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976B1 - 창문의 제어방법 및 창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문의 제어방법 및 창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976B1
KR102451976B1 KR1020200122263A KR20200122263A KR102451976B1 KR 102451976 B1 KR102451976 B1 KR 102451976B1 KR 1020200122263 A KR1020200122263 A KR 1020200122263A KR 20200122263 A KR20200122263 A KR 20200122263A KR 102451976 B1 KR102451976 B1 KR 10245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ensor
hole
fine dust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9960A (ko
Inventor
변춘권
Original Assignee
변춘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춘권 filed Critical 변춘권
Priority to KR102020012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9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2Double winged doors or wind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이 일정 조건에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창문의 제어방법 및 창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문의 제어방법 및 창문 시스템{Window control method and Window system}
본 발명은 창문이 일정 조건에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창문의 제어방법 및 창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거주하는 건축물에는 환기와 채광은 물론 건물 밖의 상황을 내다볼 수 있도록 기능하며, 건물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창문이 설치된다.
이러한 창문은 슬라이딩형이나 여닫이형에서부터 아래위로 움직이는 오르내림창 등이 있다.
한편, 내부공기가 탁해서 환기를 해야 한다거나 여름철에 실내로 바람을 들이기 위해 창문을 열거나,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거나 비바람이나 강풍이 심할 경우 내지는 미세먼지나 황사가 있을 때에 창문을 닫는 것을 사람이 직접 해야 하는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자동 개폐장치는 주로 리모컨에 의해 개폐되거나 창문 또는 창문 근처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특정 상황에서 자동으로 개폐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센서를 통해 센싱된 외부 기후환경(우천시의 빗물, 미세먼지의 농도)에 맞춰 창문이 자동으로 개폐되기 위해서는 빗물센서, 미세먼지센서가 창문의 외부에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자동 개폐장치로는 이중 창문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6214호(특허문헌 1)에 게재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8851호(특허문헌 2)와 같이 상기 자동 개폐장치를 IoT 시스템과의 연계시켜 스마트폰 등을 통해 집 밖에서도 창문을 개폐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 센서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종래의 기술로써, 예컨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4668호(특허문헌 3)에는 창문틀의 외측에 장착한 빗물감지센서가 비가 오는 것을 감지하여 창문을 닫을 수 있게 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 이때 상기 빗물감지센서는 기판에 두 접점을 마련하여 물기에 의해 두 접점이 전기적으로 온(on)되게 하는 방식, 빗방울에 의하여 두 전극이 단락되어 전기 저항이 급격하게 변화(감소)되는 것을 검출하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와 관련된 또 다른 기술로써, 일본 특허 제6377352호(특허문헌 4)에는 실외 센서의 정보에 의해 창문의 개폐가 수행되고, 상기 실외 센서를 포함한 센서함은 통째로 외부 창틀에 고정된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4의 센서함은 브라켓 등의 추가 구성을 이용하지 않고 창틀에 직접 설치되므로 점검, 수리 등의 상황에서 매번 창틀에 탈착시켜야 하므로 번거롭고 충격이 가해져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2870호(특허문헌 5)와 같이 센서로써 미세먼지 센서가 적용된 기술도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6214호(2018.08.3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8851호(2019.06.07)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4668호(2003.08.14) 일본 특허 제6377352호(2018.08.0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2870호(2016.06.2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문이 일정 조건에서 자동으로 개폐되는 창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외부 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는 창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의 제어방법은, 건물의 외부에 위치된 센서 또는 실내에 배치된 센서에 센싱된 값이 창문을 개폐시키는 구동부, 스피커, 표시등에 연결된 제어부로 전달되는 전달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값을 토대로 상기 구동부, 상기 스피커, 상기 표시등의 제어 필요성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구동부, 상기 스피커, 상기 표시등의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부, 상기 스피커, 상기 표시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달 단계는, 상기 외부에 배치된 센서가 빗물센서와 미세먼지센서에 센싱된 값, 상기 실내에 배치된 센서가 화재감지센서와 물체감지센서에 센싱된 값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단계이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빗물센서에 빗물이 감지될 때, 상기 미세먼지센서에 센싱된 수치가 일정 수치 이상일 때, 상기 화재감지센서에 일정값이 감지될 때,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일정값이 감지될 때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상기 구동부가 제어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창문의 제어방법은,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미세먼지센서에 센싱된 값이 일정 수치 이상일 때에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창문이 폐쇄되고 상기 스피커에서 안내멘트가 출력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일정 수치 이하일 때에는 상기 스피커 내지 상기 표시등이 작동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 단계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창문 시스템은, 건물에 설치된 창틀에 조립되는 창문; 상기 창문을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전측에 제1홀과 제2홀과 하측에 제3홀이 형성된 센서함; 상기 센서함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홀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3홀의 상측에 위치되는 빗물센서; 상기 센서함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유입구가 상기 제2홀의 전방에 위치되는 미세먼지센서; 상기 브라켓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설치 방향에 따라 상기 제3홀의 하측에 위치되면 상기 제3홀과 연통될 수 있는 제4홀과 제5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창문의 제어방법은 창문이 일정 조건에서 자동으로 개폐되므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문의 제어방법은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문 시스템은 창문과 이격되어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센서함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생활하는 외부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어 효율이 좋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건물과 멀리 떨어져 있어도 소지한 단말기와 IoT 기능을 연동하여 창문 시스템이 설치된 곳, 즉 건물의 외부환경을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창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창문을 평면으로 본 모습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창문을 측면에서 본 모습
도 4a는 본 발명의 센서함이 외벽에 설치된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센서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의 센서함의 단면도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후측함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서 미세먼지센서를 분리한 사시도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전측함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서 빗물센서를 분리한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의 센서함을 전방 위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의 센서함을 후방 위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센서함 및 커버의 후면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센서함 및 커버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창문 시스템의 블록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창문 제어방법의 플로어 챠트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창문 제어방법의 구체적인 플로어 챠트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창문에 관한 것으로, 창문 시스템이 외부에 위치된 센서유닛과 연동되어 창문(500)의 개폐, 스피커 등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 센서유닛 ---------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토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의 도시와 같이 센서유닛은 창문(500)이 구비된 건물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유닛은, 상기 창문(500)이 조립된 창틀(510)의 외측이나 건물의 외벽(600)에 설치되는 브라켓(200); 브라켓(200)에 조립되는 커버(300); 빗물센서(10)가 설치되는 전측함(110)과, 상기 전측함(110)과 조립되며 미세먼지센서(20)가 설치되는 후측함(140)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20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센서함(10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함(100)은 창문(500)의 구동부(523)에 연결되고 건물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유닛 중 빗물센서(10)와 미세먼지센서(20)가 창문(500)의 구동부(523)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상기 센서들(10, 20, 561a, 561b, 570)에서 센싱된 조건들을 토대로 창문(500)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실내의 공기질 관리, 빗물의 실내 유입 방지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가 와서 빗물센서(10)에 빗물이 감지되면 개방된 창문(500)을 자동으로 폐쇄시켜 빗물이 실내에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센서(20)에 감지된 대기상태를 토대로 창문(500)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실내의 공기질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함(100)에 의해 센서들(10, 20)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므로 센서들(10, 20)의 센싱 효율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들(10, 20)은 센서함(100)에 수용된 상태로 건물의 외부에 위치되므로, 간섭을 받지 않고 외부 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어 센싱 효율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함(100)의 구조는 사용 기한이 적은 센서들(10, 20)을 교체시키는 것이 용이하므로 센서들(10, 20)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한편, 센서함(100)은 전측함(110)과 후측함(140)에 둘러싸여 이들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S1, S3, S4)과, 센서함(100)의 전판(115)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S1, S3, S4)과 연통되는 제1홀(117)과, 상기 미세먼지센서(20)의 유입구(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홀(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117)과 제2홀(118)은 전측함(110)의 전판(115) 중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홀(117)과 제2홀(118)은 전측함(110)의 내부 공간(S1)과 연통될 수 있다.
센서함(100)의 내부 공간(S1, S3, S4)에는 빗물센서(10)와 미세먼지센서(2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빗물센서(10)의 전측과 하측에 상기 제1홀(117)과 상기 제3홀(116)이 각각 위치된다.
상기 빗물센서(10)는 상기 제1홀(117)과 전후로 일정 간격 이격된다. 즉 빗물센서(10)는 상기 제1홀(117)의 후측에 위치되므로 제1홀(117)을 통해 상기 센서함(10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센서(10)가 빗물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센서(20)의 전측과 하측에 상기 제2홀(118)과 상기 제3홀(116)이 위치된다.
미세먼지센서(20)는, 유입구(21)와 유출구(23), 상기 유입구(21)와 유출구(23) 사이에 위치되는 센싱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의 도시에서 센싱부(25)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도시되었으나 후술될 센서본체(미도시)에 가림부(미도시)를 설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유입구(21)는 상기 센싱부(25)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유입구(21)의 전방에 상기 제2홀(118)이 위치된다.
이러한 미세먼지센서(20)는 공기가 유입구(21)에 유입되어 유입구(23)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센싱부(25)에 센싱됨에 따라 미세먼지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 6a의 도시와 같이 유출구(23)는 유입구(21)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유출구(23)의 전방에 상기 빗물센서(10)가 위치된다. 이때 유출구(23)는 빗물센서(10)의 후면과 이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외부 공기가 제2홀(118)을 통해 내부 공간(S1, S3, S4)에 유입된 후 유입구(21)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어 미세먼지센서(20)의 센싱 신뢰성이 높다. 또한, 유입구(21)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데에는 문제가 없지만, 유출구(23)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은 최소화되므로 미세먼지센서(20)의 센싱 신뢰도가 높다.
한편, 도 4a, 5, 7a 내지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센서함(100)의 제1하판(112)에는 상기 빗물센서(10)와 제1홀(117)의 이격된 공간(S2)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3홀(116)이 형성된다.
제3홀(116)의 상측에 상기 빗물센서(10)이 위치된다.
이로 인해, 빗물센서(10)에 묻은 빗물은 상기 이격된 공간(S2) 및 제3홀(116)을 통해 센서함(10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된 후, 제5홀(203)을 통해 브라켓(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브라켓(200)과 센서함(100)에는 빗물이 고이지 않아 브라켓(200)과 센서함(100)이나 센서들(10, 20)이 손상될 가능성이 낮다.
전술된 센서함(100)은 제1 내지 3홀(116, 117, 118)에 의해 빗물이나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센서함(100)은 제1 내지 3홀(116, 117, 118)에 의해 내부에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센서(20)의 센싱률이 좋고, 미세먼지센서(20)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미세먼지센싱(20)의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200)의 상측과 하측 각각에는 서로 나란한 위치에 제4홀(201)과 제5홀(203)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200)의 설치 방향에 따라 상기 제4홀(201) 또는 상기 제5홀(203) 중 하나는 상기 제3홀(116)의 하측에 위치되면 상기 제3홀(116)과 연통된다. 따라서 빗물이 제4홀(201) 또는 제5홀(203) 중 하나와 제3홀(116)을 통해 센서함(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브라켓(200)은 좌우를 뒤집어서 설치시킬 수 있으므로, 건물의 외벽(600) 중 일측이나 타측에 관계 없이 설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200)의 사용 및 센서함(100)의 설치가 용이하다.
한편, 도 4a의 도시와 같이 제5홀(203)이 제3홀(116)과 연통되면 제4홀(201)은 센서함(100)보다 상측, 즉 빗물센서(10)과 제1홀(117)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빗물이 제4홀(201)을 통해 빗물센서(10)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빗물 감지가 용이하다.
이하에서 전측함(1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
전측함(110)은 제1상판(111), 제1하판(112), 제1일측판(113), 제1타측판(114), 전판(115)으로 이루어져 후측이 개방된다.
제1상판(111)과 제1하판(112)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측함(1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전판(115)이 기울어져 있으므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전후폭이 두꺼워질 수 있다.
상기 전판(115) 및 상기 빗물센서(10)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즉 빗물센서(10)의 센싱면인 전면은 전측으로 갈수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처럼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빗물센서(10)는 하늘에 노출되므로 빗물이 빗물센서(10)에 쉽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센서(10)의 센싱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홀(117)은 전판(115) 중에서 제1하판(112)보다 제1상판(111)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전측함(110)을 전측이나 후측에서 똑바로 볼 때 제1홀(117)의 단면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제1홀(117)의 단면은 좌우상하폭이 빗물센서(10)의 좌우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센서(10)의 테두리는 전판(115)에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이로 인해 빗물이 제1홀(117)을 통과하면 빗물센서(10)로 용이하게 유입되므로 빗물센서(10)의 센싱 신뢰성이 높다.
한편, 제2홀(118)은 좌우폭이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측함(110)을 전측이나 후측에서 똑바로 볼 때 제2홀(118)의 단면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제2홀(118)은 제1하판(112)과의 거리가 빗물센서(10)와 제1하판(112)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또한 도 7a의 도시와 같이 제2홀(118)은 하측 보스보다는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홀(118)의 좌우폭은 빗물센서(10)의 좌우폭과 같거나 좌우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홀(118)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의 역할과 동시에 빗물센서(10)나 전측면을 타고 흐른 빗물이 센서함(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제1하판(112)의 중앙에는 상기 제3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a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홀(116)은 제1하판(112)의 전측부터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3홀(116)의 좌우폭은 제2홀(118)의 좌우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3홀(116)의 전후폭은 대략 제1하판(112)의 전후폭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3홀(116)의 수평단면은 제4홀(201)의 수평단면이나 제5홀(203)의 수평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센서함(100)이 브라켓(200)에 지지되었을 때 제3홀(116)이 브라켓(200)에 가려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빗물센서(10)는 전판(115)에 형성된 센서용 보스(123)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전측함(110)에 고정될 수 있다.
센서용 보스(123)는 전판(115)의 후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용 보스(123)는 제1홀(117)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용 보스(123)는 제1홀(117) 모서리 네 곳과 대응되도록 4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후측함(14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후측함(140)은 제2상판(141), 제2하판(142), 제2일측판(143), 제2타측판(144), 후판(145)으로 이루어져 전측이 개방될 수 있다.
후측함(140)의 개방된 전측이 전측함(110)의 개방된 후측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판(145)에는 중앙보다 다소 상측 위에 격벽(147)이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격벽(147)에 의해 후측함(14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격벽(147)은 제2일측판(143) 및 제2타측판(144)과 연결될 수 있다.
격벽(147)은 제2상판(141) 및 제2하판(142)과 나란하게 될 수 있다.
후측함(140)에는 격벽(147)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측공간(S3)과 하측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공간(S3), 하측공간(S4)은 상기 내부 공간(S1, S3, S4)에 포함된다.
상기 미세먼지센서(20)는 하측공간(S4)에 수용될 수 있다.
미세먼지센서(20)는 기판(20a)과, 상기 기판(20a) 상에 설치되어 유입구(21), 유출구(23), 센싱부(25)를 포함하는 센서본체(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1)와 유출구(23)는 전방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구(21)와 유출구(23)는 하측공간(S4)과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도 6a의 도시와 같이 후판(145)에는 지지돌기(148)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판(20a)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홀에 지지돌기(148)가 관통 삽입됨으로써 미세먼지가 후측함(14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기판(20a)은 후측함(140)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편들(146) 사이에 위치된다. 지지편들(146)은 제2일측판(143)과 제2타측판(144) 각각에 1 개씩 형성된다. 따라서 미세먼지센서(20)는 지지편들(146)에 지지되어 후측함(140)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후판(145)에는 전선홀(149)이 형성될 수 있다.
전선홀(149)은 격벽(147)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홀(149)은 상기 상측공간(S3)과 연통될 수 있다.
전선홀(149)은 후판(145)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전선홀(149)은 수직단면이 원형이다. 한편 전선홀(149)의 수직단면은 본 실시 예나 도면과 달리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선홀(149)의 역할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6a 내지 도 7b의 도시와 같이, 전측함(110)의 모서리 및 후측함(140)의 모서리마다 함용 보스(121a, 121b)가 형성된다. 전측함(110) 및 후측함(140)의 함용 보스(121a, 121b)에 볼트(미도시)가 일체로 체결되어 전측함(110)과 후측함(140)끼리 조립될 수 있다.
함용 보스(121a, 121b)들은 전측함(110)의 전단부터 후단, 후측함(140)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함(100)의 내구성, 특히 모서리의 내구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미도시)의 체결시 전측함(110)과 후측함(140)간에 체결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체결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200)은 제3상판(211), 제3하판(212), 제3일측판(213), 제3타측판(214)으로 이루어져 전후가 관통된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00)을 창호가 설치되는 외벽(600) 등에 설치시키기 위해 브라켓(200)의 제3일측판(213)이나 제3타측판(214)에 설치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3일측판(213)에 설치부가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치부는 제3타측판(214)보다 후측으로 돌출된 판 형상이다.
설치부에는 설치홀(219)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설치홀(219)과 외벽(600)에 동시에 체결시킴으로써 브라켓(200)이 외벽(600)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3일측판(213)의 일측면에는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200)은 제3일측판(213)이 아닌 스페이서가 외벽(600)에 접촉된다.
스페이서는 제3일측판(213)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형성되는 전측 스페이서(215)와 후측 스페이서(217)를 포함할 수 있다.
후측 스페이서(217)는 설치부에 형성된다.
후측 스페이서(217)에도 상기 설치홀(219)이 형성된다.
도 11의 도시와 같이 설치홀(219)은 후측 스페이서(217)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측 스페이서(215)는 후측 스페이서(217)와 함께 브라켓(200)이 흔들림 없이 외벽(600)에 지지되게 한다.
한편, 설치부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는 타측으로 연장된 상측 연장편과 하측 연장편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연장편과 하측 연장편은 설치부와 곡면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3일측판(213)은 제3타측판(214)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상판(211)과 제3하판(212)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홀(201)은 제3상판(211)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5홀(203)은 제3하판(21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홀(201)과 제5홀(203)은 상하로 서로 나란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200)은 도 4a와 같이 설치될 수도 있고, 일측과 타측을 뒤집어서 외벽(600)의 반대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브라켓(200)에는 후측함(140)의 후측을 가려주는 역할을 하는 커버(300)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4a, 11의 도시와 같이 커버(300)는 브라켓(200)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부는 설치부의 일부와 상측 연장판(205a), 하측 연장판(205b)을 말한다.
커버(300)는 제4상판(311), 제4하판(312), 제4일측판(316a, 316b), 제4타측판(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4일측판(316a, 316b)은 서로 이격된 상측(316a)과 하측(316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제4일측판(316a)은 설치부의 상측과 상측 연장판(205a)을 둘러쌀 수 있다. 하측 제4일측판(316b)은 설치부의 하측과 하측 연장판(205b)을 둘러쌀 수 있다.
제4상판(311), 제4하판(312), 제4타측판(314)은 각각이 제3상판(211), 제3하판(212), 제3타측판(21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커버(300)는 일측의 중앙을 포함하는 일부가 개방되고 전후측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 도 6a의 도시와 같이, 제어부(527)와 연결된 전선들(W1, W2)이 빗물센서(10), 미세먼지센서(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도시와 같이 창틀(510)과 외벽(600) 사이를 관통하는 파이프(P)를 설치시키고, 전선들(W1, W2)이 파이프(P)를 통해 실내로 연장됨으로써 제어부(52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선들(W1, W2)은 전선홀(149)을 관통해 센서함(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어부(527)까지 연장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의 도시에서 전선들(W1, W2)의 연결 위치는 임의로 도시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창문(500)은 제어부(527)에 연결되며 센서함(100)에 구비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센서에 센싱된 창문(500) 외부의 온도가 영하일 경우, 제어부(527)는 빗물센서(10), 미세먼지센서(20)의 감응 기능이 중지시킬 수 있다. 이는 겨울철과 같이 영하의 기온일 때 빗물센서(10), 미세먼지센서(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온도센서는 손상되지 않도록 센서함(100)의 내부 공간(S1, S3, S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센서는 후측함(140)의 제2상판(141)에 설치되어 격벽(147)의 상부 공간(S3)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선홀(149)은 상부 공간(S3)과 센서함(100)의 외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온도센서에서 외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센싱할 수 있다.
그러나 온도센서의 위치는 상부 공간(S3)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온도센서에 센싱되는 온도는 센서함(100) 내의 온도이므로 외부의 온도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창문 시스템 ----------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은 상기 예의 센서함(100)이 적용된 창문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의 창문(500)은 슬라이딩 타입의 이중창문(500)이다. 이중창문(500)은 내측창문(501)과 외측창문(502)으로 이루어진다. 내측창문(501)과 외측창문(502)은 동시에 개폐될 수 있도록 도어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일체로 개폐될 수 있다(상기 특허문헌 1 참고).
한편, 창문(500)은 건물에 설치된 창틀(510)에 조립된다.
창틀(510)은 좌우상하 틀(511, 513, 515, 157)로 이루어진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틀(511)에는 창문(500)의 구동과 관련된 구동부(523)를 제어하는 관련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련 구성들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521), 케이스(521) 내부에 구비되어 서로 연결된 구동부(523)와 제어부(527) 등이 있다.
구동부(523)는 구동연결부(525)가 내측창문(501)에 연결되어 창문(500)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구동부(523)와 관련된 기술은 상기 특허문헌 1을 참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센서들(10, 20, 561a, 561b, 570)과 별도로 마련된 수동 스위치(550)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27)는 센서들(10, 20, 561a, 561b, 570), 수동 스위치(550), 후술될 리모컨(28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부(523)를 제어할 수 있다.
수동 스위치(550)는 창틀(51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동 스위치(550)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일측틀(515)의 내면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수동 스위치(550)의 작동 신호가 제어부(527)로 전달되어 구동부(523)가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동 스위치(550)를 통해 창문(500)을 정지, 작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개폐시킬 수 있어 용이하다.
또한, 수동 스위치(550)를 이용해 비상시에 창문(500)을 개별 작동시킬 수 있어 안전하다.
또한, 시스템에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529)가 구비된다. 리모컨 신호 수신부(529)는 케이스(52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리모컨(280)의 입력부(580a, 580b, 580c)에 입력되는 신호인 창문(500)의 개방, 폐쇄, 중지 신호가 리모컨 신호 수신부(529)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리모컨(280)으로 창문(500)의 개방, 폐쇄, 개폐의 중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컨(280)을 조작하여 창문(500)과 떨어진 위치에서도 창문(500)을 개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의 도시와 달리 리모컨 신호 수신부(529)는 제어부(527)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의 도시와 같이 물체감지센서(561a, 516b)를 하틀(513)과, 하틀(513)과 마주보는 상틀(511) 내지 케이스(521)에 설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물체감지센서(561a, 516b)가 하틀(513)과 케이스(521)에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물체감지센서(561a, 516b)는 창문(500)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된다.
본 실시 예와 도면과 달리 물체감지센서(561a, 516b)는 창틀(510)의 내측에 내장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521)에 설치된 물체감지센서를 상측 물체감지센서(561a)라 하고, 하틀(513)에 설치된 물체감지센서를 하측 물체감지센서(561b)라 한다.
이로 인해, 창문(500)이 폐쇄될 때 상측 물체감지센서(561a)와 하측 물체감지센서(561b) 사이에 장애물이 센싱될 경우, 즉 창문(500)의 일측과 일측틀(515) 사이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장애물이 상측 물체감지센서(561a) 내지 하측 물체 감지센서에 인식되고, 물체 감지센서에서 인식된 신호를 제어부(527)에 전달하여 창문(500)의 폐쇄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창문(500) 폐쇄시 머리나 손발이 끼는 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물체감지센서(561a, 516b)는 적외선 방식이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상틀(511)의 타측에 화재감지센서(570)를 설치시킬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570)는 제어부(527)와 연결시킨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제어부(527)가 창문(500)이 닫힌 경우 창문(500)을 개방시켜 보다 안전하다.
화재감지센서(570)는 연기 감지 반응형이 적용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570)는 아파트나 건물 등에 구비된 자체 화재감지 시스템(홈오토 시스템)과 연계될 수도 있다.
한편, 화재감지센서(570)는 본 실시 예나 도면과 달리, 화재시 연기의 감지가 용이하도록 창문(500)의 안쪽 천정이나 건물의 내벽(도면부호 미도시)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케이스(521)에는 제어부(527)에 연결된 상기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실내에는 제어부(527)에 연결된 표시등(530)을 마련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미세먼지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표시등(530)은 케이스(521) 내에 설치되어 도 1의 도시와 같이 표시부(도면부호 미도시)만 외부에 노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표시등(530)은 도 1과 같이 상기 표시부를 3 개 설치시킨 것이나, 본 실시 예와 달리 미관을 고려하여 1개의 표시부만 설치하여 하기 설명과 같이 다양한 색상의 불빛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사용자에게 안내멘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제어부(527)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창문 시스템의 구체적인 기능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기능은 크게 3가지, 즉 상태감응 자동작동 기능, 자체동작 기능, IoT 기능으로 나뉜다.
상태감응 자동작동 기능은 상기 센서들(10, 20, 561a, 561b, 570)과 관련된 기능이다.
우선, 미세먼지센서(20)는 센싱된 미세먼지수치를 토대로 좋음, 나쁨, 매우나쁨의 3단계 상태로 구분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표시등(530)에 상태에 따른 불빛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센서(20)에 센싱된 미세먼지수치가 50㎍/㎥이하일 때에는 표시등(530)에 청색이 표시될 수 있으며, 안내멘트나 창문(500)의 개폐동작은 없다. 또한 센싱된 미세먼지수치가 80~90㎍/㎥이상, 즉 80~160㎍/㎥의 범위에 포함될 때에는 표시등(530)에 황색이 표시될 수 있으며, '대기질이 좋지 않습니다 주의하세요'와 같은 안내멘트가 출력될 수 있으며, 창문(500)의 개폐동작은 없다. 또한, 센싱된 미세먼지수치가 160㎍/㎥이상일 때에는 표시등(530)에 적색이 표시될 수 있으며, 창문(500)이 개방된 경우 창문(500)을 폐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에서 '대기질이 매우 나빠 창문(500)을 닫습니다'와 같은 안내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직접 미세먼지수치를 확인하지 않고도 실외 대기질을 인식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미세먼지센서(20)에 센싱된 미세먼지수치는 센싱 위치의 차이로 인해 기상청에서 발표되는 수치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있는 위치의 미세먼지수치를 기반으로 대기질을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다.
한편, 빗물센서(10)는 빗물이 센싱되면 표시등(530)에 청색으로 점멸을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스피커에서 '강우가 감지되어 창문(500)을 닫습니다'와 같은 안내멘트가 출력될 수 있으며, 창문(500)이 개방된 경우 창문(500)을 폐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창문(500)이 개방됐을 때 강우가 감지되면 창문(500)을 폐쇄시켜 빗물로 인한 실내 침수가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창문(500)이 개방된 상태에서 빗물센서(10)에 일정시간 이상 빗물이 센싱되지 않으면 다시 창문(500)을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527)는 화재감지센서(570)에 센싱된 온도가 일정 시간 이전의 센싱온도보다 15도 이상 급상승됐다고 판단되거나 연기가 감지되면 창문(500)을 개방시키도록 구동부(523)를 작동시킨다. 이때 표시등(530)에 적색으로 점멸을 표시하며 상기 스피커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창문(500)을 개방합니다'와 같은 안내멘트가 출력될 수 있고, 창문(500)이 조금 열려있거나 폐쇄된 경우에 창문(500)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창문(500)이 폐쇄되는 과정 중에 상기 물체감지센서(561a, 516b)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센싱된 값이 제어부(527)에 전달되고, 제어부(527)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닫힘 중 장애물이 발견되었습니다. 제거 후 동작하세요'와 같은 안내멘트를 출력시키며, 창문(500)의 폐쇄가 중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체동작 기능은 리모컨(280)을 조작함으로써 창문(500)이 개폐되는 기능이다.
리모컨(280)의 입력부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부 화살표 버튼(580a)과 하부 화살표 버튼(580c) 과 중앙의 제어버튼(58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280)의 상부 화살표 버튼(580a)이 0.5초 눌리면 '창문(500)이 열립니다'와 같은 안내멘트가 출력될 수 있고, 창문(500)이 개방될 수 있으며, 하부 화살표 버튼(580c)이 0.5초 눌리면 '창문(500)이 닫힙니다'와 같은 안내멘트가 출력되고, 창문(500)이 폐쇄될 수 있다. 창문(500)이 개방/폐쇄되는 도중에 상기 제어버튼(580c)이 눌리면 창문(500)은 그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리모컨(280)의 상부 화살표 버튼(580a)이 3초 이상 길게 눌리면 '창문(500)이 열립니다'와 같은 안내멘트가 출력될 수 있으며, 창문(500)이 개방될 수 있으며, 상부 화살표 버튼(580a)의 눌림이 해제되면 창문(500)의 개방이 정지된다. 또한, 리모컨(280)의 하부 화살표 버튼(580c)이 3초 이상 길게 눌리면 '창문(500)이 답힙니다'와 같은 안내멘트가 출력될 수 있으며, 창문(500)이 폐쇄되며, 하부 화살표 버튼(580c)의 눌림이 해제되면 창문(500)의 폐쇄가 중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문 시스템은, 창문(500)과 이격되어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센서함(100)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생활하는 외부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어 효율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건물과 멀리 떨어져 있어도 소지한 단말기와 IoT 기능을 연동하여 창문 시스템이 설치된 곳, 즉 건물의 외부환경을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창문 시스템은 고층 창문(500)이나 손이 닫지 않는 주방의 창문(500) 등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IoT 기능은 스마트홈 시스템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 관련 앱(App)이 설치시키면, 상기 앱을 통해 건물 외부에서도 창문(500)의 개폐상태나 미세먼지, 우천, 화재와 관련된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앱을 통해 원격으로 창문(500)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의 좋음, 나쁨, 매우나쁨의 3단계 상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우천 여부 상태 확인과 화재발생 여부 등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IoT 기능을 이용해 건물 외부에서도 창문(500)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시에 창문(500)을 개폐시킬 수도 있다.
---------- 창문(500) 제어방법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500)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500)의 제어방법은, 건물의 외부에 위치된 센서 또는 실내에 배치된 센서에 센싱된 값이 창문(500)을 개폐시키는 구동부(523), 상기 스피커, 표시등(530)에 연결된 제어부(527)로 전달되는 전달 단계(S10); 상기 제어부(527)에서 상기 값을 토대로 상기 구동부(523), 상기 상기 스피커, 상기 표시등(530)의 제어 필요성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S20); 상기 구동부(523), 상기 상기 스피커, 상기 표시등(530)의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527)에 의해 상기 구동부(523), 상기 상기 스피커, 상기 표시등(530)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어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단계(S10)는, 상기 외부에 배치된 센서가 빗물센서(10)와 미세먼지센서(20)에 센싱된 값, 상기 실내에 배치된 센서가 화재감지센서(570)와 물체감지센서(561a, 516b)에 센싱된 값이 상기 제어부(527)로 전달되는 단계이다.
상기 판단 단계(S20)는, 상기 빗물센서(10)에 빗물이 감지될 때, 상기 미세먼지센서(20)에 센싱된 수치가 일정 수치 이상일 때, 상기 화재감지센서(570)에 일정값이 감지될 때, 상기 물체감지센서(561a, 516b)에 물체가 감지되었을 때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상기 구동부(523)가 제어되는 단계이다.
상기 판단 단계(S20)는, 상기 미세먼지센서(20)에 센싱된 값이 일정 수치, 예를 들어 160 ㎍/㎥ 이상일 때에는 상기 구동부(523)에 의해 상기 창문(500)이 폐쇄되고 상기 상기 스피커에서 안내멘트가 출력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일정 수치 이하, 예를 들어 80~160 ㎍/㎥일 때에는 상기 스피커 내지 상기 표시등(530)이 작동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판단 단계(S2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570)에 일정값이 감지될 때 상기 창문(500)이 개방되도록 상기 구동부(523)가 작동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판단 단계(S20)는, 상기 물체감지센서(561a, 516b)에 일정값이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527)가 상기 구동부(523)의 작동을 중지시켜 상기 창문(500)의 슬라이딩이 정지되고 상기 상기 스피커에서 안내멘트가 출력되는 단계이다.
우선, 창문(500)의 제어를 위해 빗물센서(10), 미세먼지센서(20), 화재감지센서(570), 물체감지센서(561a, 516b)에 센싱된 값이 제어부(527)로 전달된다(S10).
이후, 상기 제어부(527)는 상기 센싱된 값을 토대로 구동부(523), 상기 스피커, 표시등(530)의 제어 필요성을 판단한다(S20).
이후, 상기 구동부(523), 상기 상기 스피커, 상기 표시등(530)의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527)에 의해 상기 구동부(523), 상기 상기 스피커, 상기 표시등(530)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이루어진다(S30).
제어 단계(S30)에서, 빗물센서(10)에 빗물이 센싱되면 표시등(530)에 청색으로 표시되고, 상기 스피커에서 '강우가 감지되어 창문(500)을 닫습니다'와 같은 안내멘트가 출력되며, 창문(500)이 개방된 경우 구동부(523)가 창문(500)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계(S30)에서, 대기중의 미세먼지 수치가 160 ㎍/㎥ 이상일 때에는 상기 구동부(523)에 의해 창문(500)이 폐쇄되며 상기 상기 스피커에서 안내멘트가 출력되고 표시등(530)에 적색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창문(500)이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단계(S30)에서, 미세먼지 수치가 80~160 ㎍/㎥ 일 때에는 상기 상기 스피커에서 안내멘트만 출력되고 표시등(530)에 황색이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제어 단계(S30)에서, 미세먼지 수치가 50 ㎍/㎥ 이하일 때에는 표시등(530)에 청색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계(S30)에서, 상기 화재감지센서(570)에 일정값이 감지될 때 구동부(523)에 의해 창문(500)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계(S30)에서, 상기 물체감지센서(561a, 516b)에 일정값이 감지될 때 구동부(523)의 작동이 중지되어 창문(500)의 폐쇄가 정지되고 상기 상기 스피커에서 안내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도 13b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전달 단계(S10), 판단 단계(S20), 제어 단계(S30)를 계속 반복하여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단계(S10), 판단 단계(S20) 및 제어 단계(S30)를 거쳐 미세먼지 수치가 160㎍/㎥ 이상으로 센싱되어 창문(500)이 폐쇄되고 있는 도중에, 창틀(510)과 창문(500) 사이에 사용자의 팔이 있어 물체감지센서(561a, 516b)에 일정값이 감지되면 다시 전달 단계(S10), 판단 단계(S20) 및 제어 단계(S30)를 거쳐 구동부(523)에 의해 창문(500)의 폐쇄가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달 단계(S10), 판단 단계(S20) 및 제어 단계(S30)와 별개로 수동 스위치(550)와 리모컨(280)에 의해 구동부(523)가 제어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빗물센서 20 : 미세먼지센서
21 : 유입구 23 : 유출구
100 : 센서함 110 : 전측함
116 : 제3홀 117 : 제1홀
118 : 제2홀 140 : 후측함
149 : 전선홀 200 : 브라켓
215 : 전측 스페이서 217 : 후측 스페이서
219 : 설치홀 300 : 커버
500 : 창문 510 : 창틀
515 : 일측틀 523 : 구동부
525 : 구동연결부 527 : 제어부
529 : 리모컨 신호 수신부 530 : 표시등
550 : 수동 스위치 561 : 물체감지센서
570 : 화재감지센서 580 : 리모컨
600 : 외벽

Claims (3)

  1. 건물의 외부에 위치된 센서 또는 실내에 배치된 센서에 센싱된 값이 창문을 개폐시키는 구동부, 스피커, 표시등에 연결된 제어부로 전달되는 전달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값을 토대로 상기 구동부, 상기 스피커, 상기 표시등의 제어 필요성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구동부, 상기 스피커, 상기 표시등의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부, 상기 스피커, 상기 표시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달 단계는, 상기 외부에 배치된 빗물센서와 미세먼지센서에 센싱된 값, 상기 실내에 배치된 화재감지센서와 물체감지센서에 센싱된 값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단계이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빗물센서에 빗물이 감지될 때, 상기 미세먼지센서에 센싱된 수치가 일정 수치 이상일 때, 상기 화재감지센서에 일정값이 감지될 때,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일정값이 감지될 때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상기 구동부가 제어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 단계이되,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빗물센서에 빗물이 센싱되면 상기 스피커에서 안내멘트가 출력되며, 상기 창문이 개방된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창문을 폐쇄하되,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미세먼지센서는 센싱된 미세먼지수치를 토대로 3단계 상태로 구분하여 상기 창문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표시등에 상기 상태에 따른 색상을 표시하되,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미세먼지센서에 센싱된 수치가 160 ㎍/㎥ 이상일 때에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창문이 폐쇄되며 상기 상기 스피커에서 안내멘트가 출력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에 센싱된 수치가 80~160 ㎍/㎥ 일 때에는 상기 스피커에서 안내멘트가 출력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에 센싱된 수치가 50 ㎍/㎥ 이하일 때에는 상기 스피커의 안내멘트나 상기 창문의 개폐동작은 없고,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창문이 폐쇄될 때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장애물이 센싱될 경우, 상기 물체감지센서에서 인식된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중지시켜 상기 창문의 폐쇄가 정지되고 상기 스피커에서 안내멘트가 출력되는,
    창문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미세먼지센서에 센싱된 값이 일정 수치 이상일 때에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창문이 폐쇄되고 상기 스피커에서 안내멘트가 출력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일정 수치 이하일 때에는 상기 스피커 내지 상기 표시등이 작동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 단계인 창문의 제어방법
  3. 건물에 설치된 창틀에 조립되는 창문;
    상기 창문을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전측에 제1홀과 제2홀과 하측에 제3홀이 형성된 센서함;
    상기 센서함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홀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3홀의 상측에 위치되는 빗물센서;
    상기 센서함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미세먼지센서;
    상기 브라켓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설치 방향에 따라 상기 제3홀의 하측에 위치되면 상기 제3홀과 연통될 수 있는 제4홀과 제5홀을 포함하되,
    상기 미세먼지센서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위치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상기 제2홀이 위치되고,
    상기 유출구의 전방에 상기 빗물센서가 이격되어 위치되는,
    창문 시스템.
KR1020200122263A 2020-09-22 2020-09-22 창문의 제어방법 및 창문 시스템 KR102451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263A KR102451976B1 (ko) 2020-09-22 2020-09-22 창문의 제어방법 및 창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263A KR102451976B1 (ko) 2020-09-22 2020-09-22 창문의 제어방법 및 창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960A KR20220039960A (ko) 2022-03-30
KR102451976B1 true KR102451976B1 (ko) 2022-10-11

Family

ID=8094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263A KR102451976B1 (ko) 2020-09-22 2020-09-22 창문의 제어방법 및 창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9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1604A (ja) * 2005-09-05 2007-03-22 Ngk Spark Plug Co Ltd ガス検出装置
JP2010002131A (ja) * 2008-06-20 2010-01-07 Nec Access Technica Ltd 屋内環境制御システムおよび屋内環境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668Y1 (ko) 2003-06-11 2003-08-25 주식회사 윈도우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JP6377352B2 (ja) 2014-01-14 2018-08-22 株式会社ハマダ工商 窓を開閉する建屋の空調システム
KR20160072870A (ko) 2014-12-15 2016-06-24 이윤호 먼지센서를 적용한 스마트 윈도우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723301B1 (ko) * 2015-08-10 2017-04-04 이영욱 소음 및 날씨에 따른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896214B1 (ko) 2018-03-15 2018-09-06 이춘용 이중 창문 동시 개폐장치
KR20200074784A (ko) * 2018-12-17 2020-06-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988851B1 (ko) 2019-05-01 2019-06-13 윤준호 멀티미디어와 생활환경 IoT 기반의 자동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1604A (ja) * 2005-09-05 2007-03-22 Ngk Spark Plug Co Ltd ガス検出装置
JP2010002131A (ja) * 2008-06-20 2010-01-07 Nec Access Technica Ltd 屋内環境制御システムおよび屋内環境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960A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06026B (zh) 一种智能推拉窗
KR200324668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CN204531852U (zh) 一种防儿童跌落及防盗的智能安全窗
KR20200094591A (ko) 주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는 창호시스템
KR102451976B1 (ko) 창문의 제어방법 및 창문 시스템
KR102451969B1 (ko) 창문용 센서유닛
CN213418825U (zh) 一种可远程自动开关的智能窗
CN202672953U (zh) 一种智能推拉窗
CN209924739U (zh) 一种汽车车窗管理装置
CN107640001A (zh) 一种智能汽车天窗
CN208396550U (zh) 一种基于移动通信的智能窗户及控制系统
CN207332628U (zh) 一种新型金钢纱网一体窗
JP3930702B2 (ja) トータル通風換気システム及びその住宅構造
CN114413375A (zh) 一种房屋自调节系统
CN205370261U (zh) 一种智能窗户控制装置
CN113294066A (zh) 带有指纹解锁的防盗窗
CN112832620A (zh) 一种智能控制窗户及其控制方法
CN214984751U (zh) 车辆的天窗控制系统和车辆
CN109681080A (zh) 一种平移式窗户控制系统
CN219056206U (zh) 一种有害气体自动排气天窗结构
CN110503796A (zh) 一种能够用于室外的烟雾传感装置及应用其的限位设备
CN220599584U (zh) 一种智能调节窗
CN213898722U (zh) 一种带有警示功能的病房钢质门
CN217606430U (zh) 一种智能家居防火防盗组合装置
CN215255656U (zh) 一种手机控制的多功能智能窗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