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706B1 -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 Google Patents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706B1
KR102451706B1 KR1020220039459A KR20220039459A KR102451706B1 KR 102451706 B1 KR102451706 B1 KR 102451706B1 KR 1020220039459 A KR1020220039459 A KR 1020220039459A KR 20220039459 A KR20220039459 A KR 20220039459A KR 102451706 B1 KR102451706 B1 KR 10245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arm
wearer
sensing unit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우
유연숙
권혁환
권순태
한종문
사재빈
Original Assignee
(주)웨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웨어콤 filed Critical (주)웨어콤
Priority to KR102022012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9832A/ko
Priority to KR1020220123250A priority patent/KR20220139833A/ko
Priority to KR1020220123248A priority patent/KR102643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6Wearable electrodes, e.g. having strap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3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A61B5/27Conductive fabrics or text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9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electroconductive or anti-static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8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을 개시한다.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은 전도성 원단으로 구성되고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서 획득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원단은 경사에 해당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와 위사에 해당되는 합성 고분자 원사가 직조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Electrical Biosignal Measurement Garments Made of Conductive Fabrics Including Long-Fiber Graphene Yarns}
본 발명은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은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의복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전도성 직물은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사회적으로 건강과 보건에 대하여 전통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후발적으로 이를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수동적으로 관리하고 있었으나, 기술과 문화 및 사회적 인식 등의 발전으로 인해 건강과 보건은 선제적으로 또는 예방적으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능동적으로 관찰하고 추적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능동적이고 선제적인 건강과 보건의 관리를 위해서는 대상자의 평소 건강 상태, 또는 평소와 다른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데이터로 축적하여, 이를 바탕으로 장래에 발생할 수 있는 건강에 대한 이상을 미리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단순히 대상자의 주관적인 인식, 예를 들면 평소와 다름을 인지하거나, 최근 각종 건강 지표가 정성적으로 변화하였다는 점을 바탕으로도 달성될 수 있지만, 의료 전문가가 아닌 대상자의 경우 상기와 같은 주관적인 정보는 정확한 상태의 평가와 예측을 곤란하게 하며, 추적과 예방의 관점에서는 단지 대상자를 수동적으로 의료원에 방문토록 하거나 주의를 환기하는 데에 그칠 뿐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의료원에만 비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의료원을 방문하는 것을 통해서만 정확한 의료적 지표를 측정할 수 있었던 각종 의료용 측정기기가 개인화 및 가정화되어 의료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상기 의료용 측정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통해, 개인의 주관에 의존하지 않은 의료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특정 질환 또는 질병, 특히 심장 질환, 예를 들면 부정맥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전조증상이 없거나 있더라도 치명적인 결과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적 간격이 부족한 질환 또는 질병의 경우, 평소에 수시로 관련된 의료정보를 측정하거나, 상시로 의료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통해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하는 것이 몹시 중요하다.
그러나, 전술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비록 의료기기가 개인화 및 가정화되었다 하더라도, 그 규모 및 편리성의 측면에서 대상자가 이를 상시 착용하거나 휴대하며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 웨어러블 기기로 통칭되는 상시휴대성 의료기기가 주목받고 있다.
웨어러블 기기란 사용자가 단순히 착용하는 것을 넘어서, 입는(wear) 기기로서 의복과 같이 일상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상시 착용될 수 있는 정도의 편리성을 가지는 기기를 지칭한다. 대표적으로는 시계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의료기기가 있고, 특정한 경우에는 필요에 의해 체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유형 또한 널리 제공되고 있다.
심전도 또는 심전도 데이터란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심장의 상태를 확인하고 진단하기에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며,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비침습적인 수단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장 관련 질환을 1차적으로 진단함에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 정보이다. 심전도 데이터는 심방에서 발생하는 탈분극에 의해 심방이 수축되고 심장 내의 전기적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측정하여 얻어지며, 대표적인 측정 방법으로는 표준 쌍극사지 유도법과 증폭 단극사지 유도법 및 흉부 유도법 등이 있으며, 널리 사용되는 계측 방법인 표준 12유도법은 상기 각 유도법을 종합하여 측정된 서로 다른 12가지 데이터를 통해 심전도 데이터를 얻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심전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측정은 종래 의료원에서 사용되는 심전도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대상자가 고정된 상태에서 최소 10분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동하는 환경이나 다소 안정되지 않은 환경에서 사용되기에 곤란함이 있었으며, 또한 사용자가 숙련되지 않은 경우 정확한 심전도 데이터를 얻을 수 없을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성과 정확성 및 사용성이 개선된 심전도 측정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대응하여 최근에는 측정기술과 데이터 해석기술의 발전으로 흉부 부착형 심전도 기기 뿐만 아니라 손목시계형 심전도 기기, 나아가 의복의 형태를 가진 본체에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 형태의 심전도 기기 또한 제공되고 있으며, 대상자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나 대상자가 지속적인 심전도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경우 등 전통적인 심전도 측정 기기가 사용되기에 곤란한 환경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심전도 기기가 제공되고 있어 일반 대중의 건강과 보건에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심전도 모니터링의 경우, 심장 또는 순환계에 장애가 발생한 이력이 있거나, 발생의 위험이 높은 대상자뿐만 아니라,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대다수가 노출된 높은 스트레스 환경 및 심장 또는 순환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식습관 등, 통계적으로 비교적 심장 관련 질환이 발병할 위험이 낮은 대상자에게도 필요한 현실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확한 심전도 데이터의 측정은 의료원에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기 의료원에서는 측정된 정확한 심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단하는 것을 통해 추가적인 처치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수적이지만, 이는 상시 제공될 수 없다는 점에서, 의료원에서 측정되는 수준에 미치지 않더라도 상시로 심전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웨어러블 심전도 측정 기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의료원에서는 대상자에게서 24시간 동안의 심전도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하여 홀터 검사(Holter monitoring)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기 홀터 검사에 사용되는 심전도기는 약 500g 정도의 경량이나 전극의 부착은 의료진에 의해 정확하게 수행되어야 하고, 전극을 24시간 동안 부착하고 있어야 하며, 부착된 전극이 탈락되거나 부착된 위치가 변경된 경우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심전도 측정용 전극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 형태와 재료가 다양한 측정용 전극들이 이용되고 있다.
심전도 측정용 전극은 습식 전극과 건식 전극으로 대별되며, 건식 전극은 금속 전극과 직물 전극으로 나뉠 수 있다. 습식 전극의 경우 전극의 측정부와 부착되는 신체 사이의 임피던스 값이 상대적으로 낮아 상대적으로 정확한 심전도 데이터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부착된 위치의 변경이 있을 시 부정확한 데이터가 측정되며, 습식이라는 특성에 의해 웨어러블 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겔(gel) 형태의 전극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겔 형태의 전극의 겔 부분은 신체에 부착된 이후 성분의 변화나 이물질의 부착 등으로 인해 재사용이 어렵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건식 전극 중 금속 전극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를 사용한 전극으로, 심장을 포함한 순환계에서 발하는 신호가 본질적으로 전기적 신호라는 점에서 그 감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금속의 경우 대상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경우 염증이나 알러지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어, 거의 필수적으로 상기 금속 전극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층은 금이나 백금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것이 요구되어, 가격이 다소 비싸고 금속 재료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웨어러블 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직물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경사에 직각으로 위사가 배열되면서 직조되는 피륙으로, 상기 위사는 경사의 위 또는 아래로 위치하는 것을 통해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되는 교차점에서 발생하는 경사와 위사의 마찰력을 바탕으로 직물 고유의 물성을 나타내며, 상기 교차점의 위치 및 개수의 적절한 선택과 변형을 통해 형성되는 직물의 물성과 외관을 조절할 수 있고, 경사와 위사에 사용되는 원사의 선정에 따라 최종 생성되는 직물의 물성과 외관을 조절할 수 있음이 널리 알려져 있다.
직물의 직조 방식에 있어 평직은 경사와 위사가 한 올씩 교대로 짜여지는 방식으로, 최소 완전 조직에서 경사와 위사의 비율은 1:1이며, 이를 통해 형성되는 직물의 표면과 이면이 동일하다. 평직으로 짜여진 직물은 일반적으로 강한 물성을 가지며 원사 자체의 물성의 발현이 적어 높은 구김성과 낮은 광택을 가진다.
직물의 직조 방식에 있어 능직은 복수의 경사와 복수의 위사가 교대로 짜여지는 방식으로, 최소 완전 조직에서 경사와 위사의 비율이 2:1. 3:1 및 2:2인 능직 직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직물의 일면에서 경사와 위사 중 높은 비율을 가지는 원사가 사선으로 배치되어 관측되는 능선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능직으로 짜여진 직물은 일반적으로 원사 자체의 물성의 발현이 높아 상대적으로 낮은 구김성과 높은 광택을 가지고, 직조 시의 조건과 경사와 위사의 비율의 선정 등과 같은 기타 요건에 의해 견고한 물성을 가지도록 직물을 형성할 수 있다.
건식 전극 중 직물 전극은 전도성 원사를 사용하여 직물을 형성하여 상기 직물이 전도성을 가지도록 구성된 직물을 전극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금속 전극이 가지는 단점과 습식 전극이 가지는 단점을 극복한 전극이지만, 전도성을 가지는 상기 직물은 습식 전극이나 금속 전극에 비해 측정 시의 임피던스의 수치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에서 다소 정확한 심전도 데이터를 얻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유한 장점에 의해 필요성이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단점들이 개선된 기술 및 제품들이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직물 전극에 사용되는 전도성 원사는, 천연 또는 고분자 소재 원사에 전도성 재료, 예를 들면 금속을 코팅하여 원사에 전도성을 부여하거나, 원사의 제작 시 전도성 재료를 혼합하여 스테이플 섬유로 제조하는 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고, 또는 우수한 전성을 가진 전도성 재료, 예를 들면 금속 중 은 또는 금과 같은 재료를 필라멘트 섬유로 제조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도성 원사의 전도성은, 원사 한 가닥의 단면이 작을수록 직조에 유리하고 이를 통해 제조되는 원단에 우수한 질감과 미감을 제공하나, 전도성이 감소함에 따라 원단에 충분한 전도성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전극은, 정확한 심전도의 측정을 위해 신체에 최초 부착된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의료용 테이프로 신체와 함께 고정되거나, 또는 전극의 구조적 특징 및 전극을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을 바탕으로 상기 위치에 고정되도록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필수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는 특징은, 착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일상 환경 안에서 상시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웨어러블 기기의 전극으로 사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고정되지 않더라도 적어도 밀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문제점이 존재하며, 상기 전극에 직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특히 직물에 포함된 전도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불충분한 전도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특히 문제된다.
그래핀은 탄소로 이루어진 물질로 흑연, 다이아몬드와 같이 탄소의 동소체 중 하나로 널리 알려진 재료이다. 탄소 원자의 구조적 특징을 바탕으로 육각형의 격자를 가지는 2차원 평면 구조를 가지고 각 육각형 격자의 꼭지점에 탄소 원자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원자 1개의 두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것으로 많은 분야에서 주목받는 소재 중 하나이다. 그래핀은 상기한 특유의 구조를 바탕으로 높은 전기 전도성 및 열 전도성을 가지며, 얇은 두께로 인한 높은 광 투과성을 가지며, 강철보다 수백 배 이상 강한 강도와 높은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재료이다.
현재 공지된 그래핀의 산업적 제조 방법은 물리적 박리법, 화학 증기 증착법 및 화학적 박리법이 대표적이다. 물리적 박리법은 흑연 결정에서 기계적인 수단으로 얇은 그래핀 층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쉽게 그래핀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산업적으로 요구되는 수준의 대면적의 그래핀을 수득하는 것은 곤란하고 수득된 그래핀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거나 표면상 결손의 발생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에 따라 균일한 품질의 그래핀이 수득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화학 증기 증착법은 그래핀 면을 형성하고자 하는 기판의 표면에 탄소 전구체를 흡착시킨 다음 탄소 원자로 분리시키고 분리된 탄소 원자들의 원자간 결합을 유도하여 기판 상에서 그래핀 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대면적의 그래핀을 비교적 균일하게 수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그래핀의 특성을 바탕으로, 산화그래핀 재료를 합성 고분자 원사에 코팅하거나 혼합하여 전도성 원사를 제조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합성 고분자 원사에 코팅되는 경우, 마찰에 의해 전도성 재료가 점차 탈락하게 됨에 따라 원사 및 직조된 원단의 전도성이 점차 감소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그래핀 재료 자체의 물성이 원사나 원단에 충분히 부여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래핀 자체를 얇고 길게 제작하여 원사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제작된 그래핀 원사 및 이를 통해 직조된 그래핀 원단은 그래핀 재료 자체의 우수한 물성, 즉 강성, 인성 및 전도성과 같은 특성을 그대로 가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래핀 재료의 높은 단가와 취급의 난이도 및 필라멘트 형태로의 형성의 난이도 등에 기반한 단점이 여전히 존재하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상 환경에서 착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착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 예를 들면 심전도를 상시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가 요구되지만, 종래의 직물 전극은 상대적으로 낮은 전도성을 가지고 높은 임피던스를 나타냄에 따라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되더라도 착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및/또는 정확하고 연속적인 측정 결과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기술적 과제가 존재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도성 재료, 즉 금속성 재료 및 그래핀 재료를 포함하는 재료가 단순히 코팅된 원사로 직조된 전도성 원사는 마찰과 수축 및 신장에 의해 상기 코팅이 탈락되고,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전도성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전기적 생체 신호, 예를 들면 심전도 측정에 있어 착용자에게 상시 밀착된 상태로 마찰을 경험하는 의복에 사용되기에 부적절하며, 나아가 착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 데이터, 예를 들면 심전도 데이터의 정확성 또한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이 또한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섬유 그래핀 자체를 원사를 사용한 전도성 원단을 전극으로 제공하고, 상기 전도성 원단으로 이루어진 의복을 착용함에 따라, 착용자의 신체의 특정 부분에서 착용자가 발생하는 전기적 생체 신호를 전도성 원단 자체에서 수집하는 것을 통해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기기가 의복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경우에도,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은 착용자의 신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이를 벗어나는 경우 측정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을, 전도성 원단으로 의복을 구성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전도성 원단 자체가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됨에 따라 전극으로서 기능하여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원단이 밀착되는 착용자의 신체의 넓은 범위의 표면에서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의 수집이 용이한 전기적 생체 신호 수집 의복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사에 전도성을 부여하는 재료로서 높은 전도성을 가지는 그래핀을 사용한 전도성 원사 및 이를 통해 직조된 전도성 원단을 제공하고, 이를 사용한 직물 전극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직물 전극이 의복이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통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직물 전극이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의복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래핀 원사를 사용한 전도성 원단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원사가 경사로 사용되고, 합성 고분자 원사가 위사로 사용되는 것을 통해, 일방향의 상대적으로 높은 신축성 및 상기 일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전도성 원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성 원단이 사용된 의복에 부착될 수 있는 심전도 측정기, 또는 상기 전도성 원단이 사용된 의복과 연결될 수 있는 심전도 측정기로 이루어진 심전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 예를 들면 심전도를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을 이용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불구하고 전도성이 유지되는 웨어러블 심전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을 이용하여,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부착되는 위치를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용자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계측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도 1은, 평직으로 제작된 전도성 원단(100)의 조직도로, 그래핀 원사(101) 및 합성 고분자 원사(102)로 이루어진 전도성 원단(100)의 조직도를 관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능직으로 제작된 전도성 원단(200)의 조직도로, 그래핀 원사(201) 및 합성 고분자 원사(202)로 이루어지고 그래핀 능선(203)이 나타나는 전도성 원단(200)의 조직도를 관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전도성 원단이 사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300)을 관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축척은 과장되었다.
도 4는, 전도성 원단이 사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300-1)의 제1 센싱부를 관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축척은 과장되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의복의 제2 센싱부를 관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축척은 과장되었다.
도 6은, 전도성 원단이 사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400)의 전개된 양태를 관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축척은 과장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상기 기술적 용어를 통하여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며, 상기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별도의 의미를 정의하고 있지 않은 이상,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고 또 사용하는 의미를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어는 단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에서 특별히 별도의 의미를 정의하고 있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축약되지 않은 용어와 동일한 의미를 표현하기 위한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고, 또 그러한 의미를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상부",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그래핀 원사(101)를 경사로, 합성 고분자 원사(102)를 위사로 사용하여 직조된 평직 원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전도성 원단(100)은 그래핀 원사(101)와 합성 고분자 원사(102)가 평직으로 직조된 직물 원단이고, 상기 그래핀 원사(101)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히 전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이다. 도 1의 전도성 원단(100)은 경사에 해당되는 복수의 그래핀 원사(101)와, 위사에 해당되는 복수의 합성 고분자 원사(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전도성 원단(100)은 경사에 해당되는 그래핀 원사(101)와 접촉되고 경사에 해당되는 복수의 그래핀 원사(1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경사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 원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도 1의 전도성 원단(100)의 경사는 복수의 그래핀 원사(101)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의 전도성 원단(100)의 위사는 복수의 합성 고분자 원사(102) 및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 원사를 포함할 수 있다. 위사로 사용되는 그래핀 원사의 구조 및 성분은 경사로 사용되는 그래핀 원사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핀 원사(101)는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 분말 15~60 중량부 및 첨가제 3~8 중량부가 포함된 그래핀 원사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나일론, 폴리아크릴,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칩을 270℃로 가열하여 용융한 뒤, 여기에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핀 분말 8 중량부, 블랙다이아몬드 분말 6.4 중량부 및 흑연 분말 3.2 중량부, 첨가제인 소포제인 올레일알코올 1 중량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 1 중량부, 대전 방지제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 중량부를 혼합하고, 240RPM의 속도로 8분간 교반한 뒤, 20분 동안 초음파 분산시켜 방사액을 제조하고, 이를 방사 및 권취하여 두께 약 100㎛인 그래핀 원사가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자세하게 기술한 그래핀 원사(101)에 관한 내용은 후술하는 그래핀 원사(201)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합성 고분자 원사(102)는 통상의 기술자가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입수할 수 있는 공지된 합성 고분자 원사, 예를 들면 나일론계 합성 고분자 원사,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고분자 원사, 아크릴계 합성 고분자 원사, 폴리비닐알코올계 합성 고분자 원사, 폴리염화비닐계 합성 고분자 원사, 폴리염화비닐리덴계 합성 고분자 원사 및 이에 제한되지 않는 공지된 합성 고분자 원사일 수 있다.
도 2는, 그래핀 원사를 경사로, 합성 고분자 원사를 위사로 사용하여 직조된 능직 원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도면에 따른 전도성 원단(200)은 경사인 그래핀 원사(201)의 비율이 위사인 합성 고분자 원사(202)에 대해 2:1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비율은 3:1, 4:1 또는 기타 능직 원단을 직조하기 적합한 비율일 수 있고, 상기 비율을 n:1과 같이 표현하는 경우(여기서 n은 정수), 상기 n에 해당하는 정수가 클수록 상기 그래핀 원사(201)과 상기 합성 고분자 원사(202)의 교차점의 개수가 원단의 단위 면적을 기준으로 감소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이를 조절함에 따라 원단의 탄성과 드레이프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2의 전도성 원단(200)은 경사에 해당되는 복수의 그래핀 원사(201)와, 위사에 해당되는 복수의 합성 고분자 원사(2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전도성 원단(200)은 경사에 해당되는 그래핀 원사(201)와 접촉되고 경사에 해당되는 복수의 그래핀 원사(2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경사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 원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도 2의 전도성 원단(200)의 경사는 복수의 그래핀 원사(201)를 포함할 수 있고, 도 2의 전도성 원단(200)의 위사는 복수의 합성 고분자 원사(202) 및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 원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핀 능선(203)은 그래핀 원사(201)가 합성 고분자 원사(202)에 대해 2:1 이상의 비율로 직조됨에 따라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능직 원단(200)의 직조 과정에서 각 그래핀 원사(201) 가닥 간의 교차점 개수 및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래핀 능선(203)을 구성하는 각 그래핀 원사(201) 가닥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능직 원단 전체의 전도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원단의 뻣뻣한 정도가 상대적으로 증대될 수 있고, 상기 그래핀 능선(203)을 구성하는 각 그래핀 원사(201) 가닥 간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능직 원단 전체의 전도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원단의 뻣뻣한 정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도 3은, 전도성 원단이 사용된 2점 의복(300)의 구성을 관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전도성 원단은 도 1에 도시된 전도성 원단(100) 및 도 2에 도시된 전도성 원단(200)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센싱부(301,302)는 서로 다른 구조의 전도성 원단(100,200)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의복(300)은 긴소매 상의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민소매 상의에 해당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할 때,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300)(또는, “의복”)은 착용자의 팔을 커버하는 소매부(311,321)와, 착용자의 몸통을 커버하는 몸통부(300a)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300a)는 심장이 위치하지 않은 우측 상반신을 커버하는 우측 몸통부(300b)와, 심장이 위치하는 좌측 상반신을 커버하는 좌측 몸통부(300c)와, 우측 몸통부(300b)와 좌측 몸통부(300c)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30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소매부(311,321)는 오른팔을 커버하는 오른팔 슬리브(311)와, 왼팔을 커버하는 왼팔 슬리브(321)를 포함할 수 있다. 오른팔 슬리브(311)와 왼팔 슬리브(321) 각각은 사용자의 어깨부터 손목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른팔 슬리브(311)와 왼팔 슬리브(321) 각각은 사용자의 어깨부터 팔뚝까지 연장될 수도 있고, 오른팔 슬리브(311)와 왼팔 슬리브(32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우측 몸통부(300b)와 오른팔 슬리브(3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좌측 몸통부(300c)와 왼팔 슬리브(3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우측 몸통부(300b)와 오른팔 슬리브(311)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좌측 몸통부(300c)와 왼팔 슬리브(321)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의복(300)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전기적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센싱부(30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301,302)는 복수의 센싱부(301,3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의복(300)은 제1 센싱부(301)와 제2 센싱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부(301) 및 제2 센싱부(302)는 전도성 원단(100,200)이 사용된 센싱부이고, 상기 제1 센싱부(301)와 상기 제2 센싱부(302)는 절연부(303)로 구분 및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센싱부(301)는 우측 몸통부(300b) 및 오른팔 슬리브(3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에 해당될 수 있다. 제2 센싱부(302)는 좌측 몸통부(300c) 및 왼팔 슬리브(3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에 해당될 수 있다. 우측 몸통부(300b)와 오른팔 슬리브(311)는 전도성 원단(100,2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몸통부(300c)와 왼팔 슬리브(321)는 전도성 원단(100,2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부(303)는 전도성이 없는 비전도성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센싱부(301)가 절연부(303)의 일 측면에 직조되고, 제2 센싱부(302)가 절연부(303)의 상기 일 측면에 대향되는 타 측면에 직조로 결합되는 것을 통하여, 제1 센싱부(301)에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가 제2 센싱부(302)에 전달되지 않도록 절연하고, 제2 센싱부(302)에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가 제1 센싱부(301)에 전달되지 않도록 절연할 수 있다.
우측 몸통부(300b)의 일 측단은 절연부(303)와 직조되어 결합되고, 우측 몸통부(300b)의 타 측단은 오른팔 슬리브(311)와 직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좌측 몸통부(300c)의 일 측단은 절연부(303)와 직조되어 결합되고, 좌측 몸통부(300c)의 타 측단은 왼팔 슬리브(321)와 직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센싱부(301)(예: 우측 몸통부(300b) 및/또는 오른팔 슬리브(311))는 의복(300)을 착용한 착용자의 피부에 상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착용자가 발생시키는 전기적 생체 신호는 착용자의 피부로 전달되고, 제1 센싱부(301)는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는 제1 센싱부(301)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으로 전달되고, 나아가 제1 센싱부(301)상의 특정 위치로 전달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센싱부(301)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예: 심전도 신호)를 수집(또는, 획득)하는 전극에 해당될 수 있다.
제2 센싱부(302)(예: 좌측 몸통부(300c) 및/또는 왼팔 슬리브(321))는 의복(300)을 착용한 착용자의 피부에 상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착용자가 발생시키는 전기적 생체 신호는 착용자의 피부로 전달되고, 제2 센싱부(302)는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는 상기 제2 센싱부(302)을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으로 전달되고, 나아가 제2 센싱부(302)상의 특정 위치로 전달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센싱부(302)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예: 심전도 신호)를 수집(또는, 획득)하는 전극에 해당될 수 있다.
절연부(303)의 배치와 면적은 전기적 생체 신호의 수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모든 변경되는 배치에서 상기 절연부(303)는 이에 직조되어 결합된 제1 센싱부(301)(예: 우측 몸통부(300b)) 및 제2 센싱부(302)(예: 좌측 몸통부(300c))를 절연할 수 있다. 절연부(303)를 구성하는 비전도성 원단은 천연 원사 또는 합성 고분자 원사로 직조된 원단, 또는 천연 원사와 합성 고분자 원사를 혼합하여 직조된 원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부와 제2 센싱부를 통해 측정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의 분별성이 증가되도록 절연부(303)의 폭은 절연부(303)의 양측단이 착용자의 양 젖꼭지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절연부(303)는 수분에 대한 배타성을 가지는 원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부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의복(300)을 착용한 착용자가 땀을 흘리는 경우, 절연부(303)는 땀을 흡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의 절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절연부일 수 있다.
제1 센싱부(301)에서 수집되는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는 절연부(303)와 연결되는 지점으로 전달될 수 있으나, 절연부(303)의 절연에 의하여 제2 센싱부(302)로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2 센싱부(302)에서 수집되는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는 절연부(303)와 연결되는 지점으로 전달될 수 있으나, 절연부(303)의 절연에 의하여 제1 센싱부(301)로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부(301)는 착용자의 오른팔 손목에 접촉되고 오른팔 슬리브(31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금속제 제1 심전도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센싱부(302)는 착용자의 왼팔 손목에 접촉되고 왼팔 슬리브(32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금속제 제2 심전도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심전도 전극을 통해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는 오른팔 슬리브(311)와 우측 몸통부(300b)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에 의하여 매개될 수 있고, 제2 심전도 전극을 통해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는 왼팔 슬리브(321)와 좌측 몸통부(300c)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에 의하여 매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통부(300a)와 소매부(311,321)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에 의하여 매개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는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330)로 전달될 수 있다.
의복(300)은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330)(또는, “계측기”)(또는, “심전도 계측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330)는 심전도 계측기의 일종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계측기(330)의 본체(331)는 몸통부(300a)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복(300)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계측기(330)는 계측기의 본체(331)와 연결되는 제1 연결전극(332) 및 제2 연결전극(3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전극(332)과 제2 연결전극(333)은 각각 전기 전도성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클립 또는 클램프와, 이러한 클립 또는 클램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331)에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전극(332)은 제1 센싱부(301)에 부착되어 제1 센싱부(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연결전극(333)은 제2 센싱부(302)에 부착되어 제2 센싱부(3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전극(332)은 우측 몸통부(300b) 및/또는 오른팔 슬리브(31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연결전극(333)은 좌측 몸통부(300c) 및/또는 왼팔 슬리브(321)에 연결될 수 있다. 계측기(330)는 제1 연결전극(332)을 통해서 제1 센싱부(301)에 의하여 수집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연결전극(333)을 통해서 제2 센싱부(302)에 의하여 수집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계측기(330)는 제1 연결전극(332)을 통해서 수신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와 제2 연결전극(333)을 통해서 수신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기(330)는 제1 연결전극(332)을 통해서 수신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와 제2 연결전극(333)을 통해서 수신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표준사지유도 Ⅰ 유도에 따라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전도성 원단이 사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300-1)의 제1 센싱부를 관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전도성 원단은 도 1에 도시된 전도성 원단(100) 및 도 2에 도시된 전도성 원단(200)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센싱부는 서로 다른 구조의 전도성 원단(100,200)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4에 도시된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300-1)(또는, “의복”)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할 때, 의복(300-1)은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우측 몸통부(300b), 좌측 몸통부(300c), 절연부(303), 오른팔 슬리브(311), 및 왼팔 슬리브(321) 각각의 원단을 봉사로 봉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우측 몸통부(300b)는 봉사를 사용하여 오른팔 슬리브(311)와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오른팔 슬리브(311)는 전도성 원단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봉사는 전도성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오른팔 슬리브(311)가 전도성 원단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봉사는 전도성을 가지지 않을 수 있으나, 상기 오른팔 슬리브(311)가 전도성 원단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봉사는 필수적으로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를 통해 상기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른팔 슬리브(311)가 전도성 원단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전도성 원단은 경사를 그래핀 원사로 위사를 합성 고분자 원사로 하여 직조된 직물일 수 있고, 우측 몸통부(300b)는 그래핀 원사와 고분자 원사가 직조된 직물일 수 있다. 이때, 오른팔 슬리브(311)는 우측 몸통부(300b)에 사용된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와 수직한 방향으로 오른팔 슬리브(311)의 그래핀 원사가 배열되도록 하여 우측 몸통부(300b)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는 상기 봉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우측 몸통부(300b)의 전도성 원단의 일측 말단과 상기 오른팔 슬리브(311)의 일측 말단이 상기 봉사에 의해 봉제됨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달리 말하면,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는 우측 몸통부(300b)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와 오른팔 슬리브(311)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직교하는 상태에서 봉사에 의하여 우측 몸통부(300b)의 일단(예: 우측단)과 오른팔 슬리브(311)의 일단(예: 좌측단)이 봉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에서 우측 몸통부(300b)의 전도성 원단을 구성하는 그래핀 원사는 우측 몸통부(300b)의 그래핀 원사와 직교하게 배치되는 오른팔 슬리브(311)를 구성하는 그래핀 원사와 봉제를 통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측 몸통부(300b)의 전도성 원단 및/또는 오른팔 슬리브(311)의 전도성 원단을 통해서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는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에 전달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는 제1 센싱부(301)(예: 우측 몸통부(300b) 및/또는 오른팔 슬리브(311))에서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계측기 제1 연결부(313)로 전달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센싱부(예: 우측 몸통부(300b) 및/또는 오른팔 슬리브(311))를 통해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는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를 구성하는 오른팔 슬리브(311)의 일측 말단과 우측 몸통부(300b)의 일측 말단이 봉사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부(301)에서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는 제1 센싱부(301)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에 경사 및/또는 위사로 사용된 그래핀 원사를 통해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에 결합된 우측 몸통부(300b)의 일측 말단으로 전달된다. 이때 오른팔 슬리브(311)는 전도성 원단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사, 즉 그래핀 원사는 우측 몸통부(300b)를 구성하는 그래핀 원사와 직교하게 배치됨에 따라, 오른팔 슬리브(311)의 일측 말단 및 우측 몸통부(300b)의 일측 말단을 봉사로 봉제하여 형성되는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는 계측기 제1 연결부(313)를 1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계측기 제1 연결부(313)를 통해 심전도 계측기(330)의 제1 연결전극(332)이 직접 또는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에 전기적 생체 신호가 전달되면,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에 위치한 계측기 제1 연결부(313)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계측기 제1 연결부(313)에 연결되는 계측기(330)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계측기 제1 연결부(313)는 계측기(330)의 연결전극(332)과 결합가능한 금속제 단자에 해당될 수 있다. 계측기 제1 연결부(313)는 우측 몸통부(300b)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과 오른팔 슬리브(311)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봉사에 의하여 우측 몸통부(300b)의 전도성 원단과 오른팔 슬리브(311)의 전도성 원단이 봉제됨으로써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에 고정될 수 있다. 우측 몸통부(300b)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직접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오른팔 슬리브(311)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직접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계측기 제1 연결부(313)는 착용자의 오른쪽 삼각근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계측기 제1 연결부(313)의 배치를 통하여, 계측기 제1 연결부(313)가 착용자의 팔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는 상기 봉사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봉사를 통해 형성되는 스티치는 봉제 길이 1cm 당 5 내지 10스티치일 수 있으며, 봉제 길이 1cm당 6 내지 8스티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치가 봉제 길이 1cm당 5스티치 미만인 경우, 우측 몸통부(300b)와 오른팔 슬리브(311)가 전기적으로 충분히 연결되지 않아 제1 센싱부(301)에서 수집한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가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로 충분히 전달되지 않으므로, 스티치의 봉제 길이 1cm당 스티치 수의 하한은 5스티치인 것이 적당하고, 상기 스티치가 봉제 길이 1cm당 10스티치 초과인 경우,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의 경직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고 우측 몸통부(300b) 및 오른팔 슬리브(311)를 각각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손상이 관측되므로, 상기 스티치의 봉제 길이 1cm당 스티치 수의 상한은 10스티치인 것이 적당하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의복의 제2 센싱부를 관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좌측 몸통부(300c)는 봉사를 사용하여 왼팔 슬리브(321)와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왼팔 슬리브(321)는 전도성 원단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봉사는 전도성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왼팔 슬리브(321)가 전도성 원단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봉사는 전도성을 가지지 않을 수 있으나, 상기 왼팔 슬리브(321)이 전도성 원단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봉사는 필수적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를 통해 상기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는 전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왼팔 슬리브(321)가 전도성 원단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전도성 원단은 경사를 그래핀 원사로 위사를 합성 고분자 원사로 하여 직조된 직물일 수 있고, 좌측 몸통부(300c)는 그래핀 원사와 고분자 원사가 직조된 직물일 수 있다. 이때, 왼팔 슬리브(321)는 좌측 몸통부(300c)에 사용된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와 수직한 방향으로 왼팔 슬리브(321)의 그래핀 원사가 배열되도록 하여 좌측 몸통부(300c)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는 상기 봉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좌측 몸통부(300c)의 전도성 원단의 일측 말단과 상기 왼팔 슬리브(321)의 일측 말단이 상기 봉사에 의해 봉제됨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달리 말하면,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는 좌측 몸통부(300c)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와 왼팔 슬리브(321)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직교하는 상태에서 봉사에 의하여 좌측 몸통부(300c)의 일단(예: 좌측단)과 왼팔 슬리브(321)의 일단(예: 우측단)이 봉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에서 좌측 몸통부(300c)의 전도성 원단을 구성하는 그래핀 원사는 좌측 몸통부(300c)의 그래핀 원사와 직교하게 배치되는 왼팔 슬리브(321)를 구성하는 그래핀 원사와 봉제를 통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다라, 좌측 몸통부(300c)의 전도성 원단 및/또는 왼팔 슬리브(321)의 전도성 원단을 통해서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는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에 전달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는 제2 센싱부(302)(예: 좌측 몸통부(300c) 및/또는 왼팔 슬리브(321))에서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계측기 제2 연결부(323)로 전달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센싱부(302)(예: 좌측 몸통부(300c) 및/또는 왼팔 슬리브(321))를 통해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는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를 구성하는 왼팔 슬리브(321)의 일측 말단과 좌측 몸통부(300c)의 일측 말단이 봉사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싱부(302)에서 수집된 전기적 생체 신호는 제2 센싱부(302)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에 경사 및/또는 위사로 사용된 그래핀 원사를 통해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에 결합된 상기 제2 센싱부(302)의 일측 말단으로 전달된다. 이때 왼팔 슬리브(321)는 전도성 원단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사, 즉 그래핀 원사는 좌측 몸통부(300c)를 구성하는 그래핀 원사와 직교하게 배치됨에 따라, 왼팔 슬리브(321)의 일측 말단 및 좌측 몸통부(300c)의 일측 말단을 봉사로 봉제하여 형성되는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는 계측기 제2 연결부(323)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계측기 제2 연결부(323)를 통해 심전도 계측기(330)의 제2 연결전극(333)이 직접 또는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에 전기적 생체 신호가 전달되면,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에 위치한 계측기 제2 연결부(323)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계측기 제2 연결부(323)에 연결되는 계측기(330)는 전기적 생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계측기 제2 연결부(323)는 계측기(330)의 연결전극(333)과 결합가능한 금속제 단자에 해당될 수 있다. 계측기 제2 연결부(323)는 좌측 몸통부(300c)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과 왼팔 슬리브(321)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봉사에 의하여 좌측 몸통부(300c)의 전도성 원단과 왼팔 슬리브(321)의 전도성 원단이 봉제됨으로써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에 고정될 수 있다. 좌측 몸통부(300c)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직접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왼팔 슬리브(321)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직접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계측기 제2 연결부(323)는 착용자의 왼쪽 삼각근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계측기 제2 연결부(323)의 배치를 통하여, 계측기 제2 연결부(323)가 착용자의 팔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는 상기 봉사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봉사를 통해 형성되는 스티치는 봉제 길이 1cm 당 5 내지 10스티치일 수 있으며, 봉제 길이 1cm당 6 내지 8스티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치가 봉제 길이 1cm당 5스티치 미만인 경우, 좌측 몸통부(300c)와 왼팔 슬리브(321)가 전기적으로 충분히 연결되지 않아 제2 센싱부(302)에서 수집한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가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로 충분히 전달되지 않으므로, 스티치의 봉제 길이 1cm당 스티치 수의 하한은 5스티치인 것이 적당하고, 상기 스티치가 봉제 길이 1cm당 10스티치 초과인 경우,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의 경직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고 좌측 몸통부(300c) 및 왼팔 슬리브(321)를 각각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손상이 관측되므로, 상기 스티치의 봉제 길이 1cm당 스티치 수의 상한은 10스티치인 것이 적당하다.
도 6은, 전도성 원단이 사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400)의 전개된 양태를 관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6에 도시된 의복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400)(또는, “의복”)의 제1 센싱부(300b,311)는 전면 제1 센싱부(300ba,311a)와 후면 제1 센싱부(300bb,311b)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센싱부(300c,321)는 전면 제2 센싱부(300ca,321a)와 후면 제2 센싱부(300cb, 321b)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300b,300c,303)는 상반신의 우측을 커버하는 우측 몸통부(300b)와, 상반신의 좌측을 커버하는 좌측 몸통부(300c)와, 절연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몸통부(300b)는 우측 상반신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우측 몸통부(300ba)와, 우측 상반신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우측 몸통부(300bb)를 포함할 수 있다. 오른팔 슬리브(311)는 오른팔의 전면을 커버하는 오른팔전면 슬리브(311a)와, 오른팔의 후면을 커버하는 오른팔후면 슬리브(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왼팔 슬리브(321)는 왼팔의 전면을 커버하는 왼팔전면 슬리브(321a)와, 왼팔의 후면을 커버하는 왼팔후면 슬리브(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제1 센싱부(300ba,311a)는 전면우측 몸통부(300ba) 및/또는 오른팔전면 슬리브(311a)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제1 센싱부(300bb,311b)는 후면우측 몸통부(300bb) 및/또는 오른팔후면 슬리브(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제2 센싱부(300ca,321a)는 전면좌측 몸통부(300ca) 및/또는 왼팔전면 슬리브(321a)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제2 센싱부(300cb, 321b)는 후면좌측 몸통부(300cb) 및/또는 왼팔후면 슬리브(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제1 센싱부(300ba,311a)와 전면 제2 센싱부(300ca,321a)는 의복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후면 제1 센싱부(300bb,311b)와 후면 제2 센싱부(300cb, 321b)는 의복(4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센싱부와 제2 센싱부는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전기적 생체 신호를 획득 또는 수집할 수 있다.
절연부(303,411,412)는 복수의 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절연부는 제1 내지 3 절연부(303,411,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303,411,412)의 구조 및 기능은 상술한바 생략한다. 제1 절연부(303)는 전면 제1 절연부(303a)와 후면 제1 절연부(303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제1 절연부(303a)와 후면 제1 절연부(303b)는 서로 분리되어 이격될 수 있다. 전면 제1 절연부(303a)와 후면 제1 절연부(303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절연부(411)와 제3 절연부(41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절연부(303)는 제1 센싱부(300b,311)와 제2 센싱부(300c,321)를 전기적으로 단절(또는, 절연)시킬 수 있다. 제2 절연부(411)는 전면 제1 센싱부(300ba,311a)와 후면 제1 센싱부(300bb,311b)를 전기적으로 단절(또는, 절연)시킬 수 있다. 제3 절연부(412)는 전면 제2 센싱부(300ca,321a)와 후면 제2 센싱부(300cb, 321b)를 전기적으로 단절(또는, 절연)시킬 수 있다.
전면 제1 절연부(303a)는 전면우측 몸통부(300ba)와 전면좌측 몸통부(300ca)를 전기적으로 단절(또는, 절연)시킬 수 있다. 후면 제1 절연부(303b)는 후면우측 몸통부(300bb)와 후면좌측 몸통부(300cb)를 전기적으로 단절(또는, 절연)시킬 수 있다. 전면 제1 절연부(303a)는 전면우측 몸통부(300ba)와 전면좌측 몸통부(300ca)를 연결할 수 있다. 후면 제1 절연부(303b)는 후면우측 몸통부(300bb)와 후면좌측 몸통부(300cb)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절연부(411)는 오른팔전면 슬리브(311a)와 오른팔후면 슬리브(311b)를 절연되게 연결할 수 있다. 제3 절연부(412)는 왼팔전면 슬리브(321a)와 왼팔후면 슬리브(321b)를 절연되게 연결할 수 있다. 제2 절연부(411)의 일부는 전면우측 몸통부(300ba)와 후면우측 몸통부(300bb)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착용자의 우측 승모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부(412)의 일부는 전면좌측 몸통부(300ca)와 후면좌측 몸통부(300cb)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착용자의 좌측 승모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센싱부는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센싱부는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는 오른팔 전면 연결 솔기부(312a)와, 오른팔 후면 연결 솔기부(312b)를 포함할 수 있다.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는 왼팔 전면 연결 솔기부(322a)와 왼팔 후면 연결 솔기부(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오른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312a)는 오른팔전면 슬리브(311a)와 전면우측 몸통부(300ba)를 연결할 수 있다. 오른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는 오른팔전면 슬리브의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와 전면우측 몸통부의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직교한 상태로 봉사를 이용하여 오른팔전면 슬리브와 전면우측 몸통부를 재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오른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312b)는 오른팔후면 슬리브(311b)와 후면우측 몸통부(300bb)를 연결할 수 있다. 오른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는 오른팔후면 슬리브의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와 후면우측 몸통부의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직교한 상태로 봉사를 이용하여 오른팔후면 슬리브와 후면우측 몸통부를 재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왼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322a)는 왼팔전면 슬리브(321a)와 전면좌측 몸통부(300ca)를 연결할 수 있다. 왼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는 왼팔전면 슬리브의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와 전면좌측 몸통부의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직교한 상태로 봉사를 이용하여 왼팔전면 슬리브와 전면좌측 몸통부를 재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왼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322b)는 왼팔후면 슬리브(322b)와 후면좌측 몸통부(300cb)를 연결할 수 있다. 왼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는 왼팔후면 슬리브의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와 후면좌측 몸통부의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직교한 상태로 봉사를 이용하여 왼팔후면 슬리브와 후면좌측 몸통부를 재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오른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312a)의 상단은 제2 절연부(411)에 연결될 수 있고, 오른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312b)의 상단은 제2 절연부(4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절연부(411)에 의하여 오른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312a)와 오른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312b)는 절연되게 분리되고 구획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절연부(411)는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를 오른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312a)와 오른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312b)로 분리 및 구획할 수 있다.
왼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322a)의 상단은 제3 절연부(412)에 연결될 수 있고, 왼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322b)의 상단은 제3 절연부(4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절연부(412)에 의하여 왼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322a)와 왼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322b)는 절연되게 분리되고 구획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3 절연부(412)는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를 왼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322a)와 왼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322b)로 분리 및 구획할 수 있다.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312)는 계측기 제1 연결부(413)와 계측기 제2 연결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왼쪽 팔 연결 솔기부(322)는 계측기 제3 연결부(415)와 계측기 제4 연결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기 제1 내지 4 연결부(413,414,415,416)는 금속제 단자에 해당될 수 있다. 계측기 제1 연결부(413)는 전면우측 몸통부(300ba)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오른팔전면 슬리브(311a)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오른쪽 삼각근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계측기 제2 연결부(414)는 후면우측 몸통부(300bb)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오른팔후면 슬리브(311b)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오른쪽 삼각근 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계측기 제3 연결부(415)는 전면좌측 몸통부(300ca)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왼팔전면 슬리브(321a)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왼쪽 삼각근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계측기 제4 연결부(416)는 후면우측 몸통부(300cb)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왼팔후면 슬리브(321b)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왼쪽 삼각근 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의복(400)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330)(또는, “계측기”)(또는, “심전도 계측기”)를 포함할 수 있고, 계측기의 연결단자는 계측기 제1 내지 4 연결부 중 적어도 둘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복은 착용자의 좌우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비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전후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비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할 때, 의복(300,300-1,400)은 제어부(1000)와 통신모듈(2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0)와 통신모듈(2000)은 계측기(330)(예: 본체(331))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계측기(330)에 포함되는 구성에 해당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계측기(330)는 제어부(1000)와 통신모듈(2000)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000)와 통신모듈(2000)은 계측기(330) 외부의 몸통부(300a) 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또는 저장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와 저장 장치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센싱부(301,3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센싱부(301,302)를 통해 획득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전기적 생체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통신모듈(2000)은 사용자 단말(500)과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통신모듈(2000)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500)과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통신모듈(2000)은 제어부(1000)와 신호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2000)은 사용자 단말(500)과 신호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통신모듈(2000)을 매개로 사용자 단말(500)과 신호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별도로 마련되는 입력부(예: 터치패드)와 출력부(예: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000)은 사용자 단말(500)과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000)는 센싱부(301,302)를 통해 획득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어부(1000)는 사용자 단말(500)이 센싱부(301,302)를 통해 획득되는 착용자의 심전도를 출력하도록 통신모듈(2000)을 매개로 사용자 단말(500)에 출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센싱부(301,302)를 통해 일정기간(예: 1주일) 동안 획득되는 착용자의 심전도(이하, 기준기간 심전도)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상기 일정기간이 지난 후 획득되는 착용자의 심전도를 기준기간 심전도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AI가 탑재되어 있을 수 있으며, 미리 학습된 알고리즘을 통해 AI가 탑재된 제어부(1000)는 기준기간 심전도와 현재 심전도를 비교하여 심장 질환(예: 부정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착용자가 심장 질환(예: 부정맥)을 가진 상태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500)이 구급대에 구급신호를 출력(output)하도록 통신모듈(2000)을 매개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000)에 의하여 착용자가 심장 질환(예: 부정맥)을 가진 상태로 판단될 때 사용자 단말(500)은 제어부(1000)의 명령에 의하여 구급대에 구급 신호 송신 및/또는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의복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200; 전도성 의류
300,300-1,400; 의류

Claims (8)

  1.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으로서,
    전도성 원단으로 구성되고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서 획득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원단은
    경사에 해당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와 위사에 해당되는 합성 고분자 원사가 직조되어 형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착용자의 우측 상반신을 커버하는 제1 센싱부; 및
    착용자의 좌측 상반신을 커버하는 제2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은
    상기 제1 센싱부와 상기 제2 센싱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싱부와 상기 제2 센싱부를 절연되게 연결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부는
    착용자의 오른팔을 커버하는 오른팔 슬리브; 및
    착용자의 우측 몸통을 커버하는 우측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착용자의 왼팔을 커버하는 왼팔 슬리브; 및
    착용자의 좌측 몸통을 커버하는 좌측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은
    상기 오른팔 슬리브를 구성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와 상기 우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가 직교된 상태에서 봉사를 이용하여 상기 오른팔 슬리브와 상기 우측 몸통부가 재봉됨으로써 형성되는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 및
    상기 왼팔 슬리브를 구성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와 상기 좌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가 직교된 상태에서 봉사를 이용하여 상기 왼팔 슬리브와 상기 좌측 몸통부가 재봉됨으로써 형성되는 왼쪽 팔 연결 솔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몸통부는, 착용자의 우측 상반신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우측 몸통부와, 착용자의 우측 상반신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우측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른팔 슬리브는, 착용자의 오른팔의 전면을 커버하는 오른팔전면 슬리브와, 착용자의 오른팔의 후면을 커버하는 오른팔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몸통부는, 착용자의 좌측 상반신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좌측 몸통부와, 착용자의 좌측 상반신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좌측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팔 슬리브는, 착용자의 왼팔의 전면을 커버하는 왼팔전면 슬리브와, 착용자의 왼팔의 후면을 커버하는 왼팔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부는 전면 제1 센싱부 및 후면 제1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제1 센싱부는,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 및 상기 오른팔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제1 센싱부는,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 및 상기 오른팔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전면 제2 센싱부 및 후면 제2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제2 센싱부는,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 및 상기 왼팔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제2 센싱부는,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 및 상기 왼팔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와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를 연결하되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전면 제1 절연부;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와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를 연결하되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후면 제1 절연부;
    상기 전면 제1 센싱부와 상기 후면 제1 센싱부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제2 절연부; 및
    상기 전면 제2 센싱부와 상기 후면 제2 센싱부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제3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제1 절연부와 상기 후면 제1 절연부는 서로 분리되어 이격되고,
    상기 제2 절연부의 일부는,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와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착용자의 우측 승모근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절연부의 나머지는, 상기 오른팔전면 슬리브와 상기 오른팔후면 슬리브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상기 제3 절연부의 일부는,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와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착용자의 좌측 승모근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절연부의 나머지는, 상기 왼팔전면 슬리브와 상기 왼팔후면 슬리브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상기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는
    상기 오른팔전면 슬리브와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를 연결하는 오른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 및
    상기 오른팔후면 슬리브와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를 연결하는 오른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팔 연결 솔기부는
    상기 왼팔전면 슬리브와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를 연결하는 왼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 및
    상기 왼팔후면 슬리브와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를 연결하는 왼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계측기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계측기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계측기 제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계측기 제4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른팔전면 슬리브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삼각근 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계측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른팔후면 슬리브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삼각근 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계측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왼팔전면 슬리브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왼쪽 삼각근 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계측기 제4 연결부는,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왼팔후면 슬리브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왼쪽 삼각근 후면 상에 배치되는 것인,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는 수신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것인,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은,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를 통해 획득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에 마련되는 것인,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소수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사가 형성하는 스티치는 봉제 길이 1cm당 5 내지 10스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생체 신호 의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사가 형성하는 스티치는 봉제 길이 1cm당 6 내지 8스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생체 신호 의복.
  7.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에 있어서,
    전도성 원단으로 구성되고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서 획득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원단은
    경사에 해당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와 위사에 해당되는 합성 고분자 원사가 직조되어 형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착용자의 우측 상반신을 커버하는 제1 센싱부; 및
    착용자의 좌측 상반신을 커버하는 제2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은
    상기 제1 센싱부와 상기 제2 센싱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싱부와 상기 제2 센싱부를 절연되게 연결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부는
    착용자의 오른팔을 커버하는 오른팔 슬리브; 및
    착용자의 우측 몸통을 커버하는 우측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착용자의 왼팔을 커버하는 왼팔 슬리브; 및
    착용자의 좌측 몸통을 커버하는 좌측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은
    상기 오른팔 슬리브를 구성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와 상기 우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가 직교된 상태에서 봉사를 이용하여 상기 오른팔 슬리브와 상기 우측 몸통부가 재봉됨으로써 형성되는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 및
    상기 왼팔 슬리브를 구성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와 상기 좌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가 직교된 상태에서 봉사를 이용하여 상기 왼팔 슬리브와 상기 좌측 몸통부가 재봉됨으로써 형성되는 왼쪽 팔 연결 솔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몸통부는, 착용자의 우측 상반신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우측 몸통부와, 착용자의 우측 상반신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우측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른팔 슬리브는, 착용자의 오른팔의 전면을 커버하는 오른팔전면 슬리브와, 착용자의 오른팔의 후면을 커버하는 오른팔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몸통부는, 착용자의 좌측 상반신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좌측 몸통부와, 착용자의 좌측 상반신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좌측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팔 슬리브는, 착용자의 왼팔의 전면을 커버하는 왼팔전면 슬리브와, 착용자의 왼팔의 후면을 커버하는 왼팔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부는 전면 제1 센싱부 및 후면 제1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제1 센싱부는,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 및 상기 오른팔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제1 센싱부는,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 및 상기 오른팔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전면 제2 센싱부 및 후면 제2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제2 센싱부는,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 및 상기 왼팔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제2 센싱부는,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 및 상기 왼팔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와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를 연결하되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전면 제1 절연부;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와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를 연결하되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후면 제1 절연부;
    상기 전면 제1 센싱부와 상기 후면 제1 센싱부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제2 절연부; 및
    상기 전면 제2 센싱부와 상기 후면 제2 센싱부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제3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제1 절연부와 상기 후면 제1 절연부는 서로 분리되어 이격되고,
    상기 제2 절연부의 일부는,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와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착용자의 우측 승모근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절연부의 나머지는, 상기 오른팔전면 슬리브와 상기 오른팔후면 슬리브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상기 제3 절연부의 일부는,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와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착용자의 좌측 승모근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절연부의 나머지는, 상기 왼팔전면 슬리브와 상기 왼팔후면 슬리브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상기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는
    상기 오른팔전면 슬리브와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를 연결하는 오른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 및
    상기 오른팔후면 슬리브와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를 연결하는 오른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팔 연결 솔기부는
    상기 왼팔전면 슬리브와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를 연결하는 왼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 및
    상기 왼팔후면 슬리브와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를 연결하는 왼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계측기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계측기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계측기 제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계측기 제4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른팔전면 슬리브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삼각근 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계측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른팔후면 슬리브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삼각근 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계측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왼팔전면 슬리브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왼쪽 삼각근 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계측기 제4 연결부는,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왼팔후면 슬리브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왼쪽 삼각근 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봉사가 형성하는 스티치는 봉제 길이 1cm당 6 내지 8스티치인 것인,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8. 착용자의 전기적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에 있어서,
    전도성 원단으로 구성되고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서 획득되는 전기적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원단은
    경사에 해당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와 위사에 해당되는 합성 고분자 원사가 직조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섬유 그래핀 원사는
    폴리에스테르 칩을 270℃로 가열하여 용융한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핀 분말 8 중량부, 블랙다이아몬드 분말 6.4 중량부, 흑연 분말 3.2 중량부, 소포제인 올레일알코올 1 중량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 1 중량부, 및 대전 방지제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 중량부를 혼합하고, 240RPM의 속도로 8분간 교반한 뒤, 20분 동안 초음파 분산시켜 방사액을 제조하고, 이를 방사 및 권취하여 두께 100㎛로 뽑아낸 것이고,
    상기 센싱부는
    착용자의 우측 상반신을 커버하는 제1 센싱부; 및
    착용자의 좌측 상반신을 커버하는 제2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은
    상기 제1 센싱부와 상기 제2 센싱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싱부와 상기 제2 센싱부를 절연되게 연결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부는
    착용자의 오른팔을 커버하는 오른팔 슬리브; 및
    착용자의 우측 몸통을 커버하는 우측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착용자의 왼팔을 커버하는 왼팔 슬리브; 및
    착용자의 좌측 몸통을 커버하는 좌측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은
    상기 오른팔 슬리브를 구성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와 상기 우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가 직교된 상태에서 봉사를 이용하여 상기 오른팔 슬리브와 상기 우측 몸통부가 재봉됨으로써 형성되는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 및
    상기 왼팔 슬리브를 구성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와 상기 좌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장섬유 그래핀 원사가 직교된 상태에서 봉사를 이용하여 상기 왼팔 슬리브와 상기 좌측 몸통부가 재봉됨으로써 형성되는 왼쪽 팔 연결 솔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몸통부는, 착용자의 우측 상반신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우측 몸통부와, 착용자의 우측 상반신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우측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른팔 슬리브는, 착용자의 오른팔의 전면을 커버하는 오른팔전면 슬리브와, 착용자의 오른팔의 후면을 커버하는 오른팔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몸통부는, 착용자의 좌측 상반신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좌측 몸통부와, 착용자의 좌측 상반신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좌측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팔 슬리브는, 착용자의 왼팔의 전면을 커버하는 왼팔전면 슬리브와, 착용자의 왼팔의 후면을 커버하는 왼팔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부는 전면 제1 센싱부 및 후면 제1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제1 센싱부는,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 및 상기 오른팔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제1 센싱부는,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 및 상기 오른팔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전면 제2 센싱부 및 후면 제2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제2 센싱부는,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 및 상기 왼팔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제2 센싱부는,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 및 상기 왼팔후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와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를 연결하되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전면 제1 절연부;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와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를 연결하되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후면 제1 절연부;
    상기 전면 제1 센싱부와 상기 후면 제1 센싱부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제2 절연부; 및
    상기 전면 제2 센싱부와 상기 후면 제2 센싱부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제3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제1 절연부와 상기 후면 제1 절연부는 서로 분리되어 이격되고,
    상기 제2 절연부의 일부는,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와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착용자의 우측 승모근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절연부의 나머지는, 상기 오른팔전면 슬리브와 상기 오른팔후면 슬리브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상기 제3 절연부의 일부는,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와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착용자의 좌측 승모근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절연부의 나머지는, 상기 왼팔전면 슬리브와 상기 왼팔후면 슬리브를 절연되게 연결하고,
    상기 오른쪽 팔 연결 솔기부는
    상기 오른팔전면 슬리브와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를 연결하는 오른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 및
    상기 오른팔후면 슬리브와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를 연결하는 오른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팔 연결 솔기부는
    상기 왼팔전면 슬리브와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를 연결하는 왼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 및
    상기 왼팔후면 슬리브와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를 연결하는 왼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계측기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계측기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팔 전면 연결 솔기부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계측기 제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팔 후면 연결 솔기부는
    상기 전기적 생체 신호 계측기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계측기 제4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전면우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른팔전면 슬리브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삼각근 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계측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후면우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른팔후면 슬리브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오른쪽 삼각근 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계측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전면좌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왼팔전면 슬리브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왼쪽 삼각근 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계측기 제4 연결부는, 상기 후면좌측 몸통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왼팔후면 슬리브를 구성하는 전도성 원단의 그래핀 원사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왼쪽 삼각근 후면 상에 배치되는 것인,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KR1020220039459A 2022-03-28 2022-03-30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KR102451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249A KR20220139832A (ko) 2022-03-28 2022-09-28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KR1020220123250A KR20220139833A (ko) 2022-03-28 2022-09-28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KR1020220123248A KR102643345B1 (ko) 2022-03-28 2022-09-28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795 2022-03-28
KR20220037795 2022-03-28
KR20220038870 2022-03-29
KR1020220038870 2022-03-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250A Division KR20220139833A (ko) 2022-03-28 2022-09-28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KR1020220123248A Division KR102643345B1 (ko) 2022-03-28 2022-09-28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KR1020220123249A Division KR20220139832A (ko) 2022-03-28 2022-09-28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706B1 true KR102451706B1 (ko) 2022-10-07

Family

ID=8359607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459A KR102451706B1 (ko) 2022-03-28 2022-03-30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KR1020220123249A KR20220139832A (ko) 2022-03-28 2022-09-28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KR1020220123248A KR102643345B1 (ko) 2022-03-28 2022-09-28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KR1020220123250A KR20220139833A (ko) 2022-03-28 2022-09-28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249A KR20220139832A (ko) 2022-03-28 2022-09-28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KR1020220123248A KR102643345B1 (ko) 2022-03-28 2022-09-28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KR1020220123250A KR20220139833A (ko) 2022-03-28 2022-09-28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517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153A (ko) * 2016-01-22 2017-08-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동작 시의 형태 변형을 최소화하는 스마트 의복 및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KR20190057812A (ko) * 2017-11-20 2019-05-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자섬유 온도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의류
KR102168767B1 (ko) * 2020-07-07 2020-10-22 주식회사 모아 그래핀이 포함된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그래핀이 포함된 원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153A (ko) * 2016-01-22 2017-08-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동작 시의 형태 변형을 최소화하는 스마트 의복 및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KR20190057812A (ko) * 2017-11-20 2019-05-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자섬유 온도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의류
KR102168767B1 (ko) * 2020-07-07 2020-10-22 주식회사 모아 그래핀이 포함된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그래핀이 포함된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831A (ko) 2022-10-17
KR20220139833A (ko) 2022-10-17
KR20220139832A (ko) 2022-10-17
KR102643345B1 (ko)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ng et al. Textile electrodes of jacquard woven fabrics for biosignal measurement
Kannaia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embroidered textile electrodes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electrocardiogram signals
Mecnika et al. Technical embroidery for smart textiles
JP6407881B2 (ja) フロートループ型織物電極及びその編成方法
JP2017512102A (ja) 弾性導電性ストライプ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100324405A1 (en) Electrode for acquiring physiological signals of a recipient
CN205512398U (zh) 一种人体生物电监测文胸
JPH11128187A (ja) 心電図用電極、心電図測定用着衣及び心電図測定システム
US20080208029A1 (en) Garment Comprising At Least One Dry Electrode
JP2017125269A (ja) スマートヘルメット
Xiao et al. A comfortability and signal quality study of conductive weave electrodes in long-term collection of human electrocardiographs
Khan et al. Roll to roll triboelectric fiber manufacturing for smart-textile self-powered sensor and harvester
Le et al. Electronic textiles for electrocardiogram monitoring: A review on the structure–property and performance evaluation from fiber to fabric
CN206120312U (zh) 一种人体生物电监测服装
KR102451706B1 (ko) 장섬유 그래핀 원사를 포함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생체 신호 측정 의복
US20220313134A1 (en) Biosensing garment and method
WO2021009490A1 (en) Biosensing garment and method
CN106137179A (zh) 生物信息采集装置及智能服及智能手套
GB2596047A (en)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06102642U (zh) 生物电信号监测装置及监测服和监测手套
KR101464458B1 (ko) 생체신호 측정용 튜브형 직물센서
TW200927070A (en) Detecting apparatus and split-type wearable apparatus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function
Yi et al. Development and usability test of baby vest prototypes with a body temperature sensing function
Kumar et al. Textile electrodes for ECG and EEG monitoring
Jones The application of temperature sensors into fabric subst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