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145B1 - 텐트용 기능성원단 - Google Patents

텐트용 기능성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145B1
KR102452145B1 KR1020200027274A KR20200027274A KR102452145B1 KR 102452145 B1 KR102452145 B1 KR 102452145B1 KR 1020200027274 A KR1020200027274 A KR 1020200027274A KR 20200027274 A KR20200027274 A KR 20200027274A KR 102452145 B1 KR102452145 B1 KR 10245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s
strength
yarn
weft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116A (ko
Inventor
박상국
Original Assignee
박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국 filed Critical 박상국
Priority to KR102020002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1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differing diame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2Cut or abrasion resistant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용 기능성원단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야외의 레져활동으로 사용되는 텐트용 기능성원단 제직시 위사와 경사로 사용되는 주고강력사에 부고강력사를 선택적으로 배열 및 연결하여 주고강력사에 강성을 부가할 수 있도록,
주고강력사와 부고강력사를 제직하여 이루어진 텐트용 기능성 원단에 위사와 경사로 마련한 주고강력사를 다수개로 마련하거나 또는 꼬임을 주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함과 동시에 위사와 경사로 마련한 주고강력사의 최근접에 위치한 부고강력사 사이에 추가부고강력사를 배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하여,
텐트용 기능성 원단에 다수개의 주고강력사 또는 주고강력사를 꼬임사로 마련하여 기능성 원단에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하여 텐트용 기능성 원단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하는 이점과, 상기 주고강력사 최근접된 위치의 부고강력사 사이에 추가부고강력사를 추가로 마련하여 기능성 원단에 내구성을 향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과, 종래에 사용되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사용되었던 주고강력사에 추가부고강력사를 마련하도록 하여 기능성 원단 제직시 추가부고강력사에 의해 방수용 코팅을 하는 코팅작업과 동시에 향균처리를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얇고 가볍게 하여 제조단가를 절감시키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텐트용 기능성원단{functional support for tents}
본 발명은 텐트용 기능성원단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야외의 레져활동으로 사용되는 텐트용 기능성원단 제직시 위사와 경사로 사용되는 주고강력사에 부고강력사를 선택적으로 배열 및 연결하여 주고강력사에 강성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외부의 충격에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함과 동시에 향균처리를 하고 얇고 가볍게 하여 제조단가를 절감시키게 하는 텐트용 기능성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텐트는 레저문화의 발달로 가정에 하나씩은 보유하고 있고 특히 여름 휴가철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고 최근 자동차의 지붕 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카 텐트와 그늘막도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등산, 낚시, 캠핑과 같은 레저활동 시 야영지에서 임시 거처(居處)로 사용하는 것으로 방수성의 직물원단을 재봉하여 이루어지는 본체와, 이 본체를 돔형 또는 가옥형 등 소정의 형태로 세우기 위한 폴대를 갖추고 있으며, 일측에 지퍼를 통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출입문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텐트는 사용하는 시일이 매우 짧고 대부분이 물가 등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하게 되고 특히 염분이 많은 바닷가에서 사용하다 보면 바다에서 불어오는 눅눅한 해풍으로 텐트의 몸체는 부식이 되고 이를 잘 건조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하여 그 다음해에 사용하려고 보면 텐트의 원단이 곰팡이가 슬거나 부식과 삭아버리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게 되고 작년에 사용하였던 음식냄새와 염분과 사람의 몸에서 나오는 땀이나 분비물과 담배냄새가 베이기 되어 사용시 사람의 기분을 찝찝하게 한다.
또한, 종래의 텐트 원단으로는 합성섬유 원단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이 1 내지 3층으로 코팅되어 있는 텐트 원단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텐트의 특성상 방수의 용도로 합성섬유 원단에 코팅되도록 하는 공정으로 인해 제조공정이 간단하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제조단가를 상승시키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텐트의 특성상 야외에서 사용함으로 주위의 나무가지나 자갈 등의 의해 스크레치가 발생되기 쉽고 그로 인해 손상되어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텐트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단은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내구성을 보유하면서 향균 처리 등 작업성을 향상시켜 얇고 가볍게 하여 제조단가를 절감시키게 하는 기능성 원단을 선호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348호 "기능성 텐트 원단"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텐트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단을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내구성을 보유하면서 향균처리 등 작업성을 향상시켜 얇고 가볍게 하여 제조단가를 절감시키게 하기 위해,
주고강력사와 부고강력사를 제직하여 이루어진 텐트용 기능성 원단에 위사와 경사로 마련한 주고강력사를 다수개로 마련하거나 또는 꼬임을 주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함과 동시에 위사와 경사로 마련한 주고강력사의 양측으로 최근접한 부고강력사 사이에 추가부고강력사를 배치하도록 마련하여 주고강력사의 양측으로 부고강력사의 밀도를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하여 텐트용 기능성 원단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직시 종래에 사용되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사용되었던 주고강력사에 부고강력사를 마련하도록 하여 기능성 원단 제직시 부고강력사에 의해 코팅을 하는 교정작업을 제거할 수 있고 주고강력사를 2열 또는 꼬임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함과 동시에 주고강력사에 최근접한 부고강력사 사이에 추가부고강력사를 마련하여 텐트용 기능성 원단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을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진 주고강력사(10)를 등간격으로 마련하고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주고강력사(10)의 사이에 다수개의 부고강력사(20)를 위사와 경사로 마련하여 평직으로 제직하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에 있어서,
상기 위사와 경사로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1열의 주고강력사(10)와 상기 1열의 주고강력사(10)에 최근접하는 양측의 부고강력사(20) 사이 각각에 추가부고강력사(21)를 배치하여서 위사와 경사로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부강력사(20)의 밀도보다 높게 형성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추가부고강력사(21)는 1열의 주고강력사(10) 경사의 좌측과 우측 또는 주고강력사(10) 위사의 상측과 하측 중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위사와 경사로 사용되는 1열의 주고강력사(10)를 1열 내지 2열 중 선택된 하나로 배치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주고강력사(10)의 꼬임은 100 ~ 800TM으로 꼬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주고강력사(10)와 부고강력사(20) 및 추가부고강력사(21) 각각의 재질은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이용하되, 상기 주고강력사(10)는 150 ~ 300데니아 사용하고, 상기 부고강력사(20)와 추가부고강력사(21)는 50 ~ 100데니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고강력사와 부고강력사를 제직하여 이루어진 텐트용 기능성 원단에 위사와 경사로 마련한 주고강력사를 다수개로 마련하거나 또는 꼬임을 주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함과 동시에 위사와 경사로 마련한 주고강력사의 최근접에 위치한 부고강력사 사이에 추가부고강력사를 배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하여,
텐트용 기능성 원단에 다수개의 주고강력사 또는 주고강력사를 꼬임사로 마련하여 기능성 원단에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하여 텐트용 기능성 원단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하는 이점과, 상기 주고강력사 최근접된 위치의 부고강력사 사이에 추가부고강력사를 추가로 마련하여 기능성 원단에 내구성을 향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과, 종래에 사용되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사용되었던 주고강력사에 추가부고강력사를 마련하도록 하여 기능성 원단 제직시 추가부고강력사에 의해 방수용 코팅을 하는 코팅작업과 동시에 향균처리를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얇고 가볍게 하여 제조단가를 절감시키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3,4,5,6,7,8,9,10,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진 주고강력사(10)를 등간격으로 마련하고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주고강력사(10)의 사이에 다수개의 부고강력사(20)를 위사와 경사로 마련하여 평직으로 제직하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에 있어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위사와 경사로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1열의 주고강력사(10)와 상기 1열의 주고강력사(10)에 최근접하는 양측의 부고강력사(20) 사이 각각에 추가부고강력사(21)를 배치하여서 위사와 경사로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부강력사(20)의 밀도보다 높게 형성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사와 경사로 사용되는 상기 추가부고강력사(21)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3,4,5,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열의 주고강력사(10) 경사의 좌측과 우측 또는 주고강력사(10) 위사의 상측과 하측 중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 주고강력사(10)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위사와 경사로 사용되는 1열의 주고강력사(10)를 1열 내지 2열 중 선택된 하나로 배치되게 구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것이다.
상기 주고강력사(10)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사와 경사로 사용되는 주고강력사(10)에 꼬임을 마련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것이다.
상기 주고강력사(10)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사와 경사로 사용되는 주고강력사(10)를 2열로 마련하여 꼬임을 마련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고강력사(10)의 꼬임은 100 ~ 800TM으로 꼬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고강력사(10)와 부고강력사(20) 및 추가부고강력사(21) 각각의 재질은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이용하되, 상기 주고강력사(10)는 150 ~ 300데니아 사용하고, 상기 부고강력사(20)와 추가부고강력사(21)는 50 ~ 100데니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능성 원단(1)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서는 300 데니아 이상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주고강력사(10)를 2열의 주고강력사(10)를 사용할 경우에는 75 ~ 150데니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트용 기능성 원단(1)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위사와 경사로 마련하는 주고강력사(10)를 원하는 갯수로 선택하고 위사와 경사로 마련한 주고강력사(10)에 최근접하는 위치의 부고강력사(20)와 주고강력사(10) 사이에 배치하는 추가부고강력사(21)의 갯수 및 위치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텐트용 기능성 원단(1)은 1열의 주고강력사(10)를 등간격으로 위사와 경사로 마련하고 상기 등간격으로 위치한 주고강력사(10)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부고강력사(20)를 마련하되, 상기 1열의 주고강력사(10)의 최근접한 위치의 부고강력사(20)와 주고강력사(10)의 사이에 추가부고강력사(21)를 배치하도록 하여 평직으로 제직하고자 하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열의 주고강력사(10)를 위사와 경사로 일정간격으로 등간격 연속배치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 주고강력사(10)의 사이에 다수개의 부고강력사(20)를 등간격으로 마련하도록 하되,
상기 위사와 경사의 주고강력사(10) 최근접된 위치에 마련한 부고강력사(20)와 주고강력사(10)의 사이에 추가부고강력사(21)를 위입하여 평직으로 제직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사와 경사의 주고강력사(10) 근접된 위치에 마련한 부고강력사(20)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1)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추가부고강력사(21)는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의 주고강력사(10) 좌측과 우측 또는 도 5,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사의 주고강력사(10) 상측과 하측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마련하여 평직으로 제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사와 경사의 주고강력사(10) 최근접된 위치에 마련한 부고강력사(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추가부고강력사(21)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1)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추가부고강력사(21)는 위사의 주고강력사(10) 상측과 하측에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마련하거나 경사의 주고강력사(10) 좌측과 우측에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마련하여 평직으로 제직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위사와 경사의 주고강력사(10)에 최근접된 최근접된 위치에 마련한 부고강력사(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추가부고강력사(21)의 배치는 위사와 상측과 하측 어느 한 곳 또는 두 곳을 선택하여 제직하여도 무방하며,
그리고, 위사와 경사의 주고강력사(10)에 최근접된 위치에 마련한 부고강력사(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추가부고강력사(21)의 배치를 경사의 좌측과 우측 어느 한 곳 또는 두 곳을 선택하여 제직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위사와 경사의 주고강력사(10)에 최근접된 위치에 마련한 부고강력사(20)와 주고강력사(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추가부고강력사(21)를 마련하여 다수개의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부고강력사(20) 사이의 밀도를 높이게 하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1)이 큰 하중에도 버틸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부고강력사(20) 사이의 밀도를 높이는 추가부고강력사(21)의 갯수를 하나 이상으로 마련하여 평직으로 제직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텐트용 기능성 원단(1)이 큰 하중에도 버틸수 있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진 주고강력사(10)를 등간격으로 마련하고 그 사이에 다수개의 부고강력사(20)를 마련한 부고강력사(20)중 주고강력사(10)와 최근접한 부고강력사(20) 사이에 추가부고강력사(21)를 위사와 경사로 마련하여 평직으로 제직하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에 사용되는,
상기 주고강력사(10)를 2열의 주고강력사(10-1)(10-2)로 마련하되 상기 2열의 주고강력사(10-1)(10-2)를 꼬임시켜 부고강력사(20) 및 추가보강력사(21)와 평직으로 제직하되,
상기 주고강력사(10-1)(10-2)의 꼬임을 한 주고강력사(10-1)(10-2)에 최근접한 부고강력사(20)와 주고강력사(10-1)(10-2)의 사이에 추가부고강력사(21)를 위사와 경사로 배치하여 평직으로 제직하여 주고강력사(10-1)(10-2)의 꼬임을 추가부고강력사(21) 및 고강력사(20)로 풀어지지 않거나 느슨하지 않도록 잡아주도록 하는 것이다.
1 : 원단 10,10-1,10-2 : 주고강력사
20 : 부고강력사 21 : 추가부고강력사

Claims (7)

  1.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진 주고강력사(10)를 등간격으로 마련하고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주고강력사(10)의 사이에 다수개의 부고강력사(20)를 위사와 경사로 마련하여 평직으로 제직하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에 있어서,
    상기 위사와 경사로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1열의 주고강력사(10)와 상기 1열의 주고강력사(10)에 최근접하는 양측의 부고강력사(20) 사이 각각에 추가부고강력사(21)를 배치하여서 위사와 경사로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부강력사(20)의 밀도보다 높게 형성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부고강력사(21)는 1열의 주고강력사(10) 경사의 좌측과 우측 또는 주고강력사(10) 위사의 상측과 하측 중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와 경사로 사용되는 1열의 주고강력사(10)를 1열 내지 2열 중 선택된 하나로 배치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고강력사(10)의 꼬임은 100 ~ 800TM으로 꼬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고강력사(10)와 부고강력사(20) 및 추가부고강력사(21) 각각의 재질은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이용하되, 상기 주고강력사(10)는 150 ~ 300데니아 사용하고, 상기 부고강력사(20)와 추가부고강력사(21)는 50 ~ 100데니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기능성 원단.
  6. 삭제
  7. 삭제
KR1020200027274A 2020-03-04 2020-03-04 텐트용 기능성원단 KR102452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74A KR102452145B1 (ko) 2020-03-04 2020-03-04 텐트용 기능성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74A KR102452145B1 (ko) 2020-03-04 2020-03-04 텐트용 기능성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16A KR20210112116A (ko) 2021-09-14
KR102452145B1 true KR102452145B1 (ko) 2022-10-07

Family

ID=7777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74A KR102452145B1 (ko) 2020-03-04 2020-03-04 텐트용 기능성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193A (ko)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900B1 (ko) 2016-04-27 2017-09-12 주식회사 동진상사 캠핑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348Y1 (ko) 2005-07-30 2005-10-12 양원동 기능성 텐트 원단
KR20080002575U (ko) * 2007-01-09 2008-07-14 이승재 광택 직물지
KR102013500B1 (ko) * 2017-11-30 2019-08-22 문진기 판초우의용 원단 및 그 원단의 직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900B1 (ko) 2016-04-27 2017-09-12 주식회사 동진상사 캠핑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16A (ko)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145B1 (ko) 텐트용 기능성원단
CA2738987A1 (en) Woven multi-layer fabric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EP2423359B1 (en) Industrial fabric
KR20150016593A (ko) 합성 섬유 로프
KR20120006007A (ko) 보강 테이프, 그 보강 테이프를 봉제하여 이루어지는 직물 및 그 보강 테이프를 이용한 망구조
CN108029410A (zh) 一种抗拉伸遮阳网
KR100616033B1 (ko) 방풍직물
US6908869B2 (en) Outdoor structure with stretchable blended woven fabric
US20160177480A1 (en) Building Material with Woven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50009424A1 (en) Anti-vandalism and cut resistant fabric
KR101114464B1 (ko) 타프
US7886777B2 (en) Sailcloth
CZ303111B6 (cs) Mrížková tkanina
CN211420436U (zh) 涤竹纤维双斜弹力面料
EP1146155B1 (de) Markisenstoff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2610251B1 (ko) 개인 장구류 및 배낭용 기능성 원단
CN220923506U (zh) 一种抗撕拉防水牛津布面料
CN207274055U (zh) 一种高弹耐磨复合面料
CN212611804U (zh) 一种防开叉,底部具有抗撕裂老化作用的唇形人造草坪
CN210652149U (zh) 一种织带
JP4969953B2 (ja) 宿営用テント
CN214070914U (zh) 一种防雹网
CN212046291U (zh) 一种超耐磨抗撕裂牛津纺面料
CN216466679U (zh) 一种防水针织布
CN219256718U (zh) 高强涤纶梭织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