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741B1 -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741B1
KR102453741B1 KR1020187032463A KR20187032463A KR102453741B1 KR 102453741 B1 KR102453741 B1 KR 102453741B1 KR 1020187032463 A KR1020187032463 A KR 1020187032463A KR 20187032463 A KR20187032463 A KR 20187032463A KR 102453741 B1 KR102453741 B1 KR 102453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downlink
transmission mode
terminal device
transmiss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424A (ko
Inventor
리칭 류
쇼이찌 스즈끼
다쯔시 아이바
다까시 하야시
도모끼 요시무라
와따루 오우찌
Original Assignee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단말 장치는,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본 발명은,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5월 1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6-096500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셀룰러 이동 통신의 무선 액세스 방식 및 무선 네트워크(이하, 「Long Term Evolution(LTE)」, 또는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라고 칭함) 및, 보다 광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더욱 고속의 데이터의 통신을 실현하는 무선 액세스 방식 및 무선 네트워크(이하, 「Long Term Evolution-Advanced(LTE-A), 또는 「Advance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A-EUTRA)」라고 칭함)가,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서 검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2 참조). LTE, LTE-A에서는, 기지국 장치를 eNodeB(evolved NodeB), 단말 장치를 UE(User Equipment)라고도 칭한다. LTE, LTE-A는, 기지국 장치가 커버하는 에어리어를 셀 형상으로 복수 배치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다. 하나의 기지국 장치가, 복수의 셀을 관리하기도 한다.
LTE-A에서는, 기지국 장치가 단말 장치에 대해서 주파수 대역이나 송신 전력 등의 무선 리소스 할당을 스케줄링한다. 무선 리소스의 최소 할당 단위는,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RB)이라고 불린다. 1개의 RB는, 주파수 방향으로 12개의 서브캐리어, 시간 방향으로 7 혹은 6 심볼로 구성되어 있다.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이며, TTI(Transmission Timing Interval)라고도 칭해진다.
여기서, 3GPP에서는, 패킷 지연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TTI보다도 짧은, shorten TTI(sTTI)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2 참조).
Ericson, "Design of DL DCI for short TTL", 3GPP TSG RAN WG1 Meeting # 84, R1-160931, 6th February 2016. Ericson, "Physical layer aspects of short TTI for downlink transmissions", 3GPP TSG RAN WG1 Meeting #84, R1-160934, 6th February 2016.
그러나, sTTI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sTTI를 사용한 통신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1)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말 장치는,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단말 장치이다.
(2)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지국 장치는, 단말 장치에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기지국 장치이다.
(3)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통신 방법은,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 과정과,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 과정을 갖고,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방법이다.
(4) 또한,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통신 방법은, 기지국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에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 과정과,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 과정을 갖고,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방법이다.
(5)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집적 회로는, 단말 장치에 탑재되는 집적 회로로서,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 기능과,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집적 회로이며,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집적 회로이다.
(6) 또한,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집적 회로는, 기지국 장치에 탑재되는 집적 회로로서, 단말 장치에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 기능과,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집적 회로이며,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집적 회로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가 매핑하는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가 매핑하는 신호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sTTI length 판정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sPDCCH length 판정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sPDSCH length 판정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 스킴(Scheme) 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sTTI 내의 sPDCCH와 sPDSCH의 다중 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sTTIlength 내의 sPDCCH와 sPDSCH의 주파수 다중 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의 DCI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의 DCI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의 DCI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PDSCH 트랜스미션 모드와 sPDSCH 트랜스미션 모드를 공통으로 설정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sPDSCH 트랜스미션 모드와 PDSCH 트랜스미션 모드를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sPDSCH 트랜스미션 모드와 PDSCH 트랜스미션 모드를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경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장치(1A)와, 단말 장치(1B)와, 단말 장치(1C), 및 기지국 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1A 내지 1C)를 단말 장치(1)라고도 칭한다.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GW(Gateway) 장치나, 다른 기지국 장치, 다른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복수의 기지국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기지국 장치는, MME/GW 장치와 백홀 링크 S1(S1 링크라고도 칭함)로 접속되고, 각 기지국 장치 간은, 백홀 링크 X2(X2 링크라고도 칭함)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로부터 기지국 장치(3)로의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sPUCCH(shor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sPUSCH(short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sPRACH(short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UCCH(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sPUCCH(쇼트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PUCCH는, sPUCCH를 포함해도 된다. 여기서, 상향 링크 제어 정보(UCI)에는,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UL-SCH의 리소스를 요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케줄링 요구(Scheduling Request: SR)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가 포함되어도 된다.
여기서, HARQ-ACK는, 하향 링크 데이터(Transport block,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MAC PDU, Downlink-Shared Channel: DL-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에 대한 HARQ-ACK를 나타내도 된다. 즉, HARQ-ACK는,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acknowledgement, positive-acknowledgment) 또는 NACK(negative-acknowledgement)를 나타내도 된다. 여기서, HARQ-ACK는, ACK/NACK, HARQ 피드백, HARQ 응답, HARQ 정보, 또는 HARQ 제어 정보라고도 칭해진다.
PUSCH(물리 상향 링크 공용 채널), 및/또는 sPUSCH(쇼트 물리 상향 링크 공용 채널)는, 상향 링크 데이터(Uplink-Shared Channel: UL-SCH)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PUSCH는, sPUSCH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PUSCH는, 상향 링크 데이터와 함께 HARQ-ACK 및/또는 CSI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PUSCH는, CSI만, 또는 HARQ-ACK 및 CSI만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PUSCH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만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상위층(higher layer)에 있어서 신호를 교환(송수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RRC message, RRC information이라고도 칭해짐)을 송수신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MAC(Medium Access Control)층에 있어서,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교환(송수신)해도 된다. 여기서, RRC 시그널링, 및/또는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상위층의 신호(higher layer signaling)라고도 칭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위층의 파라미터」, 「상위층의 메시지」, 「상위층의 신호」, 「상위층의 정보」, 및 「상위층의 정보 요소」는,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PUSCH는, RRC 시그널링, 및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RRC 시그널링은, 셀 내에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1)에 대해서 공통의 시그널링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RRC 시그널링은, 어떤 단말 장치(1)에 대해서 전용(개별)의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이라고도 칭함)이어도 된다. 즉, 유저 장치 스페시픽(유저 장치 고유)한 정보는, 어떤 단말 장치(1)에 대해서 전용의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송신되어도 된다.
PRACH(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및/또는 sPRACH(쇼트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PRACH는, sPRACH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PRACH(또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는, 단말 장치(1)가, 기지국 장치(3)와 시간 영역의 동기를 취하는 것을 주목적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PRACH(또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는, 초기 커넥션 확립(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프로시저, 핸드 오버 프로시저, 커넥션 재확립(connection re-establishment) 프로시저, 상향 링크 송신에 대한 동기(타이밍 조정), 및 스케줄링 요구(PUSCH 리소스의 요구, UL-SCH 리소스의 요구)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상향 링크 물리 신호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상향 링크 참조 신호(Uplink Reference Signal: UL RS)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하의 2가지 타입의 상향 링크 참조 신호가 사용된다.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DMRS(복조 참조 신호)는, PUSCH, sPUSCH, 및/또는 PUCCH의 송신에 관련된다. 즉, DMRS는, PUSCH, sPUSCH, 또는 PUCCH와 시간 다중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PUSCH, sPUSCH, 또는 PUCCH의 전반로 보정을 행하기 위해서 DMRS를 사용해도 된다. 이하, PUSCH와 DMRS를 모두 송신하는 것을, 단순히 PUSCH를 송신한다고도 칭한다. 또한, sPUSCH와 DMRS를 모두 송신하는 것을, 단순히 sPUSCH를 송신한다고도 칭한다. 또한, PUCCH와 DMRS를 모두 송신하는 것을, 단순히 PUCCH를 송신한다고도 칭한다.
SRS(사운딩 참조 신호)는, PUSCH 또는 PUCCH의 송신에 관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상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 SRS를 사용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로의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sPDCCH(short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sPDSCH(short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MCH(Physical Multicast Channel)
PBCH(물리 통지 정보 채널)는, 단말 장치(1)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마스터 인포메이션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 Broadcast Channel: BCH)을 통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PCFICH(물리 제어 포맷 지시 채널)는, PD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영역(OFDM 심볼)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PHICH(물리 HARQ 지시 채널)는, 기지국 장치(3)가 수신한 상향 링크 데이터(Uplink Shared Channel: UL-SCH)에 대한 ACK(ACKnowledgement) 또는 NACK(Negative ACKnowledgement)를 나타내는 HARQ 인디케이터(HARQ 피드백, 응답 정보, HARQ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PDCCH(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 EPDCCH(확장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sPDCCH(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PDCCH는, EPDCCH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PDCCH는, sPDCCH를 포함해도 된다.
여기서, PDCCH, EPDCCH, 및/또는 sPDCCH에서 송신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대해서, 복수의 DCI 포맷이 정의되어도 된다. 즉,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필드가 DCI 포맷으로 정의되고, 정보 비트로 맵되어도 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을, 하향 링크의 DCI, 하향 링크 그랜트(downlink grant, DL grant), 및/또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downlink assignment)라고도 칭한다. 또한, 상향 링크에 대한 DCI 포맷을, 상향 링크의 DCI, 상향 링크 그랜트(uplink grant, UL grant), 및/또는 상향 링크 어사인먼트(Uplink assignment)라고도 칭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sPDSCH 및/또는 sPDCCH에 대한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sPDSCH, 및/또는 sPDCCH에 대한 물리 리소스 블록의 할당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 DCI 포맷(이하, 제1 DL 그랜트, 제1 DL DCI라고도 기재함)이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즉, 제1 DL 그랜트에는, DLsTTI 밴드 대역폭(sTTI bandwidth)을 할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할당되는 sTTI 송수신용 주파수 리소스는, sTTI 밴드라고 칭해도 된다. 즉, 제1 DL 그랜트는, 적어도 sPDSCH 및/또는 sPDC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1 DL 그랜트에는, 캐리어 인디케이터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DL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sPDSCH 및/또는 스케줄되는 sPDCCH에 대한 대역폭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즉, 제1 DL 그랜트에는, sPDSCH에서의 송신에 대한, 스케줄되는 대역폭에 관련된 정보 및/또는 sPDCCH에서의 송신에 대한 스케줄되는 대역폭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DL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sPDSCH 및/또는 스케줄되는 sPDCCH에 대한 물리 리소스 블록의 개시 위치(및/또는, 종료 위치, 예를 들어 개시 위치로부터의 길이)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제1 DL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sPDSCH 및/또는 스케줄되는 sPDCCH에 대한 물리 리소스 블록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1 DL 그랜트를 사용해서 송신되는 정보(일부 또는 모든 정보)는, 상위층의 신호(예를 들어, MAC층에서의 신호 및/또는 RRC층에서의 신호)를 사용해서 송신되어도 된다. 이하, 제1 DL 그랜트를 사용해서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기재하지만, 제1 DL 그랜트를 사용해서 송신되는 정보는, 상위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1 DL 그랜트는, 복수의 단말 장치(1)에 대해서 공통의 DCI(DL 그랜트, Common DL grant, Non-UE specific DL grant)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즉, 제1 DL 그랜트는, 후술하는 커먼 서치 스페이스만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제1 DL 그랜트는, PDCCH 및/또는 EPDCCH만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제1 DL 그랜트에 부가되는 CRC 패리티 비트가, 후술하는 RNTI에 의해 스크램블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1 DL 그랜트에 부가되는 CRC 패리티 비트는, 제1 DL-RNTI에 의해 스크램블되어도 된다. 또한, 제1 DL 그랜트가 송신되는 서치 스페이스(예를 들어, 커먼 서치 스페이스)는, 적어도 제1 DL-RNTI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제1 DL 그랜트는, 어떤 1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설정을 규정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제1 DL 그랜트는, 어떤 1개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설정을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제1 DL 그랜트를 사용해서 지시되는 설정은, 1개 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마다 유효하여도 된다. 즉, 제1 DL 그랜트는, 서브프레임 스페시픽의 DL 그랜트(a sub-frame specific DL grant)여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로서, 적어도 PDSCH 및/또는 sPDSCH에 대한 시간 리소스의 할당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DCI 포맷(이하, 제2 DL 그랜트, 제2 DL DCI라고도 기재함)이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DL 그랜트에는, PDSCH 및/또는 sPDSCH에서의 송신에 대한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의 할당에 관련된 정보 및/또는 쇼트 송신 시간 간격(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 sTTI)의 할당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즉, 제2 DL 그랜트는, 적어도 sPD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가 PDSCH를 할당하는 경우, 해당 PDSCH는, 제2 DL 그랜트와 상이한 주파수에서 송신되는 PDSCH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DL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PDSCH 및/또는 스케줄되는 sPDSCH에 대한 송신 시간 간격의 길이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sPDSCH에 대한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sPDSCH와 함께 송신되는 DMRS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PDSCH와 함께 송신되는 DMRS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PDSCH와 함께 송신되는 DMRS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DMRS의 사이클릭 시프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sPDSCH와 함께 송신되는 DMRS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DMRS의 사이클릭 시프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에는, 제2 DL 그랜트의 수신(검출)에 기초하는, PDSCH에서의 송신 및/또는 sPDSCH에서의 송신에 대한 프리코딩(Precoding)과 레이어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PDSCH 및/또는 스케줄되는 sPDSCH에 대한 MCS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PDSCH 및/또는 스케줄되는 sPDSCH에 대한 리던던시 버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PDSCH 및/또는 스케줄되는 sPDSCH에서의 송신의 피드백에 대한 sPUCCH의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2 DL 그랜트는, 어떤 1개의 단말 장치(1)에 대해서 전용의 DCI(DL 그랜트, UE-specific DL grant)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즉, 제2 DL 그랜트는, 후술하는 UE 스페시픽 스페이스만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는, PDCCH 및/또는 sPDC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에 부가되는 CRC 패리티 비트는, 후술하는 RNTI에 의해 스크램블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2 DL 그랜트에 부가되는 CRC 패리티 비트는, 제2 DL-RNTI에 의해 스크램블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가 송신되는 서치 스페이스(예를 들어,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는, 적어도 제2 DL-RNTI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제2 DL 그랜트는, 어떤 1개의 송신 시간 간격에 대한 설정을 규정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제2 DL 그랜트는, 어떤 1개의 송신 시간 간격에 있어서 사용되는 설정을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제2 DL 그랜트를 사용해서 지시되는 설정은, 1개의 송신 시간 간격에 대해서 유효해도 된다. 즉, 제2 DL 그랜트는, 송신 시간 간격 스페시픽의 DL 그랜트(a TTI specific DL grant)여도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DL 그랜트는, 제2 DL 그랜트가 송신되는 sPDC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제1 DL 그랜트를 수신(검출)함으로써, 제2 DL 그랜트를 수신(검출)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제1 DL 그랜트가 송신되는 PDCCH 및/또는 EPDCCH를 모니터(디코드, 검출)함으로써, 제2 DL 그랜트가 송신되는 PDCCH 및/또는 sPDCCH를 모니터(디코드, 검출)해도 된다.
여기서, 제1 DL 그랜트가 송신되는 PDCCH 및/또는 EPDCCH는, 단말 장치(1)에 의한 모니터링에 의해 검출되고, 제2 DL 그랜트가 송신되는 PDCCH 및/또는 sPDCCH(PDCCH, EPDCCH 및/또는 sPDCCH의 주파수 리소스)는, 직접적으로 지시되어도 된다(예를 들어, 제1 DL 그랜트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시되어도 됨). 즉, 제2 DL 그랜트가 송신되는 PDCCH, EPDCCH 및/또는 sPDCCH는, 단말 장치(1)에 의해 모니터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로서, 1개의 셀에서의 1개의 PDSCH의 스케줄링을 위해서 사용되는 DCI 포맷(예를 들어, DCI 포맷 1, DCI 포맷 1A, 이하, 제3 DL 그랜트, 제3 DL DCI라고도 기재함)이 정의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3 DL 그랜트는, 해당 하향 링크 그랜트가 송신된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PD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된다.
여기서, 제1 DL 그랜트는, 해당 하향 링크 그랜트가 송신된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 및/또는 상이한 복수의 서브프레임 내의 sTTI 송신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3 DL 그랜트에는, 캐리어 인디케이터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 스케줄되는 PDSCH의 피드백에 대한 송신 전력 커맨드(TPC 커맨드)에 관한 정보(TPC command for scheduled PUCCH), MCS 및/또는 리던던시 버전에 관한 정보(Modulation and coding scheme and/or redundancy version), 리소스 블록 할당 및/또는 호핑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Resource block assignment and/or hopping resource allocation), 및/또는 SRS 송신의 리퀘스트에 관한 정보(SRS request) 등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3 DL 그랜트는, 복수의 단말 장치(1)에 대해서 공통의 DCI 및/또는 어떤 1개의 단말 장치(1)에 대해서 전용의 DCI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즉, 제3 DL 그랜트는, 커먼 서치 스페이스 및/또는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제3 DL 그랜트는, PDCCH 및/또는 EPDC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제3 DL 그랜트에 부가되는 CRC 패리티 비트가, 후술하는 RNTI에 의해 스크램블되어도 된다.
또한, 제3 DL 그랜트는, 어떤 1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설정을 규정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제3 DL 그랜트는, 어떤 1개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설정을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제3 DL 그랜트를 사용해서 지시되는 설정은, 1개의 서브프레임마다 유효해도 된다. 즉, 제3 DL 그랜트는, 서브프레임 스페시픽의 DL 그랜트여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는, 제1 DL 그랜트, 제2 DL 그랜트, 및/또는 제3 DL 그랜트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DCI 포맷은, 제1 DL 그랜트, 제2 DL 그랜트, 및/또는 제3 DL 그랜트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그랜트로서, 1개의 셀에서의 1개의 PUSCH의 스케줄링을 위해서 사용되는 DCI 포맷(예를 들어, DCI 포맷 0, 및/또는 DCI 포맷 4)이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그랜트로서, 후술하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에 있어서 PUSCH의 스케줄링을 위해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에는, PUSCH에 대한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PUSCH에 대한 대역폭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즉,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에는, PUSCH에서의 송신에 대한, 스케줄되는 대역폭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PUSCH에 대한 물리 리소스 블록의 개시 위치(및/또는, 종료 위치, 예를 들어 개시 위치로부터의 길이)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에는, 스케줄되는 PUSCH에 대한 물리 리소스 블록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는, 스케줄되는 PUSCH에 대한 송신 전력 커맨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는, PUSCH에서의 송신을 다음의 이용 가능한 상향 링크의 서브프레임으로 연기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UL delay)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에는, CSI 송신의 리퀘스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는, PDS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는, 후술하는, RA-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 패리티 비트가 부가된 DCI 포맷(RA-RNTI를 수반하는 PDCCH)을 사용해서 스케줄된 PDS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는, 어떤 1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설정을 규정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는, 어떤 1개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설정을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즉,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를 사용해서 지시되는 설정은, 1개의 서브프레임마다 유효해도 된다. 즉,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는, 서브프레임 스페시픽의 UL 그랜트여도 된다.
여기서, 단말 장치(1)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를 사용해서 PDSCH의 리소스가 스케줄된 경우에는,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PDSCH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를 사용해서 sPDSCH의 리소스가 스케줄된 경우에는,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sPDSCH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사용해서 PUSCH의 리소스가 스케줄된 경우에는,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PUSCH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사용해서 sPUSCH의 리소스가 스케줄된 경우에는,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sPUSCH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PDCCH 후보(PDCCH candidates), EPDCCH 후보(EPDCCH candidates), 및/또는 sPDCCH 후보(sPDCCH candidates)의 세트를 모니터해도 된다. 이하, PDCCH는, EPDDCH 및/또는 sPDCCH를 포함해도 된다.
여기서, PDCCH 후보는, 기지국 장치(3)에 의해, PDCCH가, 배치 및/또는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 후보를 나타내고 있어도 된다. 또한, 모니터는, 모니터되는 모든 DCI 포맷에 따라서, PDCCH 후보의 세트 내의 PDCCH의 각각에 대해서, 단말 장치(1)가 디코드를 시도한다는 의미가 포함되어도 된다.
여기서, 단말 장치(1)가, 모니터하는 PDCCH 후보의 세트는, 서치 스페이스라고도 칭해진다. 서치 스페이스에는, 커먼 서치 스페이스(Common Search Space: CSS)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커먼 서치 스페이스는, 복수의 단말 장치(1)에 대해서 공통의 스페이스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서치 스페이스에는,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UE-specific Search Space: USS)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는, 적어도, 단말 장치(1)에 대해서 할당되는 C-RNTI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커먼 서치 스페이스, 및/또는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PDCCH를 모니터하고, 자장치 앞으로의 PDCCH를 검출해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PDCCH에서의 송신)에는, 기지국 장치(3)가, 단말 장치(1)에 할당한 RNTI가 이용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DCI 포맷(하향 링크 제어 정보여도 됨)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순회 용장 검사) 패리티 비트가 부가되고, 부가된 후에, CRC 패리티 비트가 RNTI에 의해 스크램블되어도 된다. 여기서, DCI 포맷에 부가되는 CRC 패리티 비트는, DCI 포맷의 페이로드로부터 얻어져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CRC 패리티 비트」, 「CRC 비트」, 및 「CRC」는 동일하여도 된다. 또한, 「CRC 패리티 비트가 부가된 DCI 포맷이 송신되는 PDCCH」, 「CRC 패리티 비트를 포함하며, 또한,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 「CRC 패리티 비트를 포함하는 PDCCH」, 및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는, 동일하여도 된다. 또한, 「X를 포함하는 PDCCH」, 및 「X를 수반하는 PDCCH」는, 동일하여도 된다. 단말 장치(1)는, DCI 포맷을 모니터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DCI를 모니터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PDCCH를 모니터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 패리티 비트가 부가된 DCI 포맷에 대해서 디코드를 시도하고, CRC가 성공한 DCI 포맷을, 자장치 앞으로의 DCI 포맷으로서 검출한다(블라인드 디코딩이라고도 칭해짐). 즉, 단말 장치(1)는, 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수반하는 PDCCH를 검출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 패리티 비트가 부가된 DCI 포맷을 수반하는 PDCCH를 검출해도 된다.
여기서, RNTI에는,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C-RNTI는, RRC 접속 및 스케줄링의 식별에 대하여 사용되는, 단말 장치(1)에 대한 유니크한(일의적인) 식별자여도 된다. 또한, C-RNTI는, 동적(dynamically)으로 스케줄되는 유니캐스트 송신을 위해서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RNTI에는, SPS C-RNTI(Semi-Persistent Scheduling C-RNTI)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SPS C-RNTI는, 세미 퍼시스턴스 스케줄링에 대해서 사용되는, 단말 장치(1)에 대한 유니크한(일의적인) 식별자이다. 또한, SPS C-RNTI는, 반 지속적(semi-persistently)으로 스케줄되는 유니캐스트 송신을 위해서 이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반지속적으로 스케줄되는 송신은, 주기적(periodically)으로 스케줄되는 송신의 의미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RNTI에는, RA-RNTI(Random Access RNTI)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RA-RNTI는,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메시지의 송신에 대해서 사용되는 식별자여도 된다. 즉, RA-RNTI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서 이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한 경우에 있어서, RA-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수반하는 PDCCH를 모니터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RA-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수반하는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DSCH에서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를 수신해도 된다.
또한, RNTI에는, Temporary C-RNTI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Temporary C-RNTI는, 컨텐션 베이스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의 사이에서 사용되는, 단말 장치(1)에 의해 송신된 프리앰블에 대한 유니크한(일의적인) 식별자여도 된다. 또한, Temporary C-RNTI는, 동적(dynamically)으로 스케줄되는 송신을 위해서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RNTI에는, P-RNTI(Paging RNTI)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P-RNTI는, 페이징 및 시스템 정보의 변화 통지에 사용되는 식별자여도 된다. 예를 들어, P-RNTI는, 페이징 및 시스템 정보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서 이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P-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수반하는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DSCH에서 페이징을 수신해도 된다.
또한, RNTI에는, SI-RNTI(System Information RNTI)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SI-RNTI는, 시스템 정보의 브로드캐스트에 사용되는 식별자여도 된다. 예를 들어, SI-RNTI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서 이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수반하는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DSCH에서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해도 된다.
여기서,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수반하는 PDCCH는, USS 또는 CSS에 있어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RA-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수반하는 PDCCH는, CSS만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P-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수반하는 PDCCH는, CSS만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수반하는 PDCCH는, CSS만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Temporary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CRC를 수반하는 PDCCH는, CSS만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PDSCH, 및/또는 sPDSCH는, 하향 링크 데이터(Downlink Shared Channel: DL-SCH)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PDSCH는,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에 있어서,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된다. 또한,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 그랜트는, 상위층(예를 들어, MAC층)에 의해 물리층으로 지시된다.
또한, PDSCH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여기서, 시스템 인포메이션 메시지는, 셀 스페시픽(셀 고유) 정보여도 된다. 또한, 시스템 인포메이션은, RRC 시그널링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PDSCH는, RRC 시그널링, 및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PMCH는, 멀티캐스트 데이터(Multicast Channel: MCH)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에 있어서,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신호가 사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하향 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
동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하향 링크의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TDD 방식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0, 1, 5, 6에 배치된다. FDD 방식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0과 5에 배치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전반로 보정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하의 5가지 타입의 하향 링크 참조 신호가 사용된다.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PDSCH 및/또는 sPDSCH에 관련된 URS(UE-specific Reference Signal)
·PDCCH, EPDCCH 및/또는 sPDCCH에 관련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NZP CSI-RS(Non-Zero Power Cha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ZP CSI-RS(Zero Power Cha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MBSFN RS(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over Single Frequency Network Reference signal)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여기서, PDSCH 및/또는 sPDSCH를 복조하기 위한 URS는, DMRS라고 칭해도 된다. 즉, PDSCH 및/또는 sPDSCH에 복조하기 위한 DMRS는, PDCCH, EPDCCH 및/또는 sPDCCH에 관련된 DMRS와 동일하여도 된다. 또한, PDSCH 및/또는 sPDSCH에 복조하기 위한 DMRS는, PDCCH, EPDCCH 및/또는 sPDCCH에 관련된 DMRS와 상이해도 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하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하향 링크 신호라고도 칭한다. 또한,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상향 링크 신호라고도 칭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총칭하여, 물리 채널이라고도 칭한다. 하향 링크 물리 신호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물리 신호라고도 칭한다.
BCH, MCH, UL-SCH 및 DL-S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이다.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층에서 사용되는 채널을 트랜스포트 채널이라고 칭한다. MAC층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단위를, 트랜스포트 블록(transport block: TB) 또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라고도 칭한다. MAC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마다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제어가 행해진다. 트랜스포트 블록은, MAC층이 물리층에 걸치는(deliver) 데이터의 단위이다. 물리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은 코드워드로 맵되고, 코드워드마다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가 연속하는 슬롯(1st 슬롯, 2nd 슬롯)으로 구성된다. 또한, 1개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하향 링크), 또는 7개의 SC-FDMA 심볼(상향 링크)로 구성된다.
도시한 예는,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방법을 나타내고,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해서, 1개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소정의 셀의 주파수, 소정의 셀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소정의 시간에서 PDCCH100A에서의 송신과 PDSCH101A에서의 송신을 행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PDSCH101A에서의 송신되는 소정의 셀의 주파수, 소정의 셀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소정의 시간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1개 또는 복수의 sPDCCH에서의 송신과 1개 또는 복수의 sPDSCH에서의 송신을 행해도 된다.
여기서, 1개의 서브프레임은, 소정의 송신 시간 간격(TTI)을 사용해서 송신되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TTI를 사용하는 트랜스미션 모드를 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TTI mode)라고도 칭한다.
기지국 장치(3)는, PDSCH에서의 송신이 행해지는 소정의 셀의 주파수, 소정의 셀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소정의 시간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의 1개의 sPDCCH에서의 송신과 1개의 sPDSCH에서의 송신을, 소정의 쇼트 송신 시간 간격(sTTI)을 사용해서 송신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sTTI를 사용하는 트랜스미션 모드를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sTTI mode)라고도 칭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는, sPDCCH에서의 송신이 sTTI를 사용해서 송신되어도 되고, sPDSCH에서의 송신이 sTTI를 사용해서 송신되어도 된다. 여기서, TTI, sTTI를 길이로 나타낼 때에는, TTI length, sTTI length라고 칭한다. TTI length, sTTI length의 각각은, 심볼 수로 정의되어도 되고, 시간의 길이로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sTTI length(119A) 중, sPDCCH length(111A)의 sPDCCH(102A)를 송신하고, sPDSCH length(112A)의 sPDSCH(103A)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sTTI length(120A) 중, sPDCCH length(113A)의 sPDCCH(104A)를 송신하고, sPDSCH length(114A)의 sPDSCH(105A)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sTTI length(121A) 중, sPDCCH length(115A)의 sPDCCH(106A)를 송신하고, sPDSCH length(116A)의 sPDSCH(107A)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sTTI length(122A) 중, sPDCCH length(117A)의 sPDCCH(108A)를 송신하고, sPDSCH length(118A)의 sPDSCH(109A)를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sPDCCH(102A, 104A, 106A, 108A)의 각각은, 동일한 sPDCCH length여도 되고, 상이한 sPDCCH length여도 된다. 또한, sPDSCH(103A, 105A, 107A, 109A)의 각각은, 동일한 sPDSCH length여도 되고, 상이한 sPDSCH length여도 된다. 또한, sTTI length(119A, 120A, 121A, 122A)의 각각은, 동일한 sTTI length여도 되고, 상이한 sTTI length여도 된다.
또한, 각각의 sTTI length(119A, 120A, 121A, 122A)를 사용해서 송신되는 sPDCCH(102A, 104A, 106A, 108A) 및 sPDSCH(103A, 105A, 107A, 109A)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sTTI bandwidth(110A))을 사용해도 되고, sTTI length(119A, 120A, 121A, 122A)의 각각에 있어서 상이한 주파수 대역폭(sTTI bandwidth)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는, PDCCH(100A)에 있어서, PDSCH101A)에서의 송신에 있어서의 sPDCCH(102A, 104A, 106A, 108A) 및/또는 sPDSCH(103A, 105A, 107A, 109A)에 대한 sPDCCH, sPDSCH의 주파수 할당 정보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레벨 등의 sPDCCH에 관한 정보를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해서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PDCCH에 있어서 제1 DL 그랜트를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가 제1 DL 그랜트를 모니터하는 서브프레임 및/또는 심볼(OFDM 심볼)을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가 제1 DL 그랜트를 모니터하는 서브프레임 및/또는 심볼(OFDM 심볼)을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정보를, 상위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제1 DL 그랜트는, 제1 DL 그랜트가 수신된 당해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효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신된 제1 DL 그랜트는, 당해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사용되는 sPDSCH 및/또는 sPDCCH에 대한 대역폭(주파수 리소스)을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제2 DL 그랜트를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제2 DL 그랜트는, sPDC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DL 그랜트를 사용하여, 당해 sTTI에서의 sPDSCH가 스케줄되어도 된다.
즉, 제2 DL 그랜트를 사용해서 sPDSCH에서의 송신이 스케줄되어도 된다. 즉,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에 의한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sPDSCH에서의 수신을 행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 장치(3)는, 제3 DL 그랜트를 사용해서 PDSCH에서의 송신을 스케줄하고,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에 의한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PDSCH에서의 수신을 행해도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예는, sPDCCH와 sPDSCH가 sTTI 밴드에 있어서, 시간 다중되는 경우의 일례이지만,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sPDCCH와 sPDSCH가 시간 다중되어도 된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다중되어도 된다. 또한,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다중과 주파수 다중의 양쪽이 적용되어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단말 장치(1)는, 처리부(101)와, 제어부(103)와, 수신부(105)와, 송신부(107)와, 송수신 안테나부(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처리부(101)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와,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1013)와, sTTI 제어부(10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105)는, 복호화부(1051)와, 복조부(1053)와, 다중 분리부(1055)와, 무선 수신부(1057)와, 채널 측정부(10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신부(107)는, 부호화부(1071)와, 변조부(1073)와, 다중부(1075)와, 무선 송신부(1077)와,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10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처리부(101)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생성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송신부(107)로 출력한다. 또한, 처리부(101)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 등의 처리를 행한다.
처리부(101)가 구비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자장치의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의 관리를 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상위층의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한다. 즉,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상향 링크의 각 채널에 배치되는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부(107)로 출력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를 설정부(1011)라고도 칭한다.
여기서, 처리부(101)가 구비하는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1013)는, 수신부(105)를 통해 수신한 DCI 포맷(스케줄링 정보, UL 그랜트)을 해석(분석)하고, 해당 DCI 포맷을 해석한 결과(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부(103)로 출력한다.
또한, 처리부(101)가 구비하는 sTTI 제어부(1015)는, 각종 설정 정보, 및 파라미터 등 SPS에 관련된 정보, 상황에 기초하여, TTI 송신/수신에 관련된 제어, sTTI 송신/수신에 관련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처리부(101)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03)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로 출력하여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수신부(105)는, 제어부(1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부(109)를 통해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처리부(101)로 출력한다.
또한, 무선 수신부(1057)는, 송수신 안테나부(109)를 통해 수신한 하향 링크의 신호를, 직교 복조에 의해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여(다운 컨버트: down covert),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여,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을 제어하고, 수신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직교 복조하고, 직교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수신부(1057)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CP(Cyclic Prefix)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CP를 제거한 신호에 대해서 고속 푸리로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행하고,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1055)는, 추출한 신호를 PHICH, PDCCH, sPDCCH, PDSCH, sPDSCH,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 각각 분리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1055)는, 채널 측정부(1059)로부터 입력된 전반로의 추정값으로부터, PHICH, PDCCH, sPDCCH, PDSCH, sPDSCH의 전반로의 보상을 행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1055)는, 분리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채널 측정부(1059)로 출력한다.
또한, 복조부(1053)는, PHICH에 대하여 대응하는 부호를 승산하여 합성하고, 합성한 신호에 대해서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의 복조를 행하고, 복호화부(1051)로 출력한다. 복호화부(1051)는, 자장치 앞으로의 PHICH를 복호하고, 복호한 HARQ 인디케이터를 처리부(101)로 출력한다. 복조부(1053)는, PDCCH 및/또는 sPDCCH에 대해서, QPSK 변조 방식의 복조를 행하고, 복호화부(1051)로 출력한다. 복호화부(1051)는, PDCCH 및/또는 sPDCCH의 복호를 시도하고, 복호에 성공한 경우, 복호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와 하향 링크 제어 정보가 대응하는 RNTI를 처리부(101)로 출력한다.
또한, 복조부(1053)는, PDSCH 및/또는 sPDSCH에 대해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등의 하향 링크 그랜트로 통지된 변조 방식의 복조를 행하여, 복호화부(1051)로 출력한다. 복호화부(1051)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통지된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호를 행하고, 복호한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처리부(101)로 출력한다.
또한, 채널 측정부(1059)는, 다중 분리부(1055)로부터 입력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부터 하향 링크의 패스 손실이나 채널의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한 패스 손실이나 채널의 상태를 처리부(101)로 출력한다. 또한, 채널 측정부(1059)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부터 하향 링크의 전반로의 추정값을 산출하고, 다중 분리부(1055)로 출력한다. 채널 측정부(1059)는, CQI(CSI여도 됨)의 산출을 위해서, 채널 측정, 및/또는 간섭 측정을 행한다.
또한, 송신부(107)는, 제어부(1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PUCCH, PUSCH 및 생성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하여, 송수신 안테나부(109)를 통해 기지국 장치(3)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부(107)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부호화부(1071)는,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컨볼루션 부호화, 블록 부호화 등의 부호화를 행한다. 또한, 부호화부(1071)는,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터보 부호화를 행한다.
또한, 변조부(1073)는, 부호화부(1071)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등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로 통지된 변조 방식, 또는 채널마다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변조부(1073)는,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공간 다중되는 데이터의 계열 수를 결정하고,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SM(Spatial Multiplexing)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PUSCH에서 송신되는 복수의 상향 링크 데이터를, 복수의 계열로 매핑하고, 이 계열에 대해서 프리코딩(precoding)을 행한다.
또한,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1079)는, 기지국 장치(3)를 식별하기 위한 물리 레이어 셀 식별자(physical layer cell identity: PCI, Cell ID 등이라고 칭함),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배치하는 대역폭, 상향 링크 그랜트에서 통지된 사이클릭 시프트, DMRS 시퀀스의 생성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 등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규칙(식)으로 구해지는 계열을 생성한다. 다중부(1075)는, 제어부(1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PUSCH의 변조 심볼을 병렬로 재배열하고 나서 이산 푸리로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한다. 또한, 다중부(1075)는, PUCCH와 PUSCH의 신호와 생성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다중한다. 즉, 다중부(1075)는, PUCCH와 PUSCH의 신호와 생성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또한, 무선 송신부(1077)는, 다중된 신호를 역고속 푸리로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여, SC-FDMA 심볼을 생성하고, 생성된 SC-FDMA 심볼에 CP를 부가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해서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반송파 주파수로 업 컨버트(up convert)하여, 전력 증폭하고, 송수신 안테나부(109)로 출력하여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기지국 장치(3)는, 처리부(301)와, 제어부(303)와, 수신부(305)와, 송신부(307)와, 송수신 안테나부(3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처리부(301)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와, 스케줄링부(3013)와, sTTI 제어부(30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305)는, 복호화부(3051)와, 복조부(3053)와, 다중 분리부(3055)와, 무선 수신부(3057)와, 채널 측정부(30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신부(307)는, 부호화부(3071)와, 변조부(3073)와, 다중부(3075)와, 무선 송신부(3077)와,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30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처리부(301)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처리부(301)는,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부(303)로 출력한다.
또한, 처리부(301)가 구비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는, 하향 링크의 PDSCH에 배치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시스템 인포메이션, RRC메시지, MAC CE(control Element) 등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위 노드로부터 취득하고, 송신부(307)로 출력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는, 단말 장치(1) 각각의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의 관리를 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는, 상위층의 신호를 통해 단말 장치(1)의 각각에 대해서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해도 된다. 즉,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통지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를 설정부(3011)라고도 칭한다.
또한, 처리부(301)가 구비하는 스케줄링부(3013)는,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 및 채널 측정부(3059)로부터 입력된 전반로의 추정값이나 채널의 품질 등으로부터, 물리 채널(PDSCH, sPDSCH 및 PUSCH)을 할당하는 주파수 및 서브프레임, 물리 채널(PDSCH, sPDSCH 및 PUSCH)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 및 송신 전력 등을 결정한다. 스케줄링부(3013)는,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제어 정보(예를 들어, DCI 포맷)를 생성하고, 제어부(303)로 출력한다. 스케줄링부(3013)는, 또한, 송신 처리 및 수신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한, 처리부(301)가 구비하는 sTTI 제어부(3015)는, 각종 설정 정보, 및 파라미터 등 SPS에 관련된 정보, 상황에 기초하여, SPS에 관련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303)는, 처리부(301)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03)는, 생성한 제어 신호를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로 출력하여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수신부(305)는, 제어부(3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부(309)를 통해 단말 장치(1)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처리부(301)로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3057)는, 송수신 안테나부(309)를 통해 수신된 상향 링크의 신호를, 직교 복조에 의해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고(다운 컨버트: down covert),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여,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을 제어하고, 수신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직교 복조하고, 직교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수신부(305)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무선 수신부(3057)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CP(Cyclic Prefix)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한다. 무선 수신부(3057)는, CP를 제거한 신호에 대해서 고속 푸리로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행하고,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해 다중 분리부(3055)로 출력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1055)는, 무선 수신부(3057)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PUCCH, PUSCH, 상향 링크 참조 신호 등의 신호로 분리한다. 또한, 이 분리는, 미리 기지국 장치(3)가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에서 결정하고, 각 단말 장치(1)에 통지한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무선 리소스의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또한, 다중 분리부(3055)는, 채널 측정부(3059)로부터 입력된 전반로의 추정값으로부터, PUCCH와 PUSCH의 전반로의 보상을 행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3055)는, 분리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채널 측정부(3059)로 출력한다.
또한, 복조부(3053)는, PUSCH를 역이산 푸리로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하고, 변조 심볼을 취득하고, PUCCH와 PUSCH의 변조 심볼 각각에 대해서,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 16QAM, 64QAM 등의 미리 정해지거나, 또는 자장치가 단말 장치(1) 각각으로 상향 링크 그랜트에서 미리 통지한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복조부(3053)는, 단말 장치(1) 각각으로 상향 링크 그랜트에서 미리 통지한 공간 다중되는 계열의 수와, 이 계열에 대해서 행하는 프리코딩을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MIMO SM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PUSCH에서 송신된 복수의 상향 링크 데이터의 변조 심볼을 분리한다.
또한, 복호화부(3051)는, 복조된 PUCCH와 PUSCH의 부호화 비트를,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식의, 미리 정해지거나, 또는 자장치가 단말 장치(1)로 상향 링크 그랜트에서 미리 통지한 부호화율로 복호를 행하고, 복호한 상향 링크 데이터와,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처리부(101)로 출력한다. PUSCH가 재송신인 경우에는, 복호화부(3051)는, 처리부(301)로부터 입력되는 HARQ 버퍼에 유지하고 있는 부호화 비트와, 복조된 부호화 비트를 사용해서 복호를 행한다. 채널 측정부(3059)는, 다중 분리부(3055)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로부터 전반로의 추정값, 채널의 품질 등을 측정하고, 다중 분리부(3055) 및 처리부(301)로 출력한다.
또한, 송신부(307)는, 제어부(3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처리부(301)로부터 입력된 HARQ 인디케이터,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하향 링크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PHICH, PDCCH, sPDCCH, PDSCH, sPDSCH,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하여, 송수신 안테나부(309)를 통해 단말 장치(1)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부호화부(3071)는, 처리부(301)로부터 입력된 HARQ 인디케이터,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블록 부호화, 컨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등의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부호화를 행하거나,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가 결정한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변조부(3073)는, 부호화부(3071)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등의 미리 정해지거나,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가 결정한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한다.
또한,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3079)는, 기지국 장치(3)를 식별하기 위한 물리 레이어 셀 식별자(PCI) 등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규칙에 의해 구해지는, 단말 장치(1)가 기지의 계열을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서 생성한다. 다중부(3075)는, 변조된 각 채널의 변조 심볼과 생성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한다. 즉, 다중부(3075)는, 변조된 각 채널의 변조 심볼과 생성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또한, 무선 송신부(3077)는, 다중된 변조 심볼 등을 역고속 푸리로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여, OFDM 심볼을 생성하고, 생성된 OFDM 심볼에 CP를 부가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반송파 주파수로 업 컨버트(up convert)하여, 전력 증폭하고, 송수신 안테나부(309)로 출력하여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 장치(1)는, sTTI의 길이를 나타내는 sTTI 패턴(sTTI length, sPDCCH length, sPDSCH length 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05)와,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에 따라서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sPDCCH)을 디코드하고,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에 따라서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sPDSCH)을 디코드하는 디코드부(복호화부(1051))를 구비하고,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은, sTTI 패턴(sTTI length, sPDCCH length, sPDSCH length 등)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된다.
여기서, 단말 장치(1)는,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sPDCCH)의 길이(sPDCCH length)에 따라서,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을 결정해도 된다.
또한,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sPDCCH)의 길이(sPDCCH length)는, sTTI 밴드 대역폭(sTTI bandwidth)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기지국 장치(3)는, sTTI의 길이를 나타내는 sTTI 패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307)를 구비하고, 송신부(307)는,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에 따라서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sPDCCH)을 단말 장치(1)에 디코드시키고,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에 따라서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sPDSCH)을 단말 장치(1)에 디코드시키기 위한,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을, sTTI 패턴 정보에 포함해서 송신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3)는,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sPDCCH)의 길이(sPDCCH length)에 따라서,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을 결정해도 된다.
또한,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sPDCCH)의 길이(sPDCCH length)는, sTTI 밴드 대역폭(sTTI bandwidth)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1)는, 하향 링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과거의 릴리스에 대응하는 단말 장치와의 공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결과로서, 하향 링크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하향 링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3)가 매핑하는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한 예는, 1개의 서브프레임 내의 2개의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RB) 페어를 나타내고 있다. 1개의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방향으로 12개의 서브캐리어와, 시간 방향으로 7 심볼의 OFDM 심볼로 구성된다. 1개의 OFDM 심볼 중, 각각의 서브캐리어를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라 칭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중, 시간 방향으로 전후 7개의 OFDM 심볼을 각각 슬롯이라 칭하고, 1개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연속하는 2개의 리소스 블록을 리소스 블록 페어라 칭한다.
여기서, 리소스 블록은,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기폭(시스템 대역폭)에 따라서, 그 수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6 내지 110개의 리소스 블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것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 Carrier Component)라고도 칭한다. 또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110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CRS는, 도면 중 검은색으로 표시한 리소스 엘리먼트로 매핑된다. 여기서, 도시한 예는, 1개의 안테나 포트(One antenna port)의 경우와 2개의 안테나 포트(Two antenna port)의 경우의 일례이지만, 그 수를 바꿀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개의 안테나 포트(Four antenna port)에 대한 CRS를 매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한 예는, 안테나 포트가 0인 경우와, 안테나 포트가 1인 경우의 일례이지만, CRS는, 최대 4개의 안테나 포트(안테나 포트 0 내지 3)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는, 도면 중 흰색으로 표시한 리소스 엘리먼트로 매핑된다. 또한, CSI-RS, DMRS 등이 매핑되어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3)가 매핑하는 신호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DMRS는, 도면 중 해칭으로 표시한 리소스 엘리먼트로 매핑된다. DMRS는, 부호 분할 다중(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의 단위에 따라서, 리소스 엘리먼트가 상이하게 매핑된다.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는, 도면 중 흰색으로 표시한 리소스 엘리먼트로 매핑된다. 또한, CSI-RS, CRS 등이 매핑되어도 된다.
안테나 포트는 7 내지 14로 규정된다. 안테나 포트는, 최대 레이어 수를 8로 하여, 레이어 수에 따라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어 수가 8인 경우, 안테나 포트 7 내지 14가 사용된다. 레이어 수가 8 미만인 경우, 안테나 포트 7 내지 14의 일부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레이어 수가 4인 경우, 안테나 포트 7 내지 10이 사용되고, 레이어 수가 1인 경우, 안테나 포트 7 또는 8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안테나 포트 번호가 7인 경우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sTTI length 판정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3)는, 서브프레임마다 sTTI 패턴을, sTTI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설정한다.
sTTI 패턴 정보는, PDCCH에서 송신되는 제1 DL 그랜트(non-UE specific DCI 및/또는 subframe specific DCI)에 포함되어도 된다. sTTI 패턴 정보는, 예를 들어 sTTI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 sPDC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 sTTI bandwidth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이 PDCCH에서 송신되는 제1 DL 그랜트에는, sPDCCH 및/또는 sPDSCH의 주파수 할당 정보나, 애그리게이션 레벨 등의 sPDCCH에 관한 정보나, C-RNTI 등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sTTI 패턴 정보에는, 단말 장치(1)(수신부(105)(복호화부(1051)))가 모니터(디코드)하는 sPDCCH 리소스(sPDCCH candidate)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sTTI 패턴 정보에는, sPDCCH 및/또는 sPDSCH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sPDCCH 및/또는 sPDSCH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는, 심볼 수 및 심볼의 스타트 위치에 의해 나타내도 되고, sPDCCH의 심볼 인덱스에 의해 나타내도 된다.
또한, sPDCCH 리소스는, 심볼의 수 및/또는 sPDCCH 대역폭에 의해 정의되어도 된다. 여기서, sPDCCH 대역폭은, 물리 리소스 블록수에 의해 표현되어도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sTTI 내의 sPDCCH와 sPDSCH의 다중 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의 경우에 있어서, sPDCCH의 길이(sPDCCH length)는, sTTI 밴드 대역폭(sTTI bandwidth)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의 (b) 및/또는 도 11의 (c)의 경우에 있어서, sTTIlength의 길이에 따라서 sPDCCH 대역폭이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1의 (b) 및/또는 도 11의 (c)의 경우에 있어서, sPDCCHlength의 길이에 따라서, sPDCCH 대역폭이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sTTI 및/또는 sPDCCH의 길이에 따라서, sPDCCH 대역폭이 기지국 장치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일례로서는, sTTI 및/또는 sPDCCH의 길이가 2 심볼인 경우, sPDCCH 대역폭은 제1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고, 게다가, sTTI 및/또는 sPDCCH의 길이가 7 심볼인 경우, sPDCCH 대역폭은 제2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sTTIlength 내의 sPDCCH와 sPDSCH의 주파수 다중 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즉, sTTI 및/또는 sPDCCH의 길이가 짧아지면, sPDCCH 대역폭이 커져도 된다. 즉, sTTI 및/또는 sPDCCH의 길이가 길어지면, sPDCCH 대역폭이 작아져도 된다. 즉, sPDCCH의 영역은 시간 영역에서의 정보만으로 특정되어도 된다. 즉, sPDCCH의 영역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정보만으로 특정되어도 된다. 즉, sPDCCH의 영역은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의 정보로 특정되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sTTI 패턴 정보를, MAC CE, RRC 파라미터(RRC 신호) 등에 의해, 단말 장치(1)에 통지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되는 sTTI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 및/또는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을,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이거나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 중 어느 것인지를 결정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되는 sTTI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 및/또는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을,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이거나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 중 어느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전환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임의의 sTTI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 및/또는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을,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sTTI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로서, sTTI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1 미만인 경우에는, sPDCCH의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sTTI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로서, sTTI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1 이상인지 미만인지에 따라서, sPDCCH 및/또는 sPDSCH의 트랜스미션 스킴의 각각 또는 양쪽이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인지 DMRS 트랜스미션 스킴인지를 결정해도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sPDCCH length 판정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임의의 sPDC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을,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sPDC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로서, sPDC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2 미만인 경우에는, sPDCCH의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sPDC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로서, PDC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2 이상인 경우에는, sPDCCH의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해도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sPDSCH length 판정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임의의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을,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이며,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3 미만인 경우에는, sPDSCH의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로서,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3 이상인 경우에는, sPDSCH의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해도 된다.
여기서,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는, sTTI 패턴 정보에 포함되어도 되고, sPDCCH에 송신되는 제2 DL 그랜트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sTTI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sPDSCH length의 정보는, sPDCCH에 포함되는 sPDSCH length의 정보로 전환되어도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 스킴 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1000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PDCCH에서 송신되는 제1 DL 그랜트(non-UE specific DCI 및/또는 subframe specific DCI)에 포함되는 sTTI 패턴 정보가 통지되면, sTTI 모드로서, 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 및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의 각각이,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인지 DMRS 트랜스미션 스킴인지를 결정하는 처리를 개시해도 된다.
스텝 S1001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sTTI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로서, sTTI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1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02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sTTI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1 이상인 경우(스텝 S1001; 예),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sPDC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로서, sPDC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2 이상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스텝 S1003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sPDC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로서, sPDC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2 이상인 경우(스텝 S1002; 예), 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한다.
스텝 S1004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 및/또는 제2 DL 그랜트에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로서,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3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05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3 이상인 경우(스텝 S1004; 예),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한다.
스텝 S1006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3 미만인 경우(스텝 S1004; 아니오),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한다.
스텝 S1007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에 sPDC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로서, sPDC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2 미만인 경우(스텝 S1002; 아니오), 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한다.
스텝 S1008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 및/또는 제2 DL 그랜트에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로서,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3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09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3 이상인 경우(스텝 S1008; 예),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한다.
스텝 S1010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3 미만인 경우(스텝 S1008; 아니오),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한다.
스텝 S1011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sTTI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1 미만인 경우(스텝 S1001; 아니오), 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한다.
스텝 S1012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통지된 sTTI 패턴 정보 및/또는 제2 DL 그랜트에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로서,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3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13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3 이상인 경우(스텝 S1012; 예),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DM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한다.
스텝 S1014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sPDSCH length를 나타내는 정보가 임의의 값 K3 미만인 경우(스텝 S1012; 아니오),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으로서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으로 결정하여 해당 CRS-based 트랜스미션 스킴을 사용한다.
또한, 각 임의의 값 K1, K2, K3은, 동일한 값이어도 되고, 상이한 값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랜스미션 스킴 결정 처리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가 상위층 파라미터에 의해 기초하는 것이어도 되고,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가 상위층 파라미터에 의해 기초하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를 조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는, sTTI의 길이를 나타내는 sTTI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05)와,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에 따라서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디코드하고,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에 따라서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디코드하는 디코드부(복호화부(1051))를 구비하고,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은, sTTI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된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1)는, 하향 링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과거의 릴리스에 대응하는 단말 장치와의 공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결과로서, 하향 링크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하향 링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위층의 파라미터에 의해 트랜스미션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Transmission Mode(TM) information)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장치(3)는,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로서, 공통 설정 정보(Common configuration) 혹은 개별 설정 정보(Independent configuration)를 송신해도 된다.
공통 설정 정보는, PDSCH와 sPDSCH에 대해서 공통으로 설정되는 설정 정보이다. 공통 설정 정보는, 트랜스미션 모드 통지 정보(antennainfodedicated나 antennainfodedicated-r10)와 공용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RRC 시그널링에 의해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로서 공통 설정 정보가 송신(통지, 지시)되면, 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TTI 모드(TTI mode(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sTTI 모드(sTTI mode(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 중 어느 것인지에 관계없이, 해당 공통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TTI 모드와 sTTI 모드에서 동일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공통 설정 정보로서 트랜스미션 모드로서 TM3이 송신(통지, 지시)되면, TTI 모드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TM3이라 결정하고, sTTI 모드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TM3이라 결정한다.
개별 설정 정보는, PDSCH와 sPDSCH의 각각에 대해서 개별(유연, 독립)로 설정되는 설정 정보이다. 개별 설정 정보는, TTI 모드에 대한 파라미터와, sTTI 모드에 대한 파라미터와 같이, 각각에 대한 복수의 파라미터여도 된다. 또한, 개별 설정 정보는, TTI 모드에 대한 파라미터와, sTTI 모드에 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1개의 파라미터여도 된다. sTTI 모드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에 사용되는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개별 설정 정보로서, sPDCCH에서 송신되는 DCI의 DCI 포맷(TM independent DCI format, TM-dependent DCI format 등)에 의해 설정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공통 설정 정보나 개별 설정 정보 등의 복수 종류의 설정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TTI 모드(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sTTI 모드(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PDCCH에서 송신되는 DCI의 DCI 포맷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의 DCI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의 DCI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의 DCI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에 의해 송신되는 트랜스미션 모드가 복수의 트랜스미션 모드 중 어느 것인지에 따라서, 모니터할 PDCCH의 DCI 포맷이 어느 것인지, PDSCH 및/또는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이 어느 것인지를 결정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 모드에 의해, 모니터하는 PDCCH의 DCI 포맷 및 PDSCH의 트랜스미션 스킴을 결정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 모드에 의해, 모니터하는 sPDCCH의 DCI 포맷 및 sPDSCH의 트랜스미션 스킴이 어느 것인지를 결정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 모드에 의해, 모니터하는 sPDCCH의 DCI 포맷, 및 sPDSCH의 트랜스미션 스킴이 어느 것인지를 결정해도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PDSCH 트랜스미션 모드와 sPDSCH 트랜스미션 모드를 공통으로 설정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한 예는,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로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에 대해서 PDSCH 및 sPDSCH에 대한 공통 설정 정보가 송신되었을 때의 일례이다.
스텝 S400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PDSCH 및 sPDSCH의 각각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트랜스미션 모드 TM3으로 하는 공통 설정 정보를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로서,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
스텝 S40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sTTI 패턴 정보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sTTI 패턴 정보를 수신한 단말 장치(1)는, sTTI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즉, sTTI 패턴 정보를 수신한 단말 장치(1)는, 암시적으로 sTTI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는, 스텝 S40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새로운 파라미터로서 s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sTTI Mode indicator)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s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단말 장치(1)는, sTTI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즉, s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에 의해 단말 장치(1)는, 명시적으로 sTTI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sTTI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sTTI 모드를 설정한다.
스텝 S406에 있어서, sTTI 모드가 설정된 단말 장치(1)는, 스텝 S400과 스텝 S401에 있어서 수신한 RRC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PDSCH의 트랜스미션 모드와, PDCCH의 트랜스미션 모드와, sPDSCH의 트랜스미션 모드와, sPDCCH의 트랜스미션 모드와, 모니터하는 DCI 포맷의 종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는, 트랜스미션 모드 TM3(Mode3)이며, 모니터하는 PDCCH의 DCI 포맷은, 트랜스미션 모드 TM3에 대응하는 DCI format 1A/2A(도 13 참조)여도 된다. 또한, s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는, 트랜스미션 모드 TM3(Mode 3)이며, 모니터하는 sPDCCH의 DCI 포맷은, 트랜스미션 모드 TM3에 대응하는 DCI format X1/X3(도 14 참조)이어도 된다.
스텝 S403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해서, sPDSCH에 대응하는 PDCCH 및/또는 sPDCCH의 송신, 및 sPDSCH의 송신을, 트랜스미션 모드 TM3으로 송신해도 된다.
스텝 S404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해서, PDSCH에 대응하는 PDCCH 및 PDSCH의 송신을, 트랜스미션 모드 TM3으로 송신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TTI Mode Indicator를 RRC 시그널링으로 통지될 때까지, PDCCH의 DCI 포맷(DCI format 1A/2A)을 모니터하고, sPDCCH의 DCI 포맷(DCI format X1/X3)을 모니터해도 된다.
또한, 스텝 S40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가 단말 장치(1)에 대해서 sTTI 패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서브프레임마다 sTTI 밴드 대역폭 및/또는 sTTI 패턴 정보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1)는, TTI 모드여도 된다.
스텝 S405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새로운 파라미터로서 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TTI Mode indicator)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가 서브프레임마다 sTTI 밴드 대역폭, 및/또는 sTTI 패턴 정보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말 장치(1)는, TTI 모드여도 된다.
스텝 S407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TTI 모드(PDCCH 및/또는 PDSCH를 송수신 가능한 모드)를 설정한다.
스텝 S409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PDCCH의 DCI 포맷(DCI format 1A/2A)의 모니터를 개시해도 된다.
스텝 S408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스텝 S405에 있어서, TTI 모드를 설정한 단말 장치(1)에 대해서,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 모드 TM3에 대응하는 PDCCH 송신 및 PDSCH 송신해도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sPDSCH 트랜스미션 모드와 PDSCH 트랜스미션 모드를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도시한 예는,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로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에 대해서 PDSCH 및 sPDSCH의 각각에 대한 개별 설정 정보가 송신되었을 때의 일례이다.
스텝 S500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로서 개별 설정 정보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트랜스미션 모드 TM4(Mode 4),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트랜스미션 모드 TM2(Mode 2)로 하는 개별 설정 정보를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로서,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
스텝 S50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sTTI 패턴 정보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sTTI 패턴 정보를 수신한 단말 장치(1)는, sTTI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즉, sTTI 패턴 정보를 수신한 단말 장치(1)는, 암시적으로 sTTI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는, 스텝 S50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새로운 파라미터로서 s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sTTI Mode indicator)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s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단말 장치(1)는, sTTI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즉, s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에 의해 단말 장치(1)는, 명시적으로 sTTI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스텝 S502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s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sTTI 모드를 설정한다.
스텝 S506에 있어서, sTTI 모드가 설정된 단말 장치(1)는, 스텝 S500과 스텝 S501에 있어서 수신한 RRC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PDSCH의 트랜스미션 모드와, PDCCH의 트랜스미션 모드와, sPDSCH의 트랜스미션 모드와, sPDCCH의 트랜스미션 모드와, 모니터하는 DCI 포맷의 종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는, 트랜스미션 모드 TM4(Mode 4)이며, 모니터하는 PDCCH의 DCI 포맷은, 트랜스미션 모드 TM4에 대응하는 DCI format 1A/2(도 13 참조)여도 된다. 또한,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는, 트랜스미션 모드 TM2(Mode 2)이며, 모니터하는 sPDCCH의 DCI 포맷은, 트랜스미션 모드 TM2에 대응하는 DCI format X1/X2(도 14 참조)여도 된다.
스텝 S503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해서, sPDSCH에 대응하는 PDCCH 및/또는 sPDCCH의 송신, 및 sPDSCH의 송신을, 트랜스미션 모드 TM2로 송신해도 된다.
스텝 S504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해서, PDSCH에 대응하는 PDCCH 및 PDSCH의 송신을, 트랜스미션 모드 TM4로 송신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TTI Mode Indicator를 RRC 시그널링으로 통지될 때까지, PDCCH의 DCI 포맷(DCI format 1A/2)을 모니터하고, sPDCCH의 DCI 포맷(DCI format X1/X2)을 모니터해도 된다.
또한, 스텝 S50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가 단말 장치(1)에 대해서 sTTI 패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서브프레임마다 sTTI 밴드 대역폭 및/또는 sTTI 패턴 정보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1)는, TTI 모드여도 된다.
스텝 S505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새로운 파라미터로서 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TTI Mode indicator)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스텝 S507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TTI 모드(PDCCH 및/또는 PDSCH를 송수신 가능한 모드)를 설정한다.
스텝 S509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PDCCH의 DCI 포맷(DCI format 1A/2)의 모니터를 개시해도 된다.
스텝 S508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스텝 S505에 있어서 TTI 모드를 설정한 단말 장치(1)에 대해서,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 모드 TM4에 대응하는 PDCCH 송신 및 PDSCH 송신을 행해도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sPDSCH 트랜스미션 모드와 PDSCH 트랜스미션 모드를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경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에 도시한 예는,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로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에 대해서 PDSCH 및 sPDSCH의 각각에 대한 개별 설정 정보가 송신되었을 때의 일례이다.
스텝 S600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트랜스미션 모드 TM4,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트랜스미션 모드 TMZ1로 하는 개별 설정 정보를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로서,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
스텝 S60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sTTI 패턴 정보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sTTI 패턴 정보를 수신한 단말 장치(1)는, sTTI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즉, sTTI 패턴 정보를 수신한 단말 장치(1)는, 암시적으로 sTTI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는, 스텝 S60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새로운 파라미터로서 s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sTTI Mode indicator)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s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단말 장치(1)는, sTTI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즉, s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에 의해 단말 장치(1)는, 명시적으로 sTTI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스텝 S602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sTTI 모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sTTI 모드를 설정한다.
스텝 S606에 있어서, sTTI 모드가 설정된 단말 장치(1)는, 스텝 S600과 스텝 S601에 있어서 수신한 RRC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PDSCH의 트랜스미션 모드와 PDC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sPDSCH의 트랜스미션 모드와, sPDCCH의 트랜스미션 모드와, 모니터하는 DCI 포맷의 종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는, 트랜스미션 모드 TM4(Mode 4)이며, 모니터하는 PDCCH의 DCI 포맷은, 트랜스미션 모드 TM4에 대응하는 DCI format 1A/2(도 13 참조)여도 된다. 또한, sPDSCH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는, 트랜스미션 모드 TMZ1(Mode Z1)이며, 모니터하는 sPDCCH의 DCI 포맷은, 트랜스미션 모드 TMZ1에 대응하는 DCI format S1/S2(도 15)여도 된다.
스텝 S603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해서, sPDSCH에 대응하는 PDCCH 송신 및/또는 sPDCCH 송신 및 sPDSCH 송신을 트랜스미션 모드 TMZ1로 송신해도 된다.
스텝 S604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해서, PDSCH에 대응하는 PDCCH 및 PDSCH의 송신을, 트랜스미션 모드 TM4로 송신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TTI Mode Indicator를 RRC 시그널링으로 통지될 때까지, PDCCH의 DCI 포맷(DCI format 1A/2)을 모니터하고, sPDCCH의 DCI 포맷(DCI format S1/S2)을 모니터해도 된다.
또한, 스텝 S60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가 단말 장치(1)에 대해서 sTTI 패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서브프레임마다 sTTI 밴드 대역폭 및/또는 sTTI 패턴 정보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1)는, TTI 모드여도 된다.
스텝 S605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새로운 파라미터로서 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TTI Mode indicator)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가 서브프레임마다 sTTI 밴드 대역폭, 및/또는 sTTI 패턴 정보로 설정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1)는, TTI 모드여도 된다.
스텝 S607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TTI 모드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TTI 모드(PDCCH 및/또는 PDSCH를 송수신 가능한 모드)로 설정한다.
스텝 S609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PDCCH의 DCI 포맷(DCI format 1A/2)의 모니터를 개시해도 된다.
스텝 S608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는, 스텝 S605에 있어서 TTI 모드를 설정한 단말 장치(1)에 대해서,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 모드 TM4에 대응하는 PDCCH 송신 및 PDSCH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는,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처리부(101))와,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105)를 구비하고,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낸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에 있어서,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에 기초하여, 모니터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 송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가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에 있어서,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에는,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제1 파라미터는,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고, 제2 파라미터는,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에 있어서,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1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1개의 파라미터는,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 공통 정보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3)에 있어서, 단말 장치(1)에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처리부(301))와,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부(307)를 구비하고,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1)는, 하향 링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과거의 릴리스에 대응하는 단말 장치와의 공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결과로서, 하향 링크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하향 링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방법과는 상이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한 예는,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방법을 나타내고,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해서, 1개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소정의 셀의 주파수, 소정의 셀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소정의 시간에 PDCCH(200)에서의 송신과 PDSCH(201)에서의 송신을 행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PDSCH(201)에서의 송신되는 소정의 셀의 주파수, 소정의 셀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소정의 시간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1개 또는 복수의 sPDCCH에서의 송신과 1개 또는 복수의 sPDSCH에서의 송신을 행해도 된다.
여기서, 1개의 서브프레임은, 소정의 송신 시간 간격(TTI)을 사용해서 송신되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PDSCH에서의 송신이 행해지는 소정의 셀의 주파수, 소정의 셀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소정의 시간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의 1개의 sPDCCH에서의 송신과 1개의 sPDSCH에서의 송신을, 소정의 쇼트 송신 시간 간격(sTTI)을 사용해서 송신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는, sPDCCH에서의 송신이 sTTI를 사용해서 송신되어도 되고, sPDSCH에서의 송신이 sTTI를 사용해서 송신되어도 된다. 여기서, TTI, sTTI를 길이로 나타낼 때에는, TTI length, sTTI length라고 칭한다. TTI length, sTTI length 각각은, 심볼 수로 정의되어도 되고, 시간의 길이로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sTTI length(217) 중, sPDCCH length(211)의 sPDCCH(203)를 송신하고, sPDSCH length(212)의 sPDSCH(204)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sTTI length(218) 중, sPDCCH length(213)의 sPDCCH(205)를 송신하고, sPDSCH length(214)의 sPDSCH(206)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sTTI length(219) 중, sPDCCH length(215)의 sPDCCH(207)를 송신하고, sPDSCH length(216)의 sPDSCH(208)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는, PDCCH(200)에 sPDCCH에서의 송신이 포함되도록 송신하고, sPDSCH length(210)의 sPDSCH(202)를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sPDCCH(203, 205, 207)의 각각은, 동일한 sPDCCH length여도 되고, 다른 sPDCCH length여도 된다. 또한, sPDSCH(202, 204, 206, 208)의 각각은, 동일한 sPDSCH length여도 되고, 다른 sPDSCH length여도 된다. 또한, sTTI length(217, 218, 219)의 각각은, 동일한 sTTI length여도 되고, 다른 sTTI length여도 된다.
또한, 각각의 sTTI length(217, 218, 219)를 사용해서 송신되는 sPDCCH(203, 205, 207) 및 sPDSCH(202, 204, 206, 208)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sTTI bandwidth(209))을 사용해도 되고, sTTI length(217, 218, 219)의 각각에 있어서 상이한 주파수 대역폭(sTTI bandwidth)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는, PDCCH(200)에 있어서, PDSCH(201)에서의 송신에 있어서의 sPDCCH(203, 205, 207) 및/또는 sPDSCH(202, 204, 206, 208)에 대한 sPDCCH, sPDSCH의 주파수 할당 정보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레벨 등의 sPDCCH에 관한 정보를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해서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3), 및 단말 장치(1)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그리고, 이들 장치에서 취급되는 정보는, 그 처리 시에 일시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에 축적되고, 그 후, Flash ROM(Read Only Memory) 등의 각종 ROM이나 HDD(Hard Disk Drive)에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CPU에 의해 판독하고, 수정·기입이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 장치(1), 기지국 장치(3)의 일부를 컴퓨터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이 제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고,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은, 단말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3)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OS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가반형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선과 같이, 단시간에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 그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로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의 기지국 장치(3)는,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는 집합체(장치 그룹)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장치 그룹을 구성하는 장치의 각각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3)의 각 기능 또는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해도 된다. 장치 그룹으로서, 기지국 장치(3)의 필요한 각 기능 또는 각 기능 블록을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는, 집합체로서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의 기지국 장치(3)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의 기지국 장치(3)는, eNodeB에 대한 상위 노드의 기능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 장치(1), 기지국 장치(3)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해도 되고, 칩세트로서 실현해도 된다. 단말 장치(1), 기지국 장치(3)의 각 기능 블록은 개별로 칩화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를 집적하여 칩화해도 된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방법은 LSI로 한정되지 않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한 경우, 당해 기술에 의한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의 일례로서 단말 장치(1)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의 전자기기, 예를 들어 AV기기, 주방기기, 청소·세탁기기, 공조기기, 사무기기, 자동판매기, 기타 생활기기 등의 단말 장치 혹은 통신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부기 1)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단말 장치.
(부기 2)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에 기초하여, 모니터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 송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가 결정되는, (부기 1)에 기재된 단말 장치.
(부기 3)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에는,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부기 1)에 기재된 단말 장치.
(부기 4)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1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1개의 파라미터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 공통 정보를 나타내는, (부기 1)에 기재된 단말 장치.
(부기 5) 단말 장치에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기지국 장치.
(부기 6)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에 기초하여, 모니터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 송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가 결정되는, (부기 5)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
(부기 7)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에는,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부기 5)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
(부기 8)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1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1개의 파라미터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 공통 정보를 나타내는, (부기 5)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
(부기 9)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 과정과,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 과정을 갖고,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방법.
(부기 10)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에 기초하여, 모니터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 송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가 결정되는, (부기 9)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11)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에는,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부기 9)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12)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1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1개의 파라미터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 공통 정보를 나타내는, (부기 9)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13) 기지국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에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 과정과,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 과정을 갖고,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방법.
(부기 14)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에 기초하여, 모니터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 송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가 결정되는, (부기 13)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15)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에는,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부기 13)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16)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1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1개의 파라미터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 공통 정보를 나타내는, (부기 13)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17) 단말 장치에 탑재되는 집적 회로로서,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 기능과,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집적 회로이며,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집적 회로.
(부기 18)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에 기초하여, 모니터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 송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가 결정되는, (부기 17)에 기재된 집적 회로.
(부기 19)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에는,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부기 17)에 기재된 집적 회로.
(부기 20)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1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1개의 파라미터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 공통 정보를 나타내는, (부기 17)에 기재된 집적 회로.
(부기 21) 기지국 장치에 탑재되는 집적 회로로서, 단말 장치에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상위층 처리 기능과,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집적 회로이며,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와,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집적 회로.
(부기 22)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에 기초하여, 모니터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스킴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 송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가 결정되는, (부기 21)에 기재된 집적 회로.
(부기 23)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에는,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부기 21)에 기재된 집적 회로.
(부기 24) 상기 트랜스미션 모드 정보는, 1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1개의 파라미터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과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트랜스미션 모드 공통 정보를 나타내는, (부기 21)에 기재된 집적 회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 통신기기(예를 들어, 휴대 전화 장치, 기지국 장치, 무선 LAN 장치, 혹은 센서 디바이스), 집적 회로(예를 들어, 통신 칩), 또는 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1, 1A, 1B, 1C: 단말 장치
3: 기지국 장치
101: 처리부
1011: 무선 리소스 제어부
1013: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
1015: sTTI 제어부
103: 제어부
105: 수신부
1051: 복호화부
1053: 복조부
1055: 다중 분리부
1057: 무선 수신부
1059: 채널 측정부
107: 송신부
1071: 부호화부
1073: 변조부
1075: 다중부
1077: 무선 송신부
1079: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109: 송수신 안테나부
301: 처리부
3011: 무선 리소스 제어부
3013: 스케줄링부
3015: sTTI 제어부
303: 제어부
305: 수신부
3051: 복호화부
3053: 복조부
3055: 다중 분리부
3057: 무선 수신부
3059: 채널 측정부
307: 송신부
3071: 부호화부
3073: 변조부
3075: 다중부
3077: 무선 송신부
3079: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309: 송수신 안테나부

Claims (12)

  1.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로서,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제1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제1 파라미터와,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제2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제2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트랜스미션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갖는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복호를 시도하는 복호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복호부는, 제3 파라미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갖는,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복호를 시도하고,
    상기 복호부는, 상기 제3 파라미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복호를 시도하지 않고,
    상기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는,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 후보의 세트이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적어도 sTTI(shorten Transmission Timing Interval)의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수신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3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sTTI에 맵되고,
    상기 sTTI의 길이는, 2 또는 7개의 OFDM 심볼인, 단말 장치.
  3.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제1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제1 파라미터와,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제2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제2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와,
    상기 제1 트랜스미션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갖는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제3 파라미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갖는,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3 파라미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지 않고,
    상기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는,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 후보의 세트이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적어도 sTTI(shorten Transmission Timing Interval)의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송신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3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sTTI에 맵되고,
    상기 sTTI의 길이는, 2 또는 7개의 OFDM 심볼인, 기지국 장치.
  5.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제1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제1 파라미터와,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제2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제2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트랜스미션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갖는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복호를 시도하는 스텝과,
    제3 파라미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갖는,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복호를 시도하고, 상기 제3 파라미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복호를 시도하지 않는 스텝
    을 갖고,
    상기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는,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 후보의 세트이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적어도 sTTI(shorten Transmission Timing Interval)의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통신 방법.
  6.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제1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제1 파라미터와, 쇼트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대한 제2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내는 제2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제1 트랜스미션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갖는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스텝과,
    제3 파라미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2 트랜스미션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갖는,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상기 제3 파라미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지 않는 스텝
    을 갖고,
    상기 유저 장치 스페시픽 서치 스페이스는, 쇼트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 후보의 세트이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적어도 sTTI(shorten Transmission Timing Interval)의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통신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7032463A 2016-05-12 2017-04-28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453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6500 2016-05-12
JP2016096500 2016-05-12
PCT/JP2017/016932 WO2017195659A1 (ja) 2016-05-12 2017-04-28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424A KR20190007424A (ko) 2019-01-22
KR102453741B1 true KR102453741B1 (ko) 2022-10-11

Family

ID=6026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463A KR102453741B1 (ko) 2016-05-12 2017-04-28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31292B2 (ko)
EP (1) EP3457806B1 (ko)
KR (1) KR102453741B1 (ko)
CN (1) CN109076615B (ko)
BR (1) BR112018072880A8 (ko)
CA (1) CA3023493A1 (ko)
WO (1) WO20171956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5614A (zh) * 2016-07-28 2021-08-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0897753B2 (en) * 2017-05-04 2021-01-19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multiple allocations in UL/DL grant for a 5G NR UE and gNB
EP3930402B1 (en) * 2017-05-05 2023-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236226A3 (en) * 2017-09-14 2023-09-13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51528A (zh) * 2008-08-11 2010-02-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链路传输方法及其系统
KR101866577B1 (ko) * 2010-01-11 201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에서 낮은 레이턴시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JP6191997B2 (ja) * 2012-03-06 2017-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5037885A1 (ko) * 2013-09-16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다중 포인트 협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20170251465A1 (en) * 2015-03-09 2017-08-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ducing reference signals when communicating multiple sub-subframes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wireless terminal
KR102316775B1 (ko) 2015-04-02 2021-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시간구간 감소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313168B2 (en) * 2015-12-11 2019-06-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channel,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nlink channel
US11129152B2 (en) * 2016-02-04 2021-09-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link control information,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link control information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36.213 v13.1.1,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Ericsson, R1-163323, Definition of DCI bit fields for short TTI, 3GPP TSG RAN WG1 #84bis, 3GPP 서버공개일(2016.04.01.) 1부.*
Huawei et al., R1-162588, DCI design for short TTI, 3GPP TSG RAN WG1 #84bis, 3GPP 서버공개일(2016.04.01.) 1부.*
Huawei et al., R1-162589, Discussion on CSI feedback for short TTI, 3GPP TSG RAN WG1 #84bis, 3GPP 서버공개일(2016.04.01.) 1부.*
Nokia et al., R1-163267, On design of DL control channel for shorter TTI operation, 3GPP TSG RAN WG1 #84bis, 3GPP 서버공개일(2016.04.0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72880A8 (pt) 2022-06-28
KR20190007424A (ko) 2019-01-22
EP3457806A1 (en) 2019-03-20
EP3457806A4 (en) 2020-01-15
WO2017195659A1 (ja) 2017-11-16
CA3023493A1 (en) 2017-11-16
EP3457806B1 (en) 2023-03-29
US20190223176A1 (en) 2019-07-18
CN109076615B (zh) 2021-07-20
CN109076615A (zh) 2018-12-21
BR112018072880A2 (pt) 2019-03-06
US10631292B2 (en)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6614B2 (ja)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616355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287850B2 (ja) 端末装置、集積回路、無線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JP616224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2351999B1 (ko)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N109845366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RU2741320C2 (ru)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способ связи и интегральная схема
WO2017006877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7011582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521863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集積回路、および、通信方法
WO2017006873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102453741B1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WO2017006882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EP3021631B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098035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5070342A (ja) 基地局、端末、および通信方法
EP3021629B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s
JP2018137496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6125584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集積回路、および、通信方法
JP2018137492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