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675B1 -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 - Google Patents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675B1
KR102447675B1 KR1020200111019A KR20200111019A KR102447675B1 KR 102447675 B1 KR102447675 B1 KR 102447675B1 KR 1020200111019 A KR1020200111019 A KR 1020200111019A KR 20200111019 A KR20200111019 A KR 20200111019A KR 102447675 B1 KR102447675 B1 KR 10244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mental animal
syringe
head
drug
intrao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9106A (ko
Inventor
한강현
노정호
김원태
조재우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1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67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9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M5/427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e.g. vein location means using ultrasonic waves, injection site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50/00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Prosthe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두부 고정부 및 상기 두부 고정부에 결합되어 두부 소정의 위치로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투여부는, 약물이 담긴 주사기를 고정하는 주사기 홀더; 및 상기 주사기 홀더에 체결되며, 상기 주사기가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Devices for intraocular administration of experimental animals and method of intraocular administration of experimental animals using the same}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여 각도 및 투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소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 수명의 연장으로 전 세계적으로 노령화 사회가 형성됨에 따라 몇 년 전
부터 안구 관련 질환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노령화와 더불어 식습관의 서구화 등으로 안구관련 질환 환자가 증가고 있다 안구 관련 질환 중 망막 부분에 생기는 질환은 대부분 심각한 시력 손상을 가져와 최종적으로 실명을 유발하며, 우리나라 실명 인구 가운데 70%가 망막 질환으로 시력을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망막 질환의 무서운 점은 환자가 예측 불가능하게 어느 날 소리 소문 없이 순식간에 시력을 앗아갈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안구는 다른 장기로부터 독립적으로 구분되어 있는 부분으로 구조상, 크게 앞부분 (Anterior)과 뒷부분(Posterior)으로 나눌 수 있으며, 망막은 안구의 뒷부분에 속한다. 안구 약물 전달에 있어 안구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해부학적 혹은 생리학적 장벽이 존재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연령관련 황반변성, 당뇨병성 망막병증 및 녹내장과 같은 망막 질환을 치료하고자 하는 약물 전달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안구 약물 전달(Ocular Drug Delivery)은 말 그대로 안구에 약물을 전달하는 기술을 일컫는 것으로, 각막염이나 결막염과 같이 안구 바깥 부분에 생기는 질병과 연령관련 황반변성이나 녹내장과 같이 안구 안쪽에 생기는 질병 모두를 대상으로 치료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안구 약물 전달방법으로는, 각막(cornea)을 통한 방법, 전신을 통한 방법, 안구의 유리체강 내에 직접 투여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각막(cornea)을 통해 약물을 전달하는 안약 혹은 연고 등이 대표적인 국소 약물 전달 경로에 해당하며, 약물 주입의 편리함과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망막까지 약물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농도의 약물이 전달될 수 없다는 점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한, 전신 약물 전달 경로는 생리학적으로 안구와 나머지 장기 기관들을 분리시키는 혈액 안구 장벽의 존재로 인해 망막 부위에 약물 전달 효율이 좋지 못하다 혈액 안구 장애는 상피 및 내피 조직이 서로 치밀결합을 이루고 있어 혈관에서 안구 쪽으로 물질이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barrier의 종류로 망막 내 망막 색소 상피층과 망막 혈관의 내피세포로 구성된 내부 또는 외부 혈액 망막 장벽이 존재하여 망막 쪽으로 혈관을 타고 전송되는 약물을 제한한다.
한편, 안구 내 망막으로의 약물 전달 경로의 대표적인 방법이면서 가장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약물을 직접 안구의 유리체강 내에 투여하는 것으로, 망막 부위에 약물을 전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7531호에서는 주사기를 사용하여 안구의 유리체액 내로 물질을 주입하여 안구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안구의 시축(visual axis)을 중심으로 하고 그리고 상기 시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수평면(imaginary horizontal plane) 위의 대략 30°의 상기 안구의 측두측(temporal side) 상의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가상의 수평면 위의 대략 30°의 상기 안구의 비측(nasal side) 상의 제2 지점 아래로 연장되는 원호를 따라 위치하는 주입 지점에서 상기 안구 내의 소정 깊이로 상기 바늘을 삽입하여 상기 바늘의 상기 팁이 상기 가상의 수평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바늘을 향해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켜 상기 배럴로부터 상기 물질이 상기 루멘을 통해 상기 유리체액 내로 주입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안구의 유리체강 내에 직접 투여하여 망막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위하여, 바이오의약품(줄기세포, 유전자치료제 등)을 이용한 다양한 치료제의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고 있다.
한편, 국내외 제약회사 및 연구소에서는 이러한 안구질환 치료제, 예를 들어 황반변성 치료제, 망막질환 치료제 신약 개발에 있어, 약물의 인체 적용에 앞서 실험동물을 이용한 여러 급, 만성 검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실험동물의 안구내 투여는 가이드나 특별한 보정장치 없이 숙련된 수의사나 연구자가 손으로 투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투여 정확도 및 효율성이 낮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 투여 시, 투여 정확도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투여 각도 및 투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753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는,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두부 고정부 및 상기 두부 고정부에 결합되어 두부 소정의 위치로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투여부는,
약물이 담긴 주사기를 고정하는 주사기 홀더; 및
상기 주사기 홀더에 체결되며, 상기 주사기가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두부 고정부는
실험동물의 두부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실험동물의 두부를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부 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실험동물의 안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안구 개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구 개방구는 상기 본체의 유입구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부 고정부는
실험동물의 두부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하부로부터 실험동물의 몸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실험동물을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부 고정부는,
상기 실험동물의 두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수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 표면 또는 상기 지지대 상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팽창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팽창수단은 외부에서의 기체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두개의 안구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원호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주사기를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주사기의 약물 투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약물 투입부는
내부에 주사기를 수용하는 주사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홀더는 상기 주사기 수용부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는 상기 장치 내 위치 이동을 매뉴얼적으로 수동 제어하거나 또는 전자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는,
상기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장치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 투여 방법으로서,
두부 고정부에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단계;
주사기 홀더에 약물이 담기 주사기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사기를 상기 주사기 홀더에 체결된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두부를 고정하는 단계는
실험동물의 안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 투여 방법은
상기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주사기의 약물 투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는 동물의 두부를 고정할 수 있는 두부 고정부, 약물이 담긴 주사기를 고정하는 주사기 홀더 및 상기 주사기 홀더에 체결되며, 상기 주사기가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종래의 숙련된 수의사나 연구자의 손에 의해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 대비 투여 정확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는 주사기의 약물 투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치료제에 따라 안구 내 약물 투여 각도 및 투여 위치가 상이라더라도 주사기의 투여각도를 조절하여 안구 내 투여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두부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가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치료제에 따라 안구 내 약물 투여 각도 및 투여 위치가 상이함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주사기의 투여각도에 따라 안구 내 투여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약물 투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서는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두부 고정부(100) 및 상기 두부 고정부(100)에 결합되어 두부 소정의 위치로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투여부(200)는,
약물이 담긴 주사기를 고정하는 주사기 홀더(210); 및
상기 주사기 홀더에 체결되며, 상기 주사기가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수단(220);을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일 측면에 따른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1)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 따른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쥐와 같은 실험용 소동물의 안구 내 투여 장치일 수 있으나, 실험동물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 및 2는 일 측면에 따른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1)를 나타낸 예시적인 도면이다.
일 측면에 따른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두부 고정부(100) 및 상기 두부 고정부에 결합되어 두부 소정의 위치로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약물 투여부(200)는 주사기 홀더(210) 및 이동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장치 구성에 주사기 수용부(230)를 더 포함한다. 즉, 일 측면에 따른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1)는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두부 고정부(100) 및 상기 두부 고정부에 결합되어 두부 소정의 위치로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약물 투여부(200)는 내부에 주사기를 수용하는 주사기 수용부, 상기 주사기 수용부를 고정하여 약물이 담긴 주사기를 고정하는 주사기 홀더(210) 및 이동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7은 실시 예에 따른 두부 고정부(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두부 고정부(100)는 실험동물의 두부(머리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실험동물의 두부가 유입되는 유입구(112) 및 상기 유입구(112)로부터 유입된 실험동물의 두부를 수용하는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유입구(112)로부터 본체 내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내부 공간(111)을 포함할 수 있고, 실험동물의 두부는 상기 유입구(112)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111)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의 두부 고정부(100)는, 실험동물의 안구 내 투여 실험을 위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안구 개방구(1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구 개방구(113)를 통해 실험동물의 안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약물 투여부(220)의 주사기 홀더(210)에 고정된 주사기의 바늘이 상기 두부 고정부(100)에 고정된 실험동물의 안구 내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구 개방구(113)는 본체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실험동물의 두 안구 모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의 상부로부터 상기 유입구(112)와 수직하는 양 측면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두부 고정부(100)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구 개방구(113)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110)의 유입구(112)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구 개방구(113)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유입구(112)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두부 고정부(100)는 실험동물의 두부가 유입되는 유입구(112)의 하부로부터 실험동물의 몸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실험동물을 고정시키는 지지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험동물의 두부는, 상기 두부 고정부(100)의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111)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지지대(114)에 추가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두부 고정부(100)는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수단(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가압수단(115)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115)은 본체(110)의 내부 표면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지지대(114)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115)은 팽창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수단은 일례로, 팽창성 벌룬(balloon)으로, 외부에서의 기체 주입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팽창수단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 표면에 구비되어, 팽창을 통해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줄이는 수단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실험동물의 두부를 상기 두부 고정부(100)에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팽창수단은 상기 지지대(114) 상에 튜브형 벌룬(balloon)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튜브형 벌룬 중앙에 실험동물이 배치되어, 상기 튜브형 벌룬이 팽창하여 실험동물을 추가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팽창수단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부, 상기 기체 공급부로부터 상기 팽창수단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팽창수단으로 공급된 기체가 상기 기체 공급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일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1)는 안구 내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투여부(200)는, 내부에 약물이 담긴 주사기를 고정하는 주사기 홀더(210); 및 상기 주사기 홀더에 체결되며, 상기 주사기가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수단(220);을 포함한다.
상기 약물 투여부(200)는 주사기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주사기를 두부 고정부(100)에 고정된 실험동물 두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 홀더(210)는 내부에 약물이 담긴 주사기를 직접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 홀더(210)는 주사기가 수용된 주사기 수용부(230)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주사기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주사기 수용부(230)는 길이방향의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되고, 상기 일단의 직경이 주사기의 직경보다 커, 상기 일단으로부터 주사기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타단의 직경이 주사기의 직경보다 작고 주사기 바늘의 직경보다 커, 상기 주사기 수용부(230) 내부에 주사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주사기 바늘이 상기 타단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주사기 홀더(210)는 상기 약물이 담긴 주사기 또는 주사기 수용부(23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주사기 홀더(210)는 상기 주사기 또는 주사기 수용부(230)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수용된 주사기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기 홀더(210)는 상기 주사기 홀더(210)에 고정되는 주사기 또는 주사기 수용부(23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 투여 실험 시, 안구 내 삽입되는 주사기 바늘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기 수용부(230)는 주사기를 상기 주사기 수용부(230)의 일단 및 타단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 주사기 수용부(230) 타단의 외부로 노출되는 주사기 바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 투여 실험 시, 안구 내 삽입되는 주사기 바늘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약물 투여부(200)는 상기 주사기 홀더(210)에 체결되며, 상기 주사기가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수단(22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220)은 상기 주사기 홀더(210)에 고정된 주사기를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나, 실험동물의 안구 내 투여 실험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부 고정부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두 개의 안구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221)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동물의 안구 내 약물이 투여되는 투여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되도록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원호형 형태일 수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기를 사용하여 실험동물 안구의 유리체액 내로 치료제를 주입할 때, 치료제의 종류에 따라 투여각도 및 투여 위치가 다르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여각도에 따라 안구 내 투여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주사기를 이용하여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숙련된 수의사나 연구자의 손을 통해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방법은 약물 투여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는 반면, 일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실험동물의 안구 내 투여장치는 상기 이동수단(220)을 통해 실험동물의 안구 내 약물이 투여되는 투여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안구 내 투여되는 위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수단(220)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원호형 형태의 가이드레일(221)인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 홀더(210)가 상기 가이드레일(221)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주사기 홀더(210)에 고정된 주사기의 투여 각도를 0 내지 180° 범위로 변화시킬 수 있어,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레일(221)은 서로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원호형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주사기 홀더(210)는 상기 두 개의 레일을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레일(221)의 일단 및 타단 사이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사기 홀더(210)는 상기 두 개의 원호형 레일 사이에 배치된 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해 주사기 또는 주사기 수용부(230)를 수용할 수 있고,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주사기 또는 주사기 수용부(230)를 상기 관통홀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 따른 상기 가이드레일(22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221)은 하나의 원호형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주사기 홀더(210)는 상기 가이드레일(221)의 일단 및 타단 사이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사기 홀더(210)는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주사기 또는 주사기 수용부(230)를 수용할 수 있고,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주사기 또는 주사기 수용부(230)를 상기 관통홀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일 측면에 따른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1)는 상기 장치 내 위치 이동을 매뉴얼적으로 수동 제어하거나 또는 전자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사기 홀더(210)가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이동수단(220)을 매뉴얼적으로 수동 제어하거나 또는 전자적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주사기 홀더에 고정된 주사기의 투여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는
상기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장치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 투여 방법으로서,
두부 고정부에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단계;
주사기 홀더에 약물이 담기 주사기를 고정하는 단계; 및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주사기 홀더를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은 동물의 두부를 고정는 두부 고정부, 약물이 담긴 주사기를 고정하는 주사기 홀더 및 상기 주사기 홀더에 체결되며, 상기 주사기가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장치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 투여 방법으로서, 종래의 숙련된 수의사나 연구자의 손에 의해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 대비 투여 정확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사기의 약물 투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치료제에 따라 안구 내 약물 투여 각도 및 투여 위치가 상이라더라도 주사기의 투여각도를 조절하여 안구 내 투여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일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두부 고정부에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두부 고정부(100)는 실험동물의 두부(머리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실험동물의 두부가 유입되는 유입구(112) 및 상기 유입구(112)로부터 유입된 실험동물의 두부를 수용하는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유입구(112)로부터 본체 내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내부 공간(111)을 포함할 수 있다.
실험동물의 두부는 상기 유입구(112)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1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부 고정부(100)의 본체(110)의 상부에는 안구 개방구(113)가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약물 투여부(220)의 주사기 홀더(210)에 고정된 주사기의 바늘이 상기 두부 고정부(100)에 고정된 실험동물의 안구 내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단계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구 개방구(113)를 통해 실험동물의 안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부 고정부(100)는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두부 고정부(10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수단(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가압수단(115)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115)은 본체(110)의 내부 표면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지지대(114)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115)은 팽창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팽창수단은 일례로, 팽창성 벌룬(balloon)으로, 외부에서의 기체 주입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이에,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실험동물의 두부를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한 후, 본체(110)의 내부 표면에 구비된 상기 팽창수단을 팽창시켜,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이 줄어듬에 따라 상기 두부 고정부(100)에 고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지지대(114) 상에 구비된 튜브형 벌룬(balloon)의 중앙에 실험동물이 배치되고, 상기 튜브형 벌룬이 팽창하여 실험동물을 추가로 고정할 수 있다.
다음, 주사기 홀더에 약물이 담기 주사기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 홀더(210)는 약물이 담긴 주사기를 직접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 홀더(210)는 주사기가 수용된 주사기 수용부(230)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약물이 담긴 주사기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사기 홀더(210)는 상기 주사기 홀더(210)에 고정되는 주사기 또는 주사기 수용부(23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기 수용부(230)는 주사기를 상기 주사기 수용부(230)의 일단 및 타단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 주사기 수용부(230) 타단의 외부로 노출되는 주사기 바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험동물 안구 내 삽입되는 주사기 바늘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주사기 홀더를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220)은 상기 주사기 홀더(210)에 체결되며, 상기 주사기가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부 고정부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두 개의 안구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221)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동물의 안구 내 약물이 투여되는 투여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되도록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원호형 형태일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주사기를 이용하여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숙련된 수의사나 연구자의 손을 통해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방법은 약물 투여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는 반면, 다른 일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실험동물의 안구 내 투여방법은 상기 이동수단(220)을 통해 실험동물의 안구 내 약물이 투여되는 투여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안구 내 투여되는 위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수단(220)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원호형 형태의 가이드레일(221)인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 홀더(210)가 상기 가이드레일(221)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주사기 홀더(210)에 고정된 주사기의 투여 각도를 투여 각도를 0 내지 180° 범위로 변화시킬 수 있어,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장치는 상기 장치 내 위치 이동을 매뉴얼적으로 수동 제어하거나 또는 전자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사기 홀더(210)가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이동수단(220)을 매뉴얼적으로 수동 제어하거나 또는 전자적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주사기 홀더에 고정된 주사기의 투여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1: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장치
100: 두부 고정부
110: 본체
111: 내부 공간
112: 유입구
113: 안구 개방구
114: 지지대
115: 가압수단
200: 약물 투여부
210: 주사기 홀더
220: 이동수단
221: 가이드레일
230: 주사기 수용부

Claims (16)

  1.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두부 고정부 및 상기 두부 고정부에 결합되어 두부 소정의 위치로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투여부는,
    약물이 담긴 주사기를 고정하는 주사기 홀더; 및
    상기 주사기 홀더에 체결되고, 상기 두부 고정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두개의 안구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사기를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주사기의 약물 투여 각도를 조절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고정부는
    실험동물의 두부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실험동물의 두부를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실험동물의 안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안구 개방구;를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개방구는 상기 본체의 유입구까지 연장 형성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고정부는
    실험동물의 두부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하부로부터 실험동물의 몸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실험동물을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고정부는,
    상기 실험동물의 두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수단;를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 표면 또는 상기 지지대 상에 구비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팽창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팽창수단은 외부에서의 기체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원호형 형태인,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부는
    내부에 주사기를 수용하는 주사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홀더는 상기 주사기 수용부를 고정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는 상기 장치 내 위치 이동을 매뉴얼적으로 수동 제어하거나 또는 전자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14. 제1항의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장치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 투여 방법으로서,
    두부 고정부에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단계;
    주사기 홀더에 약물이 담기 주사기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사기를 상기 주사기 홀더에 체결된 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상기 두부 고정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 투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를 고정하는 단계는
    실험동물의 안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실험동물의 두부를 고정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 투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 투여 방법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주사기의 약물 투여 각도를 조절하는, 실험동물 안구 내 약물 투여 방법.
KR1020200111019A 2020-09-01 2020-09-01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 KR10244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19A KR102447675B1 (ko) 2020-09-01 2020-09-01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19A KR102447675B1 (ko) 2020-09-01 2020-09-01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06A KR20220029106A (ko) 2022-03-08
KR102447675B1 true KR102447675B1 (ko) 2022-09-26

Family

ID=8081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019A KR102447675B1 (ko) 2020-09-01 2020-09-01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6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1108A (ja) * 2003-10-10 2005-04-28 Hokkaido Technology Licence Office Co Ltd 動物固定機器
CN109907857A (zh) * 2019-02-28 2019-06-21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小鼠眼球前方注射聚酯纤维微球的装置
KR102052482B1 (ko) * 2018-07-19 2019-12-05 박성걸 소동물 뇌실내 투여 보정기
CN111227988A (zh) * 2020-03-17 2020-06-05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脑立体定向注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70900A1 (en) 2009-08-10 2011-02-17 Surmodics, Inc. Methods, devices, and compositions for intravitreal inj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1108A (ja) * 2003-10-10 2005-04-28 Hokkaido Technology Licence Office Co Ltd 動物固定機器
KR102052482B1 (ko) * 2018-07-19 2019-12-05 박성걸 소동물 뇌실내 투여 보정기
CN109907857A (zh) * 2019-02-28 2019-06-21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小鼠眼球前方注射聚酯纤维微球的装置
CN111227988A (zh) * 2020-03-17 2020-06-05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脑立体定向注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06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6742B2 (ja) Ab externo(眼外から眼内へ)の眼内シャント配置
JP4261343B2 (ja) 眼薬投与装置
KR100732262B1 (ko) 약물 전달 장치
US6413245B1 (en) Sub-tenon drug delivery
US20050049541A1 (en) Device for medicine delivery by intraocular iontophoresis or electroporation
CN107249515B (zh) 可膨胀药物递送装置和使用方法
JP2014532466A (ja) 眼内注射用の支援デバイス
US20080140024A1 (en) Drug delivery device
NL2002379C2 (en) An ophthalmic device and an intravitreal method.
KR102447675B1 (ko)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동물 안구 내 투여 방법
Hamilton Retrobulbar block revisited and revised
US20090192458A1 (en) Injection aid for anterior juxtascleral depot
US10463532B2 (en) Method for placing implant in choroid that can less invasively and simply place implant in choroid in optic disc-macula area
Wang et al. Accessing the suprachoroidal space for therapeutic delivery
CN219680930U (zh) 一种眼用药物递送装置
US20230346598A1 (en) Ab externo intraocular shunt placement
EP3682856A1 (en) Device suitable for intraocular administration of a substance, for example a medication, into a human or animal eye
Green et al. Quantification of Angiogenesis in Laser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EP4284313A1 (en) Ocular platforms and surgical tools
KR19980087785A (ko) 망막하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