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356B1 -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356B1
KR102447356B1 KR1020200112594A KR20200112594A KR102447356B1 KR 102447356 B1 KR102447356 B1 KR 102447356B1 KR 1020200112594 A KR1020200112594 A KR 1020200112594A KR 20200112594 A KR20200112594 A KR 20200112594A KR 102447356 B1 KR102447356 B1 KR 10244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window
building
user
floor p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799A (ko
Inventor
박새별
최희철
김기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룹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룹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룹샵
Priority to KR102020011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356B1/ko
Priority to PCT/KR2020/014765 priority patent/WO2022050485A1/ko
Publication of KR2022003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시예에 따른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건물의 주소 정보 및 부동산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평면도 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건물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평면도를 분석하여 벽, 출입문 및 창문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평면도에서 식별된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에 서로 다른 높이를 반영하여 상기 건물의 3차원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도면에서 식별된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 상에 서로 다른 인테리어 이미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및 방법{APPARTUS AND METHOD FOR MODELING 3-DIMENSION STRUCTURE BY 2-DIMENSION FLOOR PLAN IN INTERIOR PLATFORM SYSTEM}
본 발명은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가치가 현 세대에 급부상함에 따라 사람이 일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공간(예를 들면, 주거 공간 또는 상업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interior)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거공간 또는 상업공간 등의 인테리어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인테리어 업체에서 상담을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인테리어 자재(예를 들면, 장판, 벽지 또는 가구 등)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인테리어가 완료될 때까지 해당 선택에 대한 결과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방안이 없었다. 그리고 완료된 인테리어가 사용자의 마음에 들지 않은 경우, 인테리어 시공 업체는 사용자의 컴플레인으로 인해 추가 시공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따라서, 인테리어 상담 시에 인테리어가 완성된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인테리어 업체의 추가 시공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인테리어가 완성된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부동산 업체 서버에서 획득할 수 있는 2차원 평면도를 보다 정확하고 저비용으로 3차원 입체모델로 변환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2차원 평면도를 보다 정확하고 저비용으로 3차원 입체모델로 변환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시예에 따른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건물의 주소 정보 및 부동산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평면도 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건물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평면도를 분석하여 벽, 출입문 및 창문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평면도에서 식별된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에 서로 다른 높이를 반영하여 상기 건물의 3차원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도면에서 식별된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 상에 서로 다른 인테리어 이미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도를 분석하여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개별공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별공간은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 및 발코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된 상기 창문은 상기 개별공간에서의 상기 창문의 위치 및 상기 창문이 위치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높이가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된 상기 출입문은 상기 개별공간에서의 상기 출입문의 위치 및 상기 출입문이 위치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높이 또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인테리어 이미지가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 출입문 및 창문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복수의 평면도에 의해 지도 학습 방식으로 학습된 기계 학습 모델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물의 전용 면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건물의 상기 평면도에서 상기 전용 면적에 포함되는 제1 영역 및 상기전용 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제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전용 면적이 동일해지도록 상기 평면도를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평면도를 분석하여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개별공간을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식별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에 따라 각 개별공간이 상기 전용면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건물의 주소 정보 및 부동산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평면도 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건물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검색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평면도를 분석하여 벽, 출입문 및 창문을 식별하고, 상기 평면도에서 식별된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에 서로 다른 높이를 반영하여 상기 건물의 3차원 도면을 생성하고, 상기 3차원 도면에서 식별된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 상에 서로 다른 인테리어 이미지를 배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면도를 분석하여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개별공간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를 결정하고, 상기 개별공간은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 및 발코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된 상기 창문은 상기 개별공간에서의 상기 창문의 위치 및 상기 창문이 위치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높이가 적용되고, 식별된 상기 출입문은 상기 개별공간에서의 상기 출입문의 위치 및 상기 출입문이 위치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높이 또는 적어도 서로 다른 인테리어 이미지가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테리어 상담 시에 인테리어가 완성된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테리어 상담 시에 인테리어가 완성된 공간을 사용자에게 3차원 도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며 인테리어 시공 업체의 추가 시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테리어 상담 시에 인테리어 예상 가격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인테리어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테리어 상담 시에 사용자와 해당 인테리어에 전문적인 인테리어 업체 사이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비교 견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2차원 평면도에 포함된 방, 거실, 화장실, 욕실, 방문, 창문, 현관문 등의 구성요소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각 구성요소에 적합한 높이, 재질 등을 적용하여 3차원 입체모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부동산 업체 서버 등이 제공하는 2차원 평면도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등을 사용자가 직접 수정할 수 있는 사용자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부동산 업체 서버에 해당 건물의 2차원 평면도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2차원 평면도를 작성할 수 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평면도의 벽, 출입문 및 창문을 자동으로 식별하여 이에 대응하는 3차원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개별공간의 용도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이에 따라 적절한 출입문 및 창문의 종류, 크기 및 위치를 적용하여 3차원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기계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벽, 출입문, 창문 및 개별공간의 용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용 면적에 포함되는 영역의 면적을 이용하여 평면도를 스케일링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실제 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에 의해 수정된 평면도 및 3차원 도면으로 데이터 베이스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기계 학습 모델을 재학습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인테리어 완성 공간을 표시하는 간략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인테리어 완성 공간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단말기가 표시하는 3차원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표시하는 인테리어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표시하는 인테리어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획득된 평면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 학습 모델을 학습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시공 업체 단말기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시공 업체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통신 단말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 또는 시공 업체 단말기는 스마트폰, 휴대폰, TV,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또는 시공 업체 단말기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시공 업체 단말기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은 인테리어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인테리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제부터 도 1을 참조하여,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도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은 인테리어 서버(101), 사용자 단말기(103), 시공 업체 단말기(105), 네트워크(107), 부동산 업체 서버(109), 가구 업체 서버(111), 전자제품 업체 서버(113) 및 자재 업체 서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부동산 업체 서버(109)는 복수의 건물들의 복수의 평면도들을 저장하며, 인테리어 서버(101)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복수의 평면도들 중에서 특정 건물의 평면도를 검출하여 인테리어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부동산 업체 서버(109)는 평면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부동산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복수의 평면도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동산 정보는 건물 지역 정보, 건물 가격 정보, 건물 크기 정보, 건물 유형 정보 및 건물 평면 유형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물 지역 정보는 해당 건물이 위치하는 장소의 주소를 나타낼 수 있고, 건물 가격 정보는 해당 건물의 매매 가격, 전세 가격 또는 월세 가격 및 중개 수수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건물 크기 정보는 해당 건물의 크기(예를 들면, 전용면적(m2) 또는 평수)를 나타낼 수 있고, 건물 유형 정보는 해당 건물의 유형을 나타내며, 건물 유형은 원룸, 오피스텔, 아파트 및 주상복합 아파트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건물 평면 유형은 해당 건물의 평면 유형을 나타내며, 평면 유형은 2베이(bay), 3베이, 4베이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가구 업체 서버(111)는 복수의 가구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구 이미지들을 저장하며, 인테리어 서버(101)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복수의 가구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의 가구 이미지를 검출하여 인테리어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가구 업체 서버(111)는 가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가구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복수의 가구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구 정보는 가구 명칭 정보, 가구 크기 정보, 가구 가격 정보, 가구 색상 정보 및 가구 모델 번호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구 명칭 정보는 해당 가구의 명칭을 나타내며, 가구 명칭은 침대, 옷장, 수납장, 화장대, 테이블, 거실장, 소파, 식탁, 책상, 의자 및 서랍장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가구 크기 정보는 해당 가구의 크기(예를 들면, 인치(inch) 또는 센티미터(cm))일 수 있으며, 가구 크기는 폭, 넓이 및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구 가격 정보는 해당 가구의 구매 가격 범위를 나타내며, 구매 가격 범위는 원화 또는 달러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가구 색상 정보는 해당 가구의 색상을 나타내며, 가구 모델 정보는 해당 가구를 생산하는 회사에서 할당한 모델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제품 업체 서버(113)는 복수의 전자제품들에 대한 복수의 전자 제품 이미지들을 저장하며, 인테리어 서버(101)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복수의 전자 제품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의 전자제품 이미지를 검출하여 인테리어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제품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가구 업체 서버(113)는 가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전자제품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복수의 전자 제품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제품 정보는 전자제품 명칭 정보, 전자제품 크기 정보, 전자제품 가격 정보, 전자제품 색상 정보 및 전자제품 모델 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제품 명칭 정보는 해당 전자제품의 명칭을 나타내며, 전자제품 명칭은 냉장고, 텔레비젼(television), 세탁기, 건조기, 식기 세척기, 에어컨(air conditioner), 공기 청정기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제품 크기 정보는 해당 전자제품의 크기(예를 들면, 인치(inch) 또는 센치미터(cm))일 수 있으며, 전자제품 크기는 폭, 넓이 및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제품 가격 정보는 해당 전자제품의 구매 가격 범위를 나타내며, 구매 가격 범위는 원화 또는 달러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전자제품 색상 정보는 해당 전자제품의 색상을 나타내며, 전자제품 모델 정보는 해당 전자제품을 생산하는 회사에서 할당한 모델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자재 업체 서버(115)는 복수의 인테리어 자재들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저장하며, 인테리어 서버(101)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복수의 자재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의 자재 이미지를 검출하여 인테리어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자재 업체 서버(115)는 자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인테리어 자재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복수의 자재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테리어 자재 정보는 자재 명칭 정보, 자재 크기 정보, 자재 가격 정보, 자재 색상 및 패턴 정보 및 자재 모델 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재 명칭 정보는 해당 자재의 명칭을 나타내며, 자재 명칭은 타일, 벽지, 바닥, 세면대, 변기, 수전, 욕실장, 문 손잡이 및 전등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자재 크기 정보는 해당 자재의 크기(예를 들면, 인치(inch) 또는 센티미터(cm))일 수 있으며, 자재 크기는 폭, 넓이 및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재 가격 정보는 해당 자재의 구매 가격 범위를 나타내며, 구매 가격 범위는 원화 또는 달러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자재 색상 및 패턴 정보는 해당 자재의 색상 또는 패턴을 나타내며, 자재 모델 정보는 해당 자재를 생산하는 회사에서 할당한 모델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네트워크(107)는 인테리어 서버(101), 사용자 단말기(103) 및 시공 업체 단말기(105) 사이를 연결하며, 인터넷망,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방송망 또는 광대역망(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망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설치한 정보 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망은 3세대, 4세대 또는 5세대 이동통신망이나 이들을 통합한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대역망은 인터넷망,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방송망 등을 하나로 통합한 통합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대역망은 새로운 네트워크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 광동축 혼합망이나 초고속 인터넷망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교환 장치나 전송 장치, 단말 장치를 업그레이드해 광대역망 가입자들이 100Mbps 속도로 인터넷과 통신, 방송망을 융합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시공 업체 단말기(105)는 네트워크(107)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3)로부터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 및 계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 및 계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약 정보는 전자 계약서를 포함하고,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는 해당 건물의 평면도, 3차원 도면과 3차원 도면 상에 설치된 인테리어 자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도는 건물의 각층을 일정한 높이의 수평면에서 절단한 면을 수평 투사한 도면을 나타내며, 출입구, 창 등의 위치와 각층의 방 배치 등을 나타낼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3차원 도면은 2차원인 건물의 평면도를 이용하여 생성된 3차원 도면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자재 정보는 3차원 도면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재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서버(101)는 복수의 건물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평면도들과 복수의 가구 이미지들과 복수의 전자제품 이미지들과 복수의 자재 이미지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버(101)는 사용자 단말기(103)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복수의 평면도들 중에서 하나의 평면도를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평면도 요청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기(103)로부터 수신되면, 인테리어 서버(101)는 제1평면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건물 주소를 기반으로 복수의 평면도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건물 주소에 대응하는 평면도가 존재하는 경우, 인테리어 서버(101)는 선택된 평면도를 포함하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건물 주소에 대응하는 평면도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인테리어 서버(101)는 평면도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기(103)로부터 수신되면, 인테리어 서버(101)는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부동산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평면도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부동산 정보를 만족하는 평면도가 존재하는 경우, 인테리어 서버(101)는 선택된 평면도를 포함하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건물 주소에 대응하는 평면도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인테리어 서버(101)는 부동산 업체 서버(109)로 부동산 정보를 전송하고, 부동산 업체 서버(109)로부터 부동산 정보를 만족하는 평면도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버(101)는 수신된 평면도를 포함하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부동산 업체 서버(109)로부터 부동산 정보를 만족하는 평면도를 수신하지 못하면, 인테리어 서버(101)는 평면도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버(101)는 가구 업체 서버(111), 전자제품 업체 서버(113) 및 자재 업체 서버(113)로 가구 정보, 전자제품 정보 및 자재 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버(101)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구 이미지, 적어도 하나의 전자제품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자재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버(101)는 사용자 단말기(103)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복수의 가구 이미지들, 복수의 전자제품 이미지들, 복수의 자재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3)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테리어 서버(101)로 제1 또는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평면도 응답 메시지가 건물의 평면도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3)는 평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평면도 응답 메시지가 건물의 평면도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3)는 사용자의 선택사항을 기반으로 건물의 평면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평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선택 사항은 건물 유형, 건물 평면 유형, 상세 평면 타입 및 사용자 수정 사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3)는 표시된 평면도를 기반으로 건물의 3차원 도면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구 이미지, 전자제품 이미지, 자재 이미지를 인테리어 서버(101)로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가구 이미지, 전자제품 이미지, 자재 이미지(또는, 소품 이미지)를 3차원 도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3)는 표시된 3차원 도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3차원 프린터(printer)로 전송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는 3차원 도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3차원 도면 정보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이미지들(예를 들면, 가구 이미지, 전자제품 이미지, 자재 이미지가 포함된 3차원 도면을 사실적으로 인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3)는 가구 이미지, 전자제품 이미지, 자재 이미지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완료 모습을 사실적이며 현실적으로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3)는 인테리어 완료 모습을 현실적으로 시각화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여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가상 현실 기기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선 및 움직임에 따라 인테리어 완료 모습을 다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3)는 사용자에 의해 인테리어 계약이 요청되면, 계약서를 표시하고, 계약서가 사용자에 의해 승인되면, 전자 계약서를 포함하는 계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3)는 표시된 평면도, 표시된 3차원 도면 및 표시된 3차원 도면 상에 배치된 인테리어들(예를 들면, 가구, 전자제품, 자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을 기반으로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3)는 네트워크(107)를 통해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와 계약 정보를 시공 업체 단말기(105)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테리어 상담 시에 인테리어가 완성된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테리어 상담 시에 인테리어가 완성된 공간을 사용자에게 3차원 도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며 인테리어 시공 업체의 추가 시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테리어 상담 시에 인테리어 예상 가격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인테리어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테리어 상담 시에 사용자와 해당 인테리어에 전문적인 인테리어 업체 사이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비교견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서버(101)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서버(101)는 제어부(201), 송수신부(203) 및 데이터베이스(205)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송수신부(203)는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부(203)는 사용자 단말기(103)로부터 제1 또는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3)로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수신부(203)는 부동산 업체 서버(109)로 부동산 정보를 전송하거나 부동산 업체 서버(109)로부터 특정 건물의 평면도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송수신부(203)는 가구 업체 서버(111), 전자제품 업체 서버(113) 및 자재 업체 서버(115)로 가구 정보, 전자제품 정보 및 자재 정보를 각각 전송하거나 가구 업체 서버(111), 전자제품 업체 서버(113) 및 자재 업체 서버(115)로부터 가구 이미지, 전자제품 이미지 및 자재 이미지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5)는 인테리어 서버(101)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매체는 플래시 메모리,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베이스(205)는 복수의 건물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평면도들과 복수의 가구 이미지들과 복수의 전자제품 이미지들과 복수의 자재 이미지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 베이스(205)는 인테리어 디자인별로 디자인 셈플 정보들을 저장하고, 방별로 디자인 셈플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자인 셈플 정보는 인테리어 구매자의 만족도 및 인기도가 가장 높은 인테리어 디자인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자인별 디자인 셈플 정보들 각각은, 방 별 3차원 시뮬레이션 이미지 및 인테리어 예상 비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데이터 베이스(205)는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1)는 데이터베이스(205)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서버(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1)는 송수신부(203)를 통해 제1 또는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수신된 제1 또는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 정보 또는 부동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된 복수의 건물 평면도들 중에서 하나의 건물 평면도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송수신부(203)를 통해 생성된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건물 평면도들은 복수의 건물 주소들과 복수의 부동산 정보들에 대응되게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평면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201)는 저장된 복수의 건물 평면도들 중에서 제1평면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건물 평면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건물 평면도를 포함하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201)는 저장된 복수의 건물 평면도들의 부동산 정보들과 제1평면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부동산 정보를 대비하여 저장된 복수의 건물 평면도들 중에서 미리 지정된 유사도를 만족하는 건물 평면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건물 평면도를 포함하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지정된 유사도는 90 내지 95%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위의 검색 방식을 통해 건물 평면도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1)는 해당 건물 평면도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1)는 송수신부(203)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3)로부터 디자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자인 정보에 포함된 인테리어 디자인 유형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205)에 저장된 복수의 디자인 셈플 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디자인 셈플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송수신부(203)를 통해 검출된 디자인 셈플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1)는 송수신부(203)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3)로부터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1)는 수신된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정보들에 포함된 인테리어 시공 업체의 전문 분야와 공사 가능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정보들 중에서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송수신부(203)를 통해 검출된 인테리어 업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1)는 송수신부(203)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3)로부터 계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계약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정보들을 갱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3)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3)는 제어부(301), 송수신부(303), 입력부(305), 음성 출력부(307), 메모리(309) 및 표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송수신부(303)는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부(303)는 인테리어 서버(101)로 제1 또는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인테리어 서버(101)로부터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수신부(303)는 인테리어 서버(101)로 가구 정보, 전자제품 정보 및 자재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거나 인테리어 서버(101)로부터 가구 이미지, 전자제품 이미지 및 자재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송수신부(303)는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 및 계약 정보를 시공 업체 단말기(105)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305)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305)는 키, 터치 패널 및 펜 인식 패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307)는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음성 출력부(307)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09)는 사용자 단말기(103)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
행하기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309)는 특정 건물의 평면도, 평면도를 기반으로 생성된 3차원 도면, 3차원 도면 상에 배치된 가구 이미지, 전자제품 이미지 및 자재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311)는 화면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11)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311)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311)가 액정 방식인 경우, 표시부(311)는 LCD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 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11)는 입력부(305)의 터치 패널(미도시)과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301)는 메모리(309)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3)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집이 인테리어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표시부(511)를 통해 '집은 이미 구했어요'와 '새로 집을 구매해야 해요'라는 문구들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문구들 중에서 '집은 이미 구했어요'라는 문구가 선택되면, 제어부(301)는 사용자의 현재 집이 인테리어 대상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1)는 음성 출력부(307)를 통해 '집은 이미 구했어요'라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용자의 현재 집이 인테리어 대상인 경우, 제어부(301)는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대상의 집 주소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집 주소를 입력하시오'라는 문구를 표시하고, 입력부(30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대상의 집 주소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입력된 집 주소를 포함하는 제1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송수신부(303)를 통해 생성된 제1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인테리어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용자의 현재 집이 인테리어 대상이 아닌 경우,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사용자의 새로운 집이 인테리어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된 문구들 중에서 '새로 집을 구매해야 해요'라는 문구가 선택되면, 제어부(301)는 사용자의 새로운 집이 인테리어 대상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1)는 음성 출력부(307)를 통해 '새로 집을 구매해야 해요'라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의 새로운 집이 인테리어 대상인 경우, 제어부(301)는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대상의 부동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부동산 정보를 입력하시오'라는 문구를 표시하고, 입력부(30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대상의 부동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입력된 부동산 정보를 포함하는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송수신부(303)를 통해 생성된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인테리어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송수신부(303)를 통해 인테리어 서버(101)로부터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건물 평면도가 수신된 평면도 응답 메시지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건물 평면도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평면도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01)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에 건물 평면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확인 결과, 평면도 응답 메시지에 건물 평면도가 존재하면,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평면도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평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평면도 응답 메시지에 건물 평면도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301)는 입력부(305)를 통해 인테리어 대상의 건물 유형 정보, 건물 평면 유형 정보 및 건물 상세 평면 타입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입력된 건물 유형 정보, 건물 평면 유형 정보 및 건물 상세 평면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기초 평면도를 생성하고, 표시부(311)를 통해 생성된 기초 평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평면도 창은 평면도 표시 창(601)과 부동산 정보 창(603)과 견적 창(621)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도 표시 창(601)은 특정 건물의 평면도를 표시하는 창을 나타내며, 견적 창(621)은 새로운 집을 구매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가격(예를 들면, 부동산 가격 및 중개 수수료)과 인테리어 시에 발생하는 가격(예를 들면, 인테리어 예상 비용 및 가구 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동산 정보 창(603)은 부동산 정보를 표시하며, 주소 입력 메뉴(605), 건물 유형 선택 메뉴들(607, 609), 전용면적 선택 메뉴(611), 평면유형 선택 메뉴들(613, 615), 평면 수정 메뉴(617) 및 저장메뉴(61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소 입력 메뉴(605)는 특정 건물의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이며, 건물 유형 선택 메뉴들(607, 609)는 사용자가 원하는 건물의 유형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들일 수 있다. 전용면적 선택 메뉴(611)는 사용자가 원하는 건물의 전용면적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이며, 평면 유형 선택 메뉴들(613, 615)는 사용자가 원하는 건물의 평면 유형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들일 수 있다. 평면 수정 메뉴(617)는 표시된 기초 평면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수정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입력부(30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기초 평면도에 대한 수정사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정사항은 표시부(603)에 표시된 버튼의 터치 또는 사용자 손가락의 드래그 동작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입력된 사용자의 수정사항을 기반으로 평면도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 수정메뉴(617)의 방 추가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301)는 기초 평면도 상에 방을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초 평면도의 한 기둥이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touch)에 의해 선택되어 드래그(drag)되면, 제어부(301)는 기둥을 드래그가 시작된 지점에서 완료된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수정된 평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입력부(30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건물의 천장고(예를 들면, 높이값)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표시된 평면도에 입력된 높이값을 반영하여 특정 건물의 3차원 도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도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도면 표시 창(701)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도면 표시 창(701)은 특정 건물의 3차원 도면을 표시하는 창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301)는 3차원 도면 표시 창(701)과 함께 견적 창(715)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표시된 3차원 도면에 대한 사용자 수정 사항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수정 사항을 기반으로 표시된 3차원 도면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수정 사항은 발코니 확장 여부, 붙받이장 기존 설치 여부 및 발코니 확장 가능 벽체 설정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3차원 도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방에 대한 용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도면의 사용자 수정이 완료되면, 제어부(301)는 인테리어 편집 창(703)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테리어 편집 창(703)은 방별 용도 입력 메뉴(705), 가구 배치 메뉴(707), 스타일 메뉴(709) 및 저장 메뉴(711)를 포함할 수 있다. 방별 용도 입력 메뉴(705)는 3차원 도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방에 대한 용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메뉴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해 가구 자동 배치가 선택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가구 자동 배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301)는 방별 가구 용도를 기반으로 가구를 자동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인테리어 디자인 유형을 입력받고, 입력된 인테리어 디자인 유형을 포함하는 디자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테리어 디자인 유형은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의 디자인 유형을 나타내며, 모던(Modern), 클래식(Classic), 퓨젼(Fus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송수신부(303)를 통해 디자인 정보를 인테리어 서버(501)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인테리어 서버(101)로부터 디자인 셈플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자인 셈플 정보를 기반으로 인테리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테리어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인테리어 창은 인테리어 표시 창(801)과 인테리어 선택 창(803)과 소스 창(809)과 견적 창(811)을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표시 창(801)은 방별 3차원 시물레이션 이미지를 표시하는 창이며, 인테리어 선택 창(803)은 인테리어가 자동으로 배치된 방을 선택받기 위한 창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테리어 선택 창(803)은 방 선택 메뉴(805)와 베스트 참고 메뉴(807)를 포함할 수 있다. 방 선택 메뉴(805)는 사용자로부터 방을 선택받기 위한 메뉴이며, 베스트 참고 메뉴(807)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에 대한 3차원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창(809)은 자동으로 배치된 인테리어에 대한 사용자 수정 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창이며, 견적 창(811)은 부동산 가격 정보 및 인테리어 가격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창일 수 있다.
만일, 가구 자동 배치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해 가구 수동 배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가구 수동 배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301)는 방별로 가구 및 소품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방별 3차원 공간 상에 입력된 가구 이미지 및 소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1)는 소스 창(713)을 표시할 수 있다. 소스 창(713)은 3차원 도면에 배치할 적어도 하나의 가구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창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구 이미지 및 소
품 이미지를 배치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가구 이미지 및 소품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브랜드별 또는 치수별로 가구 및 소품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가구 이미지 및 소품 이미지를 자동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후에, 제어부(301)는 브랜드별로 배치된 가구 이미지를 가구의 희망 가격 및 사용자가 선호하는 브랜드를 고려하여 가구 브랜드를 재선택하고, 재선택된 가구 브랜드로 가구 이미지를 재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배치된 가구 및 소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방별
로 인테리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테리어 서버(501)로 방별 디자인 셈플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방별 디자인 셈플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별 디자인 셈플 정보를 기반으로 방별로 인테리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인테리어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제2인테리어 창은 인테리어 표시 창(901)과 스타일 편집 창(903)과 견적 창(905)을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표시 창(90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창이며, 스타일 편집 창(903)은 방별 인테리어 스타일을 선택하기 위한 창이며, 견적 창(905)는 사용자 의해 선택된 인테리어 스타일로 시공할 때에 발생하는 비용을 나타내기 위한 창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인테리어가 사용자에 의해 완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인테리어 완료를 나타내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인테리어 완료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301)는 인테리어가 완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인테리어가 완료되면, 제어부(301)는 인테리어 디자인정보를 생성하고, 송수신부(303)를 통해 생성된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인테리어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송수신부(303)를 통해 인테리어 업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테리어 업체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계약서를 작성하고, 작성된 전자 계약서를 포함하는 계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해 계약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계약이 요청되면, 제어부(301)는 인테리어 서버(101)와 시공 업체 단말기(105)로 계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1)는 시공 업체 단말기(105)로 계약 정보와 함께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인테리어 완성 공간을 표시하는 간략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은 인테리어 서버(401)와 사용자 단말기(403)을 포함하며, 인테리어 서버(401)는 도 1의 인테리어 서버(101)에 대응되며, 사용자 단말기(403)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103)에 대응된다.
40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403)는 인테리어 서버(403)와 정보를 교환하여 특정 건물의 평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403)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테리어 서버(401)로 제1 또는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단말기(403)는 인테리어 서버(401)로부터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 평면도 응답 메시지가 특정 건물의 평면도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403)는 평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평면도 응답 메시지가 특정 건물의 평면도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403)는 사용자의 선택 사항을 기반으로 건물의 평면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평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선택 사항은 건물 유형, 건물 평면 유형, 상세 평면 타입 및 사용자 수정 사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40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403)는 표시된 2차원 도면을 기반으로 특정 건물의 3차원 도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도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403)는 표시된 평면도에 건물의 천장고(예를 들면, 높이값)를 반영하여 건물의 3차원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장고는 건물의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미리 지정될 수 있다.
409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403)는 인테리어 서버(401)와 정보를교환하여 표시된 도면 상에 인테리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테리어 이미지는 가구 이미지, 전자제품 이미지 및 자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403)는 인테리어 이미지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403)는 인테리어 서버(401)로 선택된 인테리어 이미지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서버(401)는 저장된 복수의 인테리어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인테리어 이미지를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기(403)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403)는 인테리어 서버(401)로부터 인테리어 이미지를 수신하고, 3차원 도면 상에 수신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3)는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건물의 3차원 도면 상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테리어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403)는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계약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인테리어 계약이 요청되면, 사용자 단말기(403)는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와 계약 정보를 생성하여 시공 업체 단말기(105)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송수신부(303)를 통해 인테리어 업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테리어 업체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견적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견적이 요청되면, 제어부(301)는 시공 업체 단말기(105)로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시공 업체 단말기(105)와 인테리어 서버(50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시공 업체 단말기(105)로부터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반영하여 작성된 견적서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인테리어 완성 공간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5a는 도 4의 405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은 인테리어 서버(501)와 사용자 단말기(50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테리어 서버(501)는 도 4의 인테리어 서버(401)에 대응되고, 사용자 단말기(503)는 도 4의 사용자 단말기(403)에 대응될 수 있다.
50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503)의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집이 인테리어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용자의 현재 집이 인테리어 대상인 경우, 50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13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표시부(511)를 통해 '집은 이미 구했어요'와 '새로 집을 구매해야 해요'라는 문구들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문구들 중에서 '집은 이미 구했어요'라는 문구가 선택되면, 제어부(301)는 사용자의 현재 집이 인테리어 대상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1)는 음성 출력부(307)를 통해 '집은 이미 구했어요'라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만일, 507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301)는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대상의 집 주소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집 주소를 입력하시오'라는 문구를 표시하고, 입력부(30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대상의 집 주소를 입력받을 수 있다.
509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입력된 집 주소를 포함하는 제1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511 단계에서, 송수신부(303)를 통해 생성된 제1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인테리어 서버(501)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513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사용자의 새로운 집이 인테리어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용자의 새로운 집이 인테리어 대상인 경우, 51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05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된 문구들 중에서 '새로 집을 구매해야 해요'라는 문구가 선택되면, 제어부(301)는 사용자의 새로운 집이 인테리어 대상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1)는 음성 출력부(307)를 통해 '새로 집을 구매해야 해요'라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된 문구들이 아닌 이전 단계로 돌아가는 동작을 수행하는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301)는 505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만일, 515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301)는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대상의 부동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부동산 정보를 입력하시오'라는 문구를 표시하고, 입력부(30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대상의 부동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517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입력된 부동산 정보를 포함하는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519 단계에서, 송수신부(303)를 통해 생성된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인테리어 서버(501)로 전송할 수 있다.
521 단계에서, 인테리어 서버(501)의 제어부(201)는 송수신부(203)를 통해 제1 또는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수신된 제1 또는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 정보 또는 부동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된 복수의 건물 평면도들 중에서 하나의 건물 평면도를 검색할 수 있다.
523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건물 평면도들은 복수의 건물 주소들과 복수의 부동산 정보들에 대응되게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평면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201)는 저장된 복수의 건물 평면도들 중에서 제1평면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건물 평면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건물 평면도를 포함하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평면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201)는 저장된 복수의 건물 평면도들의 부동산 정보들과 제1평면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부동산 정보를 대비하여 저장된 복수의 건물 평면도들 중에서 미리 지정된 유사도를 만족하는 건물 평면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건물 평면도를 포함하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지정된 유사도는 90 내지 95%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위의 검색 방식을 통해 건물 평면도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1)는 해당 건물 평면도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525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송수신부(203)를 통해 생성된 평면도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503)로 전송할 수 있다.
52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503)의 제어부(301)는 송수신부(303)를 통해 인테리어 서버(501)로부터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평면도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건물 평면도가 수신된 평면도 응답 메시지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평면도 응답 메시지에 건물 평면도가 존재하면, 제어부(301)는 53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29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건물 평면도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평면도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01)는 평면도 응답 메시지에 건물 평면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일, 529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301)는 입력부(305)를 통해 인테리어 대상의 건물 유형 정보, 건물 평면 유형 정보 및 건물 상세 평면 타입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531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입력된 건물 유형 정보, 건물 평면 유형 정보 및 건물 상세 평면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기초 평면도를 생성하고, 표시부(311)를 통해 생성된 기초 평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평면도 창은 평면도 표시 창(601)과 부동산 정보 창(603)과 견적 창(621)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도 표시 창(601)은 특정 건물의 평면도를 표시하는 창을 나타내며, 견적 창(621)은 새로운 집을 구매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가격(예를 들면, 부동산 가격 및 중개 수수료)과 인테리어 시에 발생하는 가격(예를 들면, 인테리어 예상 비용 및 가구 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동산 정보 창(603)은 부동산 정보를 표시하며, 주소 입력 메뉴(605), 건물 유형 선택 메뉴들(607, 609), 전용면적 선택 메뉴(611), 평면유형 선택 메뉴들(613, 615), 평면 수정 메뉴(617) 및 저장메뉴(61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소 입력 메뉴(605)는 특정 건물의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이며, 건물 유형 선택 메뉴들(607, 609)는 사용자가 원하는 건물의 유형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들일 수 있다. 전용면적 선택 메뉴(611)는 사용자가 원하는 건물의 전용면적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이며, 평면 유형 선택 메뉴들(613, 615)는 사용자가 원하는 건물의 평면 유형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들일 수 있다. 평면 수정 메뉴(617)는 표시된 기초 평면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수정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533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입력부(30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기초 평면도에 대한 수정사항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수정사항은 표시부(603)에 표시된 버튼의 터치 또는 사용자 손가락의 드래그 동작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535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입력된 사용자의 수정사항을 기반으로평면도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 수정메뉴(617)의 방 추가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301)는 기초 평면도 상에 방을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초 평면도의 한 기둥이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touch)에 의해 선택되어 드래그(drag)되면, 제어부(301)는 기둥을 드래그가 완료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생성된 평면도를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인테리어 서버(501)로 전송할 수 있다. 인테리어 서버(501)는 부동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저장된 복수의 평면도들과 부동산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평면도를 비교하여 유사도들을 계산하고, 계산된 유사도들 중에서 미리 지정된 유사도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유사도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도 중에서 가장 높을 유사도를 가지는 평면도에 대응하는 부동산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부동산 정보를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503)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503)의 제어부(301)는 부동산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부동산 정보를 생성된 평면도에 대응되게 저장할 수 있다.
537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인테리어 서버(501)로부터 수신되거나 사용자 단말기(503)에서 생성된 평면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1)는 인테리어 서버(501)로부터 수신된 부동산 정보에 포함된 건물 가격 정보를 기반으로 견적 창(621)의 부동산 가격 및 중개 수수료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b는 도 4의 407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부(301)는 539 단계에서, 입력부(30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건물의 천장고(예를 들면, 높이값)를 입력받을 수 있다.
541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표시된 평면도에 입력된 높이값을 반영하여 특정 건물의 3차원 도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도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도면 표시 창(701)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도면 표시 창(701)은 특정 건물의 3차원 도면을 표시하는 창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301)는 3차원 도면 표시 창(701)과 함께 견적 창(715)을 표시할 수 있다.
543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표시된 3차원 도면에 대한 사용자 수정 사항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수정 사항을 기반으로 표시된 3차원 도면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수정 사항은 발코니 확장 여부, 붙받이장 기존 설치 여부 및 발코니 확장 가능 벽체 설정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대체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도 5c는 도 4의 409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어부(301)는, 545 단계에서, 3차원 도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방에 대한 용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도면의 사용자 수정이 완료되면, 제어부(301)는 인테리어 편집 창(703)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테리어 편집 창(703)은 방별 용도 입력 메뉴(705), 가구 배치 메뉴(707), 스타일 메뉴(709) 및 저장 메뉴(711)를 포함할 수 있다. 방별 용도 입력 메뉴(705)는 3차원 도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방에 대한 용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메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 개별공간의 용도(예를 들어 방별 용도)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547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해 가구 자동 배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가구 자동 배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301)는 549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59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구 배치 메뉴(707)의 가구 자동 배치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해 가구 자동 배치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549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방별 가구 용도를 기반으로 가구를 자동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인테리어 디자인 유형을 입력받고, 입력된 인테리어 디자인 유형을 포함하는 디자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테리어 디자인 유형은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의 디자인 유형을 나타내며, 모던(Modern), 클래식(Classic), 퓨젼(Fus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551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송수신부(303)을 통해 디자인 정보를 인테리어 서버(501)로 전송할 수 있다.
553 단계에서, 인테리어 서버(501)의 제어부(201)는 송수신부(203)를 통해 디자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자인 정보에 포함된 인테리어 디자인 유형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205)에 저장된 복수의 디자인 셈플 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디자인 셈플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자인 셈플 정보는 인테리어 구매자의 만족도 및 인기도가 가장 높은 인테리어 디자인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자인 셈플 정보는, 방 별 3차원 시뮬레이션 이미지 및 인테리어 예상 비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555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검출된 디자인 셈플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503)로 전송할 수 있다.
55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503)의 제어부(301)는 인테리어 서버(501)로부터 디자인 셈플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자인 셈플 정보를 기반으로 인테리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테리어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인테리어 창은 인테리어 표시 창(801)과 인테리어 선택 창(803)과 소스 창(809)과 견적 창(811)을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표시 창(801)은 방별 3차원 시물레이션 모형 이미지를 표시하는 창이며, 인테리어 선택 창(803)은 인테리어가 자동으로 배치된 방을 선택받기 위한 창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테리어 선택 창(803)은 방 선택 메뉴(805)와 베스트 참고 메뉴(807)를 포함할 수 있다. 방 선택 메뉴(805)는 사용자로부터 방을 선택받기 위한 메뉴이며, 베스트 참고 메뉴(807)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에 대한 3차원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창(809)은 자동으로 배치된 인테리어에 대한 사용자 수정 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창이며, 견적 창(811)은 부동산 가격 정보 및 인테리어 가격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창일 수 있다.
만일, 559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해 가구 수동 배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가구 수동 배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301)는 561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47 단계를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구 배치 메뉴(707)의 가구 수동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해 가구 수동 배치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1)는 소스 창(713)을 표시할 수 있다. 소스 창(713)은 3차원 도면에 배치할 적어도 하나의 가구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창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전 단계로 돌아가는 동작을 수행하는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301)는 547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만일, 561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301)는 방별로 가구 및 소품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방별 3차원 공간 상에 입력된 가구 이미지 및 소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구 이미지 및 소품 이미지를 배치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가구 이미지 및 소품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브랜드별 또는 치수별로 가구 및 소품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가구 이미지 및 소품 이미지를 자동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후에, 제어부(301)는 브랜드별로 배치된 가구 이미지를 가구의 희망 가격 및 사용자가 선호하는 브랜드를 고려하여 가구 브랜드를 재선택하고, 재선택 가구 브랜드로 가구 이미지를 재배치할 수 있다.
563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배치된 가구 및 소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방별로 인테리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테리어 서버(501)로 방별 디자인 셈플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방별 디자인 셈플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별 디자인 셈플 정보를 기반으로 방별로 인테리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인테리어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제2인테리어 창은 인테리어 표시 창(901)과 스타일 편집 창(903)과 견적 창(905)을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표시 창(90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가 반영된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모형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창이며, 스타일 편집 창(903)은 방별 인테리어 스타일을 선택하기 위한 창이며, 견적 창(905)는 사용자 의해 선택된 인테리어 스타일로 시공할 때에 발생하는 비용을 나타내기 위한 창일 수 있다.
565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인테리어가 사용자에 의해 완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인테리어가 완료되면, 제어부(301)는 56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65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표시부(311)를 통해 인테리어 완료를 나타내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인테리어 완료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301)는 인테리어가 완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된 인테리어 완료 메뉴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301)는 인테리어 완료 메뉴가 선택될 때까지 565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567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생성하고, 송수신부(303)를 통해 생성된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인테리어 서버(501)로 전송할 수 있다.
569 단계에서, 인테리어 서버(501)의 제어부(201)는 송수신부(203)를 통해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1)는 수신된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정보들에 포함된 인테리어 시공 업체의 전문 분야와 공사 가능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정보들 중에서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571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송수신부(203)를 통해 인테리어 업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503)로 전송할 수 있다.
57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503)의 제어부(301)는 송수신부(303)를 통해 인테리어 업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테리어 업체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계약서를 작성하고, 작성된 전자 계약서를 포함하는 계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575 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사용자에 의해 계약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계약이 요청되면, 제어부(301)는 57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인테리어 계약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만일, 577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301)는 인테리어 서버(501)와 시공 업체 단말기(105)로 계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1)는 시공 업체 단말기(105)로 계약 정보와 함께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후에, 제어부(301)는 시공 업체 단말기(105)로부터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반영하여 작성된 계약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송수신부(303)를 통해 인테리어 업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테리어 업체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견적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견적이 요청되면, 제어부(301)는 시공 업체 단말기(105)로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시공 업체 단말기(105)와 인테리어 서버(50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시공 업체 단말기(105)로부터 인테리어 디자인 정보를 반영하여 작성된 견적서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테리어 상담 시에 인테리어가 완성된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테리어 상담 시에 인테리어가 완성된 공간을 사용자에게 3차원 도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며 인테리어 시공 업체의 추가 시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테리어 상담 시에 인테리어 예상 가격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인테리어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테리어 상담 시에 사용자와 해당 인테리어에 전문적인 인테리어 업체 사이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비교견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에 따른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단계 405, 407 및 409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따른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은 도 5b에 도시된 B 및 D 사이의 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인테리어 서버의 제어부(201)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30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면도가 획득될 수 있다. 도 12는 획득된 평면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도는 인테리어 서버(101)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3)로 전송되거나, 단계 529 내지 535에서와 같이 생성된 평면도가 인테리어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인테리어 서버의 제어부(201)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301)는 획득된 평면도를 분석하여 벽, 출입문 및 창문을 식별한다(1010).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출입문 및 창문은 서로 다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201, 301)는 평면도에 표시된 형식을 인식하여 벽, 출입문 및 창문을 식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식별된 평면도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를 수정할 수 있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잘못 식별된 벽, 출입문 및 창문을 수정할 수 있고, 벽, 출입문 및 창문의 너비를 수정할 수 있다.
제어부(201, 301)는 평면도에서 식별된 벽, 출입문 및 창문에 서로 다른 높이를 반영하여 건물의 3차원 도면을 생성한다(1020). 예를 들어, 벽은 기 설정된 천정고와 동일한 높이로 생성되고, 출입문은 천정고에서 소정의 간격을 둔 높이로 생성되며, 창문은 바닥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201, 301)는 생성된 3차원 도면에 식별된 벽, 출입문 및 창문 상에 각각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인테리어 이미지를 배치한다(1030). 예를 들어, 벽 상에는 벽지 이미지가 배치되고, 출입문 상에는 목재나 철재 이미지가 배치되며, 창문 상에는 투명한 유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이 생성된 3차원 도면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이를 수정할 수 있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1040). 사용자는 출입문 및 창문의 높이, 출입문과 천정 사이의 간격, 출입문과 바닥 사이의 간격, 창문과 바닥 사이의 간격, 창문과 천정 사이의 간격, 천정고 등을 수정할 수 있다.
최종 수정된 평면도 및 3차원 도면은 인테리어 서버로 전송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에 따른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테리어 서버의 제어부(201)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301)가 획득된 평면도를 분석하여 벽, 출입문 및 창문을 식별하면(1010), 제어부(201, 301)는 벽, 출입문 및 창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개별공간을 식별한다(1110).
다음으로, 제어부(201, 301)는 출입문 및 창문의 위치, 각 개별공간의 면적 및 개별공간들 간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각 개별공간의 용도를 결정한다(1120). 개별공간은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 창고, 다용도실, 승강기 및 발코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개별공간의 용도는 각 개별공간에 연결된 출입문의 너비 및 개수, 창문의 너비 및 개수, 개별공간의 면적 및 형태, 해당 개별공간이 접하는 다른 개별공간의 용도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201, 301)는 건물의 전용 면적을 확인한다(1130). 전용 면적은 부동산 서버,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01, 301)는 각 개별공간의 용도에 따라 전용 면적에 포함되는 제1 영역과 포함되지 않는 제2 영역을 결정한다(1140). 예를 들어, 발코니 및 승강기 등의 용도로 결정된 개별공간은 제2 영역으로 결정되고,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 창고, 다용도실은 제1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전용 면적에 포함되는지 여부는 부동산 서버,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제어부(201, 301)는 제1 영역의 면적이 전용 면적과 동일해지도록 평면도를 스케일링한다(1150). 제어부(201, 301)는 제1 영역으로 결정된 개별공간의 총 합이 전용 면적과 동일해지도록 평면도를 스케일링한다. 이에 따라 스케일링된 평면도의 각 벽, 출입문 및 창문의 실제 너비가 결정되고 시공 업체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201, 301)는 출입문의 위치 및 개별공간의 용도에 기초하여 각 출입문의 높이 및 인테리어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1160). 예를 들어, 출입문이 외부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현관문에 대응하는 높이 및 인테리어 이미지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출입문이 거실과 침실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방문에 대응하는 높이 및 인테리어 이미지를 적용할 수 있다. 출입문이 연결된 개별공간의 용도가 주방, 화장실, 창고, 다용도실, 승강기 및 발코니인 경우 서로 다른 높이나 인테리어 이미지가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01, 301)는 창문의 위치 및 개별공간의 용도에 기초하여 각 창문의 높이(천장 및 바닥과의 간격) 및 인테리어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1170). 예를 들어, 창문이 발코니와 외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발코니 창에 대응하는 높이 및 인테리어 이미지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발코니와 거실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창문은, 발코니와 침실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창문 보다 바닥에 가까울 수 있다. 창문이 연결된 개별공간의 용도가 주방, 화장실, 창고, 다용도실, 승강기 및 발코니인 경우 서로 다른 높이나 인테리어 이미지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1, 301)는 창문의 위치 및 개별공간의 용도에 기초하여 창문을 통한 사용자의 통행 여부를 결정하고, 통행 여부에 따라 각 창문과 바닥 사이의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1, 301)는 사용자 단말기에 위와 같이 생성된 3차원 도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각 출입문의 높이 및 인테리어 이미지, 및 각 창문의 높이 및 인테리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1180).
최종 수정된 평면도 및 3차원 도면은 인테리어 서버로 전송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은 기계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1, 301)는 기계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단계 1010, 1120, 1030, 1110, 1120, 1140, 1150, 1160 및 117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 학습 모델을 학습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제어부(201)는 부동산 서버 또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복수의 건물에 대한 복수의 평면도를 획득한다(1310). 제어부(20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평면도를 획득할 수 있으며, 도 10 및 도 1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정한 평면도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평면도에 벽, 출입문, 창문, 개별공간의 용도를 라벨링한다(1320). 라벨링은 사용자 또는 인테리어 서버 운영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01)는 이미 라벨링된 복수의 평면도를 획들할 수 있다.
라벨링된 복수의 평면도를 훈련데이터로 이용하여 기계 학습 모델을 학습시킨다(1330). 기계 학습 모델은 지도 학습 방식일 수 있다. 기계 학습 모델은 K-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s),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서포트 벡터 머신(SVM, Support Vector Machine), 결정 트리(Decision Tree)와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신경망(Neural Network)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위와 같이 학습된 기계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다른 복수의 건물에 대한 평면도를 분석하여, 벽, 출입문, 창문, 개별공간 및 그 용도를 식별한다(134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 학습 모델은 출입문 및 창문의 높이 및 인테리어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기계 학습 모델의 정확도를 검증할 수 있다(1350).
제어부(201, 301)은 위와 같이 검증된 기계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평면도를 분석하여 벽, 출입문, 창문, 개별공간 및 그 용도를 식별한다(1360).
제어부(201, 301)은 도 10 및 도 1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정한 평면도 및 3차원 도면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1370).
제어부(201)는 위와 같이 사용자가 수정한 평면도 및 3차원 도면이 충분히 확보되면 이를 학습데이터로 하여 기계 학습 모델을 재학습시킬 수 있다(1380).
기계 학습 모델은 지도 학습 방식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준지도 학습 방식 및 비지도 학습 방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예: 인테리어 서버(101) 또는 사용자 단말기(103)) 또는 방법 (예: 동작들)은, 예컨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유지되는(maintain)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예: 제어부(201) 또는 제어부(30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예: 제어부(201) 또는 제어부(301))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205) 또는 메모리(309)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로,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저장 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인테리어 서버(101) 또는 사용자 단말기(103)의 구성의 일부로 포함되나, 인테리어 서버(101) 또는 사용자 단말기(103)의 포트(port)를 통하여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인테리어 서버(101) 또는 사용자 단말기(103)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기기(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복수의 저장 매체에 나누어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때, 복수의 저장 매체의 적어도 일부는 인테리어 서버(101) 또는 사용자 단말기(103)의 외부 기기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1: 인테리어 서버 103; 사용자 단말기
105: 시공 업체 단말기 107: 네트워크
109: 부동산 업체 서버 111: 가구 업체 서버
113: 전자제품 업체 서버 115: 자재 업체 서버

Claims (10)

  1. 인테리어 서버의 제어부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해 진행되는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입체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건물의 주소 정보 및 부동산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평면도 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건물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평면도를 분석하여 벽, 출입문 및 창문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평면도에서 식별된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에 서로 다른 높이를 반영하여 상기 건물의 3차원 도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도면에서 식별된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 상에 서로 다른 인테리어 이미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건물의 전용 면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건물의 상기 평면도에서 상기 전용 면적에 포함되는 제1 영역 및 상기전용 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제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전용 면적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평면도를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도를 분석하여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개별공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별공간은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 및 발코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식별된 상기 창문은 상기 개별공간에서의 상기 창문의 위치 및 상기 창문이 위치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높이가 적용되는,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식별된 상기 출입문은 상기 개별공간에서의 상기 출입문의 위치 및 상기 출입문이 위치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높이 또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인테리어 이미지가 적용되는,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 출입문 및 창문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복수의 평면도에 의해 지도 학습 방식으로 학습된 기계 학습 모델을 이용하는,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평면도를 분석하여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개별공간을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식별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에 따라 각 개별공간이 상기 전용면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
  8. 사용자로부터 건물의 주소 정보 및 부동산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평면도 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건물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검색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평면도를 분석하여 벽, 출입문 및 창문을 식별하고,
    상기 평면도에서 식별된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에 서로 다른 높이를 반영하여 상기 건물의 3차원 도면을 생성하고,
    상기 3차원 도면에서 식별된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 상에 서로 다른 인테리어 이미지를 배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도면에서 식별된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 상에 서로 다른 인테리어 이미지를 배치하고, 상기 건물의 전용 면적을 확인하고, 상기 건물의 상기 평면도에서 상기 전용 면적에 포함되는 제1 영역 및 상기전용 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제2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전용 면적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평면도를 스케일링하는,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면도를 분석하여 상기 벽, 상기 출입문 및 상기 창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개별공간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를 결정하고,
    상기 개별공간은 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 및 발코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식별된 상기 창문은 상기 개별공간에서의 상기 창문의 위치 및 상기 창문이 위치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높이가 적용되고,
    식별된 상기 출입문은 상기 개별공간에서의 상기 출입문의 위치 및 상기 출입문이 위치한 상기 개별공간의 용도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높이 또는 적어도 서로 다른 인테리어 이미지가 적용되는,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KR1020200112594A 2020-09-03 2020-09-03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및 방법 KR102447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94A KR102447356B1 (ko) 2020-09-03 2020-09-03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및 방법
PCT/KR2020/014765 WO2022050485A1 (ko) 2020-09-03 2020-10-28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94A KR102447356B1 (ko) 2020-09-03 2020-09-03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99A KR20220030799A (ko) 2022-03-11
KR102447356B1 true KR102447356B1 (ko) 2022-09-26

Family

ID=8049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594A KR102447356B1 (ko) 2020-09-03 2020-09-03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7356B1 (ko)
WO (1) WO2022050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878B1 (ko) * 2022-04-05 2022-08-26 한국가상현실 (주) 가상 현실 내의 주거 공간의 용도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방법
KR102434632B1 (ko) * 2022-04-05 2022-08-23 한국가상현실 (주) 가상 현실 내의 공간의 용도에 기초한 가구 자동 배치 방법
KR102524780B1 (ko) * 2022-07-05 2023-04-26 주식회사 대원썬 2d/3d 기반의 자동 주방 도면 설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263A (ko) * 2001-01-15 2002-07-24 (주)네오게이트 인터넷을 이용한 주거공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0448666B1 (ko) * 2002-02-25 2004-09-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유선 및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편리한 2차원 및 3차원인테리어 도면 동시 설계 방법
KR102294425B1 (ko) * 2016-06-27 2021-08-26 (주) 아키드로우 인테리어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13394B1 (ko) * 2016-08-23 2017-12-28 양희라 하우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03481B1 (ko) * 2017-11-29 2019-08-28 주식회사 필굿하우징 가상 현실 기반 인테리어 컨설팅 서비스를 위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90092915A (ko) * 2018-01-31 2019-08-08 진승혁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149818B1 (ko) * 2018-04-19 2020-09-01 주식회사 하이리퍼브테크 인테리어 자동 견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2171935B1 (ko) * 2018-09-14 2020-10-30 (주) 토즈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99A (ko) 2022-03-11
WO2022050485A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7356B1 (ko) 인테리어 플랫폼 시스템에서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장치 및 방법
KR102310940B1 (ko)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모형 제공 시스템
US1146198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ndering and modifying three-dimensional models for interior design
US11721069B2 (en) Processing of 2D images to generate 3D digital representations from which accurate building element measurement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U2021240285B2 (en) Automated tools for generating building mapping information
KR102385263B1 (ko) 이동형 홈 로봇 및 이동형 홈 로봇의 제어 방법
US20190228115A1 (en) Building information design synthesis (bids)
CA3157919A1 (en) Identifying flood damage to an indoor environment using a virtual representation
US8843350B2 (en)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US11017611B1 (en) Generation and modification of rooms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201300248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based creation of interactive hotspots in a real world environment
US9767566B1 (en) Mobile three-dimensional model creation platform and methods
WO2020238022A1 (zh) 三维空间视图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6362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map
US20210117582A1 (en) Visualizing Building Interior Information In A User-Customized Manner
US20230128740A1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face by using virtual space interior design, and device therefor
US20230125988A1 (en) Method for automating space and interior layouts based on user style and apparatus therefor
CN112364413A (zh) 一种可自定义房屋装修设计方法和系统
KR20210111973A (ko) 인테리어 o2o 서비스 시스템
WO2022049777A1 (ja) 家具レイアウトvrシステム、家具レイアウトvr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63623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edicting architectural materials within a space
JP7440972B2 (ja) 室内レイアウト支援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40112420A1 (en) Augmented reality enhanced building model viewer
US20240111914A1 (en) Markers for selective access to a building model
US20240111927A1 (en) Generation of a digital twin from construc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