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010B1 - 웨이브가이드 필터 - Google Patents

웨이브가이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010B1
KR102448010B1 KR1020200159163A KR20200159163A KR102448010B1 KR 102448010 B1 KR102448010 B1 KR 102448010B1 KR 1020200159163 A KR1020200159163 A KR 1020200159163A KR 20200159163 A KR20200159163 A KR 20200159163A KR 102448010 B1 KR102448010 B1 KR 102448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esonance
group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716A (ko
Inventor
류지만
김덕한
장대훈
안달
강태훈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20015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0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표면에 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라믹 블록, 상기 세라믹 블록의 일면에 형성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되는 공진부 - 상기 공진부는 상기 입력단자에 대향되는 입력홈과 상기 입력홈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을 포함하는 제1 공진그룹 및 상기 출력단자에 대향되는 출력홈과 상기 출력홈으로부터 상기 제1 공진그룹과 평행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을 포함하는 제2 공진그룹을 포함함 -, 상기 제1 공진그룹의 상기 입력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부, 상기 제2 공진그룹의 상기 출력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부, 상기 제1 공진그룹 중 상기 입력홈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과 상기 제2 공진그룹 중 상기 출력홈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공진그룹 및 상기 제2 공진그룹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홈, 상기 출력홈 및 상기 공진홈 중 적어도 하나는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면에 평행한 단면이 작아지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Description

웨이브가이드 필터{Waveguide Filter}
본 발명은 웨이브가이드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Q-factor와 개선된 고조파 특성을 가져 RF 특성이 향상된 웨이브가이드 필터에 관한 것이다.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널리 사용되는 공진홀을 가진 유전체 필터에 비해서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선 통신의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수십 GHz에 해당하는 높은 주파수 대역의 통신 기술이 도입되고 있고, 따라서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종래의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복수의 유전체 재질의 모노블록을 연결하여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구현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모노블록이 맞닿는 면에 금속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패턴의 형상을 조절하여 필터의 RF 특성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유전체 도파관 필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4114호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의 RF 특성을 조절하는 공정이 간단하면서, 충분히 소형화가 가능한 유전체 도파관 필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4114호(공개일자: 2003년01월23일, 발명의 명칭: 유전체도파관 필터와 그 실장구조)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높은 Q-factor와 개선된 고조파 특성을 가져 RF 특성이 향상된 웨이브가이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표면에 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라믹 블록, 상기 세라믹 블록의 일면에 형성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되는 공진부 - 상기 공진부는 상기 입력단자에 대향되는 입력홈과 상기 입력홈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을 포함하는 제1 공진그룹 및 상기 출력단자에 대향되는 출력홈과 상기 출력홈으로부터 상기 제1 공진그룹과 평행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을 포함하는 제2 공진그룹을 포함함 -, 상기 제1 공진그룹의 상기 입력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부, 상기 제2 공진그룹의 상기 출력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부, 상기 제1 공진그룹 중 상기 입력홈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과 상기 제2 공진그룹 중 상기 출력홈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공진그룹 및 상기 제2 공진그룹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홈, 상기 출력홈 및 상기 공진홈 중 적어도 하나는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면에 평행한 단면이 작아지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제1 관통부 및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관통부를 형성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결합관통부는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결합관통부 및 제2 결합관통부를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차단부는 상기 결합관통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입력홈, 상기 출력홈 및 상기 공진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일 방향 단면이 원뿔대 형상인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는 패드 형태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차단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홀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관통부와 상기 제2 관통부 사이에서 상기 일면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주변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보조홈을 더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보조홈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호 대칭적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보조홈 보다 깊게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측홈 및 제2 내측홈을 더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보조홈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상기 보조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보조홈을 주변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높은 Q-factor를 가지며 제2 하모닉 주파수가 높게 형성되어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보다 많은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전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주파수 필터의 일종으로서 주로 무선통신을 위한 기기에 탑재된다. 특히, 많은 전력을 이용하는 위성이나 이동통신기지국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고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전송손실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제작된 필터로서 공진현상(Resonance Phenomenon)을 이용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세라믹 블록(100), 입력단자(200), 출력단자(300), 공진부(400), 관통부(500), 결합부(700) 및 차단부(8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라믹 블록(100)은 전체적으로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표면에 전도성 코팅층(110)이 형성된다. 즉, 세라믹 블록(100)의 6개 면에 전도성 물질이 코팅되어 있다. 세라믹 블록(100)의 일면에는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입력단자(200)와 출력단자(300)가 형성되고, 그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는 공진부(400), 제1 관통부(510), 제2 관통부(520), 결합부(700) 및 차단부(800)가 형성된다.
입력단자(200) 및 출력단자(300)는 세라믹 블록(100)의 일면에 각각 1개씩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입력단자(200) 및 출력단자(300)는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가 전기적으로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입력단자(200) 및 출력단자(300)는 주변의 전도성 코팅층(110)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단자(200) 및 출력단자(300)는 절연체에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때, 절연체는 입력단자(200) 또는 출력단자(300)와 원형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진부(400)는 세라믹 블록(100)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된다. 공진부(400)는 복수개의 공진홈(430)으로 이루어진다. 공진부(400)는 복수개의 공진홈(430)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칭되도록 마주보는 제1 공진그룹 및 제2 공진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진그룹은 3개 이상의 공진홈(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입력단자(200)에 대향하도록 타면에 형성되는 입력홈(431), 입력홈(431)과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1 공진홈(433) 및 입력홈(431)과 가장 멀리 위치한 제2 공진홈(434)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홈(431), 제1 공진홈(433) 및 제2 공진홈(434)은 세라믹 블록(100)의 타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홈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세라믹 블록(100)의 타면에 평행한 단면이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뿔대 형상과 같이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홈이 좁아지고 내측면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통해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종래 공진홈(430)의 개구와 내측이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1)에 비해서 높은 Q-factor를 가질 수 있다. Q-factor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입력홈(431), 제1 공진홈(433) 및 제2 공진홈(434)은 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홈(431), 제1 공진홈(433) 및 제2 공진홈(434)의 중심부를 잇는 중심선이 일직선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진그룹은 3개 이상의 공진홈(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출력단자(300)에 대향하도록 타면에 형성되는 출력홈(432), 출력홈(432)과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3 공진홈(435) 및 출력홈(432)과 가장 멀리 위치한 제4 공진홈(436)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홈(432), 제3 공진홈(435) 및 제4 공진홈(436)은 세라믹 블록(100)의 타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홈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세라믹 블록(100)의 타면에 평행한 단면이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뿔대 형상과 같이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홈이 좁아지고 내측면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통해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종래 공진홈(430)의 개구와 내측이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1)에 비해서 높은 Q-factor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Q-factor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출력홈(432), 제3 공진홈(435) 및 제4 공진홈(436)은 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공진그룹을 구성하는 공진홈(430)들은 제1 공진그룹을 구성하는 공진홈(430)들과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토대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기능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입력단자(200)에 인가된 전기신호가 제1 공진그룹과 제2 공진그룹의 공진홈(430)들에 의해 특정한 주파수 특성을 띄게 되고, 이러한 전기신호가 출력단자(300)를 통해서 외부 기기에 인가될 수 있다.
제1 공진그룹 및 제2 공진그룹을 형성하는 각각의 공진홈(430) 사이에는 복수개의 관통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500)는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관통부(500)가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하는 개구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부(500)의 개구는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관통부(510)는 입력홈(431)과 제1 공진홈(433) 사이 또는 제1 공진홈(433)과 제2 공진홈(434)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부(510)는 인접한 공진홈(430)들(입력홈(431), 제1 공진홈(433) 및 제2 공진홈(434))의 중심부를 잇는 중심선보다 내측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관통부(520)는 출력홈(432)과 제4 공진홈(436) 사이 또는 제3 공진홈(435)과 제4 공진홈(436)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공진홈(435)과 제4 공진홈(436)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관통부(520)는 출력홈(432)과 제4 공진홈(436)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관통부(510)보다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관통부(520)는 인접한 공진홈(430)들(출력홈(432), 제3 공진홈(435) 및 제4 공진홈(436))의 중심부를 잇는 중심선보다 내측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제1 관통부(510)와 제2 관통부(520)는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관통부(60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관통부(510)와 제2 관통부(520)가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면서 서로 이어져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는 결합관통부(600)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관통부(600)는 입력홈(431)과 출력홈(432) 근방에 형성되는 제1 결합관통부(610)와 결합부(700) 근방에 있는 제2 결합관통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관통부(610)와 제2 결합관통부(620)는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관통부(610)가 제2 관통부(520)에 비해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500)의 형상과 배치를 통해서 입력단자(200)에 인가된 전기신호가 특정한 주파수 특성을 갖도록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를 튜닝할 수 있다.
결합부(700)는 세라믹 블록(100)의 타면을 내측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부(700)는 제1 공진그룹 중 입력홈(431)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430)과 제2 공진그룹 중 출력홈(432)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430)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결합부(700)는 제2 공진홈(434)과 제3 공진홈(43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700)은 제2 관통부(520)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700)와 제2 관통부(520)이 형성하는 단면은 십자가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700)가 타면에 형성하는 개구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결합부(700)의 개구는 일 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차단부(800)는 제1 공진그룹 및 제2 공진그룹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차단부(800)는 입력홈(431) 및 제1 공진홈(433)과 인접하여 위치한다.
차단부(800)는 제1 결합관통부(6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부(800)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결합관통부(610)와 이어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800)는 제1 결합관통부(610)를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 결합관통부(610)와 함께 "T" 형상의 개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800)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차단홀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800)의 차단홀은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단홀이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하는 개구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홀은 원통형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단홀의 개구의 크기는 공진홈(430)의 개구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차단홀은 제1 공진그룹의 공진홈(430)보다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단홀은 제2 공진그룹의 공진홈(430)보다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홈(900)은 세라믹 블록(100)의 일면에 위치한다. 보조홈(900)은 제1 관통부()와 제2 관통부 사이에서 세라믹 블록(100)의 일면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보조홈(900)은 도 2와 같이 개구가 트랙(Track)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홈(900)은 내측 또는 외측에는 보조홈(9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절연부(93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절연부(930)가 보조홈(90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절연부(930)이 보조홈(900)의 외측에서 보조홈(900)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절연부(930)는 세라믹 블록(100)의 표면에 코팅된 전도성 코팅층(110)이 벗겨진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절연부(930)는 보조홈(900)을 주변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조홈(900)은 보조홈(9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호 대칭적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보조홈(900) 보다 더 깊게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측홈(910) 및 제2 내측홈(920)을 포함한다. 제1 내측홈(910)과 제2 내측홈(920)은 세라믹 블록(100)의 일면이 원형으로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보조홈(900), 제1 내측홈(910) 및 제2 내측홈(920)에 의해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주파수의 특성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즉, 제1 공진홈 내지 제4 공진홈의 결합 특성에 따른 인덕턴스 성분과 커패시터 성분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제1 공진홈과 제3 공진홈 또는 제2 공진홈과 제4 공진홈은 각각 제2 공진홈과 제3 공진홈과 직접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는데, 서로의 결합으로 인해 주파수 특성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보조홈(900), 제1 내측홈(910) 및 제2 내측홈(920)을 구비하여 노치 특성을 갖는 주파수 응답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노치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주파수 특성을 실험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11 Synthesis는 입력단자(200)에 전기신호를 인가했을 때 출력단자(300)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S21 Synthesis는 입력단자(200)에 전기신호를 인가했을 때 입력단자(200)로 반사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는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가 3,680MHz 부근과 3,820MHz 부근에서 급격한 주파수 응답의 변화가 있는 노치 형태의 응답을 나타냄을 보이고 있다. 이는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로서뿐만 아니라 대역차단필터(Band reject filter)로서 기능할 때에도 마찬가지의 특성을 보인다.
이렇게 보조홈(900), 제1 내측홈(910) 및 제2 내측홈(920)을 배치하는 것은 간단한 공정의 변화만을 요구하므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노치특성(Notch Characteristics)을 갖는 주파수응답을 가져 높은 높은 Q-factor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홈(900), 제1 내측홈(910) 및 제2 내측홈(920)의 형상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므로 상대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것에 비하여 공정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웨이브가이드 필터
100: 세라믹 블록
110: 전도성 코팅층
200: 입력단자
300: 출력단자
400: 공진부
410: 제1공진그룹
420: 제2공진그룹
430: 공진홈
431: 입력홈
432: 출력홈
433: 제1 공진홈
434: 제2 공진홈
435: 제3 공진홈
436: 제4 공진홈
500: 관통부
510: 제1 관통부
520: 제2 관통부
600: 결합관통부
610: 제1 결합관통부
620: 제2 결합관통부
700: 결합부
800: 차단부
900: 보조홈
910: 제1 내측홈
920: 제2 내측홈
930: 절연부

Claims (10)

  1. 표면에 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라믹 블록;
    상기 세라믹 블록의 일면에 형성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되는 공진부 - 상기 공진부는 상기 입력단자에 대향되는 입력홈과 상기 입력홈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을 포함하는 제1 공진그룹 및 상기 출력단자에 대향되는 출력홈과 상기 출력홈으로부터 상기 제1 공진그룹과 평행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을 포함하는 제2 공진그룹을 포함함 -;
    상기 제1 공진그룹의 상기 입력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부;
    상기 제2 공진그룹의 상기 출력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부;
    상기 제1 공진그룹 중 상기 입력홈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과 상기 제2 공진그룹 중 상기 출력홈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부;
    상기 제1 공진그룹 및 상기 제2 공진그룹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차단부; 및
    상기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관통부와 상기 제2 관통부 사이에서 상기 일면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주변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보조홈; 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홈은 상기 보조홈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호 대칭적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보조홈 보다 깊게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측홈 및 제2 내측홈과 상기 보조홈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상기 보조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보조홈을 주변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부 및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관통부를 형성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통부는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결합관통부 및 제2 결합관통부를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결합관통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홈, 상기 출력홈 및 상기 공진홈 중 적어도 하나는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면에 평행한 단면이 작아지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홈, 상기 출력홈 및 상기 공진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일 방향 단면이 원뿔대 형상인 웨이브가이드 필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는 패드 형태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홀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59163A 2020-11-24 2020-11-24 웨이브가이드 필터 KR10244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163A KR102448010B1 (ko) 2020-11-24 2020-11-24 웨이브가이드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163A KR102448010B1 (ko) 2020-11-24 2020-11-24 웨이브가이드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716A KR20220071716A (ko) 2022-05-31
KR102448010B1 true KR102448010B1 (ko) 2022-09-27

Family

ID=8178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163A KR102448010B1 (ko) 2020-11-24 2020-11-24 웨이브가이드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0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26949A (ja) * 2015-11-27 2018-09-13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誘電体フィルタ、トランシーバ、および基地局
WO2020143814A1 (zh) * 2019-01-11 2020-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滤波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004A (ko) * 1998-09-25 2000-04-15 원대철 유전체 필터
JP5675449B2 (ja) 2011-03-11 2015-02-25 東光株式会社 誘電体導波管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26949A (ja) * 2015-11-27 2018-09-13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誘電体フィルタ、トランシーバ、および基地局
WO2020143814A1 (zh) * 2019-01-11 2020-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滤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716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9629B2 (ja) RF−MEMs同調型スロット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41727B1 (ko) 필터 내장 유전체 안테나, 듀플렉서 내장 유전체 안테나 및 무선 장치
EP1357636B1 (en) Multiple-resonant antenna, antenna module, and radio device using the multiple-resonant antenna
EP1109251B1 (en) Antenna un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6680708B2 (en) Loop antenna, surface-mounted antenna and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 same
KR102503237B1 (ko) 무선 주파수 필터
CN111883914B (zh) 基于siw馈电的具有滤波特性的介质谐振器宽带天线
WO2001013460A1 (en) Microwave filter
US6057745A (en) Dielectric filter, transmitting/receiving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epressed parallel plate mode below a resonant frequency
KR102448010B1 (ko) 웨이브가이드 필터
US6566988B2 (en) Stacked type dielectric resonator
EP1777774B1 (en) Dielectric device
KR102363472B1 (ko) 웨이브가이드 필터
KR102280048B1 (ko) 무선신호 송수신 모듈
KR19980079948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12544015B (zh) 波导管缝隙天线
KR102333921B1 (ko) 비대칭 커플링을 갖는 도파관 필터
KR102337905B1 (ko) 웨이브가이드 필터
KR101946515B1 (ko) 유전체 도파관 필터
KR100296513B1 (ko) 도파관필터
EP0869573B1 (en) Dielectric filt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same
KR20210111456A (ko) 웨이브가이드 필터
US20240030610A2 (en) Monopole wire-patch antenna with enlarged bandwidth
GB2408148A (e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rray
KR100586038B1 (ko)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