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994B1 -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994B1
KR102446994B1 KR1020200137417A KR20200137417A KR102446994B1 KR 102446994 B1 KR102446994 B1 KR 102446994B1 KR 1020200137417 A KR1020200137417 A KR 1020200137417A KR 20200137417 A KR20200137417 A KR 20200137417A KR 102446994 B1 KR102446994 B1 KR 102446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vehicle
channel
cch
wb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157A (ko
Inventor
김영탁
황현동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7/134,933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25545B2/en
Publication of KR2021008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94Allocation of channels in TDM/TDMA networks, e.g. distributed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네트워크 확장 서비스 세트 제어 및 관리 시스템(vehicular network-extended service set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VN-ESS-CM)에서 관리되며, 중첩된 영역을 갖는 복수의 차량 환경에서의 노변장치(Road Side Unit, RSU)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차량 환경의 무선 엑세스(Wireless Access in Vehicle Environments, WAVE) 기본 서비스 세트(WAVE Basic Service Set, WBSS) 차량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WBSS는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CCH) 및 기본 안전 메시지 채널(Basic Safety Message Channel, BSMCH)이 기 설정된 동기 간격(Synchronization-Interval)을 가지고, 상기 CCH 및 상기 BSMCH에 대해 상기 동기 간격을 복수의 슬롯으로 분할한 시분할 다중 접속 슬롯(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slot)(T-슬롯)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CCH를 분할한 T-슬롯을 WBSS 별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CH의 첫 번째 T-슬롯은 상기 WBSS의 식별자(identification) 및 상기 CCH에서의 T-슬롯 사용수와 같은 WBSS의 TDMA 정보를 비콘(Beacon) 메시지로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다양한 차량 밀도에서도 정상적으로 차량 네트워킹을 수행할 수 있어 더 높은 확장성, 신뢰성 및 유연성을 제공할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Multichannel Access Control Method in Overlapped Vehicle Networks}
본 발명은 차량 환경 무선 액세스(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WAVE) 기반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네트워크 확장 서비스 세트 (WAVE extended service set, WESS) 제어 및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중첩된 영역을 갖는 복수의 WAVE 기본 서비스 세트(WAVE basic service set, WBSS) 차량 네트워크를 시분할 다중 접속 슬롯을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네트워크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ITS)의 안전에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차량의 위치, 이동 방향, 속도, 비정상적 교통상황 및 도로조건, 예상 충돌 위험 등의 시간 및 장에 따르는 안전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운전을 위한 도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운전자 없이 자동으로 운행하는 무인 자동차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인 자동차를 이용한 도로 주행을 수행함으로써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가되고 있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하여 국제 협약으로 IEEE 802.11p, IEEE 1609 및 차량 환경 무선 액세스(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WAVE) 등의 차량 네트워크 환경이 확립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량 네트워크 환경을 사용할 수 있는 온보드 유닛(Onboard Unit, OBN)이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과 도로 인프라 사이에서 최대 1km 범위의 고속 이동성(최대 200km/h)을 유지하며 차량들이 주행하고 있다.
상기 IEEE 1609 표준은 채널 액세스에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충돌 회피 매체접근 제어(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medium access control, CSMA/CA MAC)가 사용되는 장치의 다중 채널 조정에 대한 IEEE 802.11p 표준의 확장을 지정하는 IEEE 1609.4를 포함하여 더 높은 통신 계층에서 WAVE의 작동을 정의하고 있다. IEEE 1609.4 사양에 따라 MAC은 고정 길이(100ms)의 채널 액세스 시간 간격(동기 간격)을 제어 채널 간격(control channel interval, CCHI)과 서비스 채널 간격(service channel interval, SCHI)으로 나누어 여러 채널을 조정한다. CCHI 동안 모든 OBU는 기본 안전 메시지(basic safety message, BSM) 및 시스템 제어 메시지 교환을 위해 CCH 주파수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IEEE 1609.4는 고정된 제어 채널 간격 및 서비스 채널 간격을 갖는 동기식 MAC 서브 동작에 의해 CCH 및 SCH의 비효율적인 이용을 초래하며, 가변 트래픽 요구에 응답하여 적응적이고 지능적인 시간 할당을 수행하는 것을 제한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변 CCHI는 서비스 포화 처리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CHI의 지속 시간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을 제안하였으나 CCHI의 효율은 증대되지만 SCH 자원이 여전히 낭비되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또한, IEEE 802.11p 및 IEEE 1609 MAC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Vehicular ad-hoc network, VANET)에서 기본 안전 메시지(basic safety message, BSM) 메시지 교환은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충돌 회피(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CSMA/CA)의 기본 랜덤 액세스 메커니즘으로 인해 더 높은 트래픽 로드에서는 무제한 전송 대기 시간을 겪을 가능성도 있다.
많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충돌 회피 기술을 사용한 다중 채널 액세스 체계는 제한된 지연으로 안전 메시지를 안정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는데 성능이 좋지 않으며, 밀집된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다중 접속에 의한 충돌 증가로 차량 안전 메시지 전달이 안전하지 않으며, 메시지 교환의 처리량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 모든 OBU는 BSM 및 시스템 제어 메시지 교환을 위해 CCH주파수를 맞추기 위하여 핸드오버 시마다 가변장치에 등록/해제를 하고, 주파수를 설정하는 동작을 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핸드오버 동작 시 불필요한 메시지 교환이 증가하여 네트워크 사용량 증가로 인한 지연 및 오류 발생의 위험이 크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8665호 (2018년02월22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도시의 많은 고밀도 차량을 지원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반 분산 시스템(software-defined networking-based distribution system, SDN-DS) 인프라와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overlapped vehicular networks, OVN)를 위한 슬롯형 시분할 다중 접속 멀티채널 매체 접근 제어(slott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multichannel MAC, STMC-MAC)를 이용하여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 밀집된 지역에서 상기 슬롯형 시분할 다중 접속 멀티채널 매체 접근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의 등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은 차량 네트워크 확장 서비스 세트 제어 및 관리 시스템(vehicular network-extended service set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VN-ESS-CM)에서 관리되며, 중첩된 영역을 갖는 복수의 차량 환경에서의 노변장치(Road Side Unit, RSU)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차량 환경의 무선 엑세스(Wireless Access in Vehicle Environments, WAVE) 기본 서비스 세트(WAVE Basic Service Set, WBSS) 차량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WBSS는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CCH) 및 기본 안전 메시지 채널(Basic Safety Message Channel, BSMCH)이 기 설정된 동기 간격(Synchronization-Interval)을 가지고, 상기 CCH 및 상기 BSMCH에 대해 상기 동기 간격을 복수의 슬롯으로 분할한 시분할 다중 접속 슬롯(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slot)(T-슬롯)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CCH를 분할한 T-슬롯을 복수의 상기 WBSS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CH의 첫 번째 T-슬롯은 상기 WBSS의 식별자(identification) 및 상기 CCH에서의 T-슬롯 사용수와 같은 상기 WBSS의 TDMA 정보를 비콘(Beacon) 메시지에 포함시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슬롯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BSMCH의 상기 T-슬롯을 복수의 미니 슬롯(mini-slot)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니 슬롯의 수는 상기 동기 간격 내에 상기 WBSS당 최대 수용 가능 차량 대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Beacon)메시지는 상기 WBSS에 진입하여 차량 등록이 필요한 상기 차량의 등록 요청 시 필요한 상기 WBSS의 시분할 다중 접속 정보, 서비스 채널(Service Channel, SCH) 간격에 대한 상기 T-슬롯의 할당 정보, 상기 노변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노변 장치의 서비스 반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CH를 분할한 상기 T-슬롯을 상기 WBSS 별로 분배하는 단계는, 중첩되어 있는 차량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차량이 하나의 상기 CCH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WBSS의 정보를 상기 WBSS 별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상기 비콘 메시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CH를 분할한 T-슬롯을 복수의 상기 WBSS에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T-슬롯 구역을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충돌 회피(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모드 슬롯 구간으로 나누어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TDMA 모드 슬롯 구간으로 나누어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 요청 및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 요청 및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을 임의로 선택하여 요청된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 요청 및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받은 상기 노변장치는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 요청 및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상기 할당된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슬롯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차량이 상기 노변장치와 상기 할당된 상기 T-슬롯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여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차량의 등록을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을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노변장치는 상기 신규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VN-ESS-CM으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VN-ESS-CM에서 상기 신규 차량의 연결이 승인되면 상기 노변장치로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노변장치가 상기 신규 차량에 상기 BSMCH 내의 상기 T-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을 할당하고, 상기 T-슬롯 할당 정보 및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를 상기 CCH의 상기 T-슬롯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TDMA 모드 슬롯 구간으로 나누어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CCH의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을 복수의 미니 슬롯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WBSS 별로 배정된 상기 CCH 구역에서 첫번째 상기 T-슬롯으로 전달되는 상기 비콘 메시지에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의 구성 및 상기 미니 슬롯 구성 정보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TDMA 모드 슬롯 구간으로 나누어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WBSS 간의 중첩되는 영역에 진입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중첩되는 영역에 진입하면 진입 예정인 상기 WBSS 구역의 차량들에게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미니 슬롯을 사용하여 차량 안전 메시지(Basic Safety Massage, BSM)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는 다양한 차량 밀도에서도 정상적으로 차량 네트워킹을 수행함으로써 더 높은 확장성, 신뢰성 및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는 차량 밀도가 높은 대도시 지역에서 지연 없이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는 서비스 채널과 제어 채널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메시지 충돌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는 중복되지 않는 기본 안전 메시지 채널을 각 차량에 할당하여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차량 간 메시지 충돌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채널의 슬롯 분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안전 메시지 채널 및 서비스 채널의 슬롯 분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차량을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overlapped vehicular networks, OVN)는 간단하게 두 가지의 시나리오에서 많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중 첫 번째는 여러 차선이 있는 양방향 도로이고, 두 번째는 여러 차선이 있는 양방향 횡단 도로이다. 이러한 여러 차선이 있는 도로에서의 차량 네트워크는 선형 순서로 겹쳐 동작하게 되며, 각 차량 네트워크의 통신 채널은 주변 통신 채널로부터 간섭을 받아 네트워크의 동작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심 내 사거리 지역을 예시하고 있다.
차량 네트워크 환경에서 하나의 지역은 차량 네트워크 확장 서비스 세트 제어 및 관리 시스템(vehicular network-extended service set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VN-ESS-CM)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VN-ESS-CM이 하나의 지역을 하나의 노변장치(Road Side Unit, RSU)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없기 때문에, 하나의 지역을 복수의 서브 지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서브 지역은 각각 포함된 복수의 노변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노변장치는 각각의 노변장치를 기준으로 원형의 기본 안전 메시지(Basic Safety Massage)를 전달하는 영역을 구성하게 되며, 기본 안전 메시지(Basic Safety Massage)를 전달하는 영역(이하, 기본 안전 메시지 채널(Basic Safety Massage Channel, BSMCH))은 원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VN-ESS-CM이 관리하는 모든 영역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BSMCH간에 겹치는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차량 통행이 많은 도심의 사거리 지역에서는 하나의 BSMCH 커버리지 영역이 작을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겹치는 영역의 숫자는 더욱 증대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BSMCH_1은 BSMCH_2와 하나의 중복되는 영역이 발생하나, 교차로에 위치하는 BSMCH_2는 각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BSMCH_1, BSMCH_3, BSMCH_4, BSMCH_5의 4개의 영역과 중복되는 영역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중복되는 영역에서 사용되는 일부 채널에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SMCH_2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BSMCH_2에서 사용되는 일부 영역은 BSMCH_1, BSMCH_3, BSMCH_4, BSMCH_5의 4개의 영역과 중복되므로 BSMCH_1, BSMCH_3, BSMCH_4, BSMCH_5에서 사용되는 채널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BSMCH 영역을 하나의 노변장치(roadside unit, RSU)를 이용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노변장치의 수를 다양화 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나의 BSMCH을 이용하는 영역을 WBSS(WAVE Basic Safety Set)이라고 설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WBSS는 하나의 BSMCH 영역을 통칭하는 동시에 하나의 RSU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 하에 설명을 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간섭을 제거하고 안정적인 안정적인 BSM(Basic Safety Message)을 브로드캐스트 하기 위한 기술로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 MAC 프로토콜에서 TDMA 슬롯(T-슬롯)을 이용하는 STMC-MAC(Slotted TDMA Multichannel MAC)을 이용할 수 있다.
STMC-MAC은 SDN(Software Defined Networks) 기반 분배 시스템에서 T-슬롯을 중앙 집중식 클러스터 헤더에 의한 사전 처리 된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특정 차량 내의 온보드 유닛(Onboard Unit, OBU)을 위해 사전 예약하게 하고, OBU는 사전에 예약된 T-슬롯을 사용하여 기본 안전 메시지의 브로드캐스팅을 수행함으로써 기본 안전 메시지(basic safety message, BSM)교환에 대한 채널 경합을 피할 수 있으므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도 1과 같은 양방향 교차로에서 교차로 중간 지점의 차량 네트워크는 4개의 이웃으로부터 간섭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모든 차량 네트워크는 인접 네트워크와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 채널에서는 불필요한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각 인접 차량 네트워크의 기본 서비스 세트에 대한 주파수 채널과 전송시간을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WBSS 및 차량의 통신은 듀얼 라디오(Dual Radio)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듀얼 라디오는 다수의 BSMCH들이 공유하는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CCH)과 하나의 BSMCH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에서는 CCH와 BSMCH의 T-슬롯 할당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BSMCH는 서비스 채널(Service Channel, SCH) 동작에 이용될 수 있으며, SCH는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 Access, TDMA) 방식을 이용하여 각 차량과 기본 안전 메시지(basic safety message, BSM)를 RSU에서 할당하여 일정 주기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러한 BSM은 자동차의 GPS 위치정보, 진행 방향, 속력 등 차량 안전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BSM의 안정적인 브로드캐스트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본 안전 메시지의 안정적인 브로드 캐스트를 위한 차량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연구 연구에서 제시한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방식을 개선한 STMC-MAC 방식을 사용하도록 제시한다.
STMC-MAC 프로토콜에서 이용되는 T-슬롯은 중앙 집중식 클러스터 헤더에 의한 사전 처리 된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차량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온보드 유닛(Onboard Unit, OBU)을 위해 예약될 수 있다. 주기적인 BSM 방송을 위하여 사전에 예약된 T-슬롯을 사용하면 기본 안전 메시지(basic safety message, BSM)교환에 대한 채널 경합을 피할 수 있으므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CH는 VN-ESS-CM과 각 RSU간의 통신 및 차량과 RSU간의 통신에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채널(CCH)의 슬롯 분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경합 없는 BSM의 브로드캐스트를 위한 CCH의 스케쥴링 분배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합을 최소화하면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CCH및 BSMCH는 TDMA 방식 기반의 BSM 방송을 T-슬롯 단위로 동기화 시키는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동기화 간격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T-슬롯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동기화 간격의 가장 앞부분에는 4ms의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두어 각 동기화 간격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동기화 간격 내의 복수의 T-슬롯은 VN-ESS-CM에서 관리하고 있는 WBSS(또는, BSMCH)의 수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00ms의 동기화 간격을 가지는 CCH에 대해 60개의 T-슬롯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60개의 T-슬롯은 N개의 WBSS에 각각 60/N개의 슬롯을 할당하기 위하여 그룹화할 수 있다.
60/N개의 T-슬롯으로 구성되는 각 그룹의 첫 번째 T-슬롯은 비콘(beacon) 프레임에 할당되어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상기 비콘 프레임에는 WBSS에 진입하여 차량 등록이 필요한 상기 차량의 등록 요청 시 필요한 WBSS의 시분할 다중 접속 정보, 서비스 채널(Service Channel, SCH) 간격에 대한 T-슬롯 할당 정보, 상기 노변 장치의 위치 정보, 서비스 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그룹 내의 비콘 프레임을 제외한 T-슬롯 중 일부는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충돌 회피(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CSMA/CA)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CSMA/CA 방식으로 이용하지 않는 T-슬롯은 TDMA 방식으로 이용 할 수 있다.
상기 CSMA/CA 방식은 WBSS 영역에 진입하는 신규 차량의 접속 요청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TDMA 구간은 신구 접속 차량의 등록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기 간격을 100ms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 또는 설정에 따라 그 주기는 변화할 수 있으며, T-슬롯의 개수 및 그룹의 숫자 또한 WBSS의 숫자 및 통행하는 차량의 숫자 등에 따라 동적 또는 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도 3은 WBSS에서 SCH를 사용하는 BSMCH(이하, BSMCH/SCH)의 T-슬롯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BSMCH/SCH는 상기 CCH와 같이 하나의 동기화 간격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T-슬롯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동기화 간격의 가장 앞부분에는 4ms의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두어 각 동기화 간격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듀얼 라디오 방식으로 사용되는 BSMCH/SCH와 CCH에서 CCH는 하나의 동기화 간격에 대한 T-슬롯을 복수의 WBSS에 각각 분할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BSMCH/SCH는 독립적 채널로 활용되어 하나의 WBSS에서 하나의 BSMCH/SCH를 사용할 수 있다.
즉, BSMCH/SCH는 각 WBSS 별로 하나의 채널을 전부 이용하며, 하나의 채널에서 하나의 동기화 간격 내 T-슬롯을 활용하여 차량과의 BSM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동기화 간격 내의 T-슬롯은 60개로서 하나의 T-슬롯을 한대의 차량에 분배하게 되면 하나의 WBSS에서 총 60대의 차량만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비효율적인 동시에 도심 등의 차량 통행이 많은 지역에서는 이용이 어려워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T-슬롯을 2개 이상의 미니 슬롯(mini-slot)으로 더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SMCH/SCH 내의 1개의 T-슬롯을 5개의 미니 슬롯으로 분할하게 되면, 하나의 동기화 간격은 총 300개의 미니 슬롯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나의 BSMCH/SCH는 총 300대의 차량과 BSM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으므로 보다 넓은 영역에서 이용 가능하다.
또한, 차량 네트워크 내의 차량의 수가 제한 영역치에 대비하여 적은 수만을 이용하여 BSMCH 내의 미니 슬롯 중 여유분이 발생하게 되면 여유분에 해당하는 미니 슬롯 중 일부를 서비스 트래픽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서비스 트래픽에 사용되는 미니 슬롯은 VN-ESS-CM에 의해 설정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차량을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VN-ESS-CM은 백본 네트워크(backbone network)를 통해 WBSS 내의 RSU와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RSU의 위치, T-슬롯의 사용 현황, WBSS에서 관리하는 차량의 수, 차량의 위치 등의 정보를 송수신하며 RSU의 연결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백본 네트워크는 연결되어 있는 소형 회선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대규모 전송 회선으로써, 근거리 통신망에서 광역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하나의 회선 또는 여러 회선의 모음, 근거리 통신망 내에서는 거리를 효율적으로 늘리기 위한 회선, 인터넷이나 다른 광역 통신망에서의 백본은 장거리 접속을 위해 연결되어 있는 근거리 및 지역망 선로들의 모음 등을 지칭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설명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RSU와 VN-ESS-CM 간에 원활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이면 모든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OBU가 설치된 차량이 VN-ESS-CM이 관리하는 지역 내의 WBSS에 진입하면 해당 WBSS 내의 RSU의 CCH를 통해 비콘 프레임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비콘 프레임의 메시지를 수신한 차량은 도4에서 보는 것과 같이 CCH의 T-슬롯 중 CSMA/CA 구간에 포함된 임의의 T-슬롯을 이용하여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신규 등록을 위하여 CSMA/CA 구간을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차량이 동시에 WBSS에 진입하더라도 등록 요청 메시지 간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다.
WBSS의 RSU는 차량의 등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차량에 CCH의 T-슬롯 중 TDMA 구간에 포함된 T-슬롯 중 어느 하나의 T-슬롯을 할당하고, 등록 승인(Registration Ack) 메시지에 할당된 T-슬롯 정보를 담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RSU는 인터넷을 통해 VN-ESS-CM에 신규 차량이 등록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다.
VN-ESS-CM은 RSU로부터 신규 차량이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면 등록된 신규 차량을 대상으로 하는 결합 식별자(Association Identifier, AID)를 발급하여 RSU에 전달할 수 있다.
차량은 등록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할당된 T-슬롯 정보를 활용하여 RSU에 결합 요청(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결합 요청 메시지는 한 사람의 특정 수신자에게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인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을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RSU는 결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BSMCH/SCH 채널의 미니 슬롯을 할당하고, 할당된 미니 슬롯의 정보, 결합 식별자 (AID) 정보를 결합 응답(Association Response) 메시지에 담아 차량에 전달할 수 있다.
차량은 결합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결합 응답 메시지에서 지정된 BSMCH/SCH 내의 미니 슬롯을 이용해 기본 안전 메시지(BSM)을 100m의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00m의 주기로 BSM 메시지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차량의 통행량, 통신 상태, 기상 상황 등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BSM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등록 방법을 통하여 차량의 등록 요청 메시지와 등록 승인 메시지를 CSMA/CA 방식과 TDMA 방식으로 나누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차량 등록과 관련된 등록 요청 및 승인 메시지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TDMA 방식을 이용하여 BSM 메시지를 독립된 BSMCH/SCH 채널을 통해 설정된 T-슬롯을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트 함으로써 WBSS 영역 내에서의 차량간의 BSM 방송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등록된 차량이 기 설정된 주기로 현재 RSU(이하, 제1 RSU)로 BSM 메시지를 전달하며 WBSS 내에서 주행을 실시하던 도중 차량 네트워크가 중첩된 영역에 진입하면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RSU는 차량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BSM을 수신하여 차량의 속도, 현재 위치, 주행 방향 등을 고려하여 핸드오버의 필요성을 검출할 수 있다.
차량이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1 RSU는 VN-ESS-CM에 스마트 핸드오버 추천 요청(Smart Handover Recommend Request) 메시지를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추천 요청 메시지에는 차량의 결합 식별자(AID), 차량 네트워크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Vehicle Service Set Identifier, VN-BSSID), 차량 정보(차량의 속도, 현재 위치, 주행 방향 등)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VN-ESS-CM은 제1 RSU로부터 스마트 핸드오버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제1 RSU 주변의 WBSS를 검색하여 핸드오버에 가장 적합한 WBSS를 결정할 수 있다.
VN-ESS-CM은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결정된 WBSS의 RSU(이하, 제2 RSU)로 스마트 핸드오버 채택 요청(Smart Handover Accept Request) 메시지를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핸드오버 채택 요청 메시지에는 VN-BSSID, 차량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RSU는 VN-ESS-CM으로부터 스마트 핸드오버 채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현재 이용중인 BSMCH/SCH의 T-슬롯 및 CCH의 T-슬롯을 할당하고, 할당된 BSMCH/SCH의 T-슬롯 및 CCH의 T-슬롯 정보를 포함한 스마트 핸드오버 채택 응답(Smart Handover Accept Response)메시지를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 VN-ESS-CM으로 전달할 수 있다.
VN-ESS-CM은 제2 RSU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핸드오버 채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스마트 핸드오버 추천 응답(Smart Handover Recommend Response) 메시지에 포함하여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 제1 RSU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RSU는 스마트 핸드오버 추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스마트 핸드오버 추천 응답 메시지 내에 포함된 BSMCH/SCH의 T-슬롯 및 CCH의 T-슬롯 정보를 스마트 핸드오버 요청(Smart Handover Request) 메시지에 담아 차량에 전달할 수 있다.
차량은 스마트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제1 RSU에 스마트 핸드오버 응답(Smart Handover Response)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RSU는 스마트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차량에 할당되어 있는 CCH의 T-슬롯 정보를 반환하고, 차량과의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차량은 제2 RSU에서 전송하는 비콘 프레임 메시지를 수신하면 스마트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BSMCH/SCH의 T-슬롯 정보를 이용하여 재연결 확인 요청(ReAssociation Confirm Request) 메시지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제2 RSU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RSU는 차량으로부터 재연결 확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VN-ESS-CM에 스마트 핸드오버 완료 요청(Smart Handover Complete Request) 메시지를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VN-ESS-CM은 제2 RSU로부터 스마트 핸드오버 완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다운링크 백본 네트워크(DownLink Backbone Network)를 업데이트하고, 제2 RSU로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핸드오버 완료 응답(Smart Handover Complete Response)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RSU는 VN-ESS-CM으로부터 스마트 핸드오버 완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차량에 할당된 BSMCH/SCH의 미니 슬롯을 통해 차량에 재연결 확인(ReAssociation Confirm) 메시지를 전송하여 스마트 핸드오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핸드오버 방법을 통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되면 각 차량 네트워크 기본 서비스 세트에 대한 등록 제어 메시지를 교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므로, 핸드오버로 발생되는 불필요한 메시지 전달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차량 네트워크 기본 서비스 세트에서 중복되지 않는 기본 안전 메시지 채널을 할당하여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최대 300대의 안정적인 차량과의 메시지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고밀도 차량이 있는 대도시 지역의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를 위한 슬롯형 TDMA 멀티 채널 MAC (STMC-MAC)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SDN) 기반 분산 시스템을 통해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를 정상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더 높은 확장성, 신뢰성 및 유연성을 가지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 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 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복수의 차량 네트워크들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다수의 노변장치(Road Side Unit, RSU)가 제공하는 차량 환경의 무선 엑세스(Wireless Access in Vehicle Environments, WAVE) 기본 서비스 세트(WAVE Basic Service Set, WBSS) 차량 네트워크들의 상호간섭을 피하도록 관리하고 차량간 충돌 없는 안전 운행을 보장하기 위한 다채널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네트워크를 다수의 상기 WBSS들이 공유하는 하나의 제어채널(Control Channel, CCH)과 다수의 상기 WBSS별로 할당되는 복수개의 기본 안전 메시지 채널(Basic Safety Message Channel, BSMCH)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채널(CCH) 및 기본 안전 메시지 채널(BSMCH)이 기 설정된 동기 간격(Synchronization-Interval)을 가지고, 상기 제어 채널(CCH) 및 상기 기본 안전 메시지 채널(BSMCH)에 대해 상기 동기 간격을 복수의 등 간격 시간 슬롯 (T-슬롯)으로 분할하여 사용하도록 T-슬롯을 구성하는 단계; 및
    확장 서비스 세트 제어 및 관리 시스템(vehicular network-extended service set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VN-ESS-CM)가 상기 WBSS들이 공유하는 상기 제어 채널(CCH)을 중첩된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WBSS에 중복되지 않는 T-슬롯 구간 단위로 분할하여 분배하도록 중앙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WBSS에 분배된 상기 제어 채널(CCH)의 상기 T-슬롯 구간은 상기 노변장치(RSU)가 중첩된 상기 WBSS 영역에서도 상기 제어 채널(CCH)의 제어 신호 전송에 방해받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게 관리하며,
    중첩된 영역에서 각각의 상기 WBSS에 중복되지 않게 분할 및 분배된 상기 제어 채널(CCH)의 상기 T-슬롯 구간은 세부적으로 비콘(Beacon) 구간, CSMA/CA 방식으로 동작하는 구간과 TDMA 방식으로 동작하는 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콘 구간은 상기 WBSS의 상기 노변장치(RSU)가 비콘 메시지 (beacon message)를 방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비콘 메시지는 상기 WBSS의 식별자(identification) 및 CSMA/CA 방식으로 동작하는 상기 T-슬롯의 개수와 TDMA 방식으로 동작하는 상기 T-슬롯의 개수, 그리고 상기 기본 안전 메시지 채널(BSMCH)의 정보를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슬롯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CCH 및 상기 BSMCH의 상기 T-슬롯을 복수의 미니 슬롯(mini-slot)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니 슬롯의 크기는 기본 안전 메시지 (Basic Safety Message)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메시지는,
    상기 WBSS에 진입하여 차량 등록이 필요한 상기 차량의 등록 요청 시 필요한 상기 WBSS의 시분할 다중 접속 정보, 서비스 채널(Service Channel, SCH) 간격에 대한 상기 T-슬롯의 할당 정보, 상기 노변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노변 장치의 서비스 반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하는 단계는,
    중첩되어 있는 차량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차량이 하나의 상기 CCH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WBSS의 정보를 상기 WBSS 별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상기 비콘 메시지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T-슬롯 구간을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충돌 회피(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모드 슬롯 구간으로 나누어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TDMA 모드 슬롯 구간으로 나누어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을 이용하여 신규 차량의 등록 요청 및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 요청 및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을 임의로 선택하여 요청된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 요청 및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받은 상기 노변장치는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 요청 및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상기 할당된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T-슬롯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T-슬롯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차량이 상기 노변장치와 상기 할당된 상기 T-슬롯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 메시지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여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을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노변장치는 상기 신규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VN-ESS-CM으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VN-ESS-CM에서 상기 신규 차량의 연결이 승인되면 상기 노변장치로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노변장치가 상기 신규 차량에 상기 BSMCH 내의 상기 T-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을 할당하고, 상기 T-슬롯 할당 정보 및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를 상기 CCH의 상기 T-슬롯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TDMA 모드 슬롯 구간으로 나누어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CCH의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을 복수의 미니 슬롯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WBSS 별로 배정된 상기 CCH 구역에서 첫번째 상기 T-슬롯으로 전달되는 상기 비콘 메시지에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의 구성 및 상기 미니 슬롯 구성 정보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TDMA 모드 슬롯 구간으로 나누어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WBSS 간의 중첩되는 영역에 진입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중첩되는 영역에 진입하면 진입 예정인 상기 WBSS가 중첩되는 구역의 차량들에게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미니 슬롯을 사용하여 차량 안전 메시지(Basic Safety Massage, BSM)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KR1020200137417A 2019-12-26 2020-10-22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KR102446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34,933 US11425545B2 (en) 2019-12-26 2020-12-28 Multichannel access control method in overlapped vehicle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5641 2019-12-26
KR1020190175641 2019-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157A KR20210083157A (ko) 2021-07-06
KR102446994B1 true KR102446994B1 (ko) 2022-09-26

Family

ID=7686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417A KR102446994B1 (ko) 2019-12-26 2020-10-22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9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626B1 (ko) 2011-08-04 2013-06-17 전자부품연구원 Wave 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289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과 노변간 무선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무선통신 장치
KR20120138612A (ko) * 2011-06-13 2012-1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통신 네트워크의 멀티캐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6505B1 (ko) * 2017-09-26 2019-10-2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Tdma 클러스터 기반의 mac 프로토콜에서 슬롯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180058665A (ko) 2018-02-22 2018-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기식 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톤 채널을 이용한 단말 동작 방법
KR102168576B1 (ko) * 2018-06-04 2020-10-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속도로 안전 운행을 위한 엣지 지원 클러스터 기반 미디어 접근 제어 프로토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626B1 (ko) 2011-08-04 2013-06-17 전자부품연구원 Wave 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157A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5496B1 (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v2x communication
Zhang et al. A scalable CSMA and self-organizing TDMA MAC for IEEE 802.11 p/1609. x in VANETs
US8811343B2 (en) Method of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 and roadside and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EP2160042A1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stations, radio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JP2010028636A (ja) 基地局、移動局、通信制御方法
CN104994583A (zh) 车载自组织网络中基于簇机制的多信道mac协议方法
Jayaraj et al. A survey on hybrid MAC protocols for vehicular ad-hoc networks
Batth et al. Comparative study of tdma-based mac protocols in vanet: A mirror review
US8797938B2 (en) Multi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ular communication network
Tomar et al. Cluster based RSU centric channel access for VANETs
Lei et al. A hybrid access method for broadcasting of safety messages in IEEE 802.11 p VANETs
Tomar et al. Enhanced SDMA for VANET communication
Nguyen et al. Improving time slot acquisition through RSU's coordination for TDMA-based MAC protocol in VANETs
KR102368954B1 (ko) 중첩된 차량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스마트 차량 핸드오버 관리 방법
Torabi et al. Survey of medium access control schemes for inter-vehicle communications
KR102165821B1 (ko) 차량간 통신 장치 및 방법
Haq et al. A location-and mobility-aware clustering-based TDMA MAC protocol for vehicular ad-hoc networks
Zhang et al. A clustering-based collision-free multichannel MAC protocol for vehicular ad hoc networks
Hadded et al. An optimal strategy for collision-free slots allocations in vehicular ad-hoc networks
KR102036505B1 (ko) Tdma 클러스터 기반의 mac 프로토콜에서 슬롯 할당 장치 및 방법
US11425545B2 (en) Multichannel access control method in overlapped vehicle networks
Shahin et al. Scalable TDMA cluster-based MAC (STCM) for multichannel vehicular networks
KR102446994B1 (ko)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Kim et al. CMMP: clustering-based multi-channel MAC protocol in VANET
KR102256269B1 (ko)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스마트 핸드 오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