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539B1 - 차양패널용 몰딩부재 - Google Patents

차양패널용 몰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539B1
KR102444539B1 KR1020220092721A KR20220092721A KR102444539B1 KR 102444539 B1 KR102444539 B1 KR 102444539B1 KR 1020220092721 A KR1020220092721 A KR 1020220092721A KR 20220092721 A KR20220092721 A KR 20220092721A KR 102444539 B1 KR102444539 B1 KR 102444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lding
panel
awn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에스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에스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에스엔티
Priority to KR102022009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5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 E04D13/155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retaining the roof sheat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201/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9D201/04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halogen at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20Roofs consisting of self-supporting slabs, e.g. able to be 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 프레임(10) 및 지지 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된 차양패널(30)에 고정되어 상기 차양패널(3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몰딩바(200); 상기 몰딩바(200)가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상기 차양패널(30)의 단부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외면측 상부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상부 몰딩 프레임(110)과, 상기 상부 몰딩 프레임(11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구성되어,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하부면이 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122)이 형성된 하부 몰딩 프레임(120)과, 상기 상부 몰딩 프레임(110) 및 하부 몰딩 프레임(120)을 연결하며, 상기 차양 프레임이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홈(136)을 형성하는 중간 몰딩 프레임(130)을 포함하는 몰딩 프레임(100); 및 상기 몰딩 프레임(100)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밀폐시키는 몰딩커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양패널용 몰딩부재{Molding device for awning panel}
본 발명은 차양패널용 몰딩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패널과 차양 프레임 간의 긴밀한 고정력을 제공하여, 바람 등에 의해 차양패널이 손상 및 파손되거나, 이 차양패널을 고정하는 차양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몰딩바와 차양패널의 끝단부측 상부면이 삽입 및 밀착될 수 있도록 몰딩 프레임을 더 구성함으로써, 차양패널과 차양 프레임 사이에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몰딩 프레임이 차양패널이 결합되는 차양 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이 차양 프레임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양패널용 몰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은 야외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빛을 피하거나 비를 피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지면에 일단부가 매립설치되는 지주와, 지주 상부에 차양패널 설치를 위한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차양 패널과, 차양 패널의 이음된 부분을 마감하는 몰딩바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양 패널용 몰딩바는 시간의 경과 및 기온의 변화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반복되면서 차양 패널과의 결합력이 저하되거나, 차양 패널이 몰딩바로부터 단락, 또는 띄음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차수성을 장기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3565호에는, 서로 이웃하는 차양패널의 끝부분이 걸쳐지는 지지프레임의 상부쪽 중앙에 설치되고 개수로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쪽 끝부분 모서리에서 바깥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끝부분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차양패널의 끝부분 윗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쌍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고 날개부의 고정부쪽 끝부분에서 하부쪽으로 일체로 길게 형성하여 설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차양패널의 끝부분 모서리를 각각 막아서는 한쌍의 멈춤돌기와, 상기 멈춤돌기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차양패널의 열팽창에 따른 모서리의 위치변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멈춤돌기의 상부쪽 끝부분에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1군데 또는 여러 군데에 형성되는 신축홈을 포함하는 차양구조물용 몰딩바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차양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띄음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차양패널이 바람 등에 의해 손상 및 파손되거나, 이 차양패널을 고정하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양패널용 몰딩바의 경우, 빗물 등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기 실링부재는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외부 환경에 따라 부식이 발생하면서 빗물의 차수성에 대한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3565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차양패널의 상부면으로 차양패널을 차양 프레임이 고정시키는 몰딩바를 구성하고, 이 몰딩바와 차양패널이 직결피스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차양패널과 차양 프레임 간의 긴밀한 고정력을 제공하여, 바람 등에 의해 차양패널이 손상 및 파손되거나, 이 차양패널을 고정하는 차양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양패널용 몰딩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몰딩바와 차양패널의 끝단부측 상부면이 삽입 및 밀착될 수 있도록 몰딩 프레임을 더 구성함으로써, 차양패널과 차양 프레임 사이에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양패널용 몰딩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몰딩 프레임이 차양패널이 결합되는 차양 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이 차양 프레임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의해 차양 프레임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소수지로 외면을 도장하여 차양 지붕에 대한 외관미를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차양패널용 몰딩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양 프레임(10) 및 지지 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된 차양패널(30)에 고정되어 상기 차양패널(3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몰딩바(200); 상기 몰딩바(200)가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상기 차양패널(30)의 단부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외면측 상부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상부 몰딩 프레임(110)과, 상기 상부 몰딩 프레임(11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구성되어,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하부면이 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122)이 형성된 하부 몰딩 프레임(120)과, 상기 상부 몰딩 프레임(110) 및 하부 몰딩 프레임(120)을 연결하며, 상기 차양 프레임이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홈(136)을 형성하는 중간 몰딩 프레임(130)을 포함하는 몰딩 프레임(100); 및 상기 몰딩 프레임(100)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밀폐시키는 몰딩커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몰딩 프레임(110)은, 상기 몰딩바(200)의 선단부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탄성 지지패널(112)과, 상기 탄성 지지패널(112)의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차양패널(30)의 선단부가 밀착되는 상부 받침패널(114)과, 상기 탄성 지지패널(112) 및 상부 받침패널(114)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몰딩바(200)와 상기 차양패널(3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결합홈(116)과, 상기 탄성 지지패널(112)과 상기 중간 몰딩 프레임(130)을 연결하고, 상기 탄성 지지패널(112)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곡률패널(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 몰딩 프레임(130)은, 프레임 고정홈(136)으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결합시 상기 프레임 고정홈(136)측으로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하고, 상기 몰딩커버(300)의 결합을 지지하는 관통부(132)와, 상기 관통부(132)를 상부 관통부와 하부 관통부로 분할하며,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결합시 상기 관통부(132)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분할패널(1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커버(300)는, 상기 상부 몰딩 프레임(110)에 결합되되, 그 하부면이 상기 상부 몰딩 프레임(110)에 구성되는 탄성 지지패널(112)과 상부 받침패널(114)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제1밀폐부재(310)와, 상기 제1밀폐부재(310)의 하부 일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간 몰딩 프레임(130)에 삽입되는 제2밀폐부재(320)와, 상기 몰딩커버(300)를 상기 차양 프레임(10)에 결합시키는 커버 결합 플랜지(330)와, 상기 몰딩커버(300)에 형성되며, 상기 몰딩 프레임(100)의 밀폐된 내부 공간이 외부 열기를 방출시키는 열기 방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 프레임(100)은 불소수지로 도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바(200)는, 중앙부에 형성되며, 차양 프레임(10)과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20)과 체결수단(40)에 의해 결합되도록 체결공(212)이 형성된 체결부(210)와, 상기 체결부(210)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패널(230)과, 상기 연장패널(230)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실링부재(250)가 장착되는 실링 고정부(220)와, 상기 차양패널(3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열팽창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열팽창 방지패널(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양패널의 상부면으로 차양패널을 차양 프레임이 고정시키는 몰딩바를 구성하고, 이 몰딩바와 차양패널이 직결피스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차양패널과 차양 프레임 간의 긴밀한 고정력을 제공하여, 바람 등에 의해 차양패널이 손상 및 파손되거나, 이 차양패널을 고정하는 차양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몰딩바와 차양패널의 끝단부측 상부면이 삽입 및 밀착될 수 있도록 몰딩 프레임을 더 구성함으로써, 차양패널과 차양 프레임 사이에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몰딩 프레임이 차양패널이 결합되는 차양 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이 차양 프레임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의해 차양 프레임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소수지로 외면을 도장하여 차양 지붕에 대한 외관미를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패널용 몰딩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패널용 몰딩부재가 차양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패널용 몰딩부재의 몰딩 프레임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패널용 몰딩부재의 몰딩바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식별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부호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일 뿐, 그 식별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양패널용 몰딩부재는 차양 프레임(10)의 끝단부가 삽입되며, 이 차양 프레임(10)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몰딩바(200)를 고정시켜 차양패널(3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몰딩 프레임(100)과, 몰딩 프레임(100)에 삽입되며, 차양패널(30)의 상부면에 고정 결합되는 몰딩바(200)와, 몰딩 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부를 밀폐시키는 몰딩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몰딩 프레임(100)은 차양 프레임(10)의 끝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차양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차양패널(30)의 끝단부가 밀착되게 구성되고, 차양패널(30)의 상부에 결합되는 몰딩바(200)의 단부를 고정시켜 몰딩바(200)와 차양패널(30) 간의 이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부 몰딩 프레임(110), 하부 몰딩 프레임(120) 및 중간 몰딩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몰딩 프레임(110)은 몰딩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몰딩바(200)의 선단부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탄성 지지패널(112)과, 탄성 지지패널(112)의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차양 프레임(10)이 삽입될 때, 이 차양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차양패널(30)의 선단부가 밀착되는 상부 받침패널(114)과, 탄성 지지패널(112) 및 상부 받침패널(114) 사이에 형성되며, 몰딩바(200)와 차양패널(3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결합홈(116)으로 구성된다.
탄성 지지패널(112)은 상부 몰딩 프레임(110)의 상측 끝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하부면이 몰딩바(200)의 상부면, 바람직하게는 몰딩바(200)의 연장패널(230)이 밀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 지지패널(112)은 몰딩바(200)가 결합홈(116)으로 삽입이 이루어질 때, 소정의 탄성력으로 벌어지면서 몰딩바(200)의 삽입을 지지하고, 상기 탄성력에 의해 몰딩바(200)의 연장패널(230)과의 긴밀한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탄성 지지패널(112)은 상부 몰딩 프레임(110)의 후방측 단부에 형성되고 중간 몰딩 프레임(130)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곡률패널(118)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 몰딩 프레임(110)에 구성되는 상부 받침패널(114)은 상부 몰딩 프레임(11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이 상부 몰딩 프레임(110)의 내면으로부터 탄성 지지패널(112)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몰딩바(200)가 결합된 차양패널(30)이 결합홈(116)에 삽입 및 고정이 이루어질 때, 차양패널(30)의 끝단부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 받침패널(114)은 그 하부면이 차양 프레임(10)의 상부면과 밀착되게 구성되어 몰딩 프레임(100)과 차양 프레임(10) 간의 긴밀한 고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부 받침패널(114)은 차양패널(30)의 끝단부가 삽입되면서 상부 받침패널(114)과의 끼움 결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이 차양패널(30)이 차양 프레임(10) 및 지지 프레임(20)으로부터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 플랜지(114a)를 더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받침 플랜지(114a)는 상부 받침패널(114)의 선단부가 상향 절곡 형성되면서 차양패널(30)이 삽입 및 밀착될 수 있는 차양패널 삽입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 받침패널(114)은 차양패널(30)의 열팽창이 이루어질 때, 상기 차양패널(30)의 열팽창량에 대응하여 수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양패널(30)이 수축될 때, 이 차양패널(30)의 수축량에 대응하여 팽창하면서 항상 차양패널(30)과 일정한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하부 몰딩 프레임(120)은 상부 몰딩 프레임(11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구성되며, 차양 프레임(10)의 하부면이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상부 몰딩 프레임(110)과 함께 몰딩 프레임(100)이 차양 프레임(10)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부 몰딩 프레임(120)은 그 선단부측으로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면서 몰딩 프레임(100)에 삽입된 차양 프레임(10)이 임의적으로 이탈하면서 몰딩 프레임(10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122)이 형성된다.
중간 몰딩 프레임(130)은 상부 몰딩 프레임(110)과 하부 몰딩 프레임(120)이 각각 연결되고, 차양 프레임(10)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 고정홈(136)을 마련하며, 몰딩 프레임(100)과 차양 프레임(10) 간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한다.
중간 몰딩 프레임(130)은 그 상단부가 상부 몰딩 프레임(110)의 곡률패널(118)이 일체로 연결되며, 이 곡률패널(118)의 탄성 작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중간 몰딩 프레임(130)의 하단부가 하부 몰딩 프레임(120)과 직교를 이루도록 연결되되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상부 몰딩 프레임(110), 하부 몰딩 프레임(120) 및 중간 몰딩 프레임(130)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간 몰딩 프레임(130)은 프레임 고정홈(136)으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몰딩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중간 몰딩 프레임(130)의 전방 및 후방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132)와, 이 관통부(132)를 상부 관통부와 하부 관통부로 분할하는 분할패널(134)이 구성된다.
여기서, 관통부(132)는 차양 프레임(10)이 프레임 고정홈(136)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때,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관통부(132)는 후술할 몰딩커버(300)의 제2밀폐부재(320)가 삽입되는 삽입부로서의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분할패널(134)은 관통부(132)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도록 분할하며, 차양 프레임(10)이 프레임 고정홈(136)에 결합될 때, 관통부(132)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여 이 관통부(132)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몰딩 프레임(100)은 불소수지로 도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차양 구조물에 대한 외관미를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몰딩 프레임(100)에는 개방된 전방 및 후방부를 밀폐시켜 차양 프레임(10)과의 결합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양 구조물에 대한 외관의 미려함을 더욱 향상시키는 몰딩커버(300)가 구성된다.
몰딩커버(300)는 몰딩 프레임(100)의 개방된 전방 및 후방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그 후면부로 상부 몰딩 프레임(110)에 형성된 공간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몰딩커버(300)와 몰딩 프레임(100) 간의 보다 긴밀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1밀폐부재(310)가 구성된다.
이때, 제1밀폐부재(310)는 그 하부면이 탄성 지지패널(112)과 상부 받침패널(114)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몰딩커버(300)에는 제1밀폐부재(310)의 하부 일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 몰딩 프레임(130)에 구성되는 관통부(132)에 삽입되는 제2밀폐부재(320)가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몰딩커버(300)에는 제2밀폐부재(320)로부터 대향하는 일측, 즉 몰딩커버(300)의 타측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홈부를 구성하여 체결수단(40)에 의해 몰딩커버(300)가 차양 프레임(10)에 결합시키는 커버 결합 플랜지(330)를 더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몰딩커버(300)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몰딩 프레임(100)의 밀폐된 내부 공간이 외부 열기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기 내부 온도로 인하여 몰딩 프레임(100)의 열팽창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열기 방출홀(미도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몰딩바(200)는 몰딩 프레임(100)의 상부 몰딩 프레임(110)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특히 몰딩 프레임(100)과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면서 차양 프레임(10), 지지 프레임(20) 및 차양패널(30)을 포함하는 차양 구조물과 결합되어 상기 차양 구조물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간의 들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몰딩바(200)는 중앙부에 형성되며, 차양 프레임(10)과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20)과 고정볼트,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수단(40)에 의해 결합되도록 체결공(212)이 형성된 체결부(210)와, 체결부(210)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패널(230)과, 연장패널(230)의 끝단부에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구성된 실링부재(250)가 장착되는 실링 고정부(220)와, 차양패널(3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열팽창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열팽창 방지패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부(210)는 몰딩바(20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이 몰딩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직결피스와 같은 체결수단(4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다수개의 체결홀(2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부(210)는 체결수단(40)이 체결홀(212)에 체결이 이루어질 때, 이 체결수단(40)과의 보다 긴밀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체결 지지수단(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체결 지지수단(50)은 통상의 와셔일 수 있다.
실링 고정부(220)는 연장패널(230)에 의해 체결부(210)와 일체로 구성되며, 몰딩바(20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몰딩바(200)와 차양패널(30)의 상부면 사이를 완전히 밀착시켜 몰딩바(200)의 들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실링부재(250)가 삽입 및 고정되는 실링 고정홈(222)과, 이 실링 고정홈(222)의 하부에 형성되며, 실링부재(250)와 실링 고정부(220)의 결합을 지지하는 한편, 차양패널(30)과의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밀착패널(224)로 구성된다.
여기서, 밀착패널(224)은 실링 고정부(220)의 하부로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며, 실링 고정홈(222)의 중앙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몰딩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그 하부면이 차양패널(30)의 상부면에 완전한 밀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열팽창 방지패널(240)은 체결부(210)의 하부로 차양패널(3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차양패널(30)이 열팽창에 의해 띄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차양패널(30)의 팽창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열팽창 방지패널(240)은 몰딩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체결수단(40)이 관통하여 지지 프레임(20)과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차양 프레임 20: 지지 프레임
30: 차양패널 40: 체결수단
50: 체결 지지수단 100: 몰딩 프레임
110: 상부 몰딩 프레임 112: 탄성 지지패널
114: 상부 받침패널 116: 결합홈
118: 곡률패널 120: 하부 몰딩 프레임
122: 이탈 방지턱 130: 중간 몰딩 프레임
132: 관통부 134: 분할패널
136: 프레임 고정홈 200: 몰딩바
210: 체결부 220: 실링 고정부
222: 실링 고정홈 224: 밀착패널
230: 연장패널 240: 열팽창 방지패널
250: 실링부재 300: 몰딩커버
310: 제1밀폐부재 320: 제2밀폐부재
330: 커버 결합 플랜지

Claims (6)

  1. 차양 프레임(10) 및 지지 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된 차양패널(30)에 고정되어 상기 차양패널(3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몰딩바(200);
    상기 몰딩바(200)가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상기 차양패널(30)의 단부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외면측 상부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상부 몰딩 프레임(110)과, 상기 상부 몰딩 프레임(11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구성되어,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하부면이 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122)이 형성된 하부 몰딩 프레임(120)과, 상기 상부 몰딩 프레임(110) 및 하부 몰딩 프레임(120)을 연결하며, 상기 차양 프레임이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홈(136)을 형성하는 중간 몰딩 프레임(130)을 포함하는 몰딩 프레임(100); 및
    상기 몰딩 프레임(100)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밀폐시키는 몰딩커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몰딩 프레임(110)은,
    상기 몰딩바(200)의 선단부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탄성 지지패널(112)과,
    상기 탄성 지지패널(112)의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차양패널(30)의 선단부가 밀착되는 상부 받침패널(114)과,
    상기 탄성 지지패널(112) 및 상부 받침패널(114)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몰딩바(200)와 상기 차양패널(3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결합홈(116)과,
    상기 탄성 지지패널(112)과 상기 중간 몰딩 프레임(130)을 연결하고, 상기 탄성 지지패널(112)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곡률패널(11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패널용 몰딩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몰딩 프레임(130)은,
    프레임 고정홈(136)으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결합시 상기 프레임 고정홈(136)측으로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하고, 상기 몰딩커버(300)의 결합을 지지하는 관통부(132)와,
    상기 관통부(132)를 상부 관통부와 하부 관통부로 분할하며, 상기 차양 프레임(10)의 결합시 상기 관통부(132)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분할패널(13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패널용 몰딩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커버(300)는,
    상기 상부 몰딩 프레임(110)에 결합되되, 그 하부면이 상기 상부 몰딩 프레임(110)에 구성되는 탄성 지지패널(112)과 상부 받침패널(114)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제1밀폐부재(310)와,
    상기 제1밀폐부재(310)의 하부 일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간 몰딩 프레임(130)에 삽입되는 제2밀폐부재(320)와,
    상기 몰딩커버(300)를 상기 차양 프레임(10)에 결합시키는 커버 결합 플랜지(330)와,
    상기 몰딩커버(300)에 형성되며, 상기 몰딩 프레임(100)의 밀폐된 내부 공간이 외부 열기를 방출시키는 열기 방출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패널용 몰딩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프레임(100)은 불소수지로 도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패널용 몰딩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바(200)는,
    중앙부에 형성되며, 차양 프레임(10)과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20)과 체결수단(40)에 의해 결합되도록 체결공(212)이 형성된 체결부(210)와,
    상기 체결부(210)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패널(230)과,
    상기 연장패널(230)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실링부재(250)가 장착되는 실링 고정부(220)와,
    상기 차양패널(3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열팽창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열팽창 방지패널(2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패널용 몰딩부재.
KR1020220092721A 2022-07-26 2022-07-26 차양패널용 몰딩부재 KR102444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721A KR102444539B1 (ko) 2022-07-26 2022-07-26 차양패널용 몰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721A KR102444539B1 (ko) 2022-07-26 2022-07-26 차양패널용 몰딩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539B1 true KR102444539B1 (ko) 2022-09-19

Family

ID=8346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721A KR102444539B1 (ko) 2022-07-26 2022-07-26 차양패널용 몰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5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65B1 (ko) 2010-05-06 2010-08-02 한국위스코주식회사 차양구조물용 몰딩바 및 그를 이용한 차양구조물
KR101908937B1 (ko) * 2018-04-20 2018-10-17 주식회사 태영에스엔티 차양패널용 몰딩바
KR102005708B1 (ko) * 2018-01-23 2019-07-31 이윤희 차양 마감용 조립체
KR20210002742U (ko) * 2020-06-01 2021-12-08 제희광 간이 휴게시설물의 지붕 또는 차양용 마감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65B1 (ko) 2010-05-06 2010-08-02 한국위스코주식회사 차양구조물용 몰딩바 및 그를 이용한 차양구조물
KR102005708B1 (ko) * 2018-01-23 2019-07-31 이윤희 차양 마감용 조립체
KR101908937B1 (ko) * 2018-04-20 2018-10-17 주식회사 태영에스엔티 차양패널용 몰딩바
KR20210002742U (ko) * 2020-06-01 2021-12-08 제희광 간이 휴게시설물의 지붕 또는 차양용 마감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103B1 (ko) 차양구조물용 몰딩바
US7331145B2 (en) Flashing component for a roof window assembly
KR100697499B1 (ko) 솔라패널용 프레임시스템
US5893247A (en) Coping
KR101219555B1 (ko) 태양전지 모듈 프레임
US6631595B1 (en) Brickmold
EP0566677A1 (en) Skylight assembly
KR101442040B1 (ko) 창호용 풍지부재
KR101612679B1 (ko) 개량형 창호용 방풍구
KR101567259B1 (ko) 방풍창호시스템
KR101908937B1 (ko) 차양패널용 몰딩바
KR101697740B1 (ko)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KR101662663B1 (ko) 유리 유격 조절이 가능한 커튼월
US20060096191A1 (en) Maintenance free jamb
KR102444539B1 (ko) 차양패널용 몰딩부재
KR102138147B1 (ko) 태양광모듈이 적용된 끼움 결합식 지붕플레이트 조립체
WO1992012320A1 (en) Corner lock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057561B1 (ko) 건축물 벽체용 장식부재
JP6388810B2 (ja) 建具ユニット
SK29594A3 (en) Composite framing profile
KR101955076B1 (ko) 창호용 방풍부재
JP2006132111A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具及び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構造
KR102190712B1 (ko) 차양시스템
KR100659597B1 (ko) 갤러리 창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