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790B1 - System for providing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for dental supplies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for dental suppl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790B1
KR102452790B1 KR1020220028881A KR20220028881A KR102452790B1 KR 102452790 B1 KR102452790 B1 KR 102452790B1 KR 1020220028881 A KR1020220028881 A KR 1020220028881A KR 20220028881 A KR20220028881 A KR 20220028881A KR 102452790 B1 KR102452790 B1 KR 102452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user terminal
inventor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준
이민종
김연수
신인숙
최선주
Original Assignee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영준
Priority to KR102022002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7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7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Abstract

Provided is a dental supplies inventory convenient management service provision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that sets the inventory quantity of at least one dental product and inputs whether or not to approve the same when an automatic order form for at least one dental product is generated and received; and an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at least one dental product to be mapped; a stock setting unit for stor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inventory quantity of the at least one dental product when the user terminal sets the inventory quantity for at least one dental product; an automatic order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utomatic order form to meet the preset inventory quantity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if at least one dental product of the user terminal does not satisfy the preset inventory quantity; and a progress unit that proceeds with an order when the user terminal approves an automatic purchase order.

Description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FOR DENTAL SUPPLIES}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sion system

본 발명은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고유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치과용품을 관리하고 설정된 재고수량 미만인 경우 자동으로 발주목록에 포함시켜 자동발주서를 생성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provides a platform for managing dental supplies us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automatically including them in an order list when the inventory quantity is less than a set amount to generate an automatic order form.

제품의 생산에서부터 일련의 유통과정과 최종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전체 물류 파이프라인을 하나의 통합솔루션으로 연결한 공급사슬관리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국내 의료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즉, 의료공급사슬관리(Healthcare Supply Chain Management)가 이미 글로벌 의료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의료분야에서 공급사슬관련 제반비용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비용상승을 절감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절실하고, 자연히 의료관련 기업들은 공급사슬관리와 유지비용 절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급사슬관리 관련 재고, 제품, 자료, 자금흐름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수익성을 극대화시키고 고객니즈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의료기관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Supply chain management, which connects the entire logistics pipeline from product production to a series of distribution processes to the final consumer, into one integrated solution, has been applied in various fields and is recently applied to the domestic medical field. In other words, healthcare supply chain management is already being applied in the global medical field. As overall costs related to the supply chain in the medical field are rising rapidly, it is urgent to come up with an alternative to reduce these cost increases. Efforts are being made by medical institutions to maximize profitability and respond quickly to customer needs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of supply chain management-related inventory, products, data, and cash flow.

이때, 치과의 재고를 태그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311638호(2021년10월12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2505호(2013년02월04일 공개)에는, 재고관리단말에서 전자태그가 부착된 치과재료의 재고정보를 관리하고, 치과진료 표시단말에서 환자의 치아상태 3차원 이미지정보 및 환자에게 적용된 치과재료정보가 기록된 진료차트를 표시하며, 제조사 서버에서 전자태그가 부착된 치과재료의 제조정보 및 납품정보를 관리하는 구성과, RFID 태그를 치과용 물품에 부착하고, 치과용 물품의 생산, 유통, 소비 단계에서 재고, 물류 및 반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system for managing dental inventory using tags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e issue (published on February 04, 2013), the inventory management terminal manages the inventory information of dental materials with electronic tags attached, and the dental treatment display terminal provides three-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of the patient's teeth and dental material information applied to the patient. Displays the medical chart recorded by the manufacturer, and the manufacturer server manages the manufacturing information and delivery information of dental materials with electronic tags attached, RFID tags are attached to dental articles, and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dental articles A configuration for efficiently managing inventory, logistics, and returns in each step is disclosed.

다만, 전자 및 후자 모두 태그를 이용하여 관리한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실질은 입출고되는 내역만을 기록하는 것일 뿐, 이 데이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프로세스가 없고 모두 인간의 손을 거쳐 주문발주가 되어야 한다. 각 치과에서는 필요한 재고의 수량이 대략적으로 또는 경험치에 의해 정해져 있고, 이 수량을 항상 맞춰놓기 위하여 각 직원이 일일이 재고의 종류 및 수량을 카운트한 후 발주서를 작성하고 있다. 한 치과 당 400종이 넘는 치과용품 재고관리에 실수가 발생하는 경우 진료 또는 수술을 예약해놓고도 환자를 돌려보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환자의 치과에 대한 신뢰를 잃음은 물론 매출에까지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치과에서 재고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although it is stated that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managed using tags, the reality is that only the records of incoming and outgoing are recorded, there is no automated process using this data, and all orders must be placed through human hands. In each dental office, the quantity of inventory required is determined roughly or by experience, and each employee counts the type and quantity of inventory one by one and writes an order form in order to always match this quantity. If a mistake occurs in the inventory management of more than 400 dental supplies per dentist, patients may have to be returned even after reservations for treatment or surgery.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can automatically perform inventory management in dentistry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대한 재고수량을 설정받고, 설정된 재고수량 이하로 소진되는 경우 발주목록에 포함시켜 자동발주서를 생성하며, 생성된 자동발주서가 사용자 단말에서 컨펌되는 경우 주문절차를 진행하고, 고유식별코드로 관리함으로써 재고파악, 주문 및 배송확인을 편리하게 해주며, 각 치과별로 치과용품의 소진패턴을 학습 및 검증하여 맞춤형 재고관리를 하는 한편,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 후 각 지역 및 환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예측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재고관리의 편의성을 줄 수 있는,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et stock quantity for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from each user terminal, and generates an automatic order form by including it in the order list when the set stock quantity is used up or less, and the generated automatic order form is the user If confirmed at the terminal, it proceeds with the order process and manages it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make it easier to check inventory, order and check delivery, and learn and verify the exhaustion pattern of dental supplies for each dentist, while customizing inventory management. After building big data using public data,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in inventory management by providing predictive data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d patient. However,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task,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재고수량을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대한 자동발주서가 생성된 후 수신되면 승인 여부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재고수량을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고유식별코드 및 재고수량을 저장하는 재고설정부,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이 기 설정된 재고수량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기 설정된 재고수량을 충족하도록 자동발주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동발주서생성부, 사용자 단말에서 자동발주서에 대한 승인을 하는 경우 주문을 진행하는 진행부를 포함하는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inventory quantity of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and when an automatic order form for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s generated and received, whether or not to approve When setting the inventory quantity for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n the user terminal and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the user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are assigned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stored in the database to be mapped. Inventory setting unit to stor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inventory quantity of the product, when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of the user terminal does not satisfy the preset stock quantity, an automatic order form is created to meet the preset stock quantity and sent to the user terminal and an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n automatic order form generation unit, and a progress unit for processing an order when the user terminal approves the automatic order form.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대한 재고수량을 설정받고, 설정된 재고수량 이하로 소진되는 경우 발주목록에 포함시켜 자동발주서를 생성하며, 생성된 자동발주서가 사용자 단말에서 컨펌되는 경우 주문절차를 진행하고, 고유식별코드로 관리함으로써 재고파악, 주문 및 배송확인을 편리하게 해주며, 각 치과별로 치과용품의 소진패턴을 학습 및 검증하여 맞춤형 재고관리를 하는 한편,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 후 각 지역 및 환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예측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재고관리의 편의성을 줄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ory quantity for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s set from each user terminal, and when the set stock quantity is used up or less, it is included in the order list to generate an automatic order form, When the generated automatic order form is confirmed by the user terminal, it proceeds with the order process and manages it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make it easier to check inventory, order and check delivery. On the other hand, inventory management can be facilitated by providing predictive data according to each region and pati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ter building big data using public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5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Also,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to the extent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s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elp,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stated disclosur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of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In addition,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Meanwhile,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denot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of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terminal.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1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an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and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 However, since th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1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elephone networks,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networks, and the like.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Wi-Fi) ,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s, satellite broadcast networks, analog broadcast network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s, and the like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and the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치과용품의 재고관리를 신청하는 치과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재고수량을 설정한 후,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자동발주서를 제공하는 경우 이를 승인하거나 거절하는, 즉 최종 컨펌만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배송된 치과용품의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여 자동발주서 내 치과용품 리스트와 비교함으로써 주문목록과 배송목록을 확인하는 단말일 수 있고,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dental manager who applies for inventory management of dental supplies using a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related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approves or rejects, that is, only final confirmation, when an automatic order form is provided by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fter setting the inventory quantity of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checks the order list and the delivery list by scann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delivered dental appliance and comparing it with the dental appliance list in the automatic order form, or it may be a terminal managing the expiration date.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종류, 상세정보 및 가격 등의 치과용품 데이터를 수집하고, 고유식별코드를 생성하여 매핑한 후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치과용품 및 치과용품의 재고수량을 선택받고 설정된 재고수량보다 현재 보유한 재고수량이 낮아지는 경우 치과용품을 주문목록에 자동으로 입력한 후 자동발주서를 생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동발주서를 승인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로 주문을 한 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배송을 받은 후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배송완료처리를 하며 재고관리 및 유통기한관리를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providing a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In addition,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llects dental product data such as the type, detailed information, and price of at least one dental product from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and generates and map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t may be a server that stores it later.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fter selecting the stock quantity of dental supplies and dental supplies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automatically entering the dental supplies into the order list when the stock quantity currently held is lower than the set stock quantity It may be a server that generates an automatic order form. And,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fter receiving the delivery from the user terminal 100 after placing an order with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when the automatic order form is approved by the user terminal 100,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 the case of scanning , it may be a server that processes delivery completion and performs inventory management and expiration date management.

여기서,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조사, 생산업체 및 판매자의 단말일 수 있다. 판매자 단말(400)은 치과용품에 대한 정보를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고,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주문요청이 수신되면 주문, 배송, 교환 및 반품을 관리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of a manufacturer, a producer, and a seller using a dental applianc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related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The seller terminal 400 uploads information about dental products to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and when an order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it is a terminal that manages orders, delivery, exchange and returns. can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merchant terminal 4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ure 1, Figures 3 and 4 is an embodiment of th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t is a drawing for explanation.

도 2를 참조하면,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재고설정부(320), 자동발주서생성부(330), 진행부(340), 배송체크부(350), 용품관리부(360), 시점결정부(370), 임플란트관리부(380), 유통기한관리부(390), 예약관리부(391) 및 예측부(39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database conversion unit 310 , an inventory setting unit 320 , an automatic order form generation unit 330 , a progress unit 340 , a delivery check unit 350 , It may include a product management unit 360 , a timing determination unit 370 , an implant management unit 380 , an expiration date management unit 390 , a reservation management unit 391 , and a prediction unit 39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로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manages dental supplies inventory When transmitting a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can be installed or opened. In addition, the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the use of a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written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for example, includes an app (App)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도 2의 기본개념을 이하에서 기술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것들은 도 2에서 중복하여 기재하지 않는다.Before describing FIG. 2, the basic concept of FIG. 2 will be described below. Those described below will not be repeated in FIG. 2 .

<의료공급사슬관리><Medical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의 개념을 살펴보기 이전에 공급체인(Supply Chain: SC)의 개념부터 살펴보아야 하는데 공급사슬은 전형적으로 2개의 중요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즉, 자재관리(Material Management)와 물적유통(Physical Logistics)을 포함하고 있다. 자재관리는 조달물류를 의미하는 것이고 물적유통은 출하물류를 의미하는 것이다. 자재관리는 원자재, 부품 그리고 공급품의 획득과 저장과 관련이 있다. 세밀하게 자재관리는 생산원자재의 구매와 내부통제로부터 제조공정의 계획 및 관리 그리고 최종제품의 보관, 출하 및 유통에 이르는 자재흐름의 전체주기를 지원하는 것이다. 반면에 물적유통은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출하물류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활동에는 주문접수 및 처리, 재고 배치, 저장 및 처리, 출하운송, 혼재, 가격책정, 촉진지원, 반송품처리, 수명주기지원 등이 포함된다.Before examining the concept of Supply Chain Management (SCM), we must first look at the concept of Supply Chain (SC). The supply chain typically consists of two important business processes: Material Management and It includes physical logistics. Material management means procurement logistics and physical distribution means shipment logistics. Material management is concerned with the acquisition and storage of raw materials, parts and supplies. In detail, material management supports the entire cycle of material flow, from the purchase and internal control of production raw materials to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storage, shipment and distribution of the final product. On the other hand, physical distribution includes all shipping and logistics activities related to providing services to customers. These activities include order receipt and processing, inventory placement, storage and handling, shipping and transportation, consolidation, pricing, facilitation support, and return product handling. , life cycle support, etc.

의료공급사슬관리(Helathcare Supply Chain Management, HSCM)의 개념을 살펴보기 이전에 의료공급사슬(Helathcare Supply Chain, HSC)의 개념부터 살펴보면, 의료공급사슬은 4개의 주요 참여자 즉, 생산업자(제약회사), 구매자(딜러, 수탁업체 및 도매상), 제공업자(보건관련기관, 약국), 환자로 구성된다. 생산업체는 약품, 의료기기와 이식물 그리고 의료전달과 관련된 의료 및 외과 용품을 생산한다. 구매자는 집단구매기관(Group Purchasing Organization, GPO)과 제조업체로부터 제공업체까지 물품에 대한 지급 및 선적을 촉진시키는 유통업체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매자 중에서 주요 참여자는 수탁업체와 도매업체이다. 이러한 두 당사자들의 차이점은 근본적으로 물품 소유권의 획득과 관련이 있다. 수탁업체는 수탁계정으로 활동하는데 수탁업체는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 조건으로 지급받게 되고 수탁업체는 일시적으로 제품의 보관을 수행하고 제품을 제공업체에게 송부한다. 도매업체는 산업으로부터 또는 수탁업체에 의해 약품의 이용가능성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약품의 소유권을 획득하고 관련영업위험을 감수한다. Before examining the concept of Healthcare Supply Chain Management (HSCM), first looking at the concept of Healthcare Supply Chain (HSC), the healthcare supply chain consists of four major players, namely, producers (pharmaceutical companies). , buyers (dealers, consignees and wholesalers), providers (health-related institutions, pharmacies), and patients. Producers produce pharmaceuticals, medical devices and implants, and medical and surgical supplies related to medical delivery. Buyers consist of Group Purchasing Organizations (GPOs) and distributors who facilitate payment and shipment of goods from manufacturers to suppliers. Among these buyers, the main participants are consignees and wholesaler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parties is fundamentally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ownership of goods. The consignee works as a consignee account, and the consignee is paid as a fee condition for the service, and the consignee temporarily stores the product and sends the product to the provider. The wholesaler acquires ownership of the drug and assumes the associated operating risk in taking advantage of the drug's availability from industry or by subcontractors.

HSCM은 의료전달을 위해 자재와 서비스의 지속적이고 끊임없는 흐름을 통합하는 영업활동과 운영을 포함한다. HSCM의 가장 큰 도전의 하나는 운영적으로 낭비를 줄이는 품질과 적시의 환자치료를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재고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HSCM은 환자의 치료 니즈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즉각적으로 응대하도록 하기 위해 자원할당을 최대화함으로써 높은 서비스수준을 보증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HSCM 프로세스는 3가지 형태의 흐름 즉, 물적 흐름, 정보흐름, 그리고 금전적 흐름을 포함한다. 물적 흐름은 약품, 의약품, 외과소모품, 의료장치, 위생소모품, 식량공급품, 그리고 의사, 간호사 그리고 환자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장치 및 기타 보조제품의 공급을 포함한다. 정보의 흐름과 금전적 흐름은 효과적인 제품흐름과 조직의 성과개선을 위한 공급사슬 결정과 관련이 있다. 성공적인 HSCM은 주요 프로세스의 통합을 통하여 이러한 흐름의 계획, 관리, 통제를 요구한다.HSCM includes sales activities and operations that integrate a continuous and uninterrupted flow of materials and services for the delivery of health care. One of HSCM's greatest challenges is maintaining sufficient inventory levels to maintain operationally waste-reducing quality and timely patient care. For this reason, HSCM is designed to ensure a high level of service by maximizing resource allocation in order to respond effectively and promptly to patients' treatment needs. The HSCM process includes three types of flow: material flow, information flow, and monetary flow. Material flows include the supply of medicines, pharmaceuticals, surgical supplies, medical devices, sanitary supplies, food supplies, and devices and other ancillary products needed to support doctors, nurses and patients. Information flow and financial flow are related to effective product flow and supply chain decision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cessful HSCM requires the planning,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se flows through the integration of key processes.

<의료용품 재고관리><Medic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의료용품 재고관리(Healthcare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는 물품의 수요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발주시기, 발주량, 적정재고 수준을 결정하고 최적수준의 상태로 유지·관리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재고관리비용 즉, 구매단가, 보관유지비용, 주문비용, 재고품질손실비용을 포함하는 총재고비용을 최소화하고 적정재고를 유지하여 경제적인 구매활동으로 연결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HSCM에서는 의료물자 재고관리는 최적의 재고 수준을 결정하고 재고 투자, 보충 및 분류 체계를 개발하는 한편, 필요한 의약품 및 소모품의 즉시 가용성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응용분야에는 주기 계산, 공급업체관리재고(VMI) 및 자재소요계획(MRP)과 같은 시간 단계별 재고 계획이 포함된다. 많은 의료기관들이 SCM실행을 채택하는 중요성을 인식하여 왔지만 기술의 적용과 산업적 적용에서 원래 개발된 방법 및 최상의 실행은 종종 문제의 소지가 있다. 그 이유로 SCM의 도입은 아주 많은 진단형태와 절차에 대한 대응으로 광범위하게 각양각색의 수량들로 되어 있는 다양한 품목이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다는 것이 주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Healthcare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refers to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rder time, order quantity, and appropriate stock level and maintaining and managing it at an optimal level in order to respond quickly and economically when a demand for goods occurs. Its main purpose is to minimize the total inventory cost, including the purchase unit price, storage and maintenance cost, order cost, and inventory quality loss cost, and to maintain an appropriate inventory and connect it to economical purchasing activities. In HSCM, inventory management of medical supplies means determining optimal stock levels, developing inventory investment, replenishment and sorting systems, while ensuring immediate availability of necessary medicines and supplies. These applications include time-phased inventory planning such as cycle counting, supplier managed inventory (VMI) and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MRP). Although many health care institution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dopting SCM practices, the methods and best practices originally developed in th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and in industrial applications are often problematic. For that reason, the main factor is that the introduction of SCM is very complicated because various items in a wide variety of quantities have to be processed in response to a large number of diagnostic types and procedures.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치과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 및 재고수량을 선택 및 설정받고, 기 설정된 재고수량과 현재 보유한 재고수량을 비교하여 자동발주서를 생성하며, 사용자는 자동발주서를 보고 최종 컨펌만 하면 되도록 함으로써 재고관리에 낭비되는 인력 및 시간을 줄이고, 유통기한이 자동으로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자산의 낭비를 막으며, 배송이 된 후 고유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재고수량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인력으로 일일이 체크해야 하는 프로세스를 간소화시켜줄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기로 한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and stock quantity used in dentistry are selected and set, and an automatic order form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preset stock quantity and the currently held stock quantity, and the user It reduces manpower and time wasted in inventory management by ensuring only the final confirmation of the report, and prevents wastage of assets by automatically managing the expiration date. We will provide a platform that can simplify the process of checking one by one.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매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고유식별코드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1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 기구 및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database unit 310 may stor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to be mapped by assigning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may be a one-dimensional barcode including a barcode or a two-dimensional barcode including a QR code. The at least one dental article may include at least one equipment, instrument, and material used in dentistry.

재고설정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재고수량을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고유식별코드 및 재고수량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A 치과에서 치과용품을 400개 사용하고 있고, 치과용품1 내지 치과용품400에 대하여 A 치과가 개원했을 때부터의 사용 데이터가 전산에 기록될 수 있다. 어떠한 용품이나 재료가 얼마나 소비되는지를 알아야 주문량과 주문주기를 효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주문과 유통기한 임박 재료 처리에 들어가는 비용을 아낄 수 있다. 따라서, A 치과로부터 각 치과용품을 소진시킨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A 치과로부터 각 치과용품의 종류 및 수량을 설정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용품1의 재고수량이 10 개로 설정되었는데, 현재 치과용품1의 재고수량이 3 개라면, [치과용품1-7개]로 자동발주가 가능해질 수 있다. Inventory setting unit 320, when setting the inventory quantity for at least one dental product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inventory quantity of the at least one dental product may be stored. For example, dentist A uses 400 dental supplies, and for dental supplies 1 to 400, use data from the time when dentist A opened a hospital may be recorded in the computer. Knowing how much of a product or material is consumed can help determine the order quantity and order cycle efficiently. This saves unnecessary orders and costs associated with handling materials that are nearing their expiration da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ceive data of exhaustion of each dental appliance from dentist A, or set the type and quantity of each dental appliance from dentist A. For example, if the stock quantity of dental supplies 1 is set to 10, and the current stock quantity of dental supplies 1 is 3, automatic ordering may be possible with [1-7 dental supplies].

자동발주서생성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이 기 설정된 재고수량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기 설정된 재고수량을 충족하도록 자동발주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재고수량을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대한 자동발주서가 생성된 후 수신되면 승인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만약 400 여개가 넘는 치과용품에 대하여 각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인 경우, 예를 들어 전담직원이 없거나 있더라도 각 치과용품의 소모주기는 며칠 또는 몇 주이고 적정재고량은 몇 개인지를 모르는 경우에는 치과가 개원했을 때부터 현재까지 주문 데이터에 기반하여 재고수량을 추정하여 세팅할 수 밖에는 없다.The automatic order form generation unit 330, when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of the user terminal 100 does not satisfy the preset stock quantity, generates an automatic order form to meet the preset stock quantity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00 have. The user terminal 100 may set the inventory quantity of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and input whether or not to approve when an automatic order form for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s generated and then received. If there is insufficient data for more than 400 dental products, for example, even if there is no dedicated staff, the consumption cycle of each dental product is several days or weeks, and if you do not know how many items are in stock, a dentist may have opened. From the time until the present, there is no choice but to estimate and set the stock quantity based on the order data.

이에 따라, 자동발주서생성부(330)는 주문량 조정 알고리즘(Adjustment Algorithm)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의사결정 매커니즘이라 할 수 있는 피드백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이용할 수 있다. 재고관리 의사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로 수요예측정확도가 있다. 각 직원이 75% 정도로 수요예측정확도 목표를 설정하는 경우, 소요관리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직원은 예측수요(사전 주문량)와 실수요의 일치를 위한 통제행위를 반영한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정확도 기반의 재고관리 접근은 높은 재고고갈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이는 재료소진 위험부담을 제로화하기 위해 관리대상의 속성이나 중요도를 고려하는 재고관리 방식으로 보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요예측정확도 향상 피드백 구조와 재고중요도 반영 피드백 구조를 이용할 수 있고 이는 축적된 자료가 많지 않아 부분정보만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즉 축적된 자료가 많지 않아 수요의 분포를 가늠하기 힘든 상황으로 부분정보 하에서 의사결정자는 범위접근형(Range Approach)으로 가정한다. 또, 다양한 수요를 가정할 때, 일정한 범위에서 평탄한 레벨수요, 추세가 반영된 수요, 계절지수가 반영된 수요의 3가지 수요상황에 대해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tomatic order book generation unit 330 may use the order amount adjustment algorithm (Adjustment Algorithm). In particular, it can be used by focusing on the feedback relationship, which is a decision-making mechanism. One of the factors that directly influences inventory management decision-making is demand forecasting accuracy. If each employee sets a demand forecasting accuracy target of about 75%, using the demand management mechanism, the employee makes a decision reflecting the control action to match the predicted demand (pre-order quantity) with the actual demand. This accuracy-based approach to inventory management may face a high risk of depletion. This can be supplemented by an inventory management method that considers the nature or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object to zero the risk of material exhaustion. 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demand forecasting accuracy improvement feedback structure and an inventory importance reflection feedback structure, which is premised on having only partial information because there is not much accumulated data.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of demand due to the lack of accumulated data. Under partial information, the decision maker is assumed to use a range approach. In addition, assuming various demands, it is possible to simulate three types of demand conditions: flat level demand, trend-reflected demand, and seasonal index-reflected demand within a certain range.

<부분 수요정보를 이용한 주문량 결정 알고리즘><Order quantity determination algorithm using partial demand information>

전통적인 확률적 수요에 대한 재고모델은 수요의 확률분포에 대한 완전한 지식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급변하는 시장에서 특히 수요분포에 대한 정보를 완전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완전한 수요정보를 가지고 주문량을 결정할 수 있는 상황은 이상적(Ideal)인 경우이며, 실제로는 부분적인 수요정보를 가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부분적인 정보만을 가지고 주문결정을 내리는 문제는 오래 전부터 관심대상이었는데, Maximin 접근법은 최악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개념으로 수요의 평균과 분산만이 알려진 경우를 가정해 주문량을 결정했다. 이러한 접근법은 본질적으로 여러 무작위 변수의 문제를 대상으로 설계되었으며 단순히 뉴스벤더 문제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보수적인 방식이다.The traditional inventory model for stochastic demand presupposes complete knowledge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demand. However,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fully grasp information on demand distribution, especially in a rapidly changing market. Therefore, the situation in which order quantity can be determined with complete demand information is an ideal case, and in reality, it can be said that it is common to have partial demand information. The problem of making an order decision based on only partial information has long been of interest, but the Maximin approach determines the order quantity assuming that only the mean and variance of demand are known as the concept of maximizing the worst-case profit. This approach is inherently designed for problems with multiple random variables and is a conservative approach that is limited to simple newsvendor problems.

한편 상대적으로 덜 보수적인 접근법으로는 Minimax Regret 접근법인데, 이 접근방식은 의사결정자로 하여금 발생 가능한 기회비용의 최대치를 최소화한다. 특히 효용이론(Utility Theory)의 대안으로서 사람들이 행동하는 행동패턴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또, 후회의 개념을 사용하여 실질적인 주문량 결정과 뉴스벤더의 최적 주문량 사이에 관찰된 편향(Bias)을 반영한다. 무엇보다도 주문량 결정 매커니즘과 관련된 최대 후회를 확인하는 접근방식은 순간적인 제약을 만족시키는 모든 무작위적 분포에 대한 함수를 최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가격 선택, 재고관리 등 분야와 같은 다양한 응용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후회이론에 기반한 수요분포의 부분정보(평균, 범위, 분산, 대칭 등)만을 이용한 최적 주문량(q*) 결정 방정식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의사결정자가 직면하는 수요분포의 부분정보만 가지고 후회이론에 근거한 최적 주문량을 유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relatively less conservative approach is the Minimax Regret approach, which allows decision makers to minimize the maximum possible opportunity cost. In particular, it has been used to describe the behavioral patterns of people's behavior as an alternative to the Utility Theory. We also use the concept of regret to reflect the observed bias between determining the actual order quantity and the optimal order quantity for the news vendor. Above all, the approach to identifying maximum regrets related to the order quantity determination mechanism aims to maximize a function for all random distributions that satisfy the instantaneous constraint, and provides various application algorithms such as price selection, inventory management, etc. do. The equation for determining the optimal order quantity (q*) using only partial information (mean, range, variance, symmetry, etc.) of the demand distribution based on the regret theory can be used. Optimal order quantity can be derived.

이때 사용 가능한 수요분포의 부분정보로는 총 8가지로, ① 범위, ② 평균, ③ 평균&중앙값, ④ 평균&대칭도, ⑤ Unimodality&최빈값&범위, ⑥ Unimodality&최빈값&중앙값, ⑦ Unimodality&최빈값&대칭도, ⑧ 평균&분산이며 이 정보들은 주문량 결정 변수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Unimodality란 확률분포 중 하나의 최고점을 가지는 분포를 말하며, 정규분포, 코시분포, T-분포, 지수분포, 포아송분포 등 포함한다. 이때, 범위(최솟값, 최댓값) 정보와 평균 정보를 이용한 최적주문량(y*) 유도공식은 이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1은 범위(Range)를 아는 경우 유도식이고, 수학식 2는 평균(Mean)을 아는 경우 유도식이다.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β는 재고중요도(CR)의 역수개념이고, A와 B는 각각 최솟값, 최댓값을 의미하며, σ*는 후회지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범위정보를 이용하는 유도식의 접근방식을 이용하기로 한다. 이때, 재고중요도(CR)는, 과다재고비용과 과소재고비용으로 구성된 이 비율인 임계치(Critical Ratio)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re are 8 partial information of demand distribution available: ① Range, ② Mean, ③ Mean & Median, ④ Mean & Symmetry, ⑤ Unimodality & Mode & Range, ⑥ Unimodality & Mode & Median, ⑦ Unimodality & Mode & Symmetry , ⑧ mean & variance, and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a variable for determining the order quantity. Here, unimodality refers to a distribution having one of the highest points among probability distributions, and includes a normal distribution, a Cauchy distribution, a T-distribution, an exponential distribution, and a Poisson distribution. At this time, the optimal order quantity (y*) derivation formula using range (minimum value, maximum value) information and average information is the same as Equation 1 and Equation 2 below. Equation 1 is a derivation when the range is known, and Equation 2 is a derivation when the mean is known. In Equations 1 and 2, β is the concept of the reciprocal of inventory importance (CR), A and B mean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respectively, and σ* means the regret index.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uctive approach using range information is used. In this case, the inventory criticality (CR) means the critical ratio, which is this ratio composed of the excessive inventory cost and the excessive inventory cost.

Figure 112022024927462-pat00001
Figure 112022024927462-pat00001

Figure 112022024927462-pat00002
Figure 112022024927462-pat00002

부분정보 하에서의 의사결정 유형 중 자료기반(Data-Driven) 유형은 실제 상황에서처럼 수요정보가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해, 만일 과거의 수요정보가 d(n)=[d1,...,dn]로 관찰된다면, SAA(Sample Average Approximation)인 합리적인 접근방식은 예상치를 표본 평균의 기댓값으로 대체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는 수학식 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mong the decision-making types under partial information, the Data-Driven type is a case in which demand information is not known as in the real situation, if the past demand information is d(n)=[d1,...,dn]. If observed, a rational approach, which is Sample Average Approximation (SAA), can solve the problem by replacing the estimate with the expected value of the sample mean, which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3).

Figure 112022024927462-pat00003
Figure 112022024927462-pat00003

이때 d는 수요를, b와 h는 과소재고비용과 과다재고비용을 의미한다. 수학식 3은 모두 총 기대이윤의 평균치를 최소화하는 적정 재고량(q)을 찾기 위한 관계식을 의미하며, (hat)F(n)(·)은 n 개의 관찰 사상으로부터 얻어진 수요의 경험적 누적분포함수를 의미한다.Here, d is demand, and b and h are overstocking cost and overstocking cost. Equation 3 refers to a relational expression for finding an appropriate inventory quantity (q) that minimizes the average of the total expected profit, and (hat)F(n)(·) is the empirical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of demand obtained from n observation events. it means.

<시뮬레이션 모델링><Simulation modeling>

구현하고자 하는 모델의 기본 개념은 재고관리의 목표를 어디에 두는지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목표를 예측오차의 최소화에 두는지(정확도 기반), 기대효과의 최적화(중요도 기반)에 두는지에 따라 모델이 구분된다. 모델의 기본구조는 재고관리시스템 기본 인과구조에 기반할 수 있고, 시스템 다이나믹스 기반의 Vensim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 모델의 TIME STEP은 연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기본모듈의 주요 변수 간 인과관계는 범위 접근형 의사결정자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발생된 수요(Demand 변수)에서 주기마다 그동안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대값(MaxDemand 변수)과 최소값(MinDemand 변수)을 최신화하도록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최종 주문량(Order Quantity 변수) 결정 시 이 두 가지 수요정보를 이용하도록 변수간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기본적인 재고관리 흐름에 대해서는, 재고량(Inventory)은 공급(Supply)과는 양의 관계를 가지고, 소모(Consume)와는 음의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주기별로 잔여량(잔존량)은 재고량과 음의 관계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basic concept of the model to be implemented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where the goal of inventory management is placed. Mode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goal is to minimize the prediction error (accuracy-based) or to optimize the expected effect (importance-based). The basic structure of the model can be based on the basic causal structure of th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the Vensim software based on system dynamics can be used, and the TIME STEP of the simulation model can be set on an annual basi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of the basic module can include the scope-access-type decision maker process. In the generated demand (Demand variable), a relationship can be established to update the maximum value (MaxDemand variable) and the minimum value (MinDemand variable) based on the data accumulated during each cycle. When determining the final order quantity (Order Quantity variab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can be set to use these two types of demand information. For the basic inventory management flow, inventory is configur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pply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nsumption. In addition, the residual amount (remaining amount) for each cycle may be set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inventory amount.

또, 재고중요도와 과다재고비용(Overaged Cost), 과소재고비용(Overaged Cost)에는 특정 재고중요도를 표현하기 위한 파라미터 값을 입력하여 매 주기별로 기대효과(순이익), 누적 기대효과(누적이익 변수), 누적 평균 기대효과(평균이익)을 산출하도록 관계를 구성할 수 있다. 2 종류의 모델은 예측치-실수요간 예측오차와 최종 주문량의조정변수 사이의 피드백 관계를 가지는 예측오차 최소화 루프(정확도 기반), 그리고 각 주기별로 산출된 순효과와 누적 평균효과의 우위를 계산하여 그에 따라 보정되는 기대효과 최대화루프(중요도 기반)를 가지는 시스템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각 유형별 추가 루프와 최종 주문량 변수와의 인과관계를 그래프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ected effect (net profit) and cumulative expected effect (cumulative profit variable) for each cycle by inputting parameter values to express specific inventory importance in inventory importance, overaged cost, and overaged cost , the relationship can be constructed to calculate the cumulative average expected effect (average profit). The two types of models are the prediction error minimization loop (accuracy-based), which has a feedback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cast error between the forecast value and the actual demand and the adjustment variable of the final order quantity, and calculates the superiority of the net effect and the cumulative average effect calculated for each period It can be expressed as a system with an expected effect maximization loop (based on importance) that is corrected accordingl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additional loop for each type and the final order quantity variable can be set as a graph.

이 모델은 상술한 자료기반형 의사결정자와 범위접근형의 기본 캐릭터를 공통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 가지 모델 유형 모두 실제 수요분포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기 어려운 현실을 반영하여, 의사결정자는 경험한 수요정보를 바탕으로 주문량을 결정하며 획득한 수요의 부분 정보 가운데 범위정보(최대최소)를 활용하는 의사결정 매커니즘을 가진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의 최종 주문량 변수에 입력되는 결정식은 표 1과 같을 수 있다.This model can set the above-mentioned data-based decision maker and the range-approach-type basic character in common. Specifically, both model types reflect the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demand distribution in advance, so the decision maker decides the order quantity based on the experienced demand information and selects the range information (maximum and minimum) among the partial information of the acquired demand. It has a decision-making mechanism to use. Therefore, the determination formula input to the final order quantity variable of the simulation software may be as shown in Table 1.

[정확도 기반 유형 최종주문량 Equation]
MinDemand+(MaxDemand-MinDemand)*"재고중요도(CR)"+IF THEN ELSE(잔존량>0, -ⅠChunk, IF THEN ELSE(Consume<Demand, Chunk, 0))

[중요도 기반 유형 최종주문량 Equation]
MinDmand+(MaxDemand-MinDemand)*"조정된 CR“= MinDmand+(MaxDemand-MinDemand)*IF THEN ELSE (XIDZ (Ⅱ순이익,Ⅱ평균이익, 0 ) > = 1 , ( 1 - Ⅱ a d j u s t m e n t C h a n g e d C R ) * Ⅱ Chunk, -Ⅱ adjustment ChangedCR*ⅡChunk)
[Accuracy-based type final order quantity Equation]
MinDemand+(MaxDemand-MinDemand)*"Inventory Importance(CR)"+IF THEN ELSE(Remaining Amount>0, -ⅠChunk, IF THEN ELSE(Consume<Demand, Chunk, 0))

[Severity-based Type Final Order Quantity Equation]
MinDmand+(MaxDemand-MinDemand)*"adjusted CR“= MinDmand+(MaxDemand-MinDemand)*IF THEN ELSE (XIDZ (ⅡNet Profit,ⅡAverage Profit, 0 ) > = 1 , ( 1 - Ⅱ adjustment C hanged CR ) * Ⅱ Chunk, -Ⅱ adjustment ChangedCR*ⅡChunk)

정확도 기반의 경우, 매 주문 주기마다 예측-수요간 오차(잔존량)가 발생하면 이전 주기 주문량에서 일정 단위만큼 감소시켜 주문량을 결정한다. 한편 중요도 기반의 경우, 매 주기마다 관찰된 수요정보에 의한 순 기대효과가 평균효과를 상회할 때 추가적인 순효과가 기대됨에 따라 조정된 CR(재고중요도)의 일정 단위(Chunk)만큼을 증가시키는 주문량 공식을 이용할 수 있다. 2가지 모델은 공통적으로 N 주기의 기간으로 설정하고, 수요 변수가 최소 100에서 최대 300까지 동일한 확률로 발생하는 균등분포와 동일한 편차 조건을 가지는 정규분포, 그리고 수요변동성을 가미한 계절 수요(Seasonal, Sin함수 활용)를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물품 주문과 수령은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발생함을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수송 및 주문지연기간(Delay)은 고려하지 않을 수 있고, 조달 소요기간은 M으로 가정할 수 있다(주문량 주문 후 다음 주기반영).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는 수요분포 3가지 경우와 재고중요도 2가지 경우를 고려하여 총 6가지로 구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정리하면 이하 표 2와 같다.In the case of accuracy-based, if a forecast-demand error (remaining quantity) occurs in every order cycle, the order quantity is determined by decreasing the order quantity from the previous cycle by a certain uni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materiality basis, when the net expected effect from demand information observed at every cycle exceeds the average effect, an additional net effect is expected. formula can be used. The two models set the period of N cycles in common, and the uniform distribution in which the demand variable occurs with the same probability from the minimum of 100 to the maximum of 300, the normal distribution with the same deviation conditions, and the seasonal demand (Seasonal, Sin function utilization) can be set to occur. It may be assumed that the order and receipt of goods occur in a preset cycle unit. In addition, the transport and order delay period may not be considered, and the procurement period may be assumed to be M (reflected in the next cycle after order quantity order). The simulation scenarios can be divided into six cases in consideration of three cases of demand distribution and two cases of inventory importance.

구분division 변수variable 비고note 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 DemandDemand 균등분포uniform distribution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 계절수요seasonal demand 최솟값, 최댓값minimum, maximum 정확도 기반 & 중요도 기반Accuracy-based & Importance-based 관찰수요 평균, 표준편차Observed demand mean, standard deviation 정확도 기반 & 중요도 기반Accuracy-based & Importance-based ChunkChunk 조정단위adjustment unit 주문량 변화, 주문량 조정order quantity change, order quantity adjustment -- 재고중요도, 변동 재고중요도Inventory Materiality, Variable Inventory Materiality -- 매개변수parameter 구매가격, 잔존가치, 가격purchase price, residual value, price 구매가격, 잔존가치, 가격purchase price, residual value, price 과다재고비용, 과소재고비용Excess inventory cost, Excess inventory cost Overage Cost, Underage CostOverage Cost, Underage Cost 재고중요도(CR)Inventory Importance (CR) --

복수 이상의 수요분포를 적용한 이유는 각 치과에서 상당히 많은 치과용품을 다루는 만큼 다양한 수요분포의 상황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관찰하기 위함이다. 재고 중요도라는 파라미터에 주목하여, 그 불확실성에 따른 시스템의 강건성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Robust GoalSeeking 설계를 위한 프레임워크에 제시된 프로세스에 따라 임의로 지정한 파라미터 값의 보정작업과 민감도 분석을 더 수행할 수 있다.<강건한 파라미터 디자인>The reason for applying more than one demand distribution is to observe the simulation results in the situation of various demand distributions as each dentist handles a lot of dental products. Paying attention to the parameter called inventory importance, in order to consider the effect of the uncertainty on the robustness of the system, it is possible to further perform calibr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of the parameter values arbitrarily specified according to the process presented in the Framework for Robust GoalSeeking Design.< Robust Parametric Design>

시스템 다이나믹스 분야는 종종 다른 정량적 접근법과 비교될 때, 모델타당성 평가에 있어 강건성(Robustness)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파라미터 평가의 정확성과 관련된 영향에 대해서는 더욱 공격을 받는 편이다. 이에, 변수의 불확실성에 따른 영향력을 충분히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통해 시스템 다이나믹스 측면에서 특정 파라미터를 보정(Calibration)할 수 있는 강건한 변수 설계 방법론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방법론은 강건한 최적화(Robust Optimization)와 고유값 분석(EigenValue Analysis) 및 의사결정자의 Goal- Seeking 행위 이론을 포함하며, 수리적 모델의 문제해결과 변수의 불확실성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이에, 상술한 모델 역시 변수의 불확실성에 따른 영향이 예상되므로 강건한 변수 설계 방법론을 이용하여 특정 파라미터에 대한 보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Robust GoalSeeking 설계를 위한 프레임워크가 바로 이것이다. The field of system dynamics is often criticized for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robustness in model validity evaluation when compared with other quantitative approaches. In particular, it tends to be more attacked for the effects related to the accuracy of parameter evalu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se a robust variable design methodology capable of calibrating a specific parameter in terms of system dynamics through a method for sufficiently alleviating the influence of variable uncertainty. This methodology includes robust optimization, eigenvalue analysis, and the theory of goal-seeking behavior of decision makers, and is effective in solving problems in mathematical models and alleviating uncertainty of variables. Accordingly, since the above-mentioned model is also expected to be affected by the uncertainty of the variable, it is possible to perform correction on a specific parameter using a robust variable design methodology, and this is the framework for the robust GoalSeeking design described above.

프레임워크의 기본 프로세스는 분석 대상이 되는 모델에 대해 반복적으로 파라미터 보정작업을 수행하고,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시스템의 안정적인 Goal-Seeking 행동을 찾는 것이 목표가 된다. 이 프로세스는 분석대상이 되는 모델의 변수를 성격에 따라 분류하고, 특정 변수의 조정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이상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파라미터 값을 찾아내는 과정이다. The basic process of the framework aims to find a stable goal-seeking behavior of the system by repeatedly performing parameter correction on the model to be analyzed and performing sensitivity analysis on variables with uncertainty. This process is a process of classifying the variables of the model to b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finding the parameter values that achieve the ideal goal while repeatedly performing adjustments for specific variables.

진행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동발주서에 대한 승인을 하는 경우 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생성한 자동발주서를 승인만 하면 된다. 일일이 재고관리를 위해 치과용품을 엑셀로 정리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자동으로 체크 및 주문서를 만들어주고 사용자는 이에 대한 승인 또는 거부 버튼만 누르기만 하면 된다. The progress unit 340 may proceed with the order when the user terminal 100 approves the automatic order form. The user only needs to approve the automatic order form created by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reates a check and order form without having to organize dental supplies in Excel for inventory management, and the user only needs to press the approve or reject button for this.

배송체크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이 배송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고유식별코드로 자동발주서 내 수량 및 종류만큼 배송이 되었는지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고유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함으로써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예를 들어 치과에서 재고관리를 하는 직원이 바쁜 업무에 스캔을 잊었다고 하더라도 배송기사의 배송완료 이벤트가 발생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취확인을 눌렀다면 이는 재고목록으로 포함되도록 추가할 수 있다. Delivery check unit 350, when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s delivered, it is unique in the user terminal 100 whether the quantity and type in the automatic order form have been delivered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previously mapped and stored in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t can be checked by scanning or reading the identification code. If a user, for example, an employee who manages inventory at a dentistry forgets to scan due to busy work, the delivery driver's delivery completion event occurs, and if the receipt confirmation is pressed on the user terminal 100, it is added to be included in the inventory list. can do.

용품관리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가격 및 상세정보를 수집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을 판매할 수 있다.The product management unit 360 may collect the price and detaile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dental product from the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and assign and store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may sell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시점결정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을 소모하는 주기를 파악한 후, 자동발주서를 생성할 시점을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재고의 개수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치과용품은 2 주마다 10 개씩 사용된다고 가정하고, 1 개가 남은 시점이 2 주과 도과하는 시점이라면 이때 주문을 시작하는 경우 A 치과용품이 없어 환자를 돌려보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날씨, 택배파업여부, 연휴 여부, 주말 여부 등의 변수와, 예상되는 환자에게 사용될 치과용품의 종류를 고려하여 자동발주서를 생성할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The timing determining unit 370, after identifying the period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0 consumes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may set the timing for generating an automatic order form to the number of stocks of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10 dental supplies are used every 2 weeks, and if the time of 1 remaining is more than 2 weeks, when an order is started at this time, there is a case where the patient A needs to be returned because there are no dental suppli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iming of generating the automatic order form in consideration of variables such as weather, delivery strikes, holidays, weekends, and the type of dental supplies to be used for the expected patient.

임플란트관리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 중 임플란트에 대하여 임플란트가 생산된 시기, 유통기한, 임플란트를 임플란트한 환자, 임플란트를 임플란트한 시기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관리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mplant management unit 380 provides a menu that allows the user terminal 100 to manage the time when the implant was produced, the expiration date, the patient who implanted the implant, and the time when the implant was implanted with respect to the implant among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can do.

유통기한관리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을 소모하는 주기를 파악하고,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유통기한 잔여일자가,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을 소모하는 주기보다 짧은 경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을 소모하도록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The expiration date management unit 390 identifies a period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0 consumes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and the remaining date of the expiration date of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s shorter than the period in which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s consum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alarm message to consum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예약관리부(391)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진료 또는 수술이 예약된 환자를 입력하는 경우, 진료 또는 수술이 예약된 환자에게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재고를 파악하고, 예약된 날짜에 진료 또는 수술이 예약된 환자에게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이 존재할 확률을 계산하여 자동발주서의 생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약된 날짜에 치과용품이 없어서 환자를 돌려보내는 것만큼 단기적 및 장기적으로 손해를 끼치는 일은 없다. 이에, 예약관리부(391)는, 기대이익 최대화를 위한 주문량을 제공하는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Reservation management unit 391, when inputting a patient for treatment or surgery reserv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identify the inventory of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to be used for the patient for treatment or surgery reservation, and treatment on the reserved date Alternatively, the generation of an automatic order may be determined by calculating a probability that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to be used for a patient scheduled for surgery is present. There's nothing more detrimental in the short and long term than sending a patient back because they don't have dental supplies on the scheduled date. Accordingly, the reservation management unit 391 may use a model that provides an order quantity for maximizing the expected profit.

<기대이익 최대화를 위한 주문량><Order quantity to maximize expected profit>

너무 많이 주문하는 것과 너무 적게 주문하는 것 사이에는 상충관계(Trade-Off)가 존재한다. 이러한 상충관계를 정량화하는 데에는 비용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기대이윤을 최대화한다는 것은 이러한 비용들을 최소화 시킨다는 것과 같다. 과다재고비용(Overage Cost)은 Co로 기재하고 제품 한 개가 주문되었으나 팔리지 않아서 생기는 비용을 말한다. 예를 들어 A제품의 경우 구입가격이 110만원이고 잔존가치가 90만원일 때 Co는 20만원(110-90)이 된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과소재고비용(Underage Cost)이 있으며 Cu로 기재한다. 이는 팔릴 수도 있었던 제품 한 개를 보유하지 않아서 생기는 기회비용이다. Cu의 또 다른 정의는 제품 한 개를 팔아서 얻는 이익이다. 과소재고비용은 주문을 적게 함으로써 생기는 개당 기회비용이다. A제품의 경우 판매가격이 190만원라면 Cu는 80만원이 된다. 이때, Co와 Cu는 총비용이 아닌 개당 비용의 개념이다. 이렇게 한 단위에 대해 정의하는 이유는, 얼마나 많은 단위가 재고로 남을 것인지를 알 수 없고, 또한 얼마나 많은 단위가 판매기회를 상실하게 될 것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There is a trade-off between ordering too much and ordering too little. It is useful to apply the concept of cost to quantify these trade-offs. Maximizing expected profits is the same as minimizing these costs. Overage cost refers to the cost incurred because one product is ordered but not sold. For example, in the case of product A, when the purchase price is 1.1 million won and the residual value is 900,000 won, Co becomes 200,000 won (110-90). Contrary to this, there is an underage cost and is written as Cu. This is the opportunity cost of not owning one product that could have been sold. Another definition of Cu is the profit from the sale of one product. Overstocking cost is the per-unit opportunity cost of placing fewer orders. In the case of product A, if the selling price is 1.9 million won, Cu becomes 800,000 won. In this case, Co and Cu are concepts of cost per unit, not total cost. The reason for this definition of a unit is that you never know how many units will remain in stock, nor how many units will lose sales opportunities.

과다재고비용과 과소재고비용의 정의로부터 기대이윤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접근을 위해서는 이들 두 비용간 균형을 맞추는 Q를 결정해야 한다. 제품 한 단위에서의 기대손실은 그 한 단위를 재고로 남기게 될 때의 비용(과다재고 비용)과 그 한 단위가 재고로 남게 될 확률을 곱한 값이다. Q번째 단위의 경우 그 확률은 F(Q)이다. 이 표현에서 수요가 Q보다 작을 때 그 차이만큼 재고로 남게 된다. 그러므로 기대손실은 Co×F(Q)가 된다. 한편 제품 한 단위에서의 기대이익은 한 단위를 팔게 될 때의 이익(과소재고비용)과 그 한 단위가 팔리게 될 확률을 곱한 값이다. 이는 수요가 Q보다 클 때 발생하게 된다. 수요가 Q보다 클 확률은 (1-F(Q))이므로 기대이익은 Cu×(1-F(Q))가 된다. 결국 주문량 Q를 찾는 것은 Q번째 단위의 기대손실과 Q번째 단위의 기대이익이 같을 때의 등식을 푸는 것으로 귀결된다.From the definitions of overstocking cost and overstocking cost, in order to maximize the expected profit, we need to determine the Q that balances these two costs. The expected loss for a unit of product is the product of the cost of keeping that unit in stock (overstocking cost) multiplied by the probability that the unit will remain in stock. For the Qth unit, the probability is F(Q). In this expression, when demand is less than Q, the difference is left in stock. Therefore, the expected loss is Co×F(Q). On the other hand, the expected profit from one unit of product is the product of the profit from selling one unit (excessive inventory cost) multiplied by the probability that the unit will be sold. This happens when demand is greater than Q. The probability that demand is greater than Q is (1-F(Q)), so the expected profit is Cu×(1-F(Q)). In the end, finding the order quantity Q results in solving the equation when the expected loss of the Qth unit and the expected profit of the Qth unit are the same.

Figure 112022024927462-pat00004
Figure 112022024927462-pat00004

수학식 4가 의미하는 바는 기대이윤을 최대화 시키는 주문량은 수요가 Q보다 작거나 같을 확률이 Cu/(Co+Cu)와 같게되는 Q값이 된다는 뜻을 가진다. 과다재고비용과 과소재고비용으로 구성된 이 비율은 상술한 재고중요도이고, 원 용어는 임계치(Critical Ratio)라고 부른다. 상술한 A제품의 예에서 기대이윤을 최대화 시키는 주문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수요가 그 주문량보다 작거나 같을 확률이 한 특정 확률(CR)이 되는 그러한 주문량을 찾을 필요가 있다. 즉, Co는 20만원이고, Cu가 80만원인 A제품의 경우 CR은 80/(20+80)=0.8임을 알 수 있다. 만일 A제품 수요분포가 평균 3,192이고 표준편차 1,181인 정규분포를 이룬다는 정보가 공개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표준정규분포표를 통해 확률변수 값이 z보다 작거나 같을 확률이 80%가 되는 z value를 0.8416로 구할 수 있다. 해당 z값과 A제품의 수요분포 정보를 이용하면, 기대이윤을 최대화하는 주문량 Q=μ+z×σ=3,192+0.84×1,181=4,184가 됨을 알 수 있다. Equation 4 means that the order quantity that maximizes the expected profit becomes the Q value at which the probability that the demand is less than or equal to Q is equal to Cu/(Co+Cu). This ratio, which consists of overstocking cost and overstocking cost, is the above-mentioned inventory importance, and the original term is called Critical Ratio. In the example of product A described above, in order to determine the order quantity that maximizes the expected profit, it is necessary to find the order quantity such that the probability that deman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order quantity is a certain probability (CR). That is,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product A where Co is 200,000 won and Cu is 800,000 won, CR is 80/(20+80)=0.8. If it is assumed that the information that the distribution of demand for product A has a normal distribution with an average of 3,192 and a standard deviation of 1,181 is publicly available, the z value at which the probability that the value of the random variable is less than or equal to z is 80% is 0.8416 through the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table. can be obtained with Using the z-value and the demand distribution information for product A, it can be seen that the order quantity that maximizes the expected profit Q=μ+z×σ=3,192+0.84×1,181=4,184.

임계치(CR)라는 개념은 비용요소에 근거한 개념이므로 그대로 치과 재고관리 상황에 정량화하여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판매를 통한 수익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판매가격이라는 변수를 효용(재화의 소비를 통해 얻는 욕망의 만족도 지표)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이는 판매를 통한 이윤 획득이 아닌 재화의 소비(소모)를 통하여 환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치과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술한 주문량 결정 알고리즘에서도 임계치와 기대이윤이라는 용어를 재고중요도와 기대효과로 표현한다.Since the concept of CR is a concept based on cost factors, it is difficult to quantify and apply it to the dental inventory management situation as it is.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riable called a selling price used to calculate a profit through sales is defined as a concept of utility (indicator of satisfaction of desire obtained through consumption of goods). This i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entistry, which aims to provide medical services to patients through consumption (consumption) of goods rather than earning profits through sales.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order quantity determination algorithm, the terms threshold and expected profit are expressed as inventory importance and expected effect.

예측부(393)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미도시)로부터 보건의료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치과에서 청구되는 진료비, 진료코드, 날짜 및 환자의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를 추출하며, 적어도 하나의 치과에서 시기별 및 환자별로 소모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주기 및 수량을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학습 및 검증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치과의 위치 및 환자의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매할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을 예측할 수 있다. 최근 보건의료빅데이터가 공개됨에 따라 각 병원에서 치료받은 환자의 나이, 성별, 거주지, 진료코드, 진단코드, 진료비용 등이 제공되고 있다. 또, 진료분야코드, 진료구분코드, 청구형태코드, 수가(행위)코드, 약품코드, 재료대코드 등 진료내역코드, 진료내역의 분류유형과 분류코드를 조합한 코드(구분자+진료내역코드), 원료약, 치료재료 등이 모두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각 병원의 위치, 환자의 성별, 나이, 거주지 등을 빅데이터로 학습시키면 한 병원에서 어떠한 치과용품을 언제 몇 개나 사용할 것인지가 예측될 수 있다. 이는 추정치로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재고관리를 하는데 정확성을 높여줄 수 있다.The prediction unit 393 collects health and medical big data from at least one public institution server (not shown), and extracts medical expenses, treatment codes, dates and demographic data of patients charged from at least one dentist, At least one dentist learns and verifies the period and quantity of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consumed by period and patient by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nd the location of the dentist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demographic data of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predict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to be purchas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by using . As health and medical big data is recently disclosed, the age, gender, residence, treatment code, diagnosis code, and treatment cost of patients treated at each hospital are provided. In addition, medical field code, treatment classification code, claim form code, fee (action) code, drug code, material cost code, etc. Since raw materials and treatment materials are all disclosed, the location of each hospital, gender, age, residence, etc. of each hospital can be learned from big data to predict when and how many dental products a hospital will use. This may not be accurate as an estimate, but it can improve the accuracy of inventory management.

이하, 상술한 도 2의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로부터 치과용품 가격, 종류, 상세정보 등을 수집하여 판매자풀을 구축하고,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그리고, (b)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치과상호, 위치, 치과용품 및 재고수량을 입력받거나 기 저장된 주문내역을 입력받아 재고수량을 설정한다. (c) 그리고,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설정된 재고수량과 현재수량을 비교하여 자동발주서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승인을 받는 경우 주문을 진행한다. 그리고, 도 4의 (a)와 같이 유통기한 도래 상품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소진시키거나 싸게 판매하도록 도와주고, (b)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를 AR 마커로 하여 유통기한이 다가오는 상품에 대응하는 객체 상에 증강현실 콘텐츠 표시를 해줌으로써, 어느 상품이 유통기한이 다가오고 있는 상품인지를 하나하나 QR 코드를 찍어보지 않더라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 (c)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학습 및 검증함으로써 소모될 치과용품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d)와 같이 진료 스케줄 관리를 위하여 기대이익 최대화를 위한 주문량, 즉 과다재고비용(Overage Cost)과 과소재고비용(Underage Cost)을 고려함으로써 주문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 (a)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llects dental product prices, types, detailed information, etc. from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400 to build a seller pool, and assig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create a database. And, (b)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dental name, location, dental supplies and inventory quantity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receives a pre-stored order history to set the inventory quantity. (c) Then,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mpares the set stock quantity with the current quantity to generate an automatic order form, and when receiving approval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 order is placed. And, as shown in (a) of Figure 4 (a), by extracting a product with an expiration date and gu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100, it helps to exhaust it quickly or sell it at a low price, and as shown in (b), the QR code in the user terminal 100 By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on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with the expiration date as an AR marker,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ich product is the product with the expiration date approaching without having to scan the QR code one by one. In addition, (c)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learn and verify health and medical big data to create a list of dental supplies to be consumed, and to manage the treatment schedule as shown in (d), order quantity for maximizing expected profit, that is, excessive inventory It allows the order quantity to be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overhead cost and the underage cost.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Such matters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providing th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of FIGS. 2 to 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method of providing th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through FIG. 1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bed contents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the example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매핑되도록 저장한다(S5100).Referring to FIG. 5 ,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stores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be mapped to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 S5100 ).

그리고,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재고수량을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고유식별코드 및 재고수량을 저장하고(S5200),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이 기 설정된 재고수량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기 설정된 재고수량을 충족하도록 자동발주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300).And,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setting the inventory quantity for at least one dental product in the user terminal, and stor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inventory quantity of the user terminal, at least one dental product (S5200), of the user terminal When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does not satisfy the preset stock quantity, an automatic order form is generated to satisfy the preset stock quantity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S5300).

또한,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자동발주서에 대한 승인을 하는 경우 주문을 진행한다(S5400).In addition,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proceeds with an order when the user terminal approves the automatic order form (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 S5100 to S5400 )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s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providing th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of FIG. 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method of providing th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through FIGS. 1 to 4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bed contents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for providing a dental applianc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 5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etc. basically mounted on the terminal). Also, it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in the master terminal by the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method for providing a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installed by default o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can be read by a computer such as a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1)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재고수량을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대한 자동발주서가 생성된 후 수신되면 승인 여부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재고수량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고유식별코드 및 재고수량을 저장하는 재고설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이 기 설정된 재고수량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재고수량을 충족하도록 자동발주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동발주서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자동발주서에 대한 승인을 하는 경우 주문을 진행하는 진행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이 배송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고유식별코드로 상기 자동발주서 내 수량 및 종류만큼 배송이 되었는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고유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함으로써 체크하도록 하는 배송체크부를 포함하는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체크부는,
배송기사의 배송완료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취확인을 선택할 때, 상기 자동발주서 내 수량 및 종류를 재고목록으로 포함되도록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user terminal for setting the inventory quantity of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and inputting whether to approve when an automatic order form for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s generated and then received; and
Databaseization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be mapped to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when setting the inventory quantity for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n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the uniqueness of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nventory setting unit for storing identification code and inventory quantity, when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of the user terminal does not satisfy the preset inventory quantity, generates an automatic order form to meet the preset inventory quantity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Automatic order form generation unit, a processing unit that proceeds with an order when the user terminal approves the automatic order form, when the at least one dental product is delivered,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at is pre-mapped and stored in the at least one dental product an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delivery check unit to check whether the quantity and type in the automatic order form have been delivered by scanning or rea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 the user terminal;
includes,
The delivery check unit,
A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delivery completion event of the delivery driver occurs and receipt confirmation is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the quantity and type in the automatic order form are added to be included in the inventory lis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을 판매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selling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가격 및 상세정보를 수집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용품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a product management unit that collects the price and detaile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dental product from the at least one seller terminal and assigns and stores at least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식별코드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1차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a one-dimensional barcode including a barcode or a two-dimensional barcode including a QR cod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을 소모하는 주기를 파악한 후, 상기 자동발주서를 생성할 시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재고의 개수로 설정하도록 하는 시점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a timing determiner configured to set a time point for generating the automatic order form to the number of stocks of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after determining a period in which the user terminal consumes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 중 임플란트에 대하여 상기 임플란트가 생산된 시기, 유통기한, 상기 임플란트를 임플란트한 환자, 상기 임플란트를 임플란트한 시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관리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임플란트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an implant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a menu that allows the user terminal to manage the time when the implant was produced, the expiration date, the patient who implanted the implant, and the time when the implant was implanted with respect to the implant among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을 소모하는 주기를 파악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유통기한 잔여일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을 소모하는 주기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을 소모하도록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유통기한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a period of consuming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and when the remaining date of the expiration date of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s shorter than the period of consuming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Expiration date management unit for sending an alarm message to consume;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진료 또는 수술이 예약된 환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진료 또는 수술이 예약된 환자에게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의 재고를 파악하고, 예약된 날짜에 상기 진료 또는 수술이 예약된 환자에게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이 존재할 확률을 계산하여 상기 자동발주서의 생성을 결정하는 예약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a patient whose treatment or surgery is scheduled is inpu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inventory of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to be used for the patient for which the treatment or surgery is reserved is identified, and the patient whose treatment or surgery is scheduled on the scheduled date is identified. a reservation management unit that calculates a probability that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to be used exists and determines the generation of the automatic order form;
Dental supplies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품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 기구 및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dental appliance is a dental appliance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equipment, instrument and material used in dentistry.
삭제delete
KR1020220028881A 2022-03-07 2022-03-07 System for providing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for dental supplies KR1024527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881A KR102452790B1 (en) 2022-03-07 2022-03-07 System for providing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for dental suppl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881A KR102452790B1 (en) 2022-03-07 2022-03-07 System for providing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for dental suppl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790B1 true KR102452790B1 (en) 2022-10-11

Family

ID=8359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881A KR102452790B1 (en) 2022-03-07 2022-03-07 System for providing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for dental suppl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79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095A (en) * 2009-10-22 2011-04-28 나성호 Automatic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giving order based on rf tag
KR20180108516A (en) * 2018-06-22 2018-10-04 주식회사 피스티스 Method for smart ordering for dental material and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KR102311638B1 (en) * 2019-08-26 2021-10-12 조재영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ntal materials in dental clini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095A (en) * 2009-10-22 2011-04-28 나성호 Automatic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giving order based on rf tag
KR20180108516A (en) * 2018-06-22 2018-10-04 주식회사 피스티스 Method for smart ordering for dental material and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KR102311638B1 (en) * 2019-08-26 2021-10-12 조재영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ntal materials in dental clini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 et al. A review of coordination studies in the context of supply chain dynamics
Sandberg et al. Digital options theory for IT capability investment
Leung* et al. A robust optimization model for stochastic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Mathew et al. New trends in healthcare supply chain
CN108665212A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based on cloud platform
Lee et al. Adopting smart supply chain and smart technologies to improve operational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industry
CN107977812A (en) The automatic row&#39;s folk prescription method of production, apparatus and system
Framinan et al. Available-to-promise (ATP) systems: a classification and framework for analysis
US20160098524A1 (en) Medical inventory tracking
CN108665284A (en) Supply chain cloud platform system
KR20210050084A (en) pharmaceutical distribution platform
Cheng et al. Intermittent demand forecasting in a tertiary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Liotine Shaping the next generation pharmaceutical supply chain control tower with autonomous intelligence
US8321255B1 (en) Resource management and planning in a distributed manufacturing environment
Kazi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and performance at Kenya Medical Supplies Agency
KR102452790B1 (en) System for providing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for dental supplies
KR101569661B1 (en) Unif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local food
KR102142755B1 (en) Recommended type ordering method
Mulumba Inventory management practices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firms in Kenya: case of Agrochemical Firms
Pretorius et al. An empirical supply chain measurement model for a national egg producer based on the 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 model
Refonaa et al. MediStock: Medical Inventory Management System
Jayaraman et al. A decision support tool for healthcare providers to evaluate readiness and impacts of adopting supply chain data standards
Khan Use of technology in warehouse operations
Almanaseer Optimal supply network with vendor managed inventory in a healthcare system with RFID investment consideration
Jason et al. INFLUENCE OF DISTRIBUTION MANAGEMENT STRATEGIES ON THE PERFORMANCE OF CEMENT MANUFACTURING FIRMS IN MACHAKOS COUNTY; KENY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