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089B1 - Habit note for cultivating good habits - Google Patents

Habit note for cultivating good habi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089B1
KR102453089B1 KR1020210056748A KR20210056748A KR102453089B1 KR 102453089 B1 KR102453089 B1 KR 102453089B1 KR 1020210056748 A KR1020210056748 A KR 1020210056748A KR 20210056748 A KR20210056748 A KR 20210056748A KR 102453089 B1 KR102453089 B1 KR 102453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bit
line
formation
notes
descri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5132A (en
Inventor
최다현
Original Assignee
최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다현 filed Critical 최다현
Publication of KR2022013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1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0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가 제공되며,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기재하도록 구비된 라인을 포함하는 습관설정부, 습관설정부의 하부에 습관을 이루기 위하여 해야 할 일들의 리스트를 기재하도록 열(Column)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구비된 전략생성부 및 전략생성부의 하부에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언제, 어디서 및 무엇을 할 것인지를 기재하도록 구비된 구체화부를 포함한다.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are provided, and the habit setting unit including a line provided to write the habit you want to form, and in the column direction to write a list of things to do to form a habit at the bottom of the habit setting unit It includes a strategy generating unit provided with at least one line and a specifying unit provided to describe when, where and what to do, in order to specifically describe a habit to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rategy generating unit.

Description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HABIT NOTE FOR CULTIVATING GOOD HABITS}Habit Note for CULTIVATING GOOD HABITS

본 발명은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에 관한 것으로, 행동이 습관이 될 수 있는 단위행동을 설정하고, 구체화, 환경설정, 보상 및 피드백을 통하여 무의식중에 행동이 내재화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bit note for habit formation, and provides a note for setting a unit action in which a behavior can become a habit, and allowing the behavior to be internalized unconsciously through specification, environment setting, reward and feedback.

인지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주의를 의식적인 주의(Conscious Attention)와 무의식적인 주의(Unconscious Attention)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희소한 자원인 주의는 의식적으로 배분될 수도 있지만, 의식적인 주의에 앞서 두뇌의 자동적 시스템이 특정한 상황맥락에 따라 자동적으로 무의식적인 주의를 끌어내기도 한다. 습관 형성의 3 단계 고리로 신호-반복행동-보상 이론에 의하면, 신호는 상황맥락ㆍ환경의 자극을, 반복행동은 몸의 무의식적 반응을, 보상은 내재적 욕구 충족을 의미한다. 즉 환경-몸-마음의 체화된 인지 프레임워크에 대입하면 환경 자극-몸의 반응-욕구 충족이 패턴화되는 과정이 습관인 것이다. 습관이 몸에 밸수록 우리 두뇌에서 특정한 외부 자극을 지각하는 감각 뉴런과 특정 행동을 수행하는 운동 뉴런 간의 신경 경로가 더 강화된다.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데 걸리는 시간은 사람에 따라 다르고 행동의 성격에 따라 다른데, 습관이 굳어진다는 것은 그 행동에 대한 거부감이 적어짐을 의미하는 것일 뿐이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gnitive system, attention can be divided into conscious attention and unconscious attention. Attention, a scarce resource, may be consciously allocated, but prior to conscious attention, the brain's automatic system automatically elicits unconscious attention depending o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situation. According to the signal-repetitive behavior-reward theory, the signal represents the stimulus of the context/environment, the repetitive action represents the body's unconscious response, and the reward represents the satisfaction of intrinsic need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patterning environmental stimuli-body response-needs satisfaction when substituting it into the embodied cognitive framework of environment-body-mind is a habit. The more habits we develop, the stronger the neural pathways in our brains between sensory neurons that perceive specific external stimuli and motor neurons that perform specific actions. The time it takes to form a new habit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an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behavior.

이때, 습관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다이어리나 플래너를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763325호(2017년08월01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6-0115507호(2016년10월06일 공개)에는, 습관을 바꾸기 위하여 필요한 6 개월 간 2 개월 단위로 사용자의 시간에 대한 개념을 형성시키고, 습관을 변경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자기관리를 충실히 할 수 있는 자기관리기록노트를 마련하고, 사용자 자신의 현재상태를 대표하는 질문에 현시점에서 떠오르는 답변과 미래상태를 대표하는 질문에 대한 현시점에서의 희망답변을 기록하는 비전보드와, 이번 달 및 다음 달의 목표로 하는 일정을 간략히 기록하는 제 1 양식과, 30 분 단위로 일일 일정을 기록하고 중요한 일정의 수행유무를 체크하는 시간흐름 기록표 및 기록표 상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우선순위 계획을 기록하고, 우선순위 계획의 수행정도를 기록하는 제 2 양식을 포함하는 구성과, 올바른 복약 습관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달력을 구비하고, 다양한 투약 조건에 따라 약 봉투를 효율적으로 진열하도록 날짜별로 표시된 날짜 영역을 포함하는 보드와, 날짜 영역에 제공되며 날짜별로 약 봉투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using a diary or a planner to reconstruct a habit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Published on October 06, 2016), a self-management record notebook that can faithfully manage self-management by forming the concept of the user's time in two-month increments for the six months necessary to change the habit, and helping to change the habit. A vision board that records current answers to questions representing the user's current status and desired answers to questions representing the future status, and a target schedule for this month and next month. The first form to record briefly, record the daily schedule in 30-minute units, and record the priority plan to be performed first on the time flow record table and record table to check whether or not important schedule is performed, and the degree of execution of the priority plan a board comprising a second form for recording, a calendar for forming correct medication habit, and a date area marked by date to efficiently display medication envelopes according to various dosing conditions, provided in the date area and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ixing unit for temporarily fixing the medicine envelope for each date is disclosed.

다만, 좋은 습관을 형성하고 나쁜 습관을 버리기 위해 중요한 것은 꾸준한 반복인데, 전자의 경우에는 해야 할 행위를 기록하는 공간은 존재하지만 이에 대한 피드백을 기록하거나 어떠한 문제점 때문에 형성하고자 하는 습관을 위한 행동을 하지 못했는지에 대한 성찰의 과정에 대한 고려가 존재하지 않는다. 후자의 경우에도 달력 상에 약 봉투를 걸어놓는 것 이외에 이를 지키지 못한 경우에 대한 성찰의 과정을 돕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작심삼일을 피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습관 형성의 3 단계 고리로 신호-반복행동-보상의 프로세스를 진행해야 하는데, 상황맥락ㆍ환경의 자극이 선제되어야 하고, 몸의 무의식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야 하며, 내재적인 욕구 충족의 과정이 요구된다. 이에, 습관 형성을 위한 각 단계와 보상 또 성찰의 과정을 진행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습관 노트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the important thing to form good habits and throw away bad habits is steady repetition.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process of reflection on whether or not it has failed. Even in the latter case, there is no composition that helps the process of reflection on the case of failure to keep it other than hanging medicine envelopes on the calendar. In order to avoid the three-day habit, the signal-repetitive behavior-reward process must be carried out as a three-step loop of habit 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satisfying intrinsic needs is required.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abit notes that can help each step and reward or process of reflection for habit formation are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습관 노트를 좋은 습관 노트(Good Habit Note)와 나쁜 습관 노트(Bad Habit Note)로 나누고, 좋은 습관 노트에는 형성하고자 하는 습관을 어떻게 지킬 것인지, 이에 대한 보상은 무엇인지, 지키려고 할 때 선제되어야 하는 행동은 무엇인지에 대한 답변을 기재하도록 함으로써 스스로 전략을 세우도록 도와주고, 습관을 위한 행동을 지켰는지에 대한 트래킹을 하도록 함으로써 실제로 얼마나 지켜지고 있는지, 지키지 못했다면 그에 대한 이유는 무엇이고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피드백을 하도록 하며, 나쁜 습관 노트에도 마찬가지로 버려야 할 습관은 무엇이고 어떻게 버릴 것인지에 대한 전략을 세우도록 도와주고, 이를 기록하고 성공과 실패에 따른 피드백을 하는 과정을 통하여 좋은 습관은 들이고 나쁜 습관은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a habit note into a good habit note and a bad habit note, and how to keep the habit to be formed in the good habit note, and what is the reward for this , by asking them to write down the answer to what behavior should be preempted when they try to keep it, it helps them to set up their own strategy, and by having them track whether they have followed the behavior for the habit, how much they are actually being followed, Give feedback on why and what needs to be improved, and in the bad habit notebook as well, it help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what habits to give up and how to discard them, record them and provide feedback according to successes and failures. 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abit note for habit formation, allowing good habits to be formed and bad habits to be discarded. However,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task,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기재하도록 구비된 라인을 포함하는 습관설정부, 습관설정부의 하부에 습관을 이루기 위하여 해야 할 일들의 리스트를 기재하도록 열(Column)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구비된 전략생성부 및 전략생성부의 하부에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언제, 어디서 및 무엇을 할 것인지를 기재하도록 구비된 구체화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bit setting unit including a line provided to describe a habit to be formed, a list of things to be done in order to achieve a habit in the lower part of the habit setting unit A strategy creation unit provided with at least one line in the column direction to write a list, and a specification provided to describe when, where, and what to do, to specifically describe a habit to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trategy generation unit includes wealth.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습관 노트를 좋은 습관 노트(Good Habit Note)와 나쁜 습관 노트(Bad Habit Note)로 나누고, 좋은 습관 노트에는 형성하고자 하는 습관을 어떻게 지킬 것인지, 이에 대한 보상은 무엇인지, 지키려고 할 때 선제되어야 하는 행동은 무엇인지에 대한 답변을 기재하도록 함으로써 스스로 전략을 세우도록 도와주고, 습관을 위한 행동을 지켰는지에 대한 트래킹을 하도록 함으로써 실제로 얼마나 지켜지고 있는지, 지키지 못했다면 그에 대한 이유는 무엇이고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피드백을 하도록 하며, 나쁜 습관 노트에도 마찬가지로 버려야 할 습관은 무엇이고 어떻게 버릴 것인지에 대한 전략을 세우도록 도와주고, 이를 기록하고 성공과 실패에 따른 피드백을 하는 과정을 통하여 좋은 습관은 들이고 나쁜 습관은 버릴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habit note is divided into a good habit note (Good Habit Note) and a bad habit note (Bad Habit Note), and how to keep the habit to be formed in the good habit note, It helps to set up a strategy by asking you to write down the answer to what the reward is and what actions should be taken when you try to keep it, and by letting you track whether you have followed the behavior for the habit, how much is actually being followed , if it is not followed, give feedback on the reasons for it and what needs to be improved Through the process of giving feedback according to failure and failure, good habits can be formed and bad habits can be discar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 중 습관을 세팅하고 리뷰를 하는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습관 노트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의 전략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습관 노트를 이루는 좋은 습관 노트 및 나쁜 습관 노트의 컨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습관 노트 중 좋은 습관 노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습관 노트 중 나쁜 습관 노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습관 노트가 구현된 재질, 사이즈 및 제본 방식의 일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1의 습관 노트에 포함된 반투명 스티커의 일 실시예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ge for setting a habit and reviewing it among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habit note of FIG. 1 .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ategy of a habit note for habit formation step by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good habit note and a bad habit note constituting the habit note of FIG. 1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good habit note among the habit notes of FIG. 1 .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bad habit note among the habit notes of FIG. 1 .
7 is an embodiment of the material, size, and bookbinding method in which the habit note of FIG. 1 is implemented.
FIG. 8 is an embodiment of a translucent sticker included in the habit note of FIG. 1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Also,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to the extent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s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elp,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stated disclosur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of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In addition,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Meanwhile, the ~ uni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the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fil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1)는, 습관설정부(110), 전략생성부(120), 구체화부(130), 환경설정부(140), 보상설정부(150), 시작준비부(160), 리뷰부(170), 트래킹부(180) 및 반투명스티커(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habit note for habit 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 the habit note 1 for habit formation is a habit setting unit 110 , a strategy generating unit 120 , a specific unit 130 , an environment setting unit 140 , and a reward setting unit. 150 , a start preparation unit 160 , a review unit 170 , a tracking unit 180 , and a translucent sticker 190 . However, since the habit note 1 for forming a habit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and the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좋은 습관 노트(1)는, 형성하고자 하는 습관을 기재한 후, 이를 실행하기 위한 단위행동이나 습관을 형성하기 쉽게 하는 행동들의 단계를 적도록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다음, 이러한 행동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육하원칙 등에 의해 구체화를 시키게 하고, 육하원칙에 따라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환경이 세팅되어야 하는지를 스스로 적어보게 한다. 그 다음에는 그 행동을 했는지에 대한 체크를 한 후 보상을 진행하고, 그렇지 않았다면 어떠한 점을 고쳐야 하는지 또는 목표를 재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스스로 진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단위행동설정->구체화->환경설정->보상->피드백(리뷰)의 순으로 행동을 습관으로 만들기 위해 지속적인 루틴을 실행하고 포기하는 것을 포기하도록 할 수 있다.A good habit not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by writing down the habit to be formed, and then writing unit actions for implementing it or steps of actions that make it easy to form a habit. Next, have them specify how to do these behaviors according to the six-and-a-half principle, and have them write down what kind of environment should be set in order to follow the six-and-low principle. Then, after checking whether the action was taken, reward it, and if not, have it self-feedback on what needs to be corrected or if the goal needs to be rese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ecute a continuous routine to make the behavior a habit in the order of unit action setting->refinement->environmental setting->reward->feedback (review) and give up giving up.

도 1 및 도 2는 좋은 습관 노트(1)의 일부 영역, 즉 일부 페이지만을 발췌한 것이고, 상술한 과정을 지켜나가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의 구성 및 구조로 좋은 습관 노트(1)가 만들어질 수 있다. 반대로 나쁜 습관 노트(2)는 도 6의 구성 및 구조로 만들어지며, 단위행동설정->구체화->환경설정->보상->피드백(리뷰)의 과정은 유사하나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습관을 없애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핵심 전략이 담긴 페이지를 먼저 설명한 후, 도 3 및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전체적인 전략 및 컨셉을 살펴본 후, 도 5에서는 좋은 습관 노트(1)의 구성을, 도 6에서는 나쁜 습관 노트(2)의 구성을, 도 7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질, 사이즈 및 제본 방식을 설명하고, 도 8에서는 각 습관 노트(1, 2)에 부가될 수 있는 반투명 스티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1 and 2 are some areas of the good habit note 1, that is, only some pages are extracted, and the good habit note 1 can be made with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FIG. 5 in order to keep the above-described process. have. Conversely, the bad habit note (2) is made with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Figure 6, and the process of unit action setting -> materialization -> environment setting -> reward -> feedback (review) is similar, but it does not form a habit, but a habit. The difference lies in the removal process.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the page containing the core strate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described through FIGS. 1 and 2, and then the overall strategy and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viewed through FIGS. 3 and 4, and then in FIG. 5, a good habit note ( The configuration of 1), the configuration of the bad habit note 2 in FIG. 6, the material, size, and bookbin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FIG. 7 are described, and in FIG. 8, each habit note 1, 2 is added A possible translucent sticker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습관설정부(110)는,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기재하도록 구비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에 한 번씩 저녁 8 시에 산책을 강아지와 30 분 동안 간다는 목표를 세웠다면, "강아지와 1 일 1 산책 30 분간 하기"로 기재될 수 있는 라인이 구비되는 것이다. 습관 목표를 가장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눈에 잘 띌 수 있도록 한다.1 and 2 , the habit setting unit 110 may include a line provided to describe a habit to be formed. For example, if you set a goal of going for a 30-minute walk with your dog at 8:00 p.m. once a day, you will have a line that can be described as "one 30-minute walk with your dog a day". Make sure your habit goal is at the top so it's easy to see.

전략생성부(120)는, 습관설정부(110)의 하부에 습관을 이루기 위하여 해야 할 일들의 리스트를 기재하도록 열(Column)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구비될 수 있다. 전략생성부(120)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중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첫 번째 라인의 우측 단부에는 난이도 최상, 두 번째 라인의 우측 단부에는 난이도 상, 세 번째 라인의 우측 단부에는 난이도 중 및 네 번째 라인의 우측 단부에는 난이도 하가 기재될 수 있다. 이때, 습관을 이루기 위해 해야 할 일의 리스트는, 예를 들어, 저녁 8 시에 산책을 하기 위해서는 6 시에 퇴근하여 7 시까지 집에 도착한 후, 7 시 30 분까지 강아지 저녁을 주고, 옷을 갈아입은 후, 목줄, 배변봉투, 물통, 이어폰, 휴대폰, 열쇠를 챙겨 8 시에 집에서 나서야 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산책을 위한 준비 과정을 단위(Unit)행동으로 쪼개어 각 라인에 기재를 하는 것이다. 만약, 야근이 일상인 회사에 재직하고 있다면 6 시 정시퇴근이 난이도 최상으로 올라올 것이다. 그리고 회사에서 에너지를 다 소진해서 돌아오면 집에서 나가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그 다음 어려운 것은 8 시에 집에서 나서는 일이다. 이를 차례대로 적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것이 가장 어려울지, 만약 잘 못하게 된다면 어떠한 것을 조정할 수 있는지 등의 전략을 짤 수 있도록 구체화를 도와줄 수 있다.The strategy generating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line in a column direction to write a list of things to be done in order to form a habit in the lower part of the habit setting unit 110 . Among at least one line of the strategy generating unit 120,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right end of the first line has the highest level of difficulty, the right end of the second line has the highest difficulty level, and the right end of the third line has the highest difficulty level and the fourth line A difficulty level may be written at the right end of . At this time, the list of things to do to achieve the habit is, for example, to go for a walk at 8 pm, leave work at 6 pm, arrive home by 7 pm, give the dog dinner by 7:30, and get dressed. Let's say you need to get out of the house at 8 o'clock after changing clothes, grab a leash, toilet bag, water bottle, earphones, cell phone, and keys. At this time, the preparation process for a walk is divided into unit actions and written on each line. If you are working in a company where overtime is routine, leaving on time at 6pm will be the most difficult. And if you're someone who doesn't want to leave the house when you run out of energy from work, the next difficult thing is to get out of the house at 8 o'clock. By writing them down in order, you can help you specify which strategy will be the most difficult and what you can adjust if you don't do well.

구체화부(130)는, 전략생성부(120)의 하부에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언제, 어디서 및 무엇을 할 것인지를 기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구체화부는 육하원칙에 기하여 어떠한 행동을 해야 하는지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인간의 뇌는 인간이 무엇을 하려고 할수록 하지 않으려고 한다. 나는 결심하지만 뇌는 비웃는다는 책에서도 강조하듯이 타인이 개입하면 목표를 달성하기 쉽고, 행복한 뇌는 단기적인 것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으며, 목표가 눈에 보이도록, 또 측정 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고자 할 때에는 자신이 그 가능한 방법과 수단을 직접 설정해보아야 한다고 한다. 이에 따라, 몇 시에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스스로 설정해보도록 페이지 중 일부 영역을 제공한다.The specific unit 130 may be provided to describe when, where, and what to do, in order to specifically describe the habit to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rategy generating unit 120 . In this case, the specifying unit may allow the user to directly set what kind of action to take based on the six-fold principle. The human brain tries not to do something the more we try to do it. As emphasized in the book I am determined but the brain is ridiculed, it is easy to achieve goals when others intervene, happy brains tend to focus on the short-term, and goals must be made visible and measurable. And, if you want to motivate yourself, you have to set up the possible methods and means yourself. Accordingly, some areas of the page are provided so that you can set yourself up for what and how to do it at what time.

환경설정부(140)는, 형성하고 싶은 습관이 잘 생각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을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1 라인,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방해하여 통제해야 하는 주변환경이 무엇인지를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2 라인,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더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이 무엇인지를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3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라인, 제 2 라인 및 제 3 라인은 열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The environment setting unit 140 is a first line provided to describe a method that can make a habit to be formed well remembered, and a first line provided to describ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be controlled by interfering with the habit to be formed. It may include a second line, a third line provided to describe what circumstances would make it easier to form a habit you would like to form. In this case, the first line, the second line, and the third line may be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보상설정부(150)는,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행했을 때 즉각적인 보상이 무엇인지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1 라인,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즐겁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2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ward setting unit 150 includes a first line provided to describe what an immediate reward is when a habit to be formed is performed, and a second line provided to describe a method for making a habit to be formed enjoyable. may include

시작준비부(160)는, 환경설정부(140) 또는 보상설정부(150)에서 기재된 사항 중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만들기 위해 미리 해야 할 행동에 대하여 기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고, 미리 해야 할 행동이 기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좌측 단부에는 체크박스가 포함될 수 있다. 체크리스트처럼 이 행동을 했다면 체크, 안했다면 빈 칸으로 두도록 구성된다.The start preparation unit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line in the column direction to describe the action to be performed in advance in order to create a habit to form among the items described in the environment setting unit 140 or the reward setting unit 150. In addition, a check box may be included at the left end of at least one line in which an action to be performed in advance is described. Like a checklist, it is configured to check if this action is performed, and leave blank if not.

리뷰부(170)는, 날짜를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1 항목(171), 형성하고 싶은 습관이 지켜졌는지를 표시하도록 OX 이미지가 인쇄된 제 2 항목(172), OX 이미지 중 X 이미지가 선택되었다면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지키지 못한 이유를 표시하도록 A 내지 E와 기타 문자가 인쇄된 제 3 항목(173),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형성했을 때 소감,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 및 문제의 해결책을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4 항목(174) 및 리뷰부(170)의 하단에 A 내지 E에 대응하는 이유가 체크리스트로 기재된 습관실패분석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review unit 170 is selected from the first item 171 provided to write the date, the second item 172 on which the OX image is printed to indicate whether the habit to be formed is kept, and the OX image A third item 173 in which A to E and other letters are printed to indicate the reason for not keeping the habit that you want to form, a habit you want to form, provided to describe your feelings, ideas for development, and solutions to problems The reason corresponding to A to E at the bottom of the fourth item 174 and the review unit 170 may include a habit failure analysis unit 175 described as a checklist.

트래킹부(180)는, 도 5g를 참조하면,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지킨 경우를 표시하도록 한 달 단위로 1 부터 31까지 숫자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반투명 스티커(190)는, 도 8을 참조하면, 숫자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이미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숫자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이미지 상에 부착하여 성공 또는 실패를 표시하도록 서로 다른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반투명으로 한 이유는 사용자가 쓴 글씨가 보이면서도 어떤 날에 실패를 했는지 또는 성공을 했는지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tracking unit 180, referring to FIG. 5G, may include an image in which numbers 1 to 31 are sequentially recorded on a monthly basis to indicate a case in which a habit to be formed is kept. At this time, the translucent sticker 190, referring to FIG. 8, is attached to the image in which numbers are sequentially recor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 which the numbers are sequentially recorded to indicate success or failure. can The reason for making it translucent is to make it possible to intuitively see what day the user failed or succeeded while the user's writing was visible.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좋은 습관 노트(1) 및 나쁜 습관 노트(2)는, 도 3b와 같이 습관형성전략으로 성공확률을 높이기 위해, 아주 작은 단계부터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환경설정과 보상, 또 포기 전 피드백을 통하여 포기를 포기하도록 도와준다. 또 도 3c와 같이 여러 습관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습관에 먼저 집중할 수 있도록 우선순위를 두고 기재하도록 하며, 도 3d와 같이 리뷰를 통하여 무엇이, 언제, 어떻게 잘 못되었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도록 하거나, 잘하는 경우 더 잘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스스로 고민하게 한다. 도 3e와 같이 좋은 습관은 만들고 나쁜 습관은 없앨 수 있도록 하고, 도 4와 같이 습관 체크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준다.Referring to FIG. 3A , a good habit note 1 and a bad habit not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in detail from a very small step in order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 as a habit formation strategy as shown in FIG. 3b . and help them give up giving up through preferences, rewards, and feedback before giving up.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c, we prioritize and write so that we can focus on the most important habit first among various habits, and as shown in Fig. 3d, through a review, what, when, and how went wrong, and to find a way to improve it, or , if you are good at it, make yourself think about how you can do it better. As shown in FIG. 3E, good habits can be created and bad habits can be eliminated, and as shown in FIG. 4, it motivates to self-check habits.

<좋은 습관 노트><Good Habit Note>

도 5a를 참조하면, 좋은 습관을 계획하도록 얻고자 하는 모든 습관을 기재한 후, 그 다음 동기부여를 할 수 있도록 스스로 보상을 기재하도록 한다. 도 5b와 같이 습관 중 어떤 것을 가장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도록 하고, 인간의 한정된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도록 한다. 도 5c와 같이 습관을 만들 수 있는 비법이나 흔하게 범하는 오류를 인지시키고, 도 5d 및 도 5e와 같이 지켰는지 또는 지키지 않았는지를 체크하도록 한다. 도 5f 및 도 5h는 상술한 바와 같고, 도 5i와 같은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의 변경 또는 페이지의 추가가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after writing down all the habits to be acquired to plan a good habit, then write a reward for yourself so that you can motivate yourself. As shown in Fig. 5b, it is to figure out which of the habits to pretend, and to efficiently distribute the limited energy resources of humans. As shown in Fig. 5c, we recognize the recipe for creating a habit or a common error, and check whether or not it is observed as shown in Figs. 5d and 5e. 5F and 5H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FIG. 5I. Of course, there may be a change in design or addition of a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나쁜 습관 노트><Bad Habit Note>

도 6a와 같이 버리고 싶은 습관을 모두 기재하도록 한 후, 습관을 버린다면 어떠한 삶을 살게 될 것인지 스스로 내적보상을 구체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도 6b와 같이 습관 중 어떤 것을 가장 버려야 하는지를 파악하도록 하고, 인간의 한정된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도록 한다. 도 6c와 같이 나쁜 습관을 버릴 수 있는 비법이나 흔하게 범하는 오류를 인지시키고, 도 6d 및 도 6e와 같이 지켰는지 또는 지키지 않았는지를 체크하도록 한다. 도 6f 내지 도 6h는 나쁜 습관을 하지 않으려고 할 때 대체행동을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나쁜 행동 대신 다른 행동으로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아지를 훈련할 때에도 입에 물고 있는 장난감을 뺏기 위해서는 다른 장난감을 보여주어 주의를 돌리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 경우에도 나쁜 습관을 하려고 할 때,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덜 나쁜 습관으로 유도함으로써 나쁜 습관이 덜 나쁜 습관 또는 좋은 습관으로 대체되도록 한다. 도 6g 및 도 6h는 도 5g 및 도 5h와 대응하고, 도 6i와 같은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의 변경 또는 페이지의 추가가 있을 수 있다.After writing all the habits you want to throw away as shown in FIG. 6A, you go through a step of specifying your own internal reward for what kind of life you will lead if you give up the habits. As shown in Fig. 6b, which of the habits should be discarded the most, and to efficiently distribute the limited energy resources of humans. As shown in Fig. 6c, we recognize a recipe for throwing away a bad habit or a common error, and check whether or not it is observed as shown in Figs. 6d and 6e. 6F to 6H show alternative behaviors to be set when not trying to avoid bad habits, so that other behaviors can be induced instead of bad behaviors. For example, even when training a puppy, it is most effective to show a different toy to distract him in order to take away the toy he is holding in his mouth. Even in this case, when you are trying to do a bad habit, you induce the bad habit to be replaced by a less bad habit or a good habit by inducing it into a less bad habit that can be replaced. 6G and 6H correspond to FIGS. 5G and 5H, and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FIG. 6I. Of course, there may be a change in design or addition of a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노트의 재질, 무게, 사이즈, 제본 방식은 도 7과 같으나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다. 도 8의 반투명 스티커(190)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material, weight, size, and binding method of the habit no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7 ,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ince the semi-transparent sticker 190 of FIG. 8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오프라인용 습관 노트 외에도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및 시각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일상생활(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의 활동을 감시하고 이전 패턴으로부터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현재 좋은 습관은 얻고 나쁜 습관은 버리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인공지능은 카메라 및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일상 생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일상 또는 주 단위의 패턴 변화를 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기관리를 통해 전반적인 삶의 질을 점차 향상시킬 수 있고 일상활동 감지 시스템은 생활습관 및 생활패턴의 변화를 축적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offline habit notes described above, using a user terminal (smartphone) and visual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detect changes from previous patterns By doing so, you can determine whether you are currently acquiring good habits and abandoning bad habits. Artificial intelligence can detect changes in patterns on a daily or weekly basis by using cameras and sensors to collect data from a user's daily life. Through this, the user can gradually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life through self-management, and the daily activity detection system can accumulate changes in lifestyle and lifestyle.

ADL 모니터링은 해결해야 할 몇 가지 기술적 문제가 있는데 가정에서 전개되는 센서의 선택과 설정은 물론, 이벤트 검출 및 분류를 위해 고려해야 할 신호 처리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다. 이때, 카메라(RGB, Depth, Lidar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 EEG(Electroencephalogram), EMG(Electromyography), ECG(Electrocardiogram), 마이크, 레이더, IoT 디바이스 등으로부터 신체움직임, 생체신호, 소리신호 등 멀티모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이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실제로 실천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초기에 발생하는 데이터의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ETRI-Activity3D와 NTURGB+D 120 등의 데이터셋을 이용할 수 있다.ADL monitoring has several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the selection and configuration of sensors deployed in the home, as well as signal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be considered for even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At this time, multi-modal data such as body movement, bio-signals, and sound signals from cameras (RGB, Depth, Lidar, etc.), wearable devices, EEG (Electroencephalogram), EMG (Electromyography), ECG (Electrocardiogram), microphone, radar, IoT device, etc. technology that can extract meaningful information by processing in real time can be used. Based on this, AI can accurately understand the user's condition and monitor whether it is actually being practiced. Data sets such as ETRI-Activity3D and NTURGB+D 120 can be used to solve the lack of data that occurs in the beginning.

현재의 모든 3D 행동 인식은 다양한 측면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 행동 클래스의 수이다. 적은 수의 클래스를 이용할 수 있을 때, 각 액션 클래스는 간단한 동작 패턴이나 심지어 상호작용하는 객체의 외관을 발견함으로써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클래스의 수가 증가하면, 동작 패턴과 상호 작용하는 물체가 클래스 간에 공유되고 분류 작업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두 번째는 제한적인 카메라 뷰다. 대부분의 데이터셋의 경우, 모든 샘플은 고정 카메라 관점을 가진 전면 뷰에서 캡처된다. 다른 일부의 경우 뷰는 여러 대의 카메라를 동시에 사용하여 고정된 전면 뷰와 측면 뷰로 제한된다. All current 3D behavioral recognition has limitations in various aspects. First, the number of behavior classes. When a small number of classes are available, each action clas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by discovering a simple behavior pattern or even the appearance of an interacting object. However, as the number of classes increases, behavior patterns and interacting objects may be shared between classes and the classification task may become more difficult. The second is the limited camera view. For most datasets, all samples are captured from a front view with a fixed camera perspective. In other cases, the view is limited to fixed front and side views using multiple cameras simultaneously.

하지만 ETRI-Activity3D 데이터셋은 70cm와 120cm 높이에 각각 Kinect v2 센서가 설치된 촬영 장비를 장소를 변경해가며 8개를 동기화시켜 동시에 캡쳐한 결과이고, 관찰된 가장 빈번한 동작을 기반으로 55개의 동작 클래스가 기 정의되어 있다. 이 55개 동작 중 일상생활에서 더 빈번하게 사용되며 NTU RGB+D 데이터셋과 공통되는 15가지 행동 데이터를 선별한다. 예를 들어 물 마시기, 양치질, 세수하기, 상의 입기, 상의 벗기 등이다. 데이터 클래스를 선별 및 재라벨링 한 후 데이터 통합 과정을 거친다. ETRI-Activity3D와 NTURGB+D의 공통적인 데이터는 RGB, Depth, 3D skeleton 이다. 구현을 위하여 Internal Feature Fusion, GCA-LSTM, MultiTask Learning Network, FSNet, and Multi-Task CNN with RotClips 등의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However, the ETRI-Activity3D dataset is the result of synchronizing 8 photographing equipment with Kinect v2 sensors installed at a height of 70 cm and 120 cm, respectively, by changing locations, and 55 motion classes are recorded based on the most frequent motions observed. It is defined. Among these 55 behaviors, 15 behavioral data that are more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and are common with the NTU RGB+D dataset are selected. For example, drinking water, brushing teeth, washing your face, putting on your clothes, taking off your clothes, etc. After selecting and relabeling data classes, data integration process is performed. Common data of ETRI-Activity3D and NTURGB+D are RGB, Depth, and 3D skeleton. For implementation, models such as Internal Feature Fusion, GCA-LSTM, MultiTask Learning Network, FSNet, and Multi-Task CNN with RotClips can be used.

상술한 구성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만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행동인지, 나쁜 습관 추적 및 생활 습관 수집 및 분석을 할 수도 있다.If only a wearable device is used amo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behavior recognition, bad habit tracking, and lifestyle collection and analysis may be performed.

<행동인지><Is it an action>

손목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이터 센싱으로부터 사용자가 활동 상태인지 혹은 수면상태인지를 구분할 수 있으며, 활동상태에서는 운동상태와 식사상태를 인지하게 하여 생활습관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상태로는 손목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5가지 웨이트 트레이닝(광배근운동, 삼각근/승모근 운동, 대흉근 중앙운동, 대흉근 전체운동, 복직근/복사근 운동)을 분류할 수 있다. 식사 행동 인지 역시 손목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손의 궤적을 분석해 식사 행동을 인지하게 한다. 또한 식사행동 횟수의 밀도에 기반하여 식사시간을 추론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user is in an active state or a sleeping state from the data sensing of the wearable device worn on the wrist, and in the active stat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lifestyle by recognizing the exercise state and the eating state. For example, five types of weight training (lattice muscle exercise, deltoid/trapezius muscle exercise, pectoralis major central exercise, pectoralis major total exercise, rectus abdominis/oblique exercise) can be classified as an exercise state using a wrist wearable device. Eating behavior recognition also recognizes eating behavior by analyzing the trajectory of the hand using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wrist. Also, meal time can be inferred based on the density of the number of eating behaviors.

<나쁜 습관 추적><Tracking Bad Habits>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을 이용해 정의된 나쁜 습관과 유사 사전 행동 패턴이 검출 될 때 나쁜 습관에 대해 사전 행동인지를 하고 사용자가 나쁜 습관을 실행하기 이전에 알람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 나쁜 습관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뇌인지과학에 근거하여 사람이 변하려고 할수록 뇌의 저항은 커지게 된다. 뇌는 가장 에너지를 많이 쓰는 기관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뇌는 가장 에너지를 적게 쓰려고 하는 기관이기도 하다. 습관을 개선한다는 말은, 즉 습관의 재구성을 위해서는 뇌세포가 여러 번 자극이 되어야 하고, 세포 속에 있는 단백질 키나아제 A의 농도가 올라가고 확산되어 핵 속으로 들어가서 DNA를 자극해야 하고, 결국 유전자가 커지고 세포의 시냅스를 생성시키는 단백질을 형성해야 한다. 즉, 세포의 장기기억이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시냅스는 장기적 연결을 이루기가 쉽지 않다는 것인데, 자주 반복적으로 자극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뇌가 에너지를 쓰지 않으려는 저항만큼 사용자에게도 생명을 위협하거나 안전 또는 재산을 위협하는 자극을 주는 경우, 뇌는 이 자극을 기억하고 그 행동을 거부하며 시냅스를 연결하게 된다.When a pre-action pattern similar to a defined bad habit is detected using a wearable device and a smartphone, the user recognizes the bad habit as a proactive action and informs the user through an alarm service before the user executes the bad habit to improve the bad habit. ca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brain cognitive science, the more people try to change, the greater the resistance of the brain. The brain is also the organ that consumes the most energy, but it is also the organ that seeks to use the least energy. To improve a habit, that is, to reorganize the habit, the brain cells must be stimulated several times, the concentration of protein kinase A in the cell increases and diffuses, enters the nucleus to stimulate DNA, and eventually the gene grows and the cell to form a protein that creates a synapse of In other words, the long-term memory of the cell must be formed. The problem is that synapses are not easy to make long-term connections, and they have to be stimulated frequently and repeatedly. When the brain gives a stimulus that threatens life or threatens safety or property as much as the resistance of the brain to use energy, the brain remembers the stimulus, rejects the action, and connects the synapse.

상술한 뇌인지과학에 기반하면서, 또 다른 사실을 전제하기로 한다. 나쁜 습관이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발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주기적인 운동이나 규칙적인 생활 패턴 등 스트레스에 강인한 요소들의 비율이 높은 실험 대상일수록 각종 나쁜 습관의 빈도가 낮다. 따라서 식사/수면/운동 뿐 아니라 행동요소들을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추론하고 이를 생활 습관 분석에 적용하기 위해 관련 도메인 지식을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다.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유사한 양상으로 환경에 대한 정보도 상황정보에 포함시켜 분석할 수 있다. 특히 불쾌지수나 기압에 따라서 나쁜 습관의 발생 빈도가 달라질 수 있고, 피일조량이 적은 겨울철에는 수면장애가 급증한다. 최근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 요소에 따라서 생활양식이 변화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기상(맑음/흐림/비/눈), 온도 및 습도, 일출 및 일몰 시각, 미세먼지 및 황사에 정도와 변화량에 따른 행동 양식의 변화에 대해 분석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mentioned brain cognitive science, another fact is assumed. It is a fact that bad habits are more likely to develop depending on the level of stres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ratio of factors that are strong against stress, such as periodic exercise or regular life patterns, the lower the frequency of various bad habits. Therefore, in order to infer stress based on behavior factors as well as eating/sleep/exercise and apply it to lifestyle analysis,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and analyze related domain knowledge. In addition to stress,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in a similar manner can be included in the contextual information and analyzed. In particular,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bad habits can vary depending on the discomfort index or air pressure, and sleep disturbances increase rapidly in winter when there is little sunlight. Considering the fact that lifestyles are changing according to air pollution factors such as fine dust, Changes in behavior patterns can be analyzed.

우선, 스트레스와 환경정보로부터 나쁜 습관 요소를 검출한다. 먼저 스트레스에 따른 요소 검출은 행동양식의 변화 중 정적인 행동에 대비하여 동적인 행동의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수면은 스트레스에 영향을 많이 받는 요소 중 하나다. 사전 조사 분석된 스트레스 도메인 지식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며 수집된 다양한 행동 정보에서 컴퓨팅 처리 과정을 통해 산출될 수 있는 행동양식을 설계할 수 있다. 환경정보 역시 도메인 지식에 기반하여 행동양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정보를 선별하고, 추출 가능한 요소를 추출할 수 있고, 온도나 습도 등 기초적인 환경 정보부터 개인의 실내외 위치를 구분해 무더운 날씨에 얼마나 실외에 있었는지, 또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 얼마나 실내에 있는지 등 상위 상황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First, bad habit factors are detected from stress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First, element detection according to stress is an example of a change in the ratio of dynamic behavior compared to static behavior among behavioral changes. Also, sleep is one of the factors most affected by stress. It is possible to design a behavioral pattern that can be calculated through a computational process from various behavioral information collected while conducting research based on the stress domain knowledge analyzed in advance. Environmental information can also select environmental information that can affect behavioral patterns based on domain knowledge and extract extractable factors. High-level situational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such as how long you have been outdoors or how much you have been indoors on days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high.

사용자의 주요 활동 패턴 요소 정의에 기반한 관계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확장에 용이한 활동, 수면, 운동, 실내측위 관련 패턴 관계 데이터 모델링 하는 방법이다. 사용자 고유의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사용자에 맞는 모델이 선택되고, 사용자로 부터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현재 상태는 정상 패턴과 이상 패턴으로 구분되어 사용자의 이상 패턴을 분류하는 방법에 사용되고 있다.You can also use the method of designing a relational data model based on the user's main activity pattern element definition. This is a method for modeling activity, sleep, exercise, and indoor positioning related pattern relation data that is easy to expand. When a user's own information is input, a model suitable for the user is selected, and the current state is analyzed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he current state is divided into a normal pattern and an abnormal pattern, and is used in a method of classifying a user's abnormal pattern.

<생활 습관 수집 및 분석><Lifestyle collection and analysis>

생활 습관 정보를 수집/분석/조회하기 위해 각각 에이전트/서버/클라이언트로 구성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활동량계, 스마트폰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에이전트는 측정되는 신호로부터 1차적인 행동 분류기를 탑재할 수 있다. 행동 데이터 분석은 서버에서 수행되며 수집된 행동 데이터들을 결합하여 상황정보를 도출하고, 행동 시퀀스 패턴을 생성하며 수면/식사/스트레스 등 다양한 도메인 지식에 근거를 둔 분석 엔진을 통해 분석 결과를 도출하도록 할 수 있다. 조회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에서 처리되며 서버로부터 분석 결과 값을 수신하여 그래프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손목형 활동량계, 위치, 스마트폰 사용로그 등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해 웹통신을 이용하며 활동량계는 기존의 개방형 프로젝트(Gadgetbridge)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스마트폰 GPS 수집기 및 스마트폰 사용 로그 수집기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수집된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 업로드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In order to collect/analyze/inquire lifestyle information, you can build a system composed of agents/servers/clients, respectively. An activity meter, an agent for collecting data from a smartphone, may be equipped with a primary behavior classifier from the signal being measured. Behavior data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server and combines the collected behavior data to derive contextual information, generate behavior sequence patterns, and derive analysis results through an analysis engine based on knowledge of various domains such as sleep/meal/stress. can The inquiry service is processed by the client, and the analysis result value is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output in the form of a user interface such as a graph. Web communication is used to collect behavioral data such as wrist-type activity meter, location, and smartphone usage log from users and upload it to the server. The activity meter can use the existing open project (Gadgetbridge). In addition, you can use a data upload application that transmits data collected on a smartphone to a server in a batch using a smartphone GPS collector and a smartphone usage log collector.

수집기로부터 수집된 행동 데이터로부터 특징을 추출하고 다양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사용자 정보로부터 각종 수집 데이터가 연결되며 분석에 필요한 공용 정보까지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수 있다. 도메인 지식에 기반을 둔 분석 엔진을 통하여 가공되지 않은 행동 시퀀스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분석결과도 데이터베이스에 포함하도록 구축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분석된 생활습관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웹 또는 모바일 형태의 기능을 구현하고, 행동 시퀀스나 수면정보, 각종 습관에 관련된 분석 결과에 적절한 그래프를 선별하여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용 가능하게끔 제공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design and build an analysis server database for extracting features from the behavior data collected from the collector and analyzing various correlations. Basically, various collected data are connected from user information, and a database can be designed that can include public information necessary for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engine based on domain knowledge, the analysis result calculated from the raw behavior sequence data can also be constructed to be included in the databa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web or mobile type function that can inquire the lifestyle information analyzed from the server, and select and output graphs suitable for the analysis results related to behavior sequences, sleep information, and various habits, and provide them for users to use. have.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누군가와 함께 하거나(타인에게 알리는 방법), 위협이나 재산상의 피해가 있을 때 에너지를 극도를 아끼려는 뇌를 에너지를 쓰도록 바꿀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쁜 습관을 줄이는 계획을 세운 경우, 보증금을 걸도록 하고, 호텔에서 물건을 파손한 경우 보증금에서 차감하듯이, 나쁜 습관을 할 때마다 보증금에서 벌금을 차감하거나 돌려주지 않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 타인과 함께 하도록 커뮤니티나 SNS를 만들어 서로 독려하고 인증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you are with someone (a method of informing others), or when there is a threat or damage to property, you can change the brain to use energy to conserve energy. Accordingly, if you have a plan to reduce bad habits, you can use the same method as having a deposit and deducting it from your deposit if you break something at a hotel, so you can deduct or not return a fine every time you commit a bad habit. have. In addition, you can create a community or SNS to encourage and authenticate each other to be with others.

이와 같은 온라인용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for the habit note for habit formation for online use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habit note for habit formation above, or becaus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habit note for habit 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etc.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 it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in the master terminal by the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habit note for habit 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program) installed by default in the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the user, and can be read by a computer such as in the terminal. It may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9)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기재하도록 구비된 라인을 포함하는 습관설정부;
상기 습관설정부의 하부에 상기 습관을 이루기 위하여 해야 할 일들의 리스트를 기재하도록 열(Column)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구비된 전략생성부;
상기 전략생성부의 하부에 상기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언제, 어디서 및 무엇을 할 것인지를 기재하도록 구비된 구체화부; 및
상기 형성하고 싶은 습관이 잘 생각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을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1 라인, 상기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방해하여 통제해야 하는 주변환경이 무엇인지를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2 라인, 상기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더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이 무엇인지를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3 라인을 포함하는 환경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라인, 제 2 라인 및 제 3 라인은 열 방향으로 나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
a habit setting unit including a line provided to describe a habit to be formed;
a strategy generating unit provided with at least one line in a column direction to write a list of things to be done in order to achieve the habit in the lower part of the habit setting unit;
a specific unit provided to describe when, where, and what to do, in order to specifically describe the habit to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rategy generating unit; and
A first line provided to describe a method for recalling the habit to be formed, a second line provided to describe what i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be controlled by interfering with the habit to be formed, and and an environment setting unit including a third line provided to describe an environment in which a desired habit can be made more easily,
The first line, the second line and the third line are a habit note for habit 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략생성부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중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첫 번째 라인의 우측 단부에는 난이도 최상, 두 번째 라인의 우측 단부에는 난이도 상, 세 번째 라인의 우측 단부에는 난이도 중 및 네 번째 라인의 우측 단부에는 난이도 하가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
The method of claim 1,
Among the at least one line of the strategy generating unit,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highest difficulty is at the right end of the first line, the highest difficulty is at the right end of the second line, the middle difficulty is at the right end of the third line, and the right end of the fourth line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iculty is writte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는,
상기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행했을 때 즉각적인 보상이 무엇인지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1 라인, 상기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즐겁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2 라인을 포함하는 보상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
The method of claim 1,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are,
a reward setting unit including a first line provided to describe what an immediate reward is when the habit to be formed is performed, and a second line provided to describe how to make the habit to be formed enjoyable;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는,
상기 환경설정부 또는 상기 보상설정부에서 기재된 사항 중 상기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만들기 위해 미리 해야 할 행동에 대하여 기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열 방향으로 구비된 시작준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해야 할 행동이 기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좌측 단부에는 체크박스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
5. The method of claim 4,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are,
a start preparation unit having at least one line in a column direction to describe an action to be performed in advance to create the desired habit among the items described in the environment setting unit or the reward sett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habit note for habit 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check box is included at the left end of at least one line in which the action to be performed in advance is describ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는,
날짜를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1 항목, 상기 형성하고 싶은 습관이 지켜졌는지를 표시하도록 OX 이미지가 인쇄된 제 2 항목, 상기 OX 이미지 중 X 이미지가 선택되었다면 상기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지키지 못한 이유를 표시하도록 A 내지 E와 기타 문자가 인쇄된 제 3 항목, 상기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형성했을 때 소감,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 및 문제의 해결책을 기재하도록 구비된 제 4 항목을 포함하는 리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
The method of claim 1,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are,
The first item provided to record the date, the second item on which an OX image is printed to indicate whether the habit to be formed has been kept, and if the X image is selected among the OX images, the reason for not keeping the habit to form is displayed A review unit including a third item printed with letters A to E and other characters, and a fourth item provided to describe a feeling when forming a habit to form, ideas for development, and solutions to problems;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뷰부는,
상기 리뷰부의 하단에 상기 A 내지 E에 대응하는 이유가 체크리스트로 기재된 습관실패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
7. The method of claim 6,
The review section,
Habit failure analysis unit in which the reason corresponding to the A to E is written as a checklist at the bottom of the review unit;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는,
상기 형성하고 싶은 습관을 지킨 경우를 표시하도록 한 달 단위로 1 부터 31까지 숫자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트래킹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
The method of claim 1,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are,
a tracking unit including an image in which numbers from 1 to 31 are sequentially recorded on a monthly basis to indicate a case in which the habit to be formed is kept;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는,
상기 숫자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이미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숫자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이미지 상에 부착하여 성공 또는 실패를 표시하도록 서로 다른 색상을 포함하는 반투명 스티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관형성을 위한 습관 노트.
9. The method of claim 8,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are,
Translucent stickers including different colors to indicate success or failure by attaching the numbers on the sequentially recorded images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quentially recorded images;
Habit notes for habit 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10056748A 2021-03-29 2021-04-30 Habit note for cultivating good habits KR10245308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0292 2021-03-29
KR1020210040292 2021-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132A KR20220135132A (en) 2022-10-06
KR102453089B1 true KR102453089B1 (en) 2022-10-12

Family

ID=8359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748A KR102453089B1 (en) 2021-03-29 2021-04-30 Habit note for cultivating good habi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08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570B1 (en) * 2013-04-01 2014-08-14 이중용 Inner paper for a Student Diar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773B1 (en) * 2008-12-31 2011-02-28 주식회사 교원 Study management diary of loose-leaf type
KR20110064733A (en) * 2009-12-08 2011-06-15 김슬기 Calender and planner refill paper
KR20210033825A (en) * 2019-09-19 2021-03-29 안예선 Diary for self-mana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570B1 (en) * 2013-04-01 2014-08-14 이중용 Inner paper for a Student Dia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132A (en)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arda et al. How brains make chaos in order to make sense of the world
Reason Human error
Heyes 17 What Can Imitation Do for Cooperation?
Goldman A moderate approach to embodied cognitive science
Wood et al. A review of long-term memory in natural and synthetic systems
Babloyantz Chaotic dynamics in brain activity
Frank Throwing out the Bayesian baby with the optimal bathwater: Response to
Sanches et al. Diffraction-in-action: designerly explorations of agential realism through lived data
West et al. Networks of echoes: imitation, innovation and invisible leaders
Mareschal et al. Computational modeling in developmental psychology
Chung et al. Real‐world multimodal lifelog dataset for human behavior study
Shadlen et al. Consciousness as a decision to engage
Pashler Encyclopedia of the Mind
Assunção et al. An overview of emo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US11928163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reating digital memories for a particular person
KR102453089B1 (en) Habit note for cultivating good habits
Vigren et al. Move, eat, sleep, repeat: Living by rhythm with proactive self-tracking technologies
Garfinkel The virtues of chaos
Vicente et al. Understanding the Brain Function and Emotions: 8th International Work-Conference on the Interplay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Computation, IWINAC 2019, Almería, Spain, June 3–7, 2019, Proceedings, Part I
Oliveira et 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elderly wandering prediction in indoor scenarios
Hegdé Neural Mechanisms of High‐Level Vision
Lohesara An Intelligent Assistive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Internet of Things for Patients with
Kaddachi Technological Approach for Early and Unobtrusive Detection of Possible Health Changes toward Better Adaptation of Services for Elderly People
Diaz Cifuentes Mining Activity Tracker Data To Analyse Physical Activity Behaviours And Provide Personalised Feedback In Health Education Programmes
Werner Cognition as self–organiz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