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011B1 -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011B1
KR102444011B1 KR1020210124530A KR20210124530A KR102444011B1 KR 102444011 B1 KR102444011 B1 KR 102444011B1 KR 1020210124530 A KR1020210124530 A KR 1020210124530A KR 20210124530 A KR20210124530 A KR 20210124530A KR 102444011 B1 KR102444011 B1 KR 102444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on
image
verification
transac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태왕
Original Assignee
사십오센티미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십오센티미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사십오센티미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거래 물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허위 매물에 따른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NG ACTUAL SALES OF ONLINE TREADED PRODUCTS}
본 발명은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래 물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허위 매물에 따른 피해 발생을 방지하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발달을 통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각종 서비스가 실시간으로 제공되고 있다.
특히 실물을 확인하고 거래가 이루어지던 오프라인에서의 실물거래가 온라인(모바일 포함)에 업로드 된 사진과 설명만으로도 계약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물건의 매도, 교환 및 판매 희망자가 물건의 사진과 물건의 설명을 온라인에 업로드 하면, 이를 확인한 물건의 매수, 교환 및 구매 희망자가 구매의사와 함께 가격 등을 협상하고, 협상에 따라 대금을 지급하고 물건을 인수하는 과정을 통해 거래가 완성된다.
이러한 온라인 거래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더욱 활성화되어 판매 희망자와 구매 희망자 사이에 물건의 거래가 가능한 개방형 시장(Open Market)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중고품을 거래하는 온라인 개방시장의 경우, 인터넷과 위치를 기반으로하는 기술들의 발전으로 온라인상의 거래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일반적인 온라인상의 판매 상품은 실제 매물인지 아닌지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의 리뷰, 유선상의 통화 등을 이용하여 확인하거나, 또는 실제 방문을 통해 실물을 확인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실제 매물이 아닌 가짜 상품에 대하여 결제를 하거나 또는 계약을 하는 경우, 구매 희망자(또는 소비자)들의 금전적, 정신적 피해가 발생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95514호(발명의 명칭: 온라인 물건 거래 중개시스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래 물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허위 매물에 따른 피해 발생을 방지하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으로서, 거래 물품 정보와, 상기 거래 물품을 촬영한 하나 이상의 거래 물품 이미지를 상품 거래 서버에 등록하고, 등록된 거래 물품 이미지 중에서 상기 거래 서버로부터 전송된 임의의 거래 물품 이미지에 대하여 미션 정보를 포함한 미션 수행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거래 서버로 전송하는 판매자 단말; 상기 거래 물품 정보와 거래 물품 이미지를 수신하여 등록하되, 상기 거래 물품 이미지 중에서 임의의 선별 이미지를 선택하여 미션 수행 대상 이미지로 저장하는 상품 거래 서버; 및 상기 선별 이미지에 하나 이상의 미션 수행을 지정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미션 수행 이미지를 상기 선별 이미지와 비교하여 검증하는 검증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검증 서버는 선별 이미지와 동일한 장소 및 거래 물품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 상기 위치에 임의의 지정된 문자열, 임의의 지정된 사물,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미션 수행을 지정하고, 상기 미션 수행에 대응하여 촬영된 미션 수행 이미지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미션 생성부; 및 상기 미션 수행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미션 수행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정된 미션 수행 여부를 검증하는 미션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미션 생성부는 미션을 수행할 문자, 사물,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부; 상기 미션을 수행할 임의의 지정된 문자열을 생성하는 문자 지정부; 및 상기 미션을 수행할 임의의 지정된 사물, 형상,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액션 지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미션 검증부는 미션 수행 이미지에서 지정된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 이외의 이미지 픽셀을 분석하여 상기 미션 수행 이미지와 선별 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는 실사진 검증부; 상기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에서 문자열을 추출하여 상기 지정된 문자열과 비교를 통해 검증하는 문자 검증부; 및 상기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에서 임의의 모양을 추출하여 상기 지정된 사물, 형상, 동작과 비교를 통해 검증하는 액션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방법으로서, a) 상품 거래 서버가 판매자 단말로부터 거래 물품 정보와, 상기 거래 물품을 촬영한 하나 이상의 거래 물품 이미지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상품 거래 서버가 등록된 거래 물품 이미지 중에서 임의의 선별 이미지를 선택하여 미션 수행 대상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 c) 검증 서버가 상기 선별 이미지에 하나 이상의 미션 수행을 지정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미션 수행 이미지가 업로드되면, 상기 검증 서버가 미션 수행 이미지와 선별 이미지를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c) 단계의 미션은 선별 이미지와 동일한 장소 및 거래 물품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 상기 위치에 임의의 지정된 문자열, 임의의 지정된 사물,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여 촬영된 미션 수행 이미지의 업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d) 단계는 수신된 미션 수행 이미지에서, 지정된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 이외의 이미지 픽셀을 분석하여 상기 미션 수행 이미지와 선별 이미지의 실사진 비교를 통해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d) 단계는 수신된 미션 수행 이미지에서,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에서 문자열을 추출하여 상기 지정된 문자열과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d) 단계는 수신된 미션 수행 이미지에서,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에서 임의의 모양을 추출하여 상기 지정된 사물, 형상, 동작과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제 상품의 보유와 실제 판매 상태를 검증하여 거래 물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허위 매물에 따른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매물임을 확인하기 위한 미션을 통해 판매 희망자의 허위 매물 등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본 이미지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여 이미지 편집으로 인한 허위 매물에 대한 검증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의 검증 서버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3은 도2의 검증 서버에서 미션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4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미션 생성부의 미션 위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5는 도2의 검증 서버에서 미션 검증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의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
도7은 도6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검증 방법에서 이미지 선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8은 도6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검증 방법에서 판매자로부터 업로드된 미션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
도9는 도6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검증 방법에서 업로드된 미션 이미지의 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10은 도6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검증 방법에서 업로드된 미션 이미지의 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의 검증 서버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3은 도2의 검증 서버에서 미션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4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미션 생성부의 미션 위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5는 도2의 검증 서버에서 미션 검증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은 실제 상품의 보유와 실제 판매 상태를 검증하여 거래 물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허위 매물에 따른 피해 발생을 방지하고, 실제 매물임을 확인하기 위한 미션을 통해 판매자의 허위 매물 등록을 방지하며, 원본 이미지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여 이미지 편집으로 인한 허위 매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판매자 단말(100)과, 상품 거래 서버(200)와, 검증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매자 단말(100)은 판매자가 거래 물품의 정보와, 상기 거래 물품을 촬영한 하나 이상의 거래 물품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품 거래 서버(200)에 등록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100)은 무선 통신 장치로서, 내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판매자 단말(100)은 등록된 거래 물품 이미지 중에서 거래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임의의 거래 물품 이미지에 대하여 미션 정보를 포함한 미션 수행 이미지(600)를 생성하여 검증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션 수행 이미지(600)는 판매자 단말(100)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에 기반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고, 별도의 촬영 수단을 구비한 카메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일 수도 있다.
상기 상품 거래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거래 물품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거래 물품이 구매자와 거래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구성으로서,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거래 서버(200)는 등록된 거래 물품 정보와 거래 물품 이미지를 수신하여 등록하되, 거래 물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허위 매물에 따른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래 물품과 관련하여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등록된 거래 물품 이미지 중에서 임의의 선별 이미지를 선택하여 데이터베이스 등의 저장수단에 미션 수행 대상 이미지로 저장한다.
상기 검증 서버(300)는 상품 거래 서버(200)에서 선택된 선별 이미지에 하나 이상의 미션 수행을 지정하여 판매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미션 수행 이미지를 상기 선별 이미지와 비교하여 검증하는 구성으로서, 미션 생성부(310)와, 미션 검증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션 생성부(310)는 선별 이미지와 동일한 장소 및 거래 물품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 상기 위치에 임의의 지정된 문자열, 임의의 지정된 사물,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미션 수행을 지정하여 판매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상기 지정된 위치, 지정된 문자열, 지정된 사물, 형상 및 동작 등은 랜덤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션 생성부(310)는 판매자 단말(100)에 상기 미션 수행에 대응하여 촬영된 미션 수행 이미지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구성으로서, 위치 지정부(311)와, 문자 지정부(312)와, 액션 지정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지정부(311)는 미션을 수행할 문자, 사물,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를 선택 이미지 상의 특정 위치가 되도록 지정하여 안내한다.
즉, 미션 위치 이미지(400)에 '상좌', '상중', '상우', '중좌', '중중', '중우', '하좌', '하중', '하우'와 같이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영역을 랜덤으로 선택된 위치를 지정하여 안내한다.
상기 문자 지정부(312)는 미션을 수행할 임의의 지정된 문자열을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판매자가 위치 지정부(311)에서 지정된 특정 위치에 상기 생성된 문자열이 입력, 배치 또는 삽입되되어 촬영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액션 지정부(313)는 미션을 수행할 임의의 지정된 사물, 형상,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구성으로서, 판매자가 위치 지정부(311)에서 지정된 특정 위치에 상기 생성된 사물, 형상, 동작 등의 액션이 입력, 배치 또는 삽입되어 촬영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미션 검증부(320)는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미션 수행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미션 수행 이미지를 분석하여 미션 생성부(310)에서 지정된 미션의 수행 여부를 검증하는 구성으로서, 실사진 검증부(321)와, 문자 검증부(322)와, 액션 검증부(3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사진 검증부(321)는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미션 수행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미션 수행 이미지에서 미션 생성부(310)에서 지정된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 이외의 이미지 픽셀을 분석한다.
또한, 상기 실사진 검증부(321)는 미션 수행 이미지에서 분석된 이미지 픽셀들에 기반하여 상기 미션 수행 이미지와 선별 이미지의 픽셀들을 비교하여 실제 촬영된 미션 수행 이미지를 검증한다.
즉, 미션 수행 이미지와 선별 이미지의 픽셀들을 비교하여 예를 들어, 픽셀의 밀도 변화 검출, 선별 이미지의 썸네일과 미션 수행 이미지의 썸네일 비교를 통한 썸네일 차이, 미션 수행 이미지의 캡쳐 여부 등을 비교 분석하여 실제 촬영 이미지의 구분과 포토샵 등을 이용한 이미지 편집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실사진 검증부(321)는 미션 수행 이미지와 선별 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이미지 사이에 유사성의 임계값을 갖는지 여부, 이미지의 소스를 나타낸 정보,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에 표시된 편집 소프트웨어의 증거, 텍스트 분석, 템퍼링 또는 수정 테스트 등을 통해 미션 수행 이미지의 실제 촬영이 이루어졌는지 검증할 수도 있다.
상기 문자 검증부(322)는 미션 수행 이미지 상의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에서, 문자열을 추출하여 문자 지정부(312)에서 지정된 문자열과 비교를 통해 검증할 수 있다.
즉, 미션 수행 이미지의 미션 수행 영역에서 텍스트 기반의 문자열을 예를 들면, OCR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문자열과 지정된 문자열의 비교를 통해 검증을 수행한다.
상기 액션 검증부(323)는 미션 수행 이미지 상의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에서 모양을 추출하여 상기 액션 지정부(313)에서 지정된 사물, 형상, 동작과 비교하여 검증할 수 있다.
즉, 상기 액션 검증부(323)는 미션 수행 이미지의 미션 수행 영역에서 예를 들어, 손모양, 손동작, 웃는 얼굴, 특정 사물의 형상 등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지정된 사물, 형상, 동작 등의 액션과 비교하여 검증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방법을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상품 거래 서버(200)가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거래 물품 정보와, 상기 거래 물품을 촬영한 하나 이상의 거래 물품 이미지, 예를 들어, 도7(a) 내지 도7(c)와 같이 거래 물품을 촬영한 거래 물품 이미지(500, 500a, 500b)를 수신하여 등록(S100)한다.
상기 상품 거래 서버(200)는 S100 단계에서 등록된 거래 물품 이미지(500, 500a, 500b) 중에서 예를 들어, 거래 물품이 '침대'인 경우, 대응하는 선별 이미지를 선택하여 미션 수행 대상 이미지로 저장(S200)한다.
상기 검증 서버(300)는 S200 단계에서 선택된 선별 이미지를 검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미션 수행을 수행하기 위해 선별 이미지 상에 특정 위치를 지정하고, 문자열, 사물, 형상, 동작 등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판매자가 수행할 미션을 지정하며, 지정된 미션을 판매자 단말(100)로 전송(S300)한다.
상기 S300 단계에서 전송된 미션은 판매자 단말(100)에서, 선별 이미지와 동일한 장소 및 거래 물품에 대하여 선별 이미지 상의 미리 지정된 위치, 상기 위치에 랜덤하게 생성하여 지정된 문자열, 랜덤하게 생성하여 지정된 사물,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여 촬영하는 것이고, 촬영을 통해 생성된 미션 수행 이미지(600)는 상기 판매자 단말(100)에서 검증 서버(300)로 업로드 된 후 상기 검증 서버(300)에서 검증된다.
즉, S400 단계에서, 판매자 단말(100)은 수신된 미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미션 수행 이미지, 예를 들어 도8과 같이, 거래 물품을 배경으로 지정 위치에 보안 문자열(610)을 배치하여 촬영한 미션 수행 이미지(600)를 생성하여 검증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S400 단계는 검증 서버(300)가 도9와 같이, 미션 수행 이미지(600)와 선별 이미지(700)를 비교하여 검증한다.
상기 S400 단계에서, 상기 검증 서버(300)는 수신된 미션 수행 이미지(600)에서 지정된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 이외의 이미지 픽셀을 분석하여 미션 수행 이미지(600)와 선별 이미지(700)의 실사진 비교를 통해 검증한다.
즉, 미션 수행 이미지와 선별 이미지의 픽셀들을 비교하여 예를 들어, 픽셀의 밀도 변화 검출, 선별 이미지의 썸네일과 미션 수행 이미지의 썸네일 비교를 통한 썸네일 차이, 미션 수행 이미지의 캡쳐 여부 등을 비교 분석하여 실제 촬영 이미지의 구분과 포토샵 등을 이용한 이미지 편집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실제 촬영된 미션 수행 이미지(600)인지를 검증한다.
또한, 상기 S400 단계에서, 검증 서버(300)는 수신된 미션 수행 이미지(600)에서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에서 문자열(610)을 추출하여 지정된 문자열과 비교하여 검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400 단계에서, 검증 서버(300)는 도10과 같이, 미션 수행 이미지(800)에서,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에서 액션 형상(810)을 추출하여 지정된 사물, 형상, 동작과 비교하여 검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제 상품의 보유와 실제 판매 상태를 검증하여 거래 물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허위 매물에 따른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제 매물임을 확인하기 위한 미션을 통해 판매 희망자의 허위 매물 등록을 방지할 수 있고, 원본 이미지의 복제 여부를 판단하여 이미지 편집으로 인한 허위 매물에 대한 검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판매자 단말 200 : 상품 거래 서버
300 : 검증 서버 310 : 미션 생성부
311 : 위치 지정부 312 : 문자 지정부
313 : 액션 지정부 320 : 미션 검증부
321 : 실사진 검증부 322 : 문자 검증부
323 : 액션 검증부 400 : 미션 위치 이미지
500, 500a, 500b : 거래 물품 이미지 600 : 미션 수행 이미지
610 : 문자열 700 : 선별 이미지
800 : 미션 수행 이미지 810 : 액션 형상

Claims (9)

  1. 거래 물품 정보와, 상기 거래 물품을 촬영한 하나 이상의 거래 물품 이미지(500, 500a, 500b)를 상품 거래 서버(200)에 등록하고, 등록된 거래 물품 이미지(500, 500a, 500b) 중에서 검증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임의의 선별 이미지(700)에 상기 검증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미션 정보를 포함하여 촬영한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를 생성하여 상기 검증 서버(300)로 전송하는 판매자 단말(100);
    상기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거래 물품 정보와 거래 물품 이미지(500, 500a, 500b)를 등록하여 구매자와 거래되도록 관리하고, 상기 등록된 거래 물품 이미지(500, 500a, 500b) 중에서 임의의 선별 이미지(700)를 선택하여 미션 수행 대상 이미지로 저장하는 상품 거래 서버(200); 및
    상기 선택된 선별 이미지(700)에 하나 이상의 미션 수행을 지정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100)로 전송하되, 상기 미션 수행은 문자, 사물,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을 포함하고, 상기 미션 수행에 따른 문자, 사물, 형상 및 동작의 배치 위치는 상기 선별 이미지(700) 상의 '상좌', '상중', '상우', '중좌', '중중', '중우', '하좌', '하중', '하우'로 구분된 영역 중 랜덤으로 선택된 임의의 위치를 지정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100)로 전송하며, 상기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를 상기 선별 이미지(700)와 비교하여 검증하는 검증 서버(300);를 포함하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서버(300)는 선별 이미지(700)와 동일한 장소 및 거래 물품에 대하여 상기 선별 이미지(700) 상의 '상좌', '상중', '상우', '중좌', '중중', '중우', '하좌', '하중', '하우'로 구분된 영역 중 랜덤으로 선택된 임의의 지정된 위치, 상기 위치에 임의의 지정된 문자열, 임의의 지정된 사물,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미션 수행을 지정하고, 상기 미션 수행에 대응하여 촬영된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미션 생성부(310); 및
    상기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가 수신되면, 상기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를 분석하여 지정된 미션 수행 여부를 검증하는 미션 검증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생성부(310)는 미션을 수행할 문자, 사물,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부(311);
    상기 미션을 수행할 임의의 지정된 문자열을 생성하는 문자 지정부(312); 및
    상기 미션을 수행할 임의의 지정된 사물, 형상,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액션 지정부(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검증부(320)는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에서 지정된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 이외의 이미지 픽셀을 분석하여 상기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와 선별 이미지(700)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는 실사진 검증부(321);
    상기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에서 문자열을 추출하여 상기 지정된 문자열과 비교를 통해 검증하는 문자 검증부(322); 및
    상기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에서 임의의 모양을 추출하여 상기 지정된 사물, 형상, 동작과 비교를 통해 검증하는 액션 검증부(3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5. a) 상품 거래 서버(200)가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거래 물품 정보와, 상기 거래 물품을 촬영한 하나 이상의 거래 물품 이미지(500, 500a, 500b)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상품 거래 서버(200)가 등록된 거래 물품 이미지(500, 500a, 500b) 중에서 임의의 선별 이미지(700)를 선택하여 미션 수행 대상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
    c) 검증 서버(300)가 상기 선택된 선별 이미지(700)에 하나 이상의 미션 수행을 지정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100)로 전송하돠, 상기 미션 수행은 문자, 사물,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을 포함하고, 상기 미션 수행에 따른 문자, 사물, 형상 및 동작의 배치 위치는 상기 선별 이미지(700) 상의 '상좌', '상중', '상우', '중좌', '중중', '중우', '하좌', '하중', '하우'로 구분된 영역 중 랜덤으로 선택된 임의의 위치를 지정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매자 단말(100)가 검증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임의의 선별 이미지(700)에 상기 검증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미션 정보를 포함하여 촬영한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를 업로드하면, 상기 검증 서버(300)가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와 선별 이미지(700)를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미션은 선별 이미지(700)와 동일한 장소 및 거래 물품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 상기 위치에 임의의 지정된 문자열, 임의의 지정된 사물,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여 촬영된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의 업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수신된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에서, 지정된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 이외의 이미지 픽셀을 분석하여 상기 미션 수행 이미지(600, 800)와 선별 이미지(700)의 실사진 비교를 통해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수신된 미션 수행 이미지(600)에서,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에서 문자열(610)을 추출하여 상기 지정된 문자열과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수신된 미션 수행 이미지(800)에서, 미션을 수행한 위치 영역에서 임의의 액션 형상(810)을 추출하여 상기 지정된 사물, 형상, 동작과 비교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방법.
KR1020210124530A 2021-09-17 2021-09-17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444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30A KR102444011B1 (ko) 2021-09-17 2021-09-17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30A KR102444011B1 (ko) 2021-09-17 2021-09-17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011B1 true KR102444011B1 (ko) 2022-09-16

Family

ID=83445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530A KR102444011B1 (ko) 2021-09-17 2021-09-17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0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3757A (ko) * 2011-12-28 2013-08-23 김종성 미션실행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및 미션실행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40016121A (ko) * 2012-07-17 2014-02-07 석인수 큐알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시스템과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895514B1 (ko) 2017-11-24 2018-09-05 문예식 온라인 물건거래 중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3757A (ko) * 2011-12-28 2013-08-23 김종성 미션실행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및 미션실행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40016121A (ko) * 2012-07-17 2014-02-07 석인수 큐알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시스템과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895514B1 (ko) 2017-11-24 2018-09-05 문예식 온라인 물건거래 중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03175B (zh) 快拍移动支付装置,方法和系统
US118231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securing, and communicating industrial commerce transactions
KR101723709B1 (ko) 이미지 기반 금융 처리
KR102116325B1 (ko) 블록체인 기반 정품 및 거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8676653B2 (en) Use of optical images to authenticate and enable a return with an electronic receipt
US117691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S e-commerce assistant
US20130166332A1 (en) Mobile wallet store and service injection platform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20130024371A1 (en) Electronic offer optimization and redemp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117631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visible information
KR102433323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인증 수단 및 증강현실 가상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996798B1 (ko) Qr 코드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75132B1 (ko)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113018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capture vector format lasering engine
KR102444011B1 (ko) 온라인 거래 상품의 실제 판매 검증 시스템 및 방법
Ugwu et al. A novel mobile wallet based on Android OS and quick response code technology
US2016037918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inancial transactions
AU2013100634A4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expense receipts and financial calculations.
US20230177507A1 (en) User activity detection for locking cryptocurrency conversions
US20230196428A1 (en) Mobile Marketplace System and Method
KR102545367B1 (ko) 수면용품 쇼케이스를 이용하여 판매자와 구매자의 직거래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JP7023343B1 (ja) 作成装置、作成方法及び作成プログラム
KR102510660B1 (ko) 판매자와 구매자의 직거래를 지원하는 스마트 쇼케이스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KR20240065352A (ko) 펜 인터랙션 기반의 디지털 창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40065351A (ko) 펜 인터랙션 기반의 디지털 창작 플랫폼
EP3496029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visible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