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395B1 -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395B1
KR102443395B1 KR1020210136474A KR20210136474A KR102443395B1 KR 102443395 B1 KR102443395 B1 KR 102443395B1 KR 1020210136474 A KR1020210136474 A KR 1020210136474A KR 20210136474 A KR20210136474 A KR 20210136474A KR 102443395 B1 KR102443395 B1 KR 102443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company
points
accumulated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7682A (ko
Inventor
박찬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6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39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각각의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인트사 간의 포인트 전환과 관련하여, 각 포인트사 별로 전환되어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특정 포인트사로 포인트 전환이 편중되는 불균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POINT CONVERSION,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각각의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인트사 간의 포인트 전환과 관련하여, 각 포인트사 별로 전환되어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고객들을 유치하고 상품 등을 홍보하기 위하여 전자상거래, 상품 구입, 서비스 이용 등과 관련하여 포인트를 제공하는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포인트 서비스는 고객의 상품 구매 및 거래 금액의 일부를 추후 보상해주기 때문에 고객의 많은 호응을 얻고 있으며, 업체의 매상을 증가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다.
최근에는, 특정 포인트사의 적립된 포인트를 타 포인트사의 포인트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인트 전환 서비스 또한 각광받고 있다.
허나, 각 포인트사에서 제공하는 포인트의 경우 그 가치와, 포인트로 이용 가능한 혜택이 서로 상이한 것이 일반적인데, 이로 인해, 특정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이 편중되는 불균형 현상이 초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각각의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인트사 간의 포인트 전환과 관련하여, 각 포인트사 별로 전환되어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특정 포인트사로 포인트 전환이 편중되는 불균형 현상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포인트전환장치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를 전환하는 전환부;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으로 전환된 포인트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갱신부; 및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와 관련된 누적포인트정보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적포인트정보에는,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전체 포인트와 관련된 전체누적포인트정보 및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속한 특정 가입자 또는 특정 그룹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와 관련된 개별누적포인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전체누적포인트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한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거나, 상기 개별누적포인트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속한 특정 가입자 또는 특정 그룹에 대한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인트전환장치는,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한 포인트 가치를 지정하는 지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정부는, 상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지정된 포인트 가치를 변경하여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적포인트정보에는, 상기 지정된 포인트 가치 및 포인트 누적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포인트 누적량, 및 상기 포인트 누적량에 해당하는 전체 포인트 가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적포인트정보에는, 포인트 누적 건수가 더 포함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포인트 누적 건수, 및 상기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상기 포인트 누적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적포인트정보에는,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및 포인트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상기 포인트 사용량, 상기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대비 상기 포인트 사용량, 및 상기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상기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포인트 전환 방법은, 사용자단말이 포인트전환장치를 통해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를 전환하는 전환단계; 상기 포인트전환장치가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으로 전환된 포인트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갱신단계; 및 상기 포인트전환장치가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와 관련된 누적포인트정보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포인트 전환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를 전환하는 전환단계;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으로 전환된 포인트를 누적하여 갱신하는 갱신단계; 및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와 관련된 누적포인트정보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적포인트정보에는,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전체 포인트와 관련된 전체누적포인트정보 및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속한 특정 가입자 또는 특정 그룹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와 관련된 개별누적포인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전체누적포인트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한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거나, 상기 개별누적포인트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속한 특정 가입자 또는 특정 그룹에 대한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인트전환장치는, 상기 전환단계 이전에,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한 포인트 가치를 지정하는 지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정단계는, 상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지정된 포인트 가치를 변경하여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적포인트정보에는, 상기 지정된 포인트 가치 및 포인트 누적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포인트 누적량, 및 상기 포인트 누적량에 해당하는 전체 포인트 가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적포인트정보에는, 포인트 누적 건수가 더 포함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포인트 누적 건수, 및 상기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상기 포인트 누적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적포인트정보에는,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및 포인트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상기 포인트 사용량, 상기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대비 상기 포인트 사용량, 및 상기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상기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포인트 전환 시스템은,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를 전환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으로 전환된 포인트를 누적하여 갱신하고,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와 관련된 누적포인트정보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상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포인트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인트사 간의 포인트 전환과 관련하여, 각 포인트사 별로 전환되어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특정 포인트사로 포인트 전환이 편중되는 불균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전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전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전환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전환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전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전환 시스템은, 포인트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단말(100), 및 사용자단말(100)로부터의 수신되는 포인트 전환 요청에 따라 포인트사 간 포인트를 전환하는 포인트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사용자단말(100)은 자신에게 적립된 포인트의 조회하여, 조회된 포인트를 타 포인트사의 포인트로 전환할 것을 요청하는 단말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로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데스크 탑, 노트북, PDA 및 포스장치(POS, Point Of Sales)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포인트 조회 및 전환 요청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요청되는 포인트 전환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를 일컫는 것으로서 이러한 포인트전화장치(200)는 예컨대, 각 포인트사에서 개별적으로 운영되거나, 내지는 각 포인트사의 서버를 통합한 통합 서버의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포인트사의 적립된 포인트를 타 포인트사의 포인트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인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포인트 전환 서비스의 경우, 특정 포인트사에 적립된 상태로 사용되지 않는 휴면 포인트를 자신에게 필요한 혜택을 제공하는 타 포인트사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포인트 활용도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게 된다.
헌데, 포인트 전환 서비스의 경우 앞서 언급한 포인트 활용도 측면에서의 장점이 이외에 특정 포인트사로 포인트 전환이 편중될 수 있다는 한계점 또한 존재하게 된다.
즉, 각 포인트사에서 제공하는 포인트의 경우, 그 객관적인 포인트 가치와, 포인트를 이용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혜택이 상이하기 마련인데, 이로 인해 좀 더 포인트 가치가 높거나, 자신에게 유리한 혜택을 제공하는 특정 포인트사로 포인트 전환이 편중되는 불균형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결국, 특정 포인트사로 포인트 전환이 편중되는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나머지 포인트사의 서비스 경쟁력이 뒤쳐지게 되며, 이로 인해 고객 유치 등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으며, 심지어 해당 포인트사의 포인트 서비스가 사장되는 현상마저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 포인트사로 포인트 전환이 편중되는 불균형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포인트사 중 상호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는 제1포인트사(A사)와 제2포인트사(B사)를 대표로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포인트전환장치(200)는 포인트 가치를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의 포인트 전환 요청을 처리하기 이전 시점에,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에서 제공하는 포인트 각각에 대한 포인트 가치를 지정하게 된다.
이때, 제1포인트사의 포인트와, 제2포인트사의 포인트에 대하여 지정되는 포인트 가치는, 서로 동일하게 지정되거나, 상이하게 지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인트 가치는 각 포인트사의 독립적인 결정에 따르거나, 포인트사 간 협의에 의해서 지정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 가치란, 포인트가 가지는 객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포인트 가치는 포인트가 가지는 금전적인 가치(예: 원)로 환산 지정될 수 있다.
또한, 포인트전환장치(200)는 포인트를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인트전환장치(200)는 포인트 가치를 지정한 이후에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포인트 전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를 전환하게 된다.
이때,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의 포인트 전환 요청에 따라 제1포인트사에 적립된 포인트를 제2포인트사의 포인트로 전환하거나, 또는 제2포인트사의 적립된 포인트를 제1포인트사의 포인트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전환된 포인트를 누적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 포인트가 전환되는 경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으로 전환된 포인트를 누적하여 갱신한다.
이때,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으로 전환된 포인트 누적량을 누적포인트정보로서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누적포인트정보는 전체누적포인트정보와, 개별누적포인트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위 전체누적포인트정보의 경우,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속한 모든 가입자에 의해 포인트사 별로 누적 갱신되는 전체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일컫는 것이다.
개별누적포인트정보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속한 특정 가입자 또는 특정 그룹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일컫는다.
여기서, 그룹이란, 각 포인트사에서 정의한 소정의 기준 예컨대, 연령, 지역, 성별 등을 기준으로 전체 가입자를 각 기준에 속하는 가입자로 구분한 것이다.
이처럼, 누적포인트정보를 전체누적포인트정보와 개별누적포인트정보로 구분하는 것은 전체누적포인트정보를 이용하여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고, 개별누적포인트정보를 이용하여 각 포인트사에 속한 특정 가입자 또는 특정 그룹에 대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전체누적포인트정보와, 개별누적포인트정보는 그 정보의 주체만이 상이할 뿐, 전술한 포인트 누적량 이외에, 예컨대, 해당 포인트사에 지정된 포인트 가치, 포인트 누적 건수,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포인트 사용량, 및 해당 포인트사의 가맹점 수 등의 정보가 동일하게 포함될 수 있다.
결국, 전체누적포인트정보와 개별누적포인트정보에 포함된 정보는 서로 동일하므로,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에 대한 전체적인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기 위해선 전체누적포인트정보를 이용하여야 하며, 각 포인트사에 속한 특정 가입자 또는 특정 그룹에 대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기 위해선 개별누적포인정보를 이용한다 점만 상이할 뿐,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은 서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체누적포인트정보(이하, '누적포인트정보'로 통칭함)를 이용한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에 대한 전체적인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동작만을 그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포인트전환장치(200)는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와 관련된 누적포인트정보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한다.
이때,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포인트 누적량이 많거나, 포인트 누적량에 해당하는 포인트 가치 즉, 누적된 포인트의 금전적인 가치의 총액이 큰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포인트 누적 건수가 많거나,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포인트 누적량이 큰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할 수 있다.
내지는,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내지는 포인트 사용량이 많거나, 또는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대비 포인트 사용량 내지는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상기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가 큰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할 수 있다.
그 밖에,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가맹점 수가 많은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전환장치(200)는 포인트 가치를 변경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의 포인트 전환율이 결정되는 경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지정된 포인트 가치를 변경하여 지정함으로써, 변경 시점 이후부터는 변경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포인트 전환율이 이전 시점보다 높게 결정된 경우, 포인트 가치를 이전보다 높게 변경 지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포인트 전환율이 이전 시점보다 낮게 결정된 경우에는 포인트 가치를 이전보다 낮게 변경 지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전환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전환장치(200)는, 포인트 가치를 지정하는 지정부(210), 포인트를 전환하는 전환부(220), 및 전환된 포인트를 누적 갱신하는 갱신부(230), 및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결정부(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지정부(210), 전환부(220), 갱신부(230), 및 결정부(240)를 포함하는 포인트전환장치(200)의 전체 구성 내지는 그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르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지정부(210)는 포인트 가치를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정부(21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의 포인트 전환 요청을 처리하기 이전 시점에,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에서 제공하는 포인트 각각에 대한 포인트 가치를 지정하게 된다.
이때, 지정부(21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의 포인트 가치를 서로 동일하게 지정하거나, 내지는 상이하게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포인트 가치가 동일하게 지정되는 경우,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모두 1 포인트당 1원의 포인트 가치가 지정될 수 있으며, 만약 포인트 가치가 상이하게 지정되는 경우에는 제1포인트사에는 1포인트당 3원의 포인트 가치가 지정되고, 제2포인트사에는 3포인트당 1원의 가치가 지정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로도 지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환부(220)는 포인트를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부(220)는 지정부(210)에서 포인트 가치가 지정된 이후에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포인트 전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를 전환하게 된다.
이때, 전환부(220)는 사용자단말(100)의 포인트 전환 요청에 따라 제1포인트사에 적립된 포인트를 제2포인트사의 포인트로 전환하거나, 또는 제2포인트사의 적립된 포인트를 제1포인트사의 포인트로 전환하게 된다.
갱신부(230)는 전환된 포인트를 누적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갱신부(23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 포인트가 전환되는 경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으로 전환된 포인트를 누적하여 갱신한다.
이때, 갱신부(230)는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으로 전환된 포인트 누적량을 누적포인트정보로서 관리하게 되며, 이러한 누적포인트정보에는, 전술한 포인트 누적량 이외에, 예컨대, 해당 포인트사에 지정된 포인트 가치, 포인트 누적 건수,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포인트 사용량, 및 해당 포인트사의 가맹점 수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결정부(240)는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24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와 관련된 누적포인트정보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한다.
여기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데 참조되는 누적포인트정보에는, 포인트 누적량 이외에 누적된 포인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을 언급한바 있다.
이에, 결정부(240)는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기에 앞서 누적포인트정보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 중 어떠한 정보를 참조할 것이며, 포인트 전환율의 실제 상승 또는 하강시키며, 그 변동 폭은 얼마만큼인지를 우선 결정해야 하는데, 이는 기 정의된 포인트전환정책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결정부(240)는 기 정의된 포인트전환정책을 확인하여, 확인된 포인트전환정책에 따라 누적포인트정보에 포함된 특정 정보를 참조하여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누적포인트정보에 포함된 포인트 가치 및 포인트 누적량이 참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정부(240)는 포인트 누적량 및 상기 포인트 누적량에 해당하는 포인트 가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결정부(24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포인트 누적량이 많거나, 포인트 누적량에 해당하는 포인트 가치 즉, 누적된 포인트의 금전적인 가치의 총액이 큰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포인트 누적량이 많거나, 누적된 포인트의 금전적인 가치의 총액이 크다는 것은, 해당 포인트사로 전환되는 포인트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해당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높여 해당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을 독려하거나, 반대로 포인트 전환율을 낮춰 해당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누적포인트정보에 포함된 포인트 누적 건수가 참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정부(240)는 포인트 누적 건수, 및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포인트 누적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결정부(24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포인트 누적 건수가 많거나,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포인트 누적량이 큰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포인트 누적 건수가 많거나,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포인트 누적량이 크다는 것은, 위와 마찬가지로 해당 포인트사로 전환되는 포인트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데, 이에 해당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높여 해당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을 독려하거나, 반대로 포인트 전환율을 낮춰 해당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누적포인트정보에 포함된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및 포인트 사용량이 참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정부(240)는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포인트 사용량,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대비 상기 포인트 사용량, 및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결정부(24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내지는 포인트 사용량이 많거나, 또는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대비 포인트 사용량 내지는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상기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가 큰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내지는 포인트 사용량이 많거나,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대비 포인트 사용량 내지는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상기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가 크다는 것은, 해당 포인트사의 포인트 사용이 선호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데, 이에 해당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높여 해당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을 독려하거나, 반대로 포인트 전환율을 낮춰 해당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 예로서, 누적포인트정보에 포함된 가맹점 수가 참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결정부(24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가맹점 수가 많은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 수가 많다는 것은, 누적된 포인트 사용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데, 이에, 해당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높여 해당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을 독려하거나, 반대로 포인트 전환율을 낮춰 해당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지정부(210)는 포인트 가치를 변경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정부(21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의 포인트 전환율이 결정되는 경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지정된 포인트 가치를 변경하여 지정함으로써, 변경 시점 이후부터는 변경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지정부(21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포인트 전환율이 이전 시점보다 높게 결정된 경우, 포인트 가치를 이전보다 높게 변경 지정함으로써, 해당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을 독려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포인트 전환율이 이전 시점보다 낮게 결정된 경우에는 포인트 가치를 이전보다 낮게 변경 지정함으로써, 해당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 가치의 변동 폭은 포인트 전환율의 변동 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포인트 전환율의 변동 폭에 따라 예컨대, 0.5원 내지는 1.5원의 지정된 변동 폭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전환 시스템에 따르면, 각각의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인트사 간의 포인트 전환과 관련하여, 각 포인트사 별로 전환되어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특정 포인트사로 포인트 전환이 편중되는 불균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전환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전환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의 포인트 전환 요청을 처리하기 이전 시점에,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에서 제공하는 포인트 각각에 대한 포인트 가치를 지정한다(S110).
이때,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의 포인트 가치를, 서로 동일하게 지정되거나, 상이하게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포인트전환장치(200)는 포인트 가치를 지정한 이후에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포인트 전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를 전환한다(S120-S130).
이때,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의 포인트 전환 요청에 따라 제1포인트사에 적립된 포인트를 제2포인트사의 포인트로 전환하거나, 또는 제2포인트사의 적립된 포인트를 제1포인트사의 포인트로 전환하게 된다.
그런 다음,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 포인트가 전환되는 경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으로 전환된 포인트를 누적하여 갱신한다(S140).
이때,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으로 전환된 포인트 누적량을 누적포인트정보로서 관리하게 되며, 이러한 누적포인트정보에는, 전술한 포인트 누적량 이외에, 예컨대, 해당 포인트사에 지정된 포인트 가치, 포인트 누적 건수,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포인트 사용량, 및 해당 포인트사의 가맹점 수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와 관련된 누적포인트정보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한다(S150).
이때,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포인트 누적량이 많거나, 포인트 누적량에 해당하는 포인트 가치 즉, 누적된 포인트의 금전적인 가치의 총액이 큰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포인트 누적 건수가 많거나,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포인트 누적량이 큰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할 수 있다.
내지는,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내지는 포인트 사용량이 많거나, 또는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대비 포인트 사용량 내지는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상기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가 큰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할 수 있다.
그 밖에,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가맹점 수가 많은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의 포인트 전환율이 결정되는 경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지정된 포인트 가치를 변경하여 지정함으로써, 변경 시점 이후부터는 변경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게 한다(S160).
이때, 포인트전환장치(20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포인트 전환율이 이전 시점보다 높게 결정된 경우, 포인트 가치를 이전보다 높게 변경 지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포인트 전환율이 이전 시점보다 낮게 결정된 경우에는 포인트 가치를 이전보다 낮게 변경 지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전환장치(200)에서의 동작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지정부(21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의 포인트 전환 요청을 처리하기 이전 시점에,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에서 제공하는 포인트 각각에 대한 포인트 가치를 지정한다(S210).
이때, 지정부(21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의 포인트 가치를 서로 동일하게 지정하거나, 내지는 상이하게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포인트 가치가 동일하게 지정되는 경우,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모두 1 포인트당 1원의 포인트 가치가 지정될 수 있으며, 만약 포인트 가치가 상이하게 지정되는 경우에는 제1포인트사에는 1포인트당 3원의 포인트 가치가 지정되고, 제2포인트사에는 3포인트당 1원의 가치가 지정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로도 지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나서, 전환부(220)는 지정부(210)에서 포인트 가치가 지정된 이후에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포인트 전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를 전환한다(S220-S230).
이때, 전환부(220)는 사용자단말(100)의 포인트 전환 요청에 따라 제1포인트사에 적립된 포인트를 제2포인트사의 포인트로 전환하거나, 또는 제2포인트사의 적립된 포인트를 제1포인트사의 포인트로 전환하게 된다.
그런 다음, 갱신부(23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 포인트가 전환되는 경우,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으로 전환된 포인트를 누적하여 갱신한다(S240).
이때, 갱신부(230)는 제1포인트사와 상기 제2포인트사 각각으로 전환된 포인트 누적량을 누적포인트정보로서 관리하게 되며, 이러한 누적포인트정보에는, 전술한 포인트 누적량 이외에, 예컨대, 해당 포인트사에 지정된 포인트 가치, 포인트 누적 건수,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포인트 사용량, 및 해당 포인트사의 가맹점 수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결정부(24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와 관련된 누적포인트정보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한다(S250-S270).
이때, 결정부(240)는 기 정의된 포인트전환정책을 확인하여, 확인된 포인트전환정책에 따라 누적포인트정보에 포함된 특정 정보를 참조하여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누적포인트정보에 포함된 포인트 가치 및 포인트 누적량이 참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정부(240)는 포인트 누적량 및 상기 포인트 누적량에 해당하는 포인트 가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부(24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포인트 누적량이 많거나, 포인트 누적량에 해당하는 포인트 가치 즉, 누적된 포인트의 금전적인 가치의 총액이 큰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누적포인트정보에 포함된 포인트 누적 건수가 참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정부(240)는 포인트 누적 건수, 및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포인트 누적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부(24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포인트 누적 건수가 많거나,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포인트 누적량이 큰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누적포인트정보에 포함된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및 포인트 사용량이 참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정부(240)는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포인트 사용량,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대비 상기 포인트 사용량, 및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부(24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내지는 포인트 사용량이 많거나, 또는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 대비 포인트 사용량 내지는 포인트 누적 건수 대비 상기 누적된 포인트 사용 건수가 큰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하게 된다.
추가 예로서, 누적포인트정보에 포함된 가맹점 수가 참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결정부(24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중 가맹점 수가 많은 포인트사의 포인트 전환율을 현재 시점보다 높게 결정하거나, 반대로 낮게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지정부(21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의 포인트 전환율이 결정되는 경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지정된 포인트 가치를 변경하여 지정함으로써, 변경 시점 이후부터는 변경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간에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게 한다(S280).
이때, 지정부(210)는 제1포인트사와 제2포인트사 각각에 대하여, 포인트 전환율이 이전 시점보다 높게 결정된 경우, 포인트 가치를 이전보다 높게 변경 지정함으로써, 해당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을 독려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포인트 전환율이 이전 시점보다 낮게 결정된 경우에는 포인트 가치를 이전보다 낮게 변경 지정함으로써, 해당 포인트사로의 포인트 전환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전환 방법에 따르면, 각각의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인트사 간의 포인트 전환과 관련하여, 각 포인트사 별로 전환되어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특정 포인트사로 포인트 전환이 편중되는 불균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각각의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인트사 간의 포인트 전환과 관련하여, 각 포인트사 별로 전환되어 누적 갱신되는 포인트를 기초로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사용자단말
200: 포인트전환장치
210: 지정부 220: 전환부
230: 갱신부 240: 결정부

Claims (5)

  1. 제1포인트와 제2포인트 간에 포인트를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제1포인트와 상기 제2포인트 간의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상기 제1포인트와 상기 제2포인트 간에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포인트의 포인트 가치 및 상기 제2포인트의 포인트 가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되,
    상기 제1포인트와 상기 제2포인트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포인트 및 상기 제2포인트 중 특정 포인트로 포인트 전환이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트의 포인트 가치는 상기 제1포인트에 대해 누적된 포인트 누적량의 가치 총액이며,
    상기 제2포인트의 포인트 가치는 상기 제2포인트에 대해 누적된 포인트 누적량의 가치 총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전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트와 상기 제2포인트 각각에 대한 포인트 가치를 지정하는 지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정부는,
    상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 상기 제1포인트와 상기 제2포인트 각각에 지정된 포인트 가치를 변경하여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전환장치.
  4. 삭제
  5. 사용자단말이 포인트전환장치를 통해 제1포인트와 제2포인트 간에 포인트를 전환하는 전환단계; 및
    상기 제1포인트와 상기 제2포인트 간의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포인트 전환율에 따라서 상기 제1포인트와 상기 제2포인트 간에 포인트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제1포인트의 포인트 가치 및 상기 제2포인트의 포인트 가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되,
    상기 제1포인트와 상기 제2포인트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포인트 및 상기 제2포인트 중 특정 포인트로 포인트 전환이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포인트 전환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전환 방법.
KR1020210136474A 2015-01-02 2021-10-14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443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474A KR102443395B1 (ko) 2015-01-02 2021-10-14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214A KR102316048B1 (ko) 2015-01-02 2015-01-02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0210136474A KR102443395B1 (ko) 2015-01-02 2021-10-14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214A Division KR102316048B1 (ko) 2015-01-02 2015-01-02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682A KR20210127682A (ko) 2021-10-22
KR102443395B1 true KR102443395B1 (ko) 2022-09-14

Family

ID=562867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214A KR102316048B1 (ko) 2015-01-02 2015-01-02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0210136474A KR102443395B1 (ko) 2015-01-02 2021-10-14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214A KR102316048B1 (ko) 2015-01-02 2015-01-02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96571A1 (ko)
KR (2) KR102316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868B1 (ko) 2017-08-17 2018-07-16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대안화폐 관리 방법 및 관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8252A (ja) * 2006-10-24 2008-05-08 Daum Communications Corp 統合マイレージ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251A (ko) * 2003-06-03 2004-12-10 신희상 통합 마일리지 포인트 구성방법과 사이버머니 전환 이용방법.
KR20080023034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블루디앤에스 디지털 머니의 통합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결제방법
KR100856822B1 (ko) * 2006-11-02 2008-09-05 (주)엠제이프리미어 전자화폐와 포인트 연계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8252A (ja) * 2006-10-24 2008-05-08 Daum Communications Corp 統合マイレージ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048B1 (ko) 2021-10-22
KR20210127682A (ko) 2021-10-22
US20160196571A1 (en) 2016-07-07
KR20160083733A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urakbar et al. End‐of‐life inventory decisions for consumer electronics service parts
US20210150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torage position information
CN108492068B (zh) 用于路径规划的方法和装置
US20180247321A1 (en) Platform for management of marketing campaigns across multiple distribution mediums
US20160275603A1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CN105260912A (zh) 一种资源分配方法和装置
JP2016201141A (ja) 全アカウントの検索キーワードの推定値の返信
US20140040068A1 (en) Service Recommender System For Mobile Users
KR102443395B1 (ko) 포인트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202000510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ledger for information technology asset management
CN102903043A (zh) 支付服务器和支付通道获取方法
US11985270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daptive campaign management and predictive customer engagement utilizing a customer data platform
CN111798167B (zh) 一种仓库补货的方法和装置
US20160094721A1 (en) Providing Discounted Service Offerings to Customers Experiencing Reduced Service Availability
JP2017138721A (ja) 自動販売機検量システム、管理サーバ、自動販売機、自動販売機の検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180266A1 (en) Using social media for improving supply chain performance
Kottakki et al. Customer experience driven assignment logic for online food delivery
CN106250427B (zh) 一种容器镜像推荐信息的生成方法及系统
CN110019182A (zh) 一种数据追溯方法及装置
US20230004928A1 (en) Order Fulfillment System
Cao et al. Optimal control of an inventory system with joint production and pricing decisions
US10789619B1 (en) Advertisement metric prediction
US11017415B2 (en) Fast calculations of total unduplicated reach and frequency statistics
CN110264290B (zh) 获取推荐信息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9369592B1 (en) Accurate user data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