face the suction port;
a receiving part in which a portion of the inner case facing the inlet is recessed toward the inlet, and in which the heat absorbing part and the heat absorbing fan are located;
a cover covering the accommodating part, the cover including an inlet facing the heat absorbing fan so that air in the storage chamber is suck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accommodating part to the storage chamber;
a guide passage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of the inner case, and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cooling device downward;
a dr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passage and discharging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and
The refrigerator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and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미들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방열부 측으로 공기가 유동되기 위한 방열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 및 상기 방열팬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미들 케이스 사이의 상기 방열 유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미들 케이스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연결되며, 내부 공간의 일부가 상기 방열 유로의 하측에 위치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It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middle case and further comprises a heat dissipation flow path for air to flow toward the heat dissipation unit,
The heat dissipation unit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are positioned on the heat dissipation flow path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middle case,
The storage unit is connected to the middle case and the outer case, and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is located below the heat dissipation flow path.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냉각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면과, 상기 설치면에서 상기 안내 유로 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안내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an installation surface on which the cooling device is installed, and a guide surface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toward the guide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로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refrigerator in which a part or all of the guide passage is formed to decrease in width as it goes down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인너 케이스의 개구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미들 케이스를 관통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drain pipe includes a coupling part coupl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inner case, and a pipe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art and passing through the middl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케이스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냉각 장치가 설치되는 리어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에서 연장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의 하면의 하방에 위치되는 바닥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바닥 케이스를 관통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의 둘레에는 상기 파이프가 바닥 케이스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 케이스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 리브가 구비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middle case further includes a rear cas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the cooling device installed therein, and a bottom case extending from the rear case and positioned below a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The drain pipe includes a pipe passing through the bottom case,
A refrigerator having a seating rib disposed around the pipe to be seated on the bottom case while the pipe penetrates the bottom cas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가 상기 미들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7. The method of claim 6,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is coupled to the middle case, the storage unit is disposed to overlap a lower end of the pipe in a vertical dire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는 상기 저장 공간에 수용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orage unit includes a storage body form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is stored,
The lower end of the pipe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refrigerat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바디의 바닥면은 상기 바닥 케이스를 관통한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와 중첩되는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orage unit includes a storage body form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is store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body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pipe passing through the bottom cas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와 중첩되는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 방향인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A direction away from the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pipe is a rear direction of the out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패널은 하단에서 상기 미들 케이스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저장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리어 패널에 체결되며,
상기 저장부가 상기 리어 패널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의 상면은 상기 연장부의 하면과 이격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panel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toward the middle case,
A hole is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overlapping the storag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torage unit is fastened to the rear panel,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is fastened to the rear panel,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is spaced apart from a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 바디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어 패널의 하면을 지지하는 체결 리브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rib extending upward from the storage body and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rear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바닥면에 놓이며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가 결합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refrigerator to which an anti-slip part placed on a bottom surface and formed of a rubber material is coupled to the storage part.
KR1020210139447A 2017-03-16 2021-10-19 Refrigerator KR1024537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447A KR102453753B1 (en) 2017-03-16 2021-10-1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292A KR102317213B1 (en) 2017-03-16 2017-03-16 Refrigerator
KR1020210139447A KR102453753B1 (en) 2017-03-16 2021-10-19 Refriger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92A Division KR102317213B1 (en) 2017-03-16 2017-03-16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000A KR20210129000A (en) 2021-10-27
KR102453753B1 true KR102453753B1 (en) 2022-10-14

Family

ID=638777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92A KR102317213B1 (en) 2017-03-16 2017-03-16 Refrigerator
KR1020210139447A KR102453753B1 (en) 2017-03-16 2021-10-19 Refrigerat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92A KR102317213B1 (en) 2017-03-16 2017-03-16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72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30975A1 (en) * 2020-01-07 2023-02-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975B1 (en) 2006-03-31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234065B1 (en) 2011-12-20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69A (en) * 1993-07-09 1995-01-27 Sanyo Electric Co Ltd Storing device of high humidity and low temperature
JP3751710B2 (en) * 1997-04-23 2006-03-01 松下冷機株式会社 Thermoelectric modular electric refrigerator
KR20080006652U (en) * 2007-06-26 200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090006419A (en) * 2007-07-11 2009-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132548B1 (en) * 2010-01-21 2012-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810736B1 (en) * 2015-06-05 2017-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975B1 (en) 2006-03-31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234065B1 (en) 2011-12-20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941A (en) 2018-10-01
KR20210129000A (en) 2021-10-27
KR102317213B1 (en)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0663B2 (en) Cabinet refrigeration system
KR102028022B1 (en) Refrigerator
US8468848B2 (en) Refrigerator
US20150345866A1 (en) Drying system and use of the drying system in laundry drying device
KR101343092B1 (en) Freezing Room on a Refrigerating Door
WO2016107235A1 (en) Refrigerator
KR20120007500A (en) Refrigerator air duct
KR102453753B1 (en) Refrigerator
KR20110021128A (en) A refrigerator
WO2010029041A1 (en) A cooling device
KR100919822B1 (en) Refrigerator
JP2015117905A (en) Refrigerator
JP2018141628A (en) refrigerator
KR20210058240A (en) Refrigerator
JP6349549B2 (en) refrigerator
WO2012076451A2 (en) Refrigeration appliance
KR20220074489A (en) refrigerator
JP2020139645A (en) refrigerator
KR100432215B1 (en) Refrigerator for cabbage and radish pickle
CN210036033U (en) Improved double-greenhouse wine cabinet
JP6357644B2 (en) refrigerator
JP4267978B2 (en) Storage drainage structure
JP2022049851A (en) Cooling storage
KR200347459Y1 (en) Drain structure for built-in refrigerator
JP3297612B2 (en) Horizontal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