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801B1 -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801B1
KR102445801B1 KR1020200151341A KR20200151341A KR102445801B1 KR 102445801 B1 KR102445801 B1 KR 102445801B1 KR 1020200151341 A KR1020200151341 A KR 1020200151341A KR 20200151341 A KR20200151341 A KR 20200151341A KR 102445801 B1 KR102445801 B1 KR 102445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d
coupled
drawer
base par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4815A (ko
Inventor
지선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8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드로어의 일 실시예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클래드,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클래드의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클래드, 및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클래드 및 상부클래드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부클래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클래드는, 하부클레드 및 베이스부를 관통하고,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구조가 개선된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장고에 구비된 저장영역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식품을 냉동 보관 또는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영역 예를 들어 냉동실과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예들 들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넷 내부에 구비되며, 각각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는 캐비넷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도어에는 저장실 내부의 밀폐를 위해 가스켓이 구비된다.
냉장고에는 저장 대상물이 수납되는 드로어(drawer)가 구비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드로어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드로어의 내측에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클래드를 부착한 드로어가 제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는 드로어 외형과 이러한 드로어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클래드는 재질의 차이로 인해, 열변형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특히, 냉동실에 드로어가 배치되는 경우, 드로어 외형과 클래드의 재질에 따른 열변형율의 차이는 냉동실의 저온의 분위기에서 크게 부각될 수 있다.
따라서, 열변형율의 차이로 인해, 드로어 외형과 클래드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거나, 이들 사이의 결합이 파손되는 문제가 수 있다.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비용을 투입하지 않고, 베이스부와 클래드를 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진 드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변형율이 서로 다른 베이스부와 클래드가 저온의 환경인 냉장고 내부에서도 열변형율의 차이로 인해 서로간 결합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드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드로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드로어의 일 실시예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클래드,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클래드의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클래드, 및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클래드 및 상부클래드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부클래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클래드는, 하부클레드 및 베이스부를 관통하고,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부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스크류볼트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플랜지는, 결합돌출부에 스크류볼트에 의해 결합하고, 스크류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일단은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클래드의 하부에 연결되고, 플랜지가 결합돌출부에 결합하는 경우에 벤딩(bending)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클래드는, 하부클래드의 바닥을 형성하고, 베이스부의 바닥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1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하부클래드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단부에 상부클래드의 플랜지가 관통하는 후크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는, 일측이 제2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플랜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피스, 및 제1피스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는, 길이방향이 베이스부의 측“‡향으로 형성되고 후크가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드로어의 일 실시예는, 길이방향이 베이스부의 측“‡향으로 배치되고,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여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 내부에 배치되고, 베이스부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바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의 일 실시예는, 개구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바, 및 일측은 디바이더에 결합하고, 타측은 가이드바에 이동가능 하도록 결합하는 가이드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클래드, 하부클래드 및 측부클래드는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의 일 실시예는, 냉장실, 및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되고, 드로어가 구비되는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클래드,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클래드의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클래드,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클래드 및 상부클래드의 측면에 결합하는 측부클래드, 및 베이스부 내부에 배치되고, 베이스부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바이더를 포함하고, 상부클래드는, 하부클레드 및 베이스부를 관통하고,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부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스크류볼트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플랜지는, 결합돌출부에 스크류볼트에 의해 결합하고, 스크류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일단은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클래드의 하부에 연결되고, 플랜지가 결합돌출부에 결합하는 경우에 벤딩(bending)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로어에서, 상부클래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하부클래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에 결합시키고, 상기 플랜지는 베이스부의 외부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하부클래드와 상부클래드를 베이스부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로어에서, 결합돌출부는 커버부재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 결합돌출부에 상부클래드를 결합시킴으로써, 상부클래드와 하부클래드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베이스부에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베이스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전술한 구조를 가진 드로어를 채용함으로써, 냉장고 전체의 제작비용을 절약하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다른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또 다른 분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2에서 일부 부품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일부 부품을 추가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냉장고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넷(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넷(10)의 상부에는 냉장실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냉동실이 구비된다. 다른 실시예로, 냉장고는 캐비넷(10)의 하부에 냉장실이 구비되고, 상부에 냉동실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캐비넷(100)의 상부에는 도어(20, 21)가 힌지부재(4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2개의 도어(20, 21)를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의 도어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어(20, 21)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 21)를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22)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손잡이부(22)의 형상이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어(21)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물이나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캐비넷(10)의 하부에는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하부도어(20a)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디스펜서(20a)는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필수구성이 아니고, 상기 디스펜서(20a)가 없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drawer)는 냉장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이하에서는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어(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론, 상기 드로어(50)는 냉장실에 구비될 수도 있다.
냉장고는 냉장실,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되고, 드로어(50)가 구비되는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5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고 음식물 등의 저장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는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동실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부도어는 미닫이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하부도어를 개방하면 저장 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로어(50)에 접근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측부 및 바닥부를 덮는 클래드로 구비될 수 있다.
클래드는 박판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박판의 금속을 압연, 벤딩(bending) 등의 방식으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을 사출가공하여 제작되는 베이스부(100)에 클래드를 덮음으로써, 드로어(50)에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더할 수 있다. 또한, 클래드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제작되어 드로어(50)의 수납공간 전체에 균일한 온도를 가지도록 하여, 특히 음식물 등의 저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금속재질의 클래드가 구비됨으로써, 플라스틱으로부터 나오는 유해한 물질이 음식물 등의 저장 대상물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드로어(50) 전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드로어(50) 전체를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드로어(50)의 무게, 제작비용을 고려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부(100)의 내부에 금속박판으로 된 클래드를 덮는 방식으로 상기 드로어(50)가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클래드를 베이스부(10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클래드가 베이스부(100)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으면, 드로어(50)의 내구성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특히, 냉장고에 수납되는 드로어(50)는 상온에 비해 큰 온도변화가 있는 분위기에 놓이게 된다. 이때, 플라스틱으로 된 베이스부(100)와 금속으로된 클래드는 온도차에 의한 변형율 즉, 열변형율이 서로 다르므로, 상온에세 결합된 베이스부(100)와 클래드는 온도가 낮은 냉장고에 배치되면, 열변형율의 차이로 인해,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따라서 그 결합이 파손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영하 수십도℃의 환경인 냉동실에 드로어(50)가 수납되는 경우, 열변형율의 차이로 인한 베이스부(100)와 클래드 사이의 이격, 결합파손은 더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간결한 구조를 가지면서 베이스부(100)와 클래드 사이에 견고한 결합을 하는 구조를 가진 드로어(50)를 제안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다른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또 다른 분해도이다.
실시예에서, 드로어(50)는 외부에 결합하는 외장재가 구비될 수 있으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외장재의 도시을 생략하였다. 드로어(50)는 베이스부(100)와 클래드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대체로 상측이 개방된 6면체의 상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래드는 베이스부(100)의 내부의 측부와 바닥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고, 박막의 금속판을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클래드는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클래드는 하부클래드(200), 상부클래드(300) 및 측부클래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클래드(300), 상기 하부클래드(200) 및 상기 측부클래드(400)는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클래드(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지만, 상기 하부클래드(200)는 상부클래드(300)와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상부클래드(300)와 베이스부(100)의 견고한 결합에 의해 상기 베이브부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클래드(200)는 제1플레이트(210)와 제2플레이트(21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10)와 제2플레이트(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210)는 상기 하부클래드(200)의 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210)는 상기 제1플레이트(21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클래드(200)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210)는 제1플레이트(210)의 양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제2플레이트(210)는 후술하는 상부클래드(300)와 함께 베이스부(100) 내부의 4개의 측면 중 2개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클래드(3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클래드(200)의 상측에 결합할 수 있다. 상부클래드(30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하부클래드(200)의 제2플레이트(210) 각각에 결합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클래드(300)는 한 쌍의 제2플레이트(210)와 함께 베이스부(100) 내부의 4개의 측면 중 2개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측부클래드(4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클래드(200) 및 상기 상부클래드(3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측부클래드(4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측부클래드(400)는 베이스부(100) 내부의 4개의 측면 중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가 덮는 부분은 제외한 나머지 2개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측부클래드(4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부에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클래드(200) 또는 상부클래드(300)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베이스부(100)는 개구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0)는 길이방향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0)는 후술하는 제2플레이트(210)의 후크(221)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0)는 베이스부(10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고, 개구부(120)에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가 결합하는 부위가 장착될 수 있다.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는 그 결합하는 부위가 형합부(700)를 형성할 수 있다.
형합부(700)는 하부클래드(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셀(700a)과 상부클래드(3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셀(700b)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형합부(700)는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20)는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가 결합하는 베이스부(100)의 양측 측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형합부(700)는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개구부(12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형합부(700)는 베이스부(100)의 개구부(12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합부(700)가 상기 베이스의 개구부(120)에 끼워짐으로써,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는 베이스부(100)에 장착될 수 있다.
형합부(700)를 이루는 하부클래드(200)에 구비되는 제1셀(700a)은 하부클래드(200)의 제2플레이트(210)로부터 절곡된 후 다시 한번더 절곡되어 그 단면이 대체로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셀(700a)의 양단에는 제1셀(700a)로부터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곡부에는 후술하는 가이드바(63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홀(701)(도 10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형합부(700)를 이루는 상부클래드(300)에 구비되는 제2셀(700b)은 상부클래드(300)의 상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셀(700b)의 단부에 구비되는 플랜지(310)가 베이스부(10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110)와 결합함으로써, 상부클래드(300)는 베이스부(1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는 커버부재(610) 및 디바이더(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610)는 길이방향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120)를 폐쇄할 수 있다. 커버부재(610)는 베이스부(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개구부(120)를 폐쇄하기 위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610)는 베이스부(100)의 외측에 결합하여 후술하는 가이드바(630)의 양단을 덮어 상기 가이드바(630)가 드로어(5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부재(610)는 베이스부(100)의 외부에 상기 베이스부(1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결합돌출부(110)에 스크류볼트(500)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할 수 있다.
후술하지만, 상기 결합돌출부(110)에는 상부클래드(300)에 구비되는 플랜지(310)가 스크류볼트(50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출부(110)에는 상부클래드(300) 및 커버부재(610)가 공통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디바이더(620)는 상기 베이스부(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디바이더(620)는 저장 대상물이 수납되는 드로어(50)의 내부를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 실시예로 하나의 디바이더(62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디바이더(620)는 2개 이상으로 상기 드로어(50)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디바이더(620)를 베이스부(100)의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디바이더(620)가 구획하는 복수의 영역에 종류가 다른 저장 대상물을 분리하여 상기 드로어(50)에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더(62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 몸체에 금속 박판을 덮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는 가이드바(630) 및 가이드브라켓(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630) 및 가이드브라켓(640)은 상기 디바이더(620)가 베이스부(100)의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바(630)는 상기 개구부(120)에 배치될 수 있고, 그 길이“‡향이 개구부(120)의 길이“‡향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630)의 양단부는 하부클래드(20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630)의 양단부는 베이스부(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바(63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베이스부(1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바(630)의 단부는 하부클래드(200)의 제1셀(700a)의 측부에 형성되는 장착홀(701)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클래드(2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630)의 단부는 장착홀(701)을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외부에 형성되는 장착홈(10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바(630)는 상기 장착홀(701)과 장착홈(101)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클래드(200)와 베이스부(100)에 의해 지지되고, 드로어(5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630)는 예를 들어, 내구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이드브라켓(640)은 일측은 상기 디바이더(620)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바(630)에 이동가능 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브라켓(640)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디바이더(620)의 양측에 결합하고, 한 쌍의 가이드바(63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640) 각각에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브라켓(640)은 가이드바(63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베이스부(100)의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브라켓(640)이 가이드바(63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가이드바(630)와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상기 가이드바(630)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디바이더(620)는 베이스부(100)의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2에서 일부 부품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일부 부품을 추가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클래드(300)는 상기 하부클레드 및 상기 베이스부(100)를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외측에 결합하는 플랜지(3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스크류볼트(500)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출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610)를 결합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출부(110)는 나사가 결합하기 위한 나사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출부(110)는 커버부재(610)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610)가 장착되는 베이스부(100)의 개구부(120)에 인접하여 상기 개구부(12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될 수 있고, 개구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출부(110)에 커버부재(610)와 플랜지(310)를 공통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를 베이스부(100)에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부클래드(300)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310)를 하부클래드(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221)에 결합시키고, 상기 플랜지(310)는 베이스부(10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110)에 결합시킴으로써,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를 베이스부(10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돌출부(110)는 커버부재(610)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 결합돌출부(110)에 상부클래드(30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부클래드(300)와 하부클래드(200)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베이스부(100)에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베이스부(10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310)는 상부클래드(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클래드(30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310)는 상부클래드(300)의 제2셀(700b)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310)는 결합부(311) 및 연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11)는 상기 결합돌출부(110)에 상기 스크류볼트(500)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스크류볼트(500)가 삽입되는 삽입홀(311a)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클래드(200) 및 상부클래드(300)가 베이스부(100)에 결합하는 경우에 플랜지(310)는 결합돌출부(11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310)의 개수는 베이스부(100)의 측방향으로 배치된 결합돌출부(110)의 개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플랜지(310)의 개수는 하부클래드(200) 및 상부클래드(300)가 베이스부(1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로 선택할 수 있다.
연결부(312)는 일단은 상기 결합부(31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클래드(300)의 하부 즉, 제2셀(700b)에 연결되고,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310)가 상기 결합돌출부(110)에 결합하는 경우에 벤딩(bending)될 수 있다.
플랜지(310)가 결합돌출부(11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부(312)가 벤딩되어 결합부(311)의 삽입홀(311a)이 결합돌출부(110)에 형성된 나사홀(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에 스크류볼트(500)가 삽입홀(311a)과 나사홀(111)에 삽입된 후에 스크류볼트(500)를 체결하여 플랜지(310)와 커버부재(610)를 베이스부(100)에 결합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클래드(200)의 제2플레이트(210)에는 그 상단부 즉, 제1셀(700a)의 단부에 상기 상부클래드(300)의 상기 플랜지(310)가 관통하는 후크(2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221)는 하부클래드(200)의 제1셀(700a)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크(221)는 상기 플랜지(31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후크(221)는 제1피스(221a) 및 제2피스(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셀(700a)은 일측이 상기 제2플레이트(21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10)가 관통하는 관통홀(2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피스(221b)는 상기 제1피스(221a)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가 베이스부(100)에 결합하는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0 및 도 11에서는 가이드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베이스부(100)에 형성되는 개구부(120)에는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형합부(7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310)는 후크(221)에 형성된 관통홀(2211)에 삽입되고 또한 개구부(1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2211)과 개구부(120)에 삽입된 플랜지(310)는 작업자에 의해 벤딩될 수 있다. 플랜지(310)가 벤딩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10)의 삽입홀(311a)과 결합돌출부(110)의 나사홀(11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부재(610)를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개구부(120)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에 작업자는 스크류볼트(500)를 커버부재(610)의 홀, 플랜지(310)의 삽입홀(311a) 및 결합돌출부(110)의 나사홀(111)에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스크류볼트(50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나의 스크류볼트(500)로 커버부재(610) 및 플랜지(310)를 동시에 베이스부(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랜지(310)는 후크(221)의 관통홀(2211)에 삽입되므로, 플랜지(310)가 베이스부(100)에 결합되면, 플랜지(310)에 결합된 후크(221)도 베이스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310)가 형성되는 상부클래드(300)와 후크(221)가 형성되는 하부클래드(200)는 스크류볼트(500)에 의해 베이스부(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동일한 스크류볼트(500)에 의해, 커버부재(610), 하부클래드(200) 및 상부클래드(300)가 베이스부(100)에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인해,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베이스부(100)에 마련하지 않고, 커버부재(610)의 결합에 사용되는 결합돌출부(110)를 이용하여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를 베이스부(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캐비넷 20: 도어
20a: 하부도어 21: 도어
22: 손잡이부 30: 디스펜서
40: 힌지부재 50: 드로어
100: 베이스부 101: 장착홈
110: 결합돌출부 111: 나사홀
120: 개구부 200: 하부클래드
210: 제1플레이트 220: 제2플레이트
221: 후크 221a: 제1피스
2211: 관통홀 221b: 제2피스
300: 상부클래드 310: 플랜지
311: 결합부 311a: 삽입홀
312: 연결부 400: 측부클래드
500: 스크류볼트 610: 커버부재
620: 디바이더 630: 가이드바
640: 가이드브라켓 700: 형합부
700a: 제1셀 700b: 제2셀
701: 장착홀

Claims (11)

  1.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클래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클래드의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클래드; 및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클래드 및 상기 상부클래드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부클래드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클래드는,
    상기 하부클래드 및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스크류볼트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벤딩되어 상기 스크류볼트에 의해 상기 결합돌출부에 결합하는,
    드로어(draw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결합돌출부에 상기 스크류볼트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스크류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일단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클래드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결합돌출부에 결합하는 경우에 벤딩(bending)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드로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클래드는,
    상기 하부클래드의 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클래드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단부에 상기 상부클래드의 상기 플랜지가 관통하는 후크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드로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일측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피스; 및
    상기 제1피스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피스
    를 포함하는,
    드로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길이방향이 상기 베이스부의 측“‡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드로어.
  6. 제5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이 상기 베이스부의 측“‡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드로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바이더
    를 더 포함하는,
    드로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바; 및
    일측은 상기 디바이더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바에 이동가능 하도록 결합하는 가이드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드로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클래드, 상기 하부클래드 및 상기 측부클래드는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형성되는,
    드로어.
  10. 냉장실; 및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되고, 드로어가 구비되는 냉동실
    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클래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클래드의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클래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클래드 및 상기 상부클래드의 측면에 결합하는 측부클래드; 및
    상기 베이스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바이더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클래드는,
    상기 하부클래드 및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스크류볼트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벤딩되어 상기 스크류볼트에 의해 상기 결합돌출부에 결합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결합돌출부에 상기 스크류볼트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스크류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일단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클래드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결합돌출부에 결합하는 경우에 벤딩(bending)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00151341A 2020-11-12 2020-11-12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44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341A KR102445801B1 (ko) 2020-11-12 2020-11-12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341A KR102445801B1 (ko) 2020-11-12 2020-11-12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815A KR20220064815A (ko) 2022-05-19
KR102445801B1 true KR102445801B1 (ko) 2022-09-20

Family

ID=8180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341A KR102445801B1 (ko) 2020-11-12 2020-11-12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8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784B1 (ko) * 2007-09-11 2010-03-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부 및 이를 이용한 서랍식 냉장고
KR101221301B1 (ko) * 2010-06-15 2013-01-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서랍실
KR102143016B1 (ko) * 2013-09-09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바스켓
KR102174511B1 (ko) * 2013-12-23 202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바이더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60038357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용 서랍
KR101861279B1 (ko) * 2015-09-21 2018-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냉기 유량 모니터링 시스템
US10408532B1 (en) * 2018-06-20 2019-09-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lluminated adjustable divider for a storage bin of a refrigerator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815A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0703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702614B2 (en) Refrigerator
US7008032B2 (en) Refrigerator incorporating french doors with rotating mullion bar
KR101622008B1 (ko) 냉장고용 중앙 격벽 밀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8851590B2 (en) Refrigerator having sub door
KR102396040B1 (ko) 냉장고
KR102629953B1 (ko) 냉장고
US9709316B2 (en) Spring loaded mullion for french door refrigerator
EP2893274B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3119965A (ja) 冷蔵庫
US20080203878A1 (en) Refrigerator with regulation members
KR102445801B1 (ko)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519135B1 (ko) 냉장고
US20100180626A1 (en) Refrigerator
CN108027196B (zh) 冷藏库
CN104105933B (zh) 冰箱
KR20080079103A (ko) 냉장고의 저장바스켓
KR102620275B1 (ko) 냉장고
KR101902247B1 (ko) 분리바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12424549B (zh) 一种冰箱用支撑部件以及具备该支撑部件的冰箱
KR102394402B1 (ko) 냉장고
JP2017207257A (ja) 冷蔵庫および引き出し式の扉
KR20070109517A (ko) 냉장고
KR20220090198A (ko) 선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30132219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