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897B1 - Wearable Gait Assistance Device - Google Patents

Wearable Gait Assistanc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897B1
KR102448897B1 KR1020200112443A KR20200112443A KR102448897B1 KR 102448897 B1 KR102448897 B1 KR 102448897B1 KR 1020200112443 A KR1020200112443 A KR 1020200112443A KR 20200112443 A KR20200112443 A KR 20200112443A KR 102448897 B1 KR102448897 B1 KR 102448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wearing
heel
elastic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4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0747A (en
Inventor
조규진
김기원
유기평
윤성식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897B1/en
Publication of KR2022003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7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아킬레스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분담하고,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과신장을 방지하여, 보행 과정에서 아킬레스건 및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고, 보행을 적절하게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which can reduce the stress applied to the Achilles tendon and the plantar fascia during the walking process by shar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Achilles tendon and preventing overextension applied to the plantar fascia. , it has the effect of appropriately assisting walking.

Description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Wearable Gait Assistance Device}Wearable Gait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은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하는 과정에서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의 부하를 낮추거나 분담하게 하여 각 요소에 발생되는 변형을 감소시켜 개별 보행 과정을 안전하게 보조할 수 있는 착용형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reducing or sharing the load on the plantar fascia and Achilles tendon in the process of walking, thereby reducing the deformation generated in each element and safely assisting the individual walking process. It relates to wearable assistive devices.

걷기, 달리기 및 전력 질주는 일정 방향으로 각각 필요 속도를 유지하며 신체를 움직이거나 일정 거리를 비교적 빠른 시간 혹은 최단시간에 도달하기 위해 신체를 극한으로 구동하여 움직이는 운동이다. 각 보행의 주기는 크게 지지기(stance phase)와 체공기(swing phase)로 구분된다. 지지기 동안에는 발이 지면에 닿아있고, 체공기 동안에는 같은 발이 지면에서 떨어져 앞으로 나아간다. 이 두 주기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보면, 지지기는 닿기(landing), 지지중기(mid stance), 이지(toe off)로 구분되고, 체공기는 가속기(acceleration), 체공중기(midswing), 감속기(deceleration)로 구분된다. 특히 닿기 시점에서 앞 발이 먼저 닿는지(forefoot strike), 뒤꿈치가 먼저 닿는지(heel strike)에 따라 보행을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에 따라 무릎, 발목에 가해지는 부하의 양상이 달라진다.Walking, running, and sprinting are motions in which the body is moved in a certain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required speed, respectively, or the body is driven to an extreme in order to reach a certain distance in a relatively quick time or the shortest time. Each gait cycle is largely divided into a stance phase and a swing phase. During the support phase, the foo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during the hold phase, the same foot is lifted off the ground and moved forward. If these two cycles are divided in detail, the support phase is divided into landing, mid stance, and toe off. is divided into In particular, gai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forefoot strikes or the heel strikes first at the time of contact, and the load applied to the knee and ankle varies according to each.

일반적인 달리기와 걷기의 경우 주로 뒤꿈치가 먼저 땅에 닿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는 곧 무릎에 지면반력과 근육의 수축력에 의해 큰 하중을 야기한다. 반면, 최단시간에 정해진 거리의 주파를 목표로 하는 전력 질주는 최상의 기록 성취를 위해 지면 닿기 시간의 최소화에 적합한 앞 발 닿기(forefoot strike)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일반적인 뒤꿈치 닿기(heel strike)와 달리 무릎이 아닌 발, 발목에 큰 충격을 주며 특히 이러한 강한 하중은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을 단시간에 큰 부하에 노출시켜 과한 신장을 야기한다. In the case of general running and walking, the heel mainly touches the ground first, which causes a large load on the knee by the ground reaction force and the muscle contraction force. On the other hand, sprinting, aiming to reach a set distance in the shortest time, is achieved through a forefoot strike, which is suitable for minimizing ground contact time to achieve the best record. It gives a great impact to the feet and ankles, and in particular, such a strong load exposes the plantar fascia and Achilles tendon to a large load in a short time, causing excessive elongation.

걷기 보다 큰 하중과 지면반력을 유발하는 달리기와 전력 질주는 모두 족저근막염과 아킬레스건염을 유발하는데, 큰 하중에 노출된 각 요소는 과신장에 대한 반복된 노출을 겪게되고, 이로 인해 그러한 질병들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은 종골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아킬레스건을 통해 전달되는 종아리 근육의 힘이 족저근막에 영향을 미치는 형태의 운동형상학적 사슬을 갖추며, 이러한 원리로 두 요소는 공통된 부상의 원리를 공유하게 된다.Running and sprinting, both of which produce loads greater than walking and ground reaction forces, cause plantar fasciitis and Achilles tendinitis, with each component exposed to a greater load undergoing repeated exposure to hyperextension, which in turn causes these diseases. known to be In particular, the plantar fascia and Achilles tendon are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e calcaneus, and the calf muscle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Achilles tendon has a kinematic chain in the form of affecting the plantar fascia. principles will be shared.

발은 보행의 충격과 효율성을 위해 발 뒷부분의 종골과 발가락 뿌리에 해당되는 종족부 사이에 자연스러운 아치(arch)를 형성하고, 그 저부에 족저근막이 스프링처럼 형성되어 아치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종골과 넙치근, 비복근을 아킬레스건이 스프링처럼 연결하게 되며, 스프링과 같은 작용을 통해 종아리 근육이 발생하는 힘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한다. The foot forms a natural arch between the calcaneus at the back of the foot and the foot part corresponding to the toe root for the impact and efficiency of walking, and the plantar fascia is formed at the bottom like a spring to support the arch. In addition, the Achilles tendon connects the calcaneus, flounder, and gastrocnemius muscles like a spring, and through a spring-like action, the force generated by the calf muscle can be efficiently used.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뼈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앞쪽으로 5개의 가지를 내어 발가락 기저부 위에 붙은 두껍고 강한 섬유띠를 일컫는 것으로,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발을 들어 올리는 데 도움을 주어 보행 시 발의 역학 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족저근막에 미세 손상을 입어 근막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변성이 유발되고 염증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를 족저근막염이라 한다. 따라서 족저근막을 보호하고 보행시 발의 피로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발에 편안하게 신을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The plantar fascia is a thick, strong fibrous band attached to the base of the toes, starting from the heel bone and branching out into the front of the foot with 5 branche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echanics of the foot during gait. Microscopic damage to the plantar fascia causes degeneration of collagen that composes the fascia and causes inflammation, which is called plantar fasciitis.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the plantar fascia and reduce foot fatigue during walk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that can be worn comfortably on the foot has been developed.

아킬레스건은 종아리 근육에서 시작해 발뒤꿈치뼈를 연결하는 두껍고 강한 섬유로, 종아리 근육의 힘을 전달해 발을 들어 올리는데 도움을 주어 보행 과정 중 땅을 박차고 전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아킬레스건 역시 미세 손상을 입어 건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변성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변성이 심화되며 염증이 되면, 이를 아킬레스건염이라 한다. 이러한 아킬레스건의 역할을 보조하고 보행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아킬레스건과 평행하게 스프링을 배치하고, 그 끝을 신발 뒷부분에 연결해 보행간 스프링의 신장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이지(toe off) 과정간 그 에너지를 방출하는 형태의 발에 신을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The Achilles tendon is a thick and strong fiber that starts from the calf muscle and connects the heel bone. This Achilles tendon is also micro-damaged, causing degeneration of collagen constituting the tendon, and when such degeneration deepens and becomes inflamed, it is called Achilles tendinitis.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the role of the Achilles tendon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walking, a spring is placed parallel to the Achilles tendon, and its end is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shoe to store energy through elongation of the spring during walking and toe off process. A walking aid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foot of a type that emits that energy has been develop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보행 보조 장치는 대부분 신발의 깔창 형태 혹은 신발 위에 덧붙이는 부가적인 기계 요소의 형태로 형성되어, 발바닥을 편안하게 받쳐주거나 이지 과정에서 근육이 내야하는 힘을 기계적 요소를 통한 대체 기능만 있을 뿐,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이 형성하는 운동형상학적 사슬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있기에 도리어 다른 요소의 부담을 가중하는 형태로 착용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most of these conventional walking assistance devices are formed in the form of an insole of a shoe or in the form of an additional mechanical element added to the shoe, so that the sole function is to support the sole comfortably or to replace the force that the muscle has to exert during the lifting process through a mechanical element. However, since the kinematic chain relationship formed by the plantar fascia and the Achilles tendon is not conside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arer's safety may be threatened in the form of increasing the burden of other factors.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847호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81847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걷기, 달리기, 전력 질주 과정에서 족저근막에 발생할 수 있는 하중을 감소시키고, 아킬레스건을 통해 전달되어야하는 종아리 근육의 힘을 대체하며, 두 요소의 강성을 보강해 보행 과정을 안전하게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형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to reduce the load that can occur on the plantar fascia during walking, running, and sprinting, and to replace the force of the calf muscle that must be transmitted through the Achilles tendon, The goal is to provide a wearable assistive device that can safely assist the walking process by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two elemen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발목착용부; 착용자의 발뒤꿈치와 발등을 일체로 감싸도록 착용되는 발뒤꿈치착용부; 착용자의 발볼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발볼착용부; 및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부를 경유하되 일측은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발볼착용부에 연결되는 압력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전달수단은,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부와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 1 압력을 가하고,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부와 상기 발볼착용부의 후방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 2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kle wearing part that is worn to wrap the wearer's ankle; Heel wearing portion worn to integrally wrap the wearer's heel and instep; a ball wearing part worn to wrap the ball of the wearer's feet; and a pressure transmitting means pass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ing part, one side being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the other side being connected to the ball wearing part, and the pressure transmitting means being,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ing part and the Provide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ressur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ar of the ankle wear part approaches each other, and the second pressur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 part and the rear of the ball wear part approach each other do.

또한, 상기 압력전달수단은: 일측은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측을 지나 상기 발볼착용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 장착되는 제 1 탄성부; 및 일측은 상기 제 1 탄성부의 일측에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발볼착용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 2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부는,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부와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 사이에 상기 제 1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탄성부는,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부와 상기 발볼착용부의 후방 사이에 상기 제 2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sure transmitt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elastic part having one sid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oot ball wearing part past the lowe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and the other side being mounted on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one side is extended to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second elastic part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ll wear part, the first elastic part,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 part and the rear of the ankle wear part It is configured to apply a first pressure, and the second elastic part provide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pply the second pressure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able part and the rear of the toe ball wear part. .

또한, 상기 제 1 탄성부가 신장되도록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탄성부는 착용자의 아켈레스건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압력을 가하고, 상기 제 2 탄성부가 신장되도록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2 탄성부는 착용자의 족저근막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so that the first elastic part is stretched, the first elastic part applies the first pressu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chilles tendon of the wearer is contracted, and whe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so that the second elastic part is stretched, the The second elastic unit provide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applies the second pressu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antar fascia of the wearer is contracted.

또한,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측에는 안내튜브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전달수단은 상기 안내튜브를 지나가면서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부를 경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guide tub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el wearable part, and the pressure transmitting means provide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able part while passing the guide tube.

또한, 상기 발볼착용부, 상기 발뒤꿈치착용부 및 상기 발목착용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ball wear part, the heel wear part, and the ankle wear part.

또한, 상기 연결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발볼착용부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발목착용부의 전측에 위치되고,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일측은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ll wear part, the other e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ankle wear part, one side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the heel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wearable part

또한, 상기 발목착용부의 전측에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uid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ankle wearing portion so as to be slidable with th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inserted.

또한, 착용자의 발가락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발가락착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가락착용부와 상기 발볼착용부는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oe wearing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wearer's toes, and the toe wearing part and the ball wearing part are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또한, 착용자의 발가락 사이 사이에 끼워지도록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발가락착용부를 더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발가락착용부의 양 단부는 상기 발볼착용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providing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oe wearing parts arranged in parallel to fit between the wearer's toes, wherein both ends of each of the toe wearing parts are connected to the toe ball wear part do.

또한, 상기 발목착용부의 내주연 또는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내주연 또는 상기 발볼착용부의 내주연에 착용자의 피부와 밀착되도록 밀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art is provid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ankle wear part or the inner periphery of the heel wear part or the ball wear part.

또한, 상기 발목착용부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결속부가 구비되되, 상기 결속부는 상기 발목착용부의 형태 변형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binding par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the binding part provide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limit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ankle wear part.

또한,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후측에 한 쌍의 결합안내부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발목착용부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양 단부는 상기 발목착용부의 전측에서 상호 크로스된 후, 한 쌍의 상기 결합안내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결합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pair of coupling guide portion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rea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and ar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kle wear part, and both ends are crossed at the front side of the ankle wear part, then the pair of the It provide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strap extending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guide, respectively.

또한, 상기 발목착용부의 전측에는 상기 결합스트랩의 크로스된 부분이 안내되도록 스트랩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ront side of the ankle wearing part provide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p guide portion is formed to guide the crossed portion of the coupling strap.

또한, 상기 발목착용부의 하부 양측에는 착용자의 바깥복사뼈와 안복사뼈가 각각 안내되도록 한 쌍의 안내홈이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안내홈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pair of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ankle wearer to guide the wearer's outer and inner ankle bones,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guide groov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provide auxiliary devices.

또한,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 장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신장되도록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부재가 외부 압력이 가해진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mounted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whe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so that the first elastic part is elastically deformed and stretched, the fixing member is the first elastic part to which th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1 It provide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ix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art.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 양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돌출부와, 한 쌍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 장착되되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은 상기 회전축을 감싼 상태로 유턴되어 상기 발뒤꿈치착용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1 탄성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신장되도록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신장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에 밀착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a pair of protrusions provided to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a rotation shaft mounted between the pair of projections and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rotating on the rotation shaft It includes a pressing part installed to be possibl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is U-turned while surrounding the rotation shaft and is positioned to face the heel wearing part direction, and the first elastic part is elastically deformed and stretched while the first elastic par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r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is extended away from the rotation shaft, and the pressing part is rota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to fix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It provide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와, 한 쌍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 장착되되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서 멀어지도록 회전되면, 상기 제 1 탄성체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회전축 사이를 지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탄성체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회전축 사이를 지나가도록 위치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과 가까워지도록 회전되되,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 1 탄성체를 가압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a pair of protrusions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a rotation shaft mounted between the pair of projection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and a pressing part that becomes a pressing part, and when the pressing part is rotated away from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the first elastic body is configured to pass between the projection part and the rotation shaft, and the first elastic body is configured to pass between the projection part and the rotation shaft. When positioned to pass, the pressing part is rotated to be closer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provide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art presses and fixes the first elastic body.

본 발명은 제 1 탄성부를 이용하여 종아리 근육이 내야하는 힘을 일정량 대체해 아킬레스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분담하고, 제 2 탄성부를 이용하여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과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har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Achilles tendon by replacing a certain amount of force exerted by the calf muscle using the first elastic part, and preventing overextension applied to the plantar fascia by using the second elastic part.

또한, 압력전달수단은 횡단아치(Transverse arch)를 조여주도록 하여 내측세로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의 강성이 강화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체중의 몇 배에 해당하는 하중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transmitting means tightens the transverse arch to strengthen the rigidity of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and through this, the effect of enabling more safely supporting a load corresponding to several times the body weight there is

또한, 보행 주기 중 지지주기에서 발끝밀기로 이동될 때, 압력전달수단이 전달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아킬레스건이 전달해야 하는 힘을 대체하도록 하여, 관절 운동이 용이해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착용자의 보행을 적절하게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moving from the support cycle to the toe push during the gait cycle, the pressure transmitted by the pressure transmitting means is used to replace the force to be transmitted by the Achilles tendon, so that the joint movement is facilitated, thereby improving the walking of the wearer. Appropriately assist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측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후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제 1 탄성부가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제 1 탄성부가 외부 압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면서 신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제 2 탄성부가 신장되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제 2 탄성부가 신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제 2 탄성부가 신장되지 않아 족저근막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제 2 탄성부가 신장되어 족저근막에 압력을 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보행 과정에서 아킬레스건 및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도식화 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실제 샘플을 촬영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실제 샘플의 측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가 착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고정부재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고정부재가 클로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발가락착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발목착용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발가락착용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조임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of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ear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Figure 3 (b)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is elastical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and stretched.
Figure 4 (a)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lastic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tretched, Figure 4 (b)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lastic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tretched.
FIG. 5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no pressure is applied to the plantar fascia because the second elastic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tretched, and FIG. 5(b)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lastic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etched to apply pressure to the plantar fascia.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stress applied to the Achilles tendon and plantar fascia during a walking process.
7 is a view illustrating an actual sample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n actual sample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a wearer's feet.
Figure 11 (a)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ixing member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b) is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losed.
12 is a view illustrating a toe wearing part of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kle wearable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toe wearing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illustrating a tightening part of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측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후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ide of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rear view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n a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100)는 발목착용부(110), 발뒤꿈치착용부(120), 발볼착용부(130), 연결부(150), 고정부재(140) 및 압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1 and 2,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kle wearable part 110, a heel wearable part 120, a foot ball wearable part 130, It includes a connection part 150 , a fixing member 140 and a pressure transmission means.

발목착용부(110)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며, 직물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발목착용부(110) 및 후술하는 발뒤꿈치착용부(120) 및 발볼착용부(130)의 안쪽은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맞닿도록 착용되므로,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목착용부(110)는 착용자의 발목의 외주연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발목착용부(110)의 길이는 발목의 외주연 길이보다 더 길도록 형성되어, 발목착용부(110)의 단부는 밸크로 등을 이용하여 발목착용부(110)의 외주연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ankle wearing unit 110 is made of synthetic resin, etc., and may be formed of a fabric. Since the inside of the ankle wear part 110 and the heel wear part 120 and the ball wear part 130 to be described later are worn in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it is to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wearer does not feel discomfort. desirable. The ankle wearing unit 110 is formed to surround the entire outer periphery of the wearer's ankle. The length of the ankle wear part 11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outer periphery length of the ankle, and the end of the ankle wear part 110 is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kle wear part 110 using Velcro, etc. can be mounted

발뒤꿈치착용부(120)는 착용자의 발뒤꿈치와 발등을 일체로 감싸도록 착용된다. 발뒤꿈치착용부(1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발뒤꿈치와 발등의 양측에 각각 착용될 수도 있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발뒤꿈치와 발등을 일체로 감싸도록 착용될 수도 있다. The heel wearing part 120 is worn so as to integrally cover the heel and the back of the wearer's heel. The heel wearing part 120 may be configured as a pair and may be worn on both sides of the wearer's heel and the back of the foot,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may be worn to integrally cover the heel and the back of the wearer's heel have.

발볼착용부(13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발볼을 일체로 감싸도록 착용된다. 발볼착용부(130)는 발볼을 감싸되, 그 후측은 발볼보다 약간 후측에 착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후측, 후방이라 함은 착용자의 발가락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일컫고, 전측, 전방이라 함은 착용자의 발가락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을 일컫는다.The ball wearing part 13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is worn to integrally surround the ball of the wearer's foot. The ball wearing part 130 wraps around the ball of the foot, and the rear side thereof may be worn slightly behind the ball of the foot.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ar and rear refer to directions away from the wearer's toes, and front and front refer to directions closer to the wearer's toes.

연결부(15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며, 발볼착용부(130)의 상측과 발뒤꿈치착용부(120)의 상측과 발목착용부(110)의 상측을 일체로 연결시킨다. 이처럼 연결부(150)가 발볼착용부(130), 발뒤꿈치착용부(120) 및 발목착용부(110)에 연결되므로, 이들 발볼착용부(130), 발뒤꿈치착용부(120) 및 발목착용부(110)는 일체로 연결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연결부(150)의 상측은 발목착용부(110)의 상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착용자가 발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연결부(150)의 상측이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발목착용부(110)의 상측에는 슬라이딩안내부(112)가 덮어지고, 연결부(150)의 상측은 발목착용부(110)와 슬라이딩안내부(11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50 is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egrally connects the upper side of the foot ball wearing part 130 and the uppe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120 and the upper side of the ankle wearing part 110 . As such, since the connection part 150 is connected to the ball wear part 130, the heel wear part 120 and the ankle wear part 110, these ball wear parts 130, the heel wear part 120 and the ankle wear part 110 is integrally connected, and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transport and storage.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150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ankle wearing part 110,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150 can be easi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wearer rotates the foot in the vertical direction. . To this end, the sliding guide part 112 is covered on the upper side of the ankle wearing part 110, and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part 150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ankle wearing part 110 and the sliding guide part 112, and moves up and down. It can be configured to be possible.

상기 압력전달수단은 발뒤꿈치착용부(120)의 하부와 상기 발목착용부(110)의 후방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 1 압력을 가하고, 발뒤꿈치착용부(120)의 하부와 발볼착용부(130)의 후방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 2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160) 및 제 2 탄성부(162)를 포함하며 후술하기로 한다.The pressure transmitting means applies a first pressu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ing part 120 and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110 ar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ing part 120 and the toe ball wearing part ( The second pressur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ar of the 130 ) approach each other, for example, including the first elastic part 16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62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제 1 탄성부가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제 1 탄성부가 외부 압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면서 신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제 2 탄성부가 신장되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제 2 탄성부가 신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a)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Figure 3 (b)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is elastical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and stretche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a) is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lastic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example is not stretched, and FIG. 4 (b) is a second view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part is stretch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2 탄성부(162)는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은 제 1 탄성부(16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발볼착용부(130)의 하측에 연결된다. 제 2 탄성부(162)는 후술하기로 한다.3 and 4, the second elastic part 162 is formed of,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160, and the other side is a foot ball wearing part.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130 . The second elastic part 162 will be described later.

제 1 탄성부(160)는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의 탄성체, 케이블 등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탄성부(160)의 일측은 발뒤꿈치착용부(120)의 하측을 지나 발볼착용부(130)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2 탄성부(162)에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고정부재(140)에 고정된다. 그리고 발뒤꿈치착용부(120)의 하측에는 한 개 이상의 안내튜브(122)가 형성되어, 제 1 탄성부(160)의 일측은 안내튜브(122)와 발뒤꿈치착용부(120)의 하측 사이 공간을 지나 제 2 탄성부(162)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처럼 제 1 탄성부(160)가 발뒤꿈치착용부(120)와 안내튜브(122) 사이로 안내되므로, 제 1 탄성부(160)는 발뒤꿈치착용부(120)에서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elastic part 160 is formed of, for example, an elastic body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a cable, or the like, and has a long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160 is extended in the direction of the foot ball wearing part 130 past the lowe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12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astic part 162, and the other side is a fixing member 140 to be described later. ) is fixed to And one or more guide tubes 122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120 , and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160 is a space between the guide tube 122 and the lowe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120 . It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lastic part 162 passing through. As such, since the first elastic part 160 is guided between the heel wearing part 120 and the guide tube 122 , the first elastic part 160 easily slides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in the heel wearing part 120 . there is

고정부재(140)는 발목착용부(110)의 후방에 장착되는 것으로, 발목착용부(110)의 후방 양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돌출부(142)와, 한 쌍의 돌출부(142) 사이에 장착되되 발목착용부(110)의 후방에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회전축(144)과, 회전축(14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146)를 포함한다. 그리고 발뒤꿈치착용부(120)의 하측에서 발목착용부(1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탄성부(160)의 타측은 회전축(144)을 감싼 상태로 유턴되어 발뒤꿈치착용부(120)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다.The fixing member 140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110, between a pair of protrusions 142 and a pair of protrusions 142 provided to protrude on both rear sides of the ankle wearing part 110. It is mounted on a rotating shaft 144 that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110, and includes a pressing part 146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144.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160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120 in the direction of the ankle wearing part 110 is U-turned in a state surrounding the rotation shaft 144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heel wearing part 120. positioned to face

이 상태에서, 도 3의 (b)와 같이, 착용자가 제 1 탄성부(160)의 타측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 1 탄성부(160)가 탄성 변형되면서 신장 즉, 늘어나도록 제 1 탄성부(160)의 타측에 외부 압력을 가하게 되면, 제 1 탄성부(160)의 타측은 회전축(144)으로부터 하방으로 멀어지도록 신장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부(146)가 제 1 탄성부(160)의 타측에 밀착되도록 회전되어, 제 1 탄성부(160)의 타측을 고정시킨다. 그러면, 착용자의 아켈레스건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발뒤꿈치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b) of FIG. 3 , 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 hold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160 by hand, the first elastic part 16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stretched, that is, the first elastic part is stretched.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rt 160 ,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160 is extended downwardly away from the rotation shaft 144 . In this state, the pressing part 146 is rota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160 to fix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160 . Then, the heel is moved rearwar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chilles tendon of the wearer is contracted.

그 후, 착용자가 보행을 하는 도중, 착용자의 아킬레스건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발뒤꿈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 1 탄성부(160)가 신장되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착용자의 아켈레스건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어, 아킬레스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분담하고, 이를 통하여 아킬레스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n, while the wearer walks, when the wearer's heel is moved forwar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chilles tendon is stretched, the first elastic part 160 is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be stretched, and pressur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chilles tendon of the wearer is contracted. To be applied, to share the stress applied to the Achilles tend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stress applied to the Achilles tendon through this.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제 2 탄성부가 신장되지 않아 족저근막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제 2 탄성부가 신장되어 족저근막에 압력을 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5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no pressure is applied to the plantar fascia because the second elastic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tretched, and FIG. 5(b)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lastic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etched to apply pressure to the plantar fascia.

도 4의 (a) 및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 2 탄성부(162)는 일측은 제 1 탄성부(160)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타측은 발볼착용부의 하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4 (a) and 5 (a), one side of the second elastic part 162 is integrally extended to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16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oot ball wearing part. formed to be

도 4의 (b)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 1 탄성부(160)가 신장되도록 탄성 변형됨에 따라, 제 2 탄성부(162)에 발볼착용부(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제 2 탄성부(162)가 제 1 탄성부(160)를 따라 이동되면서 신장 즉, 늘어나도록 탄성변형된다. 이때, 발볼착용부(130)의 하측이 제 2 탄성부(162)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어, 발볼착용부(130)의 양측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런데 발볼착용부(130)의 하측에는 족저근막이 위치되므로, 발볼착용부(130)는 족저근막 및 아치를 조여주게 되어, 족저근막의 과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탄성부는 발볼착용부를 횡단아치(Transverse arch)를 조여주도록 하여 내측세로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의 강성이 강화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체중의 몇 배에 해당하는 하중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잇다.Referring to FIGS. 4 (b) and 5 (b), as the first elastic part 160 is elastically deformed to be extended, the second elastic part 162 is moved away from the foot ball wearing part 130 in a direction away from it. When pressure is applied, the second elastic part 162 is elastically deformed to elongate, that is, stretch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elastic part 160 . At this time, the lower side of the ball wearing part 130 is moved rearward along the second elastic part 162 , and pressure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ball wearing part 130 in a mutually close direction. However, since the plantar fascia is located below the ball wearable part 130, the plantar fascia is tightened by the plantar fascia and the arch, thereby preventing overextension of the plantar fascia. In addition, the second elastic part tightens the transverse arch of the foot ball wearing part to strengthen the rigidity of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and through this, a load corresponding to several times the body weight can be more safely supported. It has the effect of making

도 6은 보행 과정에서 아킬레스건 및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도식화 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stress applied to the Achilles tendon and plantar fascia during a walking proces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보행은 착지(Landing)에서 지지중기(Mid-stance)로 가는 도중 아킬레스건(A)은 점차 신장되도록 스트레스가 가해지고, 족저근막(P)은 점차 수축되다가 신장되도록 스트레스가 가해진다. 이때 본 발명은 제 1 탄성부(160)를 이용하여 아킬레스건(A)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분담하고, 제 2 탄성부(162)를 이용하여 족저근막(P)에 가해지는 과신장을 방지하여, 보행 과정에서 아킬레스건(A) 및 족저근막(P)에 가해지는 과신장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1 to 6 , during walking from landing to mid-stance, stress is applied to the Achilles tendon (A) so that it is gradually extended, and the plantar fascia (P) is gradually contracted and then stretched. stress as much as possible.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irst elastic part 160 to share the stress applied to the Achilles tendon (A),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62 is used to prevent overextension applied to the plantar fascia (P). , has the effect of reducing overextension applied to the Achilles tendon (A) and plantar fascia (P) during the gait process.

또한, 보행은 지지주기(Mid-stance)에서 발끝을 뗄 때인 발끝밀기(push off)로 이동될 때, 아킬레스건(A)이 수축되면서 발과 지면 사이에 작용과 반작용의 물리 법칙이 작용되어야 한다. 이때, 제 1 탄성부(160)가 탄성력을 이용하여 아킬레스건(A)이 용이하게 수축되도록 안내하므로, 아킬레스건이 전달해야 하는 힘을 대체하도록 하여, 관절 운동이 용이해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착용자의 보행을 적절하게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gait moves from the mid-stance to the toe push, which is when the toe is lifted, the Achilles tendon (A) contracts and the physical law of action and reaction between the foot and the ground must act. .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elastic part 160 guides the Achilles tendon (A) to be easily contracted by using the elastic force, the Achilles tendon replaces the force to be transmitted, so that the joint movement is facilitated, and thus the wearer's It has the effect of appropriately assisting gait.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실제 샘플을 촬영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실제 샘플의 측방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actual sample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actual sample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ide of.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발목착용부(110)가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발뒤꿈치착용부(120)가 착용자의 발뒤꿈치와 발등을 일체로 감싸도록 구성되며, 발볼착용부(130)가 착용자의 발볼을 감싸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 1 탄성부(160)가 발뒤꿈치착용부(120)의 하부를 경유한 상태로 발목착용부(110)의 후방에 연결되고, 제 2 탄성부(162)가 제 1 탄성부(160)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발볼착용부(1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7 and 8 , the ankle wear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cover the wearer's ankle, and the heel wear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integrally cover the wearer's heel and the back of the foot, and the toe ball wearing unit It can be seen that 130 is configured to wrap the ball of the wearer's feet. And the first elastic part 160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110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ing part 120 ,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62 is the first elastic part 160 .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oot ball wearing part 130 in a state of being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가 착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orn on a wearer's feet.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20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디자인적으로 약간 변형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200)는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발목착용부(210)와, 착용자의 발뒤꿈치와 발등을 일체로 감싸도록 착용되는 발뒤꿈치착용부(220)와, 착용자의 발볼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발볼착용부(230)와, 발뒤꿈치착용부(220)의 하부를 경유하되 일측은 발목착용부(210)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측은 발볼착용부(230)에 연결되는 압력전달수단과, 연결부(250)를 포함한다.9 and 10 ,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s slightly modified in design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t is configured to be similar to the example.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200 includes an ankle wearing part 210 worn to wrap the wearer's ankle, a heel wearing part 220 worn to integrally wrap the wearer's heel and foot, and a wearer'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foot ball wear part 230 and the heel wear part 220 worn to wrap the ball of the foo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 part 2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oot ball wear part 230 It includes a pressure transmitting means and a connection part (250).

그리고 발목착용부(210), 발뒤꿈치착용부(220) 및 발볼착용부(230)는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밀착되는 발목착용부(210), 발뒤꿈치착용부(220) 및 발볼착용부(230)의 안쪽, 즉, 발목착용부(210)의 내주연, 발뒤꿈치착용부(220)의 내주연 및 발볼착용부(230)의 내주연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발목밀착부(211), 발뒤꿈치밀착부(221) 및 발볼밀착부(23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발목밀착부(211), 발뒤꿈치밀착부(221) 및 발볼밀착부(231)는 발목착용부(210), 발뒤꿈치착용부(220) 및 발볼착용부(230)가 임의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발목밀착부(211), 발뒤꿈치밀착부(221) 및 발볼밀착부(231)는 예를 들면 네오플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And the ankle wear part 210, the heel wear part 220, and the ball wear part 230 may be formed of a thermoplastic resin or the like, and the ankle wear part 210 and the heel wear part that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220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ball wearing part 230, that is, the inner periphery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the inner periphery of the heel wearing part 220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ball wearing part 230, an ankle of a soft material A contact portion 211 , a heel attachment portion 221 , and a ball contact portion 231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ankle contact portion 211, the heel contact portion 221, and the toe ball contact portion 231 are configured to prevent the ankle wear portion 210, the heel wear portion 220 and the ball wear portion 230 from being arbitrarily pushed. may play a role. The ankle contact portion 211, the heel contact portion 221, and the ball contact portion 231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neoplan.

상기 압력전달수단은 예를 들면, 제 1, 2 탄성부(260, 26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탄성부(260)는 발뒤꿈치착용부(220)의 하부와 발목착용부(210)의 후방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 1 압력을 가하고, 제 2 탄성부(262)는 발뒤꿈치착용부(220)의 하부와 발볼착용부(230)의 후방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 2 압력을 가한다. 제 1, 2 탄성부(260, 262)는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ure transmitting means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first and second elastic parts 260 and 262 , and the first elastic part 260 includes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ing part 220 and the ankle wearing part 210 . A first pressur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ar of the wearable part 230 approaches each other, and the second elastic part 262 applies a second pressu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ing part 220 and the rear of the foot ball wearing part 230 are mutually close to each other. apply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arts 260 and 26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제 1 탄성부(26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일측은 발뒤꿈치착용부(220)의 하측을 지나 발볼착용부(230)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측은 발목착용부(210)의 후방에 장착된다. 이때, 발뒤꿈치착용부(220)의 하측에는 안내튜브(222)가 형성되고, 제 1 탄성부(260)는 안내튜브(222)를 지나가면서 발뒤꿈치착용부(220)의 하부를 경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탄성부(262)는 일측은 제 1 탄성부(260)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타측은 발볼착용부(230)의 하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탄성부(260)는, 발뒤꿈치착용부(220)의 하부와 발목착용부(210)의 후방 사이에 제 1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제 2 탄성부(262)는, 발뒤꿈치착용부(220)의 하부와 발볼착용부(230)의 후방 사이에 착용자의 족저근막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제 2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elastic part 26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one side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oot ball wearing part 230 past the lowe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220 , and the other side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 At this time, the guide tube 22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220, and the first elastic part 260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ing part 220 while passing the guide tube 222. do. One side of the second elastic part 262 is integrally extended to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26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oot ball wearing part 230 . The first elastic portion 260 is configured to apply a first pressur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heel worn portion 220 and the rear of the ankle worn portion 210,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262 is the heel It is configured to apply a second pressu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antar fascia of the wearer is contract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wearing unit 220 and the rear of the foot ball wearing unit 230 .

그리고 착용자가 걷기, 달리기, 전력 질주 과정 등에서 아킬레스건을 신장시키면, 제 1 탄성부(260)가 신장되도록 외부 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제 1 탄성부(260)는 지체 탄성력에 의하여 착용자의 아켈레스건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제 1 압력을 가하게 되어, , 아킬레스건을 통해 전달되어야하는 종아리 근육의 힘을 대체하며, 이를 통하여 아킬레스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용자가 걷기, 달리기, 전력 질주 과정 등에서 제 1 탄성부(260)가 신장됨에 따라 제 2 탄성부(262)가 신장되도록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제 2 탄성부(262)와 연결된 발볼착용부(230)가 발의 횡단아치(Transverse arch)를 조여주도록 하여 내측세로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의 강성이 강화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체중의 몇 배에 해당하는 하중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nd when the wearer stretches the Achilles tendon in the process of walking, running, sprinting, etc.,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so that the first elastic part 260 is stretched. 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part 260 applies the first pressur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chilles tendon of the wearer is contra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ody, replacing the force of the calf muscl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Achilles tendon, and through this, the Achilles tendon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In addition,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so that the second elastic part 262 is stretched as the first elastic part 260 is stretched in the process of walking, running, sprinting, etc., the wearer wears the ball of the foot connected to the second elastic part 262 . The effect of enabling the part 230 to tighten the transverse arch of the foot to strengthen the rigidity of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and to more safely support a load corresponding to several times the body weight through this there is

연결부(250)는 발볼착용부(230), 발뒤꿈치착용부(220) 및 발목착용부(210)를 일체로 연결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발볼착용부(230)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발목착용부(210)의 전측에 위치되고,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앙은 발뒤꿈치착용부(220)의 상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발목착용부(210)의 전측에는 연결부(250)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안내부(212)가 형성된다.The connection part 250 is to integrally connect the ball wear part 230, the heel wear part 220 and the ankle wear part 210, and is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of which is the ball wear part 230 ) is fixed to the upper side, the other end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and the center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220. And a sliding guide 212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so th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50 is slidable in the inserted state.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고정부재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고정부재가 클로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1 (a)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ixing member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b) is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method is closed.

도 11의 (a)를 참조하면, 고정부재(240)는 발목착용부(210)의 후방에 장착되는 것으로, 발목착용부(210)의 후방에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242)와, 한 쌍의 돌출부(242) 사이에 장착되되 발목착용부(210)의 후방에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회전축(244)과, 회전축(24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246)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압부(246)가 발목착용부(210)의 후방에서 멀어지도록 회전되면, 가압부(246)가 돌출부(242)와 회전축(244) 사이를 오픈시켜서, 제 1 탄성부(260)는 돌출부(242)와 회전축(244) 사이를 지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a) of Figure 11, the fixing member 240 is to be mounted on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and a pair of protrusions 242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and one It is mounted between the pair of protrusions 242 and includes a rotation shaft 244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 and a pressing part 246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244 . And when the pressing part 246 is rotated away from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the pressing part 246 opens between the protruding part 242 and the rotation shaft 244, and the first elastic part 260 is the protruding part. It is configured to pass between the 242 and the rotation shaft 244 .

이 상태에서 도 11의 (b)와 같이, 착용자가 제 1 탄성부(26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돌출부(242)와 회전축(244) 사이를 통과한 제 1 탄성부(260)를 상방으로 끌어올리게 되면, 제 1 탄성부(260)는 회전축(244)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신장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부(246)가 발목착용부(210)의 후방과 가까워지도록 회전된다. 그러면 가압부(246)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 1 가압돌기(246a) 및 제 2 가압돌기(246b)가 제 1 탄성부(260)를 가압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아켈레스건은 수축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b) of FIG. 11 , 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 holds the first elastic part 260 by hand, the first elastic part 260 passing between the protrusion part 242 and the rotation shaft 244 is moved upward. When it is pulled up, the first elastic part 260 is extended while moving away from the rotation shaft 244 . In this state, the pressing part 246 is rotated to be closer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 Then, the first pressing projections 246a and the second pressing projections 246b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pressing part 246 press the first elastic part 260 and fix it. At this time, the heel of the wearer is moved backward and the Achilles tendon is contracted.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발가락착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발목착용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view illustrating a toe wearing part of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ankle of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wearing part in cross sec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발가락착용부(235)는 착용자의 발가락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발가락착용부(235)의 후방 하측과 발볼착용부(230)의 전방 하측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발가락착용부(235)는 발가락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탄성부(260)의 탄성 압력에 의하여 발볼착용부(230)가 후방으로 임의로 이동하려 할 때, 발가락착용부(235)가 발볼착용부(230)의 후방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12 and 13, the toe wearing part 235 is formed so that a space is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wearer's toes, and the rear is opened. And the rear lower side of the toe wear part 235 and the front lower part of the foot ball wear part 230 are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Since the toe wearing part 235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on the toes, when the toe wearing part 230 is arbitrarily moved to the rear by the elastic pressure of the first elastic part 260, the toe wearing part 235 is the toe ball It prevents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wearing part 230 .

한편, 발목착용부(210)는 제 1, 2 안내홈(210a, 210b)이 형성되고, 결속부(214) 및 결합스트랩(216)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제 1, 2 안내홈(210a, 210b)은 발목착용부(210)의 하부 양측에 착용자의 바깥복사뼈와 안복사뼈가 각각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바깥복사뼈와 안복사뼈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위치되므로, 제 1, 2 안내홈(210a, 210b) 또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nkle wearing part 210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210a and 210b, and a binding part 214 and a coupling strap 216 may be further mounted thereon.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210a and 210b are concavely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to guide the wearer's outer and inner ankle bones, respectively. At this time, since the outer ankle and the inner ankle are positioned to have different heights,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210a and 210b are also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결속부(214)는 발목착용부(2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면 견고한 가죽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발목착용부(210)의 형태 변형을 제한하도록 한다. 그리고 결속부(214)는 발목착용부(210)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발목착용부(210)의 외측에 결속부(214)를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binding part 214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 and is formed of, for example, a solid leather material, so as to limit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 And the binding part 214 may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and a separate cover part (not shown) for covering the binding part 214 on the outside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may be formed. it might be

결합스트랩(216)은 발뒤꿈치착용부(220)가 발목착용부(210)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발뒤꿈치착용부(220)의 후측에 한 쌍의 결합안내부(224)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스트랩(216)은 발목착용부(21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양 단부는 발목착용부(210)의 전측에서 상호 크로스된 후, 한 쌍의 결합안내부(224)에 각각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발목착용부(210)의 전측에는 결합스트랩(216)의 크로스된 부분이 안내되도록 스트랩안내부(213)가 형성되어, 결합스트랩(216)이 양 단부는 스트랩안내부(213)에 관통된 상태로 크로스된 후, 결합안내부(224)에 연결된다. 결합스트랩(216)은 발목착용부(210)의 둘레를 견고하게 감싸도록 구성되므로, 발목착용부(210)가 발목에 견고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스트랩(216)이 발뒤꿈치착용부(220)와 결합안내부(224)를 상호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므로, 발뒤꿈치착용부(220)는 착용자의 발뒤꿈치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coupling strap 216 is for the heel wearing part 220 to be supported on the ankle wearing part 210, and for this purpose, a pair of coupling guide parts 224 on the rea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220 are mutually formed apart. And the coupling strap 216 is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so that both ends are crossed with each other on the front side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and then connected to a pair of coupling guide parts 224, respectively. extension is formed. And a strap guide part 213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to guide the crossed portion of the coupling strap 216 , and both ends of the coupling strap 216 are penetrated through the strap guide part 213 . After being crossed in the state, it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guide 224 . Since the coupling strap 216 is configured to tightly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ankle wearing part 21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nkle wearing part 210 is firmly positioned on the ankle. 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strap 216 is configured to mutually couple the heel wear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guide part 224, the heel wearing part 220 has the effect of not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wearer's heel. have.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발가락착용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toe wearing part of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발가락착용부(236)는 4개의 스트랩 등으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발가락 사이 사이에 끼워지도록 병렬로 배열된다. 그리고 각각의 발가락착용부(236)의 양 단부는 발볼착용부(230)에 연결되어, 발볼착용부(230)의 후방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14, the toe wearing portion 236 is formed of four straps, etc., arranged in parallel to fit between the toes of the wearer. And both ends of each toe wear part 236 is connected to the ball wear part 230, thereby preventing the rear movement of the ball wear part 230.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의 조임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view illustrating a tightening part of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발볼착용부(230)에는 발볼착용부(23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조임부(2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조임부(232)는 발볼착용부(230)를 조일 수 있도록 하여, 발볼착용부(230)가 착용자의 발볼에 견고하게 착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조임부(232)는 예를 들면 탄성이 없는 웨빙끈 등으로 형성되며 발볼착용부(23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임부(232)의 일측은 제 2 탄성부(26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부(232a)가 형성되어, 연장부(232a)가 제 2 탄성부(262)에 일체로 연장된다. 경우에 따라 별도의 결합 후크(미도시) 등을 통하여 연장부(232a)와 제 2 탄성부(262)를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15 , the ball wearing part 230 may further include a tightening part 232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ball wearing part 230 . The tightening part 232 allows the toe ball wearing part 230 to be tightened, so that the toe ball wearing part 230 is firmly worn on the ball of the wearer's foot. Such a tightening part 232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webbing strap having no elasticity, and may be located inside the foot ball wearing part 230 . In addition, an extension 232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ightening portion 232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262 , and the extension portion 232a extends integrally to the second elastic portion 262 . In some cases, the extension part 232a and the second elastic part 26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separate coupling hook (not shown) or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atural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110: 발목착용부 112: 슬라이딩안내부
120: 발뒤꿈치착용부 122: 안내튜브
130: 발볼착용부 140: 고정부재
142: 돌출부 144: 회전축
146: 가압부 150: 연결부
160: 제 1 탄성부 162: 제 2 탄성부
200: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210: 발목착용부 210a: 제 1 안내홈
210b: 제 2 안내홈 211: 발목밀착부
212: 슬라이딩안내부 213: 스트랩안내부
214: 결속부 216: 결합스트랩
220: 발뒤꿈치착용부 221: 발뒤꿈치밀착부
222: 안내튜브 224: 결합안내부
230: 발볼착용부 231: 발볼밀착부
232: 조임부 232a: 연장부
235: 발가락착용부 236: 발가락착용부
240: 고정부재 242: 돌출부
244: 회전축 246: 가압부
250: 연결부 260: 제 1 탄성부
262: 제 2 탄성부
100: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110: ankle wearing part 112: sliding guide part
120: heel wearing part 122: guide tube
130: foot ball wearing part 140: fixing member
142: protrusion 144: rotation shaft
146: pressing part 150: connection part
160: first elastic part 162: second elastic part
200: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210: ankle wearing part 210a: first guide groove
210b: second guide groove 211: ankle attachment part
212: sliding guide 213: strap guide
214: binding portion 216: coupling strap
220: heel wearing part 221: heel adhesive part
222: guide tube 224: coupling guide part
230: foot ball wear part 231: foot ball contact part
232: tightening part 232a: extension part
235: toe wearing part 236: toe wearing part
240: fixing member 242: protrusion
244: rotation shaft 246: pressure part
250: connection part 260: first elastic part
262: second elastic part

Claims (18)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발목착용부;
착용자의 발뒤꿈치와 발등을 일체로 감싸도록 착용되는 발뒤꿈치착용부;
착용자의 발볼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발볼착용부; 및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부를 경유하되 일측은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발볼착용부에 연결되는 압력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전달수단은,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부와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 1 압력을 가하고,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부와 상기 발볼착용부의 후방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 2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압력전달수단은,
일측은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측을 지나 상기 발볼착용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 장착되는 제 1 탄성부; 및
일측은 상기 제 1 탄성부의 일측에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발볼착용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 2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측에는 안내튜브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 탄성부가 상기 안내튜브를 지나가면서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부를 경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An ankle wearing part worn to wrap the wearer's ankle;
Heel wearing portion worn to integrally wrap the wearer's heel and instep;
a ball wearing part worn to wrap the ball of the wearer's feet; and
It passe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heel wear part, bu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 part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pressure transmitting means connected to the ball wear part,
The pressure transmitting means applies a first pressu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heel worn portion and the rear of the ankle worn portion are close to each other, and a seco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heel worn portion and the rear of the heel worn portion are closer to each other. characterized by applying pressure,
The pressure transmission means,
a first elastic part having one sid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oot ball wearing part past the lowe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and the other side being mounted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One side is extended to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second elastic part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oot ball wearing part,
A guide tub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The pressure transmitting means i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astic portion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heel wearing portion while passing the guide tu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수단은:
상기 제 1 탄성부는,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부와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 사이에 상기 제 1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탄성부는,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하부와 상기 발볼착용부의 후방 사이에 상기 제 2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ure transmitting means includes:
The first elastic portion is configured to apply the first pressur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heel worn portion and the rear of the ankle worn portion,
The second elastic part is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pply the second pressur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heel wearable portion and the rear of the toe ball wearable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부가 신장되도록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탄성부는 착용자의 아켈레스건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압력을 가하고,
상기 제 2 탄성부가 신장되도록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2 탄성부는 착용자의 족저근막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so that the first elastic part is stretched, the first elastic part applies the first pressu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chilles tendon of the wearer is contracted,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so that the second elastic part is stretched, the second elastic part applies the second pressu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antar fascia of the wearer is contract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볼착용부, 상기 발뒤꿈치착용부 및 상기 발목착용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unit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ball wearable part, the heel wearable part, and the ankle wearable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발볼착용부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발목착용부의 전측에 위치되고,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일측은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ll wear part, the other e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ankle wear part, one side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the heel wear part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upper s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착용부의 전측에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liding guid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ankle wearing part so as to be slidable in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가락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발가락착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가락착용부와 상기 발볼착용부는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oe wearing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wearer's toes,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e wearing part and the ball wearing part are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가락 사이 사이에 끼워지도록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발가락착용부를 더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발가락착용부의 양 단부는 상기 발볼착용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oe wearing parts arranged in parallel to fit between the toes of the wearer, wherein both ends of each of the toe wearing parts are connected to the ball wear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착용부의 내주연 또는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내주연 또는 상기 발볼착용부의 내주연에 착용자의 피부와 밀착되도록 밀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contact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ankle wearing part or the inner periphery of the heel wearing part or the inner periphery of the ball wearing par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착용부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결속부가 구비되되, 상기 결속부는 상기 발목착용부의 형태 변형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par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the binding part is configured to limit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ankle wear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뒤꿈치착용부의 후측에 한 쌍의 결합안내부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발목착용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양 단부는 상기 발목착용부의 전측에서 상호 크로스된 후, 한 쌍의 상기 결합안내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결합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air of coupling guide part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rear side of the heel wearing part,
Wearable walk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strap that is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ankle wear part, both ends are crossed with each other at the front side of the ankle wear part, and then exten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coupling guide parts. auxiliary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착용부의 전측에는 상기 결합스트랩의 크로스된 부분이 안내되도록 스트랩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trap guid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ankle wearing part to guide the crossed portion of the coupling stra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착용부의 하부 양측에는 착용자의 바깥복사뼈와 안복사뼈가 각각 안내되도록 한 쌍의 안내홈이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안내홈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air of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ankle wearer to guide the wearer's outer and inner ankle bones,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guide groov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볼착용부는,
상기 발볼착용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oot ball wearing part,
A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including a tightening part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foot ball wearable p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 장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신장되도록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부재가 외부 압력이 가해진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mounted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ortion,
Wearable walk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so that the first elastic part is elastically deformed and stretched, the fixing member is configured to fix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to which th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auxiliary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 양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돌출부와, 한 쌍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 장착되되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은 상기 회전축을 감싼 상태로 유턴되어 상기 발뒤꿈치착용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1 탄성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신장되도록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신장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에 밀착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 1 탄성부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s provided to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a rotation shaft mounted between the pair of projections and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rotatable on the rotation shaft Including a pressurizing part to be installe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is U-turned in a state surrounding the rotation shaft and is positioned to face the heel wearing part direction,
When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so that the first elastic part is elastically deformed and stretche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is extended away from the rotation shaft, and the press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The wear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ed to fix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art.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와, 한 쌍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 장착되되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에서 멀어지도록 회전되면, 상기 제 1 탄성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회전축 사이를 지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탄성부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회전축 사이를 지나가도록 위치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발목착용부의 후방과 가까워지도록 회전되되,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 1 탄성부를 가압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s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 rotation shaft mounted between the pair of projections and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a pressure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including wealth,
When the pressing part is rotated away from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the first elastic part is configured to pass between the protrusion part and the rotation shaft,
When the first elastic part is positioned to pass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rotation shaft, the pressing part is rotated to be closer to the rear of the ankle wearing part, and the pressing part presses and fixes the first elastic part. auxiliary device.
KR1020200112443A 2020-09-03 2020-09-03 Wearable Gait Assistance Device KR1024488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443A KR102448897B1 (en) 2020-09-03 2020-09-03 Wearable Gait Assistanc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443A KR102448897B1 (en) 2020-09-03 2020-09-03 Wearable Gait Assistanc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47A KR20220030747A (en) 2022-03-11
KR102448897B1 true KR102448897B1 (en) 2022-09-30

Family

ID=8081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443A KR102448897B1 (en) 2020-09-03 2020-09-03 Wearable Gait Assistanc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897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307B1 (en) * 2009-04-14 2011-12-09 (주)트리플씨메디칼 Smart-strap ankle brace using viscoelastic member
KR200481847Y1 (en) 2014-10-02 2016-11-29 (주) 거림케미칼 Improved fit and joint protection shoe insole
KR102013061B1 (en) * 2018-02-01 2019-08-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lantar fasciitis brace
KR102118571B1 (en) * 2018-08-24 2020-06-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oot assistance apparatus for a walking support and prevention of foot dr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47A (en)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431B2 (en) Orthotic system
US7513880B2 (en) Ankle-foot orthosis having an orthotic footplate
CA2751868C (en) Spring orthotic device
JP5047171B2 (en) Soles and shoes
US3680549A (en) Spiral orthosis for the lower extremity
WO2006001858A1 (en) Athletic footwear and the like with integral supinator device
CN206333453U (en) Arch of foot spring footwear system for providing energy feedback during body gait
US20170216071A1 (en) Ankle-foot varus deformity alignment device
KR101693750B1 (en) Ankle foot orthosis for supporting passive ankle stiffness
US20210330027A1 (en) Shoe sole for a running sports shoe or shoe
KR101696771B1 (en) Ankle foot orthosis for supporting ankle joint power
KR101650101B1 (en) Wearable device for supporting ankle stiffness and that method
KR102448897B1 (en) Wearable Gait Assistance Device
US7510538B2 (en) Shoe with energy storage and delivery device
KR102540620B1 (en) Soft wearable shoes for gait assistance
JP7397259B2 (en) Corrective socks and foot orthopedic supp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