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477B1 - Appratus for smart phone use restriction - Google Patents

Appratus for smart phone use restri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477B1
KR102448477B1 KR1020210064181A KR20210064181A KR102448477B1 KR 102448477 B1 KR102448477 B1 KR 102448477B1 KR 1020210064181 A KR1020210064181 A KR 1020210064181A KR 20210064181 A KR20210064181 A KR 20210064181A KR 102448477 B1 KR102448477 B1 KR 10244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unit
smart device
hou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1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규진
Original Assignee
정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진 filed Critical 정규진
Priority to KR1020210064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4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4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3/00Time locks
    • E05B43/005Timer devices controlling electrically operated l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2Bags or wallets for holding keys
    • A45C11/321Bags or wallets for holding ke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restricting the use of a smart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on which a smart device can be mounted; a cover includ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smart device mounted on the main body can be accommodated, and having a transparent front surface to be able to expose the entire screen of the smart device accommodated therein to the outside; and a locking device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nd capable of maintaining a locked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shielde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wherein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push part installed on top of a housing and capable of being drawn into the hous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external pressure, a locking par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face the push part, and a motor unit capable of reciprocating the locking 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lateral direction. When the push part is drawn into the housing, the drawing in is stopped at a point where the push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part. Therefore, provided is a device for restricting the use of a smart device, wherein concentration can be improved and learn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APPRATUS FOR SMART PHONE USE RESTRICTION}Device for restricting the use of smart devices {APPRATUS FOR SMART PHONE USE RESTRICTION}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교육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교육 영상 이외의 게임이나 메신저와 같은 다른 프로그램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교육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device usage limiting device that restricts the use of smart devices while an educational video is being played, in order to limit the use of other programs such as games or messengers other than educational videos while watching an educational video using a smart device is about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전과 함께 각종 스마트 기기의 광범위한 보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청소년이나 어린이들에게도 다양한 기능의 활용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가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되고, 청소년이나 어린이들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nd the widespread dissemination of various smart devices, smart terminals that can utilize various functions have become a necessity even for teenagers and children. installed and made available.

따라서 청소년이나 어린이들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나 각종 동영상 파일, 게임 프로그램, 실시간 중계 서비스 등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모바일 콘텐츠들을 무료로 또는 비용 결제만으로 제한 없이 실시간 이용할 수 있다. Therefore, adolescents and children can use various multimedia services provided through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various mobile contents provided by various video files, game programs, real-time relay services, etc. in real time, free of charge or only by paying for it in real time.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교육용 영상을 시청하는 등 교육적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recently, it has been widely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such as watching educational videos using smart devices.

그러나, 자제력이 부족한 청소년이나 어린이 등은 각종 콘텐츠에 쉽게 현혹되어, 교육용 영상 시청 시간 도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메신저를 하는 등 집중력이 저하되어 교육에 집중할 수 없어 학습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dolescents or children who lack self-control are easily deceived by various contents, use other applications while watching educational videos, or use messengers, etc., resulting in reduced concentration, such as being unable to concentrate on educ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learning efficiency is reduc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4916호(2019.11.0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44916 (2019.11.08)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교육용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스마트기기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스마트기기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교육용 영상 재생 시간동안 잠금상태가 유지되어, 집중력을 높이고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locked state during the educational video playback time with the smart device accommodated therein so that the use of the smart device can be restricted while watching the educational video using the smart device, increasing concentration and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This is to provide a device for limiting the use of smart devices that can be increased.

또한, 교육용 영상의 재생 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limiting the use of smart devices that automatically releases the lock state when the playback time of the educational video ends.

또한, 잠금장치가 단순한 구조인 돌부와 홈부의 구조를 이용하여 잠금 해제가 불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device for limiting the use of smart devices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making it impossible to unlock the lock by using the structure of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which is a simple structure of the lock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차폐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스마트기기가 장착될 수 있는 거치패드를 포함하는 본체; 하부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장착된 스마트기기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되, 전면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스마트기기의 화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를 개폐하되,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차폐된 잠금 상태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소정 길이 인입 가능한 푸쉬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푸쉬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락킹부; 및 상기 락킹부를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부가 하우징 내부로 인입될 때 상기 락킹부와 접촉되는 지점에서 인입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the body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shield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includes a mounting pad on the front surface of which a smart device can be mounted; The lower par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upper part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smart device mounted on the main body can be accommodated therein, but the front is transparent. a cover that is formed so that the entire screen of the smart device accommodated therein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lock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nd to maintain a locked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shielde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wherein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a push par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and capable of being drawn into the hous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external pressure; a locking par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face the push part; and a motor unit capable of reciprocating the locking unit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rein when the push unit is drawn into the housing, the insertion is blocked at a point in contact with the locking unit. Limiting devices are provided.

또한, 상기 푸쉬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함몰부에 안착되는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의 하면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하우징보다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고,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잠금돌부가 서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잠금돌부 사이마다 형성되는 풀림홈부를 포함하는 잠금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sh unit, the front frame seated in the depress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and seated inside the housing,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from the housing, and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and a lock fram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rame to be seated inside the housing,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ly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ing unlocking grooves formed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for limiting the use of smart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푸쉬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잠금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조절부는, 상기 풀림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푸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대향돌부; 및 상기 대향돌부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돌부가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대향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unit may include a lock adjustment unit disposed to face the push unit, and the lock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n oppos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push unit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unlocking groove portion; and an oppos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opposing protrusions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s can be inserted.

또한, 각각의 상기 대향돌부가 각각의 상기 풀림홈부와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푸쉬부에 외력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푸쉬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락킹부가 상기 모터부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각각의 상기 대향돌부가 상기 잠금돌부와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푸쉬부에 외력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잠금돌부가 상기 대향돌부과 충돌되면서 상기 푸쉬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이 차단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잠금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part in a state in which each of the opposing protrusions faces each of the unlocking grooves, the push part is drawn into the housing, and the locking state of the body and the cover is released. and the locking part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the motor part,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part in a state in which each of the opposing protrusions faces the locking protrusions, the locking protrusions are the opposing protrus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for limiting the use of smart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 unit is blocked from entering the housing while the collision is imposed, and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kept in a locked state.

또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잠금조절부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는 모터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모터연결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래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연결부는, 상기 래크부가 삽입되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이동홈; 및 상기 이동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래크부와 맞물리는 피니언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래크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래크부와 맞물린 상기 피니언부에 의해 상기 모터연결부가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모터연결부가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잠금조절부가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part is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of the lock control part, further comprising a motor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motor part, the motor par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motor connection part and rotated by a driving force; includes; And, the motor connection portion, the rack portion is inserted, the moving groove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pinion part formed under the moving groove and engaged with the rack part; as the rack part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part, the motor connection part by the pinion part engaged with the rack 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for limiting the use of smart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 adjustment unit is movabl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the motor connection unit move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하면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는, 상기 모터부를 통해 각각의 상기 대향돌부가 상기 잠금돌부와 마주보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락킹부를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모터부를 통해 각각의 상기 대향돌부가 상기 풀림홈부와 마주보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락킹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controls the locking device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for a preset time, and when the preset time exceeds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device is released and a control module including a control unit to control so that, for a preset time, the locking unit is moved so that each of the opposing protrusions faces the locking protrusions through the motor unit. , When the preset time is excee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moving the locking part so that each of the opposed protrusions faces the unlocking groove part through the motor part.

또한, 상기 본체는,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받는 시간조절부를 포함하는 버튼부; 상기 스마트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램프; 및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기 설정된 시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a button unit including a time adjusting unit for receiving a preset time input; a sterilization lamp emitting ultraviolet rays to sterilize the smart device; and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the remaining time as time elapses at a preset time or a preset time.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를 유지한 시간을 기록하는 시간기록부; 스마트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로부터, 스마트기기의 알람 방법이 진동, 벨소리, 또는 무음 중 어느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알람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알람 설정 정보가 진동 또는 벨소리인 경우, 무음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무음설정부; 및 백색 소음이 저장되는 백색소음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time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time that the locking device maintains a locked state; When receiving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th the smart device, whether the alarm method of the smart device is set to vibration, ringtone, or silence, and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is vibration or ringtone, a silence set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change to silence; and a white noise memory unit for storing white noise.

또한, 상기 커버는, 일 측면에 형성되어, 스마트기기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까지 출력되도록, 스마트기기의 스피커가 위치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소음방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sound generated by the smart device is output to the outside, the noise emitting hole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speaker of the smart device is located; Smart device use restriction comprising a; devic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교육용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스마트기기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스마트기기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교육용 영상 재생 시간동안 잠금상태가 유지되어, 집중력을 높이고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state is maintained during the educational video playback time while the smart device is accommodated inside so that the use of the smart device can be restricted while watching the educational video using the smart device, and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또한, 교육용 영상의 재생 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ayback time of the educational image ends, the lock state may be automatically released.

또한, 잠금장치가 단순한 구조인 돌부와 홈부의 구조를 이용하여 잠금 해제가 불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making it impossible to unlock the lock using the simple structure of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좌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우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배면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의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체결홈부(25)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에 스마트기기가 수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구조를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구조를 상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푸쉬부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1에 따른 락킹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 따른 푸쉬부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돌출부 및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5에 따른 잠금장치가 설치된 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5에 따른 가압돌출부 및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5에 따른 잠금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limiting the use of smart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lef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device use restriction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ight direc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for limiting the use of smart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4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inside the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groove 25 of th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rt device is accommodated and used in the device for limiting the use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lower direction;
10 is a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upper direc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unit according to FIG. 11 is pressed;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FIG. 11 is moved;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unit according to FIG. 13 is pressed;
15 is a view showing a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installed with a lock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ressing protrusion and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main body in which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FIG. 15 is installed; FIG.
FIG. 17 is a view showing a locking device further including a pressing protrusion and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FIG. 15;
1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FIG. 15 is operated;
19 is a view showing a device for limiting the use of smart devices further comprising a pa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를 좌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를 우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를 배면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의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15)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의 체결홈부(25)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에 스마트기기(2)가 수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left, and FIG. 2 is a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ight direc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and FIG. 4 is a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ontrol module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groove 25 of the cov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mart device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mart device 2 is accommodated in the limiting device 1 .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는 내부에 스마트기기(2)를 수용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스마트기기(2)를 꺼낼 수 없도록 잠금상태를 유지하여, 학습자가 교육용 영상 시청 시간동안 스마트기기(2)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는 도 8과 같이 내부에 스마트기기(2)를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스마트기기(2)의 화면 전체를 볼 수 있도록 형성되어, 교육용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교육용 영상을 시청하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스마트기기(2)를 외부로 꺼내거나 터치하는 것을 차단하여 집중력을 높이고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는 본체(10), 커버(20) 및 잠금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8, the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ake out the smart device 2 for a preset time while accommodating the smart device 2 therein. By maintaining the locked state so that it cannot be disabled, the learner can limit the use of the smart device 2 during the educational video viewing time. Specifically, the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1 is formed so that the entire screen of the smart device 2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while the smart device 2 is mounted therein,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concentration and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by blocking the smart device 2 from taking out or touching for a preset time for viewing the educational video. The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1 may include a main body 10 , a cover 20 , and a locking device 30 .

본체(10)에는 스마트기기(2)가 장착될 수 있다. 본체(10)는 하우징(11), 거치패드(12), 디스플레이부(13), 제어기판(14), 제어모듈(15), 버튼부(16), 살균램프(17), 충전단자(18) 및 연결부(19)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be equipped with a smart device 2 . The main body 10 includes a housing 11 , a mounting pad 12 , a display unit 13 , a control board 14 , a control module 15 , a button unit 16 , a sterilization lamp 17 , a charging terminal 18 . ) and a connection unit 19 .

본체(10)의 전체적인 형상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스마트기기(2)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하우징(11) 및 거치패드(12)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overall shape of the body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smart device 2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ide. Specifically, the body 10 may have an overall shape by the housing 11 and the mounting pad 12 .

하우징(11)은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디스플레이부(13), 제어기판(14), 제어모듈(15), 버튼부(16), 살균램프(17) 등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상부에는 잠금장치(30)의 푸쉬부(31)가 설치될 수 있는 함볼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함볼부(111)에 푸쉬부(31)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푸쉬부(31)를 하우징(11) 내측으로 인입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잠금 상태를 해지할 수 있다. 다만, 잠금장치(30)가 작동되는 중에는 푸쉬부(31)가 하우징(11)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작동될 수 있다.The housing 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with an open front,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3, a control board 14, a control module 15, a button unit 16, a sterilization lamp 17, and the like. This can be placed A ball part 111 to which the push part 31 of the locking device 30 can be install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 . The push part 31 is installed in the ball part 111 so that the user can release the lock state by applying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ush part 31 is drawn into the housing 11 . However, while the locking device 30 is being operated, the push unit 31 may be operated so as not to be drawn into the housing 11 .

거치패드(12)는 하우징(11)의 개방된 전면을 차폐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1)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거치패드(12)의 전면에는 스마트기기(2)가 장착될 수 있다. 거치패드(12)의 전면은 스마트기기(2)가 고정될 수 있도록 논슬립패드 또는 접착성분이 도포된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거치패드(12)의 전면에 스마트기기(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거치패드(12)에는 UV 방출홈(121)이 형성되어, 하우징(11) 내부에 배치된 살균램프(17)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이 배출될 수 있다.The mounting pad 12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shield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 , and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11 . A smart device 2 may b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ounting pad 12 .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pad 12 may be formed of a non-slip pad or a material coated with an adhesive component so that the smart device 2 can be fixed.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mart device 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unting pad 12 . In addition, the UV emitting groove 121 is formed in the mounting pad 12 , so that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sterilizing lamp 17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 may be discharged.

디스플레이부(13)는 LCD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기 설정된 시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에는 잠금장치(3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기 설정된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시간이 줄어듬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는 시간도 감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후술할 시간조절부(162)에서 조작되는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하우징(11) 내부에 설치되되, 하우징(11)의 외측에서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 면의 일정 영역이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 may be formed of an LCD panel. The display unit 13 may display a preset time or the remaining time as time elapses from a preset time. Specifically, a preset time for which the locking device 30 maintains the locked stat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 As time decreases, the tim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may also decrease. In addition, the time manipulated by the time adjusting unit 162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 . The display unit 13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 , and may be installed so that a certain area of one surface is exposed so tha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 .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기판(14)은 하우징(1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기판(14)은 제어모듈(15), 버튼부(16), 디스플레이부(13), 모터부(33)와 연결되어, 제어부(151)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들이 작동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 5 , the control board 14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 . The control board 14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5 , the button unit 16 , the display unit 13 , and the motor unit 33 so that each component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1 .

제어기판(14)에는 배터리커넥터(141), 모터커넥터(142), 제1버튼커넥터(143), 제2버튼커넥터(144) 및 제3버튼커넥터(1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board 14 may include a battery connector 141 , a motor connector 142 , a first button connector 143 , a second button connector 144 , and a third button connector 145 .

배터리커넥터(141)는 배터리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전력을 충전받을 수 있다. The battery connector 141 may be connected to a battery unit (not shown) to receive power.

모터커넥터(142)는 모터부(33)와 연결되어 제어부(151)의 제어에 따라 모터부(3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motor connector 142 may be connected to the motor unit 33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unit 33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1 .

제1버튼커넥터(143)는 모드조절부(161)와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모드조절부(161)가 눌림에 따라 제어부(151)로 입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드조절부(161)에는 시간에 따른 복수의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제1 모드의 경우 1시간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 제2 모드의 경우 2시간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버튼형태로 구성된 모드조절부(161)가 1번 눌리면, 1번 눌린 신호가 제1버튼 커텍터를 통해 제어부(151)로 전송되어, 제어부(151)는 제1 모드에 따라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모드조절부(161)가 2번 눌리면, 2번 눌린 신호가 제1버튼커넥터(143)를 통해 제어부(151)로 전송되어, 제어부(151)는 제2 모드에 따라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button connector 143 may be connected to the mode control unit 161 to transmit an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1 as the mode control unit 161 is pressed by the user. For example, a plurality of modes according to time may be set in the mode control unit 161 . In the case of the first mode, a mode in which the lock state is maintained for 1 hour,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mode, a mode in which the lock state is maintained for 2 hours may be set. At this time, when the mode control unit 161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utton is pressed once by the user, the signal pressed onc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1 through the first button connector, and the control unit 151 receives each button according to the first mode. You can control the configurations. Alternatively, when the mode control unit 161 is pressed twice, the signal pressed twic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1 through the first button connector 143, and the control unit 151 controls each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mode. can

제2버튼커넥터(144)는 시간조절부(162)와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버튼 형태로 형성된 시간조절부(162)가 눌림에 따라 제어부(151)로 입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시간조절부(162)는 시간 증가 버튼과 시간 감소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버튼은 일정 시간이 설정되어 있어, 시간 증가 버튼 또는 시간 감소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각 버튼에 설정된 시간x누른 횟수가 산출되어 기 설정된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조절부(162)는 시간 증가 버튼과 시간 감소 버튼 각각은 1회당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간 증가 버튼을 1회 누르면 기 설정된 시간이 5분 증가되고, 시간 증가 버튼을 3회 누르면 기 설정된 시간이 15분 더 증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간 감소 버튼을 1회 누르면 기 설정된 시간이 5분 감소되고, 시간 감소 버튼을 5회 누르면 기 설정된 시간이 25분 감소될 수 있다.The second button connector 144 may be connected to the time control unit 162 and transmit an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1 as the time control unit 162 formed in the form of a button is pressed by the user. The time adjusting unit 162 may be composed of a time increase button and a time decrease button. Since each button is set for a certain time, a preset time may be set by calculating the time x number of presses set for each butt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time increase button or the time decrease button is pressed. For example, the time adjusting unit 162 may set each of the time increasing button and the time decreasing button to 5 minutes per one time. In this case, if the time increase button is pressed once, the preset time may be increased by 5 minutes, and if the time increase button is pressed 3 times, the preset time may be further increased by 15 minutes. Similarly, if the time reduction button is pressed once, the preset time may be reduced by 5 minutes, and if the time reduction button is pressed 5 times, the preset time may be reduced by 25 minutes.

제3버튼커넥터(145)는 살균조절부(163)와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버튼 형태로 형성된 살균조절부(163)가 눌림에 따라 제어부(151)로 입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살균조절부(163)가 눌리는 경우, 살균램프(17)를 작동시킬 수 있다. 살균램프(17)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살균조절부(163)가 한번 더 눌리는 경우에는 살균램프(17)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The third button connector 145 may be connected to the sterilization control unit 163 and transmit an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1 as the sterilization control unit 163 formed in the form of a button is pressed by the user. When the sterilization control unit 163 is pressed, the sterilization lamp 17 may be operated. When the sterilization control unit 163 is pressed once more while the sterilization lamp 17 is in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lamp 17 may be stopped.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모듈(15)은 각 구성들과 연결되어,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15)은 제어부(151), 전원부(152), 통신부(153), 백색소음메모리부(154), 타이머(155), 시간기록부(156), 시간산출부(157) 및 무음설정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 6 , the control module 15 may be connected to each component to control each component. The control module 15 includes a control unit 151, a power supply unit 152, a communication unit 153, a white noise memory unit 154, a timer 155, a time recording unit 156, a time calculation unit 157, and a silence setting unit. (158).

제어부(151)는 각 구성들과 연결되어, 각 구성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1)는 잠금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1)는 버튼부(16)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잠금장치(30)의 잠금을 제어하고, 살균램프(1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1 may be connected to each componen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51 may control the locking device 30 . The control unit 151 may control the 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30 for a preset time based 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button unit 16 ,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lamp 17 .

전원부(152)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원을 on/off 할 수 있다. 전원부(152)는 학습자로부터 잠금장치(30)의 작동에 대한 on/off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전원부(152)는 모드조절부(161)의 눌림에 따라 잠금장치(30)의 작동을 on/off할 수 있다. 최초로 모드조절부(161)가 눌리면 잠금장치(30)의 작동을 on할 수 있고, 그 이후에 모드조절부(161)가 눌리는 횟수에 따라 상술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등으로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52 may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o turn on/off the power. The power supply unit 152 may receive an on/off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30 from the learner.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52 may turn on/off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mode control unit 161 . When the mode control unit 161 is pressed for the first time,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30 can be turned on, and after that, the time is set to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etc.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mode control unit 161 is pressed can be

통신부(153)를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53)를 통해 스마트기기(2)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53)는 스마트기기(2)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거나, 제어부(151)에서 출력하는 정보를 스마트기기(2)로 전송할 수 있다.It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3 . For example, it may communicate with the smart device 2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3 .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53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smart device 2 or transmi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51 to the smart device 2 .

백색소음메모리부(154)에는 다양한 백색소음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색소음메모리부(154)에는 파도소리, 빗소리, 폭포소리 등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백색소음이 저장되고, 제어부(151)의 제어에 따라 백색소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10)의 내부에는 스피커부가 설치될 수 있다.Various white noises may be stored in the white noise memory unit 154 . For example, the white noise memory unit 154 stores various white noises that can improve learning efficiency, such as a sound of waves, a sound of rain, and a sound of a waterfall, and outputs the white nois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1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speaker un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

타이머(155)는 잠금장치(3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받고,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제어부(151)로 기 설정된 시간 종료 시점 및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The timer 155 receives a preset time for which the locking device 30 maintains the locked state, counts the preset time, and transmits the preset time end time and state to the control unit 151 when the preset time ends. can

시간기록부(156)는 잠금장치(3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 날짜마다 잠금 상태 유지 시간을 저장하여, 사용자의 학습 시간에 대한 기록이 저장될 수 있다.The time recording unit 156 may store the time during which the locking device 30 maintains the locked state. Specifically, by storing the lock state maintenance time for each use date, a record of the user's learning time may be stored.

시간기록부(156)에 스마트기기(2)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시간기록부(156)에 저장된 학습 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학습자와 학습 시간을 공유하여 긍정적인 경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By interworking wit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device 2 to the time recorder 156 ,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learning time stored in the time recorder 156 . By sharing learning time with other learners through the application, a positive competitive effect can be expected.

시간산출부(157)는 스마트기기(2)와 연동되어 잠금장치(3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재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time calculator 157 may be interlocked with the smart device 2 to reset the time for which the locking device 30 maintains the locked state.

구체적으로, 60분짜리의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학습자는 초기 기 설정된 시간을 60분으로 설정하고 잠금장치(30)를 작동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when viewing a 60-minute video, the learner may set the initial preset time to 60 minutes and operate the locking device 30 .

그러나, 영상 시청 도중, 필기를 위한 일시정지 또는 일정 구간 다시보기 등으로 인해 영상 시청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영상 재생 시간이 종료되기 전에 잠금장치(30)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산출부(157)는 이러한 일시정지 시간과 다시보기 시간 등을 모두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만큼 잠금장치(30)의 작동 시간이 증가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However, while viewing the video, the video viewing time may increase due to a pause for taking notes or a replay of a certain section. In this case, the locking device 30 may be released before the video playback time ends. Accordingly, the time calculator 157 may calculate both the pause time and the replay time,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time of the locking device 30 to increase by the calculated time.

일 예로, 일시정지 시간이 5분, 앞으로 돌려서 다시보는 구간이 3분인 경우, 총 8분의 시간만큼 잠금장치(30)의 작동시간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장치(30) 총 작동 시간은 68분이 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pause time is 5 minutes and the section to look back by turning forward is 3 minutes, the operation time of the locking device 30 may be increased by a total of 8 minutes. Thus, the total operating time of the locking device 30 can be 68 minutes.

무음설정부(158)는 스마트기기(2)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53)로부터, 스마트기기(2)의 알람 방법이 진동, 벨소리, 또는 무음 중 어느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알람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통신부(153)에서 수신한 알람 설정 정보가 진동 또는 벨소리인 경우, 무음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ilent setting unit 158 receives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53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th the smart device 2, and whether the alarm method of the smart device 2 is set to vibration, ringtone, or silence. , when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53 is vibration or ringtone, it can be controlled to change to silent.

따라서, 학습시간 동안 메신저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알람이 울리지 않도록 하여 학습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ruption of learning by not sounding an alarm of a messenger or other application during the learning time.

버튼부(16)는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또는 살균램프(17)의 작동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버튼부(16)는 모드조절부(161), 시간조절부(162) 및 살균조절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tton unit 16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user for a preset time or whether the sterilization lamp 17 is operated. The button unit 16 may include a mode control unit 161 , a time control unit 162 , and a sterilization control unit 163 .

모드조절부(161)는 버튼 형태로 하우징(11)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횟수에 따라 잠금장치(30)의 on/off 또는 기 설정된 시간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mode control unit 161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1 in the form of a button, and may receive input such as on/off of the locking device 30 or a preset ti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presses it.

시간조절부(162)는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시간을 증가하는 화살표와 시간을 감소시키는 화살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살표 1번의 터치당 일정 시간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학습자가 설정할 수 있다.The time adjusting unit 162 may receive a preset time input from the user. As an example, it may be formed of an arrow that increases time and an arrow that decreases time. A certain amount of time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per touch of the arrow once. Here, the predetermined time can be set by the learner.

예를 들어, 화살표 1번의 터치당 10분의 시간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se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time of 10 minutes per touch of the arrow once.

시간 증가 화살표가 6번 터치되면, 잠금장치(3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6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시간 증가 화살표가 6번 터치된 후, 시간 감소 화살표가 1번 터치되면, 잠금장치(3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5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time increase arrow is touched 6 times, the time for which the locking device 30 maintains the locked state may be set to 60 minutes. Also, when the time increasing arrow is touched once after the time increasing arrow is touched 6 times, the time for which the locking device 30 maintains the locked state may be set to 50 minutes.

이처럼, 시간조절부(162)를 통해 잠금장치(3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기 설정된 시간이 설정된 경우, 잠금장치(30)는 입력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As such, when a preset time for maintaining the locking state is set through the time adjusting unit 162, the locking device 30 maintains the locked state for the input preset time, and the preset time When exceeded, the lock state can be released.

시간조절부(162)를 조작하여 기 설정된 시간을 설정하되, 시간조절부(162)의 조작이 시작되고 조작이 멈춘 뒤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시간 설정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부(152)가 켜진 후, 시간조절부(162)를 통해 상기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을 50분으로 맞춘 뒤에 3분 이상 시간조절부(162)를 통한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시간 설정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5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preset time is set by manipulating the time adjusting unit 162 , bu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operation of the time adjusting unit 162 starts and the operation stop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ime setting is finished. For example, after the power unit 152 is turned on, after setting the preset time to 50 minutes through the time adjusting unit 162 as described above, if an operation through the time adjusting unit 162 is not input for more than 3 minutes, the time setting is not performed. It is determined that it is finished, and the preset time may be set to 50 minutes.

살균조절부(163)는 버튼을 누르는 경우, 살균램프(17)의 작동을 on/off할 수 있다. 살균램프(17)가 꺼진 상태에서 살균조절부(163) 버튼을 누르면 살균램프(17)를 작동시킬 수 있고, 반대로 살균램프(17)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살균조절부(163) 버튼을 누르면 살균램프(17)의 작동을 off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control unit 163 may turn on/off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lamp 17 when the button is pressed. When the sterilization control unit 163 button is pressed while the sterilization lamp 17 is turned off, the sterilization lamp 17 can be operated. The operation of the lamp 17 may be turned off.

충전단자(18)는 외부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다. 충전단자(18)는 하우징(11)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배터리커넥터(141)와 연결될 수 있다. 충전단자(18)를 통해 외부 케이블로부터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부로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The charging terminal 18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able. The charging terminal 18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connector 141 . Power can be charged from an external cable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18 to the battery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 .

연결부(19)는 본체(10)와 커버(20)의 일 측에서, 본체(10)와 커버(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19)는 본체(10)의 하부와 커버(20)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9)는 회동 가능한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연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ng part 19 may rotatably connect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19 may rotatably connec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cover 20 . The connecting portion 19 may be formed of various connecting structures including a rotatable hinge structure.

여기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20)는 본체(10)에 장착된 스마트기기(2)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덮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20)는 본체(10)의 전면과 마주보는 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덮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20)는 본체(10)에 장착된 스마트기기(2)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21)을 포함하되, 전면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스마트기기(2)의 화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의 하부는 본체(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본체(10)의 상부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Here, 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cover 20 may serve as a cover so that the smart device 2 mounted on the main body 10 can be accommodated therein. The cover 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ver having an open rear surface fac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n empty interior. That is, the cover 20 includes an internal space 21 in which the smart device 2 mounted on the main body 10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front of the smart device 2 accommodated therein is formed to be transparent. It may be formed so that the entire screen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 and the upper portion may be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

즉, 커버(20)는 연결부(19)에 의해 하부가 본체(10)의 하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커버(20)는 잠금장치(30)에 의해 상부가 본체(10)의 상부와 연결되어, 본체(10) 전면과 커버(20) 내부공간(21)이 개폐될 수 있다.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cover 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by the connecting part 19 , and the cover 20 has the upp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by the locking device 30 . By being connected,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ner space 21 of the cover 20 may be opened and closed.

커버(20)와 본체(10)의 상부가 서로 맞닿도록 커버(20)가 회동되면 커버(20)의 내부공간(21)이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에 장착된 스마트기기(2)가 커버(20)의 내부공간(2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와 커버(20)의 상부에는 잠금장치(30)가 설치되어, 본체(10)와 커버(20)가 내부에 스마트기기(2)를 수용한 상태에서 잠금장치(30)에 의해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cover 20 is rotated so that the upper portions of the cover 20 and the main body 10 contact each other, the inner space 21 of the cover 20 may be shielded. Accordingly, the smart device 2 mounted on the main body 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21 of the cover 20 . At this time, the locking device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and the locking device 30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accommodate the smart device 2 therein. The lock state may be maintained by

구체적으로, 커버(20)는 내부공간(21), 소음방출구(22), 패킹부(23), 체결돌부(24) 및 체결홈부(25)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ver 20 may include an inner space 21 , a noise emitting hole 22 , a packing part 23 , a fastening protrusion 24 , and a fastening groove part 25 .

커버(20)는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는 스마트기기(2)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21)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2)의 화면 전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with an open back, and an inner space 21 that can accommodate the smart device 2 is formed inside, and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s a whole, and is a smart device mounted therein. It may be formed so that the entire screen of (2)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소음방출구(22)는 커버(20)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소음방출구(22)는 스마트기기(2)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까지 출력되도록, 스마트기기(2)의 스피커가 위치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소음방출구(22)는 패킹연결홈(221) 및 소리출력홈(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킹연결홈(221)에는 패킹부(23)의 고정끼움부(23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소리출력홈(222)에는 패킹부(23)의 정렬끼움부(232)가 삽입될 수 있다. The noise emitting hole 2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20 . The noise outlet 22 may be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speaker of the smart device 2 is located so that the sound generated by the smart device 2 is output to the outside. The noise discharge port 22 may be composed of a packing connection groove 221 and a sound output groove 222 . The fixed fitting portion 231 of the packing portion 23 may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packing connection groove 221 , and the alignment fitting portion 232 of the packing portion 23 may be inserted into the sound output groove 222 . have.

패킹부(23)는 소음방출구(2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 소음방출구(22)를 통해 스마트기기(2)의 소리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소음방출구(22)를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 있다. 패킹부(2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패킹부(23)는 고정끼움부(231) 및 정렬끼움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끼움부(231)는 패킹연결홈(22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정렬끼움부(232)는 소리출력홈(222)에 삽입되거나, 소리출력홈(22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일 예로, 동영상 시청시에는 소리출력홈(222)에서 정렬끼움부(232)를 분리하여, 소리출력홈(222)을 통해 스마트기기(2)의 교육용 영상의 소리가 외부로 방출 수 있다. 이때, 패킹연결홈(221)에는 고정끼움부(231)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어, 패킹부(23)를 분실하지 않을 수 있다.The packing part 23 is installed in the noise outlet 22, and opens the noise outlet 22 so that the sound of the smart device 2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ise outlet 22 according to the user's use. can be shielded. The packing part 23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the packing part 23 may include a fixed fitting part 231 and an alignment fitting part 232 . The fixed fitting portion 231 may be inserted into the packing connection groove 221 to be fixed. The alignment fitting portion 232 may be inserted into the sound output groove 222 or separated from the sound output groove 222 . For example, when viewing a video, the sound of the educational video of the smart device 2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ound output groove 222 by separating the alignment fitting 232 from the sound output groove 222 . At this time, the state in which the fixed fitting part 231 is inserted is maintained in the packing connection groove 221 , so that the packing part 23 may not be lost.

체결돌부(24)와 체결홈부(25)에는 후술할 잠금장치(30)의 걸림돌기(3123)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의 하우징(11)에 설치된 상태의 걸림돌기(3123)가 커버(2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돌부(24)와 체결홈부(25)에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본체(10)와 커버(2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체결돌부(24)는 잠금장치(30)와 대향하도록 커버(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부(25)는 체결돌부(24) 하측에 형성되어, 체결홈부(25)에 걸림돌기(3123)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체결돌부(24)에 의해 걸림돌기(3123)가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A locking protrusion 3123 of a locking device 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24 and the fastening groove 25 . Specifically, the locking protrusion 3123 of the state installed in the housing 11 of the main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rotrusion 24 and the fastening groove 25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20, so that the main body ( 10) and the locked state of the cover 20 may be maintained. The fastening protrusion 24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20 to face the locking device 30 . The fastening groove 25 is formed below the fastening protrusion 24 , the locking protrusion 3123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5 , and the locking protrusion 3123 is not separated by the fastening protrusion 24 . can b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30)의 구조를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30)의 구조를 상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30)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푸쉬부(31)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1에 따른 락킹부(32)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따른 푸쉬부(31)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ownward direc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upper direc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unit 31 according to FIG. 11 is pressed, and FIG. 13 is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unit 32 is moved,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unit 31 according to FIG. 13 is pressed.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잠금장치(30)는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10)와 커버(20)를 개폐하되, 본체(10)와 커버(20)가 차폐된 잠금 상태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다.9 to 13, the locking device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but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are shielded lock The state may be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잠금장치(30)는 푸쉬부(31), 락킹부(32) 및 모터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device 30 may include a push unit 31 , a locking unit 32 , and a motor unit 33 .

푸쉬부(31)는 하우징(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11) 내부로 소정 길이 인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push unit 3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 , and may be installed to be retractable by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housing 11 by external pressure.

푸쉬부(31)는 전면프레임(311), 연결프레임(312) 및 잠금프레임(3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push unit 31 may include a front frame 311 , a connection frame 312 , and a lock frame 313 .

전면프레임(311)은 하우징(11)의 상부에 형성된 함볼부(111)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가압하는 부분일 수 있다.The front frame 311 is seated on the ball portion 11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 and may be a portion pressed by the user.

연결프레임(312)은 전면프레임(311)의 하면에 연결되며 하우징(11) 내부에 안착되고, 하우징(11)보다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커버(20)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312)은 안착부(3121), 걸림부(3122) 및 걸림돌기(31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frame 312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311 , is seated inside the housing 11 , and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in front of the housing 11 , and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20 . The connection frame 312 may include a seating part 3121 , a stopping part 3122 , and a stopping protrusion 3123 .

안착부(3121)는 하우징(11)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우징(11)의 둘레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하우징(11)의 함볼부(111)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The seating part 312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housing 11 so as to be seated inside the housing 11 , and may be seated inside the ball part 111 of the housing 11 .

걸림부(3122)는 안착부(3121)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커버(20)의 상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locking part 3122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end of the seating part 3121 and be locat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20 .

걸림돌기(3123)는 걸림부(3122)의 단부에서 삼각형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커버(20)의 체결홈부(25)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The locking protrusion 3123 is formed to protrude in a triangular shape from the end of the locking part 3122 ,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5 of the cover 20 to be fastened.

이처럼, 연결프레임(312)의 걸림부(3122) 및 걸림돌기(3123)가 커버(20)의 체결홈부(25)에 삽입되어 체결돌부(24)에 걸림에 따라 커버(20)와 본체(10)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전면프레임(311)을 가압하면 연결프레임(312)도 함께 하우징(11) 내부로 가압되며 하우징(11) 내부로 소정 길이 인입된다. 연결프레임(312)이 하우징(11) 내부로 소정 길이 인입됨으로써 걸림돌기(3123)가 체결홈부(25)에서 이탈되며, 본체(10)와 커버(20)를 개방할 수 있다.As such, the locking part 3122 and the locking protrusion 3123 of the connection frame 312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5 of the cover 20 and caught by the fastening protrusion 24 of the cover 20 and the main body 10. ) can be concluded. At this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front frame 311 , the connection frame 312 is also pressed into the housing 11 , and a predetermined length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 . As the connection frame 312 is drawn into the housing 11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locking protrusion 3123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25 , and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can be opened.

잠금프레임(313)은 연결프레임(312)의 하면에 연결되어 하우징(11)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잠금프레임(313)은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잠금돌부(3131)가 서로 이격 형성되고, 잠금돌부(3131) 사이마다 풀림홈부(3132)가 형성될 수 있다. 잠금프레임(313)은 락킹부(32)와의 간섭여부에 따라 연결프레임(312)의 하우징(11) 내부로의 인입이 차단되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연결프레임(312)이 커버(20)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e lock frame 313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rame 312 and seated inside the housing 11 . In the lock frame 313 ,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3131 protruding downwardly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unlocking grooves 3132 may be formed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s 3131 . The lock frame 313 blocks the entry of the connection frame 312 into the housing 11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locking unit 32 interferes with it, so that the connection frame 312 is fastened to the cover 20 for a preset time. state can be maintained.

락킹부(32)는 하우징(11)의 내부에서 푸쉬부(3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푸쉬부(31)가 하우징(11) 내부로 인입될 때 락킹부(32)와 접촉되는 지점에서 인입이 차단될 수 있다. 락킹부(32)는 모터연결부(321) 및 락킹조절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part 3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push part 31 inside the housing 11 . When the push unit 31 is drawn into the housing 11 , the insertion may be blocked at a point in contact with the locking unit 32 . The locking unit 32 may include a motor connection unit 321 and a locking adjustment unit 322 .

모터연결부(321)는 락킹조절부(322)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모터부(3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락킹조절부(322)는 잠금프레임(313)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모터연결부(321)는 락킹조절부(322)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motor connection part 321 may be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of the locking adjustment part 322 and be connected to the motor part 33 . In this case, the locking control unit 32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ocking frame 313 , and the motor connection unit 321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f the locking control unit 322 .

모터연결부(321)는 이동홈(3211) 및 피니언부(3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tor connection part 321 may include a moving groove 3211 and a pinion part 3212 .

이동홈(3211)은 모터부(33)의 래크부(331)가 삽입되며, 래크부(331)가 맞물린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moving groove 3211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rack portion 331 of the motor unit 33 is inserted, and the rack portion 331 is movable in an engaged state.

피니언부(3212)는 이동홈(3211)의 하부에 형성되어 래크부(331)와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inion part 3212 may b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groove 3211 to engage the rack part 331 .

락킹조절부(322)는 풀림홈부(31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푸쉬부(31)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대향돌부(3221)와, 대향돌부(3221)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잠금돌부(3131)가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대향홈부(3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adjustment unit 322 is formed between the opposing protrusion 3221 protruding toward the push unit 3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unlocking groove 3132, and the opposing protrusion 3221,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3131 is formed. It may include an opposing groove portion 3222 formed in an insertable form.

각각의 대향돌부(3221)가 각각의 풀림홈부(3132)와 마주보는 상태에서, 푸쉬부(31)에 외력의 힘이 가해지면, 푸쉬부(31)가 하우징(11) 내부로 인입되며, 본체(10)와 커버(20)의 잠금 상태가 해제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unit 31 in a state in which each of the opposing protrusions 3221 faces each of the release grooves 3132, the push unit 31 is drawn into the housing 11, and the main body (10) and the locking state of the cover 20 may be in a unlockable state.

락킹부(32)가 모터부(33)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각각의 대향돌부(3221)가 잠금돌부(3131)와 마주보는 상태에서, 푸쉬부(31)에 외력의 힘이 가해지면, 잠금돌부(3131)가 대향돌부(3221)과 충돌되면서 푸쉬부(31)가 상기 하우징(11) 내부로 인입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와 커버(20)가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e locking part 32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the motor part 33, and in a state where each of the opposing protrusions 3221 faces the locking protrusions 3131,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part 31 On the ground, as the locking protrusion 3131 collides with the opposing protrusion 3221 , the push part 31 may be blocked from entering the housing 11 . Accordingly,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can be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모터부(33)는 모터연결부(321)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래크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tor part 33 may include a rack part 331 which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motor connection part 321 and rotates by a driving force.

모터부(33)의 작동에 의해 래크부(331)가 회전함에 따라 래크부(331)와 맞물린 피니언부(3212)에 의해 모터연결부(321)가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모터연결부(321)가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락킹조절부(322)가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As the rack part 331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part 33, the motor connection part 321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the pinion part 3212 engaged with the rack part 331, and the motor connection part 321 As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locking adjustment unit 322 is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잠금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기 설정된 시간이 입력되기 전, 락킹부(32)가 작동되기 전 상태에서는, 본체(10)와 커버(20)를 개폐가 가능하도록 잠금장치(30)가 off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대향돌부(3221)가 풀림홈부(3132)와 마주보는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푸쉬부(31)를 하우징(11)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돌부(3221)가 풀림홈부(3132)로 삽입되면서 푸쉬부(31)가 하우징(11) 내측으로 소정 길이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3123)가 체결홈부(25)에서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커버(20)와 본체(10)가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커버(20)의 내부공간(21)이 차폐되도록 커버(20)와 본체(10)를 닫게되면, 본체(10)에 설치된 잠금장치(30)의 걸림돌기(3123)가 체결홈부(25)에 삽입되며 커버(20)와 본체(10)가 차폐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 Before the preset time is input, in a state before the locking unit 32 is operated, the locking device 30 may be in an off state so that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can be opened and close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1 , each of the opposing protrusions 3221 may be in a state facing the release groove 3132 . In this state, when the push part 31 is pres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housing 11, as shown in FIG. 12 , the opposing protrusion 3221 is inserted into the release groove part 3132 and the push part 31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drawn inward. Accordingly, since the locking protrusion 3123 can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25 , the cover 20 and the main body 10 can be opened. Conversely, when the cover 20 and the main body 10 are closed so that the inner space 21 of the cover 20 is shielded, the locking protrusion 3123 of the locking device 3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closes the fastening groove 25 ) and the cover 20 and the body 10 may be shielded.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는 각각의 대향돌부(3221)가 상기 잠금돌부(3131)와 마주보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부(31)를 하우징(11) 내측으로 가압하여도 대향돌부(3221)가 잠금돌부(3131)에 충돌하여 하우징(11) 내부로 인입이 불가하다. 따라서, 걸림돌기(3123)가 체결홈부(25)에서 이탈이 불가하기 때문에, 커버(20)와 본체(10)가 개방될 수 없다.As shown in FIG. 13 , each of the opposing protrusions 3221 faces the locking protrusions 3131 for a preset time set by the user. Therefore, as shown in FIG. 14 , even when the push part 31 is pressed into the housing 11 , the opposing protrusion 3221 collides with the locking protrusion 3131 , so that it cannot be drawn into the housing 11 . Therefore, since the locking protrusion 3123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25, the cover 20 and the main body 10 cannot be opened.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제어부(151)는 모터부(33)를 작동시켜, 다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각각의 대향돌부(3221)가 풀림홈부(3132)와 마주보는 상태가 되도록 락킹부(3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대향돌부(3221)와 풀림홈부(3132)가 마주보도록 락킹부(32)를 좌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푸쉬부(31)를 하우징(11)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대향돌부(3221)가 풀림홈부(3132)로 삽입되면서 푸쉬부(31)가 하우징(11) 내측으로 소정 길이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3123)가 체결홈부(25)에서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커버(20)와 본체(10)가 개방될 수 있다. When the preset time is exceeded, the control unit 151 operates the motor unit 33, and again, as shown in FIGS. 11 and 12 , the locking unit so that each of the opposing protrusions 3221 faces the unlocking groove 3132 . (32) can be moved. For example, the locking part 32 may be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left so that the opposing protrusion 3221 and the release groove 3132 face each other. In this state, when the push part 31 is pres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housing 11 , the opposing protrusion 3221 is inserted into the release groove part 3132 and the push part 31 is drawn into the housing 11 by a predetermined length. can be Accordingly, since the locking protrusion 3123 can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25 , the cover 20 and the main body 10 can be opened.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돌출부(34) 및 탄성부(35)를 더 포함하는 잠금장치(30)가 설치된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에 따른 잠금장치(30)가 설치된 본체(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5에 따른 가압돌출부(34) 및 탄성부(35)를 더 포함하는 잠금장치(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5에 따른 잠금장치(30)가 작동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a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1 installed with a locking device 30 further comprising a pressing protrusion 34 and an elastic part 3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locking device 30 is installed, and FIG. 17 is a view showing the locking device 30 further including the pressing protrusion 34 and the elastic part 35 according to FIG. , FIG. 1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locking device 30 according to FIG. 15 is operated.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는 무선충전패드(122), 가압돌출부(34) 및 탄성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15 to 18 , the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pad 122 , a pressing protrusion 34 and an elastic part 35 .

무선충전패드(122)는 스마트기기(2)가 장착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충전패드(122)는 장착되는 스마트기기(2)에 전력을 제공하여, 스마트기기(2)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충전패드(122)는 거치패드(12)의 전면에 설치되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pad 122 may be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 smart device 2 is mounted. The wireless charging pad 122 may provide power to the mounted smart device 2 so that the smart device 2 is charged. Fo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pad 122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pad 12 , is connected to a batter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power.

가압돌출부(34)는 모터부(33)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거치패드(12)를 관통하여 소정 길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pressing protrusion 34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motor unit 33 , penetrates the mounting pad 12 and may protrude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탄성부(35)는 모터부(33)의 후방에 설치되어, 모터부(33)와 하우징(11) 내측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35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otor part 33 and positioned between the motor part 3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 .

이때, 이동홈(3211)에는 전방으로 연통되며 래크부(331)가 위치될 수 있는 정렬홈(321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홈(3211)과 정렬홈(3213)은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ing groove 3211 communicates forward and an alignment groove 3213 in which the rack 331 can be located may be formed. That is, the moving groove 3211 and the alignment groove 3213 may be formed in an “L” shape.

이러한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거치패드(12)에 스마트기기(2)가 장착되면, 스마트기기(2)가 거치패드(12)와 밀착되는 과정에서, 거치패드(12) 전방으로 돌출된 가압돌출부(34)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돌출부(34)가 가압되면서 하우징(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가압돌출부(34)가 하우징(11) 내측의 후방으로 가압되면서 모터부(33)도 후방으로 소정 길이 가압될 수 있다. 모터부(33)의 후방에 배치된 탄성부(35)가 압축되면서 모터부(33)가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When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for limiting the use of such a smart device (1), when the smart device (2)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d (12), in the process of the smart device (2)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nting pad (12), the mounting pad (12) The pressing protrusion 34 protruding forward is pressed. The pressing protrusion 34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1 while being pressed. As the pressing protrusion 34 is pressed to the rear inside the housing 11 , the motor 33 may also be pressed to the rear by a predetermined length. As the elastic part 35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otor part 33 is compressed, the motor part 33 may be pressed backward.

이때, 가압돌출부(34)가 가압되기 전 상태에서, 모터부(33)의 래크부(331)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홈(3213)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후, 가압돌출부(34)가 가압됨에 따라, 모터부(33)가 후방으로 가압되면서 모터부(33)의 래크부(331)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홈(3211)에 위치된 상태가 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tate before the pressing protrusion 34 is pressed, the rack part 331 of the motor part 33 may be maintained in a state positioned in the alignment groove 3213 as shown in FIG. 18A . Thereafter, as the pressing protrusion 34 is pressed, the motor 33 is pressed backward while the rack 331 of the motor 33 is positioned in the moving groove 3211 as shown in FIG. 18b . can be

이처럼, 스마트기기(2)가 거치패드(12)에 장착된 상태에서만 래크부(331)가 이동홈(321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스마트기기(2)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자유롭게 본체(10)와 커버(20)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기기(2)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이 눌리거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래크부(331)가 정렬홈(3213)에 위치되어 있어 이동홈(3211)을 따라 이동이 불가하여, 잠금장치(30)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by forming the rack part 331 to be movable along the moving groove 3211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 device 2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d 12 , the smart device 2 is not mounted in FIG. 11 . And as shown in FIG. 12 ,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can be freely opened and closed. Therefore, when the button is pressed or a malfunction occurs while the smart device 2 is not mounted, the rack 331 is located in the alignment groove 3213 and cannot be moved along the movement groove 321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cking device 30 from being operated.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다.19 is a view showing a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1 further including a pa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1)는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the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pad unit.

패널부(40)는 커버(20)의 일 영역에 설치되며 정전식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널부(40)는 시간표시부(41), 재생바(42), 재생조절버튼(43), 소리조절버튼(44) 및 책갈피버튼(45)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unit 40 is installed in one area of the cover 20 and may be configured as a capacitive touch screen. The panel unit 40 may include a time display unit 41 , a play bar 42 , a play control button 43 , a sound control button 44 , and a bookmark button 45 .

시간표시부(41)는 잠금장치(3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기 설정된 시간의 잔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The time display unit 41 may display the remaining time of a preset time for which the locking device 30 maintains the locked state.

재생바(42) 및 재생조절버튼(43)은 스마트기기(2)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재생을 조절하는 표시부와 연동되어, 학습자가 재생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play bar 42 and the play control button 43 are linked with the display unit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reproduced in the smart device 2, so that the learner can adjust the reproduction state.

소리조절버튼(44)은 스마트기기(2)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소리를 조절하는 표시부와 연동되어, 학습자가 소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sound control button 44 is linked with the display unit for adjusting the sound of the image reproduced in the smart device 2, so that the learner can adjust the sound.

책갈피버튼(45)은 학습자가 영상 시청 도중, 특정 재생 시점을 책갈피로 하여 추후에 반복 학습할 수 있다.The bookmark button 45 allows the learner to repeatedly learn later by setting a specific playback point as a bookmark while the learner is watching the video.

추가로, 제어부(151)를 통해 학습자가 설정하는 설정값에 따라, 책갈피버튼(45)을 누른 재생 지점에서부터 앞으로 3분, 뒤로 3분을 포함하는 구간을, 영상 재생이 종료된 후에 바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value set by the learner through the control unit 151, a section including 3 minutes forward and 3 minutes backward from the playback point where the bookmark button 45 is pressed is played immediately after video playback is finished. can do.

이때, 제어모듈(15)은 맵핑부(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맵핑부(159)는 영상이 재생되는 스마트기기(2)에서 영상의 재생을 조절하는 표시부의 좌표와, 소리를 조절하는 표시부의 좌표를 전송받아, 각각의 좌표를 패널부(40)의 재생바(42), 재생조절버튼(43), 소리조절버튼(44)의 좌표와 맵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15 may further include a mapping unit 159 . The mapping unit 159 receives the coordinates of the display unit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and the coordinates of the display unit for controlling the sound in the smart device 2 on which the image is reproduced, and sets the respective coordinates on the playback bar of the panel unit 40 . (42), the playback control button 43, it can be mapped to the coordinates of the sound control button (44).

따라서, 스마트기기(2)가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학습자가 영상 시청 중에 재상바, 재생조절버튼(43) 및 소리조절버튼(44)을 이용하여 영상의 재생 및 소리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smart device 2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 the learner can control the playback and sound of the video using the replay bar, the playback control button 43 and the sound control button 44 while watching the video. ha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2: 스마트기기
10: 본체 11: 하우징
111: 함몰부 12: 거치패드
121: UV 방출홈 122: 무선충전패드
13: 디스플레이부 14: 제어기판
141: 배터리 커넥터 142: 모터 커넥터
143: 제1 버튼 커넥터 144: 제2 버튼 커넥터
145: 제3 버튼 커넥터 15: 제어모듈
151: 제어부 152: 전원부
153: 통신부 154: 백색소음메모리부
155: 타이머 156: 시간기록부
157: 시간산출부 158: 무음설정부
159: 맵핑부 16: 버튼부
161: 모드조절부 162: 시간조절부
163: 살균조절부 17: 살균램프
18: 충전단자 19: 연결부
20: 커버 21: 내부공간
22: 소음방출구 221: 패킹연결홈
222: 개방홈 23: 패킹부
231: 고정끼움부 232: 정렬끼움부
24: 체결돌부 25: 체결홈부
30: 잠금장치 31: 푸쉬부
311: 전면프레임 312: 연결프레임
3121: 안착부 3122: 걸림부
3123: 걸림돌기 313: 잠금프레임
3131: 잠금돌부 3132: 풀림홈부
32: 락킹부 321: 모터연결부
3211: 이동홈 3212: 피니언부
3213: 정렬홈 322: 락킹조절부
3221: 대향돌부 3222: 대향홈부
33: 모터부 331: 래크부
34: 가압돌출부 35: 탄성부
40: 패널부 41: 시간표시부
42: 재생바 43: 재생조절버튼
44: 소리조절버튼 45: 책갈피버튼
1: Device to restrict the use of smart devices
2: Smart device
10: body 11: housing
111: depression 12: mounting pad
121: UV emission groove 122: wireless charging pad
13: display unit 14: control board
141: battery connector 142: motor connector
143: first button connector 144: second button connector
145: third button connector 15: control module
151: control unit 152: power unit
153: communication unit 154: white noise memory unit
155: timer 156: time record book
157: time calculation unit 158: silence setting unit
159: mapping unit 16: button unit
161: mode control unit 162: time control unit
163: sterilization control unit 17: sterilization lamp
18: charging terminal 19: connection part
20: cover 21: inner space
22: noise discharge port 221: packing connection groove
222: open groove 23: packing part
231: fixed fitting portion 232: alignment fitting portion
24: fastening protrusion 25: fastening groove
30: lock 31: push unit
311: front frame 312: connection frame
3121: seating portion 3122: engaging portion
3123: jamming projection 313: lock frame
3131: locking protrusion 3132: loosening groove
32: locking part 321: motor connection part
3211: moving groove 3212: pinion unit
3213: alignment groove 322: locking adjustment unit
3221: opposing protrusion 3222: opposing groove
33: motor unit 331: rack unit
34: pressure protrusion 35: elastic part
40: panel unit 41: time display unit
42: play bar 43: play control button
44: sound control button 45: bookmark button

Claims (9)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차폐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스마트기기가 장착될 수 있는 거치패드를 포함하는 본체;
하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와 잠금상태 또는 잠금상태 해제가 가능하게 연결되어, 커버의 내부공간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장착된 스마트기기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상기 내부공간을 포함하되, 전면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스마트기기의 화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를 개폐하되,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차폐된 잠금 상태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소정 길이 인입 가능한 푸쉬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푸쉬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락킹부; 및
상기 락킹부를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부가 하우징 내부로 인입될 때 상기 락킹부와 접촉되는 지점에서 인입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a body including a housing formed in a box shape, a plate shape to shield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mounting pad on the front surface of which a smart device can be mounted;
The lower par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in a locked state or unlocked state so that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is possible, and a smart device mounted on the main body a cover including the inner space that can be accommodated therein, the front of which is formed transparently so that the entire screen of the smart device accommodated therein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lock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nd to maintain a locked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shielde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The lock is
a push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capable of being drawn into the hous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external pressure;
a locking par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face the push part; and
and a motor unit capable of reciprocating the locking uni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ush part is drawn into the housing, the entry is blocked at a point in contact with the locking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함몰부에 안착되는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의 하면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하우징보다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고,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잠금돌부가 서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잠금돌부 사이마다 형성되는 풀림홈부를 포함하는 잠금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 unit,
a front frame seated in a depress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and seated inside the housing,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from the housing, and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and
A lock fram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rame to be seated inside the housing,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ly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locking frame including unlocking grooves formed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s. A device that restricts the use of smart devic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푸쉬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잠금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조절부는,
상기 풀림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푸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대향돌부; 및
상기 대향돌부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돌부가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대향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ocking unit,
It includes; a lock adjustment unit disposed to face the push unit;
The lock adjustment unit,
an oppos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push unit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lease groove; and
A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comprising a; opposed groove formed between the opposed protrusions and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s can be inserted.
청구항 3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대향돌부가 각각의 상기 풀림홈부와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푸쉬부에 외력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푸쉬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락킹부가 상기 모터부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각각의 상기 대향돌부가 상기 잠금돌부와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푸쉬부에 외력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잠금돌부가 상기 대향돌부과 충돌되면서 상기 푸쉬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이 차단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잠금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part in a state in which each of the opposed protrusions faces each of the unlocking grooves, the push part is drawn into the housing, and the locking state of the body and the cover is releas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art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the motor part, each of the opposing protrusions faces the locking protrusions, the locking protrusions collide with the opposing protrusions While the push part is blocked from entering the housing, the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잠금조절부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는 모터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모터연결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래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연결부는,
상기 래크부가 삽입되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이동홈; 및
상기 이동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래크부와 맞물리는 피니언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래크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래크부와 맞물린 상기 피니언부에 의해 상기 모터연결부가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모터연결부가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잠금조절부가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ocking part further includes a motor connection part extending in one direction of the lock adjustment part and connected to the motor part,
The motor par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motor connection part and includes a rack part that is rotated by a driving force;
The motor connection part,
a moving groove into which the rack part is inserted and which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ncluding; a pinion portion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groove and engaged with the rack portion,
As the rack part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part, the motor connection part is mov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by the pinion part engaged with the rack part, and as the motor connection part mov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lock adjustment part is mov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Smart device use restri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oved alo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하면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는, 상기 모터부를 통해 각각의 상기 대향돌부가 상기 잠금돌부와 마주보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락킹부를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모터부를 통해 각각의 상기 대향돌부가 상기 풀림홈부와 마주보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락킹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ody is
a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controlling the locking device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for a preset time, and controlling the locking state to be released when the preset time is exceeded including a control module that
The control unit is
For a preset time, the locking part is moved so that each of the opposing protrusions faces the locking protrusions through the motor part, and the locking part is maintained.
When the preset time is exceeded, the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moving the locking unit so that each of the opposing protrusions face the unlocking groove through the motor uni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받는 시간조절부를 포함하는 버튼부;
상기 스마트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램프; 및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기 설정된 시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ody is
a button unit including a time adjusting unit for receiving a preset time;
a sterilization lamp emitting ultraviolet rays to sterilize the smart device; and
Smart device usage restriction device comprising a;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the remaining time as time elapses from a preset time or a preset tim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를 유지한 시간을 기록하는 시간기록부;
스마트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로부터, 스마트기기의 알람 방법이 진동, 벨소리, 또는 무음 중 어느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알람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알람 설정 정보가 진동 또는 벨소리인 경우, 무음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무음설정부; 및
백색 소음이 저장되는 백색소음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module is
a time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time the locking device maintains the locked state;
When receiving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th the smart device, whether the alarm method of the smart device is set to vibration, ringtone, or silence, and the alarm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is vibration or ringtone, a silence set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change to silence; and
A device for limiting the use of smart devices, including a white noise memory unit for storing white noi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 측면에 형성되어, 스마트기기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까지 출력되도록, 스마트기기의 스피커가 위치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소음방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sound generated by the smart device is output to the outside, the noise emission port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speaker of the smart device is located; Smart device use limiting device comprising a.
KR1020210064181A 2021-05-18 2021-05-18 Appratus for smart phone use restriction KR1024484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81A KR102448477B1 (en) 2021-05-18 2021-05-18 Appratus for smart phone use restri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81A KR102448477B1 (en) 2021-05-18 2021-05-18 Appratus for smart phone use restri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477B1 true KR102448477B1 (en) 2022-09-28

Family

ID=8346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181A KR102448477B1 (en) 2021-05-18 2021-05-18 Appratus for smart phone use restri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47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426A (en) * 2014-09-29 2016-04-06 박권영 A case for mobile device
KR102044916B1 (en) 2017-12-18 2019-11-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of educational tutorial platform of smar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426A (en) * 2014-09-29 2016-04-06 박권영 A case for mobile device
KR102044916B1 (en) 2017-12-18 2019-11-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of educational tutorial platform of smar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7526B2 (en) Door securement mechanism for waterproof encasement
US8254852B2 (en) Food/drink container
US20150236743A1 (en) Privacy and protection case for mobile devices
CN107613073B (en) Shell assembly,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953470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448477B1 (en) Appratus for smart phone use restriction
US2012027509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223462B1 (en) Projector
CN107682486B (en) Shell assembly,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082090B2 (en) Game machine
KR100218008B1 (en) Display apparatus for closing and disclosing voice input or output terminals
KR101427258B1 (en) Portable terminal
KR102341533B1 (en) Appratus for smart phone use restriction
US20090069918A1 (en) Portable digital device
KR101249731B1 (en) Furniture having Display
CN116382424A (en) Notebook computer and switch circuit
CN210093379U (en) Video detection device with video playback function
CN208447181U (en) Storing mould group and intelligent door body
CN219383433U (en) Earphone receiver
JP2008035115A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N210781605U (en) Multifunctional LCD video player
CN205647686U (en) Loudspeaker waterproof construction and moving camera
TWI283832B (en) Multimedi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200404172Y1 (en) case of amusement machine
US6072659A (en) Recording and/or playback apparatus having a cassette mounted detection mechanism mounted in a lid of a cassette mounting s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