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057B1 - 자외선 스팀 소독기 - Google Patents

자외선 스팀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057B1
KR102452057B1 KR1020220101018A KR20220101018A KR102452057B1 KR 102452057 B1 KR102452057 B1 KR 102452057B1 KR 1020220101018 A KR1020220101018 A KR 1020220101018A KR 20220101018 A KR20220101018 A KR 20220101018A KR 102452057 B1 KR102452057 B1 KR 102452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main body
hot air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흥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님
Priority to KR1020220101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057B1/ko
Priority to US18/170,328 priority patent/US20240050604A1/en
Priority to CN202310129924.0A priority patent/CN11758252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8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air valves, movable baffles or nozz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본체; 및 상기 스팀에 의해 소독될 피소독용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놓이는 피소독용품 수용체;를 포함하는 자외선 스팀 소독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스팀 소독기는, 아래로 오목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된 물 수용홈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물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물을 가열하는 발열판; 상기 물 수용홈에 수용된 물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물 수용홈의 측벽에 설치된 수위 센서;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작동 시 상기 발열판을 가열하고, 상기 수위 센서가 상기 최저 수위를 감지하면 정지하도록 제어되는 스팀용 히터; 및 상기 최저 수위를 수위로 하면서 상기 물 수용홈에 잔류한 잔류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발열판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스팀용 히터의 정지 후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외선 스팀 소독기{UV STEAM STERILIZER}
본 발명은 유아용품 등을 스팀으로 소독하기 위한 스팀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 소독의 종료 후 발열판 상에 잔류수를 남기고 이 잔류수를 자외선으로 살균하도록 마련된 자외선 스팀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젖병, 젖꼭지, 치발기 등의 유아용품을 소독하기 위한 소독기로 자외선 소독기, 스팀 소독기 등이 알려져 있다. 자외선 소독기는 세척된 유아용품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유아용품을 소독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스팀 소독기는 세척된 유아용품을 물의 가열 시 발생하는 스팀으로 소독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은 자외선 소독기가 등록특허공보 제10-1906230호(젖병 소독기)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9938호(전기 소독기)에 개시되어 있다. 위 등록특허공보의 젖병 소독기에서는 젖병을 수용하도록 마련된 하우징의 천정에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고, 이 자외선 램프가 회전하면서 젖병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위 공개특허공보의 전기 소독기에서는 젖병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 조사기가 하우징의 천정 및 바닥 모두에 설치된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5148호(젖병 살균 소독기)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883689호(젖병소독기)에는 위와 같은 스팀 소독기가 개시되어 있다. 위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5148호의 젖병 살균 소독기는 세척된 상태의 젖병으로부터 낙하하는 액체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컵을 두어, 위 액체로 인해 더렵혀진 발열판을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있다. 위 등록특허공보 제10-0883689호의 젖병소독기는 스팀 소독 종료 후 열풍으로 젖병을 건조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06230호(젖병 소독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9938호(전기 소독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5148호(젖병 살균 소독기) 등록특허공보 제10-0883689호(젖병소독기)
스팀 소독기는 일반적으로 발열판 상의 물이 모두 증발할 때까지 상기 발열판을 가열시키는 히터를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팀 소독기에서는 물이 모두 증발한 정확한 시점의 감지가 불가능하여 물이 모두 증발한 이후에도 히터가 더 작동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발열판 상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히터가 작동하면 히터에 과부하가 걸리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히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사용자는 한 번의 스팀 소독으로 복수의 젖병 및 복수의 젖꼭지 등을 한꺼번에 소독한 후 필요할 때마다 하나씩 꺼내 사용하게 되므로, 이미 소독된 젖병들 및 젖꼭지들은 긴 시간 동안 스팀 소독기에 보관된다. 그리고 스팀 소독의 종료 후 발열판 상에 잔류수가 있으면, 이미 소독된 젖병들 및 젖꼭지들이 보관되는 긴 시간 동안 잔류수가 세균에 오염되기 때문에, 위 젖병들 및 젖꼭지들이 보관되어 있는 공간 역시 오염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오염된 잔류수가 다음 번 스팀 소독 시 사용되는 비위생적인 문제도 발생한다. 특히, 젖병들 및 젖꼭지들은 세제 및 물로 세척된 후 스팀으로 소독되는데, 만일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분유나 모유를 포함한 액체가 젖병들 및 적꼭지들로부터 발열판 상에 낙하하므로, 위 잔류수의 세균 오염이 더욱 심화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스팀 소독 종료 후 발열판 상에 물을 잔류시켜 히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려는 시도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스팀 소독 종료 후 발열판 상에 잔류수를 남겨 히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도 이 잔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본체; 및 상기 스팀에 의해 소독될 피소독용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놓이는 피소독용품 수용체;를 포함하는 자외선 스팀 소독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스팀 소독기는, 아래로 오목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된 물 수용홈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물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물을 가열하는 발열판; 상기 물 수용홈에 수용된 물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물 수용홈의 측벽에 설치된 수위 센서;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작동 시 상기 발열판을 가열하고, 상기 수위 센서가 상기 최저 수위를 감지하면 정지하도록 제어되는 스팀용 히터; 및 상기 최저 수위를 수위로 하면서 상기 물 수용홈에 잔류한 잔류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발열판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스팀용 히터의 정지 후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발열판에 형성된 설치홀에 수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밀 몸체; 상기 수밀 몸체에 꽉 끼워지면서 상기 수밀 몸체를 관통하고, 자외선 투광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며, 상면이 상기 물 수용홈에 노출된 투광캡;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밀 몸체의 하단 및 투광캡의 하단과 접촉하고 상기 발열판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투광캡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 및 상기 돌출 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고, 자외선 LED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투광캡의 내면과 상기 돌출 부재의 외면 간에는 오링이 개재된다.
상기 피소독용품 수용체는, 상기 수용 공간의 측벽을 이루는 중공 하우징; 상기 중공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을 이루고, 상기 피소독용품을 지지하며, 상기 스팀이 통과하기 위한 스팀 통과공들을 갖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바닥판과 결합한 중공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놓였을 때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홀센서가 상기 자석을 감지할 경우에만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된다.
자외선 스팀 소독기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작동 시 외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형성한 후 상기 수용 공간으로 송풍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스팀용 히터가 정지한 직후에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건조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 모듈은 상기 스팀으로 소독된 피소독용품이 상기 수용 공간에 있음을 알리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주기적으로 미리 설정된 작동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건조 모듈의 작동 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건조 모듈은, 상기 외기의 유입을 위한 외기 입구와 상기 열풍를 위쪽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열풍 출구를 갖는 덕트; 상기 덕트의 내부에 설치된 팬과 열풍용 히터; 및 상기 열풍의 풍압에 의해 열리고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상기 열풍 출구에 설치된 도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도어의 열림각을 예각으로 제한하면서 상기 열풍 출구로부터 유출된 열풍을 상기 본체의 상면의 상부로 안내하는 후드가 마련된다.
상기 열풍 출구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덕트의 바닥 부위는 상기 팬 및 열풍용 히터가 위치하는 상기 덕트의 바닥 부위보다 아래로 더 오목하게 형성된 집수홈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집수홈의 바닥에는 덕트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 배수공은 상기 본체의 바닥에 형성된 본체 배수공과 연통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 소독 종료 시 잔류수가 발열판 상에 남기 때문에 스팀용 히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그러면서도 상기 잔류수가 자외선으로 살균되기 때문에 잔류수의 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부가 발열판의 설치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자외선 조사부의 유지보수가 쉽고, 자외선 조사부가 수밀 몸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발열판의 설치홀에서 수밀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부의 인쇄회로기판 및 자외선 LED가 오링으로 인해 보다 확실한 수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소독용품 수용체의 바닥판이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가리고 있는 경우에만 자외선이 조사되므로 사용자의 신체가 자외선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노출되는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으로 소독된 피소독용품이 건조 모듈로 인해 형성된 열풍으로 건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건조 모듈 및 자외선 조사부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 수용홈의 물이 건조 모듈의 팬 및 열풍용 히터로 유입되는 의도치 않은 문제가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스팀 소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투영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외선 조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외선 조사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체에 내장된 덕트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덕트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덕트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서 덮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측벽이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부분 투영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스팀 소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스팀 소독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피소독용품 수용체(200)와, 물통(3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어 있다. 피소독용품 수용체(200)는 유아용품(젖병, 젖꼭지, 치발기 등)과 같은 피소독용품(미도시)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미도시)을 구비하고,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놓인다. 물통(300)은 스팀으로 될 물을 저장하고 있고,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하, 상기 본체(100), 피소독용품 수용체(200) 및 물통(300)을 설명한다.
< 본체(100) >
본체(10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오목한 형태의 물 수용홈(1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물 수용홈(110)에는 스팀으로 가열될 물이 수용된다. 그리고 물 수용홈(110)의 바닥에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판(120)이 수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1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용 히터(122)가 내장되어 있는데, 이 스팀용 히터(122)가 작동하면 발열판(120)이 가열되고, 그러면 물 수용홈(110)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스팀으로 된다.
물 수용홈(110)의 측벽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수용홈(110)에 수용된 물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130)가 설치되어 있다. 물 수용홈(110)에 물이 만수위로 채워진 상태에서 스팀용 히터(122)가 작동하여 물이 스팀으로 되면 물 수용홈(110)에 채워진 물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되는데, 그러다가 수위가 상기 수위 센서(130)에 도달하면 수위 센서(130)가 최저 수위 감지 신호를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제어부(150)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최저 수위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스팀용 히터(122)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스팀 소독기(10)에서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만드는 과정이 종료될 때 물 수용홈(110)에 최저 수위를 수위로 하는 잔류수가 남게 되고, 이로 인해 물 수용홈(110)에 물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스팀용 히터(122)가 작동하여 스팀용 히터(122)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물 수용홈(110)에 잔류수가 남아 있는 상태가 지속되면 잔류수가 세균 번식 등으로 인해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스팀 소독기(10)에서는 잔류수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 조사부(160)가 마련된다.
상기 자외선 조사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판(120)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 몸체(162)와, 투광캡(161)과, 브라켓(165)과, 인쇄회로기판(163)을 포함한다.
투광캡(161)은 속이 빈 캡 형태를 갖고, 자외선을 투광할 수 있는 재질(예컨대, 석영 유리 등)로 이루어진다.
브라켓(165)은 평판 형태의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의 대략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한 돌출 부재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에는 한 쌍의 볼트공(16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 부재는 중공을 구비한다.
인쇄회로기판(163)은 브라켓(165)의 돌출 부재의 상면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63)에는 자외선 LED(164)가 실장되어 있다. 본체(100)로 공급된 전원은 전선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63)으로 공급되고, 그러면 자외선 LED(164)가 작동하여 자외선을 조사한다.
지지 부재가 투광캡(161)의 하단과 접촉할 때까지 돌출 부재를 투광캡(161)에 삽입하면, 인쇄회로기판(163)이 고정된 브라켓(165)이 투광캡(161)과 결합한다. 그리고 브라켓(165)과 투광캡(161)이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되었을 때 인쇄회로기판(163) 및 자외선 LED(164)는 투광캡(161)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자외선 LED(164)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은 투광캡(161)을 투광하게 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163) 및 자외선 LED(164)의 수밀을 위해 돌출 부재의 외면과 투광캡(161)의 내면 간에는 오링(166)이 개재된다.
수밀 몸체(162)는 발열판(120)의 설치홀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되 발열판(120)의 상하면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수밀 몸체(162)는 중공을 구비한다. 수밀 몸체(162)는 발열판(120)의 설치홀에서 수밀이 이루어지도록, 그리고 발열판(120)의 가열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 실리콘, 내열성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브라켓(165)과 투광캡(161)이 결합되어 있고 수밀 몸체(162)가 발열판(120)의 설치홀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브라켓(165)의 지지 부재가 수밀 몸체(162)의 하단과 접촉할 때까지 투광캡(161)이 수밀 몸체(162)의 중공에 꽉 끼이면서 수밀 몸체(162)를 관통한 다음, 지지 부재의 볼트공(165a)을 통과한 볼트(미도시)가 발열판(120)의 하면에 형성된 볼트 체결 부재(미도시)에 체결되면, 자외선 조사부(160)가 발열판(12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부(160)가 위와 같이 설치되면 투광캡(161)의 상면이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수용홈(110)에 노출되어 투광캡(161)을 투광한 자외선이 물 수용홈(110)의 잔류수로 조사되고, 이로 인해 잔류수가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어 잔류수의 오염이 방지된다.
위와 같은 자외선 조사부(160)는 잔류수의 살균을 위한 것인바, 제어부(150)는 스팀용 히터(12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만 자외선 조사부(160)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어부(150)는 자외선 조사부(160)를 미리 설정된 제어 방법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스팀용 히터(122)를 정지시킨 후 곧바로 자외선 조사부(160)를 미리 설정된 작동 시간 동안(예컨대, 약 30분~1시간 정도) 작동시키고, 이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예컨대, 1시간 마다) 위 작동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식이다.
위와 같은 자외선 조사부(160)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스팀 소독기(10)에서는 물 수용홈(110)에 남은 잔류수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에는 스팀으로 소독된 피소독용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모듈은 덕트(140)와, 도어(142)와, 팬(144)과, 열풍용 히터(1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건조 모듈을 설명한다.
덕트(140)는 본체(100) 외부의 외기를 유입하기 위한 외기 입구를 바닥에 갖는다(도 7 참조). 그리고 본체(100)의 바닥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 유입공들(118)이 마련되어 있다. 외기 유입공들(118)을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외기 입구를 통해 덕트(140)의 내부로 흐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외기 유입공들(118)이 위치한 본체(100)의 바닥 부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판(118a)이 미닫이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그러면 외기가 필터판(118a)을 통과할 때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판(118a)에서 걸러질 수 있다.
덕트(140)는 열풍을 위쪽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열풍 출구를 상면에 갖는다(도 6 참조). 그리고 본체(11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114a)를 갖는 후드(114)가 위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열풍 출구를 통해 유출된 열풍은 후드(114)를 통해 본체(110)의 상면의 상부 공간으로 흐를 수 있다.
위와 같은 덕트(14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144) 및 열풍용 히터(146)가 내장된다. 팬(144) 및 열풍용 히터(146)가 작동하면 외기가 덕트(140)를 따라 흐르면서 열풍용 히터(146)에 의해 열풍으로 가열되고, 열풍은 덕트(140)의 열풍 출구 및 후드(114)의 출구(114a)를 통해 본체(100)의 상면의 상부 공간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도어(1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열풍 출구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을 기준으로 하면, 도어(142)의 상단이 힌지 방식으로 회전하는 고정단이고, 도어(142)의 하단이 자유단이다. 열풍은 도어(142)를 풍압으로 열면서 열풍 출구로부터 유출되고, 열풍의 유출이 없으면 도어(142)는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된다. 이때, 도어(142)의 열림각이 둔각이면 도어(142)가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없으므로, 상기 후드(114)는 도어(142)의 열림각을 예각으로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142)의 열풍 출구에 도어(142)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열풍이 본체(100)의 상면의 상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물 수용홈(110)의 물이 후드(114)를 통해 덕트(140)로 유입되는 상황이 의도치 않게 발생하면 팬(144) 및 열풍용 히터(146)가 고장날 수 있기 때문에, 열풍 출구에 도어(142)를 설치하여 물이 덕트(1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덕트(140)의 바닥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배수공들(140a)을 갖는 집수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수홈은 열풍 출구의 아래에 위치하고, 팬(144) 및 열풍용 히터(146)가 위치하는 덕트(140)의 바닥 부위보다 아래로 더 오목한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바닥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 배수공들(140a)과 연통하는 본체 배수공들(116)이 마련된다.
물 수용홈(110)의 물이 덕트(140)로 의도치 않게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142)가 설치되기는 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물이 덕트(140)로 유입될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도어(142)가 있음에도 덕트(140)로 유입되는 물이 생기는 경우, 그 물을 상기 집수홈으로 집수한 후 배수공들(116, 140a)로 배수시킴으로써 팬(144) 및 열풍용 히터(146)를 보다 확실하게 보호하는 것이 좋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건조 모듈은 스팀으로 소독된 피소독용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것인바, 제어부(150)는 스팀용 히터(12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만 건조 모듈을 작동시킨다. 이때, 제어부(150)는 건조 모듈을 미리 설정된 제어 방법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스팀용 히터(122)를 정지시킨 후 곧바로 건조 모듈, 즉, 팬(144) 및 열풍용 히터(146)를 미리 설정된 작동 시간 동안(예컨대, 약 30분~1시간 정도) 작동시키고, 이후에는 피소독용품이 피소독용품 수용체(200)에 있음을 알리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예컨대, 1시간 마다) 위 작동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식이다.
본체(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버튼들(예컨대, 온/오프 명령을 위한 온/오프 버튼, 스팀 소독의 시작을 위한 소독 버튼, 스팀 소독된 피소독용품의 보관 명령을 위한 보관 버튼, 열풍 온도 설정을 위한 온도 설정 버튼 등) 및 스팀 소독기(10)의 상태(온/오프 상태, 소독 상태, 보관 상태, 열풍 온도 등)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어 패널(15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보관 버튼을 선택하여 스팀 소독된 피소독용품이 피소독용품 수용체(200)에 있음을 알리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건조 모듈이 마련된 경우, 제어부(150)는 건조 모듈의 작동과 자외선 조사부(160)의 작동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건조 모듈을 작동시킬 때 자외선 조사부(160)도 작동시키고, 건조 모듈을 정지시킬 때 자외선 조사부(160)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보관 버튼의 선택만으로 건조 모듈 및 자외선 조사부(160)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을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1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홀센서(170)가 자력 감지 신호를 출력하였을 때만 자외선 조사부(160)를 작동시킨다.
< 피소독용품 수용체(200) >
도 1,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소독용품 수용체(200)는 중공 하우징(210)과, 바닥판(230)과, 덮개(240)와, 상측 받침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 하우징(210)은 피소독용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미도시)의 측벽을 이루고, 상하면을 개방면으로 한다. 이러한 중공 하우징(210)은 본체(10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놓인다.
바닥판(230)은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을 이룬다. 그리고 바닥판(230)은 중공 하우징(210)의 개방 상면을 출입할 수는 있으나 중공 하우징(210)의 개방 하면을 출입하지는 못하도록 중공 하우징(210)과 결합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30)에는 뒤집힌 젖병의 입구로 삽입되는 돌기가 다수 마련되고, 이 돌기 및 그 주변에는 스팀 통과공들(232)이 마련된다. 따라서 물 수용홈(110)의 물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스팀은 스팀 통과공들(232)을 통과하여 바닥판(230)에 놓인 젖병들을 소독하게 된다. 또한, 본체(100)의 상면의 상부로 공급된 열풍도 스팀 통과공들(232)을 통과하여 스팀 소독된 젖병들을 건조하게 된다.
바닥판(230)의 하면 테두리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17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영구자석(172)은, 바닥판(230)과 결합한 중공 하우징(210)이 본체(100)에 놓였을 때, 홀센서(170)에 의해 감지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홀센서(170)가 영구자석(172)의 자력을 감지하였다는 자력 감지 신호를 출력하였을 때만 자외선 조사부(16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스팀 소독기(10)에서는 바닥판(230)이 본체(100)의 상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야만 자외선 조사부(160)가 작동하게 된다.
자외선 조사부(160)는 피소독용품 수용체(200)가 본체(100)에 놓이지 않으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160)는 바닥판(230)과 분리된 중공 하우징(210)이 본체(100)에 놓일 때로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부(160)가 위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부(160)가 작동하면 사용자의 신체가 자외선 조사부(16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직접 노출되어 해로운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바닥판(230)이 본체(100)의 상면에 상부에 위치하여 자외선 조사부(160)를 가리고 있을 때만 자외선 조사부(160)가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자외선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상기 상측 받침판(2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하우징(210)의 상단에 놓이는 형태로 설치되고, 스팀 통과공들(222)을 갖는다. 이러한 상측 받침판(220)에는 젖꼭지나 치발기가 놓여 스팀 통과공들(222)을 통과한 스팀 및 열풍에 의해 소독 및 건조된다. 한편, 상기 덮개(2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하우징(210)의 개방 상면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다.
< 물통(300) >
본체(10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 안착홈(112)이 마련되어 있고, 이 물통 안착홈(112)에는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저장하고 있는 물통(300)이 뒤집힌 자세로 놓인다. 그리고 물통(300)이 물통 안착홈(112)에 안착되면 물이 물통(300)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310)가 내장되어 있고, 펌프(310)가 작동하면 물통(300)의 물이 물 수용홈(110)으로 공급된다. 제어부(150)는 물통(300)의 물이 물 수용홈(110)으로 정량씩 공급되도록 펌프(310)를 제어한다.
위와 같은 물통(300) 및 펌프(310)가 마련되면 물이 물 수용홈(210)으로 자동으로 정량씩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스팀 소독기(10)에서는 물통(300) 및 펌프(310)가 마련되지 않아도 좋은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물 수용홈(210)에 물을 채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자외선 스팀 소독기 100 : 본체
110 : 물 수용홈 112 : 물통 안착홈
114 : 후드 114a : 후드 출구
116 : 본체 배수공 118 : 외기 유입공
118a : 필터판 120 : 발열판
122 : 스팀용 히터 130 : 수위 센서
140 : 덕트 140a : 덕트 배수공
142 : 도어 144 : 팬
146 : 열풍용 히터 150 : 제어부
152 : 제어 패널 160 : 자외선 조사부
161 : 투광캡 162 : 수밀 몸체
163 : 인쇄회로기판 164 : 자외선 LED
165 : 지지 부재 166 : 오링
170 : 홀센서 172 : 자석
200 : 피소독용품 수용체 210 : 중공 하우징
220 : 상측 받침판 230 : 바닥판
240 : 덮개 222, 232 : 스팀 통과공
300 : 물통 310 : 펌프

Claims (10)

  1.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본체 및 상기 스팀에 의해 소독될 피소독용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놓이는 피소독용품 수용체를 포함하는 자외선 스팀 소독기로서,
    아래로 오목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된 물 수용홈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물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물을 가열하는 발열판;
    상기 물 수용홈에 수용된 물의 최저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물 수용홈의 측벽에 설치된 수위 센서;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작동 시 상기 발열판을 가열하고, 상기 수위 센서가 상기 최저 수위를 감지하면 정지하도록 제어되는 스팀용 히터; 및
    상기 최저 수위를 수위로 하면서 상기 물 수용홈에 잔류한 잔류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발열판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스팀용 히터의 정지 후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는 자외선 스팀 소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발열판에 형성된 설치홀에 수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밀 몸체;
    상기 수밀 몸체에 꽉 끼워지면서 상기 수밀 몸체를 관통하고, 자외선 투광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며, 상면이 상기 물 수용홈에 노출된 투광캡;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밀 몸체의 하단 및 투광캡의 하단과 접촉하고 상기 발열판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투광캡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 및
    상기 돌출 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고, 자외선 LED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자외선 스팀 소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캡의 내면과 상기 돌출 부재의 외면 간에는 오링이 개재된 자외선 스팀 소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소독용품 수용체는,
    상기 수용 공간의 측벽을 이루는 중공 하우징;
    상기 중공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을 이루고, 상기 피소독용품을 지지하며, 상기 스팀이 통과하기 위한 스팀 통과공들을 갖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바닥판과 결합한 중공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놓였을 때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홀센서가 상기 자석을 감지할 경우에만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되는 자외선 스팀 소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작동 시 외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형성한 후 상기 수용 공간으로 송풍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스팀용 히터가 정지한 직후에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건조 모듈;을 포함하는 자외선 스팀 소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모듈은 상기 스팀으로 소독된 피소독용품이 상기 수용 공간에 있음을 알리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주기적으로 미리 설정된 작동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자외선 스팀 소독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건조 모듈의 작동 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되는 자외선 스팀 소독기.
  8. 제5항에 있어서,
    건조 모듈은,
    상기 외기의 유입을 위한 외기 입구와 상기 열풍를 위쪽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열풍 출구를 갖는 덕트;
    상기 덕트의 내부에 설치된 팬과 열풍용 히터; 및
    상기 열풍의 풍압에 의해 열리고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상기 열풍 출구에 설치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도어의 열림각을 예각으로 제한하면서 상기 열풍 출구로부터 유출된 열풍을 상기 본체의 상면의 상부로 안내하는 후드가 마련된 자외선 스팀 소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출구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덕트의 바닥 부위는 상기 팬 및 열풍용 히터가 위치하는 상기 덕트의 바닥 부위보다 아래로 더 오목하게 형성된 집수홈으로 구성되는 자외선 스팀 소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홈의 바닥에는 덕트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 배수공은 상기 본체의 바닥에 형성된 본체 배수공과 연통하도록 마련된 자외선 스팀 소독기.
KR1020220101018A 2022-08-12 2022-08-12 자외선 스팀 소독기 KR102452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018A KR102452057B1 (ko) 2022-08-12 2022-08-12 자외선 스팀 소독기
US18/170,328 US20240050604A1 (en) 2022-08-12 2023-02-16 UV Steam Sterilizer
CN202310129924.0A CN117582525A (zh) 2022-08-12 2023-02-17 紫外线蒸汽消毒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018A KR102452057B1 (ko) 2022-08-12 2022-08-12 자외선 스팀 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057B1 true KR102452057B1 (ko) 2022-10-07

Family

ID=8359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018A KR102452057B1 (ko) 2022-08-12 2022-08-12 자외선 스팀 소독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50604A1 (ko)
KR (1) KR102452057B1 (ko)
CN (1) CN11758252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250Y1 (ko) * 2004-01-09 2004-03-30 주식회사 두레테크 자외선 조사장치를 내장한 스팀멸균청소기
KR20070115148A (ko) 2006-05-31 2007-12-05 신재곤 젖병 살균 소독기
KR100883689B1 (ko) 2007-07-19 2009-02-18 강삼홍 젖병소독기
KR20090083088A (ko) * 2008-01-29 2009-08-03 허성재 살균보온물통이 장착된 젖병소독기의 구조
KR101906230B1 (ko) 2018-06-25 2018-10-10 주식회사 블루케어 젖병 소독기
KR20190109938A (ko) 2018-03-19 2019-09-27 (주)쿠첸 전기 소독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250Y1 (ko) * 2004-01-09 2004-03-30 주식회사 두레테크 자외선 조사장치를 내장한 스팀멸균청소기
KR20070115148A (ko) 2006-05-31 2007-12-05 신재곤 젖병 살균 소독기
KR100883689B1 (ko) 2007-07-19 2009-02-18 강삼홍 젖병소독기
KR20090083088A (ko) * 2008-01-29 2009-08-03 허성재 살균보온물통이 장착된 젖병소독기의 구조
KR20190109938A (ko) 2018-03-19 2019-09-27 (주)쿠첸 전기 소독기
KR101906230B1 (ko) 2018-06-25 2018-10-10 주식회사 블루케어 젖병 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82525A (zh) 2024-02-23
US20240050604A1 (en)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8224330A1 (it) Dispositivo per sterilizzare uno o piu&#39; poppatoi ed uno o piu&#39; succhietti
KR20070053047A (ko) 자외선 살균 건조기
KR20190132737A (ko) Uv led를 이용한 다목적 자선 살균기
CN205494453U (zh) 一种烘干消毒装置
KR101063631B1 (ko) 젖병 소독건조기
KR200434403Y1 (ko) 전기 식기 소독고
KR102452057B1 (ko) 자외선 스팀 소독기
KR20200041758A (ko)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53045A (ko) 자외선 살균 세탁기
KR20090083088A (ko) 살균보온물통이 장착된 젖병소독기의 구조
KR101890917B1 (ko) 욕실용 수납함의 살균장치
KR101951643B1 (ko) 노리개 젖꼭지 살균기
KR102332832B1 (ko) 양변기 살균장치
KR100883689B1 (ko) 젖병소독기
KR101121100B1 (ko) 식기 건조 및 살균기
KR102241330B1 (ko) 변기용 살균 장치
KR200329200Y1 (ko) 위생 신발장
KR200432652Y1 (ko) 살균 장치를 구비한 수저통
KR20070053046A (ko) 자외선 살균 세탁방법
KR102390915B1 (ko) 칫솔과 컵이 포함된 자외선 살균기
CN216963083U (zh) 一种智能餐具消毒机
KR20120006391U (ko) 자외선 살균 장치가 구비된 싱크볼
KR20100033564A (ko) 살균 기능이 내장된 도마
KR102436548B1 (ko) 잔류수 살균 기능을 갖는 전기 주전자
KR20170001854A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배수구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