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040B1 - Integrated electronic valve for expansion and switching direction - Google Patents

Integrated electronic valve for expansion and switching dir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040B1
KR102447040B1 KR1020190122469A KR20190122469A KR102447040B1 KR 102447040 B1 KR102447040 B1 KR 102447040B1 KR 1020190122469 A KR1020190122469 A KR 1020190122469A KR 20190122469 A KR20190122469 A KR 20190122469A KR 102447040 B1 KR102447040 B1 KR 10244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expansion
refrigerant
output 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0227A (en
Inventor
박장식
홍태호
박지완
이찬얼
Original Assignee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동일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동일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040B1/en
Priority to PCT/KR2020/012501 priority patent/WO2021066356A1/en
Publication of KR2021004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2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41/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by rotary motors, e.g. by stepping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Servomotor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는 폐쇄 상태는 물론, 팽창 간극을 형성하여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상태나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통시키는 완전 개방 상태로도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팽창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입력 포트(101)와 출력 포트(102)를 연통시키는 유로(110)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바디(100)와; 유로(110)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팽창 리세스(210)와 유로구멍(220)이 형성되는 회전 밸브(200)와; 관통공(310)이 형성되는 밸브 플레이트(300)와; 탄성 기밀재질로 이루어져 밸브 플레이트(300)를 향하여 회전 밸브(200)의 적어도 일면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과 회전 밸브(200)의 상호간에 기밀성을 확보하는 기밀부재(400)와; 회전 밸브(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500)를 포함하여, 차량용 공조기의 구성을 단순화 하면서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냉매에 대한 기밀성 및 제품에 대한 가공성 및 생산성을 높여 제품의 생산단가를 낮추는 한편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nd in particular, a closed state that blocks the flow of refrigerant, an expanded state that expands the refrigerant by forming an expansion gap, or a fully open state that distributes the refrigerant as it is without expanding In order to provide an expansion valve that can also be switched, the valve body 100 is formed in a block shape and the flow path 110 for communicating the input port 101 and the output port 102 is formed therein; a rotation valve 200 provided rotatab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flow path 110 , the expansion recess 210 and the flow path hole 220 being formed therein; a valve plate 300 having a through hole 310 formed therein; It is made of an elastic airtight material and is provided rotatably integrally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otary valve 200 toward the valve plate 300 to provide airtightness between the through 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and the rotary valve 200 . and an airtight member 400 to secure; Including the driving member 500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valve 200, it enables precise control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nd in particular, increases the airtightness of the refrigerant and the processa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product to produce products It is aimed at lowering unit prices while maximizing market competitiveness.

Description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Integrated electronic valve for expansion and switching direction}Integrated electronic valve for expansion and switching direction

본 발명은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는 폐쇄 상태는 물론, 팽창 간극을 형성하여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상태나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통시키는 완전 개방 상태로도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팽창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용 공조기의 구성을 단순화 하면서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냉매에 대한 기밀성 및 제품에 대한 가공성 및 생산성을 높여 제품의 생산단가를 낮추는 한편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in particular, in a closed state that blocks the flow of refrigerant, an expanded state that expands the refrigerant by forming an expansion gap, or a fully open state that circulates the refrigerant as it is without expanding In order to provide an expansion valve that can also switch It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일반적으로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그리고 증발기를 포함하며,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냉장고나 냉방용 공조기 등의 냉방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refrigeration cycle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and is widely used for cooling a refrigerator or an air conditioner for cooling by circulating a refrigerant.

여기에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 액화된 고온·고압의 액체 냉매를 교축 작용에 의해 증발을 일으킬 수 있는 압력까지 감압해 주는 밸브로서, 증발기에서 충분한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적정한 냉매량을 조절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Here, the expansion valve constituting the refrigeration cycle is a valve that reduces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liquid refrigerant condensed and liquefied in the condenser to a pressure that can cause evaporation by the throttling action. plays a role in regulating the supply of

하지만, 기존의 팽창밸브는 구성이 복잡하고 정밀 제어가 어려우며, 특히 가공성 및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냉매에 대한 기밀성도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xpansion valve has problems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it is difficult to control precisely, and in particular,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are deteriorated, and airtightness to the refrigerant is also low.

최근에는 이러한 냉동 사이클을 개선하여 냉매를 역방향으로 순환시키는 히트펌프를 구성함으로써 온장고나 난방용 공조기 등의 열원으로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by improving the refrigeration cycle and constructing a heat pump that circulates the refrigerant in the reverse direction, it is also used as a heat source for a heater or an air conditioner for heating.

이와 같은 히트펌프의 구성에 따라 종래에는 냉방용 팽창밸브와 난방용 팽창밸브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경우 제조 단가의 상승을 초래할 뿐 아니라 냉매의 순환 관로가 복잡해지고 제어에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eat pump, conventionally, an expansion valve for cooling and an expansion valve for heating were respectively configured. .

이에 따라, 정방향 및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팽창시키는 양방향 팽창밸브와 함께, 한 개의 입력 포트로부터 두 개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팽창시키는 3방향 팽창밸브가 개발되었다.Accordingly, a three-way expansion valve that expands while passing the refrigerant from one input port to one of the two output ports along with a two-way expansion valve that expands while passing the refrigerant in both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has been developed.

특허문헌 1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3208호, 특허문헌 2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35259호, 그리고 특허문헌 3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41058호에는 한 개의 입력 포트로부터 두 개 이상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냉매를 절환시키면서 팽창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Literature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43208, Patent Literature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35259, and Patent Literature 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441058, have two A technique of expanding the refrigerant while switching the refrigerant to any one of the above output ports is disclosed.

하지만,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종래의 팽창밸브는 단순히 한 개의 입력 포트로부터 두 개 이상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를 연통시키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적절한 크기의 팽창 간극을 형성하여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상태와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키는 완전 개방 상태로 조절할 수는 없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xpansion valv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to 3 simply focuses on communicating any one of two or more output ports from one input port, and forms an expansion gap of an appropriate size to expand the refrigerant. There was a problem in the prior art that it was impossible to adjust the expansion state to expand and the fully open state to allow the refrigerant to pass through without expansion.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3208호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2011-0043208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35259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35259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41058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44105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공조기의 구성을 단순화 하면서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냉매에 대한 기밀성 및 제품에 대한 가공성 및 생산성을 높여 제품의 생산단가를 낮추는 한편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nables precise control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that can maximize it.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는,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냉매가 공급되는 입력 포트와, 타측에 냉매가 배출되는 출력 포트와,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출력 포트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바디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출력 포트 사이의 상기 유로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소정의 반경방향 폭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팽창 리세스와, 상기 팽창 리세스의 말단에 연통되되 상기 팽창 리세스의 반경방향 폭 보다 넓은 반경방향 폭을 갖는 유로구멍이 형성되는 회전 밸브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 밸브에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되되 상기 밸브바디의 유로 내에 회전 불가하게 고정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는 밸브 플레이트와; 합성수지 또는 탄성 기밀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 플레이트를 향하여 상기 회전 밸브의 적어도 일면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관통공과 상기 회전 밸브의 상호간에 기밀성을 확보하는 기밀부재와; 상기 회전 밸브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The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integrate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lock shape, an input port to which refrigerant is supplied to one side, an output port to which refrigerant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and a flow path for communicating the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a valve body formed therein; an expansion reces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rotatably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in the flow path between the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the expansion recess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radial width; a rotary valve in communication but having a passage hole having a radial width wider than a radial width of the expansion recess; a valve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stacked in contact with the rotary valve, fixed non-rotatably in the flow path of the valve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airtight member made of synthetic resin or an elastic airtight material and provided rotatably integrally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otary valve toward the valve plate to secure airtightness between the through hole of the valve plate and the rotary valve; It is achieved by including a driving member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valve.

이때, 상기 팽창 리세스는 상기 관통공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중첩되어 팽창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ansion recesses overl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utside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to form an expansion gap.

또한, 상기 밸브바디의 출력 포트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관통공은 상기 제1 출력 포트 및 상기 제2 출력 포트에 각각 대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을 포함하여; 1개의 입력 포트로부터 2개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하여 냉매를 공급 가능한 것이 양호하다.In addition, the output port of the valve body includes a first output port and a second output port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through-holes of the valve plate includ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rigerant can be supplied by switching from one input port to any one of the two output ports.

게다가, 상기 기밀부재와 상기 회전 밸브에는 상호간의 접촉부위에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다각형상 또는 원호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밸브의 회전 시 상기 기밀부재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member and the rotary valve are formed in a polygonal or arc shape coupled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ermetic member rotates integrally when the rotary valve is rotated.

특히,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회전 밸브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샤프트와, 전원 제어에 따라 회전각도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샤프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중앙에 상기 샤프트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particular, the driving member includes a shaft connect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ry valve to rotate integrally, and a step motor capable of controlling a rotation angle according to power control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The valve plate may preferably have a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center to rotatably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shaf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기의 구성을 단순화 하면서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냉매에 대한 기밀성 및 제품에 대한 가공성 및 생산성을 높여 제품의 생산단가를 낮추는 한편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nables precise control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nd in particular, increases the airtightness of the refrigerant and the processa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product, thereby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and maximizing the market competitiveness It is an invention that can maximize market competitivenes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와 기밀부재가 서로 일체화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에 대한 저면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팽창 리세스의 반경방향 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팽창 간극을 설명하는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완전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밸브바디의 하부 몸체를 도시하는 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밸브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에 대한 저면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부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 모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팽창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완전 개방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 모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완전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
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rotary valve, an airtight member, and a valve plate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valve and the airtight member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ry valve, an airtight member, and a valve plate are stacked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valve, an airtight member, and a valve plate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ry valve, the airtight member, and the valve plate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pansion gap formed according to a radial position of an expansion recess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vers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output port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expansion state of the refrigerant to the output port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fully open state of the refrigerant to the output port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lower body of the valve body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a valve plate in another example of an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vers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ry valve, an airtight member, and a valve plate are stacked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valve, an airtight member, and a valve plate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valve, the airtight member, and the valve plate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h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the closed state of both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vers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the expansion state of the refrigerant to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closed state of the second output port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 fully open state of the refrigerant to the first output port and a closed state of the second output port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the closed state of both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vers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first output port and an expansion state of a refrigerant to a second output port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first output port and a fully open state of the refrigerant to the second output port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도 2의 (a)는 회전 밸브를, 도 2의 (b)는 기밀부재를, 그리고 도 2의 (c)는 밸브 플레이트를 각각 나타낸다.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otary valve, an airtight member, and a valve plate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lan view showing, Fig. 2 (a) shows a rotary valve, Fig. 2 (b) shows an airtight member, and Fig. 2 (c) shows a valve plate, respectively.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와 기밀부재가 서로 일체화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3의 (a)는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And, Figure 3 is a roa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valve and the airtight member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3 ( 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valve, the airtight member, and the valve plate are stacked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에 대한 저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팽창 리세스의 반경방향 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팽창 간극을 설명하는 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valve, the airtight member, and the valve plate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integrate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valve, the airtight member, and the valve plate in an example, FIG. 7 is an expansion gap formed according to the radial position of the expansion recess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 to explain

게다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에 있어서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완전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In addit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closed state of the output port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vers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output port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vers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expansion state of the refrigerant, and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fully open state of the refrigerant to the output port in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도 8 내지 도 10에 있어서, 각 도의 (a)는 평면도이고, 각 도의 (b)는 각 도의 (a)에 나타낸 B-B선 내지 D-D선에 대한 각각의 단면도이다.At this time, in FIGS. 8 to 10 , (a) of each figure is a plan view, and (b) of each figur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each of the lines B-B to D-D shown in (a) of each figure.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밸브바디의 하부 몸체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12의 (a)는 평면도이며, 도 12의 (b)는 도 12 (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밸브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Next, FIG. 1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the lower part of the valve body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road showing the body, Fig. 12 (a) is a plan view, Fig. 12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2 (a), and Fig. 13 is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change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a valve plate in another example of a valve.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 기밀부재,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에 대한 저면 분해사시도이다.And, Figure 1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valve, the airtight member, and the valve plate are stacked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the electronic expansion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valve, an airtight member, and a valve plate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directional valve, FIG. 16 is a rotary valve, airtight member, and It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plate.

게다가,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부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h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magnetic expansion and divers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 모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팽창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완전 개방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18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both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n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switching valve, it is a view showing the expansion state of the refrigerant to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closed state of the second output port, and FIG. 20 is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fully open state of the refrigerant to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closed state of the second output port.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 모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완전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And, Figure 21 is a view showing the closed state of both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the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switching valv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expansion state of the refrigerant to the second output port, and FIG. 23 is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completely open state of the refrigerant to the second output port.

이때, 도 18 내지 도 23에 있어서, 각 도의 (a)는 평면도이고, 각 도의 (b)는 각 도의 (a)에 나타낸 E-E선 내지 J-J선에 대한 각각의 단면도이다.At this time, in FIGS. 18 to 23, (a) of each figure is a plan view, and (b) of each figure is each sectional drawing along E-E line - J-J line shown in each figure (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in direct contact with”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expression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는 차량용 공조기의 구성을 단순화 하면서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냉매에 대한 기밀성 및 제품에 대한 가공성 및 생산성을 높여 제품의 생산단가를 낮추는 한편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integrate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precise control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nd, in particular, increases the airtightness of the refrigerant and the processa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product, thereby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and improving market competitiveness. What can be maximized is the basic characteristic of the technology.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기에 있어서 냉방을 위한 냉매의 순환 시 냉매가 경유하는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로서,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integrated valv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passes when circulating a refrigerant for cooling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ay be provided between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일예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냉매가 공급되는 입력 포트(101)와, 타측에 냉매가 배출되는 출력 포트(102)와, 상기 입력 포트(101)와 상기 출력 포트(102)를 연통시키는 유로(110)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바디(100)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 포트(101)와 상기 출력 포트(102) 사이의 상기 유로(110)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소정의 반경방향 폭(w)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팽창 리세스(210)와,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말단에 연통되되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반경방향 폭(w) 보다 넓은 반경방향 폭(W)을 갖는 유로구멍(220)이 형성되는 회전 밸브(200)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 밸브(200)에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되되 상기 밸브바디(100)의 유로(110) 내에 회전 불가하게 고정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공(310)이 형성되는 밸브 플레이트(300)와; 합성수지 또는 탄성 기밀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를 향하여 상기 회전 밸브(200)의 적어도 일면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과 상기 회전 밸브(200)의 상호간에 기밀성을 확보하는 기밀부재(400)와; 상기 회전 밸브(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block shape, as shown in FIGS. a valve body 100 having an output port 102 to be discharged, and a flow path 110 for communicating the input port 101 and the output port 102 therein;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rovided rotatab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flow path 110 between the input port 101 and the output port 102, and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radial width w. and an expansion recess 210 to be formed, and a channel hole 220 communicating with the distal end of the expansion recess 210 and having a radial width W wider than the radial width w of the expansion recess 210 . And the rotary valve 200 is formed; Valve plate ( 300) and; It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an elastic airtight material and is provided rotatably integrally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otary valve 200 toward the valve plate 300 , the through 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and the rotary valve 200 ) and the airtight member 400 to ensure mutual airtightnes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riving member 500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valve 200 .

즉,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일예는 기본적으로 밸브바디(100), 회전 밸브(200), 밸브 플레이트(300), 기밀부재(400), 그리고 구동부재(500)를 포함하고 있다.That is, an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valve body 100 , a rotary valve 200 , a valve plate 300 , an airtight member 400 , and a driving member 500 . are doing

우선, 밸브바디(100)는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있어서 기본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블록 형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육면체의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First, the valve body 100 is a configuration constituting a basic skeleton in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mposed of a block shape, preferably a substantially hexahedral block shape.

이때, 상기 밸브바디(100)의 외형에 제한은 없을 것이며, 육면체인 사각기둥을 포함하여, 다각기둥이나 원기둥 형상이어도 좋다.At this time, there will be no limitation on the external shape of the valve body 100, and may have a polygonal prism or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a hexahedral quadrangular prism.

이러한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도 1과 같이 일측, 즉 도면에 있어서 상측에는 냉매가 공급되는 입력 포트(10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밸브바디(100)의 타측, 즉 도면에 있어서 하측에는 냉매가 배출되는 출력 포트(102)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such a valve body 100, an input port 101 to which a refrigerant is supplied may be formed on one side as shown in FIG. An output port 10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may be formed.

이와 함께, 상기 밸브바디(100)의 내부에는 상기 입력 포트(101)와 상기 출력 포트(102)를 하나로 연통시키는 유로(110)가 형성되어 있어, 이 유로(110)를 통해 냉매가 상기 입력 포트(101)로부터 상기 출력 포트(102)로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At the same time, a flow path 110 for communicating the input port 101 and the output port 102 as one is formed inside the valve body 100 , and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flow path 110 into the input port. from 101 to the output port 102 .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냉방 구동 시 입력 포트(101)로 들어온 냉매가 출력 포트(102)로 배출되는 등이 가능할 것이다.Accordingly, for example, the refrigerant entering the input port 10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put port 102 during cooling opera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밸브바디(100)의 상측에 입력 포트(101)가 형성되고, 하측에 출력 포트(102)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여 이하 설명하지만, 밸브바디(100)의 배치 방향에 따라 각 포트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할 것이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nput port 10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valve body 100 and the output port 10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will be described below, but each por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valve body 100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location of the may be changed, but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은 밸브바디(100)의 유로(110) 중간에는 냉매의 통과 및 팽창 여부를 제어하는 회전 밸브(200)와 밸브 플레이트(300)가 마련될 것이다.In the middle of the flow path 110 of the valve body 100 as described above, a rotation valve 200 and a valve plate 300 for controlling the passage and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will be provided.

여기에서, 상술한 밸브바디(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밸브바디(100)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성형성이나 조립성 등을 고려하여 도 1과 같이 다수의 몸체로 분할하여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Here, when the above-described valve body 100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valve body 100 may be formed of a single body, bu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odies as shown in FIG. 1 in consideration of formability and assemblyability. will be able to be produced.

예를 들어, 상기 밸브바디(100)는 메인 몸체(120), 하부 몸체(130), 그리고 고정 몸체(140) 등으로 분할하여 제작된 후, 하나로 조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alve body 100 may be manufactured by dividing it into a main body 120 , a lower body 130 , and a fixed body 140 , and then assembled into one.

우선, 상기 메인 몸체(120)는 밸브바디(100)의 가장 중앙에 위치하여 상하로 유로(110)가 관통 형성된 구성으로, 이하에서 설명할 회전 밸브(200) 및 기밀부재(400)와 밸브 플레이트(300)가 이 메인 몸체(120)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First, the main body 12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alve body 100 and has a flow path 110 penetrating it up and down. 30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

이때, 상기 메인 몸체(120)의 내주면은 단턱 없이 균일한 내경으로 가공되어 가공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At this tim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is processed to have a uniform inner diameter without a step,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workability.

그리고, 상기 하부 몸체(130)에는 상술한 입력 포트(101)와 출력 포트(10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130)의 내부 중앙에 도 1과 같이 상술한 메인 몸체(12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input port 101 and output port 102 are formed in the lower body 130 , and the above-described main body 120 is dispos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lower body 130 as shown in FIG. 1 . it can be

또한, 도 1과 같이 고정 몸체(140)가 상기 하부 몸체(130)의 상측 개구에 기밀을 유지하여 조립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 the fixed body 140 may be assembled by maintaining airtightness in the upper opening of the lower body 130 .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메인 몸체(120), 하부 몸체(130), 그리고 고정 몸체(140)에 의해 상기 입력 포트(101)로부터 상기 출력 포트(102)에 이르는 유로(11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low path 110 from the input port 101 to the output port 102 by the main body 120 , the lower body 130 , and the fixed body 140 in the valve body 100 . ) can be formed.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04는 씰링으로써, 메인 몸체(120)와 하부 몸체(130)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고, 고정 몸체(140)와 하부 몸체(130)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In FIG. 1 , reference numeral 104 denotes a sealing,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main body 120 and the lower body 130 to prevent leakage of the refrigerant, and is located between the fixed body 140 and the lower body 130 to provide a refrigerant leakage can be prevented.

이때, 이후에 설명할 구동부재(500)가 상기 고정 몸체(140)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driving member 5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fixed body 140 .

다음으로, 회전 밸브(2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소정 두께를 가진 판재로 제작된 디스크를 가공한 것으로, 상기 입력 포트(101)와 상기 출력 포트(102) 사이의 상기 유로(110)를 가로 지르도록 상기 유로(110) 내에 배치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Next, as shown in FIGS. 2 to 6 , the rotary valve 200 is made by processing a disk made of a plate material having an approximately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between the input port 101 and the output port 102 . It is disposed in the flow path 110 so as to cross the flow path 110 and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밸브(200)는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메인 몸체(120)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otary valve 20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in the valve body 100 .

이때, 상기 회전 밸브(200)는 상기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메인 몸체(120)의 내주면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몸체(120)의 내경 보다 다소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상기 회전 밸브(200)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valve 200 is rotat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body 120 so as to smoothly rotate with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in the valve body 100 . A valve 200 is formed.

이러한 회전 밸브(20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 리세스(210) 및 유로구멍(220)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 in the rotary valve 200 , an expansion recess 210 and a flow hole 220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우선, 상기 팽창 리세스(210)는 소정의 반경방향 폭(w)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유로구멍(220)은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말단에 연통되되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반경방향 폭(w) 보다 넓은 반경방향 폭(W)을 가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First, the expansion recess 210 is formed in a shap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radial width w, and the flow path hole 220 is communicated with the distal end of the expansion recess 210 and the It has a radial width (W) wider than the radial width (w) of the expansion recess 210 is formed in a shap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때,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성형 위치는, 상기 팽창 리세스(210)와 상기 유로구멍(220)이 연통되도록 상기 유로구멍(220)의 반경방향 폭(W) 내에 위치하여도 좋고, 상기 유로구멍(220)의 반경방향 폭(W)을 벗어나 중앙측이나 외측에 위치하여도 좋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molding position of the expansion recess 210 may be located within the radial width W of the flow hole 220 so that the expansion recess 210 and the flow hole 220 communicate, It may be located outside the radial width W of the flow path hole 220 at the center or outside.

다만, 냉매의 팽창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팽창 리세스(210)의 바람직한 위치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하기로 하고, 우선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팽창 리세스(210)와 유로구멍(220)이 연통 형성된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a preferred position of the expansion recess 210 for effectively performing the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will be described later, and first, the expansion recess 210 is positioned radially outside the rotation valve 200 to form the expansion recess. An example in which the 210 and the flow hole 220 are formed in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그리고, 상기 회전 밸브(200)에 있어서 팽창 리세스(210)는 이후에 설명할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과 중첩되어 팽창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냉매를 팽창시키는 구성이다.In addition, in the rotary valve 200 , the expansion recess 210 overlaps the through 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n expansion gap to expand the refrigerant.

또한, 상기 회전 밸브(200)에 있어서 유로구멍(220)은 관통공(310)과 중첩되어 냉매의 팽창 없이 냉매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작용을 하게 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rotary valve 200 , the flow path hole 220 overlaps the through hole 310 to allow the refrigerant to pass through without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여기에서, 상기 회전 밸브(200)의 회전 방향은 도 2의 (a)에 있어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양방향으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어 정밀도를 고려하여 상기 회전 밸브(200)를 일방향, 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Her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valve 200 may be controlled in both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in FIG. For example, it would be desirable to control to rotate only counterclockwise.

만약, 상기 회전 밸브(200)를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도 2의 (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팽창 리세스(210)와 유로구멍(220)의 상호 위치에 대해서는, 팽창 리세스(210)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측에 유로구멍(220)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rotation valve 200 is controlled to rotate only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 It is preferable to position the flow path hole 220 on the clockwise side with respect to the recess 210 .

즉, 회전 밸브(200)의 반시계 방향 회전 시, 팽창 리세스(210)가 유로구멍(220) 보다 먼저 관통공(310)과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냉매의 팽창이 선행된 후, 상기 회전 밸브(200)가 더 회전하면 유로구멍(220)이 관통공(310)과 중첩되도록 하여 냉매의 완전 개방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That is, when the rotation valve 2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expansion recess 210 overlaps the through hole 310 before the flow hole 220, so that the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precedes the rotation valve ( When the 200 is further rotated, it would be good to make the flow hole 220 overlap the through hole 310 so that the refrigerant can be completely opened.

그리고, 도 1과 같이 상기 회전 밸브(200)에는 밸브 플레이트(300)가 맞닿아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되며, 특히, 밸브 플레이트(300)가 회전 밸브(200)의 하측에 맞닿아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될 것이다.And, as shown in FIG. 1 , the valve plate 300 is stacked so that the valve plate 3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tary valve 200 , and in particular, the valve plate 300 is stacked so that the valve plate 3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valve 200 . will be.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는 밸브바디(100)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반면,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는 상기 밸브바디(100)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rotary valve 200 is provided rotatab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valve body 100 , while the valve plate 30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valve body 100 to be non-rotatable.

이와 같은, 밸브 플레이트(300)는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밸브바디(100) 내에서 회전이 불가하도록 하기 위해 외주 형상을 다각형 등으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e valve plate 300 is made of a plate material, and in order to prevent rotation in the valve body 100, the outer periphery shape may be manufactured in a polygonal shape or the like.

하지만, 이보다는 성형성이나 조립성을 고려하여 밸브 플레이트(300)를 디스크 형태로 제작한 후, 외주연에 일부가 잘려나간 절입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이와 함께, 밸브바디(100)에는 이 절입부에 대응하는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하여, 밸브 플레이트(300)가 밸브바디(100) 내에 회전 불가하게 조립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However, rather than this, in consideration of formability and assemblyability, the valve plate 30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disk, and then a cut-out part (not shown) in which a part is cut off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with this, the valve body 100 It will be preferable to form a protrusio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is cut-out, so that the valve plate 300 is non-rotatably assembled in the valve body 100 .

이에 따라,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는 상기 밸브바디(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의 외주면과 상기 메인 몸체(120)의 내주면 사이에서는 냉매의 누설이 발생치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Accordingly, rotation of the valve plate 30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limited in the state assembled to the valve body 100 , an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plate 3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 the refrigerant Confidentiality should be maintained to prevent leakage of

이때,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에는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방향 폭을 가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대략 중심이 잘려나간 부채꼴 형상의 관통공(310)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valve plate 300 has a predetermined radial width and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

특히, 상기 관통공(310)의 형상은 상술한 회전 밸브(200)의 유로구멍(220)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상기 관통공(310)의 단면적은 상기 유로구멍(220)과 유사하거나 약간 넓은 것이 좋을 것이다.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31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flow hole 220 of the rotary valve 200 described above, bu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rough hole 3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low hole 220 . A similar or slightly wider would be nice.

이때, 상기 유로구멍(220) 보다 상기 관통공(310)의 단면적을 약간 넓게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반경방향 폭은 유사하게 유지하는 반면, 원주방향 폭은 상기 유로구멍(220) 보다 상기 관통공(310)이 다소 넓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when it is desired to form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rough hole 310 slightly wider than that of the passage hole 220 , the radial width is maintained similarly, while the circumferential width is larger than that of the passage hole 220 . 310) is preferably formed rather wide.

앞서 설명한 회전 밸브(200)에 있어서 팽창 리세스(210)가 형성되는 반경방향 위치와 상기 관통공(310)의 원주방향 폭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제어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rotary valve 200 described above, the radial position at which the expansion recess 210 is formed and the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through hole 310 affect the control precision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effect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회전 밸브(200)는 밸브바디(100) 내에 고정된 밸브 플레이트(300)와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팽창밸브의 개폐 제어는 물론 냉매의 팽창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otary valve 200 can control the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as well as the opening/closing control of the expans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relative rotation movement with the valve plate 300 fixed in the valve body 100. there will be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상술한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가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과 중첩되는 경우, 팽창 간극을 형성하여 냉매의 팽창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expansion recess 210 of the above-described rotary valve 200 overlaps the through 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as shown in FIG. 9 , an expansion gap is formed to expand the refrigerant. will be

그리고, 상기 회전 밸브(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도 10과 같이 유로구멍(220)이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과 중첩되는 경우에는, 냉매의 유로가 넓게 확보되어 냉매의 팽창 없이 완전 개방 상태가 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rotary valve 200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flow path hole 220 overlaps the through 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as shown in FIG. 10 , the refrigerant flow path is secured widely It will be in a completely open state without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또한, 도 8과 같이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나 유로구멍(220) 중 어느 것도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에 중첩되지 않는 경우, 팽창밸브는 폐쇄 상태가 되어 냉매의 흐름이 차단될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 when neither the expansion recess 210 nor the flow hole 220 of the rotary valve 200 overlaps the through 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the expansion valve is in a closed state. This will block the flow of refrigerant.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폐쇄 상태에서 냉매의 누설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밸브(200)의 적어도 일면에는 기밀부재(400)가 추가로 마련되어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irtight member 400 is additionally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otary valve 200 in order to more reliably prevent leakage of the refrigerant in such a closed state.

상기 기밀부재(400)는 합성수지나 테프론,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기밀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를 향하여 상기 회전 밸브(20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The airtight member 400 is made of an elastic airtight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Teflon, rubber, or silicone, and is rotatably provided to the rotary valve 200 toward the valve plate 300 .

이때, 상기 기밀부재(400)는 회전 밸브(200)와는 별도로 제작한 후 접착 등을 통해 일체화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하여 상기 기밀부재(400)와 상기 회전 밸브(200)가 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airtight member 40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rotary valve 200 and then integrated through bonding, or the airtight member 400 and the rotary valve 200 are integrated through insert injection or the like. It may also be molded into

특히, 상기 기밀부재(400)는 오직 회전 밸브(200)가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을 완전히 폐쇄시키는 경우에만 기능하기 때문에, 상술한 회전 밸브(200)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상기 기밀부재(400)가 마련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airtight member 400 functions only when the rotary valve 200 completely closes the through 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 the The airtight member 400 will not need to be provided.

즉, 상기 회전 밸브(200)에 있어서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과 미세한 간극을 형성하여 냉매의 팽창을 실시하게 되는 팽창 리세스(210)의 안쪽에 위치하는 밸브체(230)에는 상기 기밀부재(400)가 마련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That is, in the rotary valve 200 , the valve body 230 is located inside the expansion recess 210 in which the refrigerant is expanded by forming a fine gap with the through 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 There will be no need to provide the airtight member 400 .

하지만,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을 완전히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 밸브(200)에 있어서 밸브체(230)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는 상기 기밀부재(40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을 상기 기밀부재(400)가 폐쇄하여 높은 기밀성을 보유하게 되는 것이다.However, in order to completely close the through 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the airtight member 400 may be formed in all parts of the rotary valve 200 except for the valve body 230, The airtight member 400 closes the through 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to maintain high airtightness.

이를 위해, 도 3 내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밸브(200)에 있어서 밸브 플레이트(300)와 접촉하는 하측면에 기밀부재(4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냉매의 팽창을 실시하는 밸브체(230)를 제외한 부분에 상기 기밀부재(400)가 마련되는 것이다.To this end, as illustrated in FIGS. 3 to 6 , the airtight member 40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valve 200 in contact with the valve plate 300 , and the refrigerant expands. The airtight member 400 is provid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valve body 230 .

상기 기밀부재(400)의 두께에 제한을 없을 것이며, 도면에는 상기 회전 밸브(200)의 절반 두께에 상응하는 기밀부재(400)를 예시하였다.There will be no limit to the thickness of the airtight member 400 , the figure illustrates the airtight member 400 corresponding to a half thickness of the rotary valve 200 .

이에 따라, 인서트 사출하지 않고, 상기 회전 밸브(200)에 상기 기밀부재(400)를 접착하는 경우에는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밸브(200)는 미리 상기 기밀부재(4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음각 성형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bonding the airtight member 400 to the rotary valve 200 without insert injection, as illustrated in FIG. 6 , the rotary valve 200 is in advance in the shape of the air tight member 400 . Correspondingly, it will need to be engraved.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회전 밸브(200)가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을 폐쇄시킬 때, 기밀부재(400)가 상기 관통공(310)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냉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otary valve 200 closes the through-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 the airtight member 400 is position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310 , so that the refrigerant leakag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마지막으로, 구동부재(500)는 상술한 회전 밸브(20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Finally, the driving member 500 may include a motor as a driving source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above-described rotary valve 200 .

우선, 상기 구동부재(5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밸브(200)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샤프트(510)와, 전원 제어에 따라 회전각도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샤프트(5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텝모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 the driving member 50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valve 200 and integrally rotates with the shaft 510 and the rotation angl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It may include a step motor 520 that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510 .

그리고, 상기 스텝모터(520)의 출력축으로 출력되는 회전력은 상기 샤프트(51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직접적으로 또는 이하 다른 예에서 설명하겠지만 도 11과 같이 간접적으로 상기 샤프트(510)에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force output to the output shaft of the step motor 520 is transmitted to the shaft 510 directly as shown in FIG. 1 or indirectly as shown in FIG. 11 as described in another example below to rotate the shaft 510 . it could be

여기에서, 스텝모터(520)의 회전력이 샤프트(510)에 직접 전달되는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스텝모터(520)의 출력축이 샤프트(5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Here,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p motor 52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haft 510 , the output shaft of the step motor 5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aft 510 as shown in FIG. 1 .

이러한 경우, 상기 스텝모터(520)에 대한 출력축의 회전속도는 상기 샤프트(510)에 별도의 감속 없이 직접 전달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output shaft with respect to the step motor 520 will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haft 510 without a separate deceleration.

그리고, 상기 샤프트(510)는 그 일부가 상술한 밸브바디(100)의 유로(110)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510)의 하부에는 아래로부터 밸브 플레이트(300), 기밀부재(400), 그리고 회전 밸브(2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위치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haft 510 is disposed so that a part thereof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110 of the valve body 100 described abov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haft 510 includes the valve plate 300 and the airtight member 400 from below. , and the rotary valve 200 will be sequentially stacked.

그리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는 상기 샤프트(51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회전 중심만 상기 샤프트(510)에 지지될 뿐인 것으로, 상기 샤프트(510)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에 대하여 아이들 상태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valve plate 300 is not affect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510 , and only the center of rotation is supported by the shaft 510 , and the shaft 510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valve plate 300 . placed as children.

하지만, 상기 회전 밸브(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51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밸브(200)의 중심에 형성된 결합공(201)에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510)에는 상술한 결합공(201)의 돌출부에 대응하여 절입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공(201)의 돌출부와 샤프트(510)의 절입부가 서로 맞물려 있다.However, the rotary valve 200 has a protrusion portion as shown in FIGS. 2 to 6 in the coupling hole 20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tary valve 200 so as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shaft 510 as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to protrude, and a cut-out portion (not shown) is formed in the shaft 510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of the coupling hole 201 described above. are interlocked

이에 따라, 샤프트(510)와 회전 밸브(200)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샤프트(51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밸브(20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since the shaft 510 and the rotation valve 200 can rotate integrally,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510 to the rotation valve 200 .

지금까지는 밸브 플레이트(300)의 위에 회전 밸브(200)가 적층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미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회전 밸브(200) 위에 밸브 플레이트(300)가 적층되는 구조이어도 좋고, 2개의 밸브 플레이트(300) 사이에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구조이어도 양호할 것이다.So far, the structure in which the rotary valve 200 is stacked on the valve plate 300 has been described, but although not shown, a structure in which the valve plate 300 is stacked on the rotary valve 200 may be used as needed, and two valve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ry valve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plates 300 may be preferred.

이러한 경우, 기밀부재(400)는 상기 회전 밸브(200)의 상측 또는 상하 양측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며, 2개의 밸브 플레이트(300) 사이에 회전 밸브(200)를 위치시키는 구조의 경우 냉매의 누설을 예방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In this case, the airtight member 4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r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otary valve 200 , and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ry valve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valve plates 300 , leakage of refrigerant would be most effective in preventing

추가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몸체(130)에 있어서 출력 포트(102)와 연통되는 개구 둘레를 따라 링 형상의 메인 씰링(160)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1 , it may be desirable to add a ring-shaped main sealing 160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output port 102 in the lower body 130 .

이러한 메인 씰링(160)은 탄성을 지닌 기밀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밸브 플레이트(300)와 하부 몸체(130) 사이에 마련됨으로써, 입력 포트(101)와 출력 포트(102) 서로를 기밀성 높게 구분 짓게 된다.This main sealing 160 is made of an airtight material with elasticity, and is provided between the valve plate 300 and the lower body 130, so that the input port 101 and the output port 102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ith high airtightness. do.

그 결과, 상술한 회전 밸브(200)의 제어에 의해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입력 포트(101)로부터 출력 포트(102)로의 냉매를 차단할 때,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refrigerant from the input port 101 to the output port 102 in the valve body 100 is blocked by the control of the above-described rotary valve 20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lock the refrigerant from leaking.

지금까지는 단순히 팽창 리세스(210)와 유로구멍(220)을 형성하여 냉매의 팽창 상태나 냉매의 팽창 없이 냉매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위치를 적절하게 한정하는 것으로 냉매의 팽창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Until now, the operation of simply forming the expansion recess 210 and the flow path hole 220 to pass the coolant without the expansion of the coolant or the expansion of the coolant has been describ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ansion recess 210 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pansion efficiency of the refrigerant by appropriately defining the position.

여기에서 팽창 효율이란, 교축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교축이란 유체 통로의 일부에 밸브, 콕 또는 가느다란 구멍이 뚫린 판 등을 부착하여 흐름의 단면적을 좁히면, 이미 존재하는 압력차에 의해 유속이 강제적으로 증가되고, 이로 인해 분자간 거리가 멀어져 압력이 강하하는데 이 현상을 말한다.Here, expansion efficiency means the degree of throttling, and throttling means that when a valve, cock, or a plate with a thin hole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fluid passage to narrow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the flow rate is reduc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that already exists. This phenomenon is called a forced increase, which causes the intermolecular distance to increase and the pressure to drop.

즉, 적절한 크기의 팽창 간극을 형성하여 교축 정도가 높을수록 팽창 효율이 양호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throttling by forming an expansion gap of an appropriate size, the better the expansion efficiency.

예를 들어, 도 7의 (a)와 같이 상기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중간 정도에 형성되어 유로구멍(220)과 연통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혹은 도 7의 (b)와 같이 상기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중심측에 형성되어 유로구멍(220)과 연통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7의 (c)와 같이 상기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유로구멍(220)과 연통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7 , the expansion recess 210 may be formed in the radial middle of the rotation valve 200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hole 220 , or FIG. As shown in (b), the expansion recess 210 may be formed on the radially central side of the rotary valve 200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hole 220, or as shown in FIG. 7(c), the expansion recess 210 The set 210 may be formed o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rotation valve 200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hole 220 .

우선,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중간 정도에 형성되어 유로구멍(220)과 연통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원주방향 폭에 무관하게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반경방향 폭(w)의 크기에 따라 밸브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관통공(310)과 연결되는 단면적이 결정되며, 이러한 단면적은 냉매에 대한 팽창 효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7 , when the expansion recess 210 is formed in the radial middle of the rotary valve 200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hole 220 , the expansion recess Regardless of the circumferential width of 210 , the cross-sectional area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310 formed in the valve plate 3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adial width w of the expansion recess 210 , and this cross-sectional area will affect the expansion efficiency of the refrigerant.

이 단면적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팽창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끝단이 관통공(310)과 미세하게 중첩되어 팽창 간극을 형성하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 밸브(200)의 회전각도 제어에 보다 정밀한 제어가 요구될 수밖에 없다.In order to properly maintain this cross-sectional area to increase the expansion efficiency, the end of the expansion recess 210 needs to b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expansion recess 210 is minutely overlapped with the through hole 310 to form an expansion gap, so that the rotary valve 200 . A more precise control is inevitably required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게다가,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중심측에 형성되어 유로구멍(220)과 연통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 밸브(200)의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필요는 없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7 , when the expansion recess 210 is formed on the radially central side of the rotary valve 200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hole 220 , the rotary valve It is not necessary to precisely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200).

하지만,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와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이 중첩되는 원주방향 폭이 현저하게 작기 때문에, 냉매에 대한 팽창 간극을 길게 형성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circumferential width in which the expansion recess 210 of the rotary valve 200 and the through 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overlap is remarkably small, there is no limitation in forming a long expansion gap for the refrigerant. there will be

반면에,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외주측에 형성되어 유로구멍(220)과 연통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의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필요도 없고,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와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이 중첩되는 원주방향 폭을 비교적 길게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팽창 간극을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c) of FIG. 7 , when the expansion recess 210 is formed on the radially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rotary valve 200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hole 220 , As such, there is no need to precisely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valve 200 , and the circumferential width where the expansion recess 210 of the rotation valve 200 and the through 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overlap By being able to ensure relatively long, it also becomes possible to form an expansion|swelling gap long as a result.

그 결과,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창 리세스(210)는, 상기 관통공(31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중첩되어 팽창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expansion recess 210 overlap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through hole 310 to form an expansion gap.

다음으로, 상술한 회전 밸브(200)와 기밀부재(400)의 결합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it will be described for improving the coupling properties of the above-described rotary valve 200 and the airtight member 400 .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400)와 상기 회전 밸브(200)에는 상호간의 접촉부위에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다각형상 또는 원호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밸브(200)의 회전 시 상기 기밀부재(400)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tight member 400 and the rotary valve 200 have a polygonal or arc shape that engages and engages with each other at a mutual contact portion, and the airtight member 400 and the rotary valve 200 rotate when the rotary valve 200 rotates. It would be desirable to allow the member 400 to rotate integrally.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의 중앙 인근에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으로 볼록한 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밀부재(400)의 중앙 인근에는 사각기둥 형상의 상기 철부에 대응하도록 오목한 요부를 형성하여, 이러한 요부와 철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and 6 , a convex convex por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columnar shape near the center of the rotary valve 200 , and a square columnar convex portion is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airtight member 400 . It is possible to form a concave recess to correspond to the convex part, so that the recess and the convex par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와 더불어, 상기 기밀부재(400)의 중앙 인근에는 대략 후크 모양의 원호형상으로 볼록한 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밸브(200)의 중앙 인근에는 상기 철부에 대응하도록 오목한 요부를 형성하여, 이러한 요부와 철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airtight member 400, a convex convex por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ook-shaped arc shape, and a concave concave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vex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rotary valve 200.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iron parts mesh with each other.

그 결과, 회전 밸브(200)와 기밀부재(4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 회전 밸브(200)의 회전 시 접착 또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성형된 상기 기밀부재(400)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otary valve 200 and the airtight member 400, and the airtight member 400 molded by adhesion or insert injection when the rotary valve 200 rotates is separate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밸브(200)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샤프트(510)와, 전원 제어에 따라 회전각도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샤프트(5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텝모터(520)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는 중앙에 상기 샤프트(510)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홈(301)이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mber 50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valve 200 as described above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shaft 510 and the rotation angle control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It is possible and includes a step motor 520 that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510;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groove 301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haft 51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alve plate 300 .

즉, 도 5와 같이 밸브 플레이트(300)의 중앙에 지지홈(301)을 형성하고, 도 1과 같이 상기 샤프트(510)의 하단을 밸브 플레이트(300)의 지지홈(30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샤프트(510)에 대한 편심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upport groove 30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alve plate 300 as shown in FIG. 5 , and the support groove 301 of the valve plate 300 is rot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510 as shown in FIG. 1 . By supporting it,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eccentricity with respect to the shaft 510 .

이뿐 아니라, 상기 샤프트(510)의 하단은 밸브 플레이트(300)를 아래 쪽으로 밀게 되어,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 저면이 그 하측에 위치한 메인 씰링(160)을 누르게 되어, 밸브 플레이트(300)와 메인 씰링(160) 사이에 보다 높은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o this, the lower end of the shaft 510 pushes the valve plate 300 downwar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valve plate 300 presses the main sealing 160 located at the lower side thereof, so that the valve plate 300 and the main It becomes possible to ensure a higher airtightness between the sealings 160 .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20 .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는, 밸브바디(100)의 출력 포트(102)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제1 출력 포트(102a)) 및 제2 출력 포트(102b)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의 관통공(310)은 상기 제1 출력 포트(102a)) 및 상기 제2 출력 포트(102b)에 각각 대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제1 관통공(311) 및 제2 관통공(312)을 포함하여; 1개의 입력 포트(101)로부터 2개의 출력 포트(102a)(102b)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하여 냉매를 공급 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switching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port 102 of the valve body 100 includes a first output port (102a) and a second output port (102b)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The through-hole 310 of the valve plate 300 corresponds to the first output port 102a) and the second output port 102b, respectively, and a first through-hole 311 and a second through-hole 311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espectively. 2 including through-holes 31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nt can be supplied by switching from one input port 101 to any one of the two output ports 102a and 102b.

즉,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다른 예에 있어서는 냉방과 난방 시 서로 다른 경로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밸브바디(100)에 2개의 출력 포트(102a)(102b)가 형성되고, 밸브 플레이트(300)에 2개의 관통공(311)(312)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output ports 102a and 102b are formed in the valve body 100 to circulate the refrigerant through different paths during cooling and heating. and two through-holes 311 and 312 are formed in the valve plate 300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다른 예는 차량용, 특히 전기 차량용 공조기의 히트펌프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냉방을 위한 냉매의 정방향 순환 및 난방을 위한 냉매의 역방향 순환 둘 모두에 대하여 냉매가 경유하는 하나의 전자식 밸브로서,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pplied to a heat pump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particularly an electric vehicle, and both the forward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for cooling and the revers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for heating As one electromagnetic valv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일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one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우선,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기 밸브바디(100)의 하측에는 좌우 양면에 냉매가 배출되는 제1 출력 포트(102a)) 및 제2 출력 포트(102b)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11 and 12 , a first output port 102a ) and a second output port 102b through which refrigerant is discharged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valve body 100 to face each other.

이와 함께, 상기 밸브바디(100)의 내부에는 상기 입력 포트(101), 상기 제1 출력 포트(102a)), 그리고 상기 제2 출력 포트(102b)를 하나로 연통시키는 유로(110)가 형성되어 있어, 이 유로(110)를 통해 냉매가 상기 입력 포트(101)로부터 상기 제1 출력 포트(102a)) 또는 상기 제2 출력 포트(102b)로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At the same time, the input port 101, the first output port (102a)), and the flow path 110 for communicating the second output port (102b) into one is formed in the valve body 100, , the refrigerant may pass from the input port 101 to the first output port 102a) or the second output port 102b through this flow path 110 .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냉방 시에는 입력 포트(101)로 들어온 냉매가 제1 출력 포트(102a))로 배출될 것이고, 난방 시에는 입력 포트(101)로 들어온 냉매가 제2 출력 포트(102b)로 배출되는 등이 가능할 것이다.Accordingly, for example, when cooling, the refrigerant entering the input port 101 will be discharged to the first output port 102a), and during heating, the refrigerant entering the input port 101 will be discharged to the second output port 102b. ) may be emitted.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밸브바디(100)의 상측에 입력 포트(101)가 형성되고, 하측에 제1 출력 포트(102a)) 및 제2 출력 포트(102b)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여 이하 설명하지만, 밸브바디(100)의 배치 방향에 따라 각 포트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할 것이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input port 10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valve body 100, and the first output port (102a)) and the second output port (102b)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The position of each por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ody 100 , and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상기 하부 몸체(130)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입력 포트(101)와 제1 출력 포트(102a)) 및 제2 출력 포트(102b)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130)의 내부 중앙에 도 11과 같이 상술한 메인 몸체(12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 the lower body 130 is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input port 101 and the first output port 102a) and the second output port 102b, and the lower body 130 ) in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body 12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1 may be disposed.

이때, 도 12와 같이 상기 제1 출력 포트(102a))와 상기 제2 출력 포트(102b)는 거의 대등한 높이에 있어서 도면상 좌우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입력 포트(101)는 이러한 제1 출력 포트(102a)) 및 제2 출력 포트(102b)와는 직각을 이루되 높이 차이를 두고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2 , the first output port 102a) and the second output port 102b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in the drawing at an almost equal height, and the input port 101 is The first output port (102a)) and the second output port (102b) and the doedoe forming a right angle may be formed with a height difference.

다만, 도 1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력 포트(101)가 제2 출력 포트(102b)와 동일한 방향(도면상 좌측)으로 다만 높이 차이를 두고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실제로는 도 12와 같이 입력 포트(101)가 제1 출력 포트(102a) 및 제2 출력 포트(102b) 둘 모두에 대하여 각각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밸브에 냉매의 관로를 연결할 때 오조립을 방지하고, 히트펌프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 11 , the input port 101 is exemplified in the same direction (left in the drawing) as the second output port 102b with a height difference, but in reality, as shown in FIG. 12 , the input port 101 It is preferable that 101 is formed in a direction forming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both the first output port 102a and the second output port 102b, respectively, which is wrong when connecting the refrigerant pipe to the expans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prevent assembly and play a role in increasing the design freedom for the heat pump.

다음으로, 회전 밸브(200)는 상기 입력 포트(101)와 상기 제1 출력 포트(102a) 및 상기 제2 출력 포트(102b) 사이의 상기 유로(110)를 가로 지르도록 상기 유로(110) 내에 배치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Next, the rotary valve 200 is disposed in the flow path 110 to cross the flow path 110 between the input port 101 and the first output port 102a and the second output port 102b. arranged to b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때, 상기 회전 밸브(200)에 있어서 팽창 리세스(210)는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 또는 제2 관통공(312)과 중첩되어 팽창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냉매를 팽창시키며, 유로구멍(220)은 제1 관통공(311) 또는 제2 관통공(312)과 중첩되어 냉매의 팽창 없이 냉매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rotary valve 200, the expansion recess 210 overlaps the first through hole 311 or the second through 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to form an expansion gap to expand the refrigerant. , the flow hole 220 overlaps the first through hole 311 or the second through hole 312 to allow the refrigerant to pass through without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그리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1 관통공(311) 및 제2 관통공(312)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180도의 위상각 차이를 두고 서로 대칭되도록 제1 관통공(311) 및 제2 관통공(312)이 형성된다.Further, as shown in FIG. 13 , a first through hole 311 and a second through hole 312 are formed in the valve plate 300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referably a phase angle difference of about 180 degrees. The first through hole 3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2 are forme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여기에서, 상기 제1 관통공(311)은 도 11과 같이 상기 밸브바디(100)의 하부 몸체(130)에 형성된 제1 출력 포트(102a)에 대응하는 것이며, 상기 제2 관통공(312)은 밸브바디(100)의 하부 몸체(130)에 형성된 제2 출력 포트(102b)에 대응하는 것이다.Here, the first through hole 311 corresponds to the first output port 102a formed in the lower body 130 of the valve body 100 as shown in FIG. 11 ,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2 . i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output port (102b) formed in the lower body (130) of the valve body (100).

그리고, 상기 제1 관통공(311) 및 상기 제2 관통공(312)은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 및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through hole 3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2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cross-sectional area as shown in FIGS. 13 to 16 .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회전 밸브(200)는 밸브바디(100) 내에 고정된 밸브 플레이트(300)와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팽창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냉매의 팽창 여부 제어는 물론 냉매의 유로 절환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otary valve 20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pansion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relative rotation motion with the valve plate 300 fixed in the valve body 100 to control whether the refrigerant is expanded or not. The flow path switching of the refrigerant can also be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바디(100)의 상측에 추가적으로 커버(150)가 마련된다.In addition, 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 a cover 150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valve body 100 .

상기 커버(150)는 상술한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하부 몸체(130)의 상부를 감싸 상측에 조립되는 것으로, 특히 구동부재(500)가 이 커버(150) 상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The cover 150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30 in the above-described valve body 100 and is assembled on the upper side, and in particular, the driving member 500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150 .

이러한 커버(150)는 복수의 체결수단(151)에 의해 하부 몸체(130)의 상단을 감싸도록 조립될 수 있을 것이다.The cover 150 may be assembled to surrou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dy 130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151 .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다른 예에 있어서는 스텝모터(520)의 회전력이 상기 샤프트(510)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며, 도 11과 같이 상기 스텝모터(520)의 출력축과 상기 샤프트(510)의 사이에 예를 들어 감속기어(530)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In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p motor 520 is indirectly transmitted to the shaft 510, and as shown in FIG. 11 , the output shaft of the step motor 520 and the shaft Between the 510 , for example, a reduction gear 530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이와 같이 감속기어(530)가 적용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속기어(530)는 별도의 회전축을 가지며 외경이 큰 대경부 및 외경이 작은 소경부가 형성된 2단 기어이다.When the reduction gear 530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1 , the reduction gear 530 is a second gear having a separate rotation shaft and formed with a large-diameter portion having a large outer diameter and a small-diameter portion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이러한 감속기어(5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은 커버(150)나 고정 몸체(140) 등의 주변 구성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며, 도 11에는 감속기어(530)의 회전축이 커버(150)에 지지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다.The rotation shaft rotatably supporting the reduction gear 530 may be provided in a peripheral configuration such as the cover 150 or the fixed body 140 , and in FIG. 11 , the rotation shaft of the reduction gear 530 is the cover 150 . An example supported by is shown.

이때, 상기 감속기어(530)에 있어서 대경부는 상기 스텝모터(520)의 출력축에 고정된 출력축 기어(521)와 치합하게 되며, 상기 감속기어(530)의 소경부는 상기 샤프트(510)에 고정된 샤프트 기어(511)와 치합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reduction gear 530 , the large diameter portion meshes with the output shaft gear 521 fix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step motor 520 ,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reduction gear 530 is fixed to the shaft 510 . It meshes with the shaft gear 511 .

이에 따라, 상기 스텝모터(520)의 회전력은 상기 감속기어(530)에서 감속된 후, 샤프트(510)에 전달될 수 있으며, 높은 토크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ly, aft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p motor 520 is decelerated by the reduction gear 530 ,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haft 510 , and it is possible to exert a high torque.

이와 더불어, 상기 샤프트(510)의 중간에는 도 11과 같이 상기 회전 밸브(200)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 상호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부시(6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bush 600 for increasing adhesion between the rotary valve 200 and the valve plate 300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shaft 510 as shown in FIG. 11 .

상기 부시(600)는 상기 샤프트(510)의 중간에 마련되어 상술한 회전 밸브(200)가 밸브 플레이트(300)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The bush 600 may b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shaft 510 so that the above-described rotary valve 200 applies a downward force toward the valve plate 300 .

이를 위해, 상기 부시(600)는 상기 샤프트(510)에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To this end, the bush 600 may be positionally fixed to the shaft 510 by a separate fastening means.

하지만, 이 보다 상기 부시(600)는 도 17과 같이 중앙에 상기 샤프트(510)가 관통하는 보스(610)와, 상기 보스(61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부채꼴 형상 날개(6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바디(100)는 다수의 몸체로 분할 형성되되, 분할된 몸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부시(600)의 날개(620) 테두리를 하향 지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However, the bush 600 is made of a boss 610 through which the shaft 510 penetrates in the center, as shown in FIG. 17 , and a plurality of fan-shaped blades 620 radially extending from the boss 610 . , and the valve body 1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odies, and it is most preferable that any one of the divided bodies downwardly support the rim of the wing 620 of the bush 600 .

즉, 상기 부시(600)의 날개(620) 테두리가 도 11과 같이 상술한 메인 몸체(120) 내주면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고정 몸체(140)에는 상기 부시(600)의 날개(620)를 하향 지지하는 단턱부(141)를 돌출 형성하게 된다.That is, the rim of the wing 620 of the bush 600 is positioned insid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as shown in FIG. 11 , and in the valve body 100 , the fixed body 140 has the bush 600 ) to protrude the stepped portion 141 for downwardly supporting the wing 620 .

이에 따라, 상기 고정 몸체(140)를 하부 몸체(130) 상에 올려 놓고, 나사 체결되는 체결링(106)으로 체결함에 따라 상기 고정 몸체(140)는 하향 조립되며, 그 결과, 상기 고정 몸체(140)의 단턱부(141)가 상기 부시(600)의 날개(620) 테두리를 아래쪽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xing body 140 is placed on the lower body 130 and fastened with a fastening ring 106 that is screwed, so that the fixing body 140 is assembled downward, and as a result, the fixing body ( 140) is to support the edge of the wing 620 of the bush 600 downward.

이러한 구성에 따라, 회전 밸브(200)와 밸브 플레이트(300) 상호간의 밀착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음으로써, 냉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rotary valve 200 and the valve plate 300 ,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leakage of the refrigera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다른 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예를 들어, 차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차량의 공조장치가 냉방 시에는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입력 포트(101)로 냉매가 유입되며, 제1 출력 포트(102a)를 통해 냉매가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when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more preferably an electric vehicle, is cooled,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input port 101 of the valve body 100 and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put port 102a. will be able

그리고, 난방 시에는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입력 포트(101)로 유입된 냉매는 제2 출력 포트(102b)를 통해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And, during heating,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input port 101 in the valve body 10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put port 102b.

이때, 전기 차량의 공조 제어기는 스텝모터(520)에 적절한 전원 또는 전기적 신호를 보내 상기 스텝모터(520)의 출력축을 소망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텝모터(520)의 출력축은 회전 밸브(200)를 밸브 플레이트(300) 상에서 회전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of the electric vehicle sends an appropriate power or electrical signal to the step motor 520 to rotate the output shaft of the step motor 520 at a desired angle, and accordingly, the output shaft of the step motor 520 is The rotation valve 200 is rotated on the valve plate 300 .

이러한 작용을 회전 밸브(2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se ac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ividing them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ry valve 200 as follows.

우선, 구동부재(500)의 스텝모터(520)에 의해 회전 밸브(200)가 회전하여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 및 유로구멍(220) 둘 모두는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 및 제2 관통공(312) 어느 것과도 중첩되지 않는 폐쇄 상태가 된다.First, when the rotary valve 200 is rotated by the step motor 520 of the driving member 500 and the rotary valve 20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18, the expansion recess of the rotary valve 200 ( Both the 210 and the flow hole 220 are in a closed state that does not overlap with any of the first through hole 3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의 입력 포트(101)로 공급되는 냉매는 모두 차단되어 제1 출력 포트(102a) 및 제2 출력 포트(102b) 중 어디로도 배출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all of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input port 101 of the valve body 100 is blocked and is not discharged to any of the first output port 102a and the second output port 102b.

특히,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 및 제2 관통공(312)은 회전 밸브(200)에 마련된 기밀부재(400)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폐쇄된다.In particular, the first through-hole 311 and the second through-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are more reliably closed by the airtight member 400 provided in the rotary valve 200 .

하지만, 구동부재(500)의 스텝모터(520)에 의해 회전 밸브(200)가 대략 60도 가량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만이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과 반경방향 외측에서 미세한 팽창 간극을 형성하면서 중첩된다.However, when the rotation valve 200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pproximately 60 degrees by the step motor 520 of the driving member 500 and the rotation valve 20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19, the rotation Only the expansion recess 210 of the valve 200 overlaps with the first through hole 311 of the valve plate 300 while forming a minute expansion gap at the radially outer side.

이때,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2 관통공(312)은 회전 밸브(200)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through 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by the rotation valve 200 .

특히,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2 관통공(312)은 회전 밸브(200)에 마련된 기밀부재(400)에 의해 확실하게 폐쇄되며, 제1 관통공(311)은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 안쪽에 형성된 밸브체(230)의 외주면인 팽창 리세스(210)와의 사이에서 팽창 간극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second through 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is securely closed by the airtight member 400 provided in the rotary valve 200 , and the first through hole 311 is the rotary valve 200 . An expansion gap is formed between the expansion recess 210 which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body 230 formed inside the expansion recess 210 .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의 입력 포트(101)로 공급되는 냉매는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와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 사이에 형성된 팽창 간극에서 팽창된 후, 제1 출력 포트(102a)로 배출됨으로써 공조기의 냉방이 실시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input port 101 of the valve body 100 is an expansion gap formed between the expansion recess 210 of the rotary valve 200 and the first through hole 311 of the valve plate 300 . After being expanded in the air conditioner, cooling of the air conditioner is performed by being discharged to the first output port 102a.

이후, 구동부재(500)의 스텝모터(520)에 의해 회전 밸브(200)가 대략 60도 가량 더 회전하여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밸브(200)의 유로구멍(220)이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과 넓은 단면적으로 중첩됨으로써, 냉매의 팽창은 발생치 않고 완전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이다.Thereafter, when the rotary valve 200 is further rotated by about 60 degrees by the step motor 520 of the driving member 500 and the rotary valve 20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20 , the rotary valve 200 By overlapping the channel hole 220 of the valve plate 300 with the first through hole 311 of the valve plate 300 in a wide cross-sectional area, the refrigerant does not expand and becomes a fully open state.

이때,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2 관통공(312)은 회전 밸브(200)에 의해 폐쇄 상태로 계속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through-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by the rotary valve 200 .

특히,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2 관통공(312)은 회전 밸브(200)에 마련된 기밀부재(400)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폐쇄된다.In particular, the second through-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is more reliably closed by the airtight member 400 provided in the rotary valve 200 .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의 입력 포트(101)로 공급되는 냉매는 회전 밸브(200)의 유로구멍(220)과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을 팽창 없이 그대로 통과한 후, 제1 출력 포트(102a)로 배출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input port 101 of the valve body 100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hole 220 of the rotary valve 200 and the first through hole 311 of the valve plate 300 as it is without expansion. Then, it will be discharged to the first output port (102a).

그리고, 구동부재(500)의 스텝모터(520)에 의해 회전 밸브(200)가 대략 60도 가량 더 회전하여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 및 유로구멍(220) 둘 모두가 다시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 및 제2 관통공(312) 어느 것과도 중첩되지 않는 폐쇄 상태로 된다.And, when the rotary valve 200 is further rotated by about 60 degrees by the step motor 520 of the driving member 500 and the rotary valve 20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21, the rotary valve 200 Both the expansion recess 210 and the flow hole 220 of the valve plate 300 are again in a closed state that does not overlap with any of the first through hole 3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

특히,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 및 제2 관통공(312)은 회전 밸브(200)에 마련된 기밀부재(400)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폐쇄된다.In particular, the first through-hole 311 and the second through-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are more reliably closed by the airtight member 400 provided in the rotary valve 200 .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의 입력 포트(101)로 공급되는 냉매는 다시 모두 차단되어 제1 출력 포트(102a) 및 제2 출력 포트(102b) 중 어디로도 배출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input port 101 of the valve body 100 is blocked again and is not discharged to any of the first output port 102a and the second output port 102b.

하지만, 구동부재(500)의 스텝모터(520)에 의해 회전 밸브(200)가 대략 60도 가량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만이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2 관통공(312)와 반경방향 외측에서 미세한 팽창 간극을 형성하면서 중첩된다.However, when the rotation valve 200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pproximately 60 degrees by the step motor 520 of the driving member 500 and the rotation valve 20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22, the rotation Only the expansion recess 210 of the valve 200 overlaps the second through 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while forming a fine expansion gap at the radially outer side.

이때,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은 회전 밸브(200)에 의해 계속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first through hole 311 of the valve plate 300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by the rotation valve 200 .

특히,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은 회전 밸브(200)에 마련된 기밀부재(400)에 의해 확실하게 폐쇄되며, 제2 관통공(312)은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 안쪽에 형성된 밸브체(230)의 외주면인 팽창 리세스(210)와의 사이에서 팽창 간극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first through hole 311 of the valve plate 300 is securely closed by the airtight member 400 provided in the rotary valve 200 ,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2 is the rotary valve 200 . An expansion gap is formed between the expansion recess 210 which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body 230 formed inside the expansion recess 210 .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의 입력 포트(101)로 공급되는 냉매는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와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2 관통공(312) 사이에 형성된 팽창 간극에서 팽창된 후, 제2 출력 포트(102b)로 배출됨으로써 공조기의 난방이 실시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input port 101 of the valve body 100 is an expansion gap formed between the expansion recess 210 of the rotary valve 20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 After the expansion in the second output port (102b) by being discharged to the heating of the air conditioner is carried out.

이후, 구동부재(500)의 스텝모터(520)에 의해 회전 밸브(200)가 대략 60도 가량 더 회전하여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밸브(200)의 유로구멍(220)이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2 관통공(312)와 넓은 단면적으로 중첩됨으로써, 냉매의 팽창은 발생치 않고 완전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이다.Thereafter, when the rotary valve 200 is further rotated by about 60 degrees by the step motor 520 of the driving member 500 and the rotary valve 20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23 , the rotary valve 200 By overlapping the channel hole 220 of the valve plate 300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with a wide cross-sectional area, the refrigerant does not expand and becomes a fully open state.

이때,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은 회전 밸브(200)에 의해 폐쇄 상태로 계속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first through hole 311 of the valve plate 300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by the rotation valve 200 .

특히,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관통공(311)은 회전 밸브(200)에 마련된 기밀부재(400)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폐쇄된다.In particular, the first through hole 311 of the valve plate 300 is more reliably closed by the airtight member 400 provided in the rotary valve 200 .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의 입력 포트(101)로 공급되는 냉매는 회전 밸브(200)의 유로구멍(220)과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2 관통공(312)을 팽창 없이 그대로 통과한 후, 제2 출력 포트(102b)로 배출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input port 101 of the valve body 100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hole 220 of the rotary valve 20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12 of the valve plate 300 as it is without expansion. Then, it will be discharged to the second output port (102b).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는, 차량용 공조기의 구성을 단순화 하면서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냉매에 대한 기밀성 및 제품에 대한 가공성 및 생산성을 높여 제품의 생산단가를 낮추는 한편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Therefore, the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nables precise control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nd in particular, increases the airtightness of the refrigerant and the processa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product to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It is an invention with the excellent advantage of maximizing market competitiveness while lowering the

특히, 밸브바디(100)에 2개의 출력 포트(102a)(102b)를 형성하고, 밸브 플레이트(300)에 2개의 관통공(311)(312)을 형성함으로써, 히트펌프의 냉방과 난방 시 하나의 팽창밸브를 통해 서로 다른 경로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In particular, by forming two output ports 102a and 102b in the valve body 100 and forming two through holes 311 and 312 in the valve plate 300, one It is also possible to circulate the refrigerant in different paths through the expansion valve of the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bove embodiment is an example for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rawings or embodiments.

100 : 밸브바디 101 : 입력 포트
102 : 출력 포트 102a : 제1 출력 포트
102b : 제2 출력 포트 104 : 씰링
106 : 체결링 110 : 유로
120 : 메인 몸체 130 : 하부 몸체
140 : 고정 몸체 141 : 단턱부
150 : 커버 151 : 체결수단
160 : 메인 씰링 200 : 회전 밸브
201 : 결합공 210 : 팽창 리세스
220 : 유로구멍 230 : 밸브체
300 : 밸브 플레이트 301 : 지지홈
310 : 관통공 311 : 제1 관통공
312 : 제2 관통공 400 : 기밀부재
500 : 구동부재 510 : 샤프트
511 : 샤프트 기어 520 : 스텝모터
521 : 출력축 기어 530 : 감속기어
600 : 부시 610 : 보스
620 : 날개 w : 팽창 리세스의 반경방향 폭
W : 개방공의 반경방향 폭
100: valve body 101: input port
102: output port 102a: first output port
102b: second output port 104: sealing
106: fastening ring 110: euro
120: main body 130: lower body
140: fixed body 141: stepped portion
150: cover 151: fastening means
160: main sealing 200: rotary valve
201: coupling hole 210: expansion recess
220: flow hole 230: valve body
300: valve plate 301: support groove
310: through hole 311: first through hole
312: second through hole 400: airtight member
500: driving member 510: shaft
511: shaft gear 520: step motor
521: output shaft gear 530: reduction gear
600: bush 610: boss
620: wing w: radial width of the expansion recess
W: radial width of the opening

Claims (5)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냉매가 공급되는 입력 포트와, 타측에 냉매가 배출되는 출력 포트와,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출력 포트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바디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출력 포트 사이의 상기 유로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소정의 반경방향 폭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팽창 리세스와, 상기 팽창 리세스의 말단에 연통되되 상기 팽창 리세스의 반경방향 폭 보다 넓은 반경방향 폭을 갖는 유로구멍이 형성되는 회전 밸브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 밸브에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되되 상기 밸브바디의 유로 내에 회전 불가하게 고정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는 밸브 플레이트와;
합성수지 또는 탄성 기밀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 플레이트를 향하여 상기 회전 밸브의 적어도 일면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관통공과 상기 회전 밸브의 상호간에 기밀성을 확보하는 기밀부재와;
상기 회전 밸브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팽창 리세스는 상기 관통공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중첩되어 팽창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기밀부재와 상기 회전 밸브에는 상호간의 접촉부위에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다각형상 또는 원호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밸브의 회전 시 상기 기밀부재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a valve body formed in a block shape and having an input port to which refrigerant is supplied to one side, an output port to which refrigerant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and a flow path for communicating the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an expansion reces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rotatably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in the flow path between the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the expansion recess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radial width; a rotary valve communicating with and having a passage hole having a radial width wider than a radial width of the expansion recess;
a valve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stacked in contact with the rotary valve, fixed non-rotatably in the flow path of the valve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airtight member made of synthetic resin or an elastic airtight material and provided rotatably integrally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otary valve toward the valve plate to secure airtightness between the through hole of the valve plate and the rotary valve;
including a driving member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valve;
the expansion recess overlap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through hole to form an expansion gap;
Electromagnetic expansion and direction cha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tight member and the rotary valve are formed in a polygonal or arc shape coupled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airtight member rotates integrally when the rotary valve is rotated integrated valv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의 출력 포트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관통공은 상기 제1 출력 포트 및 상기 제2 출력 포트에 각각 대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을 포함하여;
1개의 입력 포트로부터 2개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하여 냉매를 공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port of the valve body comprises a first output port and a second output port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through-holes of the valve plate includ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first output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respectively;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integrated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nt can be supplied by switching from one input port to one of two output ports.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회전 밸브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샤프트와, 전원 제어에 따라 회전각도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샤프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중앙에 상기 샤프트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riving member comprises: a shaft connect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valve to rotate integrally; and a step motor capable of controlling a rotation angle according to power control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The valve plate has an integrated electronic expansion and direction switching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groov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haft is formed in the center.
KR1020190122469A 2019-10-02 2019-10-02 Integrated electronic valve for expansion and switching direction KR102447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69A KR102447040B1 (en) 2019-10-02 2019-10-02 Integrated electronic valve for expansion and switching direction
PCT/KR2020/012501 WO2021066356A1 (en) 2019-10-02 2020-09-16 Electronic expansion-and-redirection integrated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69A KR102447040B1 (en) 2019-10-02 2019-10-02 Integrated electronic valve for expansion and switching dir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227A KR20210040227A (en) 2021-04-13
KR102447040B1 true KR102447040B1 (en) 2022-09-26

Family

ID=7533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469A KR102447040B1 (en) 2019-10-02 2019-10-02 Integrated electronic valve for expansion and switching direc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7040B1 (en)
WO (1) WO202106635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686B1 (en) * 2021-07-05 2023-03-23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Micro flow rate control valv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839A (en) * 2000-05-01 2001-11-16 Saginomiya Seisakusho Inc Combination valve of four-way selector valve and motorized expansion valve
KR100441058B1 (en) 2004-01-26 2004-07-19 주식회사 이지음 Two-way direction expansion valve with accumulated thin plate
KR100835259B1 (en) 2007-02-23 2008-06-05 자화전자 주식회사 Random direction electronic expansion valve
KR101139390B1 (en) 2009-10-21 2012-04-27 자화전자(주) Multi-way electronic expansion valve
JP5615573B2 (en) * 2010-03-17 2014-10-29 株式会社不二工機 Flow path switching valve and heat pump device using the same
JP2015218893A (en) * 2014-05-21 2015-12-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Channel switching valve and air conditioner
KR102206182B1 (en) * 2016-11-09 2021-01-21 항저우 산후아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Vehicle fluid heat exchange assembly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
CN108119698B (en) * 2016-11-30 2021-11-02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refrigeration system with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6356A1 (en) 2021-04-08
KR20210040227A (en)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459B1 (en) Integrated electronic valve for expansion and switching direction
KR101167956B1 (en) Electric valve for refrigerant control
JP6998446B2 (en) Refrigerant circuit valve device
EP1975480B1 (en) Motor-operated selector valve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for refrigerators
EP2290273B1 (en) Multi-way selector valve
KR101814206B1 (en) Channel switching valve and heat pump system using the same
KR101738321B1 (en) Ball valve with internal seal arrangement
JP4694124B2 (en) Valve drive device
KR101853696B1 (en) Refrigerant switching valve
KR102447040B1 (en) Integrated electronic valve for expansion and switching direction
EP2728227A1 (en) Refrigerant flow path switching valve and air conditioner using same
US11560952B2 (en) Variable cylinder wall for seals on plug valve
EP3017219A1 (en) Temperature adjustment valve
JP2012067833A (en) Multi-way selector valve
MX2011002404A (en) An expansion valve with force equalization.
KR100465554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electronic valve for controlling multi room
KR101139390B1 (en) Multi-way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215793071U (en) Combined four-way valv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vehicle
KR102136374B1 (en) Bi-directional expansion valve for heat pump of vehicles
KR102447041B1 (en) Integrated electronic valve for expansion and switching direction
JP2000310348A (en) Electric operated selector valve
KR102490401B1 (en) Integrated valve for changing conduit and controlling flow rate
KR102512686B1 (en) Micro flow rate control valve
EP3260746B1 (en) Flow control valve
CN111380297A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