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479B1 -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e driving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e driving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479B1
KR102445479B1 KR1020210179730A KR20210179730A KR102445479B1 KR 102445479 B1 KR102445479 B1 KR 102445479B1 KR 1020210179730 A KR1020210179730 A KR 1020210179730A KR 20210179730 A KR20210179730 A KR 20210179730A KR 102445479 B1 KR102445479 B1 KR 102445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riving
vehicle
us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5479B9 (en
Inventor
조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텔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텔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텔랩스
Priority to KR102021017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4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479B1/en
Publication of KR10244547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479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4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gyrosc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An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is inserted into an OBD port provided in a vehicle and connected with a user terminal through short range communica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receiving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OBD port; a driver identification unit which check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t the start of operation and checks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in operation; a terminal information matching unit which receives log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while the vehicle is in operation and matches the log information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over time to store the log information; and an external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to a central server so that the central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can coexist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heating, such as changing drivers.

Description

차량 운행 평가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VALUATE DRIVING VEHICLE}Vehicle operatio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E 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운행 평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OBD(On-Board Diagnostics)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차량운행 평가에 있어서 치팅(cheating)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운행 평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operatio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vehicle operation capable of preventing cheating in vehicle operation evaluation through user authentication using vehicle OBD (On-Board Diagnostics) and a user terminal. The invention relates to a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최근, 차량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자동차는 Telematics 기술 제품으로써 현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 길안내를 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차량의 전후방 주행 데이터를 녹화하는 블랙박스(Black Box)와 같은 하드웨어가 설치되어,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서 다른 전장 장비와 결합되어, 다양한 내부 서비스 또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Recently, as the spread of vehicles increases,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hardware such as a navigation terminal that provides directions to a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s a telematics technology product, and a black box that records the vehicle's front and rear driving data. , is recognized as a means of providing various internal services or external services by being combined with other electronic equipment beyond a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이러한, 자동차는 기본적으로 엔진의 내부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ECU, Engine Control Unit)를 구비하며, 차량 진단 장비로서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자동차의 운행상태를 기록하는 운행기록 자기진단장치인 OBD를 구비하고 있다. 이 OBD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현 상태를 포함한 운행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동차의 속도(rpm), 엑셀레이터/브레이크의 조작, 엔진과 연료 계통의 정보, 자동차의 배기 가스와 증발 가스 상태, 각종 센서와 연결되어 측정된 냉각수 온도, 엔진오일 온도, 자동 변속기 오일 온도 등의 각종 센서의 계측 값을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알 수 있는 연료효율 등을 추출할 수 있다.Such a vehicle basically has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Engin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internal operation of the engine, and as a vehicle diagnostic equipment, self-diagnosis of the driving record that record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by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The device is equipped with OBD. Using the data collected by this OBD,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the vehicle speed (rpm), accelerator/brake operation, engine and fuel system information, and vehicle It provides measured values of various sensors such as exhaust gas and boil-off gas status, measured coolant temperature, engine oil temperature, and automatic transmission oil temperature in connection with various sensors, and fuel efficiency can be extracted based on this. .

최근에는, 이러한 OBD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보험 시스템과 연동되어, 차량운행 기록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추출하고, 그에 따라 보험료를 책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OBD 데이터는 객관적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도출할 수 있어, 앞으로도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될 전망이다. 특히, 차량에 있어서도 공유 경제가 도입됨에 따라, 고객 관리 차원에서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정보는 필수가 될 것으로 예견된다.Recently, various services utilizing such OBD data have been released. For example, in conjunction with an insurance system, attempts are being made to extract a driver's driving habits based on vehicle driving records and set insurance premiums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OBD data can derive a driver's driving habits based on objective data, and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various services in the future. In particular, as the sharing economy is introduced in vehicles, information on user's driving habits is expected to become essential for customer management.

그러나,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정보는 어디까지나 차량의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하는 것이며, 운전자로서의 사용자의 신원 자체는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동승자 정보로 차량 운행을 할 수 있으며, 운행 개시 시점에만 제3 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운전자 정보에 대한 조작 또는 치팅(cheating)이 가능할 수밖에 없다. 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판단하기에는 신뢰성을 인정받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information on the user's driving habit is estimated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s identity as a driver is not guaranteed. For example, vehicle ope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passenger information, and ope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information of a third party only at the time of starting operation. That is, manipulation or cheating on driver information is inevitably possible.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reliability is difficult to be recognized in determining the driving habit of the driver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OBD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 OBD 장치과 사용자 단말이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사용자 단말이 조작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실제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가 운전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신뢰성이 강한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판단하는 차량운행 평가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gar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OBD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communicate while receiving OBD data, and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a short distance and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opera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operatio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riving habit of a highly reliable driver by determining whether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actually drives based on the vehicl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구비된 OBD 포트에 삽입되고,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운행분석장치로서, 상기 OBD 포트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집부, 운행 개시 시점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운전자 신원 확인부, 차량이 운행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대한 로그 정보를 수신하여, 시간에 따라 상기 운행 정보와 매칭시켜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정보 매칭부, 및 상기 운행 정보 및 상기 로그 정보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로그 정보가 동일 시간에 공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외부 통신부를 포함한다. As a driving analysis device inserted into an OBD port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nected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information for receiv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OBD port A collection unit, a driver identity verification unit that check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t the time of driving start, and checks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 terminal information matching unit that receives log information, matches the driving information over time to store lo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to a central server, so that the central server provides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and an external communic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log information can coexist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로그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 조작의 복잡도가 미리 정해진 수치보다 높은 시간대의 정보가 있고, 이에 매칭되는 동일 시간대의 다른 정보에 사용자 조작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공존 불가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entral server, any one of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f a time zone in which the complexity of user manipulation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other information in the same time zone matching it If user manipulation is included in , it may be determined that coexistence is not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중앙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연속적으로 일정 시간 계속되는 경우, 공존 불가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server may determine that coexistence is impossible when a user operation on a user terminal is continuously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신원 확인부에서 사용자 인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이 이루어지며, 상기 운전자 신원 확인부는 페어링이 유지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by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pairing is made with the user terminal, and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pairing is maintained. You can decide whether to do it or n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신원 확인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from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행분석장치는, GPS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행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analysis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PS sensor and a gyro sensor, and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sensor and reflect it in the driv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행분석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로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Bluetoo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에서 상기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전 습관이 분석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in the central server, the user's driving habit may be analy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분석은 안전 지수를 포함하는 운행 평가 지수에 기초하며,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구간에서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안전 지수가 감점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lysis of the user's driving habit is based on a driving evaluation index including a safety index, and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based on log information in a s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being driven. If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been made, the safety index may be deduct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행 평가 방법으로서, 차량에 구비된 OBD 포트에 삽입되고,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운행분석장치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와 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대한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차량 운행 정보와 시간에 따라 매칭되는 상기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 시간에 상기 차량 운행 정보와 상기 로그 정보가 공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치팅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As a user's driving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vehicle are inserted into the OBD port provided in the vehicle and connected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lo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while driving, and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log information matching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time and a chea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coexistence is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ODB 장치와 연결되며, ODB 장치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집된 데이터와 사용자 단말의 조작 기록을 매칭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된 사용자가 실제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운전자를 변경하는 등의 치팅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it is connected to the ODB device, it is checked whether the ODB device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by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hile data is collected from the ODB device, and the collected data By matching the operation record of the user terminal with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authenticated by the user terminal is the actual driver, cheating such as changing the driver can be prevented.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평가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행분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운전자 신원 확인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중앙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operation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of FIG. 1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of FIG. 2 .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entral server of FIG. 1 .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driving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행분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운전자 신원 확인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operation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of FIG. 1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of FIG. 2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운행 평가시스템(이하 “운행 평가 시스템”이라 지칭한다) 및 관련 구성이 전반적으로 도시된다.1 to 3 , a vehicle driving evalua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iving evaluation system”) and related configu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general.

본 발명의 운행평가 시스템은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운행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 서버(200)에서 차량의 안전 운행에 대한 평가지수를 생성하고, 안전 운행에 대한 평가지수를 클라이언트인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는 등 운행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고객별로 관리하는 안전 운행에 대한 평가지수를 보험 서비스 또는 차량 공유 서비스 등 서비스 시스템의 외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operation evalu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evaluation index for the safe operation of the vehicle in the central server 200 us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and the evaluation index for the safe operation It corresponds to a system that integrally manages various information on driving, such as providing to the user terminal 10, which is a client.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200 may transmit the evaluation index for safe driving managed by each customer to the external server 300 of a service system such as an insurance service or a vehicle sharing service.

본 발명의 운행평가 시스템의 중앙 서버(200)는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운행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송받거나 안전 운행에 대한 평가지수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고, 본 발명의 운행평가 시스템의 중앙 서버(200)는 운행분석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10)과 네트워크(5)를 통해 유무선 접속이 가능한 온라인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ntral server 200 of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about driving from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or transmits an evaluation index for safe driving to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server 200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online server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hrough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network 5 .

본 발명의 운행평가 시스템은 회원 등록한 사용자들의 차량 운행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관련 안전 운행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해주는 독립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운행평가 시스템은 외부 서버(300)의 운영 주체인 보험 서비스 또는 차량 공유 또는 렌트 서비스 등의 운영자가 이용자의 보험 금액 산정을 위해, 또는 서비스 이용자의 렌트 또는 공유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직접 운영될 수 있다.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an independent service that integrally manages the vehicle operation of registered users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on related safe driving to users.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operation evalu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or such as an insurance service or vehicle sharing or rental service, which is the operating subject of the external server 300, calculates the insurance amount of the user, or rents or shares the service user It can be operated directly to monitor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safely or not.

도 1에 도시된 운행분석장치(100)는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속도정보, 브레이크작동정보, 위치정보 및 운행거리정보 등 차량의 운행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상기 운행분석장치(100)는 차량의 ECU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운행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된 차량 운행에 대한 정보를 본 발명의 운행평가 시스템의 중앙 서버(200)로 전송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운행분석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과 근거리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의 조작 정보, 예를 들어, 로그(log) 정보를 수신하여, 운행 정보와 매칭 시켜 상기 중앙 서버(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corresponds to a device that is mounted on a vehicle and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such as speed information, brake oper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ECU of the vehicle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about driving, and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driving of the vehicle to the central server 200 of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In addition,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0 in short-range communication,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and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log information, It is configured to match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central server 200 .

상기 운행분석장치(100)는 OBD로서, 차량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환경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차량에는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OBD 포트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운행분석장치(100)에 이 포트와 대응되는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이 접속단자가 OBD 포트와 상호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analysis apparatus 100 is an OBD, and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vehicle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Since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n OBD port for interfacing with an external device, it is recommended to form a connec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is port in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figure the connection terminal to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OBD port. desirable.

통신 거리 및 전송 데이터 크기, 차량 이동성 등을 고려할 때, 운행분석장치(100)에서 중앙 서버(200)로 전송되는 차량 운행에 대한 정보는, 3G, LTE(Long Term Evolution), LoRa(Long Range) 등의 장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과의 통신은 근거리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등의 무선통신 스펙에 의하여 상호 통신 가능할 수 있다. Considering the communication distance, transmission data size, vehicle mobility, etc.,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to the central server 200 is 3G,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Range (LoRa) It may be transmitted using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In addition.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 may be mutually communicated by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specifications such as Bluetooth and NFC.

본 발명의 운행분석장치(100)는, 외부 전원부(110), ECU 정보 수신부(120), 센서 정보 수집부(130), 운전자 신원 확인부(140), 단말 정보 매칭부(150) 및 외부 통신부(160)를 포함한다. The driving analysis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110 , an ECU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30 , a driver identity verification unit 140 , a terminal information matching unit 150 , and an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60).

상기 외부 전원부(110)는 차량으로부터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예를 들어, 차량의 OBD 포트와 인접한 전원라인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차량의 시가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통해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외부 전원부(110)는 차량의 시가잭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력을 인가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전원부(110)는 상기 차량 전원을 지정된 전압과 지정된 전류량을 지닌 하나 이상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이와 달리, 상기 외부 전원부(110)는 차량 전원 이외에 USB 기반의 별도의 배터리로서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external power unit 110 is a generic name of a component that receives vehicle power from the vehicle, for example, receives power from a power line adjacent to the OBD port of the vehicle, 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ehicle's cigarette jack to supply power through this. can be supplied stably. For example, the external power supply 110 may include a circuit for applying power by being connected to a cigar jack of a vehicle by a cable. Meanwhile, the external power unit 110 may convert the vehicle power into one or more operating powers having a specified voltage and a specified amount of current.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the external power supply 110 may receive external power as a separate USB-based battery in addition to vehicle power.

상기 외부 전원부(110)는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근거로 지정된 전압과 전류량을 지닌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나 콘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외부 전원부(110)는 상기 운행분석장치(100)의 사용자 단말(10)과의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드에서의 통신을 위해, 지정된 전압과 전류량을 지닌 전원을 충전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BLE 모드에서 외부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 강도를 BLE 모드보다 일정 비율 증폭하여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전압과 전류량을 지닌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전원부(110)는 상기 운행분석장치(100)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The external power unit 110 may include a battery or a capacitor for charging power having a specified voltage and current amount based on the supplied vehicle power. For example, the external power unit 110 may charge power having a specified voltage and current amount for communication in BLE (Bluetooth Low Energy) mode with the user terminal 10 of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 Also,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amplify the signal strength of the one-way wireless signal transmitted to the outside in the BLE mode at a certain rate compared to the BLE mode and charge the power having the set voltage and current amount for transmission. That is, the external power supply 110 is configured to manage power for stable operation of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

상기 ECU 정보 수신부(120)는 차량 OBD 포트로부터 차량의 운행에 대한 ECU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The ECU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receive ECU information about driving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OBD port.

상기 ECU 정보 수신부(120)는 자동차의 시동을 걸 때부터 끌 때까지 1회 주행을 단위 시퀀스로 ECU 데이터를 기록하며, ECU 데이터는 차량정보, 자동차의 주행 속도(rpm), 엑셀레이터/브레이크의 조작, 바퀴의 회전 속도, 엔진과 연료 계통의 정보, 자동차의 배기 가스와 증발 가스 상태, 사고시 에어백 충격 장치 동작 여부, 각종 센서와 연결되어 측정된 냉각수 온도, 엔진오일 온도, 자동 변속기 오일 온도, 흡입공기 온도, 미션오일 온도, 흡기공기량, TPS(쓰로틀포지션 센서), ISA(아이들 스피드 액츄레이터), 스티어링 휠 각도, 점화각 및 연료분사량을 포함한다. The ECU information receiver 120 records ECU data in a unit sequence of one driving from starting the vehicle to turning it off, and the ECU data includes vehicle information, vehicle driving speed (rpm), and accelerator/brake operation. , wheel rotation speed, engine and fuel system information, exhaust gas and boil-off gas status of the vehicle, whether the airbag shock device operates in an accident, coolant temperature measur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sensors, engine oil temperature, automatic transmission oil temperature, intake air It includes temperature, transmission oil temperature, intake air volume, TPS (throttle position sensor), ISA (idle speed actuator), steering wheel angle, ignition angle and fuel injection amount.

한편, 차량 정보는 차량의 일련 정보를 포함하며, 차량의 일련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엔진 방식, 예를 들어, 가솔린, 디젤, 전기, 하이브리드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운행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행분석장치(100)의 조작을 통해 운행 정보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초 서비스 가입 시점에 등록된 차종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일련 정보가 변경되는 것을 치팅(cheating)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seri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based on the seri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s engine type, for example, gasoline, diesel, electric, or hybrid, and analyze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ly. have.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being distor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it may be regarded as cheating that the seri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changed based on the vehicle model information registered at the time of initial service subscription. may be

상기 ECU 데이터는 시동을 걸고 끌때까지 자동차의 주행속도(rpm), 스티어링 휠 조작, 엑셀레이터/브레이크의 조작, TPS(쓰로틀포지션 센서), 엔진과 연료 계통의 정보, 자동차의 배기 상태, 자동차의 배기 상태, 에어백의 충격 장치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안전 운행 정도를 확인하고, 급발진/급회전/급정지, 충돌 사고를 감지할 수 있다. The ECU data includes the vehicle's driving speed (rpm), steering wheel operation, accelerator/brake operation, TPS (throttle position sensor), engine and fuel system information, vehicle exhaust status, and vehicle exhaust status from starting to turning off the engine. ,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egree of safe driving by analyzing the data of the impact device of the airbag, and detect sudden start/sudden/sudden stops, and collision accidents.

예를 들어, 브레이크(brake)를 밟았는데 쓰로틀이 열리고 갑자기 차량이 전진하는 급발진, 급회전, 급정지되는 경우, 이상 운행 정보로 관리할 수 있으며, 엔진 이상, 흡배기구 이상, 냉각수 없음, 엔진오일 없음, 전기부품의 전압 이상, 램프 이상 등은 고장 정보로 관리될 수 있으며, 에어백의 충격 장치의 에어백 터짐 정보 등은 사고 정보로 관리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throttle is opened when the brake is pressed and the vehicle suddenly starts moving forward, makes a sharp turn, or stops suddenly, it can be managed with abnormal operation information, Voltage abnormality, lamp abnormality, and the like of electrical components may be managed as failure information, and airbag burst information of an airbag impact device may be managed as accident information.

상기 센서 정보 수집부(130)는, 운행분석장치(100)의 자체 센서를 통해, OBD 포트의 연결되는 경우, 상기 ECU 정보 외에 상기 센서로부터 차량(10)의 운행 관련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센서 정보 수집부(130)는, GPS 수신 기능(GPS 센서), 3축 가속도 센싱 기능(자이로 센서) 등을 구비하여, 차량(10)에 대한 운행 정보로서 위/경/고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가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 정보 수집부(130)는 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차량의 위치 정보, 차량의 자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정보들은 운행 정보에 반영되어 저장되고 관리되며, 이러한 센서 정보 수집부(130)는, 상기 외부 전원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주기적(예: 1초)으로 운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collect driving-relat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from the sensor in addition to the ECU information when the OBD port is connected through a self-sensor of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 For example,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includes a GPS reception function (GPS sensor), a 3-axis acceleration sensing function (gyro sensor), and the like, and obtains latitude/longitude/altitude as driving information for the vehicle 10 . It can measure and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changes in acceleration. Specifically,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30 may receiv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nd vehicle posture information while the vehicle is being driven.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reflect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stored and managed, and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30 collects driving information periodically (eg, 1 second) while receiving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110 . can

상기 센서 정보 수집부(130)에서 수집한 정보는 ECU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ECU 데이터와 함께 운행 정보로 저장되며, 이는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 매칭부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조작의 로그 정보와 매칭시켜, 운전자의 운전 습관 및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가 실제 운전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로그 정보와의 매칭은 동일 시간에 따라 매칭된다.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30 is stored as driving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ECU data received from the ECU information receiving unit, which is matched with log information of user manipulation using a user terminal in a user terminal match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It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s driving habit and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match the actual driver. Meanwhile, matching with log information is matched according to the same time.

예를 들어, 외부 통신부에 의한 IoT 통신 기능(예:LTE Cat. M1)을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조작의 로그 정보와 매칭시켜 서버 즉 중앙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정보 수집부(130)는 운행분석장치(100)가 차량(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이루어진 시점부터 차량(10)의 주행이 종료되어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시점까지, 센서 정보 수집부(130)에서 수집되는 운행 정보를 중앙 서버(2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by using an IoT communication function (eg, LTE Cat. M1) by an external communication unit,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matched with log information of a user operation using a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that is, the central server 200 .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30 ends the driving of the vehicle 10 from the time when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starts receiving power from the vehicle 10 or when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user terminal. Until the time when the supply is stopped,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30 to the central server 200 may be performed periodically.

예를 들어, 특정 시각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슬라이드, 클릭 등 연속적인 조작이 이루어지고, 동일 시각에 운행 정보 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조작되는 경우,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 습관을 평가할 수 있으며, 로그 기록 또는 운행 정보 상으로 어느 한 쪽이 양 손 조작이 필요함에도, 동일 시각에 다른 한 쪽에 조작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실제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가 운전을 행하지 않은 치팅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continuous manipulations such as slides and clicks are perform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t a specific time, and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s operat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habit can be evalu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 when the information manipulated by the other side is included at the same time even though either side requires both hands on the log record or driving information, it can be determined as a cheating act that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did not actually drive .

상기 운전자 신원 확인부(140)는 운행분석장치(100)가 차량(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시작하는 시점, 즉 운행 개시 시점에,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인증 신호를 받아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차량이 운행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위치하는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140 interlocks with the user terminal at the time when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starts receiving power from the vehicle 10 , that is, at the start of driving, and receives a user authentication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registers it. It is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user is the specified user, and also to check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상기 운전자 신원 확인부(14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생체 정보를 통한 사용자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증부(141) 및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위치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위치 확인부(143)를 포함한다.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140 includes a user authentication unit 141 that receives user authentication ver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and a terminal location verific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vehicle ( 143).

상기 사용자 인증부(141)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 후, 운행분석장치(100)가 차량(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시작하면, 등록된 사용자 단말(10)과의 페어링을 위해 사용자 인증을 사용자 단말(10)에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사용자 인증이 확인되면, 해당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1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for pairing with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10 when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starts receiving power from the vehicle 10 after the user gets into the vehicle. When a request is made to the terminal 10 and user authentic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 the corresponding confirm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pairing with the user terminal is performed.

상기 사용자 인증부(141)의 사용자 인증은 본 발명의 운행 평가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 단말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가 등록한 인증 절차를 따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외부 서버의 서비스 시스템, 예를 들어, 보험 서비스, 차량 공유서비스 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운행분석장치(100)와의 페어링을 위해 인증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위해 페어링을 요청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달리, 운행분석장치(100)가 전원이 연결된 후, 등록된 사용자 단말(10)이 감지되면, 페어링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푸시를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출력하는 형태일 수 있다. The user authentication of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1 may follow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registered by the user in the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managed by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for pairing with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through execution of an application for a service, a vehicle sharing service, and the like. That is, there may be a form in which the user requests pairing to use the service on the application, or otherwise, when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10 is detected after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is powered on, the user for pairing It may be in the form of outputting a push for authentic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

상기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 단말의 생체 인식 센서들, 예를 들어, 지문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 얼굴인식센서, 음성인식센서, 혈관인식센서로부터 입력된 생체 정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생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증이 확인되면, 확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증부(141)가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과 페어링이 이루어진다. The user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biometric information input from biometric sensors of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 iris recognition sensor, a face recognition sensor, a voice recognition sensor, and a blood vessel recognition sensor.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1 receives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pairing with the user terminal 10 is performed.

상기 사용자 인증부(141)에 의한 페어링은 외부 통신부의 근거리 통신,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모듈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블루투스(Blutooth)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RFID 모듈 및 비콘(Beacon) 모듈 중에서 선택된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Pairing by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1 i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of an external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any one modul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Bluetooth (Bluetooth) module, Wi-Fi (WiFi) module, RFID module and beacon (Beacon) You can use the selected module from among the modules.

상기 단말 위치 확인부(143)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차량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141)의 경우, 최초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과 운행분석장치(100)과 페어링되는 것에 관여하는 반면, 상기 단말 위치 확인부(143)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함에 있어,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단말 위치 확인부(143)는 최초에 운전자가 제3자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시도하는 치팅을 방지하고자 위함이다. The terminal location check unit 143 checks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located in the vehicle. In the case of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1, while involved in pairing with the initially registered user terminal and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the terminal location check unit 143 is the user terminal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located in the vehicle. That is, the terminal location check unit 143 is intended to prevent cheating in which a driver attempts to pair by using a user terminal of a third party.

예를 들어, 상기 단말 위치 확인부(143)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페어링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근거리 통신에 의한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10)이 차량 내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페어링이 끊기는 경우이거나, 신호의 세기가 약해진 경우, 사용자 단말(10)이 차량 내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위치 확인부(143)는 상기 외부 통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 서버에 치팅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For example, the terminal positioning unit 143 determines whether pairing is maintained by short-distance communication, or detects a change in signal strength due to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o that the paired user terminal 10 is a vehicle Check whether my location is there or not. If the pairing is disconnected or the signal strength is weak,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not located in the vehicle. and transmit cheating information.

상기 단말 정보 매칭부(150)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로그 정보를 상기 외부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하여, 운행 관련 데이터와 매칭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정보 매칭부(15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과 운행분석장치(100)과 페어링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로그 정보를 수신한다. The terminal information matching unit 150 is configured to receive log information about a user's manipul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60, and to match it with driving-related data. For example, the terminal information matching unit 150 receives lo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the user while the user terminal 10 is paired with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

즉,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행위에 대한 로그 정보를 운행분석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는 사용자 행위의 로그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된 로그 정보, 즉 운행분석장치(100)로의 전송이 허락된 로그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로그 정보를 운행분석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조작과는 무관한 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전송되는 로그 정보는, 사용자 단말 상의 버튼의 클릭,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잠금화면 해제, 터치 패널을 통한 사용자 조작, 메시지 입력 등 사용자 조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That is, the user terminal 10 transmits log information on user actions to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 detects log information directly manipulated by the user, that is, log information allowed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from among the log information of the user's actions, and transfers the detected log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 100) can be transmitted. This i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bout information irrelevant to user manipulation. For example, the transmitted log information includes all information that may be generated by a user operation such as clicking a button on the user terminal,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unlocking a lock screen, user operation through a touch panel, and inputting a message.

상기 단말 정보 매칭부(150)는, 사용자 단말(10)과 근거리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로그(log) 정보를 수신하여, 운행 정보와 매칭 시켜 상기 중앙 서버(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매칭은 시간에 따라 대응되는 운행 정보와 로그 정보를 서로 매칭시킨다.The terminal information matching unit 15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0 in a short range, receive log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match the operation information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central server 200 do. The matching matches the corresponding driving information and log information according to time.

상기 중앙 서버(200)는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운행 중 사용자 단말을 조작하는지에 대한 운전자 습관을 추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운전자인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운행 정보와 로그 정보가 동일 시간에 공존이 불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의 치팅 행위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The central server 200 may extract a driver's habit of operating the user terminal while driving, based o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information and log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who is the driver can coexist at the same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impossible,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cheating behavior of the driver.

예를 들어, 특정 시각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슬라이드, 클릭 등 연속적인 조작이 이루어지고, 동일 시각에 운행 정보 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조작되는 경우, 조작의 정도 또는 조작의 시간 등에 기초하여 로그 정보 또는 운행 정보 상으로 어느 한 쪽이 양 손 조작이 필요함에도, 동일 시각에 다른 쪽의 조작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실제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가 운전을 행하지 않은 치팅 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동승자의 인증을 통해 다른 사람이 운행하는 치팅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continuous manipulations such as slides and clicks are perform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t a specific time and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s manipulated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log information based on the degree of manipulation or the time of manipulation Alternatively,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side is included at the same time even though one side requires both hands manipulation on the driving information, it may be determined as a cheating act in which the owner of the actual user terminal does not drive. That is, it can be determined as cheating operated by another person through authentication of the passenger.

상기 외부 통신부(160)는 운행분석장치(100)가 근거리 통신(Wi-Fi 또는 Bluetooth) 또는 이동통신망(3G/LTE)을 통해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동통신망(3G/LTE)을 통해 중앙 서버(2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The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6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so that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Fi or Bluetooth)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G/LT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G) /LT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server 200.

한편, 본 실시예예 따른 운행 평가 시스템은 운행분석장치(100)의 센서로부터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10)의 GPS 센서로부터 GPS 정보, 자이로 센서로부터 3축 가속도 센싱 정보가 추출되어 상기 운행분석장치(100)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통신부(160)를 통해 상기 중앙 서버(200)로 운행 정보와 매칭된 로그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정보가 송신되고, 관련 정보가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상기 중앙 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operation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collecting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of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GPS information from the GPS sensor of the user terminal 10 and 3-axis acceleration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gyro sensor may be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driving analysis apparatus 100 . 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log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200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unit 16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to the user terminal 10 , and relat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200 by the user terminal 10 .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ODB 장치와 연결되며, ODB 장치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으로 페어링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집된 데이터와 사용자 단말의 조작 기록을 매칭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된 사용자가 실제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운전자를 변경하는 등의 치팅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it is connected to the ODB device, and while collecting data from the ODB device,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d coll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heating such as changing the driver by matching the data and the operation record of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authenticated by the user terminal is the actual driver.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중앙 서버의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serv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도 1의 중앙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entral server of FIG. 1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운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전 습관을 분석하도록 구성되며, 동시에 치팅이 발생한 경우, 치팅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운행 정보와 매칭된 로그 정보로부터 일정 시간에 양 정보의 공존이 불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치팅을 판단하여 사용자별 치팅 이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중앙 서버(200)는 통신부(210), 고객 관리부(220), 운전 습관 분석부(230), 치팅 판단부(240), 치팅 처리부(250)를 포함한다. 1 to 4, the central server 200 is configured to analyze the user's driving habits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and when cheating occurs at the same time, the cheating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existence of both information is impossible at a certain time from the log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cheating and manage cheating histories for each user.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 a customer management unit 220 , a driving habit analysis unit 230 , a cheat determination unit 240 , and a cheat processing unit 250 .

상기 통신부(210)는, 네트워크(5)를 통해 상기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운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운행 정보는 실시간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운행분석장치(100)가 전원이 연결된 후, 시동이 꺼져 전원 연결이 종료되는 시점에, 운행 정보가 일괄로 전송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예비 전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을 경유하여, 운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제3자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시도하는 등의 치팅을 행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210)는 해당 치팅 정보를 수신한다. 해당 정보는 고객 정보에 매칭시켜 누적하여 기록되고 관리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차량의 식별 번호 또는 운행분석장치의 일련 번호를 수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5 .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in real time, or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collectively transmitted when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is connected to power and then the engine is turned off and the power connection is terminated. In the latter case, the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using the reserve power or via the user terminal 10 . Also, when the driver cheats, such as attempting pairing, using a third-party us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the corresponding che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accumulated, recorded, and managed by matching with customer information. In addition, it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or the serial number of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아울러, 상기 통신부(210)는 외부 서버(300)와 통신하여, 운행 정보의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운행 패턴을 통한 운전자 습관의 분석 결과를 외부 서버(300)에 전송하며, 상기 외부 서버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보험 서비스의 경우, 외부 서버에 자동차의 운행 정보, 고장 정보, 이상 운행 정보, 사고 운행 정보를 제공하며, 교통사고시에 보험사의 보험 조사관의 사고 유무 확인과 보험 처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server 300, analyzes big data of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 of the driver's habit through the driver's driving pattern to the external server 300, and the external server It is designed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nsurance servic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breakdown information, abnormal operation information, and accident oper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to an external server. can make it

한편, 상기 운행분석장치(100) 및 상기 중앙 서버(200) 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5)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5 connecting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and the central server 200 i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value added network (Value Added) Network (VAN), Personal Area Network (PAN),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satellite network, etc. It can be implemented as a type of wired/wireless network.

상기 고객 관리부(220)는, 상기 운행 평가 시스템에서 운전 습관에 대한 평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고객으로 등록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객 관리부(2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여, 회원가입을 통해 기본 정보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The customer management unit 220 registers and manages at least one or more users who want to use the evaluation service for driving habits in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as customers. For example, the customer management unit 22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0 and receive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basic information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상기 고객 관리부(2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및 메일 주소 등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사용자가 회원 가입을 하면, 사용자별로 사용자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고객 DB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The customer management unit 220 stores and manages user information including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name, contact information, and e-mail addres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when the user registers as a member, the user is identified for each user. A code is assigned, matched with the input user information, and stored and managed in the customer DB.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기본 정보 외에 후술하는 운전 습관 분석부(230)에서의 운전 습관 정보 및 치팅 이력 정보, 가입된 외부 서비스 이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예를 들어, 보험 서비스 처럼 자가 차량에 운행분석장치(10)를 설치가 필요한 경우, 상기 고객 관리부(220)는 사용자가 구매하거나 또는 발급받은 운행분석장치(100)의 일련 코드를 등록받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 서버(200)가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운행 정보와 함께 일련 코드를 제공받아,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basic information,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driving habit information and cheating history information in the driving habit analyzer 230 to be described later, and information on using an external service subscribed to.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 in a vehicle that the user wants to use, for example, an insurance service, the customer management unit 220 provides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purchased or issued by the user. It is configured to register and manage the serial code of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200 may receive the serial code along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상기 운전 습관 분석부(230)는 운행 정보를 기초로 시간대별 차량의 GPS 위치에 따라 자동차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자동차의 주행 속도(rpm), 주행거리, 엑셀레이터/브레이크의 조작, 바퀴의 회전 속도, 엔진과 연료 계통의 정보, 자동차의 배기 상태, 자동차의 위치와 자세를 바탕으로 안전 운행 정보, 급발진/급회전 등의 이상 운행 정보, 고장 정보, 에어백 충돌 감지 여부, 사고 발생 기록을 저장하고, 차량의 위치에 시간에 따른 자동차의 운행기록의 빅 데이터에 대한 차량의 속도/방향/자세를 분석하여 자동차의 운행기록과 운행 패턴을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The driving habit analysis unit 230 determines the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GPS location of the vehicle by tim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driving speed (rpm) of the vehicle, the mileage,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brake, and the rotation of the wheel. Based on speed, engine and fuel system information, vehicle exhaust status, and vehicle position and posture, it stores safe driving information, abnormal driving information such as sudden start/abrupt turn, failure information, airbag collision detection, and accident records, It is configured to record the driving record and driving pattern of the vehicle by analyzing the speed/direction/posture of the vehicle for the big data of the driving record of the ca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vehicle.

즉, 상기 운전 습관 분석부(230)는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량의 속도/방향/자세 등을 측정하여 자동차의 운행기록을 분석한다. 1회 주행을 단위 시퀀스로 기록하며, 비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상에 있는 중앙 서버(20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실시간으로 업로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고/이상 운행 정보 감지시, 또는 치팅 여부가 의심되거나, 확인될 때, 실시간으로 피드백 정보를 송출한다. 상기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단말(10)로 송신되거나, 또는 이용 서비스인 외부 서버로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 등이 감지된 경우, 즉각적인 구난 신고 및 보험사에 신고 등이 이루어 질 수 있다. That is, the driving habit analyzer 230 receives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 and analyzes the driving record of the vehicle by measuring the speed/direction/postur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ne run is recorded as a unit sequence, and it can be uploaded to the central server 200 in the cloud in non-real time. Or, alternatively, it may be uploaded in real time. Accordingly, when accident/abnormal driving information is detected, or when cheating is suspected or confirmed, feedback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he feedback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serving as a service used. For example, when an accident or the like is detected, an immediate rescue report and a report to an insurance company may be made.

즉, 상기 운전 습관 분석부(230)는 고객별 시간대별 차량의 GPS 위치별로 차량의 운행 시퀀스에 대한 Raw 데이터(운행 정보)를 기록하며, 운행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빅 데이터 플랫폼으로 구성되며, 외부 서버와 연동 가능한 API를 제공하며, 차량 운행 기록 분석 결과를 대시 보드(Dash Board)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 서버(200)는, 개인이 아닌 그룹의 운전 형태, 엔진 구동 방식별 운행 특성(가솔린, 디젤, 전기, 하이브리드 등), 차량 모델별 운행 특성,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반 교차 분석이 가능하다.That is, the driving habit analysis unit 230 records raw data (driving information) on the driving sequence of the vehicle for each GPS location of the vehicle for each customer time zone, and consists of a big data platform that collects and analyzes driving information, It provides an API that can be linked with an external server, and provides the vehicle driving record analysis result as a dashboard (Dash Board).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200, the driving type of a group rather than an individual, driving characteristics by engine driving method (gasoline, diesel, electric, hybrid, etc.), driving characteristics by vehicle model, LBS (Location Based Service) based crossover analysis is possible.

한편, 상기 운전 습관 분석부(230)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수신한 운행 정보에 기초한 패턴으로 사용자의 운전 습관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행의 과정은 시계열 형태의 데이터이므로 LSTM을 사용할 수 있다. LSTM 네트워크는 복수의 LSTM 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 운행 정보가 시계열 데이터로 미리 학습된 분석 모델에 입력되고, 운행 상황정보 또는 운전 습관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석 모델은 엔진 방식, 또는 차종에 최적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 식별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분석 모델이 적용되고, 그에 따른 운전자 습관이 분석될 수 있다. 한편, 분석 모델은 분석된 결과를 다시 학습시키는 DNN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habit analyzer 230 may analyze the user's driving habit in a pattern based on the received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xample, LSTM can be used because the process of driving a vehicle is time series data. An LSTM network may include a plurality of LSTM cell structures. That i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y be input to an analysis model learned in advance as time series data, and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or driving habit information may be output. Meanwhile, the analysis model may include at least one analysis model optimized for an engine type or a vehicle type. That is, based on the vehicl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an optimized analysis model may be applied, and a driver's habit may be analyzed accordingly. Meanwhile, the analysis model may generate a DNN model that re-learns the analyzed result.

예를 들어, 상기 운전 습관 분석부(230)는 상기 운행 도중 발생하는 미리 학습된 이벤트로서의 운행 시나리오를 검출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기 운행 습관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학습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열거(enumerated) 이벤트 벡터가 획득되면, RNN으로 하여금, 상기 특정 열거 이벤트 벡터에 하나 이상의 RNN 연산을 가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특정 예측 운행 시나리오를 검출하고, 이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 습관을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habit analyzer 230 may evaluate the driving habit of the driver by detecting a driving scenario as a pre-learned event occurring during the driving. 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specific enumerated event vector learned in advance is obtained, the RNN detects at least one specific predicted driving scenario by applying one or more RNN operations to the specific enumerated event vector,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driving habit of the driver.

또한, 상기 운전 습관 분석부(230)는 먼저, 운행 정보와 함께 전송된 차량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운행 정보를 시간대별 또는 날짜별로 더욱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류 및 저장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평가지수인 운행 평가 지수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habit analysis unit 230 first classifie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ransmitted along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and further classifies and stores the driving information classifi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more detail by time period or date. can When such classification and storage processing is completed, a driving evaluation index, which is an evaluation index for the driver's driving habits, is generated using the driving information.

운행 평가 지수는, 운행 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속도정보, 브레이크 작동정보 및 실린더에 유입되는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조절하는 스로틀의 작동정보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변화량을 나타내는 스포티(Sporty)지수 및 운행 연비를 나타내는 에코(Eco)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정보에 포함된 운행구간정보, 운행거리정보 및 운행위치정보 등을 이용하여 운행 환경을 나타내는 환경지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운행 정보는 시간대별 또는 날짜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므로,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평가 지수를 생성하는 전술된 프로세싱도 시간대별 또는 날짜별로 구분되어 수행되게 된다. 운행 평가 지수는 수치화되어 고객별로 누적되어 저장되며, 고객의 요청 또는 업데이트되는 시점에 고객의 사용자 단말(1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driving evaluation index is a sporty index indicating the amount of speed change of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brak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rottle operation information that controls the ratio of air and fuel flowing into the cylinder. and an Eco index indicating driving fuel efficiency. In addition, an environmental index indicating the driving environment may be included using the driving section information, driving distance information, and driv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riving information is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time zone or date,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for generating a driving evaluation index using the driving information is also performed separately for each time zone or date. The driving evaluation index is digitized, accumulated and stored for each customer,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f the customer at the time of the customer's request or update.

또한, 상기 운전 습관 분석부(230)는 운행 정보와 함께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10) 조작에 대한 로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운행 외적인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운행 평가 지수는, 차량 운행 시 안전 운전 불감증에 대한 안전 지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구간, 즉 차량 이동 중에, 사용자 단말 상의 버튼의 클릭,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잠금화면 해제, 터치 패널을 통한 사용자 조작, 메시지 입력 등 사용자 조작이 발생되는 경우, 안전 지수가 낮게 평가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조작이 발생한 횟수만큼 안전 지수인 수치에 감점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운행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이동 중인 경우, 구체적으로, 차량 속도 등에 기초하여 저속 또는 고속 이동 중인 경우, 차등을 두어 안전 지수가 평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habit analyzer 230 is configured to analyze the driver's driving habit outside of driving based on log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provided together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driving evaluation index includes a safety index for insensitivity to safe driving when driving a vehicle. For examp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 user such as clicking a button on a user terminal,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unlocking a lock screen, user manipulation through a touch panel, inputting a message, etc. If manipulation occurs, the safety index may be underestimated. That is, a deduction may be given to a numerical value that is a safety index as much as the number of times a user manipulation occurs. In addition, based on the driving stat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moving, specifically, when moving at a low speed or high speed based on the vehicle speed, the safety index may be evaluated based on a difference.

상기 운전 습관 분석부(230)은 운행 시마다의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전 습관을 분석하고, 이를 누적하여 고객별로 저장하고 관리한다. The driving habit analyzer 230 analyzes the user's driving habits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for each driving, accumulates them, and stores and manages them for each customer.

상기 치팅 판단부(240)는 운행 정보와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치팅(Cheating) 상황을 고려하여,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수집 정보(운행 정보 등)가 유효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cheat determination unit 240 determines whether the collected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etc.) provided from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is valid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a cheating situation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log information. .

예를 들어, 상기 치팅 판단부(240)는,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차량(10)의 운행 정보 와 매칭되는 로그 정보가 공존 불가한 경우, 해당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운행 정보에 대해 치팅 의심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치팅 판단부(240)는 동승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운행분석장치(100)에 신원 인증을 통해 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운전자와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가 불일치하는 경우, 치팅으로 판단하며, 그와 의심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치팅 의심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heat determination unit 240 may be configured to, when log information matching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from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cannot coexist, driv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rresponding driving analysis device 100 can be judged as cheating suspicion. That is, the cheat determination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cheating when the driver and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do not match when driving is performed through identity authentication to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using the passenger's terminal. , if a suspicious situation occurs with him, it can be judged as cheating.

예를 들어, 상기 치팅 판단부(240)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로그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 조작의 복잡도가 미리 정해진 수치보다 높은 시간대의 정보가 있고, 이에 매칭되는 동일 시간대의 다른 정보에 사용자 조작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공존 불가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정 시간대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슬라이드, 클릭 등 조작이 이루어지고, 동일 시각에 운행 정보 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조작되는 경우, 차량의 자세, 속도 등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조작의 복잡도가 높음에도, 로그 정보 상에 조작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치팅 의심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달리, 운행 정보 상에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나, 정차 중 또는 저속 직선 주행, 등 사용자 조작의 복잡도가 낮은 시점에는 로그 정보 상에 사용자의 조작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치팅을 의심하진 않는다. For example, the cheat determination unit 240 includes information in a time zone in which the complexity of user manipulation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any one of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When user manipulation is included, it may be determined that coexistence is not possible. When manipulations such as slides and clicks are performed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a specific time period and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s operated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e complexity of the user operation is high based on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posture and speed of the vehicle Even in the case of manipul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g informa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cheating is suspected. The opposite is also true. Contrary to this, although the user's manipulation is perform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when the complexity of the user's manipulation is low, such as during a stop or a low-speed straight-line driving, even if the user's manipul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log information, cheating is not suspected.

또한, 상기 치팅 판단부(240)는, 운행 정보 상 사용자 스티어링 휠 조작 등이 필요한 시점 전후, 또는 지속적으로 슬라이드, 클릭 등 한차례의 조작이 아닌, 연속적인 조작이 일정 시간 계속되는 경우, 치팅 의심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eat determination unit 240 determines that cheating is suspected when a continuous operation, not a one-time operation such as slide or click, is performed before or after a point in time when a user steering wheel operation is requir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r continuous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an do.

상기 치팅 판단부(240)는,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운행 정보에 대해, 치팅 의심으로 판단되는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치팅 의심으로 판단되는 횟수가 미리 정한 횟수보다 이상인 경우, 치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팅 판단부(240)는 치팅 의심이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 치팅으로 판단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치팅 의심 행위 각각을 치팅으로 판단하여 취급할 수도 있다. The cheat determination unit 240 may count the number of times determined to be cheating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 If the number of times determined to be cheating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t may be determined as cheating. Although the cheat determination uni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that the cheating is suspected as cheating if the number of times of cheating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number of times, it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each behavior suspected of cheating may be determined and treated as cheating.

상기 치팅 처리부(250)는, 치팅(Cheating)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운행분석장치(100)와 매칭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1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가입된 서비스에 패널티를 적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시스템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300)로 치팅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치팅으로 판단한 경우, 해당 운행 정보는 무효화 처리되며, 사용자의 운전 습관 분석 자료로 사용되지 않는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eating processing unit 250 is cheating, it transmits a warning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 of the customer match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or applies a penalty to the subscribed service. is responsible for For example, chea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external server 300 that manages the service system.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as cheating, the corresponding driving information is invalidated and is not used as data for analyzing the user's driving habits.

예를 들어, 운행 정보에 대해 치팅(Cheating)으로 1회 판단한 경우, 해당 운행분석장치(100)와 매칭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10)로 치팅(Cheating)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운행분석장치가 등록된 차량의 식별코드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가 제3 자의 사용자 단말로 운행분석장치(100)에 페어링을 시도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이 운행 시점으로부터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 매칭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동승자의 단말로 페어링이 의심되는 경우, 치팅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1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상기 운행분석장치(100) 상에 경고음 출력부가 마련되어 있어, 치팅으로 판단시, 운행분석장치(100)에서 경고음이 울릴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cheating once, a cheating warning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f the customer matching the corresponding driving analysis apparatus 100 . That is, when the driving analysis device does not match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registered vehicle, when the driver attempts to pair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with a third-party user terminal, the pairing with the user terminal is not maintained from the driving time. If not, based on the log information from the matching user terminal, when pairing with the passenger's terminal is suspected, it may be determined as cheating and a warning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 Alternatively, since a warning sound output unit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 when it is determined as cheating,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may sound a warning sound.

상기 치팅 처리부(250)는,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운행 정보에 대해 치팅(Cheating)으로 판단한 경우, 미리 정의된 패널티를 적용할 수 있다.The cheating processing unit 250 may apply a predefined penal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riving analysis apparatus 100 is cheating.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서버가 보험 서비스와 연관되는 경우, 미리 책정된 보험료에 패널티 보험료를 추가하여 책정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차량 렌트 또는 공유 서비스와 연관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거나, 또는 패널티 비용을 납부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server is associated with an insurance service, it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dding a penalty premium to a preset premium. Or, if it is related to car rental or sharing services, it may restrict the use of the service or require payment of a penalty fee.

물론, 치팅 처리부(250)에서 적용하는 패널티는, 본 발명의 패널티뿐만 아니라, 운전 습관 평가를 활용하는 서비스 종류에 따라 그 적용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치팅 관점에서만 볼 때, 운행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개인 신용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penalty applied by the cheating processing unit 250 may be applied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 type of service that utilizes driving habit evaluation as well as the penalty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from a cheating point of view,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driving, but may affect personal creditworthines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앙 서버(200)는, 치팅(Cheating) 상황을 고려하여,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수집 정보(운행 정보 등)가 유효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특징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ser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eating situation, a feature fun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llected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etc.) provided from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is valid information. can be realized

전술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악의적인 치팅(Cheating) 상황을 고려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삽입형 장치(디바이스) 기반의 정보 수집을 통해 계산되는 사용자의 운전 습관 평가의 신뢰도를 확보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운전 습관 평가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에서 신뢰도가 확보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서비스 개발 범위를 확장시키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a malicious cheating situation,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of the user's driving habit calculated through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based on the implantable device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is secured to derive the effect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iable services can be provided in various services related to driver's driving habit evaluation, thereby improving service quality and further expanding the scope of service development can be expected.

상기 외부 서버(300)의 운영 평가 시스템과 연동되는 서비스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서버(300)는 보험 서비스 또는 차량 공유 또는 렌트 서비스 등의 관리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치팅 이력에 대한 개인 신용을 관리하는 신용 평가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택시 호출 서비스 서버, 대리운전 신청 서비스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이용자는 택시를 호출하고, 대리운전을 호출함에 있어서, 연결된 택시 운전자 또는 대리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를 참고 내지 조건을 설정하여 호출을 행할 수 있다. It is a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a service system interworking with the operation evaluation system of the external server 300 . For example, the external server 300 may be a management server such as an insurance service or a vehicle sharing or rental service. In addition, it may be a credit evaluation server that manages personal credit for cheating history. In addition, it may be a taxi call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river's driving habits, and a proxy driving application service server. In this case, when the service user calls a taxi and calls the surrogate driving, the service user may make a call by referring to the driving habit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taxi driver or the surrogate driver or setting conditions.

즉, 상기 외부 서버(300)는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고객의 운전 습관에 대한 정보 및 치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해당 정보는 외부 서버의 요청에 따라 또는 업데이트가 될 때마다 외부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 서버(200)는 고객 별로 이용 중인 서비스에 외부 서버를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즉, 외부 서버(300)는 서비스에 따라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external server 300 is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 customer's driving habit and cheating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server 200 .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external server or whenever it is updated.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200 is configured to manage an external server for the service being used by each customer. That is, a plurality of external servers 30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services.

이하에서는,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평가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Hereinafter, a vehicle driving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driving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평가 방법은, 차량 운행 정보와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차량 운행 정보로부터 운전자 습관을 분석하는 단계(S200), 차량 운행 정보와 로그 정보로부터 치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 고객별로 운전자 습관 및 치팅 이력을 관리하는 단계(S400) 및 외부에서 정보 요청시 요청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1 to 5 , the vehicle operatio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log information (S100), and analyzing a driver's habit from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S200) , determining whether or not cheating from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log information (S300), managing driver habits and cheating history for each customer (S400), and transmitting the requested information when requesting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S500). .

상기 차량 운행 정보와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에서는, 상기 중앙 서버(200)는 네트워크(5)를 통해 상기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운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운행 정보는 실시간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운행분석장치(100)가 전원이 연결된 후, 시동이 꺼져 전원 연결이 종료되는 시점에, 운행 정보가 일괄로 전송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예비 전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을 경유하여, 운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제3자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시도하는 등의 치팅을 행하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는 해당 치팅 정보를 수신한다. 해당 정보는 고객 정보에 매칭시켜 누적하여 기록되고 관리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차량의 식별 번호 또는 운행분석장치의 일련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the step (S100) of receiving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log information, the central server 20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5 .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in real time, or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collectively transmitted when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is connected to power and then the engine is turned off and the power connection is terminated. In the latter case, the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using the reserve power or via the user terminal 10 . In addition, when the driver cheats, such as attempting pairing, using a third-party user terminal, the central server receives the che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accumulated, recorded, and managed by matching with customer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or the serial number of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또한, 상기 로그 정보는 상기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상기 운행 정보와 매칭되어 전송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직접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로그 정보가 직접 전송되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200)에서 시간별로 운행 정보와 로그 정보의 매칭이 수행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은 상기 운행분석장치(100)와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인 것을 전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lo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by match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or may be transmitted directly from the user terminal 10 . If the log information is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 the central server 200 matches the driving information with the log information for each time. Her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a user terminal paired with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

차량 운행 정보로부터 운전자 습관을 분석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중앙 서버(200)는 운행 정보를 기초로 시간대별 차량의 GPS 위치에 따라 자동차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자동차의 주행 속도(rpm), 주행거리, 엑셀레이터/브레이크의 조작, 바퀴의 회전 속도, 엔진과 연료 계통의 정보, 자동차의 배기 상태, 자동차의 위치와 자세를 바탕으로 안전 운행 정보, 급발진/급회전 등의 이상 운행 정보, 고장 정보, 에어백 충돌 감지 여부, 사고 발생 기록을 저장하고, 차량의 위치에 시간에 따른 자동차의 운행기록의 빅 데이터에 대한 차량의 속도/방향/자세를 분석하여 자동차의 운행기록과 운행 패턴을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step (S200) of analyzing the driver's habit from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the central server 200 determines the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GPS location of the vehicle for each time perio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speed (rpm) of the vehicle , mileage, accelerator/brake operation, wheel rotational speed, engine and fuel system information, vehicle exhaust condition, safe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vehicle position and posture, abnormal operation information such as sudden start/rapid rotation, failure information , Airbag collision detection, accident occurrence records are stored, and the vehicle's speed/direction/posture is analyzed for the big data of the vehicle's driving recor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o record the driving record and driving pattern of the car. do.

즉, 상기 중앙 서버(200)는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량의 속도/방향/자세 등을 측정하여 자동차의 운행기록을 분석한다. 1회 주행을 단위 시퀀스로 기록하며, 비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상에 있는 중앙 서버(20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실시간으로 업로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고/이상 운행 정보 감지시, 또는 치팅 여부가 의심되거나, 확인될 때, 실시간으로 피드백 정보를 송출한다. 상기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단말(10)로 송신되거나, 또는 이용 서비스인 외부 서버로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 등이 감지된 경우, 즉각적인 구난 신고 및 보험사에 신고 등이 이루어 질 수 있다. That is, the central server 200 receives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and analyzes the driving record of the vehicle by measuring the speed/direction/posture, etc. of the vehicle based on this. One run is recorded as a unit sequence, and it can be uploaded to the central server 200 in the cloud in non-real time. Or, alternatively, it may be uploaded in real time. Accordingly, when accident/abnormal driving information is detected, or when cheating is suspected or confirmed, feedback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he feedback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r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serving as a service used. For example, when an accident or the like is detected, an immediate rescue report and a report to an insurance company may be made.

상기 중앙 서버(200)는 먼저, 운행 정보와 함께 전송된 차량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운행 정보를 시간대별 또는 날짜별로 더욱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류 및 저장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평가지수인 운행 평가 지수를 생성한다.The central server 200 may first classify the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as a reference, and classify and store the operation information classifi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more detail by time period or date. When such classification and storage processing is completed, a driving evaluation index, which is an evaluation index for the driver's driving habits, is generated using the driving information.

운행 평가 지수는, 운행 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속도정보, 브레이크 작동정보 및 실린더에 유입되는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조절하는 스로틀의 작동정보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변화량을 나타내는 스포티(Sporty)지수 및 운행 연비를 나타내는 에코(Eco)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정보에 포함된 운행구간정보, 운행거리정보 및 운행위치정보 등을 이용하여 운행 환경을 나타내는 환경지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운행 정보는 시간대별 또는 날짜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므로,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평가 지수를 생성하는 전술된 프로세싱도 시간대별 또는 날짜별로 구분되어 수행되게 된다. 운행 평가 지수는 고객별로 누적되어 저장되며, 고객의 요청 또는 업데이트되는 시점에 고객의 사용자 단말(1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driving evaluation index is a sporty index indicating the amount of speed change of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brak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rottle operation information that controls the ratio of air and fuel flowing into the cylinder. and an Eco index indicating driving fuel efficiency. In addition, an environmental index indicating the driving environment may be included using the driving section information, driving distance information, and driv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riving information is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time zone or date,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for generating a driving evaluation index using the driving information is also performed separately for each time zone or date. The driving evaluation index is accumulated and stored for each customer,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f the customer at the time of the customer's request or update.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운행 정보와 함께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10) 조작에 대한 로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운행 외적인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운행 평가 지수는, 차량 운행 시 운전에 집중하는지 여부에 대한 안전 지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이동 중에, 사용자 단말 상의 버튼의 클릭,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잠금화면 해제, 터치 패널을 통한 사용자 조작, 메시지 입력 등 사용자 조작이 발생되는 경우, 안전 지수가 낮게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운행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이동 중인 경우, 구체적으로, 차량 속도 등에 기초하여 저속 또는 고속 이동 중인 경우, 차등을 두어 안전 지수가 평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200 is configured to analyze the driver's driving habits outside of driving based on log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provided together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driving evaluation index includes a safety index for whether or not to focus on driving while driving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a user operation such as clicking a button on the user terminal,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unlocking a lock screen, user operation through a touch panel, or inputting a message occurs, the safety index is low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can be evaluated. In addition, based on the driving stat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moving, specifically, when moving at a low speed or high speed based on the vehicle speed, the safety index may be evaluated based on a difference.

차량 운행 정보와 로그 정보로부터 치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중앙 서버(200)는 운행 정보와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치팅(Cheating) 상황을 고려하여,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수집 정보(운행 정보 등)가 유효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to cheat from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the central server 200 receives the cheating from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eating situ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llected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etc.) provided is valid information.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서버(200)는,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차량(10)의 운행 정보와 매칭되는 로그 정보가 공존 불가한 경우, 해당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운행 정보에 대해 치팅 의심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 서버(200)는 동승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운행분석장치(100)에 신원 인증을 통해 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운전자와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가 불일치하는 경우, 치팅으로 판단하며, 그와 의심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치팅 의심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log information matching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from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cannot coexist, the central server 200 may can be judged as cheating suspicion. That is, the central server 200 uses the passenger's terminal to determine cheating when driving is performed through identity authentication to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that is, when the driver and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do not match, If a suspicious situation arises with him, it can be judged as cheating.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서버(200)는 특정 시각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슬라이드, 클릭 등 조작이 이루어지고, 동일 시각에 운행 정보 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조작되는 경우, 차량의 자세, 속도 등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조작의 복잡도가 높음에도, 로그 정보 상에 조작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양 정보가 공존 불가하여 치팅 의심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운행 정보 상에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나, 정차 중 또는 저속 직선 주행, 등 사용자 조작의 복잡도가 낮은 시점에는 로그 정보 상에 사용자의 조작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양 정보가 공존가능함을 전제로 치팅으로 의심하진 않는다. For example, the central server 200 adds a vehicle's posture, speed, etc. when an operation such as a slide or click is perform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t a specific time, and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s operat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even though the complexity of the user operation is high,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log information, both information cannot coexist and it may be determined as a cheating suspicion. In contrast, when user manipulation is perform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but when the user's manipul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log information at a point in time when the complexity of the user manipulation is low, such as while stopping or driving in a low-speed straight line, it is premised that both information can coexist. I don't suspect it's cheating.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운행 정보 상 사용자 조작이 필요한 시점 전후로, 슬라이드, 클릭 등 한차례의 조작이 아닌, 연속적인 조작이 일정 시간 계속되는 경우, 치팅 의심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200 may determine that cheating is suspected when a continuous operation, such as a slide, click, etc., is continu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and after the time when a user operation is required in the operation information.

상기 중앙 서버(200)는, 운행분석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운행 정보에 대해, 치팅 의심으로 판단되는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치팅 의심으로 판단되는 횟수가 미리 정한 횟수보다 이상인 경우, 치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 서버(200)는 치팅 의심이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 치팅으로 판단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치팅 의심 행위 각각을 치팅으로 판단하여 취급할 수도 있다.The central server 200 may count the number of times determined to be cheating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100 . If the number of times determined to be cheating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t may be determined as cheating. The central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determining cheating when the suspicion of cheating is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each behavior suspected of cheating may be determined and treated as cheating.

상기 고객별로 운전자 습관 및 치팅 이력을 관리하는 단계(S400)에서는, 상기 중앙 서버는, 고객별로 운전 습관 정보 및 치팅 이력 정보, 가입된 외부 서비스 이용 정보 등을 사용자 정보로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step of managing driver habits and cheating history for each customer ( S400 ), the central server is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driving habit information and cheat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customer, and external service use information subscribed to as user information.

예를 들어, 치팅 행위를 한 경우, 해당 운행분석장치(100)와 매칭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1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가입된 서비스에 패널티를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시스템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300)로 치팅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cheating is performed, a warn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f the customer match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100 or a penalty is applied to a subscribed service. For example, chea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external server 300 that manages the service system.

예를 들어, 운행 정보에 대해 치팅(Cheating)으로 판단한 경우, 해당 운행분석장치(100)와 매칭되는 고객의 사용자 단말(10)로 치팅(Cheating)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운행분석장치가 등록된 차량의 식별코드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가 제3 자의 사용자 단말로 운행분석장치(100)에 페어링을 시도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이 운행 시점으로부터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 매칭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동승자의 단말로 페어링이 의심되는 경우, 치팅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1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ing information is cheating, a cheating warning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of the customer matching the corresponding driving analysis apparatus 100 . That is, when the driving analysis device does not match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registered vehicle, when the driver attempts to pair the driving analysis device 100 with a third-party user terminal, the pairing with the user terminal is not maintained from the driving time. If not, based on the log information from the matching user terminal, when pairing with the passenger's terminal is suspected, it may be determined as cheating and a warning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

상기 외부에서 정보 요청시 요청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500)에서는, 상기 외부 서버(300)는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고객의 운전 습관에 대한 정보 및 치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해당 정보는 외부 서버의 요청에 따라 또는 업데이트가 될 때마다 외부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 서버(200)는 고객 별로 이용 중인 서비스에 외부 서버를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즉, 외부 서버(300)는 서비스에 따라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step (S500) of transmitting the requested information when the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outside, the external server 300 is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 customer's driving habit and cheating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server 200 .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external server or whenever it is updated.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200 is configured to manage an external server for the service being used by each customer. That is, a plurality of external servers 30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services.

상기 외부 서버(300)의 운영 평가 시스템과 연동되는 서비스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서버(300)는 보험 서비스 또는 차량 공유 또는 렌트 서비스 등의 관리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치팅 이력에 대한 개인 신용을 관리하는 신용 평가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택시 호출 서비스 서버, 대리운전 신청 서비스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이용자는 택시를 호출하고, 대리운전을 호출함에 있어서, 연결된 택시 운전자 또는 대리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를 참고 내지 조건을 설정하여 호출을 행할 수 있다. It is a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a service system interworking with the operation evaluation system of the external server 300 . For example, the external server 300 may be a management server such as an insurance service or a vehicle sharing or rental service. In addition, it may be a credit evaluation server that manages personal credit for cheating history. In addition, it may be a taxi call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river's driving habits, and a proxy driving application service server. In this case, when the service user calls a taxi and calls the surrogate driving, the service user may make a call by referring to the driving habit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taxi driver or the surrogate driver or setting condi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평가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driving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100: 운행분석장치
110: 외부 전원부
120: ECU 정보 수신부
130: 센서 정보 수집부
140: 운전자 신원 확인부
150: 단말 정보 매칭부
160: 외부 통신부
200: 중앙 서버
210: 통신부
220: 고객 관리부
230: 운전 습관 분석부
240: 치팅 판단부
250: 치팅 처리부
300: 외부 서버
100: operation analysis device
110: external power supply
120: ECU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0: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40: driver identification unit
150: terminal information matching unit
160: external communication unit
200: central server
210: communication unit
220: customer care department
230: driving habit analysis unit
240: cheat judgment unit
250: cheat processing unit
300: external server

Claims (10)

차량에 구비된 OBD 포트에 삽입되고,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운행분석장치로서,
상기 OBD 포트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집부;
운행 개시 시점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운전자 신원 확인부;
차량이 운행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대한 로그 정보를 수신하여, 시간에 따라 상기 운행 정보와 매칭시켜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정보 매칭부; 및
상기 운행 정보 및 상기 로그 정보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로그 정보가 동일 시간에 공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외부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와 상기 로그 정보가 동일 시간에 공존이 불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가 운전을 행하지 않은 치팅(cheating) 행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분석장치.
As a driving analysis device inserted into an OBD port provided in a vehicle and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receiv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OBD port;
a driver identity verification unit that check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t the start of driving and checks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being driven;
a terminal information match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log information on a manipulation of the user terminal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match the log information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ime, and store the log information; and
and an external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to a central server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can coexist at the same time in the central server,
The central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cannot coexist at the same time, determines that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does not drive the vehicle as a cheating act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로그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 조작의 복잡도가 미리 정해진 수치보다 높은 시간대의 정보가 있고, 이에 매칭되는 동일 시간대의 다른 정보에 사용자 조작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공존 불가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분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entral server includes information of a time zone in which the complexity of user manipulation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any one of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in the same time zone matching the information includes the user manipulation, Operation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coexistence is impossib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연속적으로 일정 시간 계속되는 경우, 공존 불가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분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server, when a user operation on the user terminal is continuously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operation analysis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at coexistence is impossib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신원 확인부에서 사용자 인증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이 이루어지며, 상기 운전자 신원 확인부는 페어링이 유지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분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by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pairing is made with the user terminal, and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pairing is maintained. driving analysis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신원 확인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분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r identific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from the user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분석장치는, GPS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행 정보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분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analysis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GPS sensor and a gyro sensor, and receives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sensor and reflects the received information in the driving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분석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분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analysis device is a driving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Bluetooth.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에서 상기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전 습관이 분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분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in the central server, driving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driving habits are analyze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분석은 안전 지수를 포함하는 운행 평가 지수에 기초하며,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구간에서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안전 지수가 감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분석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nalysis of the user's driving habit is based on a driving evaluation index including a safety index,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made based on log information in a s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the safety index Operation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oints are deducted.
사용자의 운행 평가 방법으로,
차량에 구비된 OBD 포트에 삽입되고,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운행분석장치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와 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대한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차량 운행 정보와 시간에 따라 매칭되는 상기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 시간에 상기 차량 운행 정보와 상기 로그 정보가 공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치팅 판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운행 정보와 상기 로그 정보가 동일 시간에 공존이 불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가 운전을 행하지 않은 치팅(cheating) 행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운행 평가 방법.
As a user's driving evaluation method,
An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being inserted into the OBD port provided in the vehicle and receiving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lo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while the vehicle is being driven from the operation analysis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d
a cheating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can coexist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matched according to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cannot coexist at the same time, the user's driving evalu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s a cheating act in which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does not drive.
KR1020210179730A 2021-12-15 2021-12-15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e driving vehicle KR1024454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730A KR102445479B1 (en) 2021-12-15 2021-12-15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e driving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730A KR102445479B1 (en) 2021-12-15 2021-12-15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e driving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479B1 true KR102445479B1 (en) 2022-09-20
KR102445479B9 KR102445479B9 (en) 2023-03-23

Family

ID=8344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730A KR102445479B1 (en) 2021-12-15 2021-12-15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e driving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47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446B1 (en) * 2016-10-17 2018-03-20 윤정호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using UBI
KR101911728B1 (en) * 2017-09-26 2018-10-25 이기상 System for automatically managing driving information
KR20200029790A (en)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스마트카로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KR20210025818A (en) * 2019-08-28 2021-03-10 강동연 System for providing safe driving benefits using in-car smartphone input behavi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446B1 (en) * 2016-10-17 2018-03-20 윤정호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using UBI
KR101911728B1 (en) * 2017-09-26 2018-10-25 이기상 System for automatically managing driving information
KR20200029790A (en)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스마트카로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KR20210025818A (en) * 2019-08-28 2021-03-10 강동연 System for providing safe driving benefits using in-car smartphone input behavi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479B9 (en)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2020B2 (en) Driv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vehicle usage
CN110154954B (en) Intelligent system for judging identity of passenger by automatically driving automobile
US11122391B2 (en) Detection of mobile device location within vehicle using vehicle based data and mobile device based data
Enev et al. Automobile driver fingerprinting
KR101769102B1 (en) Vehicle operation record analysis system and method connected to server of insurance company by using the OBD and smart phone
US201800919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Burton et al. Driv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with active behavior modeling
US11823112B2 (en) Fleet trigger-based incentives with blockchain
US10095854B2 (en) Vehicle authorization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240112269A1 (en) Driver identity detection and alerts
CN111448809B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vehicle identity
CN111914237A (en) Driver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GPS service
KR20100122332A (en) Mobile vehicle management system
KR1024454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e driving vehicle
Khanapuri et al. On road: A car assistant application
EP38588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ehicle generated data
US20220024414A1 (en) Unauthorized Access Detection
US112033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driver of a vehicle after the vehicle has been started
CN116601619A (en) Safety Controller Area Network (CAN) transceiver
US20230394894A1 (en) Setting a mode of a vehicle
US20230373494A1 (en) Driv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vehicle usage
PATHAK et al. Connected Vehicles-A Testing Approach and Methodology
JP2024038940A (en) Vehicles and emergency call systems
CN115246372A (en)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13696899A (en) Vehicle and safe driving assistanc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