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986B1 -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 Google Patents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986B1
KR102451986B1 KR1020200112687A KR20200112687A KR102451986B1 KR 102451986 B1 KR102451986 B1 KR 102451986B1 KR 1020200112687 A KR1020200112687 A KR 1020200112687A KR 20200112687 A KR20200112687 A KR 20200112687A KR 102451986 B1 KR102451986 B1 KR 102451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ayer
absorbent member
layer
waterproof
prote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834A (ko
Inventor
이돈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수
Priority to KR1020200112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986B1/ko
Priority to PCT/KR2021/011719 priority patent/WO2022050672A1/ko
Publication of KR2022003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4Waistband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Clos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2Breathability, i.e. being vapour permeable and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4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ntimicrobial or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6Deodorising or perfu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아래쪽 배와 골반 및 엉덩이를 감싸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밴드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측 양쪽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다리가 관통되는 다리 관통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면에서 사용자의 음부와 대응하게 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보호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Seamless panties with female vagina protection pad}
본 발명은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팬티의 내부에 보호패드가 구비되어 경제적인 효과와 함께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팬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2010년대 후반들어서 의류가 고기능화 되고 점점 가볍고 편안해 지면서 아웃도어와 인도어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으며, 에슬레져 개념의 의류가 폭팔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레깅스등 여성들의 패션 트랜드가 몸에 밀착되는 옷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며, 몸에 밀착되는 의류의 소비가 늘어나면서 언더웨어의 수요도 좀도 가볍고 얇은 언더웨의 판매가 증가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관련 용품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몸에 밀착되는 레깅스 등을 착용하는 경우 여성음부의 Y존 영역에 일명 도끼자국(Camel toe)이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데 서양에서는 유두나 음부의 모양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비교적 적지만 유교권 국가인 한국을 포함하여 일부 국가에서는 이에 대한 거부감이 상당하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레깅스 등을 착용하는 여성 입장에서도 여성음부에서 발생되는 분비물로 인해 레깅스 외부로 분비물 자국이 드러나기 때문에 팬티 라이너나 생리대등을 착용하게 되는데 이때, 팬티 라이너나 생리대 착용 자국이 외부로 그대로 드러나게 나게 됨으로써 본인은 물론 타인의 따가운 시선에 집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0-0008111호 '수술용 음부 가리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수술용 음부 가리개는 신체의 외음부 내지 항문부를 커버하는 단일의 소정 크기로 배면에 액체 불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과 대응되는 상부면에 친수성 섬유물질로 형성되는 흡수층과 신체 피부에 부착되며 상기 흡수층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음부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수술용 음부 가리개는, 신체 피부와 용이하게 부착되는 착용수단으로 형성되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수술 준비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고, 친수성 섬유물질로 형성되는 흡수층과 액체 불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는 방수층이 환자의 신체하부를 커버하여 환자의 신체에서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누출 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수술시 착용하도록 단순한 평면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인체 공학적인 디자인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레깅스나 슬림한 팬티 등에 착용하는 경우 착용감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수술용 음부 가리개는 수술시에 일회용으로 사용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생리대나 팬티 라이너와 같이 사용 후 폐기처리 하도록 되어 있어서 일회용품 사용으로 인한 환경 오염에 주범이 될 수 있고, 세척하여 반복 사용이 불가능하여 하므로 대량 구매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사용자가 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레깅스 의류 등을 착용하면서 여성음부의 도끼 자국이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분비물의 흡수 및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세탁을 통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새로운 여성음부 가리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출원번호 10-2019-0127694호 "여성음부 보호패드"를 출원하여 2020. 04. 20자로 10-2104328호로 등록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패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보호패드를 팬티의 내부에 집어넣어 사용함에 따라 팬티의 내부에서 보호패드가 유동되어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으며, 팬티와 보호패드를 각각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8111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432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여성용 무봉제 팬티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음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보호패드를 융착시켜 구성함으로써, 무봉제 팬티와 보호패드를 개별적으로 구매하여 설치 후 사용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면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를 제공하는 것이 기술적 과제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아래쪽 배와 골반 및 엉덩이를 감싸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밴드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측 양쪽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다리가 관통되는 다리 관통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면에서 사용자의 음부와 대응하게 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보호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내면과 상기 보호패드는 열융착 공정을 통해 서로 융착 결합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패드는 흡수, 소취 기능을 갖는 매쉬 원단으로 이루어진 내측레이어와,
상기 내측레이어 외형 크기보다 작게 이루어져 상기 내측레이어 외측면에 밀착되어 여성 분비물을 흡수하고, 음부의 항균 기능을 발휘하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흡수부재 및
상기 흡수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흡수부재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흡수부재에 흡수된 분비물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면서 공기가 통하도록 투습, 방수, 속건 기능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안쪽면의 외측둘레는 상기 내측레이어 가장자리와 일정 폭을 유지하여 터치감을 유지하는 폴리우레탄계열의 접착제로 열융착되고, 바깥면의 외측둘레는 상기 본체부의 내면에 열융착되면서 외측둘레를 따라 상기 흡수부재에 흡수된 분비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해주는 띠 형상의 방수밴드부가 구비되는 외측레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정면에서 볼 때 'Y'자의 각 모서리를 이어주는 외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하 방향을 따라 긴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레이어와 상기 내측레이어 가장자리 융착 단면이 서로 대칭 형태를 이루어 상기 방수밴드부를 형성하되, 상기 흡수부재 가장자리가 상기 방수밴드부와 함께 융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보호패드의 외측둘레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둘레의 단부 두께가 1mm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는 외부로 도드라지는 여성음부의 대음순과 그 상측의 치구 일부를 가리는 폭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양측은 라운드부로 확장되게 이루어져 상기 흡수부재의 흡수 영역을 확장시키고, 상기 몸체의 상측 정중앙에는 주름 또는 구겨짐을 방지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라운드부와 곡선으로 연결되어 하트의 상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측커버부와,
여성음부의 요도 부위를 가리도록 하여 잔여 소변이 흡수되도록 상기 상측커버부의 전체 폭보다 1/2폭을 유지하면서 상기 라운드부에 대해 역방향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커버부와,
여성의 질입구를 가리도록 하여 분비물의 흡수되도록 상기 중간커버부의 전체 폭보다 1/2의 폭으로 점차 좁아져서 여성음부의 가랑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라운드 처리되는 하측커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밴드부는 상기 보호패드의 외형과 동일한 외형으로 이루어지되, 외측으로 최소 5mm 폭 이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흡수부재 양측면에 열가소성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석션으로 흡착하여 상기 내측레이어와 상기 외측레이어 사이로 정위치시켜 순차적으로 합지한 후, 압착금형에서 140℃ 내지 160℃로 8초 내지 12초 동안 열프레싱하여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흡수부재와 상기 외측레이어는 전체적으로 접착되게 열융착되고, 상기 흡수부재와 상기 내측레이어는 방수밴드부에 제한되어 접착되게 열융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레이어 테두리는 상기 내측레이어 테두리 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되게 이루어져 상기 방수밴드부 외측으로 한 겹의 띠형상의 날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레이어는 소취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통풍구조의 메쉬형태로 이루어져 음부 피부의 자극과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분비물의 흡수가 빠른 효성 크레오라 후레쉬 원사(Polyspan 75/72 95% Creora fresh Spandex 5%) 또는 오가닉 코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흡수매쉬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흡수부재는 최소 2mm 두께로 이루어지며, 폴리 모노사로 공기층이 형성되게 이루어져서 10cc 내지 20cc 내용물이나 땀의 흡수하고, 필라멘트사를 포함하며, 흡습가공을 통해 수분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제작되는 폴리에스터 100%로 이루어져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레이어는 투습방수 레이어를 형성하는 Polyspan 75/72 92% Spandex 8%의 속건성 원단으로 이루어져 핫멜트를 통해 상기 흡수부재와 상기 내측레이어와 열융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방수밴드부는 상기 내측레이어 및 외측레이어의 전체 두께가 1mm 이내로 열 융착하여 가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방수밴드부의 이격되는 안쪽으로 상기 흡수부재 및 내측레이어를 가압하여 열융착되는 띠형상의 제2방수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레이어 또는 내측레이어는 일자형태로 유지되고, 상기 내측레이어 또는 외측레이어의 어느 한 쪽의 테두리부는 상기 흡수부재 두께를 감싸도록 'ㄱ'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형태로 상기 방수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은 여성의 무봉제 팬티를 구성함에 있어서, 무봉제 팬티의 내면에서 사용자의 음부와 대응하게 되는 부위에 보호패드를 융착시켜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음부 형상이 팬티 외부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패드를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팬티의 내부에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기재된 본 고안의 효과는 고안자의 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고안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봉제 팬티와 보호패드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패드가 결합된 무봉제 팬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패드가 결합된 무봉제 팬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패드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호패드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호패드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패드에 구비되는 제2방수밴드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보호패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보호패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보호패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는 사용자의 아래쪽 배와 골반 및 엉덩이를 감싸는 본체부와, 사용자의 허리에 감싸지는 허리 밴드부와, 본체부에 아래쪽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가 관통되는 관통부 및 본체부의 내면 아래쪽에서 사용자의 음부와 대응하게 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보호패드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부(220),
전면은 사용자의 배 아래쪽과 음부를 감싸게 되며, 그러한 전면과 연결된 후면은 허리 아래쪽 골반과 엉덩이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본체부(220)의 전면과 후면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과 후면이 각각 구성되어 마주하는 측면쪽에서 서로 연결되면서 연결부위가 열융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허리 밴드부(210)는,
전술한 본체부(220)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무봉제 팬티를 입을 때 허리를 감싸 조여주는 부분이며, 무봉제 팬티가 자연적으로 흘러내려가지 않도록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접혀져 구성될 될 수 있다.
이러한 허리 밴드부(210)는 착용의 편의성을 돕기 위해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허리 밴드부(210) 내부에 고무밴드 등을 끼워넣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관통부(230)는,
전술한 본체부(220)의 아래쪽에 대칭을 이루어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양쪽 다리가 관통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와 모양으로 절개된다.
그리고 보호패드(100)는,
전술한 본체부(220)의 내면 아래쪽에서 사용자의 음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된다.
보호패드(100)와 본체부(220)의 결합은 일 예로 보호패드(100)와 본체부(220)의 내면이 직접 가열압착을 통해 서로 융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체부(220)와 보호패드(100)가 표면융착이 가능한 합성섬유의 직물로 구성되거나, 표면융착이 가능하도록 표면코팅된 직물일 경우 가능하다.
보호패드(100)와 본체부(220)의 결합은 다른 예로 핫멜트와 같은 열가소성 접착제를 매개로 서로 융착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보호패드(100)와 본체부(200)의 결합은 또 다른 예로 보호패드(100)와 본체부(200)의 내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열반응형 접착제를 도포 및 건조한 후, 각각의 내면을 마주하여 압착한 상태에서 적외선을 조사하거나 초음파 또는 고주파를 조사하여 접착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보호패드(1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보호패드(100)는 구체적으로 음부쪽에서부터 내측레이어(10), 흡수부재(20) 및 외측레이어(3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내측레이어(10)는 음부에 직접 접촉되며, 흡수, 소취 기능을 갖는 매쉬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수부재(20)는 보호패드(100)가 구비된 무봉제 팬티를 착용했을 때 음부에서 발생되는 땀이나 잔여 소변, 분비물 등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레이어(10) 크기보다 작게 이루어져 내측레이어(10)의 외측면에 밀착되며, 여성 분비물을 흡수하고, 음부의 항균 기능을 발휘하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레이어(30)는 흡수부재(20)에서 흡수된 음부의 땀이나 잔여 소변, 분비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무봉제 팬티 쪽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흡수부재(20)를 감싸면서 내측레이어(10)와 결합됨에 따라 흡수부재(20)에 흡수된 분비물이 보호패드(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공기는 통하도록 투습, 방수, 속건 기능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외측레이어(30)와 내측레이어(10)의 외측둘레는 터치감을 유지하는 폴리우레탄계열의 접착제를 매개로 열융착되어 흡수부재(20)에 흡수된 분비물이 보호패드(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폭을 유지하는 띠 형상의 방수밴드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수밴드부(31)는 보호패드(100)의 외형과 동일한 외형으로 이루어지되, 외측으로 최소 5mm 폭 이상을 유지하여 열융착되어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5mm는 방수밴드부(31)를 열융착하기 위한 철형 금형의 폭에 대응하며, 5mm 미만인경우, 반복적인 세탁시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최소 5mm 폭 이상을 유지하여 열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흡수부재(20)는 내측레이어(10)와 외측레이어(30) 사이에 내재되는 상태에서 내측레이어(10)와 외측레이어(30)의 외측둘레가 방수밴드부(31)로 구성되어 마감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레이어(30)는 전술한 본체부(220)의 내면 아래쪽에서 사용자의 음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열융착으로 고정되며, 외측레이어(30)의 바깥면 외측둘레 일부분이 본체부(220)에 열융착되어 결합되거나, 외측레이어(30)의 바깥면 전체가 본체부(220)의 내면에 열융착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외측레이어(30)의 역할을 본체부(220)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외측레이어(30)를 사용하는 대신 본체부(220)가 보호패드(100)의 외측레이어(30) 역할을 하면서 본체부(220)의 내면에 내측레이어(10)의 외측둘레를 열융착시켜 결합하고, 그러한 본체부(220)의 내면과 내측레이어(10) 사이에 흡수부재(20)가 내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흡수부재(20)와 대응하는 본체부(200)의 내면에는 흡수부재(20)가 흡수된 수분이 본체부(22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가지도록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내측레이어(10)와 외측레이어(30)의 바람직한 열융착의 실시 예로는 흡수부재(20)를 사이에 두고 내측레이어(10)와 외측레이어(30)의 마주하는 안쪽면에 열가소성 접착제(예를 들어 핫멜트)를 도포한 후, 석션으로 흡착하고, 흡수부재(20)를 내측레이어(10)와 외측레이어(30) 사이로 정위치시켜 순차적으로 합지한 다음 압착금형에서 140℃ 내지 160℃로 8초 내지 12초 동안 열프레싱하여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흡수부재(20)의 한쪽은 방수밴드부(31)를 제외한 외측레이어(30)에 전체적으로 접착되게 열융착되고, 흡수부재(20)의 다른 한쪽은 방수밴드부(31)를 제외하고 내측레이어(10)와 비접착층(61)을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측레이어(10)는 흡수부재(20)와 열융착되지 않아 음부에서 발생되는 땀, 잔여 소변, 분비물이 내측레이어(10)를 통해 흡수부재(20)로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일 예로 도 4(B)와 같이 내측레이어(10)의 테두리가 외측레이어(30)의 테두리보다 외측으로 더욱 연장되어 방수밴드부(31) 외측으로 띠형상의 날개부(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도 5(B)와 같이 외측레이어(30)의 테두리가 내측레이어(10)의 테두리보다 외측으로 더욱 연장되어 방수밴드부(31) 외측으로 띠 형상의 날개부(32)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날개부(32)가 구성되면 보호패드(100)를 착용시 보호패드(100)의 테두리 부분인 날개부(32)가 무봉제 팬티와 음부 사이에 최대한 밀착됨으로써, 보호패드(100)의 자국이 무봉제 팬티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될 수 있다.
한편, 내측레이어(10)는 효성 크레오라 후레쉬 원사(Polyspan 75/72 95% Creora fresh Spandex 5%) 또는 오가닉 코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흡수매쉬로 구성함으로써, 내측레이어(10)가 음부에 직접 접촉되면서 소취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통풍구조의 메쉬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음부 피부의 자극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땀이나 잔여소변, 분비물을 빠르게 흡수하여 흡수부재(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흡수부재(20)는 최소 2mm 내지 5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슬림화를 위해 2mm 두께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측레이어(10)와 외측레이어(30)가 겹쳐지는 경우 최대 4mm 두께 이하로 이루어짐으로써 무봉제 팬티의 내부에 위치한 보호패드(100)가 무봉제 팬티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흡수부재(20)는 폴리 모노사로 공기층이 형성되게 이루어짐으로써, 대략 10cc 내지 20cc 내용물이나 땀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필라멘트사를 포함함으로써, 원사의 특성으로 세척과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흡수부재(20)는 흡습가공을 통해 수분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폴리에스터 100%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외측레이어(30)는 안쪽으로 핫멜트를 사용하여 투습방수 레이어를 형성하는 Polyspan 75/72 92% Spandex 8%의 속건성 원단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또한, 방수밴드부(31)는 내측레이어(10)와 외측레이어(30)의 두께가 1mm 이하가 되도록 열 융착을 통해 가압하여 구성함으로써, 보호패드(100)의 최외곽의 두께가 1mm 이하의 얇은 두께를 유지하게 되면서 무봉제 팬티의 내부에 설치된 보호패드(100)의 외곽라인이 무봉제 팬티의 외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보호패드(100)에는 방수밴드부(31)에서 이격된 하측으로 흡수부재(20)와 내측레이어(10)를 함께 가압하여 열융착되는 띠형상의 제2방수밴드부(3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방수밴드부(33)는 폐곡선 형태로 방수밴드부(31)의 안쪽에 동심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방수밴드부(33)는 폐곡선이 아닌 적어도 어느 한 지점이 끊긴 이격된 라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방수밴드부(33)에 의해 분리된 흡수부재(20)는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2방수밴드부(33)가 흡수부재(20)와 내측레이어(10)를 함께 가압하여 열융착될 때, 외측레이어(30)에 접면되지 않고 어느 정도 이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흡수부재(20)의 중심쪽에서 1차 흡수된 분비물 등이 바깥쪽으로 확산될 때, 제2방수밴드부(33)에서 1차 차단되고, 제2방수밴드부(33)와 외측레이어(30) 사이의 이격된 좁은 틈새를 통하여 방수밴드부(31) 쪽에 인접한 흡수부재(20)로 이동됨으로써, 제2방수밴드부(33)가 댐퍼역할을 하게 되면서 많은 양의 분비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방수밴드부(33)는 열융착 가공에 의해 함몰된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이러한 함몰된 부위로 공기가 순환될 수 있어 사용자가 보호패드(100)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로 도 4의 (A)와 같이 내측레이어(10)는 일자형태를 유지하고, 외측레이어(30)의 테두리는 흡수부재(20)를 감싸도록 대략 'ㄱ'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형태로 방수밴드부(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 도 5의 (A)와 같이 외측레이어(30)는 일자형태를 유지하고, 내측레이어(10)의 테두리는 흡수부재(20)를 감싸도록 대략 'ㄱ'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형태로 방수밴드부(31)가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도 5의 (A)와 같이 외측레이어(30)가 일자형태로 유지되는 구조에 의하면 보호패드(100)가 무봉제 팬티에 열융착될 때 흡수부재(20)와 방수밴드부(31)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보호패드(100)의 윤곽이 무봉제 팬티의 외부로 표시나지 않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6과 같이 외측레이어(30)와 내측레이어(10)의 가장자리 융착 단면이 서로 대칭 형태를 이루면서 방수밴드부(31)를 형성하되, 흡수부재(20)의 가장자리가 방수밴드부(31)에 함께 융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호패드(100)의 외측둘레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외측둘레의 단부 두께가 대략 1mm 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호패드(100)의 외측둘레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는 형태로 구성되면 무봉제 팬티에 융착되는 보호패드(100)의 전후면으로 단차가 발생되지 않게 되면서 무봉제 팬티의 외부에서 보호패드(100)의 윤곽이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패드(100)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정면에서 볼 때 대략 'Y'자의 각 모서리를 이어주는 외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하 방향으로 긴 몸체(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50)는 상측커버부(51)와 중간커버부(54) 및 하측커버부(55)가 일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커버부(51)는 외부로 도드라지는 음부의 대음순과 그 상측의 치구 일부를 가리는 폭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양측은 라운드부(52)로 확장되게 이루어져서 흡수부재(20)의 흡수 영역을 확장시키고, 상기 상측커버부(51)의 상측 정중앙에는 보호패드(100)의 주름이나 구겨짐을 방지하는 오목부(53)가 형성되면서 라운드부(52)와 곡선으로 연결되어 대략 하트 윗부분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중간커버부(54)는 여성음부의 요도 부위를 가리면서 잔여 소변이 흡수될 수 있도록 전술한 상측커버부(51)의 전체 폭보다 1/2폭을 유지하면서 라운드부(52)에 대해 역방향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측커버부(55)는 여성의 질입구를 가리면서 분비물의 흡수될 수 있도록 전술한 중간커버부(54)의 전체 폭보다 1/2의 폭으로 점차 좁아져서 여성음부의 가랑이 사이로 진입되도록 라운드 처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호패드(100)는 상하가 눌려진 납작한 형상의 하트 모양이 될 수 있고, 하부는 길게 늘어난 상태에서 일정폭의 라운드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호패드(100)는 무봉제 팬티에 열융착되어 사용됨에 따라 무봉제 팬티의 외부로 사용자 음부의 윤곽이 드러나지 않게 되며, 일상 활동 중에 생기는 잔여 소변이나 분비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 안심할 수 있고, 착용 후에는 반복적으로 세탁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도 있다.
또한, 내측레이어(10)가 효성 크레오라 후레쉬 원사(Polyspan 75/72 95% Creora fresh Spandex 5%)인 나이론 3D 흡수매쉬로 적용됨에 따라 소취 기능을 극대화시키고, 원활한 통풍 구조를 제공하므로 음부의 자극과 이물감을 최소화시키면서 발생되는 분비물이 흡수부재(20)로 신속하게 이동되어 항시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흡수부재(20)는 최소 2mm 두께로 이루어지며, 폴리 모노사로 공기층이 형성되게 필라멘트사가 포함됨에 따라 원사의 특성상 세척과 배출이 용이한 특징을 가지며, 흡습가공을 통해 수분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제작되는 폴리에스터 100%로 이루어진 3D 에어매쉬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10cc 내지 20cc 정도의 땀이나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측레이어(30)가 투습방수 레이어를 형성하는 Polyspan 75/72 92% Spandex 8%의 속건성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흡수부재(20) 및 내측레이어(10)와 열융착이 되므로 흡수부재(20)에 분비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방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밴드부(31)는 폴리우레탄계열의 접착제로 열융착함으로써 융착부위가 경화되지 않고, 유연하여 보호패드(100) 착용시 부드러운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수밴드부(31)는 융착 후, 두께가 1mm 정도를 유지함으로써 무봉제 팬티와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서 최대한 밀착되어 방수밴드부(31)가 무봉제 팬디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보호패드(100)의 설치상태를 감출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내측레이어 20 : 흡수부재
30 : 외측레이어 31 : 방수밴드부
32 : 날개부 33 : 제2방수밴드부
40 : 논슬립층
50 : 몸체 51 : 상측커버부
52 : 라운드부 53 : 오목부
54 : 중간커버부 55 : 하측커버부
60 : 접착층 61 : 비접착층
100 : 보호패드 210 : 허리 밴드부
220 : 본체부 230 : 다리 관통부

Claims (12)

  1. 사용자의 아래쪽 배와 골반 및 엉덩이를 감싸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밴드부;
    상기 본체부의 하측 양쪽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다리가 관통되는 다리 관통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면에서 사용자의 음부와 대응하게 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보호패드;가 포함되며,
    상기 보호패드는,
    흡수, 소취 기능을 갖는 매쉬 원단으로 이루어진 내측레이어;
    상기 내측레이어 외형 크기보다 작게 이루어져 상기 내측레이어 외측면에 밀착되어 여성 분비물을 흡수하고, 음부의 항균 기능을 발휘하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흡수부재; 및
    상기 흡수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흡수부재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흡수부재에 흡수된 분비물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면서 공기가 통하도록 투습, 방수, 속건 기능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안쪽면의 외측둘레는 상기 내측레이어 가장자리와 일정 폭을 유지하여 터치감을 유지하는 폴리우레탄계열의 접착제로 열융착되고, 바깥면의 외측둘레는 상기 본체부의 내면에 열융착되면서 외측둘레를 따라 상기 흡수부재에 흡수된 분비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해주는 띠 형상의 방수밴드부가 구비되는 외측레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정면에서 볼 때 'Y'자의 각 모서리를 이어주는 외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하 방향을 따라 긴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레이어와 상기 내측레이어 가장자리 융착 단면이 서로 대칭 형태를 이루어 상기 방수밴드부를 형성하되, 상기 흡수부재 가장자리가 상기 방수밴드부와 함께 융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보호패드의 외측둘레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둘레의 단부 두께가 1mm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는 외부로 도드라지는 여성음부의 대음순과 그 상측의 치구 일부를 가리는 폭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양측은 라운드부로 확장되게 이루어져 상기 흡수부재의 흡수 영역을 확장시키고, 상기 몸체의 상측 정중앙에는 주름 또는 구겨짐을 방지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라운드부와 곡선으로 연결되어 하트의 상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측커버부와,
    여성음부의 요도 부위를 가리도록 하여 잔여 소변이 흡수되도록 상기 상측커버부의 전체 폭보다 1/2폭을 유지하면서 상기 라운드부에 대해 역방향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커버부와,
    여성의 질입구를 가리도록 하여 분비물의 흡수되도록 상기 중간커버부의 전체 폭보다 1/2의 폭으로 점차 좁아져서 여성음부의 가랑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라운드 처리되는 하측커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밴드부는 상기 보호패드의 외형과 동일한 외형으로 이루어지되, 외측으로 최소 5mm 폭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면과 상기 보호패드는 열융착 공정을 통해 서로 융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 양측면에 열가소성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석션으로 흡착하여 상기 내측레이어와 상기 외측레이어 사이로 정위치시켜 순차적으로 합지한 후, 압착금형에서 140℃ 내지 160℃로 8초 내지 12초 동안 열프레싱하여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와 상기 외측레이어는 전체적으로 접착되게 열융착되고, 상기 흡수부재와 상기 내측레이어는 방수밴드부에 제한되어 접착되게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레이어 테두리는 상기 내측레이어 테두리 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되게 이루어져 상기 방수밴드부 외측으로 한 겹의 띠형상의 날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레이어는 소취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통풍구조의 메쉬형태로 이루어져 음부 피부의 자극과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분비물의 흡수가 빠른 효성 크레오라 후레쉬 원사(Polyspan 75/72 95% Creora fresh Spandex 5%) 또는 오가닉 코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흡수매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는 최소 2mm 두께로 이루어지며, 폴리 모노사로 공기층이 형성되게 이루어져서 10cc 내지 20cc 내용물이나 땀의 흡수하고, 필라멘트사를 포함하며, 흡습가공을 통해 수분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제작되는 폴리에스터 1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레이어는 투습방수 레이어를 형성하는 Polyspan 75/72 92% Spandex 8%의 속건성 원단으로 이루어져 핫멜트를 통해 상기 흡수부재와 상기 내측레이어와 열융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밴드부는 상기 내측레이어 및 외측레이어의 전체 두께가 1mm 이내로 열 융착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밴드부의 이격되는 안쪽으로 상기 흡수부재 및 내측레이어를 가압하여 열융착되는 띠형상의 제2방수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레이어 또는 내측레이어는 일자형태로 유지되고, 상기 내측레이어 또는 외측레이어의 어느 한 쪽의 테두리부는 상기 흡수부재 두께를 감싸도록 'ㄱ'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형태로 상기 방수밴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KR1020200112687A 2020-09-03 2020-09-03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KR102451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687A KR102451986B1 (ko) 2020-09-03 2020-09-03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PCT/KR2021/011719 WO2022050672A1 (ko) 2020-09-03 2021-09-01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687A KR102451986B1 (ko) 2020-09-03 2020-09-03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834A KR20220030834A (ko) 2022-03-11
KR102451986B1 true KR102451986B1 (ko) 2022-10-07

Family

ID=8049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687A KR102451986B1 (ko) 2020-09-03 2020-09-03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1986B1 (ko)
WO (1) WO202205067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9693A1 (en) * 2009-11-05 2011-05-05 Karen Pratt Woman's undergarment
JP2012052257A (ja) * 2010-08-31 2012-03-15 Gunze Ltd ショーツ
KR101131260B1 (ko) 2002-11-27 2012-03-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통, 지-스트링, 탕가 또는 티-백 속옷과 함께 사용하기위한 라이너
KR102080140B1 (ko) 2019-11-06 2020-02-21 (주)유비케이컴퍼니 속옷 일체형 레깅스
KR102104328B1 (ko) 2019-10-15 2020-04-24 주식회사 우수 여성음부 보호패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726A (ja) * 1995-04-13 1996-10-29 Gunze Ltd 失禁用パンツ
CH694447A5 (de) * 1999-07-01 2005-01-31 I M E C Medizinische Textilien Schutzho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KR20080010385A (ko) * 2005-05-30 2008-01-30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요실금자용 패드 및 요실금자용 속옷
KR20100008111A (ko) 2008-07-15 2010-01-25 주식회사 갈렙 수술용 회음부 가리개
KR101959502B1 (ko) * 2011-09-06 2019-03-18 벤텍스 주식회사 요실금용 팬티
KR20200003592A (ko) *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이랜드월드 기능성 속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260B1 (ko) 2002-11-27 2012-03-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통, 지-스트링, 탕가 또는 티-백 속옷과 함께 사용하기위한 라이너
US20110099693A1 (en) * 2009-11-05 2011-05-05 Karen Pratt Woman's undergarment
JP2012052257A (ja) * 2010-08-31 2012-03-15 Gunze Ltd ショーツ
KR102104328B1 (ko) 2019-10-15 2020-04-24 주식회사 우수 여성음부 보호패드
KR102080140B1 (ko) 2019-11-06 2020-02-21 (주)유비케이컴퍼니 속옷 일체형 레깅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672A1 (ko) 2022-03-10
KR20220030834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328B1 (ko) 여성음부 보호패드
US4690681A (en) Disposable leakproof catamenial device
US8117675B2 (en) Waterproof panty
JP7009210B2 (ja) 吸収衣類
US6423047B1 (en) Diapers
CN114173730A (zh) 用于衣物的吸收性垫
US20140039432A1 (en) Moisture-wicking and leak-resistant underwear garments
US20080161767A1 (en) Pant-shaped article with improved fit
CA2428281A1 (en) Re-usable and washable protective panty
US7959618B2 (en) Pant-shaped article with improved fit
US20100125264A1 (en)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Sanitary Napkin
JP4292521B2 (ja) 吸収性物品ならびにこれを構成するパンツ本体
KR20180051124A (ko) 무봉제 접착 속옷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85573Y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2451986B1 (ko) 여성음부 보호패드가 적용된 무봉제 팬티
US11937652B2 (en) Leggings with crotch gusset assemblies
KR102383318B1 (ko) 입체형 생리대
KR102454101B1 (ko) 요실금 팬티
RU2308256C2 (ru) Эластичные впитывающие трусы
KR20110065993A (ko) 위생용 의복
KR102229535B1 (ko) 분비물 샘방지 팬티
KR102665941B1 (ko) 생리용 팬티
KR20200007442A (ko) 입체형 생리대
CN215875245U (zh) 一种女性生理期安心裤
KR102528835B1 (ko) 생리용 팬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