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683B1 -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으로 참여자를 특정하고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으로 참여자를 특정하고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683B1
KR102446683B1 KR1020220095726A KR20220095726A KR102446683B1 KR 102446683 B1 KR102446683 B1 KR 102446683B1 KR 1020220095726 A KR1020220095726 A KR 1020220095726A KR 20220095726 A KR20220095726 A KR 20220095726A KR 102446683 B1 KR102446683 B1 KR 102446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ipant
keyword
category
core keyword
mee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683B9 (ko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 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하 filed Critical (주) 아하
Priority to KR1020220095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683B1/ko
Publication of KR10244668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68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4Query execution using 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05Language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10L17/24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the user being prompted to utter a password or a predefined phr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으로 참여자를 특정하고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의 진행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참여자가 회의에 참여하고, 상기 복수의 참여자는 적어도 제1 참여자 및 제2 참여자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전자칠판 시스템이,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참여자의 제1 발언 및 상기 제2 참여자의 제2 발언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이, 상기 제1 발언 및 상기 제2 발언을 기초로 키워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이,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대응하는 회의록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으로 참여자를 특정하고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METHOD FOR SPECIFYING A SPEAKING PARTICIPANT AND AUTOMATICALLY CREATING MEETING MINUTES BY VOICE RECOGN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LECTRONIC BLACKBOAR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으로 참여자를 특정하고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의 진행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참여자가 회의에 참여하고, 상기 복수의 참여자는 적어도 제1 참여자 및 제2 참여자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전자칠판 시스템이,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참여자의 제1 발언 및 상기 제2 참여자의 제2 발언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이, 상기 제1 발언 및 상기 제2 발언을 기초로 키워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이,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대응하는 회의록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전자기기의 개발 및 보급에 따라 학교, 학원, 기업 또는 세미나 등에서 장시간 동안 발표, 회의 및 강의되고 있는 내용들을 비디오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동영상으로 녹화하거나 또는 참여자가 강의하는 도중 판서한 내용을 전자 칠판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들은 참여자들의 발언 내용들을 그대로 저장할 뿐 참여자들의 회의 내용들을 별도로 요약하여 저장하고 있지는 않다. 이에 따라 회의 등을 진행 후 참여자가 새로이 편집을 하여 회의록을 작성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회의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참여자들의 발언 내용 및 참여자들의 정보를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나타낼 필요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KR 10-1529254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의 진행 시 산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자동으로 회의록을 작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의 진행 시의 발언 내용 및 발언한 참여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회의 진행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국인과의 회의에서 발언 내용을 자동으로 번역하면서 디스플레이하여 회의 진행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참여자들 간의 대면 회의뿐 아니라 비대면 회의에 대한 회의록을 작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의 진행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참여자가 회의에 참여하고, 상기 복수의 참여자는 적어도 제1 참여자 및 제2 참여자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전자칠판 시스템이,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참여자의 제1 발언 및 상기 제2 참여자의 제2 발언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이, 상기 제1 발언 및 상기 제2 발언을 기초로 키워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이,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대응하는 회의록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의 진행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참여자가 회의에 참여하고, 상기 복수의 참여자는 적어도 제1 참여자 및 제2 참여자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통신 모듈; 저장 모듈; 및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참여자의 제1 발언 및 상기 제2 참여자의 제2 발언을 인식하고, 상기 제1 발언 및 상기 제2 발언을 기초로 키워드를 산출하며,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대응하는 회의록을 작성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전자칠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의 진행 시 산출된 키워드를 기초로 자동으로 회의록을 작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의 진행 시의 발언 내용 및 발언한 참여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회의 진행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국인과의 회의에서 발언 내용을 자동으로 번역하면서 디스플레이하여 회의 진행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참여자들 간의 대면 회의뿐 아니라 비대면 회의에 대한 회의록을 작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칠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의록을 작성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의록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칠판에 해당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칠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통신모듈(110), 제어모듈(120) 및 저장모듈(130)을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도 1과는 달리 저장모듈(13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술할 AI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회의실, 교실, 강의실 등 모임이 존재할 수 있는 장소라면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으며, 형태 역시 전자칠판, 전자교탁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통신모듈(11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100)의 통신모듈(110)은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5G,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저장모듈(130)은 복수의 참여자 각각에 대한 정보(ex 이름, 직책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통신모듈(110)을 통해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칠판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20)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 도 2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의록을 작성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복수의 참여자가 회의에 참여하고, 상기 복수의 참여자는 적어도 제1 참여자 및 제2 참여자를 포함하고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즉, 2명 이상의 참여자가 회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해당 회의는 대면으로도 가능하지만, 비대면으로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제1 참여자의 제1 발언 및 제2 참여자의 제2 발언을 인식(S210)할 수 있다. 상기 AI 음성 인식 모듈은 전자칠판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STT(Speak to text) 기반으로 기본적인 자연어 처리(NLP) 기능 등을 통해 참여자들의 발언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자칠판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20)은, 상기 인식한 제1 발언 및 제2 발언을 기초로 키워드를 산출(S220)할 수 있고,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대응하는 회의록을 작성(S230)할 수 있다.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마이크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에는 on/off를 결정하는 입력 버튼이 포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니터,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상기 제1 발언 내용 및 상기 제2 발언 내용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간순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인식한 발언들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참여자들 각각의 정보(ex 이름, 직급, 회사명 등)는 저장모듈(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참여자들 각각은 어느 하나의 마이크와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참여자가 제1 마이크에 부착된 버튼을 입력(ex 클릭, 터치 등)하면서 제1 발언을 하는 경우, 전자칠판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20)은 제1 참여자의 정보를 제1 발언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1 마이크(제1 참여자와 대응되는 것으로 설정)에 부착된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모듈(120)은 제1 참여자의 발언이 시작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1 발언과 함께 제1 참여자의 정보(ex 이름 등)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참여자가 제2 마이크에 부착된 버튼을 입력하면서 제2 발언을 하는 경우, 제어모듈(120)은 제2 참여자의 발언이 시작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제2 참여자의 정보를 제2 발언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마이크의 버튼이 입력되고 제1 참여자의 발언이 지속되다가, 상기 제2 마이크의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제1 참여자의 정보가 아닌 제2 참여자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기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이크의 버튼 및 상기 제2 마이크의 버튼이 동시에 입력된 경우, 제어모듈(120)은 제1 참여자 및 제2 참여자 중에서 발언을 하는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1 참여자 및 제2 참여자 모두가 발언을 하는 경우, 제어모듈(120)은 제1 참여자의 제1 발언의 소리 크기(dB)와 제2 참여자의 제2 발언의 소리 크기(dB)를 비교하여, 크기가 더 큰 발언과 해당 참여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칠판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20)은, 제1 발언을 기초로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제1 참여자를 특정하고, 제1 참여자의 정보를 제1 발언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마이크 및 입력 버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어느 참여자가 발언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AI 음성 인식 모듈에는 진폭, 진동수 등을 이용하여 참여자의 목소리를 특정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20)은, 제2 발언을 기초로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제2 참여자를 특정하고, 제2 참여자의 정보를 제2 발언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제어모듈(120)은 상기 마이크 및 버튼의 입력을 통해 1차적으로 참여자를 특정하여 해당 참여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마이크 및 버튼의 입력을 통해 참여자의 특정이 어려운 경우(ex 동시 버튼 입력, 버튼 입력 없이 발언 등), 2차적으로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참여자를 특정하고, 해당 참여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회의 진행에 있어 특정 언어가 기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참여자의 제1 발언(또는 제2 발언)이 특정 언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한국어로 설정된 회의에서, 영어, 중국어 등을 사용하는 외국인이 제1 참여자(또는 제2 참여자)로서 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전자칠판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20)은,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제1 참여자의 제1 발언을 인식하고, 번역 모듈을 통해 제1 발언을 특정 언어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1 참여자가 영어 등으로 발언하더라도 한국어로 번역된 제1 발언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자칠판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20)은, 외국인에 해당하는 제1 참여자(또는 제2 참여자)의 단말에는 해당 언어로 번역된 회의록을 전달할 수 있고, 나머지 참여자들의 단말 각각에는 기설정된 특정 언어(ex 한국어)로 작성된 회의록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의 내용에 따라 회의록의 작성 형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관련해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의록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자칠판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20)에 의해 생성되는 회의록의 경우, 종류에 따라 적어도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의록은 정기 회의, 신년 회의 등 회의 시기별로 카테고리가 분류될 수도 있고, 대규모 프로젝트, 소규모 프로젝트, 팀별 프로젝트 등 프로젝트별로 카테고리가 분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핵심 키워드 및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2 핵심 키워드 등은 저장모듈(130)에 미리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기 회의 등에 대응하는 핵심 키워드로는 '일주일, 지난주, 매월, 매달'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신년 회의 등에 대응하는 핵심 키워드로는 '연초, 올해, 작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자칠판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20)은, 제1 발언 및 제2 발언을 기초로 특정 키워드를 산출하고, 특정 키워드가 제1 핵심 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합계에 소정 점수를 추가하고, 특정 키워드가 제2 핵심 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2 합계에 소정 점수를 추가할 수 있다.
즉, 추출된 키워드가 제1 핵심 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카테고리의 제1 합계에 소정 점수가 추가되고, 제2 핵심 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제2 카테고리의 제2 합계에 소정 점수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회의 진행되면서 추출(인식)된 키워드 중 '일주일''지난주' 등이 존재하는 경우, 정기 회의(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합계에 소정 점수(ex 1점)가 각각 추가될 수 있고, 추출된 키워드 중 '연초' 등이 존재하는 경우, 신년 회의(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합계에 소정 점수(ex 1점)가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제1 핵심 키워드는 제1-1 핵심 키워드 그룹 및 제1-2 핵심 키워드 그룹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고, 제1 핵심 키워드가 제1-1 핵심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에 추가되는 제1-1 소정 점수는 제1 핵심 키워드가 제1-2 핵심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에 추가되는 제1-2 소정 점수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핵심 키워드는 카테고리를 어느 정도로 명확하게 나타내는지에 따라 그룹이 구분될 수 있고, 다른 가중치의 소정 점수가 저장모듈(130)에 기록될 수 있다. 해당 카테고리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키워드의 경우, 해당 카테고리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키워드보다 소정 점수가 높을 수 있다.
정기 회의(ex 제1 카테고리)의 경우, '일주일''지난주'라는 키워드보다 '매월' '매주'라는 키워드가 정기 회의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일주일' '지난주'는 제1-2 핵심 키워드 그룹에 포함될 수 있고, '매월' '매주'는 제1-1 핵심 키워드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핵심 키워드 그룹에 포함된 '매월''매주'가 산출되는 경우 추가되는 제1-1 소정 점수(ex 2점)는, 제1-2 핵심 키워드 그룹에 포함된 '일주일''지난주'가 산출되는 경우 추가되는 제1-2 소정 점수(ex 1점)보다 가중치가 클 수 있다.
이는 제2 핵심 키워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제2 핵심 키워드는 제2-1 핵심 키워드 그룹 및 제2-2 핵심 키워드 그룹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고, 제2 핵심 키워드가 제2-1 핵심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에 추가되는 제2-1 소정 점수(ex 2점)는, 상기 제2 핵심 키워드가 상기 제2-2 핵심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에 추가되는 제2-2 소정 점수(ex 1점)보다 가중치가 클 수 있다.
제어모듈(120)은, 상기 제1 합계 및 제2 합계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특정 회의록을 선정하고, 상기 특정 회의록을 작성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 정기 회의에 해당하는 합계(4점)가 신년 회의에 해당하는 합계(1점)보다 크므로, 제어모듈(120)은, 해당 회의를 정기 회의(카테고리)로 인식하고, 정기 회의에 대한 회의록 형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해서 작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1 합계 및 제2 합계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자칠판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20)은, 가장 먼저 산출된 키워드가 어느 카테고리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장 먼저 산출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회의록을 선정할 수 있다. 이는 먼저 언급되는 단어가 실질적인 회의의 형태를 나타내는 키워드 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합계 및 제2 합계가 동일한 경우, 제어모듈(120)은, 가중치가 높은 소정 점수에 해당하는 핵심 키워드가 많은 카테고리를 선정하고,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회의록을 선정할 수 있다. 이는 가중치가 낮은 핵심 키워드 다수보다 가중치가 높은 핵심 키워드가 보다 실질적인 회의의 형태를 나타내는 키워드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회의록은 일반적으로 회의 시작 시각, 종료 시각, 복수의 참여자의 수, 회의 장소, 대화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의록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참고로, 각 형태의 회의록 및 포함 내용 등은 저장모듈(130)에 미리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신년 회의의 회의록의 경우, 올해의 목표, 작년 성과, 올해 일정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정기 회의의 회의록의 경우, 지난주 성과, 이번주 계획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항목들은 설정에 따라 변경되고 저장모듈(130) 상에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생성된 회의록을 각 참여자들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 참여자뿐 아니라 기설정된 다른 인원(ex 대표)의 단말에게도 상기 회의록을 자동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의록을 전송하기 전,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해당 회의의 책임자의 단말에 생성된 회의록을 먼저 송부하고, 책임자로 하여금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회의록을 수정하거나, 서명 등을 입력하여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책임자의 확인(ex 전자 서명 등)을 수신한 경우,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책임자의 확인(ex 전자 서명 등)이 포함된 회의록을 각 참여자 및 기설정된 인원의 단말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일종의 전자칠판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칠판에 해당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칠판에 해당하는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AC를 공급받기 위한 AC 인넷(Innet)과, 상기 AC 인넷을 통해 공급된 AC에 의해 작동되는 파워 보드와, 상기 파워 보드에 의해 파워 온(Power On)되어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AD(Analog to Digital) 보드와, 상기 파워 보드에 의해 파워 온되어 AD 보드에서 전송된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고속응답 화질개선의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한 티콘 보드(T-CON; Timing Controller Board)와, 상기 파워 보드에 의해 파워 온되어 티콘 보드에서 전송된 타이밍 제어되고 화질개선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시각적으로 변환 시켜 화면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과, 상기 파워 보드에 의해 파워 온되어 상기 패널을 손가락이 나 전자펜으로 터치할 시에 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파워 보드에 의해 파워 온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패널 상에 판서된 내용을 캡쳐하여 PDF 파일로 변환시키기 위한 오픈형 컴퓨터인 OPS(Open Pluggable Specification)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전자칠판 시스템
110 : 통신모듈
120 : 제어모듈
130 : 저장모듈

Claims (1)

  1. 마이크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의 회의 진행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참여자가 회의에 참여하고, 상기 복수의 참여자는 적어도 제1 참여자 및 제2 참여자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a)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이,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참여자의 제1 발언 및 상기 제2 참여자의 제2 발언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이, 상기 제1 발언 및 상기 제2 발언을 기초로 키워드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이,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대응하는 회의록을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회의록의 카테고리는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상기 제1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핵심 키워드 및 상기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2 핵심 키워드가 저장모듈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은, 상기 제1 발언 및 상기 제2 발언을 기초로 특정 키워드를 산출하며,
    i) 상기 특정 키워드가 상기 제1 핵심 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합계에 소정 점수를 추가하고,
    ii) 상기 특정 키워드가 상기 제2 핵심 키워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2 합계에 상기 소정 점수를 추가하며,
    상기 제1 합계 및 상기 제2 합계의 비교 결과가 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회의록 형태를 선정하고, 상기 제1 회의록 형태에 따라 상기 저장모듈에 미리 기록된 항목들에 기초하여 상기 회의록을 작성하며,
    상기 제1 핵심 키워드는 제1-1 핵심 키워드 그룹 및 제1-2 핵심 키워드 그룹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고, 상기 제1 핵심 키워드가 상기 제1-1 핵심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에 추가되는 제1-1 소정 점수는, 상기 제1 핵심 키워드가 상기 제1-2 핵심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에 추가되는 제1-2 소정 점수보다 가중치가 크고,
    상기 제2 핵심 키워드는 제2-1 핵심 키워드 그룹 및 제2-2 핵심 키워드 그룹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고, 상기 제2 핵심 키워드가 상기 제2-1 핵심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에 추가되는 제2-1 소정 점수는, 상기 제2 핵심 키워드가 상기 제2-2 핵심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에 추가되는 제2-2 소정 점수보다 가중치가 크며,
    상기 제1 합계 및 상기 제2 합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은, 가중치가 더 큰 소정 점수에 해당하는 핵심 키워드가 많은 카테고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2 회의록 형태를 선정하며,
    상기 제2 회의록 형태에 따라 상기 저장모듈에 미리 기록된 항목들에 기초하여 상기 회의록을 작성하고,
    상기 복수의 참여자들 각각은 버튼이 포함된 어느 하나의 마이크와 매칭되며,
    상기 전자칠판 시스템은, 마이크 및 버튼의 입력을 통해 발언을 하는 참여자를 특정하여 특정된 참여자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마이크 및 버튼의 입력을 통해 발언을 하는 참여자의 특정이 어려운 경우, 상기 AI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발언을 하는 참여자를 특정하여 특정된 참여자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0095726A 2022-03-28 2022-08-01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으로 참여자를 특정하고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 KR102446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726A KR102446683B1 (ko) 2022-03-28 2022-08-01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으로 참여자를 특정하고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362A KR102430112B1 (ko) 2022-03-28 2022-03-28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전자칠판
KR1020220095726A KR102446683B1 (ko) 2022-03-28 2022-08-01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으로 참여자를 특정하고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362A Division KR102430112B1 (ko) 2022-03-28 2022-03-28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전자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683B1 true KR102446683B1 (ko) 2022-09-26
KR102446683B9 KR102446683B9 (ko) 2024-01-11

Family

ID=8282674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362A KR102430112B1 (ko) 2022-03-28 2022-03-28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전자칠판
KR1020220095723A KR102446681B1 (ko) 2022-03-28 2022-08-01 회의록의 주제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회의록을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
KR1020220095726A KR102446683B1 (ko) 2022-03-28 2022-08-01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으로 참여자를 특정하고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
KR1020220095725A KR102446682B1 (ko) 2022-03-28 2022-08-01 다양한 언어로 진행되는 회의에서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362A KR102430112B1 (ko) 2022-03-28 2022-03-28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전자칠판
KR1020220095723A KR102446681B1 (ko) 2022-03-28 2022-08-01 회의록의 주제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회의록을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725A KR102446682B1 (ko) 2022-03-28 2022-08-01 다양한 언어로 진행되는 회의에서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301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097B1 (ko) * 2022-11-15 2023-03-14 (주) 아하 Pcap 및 emr 융합터치센서가 부착된 전자칠판
KR102639477B1 (ko) * 2023-09-21 2024-02-22 (주) 아하 Chat GPT를 활용한 실시간 번역 및 전자 회의록 작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칠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254B1 (ko) 2015-02-06 2015-06-17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회의록 작성 방법
KR20160044859A (ko) * 2014-10-16 2016-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성 인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음성 인식 방법
JP2021067830A (ja) * 2019-10-24 2021-04-30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議事録作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859A (ko) * 2014-10-16 2016-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성 인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음성 인식 방법
KR101529254B1 (ko) 2015-02-06 2015-06-17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 시스템을 이용한 회의록 작성 방법
JP2021067830A (ja) * 2019-10-24 2021-04-30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議事録作成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097B1 (ko) * 2022-11-15 2023-03-14 (주) 아하 Pcap 및 emr 융합터치센서가 부착된 전자칠판
KR102639477B1 (ko) * 2023-09-21 2024-02-22 (주) 아하 Chat GPT를 활용한 실시간 번역 및 전자 회의록 작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112B1 (ko) 2022-08-05
KR102446682B1 (ko) 2022-09-26
KR102430112B9 (ko) 2024-01-11
KR102446681B9 (ko) 2024-01-11
KR102446681B1 (ko) 2022-09-26
KR102446683B9 (ko) 2024-01-11
KR102446682B9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68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으로 참여자를 특정하고 회의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칠판
Kawas et al. Improving real-time captioning experiences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US10871930B2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TWI590240B (zh) 會議記錄裝置及其自動生成會議記錄的方法
CN109324811B (zh) 一种用于更新教学录播数据的装置
US20140349259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US116578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presenting conversations
US20140315163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TWI619115B (zh) 會議記錄裝置及其自動生成會議記錄的方法
TW201624467A (zh) 會議記錄裝置及其自動生成會議記錄的方法
KR20200002141A (ko) 이미지 기반의 언어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의 시스템
KR20210097392A (ko) 회의 통역 장치
CN111326030A (zh) 一种集读听写识字学习系统、装置及方法
KR20190070682A (ko)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0683A (ko)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05886B1 (ko) 강연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136844A (ko) 녹음 또는 녹화를 위한 고객의 사전 동의를 취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36846A (ko) 고객 또는 영업 직원의 음성과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드백을 주는 방법 및 그 장치
Takagi et al. Evaluation of real-time captioning by machine recognition with human support
KR102105882B1 (ko) 학습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110064964A (ko) 지능형 언어 학습 및 발음교정 시스템
Wald Concurrent collaborative captioning
KR101957043B1 (ko) 동시통역 수업 교수자를 위한 수업 보조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0884826B1 (ko) 페이지 인덱스를 이용한 반복 학습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102639477B1 (ko) Chat GPT를 활용한 실시간 번역 및 전자 회의록 작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