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531B1 -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531B1
KR102450531B1 KR1020200051835A KR20200051835A KR102450531B1 KR 102450531 B1 KR102450531 B1 KR 102450531B1 KR 1020200051835 A KR1020200051835 A KR 1020200051835A KR 20200051835 A KR20200051835 A KR 20200051835A KR 102450531 B1 KR102450531 B1 KR 102450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carbon dioxide
user
uni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474A (ko
Inventor
김동신
Original Assignee
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5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09Sleep detection, i.e.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sleep or 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0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 A61M2016/102Measuring a parameter of the content of the delivered gas
    • A61M2016/103Measuring a parameter of the content of the delivered gas the CO2 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chemical or pharmacological stim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25Carbon oxides, e.g.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27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면 유도시스템은,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혼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가 설정범위를 만족하는 혼합기체를 생성하는 혼합기체 생성부, 상기 혼합기체를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분사하는 배출부, 상기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감지하는 수면상태 감지센서 및 상기 수면상태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수면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혼합기체의 분사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 {SYSTEM FOR INDUCING SLEEP USING CARBON DIOXIDE}
본 기재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로 인한 불면증 증상은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불면증이란 단순히 숙면을 취하는 못하는 증상 외에도, 수면 시간이나 유지의 어려움 또는 자고 일어나서도 쉽게 원기회복 되지 않는 수면장애 증상 등을 포함한다.
불면증 증상이 지속될 경우 피로감과 집중력 저하 및 기분장애, 고통,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이 초래되며, 오래 지속될수록 질환 발병률이 높아진다.
이러한 불면증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면제 복용이 널리 알려져 있다. 수면제는 뇌의 특정 수용체에 강한 충격을 가하여 잠이 들게 하는 것으로 본질적으로 진정제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수면제는 당장의 수면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자주 복용하다 보면 내성이 생겨 더 많은 양을 복용해야 하며, 수면제를 끊을 경우 불면증 증상이 심해지는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수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외부 환경을 조성하여 신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밀폐된 공간 내의 이산화탄소의 높은 농도는 졸음을 유발시킨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2,000 ppm 이상이 되면 졸음을 유발시킨다는 것은 미국 공기질 관련 기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용자가 흡입하는 공기의 이산화탄소를 일시적으로 높임으로써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수면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은,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혼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가 설정범위를 만족하는 혼합기체를 생성하는 혼합기체 생성부, 상기 혼합기체를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분사하는 배출부, 상기 분사되는 혼합기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 센서, 상기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감지하는 수면상태 감지센서 및 상기 수면상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수면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혼합기체의 분사시간을 조절하며, 상기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혼합기체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혼합기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의 설정범위는, 30,000 ~ 40,000 pp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기체 생성부는, 상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이산화탄소를 공기와 혼합하여 상기 혼합기체를 생성하는 혼합부 및 상기 혼합기체를 수용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혼합기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공급부로부터 혼합부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부는 상기 혼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부는, 상기 혼합기체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및 상기 유로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혼합기체를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여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구를 구비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분사부와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부의 일측에는 분사부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측정 신호를 기반으로 유로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부의 일측에는 상기 분사되는 혼합기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혼합기체 생성부에서 공기와 이산화탄소의 혼합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면상태 감지센서는 상기 혼합기체가 설정시간 동안 분사가 이루어진 후에 상기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면상태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혼합기체의 분사를 종료시키고, 사용자가 수면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혼합기체의 분사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다만, 연장될 수 있는 분사 시간의 총합은 소정의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된 혼합기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낮추기 위한 고체산소를 저장하고 상기 고체산소를 주변으로 넓게 퍼뜨리기 위한 확산팬을 구비하는 정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혼합기체의 분사가 종료되면, 상기 정화부의 확산팬을 구동시켜 상기 고체산소를 사용자의 주변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외부 단말기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기 혼합기체의 분사시간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부가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은,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혼합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범위를 만족하는 혼합기체를 생성하고, 상기 혼합기체를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분사하여 수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용자가 흡입하는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일시적으로 높임으로써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통해 혼합기체가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모습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10)은, 혼합기체 생성부(100), 배출부(200), 센서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혼합기체 생성부(100)는, 공급되는 이산화탄소(CO2)와 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범위를 만족하는 혼합기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혼합기체 생성부(100)는 이산화탄소 공급을 위한 공급부(110),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공급받고 혼합기체를 생성하기 위한 혼합부(120), 상기 혼합기체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10)는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혼합부(120)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급부(110)는 고압의 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가스탱크, 가스통 또는 챔버일 수 있다.
상기 공급부(110)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소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110)가 일회용인 경우에는 공급부(11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공급부(110)는 혼합부(120)에 착탈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110)가 재충전이 가능한 다회용인 경우에는 공급부(110)에 이산화탄소의 주입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공급부(110)는 혼합부(120)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140)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140) 상에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145)가 구비되어 배관(140)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밸브(145)는 제어부(400)에 의해 전자적으로 개폐가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밸브(145)의 개도를 조절하여 혼합부(120)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부(120)는 공급부(110)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혼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가 30,000 ~ 40,000 ppm 또는 3 ~ 4 % 를 만족하는 혼합기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부(120)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35,000 ppm 또는 3.5 % 인 혼합기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기 기준으로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1.5 ~ 2.5 %를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졸음을 유발하여 수면 유도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기체가 사용자의 안면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분사되는 과정에서 확산에 의해 농도가 옅어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상기 혼합부(120)에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30,000 ~ 40,000 ppm 또는 3 ~ 4 % 를 만족하는 혼합기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으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1.5 ~ 2.5 % 인 혼합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혼합부(120)에서 생성된 혼합기체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1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져 혼합기체를 수용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통해 혼합기체가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모습의 개략도이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출부(200)는, 저장부(130)로부터 제공받은 혼합기체를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설정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200)는 혼합기체의 이동을 위한 유로부(210)와, 상기 유로부(210)를 통해 전달된 혼합기체의 분사를 위한 분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210)는 일단이 저장부(1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부(220)에 연결되며 그 내부에 마련된 유로를 통해 혼합기체를 분사부(2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유로부(210)는, 분사부(22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설정거리(d)를 조절하거나, 또는 유지시킬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부(210)는, 분사부(22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길이가 연장될 수 있고, 분사부(22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길이가 수축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220)는, 상기 유로부(210)의 타단에 연결되어 유로부(210)를 통해 전달받은 혼합기체를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220)는 혼합기체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구(2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220)는 유로부(21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설정거리(d) 만큼 이격되어 있는 비접촉 상태이며, 이러한 비접촉에 의한 분사를 통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이나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고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00)는 거리측정 센서(310), 농도측정 센서(320) 및 수면상태 감지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부(220)의 일측에는 거리측정 센서(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 센서(310)는, 분사부(22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 센서(310)는 측정된 거리측정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하고, 제어부(400)는 분사부(220)와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가 설정거리(d)를 만족할 수 있도록 유로부(2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서, 상기 분사부(22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설정거리(d)는 25 ~ 35 cm 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30 cm 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거리는 3 ~ 4 %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갖는 혼합기체가 분사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도달하기 까지 확산으로 인해 농도가 옅어질 수 있음을 고려한 것으로서, 혼합기체는 설정거리(d) 만큼 이동하는 동안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옅어져 약 1.5 ~ 2.5 % 의 상태로 사용자의 안면에 도달하게 되고, 사용자는 1.5 ~ 2.5 % 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갖는 혼합기체를 흡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이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농도측정 센서(320)는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여 분사되는 혼합기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농도측정 센서(320)는 분사부(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혼합기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농도측정 센서(320)는 측정한 이산화탄소 농도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하고, 제어부(400)는 이산화탄소 농도 신호를 기반으로 혼합부(120)에서 이산화탄소의 혼합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농도측정 센서(320)는 분사부(220)에서 배출되는 혼합기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35,000 ppm 또는 3.5 % 일 경우, 제어부(400)는 이산화탄소의 혼합 비율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측정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35,000 ppm 또는 3.5% 미만일 경우, 제어부(400)는 이산화탄소의 혼합 비율을 높일 수 있다. 측정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35,000 ppm 또는 3.5 % 초과일 경우, 제어부(400)는 이산화탄소의 혼합 비율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면상태 감지센서(330)는 사용자가 수면상태인지 아닌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면상태 감지센서(3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획득하기 위한 모션센서일 수 있다.
상기 수면상태 감지센서(330)는 사용자의 움직임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하고, 제어부(400)는 움직임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수면여부를 판단 및 결정하여 혼합기체의 분사를 종료하거나, 연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면상태 감지센서(330)가 측정한 움직임 신호를 기반으로, 제어부(400)가 사용자가 수면 상태라고 결정한 경우, 제어부(400)는 혼합기체의 분사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400)가 사용자가 수면 상태가 아니라고 결정한 경우, 제어부(400)는 혼합기체의 분사 시간을 5 분씩 연장시킬 수 있으며, 연장되는 분사 시간의 총합은 최대 30 분을 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10)은 정화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화부(500)는, 배출부(200)를 통해 분사된 혼합기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기 위한 고체산소(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고체산소를 사용자의 주변으로 넓게 퍼뜨리기 위한 확산팬(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배출부(200)를 통해 설정된 시간 동안 혼합기체가 분사된 이후 분사가 종료되면, 상기 정화부(500)의 확산팬을 구동시켜 고체산소를 사용자의 주변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체산소는 사용자의 수면 유도를 위해 대기 중에 고농도로 퍼져있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400)는 외부 단말기(50)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외부 단말기(5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기 혼합기체의 분사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부(200)가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수면 유도시스템
100: 혼합기체 생성부 110: 공급부
120: 혼합부 130: 저장부
200: 배출부 210: 유로부
220: 분사부 300: 센서부
310: 거리측정 센서 320: 농도측정 센서
330: 수면상태 감지센서 400: 제어부
500: 정화부

Claims (10)

  1. 외기를 유입하는 팬;
    상기 외기와 이산화탄소가 혼합된 혼합기체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일 단에 배출부를 가지며 상기 배출부로부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와 관련된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거리 센서; 및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 및 상기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센서를 통하여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일 때, 상기 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유로부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수면 유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센서를 통하여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도록, 상기 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유로부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수면 유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일 때, 상기 팬을 통하여 상기 외기를 유입하는,
    수면 유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센서를 통하여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거리를 조절하는,
    수면 유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센서를 통하여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거리가 증가되면 상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수면 유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는 30cm를 포함하는,
    수면 유도 장치.
  7. 외기를 유입하는 팬 및 상기 외기와 이산화탄소가 혼합된 혼합기체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일 단에 배출부를 가지며 상기 배출부로부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유로부를 포함하는 수면 유도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와 관련된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거리 센서를 통하여 상기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일 때, 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유로부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면 유도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일 때, 상기 팬을 통하여 상기 외기를 유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면 유도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유로부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것은, 상기 거리 센서를 통하여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면까지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거리가 증가되면 상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수면 유도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는 30cm를 포함하는,
    수면 유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051835A 2019-01-28 2020-04-28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 KR102450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835A KR102450531B1 (ko) 2019-01-28 2020-04-28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359 2019-01-28
KR1020200051835A KR102450531B1 (ko) 2019-01-28 2020-04-28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359 Division 2019-01-28 2019-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474A KR20200093474A (ko) 2020-08-05
KR102450531B1 true KR102450531B1 (ko) 2022-10-05

Family

ID=8359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835A KR102450531B1 (ko) 2019-01-28 2020-04-28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5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7674A1 (en) 2002-10-09 2005-10-06 David Burt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nd monitoring sleep quality during therapeutic treatments
US20060185673A1 (en) 2005-02-24 2006-08-24 Restore Medical, Inc. Combination sleep apnea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042A (ja) * 1993-12-13 1995-08-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睡眠誘導装置
KR20000007882U (ko) * 1998-10-08 2000-05-06 김용섭 수면 유도기.
KR100923967B1 (ko) * 2007-04-30 2009-10-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면 유도 방법
KR101820761B1 (ko) * 2016-04-29 2018-01-22 주식회사 벤스랩 수면장애 개선 및 수면유도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7674A1 (en) 2002-10-09 2005-10-06 David Burt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nd monitoring sleep quality during therapeutic treatments
US20060185673A1 (en) 2005-02-24 2006-08-24 Restore Medical, Inc. Combination sleep apnea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474A (ko)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179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
US6920876B2 (en)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nitric oxide to horses spontaneously breathing
US5928189A (en) Activity responsive therapeutic delivery system
US20070044799A1 (en) Modular oxygen regulator system and respiratory treatment system
JP2008501445A (ja) 治療用ガスを患者に送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20038657A1 (en) Oxygen supply apparatus, controller for the oxygen suppl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controller
US20060005842A1 (en) Nasal pressure sensor oxygen therapy device
ATE449625T1 (de) Konservierungsvorrichtung für atemgas
JP2013510677A5 (ko)
US20150101709A1 (en) Electronic oxygen conserver and filling unit
KR102450531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 유도시스템
ES2232916T3 (es) Dispositivo de suministro por impulsos de oxido nitrico a volumen constante.
KR102553417B1 (ko) 호흡용 기체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004151A1 (en) Treatment or Therapy Apparatus
JP7290406B2 (ja) 呼吸用気体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14860316U (zh) 一种输氧管路和供氧系统
KR102219355B1 (ko) 수면 보조 장치 및 수면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7148255A (ja) 呼吸同調装置、酸素供給システム
US20220347418A1 (en) Pulsed oxygen system and process
KR102219354B1 (ko) 수면 보조 장치 및 수면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19353B1 (ko) 수면 보조 장치 및 수면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JPWO2020159148A5 (ko)
GB0221044D0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a person's respiratory muscles
RU24095U1 (ru) Аппарат для лечения апноэ сна
KR20060053814A (ko) 자연산소흡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