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471B1 - Wheel driving apparatus and mobilit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heel driving apparatus and mobility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471B1
KR102452471B1 KR1020170085036A KR20170085036A KR102452471B1 KR 102452471 B1 KR102452471 B1 KR 102452471B1 KR 1020170085036 A KR1020170085036 A KR 1020170085036A KR 20170085036 A KR20170085036 A KR 20170085036A KR 102452471 B1 KR102452471 B1 KR 102452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reducer
bevel gear
output shaf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4868A (en
Inventor
임현섭
박상인
정경모
현동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5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471B1/en
Publication of KR20190004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8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4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07Automatic balancing machines with single main ground engaging wheel or coaxial wheels supporting a ri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9/00Other gearings
    • F16H49/001Wave gearings, e.g. harmonic drive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드라이브 및 드라이브의 출력축이 구비된 구동부; 출력축에 제1감속기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 출력부; 및 출력부에 마련되며, 출력축에 제2감속기를 통해 연결되어 출력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동휠;을 포함하고, 제2감속기의 감속비는 제1감속기의 감속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가 소개된다.a drive unit provided with a drive and an output shaft of the drive;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rough a first reducer and provided to be rotated based on the driving unit; and a driving wheel provided in the output unit and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rough a second reducer to be rotated based on the output unit, wherein the reduction ratio of the second reduc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reducer. A drive mechanism is introduced.

Description

휠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장치{WHEEL DRIVING APPARATUS AND MOBILITY USING THE SAME}Wheel drive mechanism and mov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휠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1개의 구동부를 통해 복수의 감속기를 택일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휠 구동 기구을 통해 평지 주행 및 계단 등판이 가능한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driving mechanism and a mov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to a moving device capable of running on flat ground and climbing stairs through a wheel driving mechanism capable of selectively driving a plurality of reducers through a single driving unit.

잘 포장된 평지를 주행하기 위한 기구 및 이동장치는 이미 많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평지를 주행하기 위한 기구 및 이동장치는 비포장 도로와 같은 험지를 주행하거나 계단을 등판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Many devices and moving device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for traveling on well-paved flat groun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chanism and the mobile device for driving on flat land cannot be driven on rough terrain such as unpaved roads or climb stairs.

따라서, 험지를 주행하거나 계단을 등판하기 위하여 캐터필러(Caterpillar) 및 많은 휠 구동 기구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휠 구동 매커니즘은 평지 주행을 위한 동력원과 계단 등을 등판하기 위한 동력원이 따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측면에서 큰 손실이 발생하고, 구성 부품이 많아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travel rough terrain or climb stairs, Caterpillar (Caterpillar) and many wheel drive mechanism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in the existing wheel drive mechanism, a power source for driving on flat ground and a power source for climbing stairs, etc. are separately configur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loss occurs in terms of energy,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ecause there are many components.

또한, 험지를 주행하기 위하여는 노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전해지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과 타이어를 노면에 확실하게 접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스펜션(Suspension)을 더 포함하여야하고, 서스펜션을 추가함에 따라 큰 부피를 차지하고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drive on rough terrain, it should further include a suspension that performs a function of absorbing shock so that the shock generated on the road is not transmitted directly to the vehicle body or passengers and a function of reliably grounding the tire to the road surface. , there was a problem of taking up a large volume and increasing the weight as the suspension was added.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bove are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n acknowledgment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KR 10-2016-0076079 AKR 10-2016-0076079 A KR 10-2015-0138748 AKR 10-2015-0138748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구동부와 2개의 감속기를 통한 기계적인 기구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평지 주행 및 계단 등판이 모두 가능하고, 서스펜션을 포함하여 험지 주행도 가능한 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provides a mechanical mechanism through one driving unit and two speed reducers, and using this, both flat driving and stair climbing are possible, and rough road driving including suspension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휠 구동 기구은 드라이브 및 드라이브의 출력축이 구비된 구동부; 출력축에 제1감속기를 통해 연결된 출력부 및 출력축에 제2감속기를 통해 연결된 구동휠로 구성되고, 출력부는 구동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구동휠은 출력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제2감속기의 감속비는 제1감속기의 감속비보다 작게 구성된다.A wheel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rive unit provided with a drive and an output shaft of the drive; It is composed of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rough a first reducer and a driving wheel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rough a second reducer, the output unit is provided to be rotated based on the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wheel is provided to be rotated based on the output unit Including; and the reduction ratio of the second reducer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reduction ratio of the first reducer.

구동휠은 복수로 마련되고, 출력부와 각각의 구동휠 사이에는 링크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may be provided, and a link modul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put unit and each driving wheel.

링크 모듈과 구동휠은 120[deg] 각도를 간격으로 출력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link module and the driving wheel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at intervals of 120 [deg] angles.

구동휠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대한 반력이 일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2감속기가 구동되고 제1감속기는 구동되지 않고, 구동휠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대한 반력이 일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감속기가 구동되고 제2감속기가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react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second reducer is driven and the first reducer is not driven. may be driven and the second reducer may not be driven.

구동부에는 출력축에 연결된 제1베벨기어, 제1감속기에 연결된 제2베벨기어 및 제2감속기에 연결된 제3베벨기어가 마련되고, 제1베벨기어는 출력축과 연결되고, 제1베벨기어는 제2베벨기어 및 제3베벨기어에 모두 치합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bevel gear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a second bevel gear connected to the first reducer, and a third bevel gear connected to the second reducer, the first bevel gear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and the first bevel gear is the second Both the bevel gear and the third bevel gear may mesh.

구동부에는 출력축과 제1베벨기어 사이에 제4베벨기어가 마련되고, 출력축과 제1베벨기어 사이에서 제4베벨기어가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A fourth bevel gea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put shaft and the first bevel gear in the driving unit, and the fourth bevel gear may transmit power between the output shaft and the first bevel gear.

제2감속기는 피니언 기어와 복수의 스퍼 기어로 구성되고, 피니언 기어는 출력축에 연결되고 복수의 스퍼 기어는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면서 복수의 구동휠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reducer may include a pinion gear and a plurality of spur gears, the pinion gear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and the plurality of spur gears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wheels while being meshed with the pinion gear.

구동휠과 스퍼 기어 각각에 풀리가 마련되고, 구동휠의 풀리와 스퍼기어의 풀리는 서로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스퍼 기어의 회전력이 구동휠로 전달될 수 있다.A pulley is provided on each of the driving wheel and the spur gear, and the pulley of the driving wheel and the pulley of the spur ge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elt,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ur gear can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제1감속기는 하모닉 기어로 구성되고, 웨이브 제너레이터는 출력축에 연결되고 서큘러 스플라인은 구동부에 고정되며 플렉스 스플라인은 출력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reducer may include a harmonic gear, the wave generator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e circular spline may be fixed to the driving unit, and the flex spline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링크 모듈은 출력부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링크 모듈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롤러에 의해 링크 모듈이 출력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The link modul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put part, and the link module may be fixed or released so that the link module does not rotate based on the output part by a roller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link module.

롤러의 일측 단부에는 탄성체가 마련되어 외부힘이 없으면 롤러에 의해 링크 모듈이 출력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An elastic body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ller so that the link module does not rotate based on the output unit by the roller if there is no external force.

링크 모듈 상에서 롤러가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될 수 있다.A guide part for guiding a path in which the roller moves on the link module may be provid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휠 구동 기구을 구비한 이동장치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드라이브 및 드라이브의 출력축이 구비된 구동부; 출력축에 제1감속기를 통해 연결된 출력부 및 출력축에 제2감속기를 통해 연결된 구동휠로 구성되고, 출력부는 구동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구동휠은 출력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제2감속기의 감속비는 제1감속기의 감속비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mobile device having a wheel drive mechanism, comprising: a base portion on which a passenger rides; a drive unit coupled to the base unit and provided with a drive and an output shaft of the drive; It is composed of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rough a first reducer and a driving wheel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rough a second reducer, the output unit is provided to be rotated based on the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wheel is provided to be rotated based on the output unit and a rotating part, and the reduction ratio of the second reducer may be smaller than the reduction ratio of the first reducer.

본 발명의 휠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장치에 따르면, 한 개의 구동원으로 평지 주행과 계단 등판이 모두 가능하며 이를 물리적인 기구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 시스템이 동시에 장착되어 험지 주행에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wheel driv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ving device using the same, both flat driving and stair climbing are possible with one driving source, and this can be implemented as a physical mechanism. In addition, the suspension system is mounted at the same time to have an advantageous effect on rough terra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구동 기구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구동 기구의 구동부 및 출력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구동 기구의 링크 모듈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구동 기구의 링크 모듈이 구동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구동 기구을 구비한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top view illustrating a whee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driving unit and an output unit of a whee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top view of a link module of a whee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ink module of the wheel driving mechanism rotates based on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ving device having a whee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call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y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구동 기구를 도시한 상면도이다.1 is a top view illustrating a whee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휠 구동 기구은 드라이브(미도시) 및 드라이브(미도시)의 출력축(미도시)이 구비된 구동부(미도시); 출력축에 제1감속기를 통해 연결된 출력부(200) 및 출력축(미도시)에 제2감속기(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구동휠(300)로 구성되고, 출력부(200)는 구동부(미도시)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구동휠(300)은 출력부(20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 회전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제2감속기(미도시)의 감속비는 제1감속기(미도시)의 감속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whee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 (not shown) provided with a drive (not shown) and an output shaft (not shown) of the drive (not shown); It consists of an output unit 200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through a first reducer and a driving wheel 300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not shown) through a second reducer (not shown), and the output unit 200 is a driving unit (not shown). is provided to be rotated based on, and the driving wheel 300 includes a rotating unit (not shown) provided to be rotated based on the output unit 200, and the reduction ratio of the second reducer (not shown) is the seco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maller than the reduction ratio of one reducer (not shown).

구동휠(300)은 복수로 마련되고, 출력부(200)와 각각의 구동휠(300) 사이에는 링크 모듈(400)이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300 may be provided, and a link module 4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put unit 200 and each driving wheel 300 .

링크 모듈(400)과 구동휠(300)은 각각 3개씩 마련되고, 출력부(200)에 120[deg] 각도를 간격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200)에 3개의 구동휠(300) 및 링크 모듈이 각각 마련되어 안정적인 휠 구동 기구을 구현할 수 있다.The link module 400 and the driving wheel 300 are provided three each, and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200 at intervals of 120 [deg] angles. Three driving wheels 300 and a link module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output unit 200 to implement a stable wheel driving mechanism.

제2감속기(미도시)의 감속비는 제1감속기(미도시)의 감속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드라이브(미도시)의 출력축(미도시)이 제1감속기(미도시) 및 제2감속기(미도시) 모두에 연결되어 있지만, 구동휠(300)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대한 반력이 일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감속비가 낮은 제2감속기(미도시)가 구동되고 제1감속기(미도시)는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The reduction ratio of the second reducer (not shown) is smaller than the reduction ratio of the first reducer (not shown). Accordingly, although the output shaft (not shown) of the drive (not shown) is connected to both the first reducer (not shown) and the second reducer (not shown), the reaction force against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300 is a constant value. In this case, the second reducer (not shown) with a low reduction ratio may be driven and the first reducer (not shown) may not be drive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구동 기구의 구동부 및 출력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2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driving unit and an output unit of a whee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부(100)에는 드라이브(110)가 구비된다. 드라이브(110)에는 전기 모터 등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용될 수 있다. 드라이브(110)에는 출력축(미도시)이 구비되어 드라이브(110)의 회전력이 출력된다. 출력축(미도시)에는 제1감속기(220) 및 제2감속기(210)가 모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drive unit 100 includes a drive 110 . The drive 110 may be used to provide rotational force, such as an electric motor. The drive 110 is provided with an output shaft (not shown) to outpu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110 . Both the first reducer 220 and the second reduce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not shown).

구동부(100)에는 출력축(미도시)에 연결된 제1베벨기어(120), 제1감속기(220)에 연결된 제2베벨기어(130) 및 제2감속기(210)에 연결된 제3베벨기어(140)가 마련되고, 제1베벨기어(120)는 출력축(미도시)과 연결되고, 제1베벨기어(120)는 제2베벨기어(130) 및 제3베벨기어(140)에 모두 치합될 수 있고, 구동부(100)에는 출력축(미도시)과 제1베벨기어(120) 사이에 제4베벨기어(150)가 마련되어, 출력축(미도시)에서 제1베벨기어(12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00 includes a first bevel gear 120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not shown), a second bevel gear 130 connected to the first reducer 220 , and a third bevel gear 140 connected to the second reducer 210 . ) is provided, the first bevel gear 120 is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not shown), and the first bevel gear 120 may be meshed with both the second bevel gear 130 and the third bevel gear 140 . and a fourth bevel gear 150 is provided between the output shaft (not shown) and the first bevel gear 120 in the driving unit 100, and power can be transmitted from the output shaft (not shown) to the first bevel gear 120 . hav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축(미도시)에는 제4베벨기어(150)가 구비되어 드라이브(110)의 회전력이 출력축(미도시)을 통해 제4베벨기어(150)로 직접 전달되어 제4베벨기어(150)가 출력축(미도시)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하는 제4베벨기어(150)는 다시 제1베벨기어(120)와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1베벨기어(120)는 제4베벨기어(150)와 회전축을 달리하여 회전된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a fourth bevel gear 150 is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not shown),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11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ourth bevel gear 150 through the output shaft (not shown), and the fourth bevel gear 150 is provided. The gear 150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utput shaft (not shown). The rotating fourth bevel gear 150 is again meshed with the first bevel gear 120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and the first bevel gear 120 is rotated with a different axis of rotation from the fourth bevel gear 150 .

제1베벨기어(120)에는 제2베벨기어(130) 및 제3베벨기어(140)가 모두 치합될 수 있다. 제4베벨기어(15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1베벨기어(120)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2베벨기어(130) 또는 제3베벨기어(140) 중 하나가 회전한다.Both the second bevel gear 130 and the third bevel gear 140 may mesh with the first bevel gear 120 . As the first bevel gear 120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ourth bevel gear 150 rotates, either the second bevel gear 130 or the third bevel gear 140 rotates.

제2감속기(210)의 감속비는 제1감속기(220)의 감속비보다 작은 특징에 따라 구동휠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대한 반력이 일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2감속기(210)가 구동되고 제1감속기(220)는 구동되지 않고, 구동휠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대한 반력이 일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감속기(220)가 구동되고 제2감속기(210)가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that the reduction ratio of the second reducer 21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reducer 220, when the reaction force to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is less than a certain value, the second reducer 210 is driven and the first reducer ( 220 is not driven, and when the react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first reducer 220 may be driven and the second reducer 210 may not be driven.

즉, 자동차의 차동기어 장치와 유사한 원리로 제1베벨기어(120)에는 제2베벨기어(130) 및 제3베벨기어(140)가 모두 치합되지만 제1베벨기어(120)의 회전축도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100) 내에서 제4베벨기어(150)가 회전함에 따라 제1베벨기어(120)는 자전하면서 제2베벨기어(130) 및 제3베벨기어(140)를 기준으로 공전하여 제1베벨기어(120) 회전축도 회전된다.That is, both the second bevel gear 130 and the third bevel gear 140 are meshed with the first bevel gear 120 on a principle similar to the differential gear device of a car, but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bevel gear 120 also rotates. can As the fourth bevel gear 150 rotates in the driving unit 100 , the first bevel gear 120 rotates while revolving around the second bevel gear 130 and the third bevel gear 140 to the first bevel gear. The gear 120 also rotates the rotating shaft.

따라서, 제2감속기(210)에 연결된 제2베벨기어(130)와 제1감속기(220)에 연결된 제3베벨기어(140)은 제1베벨기어(120)에 모두 맞물려있지만 제2베벨기어(130)와 제3베벨기어(140) 중 하나는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만 회전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bevel gear 130 connected to the second reducer 210 and the third bevel gear 140 connected to the first reducer 220 are both meshed with the first bevel gear 120, but the second bevel gear ( One of the 130) and the third bevel gear 140 is fixed and only the other one rotates.

제2감속기(210)는 피니언 기어(211)와 복수의 스퍼 기어(212)로 구성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11)는 출력축(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력축(미도시)의 회전력이 제4베벨기어(150) 및 제1베벨기어(120)로 전달되고 구동휠(300)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대한 반력이 일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2베벨기어(130)가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베벨기어(130)에는 동력전달축(160)이 더 마련되어 이를 통해 피니언 기어(21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reducer 210 may include a pinion gear 211 and a plurality of spur gears 212 . The pinion gear 211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not shown). Specifically,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utput shaft (not shown) is transmitted to the fourth bevel gear 150 and the first bevel gear 120 , and the react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30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second bevel The gear 130 may receive rotational force. The second bevel gear 13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ower transmission shaft 16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gear 211 through this.

복수의 구동휠(미도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스퍼 기어(212)는 피니언 기어(211)에 모두 치합될 수 있다. 즉, 피니언 기어(211)에 전달된 회전력이 복수의 스퍼 기어(212)로 감속되어 전달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pur gears 212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not shown) may be all meshed with the pinion gear 211 . That is,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pinion gear 211 may be reduced and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spur gears 212 .

제1감속기(220)는 하모닉 기어로 구성되고, 웨이브 제너레이터(221)는 출력축(미도시)에 연결되고 서큘러 스플라인(222)은 구동부(100)에 고정되며 플렉스 스플라인(223)은 출력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reducer 220 is composed of a harmonic gear, the wave generator 221 is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not shown), the circular spline 222 is fixed to the driving unit 100 , and the flex spline 223 is the output unit 200 ) can be connected to

구체적으로, 출력축(미도시)의 회전력이 제4베벨기어(150) 및 제1베벨기어(120)로 전달되고 구동휠(300)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대한 반력이 일정 값 초과인 경우에는 제2베벨기어(130)은 고정되고 제3베벨기어(140)가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3베벨기어(140)에는 제1감속기(220)의 웨이브 제너레이터(221)가 연결되어 웨이브 제너레이터(2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서큘러 스플라인(222)은 구동부(100)에 고정되고, 플렉스 스플라인(223)은 출력부(200)에 연결되어 웨이브 제너레이터(221)의 회전에 의해 감속되어 플렉스 스플라인(222)에 연결된 출력부(200)가 서큘러 스플라인(222)이 고정된 구동부(10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utput shaft (not shown) is transmitted to the fourth bevel gear 150 and the first bevel gear 120 and the react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300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second The bevel gear 130 may be fixed and the third bevel gear 140 may receive rotational force. The wave generator 221 of the first reduce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bevel gear 140 to rotate the wave generator 221 . At this time, the circular spline 222 is fixed to the driving unit 100 , and the flex spline 223 is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200 and is decel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wave generator 221 , and the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flex spline 222 . 200 may rotate based on the driving unit 100 to which the circular spline 222 is fix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구동 기구의 링크 모듈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면도이다.3 is an enlarged top view of a link module of a whee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구동휠(300)과 스퍼 기어(미도시) 각각에는 풀리(310, 410)가 마련되고, 구동휠의 풀리(310)와 스퍼 기어의 풀리(410)는 서로 벨트(4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퍼 기어(미도시)는 스퍼 기어의 풀리(410)와 함께 회전하고, 구동휠(300)은 구동휠의 풀리(3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스퍼 기어(미도시)가 회전함에 따라 스퍼 기어의 풀리(410)가 회전하고, 스퍼 기어의 풀리(410)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420)가 이동하면서 구동휠의 풀리(310)가 회전하여 구동휠(300)이 구동될 수 있다. 즉, 스퍼 기어(미도시)의 회전력이 구동휠(300)로 전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pulleys 310 and 410 are provided on each of the driving wheel 300 and the spur gear (not shown), and the pulley 310 of the driving wheel and the pulley 410 of the spur gear are mutually belts 420 . ) can be connected via The spur gear (not shown)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pulley 410 of the spur gear, and the driving wheel 300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pulley 310 of the driving wheel. Accordingly, as the spur gear (not shown) rotates, the pulley 410 of the spur gear rotates, and as the pulley 410 of the spur gear rotates, the belt 420 moves while the pulley 310 of the driving wheel rotates. Thus, the driving wheel 300 may be driven. That i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ur gear (not shown)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30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구동 기구의 링크 모듈이 구동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ink module of the wheel driving mechanism rotates based on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링크 모듈(400)은 출력부(200)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러(430)는 링크 모듈(40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롤러(430)가 링크 모듈(400) 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링크 모듈(400)이 출력부(200)를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link module 4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put unit 200 , and the roller 43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link module 400 . As the roller 430 moves on the link module 400 , the link module 400 may be fixed or released so that the link module 400 does not rotate based on the output unit 200 .

구체적으로, 도 4의 좌측 도면과 같이 롤러(430)가 출력부(200)에 마련된 삽입홈에 삽입되면 링크 모듈(400)이 출력부(200)를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고, 우측 도면과 같이 롤러(430)가 링크 모듈(400) 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출력부(200)에 마련된 삽입홈에서 이탈하면서 링크 모듈(400)이 출력부(20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roller 4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provided in the output unit 200 as shown in the left drawing of FIG. 4 , the link module 400 may be fixed so as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output unit 200 , and the right side As shown in the figure, as the roller 430 moves on the link module 400 , the link module 400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output unit 200 while leaving the insertion groove provided in the output unit 200 .

롤러(430)의 일측 단부에는 탄성체(440)가 마련되어 외부힘이 없으면 롤러(430)는 출력부(200)에 마련된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된 롤러(430)에 의해 링크 모듈(400)은 출력부(200)를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An elastic body 44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ller 430 , and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the roller 43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provided in the output unit 200 . The link module 400 may be fixed so as not to rotate based on the output unit 200 by the fixed roller 430 .

링크 모듈(400) 상에서 롤러(430)가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50)가 마련되어, 롤러(430)는 링크 모듈(400) 상에서 1자유도의 직선 경로만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A guide part 450 for guiding a path on which the roller 430 moves is provided on the link module 400, and the roller 430 may be guided to move only along a straight path of one degree of freedom on the link module 400. .

이에 따라, 구동휠(3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링크 모듈(400)은 출력부(20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430)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서스펜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휠(300)이 요철이 있는 평면에서 구동되더라도 출력부(200)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구동휠(300) 주위에 고무 등의 탄성물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ccordingly,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driving wheel 300 , the link module 400 is released from the fixing by the roller 430 so that it can rotate based on the output unit 200 and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again.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suspension. Accordingly, even if the driving wheel 300 is driven on a flat surface with irregularities, vibration of the output unit 200 can be minimized. For this purpose, it may be possible to use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round the driving wheel 30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구동 기구을 구비한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ving device having a whee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휠 구동 기구을 구비한 이동장치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베이스부(500); 베이스부(500)에 결합되고, 드라이브 및 드라이브의 출력축이 구비된 구동부(100); 구동부(100)의 출력축에 제1감속기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부(10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 출력부(200); 및 출력부(200)에 마련되며, 구동부(100)의 출력축에 제2감속기를 통해 연결되어 출력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동휠(300);을 포함하고, 제2감속기의 감속비는 제1감속기의 감속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5 , a mobile device having a whee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500 on which a passenger rides; a drive unit 100 coupled to the base unit 500 and provided with a drive and an output shaft of the drive; an output unit 200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ing unit 100 through a first reducer and provided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unit 100 ; and a driving wheel 300 provided in the output unit 200 and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ing unit 100 through a second reducer to be rotated based on the output unit; and, the reduction ratio of the second reducer is the seco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maller than the reduction ratio of one reducer.

본 실시예와 같이 이동장치는 베이스부(500)의 양단에 2개의 본 발명에 의한 휠 구동 기구이 구비될 수 있다.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two wheel drive mechanis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both ends of the base unit 500 .

이에 따라 이동장치는 평지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구동부(100)의 구동력은 감속비가 작은 제2감속기로 전달되어 제2감속기가 구동휠(300)을 구동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500)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제1감속기는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moving device travels on flat grou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1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educer having a small reduction ratio, so that the second reducer may drive the driving wheel 300 . At this time, the first reducer may be fixed by the load of the occupant riding on the base part 500 .

그러나 이동장치가 계단을 만나거나 요철이 심한 험지를 만나는 경우, 구동휠(300)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대한 반력이 일정 값을 초과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구동휠(300)에 연결된 제2감속기가 고정되고, 구동부(100)의 구동력은 감속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1감속기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감속기에 연결된 출력부(200)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부(500) 및 이와 연결된 구동부(100)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출력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장치는 계단의 등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mobile device meets the stairs or encounters rough terrain with severe irregularities, the reaction force for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300 may exceed a certain value. In this case, the second reducer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300 is fixed,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1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educer having a relatively high reduction ratio. Accordingly, the output unit 200 connected to the first reducer rotates based on the base unit 500 supported by the load of the occupant and the driving unit 100 connected thereto. That is, as the output unit 200 rotates, the moving device is capable of climbing stairs.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구동부 200 : 출력부
210 : 제2감속기 220 : 제1감속기
300 : 구동휠 400 : 링크 모듈
500 : 베이스부
100: driving unit 200: output unit
210: second reducer 220: first reducer
300: drive wheel 400: link module
500: base part

Claims (14)

드라이브 및 드라이브의 출력축이 구비된 구동부;
출력축에 제1감속기를 통해 연결된 출력부 및 출력축에 제2감속기를 통해 연결된 구동휠로 구성되고, 출력부는 구동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구동휠은 출력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구동휠은 복수로 마련되고, 출력부와 각각의 구동휠 사이에는 링크 모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a drive unit provided with a drive and an output shaft of the drive;
It is composed of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rough a first reducer and a driving wheel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rough a second reducer, the output unit is provided to be rotated based on the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wheel is provided to be rotated based on the output unit Including;
A wheel dri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are provided, and a link module is provided between the output unit and each driving wheel.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감속기의 감속비는 제1감속기의 감속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duction ratio of the second reducer is smaller than the reduction ratio of the first reduc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링크 모듈과 구동휠은 120[deg] 각도를 간격으로 출력부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module and the driving wheel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at an angle of 120 [deg].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휠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대한 반력이 일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2감속기가 구동되고 제1감속기는 구동되지 않고, 구동휠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대한 반력이 일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감속기가 구동되고 제2감속기가 구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react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second reducer is driven and the first reducer is not driven. A wheel driv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is driven and the second reducer is not driven.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부에는 출력축에 연결된 제1베벨기어, 제1감속기에 연결된 제2베벨기어 및 제2감속기에 연결된 제3베벨기어가 마련되고, 제1베벨기어는 출력축과 연결되고, 제1베벨기어는 제2베벨기어 및 제3베벨기어에 모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bevel gear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a second bevel gear connected to the first reducer, and a third bevel gear connected to the second reducer, the first bevel gear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and the first bevel gear is the second A wheel dri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meshes with both the bevel gear and the third bevel gear.
청구항 6에 있어서,
구동부에는 출력축과 제1베벨기어 사이에 제4베벨기어가 마련되고, 출력축과 제1베벨기어 사이에서 제4베벨기어가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fourth bevel gear between the output shaft and the first bevel gear, and the fourth bevel gear transmits power between the output shaft and the first bevel gear.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감속기는 피니언 기어와 복수의 스퍼 기어로 구성되고, 피니언 기어는 출력축에 연결되고 복수의 스퍼 기어는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면서 복수의 구동휠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reducer is composed of a pinion gear and a plurality of spur gears, the pinion gear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and the plurality of spur gea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wheels while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청구항 8에 있어서,
구동휠과 스퍼 기어 각각에 풀리가 마련되고, 구동휠의 풀리와 스퍼기어의 풀리는 서로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스퍼 기어의 회전력이 구동휠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9. The method of claim 8,
A pulley is provided on each of the driving wheel and the spur gear, the pulley of the driving wheel and the pulley of the spur ge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elt,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ur gear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감속기는 하모닉 기어로 구성되고, 웨이브 제너레이터는 출력축에 연결되고 서큘러 스플라인은 구동부에 고정되며 플렉스 스플라인은 출력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heel driv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educer is composed of a harmonic gear, the wave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e circular spline is fixed to the driving part, and the flex spline is connected to the output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링크 모듈은 출력부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링크 모듈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롤러에 의해 링크 모듈이 출력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modul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put part, and the link module is fixed or released so that the link module does not rotate based on the output part by a roller provided movably on the link module.
청구항 11에 있어서,
롤러의 일측 단부에는 탄성체가 마련되어 외부힘이 없으면 롤러에 의해 링크 모듈이 출력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12. The method of claim 11,
An elastic body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ller, and the link module is fixed by the roller so as not to rotate based on the output unit if there is no external force.
청구항 11에 있어서,
링크 모듈 상에서 롤러가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12. The method of claim 11,
A wheel dri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portion for guiding a path along which the roller moves on the link module is provided.
탑승자가 탑승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드라이브 및 드라이브의 출력축이 구비된 구동부;
출력축에 제1감속기를 통해 연결된 출력부 및 출력축에 제2감속기를 통해 연결된 구동휠로 구성되고, 출력부는 구동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구동휠은 출력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구동휠은 복수로 마련되고, 출력부와 각각의 구동휠 사이에는 링크 모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구동 기구.
a base part on which the occupant boards;
a drive unit coupled to the base unit and provided with a drive and an output shaft of the drive;
It is composed of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rough a first reducer and a driving wheel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hrough a second reducer, the output unit is provided to be rotated based on the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wheel is provided to be rotated based on the output unit Including;
A wheel dri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are provided, and a link module is provided between the output unit and each driving wheel.
KR1020170085036A 2017-07-04 2017-07-04 Wheel driving apparatus and mobility using the same KR1024524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036A KR102452471B1 (en) 2017-07-04 2017-07-04 Wheel driving apparatus and mobilit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036A KR102452471B1 (en) 2017-07-04 2017-07-04 Wheel driving apparatus and mobility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868A KR20190004868A (en) 2019-01-15
KR102452471B1 true KR102452471B1 (en) 2022-10-12

Family

ID=6503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036A KR102452471B1 (en) 2017-07-04 2017-07-04 Wheel driving apparatus and mobility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471B1 (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8986A (en) * 1987-09-18 1989-03-24 Toshiba Corp Multi-wheel traveling vehicle
JPH08154976A (en) * 1994-12-02 1996-06-18 Suzuki Gokin Kk Running car provided with step difference running wheel
JPH08301120A (en) * 1995-05-01 1996-11-19 Yamaha Motor Co Ltd Multiwheel revolution type moving device
KR100320124B1 (en) * 1999-11-30 2002-01-10 김기수 Driving system
KR101031321B1 (en) * 2006-06-27 2011-04-29 김기수 Driving system
KR20150138748A (en) 2014-06-02 2015-12-1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Stair-climb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25057A (en) * 2014-08-25 2016-03-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 shaft wheel
KR102069506B1 (en) 2014-12-22 2020-01-23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Transformable Caterpill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868A (en)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63423B (en) One triangle crawler-type mobile mechanism
CN103802086B (en) Crusing robot
KR101031321B1 (en) Driving system
KR101290927B1 (en) Drive system for individually driving two drive wheels of a drive wheel pair
CN103507857A (en) Double-motor coupling type mechanical and electrical composite transmission device of a crawler
US11634174B2 (en) Coaxial co-located vehicle drive power and steering system
CN110450869B (en) Self-adaptive underactuated tracked robot
Tadakuma et al. Planar omnidirectional crawler mobile mechanism—development of actual mechanical prototype and basic experiments
KR102452471B1 (en) Wheel driving apparatus and mobility using the same
JP2017121822A (en) Travelling mechanism
CN103879466A (en) Crawler belt variable-rigidness independent suspension power chassis
KR20110017249A (en) Driving unit
CN214138740U (en) A multipurpose swing arm formula track removes chassis for complicated road surface
CN205632003U (en) Two -degree -of -freedom decoupling zero reduction gears
CN109436127B (en) Mobile robot chassis suitable for complex terrain
CN209988002U (en) Adjustable electric agricultural vehicle chassis
KR101793789B1 (en) Muti-range bycycle
CN220905157U (en) Arch waist moving platform
CN111169245A (en) Independent universal moving wheel system
JP3301878B2 (en) Space exploration vehicle
KR102237534B1 (en) Track-type SUGV with wheeled flipper
CN115158501B (en) Universal crawler device suitable for marsh environment
RU2388639C1 (en) Remore-control wheeled vehicle
CN216886968U (en) All-terrain driving robot chassis
KR102559710B1 (en) Track driv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