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518B1 - 혈류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혈류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518B1
KR102447518B1 KR1020220081347A KR20220081347A KR102447518B1 KR 102447518 B1 KR102447518 B1 KR 102447518B1 KR 1020220081347 A KR1020220081347 A KR 1020220081347A KR 20220081347 A KR20220081347 A KR 20220081347A KR 102447518 B1 KR102447518 B1 KR 10244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flow
probe
doppler
flow measuremen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엣지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엣지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엣지케어
Priority to KR102022008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518B1/ko
Priority to PCT/KR2023/000743 priority patent/WO20240052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6Measuring bloo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7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using several separate ultrasound transducers or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8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Doppler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은 제1 혈류 측정장치 및 제2 혈류 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혈류 측정장치는 제1 영상 가이드 프로브 및 제1 영상 가이드 프로브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_1 도플러 프로브 및 제1_2 도플러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혈류 측정장치는 제2 영상 가이드 프로브 및 제2 영상 가이드 프로브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_1 도플러 프로브 및 제2_2 도플러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은 영상 가이드 프로브 및 영상 가이드 프로브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플러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혈류 측정장치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지점들에서 혈류정보를 측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류 측정 시스템{BLOOD FLOW MEASUREMENT SYSTEM}
본 발명은 혈류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혈류를 측정하는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혈류정보를 확보하여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79620호 (공개일자, 2021.01.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상 가이드 프로브 및 영상 가이드 프로브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플러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혈류 측정장치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지점들에서 혈류정보를 측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혈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은 제1 혈류 측정장치 및 제2 혈류 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혈류 측정장치는 제1 영상 가이드 프로브 및 상기 제1 영상 가이드 프로브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_1 도플러 프로브 및 제1_2 도플러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혈류 측정장치는 제2 영상 가이드 프로브 및 상기 제2 영상 가이드 프로브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_1 도플러 프로브 및 제2_2 도플러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혈류 측정장치는 인체에 포함되는 심장을 기준으로 제1 측정방향에 배치되는 혈관에 상응하는 제1 혈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혈류 측정장치는 상기 심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측정방향의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제2 측정방향에 배치되는 혈관에 상응하는 제2 혈관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혈류 측정 시스템은 비율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율제공부는 상기 제1 혈류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되는 제1 혈류정보의 값 및 상기 제2 혈류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되는 제2 혈류정보의 값 사이의 비율에 해당하는 혈류비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혈류 측정 시스템은 결과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제공부는 상기 혈류비율이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혈류 정보 및 상기 제2 혈류 정보는 시간속도정수(Velocity time interval, VTI), 스트로크 볼륨(Stroke volume, SV) 및 심박출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혈류 측정장치는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 제1_1 도플러 프로브 및 제1_2 도플러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는 복수의 제1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_1 도플러 프로브는 복수의 제1_1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_2 도플러 프로브는 복수의 제1_2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혈류 측정장치는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 제2_1 도플러 프로브 및 제2_2 도플러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는 복수의 제2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_1 도플러 프로브는 복수의 제2_1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_2 도플러 프로브는 복수의 제2_2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혈류 측정 시스템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1 혈류 측정장치 및 상기 제2 혈류 측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혈류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동작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 중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 및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를 구동하고, 측정부가 상기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 및 상기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로 수신되는 제1 영상 초음파 수신신호 및 제2 영상 초음파 수신신호에 기초하여 혈관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 이후,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2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구동간격 마다 상기 제1_1 도플러 프로브 및 상기 제1_2 도플러 프로브를 교번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_1 도플러 프로브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_1 도플러 초음파 송신신호가 상기 인체의 혈관으로부터 반사된 제1_1 도플러 초음파 수신신호는 제1_2 도플러 프로브로 수신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은 영상 가이드 프로브 및 영상 가이드 프로브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플러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혈류 측정장치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지점들에서 혈류정보를 측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혈류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1 혈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혈류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2 혈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도 1의 혈류 측정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1의 혈류 측정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혈류 측정 시스템의 동작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9는 도 1의 혈류 측정 시스템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혈류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1 혈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혈류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2 혈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5는 도 1의 혈류 측정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제1 혈류 측정장치(100) 및 제2 혈류 측정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혈류 측정장치(100)는 제1 영상 가이드 프로브(110) 및 제1 영상 가이드 프로브(110)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_1 도플러 프로브(120) 및 제1_2 도플러 프로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혈류 측정장치(100)는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110), 제1_1 도플러 프로브(120) 및 제1_2 도플러 프로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110)는 복수의 제1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제1 방향(D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1)은 도 1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제1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들은 제1_1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IE1_1), 제1_2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IE1_2) 내지 제1_N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IE1_N)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110)를 통해 제1 영상 초음파 송신신호(IUT1)를 대상체에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되는 제1 영상 초음파 수신신호(IUR1)를 이용해서 초음파 영상(UI)을 구현하여 혈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는 사람인체의 일부분일 수 있다.
제1_1 도플러 프로브(120)는 복수의 제1_1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제1 방향(D1)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11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_1 도플러 프로브(120)는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110)를 기준으로 제2 방향(D2)에 배치될 수 있고, 제1_1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은 제1_1_1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DE1_1_1), 제1_1_2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DE1_1_2) 내지 제1_1_K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DE1_1_K)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자연수일 수 있고, K는 자연수 N과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제1_1 도플러 프로브(120)를 통해 제1_1 도플러 초음파 송신신호(DUT1_1)를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되는 제1_1 도플러 초음파 수신신호(DUR1_1)를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 혈관의 제1_1 혈류속도를 나타내는 스펙트로 그램을 산출할 수 있다.
제1_2 도플러 프로브(130)는 복수의 제1_2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제1 방향(D1)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하는 제3 방향(D3)을 따라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_2 도플러 프로브(130)는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110)를 기준으로 제3 방향(D3)에 배치될 수 있고, 제1_2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은 제1_2_1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DE1_2_1), 제1_2_2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DE1_2_2) 내지 제1_2_K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DE1_2_K)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제1_2 도플러 프로브(130)를 통해 제1_2 도플러 초음파 송신신호(DUT1_2)를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되는 제1_2 도플러 초음파 수신신호(DUR1_2)를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 혈관의 제1_2 혈류속도를 나타내는 스펙트로 그램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혈류 측정장치(200)는 제2 영상 가이드 프로브(210) 및 제2 영상 가이드 프로브(210)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_1 도플러 프로브(220) 및 제2_2 도플러 프로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혈류 측정장치(200)는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210), 제2_1 도플러 프로브(220) 및 제2_2 도플러 프로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210)는 복수의 제2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제1 방향(D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들은 제2_1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IE2_1), 제2_2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IE2_2) 내지 제2_N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IE2_N)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210)를 통해 제2 영상 초음파 송신신호(IUT2)를 대상체에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되는 제2 영상 초음파 수신신호(IUR2)를 이용해서 초음파 영상(UI)을 구현하여 혈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제2_1 도플러 프로브(220)는 복수의 제2_1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제1 방향(D1)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21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_1 도플러 프로브(220)는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210)를 기준으로 제2 방향(D2)에 배치될 수 있고, 제2_1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은 제2_1_1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DE2_1_1), 제2_1_2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DE2_1_2) 내지 제2_1_K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DE2_1_K)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제2_1 도플러 프로브(220)를 통해 제2_1 도플러 초음파 송신신호(DUT2_1)를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되는 제2_1 도플러 초음파 수신신호(DUR2_1)를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 혈관의 제2_1 혈류속도를 나타내는 스펙트로 그램을 산출할 수 있다.
제2_2 도플러 프로브(230)는 복수의 제2_2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제1 방향(D1)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하는 제3 방향(D3)을 따라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210)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_2 도플러 프로브(230)는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210)를 기준으로 제3 방향(D3)에 배치될 수 있고, 제2_2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은 제2_2_1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DE2_2_1), 제2_2_2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DE2_2_2) 내지 제2_2_K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DE2_2_K)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제2_2 도플러 프로브(230)를 통해 제2_2 도플러 초음파 송신신호(DUT2_2)를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되는 제2_2 도플러 초음파 수신신호(DUR2_2)를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 혈관의 제2_2 혈류속도를 나타내는 스펙트로 그램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혈류 측정장치(100)는 인체에 포함되는 심장(HT)을 기준으로 제1 측정방향(MD1)에 배치되는 혈관에 상응하는 제1 혈관영역(BR1)에 배치되고, 제2 혈류 측정장치(200)는 심장(HT)을 기준으로 제1 측정방향(MD1)의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제2 측정방향(MD2)에 배치되는 혈관에 상응하는 제2 혈관영역(BR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정방향(MD1)은 심장(HT)을 기준으로 머리쪽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고, 제2 측정방향(MD2)은 심장(HT)을 기준으로 다리쪽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심장(HT)을 기준으로 제1 측정방향(MD1)에 배치되는 혈관은 제1 혈관(BH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혈관(BH1)은 경동맥일 수 있다. 또한, 심장(HT)을 기준으로 제2 측정방향(MD2)에 배치되는 혈관은 제2 혈관(BH2)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혈관(BH2)은 대동맥일 수 있다.
또한, 제1 혈관(BH1)을 따라 제1 혈관(BH1)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간격을 갖는 영역은 제1 혈관영역(BR1)일 수 있고, 제2 혈관(BH2)을 따라 제2 혈관(BH2)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간격을 갖는 영역은 제2 혈관영역(BR2)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혈류 측정장치(100)는 제1 혈관영역(BR1)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혈류 측정장치(200)는 제2 혈관영역(BR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비율제공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율제공부(300)는 제1 혈류 측정장치(100)로부터 측정되는 제1 혈류정보(FI1)의 값 및 제2 혈류 측정장치(200)로부터 측정되는 제2 혈류정보(FI2)의 값 사이의 비율에 해당하는 혈류비율(FR)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혈류 정보(FI1) 및 제2 혈류 정보(FI2)는 시간속도정수(Velocity time interval, VTI), 스트로크 볼륨(Stroke volume, SV) 및 심박출량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로크 볼륨(SV) 및 심박출량(CO)은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SV = VTI * CSA
여기서, SV는 스트로크 볼륨, VTI는 시간속도정수, CSA는 혈관의 단층면 면적일 수 있다.
[수학식 2]
CO = VTI * CSA * HR
여기서, CO는 심박출량, VTI는 시간속도정수, CSA는 혈관의 단층면 면적, HR은 심박동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류정보(FI)는 심박출량일 수 있고, 제1 혈관영역(BR1)에 배치되는 제1 혈류 측정장치(100)로부터 측정되는 심박출량의 값은 3일 수 있고, 제2 혈관영역(BR2)에 배치되는 제2 혈류 측정장치(200)로부터 측정되는 심박출량의 값은 7일 수 있다. 이 경우, 혈류비율(FR)은 3:7일 수 있고, 혈류비율(FR)이 3:7인 경우 환자의 상태는 정상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혈류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는 비율 제공부는 상기 제1 혈류 정보의 값 및 상기 제2 혈류 정보의 값을 합한 값에 해당하는 제1 합산 값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율 제공부는 제1 가중치와 상기 제1 혈류 정보의 값의 곱에 해당하는 제1 가중 정보 값 및 제2 가중치와 상기 제2 혈류 정보의 값의 곱에 해당하는 제2 가중 정보 값을 합한 값에 해당하는 제2 합산 값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가중치는 1에서 제1 가중치를 뺀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영상 가이드 프로브 및 영상 가이드 프로브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플러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혈류 측정장치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지점들에서 혈류정보를 측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혈류 측정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혈류 측정 시스템의 동작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9는 도 1의 혈류 측정 시스템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결과제공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제공부(400)는 혈류비율(FR)이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상태에서의 혈류비율(FR)은 3:7일 수 있다. 이후, 제1 혈관영역(BR1)에 배치되는 제1 혈류 측정장치(100)로부터 측정되는 심박출량의 값은 6일 수 있고, 제2 혈관영역(BR2)에 배치되는 제2 혈류 측정장치(200)로부터 측정되는 심박출량의 값은 4일 수 있다. 여기서, 혈류비율(FR)은 6:4일 수 있다. 이 경우, 정상적인 환자의 기준범위에 해당하는 혈류비율(FR)인 3:7을 벗어나 혈류비율(FR)이 비정상적으로 측정되는 경우, 결과 제공부(400)는 결과신호(RS) 중 경고신호를 제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10)의 사용자에게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제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제1 혈류 측정장치(100) 및 제2 혈류 측정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할 수 있다.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복수의 동작모드들(M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동작모드들(MD)은 제1 동작모드(MD1) 및 제2 동작모드(M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작모드(MD1)는 인체 내부에 배치되는 혈관을 찾기 위해 제1 영상 가이드 프로브(110) 및 제2 영상 가이드 프로브(210)를 구동하는 동작모드일 수 있다. 또한, 제2 동작모드(MD2)는 제1 영상 가이드 프로브(110) 및 제2 영상 가이드 프로브(210)를 이용하여 혈관을 찾은 후, 혈관의 혈류정보(FI)를 측정하기 위해서 제1_1 도플러 프로브(120), 제1_2 도플러 프로브(130), 제2_1 도플러 프로브(220) 및 제2_2 도플러 프로브(230)를 구동하는 동작모드일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1 동작모드(MD1)에서, 제어부(900)는 제어신호 중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110) 및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210)를 구동하고, 측정부(500)가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110) 및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210)로 수신되는 제1 영상 초음파 수신신호(IUR1) 및 제2 영상 초음파 수신신호(IUR2)에 기초하여 혈관의 위치정보(PI)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동작모드(MD1) 이후,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2 동작모드(MD2)에서, 제어부(900)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구동간격 마다 제1_1 도플러 프로브(120) 및 제1_2 도플러 프로브(130)를 교번하여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시간간격들은 제1 시간간격 및 제2 시간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간간격 동안에는 제어부(900)가 제1_1 도플러 프로브(120)를 이용하여 혈관에 제1_1 도플러 초음파 송신신호(DUT1_1)를 송신하고, 제1 시간간격 동안 혈관으로부터 반사된 제1_1 도플러 초음파 수신신호(DUR1_1)를 제1_1 도플러 프로브(120)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2 시간간격 동안에는 제어부(900)가 제1_2 도플러 프로브(130)를 이용하여 혈관에 제1_2 도플러 초음파 송신신호(DUT1_2)를 송신하고, 제2 시간간격 동안 혈관으로부터 반사된 제1_2 도플러 초음파 수신신호(DUR1_2)를 제1_1 도플러 프로브(120)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제2_1 도플러 프로브(220) 및 제2_2 도플러 프로브(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_1 도플러 프로브(120)로부터 제공되는 제1_1 도플러 초음파 송신신호(DUT1_1)가 인체의 혈관으로부터 반사된 제1_1 도플러 초음파 수신신호(DUR1_1)는 제1_2 도플러 프로브(13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시간간격들은 제1 시간간격 및 제2 시간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간간격 동안에는 제어부(900)가 제1_1 도플러 프로브(120)를 이용하여 혈관에 제1_1 도플러 초음파 송신신호(DUT1_1)를 송신하고, 제1 시간간격 동안 혈관으로부터 반사된 제1_1 도플러 초음파 수신신호(DUR1_1)를 제1_2 도플러 프로브(130)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2 시간간격 동안에는 제어부(900)가 제1_2 도플러 프로브(130)를 이용하여 혈관에 제1_2 도플러 초음파 송신신호(DUT1_2)를 송신하고, 제2 시간간격 동안 혈관으로부터 반사된 제1_2 도플러 초음파 수신신호(DUR1_2)를 제1_2 도플러 프로브(130)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제2_1 도플러 프로브(220) 및 제2_2 도플러 프로브(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 측정 시스템(10)은 영상 가이드 프로브 및 영상 가이드 프로브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플러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혈류 측정장치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지점들에서 혈류정보를 측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10: 혈류 측정 시스템 100: 제1 혈류 측정장치
200: 제2 혈류 측정장치 110: 제1 영상 가이드 프로브
210: 제2 영상 가이드 프로브

Claims (11)

  1. 제1 영상 가이드 프로브 및 상기 제1 영상 가이드 프로브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_1 도플러 프로브 및 제1_2 도플러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 혈류 측정장치; 및
    제2 영상 가이드 프로브 및 상기 제2 영상 가이드 프로브와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_1 도플러 프로브 및 제2_2 도플러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2 혈류 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혈류 측정장치는 인체에 포함되는 심장을 기준으로 제1 측정방향에 배치되는 혈관에 상응하는 제1 혈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혈류 측정장치는 상기 심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측정방향의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제2 측정방향에 배치되는 혈관에 상응하는 제2 혈관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류 측정 시스템은,
    상기 제1 혈류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되는 제1 혈류정보의 값 및 상기 제2 혈류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되는 제2 혈류정보의 값 사이의 비율에 해당하는 혈류비율을 제공하는 비율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측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혈류 측정 시스템은,
    상기 혈류비율이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제공하는 결과제공부를 포함하는 혈류 측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혈류 정보 및 상기 제2 혈류 정보는 시간속도정수(Velocity time interval, VTI), 스트로크 볼륨(Stroke volume, SV) 및 심박출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측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혈류 측정장치는,
    복수의 제1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
    복수의 제1_1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_1 도플러 프로브;
    복수의 제1_2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1_2 도플러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측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혈류 측정장치는,
    복수의 제2 영상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
    복수의 제2_1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2_1 도플러 프로브;
    복수의 제2_2 도플러 초음파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_2 도플러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측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혈류 측정 시스템은,
    상기 제1 혈류 측정장치 및 상기 제2 혈류 측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혈류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동작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 중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 및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를 구동하고, 측정부가 상기 제1 가이드 영상 프로브 및 상기 제2 가이드 영상 프로브로 수신되는 제1 영상 초음파 수신신호 및 제2 영상 초음파 수신신호에 기초하여 혈관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측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 이후,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2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구동간격 마다 상기 제1_1 도플러 프로브 및 상기 제1_2 도플러 프로브를 교번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측정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_1 도플러 프로브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_1 도플러 초음파 송신신호가 상기 인체의 혈관으로부터 반사된 제1_1 도플러 초음파 수신신호는 제1_2 도플러 프로브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측정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혈류 측정 시스템은 상기 제1 혈류 정보의 값 및 상기 제2 혈류 정보의 값을 합한 값 또는 제1 가중치*상기 제1 혈류 정보의 값 및 제2 가중치*상기 제2 혈류 정보의 값을 합한 값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측정 시스템.
KR1020220081347A 2022-07-01 2022-07-01 혈류 측정 시스템 KR10244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347A KR102447518B1 (ko) 2022-07-01 2022-07-01 혈류 측정 시스템
PCT/KR2023/000743 WO2024005294A1 (ko) 2022-07-01 2023-01-16 혈류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347A KR102447518B1 (ko) 2022-07-01 2022-07-01 혈류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518B1 true KR102447518B1 (ko) 2022-09-26

Family

ID=8345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347A KR102447518B1 (ko) 2022-07-01 2022-07-01 혈류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7518B1 (ko)
WO (1) WO20240052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294A1 (ko) *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 엣지케어 혈류 측정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122A (ja) * 2000-01-18 2001-07-24 Toshiba Corp 2次元アレイ型超音波プローブ及び超音波診断装置
KR20020087706A (ko) * 2001-05-16 2002-11-23 주식회사 메디슨 직교 성질을 갖는 골레이 코드 세트를 이용하는 초음파영상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100080533A (ko) * 2007-10-09 2010-07-08 가부시키가이샤 유넥스 혈관 초음파 화상 측정방법
KR20130139704A (ko) * 2012-06-13 2013-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배열 트랜스듀서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초음파 볼륨 스캔 방법 및 장치
KR20150027482A (ko) * 2013-09-04 2015-03-1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트랜스듀서, 초음파 의료영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초음파 영상 생성 방법
KR20190044758A (ko) * 2017-10-23 2019-05-0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초음파 영상 복원 방법 및 그 초음파 영상 장치
KR20210032866A (ko) * 2019-09-17 2021-03-25 디지탈에코 주식회사 플렉서블 초음파 어레이 변환기 제조 방법
KR20210079620A (ko) 2019-12-20 2021-06-30 대상 주식회사 식이섬유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518B1 (ko) * 2022-07-01 2022-09-26 주식회사 엣지케어 혈류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122A (ja) * 2000-01-18 2001-07-24 Toshiba Corp 2次元アレイ型超音波プローブ及び超音波診断装置
KR20020087706A (ko) * 2001-05-16 2002-11-23 주식회사 메디슨 직교 성질을 갖는 골레이 코드 세트를 이용하는 초음파영상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100080533A (ko) * 2007-10-09 2010-07-08 가부시키가이샤 유넥스 혈관 초음파 화상 측정방법
KR20130139704A (ko) * 2012-06-13 2013-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배열 트랜스듀서 어레이를 이용한 3차원 초음파 볼륨 스캔 방법 및 장치
KR20150027482A (ko) * 2013-09-04 2015-03-1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트랜스듀서, 초음파 의료영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초음파 영상 생성 방법
KR20190044758A (ko) * 2017-10-23 2019-05-0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초음파 영상 복원 방법 및 그 초음파 영상 장치
KR20210032866A (ko) * 2019-09-17 2021-03-25 디지탈에코 주식회사 플렉서블 초음파 어레이 변환기 제조 방법
KR20210079620A (ko) 2019-12-20 2021-06-30 대상 주식회사 식이섬유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294A1 (ko) *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 엣지케어 혈류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05294A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0034B2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Eik-Nes et al. Methodology and basic problems related to blood flow studies in the human fetus
RU221809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давления внутри мозга
US8790261B2 (en) Manual ultrasound power control to monitor fetal heart rat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tient
KR102447518B1 (ko) 혈류 측정 시스템
JP4602906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19524288A (ja) 超音波血流モニタ方法
JP2001061840A (ja) 超音波診断装置
Bambi et al. A novel ultrasound instrument for investigation of arterial mechanics
KR102435554B1 (ko) 혈류 측정 시스템
US20190053779A1 (en) Non-invasive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2005052424A (ja) 超音波診断装置
JP7112713B2 (ja) 心拍計測処理装置
US20100312110A1 (en) Ultrasonograph
JP2008161546A (ja) 超音波診断装置
JP5014132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04159672A (ja) 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超音波計測方法
JP2001070305A (ja) 超音波診断装置
JPWO2008065715A1 (ja) 血管径の測定を行う超音波診断装置
EP15571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determination of blood characteristics in infants
US20220386986A1 (en) Inspection apparatus
JP4627220B2 (ja) 超音波診断装置
RU2696072C1 (ru) Способ выявления и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момента отрыва атеросклеротическ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H05168633A (ja) 超音波組織変位計測装置
Sohn et al. The sensitivity of new color systems in blood-flow diagnosis: The maximum entropy method and angio-color-comparative in vitro flow measurements to determine sensi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