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817B1 -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817B1
KR102444817B1 KR1020210135417A KR20210135417A KR102444817B1 KR 102444817 B1 KR102444817 B1 KR 102444817B1 KR 1020210135417 A KR1020210135417 A KR 1020210135417A KR 20210135417 A KR20210135417 A KR 20210135417A KR 102444817 B1 KR102444817 B1 KR 10244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n
target space
view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새별
최희철
김기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룹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룹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룹샵
Priority to KR102021013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6Multi-objective optimisation, e.g. Pareto optimisation using simulated annealing [SA], ant colony algorithms or genetic algorithms [G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8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us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은, 3D 모델링의 대상이 되는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를 표시하기 위한 대상 공간 평면도 표시부; 상기 평면도 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기 위한 좌표 형성부; 상기 평면도 내의 표시된 문에 대한 구성요소를 검출하고 제거하기 위한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 상기 구성요소가 제거된 평면도를 그레일 스케일로 변환하기 위한 그레이 스케일 변환부;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 내에서 상기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에 의해 제거된 문이 위치한 벽체가 연장되도록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를 가공하기 위한 벽체 연장부; 상기 벽체가 연장되어 제공된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를 에지 이미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미지 변환부;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 내에 표시된 선을 종류 - 상기 종류는, 수평선 및 수직선을 포함함 - 별로 검출하기 위한 선 검출부; 상기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종류 별 선을 순차적으로 미리 정해진 두께 및 미리 정해진 높이로 3D 벽체로 변환하여 3D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 형성부; 및 상기 3D 공간이 형성된 이미지에 상기 제거된 구성요소에 대한 3D 이미지를 오버랩하기 위한 오버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System of 3D modeling for interior target space}
본 발명은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가치가 현 세대에 급부상 함에 따라 사람이 일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특정 공간(예를 들면, 주거 공간 또는 상업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주거공간 또는 상업공간 등의 특정 공간에 대해 인테리어를 원하는 사용자는 인테리어 업체에서 상담을 진행하게 되고, 인테리어 업체에서 소개해주는 인테리어 자재, 예를 들면, 장판, 벽지 또는 가구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인테리어 자재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인테리어 자재 그 자체만을 가지고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실제 인테리어가 완료된 특정 공간에 대해서는 상상해보는 것 밖에는 다른 방법이 없었던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인테리어 공사가 진행되는 도중에 수시로 사용자의 예상대로 인테리어가 진행되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밖에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인테리어가 완료된 이후에 확인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인테리어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완료된 이후에 확인하는 경우, 인테리어의 상태가 사용자의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으며, 현재에는 사용자의 컴플레인을 통해 추가 시공 등을 통해 해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 과정에서 분쟁의 소지도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특정 공간에 대해 인테리어를 하고자 하는 경우 실제 인테리어 공사가 진행되기 전이라도 인테리어가 완료된 상태를 사용자게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여, 인테리어 공사의 추가 시공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테리어의 대상이 되는 대상 공간에 대한 정확한 평면도가 추출되도록 하고,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를 기초로 3D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 및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이 가능토록 하여, 대상 공간에 대하여 실제 인테리어 공사가 진행되기 전이라도 인테리어가 완료된 상태를 사용자게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은, 3D 모델링의 대상이 되는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를 표시하기 위한 대상 공간 평면도 표시부; 상기 평면도 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기 위한 좌표 형성부; 상기 평면도 내의 표시된 문에 대한 구성요소를 검출하고 제거하기 위한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 상기 구성요소가 제거된 평면도를 그레일 스케일로 변환하기 위한 그레이 스케일 변환부;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 내에서 상기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에 의해 제거된 문이 위치한 벽체가 연장되도록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를 가공하기 위한 벽체 연장부; 상기 벽체가 연장되어 제공된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를 에지 이미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미지 변환부;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 내에 표시된 선을 종류 - 상기 종류는, 수평선 및 수직선을 포함함 - 별로 검출하기 위한 선 검출부; 상기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종류 별 선을 순차적으로 미리 정해진 두께 및 미리 정해진 높이로 3D 벽체로 변환하여 3D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 형성부; 및 상기 3D 공간이 형성된 이미지에 상기 제거된 구성요소에 대한 3D 이미지를 오버랩하기 위한 오버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의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선 중 상기 수평선에 대한 상기 좌표 형성부에 따른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 내의 상기 수평선을 3D 벽체로 변환하며, 상기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선 중 상기 수직선에 대한 상기 좌표 형성부에 따른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 내의 상기 수직선을 3D 벽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의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선 중 3D 벽체로 변환되는 최초의 종류의 선에 대한 좌표를 상기 미리 정해진 두께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3D 벽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의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선 중 3D 벽체로 변환되는 최초의 종류의 선에 대한 좌표가 차회 종류의 선에 대한 3D 벽체로의 변환에 대한 좌표로 이용되는 경우, 차회 종류의 선에 대한 3D 벽체로의 변환 시 상기 좌표를 상기 미리 정해진 두께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되, 차회 종류의 선에 대한 3D 벽체의 끝단을 상기 미리 정해진 두께의 절반만큼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의 상기 특정 지점은, 상기 평면도 상에 표시된 선분들의 교차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의 상기 선 검출부는, 일직선으로 연결된 선은 하나의 선으로 인식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인테리어의 대상이 되는 대상 공간에 대한 정확한 평면도가 추출되도록 하고,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를 기초로 3D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 및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기능에 의하여 대상 공간에 대하여 실제 인테리어 공사가 진행되기 전이라도 인테리어가 완료된 상태를 사용자게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여, 인테리어의 추가 시공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제공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에 제공되는 예비 평면도 선택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예비 평면도에 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에 제공되는 관계 규정부에 의해 공간을 구성하는 벽체가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에 제공되는 관계 규정부에 의해 문이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에 제공되는 관계 규정부에 공간이 신설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의해 공간이 신설된 경우의 문이 생성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제공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에 제공되는 대상 공간 평면도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대상 공간 평면도에 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에 제공되는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에 의해 구성요소가 제거된 평면도에 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에 제공되는 그레일 스케일부에 의해 그레일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에 대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에 제공되는 벽체 연장부에 의해 가공된 평면도에 대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에 제공되는 이미지 변환부에 의해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에 대한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에 제공되는 선 검출부에 의해 각각 수평선 및 수직선이 검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제공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제공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제공되는 가구 배치 추천부에 의한 가구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10)은 인테리어의 대상이 되는 부동산의 대상 공간에 대한 정확한 평면도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면도에 대해 3D 모델링을 구현한 후,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및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10)은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를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인테리어 공사가 진행되기 전이라도 인테리어가 완료된 상기 대상 공간을 시각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만족으로 인한 인테리어 공사의 추가 시공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10)은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100),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200),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300), 및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각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제공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100)은 정보 입력부(110), 평면도 저장부(120), 평면도 선택 표시부(130), 예비 평면도 선택 표시부(140), 관계 규정부(150) 및 최종 평면도 추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입력부(110)는 인테리어의 대상이 되는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 및 특정 정보를 입력 받는 구성요소로,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공지의 입력수단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부동산 주소 정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건물 유형 정보, 공급 면적 정보, 전용 면적 정보, 평면 유형 정보, 현관 구조 정보, 방 또는 욕실 개수에 대한 정보, 방, 문 또는 창의 개수 또는 크기에 대한 정보 등 상기 대상 공간을 정의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건물 유형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대상 공간이 아파트, 오피스텔, 원룸, 단독 주책 등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평면 유형 정보는, 예를 들어, 2BAY, 3BAY 또는 4BAY 등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특정 정보는 후술할 예비 평면도에서 상기 대상 공간과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한 정보로,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벽체의 이동 또는 신설, 문 또는 창의 이동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평면도 저장부(120)는 특정 부동산에 대한 정보 및 평면도가 저장된 일종의 저장수단으로, 상기 특정 부동산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부동산에 대한 정보는 특정 부동산에 대한 평면도에 포함된 모든 벽체 각각에 대한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평면도 저장부(120)는 하나의 평면도 내에서 어느 벽체가 내력벽에 해당되어 고정 벽체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평면도 저장부(120)는 하나의 부동산에 대해 다양한 정보 및 평면도가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될 수 있는 부동산의 개수는 저장 용량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평면도 선택 표시부(130)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평면도 저장부(120)에 저장된 평면도 중 미리 정해진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 평면도가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수단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유사도 조건은 다양한 유사도 판단 기준에 의거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의 항목과 상기 평면도 저장부(120)에 저장된 특정 부동산에 대한 정보의 항목 간의 일치되는 개수에 관한 조건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항목에 대해서는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의 항목과 상기 평면도 저장부(120)에 저장된 특정 부동산에 대한 정보의 항목 간의 일치되는 개수가 적은 부동산의 평면도일지라도 일치되는 개수가 더 많은 부동산의 평면도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유사도 조건을 만족할 수도 있다.
상기 예비 평면도 선택 표시부(140)는 상기 평면도 선택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된 평면도 내에서 하나의 평면도가 선택되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최종 평면도의 대상이 되는 예비 평면도가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면도 선택 표시부(130)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 평면도가 5개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수단을 통해 표시된 경우, 상기 예비 평면도 선택 표시부(140)는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한 신호 입력에 기초하여 하나의 평면도를 예비 평면도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계 규정부(150)는 상기 예비 평면도 내의 복수의 공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성요소 간의 결합 관계가 규정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요소는 벽체, 문, 창문, 싱크대, 욕조 또는 세면대 등 부동산 평면도에 표시되는 모든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관계 규정부(150)는 내력벽에 해당되는 벽체에 대해서는 위치 이동이 불가하도록 하며, 상기 구성요소 중 이웃한 공간을 규정하는 벽체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분리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연동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관계 규정부(150)는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수단을 통해 예비 평면도가 표시되면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신호 입력에 기초하여 벽체가 이동되도록 하되 하나의 벽체가 이동되면 이와 연결된 벽체가 동시에 이동되도록 하거나 서로 분리되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관계 규정부(150)에 의해 구성요소의 위치 이동이 완료되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가 수정되면, 최종 평면도 추출부(160)에 의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최종 평면도가 추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최종 평면도 추출부(160)는 상기 관계 규정부(150)에 의해 벽체 등이 이동되어 예비 평면도가 수정되는 진행이 완료되면 수정된 예비 평면도를 최종 평면도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100)은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서 예비 평면도가 표시되고 이에 대한 수정 단계를 거쳐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최종 평면도가 추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동작 순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에 제공되는 예비 평면도 선택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예비 평면도에 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에 제공되는 관계 규정부에 의해 공간을 구성하는 벽체가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에 제공되는 관계 규정부에 의해 문이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에 제공되는 관계 규정부에 공간이 신설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의해 공간이 신설된 경우의 문이 생성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의 동작은,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제1 단계(S110), 미리 정해진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 평면도가 표시되는 제2 단계(S120), 예비 평면도가 표시되는 제3 단계(S130), 구성요소가 위치 이동되는 제4 단계(S140), 및 최종 평면도가 표시되는 제5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S110)는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부동산 주소 정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건물 유형 정보, 공급 면적 정보, 전용 면적 정보, 평면 유형 정보, 현관 구조 정보, 방 또는 욕실 개수에 대한 정보, 방, 문 또는 창의 개수 또는 크기에 대한 정보 등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는 항목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S120)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평면도 저장부(120)에 저장된 평면도 중 미리 정해진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 평면도가 평면도 선택 표시부(130)에 의해 선택되고 표시되는 단계로, 상기 미리 정해진 유사도 조건은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특정 개수의 평면도가 선택되고 표시되도록 하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130)는 예비 평면도 선택 표시부(140)에 의해 하나의 평면도가 선택되고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로,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한 신호 입력에 기초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도 선택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평면도 중 하나가 예비 평면도로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130)에 의해 예비 평면도가 선택되어 표시되면, 구성요소가 위치 이동되는 제4 단계(S14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S140)는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상기 예비 평면도 내에 포함된 구성요소가 관계 규정부(150)에 의해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로, 상기 관계 규정부(150)는 내력벽에 해당되는 벽체에 대해서는 위치 이동이 불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계 규정부(150)는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공간에 대한 벽체가 상기 특정 공간과 이웃하는 공간을 규정하는 벽체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서로 분리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서로 연동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가 예비 평면도와 비교할 때 침실 공간의 외부 벽체(W1)만이 상이한 경우, 상기 관계 규정부(150)는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정보, 즉,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외부 벽체(W1)에 대한 위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침실 공간과 이웃하는 공간을 규정하는 외부 벽체(W2)와 서로 분리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가 예비 평면도와 비교할 때, 침실 공간의 외부 벽체(W1) 및 상기 침실 공간과 이웃하는 공간을 규정하는 외부 벽체(W2) 모두 상이한 경우, 상기 관계 규정부(150)는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정보, 즉,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외부 벽체(W1, W2)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침실 공간과 이웃하는 공간을 규정하는 외부 벽체(W1, W2)를 서로 연동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관계 규정부(150)는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벽체인 상기 외부 벽체(W1)가 이동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벽체인 상기 외부 벽체(W1)로 인해 제공되는 공간(침실 공간)의 특성이 유지되도록, 상기 특정 벽체인 상기 외부 벽체(W1)로 인해 제공되는 공간(침실 공간)과 관련된 벽체(W3)를 자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관계 규정부(150)는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문 또는 창이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문 또는 창이 존재하는 벽체를 자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가 예비 평면도와 비교할 때, 침실 공간의 문의 위치가 상이한 경우, 상기 관계 규정부(150)는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정보, 즉, 사용자가 선택한 문(D1)에 대한 위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문(D)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문(D1)이 이동된 벽체(W4)는 자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계 규정부(150)는 상기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벽체가 신설되어 타 공간과 구획된 새로운 공간이 신설된 경우, 상기 새로운 공간을 규정하는 벽체에 출입을 위한 문이 자동적으로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제공된 문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가 예비 평면도와 비교할 때, 새로운 벽체(W5)로 인한 침실 공간의 분리인 경우, 상기 관계 규정부(150)는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정보, 즉, 새로운 벽체(W5)의 신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침실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때, 분리되어 신설된 새로운 공간(S)을 규정하는 벽체(W6)에 출입을 위한 문(D2)이 자동적으로 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4 단계(S140)가 완료되면, 최종 평면도 추출부(160)에 의해 최종 평면도가 표시되는 제5 단계(S150)가 진행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5 단계(S150)가 진행되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가 최종적으로 확정되면, 상기 평면도 저장부(120)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최종 평면도를 상기 대상 공간과 관련된 부동산에 대한 평면도로 저장되어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100)을 사용하고자 하는 새로운 사용자가 동일한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를 얻고자 하는 경우, 즉, 상기 업데이트가 완료된 이후, 상기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최종 평면도가 재 추출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평면도 선택 표시부(13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 평면도에 상기 업데이트 된 평면도를 포함시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단계(S150)가 진행되어 상기 업데이트 된 평면도가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최종 평면도로 재 추출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100)을 사용하고자 하는 또 다른 새로운 사용자가 동일한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를 얻고자 하는 경우, 상기 평면도 선택 표시부(130)는 상기 업데이트 된 평면도를 상기 미리 정해진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 평면도로 한정하여 표시되도록 하여,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추출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2.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제공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200)은 대상 공간 평면도 표시부(210), 좌표 형성부(220),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230), 그레이 스케일 변환부(240), 벽체 연장부(250), 이미지 변환부(260), 선 검출부(270), 공간 형성부(280) 및 오버랩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공간 평면도 표시부(210)는 3D 모델링의 대상이 되는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를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최종 평면도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좌표 형성부(220)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특정 지점은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상에 표시된 선, 예를 들어, 선분들의 교차점일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230)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상에 표시된 문에 대한 구성요소를 검출하고 제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검출 및 제거 대상은 상기 문 이외에 싱크대, 욕조 또는 세면대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그레이 스케일 변환부(240)는 상기 구성요소가 제거된 평면도를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그레일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는 명암만을 가진 평면도로 변환되게 된다.
상기 벽체 연장부(250)는 상기 스케일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 내에서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230)에 의해 제거된 문이 위치한 벽체가 연장되도록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를 가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변환부(260)는 상기 벽체가 연장되어 제공된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를 에지 이미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는 선으로만 구성된 평면도일 수 있다.
상기 선 검출부(270)는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 내에 표시된 선을 종류 별로 검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선의 종류는 수평선, 수직선, 사선 및 곡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 검출부(270)는 일직선으로 연결된 선은 하나의 선으로 인식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공간을 동시에 규정하는 벽체는 하나의 선으로 인식하여 검출되게 된다.
상기 공간 형성부(280)는 상기 선 검출부(270)에 의해 검출된 종류 별 선을 순차적으로 미리 정해진 두께 및 미리 정해진 높이로 3D 벽체로 변환하여 3D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부(280)는 상기 선 검출부(270)에 의해 검출된 선 중 상기 수평선에 대한 상기 좌표 형성부(220)에 따른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 내의 상기 수평선을 3D 벽체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선 검출부(270)에 의해 검출된 선 중 상기 수직선에 대한 상기 좌표 형성부(220)에 따른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 내의 상기 수직선을 3D 벽체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오버랩부(290)는 상기 3D 공간이 형성된 이미지에 상기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230)에 의해 제거된 구성요소에 대한 3D 이미지를 오버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3D 이미지 상에서는 3D로 입체화된 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200)은 평면도 상의 수평선 및 수직선을 검출하고 이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3D 입체화를 하는 구성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동작 순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에 제공되는 대상 공간 평면도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대상 공간 평면도에 대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에 제공되는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에 의해 구성요소가 제거된 평면도에 대한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에 제공되는 그레일 스케일부에 의해 그레일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에 대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에 제공되는 벽체 연장부에 의해 가공된 평면도에 대한 도면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에 제공되는 이미지 변환부에 의해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에 대한 도면이다.
또한,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에 제공되는 선 검출부에 의해 각각 수평선 및 수직선이 검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200)의 동작은, 3D 모델링의 대상이 되는 대상 공간의 평면도가 표시되는 제1 단계(S210), 평면도 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가 설정되는 제2 단계(S220), 평면도 내에 표시된 문에 대한 구성요소가 검출되고 제거되는 제3 단계(S230), 그레일 스케일로 변환되는 제4 단계(S240),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가 가공되는 제5 단계(S250),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가 에지 이미지로 변환되는 제6 단계(S260),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 내에 표시된 선을 종류 별로 검출되는 제7 단계(S270), 공간이 형성되는 제8 단계(S280), 제거된 구성요소의 3D 이미지가 오버랩되는 제9 단계(S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S2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공간 평면도 표시부(210)에 의해 대상 공간의 평면도가 표시되는 단계로, 상기 대상 공간의 평면도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최종 평면도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S220)는 좌표 형성부(220)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대상 공간의 평면도 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로, 상기 특정 지점(P)은 평면도 상의 수평선 관련 벽체와 수직선 관련 벽체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표 형성부(220)는 특정 지점(P)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기 위해 기준 좌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 좌표에 상기 대상 공간의 평면도를 매칭시킨 후 불필요한 지점에 대한 좌표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상기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230)는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230)에 의해 제1 단계(S210) 및 제2 단계(S220)에 의해 표시된 평면도 내에 표시된 문(D3)에 대한 구성요소를 제거하는 단계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도 상에서 문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S24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일 스케일 변환부(240)에 의해 문(D3)이 제거된 평면도가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되는 단계로, 그레일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는 명암만을 가진 평면도로 변환되게 된다.
상기 제5 단계(S25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연장부(250)에 의해 문(D3)이 위치했던 벽체(W7)가 연장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6 단계(S26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변환부(260)에 의해 벽체가 연장되어 제공된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가 에지 이미지로 변환되는 단계로, 상기 에지 이미지는 선으로만 구성된 평면도일 수 있다.
상기 제7 단계(S270)는 선 검출부(270)에 의해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 내에 표시된 선을 종류 별로 검출하기 위한 단계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선을 검출할 수 있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을 검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선 검출부(2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연결된 선은 하나의 선으로 인식하여 검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공간을 동시에 규정하는 벽체는 하나의 선으로 인식하여 검출되게 된다.
제8 단계(S280)는 상기 선 검출부(270)에 의해 검출된 종류 별 선을 공간 형성부(280)에 의해 순차적으로 미리 정해진 두께 및 미리 정해진 높이로 3D 벽체로 변환하여 3D 공간이 형성되는 단계로,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수평선을 미리 정해진 두께 및 미리 정해진 높이로 3D화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수직선을 미리 정해진 두께 및 미리 정해진 높이로 3D화 하여, 벽체 만으로 이루어진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이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 형성부(280)는 상기 선 검출부(270)에 의해 검출된 선 중 3D 벽체로 변환되는 최초의 종류의 선에 대한 좌표를 상기 미리 정해진 두께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3D 벽체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 형성부(280)는 상기 선 검출부(270)에 의해 검출된 선 중 3D 벽체로 변환되는 최초의 종류의 선에 대한 좌표가 차회 종류의 선에 대한 3D 벽체로의 변환에 대한 좌표로 이용되는 경우, 차회 종류의 선에 대한 3D 벽체로의 변환 시 상기 좌표를 상기 미리 정해진 두께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되, 차회 종류의 선에 대한 3D 벽체의 끝단을 상기 미리 정해진 두께의 절반만큼 연장되도록 하여, 3D 모델링 시에 발생되는 벽체 간의 연결 부분의 정확도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 형성부(280)는 상기 3D 벽체가 완성된 후 대상 공간에 대한 바닥 및 천정에 대해서도 입체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벽체로 이루어진 상기 대상 공간의 3D 모델링이 완료된다.
상기 제9 단계(S290)는 상기 공간 형성부(280)에 의해 제공되는 3D 모델링에서 제거된 구성요소의 3D 이미지, 즉, 문에 대한 3D 이미지가 오버랩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문에 대한 3D 이미지는 문의 두께, 폭, 높이 등이 미리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200)은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에 대하여 실측과 동일하도록 스케일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은 후술할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및 후술할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3.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제공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300)은 이미지 표시부(310), 공간 선택부(320), 스타일 입력부(340), 스타일 별 자재 저장부(350), 자재 매칭부(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표시부(310)는 특정 공간에 대한 3D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3D 이미지는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로 설명한 3D 모델링 이미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간 선택부(320)는 상기 특정 공간 중 인테리어의 대상이 되는 대상 공간이 선택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대상 공간은 부동산 전체의 공간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침실, 거실, 화장실, 및 테라스 등의 일부 공간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
상기 스타일 입력부(340)는 상기 공간 선택부(320)에 의해 선택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스타일을 입력 받는 구성요소로, 상기 인테리어 스타일은 예를 들어 모던, 내추럴, 프렌치, 프로방스, 심플, 클래식, 로맨틱, 북유럽, 럭셔리 또는 빈티지 등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스타일 별 자재 저장부(350)는 각 스타일 별 시공 종류에 따른 시공 자재가 표준화되어 저장된 일종의 저장수단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공 종류는, 예를 들어, 인테리어 스타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도장, 도배, 필름, 타일, 석재, 목재 또는 비닐재 등 다양할 수 있으며, 시공 자재는 각 시공 종류 별로 시공비에 기초하여 내림차순으로 표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타일 별 자재 저장부(350)는 각 스타일 별 시공 종류에 따른 시공 자재가 상기 시공 종류 별로 시공비에 기초하여 표준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자재 매칭부(360)는 상기 스타일 입력부(340)를 통해 입력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스타일에 기초하여, 상기 스타일 별 자재 저장부(350)에 저장된 시공 자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시공 자재를 상기 대상 공간에 매칭시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완성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재 매칭부(360)에 의해 완성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은 스타일 시뮬레이션 표시부(380)에 의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재 매칭부(360)는 상기 선택된 시공 자재를 상기 대상 공간에 매칭시키기 위해 특정 공간에 대한 3D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3D 이미지 상의 벽체선, 입면선, 내벽, 외벽, 문, 또는 창 등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시공 자재를 정확한 위치에 매칭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300)은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스타일 전체 시공비가 입력되기 위한 시공비 입력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재 매칭부(360)는 상기 시공비 입력부(330)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전체 시공비에 기초하여 상기 스타일 별 자재 저장부(350)에 저장된 시공 자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완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재 매칭부(360)는 상기 시공비 입력부(330)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전체 시공비를 기준으로 한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스타일 별 자재 저장부(350)에 저장된 시공 자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완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완성되고, 스타일 시뮬레이션 표시부(380)에 의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면, 상기 사용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300)은 상기 자재 매칭부(360)에 의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완성되어 상기 스타일 시뮬레이션 표시부(380)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면, 상기 시공비 입력부(330)에 의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스타일 전체 시공비가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재 매칭부(360)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스타일 전체 시공비에 기초하여, 상기 스타일 별 자재 저장부(350)에 저장된 시공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교체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공 자재의 교체는 상기 교체되는 시공 자재의 개수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자재 매칭부(360)는 시공비가 가장 고가인 시공 자재를 우선시 하여 교체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3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공비 및 스타일에 맞게 대상 공간을 인테리어 할 수 있는 구성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동작 순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300)의 동작은, 3D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단계(S310), 대상 공간이 선택되는 제2 단계(S320), 시공 자재가 선택되고 상기 대상 공간에 매칭되는 제3 단계(S330), 시공비가 산출되고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표시되는 제4 단계(S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S310)는 특정 공간에 대한 3D 이미지가 표시되는 단계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3D 이미지는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로 설명한 3D 모델링 이미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단계(S320)는 공간 선택부(320)에 의해 상기 특정 공간 중 인테리어의 대상이 되는 대상 공간이 선택되는 단계로, 상기 대상 공간은 부동산 전체 공간, 또는 침실, 거실 등의 일부 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30)는 상기 스타일 입력부(340)를 통해 입력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스타일에 기초하여, 스타일 별 자재 저장부(350)에 저장된 시공 자재가 자재 매칭부(360)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시공 자재를 상기 대상 공간에 매칭시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완성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단계(S330) 이전의 단계, 예를 들어, 제2-1 단계(S322)에서 시공비 입력부(330)를 통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스타일 전체 시공비가 입력되면, 상기 제3 단계(S330)는 상기 입력된 전체 시공비에 기초하여 상기 스타일 별 자재 저장부(350)에 저장된 시공 자재가 상기 자재 매칭부(360)에 의해 선택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완성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S330)는 상기 시공비 입력부(330)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전체 시공비를 기준으로 한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스타일 별 자재 저장부(350)에 저장된 시공 자재가 상기 자재 매칭부(360)에 의해 선택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완성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복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완성되고, 스타일 시뮬레이션 표시부(380)에 의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면, 상기 사용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 단계(S340)는 상기 제3 단계(S330)를 통해 완성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스타일 시뮬레이션 표시부(380)에 의해 표시되고, 이에 대한 전체 시공비가 시공비 산출부(370)에 의해 산출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결과 및 이에 따른 전체 시공비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4 단계(S340)가 진행된 후, 전체 시공비에 대한 만족 여부가 판단되는 제5 단계(S35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단계(S340)를 통해 산정된 전체 시공비가 만족할 수준이면, 절차는 종료되게 된다.
다만, 상기 제5 단계(S350)를 통해 전체 시공비가 만족할 수준이 아닌 경우, 시공비 입력부(330)를 통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스타일 전체 시공비가 입력되는 제6 단계(S36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6 단계(S360)에 의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스타일 전체 시공비가 입력되면, 상기 제3 단계(S330)에 의해 완성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보정되고 표시되는 동시에 전체 시공비가 재산출되는 제7 단계(S37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7 단계(S370)는 자재 매칭부(360)에 의해 시공 자제 중 적어도 하나가 교체되는 단계로, 상기 시공 자재의 교체는 교체되는 시공 자재의 개수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자재 매칭부(360)는 시공비가 가장 고가인 시공 자재를 우선시 하여 교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7 단계(S370)는 상기 제6 단계(S360)를 통해 입력되는 전체 시공비가 제5 단계(S350)를 통해 산출되는 전체 시공비보다 작은 경우, 감액되는 시공비를 보완하기 위해 교체해야 하는 시공 자재의 개수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보정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시뮬레이션이 보정 과정은 사용자가 만족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절차는 종료되게 된다.
4.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제공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400)은 가구 배치 공간 선택부(410), 가구 선택부(440), 대상 공간 정보 획득부(450), 가구 배치 추천부(460) 및 가구 배치 시뮬레이션 표시부(4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구 배치 공간 선택부(410)는 특정 공간 중 인테리어의 대상이 되는 대상 공간이 선택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대상 공간은 침실, 부엌 및 거실 등일 수 있다.
상기 가구 배치 공간 선택부(410)는 상기 대상 공간이 선택되기 위해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2D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2D 이미지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평면도일 수 있고, 상기 3D 이미지는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로 설명한 3D 모델링 이미지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가구 배치 공간 선택부(410)가 상기 대상 공간이 선택되기 위해 이용하는 이미지는 전술한 이미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구 선택부(440)는 용도, 스타일,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될 상기 가구가 선택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가구 정보 입력부(420)를 통해 입력된 가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가구 정보 저장부(430)에 저장된 가구 중에서 특정 가구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구 정보 입력부(420)는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용도, 스타일,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상기 가구 선택부(440)는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가구 정보 저장부(430)에 저장된 가구 중에서 이와 매칭되는 특정 가구를 선택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용도에 대한 정보는 침실, 서재, 부엌 또는 화장실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스타일에 대한 정보는 모던, 심플 또는 클래식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사이즈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침대의 경우 패밀리, 퀸, 싱글 또는 아동용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대상 공간 정보 획득부(450)는 상기 가구가 배치될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바닥 면적, 문 또는 창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2D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가구 배치 추천부(460)는 상기 가구 선택부(440)에 의해 선택된 가구를 대상 공간 상에서 가변적인 특정 위치에 배치시킨 후, 여유 공간에 대한 정보가 고려되어, 상기 가변적인 특정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추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구가 추천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는 가구 배치 시뮬레이션 표시부(470)에 의해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여유 공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가구가 상기 특정 위치에 배치된 경우의 상기 여유 공간에 대한 수직거리, 수평거리 및 동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공간에 문 및 창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문으로부터 상기 창을 향한 동선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유 공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대상 공간에 창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창과 상기 가구 사이에 여유 공간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가구의 배치를 배제시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구 배치 추천부(460)는 상기 대상 공간에 창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창과 상기 가구 사이에 여유 공간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가구의 배치를 배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400)은 특정 가구가 선택되면 대상 공간 상의 최적의 배치 위치를 추천할 수 있는 구성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동작 순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제공되는 가구 배치 추천부에 의한 가구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400)의 동작은, 가구가 배치될 대상 공간이 선택되는 제1 단계(S410), 가구가 선택되는 제2 단계(S420),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는 제3 단계(S430) 및 가구가 배치된 상태를 추천하는 제4 단계(S440), 및 가구 배치 시뮬레이션을 표시하는 제4 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S410)는 가구 배치 공간 선택부(410)에 의해 특정 공간 중 인테리어의 대상이 되는 대상 공간이 선택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2D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계(S410)에 의해 상기 대상 공간이 침실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S420)는 가구 선택부(440)에 의해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될 가구가 선택되는 단계로, 가구 정보 입력부(420)를 통해 입력된 가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계(S420)에 의해 모던한 퀸 사이즈의 침대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가구 선택부(440)에 의해 가구가 선택되는 과정은 상기 가구 정보 입력부(420)를 통해 특정 가구에 대한 이미지가 입력되고, 입력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선택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3 단계(S430)는 대상 공간 정보 획득부(450)에 의해 상기 가구가 배치될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대상 공간의 바닥 면적, 문 또는 창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2D 이미지 또는 3D 이미지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S440)는 상기 가구 선택부(440)에 의해 선택된 가구에 대해 상기 대상 공간 상에서 배치되어야 하는 최적의 위치가 가구 배치 추천부(460)에 의해 추천되는 단계로, 상기 대상 공간 상에서 상기 가구를 가변적인 특정 위치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시킨 후, 여유 공간에 대한 정보가 고려되어, 상기 가변적인 특정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추천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유 공간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구가 상기 특정 위치에 배치된 경우의 상기 여유 공간에 대한 수직거리, 수평거리 및 동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공간에 문 및 창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문으로부터 상기 창을 향한 동선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유 공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대상 공간에 창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창과 상기 가구 사이에 여유 공간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가구의 배치를 배제시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유 공간에 대한 정보에 대해 도 23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3(a)의 경우, 가변적인 특정 위치가 A 지점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대상 공간에 창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창과 가구 사이에 여유 공간이 제공되지 않아, 상기 제4 단계(S440) 진행 시 상기 가구 배치 추천부(460)에 의해 추천되지 않게 된다.
도 23(b), 도 23(c) 및 도 23(d)의 경우, 각각 가변적인 특정 위치가 B 지점, C지점 및 D 지점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가구 배치 추천부(460)에 의해 여유 공간에 대한 수직거리, 수평거리, 및 문으로부터 창을 향한 동선의 거리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3가지 후보군에서 상기 가구 배치 추천부(460)는 가구와 창 사이의 여유 공간의 크기, 가구와 문 사이의 여유 공간의 크기 및 문으로부터 창을 향한 동선을 고려한 직선 거리 등을 기초로 하여, 도 23(d)에 도시된 대상 공간 상의 가구의 배치 상태를 추천할 수 있다.
추천된 상태는 제4 단계(S450)를 통해 가구 배치 시뮬레이션이 표시되어 사용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400)은 도 23(b) 및 도 23(c) 등의 경우도 시뮬레이션 되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100: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
110: 정보 입력부
120: 평면도 저장부
130: 평면도 선택 표시부
140: 예비 평면도 선택 표시부
150: 관계 규정부
160: 최종 평면도 추출부
200: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210: 대상 공간 평면도 표시부
220: 좌표 형성부
230: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
240: 그레이 스케일 변환부
250: 벽체 연장부
260: 이미지 변환부
270: 선 검출부
280: 공간 형성부
290: 오버랩부
300: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
310: 이미지 표시부
320: 공간 선택부
330: 시공비 입력부
340: 스타일 입력부
350: 스타일 별 자재 저장부
360: 자재 매칭부
370: 시공비 산출부
380: 스타일 시뮬레이션 표시부
400: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410: 가구 배치 공간 선택부
420: 가구 정보 입력부
430: 가구 정보 저장부
440: 가구 선택부
450: 대상 공간 정보 획득부
460: 가구 배치 추천부
470: 가구 배치 시뮬레이션 표시부

Claims (6)

  1. 3D 모델링의 대상이 되는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를 표시하기 위한 대상 공간 평면도 표시부;
    상기 평면도 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기 위한 좌표 형성부;
    상기 평면도 내의 표시된 문에 대한 구성요소를 검출하고 제거하기 위한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
    상기 구성요소가 제거된 평면도를 그레일 스케일로 변환하기 위한 그레이 스케일 변환부;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 내에서 상기 구성요소 검출 제거부에 의해 제거된 문이 위치한 벽체가 연장되도록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를 가공하기 위한 벽체 연장부;
    상기 벽체가 연장되어 제공된 상기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평면도를 에지 이미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미지 변환부;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 내에 표시된 선을 종류 - 상기 종류는, 수평선 및 수직선을 포함함 - 별로 검출하기 위한 선 검출부;
    상기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종류 별 선을 순차적으로 미리 정해진 두께 및 미리 정해진 높이로 3D 벽체로 변환하여 3D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 형성부; 및
    상기 3D 공간이 형성된 이미지에 상기 제거된 구성요소에 대한 3D 이미지를 오버랩하기 위한 오버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선 중 3D 벽체로 변환되는 최초의 종류의 선에 대한 좌표를 상기 미리 정해진 두께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3D 벽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선 중 상기 수평선에 대한 상기 좌표 형성부에 따른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 내의 상기 수평선을 3D 벽체로 변환하며,
    상기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선 중 상기 수직선에 대한 상기 좌표 형성부에 따른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에지 이미지로 변환된 평면도 내의 상기 수직선을 3D 벽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선 중 3D 벽체로 변환되는 최초의 종류의 선에 대한 좌표가 차회 종류의 선에 대한 3D 벽체로의 변환에 대한 좌표로 이용되는 경우, 차회 종류의 선에 대한 3D 벽체로의 변환 시 상기 좌표를 상기 미리 정해진 두께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되, 차회 종류의 선에 대한 3D 벽체의 끝단을 상기 미리 정해진 두께의 절반만큼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점은,
    상기 평면도 상에 표시된 선분들의 교차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 검출부는,
    일직선으로 연결된 선은 하나의 선으로 인식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KR1020210135417A 2021-10-13 2021-10-13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KR102444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417A KR102444817B1 (ko) 2021-10-13 2021-10-13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417A KR102444817B1 (ko) 2021-10-13 2021-10-13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817B1 true KR102444817B1 (ko) 2022-09-21

Family

ID=8345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417A KR102444817B1 (ko) 2021-10-13 2021-10-13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8829A (zh) * 2023-07-24 2023-08-22 山东融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孪生的智慧建筑三维可视化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668A (ko) * 2015-01-08 2016-07-18 이주성 파일의 도면화 방법
JP2017156974A (ja) * 2016-03-01 2017-09-07 福井コンピュー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図面作成装置、及び図面作成プログラム
KR102065788B1 (ko) * 2019-03-21 2020-01-13 정현호 건축물 안전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668A (ko) * 2015-01-08 2016-07-18 이주성 파일의 도면화 방법
JP2017156974A (ja) * 2016-03-01 2017-09-07 福井コンピュー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図面作成装置、及び図面作成プログラム
KR102065788B1 (ko) * 2019-03-21 2020-01-13 정현호 건축물 안전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8829A (zh) * 2023-07-24 2023-08-22 山东融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孪生的智慧建筑三维可视化系统
CN116628829B (zh) * 2023-07-24 2023-11-07 山东融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孪生的智慧建筑三维可视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396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ior design
US10803659B2 (en) Automatic three-dimensional solid modeling method and program based on two-dimensional drawing
US20230393579A1 (en) Sectoring of maps for robot navigation
US92137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onent-based architecture design
US94432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ation of floor covering and system for user configuration and real time pricing information
US10331807B2 (en) Generating a rules database for multi condition takeoff in a construction project
KR102444817B1 (ko)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CN108984765B (zh) 一种基于智能图像分析的户型图找房方法
JP6202831B2 (ja) インテリアコーディネート支援システム及びインテリアコーディネート支援方法
WO2021076549A1 (en) Machine learning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home value
WO202219241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sion of change orders into an actionable interface
CN113051645A (zh) 基于bim的工程施工管理数字化方法、系统、终端及介质
WO202400609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determination of building metrics for code compliance with user interaction
KR102444805B1 (ko)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평면도 생성 시스템
US1163623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edicting architectural materials within a space
CN111226218A (zh) 俄罗斯方块式房屋设计系统
KR20230052394A (ko)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가구 배치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30052393A (ko)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스타일 별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40036190A (ko)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3d 모델링 시스템
KR101142384B1 (ko) 마감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마감재의 설계 방법
JP6975878B2 (ja) 空間プラン提案システム、空間プラン提案方法、空間プラン提案システム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及び空間プラン提案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表示端末
CN112818432A (zh) 一种铺砖设计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6039817A (ja) 建物プラン分析システム及び建物プラン分析方法
US20210365603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ior furnishing
JP6339282B1 (ja) 共同住宅の設計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