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421B1 - 가정용 코팅장갑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정용 코팅장갑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421B1
KR102451421B1 KR1020210079347A KR20210079347A KR102451421B1 KR 102451421 B1 KR102451421 B1 KR 102451421B1 KR 1020210079347 A KR1020210079347 A KR 1020210079347A KR 20210079347 A KR20210079347 A KR 20210079347A KR 102451421 B1 KR102451421 B1 KR 102451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gloves
mold
air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우
Original Assignee
김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우 filed Critical 김민우
Priority to KR102021007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코팅장갑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코팅장갑은 섬유재질의 실로 직조하여 내피장갑을 준비한 다음, 수용성 폴리우레아를 교반한 후, 수용성 폴리우레아에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폼을 형성한 다음, 에어폼이 형성된 수용성 폴리우레아를 디핑조에 공급한 후, 내피장갑을 몰드 외주면에 끼워서 결합한 다음, 내피장갑을 수용성 폴리우레아에 손목 부분까지 함침하여 외피를 형성하도록 디핑한 후, 몰드를 건조실로 운반하여 건조하는 과정에서 몰드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여 몰드에 형성된 에어 분무공을 통해 에어를 분무하여 외피와 내피장갑을 건조한 다음, 몰드에서 건조된 내피장갑을 분리하여 코팅장갑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코팅장갑 착용시 내피장갑에 의해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함은 물론 종래의 코팅장갑을 제조방법처럼 담수세척 및 건조과정이 생략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산업폐수를 방출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정용 코팅장갑 제조방법{A PAIR OF COATING GLOVES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 가정용 코팅장갑은 섬유재질의 실로 직조하여 내피장갑을 준비한 다음, 수용성 폴리우레아를 교반한 후, 수용성 폴리우레아에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폼을 형성한 다음, 에어폼이 형성된 수용성 폴리우레아를 디핑조에 공급한 후, 내피장갑을 몰드 외주면에 끼워서 결합한 다음, 내피장갑을 수용성 폴리우레아에 손목 부분까지 함침하여 외피를 형성하도록 디핑한 후, 몰드를 건조실로 운반하여 건조하는 과정에서 몰드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여 몰드에 형성된 에어 분무공을 통해 에어를 분무하여 외피와 내피장갑을 건조한 다음, 몰드에서 건조된 내피장갑을 분리하여 코팅장갑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코팅장갑을 착용시 내피장갑에 의해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함은 물론 종래의 코팅장갑을 제조하는 방법처럼 담수세척 및 건조과정이 생략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산업폐수를 방출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가정용 코팅장갑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장갑은 생고무나 라텍스로 제조되어 통기성이 없으므로 고무장갑을 장시간 끼고 사용하면 손에서 분비되는 땀이 장갑 내면을 적시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땀으로 인하여 습진이나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고무장갑을 끼고 찬물 또는 뜨거운 물을 사용할 경우 손에 그 한기와 열기가 그대로 전달되었는바, 장시간 사용시 동상이나 냉증, 화상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고무장갑은 장갑 전체가 생고무나 라텍스로 형성되므로인해, 그 탄성력으로 인하여 착용이 매우 불편하고, 장기간 착용시 내부의 땀으로 인해 잘 벗어지지도 않으며, 소매부분이 하측으로 자주 흘러내려 사용상 불편함 또한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고무장갑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종래기술들이 개시되었다.
먼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6834호에서는 통상의 라텍스 조성물에 나노화된 수산화알루미늄 및 은(Ag)을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항균력을 갖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시 발생하던 습진이나 가려움증 등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모두 항균성 및 통기성만을 개선하였을 뿐, 고무장갑의 보온성 및 사용성을 개선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무장갑중 일부는 겨울철 장기간 착용시 동상이나 냉증, 화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장갑 내부와 동일하게 내피를 형성하여 사용한다.
상기 고무장갑에 내피를 형성하기위해서는 원단을 손가락 모양으로 두장을 찍어서 재단한 후 원단의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내피를 형성한 다음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무장갑의 내주면에 접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무장갑 내부에 내피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고무장갑 내부 크기를 더 크게 형성함으로 인해 고무장갑 착용시 손과 내피 사이에 필요이상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착용감이 저하되고, 탄력성이 부족하며, 손가락을 구부렸다 펼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 인해 고무장갑과 내피가 쉽게 분리되어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무장갑의 제조공정중에는 잔여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기위하여 수시로 세척공정을 진행하여 물의 사용량이 많기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오염된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유발하기때문에 이를 처리하는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니트릴(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장갑을 주방에서 설거지할때 음식을 조리할때 많이 일회용 장갑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니트릴 장갑은 천연 라텍스 원료를 주로 사용하여 착용시 손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특징이 있어 한번 착용후 벗으면 니트릴 장갑 내부에 땀이 차면 습기가 차서 습진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장시간 착용이 어려우며, 벗을 경우 니트릴 장갑 자체가 말려, 다시 손가락을 삽입하기에는 재사용에 어려움이 있어 일회용으로만 사용하고 폐기하여 경제적으로 부담을 가중시킨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13020호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및 실리콘 수지가 코팅된 공업용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이 선출원되었다.
상기 선출원된 특허 출원번호 제 2018 - 0113020 호의 공업용 장갑은 장갑;
상기 장갑 상에 형성되고,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함하는 제1 도막; 및 상기 제1 도막상에 형성되고,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제2 도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도막은,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장갑의 내피에 부분적으로 함침되되, 상기 장갑의 내면에는 침투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내막층; 및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의 잔부가 상기 장갑의 외면에 형성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막의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는 점도가 100cps 내지 300cps의 범위를 갖고, 상기 제2 도막의 상기 실리콘 수지는 점도가 6,000cps 내지 15,000cps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선출원된 특허의 공업용 장갑은 장갑 외주면 일부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코팅하고, 장갑 내부에 폴리우레아 수지가 장갑 내면에 침투하지못하도록 도막을 형성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공업용 장갑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금형 몰드에 장갑을 끼우고, 폴리우레아 수지가 담수된 디핑조에 금형 몰드에 손바닥이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수평하게 위치한 다음 손바닥과 손가락 상부 일부가 코팅되도록 딩핑한다.
그러나 상기 공업용 장갑은 장갑은 내주면에 내막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공업용 장갑 또는 산업용 장갑 제조업체에서는 인체에 무해하도록 위세척 및 건조 공정이 추가됨으로 인해 산업용장갑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6834호 "통기성 및 항균력을 갖는 기능성 라텍스 고무장갑 및 그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13020호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및 실리콘 수지가 코팅된 공업용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 코팅장갑은 내피장갑의 외주면 전체에 수용성 폴리우레아를 디핑하여 코팅함으로 인해 세척공정을 생략하여 환경친화적이며, 코팅장갑 착용시 내피장갑에 의해 착용감이 우수하며, 일회용 장갑에 적용이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 코팅장갑 제조방법에 있어서,
섬유재질의 실로 직조하여 내피장갑을 준비하는 단계; 와
교반조에서 수용성 폴리우레아를 20℃ ∼ 40℃ 범위 안에서 온도를 유지하여 교반하는 단계; 와
상기 교반조에 담수된 수용성 폴리우레아에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폼을 형성하는 단계; 와
상기 내피장갑을 손모양으로 형성하되 손바닥 및 손가락, 손등에 에어 분무공이 배열된 몰드의 외주면으로 삽입하는 단계; 와
상기 교반조에서 수용성 폴리우레아를 디핑조로 공급하는 단계; 와
상기 내피장갑이 삽입된 몰드를 디핑조에 삽입 손목부분까지 함침하여 내피장갑 전체에 외피를 형성하도록 디핑하는 단계; 와
상기 몰드를 교반조에서 꺼내어 건조실로 운반하여 건조하는 단계; 와
상기 건조하는 단계에서 건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몰드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 분무공을 통해 내피장갑과 외피로 에어를 분무하는 단계; 와
상기 건조된 내피를 몰드에서 분리하면 코팅장갑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코팅장갑 제조방법은 내피장갑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수용성 폴리우레아를 디핑하여 외피를 형성함으로 인해 종래와 같이 제조공정시 세척공정을 생략하여 물을 사용하지않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제조공정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사로 직조된 내피장갑에 외피를 형성한 코팅장갑을 제조함으로 인해 이를 착용시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여, 벗고 착용하는데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코팅장갑은 내피장갑에 의해 세탁 및 건조가 용이하여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코팅장갑은 겨울철 장기간 착용시 동상이나 냉증이 발생하지않도록 보온효과도 가지고 있다.
삭제
본 발명은 내피장갑의 직조간격을 10G, 13G, 15G, 18G, 21G으로 달리할 수 있으며, 내피장갑의 재질은 항균기능을 갖도록 구리사, 카본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피장갑의 재질을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되어 환경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코팅장갑 제조방법을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코팅장갑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코팅장갑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코팅장갑 몰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코팅장갑 몰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코팅장갑 몰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코팅장갑 제조방법을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 가정용 코팅장갑의 제조방법은 내피장갑의 표면 전체를 포함하여 손목부위까지 외피를 코팅하여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코팅장갑은 우선 섬유재질의 실로 직조하여 내피장갑(2)을 준비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와 같이 섬유재질의 실은 천연 또는 화학재질을 사용하며, 실의 두께 및 게이지 수에 따라 10G, 13G, 15G, 18G, 21G로 조절하여 직조한다.
상기 직조된 내피장갑은 사용자가 손에 착용시 섬유재질의 장갑을 착용한 것과 같이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교반조에서 수용성 폴리우레아를 20℃ ∼ 40℃ 범위안의 온도를 유지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교반조에서 교반되는 수용성 폴리우레아의 온도가 20℃ 이하인 경우에는 수용성 폴리우레아가 점점 굳어지고, 40℃ 이상인 경우에는 수용성 폴리우레아가 묽어져 디핑이 용이하지않다
상기 교반조에 담수된 수용성 폴리우레아에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폼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아에 에어폼을 형성하면 생활방수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에어폼을 형성하지않으면 100% 방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용성 폴리우레아에 에어폼을 형성하거나 에어폼을 형성하지않은 공정을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교반조에서 에어폼이 형성된 수용성 폴리우레아를 디핑조로 공급한다.
상기 내피장갑(2)을 손모양으로 형성하고, 손바닥 및 손가락, 손등에 에어 분무공(5)이 배열된 몰드(4)의 외주면으로 삽입한다.
상기 몰드의 외주면으로 삽입된 내피장갑은 몰드의 길이에 맞춰서 20 ∼ 40㎝를 기준으로 내피장갑의 손목부위는 몰드의 손목부위까지 위치하도록하여 내피장갑의 손목까지 디핑하도록 한다.
상기 내피장갑(2)이 삽입된 몰드(4)를 디핑조에 삽입하여 내피장갑의 손목부분까지 수용성 폴리우레아가 코팅되도록 함침하여 내피장갑(2) 전체에 외피(3)를 형성하도록 디핑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와 같이 몰드를 수용성 폴리우레아에 함침하여 디핑하면 내피장갑의 손목부위까지 코팅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몰드(4)를 교반조에서 꺼내어 건조실로 운반하여 외피(3)가 디핑된 내피장갑(2)을 건조한다.
상기와 같이 건조실에 건조할때 건조시간을 단축하기위하여 몰드에서 개방된 손목부분을 통해 에어를 몰드 내부로 공급하면, 몰드 내부가 에어로 팽창하면 에어 분무공(5)을 통해 내피장갑(2)과 외피(3)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에어를 분무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와 같이 몰드(4) 내부에서 내피장갑(2) 방향으로 균일하게 에어를 분무하면 내피장갑(2)과 디핑된 외피(3)로 분무되는 공기에 의해 빠른 시간안에 건조되어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몰드(4)에 에어 분무공(5)을 성형할 수 있는 이유는 몰드(4)에 내피장갑(2)이 삽입되어 디핑시 몰드(4) 내부로 수용성 폴리우레아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때문이다.
즉, 본 발명은 건조실에서 몰드 외부와 내부로 더운 공기를 동시에 공급함으로 인해 외피와 내피장갑을 동시에 건조시켜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내피장갑(2)를 몰드(4)에서 분리하면 코팅장갑(1)이 완성되고, 불량여부를 검수하고, 포장하면 최종 공정이 완료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 1은 내피장갑(2)의 재질은 생분해성 섬유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분해성 섬유사를 사용하여 내피장갑(2)을 직조하면 코팅장갑(1) 폐기시 쉽게 분해되도록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 2는 외피(3)의 재질은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 다.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도 수용성 폴리우레아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코팅장갑 제조방법은 일회용 장갑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내주면에 내피장갑(2)이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해 착용하고 벗는게 용이하여 사용자가 구입후 여러번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내피장갑(2)에 항균성 기능을 갖도록 천염 섬유사, 인조 섬유사, 극세사 나일론, 스판덱, 구리사 또는 카본사를 혼용하여 직조함으로 인해 항균효과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수용성 폴리우레아에 항균액을 첨가하여 디핑함으로 인해 항균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코팅장갑 제조방법은 내피장갑(2)에 디핑 공정을 두번하면 코팅이 두번됨으로 인해 외피의 두께가 두꺼워져 내구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디핑공정의 횟수에 따라 외피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코팅장갑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코팅장갑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코팅장갑(1)은 섬유사로 직조된 내피장갑(2)과, 상기 내피장갑(2)의 외주면 전체에는 손목부위까지 에어폼이 형성된 수용성 폴리우레아가 코팅되어 코팅장갑으로 사용시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도 4은 본 발명 코팅장갑 몰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코팅장갑 몰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 몰드(4)는 손모양으로 형성하고, 손바닥 및 손가락, 손등에는 에어 분무공(5)이 균일하게 배열되어 에어를 분무한다.
상기 에어 분무공(5)은 건조실 내부의 에어가 몰드(4) 내부로 유입되면 몰드(4) 내부로 공급된 에어가 팽창하여 몰드를 가열시키고, 팽창된 에어는 자연스럽게 에어 분무공(5)을 통해 분무되어 내피장갑(2)부터 건조시킨다.
도 6은 본 발명 코팅장갑 몰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진으로 에어 분무공(5)이 없는 코팅장갑용 몰드(4)를 사용할 수 있다.
삭제
1: 코팅장갑 2: 내피장갑
3: 외피 4: 몰드
5: 에어 분무공

Claims (9)

  1. 가정용 코팅장갑(1) 제조방법에 있어서,
    섬유재질의 실로 직조하여 내피장갑(2)을 준비하는 단계; 와
    교반조에서 수용성 폴리우레아를 20℃ ∼ 40℃ 범위안의 온도를 유지하여 교반하는 단계; 와
    상기 교반조에 담수된 수용성 폴리우레아에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폼을 형성하는 단계; 와
    상기 교반조에서 수용성 폴리우레아를 디핑조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내피장갑(2)을 손모양으로 형성하고, 손바닥 및 손가락, 손등에 에어 분무공(5)이 배열된 몰드(4)의 외주면으로 삽입하는 단계; 와
    상기 내피장갑(2)이 삽입된 몰드(4)를 디핑조에 삽입 손목부분까지 함침하여 내피장갑(2) 전체에 외피(3)를 형성하도록 디핑하는 단계; 와
    상기 몰드(4)를 교반조에서 꺼내어 건조실로 운반하여 외피(3)가 디핑된 내피장갑(2)을 건조하는 단계; 와
    상기 건조 단계에서 건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몰드에서 개방된 손목부분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 분무공(5)을 통해 내피장갑(2)과 외피(3)방향으로 에어를 분무하는 단계; 와
    상기 건조된 내피장갑(2)를 몰드(4)에서 분리하면 코팅장갑(1)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장갑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079347A 2021-06-18 2021-06-18 가정용 코팅장갑 제조방법 KR102451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347A KR102451421B1 (ko) 2021-06-18 2021-06-18 가정용 코팅장갑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347A KR102451421B1 (ko) 2021-06-18 2021-06-18 가정용 코팅장갑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421B1 true KR102451421B1 (ko) 2022-11-16

Family

ID=8423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347A KR102451421B1 (ko) 2021-06-18 2021-06-18 가정용 코팅장갑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42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060Y1 (ko) * 2007-04-28 2007-11-02 김주엽 살균기능을 갖는 고무장갑 건조장치
KR20080033424A (ko) * 2005-08-26 2008-04-16 골든딥 센드리안 버하드 수용성 폴리우레탄 코팅된 글러브 라이너의 제조 방법 및제조품
KR20080046834A (ko) 2006-11-23 2008-05-28 이기수 통기성 및 항균력을 갖는 기능성 라텍스 고무장갑 및 그제조방법
KR101531553B1 (ko) * 2013-10-23 2015-06-29 주식회사 아데나글러브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장갑 코팅방법
KR101843003B1 (ko) * 2016-11-25 2018-03-29 주식회사 클루라이프제약 친환경 장갑 및 친환경 장갑 코팅방법
KR20180113020A (ko) 2017-04-05 2018-10-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의 사각영역 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101936882B1 (ko) * 2018-11-02 2019-04-09 임정희 환경친화적 직물타입 장갑을 제공하기 위한 폴리우레아 코팅방법
KR102052460B1 (ko) * 2018-09-20 2020-01-08 주식회사 터치그린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및 실리콘 수지가 코팅된 공업용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3424A (ko) * 2005-08-26 2008-04-16 골든딥 센드리안 버하드 수용성 폴리우레탄 코팅된 글러브 라이너의 제조 방법 및제조품
JP2009506227A (ja) * 2005-08-26 2009-02-12 ゴールデンディップ エスディーエヌ ビーエイチディー 水系ポリウレタンでコーティングされたグローブ・ライナー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品
KR20080046834A (ko) 2006-11-23 2008-05-28 이기수 통기성 및 항균력을 갖는 기능성 라텍스 고무장갑 및 그제조방법
KR200437060Y1 (ko) * 2007-04-28 2007-11-02 김주엽 살균기능을 갖는 고무장갑 건조장치
KR101531553B1 (ko) * 2013-10-23 2015-06-29 주식회사 아데나글러브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장갑 코팅방법
KR101843003B1 (ko) * 2016-11-25 2018-03-29 주식회사 클루라이프제약 친환경 장갑 및 친환경 장갑 코팅방법
KR20180113020A (ko) 2017-04-05 2018-10-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의 사각영역 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102052460B1 (ko) * 2018-09-20 2020-01-08 주식회사 터치그린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및 실리콘 수지가 코팅된 공업용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6882B1 (ko) * 2018-11-02 2019-04-09 임정희 환경친화적 직물타입 장갑을 제공하기 위한 폴리우레아 코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0330C (en) Polymer composite fibrous coating on dipped rubber articles and method
EP1638423B1 (en) Method of making a textured surface coating for gloves
EP2866597B1 (en) Abrasion and cut resistant coating and coated glove
RU2438535C2 (ru) Устойчивая к разрезам перчатка (варианты)
US7814571B2 (en) Lightweight thin flexible polymer coated glove and a method therefor
CN206197147U (zh) 具有抓握特征部的支撑手套
NO327551B1 (no) Fuktgjenholdende hansker samt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av samme
US20120240308A1 (en) Dyed, coated glov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451421B1 (ko) 가정용 코팅장갑 제조방법
KR102602080B1 (ko) 가정용 고무장갑 제조방법
CN101325886B (zh) 抗切割的手套和服装
JP7440427B2 (ja) 衣料品材料の製造方法
CN102613720A (zh) 一种新型防皱西服
CN1287818A (zh) 一种乳胶衬里手套及其制作方法
TWI634978B (zh) 防水透濕多功能聚氨酯複合套
WO2011005071A2 (en) Decorative and protective composite gardening and general purpose glove
KR20160001878A (ko) 체지방 분해 기능성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TWM552424U (zh) 防水透濕多功能聚氨酯複合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