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438B1 -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438B1
KR102443438B1 KR1020200146083A KR20200146083A KR102443438B1 KR 102443438 B1 KR102443438 B1 KR 102443438B1 KR 1020200146083 A KR1020200146083 A KR 1020200146083A KR 20200146083 A KR20200146083 A KR 20200146083A KR 102443438 B1 KR102443438 B1 KR 10244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ter pressure
handle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270A (ko
Inventor
오민호
Original Assignee
오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호 filed Critical 오민호
Priority to KR1020200146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4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1Taps specially designed for dispensing boil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11Water saving techniques at user lev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은 상하로 움직여 물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손잡이부와, 손잡이부 하부에 위치하며, 수도관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 및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수전과,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유입관의 선폭을 조정하여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 가능한 가변 조절부를 포함하되, 가변 조절부는 손잡이부 일측에 위치하며, 손잡이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연결부와, 제1 연결부와 결합되며, 이동관을 따라 유입관이 위치한 부분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바와, 기둥 바 하단에 위치하며, 제1 연결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연결부와, 제2 연결부와 결합되며, 기둥바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유입관의 선폭을 조절하는 회전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Water control module and water pressure control module combined water pressure control module}
본 발명은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경 가능한 내부폭을 갖는 수도관을 적용하여 수압과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은 주방 싱크대나 욕실 세면대 또는 샤워기 등에 설치되어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사용 자가 필요로 할 때마다 조작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전은 벽면에 매설된 냉온수 배관에 연결되고 내부에 밸브 카트리지가 구비되는 수전 본체와, 수전 본체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하고 냉온수를 조절하는 레버 또는 핸들(이하 레버로 통칭)로 구성되며, 레버를 조작하여 밸브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물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여 배출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998-015473호는 물탱크의 구조를 본체의 상단과 도어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고무를 설치하여 도어 위에 잠금걸이를 구성하고, 본체의 상단에 튜우브를 설치하고 본체의 상부에 급수관을 관통시켜 급수관의 끝에 급수차단부력볼을 달고 본체 외부로 연결된 급수관에 급수관밸브를 설치하고, 본체의 하부에 배수관을 관통시켜 본체 외부로 연결된 배수관에 배수관밸브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857553 호는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로 물을 데워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탕장치에 있어서, 연소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너;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 상기 탱크 하부에 관통 설치되면서 상기 버너로부터 발생한 연소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열순환관과 상기 열순환 관을 따라 등 간격에 연속하여 나선 형태로 관통 설치되면서 상기 탱크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물순환관이 형성된 열교환기; 및 상기 탱크를 안착시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대차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한국공개특허 제1998-015473호 2. 한국등록특허 제10-085755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전 손잡이부의 조절을 통해 수전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의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전 손잡이부 조절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수도관의 폭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수도관의 폭을 좁게 유지하여 수압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은 상하로 움직여 물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 하부에 위치하며, 수도관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 및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수전과,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의 선폭을 조정하여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 가능한 가변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 조절부는 상기 손잡이부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관을 따라 상기 유입관이 위치한 부분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바와, 상기 기둥 바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기둥바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유입관의 선폭을 조절하는 회전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전은 상기 기둥 바 상측면에서 상기 기둥 바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압 상승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압 상승관의 상측은 상기 기둥 바 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압 상승관 하측은 기둥 바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어 상기 수압 상승관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수압 상승관은 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를 상승시키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회전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된 상기 회전 밸브가 상기 기둥 바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물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관의 선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를 하강시키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회전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된 상기 회전 밸브가 상기 기둥 바에 일직선된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물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관의 선폭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관은 일정 높이의 물 고임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고임 영역은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일정 시간 트랩한 후 배출시켜 배수되는 물의 수압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전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열 장치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전은 일정 시간동안 이동하는 수량 및 수압을 측정하는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수량 및 수압을 기반으로 상기 가변 조절부의 상기 회전 밸브가 회전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과 결합된 수전 시스템은 상하로 움직여 물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 하부에 위치하며, 수도관으로부터 물이 들어오는 유입관,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 및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수전과, 상기 손잡이부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관을 따라 상기 유입관이 위치한 부분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바와, 상기 기둥 바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기둥바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유입관의 선폭을 조절하는 회전 밸브로 구성된 수압 조절 모듈과 상기 수압 조절 모듈의 상기 유입관과 연결된 연결된 냉온수 수도관 및 외부 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은 수전 손잡이부의 조절을 통해 수전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의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절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은 수전 손잡이부 조절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수도관의 폭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수도관의 폭을 좁게 유지하여 수압이 증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의 동작 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의 동작 중단 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 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압 조절 모듈(100)은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헤드부(A),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110),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120) 및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130)을 포함하는 바디부(B)로 구성된다.
먼저, 수압 조절 모듈(100)의 헤드부(A)는 상하로 움직여 물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손잡이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손잡이부(140)는 좌우로 움직여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14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냉수가 공급되고, 손잡이부(14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온수가 공급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냉수 공급 및 온수 공급의 방향이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수압 조절 모듈(100)의 바디부(B)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110), 물이 이동되는 이동관(120) 및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130)을 포함한다.
유입관(110)은 외부의 수조 또는 별도의 냉온수 수도관과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의 물을 유입시킨다. 유입관(110) 끝단에 결착부재가 구비되어 냉 온수 수도관(150)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는 냉온수 수도관(150)과 연결된 모습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수도관 이외에 일정 양의 물을 저장하고 있는 외부 수조와 같은 별도의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입관(110) 끝단에 결착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수압 조절 모듈을 분리하여 휴대가 가능하며,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수전 시스템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동관(120)은 유입관(110)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손잡이부(140)와 인접한 부분에서 일측으로 절곡된 후 손잡이부(14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연장된 후 다시 하부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이동관(120)은 일반적으로 U자 형태로 많이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관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이동관(120) 내에는 이동관(120)의 선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조절부(160)를 포함한다. 가변 조절부(160)는 손잡이부(140)의 움직임에 따라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120)의 선폭을 조절하여 물의 양을 조절하고, 수압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가변 조절부(160)는 손잡이부와 연결된 제1 연결부(161), 제1 연결부(161)와 결합되어 유입관(110)까지 연장된 기둥 바(163), 기둥 바(163) 하단에 위치한 제2 연결부(165) 및 제2 연결부(165)와 결합된 회전 밸브(167)를 포함한다. 가변 조절부(160)는 손잡이부(140)의 움직임에 따라 기둥 바(163) 하단에 연결된 회전 밸브(167)가 이동관(120) 내측을 향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이동관(120)의 선폭을 조절할 수 있다.
가변 조절부(160)는 이동하는 물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압 측정 센서는 유입관과 인접하여 위치하며,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다. 가변 조절부(160)는 수압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수압을 기반으로 회전 밸브(167)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변 조절부(160)는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배수관(130)은 이동관(120)의 끝단에 위치된다.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된 유입관(110)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이동관(120)을 통해 물이 이동하며, 이동관(120) 끝단에 위치한 배수관(130)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배수된다.
배수관(130)은 내측으로 일정 높이의 물 고임 영역(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 고임 영역(170)은 이동관(120)으로부터 이동된 물을 일정 시간 트랩한 후 배수시켜 배수되는 물의 수압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압 조절 모듈(100)은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는 유입관(110) 또는 이동관(120)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의 가변 조절부 동작 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변 조절부(200)는 손잡이부(210), 기둥 바(220) 및 회전 밸브(23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210)의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상하 좌우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손잡이부(21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210)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연결부(215)가 구비된다. 손잡이부(210) 하부로는 제1 연결부(215)와 결합되며, 손잡이부(2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바(220)가 구비된다.
기둥 바(220)는 이동관(240) 내부에 구비되며, 이동관(240)의 선폭보다 작은 선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바(220)는 이동관(2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기둥 바(220)가 이동관(240)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형태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동관 내에 물이 이동하는 통로가 확보되는 범위내에서 어느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기둥 바(220) 하단부에는 제2 연결부(225)가 구비된다. 제2 연결부(225)는 손잡이부(210)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연결부(215) 회전 시 제1 연결부(215)와 같이 회전된다.
제2 연결부(225)는 기둥 바(220)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 밸브(230)와 결합된다. 회전 밸브(230)는 제2 연결부(225) 회전 시 이동관(240) 내측으로 회전하여 유입관의 선폭을 조절할 수 있다.
손잡이부(210)를 들어올리면 손잡이부(210)와 연결된 제1 연결부(215)가 회전하고, 제1 연결부(215)가 회전되면서 기둥 바(220)와 연결된 제2 연결부(225)가 회전된다. 제2 연결부(225)가 회전됨에 따라 기둥 바(220) 하단의 회전 밸브(230)가 기둥 바(220)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회전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밸브(230)가 기둥 바(220)에 대해 수직하게 이동한다.
회전 밸브(230)가 기둥 바(220)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면서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240)의 선폭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유입관(250)으로 물이 유입될 때 일정양의 물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회전 밸브(230)가 기둥 바(220)에 대해 수직한 상태까지 기울어지면 유입관(250) 선폭이 'W1'에서 'W2'로 감소됨에 따라 유입되는 물의 양이 감소하여 물이 절약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의 가변 조절부 동작 정지 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변 조절부(300)는 손잡이부(310), 기둥 바(320) 및 회전 밸브(33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310)의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상하 좌우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손잡이부(31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310)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연결부(315)가 구비된다. 손잡이부(310) 하부로는 제1 연결부(315)와 결합되며, 손잡이부(3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바(320)가 구비된다.
기둥 바(320)는 이동관(340) 내부에 구비되며, 이동관(340)의 선폭보다 작은 선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바(320)는 이동관(3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한다. 도 3에서는 기둥 바(320)가 이동관(340)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형태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동관 내에 물이 이동하는 통로가 확보되는 범위내에서 어느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기둥 바(320) 하단부에는 제2 연결부(325)가 구비된다. 제2 연결부(325)는 손잡이부(310)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연결부(315) 회전 시 제1 연결부(315)와 같이 회전된다.
제2 연결부(325)는 기둥 바(320)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 밸브(330)와 결합된다. 회전 밸브(330)는 제2 연결부(325) 회전 시 이동관(340) 내측으로 회전하여 유입관의 선폭을 조절할 수 있다.
손잡이부(310)를 들어올리면 기둥 바(320) 하단의 회전 밸브(330)가 기둥 바(320)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부(310)를 내리면 회전 밸브(330)가 기둥 바(320) 하단부로 회전한다. 회전 밸브(330)는 기둥 바(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가 되면서, 냉온수관에서 수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350)의 선폭이 도 2에 비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유입관으로 물이 유입될 때 도 2의 상태에 비해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수압 조절 모듈의 손잡이부를 들어올리면 가변 조절부의 회전 밸브도 같이 상승하고, 냉온수관에서 수전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감소됨에 따라 일정양의 물만 유입되어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이때,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의 선폭이 감소되면 수압이 상승하여 적은 양의 물도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부를 내리면 가변 조절부의 회전 밸브도 같이 하강하여 냉온수관에서 수전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증가하여 많은 양의 물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를 들어올리고 내릴 때 회전 밸브가 같이 조정되면서 수전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 및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조절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압 조절 모듈(400)은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헤드부(A),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410),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420) 및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430)을 포함하는 바디부(B)로 구성된다.
먼저, 수압 조절 모듈(400)의 헤드부(A)는 상하로 움직여 물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손잡이부(440)를 포함한다. 또한, 손잡이부(440)는 좌우로 움직여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44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냉수가 공급되고, 손잡이부(44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온수가 공급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냉수 공급 및 온수 공급의 방향이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수압 조절 모듈(400)의 바디부(B)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410), 물이 이동되는 이동관(420) 및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430)을 포함한다.
유입관(410)은 외부의 수조 또는 별도의 냉온수 수도관과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의 물을 유입시킨다. 유입관(410) 끝단에 결착부재가 구비되어 냉 온수 수도관(450)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는 냉온수 수도관(450)과 연결된 모습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수도관 이외에 일정 양의 물을 저장하고 있는 외부 수조와 같은 별도의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입관(410) 끝단에 결착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수압 조절 모듈을 분리하여 휴대가 가능하며,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수전 시스템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동관(420)은 유입관(410)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손잡이부(440)와 인접한 부분에서 일측으로 절곡된 후 손잡이부(44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연장된 후 다시 하부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이동관(420)은 일반적으로 U자 형태로 많이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관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이동관(420) 내에는 이동관(420)의 선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조절부(460)를 포함한다. 가변 조절부(460)는 손잡이부(440)의 움직임에 따라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420)의 선폭을 조절하여 물의 양을 조절하고, 수압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가변 조절부(460)는 손잡이부와 연결된 제1 연결부(461), 제1 연결부(461)와 결합되어 유입관(410)까지 연장된 기둥 바(463), 기둥 바(463) 하단에 위치한 제2 연결부(465) 및 제2 연결부(465)와 결합된 회전 밸브(467)를 포함한다. 가변 조절부(460)는 손잡이부(440)의 움직임에 따라 기둥 바(463) 하단에 연결된 회전 밸브(467)가 이동관(420) 내측을 향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이동관(420)의 선폭을 조절할 수 있다.
가변 조절부(460)는 이동하는 물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압 측정 센서는 유입관과 인접하여 위치하며,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다. 가변 조절부(460)는 수압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수압을 기반으로 회전 밸브(467)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배수관(430)은 이동관(420)의 끝단에 위치된다.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된 유입관(410)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이동관(420)을 통해 물이 이동하며, 이동관(420) 끝단에 위치한 배수관(430)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배수된다.
배수관(430)은 내측으로 일정 높이의 물 고임 영역(4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 고임 영역(470)은 이동관(420)으로부터 이동된 물을 일정 시간 트랩한 후 배수시켜 배수되는 물의 수압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압 조절 모듈(400)은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는 유입관(410) 또는 이동관(420)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바(463) 상단에는 기둥 바(463)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압 상승관(480)이 구비된다. 수압 상승관(480)은 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태의 관으로 형성된다. 수압 상승관(480)의 상측은 기둥 바(463) 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수압 상승관(480) 하측은 기둥 바(463)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어 물이 수압 상승관(48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는 하나의 수압 상승관(48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수의 수압 상승관(480)이 구비될 수 있고, 그 길이나 폭은 수전의 사이즈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수압 상승관(480)은 앞쪽으로 갈수록 선폭이 좁아지는 형태이므로 물이 수압 상승관(480)을 통과하면서 수압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변 조절부(460)를 통해 물의 양을 조절하고, 수압 상승관(480)을 통해 물의 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적은 양의 물로도 적절한 수압을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 : 헤드부 B : 바디부
100 : 수압 조절 모듈
110, 250, 350, 410 : 유입관
120, 240, 340, 420 : 이동관
130, 430 : 배수관
140, 210, 310, 440 : 손잡이부
150, 450 : 냉온수 수도관
160, 200, 300, 460 : 가변 조절부
161, 215, 315, 461 : 제1 연결부
163, 220, 320, 463 : 기둥 바
165, 225, 325, 465 : 제2 연결부
167, 230, 330, 467 : 회전 밸브
170, 470 : 물 고임 영역
480 : 수압 상승관

Claims (8)

  1. 상하로 움직여 물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하부에 위치하며, 수도관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 및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수전; 및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의 선폭을 조정하여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 가능한 가변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 조절부는
    상기 손잡이부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관을 따라 상기 유입관이 위치한 부분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바;
    상기 기둥 바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기둥바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유입관의 선폭을 조절하는 회전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전은 상기 기둥 바 상측면에서 상기 기둥 바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압 상승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압 상승관의 상측은 상기 기둥 바 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압 상승관 하측은 기둥 바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어 상기 수압 상승관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수압 상승관은 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태이며,
    상기 손잡이부를 상승시키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회전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된 상기 회전 밸브가 상기 이동관의 내측으로 상기 기둥 바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같이 상승함으로써 물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관의 선폭이 감소되며,
    상기 배수관은 일정 높이의 물 고임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고임 영역은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일정 시간 트랩한 후 배출시켜 배수되는 물의 수압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조절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를 하강시키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회전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된 상기 회전 밸브가 상기 기둥 바에 일직선된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물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관의 선폭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조절 모듈.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열 장치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조절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은 일정 시간동안 이동하는 수량 및 수압을 측정하는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수량 및 수압을 기반으로 상기 가변 조절부의 상기 회전 밸브가 회전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조절 모듈.
  8. 상하로 움직여 물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하부에 위치하며, 수도관으로부터 물이 들어오는 유입관,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 및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수전;
    상기 손잡이부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관을 따라 상기 유입관이 위치한 부분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바;
    상기 기둥 바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기둥바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유입관의 선폭을 조절하는 회전 밸브로 구성된 수압 조절 모듈과 상기 수압 조절 모듈의 상기 유입관과 연결된 연결된 냉온수 수도관 및 외부 수조를 포함하되,
    상기 수전은 상기 기둥 바 상측면에서 상기 기둥 바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압 상승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압 상승관의 상측은 상기 기둥 바 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압 상승관 하측은 기둥 바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어 상기 수압 상승관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수압 상승관은 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태이며,
    상기 손잡이부를 상승시키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회전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된 상기 회전 밸브가 상기 이동관의 내측으로 상기 기둥 바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같이 상승함으로써 물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관의 선폭이 감소되며,
    상기 배수관은 일정 높이의 물 고임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고임 영역은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일정 시간 트랩한 후 배출시켜 배수되는 물의 수압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
KR1020200146083A 2020-11-04 2020-11-04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 KR102443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83A KR102443438B1 (ko) 2020-11-04 2020-11-04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83A KR102443438B1 (ko) 2020-11-04 2020-11-04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70A KR20220060270A (ko) 2022-05-11
KR102443438B1 true KR102443438B1 (ko) 2022-09-15

Family

ID=8160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083A KR102443438B1 (ko) 2020-11-04 2020-11-04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4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025Y1 (ko) * 2001-03-08 2001-09-26 백성기 절수기
KR200271206Y1 (ko) * 2001-12-19 2002-04-10 김대한 분사되는 수도꼭지
KR200334106Y1 (ko) * 2003-01-16 2003-11-21 진정홍 원터치 레버식 냉온수 분배기
KR100974172B1 (ko) * 2010-01-15 2010-08-10 이득기 물절약 수도꼭지
JP2011058212A (ja) * 2009-09-08 2011-03-24 Toto Ltd 吐水装置
JP2017036877A (ja) * 2015-08-10 2017-02-16 Toto株式会社 即湯システム付き水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005B1 (ko) 1996-08-22 1999-10-01 송만호 물탱크의 수압상승 장치
KR100857553B1 (ko) 2008-06-17 2008-09-09 박동수 실외형 이동식 급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025Y1 (ko) * 2001-03-08 2001-09-26 백성기 절수기
KR200271206Y1 (ko) * 2001-12-19 2002-04-10 김대한 분사되는 수도꼭지
KR200334106Y1 (ko) * 2003-01-16 2003-11-21 진정홍 원터치 레버식 냉온수 분배기
JP2011058212A (ja) * 2009-09-08 2011-03-24 Toto Ltd 吐水装置
KR100974172B1 (ko) * 2010-01-15 2010-08-10 이득기 물절약 수도꼭지
JP2017036877A (ja) * 2015-08-10 2017-02-16 Toto株式会社 即湯システム付き水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70A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2160A (ko)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KR102443438B1 (ko) 수압 조절 모듈 및 수압 조절 모듈이 결합된 수전 시스템
KR101313954B1 (ko) 난방 및 온수 콤비네이션 타입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사용방법
CA3114335A1 (en) Hot water supply system
WO2007010538A1 (en) Method and means for producing hot water from a hot water boiler system
KR100738973B1 (ko) 미세유량조절밸브
WO2011001179A2 (en) Water heating system
KR101767152B1 (ko) 축열 탱크
KR200452756Y1 (ko) 자동 온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샤워장치
JPH10246345A (ja) 配管ユニット、給湯装置及び給湯システム
KR102069795B1 (ko) 온수 공급장치
CN208859717U (zh) 一种变压差式混水装置
KR20120003597A (ko) 전기 보일러
KR20090005981U (ko) 휴대용 온수 보일러의 급수밸브 구조
KR200398102Y1 (ko) 물 절약형 보일러
KR20240106593A (ko) 비데
KR100668236B1 (ko) 유량조절구조를 갖는 온수분배기용 밸브
KR20110130890A (ko) 온수기용 온수저장탱크
KR200429506Y1 (ko) 히터가 부착된 상수공급장치
RU2494318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блок для проточного нагревателя
KR200376936Y1 (ko) 유량조절구조를 갖는 온수분배기용 밸브
JP6861392B2 (ja) 水栓
JP3984622B2 (ja) 貯湯槽給湯システム
JP4625199B2 (ja) 湯水混合装置および湯水混合水栓用温度維持タンク
JP6975947B2 (ja) 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