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693B1 -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693B1
KR102445693B1 KR1020220029981A KR20220029981A KR102445693B1 KR 102445693 B1 KR102445693 B1 KR 102445693B1 KR 1020220029981 A KR1020220029981 A KR 1020220029981A KR 20220029981 A KR20220029981 A KR 20220029981A KR 102445693 B1 KR102445693 B1 KR 10244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groove
frame
seated
driving
safety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호
김진하
정강민
정정희
김훈
이혜순
민동기
김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메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메카
Priority to KR102022002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06Means for transporting or storing helm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항타/항발기 등과 같은 각종 건설장비에 의한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설현장의 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로서, 자신이 운전하는 장비의 검사 항목 또는 검사 방법을 전달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각 장비 별로 수행하여야 할 검사 항목 및 각 장비의 검사 방법을 해당 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안전사고 방지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Construction Equipment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
본 발명은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워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항타/항발기 등과 같은 각종 건설장비에 의한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 건설 시공기술은 현재 선진국과 나란히 견줄 수 있는 수준까지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지하 구조물이나 고층 건물 등의 건설 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요구와 노력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GPS(위성항법장치)가 제공하는 위치를 공사 현장 대부분에서는 확보하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한 구조물과 지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터널 및 공동구 등 지하 구조물의 건설 현장이나 복잡하고 대형화되는 고층 건물은 지하 구조물 및 고층 건물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작업자의 위치 및 상태 파악, 작업 진행 상황 파악 등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안전사고, 화재, 폭발, 지진 및 붕괴 등의 위험 상황 발생시 작업자에 대한 신속한 구조, 및 지하 구조물 작업 현장에서의 안전하고 원활한 작업 진행을 위한 작업 지시와 의사소통 등을 위해 작업자의 위치 및 상태 파악, 작업 진행 상황 파악 등이 더욱더 중요하다
그러나, 작업 현장의 복잡한 구조, 소음, 진동, 분진 및 전파간섭 등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작업자의 3차원 위치 추적/관리 및 유/무선 통신환경 구현에 한계가 있으며, 실내 등에서는 GPS 사용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특히, 지하구조물 건설현장을 비롯한 많은 건설현장에서의 사고사례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고, 신속한 대응 및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많은 인명피해가 일어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28822호 한국등록특허 제10-225693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타워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항타/항발기 등과 같은 각종 건설장비에 의한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건설현장의 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로서, 자신이 운전하는 장비의 검사 항목 또는 검사 방법을 전달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각 장비 별로 수행하여야 할 검사 항목 및 각 장비의 검사 방법을 해당 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안전사고 방지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운전자로부터 검사의 완료가 입력되면 검사가 완료된 장비의 사진 촬영을 운전자에게 요청하며, 검사가 완료된 장비의 사진이 촬영되면 촬영된 사진을 상기 안전사고 방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사고 방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사의 완료가 수신되면 검사 완료에 대응하는 보고서를 자동 생성시킨 뒤 건설 현장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로 생성된 보고서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사고 방지 서버는, 안전검사 또는 비파괴검사를 통해 받은 성적서를 장비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사용자로부터 특정 장비의 건설기계 정보조회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저장해 둔 상기 특정 장비의 성적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동시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안전사고 방지 서버로 전송하는 다기능 안전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기능 안전모는,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모자 바디; 상기 모자 바디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안전사고 방지 서버로 전송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모자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 유닛을 상기 모자 바디에 연결 설치시키며, 상기 촬영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유닛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 이동부는, 상기 촬영 유닛의 하측이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측면이 평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모자 바디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마운트;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마운트의 상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홈; 상기 이동홈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슬라이딩홈이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며,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2 슬라이딩홈이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전진 프레임;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단에 상기 촬영 유닛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홈에 안착되는 하부 돌기의 후단이 설치되는 제2 전진 프레임; 및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1 전진 프레임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전진 프레임을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으로부터 동시에 노출 또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으로 동시에 삽입시켜 주는 프레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구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측에 전후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동 실린더; 상기 구동 실린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실린더의 전방으로 노출되거나 상기 구동 실린더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 피스톤; 하단이 상기 구동 피스톤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1 전진 프레임의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피스톤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제1 전진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1 구동 기어; 및 상기 제1 전진 프레임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상단이 상기 제1 전진 프레임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측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전진 프레임의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 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제1 전진 프레임이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서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제2 전진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2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진 프레임은, 내측을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제1 프레임 바디; 상기 제2 구동 기어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상측에 형성되는 기어 설치 윈도우; 및 상기 제1 구동 기어의 상단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3 기어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진 프레임은,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단에 상기 하부 돌기의 후단이 설치되는 제2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제2 구동 기어의 하단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바디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4 기어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운전자가 손쉽게 모바일 화면의 지시에 따라 검사항목, 검사방법 등을 가이드 받고 사진을 촬영하여 검사결과를 입력함으로써 보고서가 자동 생성되고 건설현장의 관리자에게 SNS를 통하여 보고서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그동안의 형식적인 일일안전점검을 실제적인 검사가 수행되어 건설현장에서 1차적으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문검사원이 아닌 건설현장의 관리자 또는 협력업체가 주기적으로 정해진 시기에 보다 수준 높은 검사를 손쉽게 모바일 화면의 지시에 따라 건설기계의 검사항목, 검사방법 등을 가이드 받고 사진을 촬영하여 검사결과를 입력함으로써 보고서가 자동 생성되고 건설장비의 현황 및 컨디션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설장비의 안전사고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사전에 안전검사, 비파괴검사 받은 건설장비의 성적서를 사전에 건설현장에서 제공받아 검토하고 적합한 건설장비를 직접 요청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검사성적서의 신뢰성 안전한 건설장비의 확보, 불필요한 검사대기시간을 없애 공사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3의 다기능 안전모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의 유닛 이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5의 제1 전진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제2 전진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안전사고 방지 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타워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항타/항발기 등과 같은 건설현장의 장비(P)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로서, 자신이 운전하는 장비의 검사 항목 또는 검사 방법을 안전사고 방지 서버(200)로부터 네트워크(N)를 통해 전달받는다.
안전사고 방지 서버(200)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각 장비 별로 수행하여야 할 검사 항목 및 각 장비의 검사 방법을 해당 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기(100)로 네트워크(N)를 통해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운전자로부터 검사의 완료가 입력되면 검사가 완료된 장비의 사진 촬영을 운전자에게 요청하며, 검사가 완료된 장비의 사진이 촬영되면 촬영된 사진을 안전사고 방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사고 방지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검사의 완료가 수신되면 검사 완료에 대응하는 보고서를 자동 생성시킨 뒤 건설 현장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로 생성된 보고서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사고 방지 서버(200)는, 안전검사 또는 비파괴검사를 통해 받은 성적서를 장비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사용자로부터 특정 장비의 건설기계 정보조회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저장해 둔 특정 장비의 성적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10)은, 운전자가 손쉽게 모바일 화면의 지시에 따라 검사항목, 검사방법 등을 가이드 받고 사진을 촬영하여 검사결과를 입력함으로써 보고서가 자동 생성되고 건설현장의 관리자에게 SNS를 통하여 보고서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그동안의 형식적인 일일안전점검을 실제적인 검사가 수행되어 건설현장에서 1차적으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문검사원이 아닌 건설현장의 관리자 또는 협력업체가 주기적으로 정해진 시기에 보다 수준 높은 검사를 손쉽게 모바일 화면의 지시에 따라 건설기계의 검사항목, 검사방법 등을 가이드 받고 사진을 촬영하여 검사결과를 입력함으로써 보고서가 자동 생성되고 건설장비의 현황 및 컨디션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설장비의 안전사고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사전에 안전검사, 비파괴검사 받은 건설장비의 성적서를 사전에 건설현장에서 제공받아 검토하고 적합한 건설장비를 직접 요청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검사성적서의 신뢰성 안전한 건설장비의 확보, 불필요한 검사대기시간을 없애 공사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20)은, 사용자 단말기(100), 안전사고 방지 서버(200) 및 다기능 안전모(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 및 안전사고 방지 서버(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기능 안전모(400)는,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동시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안전사고 방지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20)은,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작업자 주변의 영상 획득을 통해 작업현장에 존재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의 발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손쉽게 모바일 화면의 지시에 따라 검사항목, 검사방법 등을 가이드 받고 사진을 촬영하여 검사결과를 입력함으로써 보고서가 자동 생성되고 건설현장의 관리자에게 SNS를 통하여 보고서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그동안의 형식적인 일일안전점검을 실제적인 검사가 수행되어 건설현장에서 1차적으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문검사원이 아닌 건설현장의 관리자 또는 협력업체가 주기적으로 정해진 시기에 보다 수준 높은 검사를 손쉽게 모바일 화면의 지시에 따라 건설기계의 검사항목, 검사방법 등을 가이드 받고 사진을 촬영하여 검사결과를 입력함으로써 보고서가 자동 생성되고 건설장비의 현황 및 컨디션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설장비의 안전사고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사전에 안전검사, 비파괴검사 받은 건설장비의 성적서를 사전에 건설현장에서 제공받아 검토하고 적합한 건설장비를 직접 요청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검사성적서의 신뢰성 안전한 건설장비의 확보, 불필요한 검사대기시간을 없애 공사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3의 다기능 안전모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기능 안전모(400)는, 모자 바디(410), 촬영 유닛(420) 및 유닛 이동부(500)를 포함한다.
모자 바디(410)는,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한다.
촬영 유닛(420)은, 유닛 이동부(500)에 의해 모자 바디(410)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한 뒤 안전사고 방지 서버(200)로 전송한다.
유닛 이동부(500)는, 모자 바디(4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촬영 유닛(420)을 모자 바디(410)에 연결 설치시키며, 촬영 유닛(4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안전모(400)는, 작업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한편, 바닥에 안전모를 안착시켜 놓은 상태에서도 촬영 유닛(4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촬영 유닛(420)의 촬영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 유닛(420)의 전단을 구멍 등에 삽입하여 쉽게 촬영할 수 없는 공간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의 유닛 이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유닛 이동부(500)는, 상부 마운트(510), 이동홈(520), 고정 프레임(530), 제1 전진 프레임(540), 제2 전진 프레임(550) 및 프레임 구동부(560)를 포함한다.
상부 마운트(510)는, 촬영 유닛(420)의 하측이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측면이 평면을 형성하면서 모자 바디(410)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고정 프레임(530), 제1 전진 프레임(540), 제2 전진 프레임(550) 및 프레임 구동부(56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이동홈(520)은,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부 마운트(510)의 상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고정 프레임(530)은, 이동홈(520)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제1 전진 프레임(5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슬라이딩홈(S1)이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전진 프레임(540)은, 제1 슬라이딩홈(S1)에 안착되며, 제2 전진 프레임(5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2 슬라이딩홈(S2)이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전진 프레임(550)은, 제2 슬라이딩홈(S2)에 안착되며, 제2 슬라이딩홈(S2)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단에 촬영 유닛(420)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이동홈(520)에 안착되는 하부 돌기(421)의 후단이 설치된다.
프레임 구동부(560)는, 제1 슬라이딩홈(S1)에 안착되는 제1 전진 프레임(540)과 제2 슬라이딩홈(S2)에 안착되는 제2 전진 프레임(550)을 제1 슬라이딩홈(S1)과 제2 슬라이딩홈(S2)으로부터 동시에 노출 또는 제1 슬라이딩홈(S1)과 제2 슬라이딩홈(S2)으로 동시에 삽입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동부(560)는, 구동 실린더(561), 구동 피스톤(562), 제1 구동 기어(563) 및 제2 구동 기어(56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실린더(561)는, 고정 프레임(530)의 하측에 전후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구동 피스톤(56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구동 피스톤(562)은, 구동 실린더(561)의 전단에 설치되며, 구동 실린더(561)의 전방으로 노출되거나 구동 실린더(56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제1 구동 기어(56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제1 구동 기어(563)는, 하단이 구동 피스톤(562)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기어산(562a)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단이 제2 슬라이딩홈(S2)에 안착되는 제1 전진 프레임(540)의 하측, 즉 제3 기어산(54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구동 피스톤(562)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제1 슬라이딩홈(S1)에서 제1 전진 프레임(54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제2 구동 기어(564)는, 제1 전진 프레임(540)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상단이 제1 전진 프레임(54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고정 프레임(530)의 상측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하단이 제2 슬라이딩홈(S2)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제2 슬라이딩홈(S2)에 안착되는 제2 전진 프레임(550)의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구동 기어(563)가 회전하여 제1 전진 프레임(540)이 제1 슬라이딩홈(S1)에서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제2 슬라이딩홈(S2)에서 제2 전진 프레임(55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도 9는 도 5의 제1 전진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전진 프레임(540)은, 제1 프레임 바디(541), 기어 설치 윈도우(542) 및 제3 기어산(543)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 바디(541)는, 후술하는 제2 프레임 바디(551)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을 따라 제2 슬라이딩홈(S2)이 형성되며, 제1 슬라이딩홈(S1)에 안착된다.
기어 설치 윈도우(542)는, 제2 구동 기어(564)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바디(541)의 상측에 형성된다.
제3 기어산(543)은, 제1 구동 기어(563)의 상단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바디(541)의 하측을 따라 형성된다.
도 10은 도 5의 제2 전진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전진 프레임(550)은, 제2 프레임 바디(551) 및 제4 기어산(552)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 바디(551)는, 제2 슬라이딩홈(S2)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제2 슬라이딩홈(S2)에 안착되며, 제2 슬라이딩홈(S2)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단에 하부 돌기(421)의 후단이 설치된다.
제4 기어산(552)은, 제2 구동 기어(564)의 하단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 바디(551)의 상측을 따라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안전사고 방지 서버
400: 다기능 안전모
500: 유닛 이동부

Claims (2)

  1. 건설현장의 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로서, 자신이 운전하는 장비의 검사 항목 또는 검사 방법을 전달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각 장비 별로 수행하여야 할 검사 항목 및 각 장비의 검사 방법을 해당 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안전사고 방지 서버;를 포함하며,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동시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안전사고 방지 서버로 전송하는 다기능 안전모;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기능 안전모는,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모자 바디;
    상기 모자 바디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안전사고 방지 서버로 전송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모자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 유닛을 상기 모자 바디에 연결 설치시키며, 상기 촬영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유닛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 이동부는,
    상기 촬영 유닛의 하측이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측면이 평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모자 바디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마운트;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마운트의 상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홈;
    상기 이동홈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슬라이딩홈이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며,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2 슬라이딩홈이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전진 프레임;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단에 상기 촬영 유닛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홈에 안착되는 하부 돌기의 후단이 설치되는 제2 전진 프레임; 및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1 전진 프레임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전진 프레임을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으로부터 동시에 노출 또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으로 동시에 삽입시켜 주는 프레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구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측에 전후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동 실린더;
    상기 구동 실린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실린더의 전방으로 노출되거나 상기 구동 실린더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 피스톤;
    하단이 상기 구동 피스톤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1 전진 프레임의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피스톤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제1 전진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1 구동 기어; 및
    상기 제1 전진 프레임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상단이 상기 제1 전진 프레임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측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전진 프레임의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 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제1 전진 프레임이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서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제2 전진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2 구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진 프레임은,
    내측을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제1 프레임 바디;
    상기 제2 구동 기어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상측에 형성되는 기어 설치 윈도우; 및
    상기 제1 구동 기어의 상단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3 기어산;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진 프레임은,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단에 상기 하부 돌기의 후단이 설치되는 제2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제2 구동 기어의 하단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바디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4 기어산;을 포함하는,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2. 삭제
KR1020220029981A 2022-02-22 2022-03-10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44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981A KR102445693B1 (ko) 2022-02-22 2022-03-10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22945 2022-02-22
KR1020220026001A KR102445688B1 (ko) 2022-02-22 2022-02-28 건설현장 업무 최적화를 위한 관리 시스템
KR1020220029981A KR102445693B1 (ko) 2022-02-22 2022-03-10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001A Division KR102445688B1 (ko) 2022-02-22 2022-02-28 건설현장 업무 최적화를 위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693B1 true KR102445693B1 (ko) 2022-09-23

Family

ID=834461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001A KR102445688B1 (ko) 2022-02-22 2022-02-28 건설현장 업무 최적화를 위한 관리 시스템
KR1020220029981A KR102445693B1 (ko) 2022-02-22 2022-03-10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001A KR102445688B1 (ko) 2022-02-22 2022-02-28 건설현장 업무 최적화를 위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56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077A (ko) * 2019-05-27 2020-12-07 (주)솔트웍스 중장비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56936B1 (ko) 2020-12-01 2021-05-27 (주)스토리포유 스마트 안전장비를 활용한 건설현장 비대면 안전관리 시스템
KR20210128822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한라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077A (ko) * 2019-05-27 2020-12-07 (주)솔트웍스 중장비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28822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한라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KR102256936B1 (ko) 2020-12-01 2021-05-27 (주)스토리포유 스마트 안전장비를 활용한 건설현장 비대면 안전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688B1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54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9767606B2 (en) Automatic modification of augmented reality objects
JP6670065B2 (ja) 自律飛行制御システム
US99590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wells and their respective status on an electronic map
US10586349B2 (en) Excavator bucket positioning via mobile device
US20210253103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termining overtaking trajectory for autonomous vehicles
KR102445693B1 (ko) 건설기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US202100644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failover in hbas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2173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managing access to devices for resolution of an incident ticket
US11543985B2 (en) Zone segment drive management
US202003416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window, and storage medium
CN111199584B (zh) 目标物定位虚实融合方法及装置
EP33730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lizing spatially separated wireless transmitters
US10326966B2 (en) Data center raised floor monitoring
CN116547650A (zh) 用于修改计算实例方面的技术
US11036574B2 (en) Recovery of first failure data capture logs
US9338361B2 (en) Visualizing pinpoint attraction objects in three-dimensional space
CN206348848U (zh) 隧道洞壁围岩完整性信息采集装置
AU2012391717B2 (en) Projection device
CN115049897A (zh) 基于改进YoloV5神经网络的矿下机器人检测系统
US10254406B2 (en) Surveying physical environments and monitoring physical events
US11533319B2 (en) Multi-modal access policy enforcement
US20210182421A1 (e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037817B2 (en) Device type override
US20130246363A1 (en) Idle point auditing for datab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