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543B1 -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543B1
KR102450543B1 KR1020210152706A KR20210152706A KR102450543B1 KR 102450543 B1 KR102450543 B1 KR 102450543B1 KR 1020210152706 A KR1020210152706 A KR 1020210152706A KR 20210152706 A KR20210152706 A KR 20210152706A KR 102450543 B1 KR102450543 B1 KR 102450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in
treatment image
user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이종하
방수용
김윤하
송헌호
신선화
신혜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303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303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303
Priority to KR102021015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543B1/ko
Priority to KR1020220122855A priority patent/KR2023006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통증에 대한 치료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은 통증 정보 및 사전 검사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통증 정보 및 상기 사전 검사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테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제1 치료 영상 정보 및 제2 테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기설정된 제1 기간동안 일정 간격으로 제1 치료 영상 정보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이 만료된 경우, 사용자 상태에 따른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기설정된 제2 기간동안 일정 간격으로 제2 치료 영상 정보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선되지 않을 때에는 더 큰 통증부위로 돌아와서 추가운동을 통해 치료가 미진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치료가 VAS 또는 NRS를 통해 일정 수준 이하로 진행된 경우 제 3기간을 시작하고 이때부터 치료운동을 포함한 강화운동인 운동영상들을 치료영상에 덧붙여서 사용자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Device for providing a treatment image based on a user's pain stat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리치료란 열이나 얼음, 공기, 광선, 전기, 전자기파, 초음파, 기계적인 힘, 중력 등을 이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조직의 치유를 촉진시키고, 신체의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등 특정한 목적의 치료 효과를 얻고자 하는 시술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특정 부위에 통증을 느끼는 환자가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직접 전문가와 상담을 한 후, 물리 치료를 수행할 수 있었다.
즉, 종래에는 환자가 물리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직접 치료실을 방문하여야 하였으나,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환자가 치료실을 직접 방문할 필요없이 환자 정보의 입력만으로 환자에게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응답한 사용자의 통증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 테스트 정보 및 치료 영상을 계속적으로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통증에 대한 치료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은 통증 정보 및 사전 검사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통증 정보 및 상기 사전 검사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테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제1 치료 영상 정보 및 제2 테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기설정된 제1 기간동안 일정 간격으로 제1 치료 영상 정보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이 만료된 경우, 사용자 상태에 따른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기설정된 제2 기간동안 일정 간격으로 제2 치료 영상 정보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가 응답한 통증 정보 및 사전 검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상태에 맞는 테스트 정보 및 치료 영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 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치료 영상 정보를 제공할 때, 일정 기간 간격으로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 영상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세부 통증 부위에 대한 통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건강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치료 영상 정보 또는 제2 테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주변을 스캔하고 치료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급성 통증 치료 영상 또는 만성 통증 치료 영상을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1 기간 내지 제4 기간동안 서로 다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는 통신 모듈(100), 프로세서(200), 및 입출력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단말(terminal), 단말 기기(terminal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모듈(100)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듈로서,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는 통신 모듈(100)을 통해 테스트 정보 및 치료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응답으로 입력된 통증 정보 및 사전 검사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신 모듈(100)은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유선 통신을 통해서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0)는 통신 모듈(100) 및 입출력 모듈(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200)는 사전 검사 정보를 처리하여 건강 특징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300)은 입력 모듈 및 출력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력 모듈은 입력 패드, 터치 패드일 수 있고, 출력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입력 모듈을 통해 사전 검사 정보 및 통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출력 모듈을 통해 치료 영상 정보 및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 영상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는 통증 정보 및 사전 검사 정보를 수신하고, 통증 정보 및 사전 검사 정보에 대응하여 테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테스트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제1 치료 영상 정보 및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치료 영상 정보는 제1 기간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일 수 있고, 제2 치료 영상 정보는 제1 기간 이후 제2 기간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단계(S1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통증 정보 및 사전 검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응답은 사용자 장치(10)의 입출력 모듈(300)을 통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된 질의 정보에 대해 사용자 장치(10)의 입력 패드를 통해 응답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응답된 정보에 기초하여 통증 정보 및 사전 검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증 정보는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 정보 및 통증 정도에 대해 응답된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증 정도는 VAS 또는 NRS 점수 기반으로 사용자로부터 응답된 정보일 수 있고, VAS 또는 NRS 점수가 높을수록 사용자의 통증 정도는 더 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VAS 또는 NRS 점수란, Visual Analog Scale 또는 Numeral (Pain) Rating Scale 로써, 눈에 보이지 않는 통증을 시각적, 아날로그적으로 점수화하여 나타낸 것일 수 있으며, 통증 없음을 0, 참을 수 없는 심한 통증을 10이라고 설정하여 통증의 정도를 수치화한 것일 수 있다.
사전 검사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상태에 대해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고,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건강 특징 벡터를 생성하여 사전 검사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단계(S2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통증 정보 및 사전 검사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테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테스트 정보는 사용자가 응답한 통증이 어떤 종류의 통증인지 파악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고, 사용자는 테스트 정보의 행동을 수행하여 통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응답할 수 있다.
단계(S3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제1 테스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제1 치료 영상 정보 및 제2 테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제1 테스트 정보의 행동을 수행함으로써 통증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장치(10)는 제1 치료 영상 정보 및 제2 테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테스트 정보에 대응하여 통증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통증 범위는 제1 테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통증 범위에 비해 더 좁을 수 있다.
단계(S40)에서, 사용자 장치(10)가 제1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제1 기간동안 일정 간격으로 제1 치료 영상 정보에 대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치료 영상 정보에 대한 알람은 사용자로 하여금 제1 치료 영상 정보를 시청하도록 유도하는 알람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장치(10)는 2주동안 일정 간격으로 사용자가 제1 치료 영상 정보를 시청하도록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S50)에서, 제1 기간이 도과된 후, 사용자 장치(10)는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치료 영상 정보는 제1 치료 영상 정보의 출력 이후, 사용자의 통증을 치료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출력되는 치료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단계(S6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제2 기간동안 일정 간격으로 제2 치료 영상 정보에 대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기간과 제2 기간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으나, 본 개시의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다른 시간 구간일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의 사용자 장치(10)는 제1 기간 및 제2 기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간들들 사이에 사용자 상태를 수신하고, 사용자 상태에 대응되는 치료 영상 정보 및 운동 영상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에 부합하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세부 통증 부위에 대한 통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는 통증 정보를 생성할 때, 복수의 세부 통증 부위들 중 더 큰 통증이 존재하는 세부 통증 부위의 순서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세부 통증 부위의 순서에 기초하여 통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11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통증이 존재하는 통증 부위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단계(S110)에서 수신된 통증 부위에 대한 세부 통증 부위의 순서를 수신할 수 있다. 세부 통증 부위의 순서는 복수의 세부 통증 부위들 중 많은 통증이 존재하는 순서대로 나열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일반인은 여러 부위에서 통증이 느껴질 때에 가장 통증부위의 면적이 크다고 느끼는 부위에 이상이 있다고 느낄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세부 통증 부위의 순서를 수신하기 위해 세부 통증 부위에 대한 사전 테스트들을 수행할 수 있고, 사전 테스트들에 대한 통증 응답 정보로 세부 통증 부위의 순서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가 목에 통증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 목의 좌측, 우측, 앞, 뒤, 회전 등 세부 통증 부위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전 테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목의 세부 통증 부위에 대한 사전 테스트들을 수행하여 통증이 더 큰 세부 통증 부위 순서를 응답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제1 테스트 정보 및 제2 테스트 정보를 출력할 때, 사용자에 의해 응답된 세부 통증 부위 순서대로 세부 테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제1 치료 영상 정보 및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할 때, 세부 통증 부위 순서대로 세부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건강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 상태에 관한 응답 정보들을 합산하여 건강 특징 벡터를 생성할 수 있고, 기 설정된 가중치를 건강 특징 벡터에 적용하여 건강 평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건강 특징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응답된 기본 사용자 신체 정보, 가족력, 병력, 재활 경험, 평균 운동시간, 성별, 통증 기간, 노동 형태, 노동 강도, 노동 기간, 및 감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고, 응답된 정보들을 건강 특징 벡터로 생성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물리치료적 중요도에 기초하여 건강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건강 평가 정보는 건강 특징 벡터에 대해 가중치가 적용되어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물리치료적 중요도 및 가중치는 미리 설정된 정보일 수 있고, 통신 모듈(100)을 통해 건강 특징 벡터를 수신한 외부 장치에 의해 결정된 정보일 수 있다.
단계(S15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신체적, 정신적 가중치에 기초하여 건강 평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장치(10)는 건강 평가 정보에 신체적 가중치 및 정신적 가중치 각각을 적용하여 신체 건강 정보 및 정신 건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신체적 가중치는 개인 별로 상이하게 측정되는 신체적인 특징에 의해 변화되는 값일 수 있으며, 정신적 가중치는 개인 별로 상이하게 심리가 평가되는 스코어에 의해 변화되는 값일 수 있다.
단계(S16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분석된 건강 평가 정보를 입출력 모듈(3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장치(10)는 점수화된 신체 건강 정보 및 정신 건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장치(10)는 건강 특징 벡터를 사전 검사 정보로서,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치료 영상 정보 또는 제2 테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는 제1 테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 테스트에 대해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치료 영상 정보 및 제2 테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S31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제1 테스트 정보를 출력하고, 이에 대응되어 통증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제1 테스트 정보에 대응하여 통증이 존재한다고 응답받은 경우 제1 기간동안 제1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치료 영상 정보는 제1 테스트 정보에서 통증을 유발시키는 통증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물리 치료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단계(S33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제1 테스트 정보에 대응하여 통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응답받은 경우 제2 테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테스트 정보에 대응하여 통증 존재 여부가 판단되는 통증 범위는 제1 테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통증 범위에 비해 더 좁을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주변을 스캔하고 치료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 주변을 스캔한 이후 치료 동작이 수행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S34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입출력 모듈(300)(예시적으로, 카메라와 같은 영상처리 장치)를 통해 사용자 주변을 스캔할 수 있다.
단계(S35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가 치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 분리 안내 정보를 입출력 모듈(300)(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공간 분리 안내 정보는 사용자가 치료 동작을 수행할 때 방해가 되는 장애물을 사용자 주변에서 제거하도록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다.
단계(S36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가 치료 영상 정보에 대응되는 치료 동작을 수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기 지정된 거리 주변에 장애물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가 치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S37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가 치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가 치료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계속하여 공간 분리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기간이 만료된 후 제1 치료 영상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출력한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통증에 대한 VAS 또는 NRS 점수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제1 기간 전 후의 VAS 또는 NRS 점수를 비교하고, 수신된 전문가 견해, 테스트를 통해 정량화된 사용자의 감정,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사용자의 운동 수행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함으로써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S51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제1 기간 만료 후 통증에 대한 VAS 또는 NRS 점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S52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제1 치료 영상 정보 수신 전 후의 VAS 또는 NRS 점수를 비교할 수 있다.
단계(S53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기간 만료 전 VAS 또는 NRS 점수가 제1 기간 만료 후 VAS 또는 NRS 점수보다 일정 점수 이상 높은 경우, 사용자 장치(10)는 통증 개선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강도가 낮은(또는 개선정도에 맞는)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는 제1 기간 만료 후 통증에 대한 VAS 또는 NRS 점수와 함께 건강 상태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고, 건강 상태 정보, 사전 검사 정보, 및 VAS 또는 NRS 점수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전 검사 정보는 사용자 성향 정보, 병력 정보, 감정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급성 통증 치료 영상 또는 만성 통증 치료 영상을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기간 만료 후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할 때, 사용자가 응답한 통증 정보에 기초하여 급성 통증 치료 영상 및 만성 통증 치료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응답한 통증 정보는 제1 치료 영상 정보 출력 전 사전 검사 정보와 함께 응답된 VAS 또는 NRS 점수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1 치료 영상 출력 후 응답된 VAS 또는 NRS 점수일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54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응답된 VAS 또는 NRS 점수와 미리 지정된 기준 점수를 비교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VAS 또는 NRS 점수는 0점 내지 10점 중 사용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응답된 정보일 수 있고, 기준 점수는 8점일 수 있다.
단계(S550)에서, 사용자 장치(10)는 VAS 또는 NRS 점수가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 급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를 제2 치료 영상 정보(예컨대, 제1 치료 영상에서 제공된 행위를 기존의 통증으로 인해 수행이 불가능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크게 받고 있는 상태)로 결정할 수 있고, 단계(S560)에서, VAS 또는 NRS 점수가 기준 점수보다 낮은 경우 만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를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급성 통증은 갑작스럽게 느껴지는 날카롭고 심한 통증일 수 있고, 만성 통증은 오랜 기간동안 느껴지는 둔한 통증일 수 있다. 급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는 사용자의 급성 통증을 치료할 수 있는 영상 정보이고, 만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는 사용자의 만성 통증을 치료할 수 있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는 VAS 또는 NRS 점수가 기준 점수 초과인 경우, 급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를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할 수 있고, VAS 또는 NRS 점수가 기준 점수 미만인 경우, 만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를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VAS 또는 NRS 점수가 기준 점수와 동일한 경우, 사용자 장치(10)는 사전 검사 정보로 입력된 통증 기간에 따라 급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 및 만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장치(10)는 통증 기간이 제1 임계 값 미만인 경우 급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를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하고, 제1 임계 값 이상인 경우 만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를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1 기간 내지 제4 기간동안 서로 다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는 제1 기간 전 수행되는 테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간동안 치료 영상 1, 치료 영상 3, 및 치료 영상 5 중 어느 하나를 제1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기간이 만료된 후,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응답된 통증 정도에 따라 치료 영상 2, 치료 영상 4, 및 치료 영상 6 중 어느 하나를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장치(10)는 치료 영상 3을 제1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하고, 제1 기간이 도과된 후 통증이 개선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경우 치료 영상 2를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할 수 있고, 통증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경우 치료 영상 4를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2 기간이 도과된 후 제3 기간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치료 영상 정보 및 운동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제3 기간이 도과된 후 제4 기간에서 치료 영상 정보 및 운동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이전 테스트는 현재 테스트보다 더 넓은 신체 부위에 대한 통증 테스트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테스트로 검사할 수 있는 통증부위는 제2 테스트로 검사할 수 있는 통증부위보다 크며, 제2 테스트로 검사할 수 있는 통증부위는 제3 테스트로 검사할 수 있는 통증 부위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테스트는 목의 옆에서 앞으로 위치하는 목빗근 근육의 통증에 관한 테스트이며, 제2 테스트는 목갈비근 근육의 통증에 관한 테스트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제2 테스트에 따라 사용자가 목갈비근 근육의 통증이 있음을 식별하고, 치료영상3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치료 효과가 없거나 통증도가 커진다는 응답을 사용자 장치(10)가 수신하는 경우, 목빗근 근육의 통증에 관한 제1 테스트에 대응되는 치료영상들 중 하나(예컨대, 치료영상2)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는 복수의 테스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치료 영상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치료 효과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이전 테스트에 대응되는 치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0)는 제2 테스트를 제공한 뒤, 치료영상 3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부정적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제1 테스트에 대응되는 치료 영상(예컨대, 치료영상1 또는 치료영상2 )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긍정적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제2 테스트에 대응되는 치료영상(예컨대, 치료영상 4) 또는 이후 테스트(예컨대, 제3 테스트)에 대응되는 치료영상(예컨대, 치료영상 5 또는 치료영상 6)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는 복수의 테스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치료 영상에 대해, 2개 이상의 단계가 높은 VAS 또는 NRS를 수신하는 경우, 이전 테스트에 대응되는 치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치료 영상을 통해 치료를 수행하였음에도 2 단계 이상의 VAS 또는 NRS 점수를 사용자 장치(10)에 입력한 경우, 사용자 장치(10)는 이전 단계의 더 큰 통증을 유발하는 부위의 치료가 부적절했다고 판단하고, 이전 테스트에 대응되는 치료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는 최초의 테스트인 제1 테스트에 대해서 치료영상1을 제공하며, 치료영상1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부정적인 응답, VAS, NRS 및 통증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경우, 급성 치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급성 치료 영상이란 도 8과 함께 전술한 급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에 대응되거나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로 하여금 급성 통증 치료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제4 기간이 도과된 후 사용자 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통증에 대한 VAS 또는 NRS 점수가 일정 점수 이하인 경우, 사용자의 통증이 개선되었으므로 치료 영상 제공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사용자 장치(10)는 VAS 또는 NRS 점수가 일정 점수를 초과한 경우, 사용자의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추가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치료 영상 제공 시스템은 서버(20) 및 사용자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의 구성은 도 1에서 선술된 구성에 대응될 수 있고, 사용자 장치(10)의 통신 모듈(100)은 서버(20)의 통신 모듈(400)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는 프로세서(500) 및 통신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모듈(400)로 사용자의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세서(500)가 사용자의 응답 정보로 테스트 정보 및 치료 영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20)는 통신 모듈(400)을 통해 전문가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환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전 검사 정보 및 통증 정보에 기초하여 전문가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응답된 코멘트 정보를 환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사용자 통증에 대한 치료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통증 정보 및 사전 검사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통증 정보 및 상기 사전 검사 정보에 대응되는 제1 테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제1 치료 영상 정보 및 제2 테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기설정된 제1 기간동안 일정 간격으로 제1 치료 영상 정보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이 만료된 경우, 사용자 상태에 따른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기설정된 제2 기간동안 일정 간격으로 제2 치료 영상 정보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치료 영상 정보 및 제2 테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에 대해 통증이 존재한다고 응답한 경우 상기 제1 치료 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에 대해 통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통증 범위에 비해 좁은 통증 범위에 통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제2 테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간 만료 전 상기 제1 테스트 정보로 입력된 제1 통증 점수와 상기 제1 기간 만료 후 입력되는 제2 통증 점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증 점수가 상기 제2 통증 점수보다 일정 점수 이상 높은 경우, 상기 제1 치료 영상 정보에 비해 강도가 낮은 치료 영상 정보를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증 점수가 기준 점수와 동일한 경우, 사전 검사 정보로 입력된 통증 기간이 제1 임계 값 미만인 경우 급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를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하고, 상기 통증 기간이 상기 제1 임계 값 이상인 경우 만성 통증 치료 영상 정보를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치료 영상 정보에 대한 치료 효과에 대해 부정적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에 대한 이전 테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의 테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치료 영상을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치료 영상 정보에 대한 치료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테스트 정보 및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에 대한 이후 테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의 테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치료 영상을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VAS (Visual Analog Scale) 또는 NRS (Numeral Rating Scale)에 기반하여 사용자로부터 통증에 대해 응답된 점수를 상기 통증 정보로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상태에 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 정보들을 합산한 특징 벡터를 상기 사전 검사 정보로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세부 신체 부위에 대한 통증 순서를 상기 통증 정보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증 순서로 세부 테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료 영상 정보 및 제2 테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에 대해 통증이 존재한다고 응답한 경우 상기 제1 치료 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에 대해 통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 상기 제2 테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간이 만료된 경우, 사용자의 상기 제1 치료 영상 정보에 대한 시청 진행률 및 상기 제1 기간이 만료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통증에 대해 응답된 VAS 또는 NRS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통증 정보와 상기 제1 기간이 만료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응답된 VAS 또는 NRS 점수를 비교하고, 수신된 전문가의 견해, 테스트를 통해 정량화된 사용자의 감정,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사용자의 운동 수행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함으로써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통증 정보에 포함된 VAS 또는 NRS 점수가 기준 점수 초과인 경우 상기 급성 통증 치료 영상을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증 정보에 포함된 VAS 또는 NRS 점수가 기준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만성 통증 치료 영상을 상기 제2 치료 영상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152706A 2021-11-09 2021-11-09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50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706A KR102450543B1 (ko) 2021-11-09 2021-11-09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220122855A KR20230067503A (ko) 2021-11-09 2022-09-27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706A KR102450543B1 (ko) 2021-11-09 2021-11-09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855A Division KR20230067503A (ko) 2021-11-09 2022-09-27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543B1 true KR102450543B1 (ko) 2022-10-06

Family

ID=835973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706A KR102450543B1 (ko) 2021-11-09 2021-11-09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220122855A KR20230067503A (ko) 2021-11-09 2022-09-27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855A KR20230067503A (ko) 2021-11-09 2022-09-27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05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247A (ko) * 2010-01-19 2011-07-27 (주)내안플러스 휴대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US20130310660A1 (en) * 2007-11-14 2013-11-21 Medasense Biometr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pain monitoring using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physiological signals
KR102228056B1 (ko) * 2018-08-31 2021-03-16 주식회사 투곰스 클라우드기반 병원고객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0660A1 (en) * 2007-11-14 2013-11-21 Medasense Biometr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pain monitoring using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physiological signals
KR20110085247A (ko) * 2010-01-19 2011-07-27 (주)내안플러스 휴대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KR102228056B1 (ko) * 2018-08-31 2021-03-16 주식회사 투곰스 클라우드기반 병원고객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503A (ko)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40641A (ja) 仮想現実又は拡張現実を利用した治療的介入のための電子装置及び関連する方法
Şimşek et al. The effects of Nintendo WiiTM-based balance and upper extremity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KR101016429B1 (ko) 시각 인지를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7735747B (zh) 信息处理设备、显示装置、信息处理方法及程序
KR20100015550A (ko) 단일형 시각 및 신경 처리 시험 센터
CA2683725C (en) Unitary vision and neuro-processing testing center
US20170156585A1 (en) Eye condition determination system
CN112973041A (zh) 一种盆底肌肉功能训练方法
US20140354949A1 (en) Interactive platform for health assessment
Klatt et al. Vestibular physical therapy in individuals with cognitive impairment: a theoretical framework
Swinkels et al. The self-generated full body illusion is accompanied by impaired detection of somatosensory stimuli
KR102450543B1 (ko) 사용자 통증 상태에 따른 치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249549B2 (en)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1862109B1 (ko)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
Smith et al. Efficacy of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as a display modality dissociated from self-orientation
Doel et al. Geometric shape detection with soundview
KR102232731B1 (ko) Vr 기술을 이용한 틱장애 치료시스템
Jogi et al. Comparisons of clinically based outcome measures and laboratory-based outcome measure for balance in patients following total hip and knee arthroplasty
KR20190054356A (ko) 가상현실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어지럼증 또는 시각피로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Lambercy et al. Robot-assisted assessment of vibration perception and localization on the hand
KR20150010430A (ko)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70024771A (ko) 치과 환자 행동조절을 위한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Husk et al. Learning to recognize letters in the periphery: Effects of repeated exposure, letter frequency, and letter complexity
WO2022190187A1 (ja) 振動情報提供システム、振動情報提供サーバ装置、振動情報取得装置、振動情報提供方法、振動情報提供用プログラムおよび振動情報取得用プログラム
US71776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biofeedback information for performance of an individual in a gro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