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754B1 - Composite signal detection controller - Google Patents

Composite signal detection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754B1
KR102444754B1 KR1020210107303A KR20210107303A KR102444754B1 KR 102444754 B1 KR102444754 B1 KR 102444754B1 KR 1020210107303 A KR1020210107303 A KR 1020210107303A KR 20210107303 A KR20210107303 A KR 20210107303A KR 102444754 B1 KR102444754 B1 KR 10244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ignal
controller
leak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창업
구효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티
Priority to KR1020210107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7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7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5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a comparison with predetermined threshold or range, e.g. "classical methods", carried out during normal operation; threshold adaptation or choice; when or how to compare with the threshol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Bag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A composite signal detection controller includes: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nd acquiring a signal from at least one sensor in a plurality of sensors; and an outputting unit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signal.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mode limiting unit that limits a method for decoding a signal as a first mode or second mode.

Description

복합 신호 감지 제어기{COMPOSITE SIGNAL DETECTION CONTROLLER}COMPOSITE SIGNAL DETECTION CONTROLLER

본 발명은 센서의 종류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의 측정 방법이 다른 것에 대해, 측정 방법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획득하는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for acquiring signals from a plurality of types of sensors by configuring different measuring methods for signals obtained according to types of sensors.

종래의 제어기는 하나의 센서에 하나의 제어기가 연결되거나, 동일한 종류의 센서가 하나의 제어기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센서로부터 신호를 획득한다.A conventional controller acquires a signal from a sensor in such a way that one controller is connected to one sensor, or a sensor of the same type is connected to one controller.

하지만, 이러한 단일 종류의 센서에 대한 측정방식은 다양한 센서로부터 다양한 신호값을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센서의 종류에 따른 제어기를 복수개 구비해야 함으로써 설치 공간, 비용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However, in the measurement method for this single type of sensor, it is impossible to obtain various signal values from various sensors, and for this reason, a plurality of controllers according to the type of sensor must be provided,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installation space and cost.

등록특허공보 제10-0237162호, 1999.10.06.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237162, 1999.10.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제어기가 복수 종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다양한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복합 신호 감지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lex signal detection controller capable of measuring various signals by one controller acquiring signals from a plurality of types of senso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복합 신호 감지 제어기에 있어서, 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신호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신호의 판독 방식을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제한하는 모드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mposite signal detection controll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nd obtaining a signal from at least one sensor amo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an output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signal and a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mode limiting unit for limiting a signal reading method to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제어부는, 신호를 바탕으로 측정값을 획득하고,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 따라 측정값을 판독하는 판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ading unit that acquires the measurement value based on the signal and reads th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제어부는, 판독부가 제1 모드로 측정값을 판독하는 경우,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 측정값을 바탕으로 제1 리크를 판단하고, 판독부가 제2 모드로 측정값을 판독하는 경우, 제2 기준값 미만인 측정값을 바탕으로 제2 리크를 판단하고,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 측정값을 바탕으로 단선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reading unit reads the measured value in the first mod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first leak based on the measured value exceeding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reading unit reads the measured value in the second mode, the second reference valu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eak is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 that is less than, and the disconnec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 that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복수의 센서는, 포인트형 센서 및 필름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포인트형 센서는, 리크 발생시 신호를 생성하고, 필름형 센서는, 리크 발생시 측정값이 감소하되, 단선 발생시 측정값이 증가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nsors include at least one of a point-type sensor and a film-type sensor, the point-type sensor generates a signal when a leak occurs, and the film-type sensor decreases the measured value when a leak occurs, but increases the measured value when a disconnection occur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is generated.

제어부는, 제1 리크, 제2 리크 및 단선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가 획득된 경우, 관리자 단말에 제어기에 대응하는 고유 ID 정보 및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하고, 출력부는, 제1 리크, 제2 리크 및 단선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발생 정보가 획득된 경우, 기 설정된 경보를 실시하며, 경보는, 소리 출력, led 점등 및 진동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when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eak, the second leak and disconnection is obtained, transmits the unique ID information an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r to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output unit, the first leak , when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leak and disconnection is obtained, a preset alarm is executed, and the alar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ound output, an LED lighting and a vibration output.

제어부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값을 획득하고, 온도 측정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바탕으로 측정값을 보정하고, 관리자 단말에 온도 측정값 및 온도 측정값에 대응하는 보정 이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obtains a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corrects the measurement value based on a preset weight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and corresponds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and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to the manager termina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ction history is transmitted.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복합 신호 감지 제어기에 의하면, 하나의 제어기가 복수 종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획득하여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고, 하나의 제어기 많으로 다양한 센서를 제어하기 때문에 설치 공간이나 전원 공급에 의한 제한에 구애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mplex signal detection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one controller to acquire and read signals from a plurality of types of sensors. It has no effec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에 의한 측정값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에 의한 측정값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준값 보정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를 활용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of measurement values in the firs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graphs of measurement values in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ond reference value correction grap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using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unit” or “module”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unit” or “module”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or “module”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 “part” o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 or “module”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Includ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Components and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parts” or “modul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odules” or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or “modules”. can be further separat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A spatially relative term should be understood as a term that includes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component.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specification, a computer means all types of hardware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nd may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software configurations operating in the corresponding hardware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For example, a computer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smart phones, tablet PCs, desktops, notebooks, and user clients and applications running on each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에 의한 측정값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에 의한 측정값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준값 보정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를 활용한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of measurement values in the firs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graphs of measurement values in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ond reference value correction grap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using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본 발명의 제어기(10)는 서버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서버는 메모리,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and the server may include a memory, a communication unit, and a processor.

메모리는 서버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y may store variou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erver. The memory may be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flash-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침(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chips such as a Wi-Fi chip, a Bluetooth chip,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 NFC chip, and a low-power Bluetooth chip (BLE chip). At this time, the Wi-Fi chip, the Bluetooth chip, and the NFC chip perform communication in a LAN method, a WiFi method, a Bluetooth method, and an NFC method, respectively. In the case of using a Wi-Fi chip or a Bluetooth chip, various types of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SSID and a session key are first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the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fter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th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refers to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rd Generation (3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and Long Term Evolution (LTE).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er by us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The processor may include a RAM, a ROM, a graphic processing unit, a main CPU, first to n interfaces, and a bus. In this case, the RAM, ROM, graphic processing unit, main CPU, first to n interfaces, et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us.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서버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RAM stores O/S and application programs. Specifically, when the server is booted, O/S may be stored in the RAM, and various application data selected by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RAM.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The ROM stores an instruction set for booting the system, and the like. When a turn-on command is input and power is supplied, the main CPU copies the O/S stored in the memory to the RAM according to the command stored in the ROM, and executes the O/S to boot the system. When booting is completed, the main CPU copi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to the RAM, and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s copied to the RAM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그래픽 처리부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The graphic processing unit generates a screen including various objects such as items, images, and texts by using a calculation unit (not shown) and a rendering unit (not shown). Here, the calcula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attribute values such as coordinate values, shape, size, color, etc. of each object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layout of the screen by using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In addition, the render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screens of various layouts including objects based on the attribute values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The screen generated by the rendering unit may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메인 CPU는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The main CPU accesses the memory and performs booting using the OS stored in the memory. In addition, the main CPU performs various operations using various programs, contents, data, etc. stored in the memory.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The first to n interfaces are connected to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One of the first to n interfaces may be a network interfac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신호 감지 제어기(10)는, 모드 제한부(110) 및 판독부(120)를 포함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complex signal detection controll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00 including a mode limiting unit 110 and a reading unit 120 .

이때, 제어부(100)는 제어기(10)의 동작을 제어하며,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0 and obtain a signal from at least one sensor among the plurality of sensors.

구체적으로, 복수의 센서는 서로 다른 종류일 수 있으며, 제어기(10)는 복수의 센서 각각으로부터 발생한 모든 복합 신호를 동시에 획득하여 신호의 종류에 따른 판독 방식에 의해 각각 판독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be of different types, and the controller 10 may simultaneously acquire all the composite signals genera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execute each reading by a reading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ignal.

추가로, 본 발명의 제어기(10)는 신호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controll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put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signal.

모드 제한부(110)는, 신호의 판독 방식을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제한하고, 판독부(120)는 신호를 바탕으로 측정값을 획득하고,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 따라 측정값을 판독한다.The mode limiting unit 110 limits a signal reading method to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and the reading unit 120 acquires a measurement value based on the signal, and measures according to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read the value

이때, 모드 제한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스위치가 접한 위치에 따라 판독 방식을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mode limiter 110, as shown in FIG. 1, further includes a switch, so that it is possible to set the read method to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which the switch is in contact.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2번 채널의 스위치가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지점에 위치하여, 판독부(120)가 코인형 센서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판독할 수 있으며, 1번 채널의 스위치가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지점에 위치하여, 판독부(120)가 필름형 센서(220)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witch of channel 2 shown in FIG. 1 is located at the first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de, so that the reading unit 120 can read the signal obtained from the coin-type sensor, and the The switch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de, so that the reading unit 120 may read a signal obtained from the film-type sensor 220 .

본 발명의 제어부(100)는, 판독부(120)가 제1 모드로 측정값을 판독하는 경우,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 측정값을 바탕으로 제1 리크를 판단하고, 판독부(120)가 제2 모드로 측정값을 판독하는 경우, 제2 기준값 미만인 측정값을 바탕으로 제2 리크를 판단하고,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 측정값을 바탕으로 단선을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ading unit 120 reads the measured value in the first mode, determines the first leak based on the measured value exceeding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reading unit 120 When the measured value is read in the second mode, the second leak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 that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disconnec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 that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구체적으로, 제1 리크 및 제2 리크는,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대응하며, 단선은 센서와 제어기(10) 간의 연결에 단선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대응하며, 측정값,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은 저항값일 수 있고, 신호는 저항값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leak and the second leak correspond to the occurrence of a leak event of a hazardous chemical, and the disconnection corresponds to the occurrence of a disconnection event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nsor and the controller 10, the measured value,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a resistance value, and the signal may be data including the resistance value.

일 실시예로, 판독부(120)는 제1 모드에서 제1 기준값이 0Ω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값이 발생하지 않는 구간(0~t1)에서는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안전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고, 측정값이 발생한 시점(t1)에서부터, 측정값이 제1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리크를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0 Ω in the first mode, the reading unit 120 may detect a hazardous chemical leakage event in a section (0 to t1) in which the measured value does not occur, as shown in FIG. 2 . It can be determined as a safe situation in which no occurrence of have.

다른 일 실시예로, 제어기(10)는 제2 모드에서 제2 기준값이 300Ω인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값이 300Ω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2 리크와 단선을 판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10 in the second mode whe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300Ω,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econd leakage and disconnec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measured value corresponds to 300Ω can judge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독부(120)는, 측정값이 하락한 시점(t2)에서부터, 제2 기준값 미만인 측정값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2 리크를 판단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값이 상승한 시점(t3)에서부터, 측정값이 제2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단선을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 the reading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measured value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has occurred from the point in time t2 when the measured value is decreased,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to the leakage event of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2 leak can be determined, and as shown in FIG. 4 , from the point in time t3 when the measured value rises,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valu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the disconnection.

이때, 제2 기준값과 측정값을 대응하는데 있어서, 측정값이 제2 기준값과 동일한 값이거나, 제2 기준값과 갖는 차이값(큰 값에서 작은 값을 감한 값)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본 발명의 판독부는 측정값이 제2 기준값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유해화학물질 누출 이벤트나 단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안전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easured value is the same as the second reference value or the difference value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mall value from the large value) with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ing unit may determine that the measured value corresponds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us may be determined as a safe state in which a hazardous chemical leak event or a disconnection event does not occur.

복수의 센서는, 포인트형 센서(210) 및 필름형 센서(2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포인트형 센서(210)는, 리크 발생시 신호를 생성하고, 필름형 센서(220)는, 리크 발생시 측정값이 감소하되, 단선 발생시 측정값이 증가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nsors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int type sensor 210 and a film type sensor 220, the point type sensor 210 generates a signal when a leak occurs, and the film type sensor 220 when a leak occur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d value is decreased, but a signal in which the measured value increases when a disconnection occurs is generated.

구체적으로, 포인트형 센서(210)는 유해화학물질 누출을 모니터링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유해화학물질의 누출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제1 리크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Specifically, the point-type sensor 210 is located at a point for monitoring the leakage of hazardous chemicals, and when detecting a leakage event of hazardous chemicals,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ak.

추가로, 본 발명의 제어기(10)는, 신호의 미수신 이벤트에 대응하여 모드 제한부(110)를 제1 모드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controll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imit the mode limiting unit 110 to the first mode in response to a signal non-reception event.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 채널의 경우, 연결된 센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획득되는 신호가 없으며, 스위치가 제1 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어부(100)는 판독부(120)가 3번 채널에 대해서는 제1 모드로 판독을 실시하여, 제1 기준값이 0인 경우, 제1 리크가 판단될 수 없는 것으로, 즉, 센서가 연결되지 않은 채널에 대해서는 판독부(120)가 판독을 실시하지 않거나, 제1 모드로 판독을 실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channel 3, there is no signal to be acquired because there is no connected sensor, and since the switch is located at the first point,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reading unit 120 is The third channel is read in the first mode, and when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0, the first leak cannot be determined, that is, the reading unit 120 reads the channel to which the sensor is not connected. It may not be performed, or the reading may be performed in the first mode.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1번 채널에서 판독부(120)가 제2 모드로 신호를 판독하던 중, 필름형 센서(220)가 제어기(10)로부터 탈락된 경우, 제어부(100)는 필름형 센서(220)가 결합되어 있던 1번 채널에 대해서 제1 모드로 신호 판독 방식을 강제 전환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when the film-type sensor 220 is dropped from the controller 10 while the reading unit 120 reads a signal in the second mode in the first channel, the control unit ( 100) may forcibly switch the signal reading method to the first mode for channel 1 to which the film-type sensor 220 is coupled.

따라서, 제어부(100)는, 모드 제한부(110)가 신호의 판독 방식을 제2 모드로 제한한 상태에서 신호의 미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모드 제한부(110)가 신호의 판독 방식을 제1 모드로 제한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mode limiting unit 110 to change the signal reading method to the first mode limiting unit 110 when a signal non-reception event occurs while the mode limiting unit 110 limits the signal reading method to the second mode. It can be fixed to limit the mode.

제어부(100)는, 판독부(120)가 제2 모드로 측정값을 판독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측정값을 기준으로 보정된 제2 기준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reading unit 120 reads the measured value in the second mode, the controller 100 may obtain a second reference value correct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값은 실선 그래프를 형성하고, 제2 기준값이 기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14분, 10분 등)에 따라 보정되어 점선 그래프를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 the measured value forms a solid line graph,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correcte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eg, 14 minutes, 10 minutes, etc.) to form a dotted line graph. have.

일 실시예로, 제1 구간(0:56:33~1:10:45)의 제2 기준값이 제2-1 기준값이고, 제2 구간(1:10:45~1:24:44)의 제2 기준값이 제2-2 기준값인 경우, 제2-2 기준값과 제2-1 기준값의 차이값은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며, 제2-2 기준값은, 제2-1 기준값을 제1 구간이 제2 구간과 구획되는 시점(0:56:33)에 획득된 측정값에 대응하여 보정한 값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reference value of the first section (0:56:33~1:10:45) is the 2-1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of the second section (1:10:45~1:24:44) Whe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the 2-2 reference val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2-2 reference value and the 2-1 reference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value, and the 2-2 reference value is the 2-1 reference value in the first section. It may be a correct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value obtained at the time point (0:56:33) partitioned from the second section.

제어부(100)는, 제1 리크, 제2 리크 및 단선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가 획득된 경우, 관리자 단말(20)에 제어기(10)에 대응하는 고유 ID 정보 및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하고, 출력부는, 제1 리크, 제2 리크 및 단선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발생 정보가 획득된 경우, 기 설정된 경보를 실시하며, 경보는, 소리 출력, led 점등 및 진동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when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eak, the second leak and disconnection is obtained, the unique ID information an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r 10 to the manager terminal 20 Transmit, the output unit, the first leak, the second leak and disconnection, when at least on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is obtained, performs a preset alarm, the alarm, including at least one of sound output, led lighting and vibration output It can be characterized as

상술한 구성에 의해, 관리자 단말(20)에 대응하는 관리자는 고유 ID 정보를 바탕으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생성한 제어기(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벤트 유형에 따라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의 접근 제한 및 대응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manager corresponding to the manager terminal 20 can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10 that has generat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based on the unique ID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event type, At least one of a location access restriction and a response method may be determined.

제어부(100)는, 판독부(120)가 제2 모드로 측정값을 판독하는 경우, 보정된 제2 기준값이 기 설정된 한계값에 대응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20)에 제어기(10)에 대응하는 고유 ID 정보 및 한계값에 대응하는 제2 기준값의 발생 시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reading unit 120 reads the measured value in the second mode, the control unit 100, if the corrected second reference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threshold value, as shown in FIG. 6 , the manager terminal 20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que 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r 10 and the gen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second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limit value are transmitted.

제어부(100)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값을 획득하고, 온도 측정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바탕으로 측정값을 보정하고, 관리자 단말(20)에 온도 측정값 및 온도 측정값에 대응하는 보정 이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obtains a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corrects the measurement value based on a preset weight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and sends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to the manager terminal 20 . and transmitting a correction history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온도가 센서의 신호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오류 이벤트 정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도 측정값을 바탕으로 측정값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00 obtains an accurate measured value by applying a weight to the measured value and correcting it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d value in order to prevent error event information from occurring because the temperature affects the signal of the sensor. can do.

한편, 본 발명의 제어기(1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or, the processor is one or more cores (core, not shown) and a graphic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 / or a connection path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other components (eg,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bus (bus, etc.).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A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performs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memory.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획득하고,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신규 학습용 데이터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 라벨링된 정보가 소정의 제1 기준값 이상의 정확도로 획득되는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추출된 학습용 데이터가 삭제된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된 모델을 다시 학습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obtains new training data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performs a test on the acquired new training data using the learned model, and the test result, labeled information Extracting first learning data obtained with an accuracy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deleting the extracted first learning data from the new learning data, and using the new learning data from which the extracted learning data is deleted The trained model can be retrained.

한편,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further adds a RAM (Random Access Memory, not shown) and ROM (Read-Only Memory, not shown) that temporarily and/or permanently store signals (or data) processed inside the processor. may include 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including at least one of a graphic processing unit, a RAM, and a ROM.

메모리에는 프로세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The memory may store programs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processor.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fun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the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components, and similarly, embodiments may include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as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combinations of other programming constructs, including C, C++ , Java, assembler, etc.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 Functional aspects may be implemented in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 제어기
20 : 관리자 단말
100 : 제어부
110 : 모드 제한부
120 : 판독부
210 : 포인트형 센서
220 : 필름형 센서
10: controller
20: administrator terminal
100: control unit
110: mode limiter
120: reading unit
210: point type sensor
220: film type sensor

Claims (6)

복합 신호 감지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신호 각각의 판독 방식을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제한하는 모드 제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신호를 바탕으로, 각각의 측정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측정값을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제한부는,
신호의 판독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상태에서 신호의 미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미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센서에 대한 신호의 판독 모드를 제1 모드로 제한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제1 모드가 적용되는 포인트형 센서 및 상기 제2 모드가 적용되는 필름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센서가 연결된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동시에 획득하여,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각각의 신호의 종류에 따른 기 설정된 판독 모드에 의해 판독을 실행하는 제어기.
A complex signal detection controll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nd obtaining a signal from at least one sensor amo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Including; an output unit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signal;
The control unit is
a mode limiting unit for limiting a reading method of each signal obtained from the at least one sensor to a first mode or a second mode; and
a reading unit for acquiring each measurement value based on the signal obtained from the at least one sensor, and reading the respectiv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and
The mode limiting unit,
When a signal non-reception event occurs while the signal reading mode is the second mode, the signal reading mode for the sensor in which the non-receiving event occurs is limited to the first mode,
The plurality of sensors,
At least one of a point-type sensor to which the first mode is applied and a film-type sensor to which the second mode is applied,
The controller is
When a plurality of sensors of different types are connected, signals are simultaneously acquir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reading is executed by a preset reading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signal among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controller to do.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부가 상기 제1 모드로 측정값을 판독하는 경우,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 측정값을 바탕으로 제1 리크를 판단하고, 상기 판독부가 상기 제2 모드로 측정값을 판독하는 경우, 제2 기준값 미만인 측정값을 바탕으로 제2 리크를 판단하고,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 측정값을 바탕으로 단선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reading unit reads the measured value in the first mode, a first leak is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 exceeding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reading unit reads the measured value in the second mode, the second A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second leak based on the measured value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the disconnection based on the measured value exceeding the second reference valu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형 센서는,
리크 발생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필름형 센서는,
리크 발생시 측정값이 감소하되, 단선 발생시 측정값이 증가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oint type sensor is
Generates a signal when a leak occurs,
The film-type sensor,
A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d value decreases when a leak occurs, but generates a signal in which the measured value increases when a disconnection occur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리크, 상기 제2 리크 및 상기 단선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가 획득된 경우, 관리자 단말에 상기 제어기에 대응하는 고유 ID 정보 및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리크, 상기 제2 리크 및 상기 단선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발생 정보가 획득된 경우, 기 설정된 경보를 실시하며,
상기 경보는,
소리 출력, led 점등 및 진동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eak, the second leak and the disconnection is obtained, transmit unique ID information an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r to the manager terminal,
the output unit,
When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leak, the second leak and the disconnection is acquired, a preset alarm is executed,
The alert is
A controll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sound output, an LED lighting and a vibration outpu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값을 획득하고, 상기 온도 측정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바탕으로 측정값을 보정하고, 관리자 단말에 상기 온도 측정값 및 상기 온도 측정값에 대응하는 보정 이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temperature sensor; further including,
Obtaining a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value based on a preset weight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and a correction history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to the manager terminal A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10107303A 2021-08-13 2021-08-13 Composite signal detection controller KR102444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303A KR102444754B1 (en) 2021-08-13 2021-08-13 Composite signal detection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303A KR102444754B1 (en) 2021-08-13 2021-08-13 Composite signal detection contro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754B1 true KR102444754B1 (en) 2022-09-19

Family

ID=8346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303A KR102444754B1 (en) 2021-08-13 2021-08-13 Composite signal detection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75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4165A (en) * 1993-12-15 1995-09-05 Bisou:Kk Temperature detector
KR100237162B1 (en) 1995-12-26 2000-01-15 이구택 Gas leak detector of buried conduit
KR20150033517A (en) * 2013-09-24 2015-04-01 (주)유민에쓰티 Weak acidic solution leak detection apparatus
KR101939660B1 (en) * 2018-09-04 2019-01-17 성백명 Fire and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 notification apparatus
KR102065169B1 (en) * 2018-11-06 2020-01-10 주식회사 한화건설 System and method for leak dete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4165A (en) * 1993-12-15 1995-09-05 Bisou:Kk Temperature detector
KR100237162B1 (en) 1995-12-26 2000-01-15 이구택 Gas leak detector of buried conduit
KR20150033517A (en) * 2013-09-24 2015-04-01 (주)유민에쓰티 Weak acidic solution leak detection apparatus
KR101939660B1 (en) * 2018-09-04 2019-01-17 성백명 Fire and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 notification apparatus
KR102065169B1 (en) * 2018-11-06 2020-01-10 주식회사 한화건설 System and method for leak det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832B1 (en) Exerci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2846135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Environmental Sensor
WO2017140276A1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0209639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9558282B (en) PCIE link detection metho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9388604B (en) Hot plug control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based on PCIe
US8959394B2 (en)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exception handling mechanism
CN106649126B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application program
CN109086606B (en) Program vulnerability mining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18103402A1 (en) Wireless fidelity (wifi) scan method and related product
KR10247523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200076636A1 (en) Contextual application interactions with connected devices
US98481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hermal image
EP335249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management service
JP2017175446A5 (en)
KR102444754B1 (en) Composite signal detection controller
CN107205238B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alizing WIFI probe in android system
CN109145598B (en) Virus detection method and device for script f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0782851B2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709330B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file execution behaviors
CN110244986B (en) Browser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KR102402581B1 (en) Control Method of Automatic Signal Calibration System
US945438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gistration of input device in input handler instance, terminal and storage device
US20220377165A1 (en) Determining a status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JP6187508B2 (en) Control device, bus circuit, method, an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