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187B1 - Shielding Sheet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hielding Sheet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187B1
KR102452187B1 KR1020150123551A KR20150123551A KR102452187B1 KR 102452187 B1 KR102452187 B1 KR 102452187B1 KR 1020150123551 A KR1020150123551 A KR 1020150123551A KR 20150123551 A KR20150123551 A KR 20150123551A KR 102452187 B1 KR102452187 B1 KR 102452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sheet
sheet
shielding
charging coil
wireles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8384A (en
Inventor
장길재
이웅용
진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ublication of KR20160028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3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1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는 충전 코일의 하면에 배치되고 제1차폐시트 및 제2차폐시트를 적층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차폐시트는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차폐시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자율이 높은 제1차폐시트와, 상기 제2차폐시트는 상기 제1차폐시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높은 자성체로 형성되어, 자기장 차폐 성능은 향상시키면서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The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a charging coil and is configured by laminating a first shielding sheet and a second shielding sheet, wherein the first shielding sheet is made of a plurality of fine pieces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The first shielding sheet having a relatively high magnetic permeability compared to the sheet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ar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resistivity compared to the first shielding sheet, so that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thickness can be formed thin. .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장치{Shielding Sheet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at shields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노트북, PDA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기를 필요로 하고, 충전기는 일반 상용 전원과 접속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 전류를 공급한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notebook computer, a PDA, etc. has a battery therein so that a user can use it while moving. Such a portable terminal requires a charger to charge the battery, and the charger is connected to a general commercial power supply to supply a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충전기가 충전 전류를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충전기를 구성하는 충전 모체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In order for the charger to provide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harging matrix constituting the charger and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기존의 충전기는 휴대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유선 연결을 위해 접속 단자가 구비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휴대 단말가의 접속 단자와 충전기의 접속 단자를 상호 접속시켜야 한다. The conventional charger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by wire, and a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for wire connection. Therefore, when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to be charged,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charger must be interconnec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접속 단자 방식은 기기에 따라 단자의 규격과 모양이 다르게 되어, 사용자는 매번 새로운 충전 장치를 구입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However, in the connection terminal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standard and shape of the terminal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vice, and thus the user has difficulty in purchasing a new charging device each tim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 접촉식 자기유도방법, 즉 무선 충전 방식이 고안되었다. 무선 충전기는 자기유도(Magnetic Induction, MI) 방식(즉, 표준 규격)과, 자기공명(Magnetic Resonance, MR) 방식(즉, 표준 규격)으로 구분할 수 있고, 상기 자기유도방식의 대표적인 두 방식으로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즉, 표준 규격) 및 PMA(Power Matters Alliance) 방식(즉, 표준 규격)을 들 수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a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method, that is, a wireless charging method, has been devised. The wireless charger can be divided into a magnetic induction (MI) method (ie, standard specification) and a magnetic resonance (MR) method (ie, standard specification), and two representative methods of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include a 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method (ie, a standard standard) and a Power Matters Alliance (PMA) method (ie, a standard standard).

무선 전력 송신장치(즉, 무선 충전기)는 자기 유도방식에 의해 휴대 단말기 등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용 코일과 충전용 코일의 하측에 배치되어 충전용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자기장 차폐시트를 포함한다.A wireless power transmitter (i.e., wireless charger) uses a magnetic induction method to charge a battery such as a mobile terminal and a magnetic shielding sheet disposed below the charging coil to shiel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harging coil. include

무선 충전기용 차폐시트는 등록특허공보 10-1399023(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 박판 자성시트와, 상기 박판 자성시트의 일면에, 제1접착층을 통하여 접착되는 보호필름과, 상기 박판 자성시트의 타면에, 일측면에 구비된 제2접착층을 통하여 접착되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1399023 (Patent Document 1), the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charger includes a thin magnetic sheet separated into a number of fine pieces, and one surface of the thin magnetic sheet, a protection that is adhered through a first adhesive lay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lm and a double-sided tape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hin magnetic sheet through a second adhesive layer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하지만, 특허문헌 1의 자기장 차폐시트는 다수의 미세조각으로 분리된 박판 자성시트만 사용하기 때문에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이 커지고 이에 따라 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와전류 손실이 증가하면 충전용 코일의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도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of Patent Document 1 uses only a thin magnetic sheet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ddy current loss increases and heat is generated accordingly. In addition, when the eddy current loss increases,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resistance of the charging coil increases.

또한, 종래에 무선 전력 송신장치의 자기장 차폐시트로서 프레스(press) 방식으로 제조된 단일의 페라이트 시트를 사용하여 충전 코일에 원하는 인덕턴스와 저항을 구현하였으나, 취성이 크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거나 깨지게 되면 차폐시트의 투자율이 변동되고 그 결과 안테나 특성이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 single ferrite sheet manufactured by a press method was used as a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realize desired inductance and resistance in the charging coil, but cracks occur due to external impact due to large brittleness. If it is broken or broken, the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shielding sheet is changed, an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ntenna characteristics are changed.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10-1399023(2014년 05월 19일)Patent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99023 (May 19, 201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은 낮추고 투자율은 높일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capable of lowering eddy current loss and increasing magnetic permeability, and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장 차폐 성능은 향상시키면서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capable of forming a thin thickness while improving magnetic field shielding performanc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폐시트를 다수의 조각으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하여 충격에 강한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strong in impact by forming a shielding sheet in a form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hav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는 충전 코일의 하면에 배치되며 비저항이 다른 이종의 자성시트가 적층된 제1차폐시트 및 제2차폐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차폐시트는 상기 제1차폐시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ging coil and includes a first shielding sheet and a second shielding sheet in which different types of magnetic sheets having different specific resistances are laminated, The second shielding she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latively high specific resistance compared to the first shielding sheet.

상기 제1차폐시트는 상기 제2차폐시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자율이 높은 자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hielding sheet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magnetic permeability compared to the second shielding sheet.

상기 제1차폐시트는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first shielding sheet,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ribbon sheet of a nano-crystalline alloy may be used.

상기 제2차폐시트는 페라이트 시트 또는 자성분말과 수지로 이루어진 폴리머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shielding sheet may be a ferrite sheet or a polymer sheet made of magnetic powder and resin.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NiZn 페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NiZn ferrite may be used as the ferrite sheet.

상기 NiZn 페라이트는 캐스팅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NiZn ferrite may be manufactured by a casting method.

상기 제1차폐시트의 두께는 20~300㎛이고, 상기 제2차폐시트의 두께는 30~500㎛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hielding sheet may have a thickness of 20 to 300 μm,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may have a thickness of 30 to 500 μm.

상기 제1 및 제2 차폐시트의 전체 두께는 100~1000㎛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sheets may be formed to be 100 ~ 1000㎛.

상기 제2차폐시트의 일면에는 보호필름이 제1접착층에 의해 부착되고, 타면에는 상기 제1차폐시트를 위한 제2접착층이 적층될 수 있다.A protective film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shielding sheet by a first adhesiv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for the first shielding sheet may be lamina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shielding sheet.

상기 적층된 차폐시트의 배면에 부착되어 충전코일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heat sink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laminated shielding sheet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charging coil.

상기 충전 코일의 하면에 제1차폐시트와 제2차폐시트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Any one of a first shielding sheet and a second shielding sheet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harging coil.

상기 제1 및 제2 차폐시트는 각각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미세 조각은 수십㎛ 내지 3mm 크기를 갖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sheets may be formed in a form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and the plurality of fine pieces may have a size of several tens of μm to 3 mm.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는 충전 코일의 하면에 위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로서, 상기 차폐시트는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을 낮추도록 표면저항이 큰 자성체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 제1차폐시트; 및 상기 제1차폐시트의 하면에 적층되고 투자율을 높이도록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 제2차폐시트를 포함한다.The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a charging coil, and the shielding sheet is made of a magnetic ceramic having a large surface resistance to lower an eddy current loss. a first shielding sheet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and a second shielding sheet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hielding sheet and made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line alloy to increase magnetic permeability and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는 제1차폐시트에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높은 제2차폐시트를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은 낮추고 투자율은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laminating a second shielding sheet having a relatively high specific resistance on the first shielding sheet, thereby lowering the eddy current loss and increasing the magnetic permeability. .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는 자기 특성이 서로 다른 두 장의 시트를 적층하여 사용함으로써, 자기장 차폐 성능은 향상시키면서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orm a thin thickness while improving magnetic field shielding performance by stacking two sheets having different magnetic properties.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는 차폐시트를 다수의 조각으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하여 와전류 손실의 저감과 함께 외부의 충격에 강한 무선 전력 송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at is resistant to external shocks while reducing eddy current loss by forming the shielding sheet in a form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코일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시트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시트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view of a charging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ielding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rocess flow chart showing a shielding sheet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hielding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장치는 자기 유도방식에 의해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코일(10)과, 충전코일의 하측에 배치되어 충전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시트(20)와, 차폐시트(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충전코일(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장치는 상용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코일(10)로 무선 송신용 전력을 높은 효율로 인가하는 제어회로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coil 10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onic device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a charging coil disposed below the charging coil to generate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charging coil. It includes a shielding sheet 20 for shielding the magnetic field, and a heat sink 30 disposed below the shielding sheet 20 to dissipate heat generated by the charging coil 10 .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circuit unit (not shown) for applying power for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charging coil 10 with high efficiency using commercial AC power.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규격의 A6 타입 무선 충전기(transmitter)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충전코일(10)은 WPC 규격의 A6 타입 무선 충전기를 만족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코일(12,14,16)로 구성되고 제1코일(12)과 제2코일(14)은 수평하게 배치하고, 제1코일(12)과 제2코일(14)에 제3코일(16)을 적층하여 사용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A6 type wireless charger (transmitter) of the 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standard. As shown in FIG. 2, the charging coi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A6 type wireless charger of the WPC standard, and is composed of three coils 12, 14, 16, and a first coil 12 and a second coil. (14)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the third coil (16) is laminated on the first coil (12) and the second coil (14).

충전코일(10)은 3개 코일 구조 이외에, 1개 및 2개 또는 3개 이상의 코일을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o the three coil structure, the charging coil 10 may be used by stacking one and two or three or more coils.

방열판(30)은 충전용 코일(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루미늄 판이나 동판이 사용될 수 있다. The heat sink 30 serves to radiate heat generated by the charging coil 10 , and an aluminum plate or a copper plate may be used.

무선 충전기의 경우 자기 유도방식으로 충전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100kHz ~ 수 MHz의 자기장이 발생된다. 이러한 자기장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등의 부품 및 무선 충전기가 자동차에 설치될 경우 자동차의 전자제어에 사용되는 전자제어부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In the case of a wireless charger, a magnetic field of 100 kHz to several MHz is generated because charging is performed by magnetic induction. Such a magnetic field affects parts such as a battery of a portable terminal and electronic control parts used for electronic control of a vehicle when a wireless charger is installed in a vehicle.

따라서, 무선 충전기에는 충전코일(10)로부터 방사되는 자기장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시트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Therefore, a shielding sheet for shielding the magnetic field radiated from the charging coil 10 is essentially used in the wireless charger.

종래에 차폐시트로는 일반적으로 박막이면서도 투자율이 비교적 높은 가압소결방식(Press)으로 제조된 MnZn 페라이트가 단독으로 사용되는데, MnZn 페라이트는 페라이트 파우더를 고압의 프레스 공정을 거쳐 성형한 후 소결하여 원하는 두께로 그라인딩(grinding)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Conventionally, as a shielding sheet, MnZn ferrite manufactured by a press sintering method, which is a thin film and has a relatively high magnetic permeability, is used alone. Since it is manufactured by low grinding (grind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mass production is difficult.

그리고, MnZn 페라이트는 가압소결방식(Press)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500㎛ 미만의 박막으로 제조하기 어렵고 취성이 강해 외부의 충격에 의해 깨지기 쉬워 자동차에 설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 등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곳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차폐시트로 사용된 MnZn 페라이트가 충격에 의해 깨지는 경우 투자율이 변하게 되어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안테나를 구성하는 충전코일의 인덕턴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And, since MnZn ferrite is manufactured by the press sintering metho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s a thin film of less than 500㎛, and it is brittle and is easily broken by external impac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When the MnZn ferrite used as the shielding sheet is broken by impact, the magnetic permeability changes, which affects the inductance of the charging coil constituting the antenna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이에, 차폐시트로서 MnZn 페라이트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NiZn 페라이트나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NiZn 페라이트는 투자율이 낮기 때문에 MnZn 페라이트와 동일한 투자율 특성을 내기 위해서는 두께가 MnZn 페라이트의 두 배 이상으로 두꺼워져야 되고, 한편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는 박막이면서 MnZn 페라이트에 필적하는 투자율 특성을 나타내지만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이 커 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as a shielding sheet, it can be considered to use, for example, a ribbon sheet of NiZn ferrite or an amorphous alloy instead of MnZn ferrite. Since NiZn ferrite has low magnetic permeability, the thickness is MnZn to produce the same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as MnZn ferrite. It should be thicker than twice that of ferrite. On the other hand, the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is a thin film and exhibits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comparable to that of MnZn ferrit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heat is generated due to large Eddy Current Los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투자율은 높이고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은 줄일 수 있도록 각각 박막이면서 서로 다른 이종의 자성시트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타입으로 복수의 차폐시트를 적층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magnetic permeability and reduce the eddy current loss, it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by stacking and u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sheets in a hybrid type made of different types of magnetic sheets while each thin film.

차폐시트(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투자율의 제1차폐시트(22)와, 제1차폐시트(22)에 적층되고 제1차폐시트(22)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높은 제2차폐시트(24)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 the shielding sheet 20 is laminated on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having high magnetic permeability and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and having a relatively high resistivity compared to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 and a second shielding sheet 24 .

여기에서, 제1차폐시트(22)는 제2차폐시트(24)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자율이 높은 차폐시트가 사용되고, 제2차폐시트(24)는 와전류 손실을 낮출 수 있도록 제1차폐시트(22)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높은 자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s a shielding sheet having a relatively high magnetic permeability compared to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is used,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is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to reduce eddy current loss. ),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resistivity may be used.

제1차폐시트(22)는 박막이면서 투자율이 높은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와전류 발생을 억제하도록 다수의 미세조각으로 분리된 형태로 사용된다.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s a thin film and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with high magnetic permeability or a ribbon sheet of a nano-crystalline alloy is used, and is preferably used in a form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ddy currents.

제2차폐시트(24)는 제1차폐시트(22)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자율이 낮은 차폐시트가 사용되고, 예를 들어, 페라이트 시트, 폴리머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NiZn 페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차폐시트(24)는 바람직하게는 제1차폐시트(22)와 마찬가지로 와전류 발생을 억제하도록 다수의 미세조각으로 분리된 형태로 사용된다.As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 a shielding sheet having a relatively low magnetic permeability compared to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s used, for example, a ferrite sheet, a polymer sheet, etc. may be used. Specifically, NiZn ferrite may be used. can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is preferably used in a form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to suppress the eddy current generation, like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

따라서, 제1차폐시트(22)와 제2차폐시트(24)는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 표면저항이 큰 제2차폐시트(24)에서 일차로 자기장을 차폐하기 때문에 제1차폐시트(22)에서 와전류 손실이 크게 발생하지 않으면서 박막의 비정질 합금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 리본시트를 사용하는 데 따른 높은 투자율을 갖는 하이브리드(Hybrid) 시트가 얻어지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are stacked and used,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primarily shields the magnetic field from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having a large surface resistance. A hybrid sheet having high magnetic permeability is obtained by using a thin amorphous alloy ribbon sheet or a nano-grain alloy ribbon sheet without significantly generating eddy current loss.

여기에서, 제2차폐시트(24)는 페라이트 시트 대신 비정질 합금 분말, 연자성체 분말, 센더스트(Sendust)와 같은 고투자율의 자성분말과 수지로 이루어진 폴리머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may use a polymer sheet made of a resin and magnetic powder having high magnetic permeability such as an amorphous alloy powder, a soft magnetic powder, or Sendust instead of a ferrite sheet.

이 경우, 비정질 합금 분말은 예를 들어, Fe-Si-B, Fe-Si-B-Cu-Nb, Fe-Zr-B 및 Co-Fe-Si-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을 갖는 비정질 합금을 1종 이상 포함하는 비정질 합금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amorphous alloy powder is, for example, an amorphous alloy having a composi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e-Si-B, Fe-Si-B-Cu-Nb, Fe-Zr-B and Co-Fe-Si-B. It is preferable to use an amorphous alloy powder containing one or more kinds.

상기 폴리머 시트는 자성분말과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이 작고, 페라이트 시트와 동일하게 투자율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충전용 코일(10)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이 방사될 때 폴리머 시트를 거치면서 자기장이 크게 감쇄되어 일면에 적층되는 비정질 리본시트의 제1차폐시트(22)에서는 와전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Since the polymer sheet is made of magnetic powder and resin, the eddy current loss is small, and, like the ferrite sheet, the magnetic permeability is relatively low, but when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charging coil 10 is radiated through the polymer sheet, In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of the amorphous ribbon sheet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magnetic field is greatly attenuated, it serves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eddy current loss.

제1차폐시트(22)의 일면에는 제1접착층(42)을 구비한 보호필름(44)이 적층되고, 제1차폐시트(22)의 타면에는 제2차폐시트(24)와의 합지를 위한 제2접착층(46)이 적층된다. A protective film 44 having a first adhesive layer 42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 and a second shielding sheet 24 is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 Two adhesive layers 46 are laminated.

그리고, 제2차폐시트(24)에는 차폐시트(20)를 방열판(30)에 부착하기 위한 제3접착층(48)이 적층된다. In addition, a third adhesive layer 48 for attaching the shielding sheet 20 to the heat sink 30 is laminated on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

여기에서, 제3접착층(48)은 양면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고, 방열판(30)에 부착할 때 분리하는 릴리스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Here, the third adhesive layer 48 may be formed of a double-sided tape, and a release film that separates when attached to the heat sink 30 may be attached.

여기에서, 바람직하기는 제1차폐시트(22)는 다수의 조각으로 분리된 형태이고, 조각들 사이의 틈새에 제1접착층(42) 및 제2접착층(46)을 이루는 접착제의 일부가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폐시트(22)는 다수의 미세 조각들 사이가 접착제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형태를 갖게 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강하여 자동차에 설치되는 무선 충전기 등 외부의 충격이 발생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무선 충전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Here, preferably,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s in a form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a part of the adhesive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42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6 is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pieces. can Therefore, since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has a shape that is partially surrounded by an adhesive between a plurality of fine pieces, it is strong against external shocks, so it is a wireless charger installed in a place where external shocks such as a wireless charger installed in a car occur. It can also be used as a charger.

보호필름(44)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페닐린설페이드(PPS)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테레프탈레이트(PTFE)와 같은 불소 수지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1접착층(42)을 통하여 제1차폐시트(22)의 일면에 부착된다. The protective film 44 is, for exampl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polyimide film, a polyester film, a polyphenyline sulfate (PPS) film, a polypropylene (PP) film, polyterephthalate (PTFE), such as A fluororesin-based film may be used, and it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through the first adhesive layer 42 .

제1 내지 제3 접착층(42,46,48)은 전도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고, 절연성 접착제도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For the first to third adhesive layers 42, 46, and 48, a conductive adhesive may be used, and an insulating adhesive may also be used, for example, an acrylic adhesive may be used, and other types of adhesives may be used as well. do.

상기 제1 내지 제3 접착층(42,46,48)은 예를 들어, 핫멜트 웹의 접착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adhesive layers 42 , 46 , and 48 may include, for example, an adhesive sheet of a hot melt web.

핫멜트 웹의 접착 시트는 예를 들어, 폴리아마이드(Polyamide)계, 폴리에스터(Polyester)계,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계 중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dhesive sheet of the hot melt web is made of, for example, one of polyamide-based, polyester-based, polyurethane-based, polyolefine-based and E.V.A. (Ethylene Vinyl Acetate)-based materials. can

이와 같은 제2차폐시트(24)는 페라이트를 사용하면서도 기존에 비해 두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즉, 기존의 MnZn 페라이트를 사용하여 동일한 투자율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MnZn 페라이트의 2배 이상의 두께를 확보할 필요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제2차폐시트(24)는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을 줄이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두께를 특히 얇게 형성해도 된다.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while using ferrite. That is, in order to exhibit the same magnetic permeability using the existing MnZn ferrite, it was necessary to secure twice the thickness of MnZn ferrite, but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reduce Eddy Current Loss. Since it is used as a , it may be formed particularly thin.

즉, MnZn 페라이트는 페라이트 파우더를 고압의 프레스 공정을 거쳐 성형한 후 소결에 의해 높은 밀도를 갖게 하여 높은 투자율을 갖는 자성시트를 구현한 것이나, 본 발명에서 고투자율의 제1차폐시트(22)와 적층되어 사용되는 제2차폐시트(24)는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을 줄이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두께를 최대로 얇게 형성할 수 있는 캐스팅(casting) 방식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at is, MnZn ferrite is a magnetic sheet having high magnetic permeability by molding ferrite powder through a high-pressure pressing process and then sintering to have a high density,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permeability first shielding sheet 22 and Since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used to be laminated is used to reduce eddy current los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by a casting method that can be formed to have a maximum thickness.

본 발명에 따른 차폐시트 제조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배치되고 커버필름(44)이 감겨진 커버필름 롤(50)과, 커버필름 롤(50)에서 인출되는 커버필름(44)을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52) 및 제2이송유닛(54)과, 제1이송유닛(52)에 배치되어 제1이송유닛(52)에 배치된 커버필름(44)에 제1차폐시트(22)를 적층하는 제1차폐시트 적층유닛(56)과, 제1이송유닛(52)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차폐시트(22)에 적층되는 제2접착층(46)을 공급하는 제1양면 테이프 롤(58)과, 제1이송유닛(54)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차폐시트(22)를 다수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하는 제1파쇄유닛(60)과, 제1파쇄유닛(6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커버필름(44), 제1차폐시트(22) 및 제2접착층(46)을 가압하여 합지하는 가압유닛(62)과, 제2이송유닛(54)에 배치되어 제2접착층(46)에 제2차폐시트(24)를 적층하는 제2차폐시트 적층유닛(64)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shielding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film roll 50 disposed in front and on which a cover film 44 is wound, and a cover film 44 drawn out from the cover film roll 50. ) of the first transfer unit 52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54 for transferring, and the first transfer unit 52 disposed on the cover film 44 disposed on the first transfer unit 52, the first shield A first shielding sheet lamination unit 56 for laminating the sheets 22, and a second adhesive layer 46 disposed behind the first transfer unit 52 to be laminated on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A double-sided tape roll 58, a first crushing unit 60 disposed behind the first transfer unit 54 to separate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and a first crushing unit ( The first cover film 44,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6 are pressed and laminated on the pressure unit 62 disposed behind the 6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54 is disposed. and a second shielding sheet laminating unit 64 for laminating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on the second adhesive layer 46 .

그리고, 제2이송유닛(54)의 후방에는 제2차폐시트(24)에 적층되는 제3접착층(48)을 공급하는 제2양면 테이프 롤(66)과, 제2차폐시트(24)를 미세조각으로 분리하는 제2파쇄유닛(68)와, 제1차폐시트(22)와 제2차폐시트(24) 사이를 합지하는 제2가압유닛(70)이 배치된다. Then, the second double-sided tape roll 66 for supplying the third adhesive layer 48 laminated on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to the rear of the second transfer unit 54,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are finely applied. A second crushing unit 68 for separating into pieces, and a second pressing unit 70 for laminating between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are dispos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폐시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차폐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hielding sheet using the shielding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차폐시트 제조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접착층(42)이 형성된 보호필름(44)을 준비한다(S10). 보호필름(44)은 그 일면에 제1접착층(42)이 형성되어 있고, 제1접착층(42)에는 릴리이스 필름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커버필름 롤(50)에 감겨진다. In the shield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first, a protective film 44 on which the first adhesive layer 42 is formed is prepared ( S10 ). The protective film 44 has a first adhesive layer 42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release film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adhesive layer 42 and wound around the cover film roll 50 .

보호필름 롤(50)에 감겨진 보호필름(44)이 제1이송유닛(52)으로 안내되어 제1이송유닛(52)에 안착된다. 이때, 보호필름(44)에는 제1접착층(4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접착층(42)에 부착된 릴리이스 필름이 벗겨지면서 제1접착층(42)이 위를 향해 노출된 상태로 제1이송유닛(52)에 안착된다.(도 4 참조) The protective film 44 wound on the protective film roll 50 is guided to the first transfer unit 52 to be seated on the first transfer unit 52 .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adhesive layer 42 is formed on the protective film 44 , the release film attached to the first adhesive layer 42 is peeled off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42 is first transpor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exposed upward. It is seated on the unit 52 (see FIG. 4).

이어서 제1차폐시트 적층유닛(56)에서 제1차페시트(22)를 제1접착층(42) 위에 올려 놓는다(S20). 이때, 제1차페시트 적층유닛(56)은 부압에 의해 제1차폐시트를 흡입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로봇 팔을 이용하여 제1차폐시트(22)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유압 실린더에 의해 제1차폐시트(22)를 밀어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차폐시트 적층유닛(56)은 픽 앤 플레이스(pick-and-place) 장치를 포함하여 제1차폐시트(22)를 제1이송유닛(52)으로 이동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Next,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s placed on the first adhesive layer 42 in the first shielding sheet stacking unit 56 (S20). At this time, the first shielding sheet stacking unit 56 may suck and move the first shielding sheet by negative pressure, and may move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using a robot arm, and may be removed by a hydraulic cylinder.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primary shielding sheet 22 by pushing it. That is, the first shielding sheet stacking unit 56 may apply any structure capable of moving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to the first transfer unit 52, including a pick-and-place device. It is possible.

제1이송유닛(52) 및 제2이송유닛(54)이 구동되면 제1차폐시트(22)가 이동된다. 그러면 제1양면 테이프 롤(58)에 감겨진 양면테이프가 제1차폐시트(22)에 적층되어 제2접착층(46)을 형성한다(S30). 이때, 양면테이프의 일면에 부착된 릴리이스 필름(미도시)이 벗겨지면서 제1차폐시트(22)에 부착된다. When the first transfer unit 52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54 are driven,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s moved. Then, the double-sided tape wound on the first double-sided tape roll 58 is laminated on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to form the second adhesive layer 46 (S30). At this time, the release film (not shown)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ouble-sided tape is peeled off and attached to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

이어서, 제1차폐시트(22)는 제1파쇄유닛(60)을 통과하면서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다. 보호필름(44), 제1접착층(42), 제1차폐시트(22) 및 제2접착층(46)이 순차 적층된 시트가 제1가압유닛(62)을 통과하면서 평탄화된다. Subsequently,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crushing unit 60 . A sheet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44 , the first adhesive layer 42 ,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6 are sequentially stacked is flatten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pressing unit 62 .

제1파쇄유닛(60)은 복수의 볼이 구비되거나 돌기가 형성되는 롤러들 또는 가압 프레스로 형성되어 제1차폐시트를 다수의 미세조각으로 랜덤하게 분리하고, 분리된 조각들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The first crushing unit 6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alls or rollers having protrusions or a pressure press to randomly separate the first shielding sheet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and a predetermined size of the first shielding sheet is formed between the separated pieces. gaps may occur.

그리고, 제1가압유닛(62)은 가압 롤러 또는 가압 프레스로 구성되어 제1차폐시트(22)를 상온 또는 일정 온도로 가열한 후 가압하면, 제1접착층(42) 및 제2접착층(46)을 이루는 접착제의 일부가 이러한 틈새로 밀려 들어가므로 제1차폐시트(22)의 강도를 강화시킨다. In addition, the first pressure unit 62 is composed of a pressure roller or a pressure press, and when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s heated to room temperature o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n pressed, the first adhesive layer 42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6 ) Since a portion of 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is pushed into this gap, the strength of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s strengthened.

여기에서, 제1접착층(42) 및 제2접착층(46)은 상온에서 가압하면 변형 가능한 접착제가 사용되거나, 열을 가하면 변형되는 열가소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dhesive layer 42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46 may use an adhesive that is deformable when pressed at room temperature, or a thermoplastic adhesive that is deformed when heat is applied.

제1차폐시트(22)가 이동되어 제2이송유닛(54)에 위치하게 되면 제2차폐시트 적층유닛(64)에서 제2차폐시트(24)를 제2접착층(46)위에 올려 놓는다(S40). When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s moved and positioned in the second transfer unit 54, the second shielding sheet stacking unit 64 places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on the second adhesive layer 46 (S40). ).

이어서, 제2이송유닛(54)의 후방에 배치된 제2양면 테이프 롤(66)에 감긴 양면 테이프가 제2차폐시트(24)에 적층되어 제3접착층(48)을 형성한다(S50). 이때, 양면 테이프의 일면에 부착된 릴리이스 필름이 벗겨지면서 제2차폐시트(24)에 부착된다. Next, the double-sided tape wound on the second double-sided tape roll 66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transfer unit 54 is laminated on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to form the third adhesive layer 48 (S50). At this time, the release film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double-sided tape is peeled off and attached to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

다음으로, 제1차폐시트(22) 및 제2차폐시트(24)가 제2파쇄유닛(68)을 통과하면서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다. 이때, 제1차폐시트(22)는 제2파쇄유닛(68)에 의해 한 번 더 파쇄되는데, 제1차폐시트(22)의 특성상 보다 많은 조각으로 파쇄될수록 와전류 손실이 감소되어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Next,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ar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crushing unit 68 . At this time,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s shredded once more by the second shredding unit 68.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as more pieces are shredded, the eddy current loss is reduced to improv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can

그리고, 보호필름(44), 제1접착층(42), 제1차폐시트(22), 제2접착층(46), 제2차폐시트(24) 및 제3접착층(48)이 순차 적층된 시트가 제2가압유닛(70)을 통과하면 제1차폐시트(22)와 제2차폐시트(24)가 가압되어 평탄화된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44, the first adhesive layer 42,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the second adhesive layer 46,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and the third adhesive layer 48 are sequentially stacked. When passing through the second pressing unit 70,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are pressed and flattened.

여기에서, 제3접착층(48)은 상온에서 가압하면 변형 가능한 접착제가 사용되거나, 열을 가하면 변형되는 열가소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Here, as the third adhesive layer 48, an adhesive that is deformable when pressed at room temperature may be used, or a thermoplastic adhesive that is deformed when heat is applied may be used.

제1차폐시트(22) 및 제2차폐시트(24)는 상기한 제1 및 제2 파쇄유닛(60,68)과 제1 및 제2 가압유닛(62,70)을 거치면서 수십㎛ 내지 3mm 크기로 랜덤하게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되며, 평탄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분리된 다수의 미세 조각은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접착층에 의해 위치를 잡아주므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first shielding sheet 22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units 60 and 68 and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units 62 and 70, and are formed by several tens of μm to 3 mm. It is separated into a number of fine pieces at random in size, and planariza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separated plurality of fine pieces are positioned by the adhesive layer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separated state is maintained.

다음에, 제1차폐시트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Next, the first shielding sheet manufactur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제1차폐시트를 구성하는 리본시트가 비정질 합금인 경우, Fe계 비정질 합금 예를 들어, Fe-Si-B 또는 Fe-Si-B-Co 합금으로 이루어진 20 내지 30㎛ 두께의 극박형 비정질 리본을 멜트 스피닝에 의한 급냉응고법(RSP)으로 제조하며, 원하는 투자율을 얻을 수 있도록 적층된 비정질 리본을 300℃ 내지 600℃의 온도범위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무자장 열처리를 행한다.When the ribbon sheet constituting the first shielding sheet is an amorphous alloy, an ultra-thin amorphous ribbon with a thickness of 20 to 30 μm made of an Fe-based amorphous alloy, for example, Fe-Si-B or Fe-Si-B-Co alloy It is manufactured by the rapid cooling solidification method (RSP) by melt spinning, and the amorphous ribbon laminated to obtain the desired magnetic permeability is subjected to a non-magnetic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range of 300°C to 600°C for 30 minutes to 2 hours.

이 경우, 열처리 분위기는 비정질 리본의 Fe 함량이 높을지라도, 산화가 발생되지 않는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므로 분위기 로에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대기 중에서 열처리를 진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산화 분위기 또는 질소 분위기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질지라도 동일한 온도 조건이라면 비정질 리본의 투자율은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다.In this case, since the heat treatment atmosphere is performed in a temperature range in which oxidation does not occur even if the Fe content of the amorphous ribbon is high,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heat treatment in an atmosphere furnace, and the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in the atmosphere. In addition, even if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n oxidizing atmosphere or a nitrogen atmosphere, there is substantially no difference in the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amorphous ribbon under the same temperature conditions.

상기한 열처리 온도가 300℃ 미만인 경우 원하는 투자율보다 높은 투자율을 나타내며 열처리 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600℃를 초과하는 경우는 과열처리에 의해 투자율이 현저하게 낮아져서 원하는 투자율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열처리 온도가 낮으면 처리시간이 길게 소요되고, 반대로 열처리 온도가 높으면 처리시간은 단축된다. When the abov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less than 300 ° C, the magnetic permeability is higher than the desired permeabilit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treatment time takes a long time, and when it exceeds 600 ° C, the magnetic permeability is remarkably lowered by overheat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red permeability cannot be exhibited. . In general, when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low, the treatment time is long, whereas when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high, the treatment time is shortened.

또한, 리본시트가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경우, 예를 들어, Fe-Si-B-Cu-Nb 합금으로 이루어진 20 내지 30㎛ 두께의 극박형 비정질 리본을 멜트 스피닝에 의한 급냉응고법(RSP)으로 제조하며, 원하는 투자율을 얻을 수 있도록 적층된 리본시트를 300℃ 내지 700℃의 온도범위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무자장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나노 결정립이 형성된 나노 결정립 합금 리본시트를 형성한다.In addition, when the ribbon sheet is made of a nano-crystalline alloy, for example, an ultra-thin amorphous ribbon of 20 to 30 μm thick made of an Fe-Si-B-Cu-Nb alloy is manufactured by a rapid solidification method (RSP) by melt spinning.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magnetic permeability, the laminated ribbon sheet is subjected to a magnetic field-free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range of 300 ° C. to 700 ° C. for 30 minutes to 2 hours to form a nano crystal grain alloy ribbon sheet in which nano crystal grains are formed.

이 경우 열처리 분위기는 Fe의 함량이 70at% 이상이므로 대기 중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지면 산화가 이루어져서 시각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며, 따라서 질소 분위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산화 분위기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질지라도 동일한 온도 조건이라면 시트의 투자율은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다.In this case, since the content of Fe in the heat treatment atmosphere is 70at% or more, oxidation is made when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the atmosphere, which is not preferable from a visual point of view.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it in a nitrogen atmosphere. However, even if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n oxidizing atmosphere, there is substantially no difference in the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sheet under the same temperature conditions.

이 경우, 열처리 온도가 300℃ 미만인 경우 나노 결정립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아 원하는 투자율이 얻어지지 않으며 열처리 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700℃를 초과하는 경우는 과열처리에 의해 투자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열처리 온도가 낮으면 처리시간이 길게 소요되고, 반대로 열처리 온도가 높으면 처리시간은 단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when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less than 300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red permeability is not obtained because the nanocrystal grains are not sufficiently generated and the heat treatment time is long, and when it exceeds 700 ℃, the magnetic permeability is significantly lowered by overheating there is a problem. When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low, the treatment time is long,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high, the treatment time is preferably shortened.

또한, 본 발명의 리본시트는 두께가 20 ~ 30㎛ 범위를 갖는 것을 사용하며, 리본시트의 투자율은 리본의 두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In addition, the ribbon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have a thickness in the range of 20 ~ 30㎛, the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ribbon sheet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thickness of the ribbon.

더욱이, 상기 리본시트는 열처리가 이루어지면 취성이 강하게 되어 후속 공정에서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할 때 쉽게 분리 또는 크랙될 수 있게 된다. Moreover, the ribbon sheet becomes brittle when heat treatment is performed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or cracked when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in a subsequent process.

다음에서, 제2차폐시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cond shielding sheet will be described.

제2차폐시트(24)는 예를 들어, NiFe2O4와 ZnFe2O4의 혼합분말을 유기용제에 분산시키고 PVB(Polyvinyl Butyral) 등의 바인더를 첨가한 후 캐스팅 공정을 진행하여 플레이트 형태의 그린 시트를 형성하고, 이를 소결하여 페라이트 시트를 제조한다.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is formed by dispersing, for example, a mixed powder of NiFe 2 O 4 and ZnFe 2 O 4 in an organic solvent, adding a binder such as PVB (Polyvinyl Butyral), and then performing a casting process to form a plate shape. A green sheet is formed and sintered to prepare a ferrite sheet.

제1차폐시트(22)의 두께는 20~3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차폐시트(24)의 두께는 30~5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폐시트(20) 전체의 두께는 100~10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is preferably formed in a range of 20 to 30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is preferably formed in a range of 30 to 500 μm.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tire thickness of the shielding sheet 20 is formed in a range of 100 to 1000 μm.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 비교예 1-3)(Example 1, Comparative Examples 1-3)

아래 표 1은 가압소결방식(Press)으로 제조되고 MnZn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차폐시트(비교예 1), 가압소결방식(Press)으로 제조되고 NiZn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차폐시트(비교예 2),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 Fe계 비정질 합금 리본을 사용한 차폐시트(비교예 3), 캐스팅 방식(casting)으로 제조되고 100㎛ 두께의 NiZn 페라이트를 2장 사용하는 제2폐시트와 30㎛ 두께의 Fe계 비정질 합금 리본을 2장 사용하는 제1차폐시트가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적층되어 300㎛ 두께를 갖는 본 발명의 차폐시트(실시예 1) 샘플을 각각 준비한다. 실시예 1의 차폐시트는 제1차폐시트 및 제2차폐시트가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a shielding sheet manufactured by a pressure sintering method (Press) and made of MnZn ferrite (Comparative Example 1), a shielding sheet manufactured by a pressure sintering method (Press) and made of NiZn ferrite (Comparative Example 2), a number of fine pieces A shielding sheet (Comparative Example 3) using a Fe-based amorphous alloy ribbon separated by A first shielding sheet using two ribbons was laminated using a double-sided tape to prepare a shielding sheet (Example 1) s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thickness of 300 μm, respectively. In the shielding sheet of Example 1, the first shielding sheet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ar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준비된 차폐시트 샘플을 WPC 규격의 A6 타입 무선 충전기(transmitter)에 차폐시트로서 적용할 때, 각 충전 코일의 인덕턴스 값(Ls)과 저항값(Rs)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When the prepared shielding sheet sample was applied as a shielding sheet to an A6 type wireless charger (transmitter) of the WPC standard, the inductance value (Ls) and the resistance value (Rs) of each charging coil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WPC 규격의 A6 타입 무선 충전기(transmitter)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용 제2코일의 양측이 충전용 제1과 제3 코일에 중첩되어 3개의 코일이 겹쳐져서 배치되고 충전 코일 밑에 차폐시트와 방열용 Al 시트가 적층되어 배치된 형태의 무선 충전기이다. In the WPC standard A6 type wireless charger (transmitter), as shown in FIG. 2 , both sides of the second coil for charging are overlapped with the first and third coils for charging, three coils are overlapped, and the shielding sheet is placed under the charging coil. It is a wireless charger in the form of stacked and arranged Al sheets for heat dissipation.


차폐시트
shielding sheet
두께
(mm)
thickness
(mm)
1번 코일 1 coil 2번 코일 2 coil 3번 코일 3 coil
Ls(mH)Ls (mH) Rs(mW)Rs (mW) Ls(mH)Ls (mH) Rs(mW)Rs (mW) Ls(mH)Ls (mH) Rs(mW)Rs (mW)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MnZn
페라이트
MnZn
ferrite
1.01.0 11.8211.82 6969 11.2011.20 6060 12.0112.01 6767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NiZn
페라이트
NiZn
ferrite
2.02.0 11.8011.80 7070 11.0711.07 6363 11.7311.73 7373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정질 합금 리본
Amorphous Alloy Ribbon
0.50.5 11.7911.79 9595 11.0011.00 8383 11.7711.77 9595
실시예 1Example 1 본 발명
차폐시트
the present invention
shielding sheet
0.30.3 11.6511.65 7575 10.910.9 6666 11.6611.66 7272

A6 타입 무선 충전기에서 제1코일과 제3코일의 인덕턴스 값의 규격은 12.2μH±10% 이고, 제2코일은 11.5μH±10%로 규정되어 있다. 상기 충전 코일의 인덕턴스 값은 차폐시트의 투자율에 비례하여 나타난다. In the A6 type wireless charger, the standard of the inductance value of the first coil and the third coil is 12.2 μH±10%, and the second coil is regulated as 11.5 μH±10%. The inductance value of the charging coil appears in proportion to the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shielding sheet.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폐시트로서 비교예 1의 가압소결방식(Press) MnZn 페라이트 시트를 사용할 경우 각 코일은 규정된 인덕턴스 값을 만족하고 저항도 낮다. 하지만, MnZn 페라이트 시트는 강도가 약하고, 두께가 1mm로 두꺼운 단점이 있다.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MnZn ferrite sheet of Comparative Example 1 is used as the shielding sheet, each coil satisfies the prescribed inductance value and has low resistance. However, the MnZn ferrite sheet has disadvantages in that the strength is weak and the thickness is 1 mm thick.

차폐시트로서 비교예 2의 가압소결방식(Press) NiZn 페라이트 시트를 사용할 경우 규정된 인덕턴스 값을 만족하고 저항도 낮지만 이 정도의 요구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매우 커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When the pressure sintering (Press) NiZn ferrite sheet of Comparative Example 2 is used as the shielding sheet, the specified inductance value is satisfied and the resistance is low, but it can be seen that the thickness must be very large to satisfy this level of required characteristics.

차폐시트로서 비교예 3의 500㎛ 두께의 비정질 합금 리본을 사용할 경우 규정된 인덕턴스 값을 만족하고 두께도 얇지만 저항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When an amorphous alloy ribbon having a thickness of 500 μm of Comparative Example 3 is used as the shielding sheet, the specified inductance value is satisfied and the thickness is thin,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sistance is very high.

실시예 1에 따른 차폐시트는 규정된 인덕턴스 값을 만족하고 저항도 낮으며, 두께도 얇게 만들 수 있다. 즉, 비교예 1의 MnZn 페라이트 시트에 비해 약 1/3 정도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고, 제1차폐시트 및 제2차폐시트가 다수의 조각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조각들은 접착층에 의해 지지되므로 충격에 강하게 된다. The shielding sheet according to Example 1 satisfies the prescribed inductance value, has low resistance, and can be made thin. That is, it can be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1/3 compared to the MnZn ferrite sheet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first shielding sheet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ar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the separated pieces are supported by an adhesive layer. become strong in shock.

상기한 도면을 참고한 실시예 설명에서는 충전코일(10)의 하측에 투자율이 높은 차폐시트(20)의 제1차폐시트(22)가 배치되는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충전코일(10)의 하측에 투자율이 낮고 비저항이 큰 제2차폐시트(24)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rawings,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hielding sheet 22 of the shielding sheet 20 having high magnetic permeability is disposed under the charging coil 10 wa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charging coil 10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shielding sheet 24 having a low magnetic permeability and a high specific resistance is disposed under the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examples of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by those who have

10: 충전코일 20: 차폐시트
22: 제1차폐시트 24: 제2차폐시트
30: 방열판 42: 제1접착층
44: 보호필름 46: 제2접착층
48: 제3접착층
10: charging coil 20: shielding sheet
22: first shielding sheet 24: second shielding sheet
30: heat sink 42: first adhesive layer
44: protective film 46: second adhesive layer
48: third adhesive layer

Claims (15)

충전 코일의 하면에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된 제1차폐시트 및 제2차폐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차폐시트는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이고,
상기 제2차폐시트는 캐스팅 방식(casting)으로 제조되는 NiZn 페라이트 시트이며,
상기 제1차폐시트와 제2차폐시트는, 모두,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
It includes a first shielding sheet and a second shielding sheet sequentially stack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ging coil,
The first shielding sheet is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ribbon sheet of a nano-crystalline alloy,
The second shielding sheet is a NiZn ferrite sheet manufactured by casting,
The first shielding sheet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both, a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being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충전 코일의 하면에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된 제1차폐시트 및 제2차폐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차폐시트는 캐스팅 방식(casting)으로 제조되는 NiZn 페라이트 시트이고,
상기 제2차폐시트는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이며,
상기 제1차폐시트와 제2 차폐시트는, 모두,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
It includes a first shielding sheet and a second shielding sheet sequentially stack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ging coil,
The first shielding sheet is a NiZn ferrite sheet manufactured by a casting method,
The second shielding sheet is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ribbon sheet of a nano-crystalline alloy,
The first shielding sheet and the second shielding sheet, all, a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being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충전코일과,
상기 충전코일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시트와,
상기 차폐시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충전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시트는 제1항 또는 제4항에 따른 차폐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
charging coil,
a shielding sheet disposed under the charging coil to shield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charging coil;
and a heat sink disposed under the shielding sheet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charging coil,
The shielding sheet i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elding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23551A 2014-09-02 2015-09-01 Shielding Sheet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KR1024521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6191 2014-09-02
KR1020140116191 2014-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384A KR20160028384A (en) 2016-03-11
KR102452187B1 true KR102452187B1 (en) 2022-10-11

Family

ID=5558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551A KR102452187B1 (en) 2014-09-02 2015-09-01 Shielding Sheet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18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5809A (en) * 2016-04-19 2017-10-31 刘锦花 A kind of efficiently antistatic laminated chip magnetic bead
US10910862B2 (en) 2016-09-23 2021-02-02 Apple Inc. Electromagnetic shielding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AU2017330514B2 (en) * 2016-09-23 2019-12-05 Apple Inc. Electromagnetic shielding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CN108233497B (en) 2016-12-21 2023-04-2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KR102582071B1 (en) * 2017-01-11 2023-09-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agnetic shee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the sheet
US10707013B2 (en) 2017-01-25 2020-07-0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heet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for wireless charg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74488B1 (en) * 2017-07-24 2022-12-06 주식회사 아모센스 Shielding Sheet and The Mefacturing Method of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KR102249811B1 (en) * 2018-03-09 2021-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CN211556142U (en) * 2019-07-22 2020-09-22 阿莫先恩电子电器有限公司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thereof
US11968816B2 (en) 2019-07-22 2024-04-23 Amosense Co., Ltd.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5558A (en) 2006-03-31 2007-11-08 Nitta Ind Corp Antenna transmission improving sheet body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399022B1 (en) 2012-12-27 2014-05-27 주식회사 아모센스 Sheet for absorbing electromagnetic wav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679B1 (en) * 2009-06-03 2011-11-04 동양미래대학 산학협력단 Nothing junction all the member charging equipment
EP2797092B1 (en) * 2011-12-21 2017-02-08 Amosense Co., Ltd.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charger and receiving apparatus for a wireless charger using the she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5558A (en) 2006-03-31 2007-11-08 Nitta Ind Corp Antenna transmission improving sheet body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399022B1 (en) 2012-12-27 2014-05-27 주식회사 아모센스 Sheet for absorbing electromagnetic wav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384A (en)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187B1 (en) Shielding Sheet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US10332672B2 (en) Heat radiation unit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having same
JP6571282B2 (en) Magnetic shielding unit and multi-function composite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939653B1 (en) Magnetic shielding unit and multi-function complex module comprising the same
JP6773770B2 (en) Magnetic resonance type magnetic field shielding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fer,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is
US11108276B2 (en) High-performance shielding she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il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1878353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s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83612B1 (en) Magnetic Shielding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164260B (en) Nickel-zinc soft magnetic ferrite for wireless charging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474488B1 (en) Shielding Sheet and The Mefacturing Method of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108141994A (en) Magnetic safe transmission magnetic shielding unit, including its module and include its portable device
CN108353524B (en) Magnetic field shielding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50001416A (en) Receiving antenna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EP3016203B1 (en)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160047266A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heet,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878354B1 (en) Heat Radiation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15813B1 (en) Heat dissipation member for reception device module of wireless power charger, Reception device module of wireless power charger containing the same and Reception device of wireless power charger containing the same
KR20140081572A (en) Magnetic composite sheet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module
KR101444552B1 (en) Magnetic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927250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agnetic metal powder sintered sheet
KR101384250B1 (en) Magnetic flexible sheet with dual materials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93323B1 (en) Magnetic field induction materials for wireless charg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39654B1 (en) Magnetic shielding unit and multi-function complex module comprising the same
EP3029690B1 (en) Soft magnetic alloy,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10061030A (en) Wireless charging pa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