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610B1 -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가상 연계 디바이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가상 연계 디바이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610B1
KR102453610B1 KR1020200187839A KR20200187839A KR102453610B1 KR 102453610 B1 KR102453610 B1 KR 102453610B1 KR 1020200187839 A KR1020200187839 A KR 1020200187839A KR 20200187839 A KR20200187839 A KR 20200187839A KR 102453610 B1 KR102453610 B1 KR 10245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response
information
obtaining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5875A (ko
Inventor
김민지
김도연
김용식
김정환
김진호
손경배
신민성
한강희
홍희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20018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610B1/ko
Priority to US17/557,697 priority patent/US11693750B2/en
Priority to JP2021208715A priority patent/JP2022104888A/ja
Priority to DE102021214898.0A priority patent/DE102021214898A1/de
Publication of KR2022009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66Error or fault reporting or storing
    • G06F11/0772Means for error signaling, e.g. using interrupts, exception flags, dedicated error regis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73Tes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9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by remote te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6Functional testing
    • G06F11/263Generation of test inputs, e.g. test vectors, patterns or sequences ; with adaptation of the tested hardware for testability with external tes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6Functional testing
    • G06F11/273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G06F11/2733Test interface between tester and unit under te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06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distributed, e.g. networked systems, clusters, multiprocess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상 연계 디바이스가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존 디바이스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 간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디바이스에서 제공되었던 제 1 요청 및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던 제 1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되는 제 2 요청을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응답과 상기 제 2 응답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가상 연계 디바이스 및 시스템{METHOD, VIRTUAL CONNECTION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TEST DATA}
본 개시는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가상 연계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 거래 환경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활용하여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아웃바운드(outbound) 거래에 대한 테스트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가상 연계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시스템을 개발하는 경우, 개발한 시스템에 대하여 결함 또는 장애가 없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검증 절차를 수행한다.
하지만, 종래의 개발 시스템 검증 기술에서는, 개발자 또는 설계자가 임의의 가상 데이터 또는 소량의 실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검증 케이스를 생성함으로써, 제한된 검증을 수행하거나, 대량의 실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업무별 전환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통합 검증 수행 시, 상호 검증을 위해 다수의 관리자가 모여 수작업으로 검증을 수행하는 바, 검증을 통해 개발 시스템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수 밖에 없으며, 동시에 검증 수행 가능한 인력도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아웃바운드 테스트의 경우 기존에는 기관 시스템의 내부 업무 처리 방법을 알지 못하여 모든 요청에 동일한 응답을 주거나, 요청 내용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작성하여 응답을 생성하는 별도의 테스트 환경을 구축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테스트 케이스 별로 개발자 또는 테스터가 작성한 테스트 시나리오에 따라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함에 따라, 운영 전에 발견되지 못한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는 검증이 불가능하고, 실제 운영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우의 요청을 테스트할 수 없다는 제약 사항이 있다. 이러한 제약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연계 기관의 시스템과 직접 테스트 연동을 계획하는 경우, 테스트 메시지 전문 정의 및 테스트 일정 협의 등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거래 전반에 있어서, 실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방대한 케이스에 대한 사전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발 시스템 검증 기술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 거래 환경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활용하여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아웃바운드(outbound) 거래에 대한 테스트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가상 연계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가상 연계 디바이스가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기존 디바이스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 간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디바이스에서 제공되었던 제 1 요청 및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던 제 1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되는 제 2 요청을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응답과 상기 제 2 응답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요청은 기설정 형식에 따라 나열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전문을 포함하는, 방법.
또한, 상기 제 2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요청으로부터 상기 가상 연계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IP 정보 및 포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 2 요청이 나타내는 업무 필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 2 요청을 나타내는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IP 정보, 상기 포트 정보, 상기 업무 필드 및 상기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요청은 과거의 기설정 기간 동안 상기 기존 디바이스에서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로 전송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응답이 나타내는 복수개의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응답이 나타내는 복수개의 제 2 결과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결과값 중 상이한 결과값의 종류 및 오차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테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 1 결과값을 카테고라이징하는 단계; 상기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결과값을 카테고리별로 비교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별로 결정되는 중요도 가중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중요도 가중치 및 상기 카테고리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요도 가중치는 상기 제 2 결과값에서 나타나는 상기 카테고리별 발생 빈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별로 상이하게 결정되는 중요도 가중치 및 상기 카테고리별로 산출되는 상기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결과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테스트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점수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테스트에 중대 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테스트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로부터 상기 제 1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요청으로부터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IP 정보 및 포트 정보, 상기 제 1 요청이 나타내는 업무 필드 및 상기 제 1 요청을 나타내는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IP 정보, 상기 포트 정보, 상기 업무 필드 및 상기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매칭키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로부터 상기 제 1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키는 상기 IP 정보, 상기 포트 정보, 상기 업무 필드 및 상기 고유 정보를 병합하는 연산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는 기존 디바이스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와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디바이스에서 제공되었던 제 1 요청 및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던 제 1 응답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되는 제 2 요청을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응답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응답과 상기 제 2 응답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요청은 기설정 형식에 따라 나열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전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요청으로부터 상기 가상 연계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IP 정보 및 포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 2 요청이 나타내는 업무 필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 2 요청을 나타내는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IP 정보, 상기 포트 정보, 상기 업무 필드 및 상기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요청은 과거의 기설정 기간 동안 상기 기존 디바이스에서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로 전송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응답이 나타내는 복수개의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응답이 나타내는 복수개의 제 2 결과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결과값 중 상이한 결과값의 종류 및 오차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테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 1 결과값을 카테고라이징하고, 상기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결과값을 카테고리별로 비교하고, 상기 카테고리별로 결정되는 중요도 가중치를 획득하고, 상기 중요도 가중치 및 상기 카테고리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요도 가중치는 상기 제 2 결과값에서 나타나는 상기 카테고리별 발생 빈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로부터 상기 제 1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요청으로부터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IP 정보 및 포트 정보, 상기 제 1 요청이 나타내는 업무 필드 및 상기 제 1 요청을 나타내는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IP 정보, 상기 포트 정보, 상기 업무 필드 및 상기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매칭키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로부터 상기 제 1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키는 상기 IP 정보, 상기 포트 정보, 상기 업무 필드 및 상기 고유 정보를 병합하는 연산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에 따른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기존 디바이스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 간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디바이스에서 제공되었던 제 1 요청 및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던 제 1 응답을 획득하는 신규 디바이스; 및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되는 제 2 요청을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응답을 획득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연계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응답과 상기 제 2 응답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4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제 5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 거래 환경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활용하여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아웃바운드(outbound) 거래에 대한 테스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간 또는 메시지 유형에 관계없이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어 테스트 과정에서 요구되는 연계 기관 시스템과 일정 조율에 대한 부담, 비용 및 시간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인 효과가 있으며, 아웃바운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자동화할 수 있어 자동화 테스트 대상이 되는 업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실 거래 메시지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함에 따라, 실제 사용자에게 테스트 정보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해당 업무 기능을 미리 개통해보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테스트 이후 업무 지식이 없는 사람도 종래 서버에서 발생한 메시지가 현재 서버에서 동일하게 처리되었는지 미처리 상태로 남아있는지, 추가적으로 발생한 거래는 없는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테스트 결과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연계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연계 디바이스가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공'은 대상이 특정 정보를 획득하거나 직간접적으로 특정 대상에게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요구되는 관련 동작의 수행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1000)은 기존 디바이스(100-1), 신규 디바이스(100-2),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및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 디바이스(100-1), 신규 디바이스(100-2),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및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 중 둘 이상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와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실제 운영 환경에서 발생된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와의 트랜잭션을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기존 디바이스(100-1)에서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 제공된 요청 및 해당 요청에 대응하여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부터 기존 디바이스(100-1)에 제공된 응답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트랜잭션 히스토리는 요청과 응답 외에도, 요청 또는 응답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관련된 기관 서버(미도시)와의 트랜잭션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200)에는 실제 운영 환경에서 기존 디바이스(100-1) 및/또는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가 송수신하는 전체 거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와의 트랜잭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 디바이스(100-1)는 기존 제 1 회사에서 사용 중인 기존 업무 시스템에 해당하고, 신규 디바이스(100-2)는 차세대 업무 시스템 전환 등의 사유로 제 1 회사(또는 제 2 회사)에서 현재 개발 중인 신규 업무 시스템에 해당하며,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는 기존 업무 시스템인 기존 디바이스(100-1)와 연결되어 실 거래 메시지를 주고 받는 연계 기관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존 업무 시스템이 연계 기관 시스템에 먼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는 거래를 나타내는 아웃바운드 거래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계 기관 시스템인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과 통신이 되어야하지만, 이때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는 기존 디바이스(100-1)와 현재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아웃바운드 거래를 테스트하기 위한 환경을 구성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기존 업무 시스템인 기존 디바이스(100-1)와 연계 기관 시스템인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의 트랜잭션 메시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트랜잭션 메시지에 기반하여 신규 업무 시스템인 신규 디바이스(100-2)로부터 수신되는 요청 메시지에 대해 적절한 응답 응답 메시지를 제공하는 가상의 연계 기관 시스템으로서 기능하여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한 아웃바운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의 아웃바운드 거래에 대한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신규 디바이스(100-2)에 적용하여 과거 아웃바운드 거래를 신규 디바이스(100-2)와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 사이에서 재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재현 과정에서 신규 디바이스(100-2)의 요청에 대응하여 적절한 응답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신규 디바이스(100-2)의 요청에 따른 아웃바운드 거래가 적절하게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0)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의 일 구성일 수 있으며,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저장할 수 있고, 일 실시 예에서, 기존 디바이스(100-1)로부터 수신되는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저장하거나, 다른 일 실시 예에서,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에 송수신되는 네트워크 패킷을 캡쳐하거나 로그 파일을 이용하여 트랜잭션 메시지를 획득,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는 신규 디바이스(100-2)의 아웃바운드 거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예: 기존의 연계 기관 시스템)로서, 일 실시 예에서, 과거에는 기존 디바이스(100-1)의 아웃바운드 거래 대상에 해당하여 기존 디바이스(100-1)와 트랜잭션을 송수신하였으나, 현재는 운영이 중단되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신규 디바이스(100-2)의 가상의 아웃바운드 거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예: 가상의 연계 기관 시스템)로서, 일 실시 예에서,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의 트랜잭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신규 디바이스(100-2)의 아웃바운드 거래 대상으로서의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를 모사하여 신규 디바이스(100-2)로부터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존 디바이스(100-1) 및 신규 디바이스(100-2)는 각각 서버로 구현될 수 있고, 명세서 전반에서 각각 종래 서버 및 현재 서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1000)은 과거에는 기존 디바이스(100-1), 데이터베이스(200),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및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를 포함하였고, 현재는 신규 디바이스(100-2), 데이터베이스(200) 및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 업무 시스템인 기존 디바이스(100-1)가 현재 없을 때, 과거에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에 수집된 트랜잭션 히스토리만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신규 디바이스(100-2)와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 간의 아웃바운드 거래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 디바이스(100-1) 및 신규 디바이스(100-2)가 모두 있는 상태에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1000)에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기존 디바이스(100-1) 또는 신규 디바이스(100-2)와 특정 업무 목적을 위해 트랜잭션을 송수신하는 다른 다양한 단말 또는 서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메모리(410) 및 프로세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와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메모리(410); 및 트랜잭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기존 디바이스(100-1)에서 제공되었던 제 1 요청 및 제 1 요청에 대응하여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되었던 제 1 응답을 획득하고, 제 1 요청에 대응되는 제 2 요청을 신규 디바이스(100-2)로부터 획득하여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응답을 획득하고, 제 1 응답과 제 2 응답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410)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의 동작 전반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보조기억장치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410)는 데이터베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고, 별도의 저장 서버로 구현되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와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수집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420)는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고,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or unit)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410) 및 그 밖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다른 디바이스(예: 단말 또는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가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트랜잭션 히스토리는 기존 디바이스(100-1)에서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 제공되는 요청 및 해당 요청에 대응하여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실제 운영 환경에서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의 특정 거래와 관련되어 기존 디바이스(100-1)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와 주고 받는 네트워크 패킷을 캡쳐하고, 이를 요청과 응답으로 이루어진 플로우 단위의 트랜잭션 메시지로 변환하여 요청, 응답 및 메시지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기존 디바이스(100-1)가 실제 운영 환경에서 발생되는 실제 아웃바운드 거래와 관련하여, 창구 단말에서 거래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 사용자 입력에 따라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 전송한 요청, 해당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연계기관(예: 카드사, VAN사 등) 서버와의 트랜잭션을 거쳐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된 응답 등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트랜잭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할 수 있으며, 이처럼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또는 기설정 기간 동안) 해당 거래와 관련된 전체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지속적으로 수집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트랜잭션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예: 연계 기관 정보)와 요청 및 응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암호화 및/또는 복호화를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트랜잭션 메시지에는 요청, 응답, 발신/착신 IP 주소, TCP 포트, 메시지 프로토콜, 메시지 길이 등이 포함된 공통 헤더 정보 이외에도 송수신 과정에서 요구되는 암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요청 및 응답을 획득하거나 이용하는 과정에서 요청 또는 응답을 복호화 또는 암호화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트랜잭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기존 디바이스(100-1)에서 제공되었던 제 1 요청 및 제 1 요청에 대응하여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되었던 제 1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기존 디바이스(100-1)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 전송하는 제 1 요청 및 제 1 요청에 대응하여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가 기존 디바이스(100-1)에 전송한 제 1 응답을 획득하고, 제 1 요청 및 제 1 응답을 식별자를 통해 관리할 수 있고,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한 아웃바운드(outbound) 테스트를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테스트가 요청된 요청에서 식별자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해당 요청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기존 아웃바운드 거래에서의 응답을 조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요청 및 제 1 응답은 각각 복수개의 요청 및 복수개의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요청은 과거의 기설정 기간 동안(예: 과거의 특정일 하루 동안) 기존 디바이스(100-1)에서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 전송된 복수개의 요청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응답은 해당 기간 동안 기존 디바이스(100-1)에서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된 해당 복수개의 요청에 대한 복수개의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과거의 특정한 하루 동안 기존 디바이스(100-1)에서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 전송된 요청들에 대해서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트랜잭션 히스토리로부터 해당 특정된 하루 동안의 기존 디바이스(100-1)에서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 전송된 모든 요청들 및 해당 모든 요청들 각각에 대하여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부터 기존 디바이스(100-2)에 전송된 모든 응답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요청은 기설정 형식에 따라 나열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전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문은 전문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자릿수 및 위치별 코드에 따라 숫자들이 연속으로 나열된 숫자 스트림 및 문자들이 나열된 문자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문에 나열된 숫자 중 최초 M개의 자릿수는 요청 코드(예; 송금, 결제 등)에 대응하고, 다음 N개의 자릿수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고, 다음 O개의 자릿수는 계좌 번호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자릿수별 내용 형식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요청에 있는 전문은 기존 디바이스(100-1) 또는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 대하여 기저장된 제 1 전문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요청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를 나타내는 IP 정보 및 포트 정보, 제 1 요청이 나타내는 업무 필드 및 제 2 요청을 나타내는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IP 정보는 발신 및/또는 착신 IP 주소를 포함하고, 포트 정보는 기관에서 내부적으로 이용하는TCP 정보를 포함하고, IP 정보 및 포트 정보를 기관 별로 상이한 값이 할당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업무 필드는 제 1 요청의 업무 종류(예: 송금, 결제)를 식별하기 위한 업무키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금융기관에서 이용하는 업무별 고유 일련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유 정보는 제 1 요청을 식별하기 위해 지정된 고유 식별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트랜잭션 히스토리로부터 제 1 요청을 획득하고, 제 1 요청으로부터 IP 정보, 포트 정보, 업무 필드 및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IP 정보, 포트 정보, 업무 필드 및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매칭키를 통해 트랜잭션 히스토리로부터 제 1 요청에 대한 제 1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과거에 데이터베이스(200)에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사이에 송수신한 제 1 요청 및 제 1 응답을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서, 제 1 요청으로부터 IP 주소, 포트 정보, 전문 내 기설정 특정 자릿수에 있는 숫자들, 업무 필드의 업무키 등을 추출하여 이를 조합한 고유의 매칭키를 결정하고, 매칭키를 통해 제 1 요청과 제 1 응답을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제 1 요청을 이용하여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할 때, 신규 디바이스(100-2)로부터 획득되는 제 1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요청에서 유의미한 식별 정보들을 추출하여 매칭키를 찾아내고, 매칭키를 통해 해당 요청에 매칭되는 응답을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제 1 요청에 대응되는 제 2 요청을 신규 디바이스(100-2)로부터 획득하여 제 2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기존 거래와 동일한 요건에서 테스트 대상 거래를 재현하는 신규 디바이스(100-2)로부터 아웃바운드 테스트를 위해 제 2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제 2 요청으로부터 상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매칭키를 추출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매칭키에 대응하는 응답(예: 제 1 응답)을 가져와 제 2 응답으로 획득할 수 있고, 변환 과정이 필요한 경우, 신규 디바이스(100-2)에서 정의한 구조와 형식에 따라 제 2 응답을 변환하여 신규 디바이스(100-2)에 전송하여 실 거래 기반의 테스트를 준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전문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제 1 응답을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응되는 형식에 따라 제 2 응답으로 변환할 수 있고,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신규 디바이스(100-2)로부터 수신되는 제 1 요청을 전문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제 2 요청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응답에 있는 전문은 기존 디바이스(100-1) 또는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 대응되는 제 1 형식 중 제 1 전문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제 2 응답에 있는 전문은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응되거나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에 기저장된 연계기관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변경 내용을 포함하는 제 2 형식 중 제 2 전문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제 1 및 제 2 전문 인터페이스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신규 디바이스(100-2)의 전문을 정의하는 제 2 전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형식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전문 인터페이스와 기존 디바이스(100-2)의 전문을 정의하는 기저장된 제 1 전문 인터페이스를 비교하여 형식 변환을 위한 규칙 정보(예: 자릿수 변경, 코드 추가, 자릿수별 내용 변경, 필드명에 대응되는 밸류 변경, 필드명 변경 등)를 결정하고, 규칙 정보에 따라 제 1 응답의 전문 중 변경이 요구되는 부분들을 신규 디바이스(100-2)에 적합하게 변경하여 제 2 응답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제 2 요청으로부터 신규 디바이스(100-2)를 나타내는 IP 정보 및 포트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요청으로부터 제 2 요청이 나타내는 업무 필드를 결정하고, 제 2 요청으로부터 제 2 요청을 나타내는 고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요청으로부터 IP 주소, 포트 정보, 전문 내 기설정 특정 자릿수에 있는 숫자들, 업무 필드의 업무키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요청으로부터 획득되는 IP 정보, 포트 정보, 업무 필드 및 고유 정보는 각각 제 1 요청으로부터 획득되는 IP 정보, 포트 정보, 업무 필드 및 고유 정보에 대응될 수 있고, 일 실시 예에서, 상호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제 2 요청으로부터 획득된 IP 정보, 포트 정보, 업무 필드 및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제 2 요청으로부터 추출된 IP 정보, 포트 정보, 업무 필드 및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매칭키를 결정하고, 매칭키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매칭키에 대응되는 제 1 응답을 조회하여 제 2 응답으로서 획득하고, 제 2 응답을 신규 디바이스(100-2)에 인가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제 1 응답과 제 2 응답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제 1 응답과 제 2 응답의 비교를 위해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서 응답했던 메시지를 신규 디바이스(100-2)에서 정의한 메시지 구조와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문자셋 변환, URL 디코딩, BASE64 디코딩, 복호화, 메시지 ID 추출 및 매핑, 메시지 항목 매핑 및 변환 등을 수행하여 제 1 응답을 변환한 후 변환된 제 1 응답과 제 2 응답을 비교함으로써 실 거래 기반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제 1 응답이 나타내는 복수개의 제 1 결과값과 제 2 응답이 나타내는 복수개의 제 2 결과값을 획득하고, 제 1 결과값과 제 2 결과값 중 상이한 결과값의 종류 및 오차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테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전술한 단계들에 따라, 테스트 수행이 요청된 과거 특정한 기간 동안(예: 특정한 하루 동안) 기존 디바이스(100-1)에서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 전송되었던 모든 요청들을 포함하는 제 1 요청으로부터 변환된 제 2 요청이 신규 디바이스(100-2)에서 재현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규 디바이스(100-2)로부터 수신되는 제 2 요청에 기초하여 제 2 응답을 획득하는 경우, 신규 디바이스(100-2)의 제 2 응답에 따라 발생하는 후행 거래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여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의 제 1 응답과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지 여부, 만일 다르다면 응답 또는 요청에 대하여 기설정값 이상 차이가 있는 필드 종류, 파라미터 값 차이 등을 분석하여 이에 관한 테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테스트 정보는 기존 요청, 응답의 내용, 기존 메시지를 이용해 메시지 변환처리 등을 통해 최종적으로 테스트에 이용된 요청, 응답의 내용, 메시지 처리의 최종적인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제 2 응답(또는 제 2 요청)을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변환된 제 1 응답(또는 제 1 요청)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 1 요청을 제 2 요청으로 변환하는데 이용된 규칙 정보(예: 자릿수 변경, 코드 추가, 자릿수별 내용 변경 등)를 이용하여 제 1 응답을 제 2 응답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 1 응답을 제 2 응답과 비교하여 각각의 위치별 필드, 파라미터 등의 값들이 상호 차이나는 정도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비교 결과에 따라 기설정값 이상 오류가 발생한 트랜잭션에 관한 상세한 오류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200)에 해당 메시지의 상태를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200)에 반영되는 메시지의 상태는 처리 전, 처리 중 또는 처리 완료의 상태로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의 특성에 따라 제 1 결과값을 카테고라이징하고, 제 1 결과값과 제 2 결과값을 카테고리별로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응답과 제 2 응답은 각각 복수개의 응답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응답은 기설정된 복수개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으며, 만일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가 보험사 서버인 경우, 보험사와 연관되어 기설정된 복수개의 카테고리(예: 보험 종류, 만기 년도, 가입자 연령 등)에 따라 제 1 결과값과 제 2 결과값을 분류하고, 각 카테고리에서 제 1 결과값과 제 2 결과값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카테고리별로 결정되는 중요도 가중치를 획득하고, 중요도 가중치 및 카테고리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테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 대응하는 기관 종류(예: 보험사, 은행사, 카드사 등)에 따라 복수개의 카테고리 및 카테고리별 중요도 가중치가 상이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카테고리별 제 1 결과값과 제 2 결과값의 차이에 중요도 가중치를 반영하여 합산한 결과에 따라 테스트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요도 가중치는 제 2 결과값에서 나타나는 카테고리별 발생 빈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가 은행 서버인 경우, 송금, 결제, 대출 등등 다양한 거래가 발생할 수 있고, 그 중 “잔액”이라는 카테고리의 발생 빈도가 기설정값 이상으로 가장 높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잔액”의 카테고리에 가장 높은 중요도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발생 빈도가 기설정 수준 이상 높은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대해 발생 빈도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테스트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제 1 결과값과 제 2 결과값의 차이가 기설정 제 1 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1 중요도 가중치를 부여하고, 카테고리별 발생 빈도가 기설정 제 2 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2 중요도 가중치를 부여하고,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의 특성에 따라 주요한 카테고리로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특정 카테고리에 제 3 중요도 가중치를 부여하고, 제 1 내지 제 3 중요도 가중치를 반영하여 테스트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중요도 가중치는 제 2 중요도 가중치보다 크고, 제 2 중요도 가중치는 제 3 중요도 가중치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특정 기간, 예를 들면 하루 동안의 트랜잭션을 모두 검토하는 경우, 하루 동안의 트랜잭션이 100% 동일한 경우에만 성공한 것으로 보기는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일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등을 비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가중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테스트 점수가 제 1 값보다 작으면 테스트가 실패한 것으로 결정하고, 테스트 점수가 제 1 값보다 작은 제 2 값보다 작으면 테스트에 중대한 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를 테스트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추후에 외부기관인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가 없어지는 경우에도, 대량의 테스트 케이스를 만드는 것이 아닌, 과거의 거래를 활용하여 과거의 요청을 신규 디바이스(100-2)에서 재현시키고 신규 디바이스(100-2)가 적절하게 요청하는지, 해당 요청에 따라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에서 적절하게 응답하는지 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신규 디바이스(100-2)의 요청에 따라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가 외부기관에서 실제 거래가 있는 것처럼 모사할 수 있도록 하여 실 거래 기반의 가상 환경에서 신규 디바이스(100-2)의 아웃바운드 거래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1000)이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 내지 S403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데이터베이스(200)에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가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획득하는 제 1 파트 및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는 제 2 파트로 구별되는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하여 해석되지 않으며, 내부 구성요소 간의 메시지 전송이 요구되지 않는 동일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에서 각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고,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에서 분할하여 각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단계 S401에서 기존 디바이스(100-1)는 실제 운영 환경의 실 거래 과정에서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단계 S402에서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웃바운드 거래의 경우, 기존 업무 시스템인 기존 디바이스(100-1)에서 연계 기관 시스템인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 요청을 전송하고,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부터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게 되며, 단계 S403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에서 거래 패킷이나 로그 파일을 캡처할 수 있고, 캡처된 데이터를 요청 및 응답으로 변환한 후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요청 및 응답을 포함하여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와의 트랜잭션을 거래 패킷이나 로그 파일을 이용하여 캡쳐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캡쳐를 통해 획득된 캡쳐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 요청 및 제 1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응답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과정에서 발생된 전체 트랜잭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고, 이후 실제 운영 환경에서 유사 단계가 반복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00)에는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의 실 거래에 따른 트랜잭션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기존 디바이스(100-1)에서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 전송한 제 1 요청으로부터 추출되는 IP 정보, 포트 정보, 업무 필드 및 고유 정보를 조합하여 매칭키를 생성하고 매칭키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는 해당 제 1 요청과 제 1 응답 간의 매칭 관계를 관리할 수 있다.
단계 S405 내지 S408에서, 기존 디바이스(100-1) 및/또는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가 현재 없을 때, 또는 아웃바운드 테스트를 위해 구축된 테스트 환경을 기반으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과거에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에 수행된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신규 업무 시스템인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한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신규 디바이스(100-2)로부터 제 2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신규 디바이스(100-2)에서 기존 거래와 동일한 요건에서 테스트 대상 거래를 재현함에 따라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로 제 2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아웃바운드 테스트를 위한 설명의 편의상 생략되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에서 신규 디바이스(100-2)로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제 1 요청으로부터 획득된 제 2 요청이 전송되어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인바운드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실시 예 또한 가능하다.
단계 S406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조회하고 변환을 통해 제 2 응답을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 2 요청에서 추출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매칭키를 결정하고,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복수의 응답 중에서 매칭키에 대응하는 응답을 조회하고, 변환 과정이 필요한 경우, 조회된 응답을 전문 인터페이스에 따라 변환하여 제 2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제 2 응답을 신규 디바이스(100-2)에 인가할 수 있다.
단계 S408에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제 1 응답과 제 2 응답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에서 신규 디바이스(100-2)에 전송한 제 2 응답을 통해 기존 디바이스(100-1)와 신규 디바이스(100-2)의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 1 응답을 신규 디바이스(100-2)에 대응하는 형식으로 변환한 후, 제 2 응답과 비교하거나 또는 제 1 요청 및 제 2 요청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기존 시스템과 검증 대상 시스템의 비교 분석이 가능하고, 응답에 따라 발생하는 후행 거래에 대한 테스트 또한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규 디바이스(100-1)의 제 2 응답이 제 2 요청에 따라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여부, 제 2 응답이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의 제 1 응답과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지 여부, 제 2 요청이 기존 디바이스(100-1)의 제 1 요청과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지 여부, 만일 다르다면 기설정값 이상 차이가 있는 필드 종류, 파라미터 값 차이 등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기록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대출 신청 및 대출 심사 거래 과정에 따라 예로 들면, 사용자가 대출 신청 거래를 요청하는 경우, 기존 디바이스(100-1)는 내부 로직 처리 후 심사기관으로 심사 신청에 관한 아웃바운드 거래를 요청하여 심사기관인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로부터 심사 결과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간의 트랜잭션을 캡쳐하여 해당 요청과 응답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고, 해당 거래를 식별할 수 있는 메시지 식별자(예: 매칭키, 고유 정보 등)를 함께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후, 신규 디바이스(100-2)는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에 대한 아웃바운드 테스트를 위해 기존 디바이스(100-1)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와의 기존 거래와 동일한 요건에서 거래를 재현하여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 대신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에 제 2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수신된 제 2 요청으로부터 추출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매칭키를 생성해 데이터베이스(200)에서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응답을 조회하고, 제 2 응답을 제 1 응답과 비교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테스트 결과가 성공인 경우, 기존의 연계기관인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과의 통신 없이도 기존 기관과 동일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심사 요청 거래 테스트 후, 정상 처리된 거래 외의 추가 분석이 요구되는 케이스를 확인할 수 있고, 기저장된 실거래 데이터를 기준으로 메시지 식별자(예: 매칭키)를 비교하여 신규 디바이스(100-2)에서는 발생되지 않은 심사 거래 메시지를 확인하여 신규 디바이스(100-)에서 발생하지 않은 이유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지 않은 채 테스트가 요청된 실거래 메시지를 획득하는 경우, 요청이 수신된 조건에 대한 비교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지 않았지만 신규 디바이스(100-2)에 입력되는 심사 요청 거래의 경우, 어떤 조건에서 기존 디바이스(100-1)와 다르게 요청이 들어온 것인지 분석하여 기존 디바이스(100-1)와 신규 디바이스(100-2)의 비교 결과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 연계 디바이스(400)는 신규 업무 시스템의 개발 또는 연계 기관 시스템의 변경 등에 따라 신규 디바이스(100-2)의 아웃바운드 거래에 관한 테스트가 필요한 경우, 기존 디바이스(100-1)과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와의 실거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종래 연계 디바이스(300)의 동작을 모사하여 신규 디바이스(100-2)의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신규 디바이스(100-2)의 아웃바운드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 및 조합은 일 실시 예이고,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요소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순서, 조합, 분기, 기능 및 그 수행 주체가 추가, 생략 또는 변형된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100-1: 기존 디바이스
100-2: 신규 디바이스
410: 메모리
420: 프로세서
200: 데이터베이스
300: 종래 연계 디바이스
400: 가상 연계 디바이스

Claims (20)

  1. 가상 연계 디바이스가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존 디바이스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 간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디바이스에서 제공되었던 제 1 요청 및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던 제 1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되는 제 2 요청을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응답과 상기 제 2 응답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청은 기설정 형식에 따라 나열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전문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요청으로부터 상기 가상 연계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IP 정보 및 포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 2 요청이 나타내는 업무 필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 2 요청을 나타내는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IP 정보, 상기 포트 정보, 상기 업무 필드 및 상기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청은 과거의 기설정 기간 동안 상기 기존 디바이스에서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로 전송된 요청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응답이 나타내는 복수개의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응답이 나타내는 복수개의 제 2 결과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결과값 중 상이한 결과값의 종류 및 오차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테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 1 결과값을 카테고라이징하는 단계;
    상기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결과값을 카테고리별로 비교하여 카테고리별 비교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별로 결정되는 중요도 가중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중요도 가중치 및 상기 카테고리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가중치는
    상기 제 2 결과값에서 나타나는 카테고리별 발생 빈도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별로 상이하게 결정되는 중요도 가중치 및 상기 카테고리별로 산출되는 상기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결과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테스트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점수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테스트에 중대 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테스트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로부터 상기 제 1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요청으로부터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IP 정보 및 포트 정보, 상기 제 1 요청이 나타내는 업무 필드 및 상기 제 1 요청을 나타내는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IP 정보, 상기 포트 정보, 상기 업무 필드 및 상기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매칭키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로부터 상기 제 1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키는
    상기 IP 정보, 상기 포트 정보, 상기 업무 필드 및 상기 고유 정보를 병합하는 연산을 통해 결정되는, 방법.
  11.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에 있어서,
    기존 디바이스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와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디바이스에서 제공되었던 제 1 요청 및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던 제 1 응답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되는 제 2 요청을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응답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응답과 상기 제 2 응답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청은 기설정 형식에 따라 나열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전문을 포함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요청으로부터 상기 가상 연계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IP 정보 및 포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 2 요청이 나타내는 업무 필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 2 요청을 나타내는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IP 정보, 상기 포트 정보, 상기 업무 필드 및 상기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응답을 획득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청은 과거의 기설정 기간 동안 상기 기존 디바이스에서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로 전송된 요청을 포함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응답이 나타내는 복수개의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응답이 나타내는 복수개의 제 2 결과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결과값 중 상이한 결과값의 종류 및 오차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테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 1 결과값을 카테고라이징하고,
    상기 제 1 결과값과 상기 제 2 결과값을 카테고리별로 비교하여 카테고리별 비교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카테고리별로 결정되는 중요도 가중치를 획득하고,
    상기 중요도 가중치 및 상기 카테고리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가중치는
    상기 제 2 결과값에서 나타나는 카테고리별 발생 빈도에 따라 결정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로부터 상기 제 1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요청으로부터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IP 정보 및 포트 정보, 상기 제 1 요청이 나타내는 업무 필드 및 상기 제 1 요청을 나타내는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IP 정보, 상기 포트 정보, 상기 업무 필드 및 상기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매칭키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로부터 상기 제 1 응답을 획득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키는
    상기 IP 정보, 상기 포트 정보, 상기 업무 필드 및 상기 고유 정보를 병합하는 연산을 통해 결정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
  20.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 디바이스와 종래 연계 디바이스 간의 트랜잭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트랜잭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디바이스에서 제공되었던 제 1 요청 및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종래 연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던 제 1 응답을 획득하는 신규 디바이스; 및
    상기 제 1 요청에 대응되는 제 2 요청을 신규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응답을 획득하는 가상 연계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연계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응답과 상기 제 2 응답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디바이스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200187839A 2020-12-30 2020-12-30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가상 연계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45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839A KR102453610B1 (ko) 2020-12-30 2020-12-30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가상 연계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17/557,697 US11693750B2 (en) 2020-12-30 2021-12-21 Virtual device for providing test data
JP2021208715A JP2022104888A (ja) 2020-12-30 2021-12-22 テスト情報を提供する方法、仮想連携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DE102021214898.0A DE102021214898A1 (de) 2020-12-30 2021-12-22 Virtuelle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testdat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839A KR102453610B1 (ko) 2020-12-30 2020-12-30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가상 연계 디바이스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875A KR20220095875A (ko) 2022-07-07
KR102453610B1 true KR102453610B1 (ko) 2022-10-11

Family

ID=8197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839A KR102453610B1 (ko) 2020-12-30 2020-12-30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가상 연계 디바이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93750B2 (ko)
JP (1) JP2022104888A (ko)
KR (1) KR102453610B1 (ko)
DE (1) DE102021214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1734B (zh) * 2020-07-31 2024-05-03 重庆富民银行股份有限公司 三方数据源的测试评估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52B1 (ko) 2006-10-18 2008-06-19 중소기업은행 원본데이터를 이용한 대량 입/출력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JP2013105358A (ja) 2011-11-15 2013-05-30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プログラムの新旧バージョンに対する差分比較テストシステム及びテス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132B1 (ko) * 2008-01-04 2011-03-07 (주)인터넷커머스코리아 금융 업무 프로그램의 자동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83621A (ko) * 2008-01-30 2009-08-04 주식회사 국민은행 저널로그를 이용한 품질테스트 자동화방법
US11068380B2 (en) * 2018-08-08 2021-07-20 Servicenow, Inc. Capturing and encoding of network transactions for playback in a simulation environment
KR102180592B1 (ko) * 2018-12-14 2020-11-1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It 시스템 검증 방법 및 시스템
US11151025B1 (en) * 2020-05-15 2021-10-19 Dell Products L.P. Generating software test plans based at least in part on monitored traffic of a production application
US11360880B1 (en) * 2020-05-18 2022-06-14 Amazon Technologies, Inc. Consistent replay of stateful requests during software tes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52B1 (ko) 2006-10-18 2008-06-19 중소기업은행 원본데이터를 이용한 대량 입/출력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JP2013105358A (ja) 2011-11-15 2013-05-30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プログラムの新旧バージョンに対する差分比較テストシステム及びテス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04888A (ja) 2022-07-12
DE102021214898A1 (de) 2022-06-30
US20220206913A1 (en) 2022-06-30
US11693750B2 (en) 2023-07-04
KR20220095875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60602A1 (en) System for business service management and method for evaluating service quality of service provider
CN107730385A (zh) 订单信息的模拟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12199277A (zh) 一种基于浏览器的缺陷复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89045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on of business messages
CN112801777A (zh) 一种银行函证自动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53610B1 (ko)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가상 연계 디바이스 및 시스템
CN111552626A (zh) 使用真实事务数据测试被开发系统的方法和系统
US20200387843A1 (en) Risk management of processes utilizing personal data
JP2008210043A (ja) サーバ装置及び変換ルール作成プログラム
Carrasquel et al. Pre-processing network messages of trading systems into event logs for process mining
US102899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health care payers and provider systems with health care transaction systems using a single HIPAA EDI response generation component
Knoblauch et al. Reducing implementation efforts in continuous auditing certification via an audit API
US201001537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stem analysis
CN112150299B (zh) 年金数据处理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WO2020251866A1 (en) Risk management of processes utilizing personal data
CN114065302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和区块链网络
KR20090001905A (ko) 금융시스템 자동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프로그램 기록매체
CN110858344B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系统、数据查询方法、装置及设备
CN109246125A (zh) 一种主机安全状况评估系统
US20240070037A1 (en) Multi-Computer System for Maintain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Stability with Shared Computing Infrastructure
US20240121234A1 (en) Ascertaining an Evaluation of a Data Set
CN115202906A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7035990A (zh) 一种个人纳税信息核对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N115658462A (zh) 无人零售货柜的测试方法及装置、非易失性存储介质
CN117271325A (zh) 一种企业级架构建设的测试方法、装置、系统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