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838B1 -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838B1
KR102443838B1 KR1020170089073A KR20170089073A KR102443838B1 KR 102443838 B1 KR102443838 B1 KR 102443838B1 KR 1020170089073 A KR1020170089073 A KR 1020170089073A KR 20170089073 A KR20170089073 A KR 20170089073A KR 102443838 B1 KR102443838 B1 KR 102443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ulture
support
tyr
lys
g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721A (ko
Inventor
장선호
구송희
박희성
서인용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70089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8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14Scaffolds; Matr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8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for producing artificial tissue or for ex-vivo cultivation of tissu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2Integrated assemblies, e.g. cassettes or cartrid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세포배양용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세포배양용 카트리지는 직물을 포함하는 세포배양 지지체, 상기 세포배양 지지체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세포배양 지지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각각은 세포배양액이 투과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외곽을 둘러싸는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이에 의하면 세포배양 지지체의 탈착이 용이하면서 세포배양 지지체가 고정됨에 따라서 안정적인 세포배양 환경을 제공하여 세포배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포배양 지지체에 세포배양액을 통과시켜도 지지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체의 부위에 상관없이 배양되는 각 세포에 동일한 기계, 물리, 화학적 자극을 부여함으로써 세포를 균일하게 증식시킬 수 있다. 나아가 대량으로 세포를 배양해야 하는 분야에 적합하도록 고밀도의 세포배양이 가능하며, 세포배양 지지체의 분리과정에서 세포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목적하는 검사 및 실험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는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포배양용 카트리지{CARTRIDGE for cell culture}
본 발명은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배양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질병 치료에 배양 세포의 이용이 확대됨에 따라 세포배양에 대한 관심 및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세포배양은 세포를 생체로부터 채취하고, 생체 밖에서 배양시키는 기술이며, 배양된 세포는 피부, 장기, 신경 등 신체의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시켜 인체에 이식되거나 분화시키기 전 상태로 인체에 이식시켜 생착 및 분화를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다양한 질병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포배양이 연계된 분야가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이며, 세포학, 생명과학, 공학, 의학 등의 기존의 과학 영역을 응용하는 다학제간 학문으로써, 생체조직의 구조와 기능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정상적인 조직으로 대체, 재생시키기 위한 새로운 융합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재생 의료 분야에서 환자에게서 채취한 세포를 생체 외에서 배양할 수 있도록 세포배양 지지체와 세포배양기를 제작하고, 세포배양 지지체에서 배양된 세포를 다시 생체 내로 이식함으로써 의료 효과를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세포배양기를 통해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서는 목적하는 세포가 부착된 세포배양 지지체를 세포배양기에 넣고 세포의 크기와 종류를 고려하여 다양한 세포배양액을 주입하여 목적하는 세포의 배양이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적인 세포배양기에서의 세포배양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 번째, 세포배양 지지체가 세포배양기 내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세포배양 지지체의 미세한 흔들림이나 작은 충격에도 세포가 사멸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세포의 생존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 배양된 세포를 이식하기 위해서는 배양된 세포가 부착되어 있는 세포배양 지지체에 물리, 화학적 기작을 통하여 세포배양기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데, 이때 세포배양 지지체의 간접적인 파손 또는 배양된 세포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물리, 화학적 작용에 의해 세포가 손상되어 세포의 생존율이 저하될 수 있다.
세 번째, 접착필름 등을 통하여 세포배양 지지체를 세포배양기에 고정시킬 경우, 세포배양 지지체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지지체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 지지체의 재사용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네 번째, 종래의 세포배양기는 복수 개의 세포배양 지지체를 구비하면서 동일한 미세 환경을 부여하는 고밀도의 세포배양이 어려워 재생 의료 분야와 같이 대량의 세포 배양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세포배양기에 세포배양 지지체를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세포배양 환경을 제공하되, 세포배양기로부터 세포배양 지지체의 탈착이 용이하여 분리과정에서 세포 또는 지지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고밀도의 세포배양에 유리한 세포배양용 카트리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발명을 완성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87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세포배양 지지체의 탈착이 용이하고, 세포배양 지지체를 고정시켜 안정적인 세포배양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서 세포배양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포배양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포배양 지지체에 세포배양액을 통과 및 분산시켜도 지지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체의 부위에 상관없이 배양되는 각 세포에 동일한 기계, 물리, 화학적 자극을 부여함으로써 세포를 균일하게 증식시킬 수 있는 세포배양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량으로 세포를 배양해야 하는 분야에 적합하도록 고밀도의 세포배양이 가능한 세포배양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포배양 지지체의 분리과정에서 세포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목적하는 검사 및 실험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는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세포배양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물을 포함하는 세포배양 지지체, 상기 세포배양 지지체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세포배양 지지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각각은 테두리부와 중심부를 포함하는 세포배양용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중 다른 하나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인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는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지지부 및 세포배양액이 투과되는 메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부의 표면에는 세포 접착 저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은 방적사, 필라멘트사 및 슬리팅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사로 제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사에는 세포배양 향상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배양 향상물질은 세포의 부착, 이동, 성장, 증식(proliferation) 및 분화(differenti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도하는 생리활성성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리활성성분은 모노아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당류(saccharide), 지질(lipid), 단백질, 당단백질(glucoprotein), 당지질(glucolipid), 프로테오글리칸, 뮤코다당(mucopolysaccharide) 및 핵산(nucleic acid)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세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사는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더술폰(PES),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아미드, 폴리알킬렌, 폴리알킬렌옥사이드(poly(alkylene oxide)), 폴리아미노산(poly(amino acids)), 폴리알릴아민(poly(allylamines), 폴리포스파젠(polyphosphazene)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비생분해성 섬유형성성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폴리글리콜릭산(polyglycolic acid), PLLA(poly(L-lactide)), PLGA(poly(DL-lactide-co-glycolide)),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및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분해성 섬유형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상기 세포배양용 카트리지가 복수 개로 적층되어 구비된 세포배양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세포배양용 카트리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고정된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어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어레이를 포함하는 세포배양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하면, 세포배양 지지체의 탈착이 용이하고, 세포배양 지지체의 고정을 통해서 안정적인 세포배양 환경을 제공함에 따라서 세포배양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포가 배양되는 과정에서 세포배양 지지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서 세포배양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세포배양 지지체에 세포배양액을 분산시켜도 지지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체의 부위에 상관없이 배양되는 각 세포에 동일한 기계, 물리, 화학적 자극을 부여함으로써 세포를 균일하게 증식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대량으로 세포를 배양해야 하는 분야에 적합하도록 고밀도의 세포배양이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은 세포배양 지지체의 분리과정에서 세포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목적하는 검사 및 실험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는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의 제1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의 제2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의 제1 및 제2 지지부와 세포배양 지지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세포배양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또 다른 세포배양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산업적으로 세포배양 할 수 있는 세포는 크게 초대 배양 세포에서 대를 이어 얻어진 세포계(cell line) 세포와 배아 또는 성체에 있는 여러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미분화 세포인 줄기세포(stem cell)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 보고된 바에 의하면 줄기세포의 경우 세포계(cell line) 세포의 배양보다 훨씬 섬세한 조작이 필요하다. 즉 세포배양 과정에서 세포가 배양된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미세한 흔들림이나 작은 충격에도 세포가 사멸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공지된 세포배양기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세포배양기 바닥에 고정시켜 외부의 흔들림이나 충격이 세포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바닥에 고정된 세포배양 지지체(300)에서 배양되는 세포는 2차원적으로만 증식, 성장하는 경향이 커서 3차원 세포군집체를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세포배양 지지체 내부로 이동하여 증식, 성장하는 세포가 있을 경우 세포배양액이 세포배양 지지체(300) 내부로 세포배양액이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렵고, 지지체 내부에 침투한 세포배양액은 지지체 상부에 위치한 세포배양액과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배양된 세포의 균일성이 저하되고 세포 배양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세포배양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공간 이격시킨 형태로 세포배양기 측벽에 고정시키는 경우,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된 세포에 세포배양액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다만,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세포배양기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접착 필름 등의 추가적인 구성이 필요하여 이로 인한 세포배양액 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세포배양기로부터 회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즉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세포배양 지지체(300)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져서 세포가 사멸하거나 세포배양 지지체(300)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약제, 화장품 및 재생 의료 분야와 같이 대량으로 세포배양이 요구되는 특정 분야에서는 배양되는 각 세포들의 형상과 크기 등의 물성이 균일하게 유지되면서도 고밀도의 세포배양 환경을 제공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배양되는 세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세포 생산물을 예측 또는, 컨트롤할 수 있는 세포배양용 기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상면과 하면에서 세포배양 지지체를 고정시켜 주는 세포배양용 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세포배양 환경의 안정성을 담보하고,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각각에 대한 컨트롤이 가능하며, 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함과 동시에 각 세포배양 환경의 균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는 제1 지지부(100), 제2 지지부(200) 및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원형의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는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며, 배양되는 세포 또는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크기 및 종류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지지부(100)는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하면에 배치되어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지지한다. 상기 제1 지지부(100)는 중심부(120) 및 상기 중심부(120)의 측면을 둘러싸서 제1 지지부(100)의 전체적 틀을 유지하는 테두리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의 형상을 유지시켜주며 상측 일부가 세포배양 지지체(130)와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포배양 지지체(130)를 후술한 제2 지지부(200)와 함께 상방 및 하방에서 압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세포배양 지지체(130)와 접하는 부분에서 세포가 제1 지지부(100)의 표면에 접착하여 사멸하거나, 분리 과정에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세포 접착 저해성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11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세포배양 중 물리, 화학적 자극으로 인한 변형 및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지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테두리부(110)는 금속, 유리, 세라믹, 실리콘 등의 무기 재료,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나일론,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메틸펜텐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염화비닐 수지)으로 대표되는 유기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 형상도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평판, 평막, 필름 등의 평탄한 형상이나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름을 사용할 경우, 그 두께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1~1000μ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110)는 후술한 제2 지지부(200) 돌출부(211)가 인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1)가 수용부(111)에 인입되는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상술한 테두리부 (110)로 둘러 싸여 세포배양 지지체(130)와 접하는 중심부(120)는 중앙 지지부(121)와 메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지지부(121)부는 상기 테두리부(110)의 내측 양 끝단에서 연결되고, 상기 테두리부(110)와 함께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면서 세포배양 지지체(300)에 대해 지지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중앙 지지부(121)는 전술한 테두리부(110)와 동일한 재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중앙 지지부(121)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목적하는 세포의 종류와 크기 및 형상을 고려하여 동심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중앙 지지부(121)의 개수도 제한되지 않으며, 세포배양액에 투과율이 저하되지 않는 정도에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110) 및 상술한 중앙 지지부(121)는 세포배양 지지체(300)에서 배양되는 세포와 접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세포가 달라붙어 사멸할 수 있고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제1 지지부(100)에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과정에서 박리가 용이하지 않아서 세포 생존율과 세포 회수성이 동시에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부(110) 또는 중앙 지지부(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세포 접착 저해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산소 결합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의 피막을 상기 중앙 지지부(121)의 표면 상에 형성하여 세포배양 지지체(300)에서 배양되는 세포와의 접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 접착 저해물질의 재료로는 탄소 산소 결합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의 피막 형성이 가능한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유리, 세라믹, 실리콘 등의 무기 재료,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나일론,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메틸펜텐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염화비닐 수지)으로 대표되는 유기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메쉬부(123)는 상기 중앙 지지부(121) 및 테두리부(110) 또는 하나의 중앙 지지부(121)와 다른 하나의 중앙 지지부(121)로 둘러 싸여 형성된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123)는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일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100)에 구비되어 배양되는 세포의 탈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세포배양 과정에서 세포배양액의 투과 압력 및/또는 세포배양 지지체(300)에 대해 가해지는 미세한 외력에 의해 세포배양 지지체(300) 상에서 배양되는 세포가 탈리될 수 있는데, 상기 메쉬부(123)는 압력이나 외력으로부터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보호하여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흔들림이나 세포의 탈리를 방지할 수 있고, 비교적 크기가 큰 세포의 경우 직접적으로 외부로의 탈리를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외적 자극을 막아 줄 수 있다.
상기 메쉬부(123)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메쉬부(123)에 배양되는 세포가 접촉할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세포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는 생체 유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각종 콜라겐, 펩타이드 하이드로 겔, 라미닌, 콘드로넥틴,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히알루론산, 프로테오글리칸, 상기기재 이외의 세포 외 매트릭스 성분 단백질, 젤라틴, 아가로스, 올리고핵산, 폴리핵산 등의 고분자 화합물에 의한 겔을 들 수 있다.
또한, 생체에서 추출한 것이 아니고 인공적으로 합성된 생체 유래 재료를 모방한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종의 인공 펩타이드 및 그 유도체, 인공 올리고 펩타이드 및 그 유도체, 인공 폴리펩타이드 및 그 유도체, 인공 다당류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메쉬부(123)에는 무기 촉매 및 유기 촉매 등의 촉매물질 또는 세포배양에 도움이 되는 생리활성성분이 부착 또는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촉매, 무기촉매 및 생리활성성분들은 물리적 단순흡착 방법, 물질간의 이온 결합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물질의 작용기를 이용한 화학적 결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폴리도파민(polydopamine), 폴리노레피네프린(polynorepinephrine)과 같이 카테콜(catechol)기를 기반으로 하는 접착성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유기 촉매, 무기 촉매 또는 생리활성성분들이 상기 메쉬부(123)에 부착 또는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부(12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메쉬선(123a)과 제2 메쉬선(123b)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메쉬선(123a)과 제2 메쉬선(123b)의 교차배열로 다수 개의 다공홀(123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세포배양액이 상기 다공홀(123c)을 원활히 투과하여 세포배양 지지체(300)에 균일한 배양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메쉬선(123a)과 제2 메쉬선(123b)의 굵기 및 각각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세포배양액의 점도 및 투과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메쉬선들로부터 형성되는 다공홀(123c)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세포배양 지지체(300)에서 배양되는 각 세포에 균일한 미세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다공홀(123c)을 이용함으로써 세포의 상방이 덮이지 않고 세포 증식의 방향성의 제한을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부(123)는 세포배양액이 원활히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다공홀(123c)의 면적은 5 ~ 50㎛2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다공홀(123c)의 면적이 50㎛2를 초과하는 경우 세포배양액의 투과압력에 의하여 세포배양 지지체가 파손되거나, 배양되는 세포에 균일한 배양액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만일 상기 다공홀(123c)의 면적이 5㎛2 미만인 경우, 세포배양액이 원활하게 투과하지 못하고 메쉬부 및 중앙 지지부에 배양액이 고일 수 있어서 불균등 세포배양 환경 조성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 지지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제1 지지부(100)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지지부(200)는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제1 지지부(100)와 함께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200)는 제2 지지부(200)의 틀을 유지하는 테두리부(210) 및 상기 테두리부(210)의 외측을 감싸는 중심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부(210)는 제1 지지부(100)의 수용부(111)에 인입될 수 있는 돌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돌출부(211)는 테두리부(210)로부터 분화되며 끝단부에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부(211)가 제1 지지부(100)에 수용부(111)에 인입되고 걸림고정되어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가 끼워맞춤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일정한 외력에도 고정이 풀리지 않을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세포배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211)의 걸림고정된 부분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수용부(111)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와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손쉽게 분리 가능한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돌출부(211)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수용부(111)와 돌출부(211)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부(110, 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 중 다른 하나의 테두리부(210, 110)에는 상기 돌출부(211)가 인입되는 수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세포배양 지지체(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 지지체(300)는 직물을 포함하며, 편물 및 부직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세포배양 지지체(300)가 직물만을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진 섬유로 형성되는 규칙적인 배열의 공경으로 인해 세포배양액의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직물로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4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세포배양 지지체(300)가 직물로 구성된 경우, 직물에 포함되는 원사(310)가 종횡의 방향성이 있으며, 구체적인 조직은 평직, 능직 등일 수 있으며, 경사와 위사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포배양 지지체(300)가 직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원사(310)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모노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모노사는 방적사, 필라멘트사, 슬리팅사(slitting yarn) 또는 전기방사된 나노섬유일 수 있다.
모노사가 방적사나 필라멘트사일 경우 섬도가 0.1 ~ 1,000 데니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양시키려는 세포의 종류, 크기, 세포집합체의 형상 및 크기에 적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적사는 공지된 방법에 의한 원면을 통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사는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방사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고, 상기 방사는 화학방사 또는 전기방사 등의 공지된 방사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팅사는 시트상의 섬유집합체, 원단 등을 소정의 폭을 갖도록 절단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리팅사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시트상의 섬유웹을 소정의 폭을 갖도록 절단시켜 제조된 모노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섬유웹은 일정한 압력으로 압착시켜 슬리팅 공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슬리팅사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슬리팅사는 평량이 0.1 ~ 100g/㎡인 섬유웹을 폭이 0.1 ~ 30㎜ 되도록 절단한 모노사일 수 있다. 만일 폭을 0.1㎜ 미만으로 슬리팅할 경우 절단이 용이하지 않고, 가연시 가해지는 장력과 회전력에 의해 쉽게 사절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폭을 30㎜ 초과하여 슬리팅할 경우 연사시 불균일한 꼬임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는 방향의 정함 없이 복수 회 폴딩되어 배열/적층됨을 통해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나노섬유를 포함하여 각각의 나노섬유가 독립적으로 폴딩 및/또는 섬유길이방향의 정함이 없이 각각이 배열/적층됨을 통해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한 가닥 나노섬유 내의 서로 다른 표면 간 및/또는 서로 다른 나노섬유의 표면 간에는 접착 또는 융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3차원 네트워크 구조가 구조적으로 더 복잡해지며 지지체에 로딩된 세포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형성된 기공 내부로 이동/증식할 수 있고, 입체적 형상/구조를 갖는 세포군집체로 세포를 배양시키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 내부/외부에서 배양되는 세포의 증식률 및 생존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세포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분 등의 공급이 중요한데,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섬유의 영양분을 포함하는 배양용액의 유로가 매우 복잡, 다양하게 형성됨으로써 지지체 내부에 위치한 세포까지 용이하게 영양분이 공급되어 세포사멸을 방지하고 세포증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원사(310)를 구성하는 모노사들은 섬유상으로 제조될 수 있는 공지된 섬유형성성분으로 구현된 것일 수 있으며, 모노사 종류에 따라서 적합한 재질을 선택하여 구현될 수 있고, 분해성이 요구되는 등 특별한 목적에 따라서 재질을 달리 선택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면, 마, 등의 셀룰로오스 성분, 양모, 견 등의 단백질 성분, 또는 광물성 성분 등의 천연섬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공지된 인조섬유의 성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목적에 따라서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더술폰(PES),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아미드, 폴리알킬렌, 폴리알킬렌옥사이드(poly(alkylene oxide)), 폴리아미노산(poly(amino acids)), 폴리알릴아민(poly(allylamines), 폴리포스파젠(polyphosphazene)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비생분해성 성분, 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폴리글리콜릭산(polyglycolic acid), PLLA(poly(L-lactide)), PLGA(poly(DL-lactide-co-glycolide)),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및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분해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세포배양액 평균 투과량은 점도가 0.1 ~ 100cps 인 세포배양액에 대하여 10 ~ 10,000 ㎖/mm2·min·bar를 가질 수 있다.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통과하여 순환하는 세포배양액의 투과량은 세포배양 지지체(300)에서 배양되는 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세포배양액에 대한 최소한의 투과량을 만족해야 한다. 다만, 투과량이 과도할 경우 배양된 세포가 탈리되어 세포의 밀도가 저하되거나 세포배양 지지체(300)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서 지지체가 붕괴될 수 있으므로 점도가 0.1 ~ 100 cps인 세포배양액에 대하여 평균수투과량은 10 ~ 10,000 ㎖/mm2·min·bar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세포배양 중 세포배양액이 세포배양기(100)를 순환하며 세포에 배양용액을 제공하거나 배양액이 지속적으로 투과되는 경우, 세포배양 지지체(300)가 세포배양액의 투과 압력에 견디지 못하여 세포배양기로부터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투과량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세포배양액은 배양되는 세포의 생장 및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순환하는 세포배양액의 흐름에 의한 마찰력이 과도할 경우, 배양되는 세포가 이를 자극으로 인식하여 생리적 반응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목적하지 않는 부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세포배양액의 미세한 유량 및 유속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 특히, 세포가 상기 세포배양 지지체(300)에 부착되는 초기 부착시간에는 세포배양액의 유량 및 유속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상술한 부반응을 억제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세포가 상기 세포배양 지지체(300)에 부착되는 3 ~ 6시간 사이에는 배양되는 세포의 크기와 종류 및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물성(일예로 평량, 기공도 등)을 고려하여 세포배양액의 유량 및 유속을 적절하게 조절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기공의 평균공경은 10 ~ 100 ㎛ 일 수 있다. 상기 기공은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이루는 원사(310)가 경·위사로 배열됨에 따라 형성되는 원사(310)들 사이의 공간으로 세포배양 지지체(300)가 직물로 배열된 경우 기공의 크기는 모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공의 평균공경은 전술한 세포배양액에 투과량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만일 기공의 평균공경이 10㎛ 미만일 경우, 세포배양액의 투과도가 저하되고 세포배양액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서 세포배양의 균일도가 저하되거나,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서 세포배양 지지체(300)가 휘어지거나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공의 평균공경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 세포배양액의 투과량이 증가하고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세포배양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기공도는 1 ~ 20% 일 수 있다. 상기 기공도는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구성하는 전체 원사(310) 대비 기공의 면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공의 평균공경과 더불어 세포배양액의 투과량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만일 세포배양 지지체의 기공도가 1% 미만일 경우 세포배양액의 투과도가 저하되고 세포배양액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서 세포배양의 균일도가 저하되거나,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서 세포배양 지지체(300)가 휘어지거나 절단될 수 있다. 또한, 만일 기공도가 20%를 초과하는 경우 세포배양액의 투과량이 증가하고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세포배양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평량은 10 ~ 100g/㎡ 일 수 있다. 만일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평량이 10g/㎡ 미만일 경우 세포배양 지지체(300)가 세포배양액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구부러지는 등의 기계적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만일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평량이 100g/㎡ 를 초과하는 경우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불투명도가 너무 높아서 세포 관찰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배양된 세포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세포를 탈리시키거나 이동시킬 때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 지지체(30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세포배양액 투과량을 가짐으로써, 세포배양액을 고르게 순환시켜 지지체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된 세포의 균일한 미세환경을 부여하여 배양된 세포의 균일성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구성하는 원사(310)는 섬유형성성분 이외에 세포배양성 향상물질로서 접착성분이나 생리활성성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사의 내부에는 접착성분이나 생리활성성분이 구비되지 않고, 외부면 일 영역에 고정된 접착성분을 통해 생리활성성분이 원사 외부면 일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원사의 외부면을 전부 피복하여 구비되는 접착성분을 전부 피복하도록 생리활성성분이 구비될 수도 있다.
최근 연구되고 있는 세포배양기술은 실제 체내의 세포간 환경을 in vitro에서 구현시키는 방향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세포배양 환경을 체내의 세포환경과 유사하게 조성시키기 위하여 체내 세포외 기질(ECM)에 구비되는 각종 성분을 in vitro 배양시 배양용액에 포함시켜 적용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배양용액에 세포배양을 증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시킬 경우 배양되는 세포에 지속적으로 상기 물질을 노출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지속적 노출을 위해서는 배양용액에 상기 물질의 함량을 증가시켜야 하나, 이는 비용의 증가, 증식효율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310)의 표면에는 접착성분 및 생리활성성분이 고정된 상태로 지지체에 구비시켜 원사(310) 상에 또는 원사(310)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위치하는 배양세포에 생리활성성분을 통한 세포자극 및 이를 통한 세포 내 신호전달을 지속, 증폭시켜 세포증식을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접착성분은 배양세포를 초기에 세포 지지체 상에 고정시켜 배양용액상에 로딩된 세포가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및/또는 생리활성성분을 원사 원사(310) 상에 고정시켜 생리활성성분이 원사 원사(310) 상에 세포배양 되는 과정에서 지지섬유에서 탈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분은 통상의 생체적합성이 있어서 세포독성을 발생시키지 않는 공지된 접착성분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원사(310)에 구비될 수 있는 생리활성성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생리활성성분은 세포배양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포의 부착, 이동, 성장, 증식(proliferation) 및 분화(differenti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직/간접적으로 유도하는 물질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능을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물질인 경우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생리활성성분은 모노아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당류(saccharide), 지질(lipid), 단백질, 당단백질(glucoprotein), 당지질(glucolipid), 프로테오글리칸, 뮤코다당(mucopolysaccharide) 및 핵산(nucleic acid)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세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노아민은 일예로, 카테콜아민, 인돌아민 등 1차 아민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올리고펩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단백질은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일 예로, 피브로넥틴 등일 수 있다. 상기 당류는 단당류, 다당류, 올리고당 및 탄수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질은 일예로 스테로이드 호르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생리활성성분은 모티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티프는 생장인자(growth factor) 또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에 포함되는 단백질, 당단백질 및 프로테오글리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소정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천연 펩타이드 또는 재조합 펩타이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티프는 아드레노메둘린(Adrenomedullin), 앙기오포이에틴(Angiopoietin), 뼈형성단백질(BMP),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표피생장인자(EGF),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섬유아세포 증식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신경교의세포주유래신경영양인자(GDNF), 과립구집락자극인자(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과립대식세포집락자극인자(Granulocyt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성장분화인자-9(Growth differentiation factor-9, GDF9), 간세포생장인자(HGF), 간세포선종 유래 생장인자(Hepatoma-derived growth factor, HDGF), 인슐린유사생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각질세포 증식인자(Keratinocyte growth factor , KGF), 이동자극인자(Migration-stimulating factor, MSF), 마이오스타틴(Myostatin , GDF-8), 신경생장인자(Nerve growth factor, NGF), 혈소판유래생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트롬보포이에틴(Thrombopoietin, TPO), T-세포생장인자(T-cell growth factor, TCGF), 뉴로필린, 형질전환생장인자-알파(TGF-α), 형질전환생장인자-베타(TGF-β),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혈관내피생장인자(VEGF), IL-1, IL-2, IL-3, IL-4, IL-5, IL-6 및 IL-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장인자(GF)에 포함된 소정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히알루론산, 헤파린황산염, 콘드로이틴황산염, 테르마틴황산염, 케라탄황산염, 알진염, 피브린, 피브리노겐, 콜라겐, 엘라스틴, 피브로넥틴, 비트로넥틴, 카드헤린 및 라미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에 포함되는 소정의 아미노산의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티프는 생장인자에 포함되는 소정의 아미노산 서열 및 상기 세포외기질에 포함되는 공지된 아미노산 서열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모티프는 상술한 접착성분에 공유결합시켜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착성분이 단백질인 경우 폴리펩티드의 N-말단 및/또는 C-말단에 상기 모티프를 직접 공유결합 시키거나 이종의 펩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개재시켜 공유결합 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원사에 더욱 견고히 생리활성성분을 부착시킬 수 있고, 생리활성성분의 세포배양 중 탈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리활성성분이 모티프일 경우 상기 모티프는 세포의 부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공지된 홍합단백질 또는 홍합단백질 중 특정한 도메인이나 모티프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의 측면 결합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가 상술한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상방과 하방에서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포배양 지지체(300) 양 끝단의 소정의 영역(A 영역)은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와 접함으로써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세포배양액의 투과압력에 따른 미세한 이격현상에 따른 세포 균일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영역 및 중앙 지지부(121)와 세포배양 지지체(300)가 접하는 영역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세포 접착 저해물질이 코팅될 수 있어서 배양과정 또는 분리과정에서 세포의 사멸이나 탈리를 방지할 수 있어 세포 생존율과 배양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를 포함하는 세포배양기(400, 4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세포배양액은 목적하는 세포에 따라 세포의 부착, 이동, 성장, 증식(proliferation) 및 분화(differenti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촉진하거나 세포에 영양분을 제공하는 세포배양액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기(400)는 복수 개의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a 내지 10e)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복수 개의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a 내지 10e)는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세포배양기(400) 내부의 고정부재를 통해 각각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a 내지 10e)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고정된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어레이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어레이는 각각의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a 내지 10e)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또 다른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7과 다르게 세포배양기는 복수 개의 세포배양용 카트리지를 하나의 어레이 형태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각에 대해 동일한 미세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고밀도 세포배양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어레이에 구비된 세포배양용 카트리지에 대한 개별적인 분리가 용이하여, 세포배양 전에는 물론 세포배양 중에도 배양 환경을 신속히 제어할 수 있어서 세포의 균일성과 생존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하나의 어레이에 구비된 카트리지별로 이종의 세포를 로딩시켜 배양함을 통해 단일의 배양환경에서 이종의 세포들을 분리시켜 배양시킬 수 있다.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세포배양액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a 내지 10e)를 통과하면서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상면 및 하면에서 배양되는 세포에 배양 물질을 제공하며 세포배양기(100)를 순환할 수 있다. 이때 직물로 이루어진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세포배양액에 대한 투과성으로 인해 세포배양액은 세포배양 지지체(300)를 통과하면서 세포배양 지지체(300)에 과도한 압력이 걸리지 않게 하여, 흔들림이나 기계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상면과 하면을 고르게 순환함으로써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상면과 하면에서 배양되는 세포의 균일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면적에 따른 배양 세포를 늘릴 수 있어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세포배양기(400)에서 복수 개의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a 내지 10e)를 고정시켜 세포의 균일성을 유지하면서 고밀도의 세포배양이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기(400') 또한 복수 개의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a 내지 10e)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세포배양기(400)와 기술적 특징이 동일함에 따라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세포배양기(400')의 유입구(405)를 통해 유입된 세포배양액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a 내지 10'e)를 통과하면서 세포배양 지지체(300)의 상면 및 하면에서 배양되는 세포에 배양 물질을 제공하며 세포배양기(100)를 순환할 수 있다. 이후 다시 유출구(407)를 통해 세포배양액 및 기타 물질(영양물, 노폐물, 생산물 등)이 빠져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10)를 포함한 세포배양기(400, 400')는 세포배양 지지체의 탈착이 용이하면서 세포배양 지지체를 고정시켜 안정적인 세포배양 환경을 제공하여 세포배양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포가 배양되는 과정에서 세포배양 지지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서 세포배양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세포배양 지지체에 세포배양액을 분산시켜도 지지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체의 부위에 상관없이 배양되는 각 세포에 동일한 기계, 물리, 화학적 자극을 부여함으로써 세포를 균일하게 증식시킬 수 있다. 나아가 대량으로 세포를 배양해야 하는 분야에 적합하도록 고밀도의 세포배양이 가능하며, 세포배양 지지체의 분리과정에서 세포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목적하는 검사 및 실험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는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서 설명된 서열번호에 따른 아미노선 서열을 나타낸 서열목록에 대한 표이다.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
1 Met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Thr Tyr His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Lys Lys Tyr Tyr Gly Gly Ser Ser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2 Met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Thr Tyr His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Lys Lys Tyr Tyr Gly Gly Ser Ser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Gly Arg Gly Asp Ser Pro
3 Met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Pro Trp Ala
Asp Tyr Tyr Gly Pro Lys Tyr Gly Pro Pro Arg Arg Tyr Gly Gly Gly
Asn Tyr Asn Arg Tyr Gly Arg Arg Tyr Gly Gly Tyr Lys Gly Trp Asn
Asn Gly Trp Lys Arg Gly Arg Trp Gly Arg Lys Tyr Tyr Gly Ser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Leu
4 Ala Asp Tyr Tyr Gly Pro Lys Tyr Gly Pro Pro Arg Arg Tyr Gly Gly
Gly Asn Tyr Asn Arg Tyr Gly Arg Arg Tyr Gly Gly Tyr Lys Gly Trp
Asn Asn Gly Trp Lys Arg Gly Arg Trp Gly Arg Lys Tyr Tyr
5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Thr Tyr His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Lys Lys Tyr Tyr Gly Gly Gly Ser Ser
6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7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8 Arg Gly Asp
9 Arg Gly Asp Ser
10 Arg Gly Asp Cys
11 Arg Gly Asp Val
12 Arg Gly Asp Ser Pro Ala Ser Ser Lys Pro
13 Gly Arg Gly Asp Ser
14 Gly Arg Gly Asp Thr Pro
15 Gly Arg Gly Asp Ser Pro
16 Gly Arg Gly Asp Ser Pro Cys
17 Tyr Arg Gly Asp Ser
18 Ser Pro Pro Arg Arg Ala Arg Val Thr
19 Trp Gln Pro Pro Arg Ala Arg Ile
20 Asn Arg Trp His Ser Ile Tyr Ile Thr Arg Phe Gly
21 Arg Lys Arg Leu Gln Val Gln Leu Ser Ile Arg Thr
22 Lys Ala Phe Asp Ile Thr Tyr Val Arg Leu Lys Phe
23 Ile Lys Val Ala Asn
24 Lys Lys Gln Arg Phe Arg His Arg Asn Arg Lys Gly Tyr Arg Ser Gln
25 Val Ala Glu Ile Asp Gly Ile Gly Leu
26 Pro His Ser Arg Asn Arg Gly Asp Ser Pro
27 Asn Arg Trp His Ser Ile Tyr Ile Thr Arg Phe Gly
28 Thr Trp Tyr Lys Ile Ala Phe Gln Arg Asn Arg Lys
10: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100: 제1 지지부
110: 테두리부 111: 수용부
120: 중심부 121: 중앙 지지부
123: 메쉬부 123a: 제1 메쉬선
123b: 제2 메쉬선 200: 제2 지지부
210: 테두리부 211: 수용부
220: 중심부 221: 중앙 지지부
223: 메쉬부 223a: 제1 메쉬선
223b: 제2 메쉬선 300: 세포배양 지지체
400, 400': 세포배양기
<110> AMOLIFESCIENCE <120> CARTRIDGE FOR CELL CULTURE <130> 1060405 <160> 2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9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1 Met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1 5 10 15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20 25 30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35 40 45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Ser Ser Glu 50 55 60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Thr Tyr His Tyr His Ser 65 70 75 80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Lys Gly Lys 85 90 95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Asn Ser Gly 100 105 110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115 120 125 Lys Lys Tyr Tyr Gly Gly Ser Ser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130 135 140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145 150 155 160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165 170 175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180 185 190 Pro Thr Tyr Lys 195 <210> 2 <211> 20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2 Met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1 5 10 15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20 25 30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35 40 45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Ser Ser Glu 50 55 60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Thr Tyr His Tyr His Ser 65 70 75 80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Lys Gly Lys 85 90 95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Asn Ser Gly 100 105 110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Lys Gly Tyr 115 120 125 Lys Lys Tyr Tyr Gly Gly Ser Ser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130 135 140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145 150 155 160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165 170 175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180 185 190 Pro Thr Tyr Lys Gly Arg Gly Asp Ser Pro 195 200 <210> 3 <211> 17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3 Met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1 5 10 15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20 25 30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35 40 45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Pro Trp Ala 50 55 60 Asp Tyr Tyr Gly Pro Lys Tyr Gly Pro Pro Arg Arg Tyr Gly Gly Gly 65 70 75 80 Asn Tyr Asn Arg Tyr Gly Arg Arg Tyr Gly Gly Tyr Lys Gly Trp Asn 85 90 95 Asn Gly Trp Lys Arg Gly Arg Trp Gly Arg Lys Tyr Tyr Gly Ser Ala 100 105 110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115 120 125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130 135 140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145 150 155 160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Leu 165 170 <210> 4 <211> 4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4 Ala Asp Tyr Tyr Gly Pro Lys Tyr Gly Pro Pro Arg Arg Tyr Gly Gly 1 5 10 15 Gly Asn Tyr Asn Arg Tyr Gly Arg Arg Tyr Gly Gly Tyr Lys Gly Trp 20 25 30 Asn Asn Gly Trp Lys Arg Gly Arg Trp Gly Arg Lys Tyr Tyr 35 40 45 <210> 5 <211> 7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5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Asn Thr Tyr His 1 5 10 15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His Gly Gly Tyr 20 25 30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Tyr Lys Tyr Lys 35 40 45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Lys Tyr His Arg 50 55 60 Lys Gly Tyr Lys Lys Tyr Tyr Gly Gly Gly Ser Ser 65 70 75 <210> 6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6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1 5 10 <210> 7 <211> 6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7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1 5 10 15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20 25 30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35 40 45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50 55 60 <210> 8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8 Arg Gly Asp 1 <210> 9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9 Arg Gly Asp Ser 1 <210> 10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10 Arg Gly Asp Cys 1 <210> 1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11 Arg Gly Asp Val 1 <210> 1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12 Arg Gly Asp Ser Pro Ala Ser Ser Lys Pro 1 5 10 <210> 1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13 Gly Arg Gly Asp Ser 1 5 <210> 1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14 Gly Arg Gly Asp Thr Pro 1 5 <210> 15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15 Gly Arg Gly Asp Ser Pro 1 5 <210> 1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16 Gly Arg Gly Asp Ser Pro Cys 1 5 <210> 17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17 Tyr Arg Gly Asp Ser 1 5 <210> 18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18 Ser Pro Pro Arg Arg Ala Arg Val Thr 1 5 <210> 19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19 Trp Gln Pro Pro Arg Ala Arg Ile 1 5 <210> 20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20 Asn Arg Trp His Ser Ile Tyr Ile Thr Arg Phe Gly 1 5 10 <210> 2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21 Arg Lys Arg Leu Gln Val Gln Leu Ser Ile Arg Thr 1 5 10 <210> 22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22 Lys Ala Phe Asp Ile Thr Tyr Val Arg Leu Lys Phe 1 5 10 <210> 2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23 Ile Lys Val Ala Asn 1 5 <210> 24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24 Lys Lys Gln Arg Phe Arg His Arg Asn Arg Lys Gly Tyr Arg Ser Gln 1 5 10 15 <210> 2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25 Val Ala Glu Ile Asp Gly Ile Gly Leu 1 5 <210> 26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26 Pro His Ser Arg Asn Arg Gly Asp Ser Pro 1 5 10 <210> 27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27 Asn Arg Trp His Ser Ile Tyr Ile Thr Arg Phe Gly 1 5 10 <210> 28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tif for cell culture scaffold <400> 28 Thr Trp Tyr Lys Ile Ala Phe Gln Arg Asn Arg Lys 1 5 10

Claims (12)

  1. 직물을 포함하는 세포배양 지지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세포배양 지지체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각각은 세포배양액이 투과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외곽을 둘러싸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는 상기 테두리부에서 연결되어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지지부; 및 세포배양액이 투과되는 중심부 내 영역에 상기 세포배양 지지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외력으로부터 세포배양지지체를 보호하여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메쉬선과 제2메쉬선을 포함하고 교차배열로 형성된 다공홀의 면적이 5 ~ 50㎛2인 메쉬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중앙 지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는 세포 접착 저해물질이 코팅된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방적사, 필라멘트사 및 슬리팅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사로 제직되며, 상기 원사에는 세포의 부착, 이동, 성장, 증식(proliferation) 및 분화(differenti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도하는 생리활성성분인 세포배양 향상물질을 더 포함하는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4. 내부에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선택된 세포배양용 카트리지가 복수 개로 적층되어 구비된 세포배양기.
  5. 복수 개의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및
    상기 복수 개의 세포배양용 카트리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어레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089073A 2017-07-13 2017-07-13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KR102443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073A KR102443838B1 (ko) 2017-07-13 2017-07-13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073A KR102443838B1 (ko) 2017-07-13 2017-07-13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721A KR20190007721A (ko) 2019-01-23
KR102443838B1 true KR102443838B1 (ko) 2022-09-16

Family

ID=6528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073A KR102443838B1 (ko) 2017-07-13 2017-07-13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8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8188A1 (en) * 2022-05-10 2023-11-16 Revivocell Limited Cell cultur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045A (ja) * 2003-05-01 2004-11-25 Applied Cell Biotechnologies Inc 細胞培養用の担体保持具及び高密度細胞培養方法
JP2012120443A (ja) * 2010-12-06 2012-06-28 Dainippon Printing Co Ltd 細胞培養基材
KR101393108B1 (ko) * 2013-07-18 2014-05-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간이 동물세포 배양기 및 이를 이용한 동물세포 배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4740B2 (en) * 2003-11-05 2010-04-27 Michigan State University Nanofibrillar structure and applications including cell and tissue culture
KR20140048733A (ko) 2012-10-16 2014-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웰 플레이트 및 상기 다중 웰 플레이트를 이용한 표적 물질 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045A (ja) * 2003-05-01 2004-11-25 Applied Cell Biotechnologies Inc 細胞培養用の担体保持具及び高密度細胞培養方法
JP2012120443A (ja) * 2010-12-06 2012-06-28 Dainippon Printing Co Ltd 細胞培養基材
KR101393108B1 (ko) * 2013-07-18 2014-05-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간이 동물세포 배양기 및 이를 이용한 동물세포 배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721A (ko)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65727B (zh) 细胞培养容器
KR101916153B1 (ko)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사, 이를 포함하는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단
KR101927840B1 (ko)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KR101856575B1 (ko)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KR102119514B1 (ko) 세포배양용 또는 조직공학용 지지체
KR102443838B1 (ko) 세포배양용 카트리지
KR20210111752A (ko) 세포용 텍스타일 성장 매트릭스
KR102394713B1 (ko) 세포배양용기
KR102527073B1 (ko) 세포배양 지지체용 혼섬사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단
KR102511304B1 (ko) 세포배양 지지체용 혼섬사 제조방법, 이를 통해 구현된 세포배양 지지체용 혼섬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KR102233499B1 (ko) 3차원 섬유형 스캐폴드
KR102386538B1 (ko)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단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배양기
KR102386537B1 (ko) 세포배양 지지체용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단
Chen A Biodegradable Knitted Cardiac Patch for Myocardium Regeneration using Cardiosphere-derived Cells (CDCs).
KR20200056344A (ko) 대용량 배양기용 세포배양시트 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대용량 배양기
JP2005034239A (ja) 人工血管用基材
KR102591579B1 (ko) 세포배양 지지체용 멀티레이어 원단
JP2004329122A (ja) 細胞培養装置および培養方法
Fu et al. Rapid fabrication of biomimetic nanofiber-enabled skin grafts
Kobayashi et al. Nanofiber-based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WO2016080954A1 (en)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supports using short-length nanofiber slurries and nanofiber-microfiber mixed composite subst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