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700B1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700B1
KR102449700B1 KR1020170164944A KR20170164944A KR102449700B1 KR 102449700 B1 KR102449700 B1 KR 102449700B1 KR 1020170164944 A KR1020170164944 A KR 1020170164944A KR 20170164944 A KR20170164944 A KR 20170164944A KR 102449700 B1 KR102449700 B1 KR 102449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attern
adhesive
display panel
bottom cove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9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5611A (en
Inventor
박혜란
황재철
박재형
손아람
송켈리수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700B1/en
Publication of KR2019006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6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7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01L51/5246
    • H01L27/32
    • H01L51/52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 1 면에 편광판을 갖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제 2 면 측에 위치하는 바텀 커버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바텀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바텀 커버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 1 접착패턴과 상기 바텀 커버의 변에 위치하는 제 2 접착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착패턴은 연성 비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접착패턴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light emitting diode and having a polarizing plate on a first surface thereof; a bottom cover positioned on the second surface side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adhesive pattern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ottom cover and positioned at a corner of the bottom cover and a second adhesive pattern positioned on a side of the bottom cover, wherein the first adhesive pattern includes a flexible bead To provide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lower elasticity than the second adhesive pattern.

Description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패널의 변형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problem of deformation of a display panel.

새로운 평판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는 자체 발광형이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에 비해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며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박형이 가능하고,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ne of the new flat panel displays, is a self-luminous type, so it has superior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compared t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전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온도범위도 넓으며 특히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DC low voltage driving is possible, the response speed is fast, and since it is all solid, it is strong against external impact, has a wid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and has the advantage of low cost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active matrix type)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화소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압이 스토리지 캐패시터(storage capacitor)에 충전되어 있어, 그 다음 프레임(frame) 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전압을 유지해 줌으로써, 게이트 배선 수에 관계없이 한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발광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동된다. In an active matrix typ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 voltage controlling a current applied to a pixel is charged in a storage capacitor, and the voltage is maintained until the next frame signal is applied. , is driven to maintain the light emitting state while one screen is display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gate wirings.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배면을 덮는 케이스를 포함한다.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case covering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도 1은 종래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panel of a conventional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표시패널(10)은 기판(11)과, 기판(11) 상에 위치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에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D)와, 발광다이오드(D) 상부의 편광판(7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display panel 10 of the conventional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a substrate 11 ,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positioned on the substrate 11 ,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and a light emitting diode (D) to be used, and a polarizing plate (70) on the light emitting diode (D).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11) 상에는 반도체층(20)이 형성된다. 반도체층(20)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emiconductor layer 2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 made of glass or plastic. The semiconductor layer 20 may be made of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or made of polycrystalline silicon.

반도체층(2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26)이 기판(11) 전면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26)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gate insulating layer 26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1 on the semiconductor layer 20 . The gate insulating layer 26 may be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or silicon nitride.

게이트 절연막(26)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30)이 반도체층(20)의 중앙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A gate electrode 3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26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the semiconductor layer 20 .

게이트전극(3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36)이 기판(11) 전면에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36)은 산화 실리콘이나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acryl)과 같은 유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36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1 on the gate electrode 30 .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6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or silicon nitride, or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benzocyclobutene or photo-acryl.

층간 절연막(36)은 반도체층(20)의 양측을 노출하는 제 1 및 제 2 콘택홀(37, 38)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콘택홀(37, 38)은 게이트 전극(30)의 양측에 게이트 전극(3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36 has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37 and 38 exposing both sides of the semiconductor layer 20 .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37 and 38 are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gate electrode 3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ate electrode 30 .

층간 절연막(36)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소스 전극(40)과 드레인 전극(42)이 형성된다. A source electrode 40 and a drain electrode 42 are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6 using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반도체층(20)과, 게이트 전극(30)과, 소스 전극(40)과, 드레인 전극(42)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이룬다.The semiconductor layer 20 , the gate electrode 30 , the source electrode 40 , and the drain electrode 42 form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판(11) 상에는, 제 1 및 제 2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하게 이격하는 파워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on the substrate 11 ,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extending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respectively,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nd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re parallel to any one Power wirings spaced apart may be formed.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은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다. 또한, 화소영역에는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구비된다.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cross each other to define a pixel area,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In addition, a storage capacitor is provided in the pixel area.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42)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52)을 갖는 보호층(50)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덮으며 형성된다.A protective layer 50 having a drain contact hole 52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42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is formed to cover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보호층(50) 상에는 드레인 콘택홀(52)을 통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42)에 연결되는 제 1 전극(60)이 형성된다. 또한, 보호층(50) 상에는 제 1 전극(6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66)이 형성된다. 뱅크(66)은 제 1 전극(60)의 중앙을 노출하는 개구를 갖는다.A first electrode 60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42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52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50 . Also, a bank 66 covering th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60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50 . The bank 66 has an opening exposing the center of the first electrode 60 .

제 1 전극(60) 상에는 발광층(62)과 제 2 전극(64)이 순차 적층된다.A light emitting layer 62 and a second electrode 64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irst electrode 60 .

제 1 전극(60), 제 1 전극(60)과 마주하는 제 2 전극(64), 제 1 및 제 2 전극(60, 64)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62)은 발광다이오드(D)를 이룬다.The first electrode 60 , the second electrode 64 facing the first electrode 60 ,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62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60 and 64 form a light emitting diode D . .

또한, 편광판(70)은 발광다이오드(D) 상부에 위치한다. 발광다이오드(D)의 빛은 제 2 전극(64)을 통과하여 영상이 표시되며, 편광판(70)은 표시패널(10)의 표시면 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편광판(70)은 접착제(72)를 통해 발광다이오드(D)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arizing plate 70 is positioned above the light emitting diode (D).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D passes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64 to display an image, and the polarizer 70 is positioned on the display surfac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 . For example, the polarizing plate 70 may be attach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D through an adhesive 72 .

편광판(70)은 원편광판일 수 있으며, 외부광이 표시패널(10) 내 배선 또는 전극과 같은 구성 요소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외부 명암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polarizing plate 70 may be a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as external light is reflected by components such as wiring or electrodes in the display panel 10 , the external contrast ratio is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표시패널의 휨과 같은 변형 문제로 인해 표시패널이 바텀 커버로부터 분리되거나 표시패널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panel, the display panel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cover or the display panel is damaged due to deformation problems such as bending of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종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의 분리 및/또는 파손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separation and/or damage of a display panel in a conventional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 1 면에 편광판을 갖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제 2 면 측에 위치하는 바텀 커버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바텀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바텀 커버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 1 접착패턴과 상기 바텀 커버의 변에 위치하는 제 2 접착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착패턴은 연성 비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접착패턴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light emitting diode and having a polarizing plate on a first surface thereof; a bottom cover positioned on the second surface side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adhesive pattern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ottom cover and positioned at a corner of the bottom cover and a second adhesive pattern positioned on a side of the bottom cover, wherein the first adhesive pattern includes a flexible bead To provide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lower elasticity than the second adhesive pattern.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바텀 커버의 모서리에 저탄성의 제 1 접착패턴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비대칭 구조에 의해 휨이 발생하는 표시패널의 분리(박리) 또는 손상 문제가 방지된다.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 elastic first adhesive pattern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bottom cover,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panel from being separated (delamination) or damaged due to the asymmetric structure causing warpage.

따라서, 고 신뢰성, 고 내구성의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high reliability and high durability.

도 1은 종래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의 변형과 분리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 1 및 제 2 접착패턴의 연속 도포시 발생하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1 접착패턴, 제 2 접착패턴, 바텀 커버 사이의 접착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panel of a conventional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2A to 2C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blem of deformation and separation of a display panel in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panel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D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blem occurring when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are continuously applied.
8 is a graph show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pattern, the second adhesive pattern, and the bottom cover.
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표시패널의 휨에 의해 표시패널이 바텀 커버로부터 분리되거나 표시패널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는 표시패널의 비대칭적 구조에 의해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he display panel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cover or the display panel is damaged due to the bending of the display panel, which is caused by the asymmetric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즉, 도 1과 함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의 변형과 분리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인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층(90)이 형성된 바텀 커버(90)에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표시패널(10)이 안착되어 전계발광 표시장치가 구성된다.That is, referring to FIGS. 2A to 2C which are schematic drawings for explaining the problem of deformation and separation of the display panel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ogether with FIG. 1 , the bottom cover 90 having the adhesive layer 90 formed along the edge. The display panel 10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s seated to constitute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즉, 표시패널(10)은 그 배면이 바텀 커버(90)에 의해 덮인다.That is,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is covered by the bottom cover 90 .

그런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표시패널(10)은 그 일측, 즉 표시면 측에만 편광판(70)이 위치하는 비대칭적 구조를 갖는다. However, the display panel 10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s an asymmetric structure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70 is located only on one side thereof, that is, on the display surface side.

따라서, 표시패널(10)의 휨(curl)과 같은 변형이 크게 발생하고, 휨에 의한 응력은 표시패널(10)의 모서리에 집중된다. 그 결과, 표시패널(10)이 바텀 커버(80)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Accordingly, a large amount of deformation such as a curvature of the display panel 10 occurs, and stress due to the curvature is concentrated at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10 . As a result,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display panel 1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cover 80 .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 접착제의 면적 증가, 예를 들어 버텀 커버(80)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으나, 이는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무게 증가와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To prevent this problem, the area of the adhesive may increase, for example, the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bottom cover 80 , but this causes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한편, 접착제의 접착력을 증가시켜 표시패널(10)의 분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표시패널(10) 모서리에서의 응력 집중에 의해 표시패널(10)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Meanwhile, the separation problem of the display panel 10 can be solved by increas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but the display panel 10 is damaged due to stress concentration at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10 .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 1 면에 편광판을 갖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제 2 면 측에 위치하는 바텀 커버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바텀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바텀 커버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 1 접착패턴과 상기 바텀 커버의 변에 위치하는 제 2 접착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착패턴은 연성 비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접착패턴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light emitting diode and having a polarizing plate on a first surface thereof; a bottom cover positioned on the second surface side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adhesive pattern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ottom cover and positioned at a corner of the bottom cover and a second adhesive pattern positioned on a side of the bottom cover, wherein the first adhesive pattern includes a flexible bead To provide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lower elasticity than the second adhesive pattern.

본 발명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성 비드는 PMMA(polymethylmetacrylate) 비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비드, 실리콘(silicone) 비드 중 어느 하나이다.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bead is any one of a polymethylmetacrylate (PMMA) bead, a polyurethane bead, and a silicone bead.

본 발명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패턴은 제 1 평균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접착패턴은 상기 제 1 평균 두께보다 작은 제 2 평균 두께를 갖는다.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pattern has a first average thickness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has a second average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average thickness.

본 발명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패턴은 제 1 폭을 갖고 상기 제 2 접착패턴은 상기 제 1 폭보다 작은 제 2 폭을 갖는다.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pattern has a first width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has a second width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본 발명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패턴은 상기 제 1 접착패턴보다 큰 접착력을 갖는다.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dhesive pattern has a greater adhesive strength than the first adhesive pattern.

본 발명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패턴은 상기 모서리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1 접착패턴 내측에 위치한다.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dhesive pattern includes an extension extending to the corner, and the extension is located inside the first adhesive pattern.

본 발명의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모서리에 대응되며 상기 연장부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 비드를 포함하는 제 3 접착패턴을 더 포함한다.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adhesiv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and positioned inside the extension portion and including the flexible bead.

본 발명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패턴에서 상기 연성 비드는 제 1 밀도를 가지며, 상기 제 3 접착패턴에서 상기 연성비드는 상기 제 1 밀도보다 작은 제 2 밀도를 갖는다.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dhesive pattern, the flexible bead has a first density, and in the third adhesive pattern, the flexible bead has a second density smaller than the first density.

본 발명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패턴에서 상기 제 3 접착패턴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다.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pattern has lower elasticity than the third adhesive pattern.

본 발명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과 상기 편광판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패턴과 접촉한다.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substrate and a light emitting diode position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substrat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본 발명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과 상기 바텀 커버는, 상기 제 1 접착패턴에 대응하여 제 1 평균 거리를 갖고 상기 제 2 접착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평균 거리보다 작은 제 2 평균 거리를 갖는다.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bottom cover have a first averag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dhesive pattern and a second average distance smaller than the first averag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dhesive pattern. have a distance

본 발명의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패턴과 상기 제 2 접착패턴은 서로 이격된다.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pattern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panel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발광 표시장치(100)는 편광판(170)이 제 1 측에 배치되고 발광다이오드(D)를 포함하는 표시패널(101)과, 표시패널(101)의 제 2 측에 배치되는 바텀 커버(180)와, 바텀 커버(180)의 모서리에 위치하며 연성 비드(192)를 포함하는 제 1 접착패턴(190)과, 바텀 커버(180)의 변에 위치하는 제 2 접착패턴(194)을 포함한다.3 to 5 ,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display panel 101 having a polarizing plate 170 disposed on a first side and including a light emitting diode D, and a display panel 101. The bottom cover 180 disposed on the second side of the bottom cover 180 ,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bottom cover 180 and including the soft bead 192 , and the bottom cover 180 , located on the side of the bottom cover 180 . and a second adhesive pattern 194 .

즉, 표시패널(101)은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에 의해 바텀 커버(180)에 부착(또는 결합)되며 그 배면이 바텀 커버(180)에 의해 덮여 보호된다.That is, the display panel 101 is attached (or coupled) to the bottom cover 180 by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 and a rear surface thereof is covered and protected by the bottom cover 180 .

표시패널(101)은 기판(110)과, 기판(110) 상에 위치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에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D)와, 발광다이오드(D) 상부의 편광판(170)을 포함한다.The display panel 101 includes a substrate 110 ,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positioned on the substrate 110 , a light emitting diode D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 and an upp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diode D . a polarizing plate 170 of

기판(110)은 유리 기판 또는 플렉서블한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0)은 폴리이미드 기판일 수 있다.The substrate 110 may be a glass substrate or a flexible plastic substrate. For example, the substrate 110 may be a polyimide substrate.

기판(110) 상에는 반도체층(120)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20)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emiconductor layer 12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 The semiconductor layer 120 may be made of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or made of polycrystalline silicon.

반도체층(120)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반도체층(120) 하부에는 차광패턴(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광패턴은 반도체층(120)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도체층(120)이 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반도체층(120)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반도체층(120)의 양 가장자리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When the semiconductor layer 120 is made of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a light blocking pattern (not shown) may be formed under the semiconductor layer 120 , and the light blocking pattern prevents light from being incident on the semiconductor layer 120 to prevent light from being incident on the semiconductor layer 120 . (120) to prevent deterioration by light. Alternatively, the semiconductor layer 120 may be made of polycrystalline silicon, and in this case, both edges of the semiconductor layer 120 may be doped with impurities.

반도체층(12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22)이 기판(110) 전면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22)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gate insulating layer 122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on the semiconductor layer 120 .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may be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or silicon nitride.

게이트 절연막(122)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130)이 반도체층(120)의 중앙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22) 상부에는 게이트 배선(GL)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 1 캐패시터 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배선(GL)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 1 캐패시터 전극은 상기 게이트 전극(130)에 연결될 수 있다.A gate electrode 13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the semiconductor layer 120 . Also, a first capacitor electrode (not shown) of the gate line GL and the storage capacitor Cst may be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 The gate line GL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capacitor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130 .

도 5에서는, 게이트 절연막(122)이 기판(110)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게이트 절연막(122)은 게이트전극(13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수도 있다. In FIG. 5 , the gate insulating film 122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 Alternatively,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may be pattern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gate electrode 130 .

게이트전극(13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36)이 기판(110) 전면에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36)은 산화 실리콘이나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acryl)과 같은 유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136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on the gate electrode 130 . The insulating interlayer 136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or silicon nitride, or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benzocyclobutene or photo-acryl.

층간 절연막(136)은 반도체층(120)의 양측을 노출하는 제 1 및 제 2 콘택홀(137, 138)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콘택홀(137, 138)은 게이트 전극(130)의 양측에 게이트 전극(13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36 has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37 and 138 exposing both sides of the semiconductor layer 120 .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37 and 138 are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gate electrode 13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ate electrode 130 .

도 5에서, 제 1 및 제 2 콘택홀(137, 138)은 게이트 절연막(122) 내에도 형성된다. 이와 달리, 게이트 절연막(122)이 게이트 전극(13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경우, 제 1 및 제 2 콘택홀(137, 138)은 층간 절연막(136) 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In FIG. 5 ,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37 and 138 are also formed in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 Alternatively, when the gate insulating layer 122 is pattern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gate electrode 130 ,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37 and 138 may be formed only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36 .

층간 절연막(136) 상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소스 전극(140)과 드레인 전극(142)이 형성된다. 또한, 층간 절연막(136) 상에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DL)과 전원 배선(PL) 및 제 2 캐패시터 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A source electrode 140 and a drain electrode 142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are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36 . Also, a data line DL, a power line PL, and a second capacitor electrode (not shown)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36 .

소스 전극(140)과 드레인 전극(142)은 게이트 전극(130)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 제 1 및 제 2 콘택홀(137, 138)을 통해 반도체층(120)의 양측과 접촉한다. 데이터 배선(DL)은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게이트 배선(GL)과 교차함으로써 화소영역(P)을 정의하며, 고전위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배선(PL)은 데이터 배선(DL)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와 달리, 파워 배선(PL)은 게이트 배선(GL)과 동일 층에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평행하게 이격하여 위치함으로써, 데이터 배선(DL)과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캐패시터 전극은 소스 전극(140)과 연결되고 제 1 캐패시터 전극과 중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캐패시터 전극 사이의 층간 절연막(136)을 유전체층으로 하여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이룬다.The source electrode 140 and the drain electrode 142 ar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gate electrode 130 and contact both sides of the semiconductor layer 12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37 and 138, respectively. . The data line DL extends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intersects the gate line GL to define the pixel region P, and the power line PL supplying the high potential voltage is spaced apart from the data line DL. Located. Alternatively, the power line PL may be formed to intersect the data line DL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ate line GL on the same layer as the gate line GL. The second capacitor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140 and overlaps the first capacitor electrode to form the storage capacitor Cst using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36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 electrodes as a dielectric layer.

반도체층(120)과, 게이트전극(130), 소스 전극(140), 드레인전극(142)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이루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반도체층(120)의 상부에 게이트 전극(130), 소스 전극(140) 및 드레인 전극(142)이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를 가진다.The semiconductor layer 120 , the gate electrode 130 , the source electrode 140 , and the drain electrode 142 form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is a gate on the semiconductor layer 120 . It has a coplanar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130 , the source electrode 140 , and the drain electrode 142 are positioned.

이와 달리,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반도체층의 하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고 반도체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위치하는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may have an inverted staggered structure in which a gate electrode is positioned under a semiconductor layer and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are positioned above the semiconductor layer. In this case, the semiconductor layer may be made of amorphous silicon.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기판(110) 상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가 더 형성되는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s is further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0 , and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s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130)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의 드레인 전극(미도시)에 연결되고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소스 전극(140)은 파워 배선(PL)에 연결된다. 또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의 게이트 전극(미도시)과 소스 전극(미도시)은 게이트 배선(GL) 및 데이터 배선(DL)에 각각 연결된다.The gate electrode 130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not shown)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s, and the source electrode 140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PL. . In addition, a gate electrode (not shown) and a source electrode (not shown)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nd the data line DL.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142)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146)을 갖는 보호층(144)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덮으며 형성된다.A protective layer 144 having a drain contact hole 146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142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is formed to cover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보호층(144) 상에는 드레인 콘택홀(146)을 통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142)에 연결되는 제 1 전극(160)이 각 화소 영역(P) 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제 1 전극(160)은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16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60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42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d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146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144 to be separated for each pixel region P. The first electrode 160 may be an anode, and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arge work function valu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6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tin-oxide (ITO) or indium-zinc-oxide (IZO).

한편, 제 1 전극(160) 하부에는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은 알루미늄-팔라듐-구리(aluminum-paladium-copper: APC)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 reflective electrode or a reflective layer may be further formed under the first electrode 160 . For example, the reflective electrode or the reflective layer may be made of an aluminum-palladium-copper (APC) alloy.

또한, 보호층(144) 상에는 제 1 전극(16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166)가 형성된다. 즉, 뱅크(166)는 화소영역(P)의 경계에 위치한다. 뱅크층(166)은 화소영역(P)에 대응하여 개구(opening)를 가져 화소영역(P)을 둘러싸며 제 1 전극(160)의 중앙을 노출시킨다.Also, a bank 166 covering th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160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144 . That is, the bank 166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pixel area P. The bank layer 166 has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pixel region P, surrounds the pixel region P, and exposes the center of the first electrode 160 .

제 1 전극(160) 상에는 발광층(162)이 형성된다. 발광층(162)은 인광화합물 또는 형광 화합물과 같은 유기발광물질 또는 양자점과 같은 무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 light emitting layer 162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60 . The light emitting layer 162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uch as a phosphorescent compound or a fluorescent compound, or an in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such as quantum dots.

발광층(162)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지는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의 단일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발광층(162)은 상기 제 1 전극(160)과 발광물질층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및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과, 발광물질층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layer 162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of an emitting material layer made of a light emitting material.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luminous efficiency, the light emitting layer 162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and a hole transporting layer sequentially stack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60 and the light emitting material layer, and a light emitting material. It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sequentially stacked on the layer.

발광층(162)이 형성된 상기 기판(110) 상부로 제 2 전극(164)이 형성된다. 제 2 전극(164)은 표시영역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캐소드(cathode)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극(164)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lMg)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econd electrode 164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on which the light emitting layer 162 is formed. The second electrode 164 is loc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area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small work function value and may be used as a cathode.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164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luminum (Al), magnesium (Mg), and an aluminum-magnesium alloy (AlMg).

제 1 전극(160)과, 제 1 전극(160)과 마주하는 제 2 전극(164)과, 제 1 및 제 2 전극(160, 164)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162)은 발광다이오드(D)를 이룬다.The first electrode 160, the second electrode 164 facing the first electrode 160,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162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0 and 164 are light emitting diodes (D). make up

또한, 편광판(170)은 발광다이오드(D) 상부에 위치한다. 발광다이오드(D)의 빛은 제 2 전극(164)을 통과하여 영상이 표시되며, 편광판(170)은 표시패널(101)의 표시면 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편광판(170)은 제(172)를 통해 발광다이오드(D)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arizing plate 170 is positioned above the light emitting diode (D).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D passes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164 to display an image, and the polarizer 170 is positioned on the display surfac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1 . For example, the polarizing plate 170 may be attach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D through the 172 .

편광판(170)은 원 편광판일 수 있으며, 외부광이 표시패널(101) 내 배선 또는 전극과 같은 구성 요소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외부 명암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polarizing plate 170 may be a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prevents external light from being reflected by components such as wires or electrodes in the display panel 101,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external contrast ratio.

제 1 접착패턴(190)은 연성 비드(192)를 포함하여 저탄성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연성 비드(192)는 PMMA(polymethylmetacrylate) 비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비드, 실리콘(silicone) 비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ncludes the soft bead 192 and has low elastic properties. For example, the soft bead 192 may be any one of a polymethylmethacrylate (PMMA) bead, a polyurethane bead, and a silicone bead.

제 2 접착패턴(194)은 제 1 접착패턴의 접착 성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분들을 포함한다. 즉, 제 2 접착패턴(194)은 연성 비드를 포함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 2 접착패턴(194)의 탄성은 제 1 접착제(190)보다 크다.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includes component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dhesive components of the first adhesive pattern. That is, 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does not include the soft bead, and accordingly, the elasticity of 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adhesive 190 .

예를 들어, 제 2 접착패턴(194) 각각은 바인더, 바인더에 대하여 약 1~5 중량부를 갖는 개시제와, 약 1~5 중량부를 갖는 촉매와, 약 10~20 중량부를 갖는 칙소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며, 제 1 접착패턴(190)은 바인더에 대하여 약 1~10 중량부를 갖는 연성 비드(192)가 더 포함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For example, each of the second adhesive patterns 194 includes a binder, an initiator having about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binder, a catalyst having about 1 to 5 parts by weight,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a thixotropic additive having about 10 to 20 parts by weight. is formed by, and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s formed of a composition that further includes the soft beads 192 having about 1 to 1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binder.

예를 들어, 바인더는 N-acryloyl morpholine (ACMO), isobornyl acrylate(IBOA), 2-phenoxyethyl acrylate, tetraethyleneglycol diacrylate와 같은 아크릴 바인더 및/또는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urethane prepolymer와 같은 우레탄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제는 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spine oxide)일 수 있다. 촉매는 diethanol amine과 dibutyl tin dilaurate(DBTL)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칙소 첨가제는 TiO2, SiO2와 같은 무기 입자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binder may include an acrylic binder such as N-acryloyl morpholine (ACMO), isobornyl acrylate (IBOA), 2-phenoxyethyl acrylate, tetraethyleneglycol diacrylate and/or a urethane binder such as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urethane prepolymer. have. The initiator may be 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spine oxide). As the catalyst, diethanol amine and dibutyl tin dilaurate (DBTL) can be used. Further, the thixotropic additive may be inorganic particles such as TiO2 or SiO2.

칙소 첨가제는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이 큰 형상성을 갖도록 한다. 즉, 접착제의 도포 후에 퍼지는 정도를 줄여,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 각각이 원하는 두께를 갖도록 한다.The thixotropic additive allows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to have great shape. That is, the degree of spreading after application of the adhesive is reduced so th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has a desired thickness.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이 칙소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이 원하는 형상성을 갖지 못하므로 표시패널(101)과 버텀 커버(180)이 완전 합착되어 리워크 공정에 어려움이 발생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do not include a thixotropic additive,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do not have a desired shape, and thus the display panel 101 ) and the bottom cover 180 are completely bonded to each other, causing difficulties in the rework process.

제 1 접착패턴(190)은 바인더에 대하여 약 1~10 중량부의 연성 비드(192)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 1 접착패턴(190)의 탄성이 감소하고 연신 특성이 향상된다. 연성 비드(192)가 1 중량부 미만이면 탄성 감소가 줄어 제 1 접착패턴(190)의 연신 특성이 저하되며, 연성 비드(192)가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 1 접착패턴(190)의 접착 특성이 저하되어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갖기 어렵다.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ncludes about 1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soft beads 192 with respect to the binder, and accordingl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s reduced and the stretching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When the amount of the flexible bead 192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lasticity decrease is reduced, so that the elongation property of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s deteriorated, and when the flexible bead 192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adhesive characteristic of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s This decreases and it is difficult to have a function as an adhesive.

즉, 본 발명의 전계발광 표시장치(100)에 있어서, 바텀 커버(180)의 가장자리에 접착제가 형성되며 접착제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 1 접착패턴(190)과 제 1 접착패턴(190) 사이인 변에 위치하는 제 2 접착패턴(194)을 포함하고, 제 1 접착패턴(190)은 제 2 접착패턴(194)보다 작은 탄성과 접착력을 갖는다.That is,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bottom cover 180 , and the adhesive is between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and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positioned at the corner. It includes a second adhesive pattern 194 positioned on the side, and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has smaller elasticity and adhesive force than 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

또한, 제 1 접착패턴(190)은 제 1 폭(w1)을 갖고 제 2 접착패턴(194)은 제 1 폭(w1)보다 작은 제 2 폭(w2)을 갖는다. 제 1 접착패턴(190)은 제 2 접착패턴(194)보다 작은 접착력을 갖기 때문에, 제 1 접착패턴(190)의 폭을 증가시켜 부족한 접착력을 보완한다. 또한, 제 1 접착패턴(190)은 제 1 평균 두께를 갖고, 제 2 접착패턴(194)은 제 1 평균 두께보다 작은 제 2 평균 두께를 갖는다. Also,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has a first width w1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has a second width w2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w1 . Since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has a smaller adhesive strength than 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 the width of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s increased to compensate for insufficient adhesive strength. In addition,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has a first average thickness,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has a second average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average thickness.

더욱이, 제 1 접착패턴(190)은 낮은 탄성을 가져 연신 특성이 높기 때문에, 표시패널(101)에 휨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표시패널(101)의 분리(박리) 문제가 발행하지 않는다.Furthermore, since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has low elasticity and high elongation characteristics, even if deformation such as bending occurs in the display panel 101 , the problem of separation (peelability) of the display panel 101 does not occur.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의 끝이 서로 연결되어 연속된 라인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ontinuous line.

제 1 접착패턴(190)의 일측 길이는 약 100~200mm일 수 있다. 제 1 접착패턴(190)의 일측 길이가 100mm 미만이면 모서리에서 표시패널(101)의 분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제 1 접착패턴(190)의 일측 길이가 100mm 초과이면 높은 접착력을 갖는 제 2 접착패턴(192)의 면적 감소로 인해 변에서 표시패널(101)의 분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may be about 100 to 200 mm. If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s less than 100 mm, a problem of separation of the display panel 101 may occur at the corner. If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s greater than 100 mm, the second adhesive having high adhesive strength Due to the reduction in the area of the pattern 192 , a problem of separation of the display panel 101 from the side may occur.

전술한 바와 같이, 전계발광 표시장치(100)의 표시패널(101)은 그 일측에만 편광판(170)을 포함하는 비대칭 구조를 갖기 때문에, 표시패널(101)에는 휨과 같은 변형이 일어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play panel 101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0 has an asymmetric structur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170 only on one side thereof, deformation such as warpage occurs in the display panel 101 .

이때, 본 발명에서는, 연성 비드(192)를 포함하여 낮은 탄성과 높은 연신 특성을 갖는 제 1 접착패턴(190)이 표시패널(101)의 모서리에서 표시패널(101)과 버텀 커버(180)을 접착시키기 때문에, 모서리에서 표시패널(101)과 버텀 커버(180)가 분리(박리)되거나 모서리에서 표시패널(101)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ncluding the flexible bead 192 having low elasticity and high elongation characteristics connects the display panel 101 and the bottom cover 180 at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101 . Due to the adhe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101 and the bottom cover 180 from being separated (peeled) from the corners or the display panel 101 from being damaged at the corners.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6A to 6D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커버(180)의 모서리에 연성 비드(192)를 포함하여 제 1 접착패턴(190)을 이루는 제 1 접착제가 도포되고 바텀 커버(180)의 변에 제 2 접착패턴(194)을 이루는 제 2 접착제가 도포된다.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은 제 1 거리(d1)의 간격을 가지며 도포된다. 제 1 접착제는 제 2 접착제보다 큰 폭을 갖도록 도포된다. 또한, 제 1 접착제는 제 1 두께(t1)를 갖도록 도포되고, 제 2 접착제는 제 1 두께(t1)보다 작은 제 2 두께(t2)를 갖도록 도포된다.As shown in FIG. 6A , the first adhesive forming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ncluding the flexible bead 192 is applied to the edge of the bottom cover 180 and the second adhesive is applied to the side of the bottom cover 180 . A second adhesive constituting the pattern 194 is applie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re applied at intervals of a first distance d1. The first adhesive is applied to have a greater width than the second adhesive. In addition, the first adhesive is applied to have a first thickness t1, and the second adhesive is applied to have a second thickness t2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t1.

이때, 제 1 및 제 2 접착제의 도포 순서에는 제한이 없다.At this time,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order of applic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제 1 및 제 2 접착제가 도포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접착제가 퍼지게 되어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은 제 1 거리(d1)보다 작은 제 2 거리(d2)의 간격을 갖게 된다. 이때, 제 2 거리(d2)는 0과 같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d2≥0)When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are applied, as shown in FIG. 6B ,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are sprea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form a second distance d2 smaller than the first distance d1. ) has an interval of In this case, the second distance d2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0. (d2≥0)

이와 달리,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의 끝이 서로 연결되도록, 즉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을 이루는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경우, 접착제가 퍼지면서 큰 두께를 갖는 제 1 접착패턴(190)이 제 2 접착패턴(194)과 중첩되며 제 2 접착패턴(194)을 덮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hesive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is continuously applied so th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when the adhesive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is continuously applied, the adhesive spreads A problem in that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having a thickness overlaps 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and covers 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may occur.

제 1 및 제 2 접착패턴의 연속 도포시 발생하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바텀 커버(180) 상에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포하면, 제 1 및 제 2 접착제가 퍼지면서 제 1 접착패턴(190)의 끝이 제 2 접착패턴(194) 위에 놓이게 된다. 즉,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의 끝이 중첩된다.Referring to FIGS. 7A and 7B , which are drawings for explaining a problem that occurs du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are formed on the bottom cover 180 . When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are continuously applied, the ends of the first adhesive patterns 190 are placed on the second adhesive patterns 194 while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are spread. That is,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overlap.

제 1 접착패턴(190) 및 제 2 접착패턴(194) 각각과 바텀 커버(180) 사이의 접착력 및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하여 아래 표1 및 도 8에 도시하였다. "Sample1"은 제 2 접착패턴(194)과 바텀 커버(180) 사이의 접착력 측정 결과이고, "Sample2"은 제 1 접착패턴(190)과 바텀 커버(180) 사이의 접착력 측정 결과이며, "Sample3"은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 사이의 접착력 측정 결과이다. (단위 [kgf/cm2])By measur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and the bottom cover 180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Table 1 and FIG. 8 below shown in "Sample1"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and the bottom cover 180, "Sample2"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and the bottom cover 180, and "Sample3""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 (Unit [kgf/cm 2 ])

[표1][Table 1]

Figure 112017120655270-pat00001
Figure 112017120655270-pat00001

표1 및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접착패턴(190)은 연성 비드에 의해 접착력이 낮아지지만, 제 1 접착패턴(190)과 바텀 커버(180) 사이의 접착력은 접착신뢰성을 만족하는 범위를 갖는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 간 접착력은 접착신뢰성을 만족하는 범위보다 작다.As shown in Table 1 and FIG. 8,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s lowered by the soft bead, bu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and the bottom cover 180 is satisfactory for adhesive reliability. have a range However,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is smaller than a range satisfying adhesive reliability.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의 중첩에 의해 제 1 접착패턴(190)이 평탄하지 않은 상부면을 갖는 상태에서 표시패널(101)이 부착되며, 제 1 접착패턴(190)과 제 2 접착패턴(194) 간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이 중첩되는 부분에서 표시패널(101)의 합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panel 101 is attach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has a non-flat upper surface by overlapping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and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s attached to the first adhesive pattern. Sinc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pattern 190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is weak, adhesion failure of the display panel 101 may occur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overlap.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접착제가 제 1 거리(d1)만큼 이격되어 도포되며, 그 결과 제 1 및 제 2 접착패턴(190, 194)은 중첩하지 않는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are applied spaced apart by a first distance d1, and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190 and 194 do not overlap.

다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170)을 갖는 표시패널(101)이 제 1 접착패턴(190)과 접촉되면서 바텀 커버(180)에 부착된다. 표시패널(101)의 부착 시점에는, 표시패널(101)이 평탄한 상태를 가져 표시패널(101)은 제 1 접착패턴(190)과 접촉하며 제 2 접착패턴(194)과는 이격된다.Next, as shown in FIG. 6C , the display panel 101 having the polarizing plate 170 is attached to the bottom cover 180 while making contact with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 When the display panel 101 is attached, the display panel 101 is in a flat state so that the display panel 10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

즉, 표시패널(101)의 부착 시점에서, 표시패널(101)은 제 1 접착패턴(190)에 의해 가합착된다. 따라서, 표시패널(101)과 바텀 커버(180)의 얼라인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표시패널(101)을 쉽게 분리하여 리워크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isplay panel 101 is attached, the display panel 101 is temporarily bonded by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 Accordingly, when a problem such as alignment failure between the display panel 101 and the bottom cover 180 occurs, the display panel 101 can be easily separated to perform a rework process.

표시패널(101)과 바텀 커버(180)가 부착된 후에, 표시패널(101)의 비대칭 구조에 의해 표시패널(101)이 휘게 된다. 이때, 제 1 접착패턴(190)은 연성 비드(192)에 의해 높은 연신 특성을 가지며,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착패턴(190)이 연신되면서 모서리에서 표시패널(101)의 분리 또는 파손이 방지된다.After the display panel 101 and the bottom cover 180 are attached, the display panel 101 is bent due to the asymmetric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101 . At this time,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has a high elongation characteristic by the flexible bead 192 , and as shown in FIG. 6D , the display panel 101 is separated from the edge while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is stretched. or breakage is prevented.

결과적으로, 편광판(170) 또는 표시패널(101)은 제 1 접착패턴(190)에 대응하여 바텀 커버(180)과 제 1 평균 간격(거리)를 갖고 제 2 접착패턴(194)에 대응하여 제 1 평균 간격보다 작은 제 2 평균 간격을 갖게 된다.As a result, the polarizing plate 170 or the display panel 101 has a first average distance (distance) from the bottom cover 180 to correspond to the first adhesive pattern 190 an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adhesive pattern 194 . The second average interval is smaller than the first average interval.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발광 표시장치(200)는 편광판(도 5의 170)이 제 1 측에 배치되고 발광다이오드(도 5의 D)를 포함하는 표시패널(도 5의 101)과, 표시패널(101)의 제 2 측에 배치되는 바텀 커버(280)와, 바텀 커버(280)의 모서리에 위치하며 연성 비드(도 4의 192)를 포함하는 제 1 접착패턴(290)과, 바텀 커버(280)의 변에 형성되며 모서리로의 연장부 구비된 제 2 접착패턴(29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9 ,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200 includes a display panel (101 in FIG. 5) having a polarizing plate (170 in FIG. 5) disposed on the first side and including a light emitting diode (D in FIG. 5); , a bottom cover 280 disposed on the second side of the display panel 101, and a first adhesive pattern 290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bottom cover 280 and including a soft bead (192 in FIG. 4); I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ttom cover 280 and includes a second adhesive pattern 294 having an extension to the corner.

즉, 도 3에서 보여지는 제 1 실시예의 전계발광 표시장치(200)에서와 달리, 제 2 접착패턴(294)은 바텀 커버(280)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closed) 형태를 가지며 제 1 접착패턴(290) 내측에 위치한다.That is, unlike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200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3 , the second adhesive pattern 294 has a closed shape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cover 280 and the first adhesive pattern. (290) is located on the inside.

제 1 접착패턴(290)은 연성 비드를 포함하여 탄성이 감소한다. 즉, 제 1 접착패턴(290)은 제 2 접착패턴(294)보다 작은 탄성을 갖는다.The first adhesive pattern 290 includes a soft bead so that elasticity is reduced. That is, the first adhesive pattern 290 has less elasticity than the second adhesive pattern 294 .

제 1 접착패턴(290)은 제 1 폭(w1)을 갖고 제 2 접착패턴(294)은 제 1 폭(w1)보다 작은 제 2 폭(w2)을 갖는다. 또한, 제 1 접착패턴(290)은 제 1 평균 두께를 갖고, 제 2 접착패턴(294)은 제 1 평균 두께보다 작은 제 2 평균 두께를 갖는다. The first adhesive pattern 290 has a first width w1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294 has a second width w2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w1. In addition, the first adhesive pattern 290 has a first average thickness,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294 has a second average thickness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average thickness.

또한, 제 1 및 제 2 접착패턴(290, 294)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Also,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290 and 29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10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발광 표시장치(300)는 편광판(도 5의 170)이 제 1 측에 배치되고 발광다이오드(도 5의 D)를 포함하는 표시패널(도 5의 101)과, 표시패널(101)의 제 2 측에 배치되는 바텀 커버(380)와, 바텀 커버(380)의 모서리에 위치하며 연성 비드(도 4의 192)를 포함하는 제 1 접착패턴(390)과, 바텀 커버(380)의 변에 형성되며 모서리로의 연장부 구비된 제 2 접착패턴(394)과, 모서리에 대응하여 제 2 접착패턴(394) 내측에 위치하는 제 3 접착패턴(396)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0 ,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300 includes a display panel ( 101 in FIG. 5 ) having a polarizing plate ( 170 in FIG. 5 ) disposed on the first side and including a light emitting diode (D in FIG. 5 ); , a bottom cover 380 disposed on the second side of the display panel 101, and a first adhesive pattern 390 positioned at a corner of the bottom cover 380 and including a soft bead (192 in FIG. 4); I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ttom cover 380 and includes a second adhesive pattern 394 provided with an extension to the edge, and a third adhesive pattern 396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adhesive pattern 394 corresponding to the edge. do.

즉, 제 2 접착패턴(394)은 바텀 커버(380)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closed) 형태를 갖고, 제 1 및 제 3 접착패턴(390, 396)은 제 2 접착패턴(394)의 연장부에 대응되며, 제 2 접착패턴(394)의 연장부는 제 1 및 제 3 접착패턴(390, 396) 사이에 위치한다.That is, the second adhesive pattern 394 has a closed shape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cover 380 , and the first and third adhesive patterns 390 and 396 are extended portions of the second adhesive pattern 394 . Corresponding to , the extension of the second adhesive pattern 394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adhesive patterns 390 and 396 .

제 1 및 제 3 접착패턴(390, 396) 각각은 연성 비드를 포함하여 탄성이 감소한다. 즉, 제 1 및 제 3 접착패턴(390, 396) 각각은 제 2 접착패턴(394)보다 작은 탄성을 갖는다.Each of the first and third adhesive patterns 390 and 396 includes a soft bead to reduce elasticity. That is, each of the first and third adhesive patterns 390 and 396 has less elasticity than the second adhesive pattern 394 .

제 1 접착패턴(390)은 제 1 폭(w1)을 갖고, 제 2 접착패턴(294)은 제 2 폭(w2)을 가지며, 제 3 접착패턴(396)은 제 3 폭(w3)을 갖는다. 제 2 폭(w2)은 제 1 및 제 3 폭(w1, w3)보다 작다. 또한, 제 1 폭(w1)은 제 3 폭(w3)과 같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즉,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접착패턴(390)이 제 3 접착패턴(396)보다 큰 폭과 두께로 도포되고, 표시패널(101)의 휨 발생 시 제 1 접착패턴(390)에 의해 표시패널(101) 가장자리의 분리가 방지된다.The first adhesive pattern 390 has a first width w1 , the second adhesive pattern 294 has a second width w2 , and the third adhesive pattern 396 has a third width w3 . . The second width w2 is smaller than the first and third widths w1 and w3. Also, the first width w1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width w3. That is, the first adhesive pattern 390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is applied with a larger width and thickness than the third adhesive pattern 396 , and is displayed by the first adhesive pattern 390 when the display panel 101 is bent. Separation of the panel 101 edge is prevented.

또한, 연성 비드는 제 1 접착패턴(390)에서 제 1 밀도를 갖고 제 3 접착패턴(396)에서 제 1 밀도보다 작은 제 2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접착패턴(390)이 제 3 접착패턴(396)보다 작은 탄성을 가져, 표시패널(101) 끝부분에서 표시패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bead may have a first density in the first adhesive pattern 390 and a second density smaller than the first density in the third adhesive pattern 396 . That is, since the first adhesive pattern 390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has less elasticity than the third adhesive pattern 396 , separation of the display panel from the end of the display panel 101 can be prevented.

또한, 제 1 접착패턴(290)은 제 1 평균 두께를 갖고, 제 2 접착패턴(294)은 제 1 평균 두께보다 작은 제 2 평균 두께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first adhesive pattern 290 has a first average thickness,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294 has a second average thickness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average thickness.

또한, 제 1 및 제 2 접착패턴(290, 294)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Also,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290 and 29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전술한 바와 같이, 바텀 커버의 모서리에 저탄성의 제 1 접착패턴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비대칭 구조에 의해 휨이 발생하는 표시패널의 분리(박리) 또는 손상 문제가 방지된다. 따라서, 고신뢰성, 고내구성의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lasticity first adhesive pattern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ottom cover,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panel from being separated (delamination) or damaged due to the asymmetric structur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high reliability and high durabilit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200, 300: 전계발광 표시장치 101: 표시패널
110: 기판 170: 편광판
180, 280, 380: 바텀 커버 190, 290, 390: 제 1 접착패턴
192: 연성 비드 194, 294, 394: 제 2 접착패턴
396: 제 3 접착패턴
100, 200, 300: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1: display panel
110: substrate 170: polarizing plate
180, 280, 380: bottom cover 190, 290, 390: first adhesive pattern
192: soft beads 194, 294, 394: second adhesive pattern
396: third adhesive pattern

Claims (14)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 1 면에 편광판을 갖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제 2 면 측에 위치하는 바텀 커버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바텀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바텀 커버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 1 접착패턴과 상기 바텀 커버의 변에 위치하는 제 2 접착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착패턴은 연성 비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접착패턴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light emitting diode and having a polarizing plate on a first surface thereof;
a bottom cover positioned on the second surface side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adhesive pattern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ottom cover and positioned at a corner of the bottom cover and a second adhesive pattern positioned on a side of the bottom cover;
The first adhesive pattern includes a soft bead, and has lower elasticity than the second adhesive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비드는 PMMA(polymethylmetacrylate) 비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비드, 실리콘(silicone) 비드 중 어느 하나인 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lexible bead is any one of a polymethylmethacrylate (PMMA) bead, a polyurethane bead, and a silicon be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패턴은 제 1 평균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접착패턴은 상기 제 1 평균 두께보다 작은 제 2 평균 두께를 갖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dhesive pattern has a first average thickness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has a second average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average thickn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패턴은 제 1 폭을 갖고 상기 제 2 접착패턴은 상기 제 1 폭보다 작은 제 2 폭을 갖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dhesive pattern has a first width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has a second width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패턴은 상기 제 1 접착패턴보다 큰 접착력을 갖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adhesive pattern has an adhesive force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adhesive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패턴은 상기 모서리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1 접착패턴 내측에 위치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adhesive pattern includes an extension extending to the corner, and the extension is located inside the first adhesive patter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에 대응되며 상기 연장부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 비드를 포함하는 제 3 접착패턴을 더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hird adhesiv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and positioned inside the extension portion and including the flexible bea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패턴에서 상기 연성 비드는 제 1 밀도를 가지며, 상기 제 3 접착패턴에서 상기 연성비드는 상기 제 1 밀도보다 작은 제 2 밀도를 갖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first adhesive pattern, the flexible bead has a first density, and in the third adhesive pattern, the flexible bead has a second density smaller than the first densit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패턴에서 상기 제 3 접착패턴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having lower elasticity in the first adhesive pattern than in the third adhesive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과 상기 편광판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패턴과 접촉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substrate, and a light emitting diode position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substrat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patter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과 상기 바텀 커버는, 상기 제 1 접착패턴에 대응하여 제 1 평균 거리를 갖고 상기 제 2 접착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평균 거리보다 작은 제 2 평균 거리를 갖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bottom cover have a first averag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dhesive pattern and a second average distance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averag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dhesive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패턴과 상기 제 2 접착패턴은 서로 이격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dhesive pattern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패턴은 제 1 평균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접착패턴은 상기 제 1 평균 두께보다 작은 제 2 평균 두께를 갖고,
상기 편광판과 상기 바텀 커버는, 상기 제 1 접착패턴에 대응하여 제 1 평균 거리를 갖고 상기 제 2 접착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평균 거리보다 작은 제 2 평균 거리를 갖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dhesive pattern has a first average thickness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has a second average thickness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average thickness;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bottom cover have a first averag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dhesive pattern and a second average distance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averag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dhesive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패턴은 연성비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cond adhesive pattern does not include a soft bead.
KR1020170164944A 2017-12-04 2017-12-04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4497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944A KR102449700B1 (en) 2017-12-04 2017-12-04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944A KR102449700B1 (en) 2017-12-04 2017-12-04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611A KR20190065611A (en) 2019-06-12
KR102449700B1 true KR102449700B1 (en) 2022-09-29

Family

ID=6684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944A KR102449700B1 (en) 2017-12-04 2017-12-04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70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9904B (en) * 2020-04-08 2022-05-3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778A (en) * 2000-03-14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34112B (en) * 2007-05-14 2014-04-11 Mitsui Chemicals Inc Support substrate of liquid crystal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1084405A1 (en) * 2009-12-17 2011-07-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lay panel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2036908B1 (en) * 2013-04-19 2019-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778A (en) * 2000-03-14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611A (en)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23188B (en) Stretchable display panel and stretch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1150042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93337B2 (en) Display device
KR102505247B1 (en) Display device
US1034567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condensing means
KR10115590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73780B1 (en) Display device
KR102423407B1 (en) Cover window for foldable display devic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0660322A (en) Display device
KR20170136053A (en) Display device
CN110752295B (en) Flexible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20210183962A1 (en) Stretchable display device
KR10225936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390053B2 (en) Supporting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268092B2 (en) Display device
KR102449700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200074634A (en) Stretchable display device
CN113053948A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10048945A (en) Stretchable display device
GB2612920A (en) Stretchable display device
KR102122528B1 (e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78797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31006B1 (en) Flexible substrate,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66164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10034335A (en) Flexibl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