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673B1 -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673B1
KR102452673B1 KR1020220028376A KR20220028376A KR102452673B1 KR 102452673 B1 KR102452673 B1 KR 102452673B1 KR 1020220028376 A KR1020220028376 A KR 1020220028376A KR 20220028376 A KR20220028376 A KR 20220028376A KR 102452673 B1 KR102452673 B1 KR 102452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hinge
center punch
external force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3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우
Original Assignee
김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우 filed Critical 김선우
Priority to KR1020220028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6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6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5/00Centre pun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1Tools for breakin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breaking tempered glass. A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includes: a bottom part having an accepting hole penetrating upper and lower surfaces; an adsorption par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to be deformed and restored and adsorbed to a glass plate when pressed from one side of the bottom part to the other side; a center punch part accepted into the accepting hole of the bottom part with a striking module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bottom part and a punch module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art; and a lever part including a hinge modul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art, and a pressing rod module connected with the hinge module to press the center punch part while moving closer to center punch part when the other end of the hinge module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hinge module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o be separated from the center punch part while moving away from the center punch part when the other end of the hinge module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hinge module is rotated clockwis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nabling men and women of all ages to break tempered glass.

Description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본 발명은 강화유리를 파괴시키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breaking tempered glass.

강화유리는 지하철, 고속버스, 고층건물 등에는 사용되고 있다. 강화유리는 보통 유리의 5배 이상의 강도를 가진다. 이러한 강도는 일반 성인 남성이 망치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힘껏 쳐도 견딜 수 있는 강도이다.Tempered glass is used in subways, express buses, and high-rise buildings. Tempered glass has five times or more strength than ordinary glass. This strength is the strength that an ordinary adult male can withstand even if he uses a hammer or other instrument to hit it hard.

따라서, 강화유리는 잘 깨어지지 않아 외부에서 위험한 물건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Therefore, the tempered glass is not easily broken so that dangerous objects from the outside do not flow into the inside.

반면, 강화유리는 위험한 상황에서 내부에 있는 사람이 외부로 탈출을 방해하는 방해물이 될 수도 있다. 일례로, 고속버스의 강화유리 또는 선박의 강화유리는 고속버스에서 화재가 나거나 고속버스가 전복 또는 유람선의 침몰등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고속버스 및 선박에서 사람의 탈출을 막는 방해물이 될 수 있다. 위급한 상황에서 강화유리의 파괴 여부는 인명의 구조여부와 직결된다.On the other hand, tempered glass can become an obstacle that prevents people inside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in a dangerous situation. For example, the tempered glass of the express bus or the tempered glass of the ship can become an obstacle that prevents people from escaping from the express bus or ship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n the express bus, overturning of the express bus, or the sinking of a cruise ship. . Whether or not the tempered glass is destroyed in an emergency situation is directly related to whether or not people are saved.

그러나, 현재의 대다수의 지하철, 선박, 고속버스 등에는 강화유리를 파괴할 수 있는 특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강화유리를 파괴하는 장치가 지하철, 선박 등에 구비되어 있더라도 힘이 약한 노인 및 어린이들은 파괴장치를 작동시키지 못해 강화유리를 파괴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most of the current subways, ships, high-speed buses, etc. are equipped with a special device capable of breaking the tempered glass. Moreover, even if the device for breaking the tempered glass is provided in subways, ships, etc., the elderly and children with weak power cannot operate the breaking devic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mpered glass cannot be destroyed.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1787호 (공개일자: 2019.07.12)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9-0001787 (Publication Date: 2019.07.12)

본 발명은 위급상황에서 성인 남녀뿐 아니라, 힘이 약한 노인 및 어린아이들도 작동시켜 강화유리를 파괴할 수 시킬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that cannot be destroyed by operating not only adult men and women, but also the elderly and young children with weak strength in an emergency situation.

아울러,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수용홀이 형성된 바닥부, 바닥부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바닥부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가압 되면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며 유리판에 흡착되는 흡착부, 바닥부의 수용홀에 수용되어 바닥부의 일면으로 타격모듈이 돌출되고 바닥부의 타면으로 펀치모듈이 돌출되는 센터펀치부 및 바닥부의 일면에 형성된 힌지모듈과, 힌지모듈과 연결되어 힌지모듈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타단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센터펀치부와 가까워지면서 센터펀치부를 가압하고, 힌지모듈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타단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센터펀치부와 멀어지면서 센터펀치부와 이격되는 가압막대모듈이 구비된 지렛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펀치부는 수용홀의 내주면과 연결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모듈과, 타단이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일단이 몸체모듈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타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일단이 수용공간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타격모듈과, 일단이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타단이 몸체모듈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타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일단이 수용공간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펀치모듈과,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일단이 타격모듈과 접하고 타단이 펀치모듈과 접하여 타격모듈에 힘이 가해지면 펀치모듈에 외력을 전달하는 매개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압막대모듈은 힌지모듈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면이 타격모듈의 타단에 접하는 타격막대와 타격막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타격막대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힌지모듈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타격막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압막대를 포함한다. 여기서, 힌지모듈은 가압막대모듈과 연결되는 힌지체와, 힌지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바닥부의 일면과 접하며 외력이 가해졌다가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대로 되돌아가는 판스프링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힌지체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제한막대부를 수용하여 가압막대모듈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제한막대부는 고정홀에 삽입되어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고, 판스프링모듈은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가압막대모듈은 외력이 가해지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센터펀치부를 타격하고, 센터펀치부는 가압막대모듈에 의해 타격되며 아래에 있는 유리판의 일부를 타격해 구멍을 낸다.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on the bottom part, the bottom part of which the receiving hole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and is deformed when pr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bottom part to the other surface The suction part that is restored and then is absorbed by the glass plate, the center punch par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of the bottom part, the striking module protrudes to one surface of the bottom part, and the punch module protrudes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and a hinge modu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ttom part, and a hinge When the other end that is connected to the module and protrudes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hinge module rotates counterclockwise, it approaches the center punch unit and presses the center punch unit, and when the other end protrud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hinge module rotates clockwise, the center punch unit and a lever part provided with a pressing bar modul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unch part while moving away from it. Here, the center punch unit i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hole and includes a body module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the other e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ne end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body module,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ther end, one end moves downward of the receiving space. A striking module that moves, one e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other end protrudes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module,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ther end, one end of the punch module moves upward of the receiving spac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triking module in contact with the module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punch module, it includes an intermediate module that transmits an external force to the punch module. And the pressing rod module protrudes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hinge module and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striking rod and striking rod,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striking module,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triking rod, and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hinge module. It includes a pressure bar tha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Here, the hinge module includes a hinge body connected to the pressure bar module, and a leaf spring modu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inge body,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bottom part, and returning to its original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moved. And at least one hinge body is formed on one surface to accommodate the limiting bar portion and include a fixing hole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rod module, the limiting ro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to limit the rotation in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leaf spring module is compress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t is hit by the rod module and punches a part of the glass plate below.

삭제delete

본 발명은 단순한 작동 방법으로 위급상황에서 성인뿐 아니라 노인 및 어린아이들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위급한 상황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강화유리를 파괴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operate not only adults but also the elderly and young children in emergency situations with a simple operation method.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nyone to destroy tempered glass in an emergency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를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센터펀치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바닥부의 흡착부를 통해 유리판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센터펀치부의 내부 구조 및 작동 상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힌지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힌지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of Figure 1.
FIG. 3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center punch of FIG. 1 .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attached to the glass plate through the adsorption portion of the bottom of Figure 2;
FIG. 5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and an operating state of the center punch unit of FIG. 2 .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hing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inge module of FIG. 7 .
10 to 11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pparatu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 serves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청구항을 비롯해 청구항을 뒷받침하는 설명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The claims of the invention may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e description supporting the clai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nd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를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센터펀치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of Figure 1 cut along the line I-I'.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center punch of FIG.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는 유리판(A)에 흡착력으로 부착되고 흡착된 상태에서 지렛대 원리에 따라 작은 힘으로 유리판(A)에 큰 힘이 가해지도록 한다.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 is attached to the glass plate (A) by an adsorption force, and in the adsorbed state,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glass plate (A) with a small force according to the lever principle.

따라서,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는 남녀노소 누구나 지하철, 고속버스, 고층건물 등에 설치된 강화유리를 쉽게 파괴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 enables anyone, regardless of age or sex, to easily destroy tempered glass installed in subways, highway buses, high-rise buildings, and the like.

이와 같은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는 바닥부(10), 흡착부(20), 센터펀치부(30) 및 지렛대부(4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Such a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 includes a bottom part (10), an adsorption part (20), a center punch part (30) and a lever part (40) as components.

바닥부(10)는 지렛대부(40)를 지지하면서 유리판(A)에 흡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닥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10 may be adsorbed to the glass plate (A) while supporting the lever portion (40). Such a bottom portion 10 may be form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shown in FIG. 1 .

바닥부(10)의 하부면에는 흡착부(20)가 설치되고 상부면에는 지렛대부(40)가 설치된다. 그리고 바닥부의 상부면 그리고 바닥부의 하부면에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며 형성된 수용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홀(110)에는 센터펀치부(30)가 수용될 수 있다.The adsorption part 2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10 and the lever part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hole 110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In this case, the center punch unit 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110 .

흡착부(20)는 지하철, 고속버스, 고층건물 등에 설치된 유리판(A)에 흡착될 수 있다. 이때, 흡착부(20)는 탄성력을 갖는 모듈로 형성된다. 일례로. 흡착부(20)는 바닥부(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바닥부(1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가압 되면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며 유리판(A)에 흡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착부(20)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adsorption unit 20 may be adsorbed to the glass plate A installed in a subway, a high-speed bus, a high-rise building,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adsorption unit 20 is formed of a module having an elastic force. For example. The adsorption part 2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10 and is deformed and restored when pr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bottom part 10 to the other surface, and may be adsorbed to the glass plate (A). The operation of the adsorption unit 2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센터펀치부(30)는 강화유리를 파괴하기 전에 강화유리의 일부를 오목하게 판다. 이와 같은 센터펀치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모듈(310), 타격모듈(320), 펀치모듈(330) 및 매개모듈(3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모듈(310)은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된 센터펀치부(30)의 하우징이 된다. 아울러 몸체모듈(310)의 수용공간(311)에는 타격모듈(320), 펀치모듈(330) 및 매개모듈(340)이 수용된다. 이때, 몸체모듈(310)은 수용홀(110)의 내주면과 연결되며 바닥부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다.The center punch unit 30 concavely digs a part of the tempered glass before breaking the tempered glass. As shown in FIG. 3 , the center punch unit 30 includes a body module 310 , a striking module 320 , a punch module 330 , and an intermediate module 340 . Here, the body module 310 becomes a housing of the center punch unit 30 in which the receiving space 311 is formed. In addition, in the receiving space 311 of the body module 310, the striking module 320, the punch module 330, and the intermediate module 340 are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body module 310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hole 110 and may not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part.

타격모듈(320)은 지렛대부(40)에 의해 일단이 타격 되어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와 같은 타격모듈(320)은 타단이 수용공간(311)에 수용되고 일단이 몸체모듈(310)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지렛대부(40)에 의해 타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일단이 수용공간(311)의 하방으로 이동한다.One end of the striking module 320 is hit by the lever part 40 and slides. This striking module 320 has the other en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11, one end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body module 310,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ther end by the lever part 40, one end is the accommodation space 311) move to the bottom of

펀치모듈(330)은 타격모듈(320)에 외력이 가해지면 타격모듈(320)에서 전달되는 외력을 매개모듈(340)을 통해 전달받아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러한 펀치모듈(330)은 일단이 수용공간(311)에 수용되고 타단이 몸체모듈(310)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타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일단이 수용공간(311)의 상방으로 이동한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riking module 330 , the punch module 330 receives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striking module 320 through the intermediate module 340 and slides. One end of the punch module 33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311 , and the other end protrudes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module 310 ,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ther end, one end moves upward in the accommodating space 311 .

매개모듈(340)은 수용공간(311)에 수용되어 타격모듈(320)에서 전달되는 외력을 펀치모듈(33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매개모듈(340)은 일단이 타격모듈(320)과 접하고 타단이 펀치모듈(330)과 접하여 타격모듈(320)에 힘이 가해지면 펀치모듈(330)에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module 34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311 and transmits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striking module 320 to the punch module 330 . Such intermediate module 340 may transmit an external force to the punch module 330 when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striking module 320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punch module 330 so that a force is applied to the striking module 320 .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센터펀치부(30)는 바닥부(10)의 수용홀(110)에 수용되어 바닥부(10)의 일면으로 타격모듈(320)이 돌출되고 바닥부(10)의 타면으로 펀치모듈(330)이 돌출될 수 있다.The center punch unit 30 including such a componen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110 of the bottom part 10 , the striking module 320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bottom part 10 , and the bottom part 10 of The punch module 330 may protrude to the other surface.

지렛대부(40)는 힌지모듈(4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힘의 모멘트를 이용하여 힌지모듈(410)의 타측 방향에 위치한 펀치모듈(330)이 센터펀치를 가격한다. 이와 같은 지렛대부(40)는 힌지모듈(410)과 가압막대모듈(420)을 포함한다. 여기서, 힌지모듈(410)은 바닥부(10)의 일면에 설치되고 회전축에 가압막대모듈(420)이 연결되어 가압막대모듈(420)이 시계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되도록 한다.The punch module 330 locat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hinge module 410 hits the center punch by using the moment of the force rotating around the hinge module 410 in the lever part 40 . Such a lever part 40 includes a hinge module 410 and a pressure bar module 420 . Here, the hinge module 410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bottom part 10 and the pressure bar module 42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so that the pressure bar module 420 rotate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가압막대모듈(420)은 힌지모듈(410)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면이 펀치모듈(330)의 타단에 접하는 타격막대(421) 그리고 힌지모듈(410)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타격막대(421)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가압막대(4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압막대모듈(420)은 타격막대(421)와 가압막대(422)의 연결지점이 힌지모듈(410)의 회전축에 연결되면서 타격막대(421)와 가압막대(422)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가압막대(422)는 타격막대(421)의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적은 힘이 가해지더라도 타격막대(421)에 큰 힘이 생성되도록 한다. 일례로, 가압막대(422)는 그 길이가 타격막대(421)의 길이 보다 2배 이상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rod module 420 protrudes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hinge module 410 and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striking rod 421 and the hinge module 410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punch module 330, the striking rod 421 ) and the pressure bar 422 integrally connected. As such, the pressing rod module 420 has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triking rod 421 and the pressing rod 422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hinge module 410 while the striking rod 421 and the pressing rod 422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do. At this time, the pressing rod 422 is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triking rod 421 so that a large force is generated in the striking rod 421 even if a small force is applied. For example, the pressure bar 422 may be formed in a shape whose length is twice or mor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triking bar 421 .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

흡착부(20)는 바닥부(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바닥부(1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가압 되면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며 유리판(A)에 흡착될 수 있다. 일례로, 흡착부(20)는 건물 및 지하찰 또는 선박 등의 유리판(A)에 부착될 수 있다. 흡착부(20)는 고무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하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착부(2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A)에 놓이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렛대부(40)가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흡착부(20)는 눌려지면서 흡착부(20)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20)는 탄력으로 원래 모양으로 돌아온다. 이때, 흡착부(20)의 내부의 공기의 비율을 작아져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외부 압력이 흡착부(20)의 내부 압력보다 커지게 되면서 흡착부(20)를 모든 방향에서 눌러 주게 된다. 이러한 흡착부(20)의 내부와 외부 압력 차에 의해 흡착부(20)는 유리판(A)에서 떨어지지 않게 된다.The adsorption part 2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10 and is deformed and restored when pr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bottom part 10 to the other surface, and may be adsorbed to the glass plate (A). As an example, the adsorption unit 20 may be attached to the glass plate A, such as a building and a subterranean or a ship. The adsorption unit 20 may be formed of rubber that is changed in shape by an external force. This adsorption unit 20 is placed on the glass plate A as shown in Fig. 4 (a), and as shown in Fig. 4 (b), when the lever unit 40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adsorption unit 20 discharges the air inside the adsorption unit 20 to the outside while being pressed. And, as shown in (c) of FIG. 4, the adsorption unit 20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with elasticity. 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air inside the adsorption unit 20 is decreased to lower the pressure, and the external pressure becomes greater th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dsorption unit 20, thereby pressing the adsorption unit 20 in all directions. The adsorption unit 20 is not separated from the glass plate (A)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adsorption unit 20 .

센터펀치부(30)는 몸체모듈(310)이 바닥부(10)의 수용홀(110) 내부에 고정되어 타격모듈(320)에 외력이 가해지면 매개모듈(340) 및 펀치모듈(330)에 그 힘이 전달되면서 펀치모듈(330)의 아래에 있는 유리판(A)에 작은 구멍(B)을 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터펀치부(3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모듈(320)에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에 대응하는 힘을 실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며 매개모듈(340)을 타격한다. 이때, 타격된 매개모듈(340)은 또 다시, 가해진 외력에 대응하는 힘을 실어 펀치모듈(330)을 타격해 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킨다.The center punch unit 30 has the body module 310 fixed inside the receiving hole 110 of the bottom 10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riking module 320, the intermediate module 340 and the punch module 330. While the force is transmitted, a small hole (B) is made in the glass plate (A) under the punch module (330). More specifically, the center punch unit 30 moves from top to bottom with a forc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forc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riking module 320 as shown in FIG. hit At this time, the hit medium module 340 is again moved by hitting the punch module 330 with a force corresponding to the applied external force from top to bottom.

센터펀치부(30)는 전술 한 방식으로 타격모듈(320), 펀치모듈(330) 및 매개모듈(340)이 이동하며 유리의 일부에 홈 또는 구멍을 생기게 한다. 그리고 센터펀치부(30)는 유리판(A)에 구멍을 판 후, 흡착부(20)가 유리판(A)에서 분리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모듈(330)이 유리판(A)에서 떨어질 수 있다.The center punch unit 30 moves the striking module 320, the punch module 330, and the intermediate module 340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thereby creating a groove or hole in a portion of the glass. And after the center punch unit 30 cuts a hole in the glass plate (A), when the adsorption unit 20 is separated from the glass plate (A), as shown in FIG. A) can be dropped.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는 전술한 흡착부(20) 및 센터펀치부(30)를 통해 유리판(A)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유리판(A)의 특정 부위에 구멍을 낼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가 유리판(A)의 특정 부위에 구멍을 내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 is stably fixed to the glass plate (A) through the above-described adsorption unit (20) and center punch unit (30), it is possible to make a hole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glass plate (A).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6,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ocess of making a hole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glass plate (A).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A)에 흡착부(20)가 부착되면서 유리판(A)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후,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렛대부(40)의 가압막대(422)가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타격막대(421)는 힌지모듈(410)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센터펀치부(30)의 타격모듈(320)에 가압막대(422)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대응하는 힘을 가한다. 이후,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펀치부(30)는 유리판(A)에 구멍을 낸 후, 가압막대(422)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센터펀치부(30)는 위에서 가압하는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서, 펀치모듈(330) 및 타격모듈(320)이 위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다만, 센터펀치부(30)의 위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졌을 때, 펀치모듈(330)미 타격모듈(320)이 위로 이동하게 되는 상황은 하나의 예시일 뿐, 센터펀치부(30)는 위에서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지더라도, 타격모듈(320)의 하단부가 유리판(A)에 끼워지게 되면서 위로 이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 is stably fixed to the glass plate A while the adsorption part 20 is attached to the glass plate A as shown in FIG. Thereafter,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 is, as shown in FIG. A forc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rod 422 is applied to the striking module 320 of the center punch unit 30 while mov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410 . Thereafter, as shown in (c) of Figure 6, the center punch unit 30 after making a hole in the glass plate (A), when the pressing bar 422 mov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center punch unit 30 is As the external force pressing from above disappears, the punch module 330 and the striking module 320 may move upward. However,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op of the center punch unit 30 disappears, the situation in which the punch module 330 and the hitting module 320 move upward is only an example, and the center punch unit 30 is Even if the applied external force disappears, the lower end of the striking module 320 may not move upward while being fitted to the glass plate (A).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는 유리판(A)에 흡착력으로 부착되고 흡착된 상태에서 지렛대 원리에 따라 작은 힘으로 유리판(A)에 큰 힘이 가해지도록 한다.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 having such a characteristic is attached to the glass plate (A) by an adsorption force, and in the adsorbed state,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glass plate (A) with a small force according to the lever principle.

따라서, 성인 남녀뿐 아니라, 노인 그리고 어린이 등도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를 손 쉽게 작동시키며 위급한 상황에서 강화유리를 쉽게 파괴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not only adult men and women, but also the elderly and children can easily operate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 and easily break the tempered glass in an emergency situation.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2 .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힌지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힌지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hing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inge module of FIG. 7 . And Figure 10 to Figure 12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는 지렛대부(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가 상당부분 유사하다.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bstantially similar in the rest of the components except for the lever part (40).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1)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지렛대부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설명한다.Therefore, so that the description of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1)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cise and clear, for the components overlapping with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different lever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1)는 지렛대부(40-1)에 외력이 가해지면서 눌렸을 경우 지렛대부(40-1)의 복원력으로 움직이며 센터펀치부(30)가 가압되어 유리판(A)에 충격을 주며 유리판(A)에 구멍을 낼 수 있다. 여기서, 지렛대부(40-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모듈(410)과 가압막대모듈(420) 그리고 판스프링모듈(430)을 포함한다.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1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with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verage part 40-1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everage part 40-1 and moves with the center punch part 30 is pressurized to give an impact to the glass plate (A) and to make a hole in the glass plate (A). Here, the lever unit 40-1 includes a hinge module 410, a pressure bar module 420, and a plate spring module 430, as shown in FIG.

힌지모듈(410)은 가압막대모듈(420)과 연결되는 힌지체(4110)와 힌지체(41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바닥부(10)의 일면과 접하며 외력이 가해졌다가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대로 되돌아가며 판스프링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체(4110)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4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힌지체(4110)의 일면에는 12시 방향에 위치한 제1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고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2고정홀 그리고 9시 방향에 위치한 제3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홀(4111)에는 제한막대부(50)가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한막대부(5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막대부(50)는 제1고정홀에 수용될 수 있다. 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막대부(50)는 제2고정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홀(4111)에 삽입된 제한막대부(50)는 가압막대모듈(420)이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The hinge module 4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inge body 4110 and the hinge body 4110 connected to the pressure bar module 420, come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bottom part 10,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n removed, the original shape It may include a leaf spring module 430 while returning to the same. Here, at least one fixing hole 411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inge body 4110 . For example, a first fixing hole located in the 12 o'clock direction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inge body 4110 , a second fixing hole located in the 10 o'clock direction, and a third fixing hole located in the 9 o'clock direction may be formed. The limiting bar part 50 may be accommodated in such a fixing hole 4111 . As an example, the limiting bar part 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fixing hole, as shown in (a) of FIG. 8 , the limiting bar part 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fixing hole. Alternatively, as shown in (b) of FIG. 8 , the limiting bar part 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fixing hole. In this way, the limiting bar portion 50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4111 may be limited in rotation of the pressure bar module 420 in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또한, 지렛대부(40-1)의 판스프링모듈(430)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면서 큰 복원력이 가지게 된다. 그리고 판스프링모듈(430)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될 때 가지게 되었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a) of FIG. 9, the leaf spring module 430 of the lever part 40-1 is compressed while having a large restoring forc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top. And as shown in (b) of FIG. 9,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top is removed, the leaf spring module 43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it had when it was compressed.

이하,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1)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1,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1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1)는 흡착부(20)에 의해 유리판(A)에 부착된다. 이후, 지렛대부(40-1)에 외력이 가해지면 지렛대부(40-1)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판스프링모듈(430)은 압축되고 가압막대모듈(4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1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glass plate A by the adsorption unit 20 . Thereaft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ever portion 40-1, the lever portion 40-1 goes down as shown in FIG. 10(b). At this time, the leaf spring module 430 is compressed and the pressure bar module 420 rotates clockwise.

이후,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렛대부(40-1)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판스프링모듈(430)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가압막대모듈(420)의 타격막대(421)가 센터펀치부(30)를 타격하게 된다. 이때, 타격된 센터펀치부(30)는 아래에 있는 유리판(A)의 일부를 타격하여 구멍(B)을 낸다.Thereafter, as shown in (c) of FIG. 11, when the force for pressing the lever part 40-1 is removed, the plate spring module 43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hitting bar of the pressing rod module 420 is 421 hits the center punch unit 30 . At this time, the hit center punch unit 30 makes a hole (B) by hitting a part of the glass plate (A) below.

이와 같이 작동하는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1)는 유리판(A)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부착된 상태에서 지렛대 원리에 따라 작은 힘으로 유리판(A)에 큰 힘이 가해지도록 한다.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1 operating in this way is stably attached to the glass plate A, and in the attached state,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glass plate A with a small force according to the lever principle.

따라서, 성인 남녀뿐 아니라, 노인 그리고 어린이 등도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1)를 손쉽게 작동시키며 위급한 상황에서 강화유리를 쉽게 파괴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not only adult men and women, but also the elderly and children can easily operate the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 to easily destroy tempered glass in an emergency situati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10: 바닥부 110: 수용홀
20: 흡착부 30: 센터펀치부
310: 몸체모듈 311: 수용공간
320: 타격모듈
330: 펀치모듈 340: 매개모듈
40, 40-1: 지렛대부 410, 411: 힌지모듈
430: 판스프링모듈
4110: 힌지체
420: 가압막대모듈
421: 타격막대 422: 가압막대
50: 제한막대부
A: 유리판 B: 타공홀
1: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10: bottom 110: receiving hole
20: adsorption unit 30: center punch unit
310: body module 311: accommodation space
320: hitting module
330: punch module 340: intermediate module
40, 40-1: lever part 410, 411: hinge module
430: leaf spring module
4110: hinge body
420: pressure bar module
421: strike bar 422: pressure bar
50: limit bar
A: Glass plate B: Perforated hole

Claims (5)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수용홀(110)이 형성된 바닥부(10);
바닥부(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바닥부(1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가압 되면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며 유리판(A)에 흡착되는 흡착부(20);
바닥부(10)의 수용홀(110)에 수용되어 바닥부(10)의 일면으로 타격모듈(320)이 돌출되고 바닥부(10)의 타면으로 펀치모듈(330)이 돌출되는 센터펀치부(30) 및
바닥부(10)의 일면에 형성된 힌지모듈(410)과, 힌지모듈(410)과 연결되어 힌지모듈(410)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타단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센터펀치부(30)와 가까워지면서 센터펀치부(30)를 가압하고, 힌지모듈(410)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타단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센터펀치부(30)와 멀어지면서 센터펀치부(30)와 이격되는 가압막대모듈(420)이 구비된 지렛대부(40, 40-1)를 포함하고,
센터펀치부(30)는,
수용홀(110)의 내주면과 연결되며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된 몸체모듈(310)과, 타단이 수용공간(311)에 수용되고 일단이 몸체모듈(310)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타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일단이 수용공간(311)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타격모듈(320)과, 일단이 수용공간(311)에 수용되고, 타단이 몸체모듈(310)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타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일단이 수용공간(311)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펀치모듈(330)과, 수용공간(311)에 수용되어 일단이 타격모듈(320)과 접하고 타단이 펀치모듈(330)과 접하여 타격모듈(320)에 힘이 가해지면 펀치모듈(330)에 외력을 전달하는 매개모듈(340)을 포함하고,
가압막대모듈(420)은,
힌지모듈(410)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면이 타격모듈(320)의 타단에 접하는 타격막대(421)와 타격막대(421)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타격막대(421)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힌지모듈(410)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타격막대(42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압막대(422)를 포함하고,
힌지모듈(410)은,
가압막대모듈(420)과 연결되는 힌지체(4110)와,
힌지체(41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바닥부(10)의 일면과 접하며 외력이 가해졌다가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대로 되돌아가는 판스프링모듈(430)을 포함하고,
힌지체(4110)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제한막대부(50)를 수용하여 가압막대모듈(420)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홀(4111)을 포함하고,
제한막대부(50)는,
고정홀(4111)에 삽입되어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고,
판스프링모듈(430)은,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가압막대모듈(420)은,
외력이 가해지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센터펀치부(30)를 타격하고,
센터펀치부(30)는,
가압막대모듈(420)에 의해 타격되며 아래에 있는 유리판(A)의 일부를 타격해 구멍(B)을 내는, 휴대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a bottom portion 10 having an accommodating hole 110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 adsorption unit 20 tha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10 and is deformed and restored when pr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10 to the other surface and is adsorbed to the glass plate (A);
A center punch unit ( 30) and
When the hinge module 41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ttom part 10 and the other end that is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410 and protrudes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hinge module 410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center punch part 30 and Pressing the center punch unit 30 as it approaches, and when the other end protrud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hinge module 410 rotates clockwise, the pressing bar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unch unit 30 while moving away from the center punch unit 30 It includes a lever portion (40, 40-1) provided with a module (420),
The center punch unit 30,
The body module 310 i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hole 110 and has a receiving space 311 therein, the other e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311 and one end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body module 310 and is at the other e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ne end of the striking module 320 moves downward of the receiving space 311 , one e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311 , and the other end protrudes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module 310 so that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ther end. When applied, one end of the punch module 330 moves upward in the receiving space 311, and one e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311 so that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striking module 320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punch module 330, so that the striking module (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320, it includes an intermediate module 340 that transmits an external force to the punch module 330,
The pressure bar module 420 is,
The striking rod 421 protrudes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hinge module 410 and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striking module 320 and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striking rod 421 and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triking rod 421, the hinge It protrudes in one direction of the module 410 and includes a pressing rod 422 tha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triking rod 421,
The hinge module 410 is
A hinge body 4110 connected to the pressure bar module 420 and,
I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inge body 4110 and come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bottom 10 and includes a plate spring module 430 that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moved,
The hinge body 4110 is
At least one is formed on one surface to accommodate the limiting bar portion 50 and includes a fixing hole 4111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bar module 420,
The limit bar 50 is,
I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4111 to limit the rotation in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The leaf spring module 430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is compress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e pressure bar module 420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rotates clockwis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center punch unit 30 is hit,
The center punch unit 30,
A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that is hit by the pressure bar module 420 and hits a part of the glass plate (A) below to make a hole (B).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28376A 2022-03-04 2022-03-04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KR1024526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376A KR102452673B1 (en) 2022-03-04 2022-03-04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376A KR102452673B1 (en) 2022-03-04 2022-03-04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673B1 true KR102452673B1 (en) 2022-10-07

Family

ID=8359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376A KR102452673B1 (en) 2022-03-04 2022-03-04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6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015B1 (en) * 2023-03-10 2023-09-22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Firefighting window glass crush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809A (en) * 1994-12-12 1996-06-25 Mitsubishi Motors Corp Vehicle escape device
JP2002011107A (en) * 2000-06-28 2002-01-15 Shinko:Kk Glass breaking device for emergency escape
JP2012245952A (en) * 2011-05-31 2012-12-13 Nippon Lock:Kk Vehicle door glass breaking device
KR20190001787U (en) 2018-01-04 2019-07-12 최찬일 Temperd Glass break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809A (en) * 1994-12-12 1996-06-25 Mitsubishi Motors Corp Vehicle escape device
JP2002011107A (en) * 2000-06-28 2002-01-15 Shinko:Kk Glass breaking device for emergency escape
JP2012245952A (en) * 2011-05-31 2012-12-13 Nippon Lock:Kk Vehicle door glass breaking device
KR20190001787U (en) 2018-01-04 2019-07-12 최찬일 Temperd Glass break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015B1 (en) * 2023-03-10 2023-09-22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Firefighting window glass crush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673B1 (en) Portable Tempered Glass Breaking Device
JP5383922B2 (en) Glass window breaker for emergency escape
TWI713067B (en) Key assemblies, keyboard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key assembly
CN202987046U (en) Device for rapidly crushing escape window glass of vehicle
WO2008133158A1 (en) Metal dome sheet with push projection, push-button switch, and method of producing the push bush switch
CN201970952U (en) Automobile tempered glass-breaking escape
JP2015011698A (en) Key cap, key structure, and keyboard having key structure
RU2690148C2 (en) Piercing device
CN202624134U (en) Automatic quick toughened-glass breaking escape device
CN102773840B (en) Emergency hammer
KR20100085601A (en) Apparatus for breaking glass for emergency evacuation
CN204978537U (en) Hit window ware
KR200366139Y1 (en) Apparatus for breaking tempered glass in case of emergency
CN203047152U (en) Pasting type window breaking device
EP1132982A3 (en) Vent device for sealed alkaline storage battery
CN212032923U (en) Key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with same
KR20080004905A (en) An emergency switch
KR102028537B1 (en) a emergency hammer using leverage principle
KR20230069432A (en) Portable emergency escape tool
KR102629196B1 (en) Apparatus for breaking pair tempered glass of emergency escape
CN205411951U (en) Portable fixed dual -purpose ultra -thin broken glass device
GB2265406A (en) Glass breaker
CN207374313U (en) A kind of car window of meeting an urgent need breaks glass device automatically
CN207389133U (en) A kind of window breaker
KR102021840B1 (en) n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