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956B1 -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 Google Patents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956B1
KR102448956B1 KR1020220080829A KR20220080829A KR102448956B1 KR 102448956 B1 KR102448956 B1 KR 102448956B1 KR 1020220080829 A KR1020220080829 A KR 1020220080829A KR 20220080829 A KR20220080829 A KR 20220080829A KR 102448956 B1 KR102448956 B1 KR 102448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artial discharge
driving
wheel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구
Original Assignee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2Circuits for multi-testers, i.e. multimeters, e.g. for measuring voltage, current, or impedance at wi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은 내부에 배전을 위한 각종 설비가 형성된 육면체의 배전반 함체; 및 복수의 각종 센서가 탑재되고 상기 배전반 함체 각면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부분방전을 진단하는 각종 파라미터를 수집하거나, 수집한 파라미터로 부분방전여부를 확인한 후 IoT 통신으로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멀티센서부재;를 포함하여 멀티센서부재로 부분방전을 판단할 수 있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감지함으로써 부분방전 발생여부 판단에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ECO-FRIENDLY SWITCHGEAR HAVING PARTIAL DISCHARGE DIAGNOSIS FUNCTION AND IOT TECHNOLOGY}
본 발명은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회사의 발전소나 변전소에서 고전압의 전기를 공급받아 큰 빌딩이나 상업시설 또는 공장과 같은 시설 내의 부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하고 간선을 통해 각 위치의 분전반으로 분배하는 배전반에서 발생되는 부분방전을 감지하고, 감지한 부분방전 데이터를 IoT 통신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전반 부분방전 감지 장치의 경우,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부분방전에서 초고주파수(UHF) 하나의 파라미터만을 측정하여 부분방전을 발생을 판단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하나의 파라미터만으로 부분방전 발생을 판단하는 종래의 배전반 부분방전 감지 장치는 실제 부분방전 발생이 아닌 경우 다른 원인으로 발생되는 초고주파수에 대해서도 부분방전으로 판단하게 될 수도 있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배전반 부분방전 감지 센서는 특정 위치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서 발생되는 초고주파수만을 감지하게 되고 따라서 복수개가 설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배전반 부분방전 감지장치는 부분방전을 감지하기 위한 시설투자에 상당한 비용이 소모되게 되는 문제점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3010호(2018.01.23)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분방전이 발생할 때 방출되는 전파, 빛 및 열의 형태인 전자기, 가청 및 초음파 범위의 음향, 오존 및 질소 가스의 산화물, 또는 과도 전류 및 과도 접지 전압(TEV) 등 복수의 파라미터를 멀티센서부재로 측정하여 부분방전을 감지하고, 또한 해당 멀티센서부재를 고정설치하지 않고 배전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부분방전 감지할 수 있는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은 내부에 배전을 위한 각종 설비가 형성된 육면체의 배전반 함체; 및 복수의 각종 센서가 탑재되고 상기 배전반 함체 각면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부분방전을 진단하는 각종 파라미터를 수집하거나, 수집한 파라미터로 부분방전여부를 확인한 후 IoT 통신으로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멀티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의 배전반 함체는 한 쌍의 ㄷ자 구조의 레일이 평행하게 형성되되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이동경로; 상기 멀티센서부재의 이동을 돕기 위해 상기 ㄷ자 구조의 이동경로의 폐쇄된 부분으로 형성된 기어구조를 갖는 래크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의 상기 멀티센서부재는 원통형 구조로 원통형 몸체에 상부에서 디스크 구조의 원형 덮개가 볼트 너트 방식으로 볼트가 체결되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되고 해당 케이스 좌측에 형성된 제1 휠 노출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모듈; 상기 제1 구동모듈과 수직선에 대칭인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우측에 형성된 제2 휠 노출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모듈;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어 부분방전을 판단하기 위한 복수의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멀티센서부재가 상기 이동경로를 주행하도록 상기 제1 구동모듈과 제2 구동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모듈이 감지한 파라미터로 부분방전을 판단하는 제어모듈; 상기 센서모듈이 판단한 부분방전 발생정보를 IoT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구동모듈, 제2 구동모듈, 센서모듈, 제어모듈, 통신모듈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제1 구동모듈은 원통형의 상기 케이스의 덮개와 밑면에 결합되는 수직방향 회전축에 형성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으로 기어니가 형성된 제1 구동휠;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모듈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해당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치합되어있는 상기 제1 구동휠에 전달하는 제1 크라운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모듈은 원통형의 상기 케이스의 덮개와 밑면에 결합되는 수직방향 회전축에 형성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으로 기어니가 형성된 제2 구동휠;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모듈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해당 제2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치합되어있는 상기 제2 구동휠에 전달하는 제2 크라운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휠과 상기 제2 구동휠은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 형성된 제1 휠 노출홀과 제2 휠 노출홀로 일부 노출되어 상기 멀티센서부재의 이동경로 이동시 상기 래크레일과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은 멀티센서부재로 부분방전을 판단할 수 있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감지함으로써 부분방전 발생여부 판단에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은 멀티센서부재를 고정설치하지 않고 배전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고정설치되는 것 보다 멀티센서부재의 설치 개수를 줄임으로써 부분방전 감지를 위한 시설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의 단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의 멀티센서부재에 대한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의 멀티센서부재에 대한 케이스, 내부 투시도, 및 정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의 초고주파수 센서의 프랙탈 구조 안테나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의 멀티센서부재가 이동하는 규칙성 있는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의 멀티센서부재가 이동하는 규칙성 없는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에 부분방전을 감지하기 위한 멀티센서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은 배전반 함체(100), 및 멀티센서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배전반 함체(100)는 내부에 배전을 위한 변압기 등 각종 설비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멀티센서부재(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상기 배전반 함체(100) 가장자리부분을 이동하면서 상기 배전반 함체(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부분방전 발생시 감지되는 파라미터를 감지하여 외부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멀티센서부재(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0), 제1 구동모듈(220), 제2 구동모듈(230), 센서모듈(240), 통신모듈(250), 전원모듈(260), 및 제어모듈(27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낮은 원통형 구조로 원통형 몸체(211)에 상부에서 디스크 구조의 원형 덮개(212)가 볼트 너트 방식으로 볼트가 체결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210)의 몸체 측면으로는 상기 제1 구동모듈(220)과 제2 구동모듈(230)의 제1 구동휠(221)과 제2 구동휠(231) 일부가 노출될 수 있게 제1 휠 노출홀(213)과 제2 휠 노출홀(2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구동모듈(220)은 제1 구동휠(221), 제1 크라운휠(222), 및 제1 구동모터(2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휠(221)은 피니언 기어와 같이 접촉부위에 기어니가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 함체(100)에 형성된 상기 멀티센서부재(200)의 이동경로(11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휠(221)은 중심으로 관통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축은 양단이 각각 상기 원통형의 케이스(210)의 상면과 밑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 구동모터(223)는 상기 제어모듈(26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모듈(25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 크라운휠(222)은 상기 제1 구동모터(223)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해당 제1 구동모터(223)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제1 크라운휠(222)은 상기 제1 구동휠(221)과 치합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223)에서 발생되는 회전력 전달받아 상기 제1 구동휠(221)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멀티센서부재(200)가 상기 배전반 함체(100)에 형성된 이동경로(110)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크라운휠(222)은 상기 제1 구동휠(221)과 치합함에 따라 상기 제1 구동모터(223)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상기 제1 구동모듈(220)은 제1 구동휠(221), 제1 크라운휠(222), 및 제1 구동모터(2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구동모듈(230)은 상술한 제1 구동모듈(220)과 동일하게 제2 구동휠(231), 제2 크라운휠(232), 및 제2 구동모터(233)를 포함하고, 좌우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2 구동모듈(230)과 상기 제1 구동모듈(220)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이동경로(110)를 이동할 때, 방향전환시 상기 제1 구동모터(213)와 상기 제2 구동모터(223)가 상이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받는다.
한편, 센서모듈(240)은 초고주파수<UHF> 센서(241), 음향감지 센서(242), 진동감지 센서(243), TEV 센서(244)를 포함한다.
상기 초고주파수 센서(241)는 부분방전 발생시 동반되는 주파수 영역에서 300MHz~1.5GHz 범위의 극초단파(UHF: Ultra High Freqency)를 감지한다.
상기 초고주파수 센서(2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극초단파를 감지하기 위한 프랙탈 구조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극초단파의 감지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초고주파 센서(241)는 프랙탈 구조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안테나의 반사계수 특성을 개선하고 안테나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초고주파수 센서(241)는 원통형의 상기 케이스(210)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100) 내측으로 위치한다.
상기 음향감지 센서(242)는 부분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音壓) 중에서 30~60KHz 대역의 초음파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모듈(260)은 상기 음압감지 센서(242)가 감지한 음압 중, 40KHz의 음압이 특정 레벨이상이면 부분방전이 배전반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270)은 상기 부분방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250)을 통해 외부 모니터링 서버 또는 단말기로 부분방전 발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 센서(243)는 배전반 내부에서 부분방전 발생시 발생되는 150KHz 대역의 진동이 외관에 전달되는 음향방출에 의한 진동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모듈(270)은 상기 진동감지 센서(243)가 150KHz 대역의 진동이 외관에 전달되는 음향방출에 의한 진동을 감지한 경우 부분방전이 배전반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TEV 센서(243)는 부분방전 발생시 배전반의 표면에 유기되는 전기장의 수간 과도접지 전압신호의 1MHz~30MHz에 상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감지한다.
즉, 상기 TEV 센서(243)는 표면 저항치를 가지는 도체에 유기되는 전하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부분방전을 검출한다.
한편, 상기 통신모듈(250)은 근거리 통신부(251)를 포함하여 IoT 통신을 통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배전반 근거리에 있는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리터링 단말기로 부분방전 데이터를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모듈(250)은 아래의 [표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약 11Km의 커버리지, 8~900MHz~500KHz 주파수 대역, ~100bps 통신속도를 갖는 LoRa(Low Range Wide Area Network) 통신, 약 11Km의 커버리지, 1.4MHz LTE 주파수 대역, ~1Mbps 통신속도를 갖는 LTE-M 통신, 또는 약 15Km의 커버리지, 200KHz LTE 주파수 대역, ~150Kbps 통신속도를 갖는 NB-IOT 통신으로 상기 모리터링 단말기에 부분방전 데이터를 전달한다.
IOT 통신기술 LoRa LTE-M NB-IOT
통신범위 ~11km ~11km ~15km
주파수 대역 8~900MHz
~500KHz
LTE 주파수 1.4MHz ~150Kbps
통신 속도 ~10kps ~1Mbps ~150Kbps
Roaming NO YES YES
배터리 수명 ~10년 ~10년 ~10년
즉, 상기 통신모듈(250)은 도시되지 않은 통신모드 선택부가 구비되어 주변의 통신망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LoRa(Low Range Wide Area Network) 통신, LTE-M 통신, 또는 NB-IOT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선택하여 상기 모리터링 단말기과 통신한다.
상기 통신모듈(2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에 한정되지 않고 원거리 통신부(252)를 포함하여 원거리 통신도 가능하다.
한편,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상기 통신모듈(250)의 송수신 안테나(253)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의 원형 덮개(21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모듈(260)은 상기 멀티센서부재(200)가 배전반 함체(100)의 가장자리 부분 이동하면서 부분방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동모듈(220)의 제1 구동모터(223)와 상기 제2 구동모듈(230)의 제2 구동모터(233)가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어모듈(270)은 상술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모듈(260)의 전원공급의 제어하거나, 상기 센서모듈(240)이 감지한 파라미터를 가지고 부분방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어모듈(270)은 도 5에서 이동경로(110) 중 곡선경로를 통과할 때, 상기 멀티센서부재(20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우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모터(221)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제2 구동모터(233)의 회전을 감속하고, 좌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구동모터(233)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제1 구동모터(221)의 회전을 감속한다.
상기 멀티센서부재(200)가 이동하는 배전반 함체(100)에 형성되는 이동경로(110)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전반 함체(100) 내측면으로는 이동경로(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경로(110)는 ab단면도에 보는 바와 같이 ㄷ자 구조의 레일이 평행하게 형성되되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ㄷ자 구조의 상기 이동경로(110)는 폐쇄된 부분으로 기어구조를 갖는 상기 제1 구동휠(221)과 상기 제2 구동휠(231)과 치합할 수 있게 기어니가 형성된 래크레일(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이동경로(110)는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배전반 함체 내부에 설비들이 설치될 때, 해당 설비들이 배전반 함체 내측면에 연결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연결부분을 회피하여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동경로(110)는 일부경로가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일부경로를 분리하여 개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입출구를 통해 상기 멀티센서부재(200)는 이동경로(110)로 진입하여 이동하고,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도 해당 입출구로 진출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배전반 함체
110 : 이동경로 111 : 래크레일
200 : 멀티센서부재
210 : 케이스 211 : 원통형 몸체
212 : 원형 덮개 213 : 제1 휠 노출홀
214 : 제2 휠 노출홀 220 : 제1 구동모듈
221 : 제1 구동휠 222 : 제1 크라운휠
223 : 제1 구동모터 230 : 제2 구동모듈
231 : 제2 구동휠 232 : 제2 크라운휠
233 : 제2 구동모터 240 : 센서모듈
241 : 초고주파수<UHF> 센서 242 : 음향감지 센서
243 : 진동감지 센서 244 : TEV 센서
250 : 통신모듈 251 : 근거리 통신부
252 : 원거리 통신부 253 : 송수신 안테나
260 : 전원모듈 270 : 제어모듈

Claims (4)

  1. 내부에 배전을 위한 각종 설비가 형성된 육면체의 배전반 함체; 및
    복수의 각종 센서가 탑재되고 상기 배전반 함체 각면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부분방전을 진단하는 각종 파라미터를 수집하거나, 수집한 파라미터로 부분방전여부를 확인한 후 IoT 통신으로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멀티센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멀티센서부재는
    원통형 구조로 원통형 몸체에 상부에서 디스크 구조의 원형 덮개가 볼트 너트 방식으로 볼트가 체결되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되고 해당 케이스 좌측에 형성된 제1 휠 노출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모듈;
    상기 제1 구동모듈과 수직선에 대칭인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우측에 형성된 제2 휠 노출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모듈;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어 부분방전을 판단하기 위한 복수의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멀티센서부재가 이동경로를 주행하도록 상기 제1 구동모듈과 제2 구동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모듈이 감지한 파라미터로 부분방전을 판단하는 제어모듈;
    상기 센서모듈이 판단한 부분방전 발생정보를 IoT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구동모듈, 제2 구동모듈, 센서모듈, 제어모듈, 통신모듈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함체는
    한 쌍의 ㄷ자 구조의 레일이 평행하게 형성되되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이동경로;
    상기 멀티센서부재의 이동을 돕기위해 상기 ㄷ자 구조의 이동경로의 폐쇄된 부분으로 형성된 기어구조를 갖는 래크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모듈은
    원통형의 상기 케이스의 덮개와 밑면에 결합되는 수직방향 회전축에 형성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으로 기어니가 형성된 제1 구동휠;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모듈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해당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치합되어있는 상기 제1 구동휠에 전달하는 제1 크라운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모듈은
    원통형의 상기 케이스의 덮개와 밑면에 결합되는 수직방향 회전축에 형성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으로 기어니가 형성된 제2 구동휠;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모듈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해당 제2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치합되어있는 상기 제2 구동휠에 전달하는 제2 크라운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휠과 상기 제2 구동휠은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 형성된 제1 휠 노출홀과 제2 휠 노출홀로 일부 노출되어 상기 멀티센서부재의 이동경로 이동시 상기 래크레일과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KR1020220080829A 2022-06-30 2022-06-30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KR102448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829A KR102448956B1 (ko) 2022-06-30 2022-06-30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829A KR102448956B1 (ko) 2022-06-30 2022-06-30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956B1 true KR102448956B1 (ko) 2022-09-29

Family

ID=8346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829A KR102448956B1 (ko) 2022-06-30 2022-06-30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818B1 (ko) 2024-02-13 2024-04-24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IoT 기반 열화진단 기능과 블랙박스 영상 저장기능을 갖춘 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010B1 (ko) 2017-09-22 2018-01-30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JP2019135455A (ja) * 2018-02-05 2019-08-15 日新電機株式会社 マルチセンサを用いた部分放電検出装置
KR102224694B1 (ko) * 2019-09-05 2021-03-09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수배전반용 내진 건전성 판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010B1 (ko) 2017-09-22 2018-01-30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JP2019135455A (ja) * 2018-02-05 2019-08-15 日新電機株式会社 マルチセンサを用いた部分放電検出装置
KR102224694B1 (ko) * 2019-09-05 2021-03-09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수배전반용 내진 건전성 판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818B1 (ko) 2024-02-13 2024-04-24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IoT 기반 열화진단 기능과 블랙박스 영상 저장기능을 갖춘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1848B2 (en) Foreign object detection i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KR102448956B1 (ko)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US20150204936A1 (en) Partial discharge sensor
CN1209911A (zh) 具有局部放电检测装置的带金属外壳的开关设备
CN103430220A (zh) 用于无接触地操作车门的传感器单元
CN114509651B (zh) Gis局部放电外置式超声、特高频一体化传感器和检测方法
CN109001600A (zh) 主动式全频段在线局部放电检测方法及系统
EP3719511A1 (en) Sensor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the state of a surge arrester
KR100477505B1 (ko) 절연보호커버가 부착된 부분방전검출 안테나
KR101769673B1 (ko) 전자파 및 접지저항의 모니터링 시스템
JP2013213751A (ja) 車両推進制御装置の異常監視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90036933A (ko) 링패치와 원형패치가 구비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부분방전검출장치
CN202256588U (zh) 检测gis设备放电信号的内置式传感器
CN102520322B (zh) 一种gis局部放电外置式传感器
KR101808849B1 (ko) 수배전반의 열화감지장치
CN215067059U (zh) 一种基于超声波传感器的变压器局部放电位置检测装置
CN202372609U (zh) 超高频传感器安装法兰
CN210664586U (zh) 一种开关柜状态监测传感器组件
CN111505457B (zh) 一种gis局部放电综合在线监测装置
CN106324446A (zh) 检测气体绝缘组合电器局部放电的外置超高频传感器
KR100518370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방전 진단 시스템
CN107807312B (zh) 一种特高频局部放电检测方法
JPH04313074A (ja) 回転電機の異常検出装置
CN111371202A (zh) 无线充电系统的异物检测装置
CN111316540B (zh) 电动机及其滚动轴承的监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