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723B1 - safety ligh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afety ligh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723B1
KR102450723B1 KR1020220045365A KR20220045365A KR102450723B1 KR 102450723 B1 KR102450723 B1 KR 102450723B1 KR 1020220045365 A KR1020220045365 A KR 1020220045365A KR 20220045365 A KR20220045365 A KR 20220045365A KR 102450723 B1 KR102450723 B1 KR 102450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unit
housing
magne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7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5/00Whis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afety lighting apparatus. The safety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housing; a voice output unit located within the housing and outputting a warning sound; a first light source unit positioned within the housing and emitting a light in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light source unit positioned within the housing and emitting the light toward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third light source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emitting the light in the thir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nd a mounting assem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allowing the housing to be fixed to a user.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safety lighting apparatus having not only a lighting function but also an audio output function.

Description

안전 조명 장치{safety lighting apparatus}safety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기능 뿐만아니라 경고음 출력 기능을 갖는 안전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ligh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lighting device having a lighting function as well as a warning sound output function.

개인용 조명 장치는 개인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도로변을 걷고 있는 안전 요원(예를 들어, 법 집행관, 소방관, 의료 요원, 군 요원 및 보안 요원)은 그 현장에서 닥치는 교통 상황을 경고하기 위해 조명 장치를 소지할 수 있다. Personal lighting devices are often required for personal safety. For example, security personnel walking along the roadside (eg, law enforcement officers, firefighters, medical personnel, military personnel and security personnel) may carry lighting devices to warn of impending traffic conditions at the site.

건설, 운송, 전력, 공항, 교통 정리 및 견인과 같은 다른 산업 분야의 요원은 어둠 속에서 더 잘 보이게 하도록 조명 장치를 소지 및 착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사냥, 낚시, 보트 타기, 캠핑, 암벽 등반, 및 하이킹과 같은 야외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은 더 잘 보이게 하도록 조명 장치를 소지 및 착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gents in other industries such as construction, transportation, power, airports, traffic control and towing are known to possess and wear lighting devices to make them more visible in the dark. In addition, individuals who engage in outdoor activities such as hunting, fishing, boating, camping, rock climbing, and hiking are known to possess and wear lighting devices to enhance visibility.

하지만, 이러한 조명 장치는 자신의 위치를 외부로 표시하거나 어둠 속에서 잘보이게 하는 조명 기능한 수행하고 있어서, 조명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조명 장치에 대해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인 추세이다. However, since such a lighting device performs a lighting function to display its location to the outside or to make it visible in the dark,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lighting function is in progress.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51628호(2020.05.1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51628 (2020.05.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명 기능 뿐만아니라 경고음 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기능까지 가진 안전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lighting device having not only a lighting function but also an audio output function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and the lik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조명 어셈블리와 장착 어셈블리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만아니라, 조명 어셈블리가 장착 어셈블리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 안전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lighting device that not only facilitates coupling between a lighting assembly and a mounting assembly, but also allows the lighting assembly to freely rotate on the mounting assembl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조명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유닛;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제1 방향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 유닛;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 유닛;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과 상이한 제3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3 광원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이 사용자에게 고정되도록 하는 장착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A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n audio output unit located in the housing and outputting a warning sound; a first light source unit positioned in the housing and irradiating light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light source unit located in the housing and irradiating ligh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third light source unit located in the housing and irradiating light in a thir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a mounting assembly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allows the housing to be fixed to the user.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명 기능 뿐만아니라 경고음 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기능을 제공하여 외부로부터의 위협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tecting the user from threats from the outside by providing a sound output function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as well as a lighting function.

조명 어셈블리와 장착 어셈블리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만아니라, 조명 어셈블리가 장착 어셈블리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결합 편의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It not only facilitates the coupling between the lighting assembly and the mounting assembly, but also allows the lighting assembly to be freely rotatable on the mounting assembly, thereby improving coupling convenience and ease of use by a us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좌우측면도들이다.
도 6은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의 조명 어셈블리와 장착 어셈블리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리된 조명 어셈블리와 장착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를 사용자의 어깨에 장착한 상태에서 제3 광원 유닛을 동작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를 사용자의 어께의 장착한 상태에서 제1 광원 유닛과 제2 광원 유닛을 동작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조명 장치의 조명 어셈블리와 장착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
FIG.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
4 and 5 are left and right side views for explaining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7 .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
FIG. 10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
11 is a view in which the lighting assembly and the mounting assembly of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are separated.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ed lighting assembly and the mounting assembly of FIG. 11 .
1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light source unit is operated while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is mounted on the user's shoulder.
1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r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is mounted on a user's shoulder.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assembly and a mounting assembly of a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a schematic nature, and the shapes of the illustrate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shapes of regions of the device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n a referenced elem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좌우측면도들이다. 도 6은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의 조명 어셈블리와 장착 어셈블리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리된 조명 어셈블리와 장착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를 사용자의 어께에 장착한 상태에서 제3 광원 유닛을 동작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안전 조명 장치를 사용자의 어께에 장착한 상태에서 제1 광원 유닛과 제2 광원 유닛을 동작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 FIG.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 4 and 5 are left and right side views for explaining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7 .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 FIG. 10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 11 is a view in which the lighting assembly and the mounting assembly of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are separated.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ed lighting assembly and the mounting assembly of FIG. 11 . 1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light source unit is operated while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is mounted on a user's shoulder. 1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r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1 is mounted on a user's shoulder.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조명 장치(1)는 조명 기능과 경고음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조명 장치(1)는 사용자의 옷 등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안전 조명 장치(1)는 조명 어셈블리(10) 및 장착 어셈블리(5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14 , the safety ligh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lighting function and a warning sound output function. In addition, the safety lighting device 1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ser's clothes. The safety lighting device 1 may include a lighting assembly 10 and a mounting assembly 50 .

조명 어셈블리(10)는 조명 기능과 경고음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10)는 하우징(100), 음성 출력 유닛(300), 제1 광원 유닛(210), 제2 광원 유닛(220), 제3 광원 유닛(230), 스위치 모듈(400), 컨트롤러(350), 및 배터리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ing assembly 10 may perform a lighting function and a warning sound output function. The lighting assembly 10 includes a housing 100 , an audio output unit 300 , a first light source unit 210 , a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 a third light source unit 230 , a switch module 400 , and a controller ( 350 ), and a battery unit 700 .

제1 광원 유닛(210)은 하우징(100) 내에 위치되고, 제1 방향(D1)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광원 유닛(220)은 하우징(100) 내에 위치되고, 제2 방향(D2)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3 광원 유닛(230)은 하우징(100) 내에 위치되고, 제3 방향(D3)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광원 유닛(230)들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may be positioned in the housing 100 and radiate light in the first direction D1 .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may be positioned in the housing 100 and radiate light in the second direction D2 .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may be positioned in the housing 100 and radiate light in the third direction D3 . Details of the first to third light source units 230 will be described later.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에는 음성 출력 유닛(300), 제1 광원 유닛(210), 제2 광원 유닛(22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전자 부품 등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form a space therein. The audio output unit 300 ,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 Accordingly, the housing 100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tec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lik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하우징(100)은 본체부와 캡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본체부와 캡부(170)는 분리된 구성일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본체부와 캡부(17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body portion and a cap portion 170 . In an embodiment, the body part and the cap part 17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body part and the cap part 170 may be integrally formed.

본체부는 일측이 개구될 수 있다. 본체부는 탑부(110), 바닥부(120), 제1 측벽부(130), 제2 측벽부(140) 및 제3 측벽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의 개구는 후술할 제3 방향(D3)에 위치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main body may be opened.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top portion 110 , a bottom portion 120 , a first sidewall portion 130 , a second sidewall portion 140 , and a third sidewall portion 150 .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may be located in a third direction D3 to be described later.

탑부(110)는 하우징(10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탑부(11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탑부(110)는 본체부의 개구와 인접한 위치된 복수의 제1 서브 음성 홀(1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음성 홀(440)들에는 음성 출력 유닛(300)에서 출력된 경고음이 통과될 수 있다. The top part 110 may form an upper part of the housing 100 . In an embodiment, the top part 1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op par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ub-voice holes 111 position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body part. A warning sound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unit 300 may pass through the second sub-voice holes 440 .

탑부(110)는 그를 관통하는 스위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홀에는 스위치 모듈(4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 모듈(400)은 스위치 홀을 덮을 수 있다. The top part 110 may include a switch hole passing therethrough. The switch module 400 may be installed in the switch hole. Accordingly, the switch module 400 may cover the switch hole.

바닥부(120)는 탑부(110)와 이격될 수 있다. 바닥부(120)는 하우징(10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닥부(120)는 장착 어셈블리(50)와 결합될 수 있다. 바닥부(120)는 하부 플레이트, 제1 마그넷(600), 및 제1 지지 돌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20)는 단자 지지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ottom part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part 110 . The bottom part 120 may form a lower part of the housing 100 . The bottom portion 120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assembly 50 . The bottom part 120 may include a lower plate, a first magnet 600 , and a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 The bottom part 120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support part 127 .

하부 플레이트는 제3 방향(D3)으로 길게 형성된 평평한 플레이트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부 플레이트는 평면적 관점에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플레이트는 그를 관통하는 장착 홀(121)을 가질 수 있다. 장착 홀(121)은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The lower plate may be a flat plate elongated in the third direction D3. In an embodiment, the lower plate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a plan view,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ower plate may have a mounting hole 121 therethrough. The mounting hole 121 may be locat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lower plate.

제1 마그넷(600)은 하부 플레이트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마그넷(600)은 장착 홀(12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마그넷(600)을 그를 관통하는 마그넷 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agnet 60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In an embodiment, the first magnet 600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21 . The first magnet 600 may include a magnet hole penetrating therethrough.

제1 지지 돌출부(123)는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탑부(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지지 돌출부(123)는 내부에 중공(이하, 제1 중공이라 지칭함, 1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돌출부(123)의 제1 중공(1231)은 장착 홀(12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 홀(121)에 삽입된 제1 마그넷(600)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돌출부(123)는 내부에 제1 중공(1231)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마그넷(60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may protrude from the lower pl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op part 110 .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may include a hollow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hollow, 1231 ) therein. The first hollow 1231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may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hole 121 . Accordingly, the first magnet 600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2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may not include the first hollow 1231 therein. Accordingly, the first magnet 60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제1 지지 돌출부(123)의 제1 중공(1231)의 폭은 장착 홀(12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지지 돌출부(123)의 제1 중공(1231)의 폭은 제1 마그넷(60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 돌출부(123)는 제1 마그넷(60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장착 홀(121)에 삽입된 제1 마그넷(600)은 제1 지지 돌출부(123)에 의해 장착 홀(121)을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A width of the first hollow 1231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the mounting hole 121 . The width of the first hollow 1231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magnet 600 .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may function to support the first magnet 600 . The first magnet 600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21 may not leave the mounting hole 121 by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

하부 플레이트는 제1 지지 돌출부(123)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걸림 홈(12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걸림 홈(125)들은 제1 지지 돌출부(123)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걸림 홈(125)들의 각각은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걸림 홈(125)들에는 후술할 걸림 돌기(515)가 삽입될 수 있다. The lower pl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125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 In an embodiment, the locking grooves 125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 Each of the locking grooves 125 may be recessed in a hemispherical shape. A locking protrusion 51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s 125 .

단자 지지부(127)는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탑부(1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단자 지지부(127)는 몸체부의 개구와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단자 지지부(127)는 외부로 노출되는 배터리부(700)의 단자부(75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terminal support 127 may protrude from the lower plate toward the top 110 . The terminal support part 127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opening of the body part. The terminal support part 127 may support the terminal part 750 of the battery part 700 exposed to the outside.

제1 측벽부(130)는 탑부(110)로부터 바닥부(1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측벽부(130)는 탑부(110)와 바닥부(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30)는 본체부의 둘레면 중 어느 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sidewall part 130 may extend from the top part 110 toward the bottom part 120 . Accordingly, the first sidewall part 1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op part 110 and the bottom part 120 .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0 may form any one portion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1 측벽부(130)는 제1 광원 유닛(210)과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측벽부(130)는 제1 광원 유닛(210)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사될 수 있다. The first sidewall 130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 The first sidewall 13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l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may be projected on the first sidewall part 130 .

제1 측벽부(130)는 제3 방향(D3)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확산 홈(13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확산 홈(135)들 각각은 탑부(110)에서 바닥부(120)를 향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확산 홈(135)들은 제1 광원 유닛(210)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The first sidewall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diffusion grooves 135 that are elongated in the third direction D3 . Each of the first diffusion grooves 135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from the top part 110 to the bottom part 120 . The first diffusion grooves 135 may diffus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

실시 예에서, 제1 확산 홈(135)들 각각은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확산 홈(135)들 각각의 바닥면은 제1 방향(D1)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원 유닛(210)에서 조사된 광이 확산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diffusion grooves 135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A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diffusion grooves 135 may be convex in the first direction D1 . Accordingl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may be diffused.

제2 측벽부(140)는 탑부(110)로부터 바닥부(1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측벽부(140)는 탑부(110)와 바닥부(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측벽부(140)는 본체부의 둘레면 중 어느 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40 may extend from the top portion 110 toward the bottom portion 120 . Accordingly,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op portion 110 and the bottom portion 120 . The second sidewall 140 may form any one of the peripheral surfaces of the main body.

제2 측벽부(140)는 제1 측벽부(130)와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측벽부(140)는 제1 측벽부(13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측벽부(140)는 제2 광원 유닛(220)과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측벽부(130)는 제1 광원 유닛(210)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사될 수 있다The second sidewall 140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sidewall 130 . In other words,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40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idewall portion 130 . The second sidewall 140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 The first sidewall 13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may be projected on the first sidewall part 130 .

제2 측벽부(140)는 제3 방향(D3)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확산 홈(14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확산 홈(145)들 각각은 탑부(110)에서 바닥부(120)를 향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확산 홈(145)들은 제2 광원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diffusion grooves 145 elongated in the third direction D3 . Each of the second diffusion grooves 145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from the top part 110 to the bottom part 120 . The second diffusion grooves 145 may diffus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

실시 예에서, 제2 확산 홈(145)들 각각은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확산 홈(145)들 각각의 바닥면은 제2 방향(D2)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광원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제1 확산 홈(135)들과 제2 확산 홈(145)들은 사용자가 하우징(100)의 제1 측벽부(130)와 제2 측벽부(140)를 그립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each of the second diffusion grooves 145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A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second diffusion grooves 145 may be convex in the second direction D2 . Accordingl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may be diffused. In addition, the first diffusion grooves 135 and the second diffusion grooves 145 function to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when the user grips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0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40 of the housing 100 . can also be done.

제3 측벽부(150)는 탑부(110)로부터 바닥부(120)를 항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측벽부(150)는 탑부(110)와 바닥부(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측벽부(150)는 본체부의 둘레면 중 어느 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third side wall part 150 may be extended from the top part 110 to the bottom part 120 by sailing. Accordingly, the third sidewall part 15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op part 110 and the bottom part 120 . The third side wall part 150 may form any one part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제3 측벽부(150)는 본체부의 개구와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3 측벽부(150)는 후술할 단자부(750)와 단자 지지부(127)가 삽입되는 단자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부(750)는 단자 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third sidewall part 150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opening of the body part. The third side wall part 150 may include a terminal groove into which a terminal part 750 and a terminal support part 12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Accordingly, the terminal part 75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erminal groove.

캡부(170)는 본체부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캡부(170)는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나,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캡부(170)는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음성 출력 유닛(300)에서 출력된 경고음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홀(17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캡부(170)는 복수의 음성 홀(173)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p 170 may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In an embodiment, the cap part 17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ody part,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The cap 170 may include at least one voice hole 173 through which a warning sound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unit 300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passes. In an embodiment, the cap part 1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oice holes 173 .

캡부(170)는 제3 광원 유닛(230)이 안착되는 안착 홈(17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안착 홈(175)은 캡부(170)의 상부 중간 영역에 형성될 있다. 복수의 음성 홀(173)들은 안착 홈(175)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 노출된 캡부(170)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ap 170 may include a seating groove 175 in which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is mounted. In an embodiment, the seating groove 175 may be formed in an upper middle region of the cap part 170 . The plurality of voice holes 173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eating groove 175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cap portion 170 exposed to the outside.

제1 광원 유닛(210)은 하우징(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광원 유닛(210)은 탑부(110)와 바닥부(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광원 유닛(210)은 하우징(100) 내에 위치된 컨트롤러(350)와 바닥부(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may be located in the housing 100 .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op part 110 and the bottom part 120 . In an embodiment,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ntroller 350 position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bottom part 120 .

제1 광원 유닛(210)은 제1 방향(D1)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원 유닛(210)은 복수의 제1 광원들(21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광원들(211)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1 광원들(211)은 제3 방향(D3)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광원들(211) 각각은 LED 광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may emit light in the first direction D1 .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211 .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211 may b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 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211 may be arranged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Each of the first light sources 211 may be an LED light sou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 예에서, 제1 광원들(211) 중 캡부(170)와 인접한 일부는 제1 색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원들(211) 중 제3 측벽부(150)와 인접한 나머지는 제1 색과 다른 제2 색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some of the first light sources 211 adjacent to the cap 170 may be irradiated with light having a first color. The rest of the first light sources 211 adjacent to the third sidewall 150 may be irradiated with light having a second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제2 광원 유닛(220)은 하우징(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광원 유닛(220)은 탑부(110)와 바닥부(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광원 유닛(220)은 하우징(100) 내에 위치된 컨트롤러(350)와 바닥부(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may be located in the housing 100 .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op part 110 and the bottom part 120 . In an embodiment,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ntroller 350 position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bottom part 120 .

제2 광원 유닛(220)은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광원 유닛(220)은 복수의 제2 광원들(2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광원들(221)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 광원들(221)은 제3 방향(D3)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광원들(221) 각각은 LED 광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may radiate light in a second direction D2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221 .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221 may b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 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sources 221 may be arranged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Each of the second light sources 221 may be an LED light sou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 예에서, 제2 광원들(221) 중 캡부(170)와 인접한 일부는 제2 색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원들(211) 중 제3 측벽부(150)와 인접한 나머지는 제1 색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색은 빨간색일 수 있고, 제2 색은 파란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n embodiment, some of the second light sources 221 adjacent to the cap 170 may be irradiated with light having the second color. The rest of the first light sources 211 adjacent to the third sidewall 150 may be irradiated with light having the first color. In an embodiment, the first color may be red and the second color may be blu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3 광원 유닛(230)은 하우징(100)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광원 유닛(230)은 본체부의 개구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3 광원 유닛(230)은 제3 방향(D3)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3 방향(D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방향(D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 In an embodiment,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body part.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may radiate light in the third direction D3 . The third direction D3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 In an embodiment, the third direction D3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

실시 예에서, 제3 광원 유닛(230)은 제3 광원과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광원은 하우징(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광원은 제3 방향(D3)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광원은 제1 색 및 제2 색과 상이한 제3 색(예를 들면, 백색 등)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may include a third light source and a lens unit. The third light source may be located in the housing 100 . The third light source may irradiate light in the third direction D3. In an embodiment, the third light source may irradiate light having a third color (eg, white, etc.)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and the second color.

렌즈부는 제3 광원에서 제3 방향(D3)에 위치될 수 있다. 렌즈부는 제3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집광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렌즈부는 전술한 안착 홈(175)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광원에서 조사된 광이 렌즈부를 통과할 수 있다. The lens unit may be positioned in the third direction D3 from the third light source. The lens unit may function to condens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In an embodiment, the lens unit may be inserted into the above-described seating groove 175 . Accordingl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may pass through the lens unit.

음성 출력 유닛(300)은 하우징(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음성 출력 유닛(300)은 제어부와 바닥부(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음성 출력 유닛(300)은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경고음은 호루라기 소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성 출력 유닛(300)은 스피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 및/또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The audio output unit 300 may be located in the housing 100 . The audio output unit 3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floor unit 120 . The audio output unit 300 may output a warning sound. The warning sound may be a whistle s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voice output unit 300 may be a speak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configuration that generates voice and/or sound may be possible.

컨트롤러(350)는 하우징(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350)는 탑부(110)와 제1 광원 유닛(210) 사이 및 탑부(110)와 제2 광원 유닛(2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제1 광원 유닛(210), 제2 광원 유닛(220), 제3 광원 유닛(230) 및 음성 출력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50 may be located within the housing 100 .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35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ower 110 and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and between the tower 1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 The controller 350 may control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 and the audio output unit 300 .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350)는 스위치 모듈(400)을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제1 광원 유닛(210), 제2 광원 유닛(220), 제3 광원 유닛(230) 및 음성 출력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350)의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350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unit 210 , a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 a third light source unit 230 , and an audio output unit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switch module 400 . (300) can be controlled.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 will be described later.

스위치 모듈(400)은 하우징(100)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위치 모듈(400)은 탑부(110)의 스위치 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 모듈(400)은 컨트롤러(350)에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위치 모듈(400)은 제1 입력부(410), 제2 입력부(420), 및 제3 입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400)은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2 서브 음성 홀(4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음성 홀(440)은 제1 서브 음성 홀(111)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witch module 400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 In an embodiment, the switch module 400 may be installed on the switch hole of the top part 110 . The switch module 400 may input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350 . In an embodiment, the switch module 400 may include a first input unit 410 , a second input unit 420 , and a third input unit 430 . The switch module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sub-voice holes 440 passing therethrough. The second sub-voice hole 44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sub-voice hole 111 .

제1 입력부(410)는 제1 광원 유닛(210)과 제2 광원 유닛(220)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350)에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원 유닛(210)과 제2 광원 유닛(220)은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점등될 수 있다. 제1 입력부(410)는 푸쉬 버튼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력부(410)는 복수의 제1 제어 신호들을 컨트롤러(350)에 입력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제어 신호들에 따른 컨트롤러(350)의 제어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first input unit 410 may generate at least one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to be input to the controller 350 . Accordingly,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first input unit 4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ush button. The first input unit 410 may input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to the controller 350 .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입력부(420)는 제3 광원 유닛(230)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350)에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광원 유닛(230)은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점등될 수 있다. 제2 입력부(420)는 푸쉬 버튼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력부(420)는 복수의 제2 제어 신호들을 컨트롤러(350)에 입력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제어 신호들에 따른 컨트롤러(350)의 제어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second input unit 420 may input at least one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to the controller 350 . Accordingly,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second input unit 4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ush button. The second input unit 420 may input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to the controller 350 .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입력부(420)는 제3 광원 유닛(230)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350)에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광원 유닛(230)은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점등될 수 있다. 제2 입력부(420)는 푸쉬 버튼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력부(420)는 복수의 제2 제어 신호들을 컨트롤러(350)에 입력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제어 신호들에 따른 컨트롤러(350)의 제어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second input unit 420 may input at least one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to the controller 350 . Accordingly,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second input unit 4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ush button. The second input unit 420 may input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to the controller 350 .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will be described later.

제3 입력부(430)는 음성 출력 유닛(300)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350)에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성 출력 유닛(300)은 제3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점등될 수 있다. 제3 입력부(430)는 푸쉬 버튼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입력부(430)는 복수의 제3 제어 신호들을 컨트롤러(350)에 입력할 수 있다. 복수의 제3 제어 신호들에 따른 컨트롤러(350)의 제어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third input unit 430 may input at least one thir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voice output unit 300 to the controller 350 . Accordingly, the audio output unit 300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third control signal. The third input unit 4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ush button. The third input unit 430 may input a plurality of third control signals to the controller 350 .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third control signals will be described later.

실시 예에서, 제1 입력부(410)는 제2 입력부(420)와 제3 입력부(4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나, 제1 내지 제3 입력부(430)들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input unit 4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input unit 420 and the third input unit 430 , but the positions of the first to third input units 430 may be variously changed.

컨트롤러(350)는 스위치 모듈(400)로부터 제1 제어 신호, 제2 제어 신호 및 제3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제1 광원 유닛(210), 제2 광원 유닛(220), 제3 광원 유닛(230) 및 음성 출력 유닛(3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50 may receive at least one of a first control signal, a second control signal, and a third control signal from the switch module 400 . The controller 35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 and the audio output unit 300 in response to the input control signal. .

컨트롤러(350)는 복수의 제1 제어 신호들에 대응되는 패턴에 따라 제1 광원 유닛(210)과 제2 광원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50 may control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according to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350)는 제1 제어 신호가 1번 입력될 경우, 제1 패턴에 따라 제1 광원 유닛(210)과 제2 광원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원 유닛(210)과 제2 광원 유닛(220)은 제1 패턴에 따라 교차하여 점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350)는 제1 색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들(211) 및 제2 광원들(221)과 제2 색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들(211) 및 제2 광원들(221)을 교대로 점멸시킬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once, the controller 350 may control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according to the first pattern. Accordingly,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may cross and blink according to the first pattern. For example, the controller 350 includes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211 and 221 irradiating light having a first color and first light sources 211 irradiating light having a second color. and alternately blinking the second light sources 221 .

실시 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50)는 제1 제어 신호가 2번 입력될 경우, 제2 패턴에 따라 제1 광원 유닛(210)과 제2 광원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원 유닛(210)과 제2 광원 유닛(220)은 제2 패턴에 따라 동시에 점멸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twice, the controller 350 controls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according to the second pattern. can do. Accordingly,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may blink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second pattern.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350)는 제1 제어 신호가 3번 입력될 경우, 제3 패턴에 따라 제1 광원 유닛(210)과 제2 광원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원 유닛(210)과 제2 광원 유닛(220)은 제3 패턴에 따라 제1 광원들(211)과 제2 광원들(221)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점멸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three times, the controller 350 may control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according to the third pattern. Accordingly,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may blink while the first light sources 211 and the second light sources 221 move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third pattern.

컨트롤러(350)는 상기의 예시 뿐만아니라 다양한 조합으로 제1 광원 유닛(210)과 제2 광원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50 may control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in various combinations as well as the above examples.

컨트롤러(350)는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제3 광원 유닛(23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50)는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제3 광원 유닛(230)을 점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50 may control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13 , the controller 350 may turn on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컨트롤러(350)는 제3 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음성 출력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제3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 출력 유닛(300)을 온/오프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50 may control the voice output unit 300 when the third control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350 may turn on/off the voice output unit 300 in response to the third control signal.

배터리부(700)는 하우징(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배터리부(700)는 단자부(750)를 통해 외부 전력과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부(700)는 외부 전력에서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부(700)는 제1 광원 유닛(210), 제2 광원 유닛(220), 제3 광원 유닛(230), 음성 출력 유닛(300), 컨트롤러(350) 등 전자 부품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부(70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일 수 있다. The battery unit 700 may be located in the housing 100 . The battery unit 700 may be connected to external power through the terminal unit 750 . The battery unit 700 may store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external power. The battery unit 700 may provide power to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the first light source unit 210 ,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 the third light source unit 230 , the audio output unit 300 , and the controller 350 . have. The battery unit 700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장착 어셈블리(50)는 하우징(10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장착 어셈블리(50)는 하우징(100)이 사용자에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장착 어셈블리(50)는 장착 부재(500), 제2 마그넷(650), 클립 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unting assembly 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0 . The mounting assembly 50 may allow the housing 100 to be secured to a user. The mounting assembly 50 may include a mounting member 500 , a second magnet 650 , and a clip member 800 .

장착 부재(500)는 제3 방향(D3)으로 길게 형성된 평평한 플레이트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장착 부재(500)는 평면적 관점에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ounting member 500 may be a flat plate elongated in the third direction D3 . In an embodiment, the mounting member 50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a plan view, but is not limited thereto.

장착 부재(500)는 하우징(100)의 제1 지지 돌출부(123)가 삽입되는 결합 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부재(500)는 일측에 한 쌍의 제1 힌지 지지대(5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 지지대(550)들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힌지 지지대(550)들 각각에는 힌지 축(860)이 삽입되는 제1 힌지 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500 may include a coupling hole 510 into which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of the housing 100 is inserted. The mounting member 500 may include a pair of first hinge supports 550 on one side. The first hinge supports 5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1 or the second direction D2 . A first hinge hole into which the hinge shaft 86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hinge supports 550 .

장착 부재(500)는 결합 홀(5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된 지지 플랜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랜지부(520)는 결합 홀(510)에 삽입된 제1 지지 돌출부(123)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플랜지부(520)는 평면적 관점에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500 may include a support flange part 520 extending inward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510 . The support flange part 520 may support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10 . The support flange part 5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in a plan view.

장착 부재(500)는 제2 지지 돌출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돌출부(530)는 장착 부재(500)로부터 클립 부재(8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 돌출부(530)는 장착 부재(500)와 클립 부재(8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500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protrusion 530 .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530 may protrude from the mounting member 500 toward the clip member 800 .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5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ounting member 500 and the clip member 800 .

제2 지지 돌출부(530)는 내부에 중공(이하, 제2 중공이라 지칭함, 531)을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 돌출부(530)의 제2 중공(531)에는 제2 마그넷(650)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지지 돌출부(530)의 제2 중공(531)은 결합 홀(51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530 may have a hollow insi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hollow 531 ). A second magnet 65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531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530 . The second hollow 531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530 may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510 .

제2 마그넷(650)은 제2 지지 돌출부(53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돌출부(530)의 제2 중공(531) 내에 제2 마그넷(650)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마그넷(650)은 제1 마그넷(600)과 인력이 작용하는 자극을 가질 수 있다. 제2 마그넷(650)의 폭은 지지 플랜지부(52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 돌출부(530)에 삽입된 제2 마그넷(650)은 결합 홀(510)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magnet 65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530 . In an embodiment, the second magnet 65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531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530 . The second magnet 650 may have a magnetic pole acting with the first magnet 600 and attractive force. The width of the second magnet 650 may be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flange part 520 . Accordingly, the second magnet 650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53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10 .

제2 마그넷(650)은 제1 마그넷(600)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그넷(650)의 돌기는 제1 마그넷(600)의 마그넷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돌기는 제1 마그넷(600)과 제2 마그넷(65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조명 어셈블리(10)와 장착 어셈블리(50)의 회전 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cond magnet 650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irst magnet 600 .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magnet 650 may be inserted into the magnet hole of the first magnet 600 . The protrusion may not only improv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 600 and the second magnet 650 , but also function as a rotation axis of the lighting assembly 10 and the mounting assembly 50 .

제2 지지 돌출부(530)는 클립 부재(800)를 마주보는 일단에 복수의 제1 걸림 후크(5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걸림 후크(540)들은 제2 지지 돌출부(530)의 제2 중공(531)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걸림 후크(540)들 각각의 단면은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5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hooks 540 at one end facing the clip member 800 . The plurality of first engaging hooks 540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llow 531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530 . A cross-section of each of the first engaging hooks 54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장착 부재(500)는 하우징(100)을 향해 돌출된 걸림 돌기(515)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515)들 각각은 전술한 결합 홀(510)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 돌기(515)들은 결합 홀(510)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장착 부재(500)는 한 쌍의 걸림 돌기(515)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홀(510)은 한 쌍의 걸림 돌기(515)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걸림 돌기(515)들 각각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ounting member 500 may include locking protrusions 515 protruding toward the housing 100 . Each of the locking protrusions 515 may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coupling holes 510 . The locking protrusions 515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coupling hole 510 . In an embodiment, the mounting member 500 may include a pair of locking protrusions 515 . The coupling hole 510 may be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locking protrusions 515 . Each of the locking protrusions 515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장착 부재(500)는 클립 부재(800)를 향해 돌출된 제2 걸림 후크(55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 후크(555)들은 장착 부재(5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걸림 후크(555)들 각각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 후크(555)들 각각의 단면은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500 may include second engaging hooks 555 protruding toward the clip member 800 . The second engaging hooks 555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500 . Each of the second engaging hooks 555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or the second direction D2. A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second engaging hooks 555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클립 부재(8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클립 부재(800)는 제3 방향(D3)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클립 부재(800)는 힌지 축(860)을 기준으로 장착 부재(5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클립 부재(800)는 제2 힌지 지지대(8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 부재(800)는 스트랩 등의 끈이 연결되는 연결 홀(801)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홀은 제2 힌지 지지대(85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The clip member 80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one direction. In an embodiment, the clip member 800 may be elongated in the third direction D3. The clip member 80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unting member 500 based on the hinge shaft 860 . The clip member 800 may include second hinge supports 850 . The clip member 800 may include a connection hole 801 to which a string such as a strap is connected. The connection hole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second hinge support 850 .

제2 힌지 지지대(850)들은 클립 부재(8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힌지 지지대(850)들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힌지 지지대(850)들 각각은 힌지 축(860)이 삽입되는 제2 힌지 홀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hinge supports 8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lip member 800 . In an embodiment, the second hinge supports 8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1 or the second direction D2 . Each of the second hinge supports 850 may have a second hinge hole into which the hinge shaft 860 is inserted.

클립 부재(800)는 토션 스프링(880)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880)은 힌지 축(860)에 끼워질 수 있다. 토션 스프링(880)의 일단은 장착 부재(500)에 놓이고, 토션 스프링(880)의 타단은 클립 부재(800)에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션 스프링(880)은 클립 부재(800) 및/또는 장착 부재(500)가 서로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lip member 800 may include a torsion spring 880 . The torsion spring 880 may be fitted to the hinge shaft 860 .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880 may be placed on the mounting member 500 , and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880 may be placed on the clip member 800 . Accordingly, the torsion spring 880 may cause the clip member 800 and/or the mounting member 500 to be pressed against each other.

클립 부재(800) 및/또는 장착 부재(500)가 서로 가압됨으로써, 사용자의 옷 등이 클립 부재(800)와 장착 부재(500) 사이에 위치될 때, 장착 어셈블리(50)는 사용자의 옷 등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장착 어셈블리(50)에 결합된 조명 어셈블리(10)도 사용자의 옷 등에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clip member 800 and/or the mounting member 500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when the user's clothes, etc. are positioned between the clip member 800 and the mounting member 500, the mounting assembly 50 is attached to the user's clothes, etc. can be fixed. In addition, the lighting assembly 10 coupled to the mounting assembly 50 may also be fixed to the user's clothes.

클립 부재(800)는 제3 걸림 후크들(8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걸림 후크들(810)은 제1 걸림 돌기들(555)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3 걸림 후크들(810) 각각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 후크들(555)은 제3 방향(D3)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걸림 후크들(810)의 단면은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lip member 800 may include third engaging hooks 810 . The third locking hooks 810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s 555 . Each of the third hooking hooks 81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or the second direction D2 . The second hooking hooks 555 may be arranged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In an embodiment, the cross-section of the third hooking hooks 8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걸림 후크(540), 제2 걸림 후크(555) 및 제3 걸림 후크(810)는 장착 부재(500)와 클립 부재(800) 사이에 사용자의 옷 등이 삽입될 때, 사용자의 옷 등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locking hook 540 , the second locking hook 555 , and the third locking hook 810 are the user's clothes and the like when the user's clothes are inserted between the mounting member 500 and the clip member 800 .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improving the binding force of

실시 예에서, 장착 어셈블리(50)는 하우징(100)에 결합될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중심은 제1 마그넷(600)과 제2 마그넷(650)이 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돌기(515)들은 걸림 홈(125)들에 회전 후에 끼워짐으로써, 하우징(100)이 슬립되거나 어긋나지 않고, 정위치된 상태로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mounting assembly 50 may be rotated while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100 . In this case, the rotation centers may be the first magnet 600 and the second magnet 650 . In addition, the locking protrusions 515 are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s 125 after rotation, so that the housing 100 does not slip or shift, and it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a fixed state.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조명 장치의 조명 어셈블리와 장착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assembly and a mounting assembly of a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ke of simplicity,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조명 장치(1)는 조명 어셈블리(10) 및 장착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 a safety lighting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ing assembly 10 and a mounting assembly.

조명 어셈블리(10)는 하우징(100), 음성 출력 유닛(300), 제1 광원 유닛(210), 제2 광원 유닛(220), 제3 광원 유닛(230), 스위치 모듈(400), 컨트롤러(350), 및 배터리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ing assembly 10 includes a housing 100 , an audio output unit 300 , a first light source unit 210 , a second light source unit 220 , a third light source unit 230 , a switch module 400 , and a controller ( 350 ), and a battery unit 700 .

하우징(100)은 본체부와 캡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는 탑부(110), 바닥부(120), 제1 측벽부(130), 제2 측벽부(140) 및 제3 측벽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20)는 하부 플레이트, 제1 마그넷(600), 및 제1 지지 돌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20)는 단자 지지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body portion and a cap portion 170 .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top portion 110 , a bottom portion 120 , a first sidewall portion 130 , a second sidewall portion 140 , and a third sidewall portion 150 . The bottom part 120 may include a lower plate, a first magnet 600 , and a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 The bottom part 120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support part 127 .

제1 지지 돌출부(123)는 내부에 제1 중공(1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돌출부(123)는 그의 둘레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돌기는 복수의 걸림 홈(125)들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may include a first hollow 1231 therein.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23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125 .

장착 어셈블리는 장착 부재(500), 제2 마그넷(650), 클립 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부재(500)는 결합 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부재(500)는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 홈(517)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홈(517)은 제1 홈부(5171)와 제2 홈부(517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unting assembly may include a mounting member 500 , a second magnet 650 , and a clip member 800 . The mounting member 500 may include a coupling hole 510 . The mounting member 500 may include a fixing groove 517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The fixing groove 517 may include a first groove portion 5171 and a second groove portion 5172 .

제1 홈부(5171)는 장착 부재(500)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5171)는 결합 홀(510)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홈부(5172)는 제1 홈부(5171)로부터 하우징(100) 또는 장착 부재(500)의 상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홈부(5172)는 장착 부재(500)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groove 5171 may be recess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500 toward the outside. The first groove portion 5171 may surround the coupling hole 510 . The second groove portion 5172 may extend from the first groove portion 5171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or the mounting member 500 . The second groove 5172 may be recess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500 toward the outside.

실시 예에서, 고정 돌기는 제2 홈부(5172)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홈부(5172)를 통해 고정 돌기는 제1 홈부(517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명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킬 경우, 고정 돌기는 제1 홈부(517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돌기는 제1 홈부(5171) 내에 위치됨으로써, 조명 어셈블리(10)와 장착 어셈블리는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마그넷(600)과 제2 마그넷(650)의 자력이 약해지거나 자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조명 어셈블리(10)와 장착 어셈블리는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portion 5172 .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portion 5171 through the second groove portion 5172 . When the user rotates the lighting assembly 10 , the fixing protrusion may move along the first groove 5171 . In this case, since the fixing protrusion is located in the first groove portion 5171 , the lighting assembly 10 and the mounting assembly may be physically fixed. Accordingly, even if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600 and the second magnet 650 is weakened or an external force greater than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the lighting assembly 10 and the mounting assembly may not be separated.

사용자는 고정 돌기를 제2 홈부(5172)에 원 위치시키는 경우, 외력에 의해 조명 어셈블리(10)와 장착 어셈블리를 분리할 수 있다. When the user returns the fixing protrusion to the second groove portion 5172, the lighting assembly 10 and the mounting assembly may be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안전 조명 장치 10: 조명 어셈블리
50: 장착 어셈블리 100: 하우징
110: 탑부 120: 바닥부
130: 제1 측벽부 140: 제2 측벽부
170: 캡부 210: 제1 광원 유닛
220: 제2 광원 유닛 230: 제3 광원 유닛
300: 음성 출력 유닛 350: 컨트롤러
400: 스위치 모듈 410: 제1 입력부
420; 제2 입력부 430: 제3 입력부
500: 장착 부재 600: 제1 마그넷
650: 제2 마그넷 700: 배터리부
800: 클립 부재
1: safety lighting unit 10: lighting assembly
50: mounting assembly 100: housing
110: top 120: bottom
130: first sidewall 140: second sidewall portion
170: cap 210: first light source unit
220: second light source unit 230: third light source unit
300: audio output unit 350: controller
400: switch module 410: first input unit
420; second input unit 430: third input unit
500: mounting member 600: first magnet
650: second magnet 700: battery unit
800: clip absence

Claims (8)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유닛;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제1 방향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 유닛;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 유닛;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상이한 제3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3 광원 유닛; 및
상기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이 사용자에게 고정되도록 하는 장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3 방향이 개구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개구를 덮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탑부;
상기 탑부와 이격되고, 상기 장착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바닥부;
상기 탑부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광원 유닛에서 조사된 광이 투사되는 제1 측벽부; 및
상기 탑부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 광원 유닛에서 조사된 광이 투사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캡부의 상부 중간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광원 유닛이 안착되는 안착 홈; 및
상기 안착 홈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음성 출력 유닛에서 출력된 경고음이 통과하는 복수의 음성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그를 관통하는 장착 홀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장착 홀 내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 마그넷;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탑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장착 홀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1 마그넷보다 폭이 작은 제1 중공을 갖는 제1 지지 돌출부;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걸림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지지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 홀과 상기 걸림 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를 갖는 장착 부재; 및
상기 장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결합 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 플랜지부;
상기 장착 부재로부터 상기 클립 부재를 향해 돌출되고, 내부에 제2 중공을 갖는 제2 지지 돌출부; 및
상기 제2 중공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마그넷과 인력이 작용하는 자극을 갖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돌출부는, 상기 클립 부재와 마주보는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제1 걸림 후크들을 포함하는 안전 조명 장치.
housing;
an audio output unit located in the housing and outputting a warning sound;
a first light source unit positioned in the housing and irradiating light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light source unit located in the housing and irradiating ligh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third light source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irradiating light in a thir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a mounting assembly re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secure the housing to a user;
The housing includes a body part having an opening in the third direction, and a cap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to cover the opening of the body part,
The body part,
top;
a bottom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top portion and coupled to the mounting assembly;
a first sidewall portion extending from the top portion toward the bottom portion and onto which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is projected; and
and a second sidewall portion extending from the top portion toward the bottom portion and onto which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is projected,
The cap part,
a seating groove formed in an upper middle region of the cap part and in which the third light source unit is seated; and
It is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eating groov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voice holes through which the warning sound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unit passes,
the bottom part,
a lower plate having a mounting hole therethrough;
a first magnet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and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a first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pl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op portion, formed along a boundary of the mounting hole, and having a first hollow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agnet therein; and
A hemispherical depression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The mounting assembly comprises:
a mounting member having a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pair of lock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locking grooves; and
and a clip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unting member,
The mounting member is
a support flange portion extending inward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and formed in a ring shape;
a second support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mounting member toward the clip member and having a second hollow therein; and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including a second magnet having a magnetic pole acting with the first magnet and attractive force,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includes first hooking hooks formed at one end facing the clip member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그를 관통하는 장착 홀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장착 홀 내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 마그넷;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탑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장착 홀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1 마그넷보다 폭이 작은 제1 중공을 갖는 제1 지지 돌출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걸림 홈들; 및
상기 제1 지지 돌출부의 둘레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지지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 홀과 상기 걸림 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를 갖는 장착 부재; 및
상기 장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장착 부재로부터 상기 클립 부재를 향해 돌출되고, 내부에 제2 중공을 갖는 제2 지지 돌출부;
상기 제2 중공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마그넷과 인력이 작용하는 자극을 갖는 제2 마그넷; 및
상기 장착 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홈은,
상기 결합 홀을 둘러싸는 제1 홈부; 및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상기 장착 부재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는 안전 조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part,
a lower plate having a mounting hole therethrough;
a first magnet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and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a first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pl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op portion, formed along a boundary of the mounting hole, and having a first hollow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agnet therein;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recessed in a hemispherical shape in the lower plate and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and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The mounting assembly comprises:
a mounting member having a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pair of lock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locking grooves; and
and a clip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unting member,
The mounting member is
a second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member toward the clip member and having a second hollow therein;
a second magnet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the second magnet having a magnetic pole acting with the first magnet; and
and a fixing groove which is recessed outward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and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The fixing groove is
a first groove surrounding the coupling hole; and
and a second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groove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탑부와 상기 제1 광원 유닛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광원 유닛, 상기 제2 광원 유닛, 상기 제3 광원 유닛 및 상기 음성 출력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안전 조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afety ligh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positioned between the tower portion and the first light source unit, the controller controlling the first light source unit,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the third light source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탑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모듈은,
상기 제1 광원 유닛과 상기 제2 광원 유닛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3 광원 유닛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제2 입력부; 및
상기 음성 출력 유닛을 적어도 하나의 제3 제어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제3 입력부를 포함하는 안전 조명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It is installed on the top part, further comprising a switch module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switch module is
a first input unit for inputting at least one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to the controller;
a second input unit for inputting at least one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hird light source unit to the controller; and
and a third input unit for inputting at least one third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for the audio output uni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복수의 상기 제1 제어 신호들을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상기 제1 제어 신호들에 대응되는 패턴에 따라 상기 제1 광원 유닛과 상기 제2 광원 유닛을 제어하는 안전 조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input unit inputs a plurality of the first control signals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is a safety ligh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탑부는, 상기 개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음성 출력 유닛에서 출력된 경고음이 통과되는 복수의 서브 음성 홀들을 포함하는 안전 조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op part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pening, and the safety light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sub-voice holes through which the warning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pass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광원 유닛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복수의 제1 확산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벽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광원 유닛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복수의 제1 확산 홈들을 포함하는 안전 조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idewall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diffusion groove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third direction to diffus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a plurality of first diffusion groove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third direction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KR1020220045365A 2021-07-26 2022-04-12 safety lighting apparatus KR10245072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97482 2021-07-26
KR1020210097482 2021-07-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723B1 true KR102450723B1 (en) 2022-10-06

Family

ID=8359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365A KR102450723B1 (en) 2021-07-26 2022-04-12 safety ligh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72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9928B2 (en) 2017-08-10 2023-08-29 Archangel Device Llc Safety light
KR102591236B1 (en) 2023-06-09 2023-10-19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safety light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27Y1 (en) * 2019-09-24 2019-12-09 대한민국 Patrol light
KR20200051628A (en) 2017-08-10 2020-05-13 아크엔젤 디바이스 엘엘씨 Safety light
EP3779905A1 (en) * 2019-08-13 2021-02-17 Wolfgang Schlüter Warn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628A (en) 2017-08-10 2020-05-13 아크엔젤 디바이스 엘엘씨 Safety light
US20210190306A1 (en) * 2017-08-10 2021-06-24 Archangel Device Llc Safety light
EP3779905A1 (en) * 2019-08-13 2021-02-17 Wolfgang Schlüter Warning device
KR200490627Y1 (en) * 2019-09-24 2019-12-09 대한민국 Patrol ligh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9928B2 (en) 2017-08-10 2023-08-29 Archangel Device Llc Safety light
KR102591236B1 (en) 2023-06-09 2023-10-19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safety lighting apparatus
KR102591234B1 (en) 2023-06-09 2023-10-19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safety ligh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723B1 (en) safety lighting apparatus
US10677450B2 (en) Multi-directional, multi-functional wearable safety lighting apparatus
US10633229B2 (en) Winch with integrated lighting,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5001462A (en) Personal safety alarm and light
TWI681376B (en) Indicator lamp
JP2012512500A (en) Flashlight with double-sided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rear
GB2457313A (en) Processor controlled identifying light
US5905441A (en) Hand-held visual signaling device
TWI787321B (en) Safety light
US8917187B2 (en) Multi-function flare device for populated areas
US20200248893A1 (en) Led lamp
US20130308306A1 (en) Portable light having a modular base
US20060259100A1 (en) Light therapy device
US20170152997A1 (en) Lantern
US10393327B2 (en) Lumen wand
US8246223B2 (en) Illuminating device with adhesive shroud
JP2024015294A (en) Pilot lamp
US20050175210A1 (en) Color illuminating earphone
US8646938B1 (en) Distress marker system
US20070041181A1 (en) Lighting device for military use
US20160356438A1 (en) Tactical light apparatus
US5782023A (en) Fiber optic trading card system
US20160363309A1 (en) Light-emitting accessory
DE102019121791A1 (en) Warning device
GB2530484A (en) A flash light or to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