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864B1 -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 Google Patents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864B1
KR102444864B1 KR1020200116964A KR20200116964A KR102444864B1 KR 102444864 B1 KR102444864 B1 KR 102444864B1 KR 1020200116964 A KR1020200116964 A KR 1020200116964A KR 20200116964 A KR20200116964 A KR 20200116964A KR 102444864 B1 KR102444864 B1 KR 102444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artition wall
ventilation chamber
uni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4507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6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8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16H57/0423Lubricant guiding means mounted or supported o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16H57/0424Lubricant guiding means in the wall of or integrated with the casing, e.g. grooves, channels,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동력 인출 유닛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격벽의 배치 및 구조를 변경하여 오일의 외부 누유를 방지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The ventilation chamber of the power take-off uni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동력 인출 유닛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 인출 유닛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벤틸레이션 챔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륜구동 차량은 2륜구동 차량과는 달리 풀 타임, 또는 파트 타임으로 차량의 전후륜 모두를 구동륜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자동차로써 험로 주행을 목적으로 하는 지프형 차량이나 레저 용 차량, 그리고 특수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특장차량이 이에 해당된다.
4륜구동 차량은 주행 가능한 노면 여건에서는 안정감 있는 주행성을 발휘하며 지형이나 기후로 인해 노면이 취약하여 주행성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네 개의 바퀴에 동력을 고르게 분배하여 타이어의 접지성을 높여 원활한 주행이 이루어진다.
구동 유닛에 샤프트를 연결하는 등속 조인트는 자동차에 공통적인 구성요소이다. 구동 유닛은 통상적으로 조인트를 수용하기 위한 입력 샤프트 또는 출력 샤프트가 구비된다. 구동 유닛은 차축 박스, 전달 케이스(transfer case), 변속기(transmission), 동력 인출 유닛(power take-off unit) 또는 다른 토크 장치이며, 이들은 모두 자동차에 공통적인 구성요소이다.
하나 또는 2개의 조인트가 샤프트에 조립되어 추진기 샤프트 조립체 또는 구동 샤프트 조립체를 형성한다. 일 예로 추진기 샤프트 조립체는 일 단부가 변속기의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차동장치(differential)의 입력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후방 차축과 전방 구동 유닛 사이에 보다 긴 간격이 존재할 때, 중간 조인트에 의해 연결 되는 투피스(two-piece) 추진기 샤프트 조립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샤프트는 조인트의 내부 레이스에 샤프트를 부착하도록 중실형(solid) 또는 관형(tubular)일 수 있으며, 등속 조인트의 외부 레이스는 구동 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조인트의 내부 레이스는 통상적으로 샤프트에 압입 되거나, 스플라 인 되거나(splined), 핀 연결(pinned)되도록 서로 간에 결합 되고, 조인트의 외부 레이스가 특정 구동 유닛의 플랜지 또는 스터브 샤프트(stub shaft)에 볼트 결합되거나 압입 된다.
동력 인출 유닛(power take-off unit)은 전륜 구동(FF) 차량에서 엔진/변속기의 구동력을 후륜으로 전달 시켜 AWD(All wheel drive)를 구현하는 장치로서 1축 PTU 타입과, 2축 PTU 타입과 같이 다양한 타입으로 제작된다.
상기 동력 인출 유닛은 엔진과 변속기의 위치 및 크기를 고려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최적의 크기 및 구성으로 제작되어야 하고, 고효율의 구동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기어 및 구동계 진동 소음에서 최적화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동력 인출 유닛은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미도시) 내부에 벤틸레이션 챔버(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는 4WD(4 wheel drive) 구동에 따른 내부 압력이 상승될 경우 압력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에는 케이싱의 외측으로 압력 배출이 이루어질 때 구동 오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케이싱의 외측에 결합된 벤틸레이션 밸브가 구비되어 케이싱 내부의 압력 조절을 도모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 벤틸레이션 밸브는 벤틸레이션 챔버의 입구가 순간적으로 밀폐될 때 내부 오일이 케이싱의 외부로 유출되거나,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서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미국등록특허 7984791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벤틸레이션 챔버에 설치된 베플 플레이트의 구조를 변경하여 오일이 케이싱의 외부로 누유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는 동력 인출 유닛(1)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내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기어 유닛(G); 상기 복수개의 기어 유닛(G)이 작동되면서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오일이 유입된 이후에 상기 기어 유닛(G)을 향해 자유 낙하되도록 상기 기어 유닛(G)의 상측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내부 영역(A)에 복수개로 개구된 개방부(202)가 서로 다른 높이차로 유지되는 벤틸레이션 챔버(200);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기어 유닛(G)이 회전하면서 내부 영역(A)을 향해 비산되는 오일을 차단하기 위해 형성된 격벽(210); 및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내부 영역(A)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격벽(210)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기어 유닛(G)은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우측 하단에 위치되고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기어(G1);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기어(G1)와 치형 결합되고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기어(G2);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좌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기어(G2)와 치형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100)의 외측으로 회전력이 출력되는 제3 기어(G3)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210)은 상기 케이싱(100)의 내측 가장 자리와 인접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측에서 연장된 경로를 따라 라운드 지게 연장된 제1 격벽(212); 상기 제1,2 기어(G1, G2) 사이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제2 격벽(214); 상기 제2 기어(G2)의 상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라운드 지게 연장된 제3 격벽(216); 상기 제2 기어(G2)와 상기 제3 기어(G3) 사이의 영역을 부분 구획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4 격벽(218)을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202)는 상기 제2 격벽(214)과 상기 제3 격벽(216) 사이에 형성된 제1 개방부(202a); 상기 제3 격벽(216)과 상기 제4 격벽(218) 사이에 형성된 제2 개방부(202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부(202a)는 상기 제2 기어(G2)를 우측 상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구 되고, 상기 제2 개방부(202b)는 상기 제2 기어(G2)를 좌측 상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구 된다.
상기 제2 격벽(214)은 상기 제3 격벽(216)이 연장된 일측 단부 보다 상기 제2 기어(G2)를 향해 근접된 위치로 연장되어 오일이 상기 제2 기어(G2)에서 외측을 향해 비산될 경우 상기 제2 격벽(214)에 우선 접촉된 이후에 상기 제3 격벽(216)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격벽(214)은 상기 제1 개방부(202a)를 통해 이동된 일부의 오일이 내부 영역(A)으로 이동되기 이전에 상기 오일의 이동 방향을 전환함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형성된 제1 돌기(214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격벽(216)은 상기 제2 기어(G2)와 비동축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3 격벽(216)에는 상기 제4 격벽(218)을 향해 연장된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격벽(216)의 연장된 경로를 따라 비산되는 오일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3 기어(G3)로 전환하기 위해 구비된 제2 돌기(216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4 격벽(218)은 상기 제3 격벽(216)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내부 영역(A)에는 상기 제1 개방부(202a)의 상측 위치에서 상기 제1 개방부(202a)를 통해 유입된 오일의 이동 방향을 전환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3 돌기(219)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에는 상기 내부 영역(A)에 개구된 개구 홀(102)과 연통되고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벤트부(2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는 기어 유닛의 처닝 오일로 인한 외부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일부의 오일이 벤틸레이션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중력 방향을 향해 자유 낙하될 수 있어 오일의 이동 방향을 기어 유닛으로 항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동력 인출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동력 인출 유닛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케이싱 내부에 배치된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격벽과 제1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3 격벽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4 격벽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제3격벽과 제2 돌기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3 돌기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벤트부를 도시한 종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동력 인출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동력 인출 유닛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케이싱 내부에 배치된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격벽과 제1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동력 인출 유닛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100)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100)을 외측에서 바라볼 때 12시 위치에 벤틸레이션 밸브가 구비된다.
동력 인출 유닛은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100)의 내측 가장 자리에 소정의 크기로 내부 영역(A)이 형성된 벤틸레이션 챔버(200)가 형성된다.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는 상기 케이싱(100)을 외측에서 바라볼 때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12시 위치에 위치되고 도면에 도시된 크기와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에는 복수개의 기어 유닛(G)이 작동되면서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오일이 유입된 이후에 상기 기어 유닛(G)을 향해 자유 낙하되도록 상기 기어 유닛(G)의 상측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내부 영역(A)에 복수개로 개구된 개방부(202)가 서로 다른 높이차로 유지된다.
또한 격벽(210)은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기어 유닛(G)이 회전하면서 내부 영역(A)을 향해 비산되는 오일을 차단하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내부 영역(A)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격벽(210)의 상면에 베플 플레이트(220)가 결합된다.
상기 기어 유닛(G)은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우측 하단에 위치되고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기어(G1)와,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기어(G1)와 치형 결합되고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기어(G2)와,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좌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기어(G2)와 치형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100)의 외측으로 회전력이 출력되는 제3 기어(G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어(G1)는 변속기의 동력을 전달 받아 도면 기준으로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오일을 외측으로 비산하게 되고, 상기 제1 회전방향은 시계 방향에 해당된다.
상기 제2 기어(G2)는 상기 제1 기어(G1)로부터 회전력(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3 기어(G3)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도면 기준으로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오일을 외측으로 비산하게 되고, 상기 제2 회전방향은 시계 반대 방향에 해당된다.
상기 제3 기어(G3)는 출력방향으로 회전력(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기어(G1, G2, G3)는 모두 고속으로 회전되므로 오일이 벤틸레이션 챔버(200)를 향해 일부가 비산되고, 인가된 토크에 의해 발열로 인한 압력이 발생된다.
본 실시 예는 상기한 압력이 배출되기 위해 벤틸레이션 챔버(200)가 구비되어 있어 압력은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고, 벤틸레이션 챔버(200)로 유입된 일부 오일은 중력 방향을 향해 자유 낙하되어 기어 유닛(G)으로 드레인 되므로 오일의 외부 누유가 방지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격벽(210)은 상기 케이싱(100)의 내측 가장 자리와 인접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측에서 연장된 경로를 따라 라운드 지게 연장된 제1 격벽(212)과, 상기 제1,2 기어(G1, G2) 사이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제2 격벽(214)과, 상기 제2 기어(G2)의 상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라운드 지게 연장된 제3 격벽(216)과, 상기 제2 기어(G2)와 상기 제3 기어(G3) 사이의 영역을 부분 구획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4 격벽(21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격벽(212)에는 벤틸레이션 밸브가 삽입되는 개구 홀(102)이 형성되어 공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통로로 사용된다. 제2 격벽(214)은 케이싱(100)의 내측 형상을 따라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연장되며, 도면 기준으로 우측 단부에 형성되고, 좌측 단부에 제4 격벽(218)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격벽(214)은 상기 제2 기어(G2)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비산되는 오일이 내부 영역(A)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대한 예방하기 위해 상기 제3 격벽(216)이 연장된 일측 단부 보다 상기 제2 기어(G2)를 향해 근접된 위치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제2 격벽(214)이 연장될 경우 제1 기어(G1) 또는 제2 기어(G2)에서 비산된 오일이 상기 제2 격벽(214)에 의해 내부 영역(A)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2 격벽(214)에 우선 접촉된 이후에 일부는 상기 제3 격벽(216)으로 비산되는 경우에도 제3 격벽(216)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내부 영역(A)으로의 오일 유입이 차단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 격벽(214)은 후술할 제1 개방부(202a)를 통해 이동된 일부의 오일이 내부 영역(A)으로 이동되기 이전에 상기 오일의 이동 방향을 전환함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형성된 제1 돌기(214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돌기(214a)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또는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하며, 일 예로 라운드 진 원형의 형태로 도시하였다.
오일은 제1 개방부(202a)를 통해 제1 돌기(214a)로 일부 이동될 수 있으나, 라운드 진 표면을 따라 내부 영역(A)으로 이동되는 오일량이 감소하게 되거나, 제2 격벽(214)을 따라 중력 방향으로 자유 낙하되므로 상기 오일의 유입을 최대한 차단하고, 이동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개방부(202)는 상기 제2 격벽(214)과 상기 제3 격벽(216) 사이에 형성된 제1 개방부(202a)와, 상기 제3 격벽(216)과 상기 제4 격벽(218) 사이에 형성된 제2 개방부(20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개방부(202a)는 상기 제2 기어(G2)를 우측 상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2 개방부(202b)는 상기 제2 기어(G2)를 좌측 상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구 된다.
상기 제1 개방부(202a)와 제2 개방부(202b)는 서로 간에 높이차가 유지되므로 기어 유닛(G)이 고속으로 작동되면서 일부 비산된 오일이 제2 개방부(202b)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제3 격벽(216)의 라운드 진 연장 경로를 따라 제1 개방부(202a)를 통해 제1 기어(G1) 또는 제2 기어(G2)로 자유 낙하 되므로 오일의 외부 누유가 방지된다.
이 경우 상기 내부 영역(A)은 공기를 제외한 오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벤틸레이션 밸브로 이동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공기만 외부로 배출된다.
첨부된 도 6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3 격벽(216)은 상기 제2 기어(G2)와 비동축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비동축의 의미는 제2 기어(G2)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과 중심이 동심원을 이루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3 격벽(216)이 이와 같이 배치될 경우 제2 기어(G2)가 회전되면서 비산되는 오일이 도면의 a위치에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후술할 제2 돌기(216a)가 위치된 b위치를 향해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된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될 수 있어 제2 개방부(202b)로 이동될 수 있는 확률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오일은 제3 격벽(216)을 따라 이동된 후에 중력 방향을 향해 자유 낙하되는 이동 궤적이 유도되어 오일의 불필요한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격벽(216)에는 상기 제4 격벽(218)을 향해 연장된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격벽(216)의 연장된 경로를 따라 비산되는 오일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3 기어(G3)로 전환하기 위해 구비된 제2 돌기(216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돌기(216a)는 제3 격벽(216)의 단부에 위치되므로 오일이 제2 돌기(216a)를 경유할 경우 이동 방향이 제2 기어(G2)의 외측 또는 제2 기어(G2)와 제3 기어(G3) 사이를 향해 낙하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제2 돌기(216a)는 외측으로 돌출된 정도에 따라 오일이 접촉된 후에 이동되는 궤적이 변화되므로 돌출 정도를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제4 격벽(218)은 상기 제3 격벽(216)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이 경우 제3 기어(G3)가 회전하면서 외측으로 비산되는 오일이 c위치에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d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제4 격벽(218)에 의해 제3 격벽(216)이 위치된 곳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제2 기어(G2)와 제3 기어(G3) 사이의 영역으로 중력 방향을 향해 낙하되므로 오일의 비산으로 인한 내부 영역(A)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내부 영역(A)에는 상기 제1 개방부(202a)의 상측 위치에서 상기 제1 개방부(202a)를 통해 유입된 오일의 이동 방향을 전환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3 돌기(219)가 형성된다.
상기 제3 돌기(219)는 일부의 오일이 제1 개방부(202a)를 경유하여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도 벤틸레이션 밸브가 삽입되는 개구 홀(102)로 이동되지 못하고 중력 방향을 향해 자유 낙하되어 제1 개방부(202a)로 드레인 된다.
따라서 일부의 오일이 내부 영역(A)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케이싱(100)의 외측으로 오일이 이동되지 않고 공기만 이동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내지 제3돌기(214a, 216a, 219)는 베플 플레이트(220)에 개구된 결합 홀에 삽입된 이후에 코킹 가공되면서 상기 베플 플레이트(220)와 결합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돌기(214a, 216a, 219)는 서로 간에 비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 케이싱(100)을 통해 다양한 방향에서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상기 베플 플레이트(220)와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진동이 발생되는 동력 인출 유닛에 사용될 경우 베플 플레이트(220)가 제1 내지 제3돌기(214a, 216a, 219)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케이싱(100)에는 상기 내부 영역(A)에 개구된 개구 홀(102)과 연통되고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벤트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벤트부(230)는 제1 경사각도(θ1)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공기는 배출되고 오일은 케이싱(100)의 내측으로 이동되거나 외부로 누유되지 않게 되므로 오일이 외부로 누유 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동력 인출 유닛
2 : 벤틸레이션 밸브
A : 내부 영역
20 : 개구 홀
100 : 케이싱
200 : 벤틸레이션 챔버
202 : 개방부
202a, 202b : 제1,2 개방부
210 : 격벽
212, 214, 216, 218 : 제1,2,3,4 격벽
214a, 216a : 제1,2 돌기
219 : 제3 돌기
G : 기어 유닛
G1, G2, G3, G4 : 제1,2,3 기어

Claims (10)

  1. 동력 인출 유닛(1)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내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기어 유닛(G);
    상기 복수개의 기어 유닛(G)이 작동되면서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오일이 유입된 이후에 상기 기어 유닛(G)을 향해 자유 낙하되도록 상기 기어 유닛(G)의 상측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내부 영역(A)에 복수개로 개구된 개방부(202)가 서로 다른 높이차로 유지되는 벤틸레이션 챔버(200);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기어 유닛(G)이 회전하면서 내부 영역(A)을 향해 비산되는 오일을 차단하기 위해 형성된 격벽(210); 및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내부 영역(A)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격벽(210)의 상면에 결합되는 베플 플레이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유닛(G)은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우측 하단에 위치되고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기어(G1)와,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기어(G1)와 치형 결합되고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기어(G2)와, 상기 벤틸레이션 챔버(200)의 좌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기어(G2)와 치형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100)의 외측으로 회전력이 출력되는 제3 기어(G3)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210)은 상기 케이싱(100)의 내측 가장 자리와 인접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측에서 연장된 경로를 따라 라운드 지게 연장된 제1 격벽(212)과, 상기 제1,2 기어(G1, G2) 사이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제2 격벽(214)과, 상기 제2 기어(G2)의 상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라운드 지게 연장된 제3 격벽(216)과, 상기 제2 기어(G2)와 상기 제3 기어(G3) 사이의 영역을 부분 구획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고 수직하게 연장된 제4 격벽(218)을 포함하되,
    상기 제4 격벽(218)은 상기 제3 격벽(216)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케이싱(100)에는 내부 영역(A)에 개구된 개구 홀(102)로의 오일 이동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개구 홀(102)의 전단에 형성된 제3 돌기(219)를 더 포함하는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202)는 상기 제2 격벽(214)과 상기 제3 격벽(216) 사이에 형성된 제1 개방부(202a);
    상기 제3 격벽(216)과 상기 제4 격벽(218) 사이에 형성된 제2 개방부(202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부(202a)는 상기 제2 기어(G2)를 우측 상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2 개방부(202b)는 상기 제2 기어(G2)를 좌측 상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구된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214)은 상기 제3 격벽(216)이 연장된 일측 단부 보다 상기 제2 기어(G2)를 향해 근접된 위치로 연장되어 오일이 상기 제2 기어(G2)에서 외측을 향해 비산될 경우 상기 제2 격벽(214)에 우선 접촉된 이후에 상기 제3 격벽(216)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214)은 상기 제1 개방부(202a)를 통해 이동된 일부의 오일이 내부 영역(A)으로 이동되기 이전에 상기 오일의 이동 방향을 전환함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형성된 제1 돌기(214a)를 더 포함하는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격벽(216)은 상기 제2 기어(G2)와 비동축 상태로 배치된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격벽(216)에는 상기 제4 격벽(218)을 향해 연장된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격벽(216)의 연장된 경로를 따라 비산되는 오일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3 기어(G3)로 전환하기 위해 구비된 제2 돌기(216a)를 더 포함하는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에는 상기 내부 영역(A)에 개구된 개구 홀(102)과 연통되고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벤트부(230)가 형성된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KR1020200116964A 2020-09-11 2020-09-11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KR102444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964A KR102444864B1 (ko) 2020-09-11 2020-09-11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964A KR102444864B1 (ko) 2020-09-11 2020-09-11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507A KR20220034507A (ko) 2022-03-18
KR102444864B1 true KR102444864B1 (ko) 2022-09-19

Family

ID=8093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964A KR102444864B1 (ko) 2020-09-11 2020-09-11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8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951A (ja) * 2003-12-04 2005-06-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ミッション装置および建設機械
KR102091784B1 (ko) * 2018-10-15 2020-03-20 현대위아(주) 차량용 감속기의 통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4278B2 (ja) 2004-09-09 2008-04-09 ジヤトコ株式会社 バッフルプレート排油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951A (ja) * 2003-12-04 2005-06-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ミッション装置および建設機械
KR102091784B1 (ko) * 2018-10-15 2020-03-20 현대위아(주) 차량용 감속기의 통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507A (ko)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616B2 (en) Torque transfer device having a constant velocity joint output
KR20120023789A (ko) 플런징 교차 트랙 등속 조인트
US7204760B2 (en) Constant velocity joint vent
US20190113125A1 (en) Vehicular power transmitting device
KR100317090B1 (ko) 4륜구동차의동력전달장치
US10077691B2 (en) Fluid retention and filtration element for a hydraulic transfer case
US6938517B2 (en) Power transfer unit
KR102444864B1 (ko)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US20030234134A1 (en) Tear away bracket
US7188699B2 (en) Axle assembly with cooling pump
US8893744B2 (en) Two valve breather system for rear differential
US20020189887A1 (en) Driveline angle reducer
KR20220046325A (ko)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JP2006083934A (ja) 車輌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オイル供給構造
US20180066714A1 (en) Sealing system for constant-velocity joint
EP1403557B1 (en) Breather device for speedchange devices
JPH10138774A (ja) 自動車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のブリーザ装置
US20030236122A1 (en) Propeller shaft assembly
US20030236124A1 (en) Rotary shaft
KR102184222B1 (ko) 동력 인출 유닛의 벤틸레이션 챔버
JP2009079689A (ja) プロペラシャフト
US20030171154A1 (en) Propeller shaft assembly
JP2005291263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KR102081001B1 (ko) 4륜 구동 자동차 부변속기용 하우징
KR20240071195A (ko) 동력 인출 유닛의 오일 순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