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154B1 - Stat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Stat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154B1
KR102446154B1 KR1020160128864A KR20160128864A KR102446154B1 KR 102446154 B1 KR102446154 B1 KR 102446154B1 KR 1020160128864 A KR1020160128864 A KR 1020160128864A KR 20160128864 A KR20160128864 A KR 20160128864A KR 102446154 B1 KR102446154 B1 KR 102446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3
disease
inflammatory
present
stx0119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156A (ko
Inventor
조미라
최종영
전주연
이승훈
이선영
서현범
정경아
김은경
김세영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1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2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 A61K31/4725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45Oxa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TAT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STAT3 저해 활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어 효과적으로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STAT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STAT3 INHIBITOR FOR PREVENTING OR TREATING IMMUNE DISEASE OR INFLAMMATORY DISEASE}
본 발명은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STAT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약 200 여개의 관절로 이루어져 있다. 관절이란 뼈와 뼈가 만나는 부위이다. 관절은 뼈와 뼈 사이가 부드럽게 운동할 수 있도록, 연골, 관절낭, 활막, 인대, 힘줄, 근육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절에 나타나는 염증성 질환은 자가면역이 원인인 것으로 이해되는 만성 관절 류마티스, 세균 감염에 의한 감염성 관절염,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관절 연골이나 뼈에 변성이나 파괴가 일어나는 변형성 관절염, 결합조직의 퇴행성 변화로 인하여 가용성 대사 산물이 관절 주변의 결합 조직 내에 결정으로 침착되는 결정성 관절염 등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 즉 골관절염은 관절을 구성하는 연골세포(chondrocytes)에 노화 등의 퇴행이 발생하여, 연골세포에서 관절의 기질 물질들인 유형II 콜라겐(type II collagen) 및 프로테오글리칸 등의 합성이 저해됨과 동시에, 인터루킨-1(interleukin-1) 및 종양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α)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생성됨에 따라, 관절기질을 분해하는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합성 및 활성이 관절세포에서 증가됨으로 인해 관절조직이 파괴됨으로써 유발되는 질병이다.
또한, 관절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한 일산화질소의 생성과, 생성된 일산화질소에 의한 자가 증폭적인 사이토카인의 생성으로 인해 더욱 많은 MMP의 합성이 유발되어 관절기질의 분해가 촉진됨으로써 더욱 악화된다. 이와 동시에,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지질 대사산물인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증가시켜 관절염에서의 염증반응을 유발시킨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만성 전신성 염증 질환으로 대칭성, 다발성의 관절염과 이에 따른 관절의 손상 및 변형이 생기는 질환이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대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에는 경과가 불량하여 관절 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며, 더 지속되면 관절 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다. 국내에서는 전인구의 약 1%가 류마티스성 관절염으로 고생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발생률은 남성보다 여성이 3배 정도 높으며 주로 20 ~ 40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주요 원인이 점차 밝혀지고 있으며, 유전적인 요인과 감염, 호르몬의 이상 등이 원인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원인 인자로 인하여 '자가면역' 현상이 생기는데, 자가면역이란, 우리 몸의 면역조절 기능 이상으로 인해 만성 염증이 몸의 여러 부위에서 다발적,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한편, 상기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염증의 감소, 질병 진행의 지연, 요산 농도의 감소라는 주된 작용기전을 근거로 대별할 수 있는데, 많은 신경관절염 치료 약물들이 염증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염증은 통증, 부종, 열감, 발작, 경직을 일으키는 병적 과정이며, 염증을 신속히 완화시키는 약물에는 아스피린을 비롯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와 코티손을 비롯한 스테로이드성 항염제가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는 통증을 감소시켜서 신경관절을 편안하게 하고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위장장애가 나타나거나 복통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활동성 소화성 궤양이나 위장 부위의 출혈적 병력이 있는 사람에게는 사용이 금지된다. 스테로이드성 항염제는 그 효과에 비해 체중 증가나 고혈압 등의 부작용이 심각하여 퇴행성 신경관절염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스테로이드성 항염제는 질환의 원인 치료와는 전혀 무관하고, 단순히 통증을 일시적으로 감소시켜 관절의 과잉 사용을 유도할 소지가 있으며, 이는 신경관절을 파괴하고 장애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관절염 등의 관절손상에 사용되는 종래의 치료법은 한정적인 유효성을 갖고, 명백한 유독성 부작용을 수반하며,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어 그 유효성이 제한되므로, 기존의 치료법이 갖는 단점을 극복한 새로운 신규 치료법 내지는 치료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44679호
본 발명의 목적은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TAT3 억제제는 STX0119, LLL3, LLL12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TAT3 억제제는 0.1μM 내지 1000μ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TAT3 억제제는 1μM 내지 1000μM, 5μM 내지 1000μM, 10μM 내지 1000μM, 30μM 내지 1000μM, 0.1μM 내지 100μM, 0.1μM 내지 50μM, 0.1μM 내지 20μM, 1μM 내지 30μM, 1μM 내지 20μ 또는, 5μM 내지 30μ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자가면역성 뇌척수염(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천식 (Asthma), 피부염(Dermititis), 건선 (Psoriasis), 낭섬유증(Cystic Fibrosis), 고형장기 이식 후기 및 만성 거부증 (Post transplantation late and chronic solid organ rejection),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쇼그렌 증후군(Sjogren syndrome), 하시모토 갑상선(Hashimoto thyroiditis), 다발성근염(polymyositis), 경피증(scleroderma), 아디슨병(Addison disease), 백반증(vitiligo), 악성빈혈(pernicious anemia),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 폐섬유증(pulmonary fibrosis), 염증성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eseses), 자가면역성 당뇨(Autoimmune Diabetes), 당뇨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비염 (Rhinitis), 허혈-재관류 손상(Ischemiareperfusion injury), 혈관성형술후 재협착 (Post-angioplasty restenosis), 만성 폐색성 심장 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s; COPD), 그레이브병(Graves disease), 위장관 알러지 (Gastrointestinal allergies), 결막염(Conjunctivitis),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협심증(Angina), 암 전이, 소동맥 질환 및 이식편대숙주질환(graftversus-host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TAT3 억제제는 STX0119, LLL3, LLL12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TAT3 억제제는 0.1μM 내지 1000μ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TAT3 억제제는 1μM 내지 1000μM, 5μM 내지 1000μM, 10μM 내지 1000μM, 30μM 내지 1000μM, 0.1μM 내지 100μM, 0.1μM 내지 50μM, 0.1μM 내지 20μM, 1μM 내지 30μM, 1μM 내지 20μ 또는, 5μM 내지 30μ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자가면역성 뇌척수염(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천식(Asthma), 피부염(Dermititis), 건선(Psoriasis), 낭섬유증(Cystic Fibrosis), 고형장기 이식 후기 및 만성 거부증(Post transplantation late and chronic solid organ rejection),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쇼그렌 증후군(Sjogren syndrome), 하시모토 갑상선(Hashimoto thyroiditis), 다발성근염(polymyositis), 경피증(scleroderma), 아디슨병(Addison disease), 백반증(vitiligo), 악성빈혈(pernicious anemia),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 폐섬유증(pulmonary fibrosis), 염증성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eseses), 자가면역성 당뇨 (Autoimmune Diabetes), 당뇨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비염(Rhinitis), 허혈-재관류 손상(Ischemiareperfusion injury), 혈관성형술후 재협착 (Post-angioplasty restenosis), 만성 폐색성 심장 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s; COPD), 그레이브병(Graves disease), 위장관 알러지 (Gastrointestinal allergies), 결막염(Conjunctivitis),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협심증(Angina), 암 전이, 소동맥 질환 및 이식편대숙주질환(graftversus-host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STX0119, LLL3, LLL12 등과 같은 STAT3 억제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우수한 STAT3 저해 활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어 효과적으로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TX0119에 의한 STAT3 활성 억제를 보이는 웨스턴 블롯 결과(A),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보이는 ELISA(B) 및 FACS(D) 결과 및 세포독성 효과를 보이는 MTT 결과(C)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모델에서의 STX0119에 의한 질병발달 억제 평가 결과(A) 및 자가 항체 발현 역제 효과(B)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모델에서의 STX0119에 의한 관절염 증상 개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H&E 분석 결과(A) 및 IL-6, IL17 및 IL21의 발현 억제를 확인하기 위한 IHC 결과(B)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모델에서의 STX0119에 의한 Th17의 억제 및 Treg 유도 효과(A) 및 p-STAT3의 발현 억제 효과(B)를 확인하기 위한 공초점 현미경 관찰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모델의 비장에서의 STX0119에 의한 IL-6과 IL-17(A)를 발현하는 세포 억제 및 IL-10(B)을 발현하는 세포를 FACS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TX0119에 의한 이식 후 거부반응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LLL12에 의한 STAT3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루시페라아제 어세이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LLL12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면역염증 질환 환자의 말초 단핵구에서의 LLL3 및 LLL12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면역염증 질환 환자의 환부 세포에서의 LLL3 및 LLL12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면역염증 질환 환자의 환부 세포에서의 LLL3 및 LLL12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LLL3 및 LLL12에 의한 이식 후 거부반응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STATs(Signal Transducer and Transcriptions)"는 STAT1, STAT2, STAT3, STAT4, STAT5A, STAT5B, STAT6의 7개의 subunit 형태를 가지는 전사인자이다. STATs은 N-터미널 도메인(ND), 코일드-코일 도메인(CCD), DNA-바인딩 도메인(DBD), 링커 도메인(LD), Src 호몰로지2(SH2) 및 전사활성 도메인(TAD)이 포함된 6가지 별개의 구조적 도메인을 공유하며, 그 중에 STAT3는 활성화에 의해 인산화되는 C-말단에 중요한 티로신(tyrosine)과 세린(serine) 잔기(Tyrosine 705, Serine 727 residues for STAT3)를 가지고 있다. 특히, STAT3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지속적으로 활성화 되어 종양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STAT3는 다양한 사이토카인과 성장인자-인터페론, 표피의 성장인자, 혈소판 유래된 성장인자, 인터루킨5, 인터루킨6, 간세포 성장인자, LIF(leukemia inhibitory factor), 뼈 형성유전 단백질2, 호르몬 렙틴, Src와 Ras같은 발암 단백질에 대한 반응으로써 티로신 705, 세린 727의 두 잔기에 인산화를 통하여 활성화된다. STAT3는 인간 세포에서 여러 유전자의 전사에 관여하는 전사조절인자이며, 정상적인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사이토카인이나 성장 요소들에 의한 신호전달에 반응하여, 세포질에 존재하던 STAT3는 핵 안으로 이동하여 세포의 발달, 분화, 생장, 생존, 신생혈관합성 그리고 면역기능 등을 위한 유전자들을 조절한다, 그러나, STAT3가 비정상적일 경우에는 STAT3는 암의 발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많은 수의 악성종양, 동물모델 실험, 암 환자에서 활성화된 STAT3가 발견되었으며 STAT3에 의해서 암을 유발하고 발전시키는 여러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STAT3는 종양 세포에 대항하는 면역 활성화에 필요한 중재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STAT3의 활성은 유전자발현 프로그램을 변경하면서 다양한 면역 세포에서 STAT3을 활성화시키는 인자들의 생산을 촉진함으로써 항암면역 반응을 억제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STAT3 억제제는 STX0119, LLL3, LLL12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STX0119는 STAT3 저해제 XI로도 명명되며, N-(5-(Furan-2-yl)-1,3,4-oxadiazol-2-yl)-2-phenylquinoline-4-carboxamide의 구조를 갖는다. LLL3은 STA-21의 구조적 유사체로서 하기 구조를 가지며, LLL12는 STAT3 저해제 XI로도 명명되며, 하기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16096713041-pat00001
상기 STAT3 억제제는 0.1μM 내지 1000μ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STX0119는 5μM 내지 20μM의 농도일 수 있고, LLL3 및 LLL12는 1μM 내지 10μM의 농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원에서 사용된 상기 치료란 용어는 치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포유동물에 있어서 류마티스 관절염, 이식 거부 질환 등과 같은 면역질환의 치료 또는 치료요법은 하기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면역질환의 성장을 저해함, 즉, 그 발달을 저지시킴;
(2) 면역질환의 확산을 예방함, 즉, 전이를 예방함;
(3) 면역질환을 경감시킴;
(4) 면역질환의 재발을 예방함; 및
(5) 면역질환의 증상을 완화함(palliating)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STAT3 억제제를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면역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조성물의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골관절염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수용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1 x 103 ~1 x 1012 세포/kg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식품 조성물일 수 있는데, 이러한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STAT3 억제제를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STAT3 억제제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STAT3 억제제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STAT3 억제제를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STAT3 억제제를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STAT3 억제제와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STAT3 억제제와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 STX0119에 의한 STAT3활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효과와 세포독성 효과 평가
BALB/c 백그라운드를 갖는 SKG 마우스(7~8주령 수컷)(Department of Experimental Immunology, World Premier International Immunology Frontier Research Center, Osaka University)로부터 수득한 비장세포를 5x106씩 6-well plate에 5% RPMI 배지로 심은 후, STX0119(20uM, 24hrs)의 전처리 후 IL-6 (20ng/ml, 1hr) 자극에 따른 STAT3의 인산화 억제활성을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확인하였다(도 1의 A). 대조군으로 부형제만 처리하였다. 우선 비장세포로부터 세포 용해물을 수득하여 단백질 분해물을 얻은 후, p-STAT3 tyr 705(mouse, cell signaling), total STAT3(mouse, cell signaling) 및 beta-actin(mouse, santacruz)의 항체를 각각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팅을 수행하였다.
또한 SKG mice의 비장세포에 anti-CD3자극(0.5μg/mL)과 함께 STX0119의 처리에 따른 IL-17 발현 및 Th17 억제를 ELISA와 FACS로 확인하였다(도 1의 B 및 D).
구체적으로, 특이 항-mIL-17 모노클로날 항체를 96-well plate에서 비장세포의 배양 상청액과 함께 밤새 4℃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1% 우혈청 알부민 및 0.05% Tween 20으로 plate를 block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 상청액 및 표적 특이 mIL-17 재조합체를 plate에 첨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비오틴화 특이 항-mIL-17 폴리클로날 항체를 첨가하고 다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Extravidin-alkaline phosphate(Sigma Aldrich, MO, USA)를 첨가한 후 405 nm에서의 흡광도를 ELISA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ACS는 FACSCalibur apparatus(BD Biosciences,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FlowJo software(Tree Star, Ashland, OR,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SKG mice의 비장세포를 2x105씩 96-well plate에 5% RPMI 배지로 심은 후, STX0119에 의한 세포독성평가를 MTT를 이용해 확인한 결과를 도 1의 C로 나타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STX0119에 의해 STAT3 인산화는 억제되고 염증성 인자들의 발현 및 병인 T세포의 발현도 같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 약물에 의한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STX0119의 항염증성 효과를 in vitro assay로 입증하였다.
제조예 1 :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의 제조
BALB/c 백그라운드를 갖는 SKG 마우스(7~8주령 수컷)(Department of Experimental Immunology, World Premier International Immunology Frontier Research Center, Osaka University) 10마리에 Zimosan A(Sigma, St Louis, MO, USA) 용액(PBS에 현탁된 용액)을 2 mg/mice의 농도로 복강내 투여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을 유도하였다.
실시예 2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의 류마티스 관절염 개선 효과
제조예 1의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에게 STX0119(5mg/kg) 및 DMSO(vehicle; 대조)를 1일 1회 경구 투여한 후 관절염 유도 59일째에 희생시켜 류마티스 관절염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질병발달 억제평가 및 자가항체 발현 억제 효과
상기 희생된 마우스 관절을 10% 포름안데히드로 고정시키고 10% EDTA 내에서 칼슘을 제거한 후 파라핀 왁스 내에 넣은 후 H&E(hematoxylin and eosin) 염색하여 공지된 기준(Camps M, Ruckle T, Ji H, Ardissone V, Rintelen F, Shaw J, et al. Blockade of PI3Kgamma suppresses joint inflammation and damage in mouse models of rheumatoid arthritis. Nat Med 2005;11:936-943)에 따라 염증을 1부터 4까지로 점수화하였다(도 2의 A). 0은 염증이 없는 상태이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모델 마우스의 혈청을 채취한 뒤, 전체 IgG를 ELISA로 측정하여 STX0119에 의한 자가항체 발현 억제를 확인한 결과를 도 2의 B로 나타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STX0119가 주입된 관절염 마우스 모델의 경우, 관절염 지수가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관절염 치료 효과가 유도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마우스의 혈청에서 auto-antibody 생성량이 STX0119가 주입된 마우스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STX0119가 STAT3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활성이 있어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STAT3 매개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염증 및 연골파괴 지수 평가
상기 희생된 마우스 관절을 4% 파라포름안데히드로 고정시키고 EDTA 내에서 칼슘을 제거한 후 파라핀 내에 넣었다. 조직 섹션(7μm)을 H&E(hematoxylin and eosin) 염색하였다. 이 조직 섹션을 크실렌으로 탈왁스화시키고 알코올로 탈수시켰다. Endogenous peroxidase activity을 메탄올 및 3% H2O2로 ??칭하였다. Vectastain ABC kit(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 USA)를 이용하여 Immunohistochemistry(IHC)를 실시하였다. 조직을 일차 항-IL-17, 항-IL-21(R&D systems, NY, USA), 및 항-IL-6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Inc., Santa Cruz, CA, USA)와 함께 밤새 4℃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이차 항체 및 treptavidin-peroxidase complex로 1시간 동안 비오틴화하였다. DAB chromogen(DAKO, Carpinteria, CA, USA)을 이용하여 발색시켰다. 이들 섹션을 hematoxylin으로 counterstrain하였으며 Olympus photomicroscope(Tokyo, Japan)로 사진촬영하여 도 3에 나타냈다.
도 3의 A는 관절염 증상의 개선 정도를 Hematoxylin and eosin stain (H&E)로 분석한 결과 (joint inflammation, bone damage)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마우스 관절에서 Immunohistochemistry(IHC)로 IL-6, -17, -21의 발현 억제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STX0119가 주입된 관절염 마우스 모델의 경우, 염증 및 연골파괴 지수가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관절염 치료 효과를 보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마우스의 관절조직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양이 STX0119가 주입된 마우스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STX0119가 항염작용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활성이 있어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만성염증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공초점 현미경 관찰
관절염 유도 후 35일째에 마우스 비장 조직을 수득하여 PE-conjugated anti-CD4, FITC-conjugated anti-forkhead box P3(Foxp3), APC-conjugated anti-CD25, FITC-conjugated anti-IL-17, FITC-conjugated anti-pSTAT3(Y705), 및FITC-conjugated anti-pSTAT3(S727)(eBiosciences, San Diego, CA, USA)로 염색하였다. 염색된 섹션을 Zeiss microscope(LSM 510 Meta; Carl Zeiss, Oberkochen, Germany)를 이용하여 시각화시켰다(도 4).
도 4의 A는 마우스의 비장에서 Th17 (CD4+IL-17+)의 억제 및 Treg (CD4+CD25+Foxp3+)의 유도를 공초점 현미경 관찰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마우스의 비장에서 CD4+ T 세포에서의 p-STAT3의 발현 억제 효과를 공초점 현미경 관찰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STX0119가 주입된 관절염 마우스 모델의 경우, 병인 Th17 및 p-STAT3 발현이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면역억제반응을 유도하는 Treg 세포의 발현이 증가함으로써 관절염 치료 효과를 보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TX0119가 항염작용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활성이 있어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만성염증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low cytometry 측정 결과
비장세포를 D4에 대항하는 fluorescing antibody인, IFN-γ, IL-4, IL-6, IL-10 및 IL-17의 다양한 조합으로 면역염색시켰다. IFN-γ(BD Biosciences, MA, USA)에 대항하는 항체, IL-17, 및 Foxp3(eBioscience)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후, GolgiSTOP(BD Biosciences, MA, USA)의 존재 하에서 4시간 동안 phorbol myristate acetate (25 ng/L) 및 ionomycin(250 ng/mL)으로 재-자극시켜 세포내 사이토카인을 분석하였다. 세포내 염색은 kit(eBioscience, CA, USA)로 실시하고, flow cytometry는 FACSCalibur apparatus(BD Biosciences, MA, USA)를 이용하여 실시항였다. 모든 데이터는 FlowJo software(Tree Star, Ashland, OR,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5는 비장에서 IL-6 및 IL-17을 발현하는 세포 억제(A) 및 IL-10을 발현하는 세포(B)를 FACS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STX0119가 주입된 관절염 마우스 모델의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 세포 비율이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나,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억제는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STX0119에 의한 관절염 치료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TX0119가 항염작용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활성이 있어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만성염증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 STX0119에 의한 이식 거부반응 억제 효과
STX0119가 이식 후 거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험관내(in vitro)에서 96 well에 각 well 당 1x105개의 정상 수여자(Balb/c, responder)의 CD4 T 세포와 1x105개의 방사선으로 조사시킨 수여자(동종동형) 또는 공여자(C57BL/6, stimulator, 동종이형) 유래 T 세포를 제거하고, 비장세포를 넣고 혼합 배양시켰다. 이때 STX0119을 농도별로 처리하지 않거나 처리한 후 함께 72시간 배양하였다. 실험종료 16시간 전에 3H Thymidine을 처리하여 세포의 증식 정도를 b counter를 이용하여 3H Thymidine의 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STX0119에 의한 거부반응 억제 효과(Mixed Lymphocyte Reaction)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STX0119는 T 세포의 이식 후 거부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LLL12에 의한 STAT3 activity 억제 효과
STAT3 reporter vector로 luciferase assay를 진행하였다. STAT3는 HEK293 cell을 60mm dish에 seeding하여 안정화된 다음날 transfection하였다. 다음날 cell을 뜯어 96 well plate에 1x104씩 seeding 후 안정화 된 다음날 약물 처리를 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luciferase assay를 진행하였다.
STAT3 reporter는 hela cell에 형질전환된 stable cell line이며 renilla가 들어가 있지 않아 HEK293과 같은 방법으로 60mm dish에 seeding 후 renilla vector만 transfection하였다. 대조로서 empty vector cell line이 없기 때문에 hela cell을 사용하였다.
도 7로부터 LLL12 가 Hela 세포주에서 STAT3의 resposibility를 떨어뜨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LLL12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억제 효과
면역염증 질환 환자의 말초단핵구(PBMC) 세포를 분리한 후 LLL12를 2시간 전처리하고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물로부터 sup을 분리한 후 IL-17 ELISA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냈다. 도 8로부터 antiCD3 자극조건에서 IL-17이 LLL12에 의해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LLL12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다.
실시예 6: LLL13 및 LLL12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억제 효과
말초단핵구(PBMC) 세포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면역염증 질환 환자의 말초단핵구(PBMC) 세포를 분리한 후 LLL3 및 LLL12를 각각 2시간 전처리하고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물로부터 sup을 분리한 후 IFN-γ ELISA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냈다. 도 9로부터 antiCD3 자극조건에서 IFN-γ가 LLL3 및 LLL12에 의해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LLL3 및 LLL12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다.
환부 세포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면역염증 질환 환자의 활막세포액에서 세포를 분리한 후 LLL3 및 LLL12를 각각 2시간 전처리하고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물로부터 sup을 분리한 후 IFN-γ ELISA 및 TNF-a ELISA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각각 도 10 및 11에 나타냈다. 도 10 및 도 11로부터 antiCD3 자극조건에서 IFN-γ 및 TNF-a가 LLL3 및 LLL12에 의해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LLL3 및 LLL12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다.
실시예 7: LLL13 및 LLL12에 의한 이식 거부 반응 억제 효과
이식 후 거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험관내(in vitro)에서 96 well에 각 well 당 1x105개의 정상 수여자(Balb/c, responder)의 CD4 T 세포와 1x105개의 방사선으로 조사시킨 수여자(동종동형) 또는 공여자(C57BL/6, stimulator, 동종이형) 유래 T 세포 제거한 후 비장세포를 넣고 혼합 배양시켰다. 이때 LLL3와 LLL12를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지 않거나 처리한 후 함께 72시간 배양하였다. 실험종료 16시간 전에 3H Thymidine을 처리하여 세포의 증식 정도를 b counter를 이용하여 3H Thymidine의 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냈다.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LL3 및 LLL12에 의한 거부반응 억제 효과(Mixed Lymphocyte Reaction)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LLL3 및 LLL12는 T 세포의 이식 후 거부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및 이식거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써,
    상기 STAT3 억제제는 STX0119, LLL3, LLL12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TAT3 억제제는 0.1μM 내지 1000μ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4. 삭제
  5.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및 이식거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써,
    상기 STAT3 억제제는 STX0119, LLL3, LLL12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KR1020160128864A 2016-10-06 2016-10-06 Stat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46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64A KR102446154B1 (ko) 2016-10-06 2016-10-06 Stat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64A KR102446154B1 (ko) 2016-10-06 2016-10-06 Stat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156A KR20180038156A (ko) 2018-04-16
KR102446154B1 true KR102446154B1 (ko) 2022-09-22

Family

ID=6208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864A KR102446154B1 (ko) 2016-10-06 2016-10-06 Stat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465A (ko) * 2019-01-28 2020-08-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ls-stat3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412B1 (ko) 2014-06-17 2017-02-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Stat3 억제제가 처리된 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ticancer Research, 34, pp.6537-6546(2014) 1부*
British Journal of Cancer, 100, pp.106-112(2009) 1부*
International Immunology, 23(11), pp.701-712(2011) 1부*
The Journal of Immunology, 184, pp.764-774(201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156A (ko) 201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nchanatawan et al. Add-on treatment with curcumin has antidepressive effects in Thai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results of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Kim et al. The flavonoid luteolin prevents lipopolysaccharide‐induced NF‐κB signalling and gene expression by blocking IκB kinase activity i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nd bone‐marrow derived dendritic cells
Epstein et al. Curcumin suppresses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reduces IL-1β and matrix metalloproteinase-3 and enhances IL-10 in the mucosa of children and adul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Patel et al. Chromatin remodeling resets the immune system to protect against autoimmune diabetes in mice
Zwerina et al. Anti IL‐17A therapy inhibits bone loss in TNF‐α‐mediated murine arthritis by modulation of the T‐cell balance
Huang et al. Myricetin possesses anthelmintic activity and attenuates hepatic fibrosis via modulating TGFβ1 and Akt signaling and shifting Th1/Th2 balance in Schistosoma japonicum-infected mice
Kwak et al. Umbelliferone prevents lipopolysaccharide-induced bone loss and suppresses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by attenuating Akt-c-Fos-NFATc1 signaling
Chuang et al. Atractylodin suppresses dendritic cell maturation and ameliorates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a mouse model
Cheon et al. Stauntonia hexaphylla (Lardizabalaceae) leaf methanol extract inhibits osteoclastogenesis and bone resorption activity via proteasome-mediated degradation of c-Fos protein and suppression of NFATc1 expression
Xue et al. Ginsenoside Rc alleviates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by reducing mitochondrial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Role of SIRT1 activation
Paudel et al. Eckols reduce dental pulp inflammation through the ERK 1/2 pathway independent of COX‐2 inhibition
KR102446154B1 (ko) Stat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08047880A1 (fr) Agent thérapeutique pour la polyarthrite rhumatoïde
CN107438433B (zh) 含2-甲氧基-4-(3-(4-甲氧基苯基)丙-1-烯-1-基)苯酚作为活性成分的防治关节炎或炎性疾病的药物组合物
KR101564325B1 (ko) 지방유래줄기세포에 t항원을 도입한 adsc-t 세포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WO2006038656A1 (ja) アレルギー抑制剤
US10030226B2 (en) Induced regulatory T cell and use thereof
CA3065332A1 (en) Garcinol compositions for therapeutic management of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KR101705253B1 (ko) 세룰레닌 또는 세룰레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70141914A (ko) 베르바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417273B2 (ja) 精子活性化剤および精子不活性化剤
Mei et al. Aucuboside inhibits the generation of Th17 cells in mice colitis
Gao et al. Iminosugar derivative WGN-26 suppresses acute allograft rejection via inhibiting the IFN-γ/p-STAT1/T-bet signaling pathway
JP2006282639A (ja) プロスタグランジン産生阻害剤及び抗炎症剤
Errachid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influence of Epigallocatechin gallate on Sjögren's syndrome associated molecular regulators of exocyt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